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841A -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841A
KR20240010841A KR1020220088052A KR20220088052A KR20240010841A KR 20240010841 A KR20240010841 A KR 20240010841A KR 1020220088052 A KR1020220088052 A KR 1020220088052A KR 20220088052 A KR20220088052 A KR 20220088052A KR 20240010841 A KR20240010841 A KR 20240010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steam
heat exchanger
mod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태원
이요셉
류병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8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0841A/ko
Priority to PCT/KR2023/010199 priority patent/WO2024019454A1/ko
Publication of KR20240010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6Heat pump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4Condens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45Cleaning or disinfection of machine parts, e.g. of heat exchangers or fil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0Press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8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 D06F2105/40Conditioning or finishing, e.g. control of perfume injection using water or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수용부로 안내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된 공기를 냉각하는 제1열교환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가 구비된 열교환부;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상기 제1열교환기로 배출하는 스팀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스팀노즐은 격벽을 통해 서로 구분되는 제1챔버 및 제2챔버;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상기 제1챔버로 유입시키는 유입홀;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연결하는 연통홀; 상기 제1챔버의 스팀을 상기 제1열교환기로 배출하는 제1챔버 배출구; 상기 제2챔버의 스팀을 상기 제1열교환기로 배출하는 제2챔버 배출구; 및 상기 연통홀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로 대표되는 세탁 가능한 물건(세탁대상)의 세탁, 건조 가능한 물건(건조대상)의 건조, 처리가 필요한 물건의 세탁 및 건조가 가능한 장치의 총칭이다.
건조가 가능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에서 배출된 공기를 드럼으로 안내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 및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된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는 구조였다. 상술한 종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열교환부는 상기 순환유로 내부의 공기를 냉각하도록 냉매관에 연결된 제1열교환기, 및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도록 냉매관에 연결된 제2열교환기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스팀을 발생하도록 구비된 스팀발생기를 상기 열교환부의 작동 시 작동시킴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건조시간의 단축을 도모한 것이 있었다(공개번호 10-2017-0006556). 그러나, 상술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은 스팀발생기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상기 열교환부에 직접 분사하는 방식이 아니라 스팀이 의류가 수용된 공간을 거쳐 상기 열교환부에 전달되는 방식이었다.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상기 열교환부의 위생적 관리를 위해 상기 열교환부로 스팀을 분사하는 것이 있었다. 위생적 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상기 열교환부에 분사되는 스팀은 상기 열교환부의 전체면에 골고루 공급되어야 하므로, 상기 열교환부로 스팀을 직접 분사하는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높은 압력으로 많은 양의 스팀을 열교환부로 공급하는 구조였다.
건조시간의 단축을 위해 상기 열교환부로 공급되는 스팀은 적은 양으로도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반면, 살균 등의 목적으로 상기 열교환부로 공급되는 스팀은 많은 양이 필요하기 때문에 상술한 두 가지 목적을 달성 가능한 하나의 스팀공급방식의 도출이 쉽지 않았다.
본 출원은 열교환부의 효율을 높이는 모드와 열교환부의 위생적 관리를 위한 모드에 따라 스팀 공급량을 조절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열교환부의 효율을 높이는 모드와 열교환부의 위생적 관리를 위한 모드에 따라 스팀 공급량을 조절하고, 상기 열교환부로 스팀을 직접 분사하는 스팀노즐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출원은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수용부로 안내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된 공기를 냉각하는 제1열교환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가 구비된 열교환부;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상기 제1열교환기로 배출하는 스팀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스팀노즐은 격벽을 통해 서로 구분되는 제1챔버 및 제2챔버;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상기 제1챔버로 유입시키는 유입홀;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연결하는 연통홀; 상기 제1챔버의 스팀을 상기 제1열교환기로 배출하는 제1챔버 배출구; 상기 제2챔버의 스팀을 상기 제1열교환기로 배출하는 제2챔버 배출구; 및 상기 연통홀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된 공기의 냉각 및 가열을 위한 제1모드에서는 상기 연통홀이 폐쇄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생관리를 위한 제2모드에서는 상기 연통홀이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저장바디와 상기 유입구를 연결하는 