KR20240011723A - 기계적 해제 아암을 사용하는 관상정맥동에서의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의 고정 - Google Patents

기계적 해제 아암을 사용하는 관상정맥동에서의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의 고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723A
KR20240011723A KR1020237041562A KR20237041562A KR20240011723A KR 20240011723 A KR20240011723 A KR 20240011723A KR 1020237041562 A KR1020237041562 A KR 1020237041562A KR 20237041562 A KR20237041562 A KR 20237041562A KR 20240011723 A KR20240011723 A KR 20240011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wire
port
needle
compli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1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다니 조 홀
쿠퍼 라이언 리커슨
제이슨 제임스 레이드 하다드
스티븐 찰스 쿠토
Original Assignee
에드워즈 라이프사이언시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드워즈 라이프사이언시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에드워즈 라이프사이언시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40011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72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8Endoscopic needles, e.g. for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4Heart valves ; Vascular valves, e.g. venous valves; Heart implants, e.g. passive devi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 of the native valve or the heart muscle; 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Valves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2493Transmyocardial revascularisation [TM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5/0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in the body, e.g. expansi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5/09041Mechanisms for insertion of 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43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cardia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38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 A61B2017/00243Type of minimally invasive operation cardiac
    • A61B2017/00247Making holes in the wall of the heart, e.g. laser Myocardial revascularization
    • A61B2017/00252Making holes in the wall of the heart, e.g. laser Myocardial revascularization for by-pass connections, i.e. connections from heart chamber to blood vessel or from blood vessel to blood vess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7Material properties shape memory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51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flatable part, e.g. balloon, for positioning, blocking, or immobilisation
    • A61B2017/22065Functions of balloons
    • A61B2017/22069Immobilising; Stab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51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flatable part, e.g. balloon, for positioning, blocking, or immobilisation
    • A61B2017/22065Functions of balloons
    • A61B2017/22071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025/0177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having external means for receiving guide wires, wires or stiffening members, e.g. loops, clamps or lateral tub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혈관 벽부를 통한 구멍 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카테터(22)를 제자리에 고정시키기 위한 메커니즘이 개시된다.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혈관의 벽부(예를 들어, 관상정맥동)에 대해 가압하는, 기계적 해제 아암(402)을 포함한다. 상기 기계적 해제 아암은 카테터 밖으로 전진될 수 있다. 상기 카테터 외부에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상기 벽부와 접촉하도록 혈관 벽부를 향하여 각을 이루거나 만곡부를 이룬다. 상기 기계적 해제 아암이 더 많이 전진될수록, 상기 벽부에 대해 더 가까이 접근되고, 상기 벽부에 대한 힘이 더 많이 가해져 상기 카테터를 제자리에 고정시킨다. 상기 기계적 해제 아암은 전개될 때 혈관 벽부를 향해 각을 이루거나 만곡부를 이루는 복수의 와이어, 전개될 때 상기 카테터로부터 떨어져서 혈관 벽부와 접촉하도록 코일링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또는 전개될 때 상기 혈관 벽부와 접촉하는 만곡된 엔드캡을 갖는 스토퍼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계적 해제 아암을 사용하는 관상정맥동에서의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의 고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5월 21일에 출원된, 기계적 해제 아암을 사용하는 관상정맥동에서의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의 고정(SECURING A GUIDEWIRE DELIVERY CATHETER IN THE CORONARY SINUS USING A MECHANICALLY RELEASING ARM)으로 명명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3/191,419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전체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대체적으로 관상정맥동과 연관된 의료 시술을 위한, 카테터와 같은 전달 장치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심부전은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는 흔하고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병태이며, 최대한의 의학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최적에 미치지 못하는 임상 결과가 종종 이환율 및/또는 사망을 초래한다. 특히, "이완기 심부전"은 좌심실 수축기 기능이 보존되고(박출률) 주요 판막 질환이 없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심부전의 임상 증후군을 지칭한다. 이러한 병태는 순응도가 감소하고 이완이 손상된 뻣뻣한 좌심실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해 이완기말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이완기 심부전의 증상은 적어도 상당 부분에서 좌심방의 압력 상승으로 인한 것이다. 좌심방압(LAP) 상승은 심부전(HF)을 포함하는 여러 비정상적인 심장 병태에 존재한다. 이완기 심부전 이외에, 좌심실의 수축기 기능 장애 및 판막 질환을 포함한 다수의 다른 의학적 병태가 좌심방의 압력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박출률 보존 심부전(HFpEF, heart failure with preserved ejection) 및 박출률 감소 심부전(HFrEF, heart failure with reduced ejection fraction) 둘 모두 LAP 상승을 나타낼 수 있다.
좌심방에서 상승된 압력을 감소시키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한 가지 방법은 좌심방으로부터 관상정맥동으로 혈액을 흐르게(shunt) 하는 것이다. 좌심방과 관상정맥동 사이에 개구부를 생성함으로써, 혈액은 더 높은 압력의 좌심방으로부터 더 낮은 압력의 관상정맥동으로 흐르게 된다. 좌심방으로부터 관상정맥동으로 혈액을 흐르게 하는 방법의 예는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참조로서 통합되는, "확장가능한 심장 션트(Expandable Cardiac Shunt)"로 명명된 미국 특허 제9,789,294호에 기술되어 있다.
카테터 기반 기구를 사용하여, 외과의는 좌심방과 관상정맥동 사이에 천공 구멍을 생성하고 천공 구멍 내에 확장가능한 션트(shunt)를 배치한다. 이를 위해, 하나 이상의 카테터가 천공 구멍을 생성하고,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확장가능한 션트를 전달하고, 천공 구멍에 확장 가능한 션트를 전개하는 데 사용된다. 일단 확장되면, 션트는 LAP가 상승될 때 혈액이 좌심방에서 관상정맥동으로 흐를 수 있게 하는 혈류 통로를 정의한다.
