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075A -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075A
KR20240010075A KR1020240004746A KR20240004746A KR20240010075A KR 20240010075 A KR20240010075 A KR 20240010075A KR 1020240004746 A KR1020240004746 A KR 1020240004746A KR 20240004746 A KR20240004746 A KR 20240004746A KR 20240010075 A KR20240010075 A KR 20240010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cable
connector assembly
tail portion
groov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04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권
김진모
강민구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비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비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비씨에스
Publication of KR20240010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07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nchoring or fixing the fibre within the ferrule
    • G02B6/3858Clamping, i.e. with only elastic deform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통신장치에 광케이블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상기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광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전방부에 제공되며, 상기 광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전기장치의 터미널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상기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상기 헤드부의 후방부에 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광케이블을 수용하면서 붙잡도록 구성되는 테일부; 및 상기 헤드부 및 테일부에 제공되며, 상기 헤드부에 대한 상기 테일부의 상대적인 운동을 기설정된 방향 및 거리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안내 어셈블리로 이루어지는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CONNECTOR ASSEMBLY FOR OPTICAL CABLE}
본 발명은 통신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통신설비에 광케이블을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설비는 전기 설비의 일종으로, 다양한 형태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송신측과 수신측사이에서 통신을 위한 전기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는 모든 장치들, 즉 통신장치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통신 설비에서, 송수신 통신장치들을 서로 연결하며 장거리에 걸친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송매체로서 케이블, 즉 통신 케이블이 사용된다. 통상적인 통신 케이블은 전도체, 대표적으로 금속재질로 제조되어 전기 신호를 양방향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코어 와이어 및 이를 보호하는 피복으로 이루어지나, 이와 같은 통신 케이블은 전기신호, 특히 고주파 전기신호의 전송시 많은 손실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최근에는 통신설비에는 이러한 손실을 저감하도록 구성되는 광케이블이 통신용 케이블로서 적용되어오고 있다.
광케이블은 통상적인 케이블과 유사하게 전기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코어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상기 코어를 순차적으로 감싸면서 보호하는 내부레이어(또는 자켓) 및 외부 피복을 더 포함한다. 코어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많은 경우 다수개의 광섬유들의 번들 및 이를 감싸는 튜브로 이루어진다. 광케이블은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는 빛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신호 및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통상적인 금속코어를 사용하는 통신 케이블과 비교할 때, 손실없이 고속으로 신호를 장거리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며,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케이블에서, 금속재질의 통상적인 코어와 달리 광섬유는 가늘고 긴 형상 및 취성재질로 인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 또는 충격에 의해 쉽게 변형되고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광케이블을 통신설비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연결시키기 위해, 전용의 커넥터가 여러 부품이 조합된 어셈블리 형태로 상기 광케이블에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통신설비의 이동 및 다른 여러가지 요구되는 상황에 대응하도록 상기 통신설비로부터 광케이블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광케이블을 통신설비와 연결 또는 이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커넥터 어셈블리는 광케이블과 결합된 상태로 통신설비에 배치된 소켓에 선택적으로 장착 또는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와 결합되는 통신설비의 부품, 예를 들어 소켓사이에는 일정한 조립공차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넥터 어셈블리는 소켓에 어떠한 저항없이 원활하게 장착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소켓으로 장착되는 동안, 커넥터 어셈블리는 조립공차로 인해 과도한 힘을 받으면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어셈블리는 조립공차를 극복하면서 소켓에 장착되기 위해 과도하게 비틀어지거나 가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품들 및 광케이블은 서로 운동불가하게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이와 같은 장착시 가해지는 과도한 힘 및 변형에 의해, 커넥터 어셈블리내의 취약한 광케이블, 즉 광섬유가 파손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커넥터 어셈블리 자체도 파손될 수 있다. 과도한 힘 및 변형과 이에 의한 파손은 조립공차가 아닌 다른 여러 이유들에 의해서도 커넥터 어셈블리의 장착시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설비에 원활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착시 및 사용중 광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광케이블을 소정의 통신장치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광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헤드부(head); 상기 헤드부의 전방부에 제공되며, 상기 광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전기장치의 터미널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상기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상기 헤드부의 후방부에 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광케이블을 수용하면서 붙잡도록 구성되는 테일부(tail); 및 상기 헤드부 및 테일부에 제공되며, 상기 헤드부에 대한 상기 테일부의 상대적인 운동을 기설정된 방향 및 거리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안내 어셈블리로 이루어지는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어셈블리는 상기 테일부가 상기 헤드부에 대해 소정의 거리로 상기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운동하게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내 어셈블리는: 상기 헤드부에 제공되며 기 설정된 방향들로 연장되는 홈; 및 상기 테일부에 제공되며,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보스(boss)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일부는 이의 내부공간내에 배치되며 상기 광케이블을 붙잡으면서 상기 테일부에 고정되어 상기 광 케이블을 상기 테일부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클램프(clamp)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는 내부 어셈블리로서 플러그를 갖는 헤드부와 이에 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테일부를 포함한다. 또한,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는 이와 같은 테일부의 헤드부에 대한 상대적인 운동을 소정의 방향 및 거리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안내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안내 어셈블리는 장착에 요구되는 힘의 방향 및 크기에 따른 소정의 방향 및 거리로 테일부를 헤드부에 상대적으로 운동하도록 안내하며, 이러한 운동에 의해 커넥터 어셈블리에 가해지는 힘에 의한 변형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안내 어셈블리에 의해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는 요구되는 방향 및 크기의 힘 및 이에 따른 운동을 허용하면서 변형없이 원활하게 통신장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착중 광케이블 및 커넥터 어셈블리 자체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내부 어셈블리, 특히 테일부는 광케이블을 운동하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고정을 위한 다양한 부품 및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따라서, 커넥터 어셈블리의 장착후 사용중에도 외력에 의한 광케이블의 상대적 운동 및 이에 따른 광케이블의 파손도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는 장착 및 사용도중 광케이블 및 그 자신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면서도 현장에서 원활하고 편리한 통신장치와의 조립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광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는 통신장치 및 광 케이블의 안정성 및 신뢰성뿐만 아니라 작업상의 생산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효과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테일부가 헤드부에 상대적으로 운동하기 이전의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테일부가 헤드부에 상대적으로 운동한 이후의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내의 헤드부, 플러그, 및 테일부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안내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안내 어셈블리의 작동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내의 클램프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내의 광케이블, 클램프, 및 라이너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내의 광케이블, 클램프, 및 라이너의 어셈블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예들이 다음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이러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어진다(comprise)",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같은 이유에서, 본 발명은 개시된 발명의 의도된 기술적 목적 및 효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앞선 언급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된 관련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의 조합으로부터도 일부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등이 생략된 조합도 포괄하고 있음도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테일부가 헤드부에 상대적으로 운동하기 이전의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테일부가 헤드부에 상대적으로 운동한 이후의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앞서 언급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이하, 간략하게 "커넥터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성이 다음에서 먼저 설명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예들은 기본적으로 통신을 위한 신호 및 데이터를 통신설비 또는 이를 구성하는 통신장치들 사이에서 전달하는 매체인 통신 케이블중 하나에 해당하는 광케이블(O)에 관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광케이블(O)은 앞서 종래기술에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신호 및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코어(C)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C)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많은 경우 다수개의 광섬유들의 번들 및 이를 감싸는 튜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광섬유를 통해 전달되는 빛을 이용하여 신호 및 데이터를 손실없이 고속으로 장거리에 걸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광케이블(O)은 신호 및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 둘 다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및 수신에 각각 전용되는 두 개의 코어(C)들을 포함할 수 있다(도 5-도 8 참조). 