노즐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모드에서의 스팀공급량이 상기 제1모드에서의 스팀공급량보다 많아지도록 상기 히터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챔버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챔버의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압력 미만이면 상기 제1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제1챔버의 압력이 상기 기준압력 이상이면 제2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상기 제1챔버의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인 때 상기 연통홀을 개방하는 체크밸브;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된 공기의 냉각 및 가열을 위한 제1모드에서는 상기 체크밸브가 상기 연통홀을 개방하지 않는 양의 스팀이 상기 제1챔버에 공급되도록 상기 스팀발생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생관리를 위한 제2모드에서는 상기 체크밸브가 상기 연통홀을 개방하는 양의 스팀이 상기 제1챔버에 공급되도록 상기 스팀발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저장바디와 상기 유입구를 연결하는 노즐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모드에서의 스팀공급량이 상기 제1모드에서의 스팀공급량보다 많아지도록 상기 히터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 배출구와 상기 제2챔버 배출구는 상기 제1열교환기의 너비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이 상기 제1챔버 배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 내부의 응축수를 상기 제1챔버 배출구로 안내하는 제1경사면; 상기 제2챔버의 바닥면이 상기 제2챔버 배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 내부의 응축수를 상기 제2챔버 배출구로 안내하는 제2경사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응축수를 상기 제1챔버 배출구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 상기 제2챔버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응축수를 상기 제2챔버 배출구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는 상기 제1경사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제2경사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가이드가 오목하게 절곡되어 상기 제1챔버 배출구에 연결된 제1집수홈; 및 상기 제2가이드가 오목하게 절곡되어 상기 제2챔버 배출구에 연결된 제2집수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스팀발생기와 상기 수용부를 연결하는 수용부 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은 열교환부의 효율을 높이는 모드와 열교환부의 위생적 관리를 위한 모드에 따라 스팀 공급량을 조절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출원은 열교환부의 효율을 높이는 모드와 열교환부의 위생적 관리를 위한 모드에 따라 스팀 공급량을 조절하고, 상기 열교환부로 스팀을 직접 분사하는 스팀노즐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1과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열교환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배수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세척부 및 배수탱크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유로제어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스팀발생기 및 스팀노즐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과 도 9는 스팀노즐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스팀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처리대상(의류 등)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17), 상기 수용부(17)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드럼으로 재공급하는 순환유로(2), 상기 순환유로(2)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은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면(11),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면(12),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면(11)에는 의류의 출입을 위한 캐비닛 투입구(111)가 구비되는데, 상기 캐비닛 투입구(111)는 상기 전방면(1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도어(115)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면(11)에는 컨트롤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을 표시하는 표시부(114) 및 사용자가 상기 표시부(114)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선택 가능하게 하는 입력부(11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7)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17)은 전방면과 후방면이 각각 개방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17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17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드럼 바디(171)의 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전방패널(14), 및 상기 드럼 바디(171)의 후방면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후방패널(15)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패널(14)은 상기 전방면(11)이나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는 전방 패널바디(141), 상기 전방 패널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럼 투입구(142), 및 상기 드럼 바디(171) 내부의 공기를 상기 순환유로(2)로 배출하는 드럼 배기홀(143)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투입구(142)는 상기 캐비닛 투입구(111)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15)가 상기 캐비닛 투입구(111)를 개방하면, 사용자는 상기 캐비닛 투입구(111) 및 드럼 투입구(142)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171)로 의류를 투입하거나, 상기 드럼 바디(171)에서 의류를 인출 가능하다.