본 개시를 요약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정 측면, 이점 및 신규한 특징이 본원에 설명된다. 이러한 모든 이점이 임의의 특정 실시예에 따라 달성될 수 있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는 본원에서 교시되거나 제안될 수 있는 다른 이점을 반드시 달성하지 않고 본원에서 교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이점 또는 이점들의 군을 달성하거나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구현예는 관상정맥동과 좌심방 사이에 션트를 이식하는 데 사용되는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카테터는 전달 구성에서 카테터 내에 수용된 바늘을 포함하며, 바늘은 전개 구성에서 혈관 벽부를 천공하기 위해 카테터 밖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카테터는 바늘 포트를 포함하며, 바늘은 이를 통해 전달 구성으로부터 전개 구성으로 전이하기 위해 카테터로부터 연장된다. 카테터는 전달 구성에서 카테터 내에 수용된 고정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고정 메커니즘은 전개 구성에서 카테터로부터 전진되도록 구성된 순응성 와이어를 포함하며, 이에 따라 와이어의 원위 부분은 혈관 벽부와 접촉하여 바늘이 혈관 벽을 천공하기 위한 벽 부착부를 제공한다. 카테터는 와이어 포트를 포함하며, 고정 메커니즘의 와이어는 이를 통해 전달 구성으로부터 전개 구성으로 전이하기 위해 카테터로부터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고정 메커니즘의 와이어의 원위 부분은 와이어 포트를 빠져나갈 때 코일링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카테터는 제2 와이어 포트를 추가로 포함하고, 여기에서 고정 메커니즘은 제2 와이어 포트에서 카테터를 빠져나가도록 구성된 제2 와이어를 추가로 포함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고정 메커니즘의 각각의 와이어는 전개 구성에서 카테터로부터 멀어지며 만곡되도록 구성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바늘 포트와 2개의 와이어 포트 각각 사이의 방위각은 적어도 90도 내지 180도 미만이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바늘 포트와 2개의 와이어 포트 각각 사이의 방위각은 적어도 120도이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2개의 와이어 포트 사이의 방위각(θ1)은 120도 이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고정 메커니즘은 와이어의 원위 단부에 만곡된 엔드캡을 추가로 포함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만곡된 엔드캡은 전개 구성에서 혈관 벽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만곡된 엔드캡은 전달 구성에서 와이어 포트를 덮도록 구성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만곡된 엔드캡은 혈관 벽부의 윤곽을 따르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와이어는 카테터의 길이를 따라 이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와이어는 수술 부위의 외부로부터 고정 메커니즘의 구성요소를 조작함으로써 전진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와이어는 형상 기억 금속을 포함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와이어는 카테터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상 설정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와이어는 카테터의 외부에서 코일링되도록 형상 설정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와이어는 출구 각도로 카테터를 빠져나가도록 형상 설정된다. 추가의 실시예에서, 카테터의 원위 단부는 혈관 벽부를 손상시킬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재료로 코팅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와이어는 전개 구성으로부터 전달 구성으로 다시 전이하기 위해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와이어 포트는 바늘이 카테터를 빠져나가는 반대 측면 상에서 와이어가 카테터를 빠져나가도록, 바늘 포트의 반대편에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와이어 포트는 바늘 포트에 비해 카테터를 따라 더 원위에 위치된다.
다양한 실시예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결코 개시된 주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상이한 개시된 실시예의 다양한 특징이 조합되어 본 개시의 일부인 추가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다. 도면 전체에 걸쳐, 참조 번호들은 참조 요소들 간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재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다수의 도면과 관련하여 유사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는 것이 반드시 그와 연관된 각각의 실시예들 간의 유사성을 암시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각각의 도면의 특징부는 반드시 실제 축적대로 그려지지는 않으며, 도시된 크기는 본 발명의 측면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도시된 특징부 중 특정 특징부는 일부 실시예 또는 구성에 도시된 것보다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도 1은 션트를 전개하기 위해 심장 내부 및 주위에서 가이드와이어 및 카테터를 조작하기 위한 여러 접근 경로를 도시한다.
도 2는 확장 가능한 션트를 전개하기 위한 하나의 접근 방법을 도시하며, 여기에서 가이드와이어는 쇄골하 정맥 또는 경정맥을 통해, 그리고 상대정맥을 통해 관상정맥동 내로 도입된다.
도 3a, 도 3b, 도 3c 및 도 3d는 후방 측면을 아래로 하여 심장의 단면을 내려다보면서 관상정맥동의 벽부를 통해 천공 구멍을 만드는 단계의 개략도이다.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제1 예시적인 고정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5a, 도 5b, 및 도 5c는 제2 예시적인 고정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제3 예시적인 고정 메커니즘을 도시한다.
본원에 제공된 제목은 단지 편의를 위한 것이며 청구된 주제의 범위 또는 의미에 반드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개요
확장기 심부전의 증상은 좌심방의 압력 상승 또는 좌심방 압력(LAP) 상승으로 인해 발생한다. 다른 심장 질환 또한 LAP 상승을 나타낼 수 있다. 좌심방의 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좌심방과 관상정맥동 사이에 경로가 생성될 수 있다. 이는 혈액이 더 높은 압력의 좌심방으로부터 더 낮은 압력의 관상정맥동으로 흐를 수 있게 한다. 경로는 좌심방과 관상정맥동 사이에 구멍을 천공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구멍이 생성되면, 션트를 구멍에 배치하여 해당 구멍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터 기반 기구는 구멍을 생성하고 천공 구멍 내에 션트를 전달하고 전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카테터는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GDC)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는 관상정맥동을 통해 좌심방 내로 천공하고 가이드와이어를 좌심방에 배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조직을 관통하기 위해, 카테터는 관상정맥동-좌심방 벽부에 직접 바늘이 닿도록 하기 위한 벽 부착부를 갖는다. 종래의 GDC는 천공 구멍을 생성할 때 카테터를 고정하기 위해 "앵커 풍선"(식염수-팽창 풍선)을 사용하였다. 앵커 풍선 용액은 파열되거나 제 위치에서 미끄러질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환자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
따라서, GDC가 관상정맥동으로부터 좌심방으로 벽부를 천공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 위치에 GDC를 고정시키기 위한 재료 및 메커니즘이 본원에 기술된다. 이들 재료 및 메커니즘은 앵커 풍선에 대한 대안으로서 기능한다.