코어(C)의 광섬유는 가해지는 힘 및 변형에 취약한 취성재료로 이루어지므로, 광케이블(O)는 상기 코어(C)를 순차적으로 감싸면서 보호하는 내부레이어(또는 자켓)(미도시) 및 외부 피복(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레이어는 변형 특히 신연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도록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피복(S)은 코어(C)의 보호를 위한 적절한 강도 및 강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큰 탄성적 변형이 가능한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의도된 통신설비(또는 통신장치)에 선택적으로 장착 및 탈착되면서 이와 같은 광케이블(O)을 상기 통신설비(또는 통신장치)에 연결 또는 분리시키도록 기본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 장치는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의 광케이블(O)과 각각 결합되는 구조 또는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신장치는 외부로 노출되는 소정크기의 소켓과 이러한 소켓내에 배치되며 통신장치내의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통신장치의 소켓에 선택적으로 장착 및 탈착되면서 상기 소켓내의 터미널에 광케이블(O)을 연결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이와 같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예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광케이블(O)을 포함하여 모든 케이블들은 기본적으로 가늘고 긴 선형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케이블의 종류 및 기능등의 변경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실질적인 변형을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설명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예들은 원리(principle) 및 구성(configuration)에 대한 실질적인 변형없이 다른 형태의 통신 케이블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같은 이유로, 신호나 데이터 이외에 다른 전기적 상태량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케이블에도 다음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예들은 실질적인 변형없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예들은 외부의 전원과 전기장치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상기 전기장치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전원 케이블의 연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며, 그와 같은 적용가능성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도 1-도 4에 모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의 전후방에 각각 배치되며 서로 결합되는 헤드부(head)(100) 및 테일부(tail)(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헤드부(100)의 전방부에는 통신 장치(예를 들어, 통신장치의 터미널)에 직접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plug)(2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부(100), 플러그(200) 및 테일부(300)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내부 어셈블리를 형성할 수 있다. 내부 어셈블리는 서로 연결된 하나의 내부공간, 즉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된 통로를 통해 광케이블(O)이 연장되어, 통신장치의 터미널과의 연결을 위해 플러그(2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내부 어셈블리(100-300)를 보호의 목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외부 하우징(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성에서, 테일부(300)는 헤드부(100)에 상대적으로 운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외부 하우징(400)에는 상대적으로 운동할 수 없게 고정될 수 있다. 반면, 헤드부(100)는 외부 하우징(400)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외부 하우징(400)에 대해 상대적인 운동이 가능하게 상기 외부 하우징(400)내에 단순히 수용될 수 있다. 즉, 헤드부(100)는 테일부(300) 및 외부 하우징(400) 둘 다에 대해 상대적으로 운동가능하게 구성되나, 테일부(300) 및 외부 하우징(400)은 헤드부(100)에 대해서만 운동가능하며 서로 운동불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하우징(4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외부 하우징(400)과 테일부(300)는 서로 구속된 상태로 함께 헤드부(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상호 결합구조 및 이에 의한 운동에 의해, 조립공차를 포함한 다양한 환경적 요인들하에서도 커넥터 어셈블리는 과도한 힘이나 변형을 받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통신장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한 구성 및 작동은 해당 구성들에 대한 설명에서 추후 제공된다.
한편, 다음의 커넥터 어셈블리 자체 및 그 구성요소들(100-400)의 설명에서, "전방"은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의 각 구성요소(100-400)가 마주하면서 결합되는 대상장치, 예를 들어 통신장치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를 의미하며, "후방"은 그와 같은 대상장치에 상대적으로 먼 위치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기준위치(즉, 상대적 근접 및 이격)에 상대적인 것으로, 기준위치의 변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의 구성요소들(100-400)의 해당부위에 대한 정의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들(100-400)은 첨부된 도면들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인 구조를 위해 결합되는 다른 구성요소 또는 광케이블(O)을 수용하면서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특별히 반대되는 설명이 없는 경우, 다음에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들(100-400)은 적어도 광케이블(O)을 수용하면서 통과시키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중공 실린더 구조 또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전기적 누설을 방지하도록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들(100-400)은 다음에서 특별히 다른 설명이 없는 경우, 절연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다른 고분자 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절연재질의 내부 어셈블리(100-300)에 의해 전기적 절연이 달성되므로, 강도 및 강성보강을 위해 외부 하우징(400)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들에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들(100-400)은 원형 단면을 가지나 이외에도 다른 형상, 예를 들어 삼각 또는 사각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요소(100-400)는 중공 실린더 구조를 가지므로, 특별히 반대되는 설명이 없는 경우, 이들 구성요소(100-400)에 제공되는 모든 추가적인 부재 및 구조는 이들(100-400)의 외주부 또는 내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거나, 방수 어셈블리의 보다 안정적인 구조 및 원활한 기능달성을 위해 상기 외주부 또는 내주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 또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제하에서, 커넥터 어셈블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커넥터 어셈블리는 통신장치에 근접하게 커넥터 어셈블리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헤드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헤드부(100)의 설명을 위해 기본적인 도 1-도 4에 추가적으로 도 5가 참조되며, 도 5는 본 발명의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내의 헤드부, 플러그 및 테일부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1-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0)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포함하며, 그와 같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중공부재 또는 중공실린더인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부(100)는 형성된 내부공간에 커넥터 어셈블리의 기능수행에 요구되는 다양한 내부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배치로 인해 통신장치의 소켓 및 터미널을 마주하므로, 헤드부(10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광케이블(O)의 연결을 위해, 터미널에 삽입되는 플러그(200)를 이의 전방 끝단부의 공간내에 수용할 수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의 후방에 배치되는 테일부(300)도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헤드부(100)와 결합하므로, 테일부(300)의 일부도 헤드부(100)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정확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부(300)의 전방 끝단부는 부분적으로 헤드부(100)의 후방 끝단부내에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테일부(300)는 헤드부(100)에 대해 운동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이러한 테일부(300)의 상대적인 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탄성부재(130)도 헤드(100)내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200)를 통해 통신장치의 터미널과 연결되도록 광케이블(O)(정확하게는 이의 코어(C))은 테일부(300) 및 헤드부(100)의 내부공간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플러그(200)와 연결되며, 이에 따라 광케이블(O)도 부분적으로 헤드부(100)내에 수용될 수 있다. 헤드부(100)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광케이블(O) 및 이에 연결되는 플러그(200)를 감싸면서 수용하므로, 기본적으로 외부의 충격 및 이물질의 유입으로부터 상기 케이블(O) 및 플러그(200)을 보호하며,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0), 정확하게는 이의 중공형 몸체는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커버(110) 및 상기 하부커버(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이에 결합되는 상부커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및 상부 커버(110,120)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버(120)의 측부에는 결합공을 갖는 플랩(flap)(122)이 제공되며, 하부커버(130)의 측부에는 플랩(122), 정확하게는 이의 결합공에 걸리는 후크(114)가 제공될 수 있다. 커버들(110,12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다수개의 플랩(122) 및 후크(114)이 상기 커버들(110,120)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랩(122) 및 후크(114)에 의해 커버들(110,120)은 필요한 경우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앞서 언급된 부품들, 즉 터미널(200), 테일부(300), 광케이블(O), 탄성부재(130)등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플랩(122) 및 후크(114)의 위치, 갯수등과 같은 세부적 구성은 필요에 따라 도시된 것과 다르게 변화될 수 있으며, 헤드부(100)는 이러한 플랩(122) 및 후크(114)대신에 커버들(110,120)의 분리가능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어떠한 메커니즘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00)는 이의 전방 끝단부내에 형성되며, 플러그(2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포켓(pocket)(1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포켓(111)은 헤드부(100)의 전방끝단부내에 형성되는 벽체(wall) 및 헤드부(100)의 몸체에 의해 소정 크기의 내부공간으로서 형성되며, 이러한 포켓(111)의 내부공간내에 플러그(200)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부(100)는 안정적으로 플러그(200)를 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포켓(111), 즉 이의 벽체의 내면에는 플러그(200)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기에 의해 플러그(200)는 보다 안정적으로 움직이지 않게 헤드부(100)에 붙잡힐 수 있다.