상기 드럼 바디(171)에서 배출된 공기의 여과를 위해, 상기 드럼 배기홀(143)에는 상기 전방 패널바디(14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방패널(15)은 상기 후방면(12)이나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되는 후방 패널바디(151), 및 상기 후방 패널바디(15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럼 공급홀(15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171)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구동부(18)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상기 구동부(18)는 드럼 모터(181), 및 상기 드럼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드럼 바디(171)의 원주면을 연결하는 벨트(18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바디(171) 내부의 의류를 교반하기 위해, 상기 드럼 바디(171) 내부에는 리프터(17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프터(172)는 상기 드럼 바디(171)의 원주면에서 상기 드럼 바디의 회전중심을 향해 돌출된 판(board)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유로(2)는 상기 드럼 배기홀(143)에 연결된 제1덕트(21), 상기 드럼 공급홀(152)에 연결된 제2덕트(22), 및 상기 제1덕트와 제2덕트를 연결하는 제3덕트(23, 연결덕트)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23)는 상기 베이스(13)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교환부(3)는 상기 순환유로(2)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36),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제습과 가열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히트펌프(31, 32, 33, 34, 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36)은 상기 순환유로(2) 내부에 위치하는 팬 임펠러(361), 및 상기 순환유로(2)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팬 임펠러(361)를 회전시키는 팬 모터(36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트펌프는 냉매가 순환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냉매관(33), 냉매가 상기 냉매관(33)를 따라 이동하게 하는 압축기(34), 상기 냉매관(33)에 고정되어 상기 연결덕트(23)로 유입된 공기의 열을 냉매로 전달하는 제1열교환기(31), 상기 냉매관(33)에 고정되어 냉매의 열을 상기 제1열교환기(31)를 통과한 공기에 전달하는 제2열교환기(32), 및 상기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밸브(3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23)는 상기 베이스(13)에 고정된 덕트 바디(231), 상기 덕트 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덕트 커버(23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덕트 바디(231)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31)가 장착되는 제1장착부(233), 상기 제2열교환기(32)가 장착되는 제2장착부(234), 및 상기 팬 임펠러(361)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제3장착부(235, 팬 장착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덕트(23)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31)를 통과하면서 응축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32)를 통과하면서 가열되며, 상기 제2덕트(22) 및 드럼 공급홀(152)을 통해 상기 드럼 바디(171)로 이동한다.
상기 베이스(13)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31)를 통과하는 공기의 응축 시 발생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저장부(61, 제1집수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저장부(61)가 상기 연결덕트(23)의 외부에 위치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이 경우 상기 저장부(61)와 연결덕트(23)는 덕트 배수홀(239)을 통해 서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31)에서 상기 제1장착부(233)의 바닥면으로 낙하하는 응축수가 상기 저장부(61)로 자연배수되도록, 상기 저장부(61)의 바닥면은 상기 제1장착부(233)의 바닥면보다 낮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가 상기 제1열교환기(31) 및 제2열교환기(32)와 접촉하는 것을 막고, 상기 제1장착부(233) 내부의 응축수가 상기 저장부(61)로 배출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상기 연결덕트(23)에는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열교환기(31)의 바닥면과 상기 제2열교환기(32)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판(237), 상기 지지판(237)을 상기 연결덕트(23)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시키는 이격판(2371), 및 상기 지지판(237)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응축수가 통과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지지판 관통홀(238)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부(61)에 저장된 응축수는 배수부(63)를 통해 배수탱크(62, 제2집수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수탱크(62)는 상기 저장부(61)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탱크(62)는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응축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로워(621), 및 상기 드로워(621)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드로워 관통홀(62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방면(11)에는 상기 드로워(621)의 출입을 위한 인출구(112)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상기 드로워(621)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탱크 하우징(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63)를 통해 상기 저장부(61)에서 배출된 응축수는 탱크 급수관(728)을 통해 상기 탱크 하우징(16)으로 이동하고, 상기 탱크 급수관(728)에서 배출되는 응축수는 상기 드로워 관통홀(622)을 통해 상기 드로워(621)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응축수가 상기 저장부(61)에서 배수탱크(62)로 이동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저장부(61)에 저장된 응축수를 분사하여 상기 제1열교환기(31)를 세척하는 세척부(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척부(5)는 상기 덕트 커버(232)에 고정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31)로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세척부(5)가 제1세척노즐(51), 제2세척노즐(52), 및 제3세척노즐(53)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3개의 세척노즐은 상기 덕트 커버(232)의 너비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61)에 저장된 응축수는 유로제어부(7)를 통해 상기 세척부(5)로 공급될 수도 있고, 상기 배수탱크(62)로 공급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제어부(7)는 하우징(71) 및 커버(72)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71)과 커버(7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연결덕트(23)의 상부면(덕트 커버, 23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71)과 