용어 "카테터"는 그의 광범위하고 통상적인 의미에 따라 본원에서 사용되며, 임의의 관, 시스, 조종 가능 시스, 조종 가능 카테터, 및/또는 예를 들어 전달 카테터 및/또는 캐뉼라를 포함하는, 심방 또는 관상정맥동 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것과 같이, 기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부 루멘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세장형 관형 전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고정 메커니즘은 형상-기억 합금(예를 들어, 니티놀)으로 구성될 수 있고/있거나 미리 정의된 형상 및/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정 메커니즘은 카테터 내로 및/또는 그 주위로 피팅되도록 성형 및/또는 압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경우, 고정 메커니즘은 전달 구성에서 세장형 형상을 가짐으로써 적어도 부분적으로 카테터를 따라 연장되고, 전개된 구성에서는 그 형상을 변화시켜 벽 부착부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일부 실시예는,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 또는 다른 유사한 전달 장치를 고정시킴으로써 혈관 벽부를 천공하기 위한 벽 부착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또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예는 관상정맥동과 좌심방 사이의 벽부를 천공하기 위해 관상정맥동 내에 카테터를 고정시키는 것이 관한 것일 수 있지만, 본원에 기술된 장치는 신체의 다른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설명된 몇몇 장치는, 유리하게는 관상정맥동 이외의 혈관에서 혈관을 천공하기 위한 벽 부착부를 제공하기 위해 카테터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래의 내용은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를 관상정맥동의 표적화된 위치에 전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대체적인 설명을 포함한다. 개시된 고정 메커니즘은 관상정맥동의 천공을 위한 벽 부착부를 제공하기 위해 이러한 또는 유사한 방법에서 해당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션트를 전개하기 위해 심장 내부 및 주위에서 가이드와이어 및 카테터를 조작하기 위한 여러 접근 경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위로부터 쇄골하 정맥 또는 경정맥을 통해 상대정맥(SVC), 우심방(RA), 그리고 이로부터 관상정맥동(CS)으로 접근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접근 경로는 대퇴 정맥에서 시작하여 하대정맥(IVC)을 통해 심장 내로 진입할 수 있다. 다른 접근 경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각각의 경로는 일반적으로 가이드와이어 및 카테터가 일반적으로 밀봉된 도입기를 통해 혈관구조 내로 삽입되는 경피적 절개를 사용하며, 그로부터 의사가 신체 외부에서 장치의 원위 단부를 제어한다.
도 2는 확장 가능한 션트를 전개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가이드와이어(10)는 쇄골하 정맥 또는 경정맥을 통해, 그리고 상대정맥을 통해 관상정맥동 내로 도입된다. 가이드와이어가 통로를 제공하면, 일반적으로 확장기를 사용하여, 유도관(미도시)이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환자의 혈관구조 내로 라우팅될 수 있다. 도 2는 상대정맥으로부터 심장의 관상정맥동까지 연장되는 전개 카테터(12)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전개 카테터(12)는 혈액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지혈 밸브를 제공하는 유도관을 통과하였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개 카테터(12)는 약 30 cm 길이일 수 있고, 가이드와이어(10)는 사용하기 쉽도록 다소 더 길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전개 카테터(12)는 좌심방의 벽부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제작하도록 기능할 수 있고, 별도의 배치 또는 전달 카테터가 확장성 션트의 전달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개 카테터는 천공 제작 및 션트 배치 둘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용어 "전개 카테터" 또는 "전달 카테터"는 이들 기능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갖는 카테터 또는 도입기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관상정맥동은 대부분 좌심방 주위에 인접하기 때문에, 스텐트에 대해 허용 가능한 다양한 배치가 가능하다. 스텐트의 배치를 위해 선택된 부위는, CT 스캔 또는 방사선 촬영 기법, 예컨대 형광 투시법 또는 혈관 내 관상동맥 에코(IVUS) 같은 비-침습적 진단 수단에 의해 사전에 결정했을 때, 특정 환자의 조직이 덜 두껍거나 덜 조밀한 영역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후방 측면을 아래로 하여 심장의 단면을 내려다보면서 관상정맥동의 벽부를 통해 천공 구멍을 만드는 단계의 개략도이다. 도 3a는, 초기에서의, 우심방으로부터 이의 소공 또는 개구부를 통해 관상정맥동 내로 전진되는 가이드와이어(20)을 도시한다. 이어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 카테터(22)가 가이드와이어(20) 위로 전진된다. 천공 카테터(22)는 유도관(미도시)의 근위 단부를 통해 신체 내로 도입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유도관은 특정 혈관 경로(예를 들어, 경정맥 또는 쇄골하정맥)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고, 그 안에 지혈 밸브를 가질 수 있다. 유도관을 고정된 위치에 고정한 상태에서, 외과의는 천공 카테터(22)를 이식 부위에 맞게 조작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천공 카테터(22)의 원위 단부는 관상정맥동의 곡률에 맞추기 위해, 반경방향 내부 및 반경방향 외부 측면을 갖는 약간의 곡률을 갖는다. 고정 메커니즘(24)은 카테터의 근위 범위보다 얇거나 테이퍼식으로 더 좁을 수 있는 최종 원위 세그먼트(25)에 인접한 카테터(22)의 반경방향 외부 측면을 따라 노출된다. 카테터(22) 상의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26)은 외과의가 관상정맥동 내에 고정 메커니즘(24)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하기 위한 정확한 전진 거리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일부 경우,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26)는 고정 메커니즘(24)의 근위 및 원위 단부의 측면에 위치하는 C-형상 밴드이다.
도 3c는, 본원에 도 4a-6c를 참조하여 기술된 고정 메커니즘 중 어느 하나로 대체되는 일반적인 구조로 간주되는 고정 메커니즘(24)의 외측 전개를 도시한다. 고정 메커니즘(24)의 배치는 관상정맥동의 내강 벽부에 대해 카테터의 반경방향 내부 만곡부를 가압하여 벽 부착부를 제공한다. 다시, 고정 메커니즘(24)은 천공 카테터(22)의 원위 세그먼트(25)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고정 메커니즘(24)은 카테터의 반경방향 내부 벽부에 형성된 바늘 포트(28)에 대향하여 연장된다. 결과적으로, 바늘 포트(28)는 내강 벽부와 접하고 관상정맥동과 좌심방 사이의 조직 벽부(30)을 향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26)를 시각화함으로써 가이드되는 바와 같이, 외과의는, 바늘 포트(28)가 관상동맥 소공 내로 약 2 내지 4 cm 내에 위치되도록 카테터(22)를 전진시킨다. 이로 인해 후속 천공이 대략적으로 이첨판의 후방 판막엽의 "P2" 부분 위에 배치된다(판막엽의 유입측에서 볼 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판막엽은 CCW 방향으로 P1-P2-P3 커스프를 가짐). 고정 메커니즘(24)은 바늘 포트(28)로부터 카테터(22)를 가로질러 직경방향으로 중심에 위치될 수 있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바늘 포트(28)로부터 근위 방향으로 약간 오프셋될 수 있다.