또한, 헤드부(100)는 이의 몸체 내주면상에 형성되는 격벽 또는 스텝(1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격벽(112)은 헤드부(100)의 내부공간을 분할하여, 이의 후방부에 소정크기의 챔버(chamber)(R)을 상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격벽(112)은 그러나 플러그(200)과의 연결을 위해 광케이블(O)(정확하게는, 코어(C))를 통과시키도록 헤드부(100)의 내부공간을 폐쇄하도록 구성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챔버(R)내에 앞서 설명된 탄성부재(130)가 수용되며, 또한 테일부(300)의 일부, 즉 이의 전방끝단부가 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130)는 챔버(R)내에서 헤드부(100)의 일부(즉, 격벽 또는 스텝(112)) 및 헤드부(100)에 결합된 테일부(300)의 일부(즉, 이의 전방 끝단부)사이에 개재되면서 테일부(3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테일부(300)는 헤드부(100)에 고정되지 않고 단순하게 부분적으로 분리되지 않게 수용된 상태이므로, 탄성부재(130)없이도 상기 헤드부(100)에 상대적으로 운동할 수 있다. 그러나, 탄성부재(130)의 추가로 인해, 테일부(300)의 상대적 운동은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보다 원활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힘이 가해졌을 때 테일부(300)는 탄성부재(130)의 탄성적 변형 및 이에 의한 힘을 흡수에 의해 급격하게 운동하는 것이 방지되며, 힘이 제거되면, 탄성부재(130)의 탄성적 복원에 의해 별도로 힘을 가하지 않아도 원 위치로 용이하게 복귀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00)는 이의 후방끝단에 배치되는 리브(rib)(113)을 포함할 수 있다. 리브(113)은 헤드부(100)의 후방끝단의 내주면으로부터 헤드부(100)에 결합된 테일부(300)의 일부, 정확하게는 테일부(300)의 전방 끝단부의 외주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리브(113)는 헤드부(100)와 테일부(300)사이의 간극을 채워 헤드부(100) 후방 끝단을 폐쇄하며, 이에 따라 외부의 이물질이 헤드부(100)와 이에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테일부(300)사이로 상기 헤드부(100)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113)는 구조적으로 높은 강도 및 강성을 갖도록 형성되기 어려우므로, 테일부(300)은 이러한 리브(113)에 직접적으로 걸리거나 맞물리지 않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운동중 테일부(300)에 의해 가해지는 과도한 힘에 의해 리브(113)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본 발명에서 테일부(300)는 이의 상대적 운동을 제어하고 제한하기 위한 목적으로 별도로 제공되는 안내 어셈블리를 통해 헤드부(100)에 맞물리거나 결합되며, 이에 대해서는 안내 어셈블리와 관련하여 추후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또한 헤드부(100)와 함께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의 전방부에 제공되는 플러그(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도 5를 참조하면, 플러그(200)는 실제적으로 헤드부(100)의 전방부에 배치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헤드부(100)의 전방 끝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헤드부(100)는 이의 전방 끝단부내에 포켓(111)을 포함하며, 플러그(200)는 이러한 포켓(111)내에 삽입되어 상기 헤드부(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플러그(200)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후방부로부터 이의 내부공간, 즉 테일부(300) 및 헤드부(100)의 내부를 통해 도달하는 광케이블(O)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통신장치의 터미널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플러그(200)는 터미널과의 결합을 위해 이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며, 이러한 삽입이 가능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0), 즉 이의 포켓(111)에 부분적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헤드부(100)의 외부로 부분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광케이블(O)은 신호 및 데이터 송신 및 수신을 각각 수행하는 별도의 2개의 코어(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넥터 어셈블리는 이러한 2개의 코어(C)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플러그(200)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터미널과의 결합을 통해 플러그(200)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해 지지되면서 광케이블(O)을 의도된 통신장치에 연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의도된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한 쌍의 플러그(200)의 수용을 위해, 헤드부(100)에서 포켓(111)의 벽체는 상기 헤드부(100)내에 이의 양측부들 사이에 배치되며, 이들 양부측들과 함께 한 쌍의 분할된 공간들을 포켓(111)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플러그(200)는 소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몸체(210)와 상기 몸체(210)내에 수용되어 광케이블(O), 정확하게는 이의 코어(C)와 결합되는 핀(220)을 포함할 수 있다. 핀(220)은 금속등과 같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통신장치의 터미널내의 소정부재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면서 통신장치와 광케이블(O)을 신호 및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O)은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광케이블(O)의 유지보수 및 교체를 위해, 통신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플러그(200)는 일차적으로 광케이블(O)에 분리되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되는 반면, 통신장치의 터미널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플러그(200)는 통신장치의 터미널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러그(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몸체(210)에 제공되며 변형되면서 터미널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성되는 탭(tab)(230)을 포함할 수 있다. 탭(230)은 플러그(200), 즉 이의 몸체(210) 및 핀(220)이 터미널에 삽입될 때, 상기 터미널에 의해 상대적으로 변형되면서 이의 내부에 걸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러그(200)는 터미널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탭(230)이 변형되면, 예를 들어, 상기 탭(230)이 눌러지면, 터미널로부터 해제되며, 이에 따라 플러그(200)은 터미널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200)은 터미널에 착탈 가능하게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케이블(O)도 통신장치와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탭(230)과 연계하여, 헤드부(100)는 이의 상부, 즉 상부케이스(120)에 제공되며, 변형되면서 상기 탭(230)을 가압 또는 누르도록 구성되는 푸쉬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푸쉬부재(1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0)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플랩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 쌍의 플러그들(200)의 탭들(230) 둘 다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에 의해 푸쉬부재(121)이 눌러지면, 두개의 탭들(230)이 동시에 눌러질 수 있으며, 한 쌍의 플러그들(200)이 동시에 터미널로부터 용이하게 해제 및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러그(200)는 통신장치의 소켓 및 터미널의 구조에 따라 도시된 것과 다르게 변형가능하다. 또한, 같은 이유로, 플러그(200)는 다른 구조의 광케이블, 다른 종류의 통신 케이블 또는 다른 전기적 상태량을 전달하는 케이블(예를 들어, 전원케이블)에 적합하게 변형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또한 헤드부(100)에 인접하게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테일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부(300)도 헤드부(100)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내부공간을 포함하며, 그와 같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중공부재 또는 중공실린더인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테일부(300)는 형성된 내부공간에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광케이블(O)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테일부(300)는 수용된 광케이블(O)을 견고하게 붙잡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내부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부품들은 추후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또한, 테일부(300)는 헤드부(100)에 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헤드부(100) 및 테일부(300)의 직렬배치를 고려할 때, 테일부(300)의 전방부는 헤드부의 후방부에 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테일부(300)의 전방 끝단부는 부분적으로 헤드부(100)의 후방끝단부내에 운동가능하게 삽입 및 수용된다. 한편, 도시된 것과 다르게, 헤드부(100)의 후방 끝단부가 부분적으로 테일부(300)의 전방 끝단부내에 삽입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테일부(300)의 헤드부(100)에 대한 상대적인 운동이 가능하다.
앞서 종래기술에서도 논의된 바와 같이,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에 결합되는 통신장치의 부품 또는 구조, 예를 들어 소켓사이의 조립공차를 포함한 다양한 원인들로 인해, 커넥터 어셈블리는 장착되는 동안 저항을 받으면서 원활하게 장착될 수 없으며, 힘 및 변형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힘 및 변형이 급격하거나 과도하게 발생되면, 취약한 광케이블(O) 및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품들(예를 들어, 내부 어셈블리(100-300))의 파손이 발생될 수 있으며, 커넥터 어셈블리 및 광케이블(O)이 의도된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장착중 발생되는 기계적 저항에 의해 커넥터 어셈블리가 장착을 위해 과도하고 급격하게 비틀어지거나 통신장치 방향으로 가압되면 이는 광케이블(O) 및 커넥터 어셈블리의 파손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헤드부(100)에 대한 테일부(300)의 운동가능성으로 인해, 이와 같은 파손은 방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장착시 먼저 플러그(200)가 통신장치의 소켓의 터미널에 삽입되므로, 플러그(200) 및 이를 수용하는 헤드부(100)는 통신장치에 구속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장착중 통신장치에 고정된 헤드부(100)에 상대적으로 테일부(300)(및 이에 결합된 외부하우징(400))은 상기 헤드부(100)에 상대적으로 운동하면서 발생되는 힘 및 변형을 흡수할 수 있으며, 과도한 힘 및 변형과 이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일부(300)의 상대적 운동능력에 의해 일차적으로 변형 및 파손없는 원활한 장착이 가능하다. 그러나, 다양한 이유들로 인해, 테일부(300)의 상대적 운동 자체에 의해서도 부분적인 과도한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될 가능성이 존재하며, 의도된 바와 같은 보다 원활한 장착 및 완전한 파손방지를 위해, 테일부(300)의 상대적 운동은 과도하지 않는 적절한 범위내에서 안정적으로 수행 및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헤드부(100)에 대한 테일부(300)의 상대적인 운동을 소정범위로 안내 및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안내 어셈블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다른 한편으로, 이러한 안내 어셈블리는 테일부(300)의 상대적인 운동을 소정범위내로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어떤 부재의 운동은 이의 운동방향 및 운동량(즉, 거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 어셈블리는 테일부(300)의 상대적 운동을 소정의 운동방향 및 운동량(즉, 거리)로 안내하며, 그와 같은 운동방향 및 거리내로 실질적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내 어셈블리가 앞서 참조된 도 1-도 5에 추가적으로 도 6 및 도 7을 더 참조하여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안내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안내 어셈블리의 작동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이다.