커버(72)는 서로 결합하여 상기 배수부(63)에서 공급되는 물(응축수)이 저장되는 공간(75)을 형성하며, 상기 하우징(71)에는 상기 공간(75)으로 응축수를 유입시키는 하우징 공급구(711)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72)에는 상기 유로제어부(7)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공급구(721, 722, 723)가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세척부(5)가 3개의 세척노즐(51, 52, 53)로 구비될 경우, 상기 공급구는 제1노즐 공급구(721), 제2노즐 공급구(722), 및 제3노즐 공급구(72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노즐 공급구(721)는 제1급수관(725)을 통해 상기 제1세척노즐(51)에 연결되고, 상기 제2노즐 공급구(722)는 제2급수관(726)을 통해 상기 제2세척노즐(52)에 연결되며, 상기 제3노즐 공급구(723)는 제3급수관(727)을 통해 상기 제3세척노즐(53)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72)에는 상기 유로제어부(7) 내부의 물을 상기 배수탱크(62)로 안내하는 탱크 공급구(724)가 구비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탱크 급수관(728)은 상기 탱크 공급구(724)와 상기 탱크 하우징(16)을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상술한 공급구들(721, 722, 723, 724)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유로제어부(7)에는 밸브(73) 및 상기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밸브모터(7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73)는 상기 유로제어부 내부 공간(75)을 상기 공급구들(721, 722, 723, 724)이 위치된 공간과 상기 하우징 공급구(911)가 위치된 공간으로 분리하는 디스크(731, 밸브바디), 및 상기 디스크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73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크(731)는 상기 하우징(71)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밸브바디 회전축(741)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밸브모터(74)에 의해 상기 밸브바디 회전축(741)이 회전하면 상기 디스크(731)에 구비된 관통홀(732)의 위치가 달라질 것이다.
상기 제1노즐 공급구(721), 상기 제2노즐 공급구(722), 상기 제3노즐 공급구(723), 및 상기 탱크 공급구(724)는 상기 밸브모터(74)에 의한 상기 관통홀(732)의 회전 경로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밸브모터(74)를 통해 상기 관통홀(732)의 위치를 제어하면, 4개의 공급구들 중 원하는 공급구만의 개방이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부(63)는 상기 저장부(61)의 응축수를 배수하는 배수펌프(631), 상기 배수펌프(631)와 상기 하우징 공급구(711)를 연결하는 배수관(63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부(63)가 작동하면, 상기 저장부(61) 내부의 응축수는 배수관(632)을 통해 상기 유로제어부(7)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상기 관통홀(732)이 3개의 노즐 공급구들(721, 722, 723)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면, 상기 유로제어부(7) 내부의 응축수는 개방된 공급구에 연결된 세척노즐을 통해 상기 제1열교환기(31)에 분사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제1열교환기의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배수부(63)가 작동하는 상황에서 상기 관통홀(732)이 상기 탱크 공급구(724)를 개방하면, 상기 저장부(61)의 응축수는 상기 탱크 급수관(728)을 통해 상기 배수탱크(62)로 이동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탱크 하우징(16)은 회수관(633)을 통해 상기 저장부(61)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배수탱크(62)에서 넘친 응축수는 상기 회수관(633)을 통해 상기 저장부(61)로 회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스팀발생기(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8)는 상기 열교환부(3)만으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열교환부(3) 및 상기 드럼(17)으로 스팀을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는 후자의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스팀발생기(8)는 노즐 공급관(85, 제1공급관)을 통해 상기 열교환부(3)로 스팀을 공급하고, 수용부 공급관(86, 제2공급관)을 통해 상기 드럼(17)으로 스팀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방패널(14)에는 상기 수용부 공급관(86)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상기 드럼 바디(717) 내부로 유입시키는 스팀공급홀(144)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발생기(81)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바디(81), 및 상기 저장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가열하는 히터(8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바디(81) 내부의 스팀은 분지관(83)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노즐 공급관(85)은 상기 분지관(83)의 제1배출구에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 공급관(86)은 상기 분지관(83)의 제2배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지관(83)의 두 배출구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분지관(83) 내부에는 유로밸브(8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 공급관(85)은 상기 연결덕트(23)의 상부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31)에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노즐(9)에 연결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노즐(9)은 상기 덕트 커버(232)의 장착홀(236)에 위치하는 챔버바디(91), 상기 장착홀(236)과 상기 챔버바디(91) 사이의 공간으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바디(9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챔버바디(91)는 상기 실링바디(92)에 안착되는 제1바디(91a),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어 제1바디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2바디(91b)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바디(91a)는 상부면이 개방된 형상 육면체 등의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바디(91b)는 상기 제1바디의 개방면을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바디(91) 내부에는 격벽(W)을 통해 서로 구분되는 제1챔버(C1) 및 제2챔버(C2)가 구비된다. 상기 격벽(W)은 상기 제1바디(91a)와 제2바디(91b)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바디(91a)와 제2바디(91b)의 결합 시 상기 챔버바디(91) 내부를 구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바디(91b)에는 상기 노즐공급관(85)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상기 제1챔버(C1)로 유입시키는 유입홀(918)이 구비된다. 상기 제1바디(91a)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챔버(C1)의 스팀을 배출하는 제1챔버 배출구(911), 및 상기 제2챔버(C2)의 스팀을 배출하는 제2챔버 배출구(915)가 구비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링바디(92)는 상기 장착홀(236)을 폐쇄하는 판(board)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실링바디(92)에는 제1관통홀(921)과 제2관통홀(922)가 구비된다.