천공 카테터(22)의 원위 단부에서의 곡률은 관상정맥동 내의 해부학적 구조에 대해 정렬되고 이를 "허그"하고, 바늘 포트(28)를 내측으로 배향시키는 한편, 고정 메커니즘(24)은 관상정맥동에 대해 카테터(22)를 제 위치에 유지한다. 이어서, 도 3d를 참조하면, 날카로운 팁을 갖는 천공 바늘(34)을 갖는 천공 시스(32)는, 카테터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바늘 포트(28)를 빠져나가고 벽부(30)를 통해 좌심방 내로 천공하도록, 카테터(22)를 따라 전진한다. 천공 시스(32)는 단부에서의 해부학적 구조의 곡률과 "정렬"하는 빌트업 곡률을 가짐으로써 바늘(34)이 좌심방을 향해 내측으로 배향되게 한다. 고정 메커니즘(24)은 시스템에 강성을 제공하고 벽부(30)에 대해 바늘 포트(28)를 유지한다(예를 들어, 고정 메커니즘(24)은 벽 부착부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천공 바늘(34)은 선형 절개부를 형성하도록 평평한 구성을 가지며 천공 시스(32)의 루멘을 통과하는 세장형 와이어 또는 가요성 로드(미도시)의 원위 단부 상에 장착된다.
메커니즘 고정
카테터로부터 연장되는 바늘로 혈관의 벽부를 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혈관 내에 카테터를 고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본원에 기술된다. 본원에 기술된 고정 메커니즘은 도 3a-3d와 관련하여 본원에 기술된 카테터(22)와 같은 카테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기술된 고정 메커니즘은 도 3a-3d와 관련하여 본원에 기술된 일반적인 고정 메커니즘(24)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즉, 후술하는 고정 메커니즘은 고정 메커니즘(24) 대신에 사용될 수 있고/있거나 도 3a-3d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고정 메커니즘(24)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고정 메커니즘은 관상정맥동과 좌심방 사이의 벽부의 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를 제자리에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고정 메커니즘(24)의 변형이다. 개시된 예시적인 고정 메커니즘은, 풍선 파열의 위험이 없고 보다 양호하게 카테터를 고정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식염수로 충진된 앵커 풍선과 같은 다른 고정 메커니즘에 비해 개선을 나타낸다. 바늘이 전개되기 전에 풍선이 파열되는 경우, 해당 바늘이 잘못된 공간에 전개됨으로써 잠재적으로 환자에게 심각한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파열된 풍선은 환자에서 색전을 초래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이러한 위험을 제거한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는 풍선을 수축시킬 필요성을 제거하여, 보다 간소화된 천공 절차를 제공한다.
개시된 고정 메커니즘은,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에 대한 부착부를 제공하기 위해 관상정맥동 벽부에 대해 가압하도록 작동되는 아암을 기계적으로 해제함으로써, 바늘이 관상정맥동 벽부를 통해 좌심방 공간 내로 적절히 천공되는 것을 보장한다. 개시된 고정 메커니즘은 카테터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순응성 와이어를 포함한다. 와이어는 니켈 티타늄 합금(예를 들어, 니티놀(Nitinol))과 같은 형상 메모리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고정 메커니즘은 (예를 들어, 카테터의 근위 단부에서) 와이어를 밀어 고정 메커니즘을 카테터 밖으로 연장시킴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다. 고정 메커니즘은 관상정맥동 벽부를 향해 외측으로 만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메커니즘이 카테터 밖으로 연장됨에 따라, 고정 메커니즘의 원위 부분은 관상정맥동 벽부와 접촉하여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제자리에 고정시킨다. 기계적 해제 아암이 더 많이 전진될수록, 벽부에 대해 더 가까이 접근되고, 벽부에 대한 힘이 더 많이 가해져 카테터를 제자리에 고정시킨다. 기계적 해제 아암은 전개될 때 혈관 벽부를 향해 각을 이루거나 만곡부를 이루는 복수의 와이어, 전개될 때 카테터로부터 떨어져서 혈관 벽부와 접촉하도록 코일링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 또는 전개될 때 혈관 벽부와 접촉하는 만곡된 엔드캡을 갖는 스토퍼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메커니즘은 카테터의 일 측면으로부터 또는 카테터의 복수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개시된 고정 메커니즘은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와 같은 카테터와 함께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기계적 해제 아암을 포함하는 고정 메커니즘(또는 앵커 부재)을 갖는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가 본원에 개시된다. 제1 예시적인 고정 메커니즘은, 관상정맥동의 벽부를 향해 만곡되고 이와 접촉하도록 카테터의 원위 부분 밖으로 전진하는 2개 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한다. 제2 예시적인 고정 메커니즘은, 관상정맥동의 벽부를 향해 코일링되고 이와 접촉하도록 카테터의 원위 부분 밖으로 전진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제3 예시적인 고정 메커니즘은 카테터의 원위 부분 밖으로 전진되고 와이어의 단부에 만곡된 엔드캡을 포함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와이어는 관상정맥동의 벽부를 향해 각을 이룬다.
도 4a-4d는 제1 예시적인 고정 메커니즘(400)을 도시한다. 고정 메커니즘(4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구성에서 카테터(22)의 길이를 따라 수용된 2개 이상의 와이어(401)를 포함한다. 2개 이상의 와이어(401)는 와이어 포트(403)에서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의 원위 부분 밖으로 전진되어 관상정맥동의 벽부를 가압함으로써,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고정 메커니즘(400)은 바늘(34)이 관상정맥동의 벽부(30)를 천공하는 위치로, 카테터(22)의 일부로서 제자리로 가이드될 수 있다. 일단 제위치에 놓이면, 와이어(401)는, 와이어(401)의 원위 부분(402)이 카테터(22)의 원위 부분 밖으로 연장되고 카테터(22)로부터 멀어지며 만곡되도록, 밀리거나 전진된다. 와이어(401)의 계속된 전진은 각 와이어(401)의 원위 부분(402)을 관상정맥동의 벽부(30)와 접촉시킴으로써,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22)의 원위 단부를 제자리에 고정시킨다. 와이어(401)는 카테터의 길이를 따라 카테터(22)의 근위 부분까지 연장되어, 사용자가 와이어(401)를 수술 부위 외부로부터 전진시킬 수 있게 한다. 도 4a-4c는 와이어 포트(403)가 바늘 포트(28)에 대해 원위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그러나, 와이어 포트(403)는 바늘 포트(28)에 근접하여, 또는 바늘 포트(28)와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위치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유사하게, 와이어 포트(403)가 동일한 원위 거리에 위치될지라도, 각각의 와이어 포트(403)는 상이한 원위 거리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와이어(401)는, 와이어(401)를 카테터(22) 내로 후퇴시켜 전달 구성을 재개할 수 있도록, 당겨지거나 인출될 수 있다.