안내 어셈블리는 도 6 및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0)(즉, 이의 몸체)에 형성되는 홈(140) 및 테일부(300)(즉, 이의 몸체)에 제공되어 상기 홈(140)에 의해 안내되는 보스(boss)(330)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테일부(300)가 헤드부(100)에 일렬로 배치되어, 상기 테일부(300)의 전방부가 상기 헤드부(100)의 후방부에 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 어셈블리, 즉 홈(140) 및 보스(330)는 이러한 헤드부(100)/테일부(300)의 결합부, 즉 상기 헤드부(100)의 후방부 및 상기 테일부(300)의 전방부에 각각 배치되며, 이에 따라 테일부(300)의 운동을 안내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상기 헤드부(100) 및 테일부(300)를 서로 결합시키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 및 도시된 것과 반대로, 홈(140)이 테일부(300)의 전방부에 제공되며, 보스(330)가 상기 홈(140)에 삽입되게 헤드부(100)의 후방부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의도된 바와 같이, 상대운동의 안내 및 상호 결합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다.
홈(1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330)의 운동 및 이에 따른 테일부(300)의 운동을 의도된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소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홈(140)의 연장방향 및 이의 세부구성은 나중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러한 홈(140)은 원활한 보스(330)의 운동을 위해 헤드부(100)의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홈(140)은 결합된 테일부(300), 즉 이의 보스(330)을 마주하는 헤드부(100)의 내면상에 이를 관통하지 않고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보스(330)의 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보스(330)는 테일부(300)의 전방부의 외주부 또는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게 연장되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보스(330)는 홈(140)에 삽입되어 상기 홈(140)의 내면 또는 내벽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홈(140), 즉 이의 궤적을 따라 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홈(140)에 안내되는 보스(330)의 운동에 의해 헤드부(100)에 상대적인 테일부(300)의 운동이 소정범위, 즉 소정의 운동방향 및 운동량내(거리)에서 안내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부(300)를 헤드부(100)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키면서 동시에 안정적으로 이의 상대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이와 같은 홈(140) 및 보스(330)의 한 쌍(즉, 한 쌍의 안내 어셈블리)이 헤드부(100) 및 테일부(300)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안내 어셈블리는 헤드부(100) 및 테일부(300)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러한 상하부위에 다른 부위들에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보스(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되는 구조로 인해 테일부(300)의 전방에 배치되는 탄성부재(130)에 대한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다. 한편, 테일부(300)는 이의 전방부의 외주부에 소정높이로 돌출되는 전용의 스토퍼(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탄성부재(130)는 헤드부(100)의 스텝(112) 및 테일부(300)의 스토퍼(312)에 각각 걸리며, 테일부(300)의 운동시 스텝(112) 및 스토퍼(312)사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이와 같은 운동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안정적으로 탄성부재(130)에 걸리도록 도 5 및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스토퍼들(312)가 동일한 원주상에 소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스(330)과 스토퍼(3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부(300)의 외주부상의 동일 원주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서로 다른 원주들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보스(330)과 스토퍼(312)가 서로 동일 원주상에 배치되면, 이들은 함께 보다 안정적으로 탄성부재(130)에 걸릴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안내 어셈블리에서 보스(330)가 이에 연결되는 테일부(300) 전체와 함께 홈(140)을 따라 운동하므로, 상기 홈(140)이 실제적으로 테일부(300)의 상대적 운동의 범위, 즉 운동방향 및 거리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범위결정에 있어서, 먼저 운동방향은 홈(140)의 연장방향 또는 배향방향(orientation)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운동량, 즉 운동거리는 홈(140)의 길이 즉, 이의 폐쇄된 양 끝단들 사이의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즉, 보스(330) 및 이에 결합된 테일부(330)은 홈(140)의 연장방향을 따라 배향되면서 홈(140)의 길이에 해당하는 거리만큼만 운동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테일부(330)에 요구되는 운동의 범위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커넥터 어셈블리가 통신장치의 소켓에 장착될 때, 플러그(200)을 소켓의 터미널에 삽입하기 위해 먼저 커넥터 어셈블리는 통신장치쪽으로 밀어붙여질 수 있다. 즉, 커넥터 어셈블리는 이의 길이방향(즉, 중심축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다. 이후, 플러그(200) 및 커넥터 어셈블리의 다른 부위가 터미널 및 소켓에 최종적으로 정확하게 피팅되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커넥터 어셈블리는 비틀어질 수 있다. 즉 커넥터 어셈블리는 이의 원주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에서의 힘에 의한 변형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테일부(300)는 운동방향에 있어서, 커넥터 어셈블리의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즉, 테일부(300)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중심축을 따라 전후로 운동(즉, 가압 및 길이방향 운동)할 필요가 있으며, 커넥터 어셈블리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즉, 비틀림 및 원주방향 운동)할 필요도 있다. 또한, 이러한 운동이 과도하게 허용되어 광케이블(O) 및 커넥터 어셈블리의 변형 및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운동거리도 적절하게 제한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요구되는 운동범위, 즉 운동방향 및 거리를 고려하여, 홈(140)는 헤드부(100)(즉 이의 몸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홈(141) 및 상기 헤드부(100)(즉 이의 몸체)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홈(1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홈(141)은 이의 길이방향으로의 연장 및 배향에 의해 이에 삽입된 보스(330)의 길이방향의 운동을 허용할 수 있으며, 제 2 홈(142)는 이의 원주방향으로의 연장 및 배향에 의해 이에 삽입된 보스(330)의 원주방향의 운동을 허용할 수 있다. 보스(330)는 테일부(300)의 일부로서 상기 테일부(300)와 함께 운동하므로, 결과적으로 제 1 및 제 2 홈(141,142)는 보스(330) 및 테일부(300)가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운동하도록 각각 허용 또는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홈(141,142)의 길이는 과도한 테일부(300)의 운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 어셈블리(140,330)는 가해진 힘에 의해 테일부(300)가 헤드부(100)에 대해 커넥터 어셈블리의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적절한 거리로 운동하게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파손을 방지하면서 원활한 결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안내 어셈블리는 테일부(300)가 커넥터 어셈블리의 중심축을 따라 전후로 운동(길이방향 운동)하고 또한 상기 중심축에 대해 회전(원주방향 운동)하게 안내할 수 있다. 다음에서 설명의 명료함을 위해, 테일부(300)의 운동과 관련해서는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 운동만이 언급되나, 추가적인 설명없이도 이들은 중심축을 따른 전후방향운동 및 중심축에 대한 회전을 함께 의미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홈(141,142)는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 어셈블리는 테일부(300)가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 운동들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안내할 수 있다. 