상기 제1관통홀(921)에는 상기 제1챔버 배출구(911)에 연결된 제1배출관(912)이 삽입되고, 상기 제2관통홀(922)에는 상기 제2챔버 배출구(915)에 연결된 제2배출관(916)이 삽입된다.
상기 제1배출관(912)과 제2배출관(916)은 상기 덕트 커버(232)의 너비방향(X축 방향, 제1열교환기의 너비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관들(912, 916)을 통해 배출되는 스팀이 상기 제1열교환기(31)에 골고루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노즐(9)은 상기 열교환기(31)의 상단보다 높은 지점 중, 상기 제1덕트(21)와 상기 제1열교환기(31)의 전방면 사이에 위치된 지점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배출관(912)과 제2배출관(916)은 상기 제1열교환기(31)의 전방면을 향해 경사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노즐(9)에는 상기 격벽(W)을 관통하여 상기 제1챔버(C1)와 상기 제2챔버(C2)를 연결하는 연통홀(91c), 및 상기 연통홀(91c)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91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순환유로(2)로 유입된 공기의 냉각 및 가열을 위한 제1모드(열교환부의 효율을 높이는 모드)에서는 상기 연통홀(91c)이 폐쇄되도록 상기 밸브(919)를 제어하고, 상기 열교환부(3)의 위생관리(살균, 탈취 등)를 위한 제2모드에서는 상기 연통홀(91c)이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919)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8)에서 공급되는 스팀의 양을 늘리면, 상기 제2모드는 상기 제1열교환기(31)의 살균을 위한 모드, 상기 제2열교환기(32)의 살균을 위한 모드, 및 상기 두 열교환기들의 살균을 위한 모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모드에서의 스팀공급량이 상기 제1모드에서의 스팀공급량보다 많아지도록 상기 히터(82)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모드에서는 상기 열교환부의 압축기(34) 및 팬(36), 상기 드럼의 구동부(18)가 작동 중에 있기 때문에, 상기 스팀발생기의 히터(82) 출력을 높이면 차단기의 용량 초과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의 작동 중단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모드에서 상기 스팀발생기(8)는 적은 양의 스팀을 상기 스팀노즐(9)에 공급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밸브(919)는 상기 스팀노즐(9)의 두 배출구들 중 제1배출구(911)로만 스팀이 배출되도록 상기 연통홀(91a)을 폐쇄함이 바람직하다. 적은 양의 스팀을 다수의 배출구들을 통해 분사하면, 각 배출구로 이동하는 동안 열손실이 커 상기 제1열교환기(31)로 적정온도, 적정량의 스팀을 공급하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2모드에서 상기 스팀발생기(8)는 상기 제1모드보다 많은 양의 스팀을 상기 스팀노즐(9)에 공급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밸브(919)는 상기 스팀노즐(9)의 두 배출구들(911, 915) 모두 스팀을 배출하도록 상기 연통홀(91c)을 개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열교환기(31)나 제2열교환기(32)의 살균이나 탈취를 위해서는 상기 제2모드가 많은 양의 스팀을 열교환기들에 골고루 공급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상기 스팀노즐(9)에는 상기 제1챔버(C1)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9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챔버(C1) 내부의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인 때 상기 연통홀(91c)이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919)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팀발생기(8)에서 공급되는 스팀의 양이 적으면(제1챔버의 압력이 기준압력보다 낮으면) 상기 제어부는 제1모드로 판단하여 상기 연통홀(91c)을 개방하지 않고,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공급되는 스팀의 양이 많으면(제1챔버의 압력이 기준압력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는 제2모드로 판단하여 상기 연통홀(91c)을 개방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 밸브(919)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연통홀(91c)의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지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팀노즐(9)에 구비된 밸브(919)는 체크밸브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0의 체크밸브는 상기 제1챔버(C1)의 압력이 상기 기준압력 이상인 때 상기 연통홀(91c)을 개방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모드(도 10 (a))에서는 상기 체크밸브가 상기 연통홀(91c)을 개방하지 않는 양의 스팀이 상기 제1챔버(C1)에 공급되도록 상기 스팀발생기(8)를 제어하고, 상기 제2모드(도 10 (b))에서는 상기 체크밸브가 상기 연통홀(91c)을 개방하는 양의 스팀이 상기 제1챔버(C1)에 공급되도록 상기 스팀발생기(8)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조의 스팀노즐(9)은 상기 제1챔버(C1)와 제2챔버(C2)에 스팀의 냉각에 따른 응축수가 잔류할 수 있다. 