고정 메커니즘(400) 재료는 니켈 티타늄 합금(예를 들어, 니티놀)과 같은 순응성 와이어 재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와이어(401)의 원위 부분(402)은 원위 부분(402)이 벽부(30)에 손상을 야기할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보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서, 와이어(401)의 원위 부분(402)은 원위 부분(402)이 벽부(30)에 손상을 야기할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만곡될 수 있다.
도 4c는 서로로부터의 카테터(22)의 대향 측면 상의 와이어(401)를 도시한다. 그러나, 와이어(401)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께 더 가깝게 위치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도 4c는 하나의 와이어 포트(403)가 바늘 포트(28)와 카테터(22)의 동일한 측면 또는 그 근처에 있는 것으로 와이어(401)를 도시한다. 일부 경우, 이는 바늘(34)의 동일한 측면 상의 와이어(401)가 바늘(34)에 가장 가까운 벽부(30)로부터 카테터(22)를 밀어내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와이어(401)는, 와이어의 원위 부분(402)이 벽부(30)를 밀어냄으로써 생성된 힘이 카테터(22)에 대한 벽 부착부를 제공하는 방향이 됨으로써 바늘(34)에 가장 가까운 벽부(30)에 대해 카테터(22)를 밀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와이어 포트(403)는 바늘 포트(28)를 포함하는 카테터(22)의 부분과 대향하는 카테터(22)의 일 부분에 위치되며, 이러한 실시예는 도 4d(카테터(22)의 단면을 나타냄)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바늘 포트(28)와 와이어 포트(403) 사이의 방위각(θ2 및 θ3)은 적어도 90도 내지 180도 미만일 수 있다. 방위각에 대한 기준은 원통형 좌표계를 기준으로 하며, 방위각은 카테터의 단면 내에서 측정되며, 여기에서 해당 단면은 카테터의 길이방향 축에 수직인 표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늘 포트(28)와 와이어 포트(403) 사이의 방위각(θ2 및 θ3)은 적어도 120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2개의 와이어(402) 사이의 방위각(θ1)은 180도 미만, 0도 내지 120도, 또는 5도 내지 90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와이어 포트(403)는 카테터(22)의 반경방향 외측에 있는 반면, 바늘 포트(28)는 카테터(22)의 반경방향 내측에 있다. 일부 예시적인 고정 메커니즘(400)은 2개 초과의 와이어 및 2개 초과의 상응하는 와이어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포트는 카테터(22)의 반경방향 외측에 분포될 수 있고/있거나 카테터(22) 주위에 분포될 수 있다.
도 5a-5c는 제2 예시적인 고정 메커니즘(500)를 도시한다. 고정 메커니즘(500)은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22)의 원위 부분에서 와이어 포트(503) 밖으로 전진하는 와이어일 수 있다. 전달 구성에서, 와이어(501)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22) 내에 수용된다. 와이어(501)가 전진됨에 따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501)의 원위 부분(502)은 와이어 포트(503)를 빠져나와 코일링되어 전개 구성을 취한다. 코일링된 원위 부분(502)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상정맥동의 벽부(30)에 대해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고정 메커니즘(500)은 바늘(34)이 관상정맥동의 벽부(30)를 천공하는 위치로, 카테터(22)의 일부로서 제자리로 가이드될 수 있다. 일단 제위치에 놓이면, 와이어(501)는, 와이어(501)의 원위 부분(502)이 카테터(22)의 와이어 포트(503) 밖으로 연장되고 카테터(22)로부터 멀어지며 만곡되도록, (예를 들어, 카테터(22)의 근위 단부로부터) 밀리거나 전진된다. 와이어(501)의 계속된 전진은 와이어의 원위 부분(502)을 코일링시키고 관상정맥동의 벽부(30)와 접촉시킴으로써,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22)의 원위 단부를 제자리에 고정시킨다. 와이어(501)는 카테터의 길이를 따라 카테터(22)의 근위 부분까지 연장되어, 사용자가 와이어(501)를 수술 부위 외부로부터 전진시킬 수 있게 한다. 고정 메커니즘(500)의 재료는 니켈 티타늄 합금(예를 들어, 니티놀)과 같은 순응성 와이어 재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재료는, 와이어 포트(503)를 빠져나올 때 코일링되어 와이어(501)의 코일 부분(502)을 형성하도록 형상 설정될 수 있다. 와이어(501)는, 와이어(501)를 카테터(22) 내로 후퇴시켜 전달 구성을 재개할 수 있도록, 당겨지거나 인출될 수 있다.
와이어 포트(503)는 바늘 포트(28)에 대해 원위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와이어 포트(503)는 바늘 포트(28)에 근접하여, 또는 바늘 포트(28)와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위치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단일 와이어(501)가 도시되어 있지만, 도 4a-4d를 참조하여 기술된 고정 메커니즘(400)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 복수의 코일링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고정 메커니즘(400)에서와 같이, 와이어(501)(또는 와이어(501)의 적어도 코일링된 부분(502))는 접촉하는 혈관 벽부를 손상시킬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한 재료로 코팅될 수 있다.
도 6a-6c는 제3 예시적인 고정 메커니즘(600)을 도시한다. 고정 메커니즘(60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22)의 원위 부분에서 와이어 포트(604) 밖으로 전진하는 와이어(601)일 수 있다. 고정 메커니즘(600)은 와이어(601)의 원위 단부에 만곡된 엔드캡(602)을 포함한다. 만곡된 엔드캡(602)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 구성에서 와이어 포트(604)를 덮도록 작용한다. 이와 같이, 만곡된 엔드캡(602)은 와이어 포트(604)에서 카테터(22)의 곡률을 대략적으로 따르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와이어(601)가 전달 구성으로부터 전개 구성으로 변화하도록 전진됨에 따라, 와이어(601)의 원위 부분(603)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22)에 대해 각을 이루며 연장된다. 고정 메커니즘(600)은 바늘(34)이 관상정맥동의 벽부(30)를 천공하는 위치로, 카테터(22)의 일부로서 제자리로 가이드될 수 있다. 일단 제위치에 놓이면, 와이어(601)는, 와이어(601)의 원위 부분(603)이 와이어 포트(604) 밖으로 연장되어 관상정맥동의 벽부(30)를 향해 만곡된 엔드캡(602)을 연장시키도록, (예를 들어, 카테터(22)의 근위 단부로부터) 밀리거나 전진된다. 와이어(501)의 계속된 전진은 만곡된 엔드캡(602)을 관상정맥동의 벽부(30)와 접촉시킴으로써,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의 원위 단부를 제자리에 고정시킨다. 만곡된 엔드캡(602)은 관상정맥동의 벽부(30)의 곡률을 대략적으로 따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601)는, 와이어(601)를 카테터(22) 내로 후퇴시켜 전달 구성을 재개할 수 있도록, 당겨지거나 인출될 수 있다. 후퇴될 때, 만곡된 엔드캡(602)은 와이어 포트(604)를 덮도록 복귀하여 전달 구성을 재개할 수 있다.