즉, 안내 어셈블리에 의해 테일부(300)가 길이방향으로 운동한 후 바로 원주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안내 어셈블리에 의해 테일부(300)의 길이방향 운동이 연속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의 전환도 가능하다고 설명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홈(141)은 소정 길이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폐쇄된 끝단들(141a,141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홈(141)은 후방끝단(141a) 및 이에 상대적으로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끝단(141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끝단들(141a,141b)는 보스(330)에 걸리면서 보스(330) 및 테일부(300)의 길이방향 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 1 홈(141)을 따라 보스(330) 및 테일부(300)가 길이방향으로 운동중 가해지는 과도한 힘에 의해 급격하게 원주방향으로 운동하면 의도치 않은 변형 및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홈(141)은 보스(330) 및 테일부(300)의 길이방향의 운동을 허용하면서 원주방향으로의 운동은 제한 또는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1 홈(141)은 보스(330) 및 테일부(300)의 길이방향 운동만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홈(141)에서의 원주방향 운동제한을 위해 여러가지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홈(141)은 보스(330)의 직경 또는 폭에 상당하거나 일치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폭들의 설정에 의해 보스(330)는 운동중 제 1 홈(141)의 내벽 또는 내면들에 구속되며 원주방향으로의 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 2 홈(142)은 소정길이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홈(141)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2 홈(142)는 이의 양측부, 정확하게는 헤드부(100) 또는 커넥터 어섬블리 자체의 양측부들에 각각 배치되는 측부끝단들, 즉 좌측 및 우측끝단(142a,142b)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홈(142)은 제 1 홈(141)의 끝단부, 즉 전방 끝단부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연결에 의해, 제 1 홈(141)과 제 2 홈(142)는 이들의 일부를 서로 공유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및 제 2 홈(141,142)는 이들의 일부 내부공간을 연결부로서 공유하게 된다. 또한, 연결에 의해, 제 1 홈(141)의 내부공간을 마주하는 제 2 홈(142)의 내벽 또는 내면의 일부가 제 1 홈(141)의 전방끝단(141b)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즉, 연결부에서의 제 2 홈(142)의 내벽이 제 1 홈(141)의 전방끝단(141b)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홈(141,142)의 연결에 의해, 제 1 홈(141)을 따라 운동하는 보스(330)는 제 2 홈(142)의 내면의 일부인 전방끝단(141b)에 걸리면서 추가적인 길이방향 운동이 제한되며, 계속해서 제 2 홈(142)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된 제 2 홈(142)의 제 1 홈(141)의 전방 끝단부로의 연결은 의도된 바와 같은 제 1 홈(141)에 따른 제한된 거리만큼의 보스(330)/테일부(300)의 길이방향 운동을 허용하면서도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의 연속적인 운동, 즉 길이방향 운동 및 원주방형 운동사이의 연속적인 전환도 또한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우측 또는 좌측방향(또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보스(330) 및 테일부(300)가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양 방향 모두에서 충분한 거리로 운동할 수 있도록 제 2 홈(142)의 중앙부가 제 1 홈(141)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부로부터 양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로 연장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제 1 홈(141)의 끝단(141a,141b)와 유사하게, 제 2 홈(142)의 양측 끝단들(142a,142b)는 보스(330)에 걸리면서 보스(330) 및 테일부(300)의 원주방향 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제 2 홈(142)을 따라 보스(330) 및 테일부(300)가 원주방향으로 운동중 가해지는 과도한 힘에 의해 급격하게 길이방향으로 운동하면 의도치 않은 변형 및 파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홈(142)은 보스(330) 및 테일부(300)의 원주방향의 운동을 허용하면서 길이방향으로의 운동은 제한 또는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 2 홈(142)은 보스(330) 및 테일부(300)의 원주방향 운동만을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홈(142)에서의 길이방향 운동제한을 위해 여러가지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홈(142)은 보스(330)의 직경 또는 폭에 상당하거나 일치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폭들의 설정에 의해 보스(330)는 운동중 제 1 홈(141)의 내벽 또는 내면들에 구속되며 길이방향으로의 운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및 제 2 홈들(141,142)의 세부적인 구성으로 인해, 커넥터 어셈블리가 길이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예를 들어 커넥터 어셈블리가 축방향으로 통신장치쪽으로 밀어 붙어지면, 보스(330) 및 테일부(30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1 홈(141)의 어느 한 끝단, 즉 후방 끝단(141a)에서의 정지상태로부터,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홈(141)의 방향/배향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제 1 홈(141)의 길이에 의해 제한된 거리만큼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후,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어셈블리가 원주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예를 들어 커넥터 어셈블리가 비틀어지면, 보스(330) 및 테일부(300)는 제 1 홈(141)에 연결된 제 2 홈(142)의 방향/배향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제 2 홈(142)의 길이에 의해 제한된 거리만큼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안내 어셈블리는 이와 같은 제 1 홈(141) 및 제 2 홈(142)의 연결에 의해, 테일부(300)가 헤드부(100)에 상대적으로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 운동들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하며, 길이방향운동과 원주방향 운동들사이의 연속적인 전환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 2 홈(142)이 제 1 홈(141)의 전방부에 연결된 상태로 배치되므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홈(142)이 제 1 홈(141)의 전방 끝단부에 연결되므로, 이러한 제 1 및 제 2 홈(141,142)의 배치로 인해, 안내 어셈블리는 테일부(300)가 헤드부(100)에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 운동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커넥터 어셈블리의 장착시 힘은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가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안내 어셈블리에 의해 테일부(300)는 헤드부(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러한 장착작업의 순서 및 이에 따른 힘의 부가순서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운동할 수 있다. 또한,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운동의 연속적인 수행에 의해, 테일부(300)가 의도된 바와 같이 중단없이 운동하면서 커넥터 어셈블리가 원활하게 통신장치의 소켓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 1 홈(141) 및 제 2 홈(142)은 설정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의 보스(330) 및 테일부(300)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정확하게는 그와 같은 다른 방향으로의 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 어셈블리는 헤드부(100)에 대한 테일부(300)의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 운동들을 선택적으로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안내 어셈블리는 헤드부(100)에 대해 테일부(300)가 원주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즉,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중 어느 하나로) 운동하게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안내 어셈블리는 테일부(300)의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중 어느 하나만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선택적인 운동의 허용, 즉 어느 한 방향에서만의 운동허용에 의해, 테일부(300)는 제 1 및 제 2 홈(141,142)에서 설정된 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운동하며, 급격하게 설정된 것과 다른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의도치 않게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7(c)를 참조하면, 보스(330)는 제 1 홈(141)을 거쳐 제 2 홈(142)에 삽입되고 원주방향으로 운동하여, 제 2 홈(142)의 양측 끝단(142a,142b)중 어느 하나에 걸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2 홈(142) 자체는 보스(330)의 길이방향 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고 양측 끝단(142a,142b)는 보스(330)의 원주방향의 추가적인 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므로, 보스(330)은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 둘 다로 운동불가하게 고정되며, 이에 따라 이에 결합된 테일부(300)도 원주 및 길이방향 둘 다로 운동불가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테일부(300)는 헤드부(100)에 락(lock)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 어셈블리는 또한, 테일부(300)를 헤드부(100)에 대해 어떠한 상대운동도 가능하지 않게, 즉 운동불가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락 상태(즉, 잠김상태)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잠김상태는 장착시 가해지는 힘이 커넥터 어셈블리에 그대로 전달되게 허용하므로, 짧은 시간내에 큰 힘을 가하여 커넥터 어셈블리를 완전하게 통신장치의 소켓에 장착시키는 최종적인 장착 및 조립 단계에 유리하다.