각 챔버(C1, C2) 내부의 응축수 배출을 위해, 상기 제1챔버(C1)의 바닥면에는 제1경사면(913)이 구비되고, 상기 제2챔버(C2)의 바닥면에는 제2경사면(91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면(913)은 상기 제1챔버(C1)의 바닥면이 상기 제1챔버 배출구(911)를 향해 하향 경사진 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경사면(917)은 상기 제2챔버(C2)의 바닥면이 상기 제2챔버 배출구(915)를 향해 하향 경사진 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챔버(C1)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경사면(913)을 따라 이동하는 응축수를 상기 제1챔버 배출구(911)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914)가 구비되고, 상기 제2챔버(C2)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2경사면(917)을 따라 이동하는 응축수를 상기 제2챔버 배출구(915)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9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914)는 상기 제1경사면(913)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918)는 상기 제2경사면(917)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각 가이드(914, 918)에 저장된 응축수가 각 챔버 배출구(911, 915)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상기 제1가이드(914)에는 상기 제1챔버 배출구(911)에 연결된 제1집수홈(914a)이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918)에는 상기 제2챔버 배출구(915)에 연결된 제2집수홈(918a)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의류처리장치의 구조 및 제어방법은 본 출원의 일례를 설명한 것이므로, 본 출원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구조 및 제어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전방면
12: 후방면 13: 베이스 14: 전방패널
141: 전방패널바디 142: 드럼 투입구 143: 드럼 배기홀
144:스팀 공급홀 15: 후방패널 16: 탱크 하우징
17: 드럼 18: 구동부 2: 순환유로
21: 제1덕트 22: 제2덕트 23: 연결덕트
236: 장착홀 237: 지지판 239: 덕트 배수홀
3: 열교환부 31: 제1열교환기 32: 제2열교환기
33: 냉매관 34: 압축기 35: 조절밸브
36: 팬 5: 세척부 51: 제1세척노즐
52: 제2세척노즐 53: 제3세척노즐 61: 저장부
62: 배수탱크 63: 배수부 631: 배수펌프
632: 배수관 633: 회수관 7: 유로제어부
71: 하우징 711: 하우징 공급구 72: 커버
721: 제1노즐 공급구 722: 제2노즐 공급구 723: 제3노즐 공급구
724: 탱크 공급구 728: 탱크 급수관 73: 밸브
74: 밸브모터 8: 스팀발생기 81: 저장바디
82: 히터 83: 분지관 84: 유로밸브
85: 노즐공급관 86: 수용부 공급관 9: 스팀노즐
91: 챔버바디 91a: 제1바디 911: 제1챔버 배출구
912: 제1배출관 913: 제1경사면 914: 제1가이드
914a: 제1집수홈 915: 제2챔버 배출구 916: 제2배출관
917: 제2경사면 918: 제2가이드 918a: 제2집수홈
91b: 제2바디 918: 유입홀 91c: 연통홀
919: 밸브 92: 실링바디 921: 제1관통홀
922: 제2관통홀 93: 압력감지부 C1: 제1챔버
C2: 제2챔버 W: 격벽

Claims (13)

  1.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에서 배출된 공기를 상기 수용부로 안내하는 순환유로;
    상기 순환유로를 따라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된 공기를 냉각하는 제1열교환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하는 제2열교환기가 구비된 열교환부;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상기 제1열교환기로 배출하는 스팀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스팀노즐은
    격벽을 통해 서로 구분되는 제1챔버 및 제2챔버;
    상기 스팀발생기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상기 제1챔버로 유입시키는 유입홀;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연결하는 연통홀;
    상기 제1챔버의 스팀을 상기 제1열교환기로 배출하는 제1챔버 배출구;
    상기 제2챔버의 스팀을 상기 제1열교환기로 배출하는 제2챔버 배출구; 및
    상기 연통홀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된 공기의 냉각 및 가열을 위한 제1모드에서는 상기 연통홀이 폐쇄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생관리를 위한 제2모드에서는 상기 연통홀이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기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저장바디와 상기 유입구를 연결하는 노즐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모드에서의 스팀공급량이 상기 제1모드에서의 스팀공급량보다 많아지도록 상기 히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챔버의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압력 미만이면 상기 제1모드로 판단하고, 상기 제1챔버의 압력이 상기 기준압력 이상이면 제2모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제1챔버의 압력이 기 설정된 기준압력 이상인 때 상기 연통홀을 개방하는 체크밸브;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된 공기의 냉각 및 가열을 위한 제1모드에서는 상기 체크밸브가 상기 연통홀을 개방하지 않는 양의 스팀이 상기 제1챔버에 공급되도록 상기 스팀발생기를 제어하고,