고정 메커니즘 재료는 니켈 티타늄 합금(예를 들어, 니티놀)과 같은 순응성 와이어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601)는 와이어가 와이어 포트(604) 밖으로 전진될 때 카테터(22)로부터 목표 각도로 연장되도록 형상 설정될 수 있다. 와이어(603)의 원위 단부가 카테터(22)의 길이방향 축에 대해 이루는 각도(θ)는 약 90도 이하일 수 있으며, 이는 적어도 약 10도 및/또는 약 75도 이하, 또는 적어도 약 30도 및/또는 약 60도 이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만곡된 엔드캡(602)은 폴리에테르 블록 아미드(예를 들어, PEBAX®)와 같은, 카테터(22)의 외부 부분의 재료와 유사한 재료로 제조된 패딩을 포함할 수 있다. 만곡된 엔드캡(602)은 더 큰 벽 부착부 영역을 위한 표면적을 제공하도록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와이어 포트(604)는 바늘 포트(28)에 대해 원위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와이어 포트(604)는 바늘 포트(28)에 근접하여, 또는 바늘 포트(28)와 대략적으로 동일하게 위치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단일 와이어(601)가 도시되어 있지만, 도 4a-4d를 참조하여 기술된 고정 메커니즘(400)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 만곡된 엔드캡을 갖는 복수의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각각의 고정 메커니즘(400, 500 및 600)은 형광투시법을 사용하여 시각화되는 것과 같이, 고정 메커니즘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방사선 불투과성인 마커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마커 밴드는 바늘(34) 또는 바늘 포트(28)에 대향하여 바늘(34)이 벽부(30)을 천공하기 위해 바늘을 연장하기 전에 바람직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
특히, 본원에서 사용되는 조건부 언어, 예컨대, "할 수 있다", "할 수 있었다",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등은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또는 달리 사용되는 문맥 내에서 이해되는 한, 일반적으로 특정 실시예는 특정 특징부, 요소 및/또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 반면에, 특정 실시예는 이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부 언어는 일반적으로 특징부, 요소 및/또는 단계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든지 요구된다거나, 이들 특징부, 요소 및/또는 단계가, 작성자의 입력 또는 프롬프트 유무에 따라, 어떠한 특정 실시예에서 포함되든지 수행될 것인지를,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결정하기 위한 논리를 반드시 포함한다는 것을 암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용어 "포함하는", "포함한", "갖는" 등은 동의어이고, 이들의 통상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개방적인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되며, 추가 요소, 특징부, 행위, 작동 등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용어 "또는"은, 예를 들어, 요소 목록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때, 용어 "또는"이 목록 내의 요소 중 하나, 일부 또는 전부를 의미하도록, 그 포괄적 의미로(그 배타적 의미는 아님) 사용된다.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X, Y 및 Z 중 적어도 하나"라는 문구와 같은 접속어는, 일반적으로 항목, 용어, 요소 등이 X, Y 또는 Z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음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맥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이러한 접속어는 일반적으로 특정 실시예가 X 중 적어도 하나, Y 중 적어도 하나, 및 Z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존재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의 설명에서, 다양한 특징부들이 본 개시를 간소화하고 다양한 본 발명의 양태 중 하나 이상의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단일 실시예, 도면 또는 이의 설명에서 함께 그룹화되는 경우가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방법은 임의의 청구범위가 그 청구범위에서 명시적으로 인용되는 것보다 많은 특징부들을 필요로 한다는 의도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원의 특정 실시예에 예시되고/되거나 설명된 임의의 구성요소, 특징부, 또는 단계는 임의의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되거나 이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 특징부, 단계, 또는 구성요소, 특징부들, 또는 단계들의 그룹은 각각의 실시예에 필요하거나 필수 불가결하지 않다. 따라서, 본원에서 개시되고 아래에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특정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되며, 이어지는 청구범위를 공정하게 해석함으로써만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특정 서수 용어(예를 들어, "제1" 또는 "제2")는 참조의 편의를 위해 제공될 수 있고, 반드시 물리적 특성 또는 순서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구조, 구성요소, 동작 등과 같은 요소를 수식하는 데 사용되는 서수 용어(예를 들어, "제1", "제2", "제3" 등)는 임의의 다른 요소에 대한 요소의 우선순위 또는 순서를 반드시 나타내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명칭을 갖는 다른 요소와 그 요소를 구별할 수 있다(그러나 서수 용어의 사용의 경우).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부정관사("a" 및 "an")는 "하나"보다는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조건 또는 이벤트에 기초하여 "기반하여" 수행되는 동작은 또한 명시적으로 인용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다른 조건 또는 이벤트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 포함)는 예시적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것과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 분야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원에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화되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소정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예가 아래에 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주제는 구체적으로 개시된 실시예를 넘어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 및/또는 용도 및 이의 변형 및 균등물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본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청구범위의 범주는 본원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에 기술된 구조, 시스템 및/또는 장치는 통합된 구성요소로서 또는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를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들 실시예의 특정 측면 및 이점이 기술된다. 반드시 이러한 측면 또는 이점 모두가 임의의 특정 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는 본원에서 교시되거나 제안될 수 있는 다른 측면 또는 이점을 반드시 달성하지 않고 본원에서 교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이점 또는 이점의 그룹을 달성하거나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 "외부", "내부", "상부", "하부", "아래", "위", "수직", "수평" 및 유사한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요소 또는 구성요소와 다른 요소 또는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의 용이성을 위해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배향에 더하여 사용 중이거나 작동 중인 장치의 상이한 배향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장치가 뒤집히는 경우, 다른 장치가 "아래" 또는 "밑에" 위치되어 다른 장치가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 "아래"는 하부 및 상부 위치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는 또한 다른 방향으로 배향될 수 있고, 따라서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배향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
달리 명백하게 언급되지 않는 한, "더 적은", "더 많은", "더 큰" 등과 같은 비교 및/또는 정량적 용어는 평등의 개념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더 적은"은 가장 엄격한 수학적 의미에서 "더 적은"뿐만 아니라 "같거나 적은"도 의미할 수 있다.