한편, 커넥터 어셈블리의 장착된 이후, 광케이블(O)이 커넥터 어셈블리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지 않으면, 광케이블(O)은 사용중 이에 직접 가해지는 힘에 의해 커넥터 어셈블리(예를 들어, 이의 주요 부품들인 헤드부(100) 및 테일부(300))에 상대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운동하거나 원주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즉, 견고하지 못한 결합으로 인해 광케이블(O)은 가해시는 힘에 의해 쉽게 전후방향으로 운동하거나 비틀어질 수 있으며(즉,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러한 운동에 의해 광케이블(O), 정확하게는 이의 취약한 광섬유는 쉽게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테일부(300)는 광케이블(O)을 견고하게 붙잡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목적으로 수용된 광케이블(O)을 견고하게 붙잡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내부부품들을 포함하거나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테일부(300) 및 이의 내부부품들의 세부적인 구성들이 앞서 참조된 도 1-도 7에 추가적으로 도 8-도 10를 더 참조하여 다음에서 설명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내의 클램프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내의 광케이블, 클램프, 및 라이너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및 부분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내의 광케이블, 클램프, 및 라이너의 어셈블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부(300)는, 정확하게는 이의 중공형 몸체는 헤드부(100)에 인접하도록 전방부에 배치되는 제 1 케이스(310) 및 헤드부(100)에 상대적으로 이격되게 후방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케이스(310)에 결합되는 제 2 케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케이스(310)는 테일부(300)의 전방부를 형성하며, 제 2 케이스(320)는 테일부(300)의 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케이스(310)는 헤드부(100)와 마찬가지로 소정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중공형 몸체를 가지며, 형성된 내부공간은 헤드부(100)의 내부공간과 연결되어 광케이블(O)을 통과시키면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케이스(310)는 상대적인 전방배치에 따라, 테일부(300)에서 실제적으로 헤드부(100) 즉, 이의 후방부에 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 1 케이스(310)의 전방부, 정확하게는 이의 전방 끝단부가 헤드부(100)의 후방 끝단내에 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안내 어셈블리인 보스(330)가 이러한 제 1 케이스(310)의 전방부의 외주부상에 스토퍼(312)와 함께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케이스(320)는 제 1 케이스(310)와 마찬가지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중공형 몸체를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은 제 1 케이스(310)의 내부공간과 연결되어 광케이블(O)을 통과시키면서 수용할 수 있다. 제 2 케이스(320)는 이러한 내부공간내에 광케이블(O)을 테일부(300)에 고정시키며, 이에 의해 더 나아가 광케이블(O)을 커넥터 어셈블리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다. 제 2 케이스(320)는 상대적인 후방배치에 따라, 실제적으로 제 1 케이스(310), 즉 이의 후방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320)의 전방부, 정확하게는 이의 전방 끝단부가 제 1 케이스(310)의 후방부, 정확하게는 후방 끝단부를 감싸면서 이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와는 반대로 제 2 케이스(320)의 전방부, 정확하게는 이의 전방 끝단부가 제 1 케이스(310)의 후방부, 정확하게는 후방 끝단부내에 삽입되면서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케이스들(310,320)는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가능한 결합을 위해, 다양한 결합구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체결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케이스(310)는 이의 후방부, 정확하게는 후방 끝단부에 제공되는 제 1 결합부(311)를 가지며, 제 2 케이스(320)는 이의 전방부, 정확하게는 전방 끝단부에 제공되어 제 1 결합부(311)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321)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결합부(311, 32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케이스(310)의 후방 끝단부의 외주부상 및 이를 마주하는 제 2 케이스(320)의 전방끝단부의 내주부상에 각각 배치되며, 서로 체결되는 나사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및 제 2 결합부(311,321)에 의해 제 1 및 제 2 케이스(310,320)는 필요한 경우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부에 수용된 광케이블(O)의 고정부품들 및 다른 부품/구조의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케이스(310,320)는 제 1 및 제 2 결합부(311,321)사이에 개재되는 밀폐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폐재는 고체 상태인 부재, 예를 들어 실링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액체상태의 물질, 예를 들어 에폭시와 같은 유동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밀폐재에 의해 제 1 및 제 2 결합부(311,321)사이의 간극은 채워지며, 이에 따라 외부물질이 테일부(300) 내부공간내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물질에 의한 광케이블(O)의 파손 및 오작동이 사전에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부적 구조하에서, 테일부(300)는 광케이블(O)의 고정부품으로서, 이의 내부공간내에, 정확하게는 제 2 케이스(320)내에 수용되는 라이너(liner)(34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너(340)는 기본적으로 광케이블(O)을 통과시키고 수용하도록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중공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테일부(300), 정확하게는 이의 제 2 케이스(320)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바와 같이, 광케이블(O) 고정을 위한 안정적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테일부(3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운동하지 않도록 테일부(300), 정확하게는 제 2 케이스(320)에 압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에 의해 라이너(340)는 테일부(300)와 일체화 되어 이의 일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이너(340)는 광케이블(O)의 고정목적이외에 테일부(300)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라스틱과 같은 전기적 절연재질로 이루어지는 테일부(300)와 다르게 높은 강도 및 강성을 갖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라이너(340)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중공의 몸체(341)을 가지며, 이러한 몸체(341)내에 기본적으로 광케이블(O)이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라이너(340)는 몸체(341)의 내주부 또는 내주면에 형성되는 격벽(342)를 포함할 수 있다. 격벽(342)은 라이너(340), 상세하게는 몸체(341)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되나, 광케이블(O)의 통과를 위해 라이너(340)의 내부공간을 반경방향으로 폐쇄하도록 형성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격벽(342)은 라이너(340)의 내부공간을 두개의 분리된 격실(compartment), 즉 전방에 배치되는 제 1 셀(cell)(340a) 및 상대적으로 후방에 배치되는 제 2 셀(340b)로 분할할 수 있다. 제 1 셀(340a)은 광케이블(O)을 붙잡도록 구성되는 부품인 클램프(clamp)(35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클램프(350) 및 관련된 제 1 셀(340a)의 구성은 추후 상세하게 설명된다. 한편, 제 2 셀(340b)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개스킷(343)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개스킷(342)은 링 형상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개스킷(342)는 광케이블(O)을 감싸면서 라이너(340), 정확하게는 이의 내주면과 광케이블(O)(즉 이의 외피(S)), 정확하게는 이의 외주면사이에 압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라이너(340) 및 광케이블(O)사이의 공간을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개스킷(342)에 의해 광케이블(O)은 일차적으로 라이너(340), 더 나아가 테일부(300)에 견고하게 붙잡히거나 고정될 수 있으며, 또한 테일부(300)내부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라이너(340)의 몸체(341)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라이너(340)가 제 2 케이스(320)에 고정되도록, 제 2 케이스(320)의 내면에 압입될 수 있다. 즉, 몸체(341)의 외주면은 제 2 케이스(320)의 내주면상에 강제 끼움(forced fiting)될 수 있다. 이러한 강제끼움에 추가적으로, 라이너(340)의 고정을 위해 테일부(300)는 라이너(340)를 운동불가하게 붙잡도록 구성되는 홀더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홀더 메커니즘으로서, 테일부(300) 즉, 제 2 케이스(320)는 이의 내주면에 형성되며, 라이너(340), 즉 몸체(341)의 후방 끝단이 걸리도록 구성되는 스텝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이너(340)는 테일부(300)에 상대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운동하지 않도록 테일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메커니즘은 라이너(340) 즉 몸체(341)의 외주부상에 형성되는 리세스(또는 컷아웃)(345) 및 테일부(300), 정확하게는 제 2 케이스(320)의 몸체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리세스(345)에 삽입되는 돌출부(32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323) 및 리세스(345)는 라이너(340)와 테일부(340)사이의 상대적 운동을 방지하도록 서로 형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대적 운동의 제한을 위해, 라이너(340)와 테일부(340)는 서로 형합하는 외주면 및 내주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돌출부(323)의 외면은 리세스(345)의 내면과 대체적으로 일치하는 외형 또는 외부윤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로 타이트한 면접촉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323) 및 리세스(345)는 서로 완전하게 구속될 수 있으며, 라이너(340) 및 테일부(340)는 서로 어떠한 방향, 예를 들어 길이방향 또는 원주방향(즉, 축중심에 대한 회전)으로 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323)는 상술된 것과 반대로 라이너(34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리세스(345)는 테일부(30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홀더 메커니즘에 의해, 라이너(340)는 테일부(30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이의 일체화된 일부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테일부(300)의 강도 및 강성을 보강하면서도 광케이블(O)을 테일부(3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에 충분한 안정적 지지를 광케이블(O) 및 다른 고정부재(즉, 클램프(35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라이너(340)와 함께 광케이블(O)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테일부(300)는 이의 내부공간, 상세하게는 제 2 케이스(320)의 내부공간내에 배치되는 클램프(35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램프(3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너(340)의 내부공간, 정확하게는 이의 제 1 셀(340)내에 수용될 수 있다. 