    상기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위생관리를 위한 제2모드에서는 상기 체크밸브가 상기 연통홀을 개방하는 양의 스팀이 상기 제1챔버에 공급되도록 상기 스팀발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기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바디, 상기 저장바디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저장바디와 상기 유입구를 연결하는 노즐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모드에서의 스팀공급량이 상기 제1모드에서의 스팀공급량보다 많아지도록 상기 히터의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 배출구와 상기 제2챔버 배출구는 상기 제1열교환기의 너비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이 상기 제1챔버 배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 내부의 응축수를 상기 제1챔버 배출구로 안내하는 제1경사면;
    상기 제2챔버의 바닥면이 상기 제2챔버 배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2챔버 내부의 응축수를 상기 제2챔버 배출구로 안내하는 제2경사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응축수를 상기 제1챔버 배출구로 안내하는 제1가이드;
    상기 제2챔버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응축수를 상기 제2챔버 배출구로 안내하는 제2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는 상기 제1경사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는 상기 제2경사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가 오목하게 절곡되어 상기 제1챔버 배출구에 연결된 제1집수홈; 및
    상기 제2가이드가 오목하게 절곡되어 상기 제2챔버 배출구에 연결된 제2집수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기와 상기 수용부를 연결하는 수용부 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20088052A 2022-07-18 2022-07-18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4001084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052A KR20240010841A (ko) 2022-07-18 2022-07-18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23/010199 WO2024019454A1 (ko) 2022-07-18 2023-07-17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052A KR20240010841A (ko) 2022-07-18 2022-07-18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841A true KR20240010841A (ko) 2024-01-25

Family

ID=8961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052A KR20240010841A (ko) 2022-07-18 2022-07-18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10841A (ko)
WO (1) WO2024019454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45197B2 (en) * 2005-05-31 2010-12-07 Leonard Automatics, Inc. Triple pass tunnel finisher with an articulated spraying function
KR101597108B1 (ko) * 2014-12-19 2016-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210106263A (ko) * 2020-02-20 2021-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114092A (ko) * 2020-03-09 2021-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83448B1 (ko) * 2020-11-11 2022-12-30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9454A1 (ko)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58603C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005681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EP3034680B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141463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587360B1 (ko) 건조 장치
KR100774208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100774206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018014A (ko) 식기세척기
KR20210121898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40010841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090069756A (ko) 의류처리장치
KR100595237B1 (ko) 열풍공급선반이 구비된 복합식 건조장치
US2022038096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601188B1 (ko) 식기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20161115A (ko) 의류처리장치
US20220380965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0595238B1 (ko) 복합식 건조장치의 선반구조
KR20230147026A (ko) 의류처리장치
CN115404635A (zh) 衣物处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