본원에서 "카테터", "관", "시스", "조향가능 시스", 및/또는 "조향가능 카테터"를 참조하는 것은, 예를 들어 전달 카테터 및/또는 캐뉼라를 포함하는, 심방 또는 관상정맥동 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것과 같이, 기구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내측 루멘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세장형 관형 전달 장치를 일반적으로 지칭하거나 적용할 수 있다.

Claims (35)

  1. 관상정맥동과 좌심방 사이에 션트를 이식하는 데 사용되는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로서, 상기 카테터는:
    전달 구성에서 상기 카테터 내에 수용된 바늘이되, 상기 바늘은 전개 구성에서 혈관 벽부를 천공하기 위해 상기 카테터 밖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바늘;
    바늘 포트이되, 상기 바늘은 상기 바늘 포트를 통해 상기 전달 구성으로부터 상기 전개 구성으로 전이하도록 상기 카테터로부터 연장되는, 바늘 포트;
    상기 전달 구성에서 상기 카테터 내에 수용된 고정 메커니즘이되,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상기 전개 구성에서 상기 카테터로부터 전진되도록 구성된 순응성 와이어를 포함하는, 고정 메커니즘; 및
    와이어 포트이되, 상기 고정 메커니즘의 순응성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포트를 통해 상기 전달 구성으로부터 상기 전개 구성으로 전이하도록 상기 카테터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 포트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고정 메커니즘의 순응성 와이어의 원위 부분은, 상기 순응성 와이어의 코일링된 원위 부분이 상기 혈관 벽부와 접촉하여 상기 바늘이 상기 혈관 벽부를 천공하기 위한 벽 부착부를 제공하도록, 상기 와이어 포트를 빠져나갈 때 코일링되도록 구성되는, 카테터.
  2. 제1에 있어서, 순응성 와이어는 카테터의 근위 단부에서 순응성 와이어의 근위 부분을 밀어냄으로써, 와이어 포트를 통해 카테터 밖으로 전진되도록 구성되는, 카테터.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순응성 와이어는 전달 구성으로 다시 전이하기 위해 카테터 내로 후퇴될 때, 언코일링되도록 구성되는, 카테터.
  4. 제3항에 있어서, 순응성 와이어는 카테터의 근위 단부에서 순응성 와이어의 근위 부분을 당김으로써, 와이어 포트를 통해 카테터 내로 후퇴되도록 구성되는, 카테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순응성 와이어는 카테터의 길이를 따라 이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순응성 와이어는 수술 부위의 외부로부터 고정 메커니즘의 구성요소를 조작함으로써 전진되도록 구성되는, 카테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순응성 와이어는 형상 기억 금속을 포함하는, 카테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순응성 와이어의 원위 단부는 혈관 벽부를 손상시킬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재료로 코팅되는, 카테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와이어 포트는 바늘이 카테터를 빠져나가는 반대 측면 상에서 순응성 와이어가 카테터를 빠져나가도록, 바늘 포트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카테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와이어 포트는 바늘 포트에 대해 카테터를 따라 더 원위에 위치되는, 카테터.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와이어 포트는 바늘 포트에 대해 카테터를 따라 더 근위에 위치되는, 카테터.
  11. 관상정맥동과 좌심방 사이에 션트를 이식하는 데 사용되는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로서, 상기 카테터는:
    전달 구성에서 상기 카테터 내에 수용된 바늘이되, 상기 바늘은 전개 구성에서 혈관 벽부를 천공하기 위해 상기 카테터 밖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바늘;
    바늘 포트이되, 상기 바늘은 상기 바늘 포트를 통해 상기 전달 구성으로부터 상기 전개 구성으로 전이하도록 상기 카테터로부터 연장되는, 바늘 포트;
    상기 전달 구성에서 상기 카테터 내에 수용된 고정 메커니즘이되,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상기 전개 구성에서 상기 카테터로부터 각각 전진되도록 구성된 제1 순응성 와이어 및 제2 순응성 와이어를 포함하는, 고정 메커니즘;
    제1 와이어 포트이되, 상기 고정 메커니즘의 제1 순응성 와이어는 상기 제1 와이어 포트를 통해 상기 전달 구성으로부터 상기 전개 구성으로 전이하도록 상기 카테터로부터 연장되는, 제1 와이어 포트; 및
    제2 와이어 포트이되, 상기 고정 메커니즘의 제2 순응성 와이어는 상기 제2 와이어 포트를 통해 상기 전달 구성으로부터 상기 전개 구성으로 전이하도록 상기 카테터로부터 연장되는, 제2 와이어 포트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1 순응성 와이어의 원위 부분 및 상기 제2 순응성 와이어의 원위 부분은, 상기 혈관 벽부와 접촉하여 상기 바늘이 상기 혈관 벽부를 천공하기 위한 벽 부착부를 제공하는, 카테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 순응성 와이어 및 제2 순응성 와이어는 전개 구성에서 카테터 밖으로 연장될 때, 카테터로부터 멀어지며 만곡되도록 각각 형성 설정되는, 카테터.
  13. 제11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테터의 단면에서, 바늘 포트와 2개의 와이어 포트 각각 사이의 방위각은 적어도 90도 내지 180도 미만인, 카테터.
  14. 제11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테터의 단면에서, 바늘 포트와 2개의 와이어 포트 각각 사이의 방위각은 적어도 120도인, 카테터.
  15. 제11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테터의 단면에서, 바늘 포트와 2개의 와이어 포트 각각 사이의 방위각은 120도 이하인, 카테터.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순응성 와이어 및 제2 순응성 와이어 각각은 카테터의 길이를 따라 이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제1 순응성 와이어 및 제2 순응성 와이어 각각은 수술 부위의 외부로부터 고정 메커니즘의 구성요소를 조작함으로써 전진되도록 구성되는, 카테터.
  17. 제1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순응성 와이어 및 제2 순응성 와이어는 각각 형상 기억 금속을 포함하는, 카테터.
  18. 제1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순응성 와이어 각각의 원위 단부는 혈관 벽부를 손상시킬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재료로 코팅되는, 카테터.
  19. 제11항 또는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순응성 와이어 및 제2 순응성 와이어는 전달 구성으로 다시 전이하기 위해 카테터 내로 후퇴되도록 각각 구성되는, 카테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제1 순응성 와이어 및 제2 순응성 와이어는 카테터의 근위 단부에서 제1 순응성 와이어 및 제2 순응성 와이어 각각의 근위 부분을 당김으로써 제1 와이어 포트 및 제2 와이어 포트를 통해 카테터 내로 각각 후퇴되도록 구성되는, 카테터.
  21. 제1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와이어 포트 및 제2 와이어 포트는 각각 바늘 포트에 대해 카테터를 따라 더 원위에 위치되는, 카테터.