클램프(350)는 광케이블(O)을 고정시키기 위해 먼저 상기 광케이블(O)을 붙잡도록 기본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클램프(350)는 추후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광케이블(O)을 붙잡은 상태에서 테일부(35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350)는 광케이블(O)을 움직이지 않도록 테일부(300)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클램프(350)는 도 8을 참조하면, 광 케이블(O) 내부에 배치되는 인너 쉘(inner shell)(351)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광케이블(O)에서 실제적으로 신호 및 데이터의 전달은 광섬유를 포함하는 코어(C)에서 수행되며, 내부 레이어 및 피복(C)은 이러한 코어(C)를 보호하기 위해 제공된다. 따라서, 커넥터 어셈블리의 전방 끝단의 플러그(200)에는 코어(C)만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광케이블(O)로부터 코어(C)가 분리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클램프(350), 특히 인너 쉘(351)은 광케이블(C)로부터 코어(C)를 분리 및 보호하는 분리기(separator)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인너 쉘(351)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중공형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몸체내에는 관통홀 또는 통로(351a)이 형성될 수 있다. 광케이블(O)은 이의 끝단부로부터 사전에 피복(C) 및 내부 레이어가 소정 길이만큼 제거되어 코어(C)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준비된다. 인너 쉘(351)은 광케이블(O)의 내부로 소정길이로 삽입되어 코어(C)를 피복(C) 및 내부 레이어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인너 쉘(351)은 광케이블(O)의 피복(C)(및 내부레이어)와 코어(C)사이에 개재되면서 코어(C)만을 이의 내부 관통홀 또는 통로(351a)을 통해 외부로 통과시킨다. 따라서, 인너 쉘(351)은 코어(C)를 피복(C)(및 내부 레이어)로부터 분리하여 외부로 인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노출된 코어(C)는 파손되기 쉬우므로, 인너 쉘(351)은 이러한 노출된 코어(C)의 일부, 특히 피복(S)으로부터 노출되기 시작하는 부위를 감싸면서 보호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수신 및 송신을 전담하는 한 쌍의 코어들(C)이 인너 쉘(351)을 통과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으며, 테일부(300)의 전방부 및 헤드부(100)에는 이러한 노출된 코어(C)만이 연장되어 플러그(2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클램프(350)는 광케이블(O)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아우터 셀(outer shell)(352)을 포함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아우터 셀(352)는 광케이블(O)의 피복(S)의 끝단부를 감싸며 또한 삽입된 인너 쉘(351)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아우터 쉘(352)은 광케이블(O), 즉 피복(S)의 외면에 압착될 수 있다. 압착을 위해 다양한 공구가 사용되어 아우터 쉘(352)을 광케이블(O)의 외면내에 파고들도록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코어(C)를 제외한 나머지 광케이블(O)의 부품들, 즉 피복(S) 및 내부 레이어만이 인너 및 아우터 쉘(351,352)사이에서 눌려지며, 코어(C)는 인터 쉘(351)에 의해 가압되지 않고 보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램프(350)의 인너 및 아우터 셀(351,352)는 이들에 의해 붙잡히는 광케이블(O)의 일부와 함께 라이너(340), 즉 이의 제 1 셀(340a)내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라이너(340)에 의해 인너 및 아우터 셀(351,352)/광케이블(O)의 결합부는 보호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클램프(350)는 코어(C)의 파손을 방지하면서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광케이블(O)을 붙잡을 수 있다.
또한, 클램프(350)는 인너 쉘(351)의 전방부에 제공되는 플랜지(353)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353)는 인너 쉘(351)의 외주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정확하게는 인너 쉘(351)의 광케이블(O), 즉 이의 외피(S)외부로 돌출 및 노출되는 전방부에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랜지(353)는 인너 쉘(351)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테일부(3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353)는 도 9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테일부(300)의 라이너(340)에 결합됨으로써 테일부(30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플랜지(353)는 테일부(300)의 몸체에 직접 결합됨으로써 테일부(3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에 의해 일차적으로 클램프(350)는 광케이블(O)을 테일부(300)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클램프(350)의 다른 부품들과 함께 이러한 플랜지(353)는 테일부(300)에 고정, 즉 운동불가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클램프(350)는 광케이블(O)을 어떠한 상대적 운동도 불가하게 테일부(3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테일부(300)로의 클램프(350)의 운동불가한 결합, 즉 고정을 위해, 테일부(300)는 다양한 형태의 고정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이러한 고정 메커니즘은 라이너(350)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키홈(344) 및 클램프(350)의 플랜지(353)의 외주부상에 제공되며, 상기 키홈(344)내에 삽입되는 키 부재(354)를 포함할 수 있다. 키홈(344)은 키부재(354)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라이너(350)의 몸체(351)의 전방끝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홈(344)은 몸체(351)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다른 한편 관통하지 않고 상기 몸체(351)이 소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키부재(354)는 플랜지(353)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키홈(344)의 전방끝단은 개방될 수 있으며, 개방된 전방끝단을 통해 키 부재(354)는 키홈(344)으로 삽입될 수 있다. 반면, 키홈(344)의 후방 끝단은 키 부재(354)의 지지를 위해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키 홈(344)은 원주방향으로 제한된 길이, 즉 폭을 가지므로, 키 부재(354)는 이러한 키 홈(344)의 내면 또는 내벽에 걸려 원주방향으로의 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300)는 원주방향으로 운동하지 않게 라이너(350)에 결합되며, 라이너(350)가 고정되는 테일부(300)에도 마찬가지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키 홈(344)의 원주향향 길이, 즉 폭은 키 부재(354)의 원주방향 길이, 즉 폭 또는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키 부재(354) 및 클램프(300)의 원주방향 운동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고정 메커니즘은 키부재(354)의 전방부 및 후방부(또는 전면 또는 후면)에 각각 걸리도록 구성되는 테일부(300)의 일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고정 메커니즘은 키부재(354)의 전방부에 걸리는 제 1 케이스(310)의 후방 끝단 및 키부재(354)의 후방부에 걸리는 라이너(340)의 전방끝단, 정확하게는 키홈(344)의 후방끝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제 1 케이스(310)의 후방끝단 및 키홈(344)의 후방끝단은 키부재(354) 뿐만 아니라 플랜지(353)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도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케이스(310)의 후방끝단 및 키홈(344)의 후방끝단에 의해 클램프(350)는 길이방향으로 운동하지 않도록 테일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클램프(350)의 후방끝단, 즉 아우터 쉘(352)의 후방 끝단은 라이너(340)의 격벽(342)에 걸려 길이방향으로의 운동이 제한되므로, 이러한 격벽(342)도 클램프(350)에 대한 고정 메커니즘으로 기능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메커니즘은 라이너(350)의 키홈(344)를 대신하여, 테일부(300), 정확하게는 이의 제 2 케이스(320)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키홈(324) 및 클램프(350)의 플랜지(353)의 외주부상에 제공되며, 상기 키홈(324)내에 삽입되는 키 부재(354)를 포함할 수 있다. 키홈(324)은 제 2 케이스(320)의 몸체의 전방끝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결합부(321)에 배치될 수 있다. 키홈(324)는 제 2 케이스(320)의 몸체, 즉 제 2 결합부(321)의 내면상에 소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제 2 케이스(320)의 몸체(즉, 제 2 결합부(32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키부재(354)는 앞서 설명된 도 9의 고정 메커니즘과 유사하게 플랜지(353)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키홈(324)의 전방끝단은 개방될 수 있으며, 개방된 전방끝단을 통해 키 부재(354)는 키홈(324)으로 삽입될 수 있다. 