  22. 제1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와이어 포트 및 제2 와이어 포트는 각각 바늘 포트에 대해 카테터를 따라 더 근위에 위치되는, 카테터.
  23. 관상정맥동과 좌심방 사이에 션트를 이식하는 데 사용되는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로서, 상기 카테터는:
    전달 구성에서 상기 카테터 내에 수용된 바늘이되, 상기 바늘은 전개 구성에서 혈관 벽부를 천공하기 위해 상기 카테터 밖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바늘;
    바늘 포트이되, 상기 바늘은 상기 바늘 포트를 통해 상기 전달 구성으로부터 상기 전개 구성으로 전이하도록 상기 카테터로부터 연장되는, 바늘 포트;
    상기 전달 구성에서 상기 카테터 내에 수용된 고정 메커니즘이되, 상기 고정 메커니즘은 상기 전개 구성에서 상기 카테터로부터 전진되도록 구성된 순응성 와이어를 포함하는, 고정 메커니즘; 및
    와이어 포트이되, 상기 고정 메커니즘의 순응성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포트를 통해 상기 전달 구성으로부터 상기 전개 구성으로 전이하도록 상기 카테터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 포트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순응성 와이어는 상기 순응성 와이어의 원위 단부에 만곡된 엔드캡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순응성 와이어의 만곡된 엔드캡은 상기 혈관 벽부와 접촉하여 상기 바늘이 상기 혈관 벽부를 천공하기 위한 벽 부착부를 제공하는, 카테터.
  24. 제23항에 있어서, 순응성 와이어는 출구 각도로 카테터를 빠져나가도록 형상 설정되는, 카테터.
  25. 제23항 또는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곡형 엔드캡은 전달 구성에서 와이어 포트를 덮도록 구성되는, 카테터.
  26. 제23항 또는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곡된 엔드캡은 혈관 벽부의 윤곽을 따르도록 구성되는, 카테터.
  27. 제23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순응성 와이어는 카테터의 근위 단부에서 순응성 와이어의 근위 부분을 밀어냄으로써, 와이어 포트를 통해 카테터 밖으로 전진되도록 구성되는, 카테터.
  28. 제23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곡된 엔드캡은 전달 구성으로 다시 전이하기 위해 카테터 내로 후퇴될 때, 와이어 포트를 덮도록 구성되는, 카테터.
  29. 제28항에 있어서, 순응성 와이어는 카테터의 근위 단부에서 순응성 와이어의 근위 부분을 당김으로써, 와이어 포트를 통해 카테터 내로 후퇴되도록 구성되는, 카테터.
  30. 제23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순응성 와이어는 카테터의 길이를 따라 이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순응성 와이어는 수술 부위의 외부로부터 고정 메커니즘의 구성요소를 조작함으로써 전진되도록 구성되는, 카테터.
  31. 제23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순응성 와이어는 형상 기억 금속을 포함하는, 카테터.
  32. 제23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만곡된 엔드캡은 혈관 벽부를 손상시킬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재료로 코팅되는, 카테터.
  33. 제23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와이어 포트는 바늘이 카테터를 빠져나가는 반대 측면 상에서 순응성 와이어가 카테터를 빠져나가도록, 바늘 포트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카테터.
  34. 제23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와이어 포트는 바늘 포트에 대해 카테터를 따라 더 원위에 위치되는, 카테터.
  35. 제23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와이어 포트는 바늘 포트에 대해 카테터를 따라 더 근위에 위치되는, 카테터.

KR1020237041562A 2021-05-21 2022-05-20 기계적 해제 아암을 사용하는 관상정맥동에서의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의 고정 KR202400117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91419P 2021-05-21 2021-05-21
US63/191,419 2021-05-21
PCT/US2022/030195 WO2022246158A1 (en) 2021-05-21 2022-05-20 Securing a guidewire delivery catheter in the coronary sinus using a mechanically releasing a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723A true KR20240011723A (ko) 2024-01-26

Family

ID=82019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1562A KR20240011723A (ko) 2021-05-21 2022-05-20 기계적 해제 아암을 사용하는 관상정맥동에서의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의 고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40081797A1 (ko)
EP (1) EP4340757A1 (ko)
JP (1) JP2024519101A (ko)
KR (1) KR20240011723A (ko)
CN (2) CN217723817U (ko)
AU (1) AU2022275961A1 (ko)
CA (1) CA3219621A1 (ko)
IL (1) IL308303A (ko)
TW (1) TW202304391A (ko)
WO (1) WO2022246158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98041A1 (en) * 2007-04-27 2010-08-05 Christian Steven C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and retention of catheter
US9872981B2 (en) * 2010-09-28 2018-01-23 Biotrace Medical, Inc. Device and method for positioning an electrode in a body cavity
US20130218054A1 (en) * 2010-10-18 2013-08-22 CardioSonic Ltd. Separation device for ultrasound element
US8920449B2 (en) * 2011-06-29 2014-12-30 Cordi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entering a vessel lumen
US10426497B2 (en) * 2015-07-24 2019-10-01 Route 92 Medical, Inc. Anchoring delivery system and methods
US9789294B2 (en) * 2015-10-07 2017-10-17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Expandable cardiac shu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275961A1 (en) 2023-11-16
IL308303A (en) 2024-01-01
WO2022246158A1 (en) 2022-11-24
CN217723817U (zh) 2022-11-04
EP4340757A1 (en) 2024-03-27
US20240081797A1 (en) 2024-03-14
CN115363821A (zh) 2022-11-22
CA3219621A1 (en) 2022-11-24
JP2024519101A (ja) 2024-05-08
TW202304391A (zh) 202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42285A1 (en) Pressure sensor, anchor,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20150238729A1 (en) Cardiac Access Catheter, System, and Method
JP6623182B2 (ja) 血管を再成形するため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US111543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tal punch
US20220202443A1 (en) Transcatheter puncture needle system
US20220273279A1 (en) Transcatheter medical implant delivery
KR20240011723A (ko) 기계적 해제 아암을 사용하는 관상정맥동에서의 가이드와이어 전달 카테터의 고정
US20240050717A1 (en) Securing a guidewire delivery catheter in the coronary sinus using material or advancement mechanisms
US20230338028A1 (en) Flexible shunt implants
US20180028206A1 (en) Multi-Lumen Catheter for Cardiac Device Deployment
WO2019075354A1 (en) MULTI-LIGHT CATHETER FOR DEPLOYING CARDIAC DEVICE
Main et al. Angiographic Vi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