반면, 키홈(324)의 후방 끝단은 키 부재(354)의 지지를 위해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키 홈(324)은 원주방향으로 제한된 길이, 즉 폭을 가지므로, 키 부재(354)는 이러한 키 홈(324)의 내면 또는 내벽에 걸려 원주방향으로의 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클램프(350)는 원주방향으로 운동하지 않게 테일부(300)의 몸체에 직접 결합되어, 테일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키 홈(324)의 원주향향 길이, 즉 폭은 키 부재(354)의 원주방향 길이, 즉 폭 또는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키 부재(354) 및 클램프(300)의 원주방향 운동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9의 예와 유사하게 도 10의 고정 메커니즘도 키부재(354)의 전방부 및 후방부(또는 전면 또는 후면)에 각각 걸리도록 구성되는 테일부(300)의 일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고정 메커니즘은 키부재(354)의 전방부에 걸리는 제 1 케이스(310)의 후방 끝단 및 키부재(354)의 후방부에 걸리는 라이너(340)의 전방끝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라이너(340)의 전방끝단과 함께 또는 이를 대신하여, 키 홈(324)의 후방 끝단이 키 부재(354)의 후방부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제 1 케이스(310)의 후방끝단 및 라이너(340)의 전방끝단은 키부재(354) 뿐만 아니라 플랜지(353)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도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케이스(310)의 후방끝단 및 라이너(340)의 전방끝단에 의해 클램프(350)는 길이방향으로 운동하지 않도록 테일부(300)에 고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클램프(350)의 후방끝단, 즉 아우터 쉘(352)의 후방 끝단은 라이너(340)의 격벽(342)에 걸려 길이방향으로의 운동이 제한되므로, 이러한 격벽(342)도 클램프(350)에 대한 고정 메커니즘으로 기능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도 9의 고정 메커니즘에서, 라이너(340)(즉, 테일부(300))와 클램프(350)의 보다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한 쌍의 키홈(344) 및 키부재(354)가 서로 대향되게 상기 라이너(340) 및 클램프(350)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같은 이유로, 도 10의 고정 메커니즘도 서로 대향되게 테일부(300) 즉, 제 1 케이스(310) 및 클램프(350)에 각각 제공되는 한 쌍의 키홈(324) 및 키부재(35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메커니즘에 의해, 클램프(350)는 광케이블(O)과 결합되면서 테일부(300)에 운동불가하게 결합, 즉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일부(300)는 광케이블(O)을 운동불가하게 붙잡을 수 있으며, 사용중 광케이블(O)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광케이블(O)이 커넥터 어셈블리에 상대적으로 운동하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이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도 4를 참조하면, 외부 하우징(400)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내부 어셈블리, 즉 헤드부, 테일부, 및 플러그(100-300)를 이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400)은 이들 내부 어셈블리(100-300)을 감싸면서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하우징(400)은 소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중공형 몸체(410)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몸체(410)내의 내부공간에 내부 어셈블리(100-300)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플러그(300)가 실제적인 신호 및 데이터 교환을 위해 통신장치의 터미널에 직접 연결되는 반면, 외부 하우징(400)은 커넥터 어셈블리 전체의 통신장치로의 설치를 위해 통신장치의 해당부품, 예를 들어 소켓에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을 위해, 외부 하우징(400)은 이의 몸체(410) 정학하게는 이의 외주부상에 제공되는 결합부재 또는 체결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420)는 소켓으로의 원활한 장착을 위해 몸체(410)에 운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420)는 소켓 전체와의 균일하고 안정적인 장착을 위해,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몸체, 즉 도시된 바와 같은 링 또는 실린더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재(420)는 소켓에 다양한 결합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나사체결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결합부재(420)의 외주부 또는 내주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되며, 결합부재(420)는 몸체(410)상에서 회전하면서 소켓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나사부에 체결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외부 하우징(400)에는 소켓으로의 장착을 위해 결합부재(420)의 길이방향 운동을 이용하는 결합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으며, 도 1-도 4는 이러한 결합 메커니즘이 적용된 예가 도시된다. 도 1-도 4의 결합 메커니즘에 따라, 결합부재(420)은 몸체(410)의 외주부상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마주하는 소켓은 이의 몸체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래치(latch)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래치는 외부 하우징(400)이 소켓에 진입될는 동안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결합부재(420)를 후퇴시키며, 이후 다시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되어 결합부재(420)를 전진시켜서 몸체(410)의 결합홈(410a)내에 삽입 및 구속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메커니즘은 본원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 된 발명(출원번호: 10-2022-0074399/출원일: 2022-06-17)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이러한 결합 메커니즘관련 출원의 개시가 그와 같은 결합 메커니즘에 대한 설명을 대신하여 본원의 일부로서 포함되며, 이에 따라 명확하게 본원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장착시, 통신장치의 터미널에 먼저 삽입되는 플러그(200)에 의해 상기 플러그(200)를 수용하는 헤드부(100)가 통신장치에 구속되므로, 커넥터 어셈블리에 가해지는 힘에 따른 변형을 흡수하기 위해 테일부(300)가 안내 어셈블리(140,330)에 의해 상대적으로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실제적으로 장착 작업중, 작업자에 의해 힘은 외부로 노출된 외부하우징(400)에 가해지므로, 이 힘을 전달받아 운동을 하도록 테일부(300)는 외부하우징(400)에 구속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의도된 테일부(300)의 상대적 운동을 구현하기 위해, 외부 하우징(4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외부 하우징(400)과 테일부(300)는 서로 구속된 상태로 함께 헤드부(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운동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외부하우징(400)에 테일부(300)를 운동불가하게 결합시키는 즉 고정시키는 결합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 있다. 반면, 헤드부(100)가 테일부(300)와 함께 외부 하우징(400)에 구속되면, 테일부(300)는 헤드부(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운동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외부 하우징(400)은 헤드부(100)를 자유롭게 상대적으로 운동하도록 단순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메커니즘으로서, 도 3-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부(300)는 이의 외주부에 제공되는 림(rim)(360)을 포함할 수 있다. 림(360)은 상세하게는, 제 2 케이스(320)의 전방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조적 단순화 및 일체화를 위해 제 2 케이스(320)의 전방 끝단부의 외주부에 상기 림(360)이 배치되며, 이러한 전방 끝단부의 내주부에 제 2 결합부(321)가 배치될 수 있다. 림(360)은 테일부(300)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소정 높이 또는 길이로 돌출된다. 또한, 림(360)은 외부 하우징(400), 즉 이의 몸체(410)의 내주면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외주면 및 상기 몸체(410)의 내주면에 걸리도록 구성되는 후방 또는 전방 끝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 예로서 림(360)은 이의 외주면상에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평면들(3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림(360)은 실제로 다각형의 단면을 갖게 된다. 또한, 림(360)은 이의 후방 끝단에 형성되는 스텝부(362)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마주하는 외부하우징(400)의 몸체(410)의 내주면에 걸리면서, 이러한 평면들(361)은 테일부(300)가 원주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스텝부(362)는 테일부(300)가 길이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완전한 구속을 위해, 결합메커니즘으로서, 외부 하우징(400)의 몸체(410)의 내주면은 이러한 림(36)의 외부윤곽에 형상적으로 일치하는 형상을 갖도록, 즉 형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평면들(361)과 스텝부(362)을 마주하는 몸체(410)의 내주면의 일부는 이들(361,362)의 외부윤곽에 일치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서로 타이트한 면접촉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410)는 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평면들(361)과 접촉하는 다수개의 평면들(411)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몸체(410)는 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스텝부(362)에 접촉하고 걸리는 스텝부(412)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합 메커니즘에 의해 테일부(300)는 외부하우징(400)에 완전하게 구속될 수 있으며, 외부 하우징(400)에 상대적으로 어떠한 방향, 예를 들어 길이방향 또는 원주방향(즉, 축중심에 대한 회전)으로도 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테일부(300)은 외부 하우징(400)에 가해지는 외력을 전달받아 함께 의도된 바와 같은 헤드부(100)에 대한 상대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은 이의 소켓으로의 장착 또는 조립과 관련된 작동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장착작동이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장착 순서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개념 및 원리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커넥터 어셈블리는 광케이블(O)과 완전하게 조립되며, 통신장치의 소켓에 장착을 위해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에 의해 커넥터 어셈블리의 플러그(200)는 통신장치의 터미널에 정렬되면서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러그(200) 및 이를 수용하는 헤드부(100)는 미리 통신장치, 즉 터미널에 구속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3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어셈블리에 힘이 아직 가해지지 않았으므로, 보스(330) 및 테일부(300)는 제 1 홈(141)의 어느 한 끝단, 즉 후방 끝단(141a)에 배치될 수 있다. 보스(330) 및 테일부(300)는 탄성부재(130)의 탄성력을 받으므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홈(141)의 후방 끝단(141a) 및 헤드부(100)의 후방끝단부에 정지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후, 작업자에 의해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200)을 추가적으로 터미널에 삽입시키기 위해, 통신장치쪽으로 축방향으로 밀어 붙여지며, 이에 따라 커넥터 어셈블리는 길이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길이방향의 힘은 외부하우징(400)을 통해 테일부(300)로 전달되며, 이들은 함께 길이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스(330) 및 테일부(300)는 도 7(a)에 도시된 제 1 홈(141)의 후방 끝단(141a)으로부터, 도 4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홈(141)을 따라 운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홈(141)의 기 설정된 방향/배향에 의해 보스(330) 및 테일부(300)는 길이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보스(330) 및 테일부(300)는 제 1 홈(141)의 길이, 즉 끝단(141a,141b)에 의해 적절하게 제한된 거리만큼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길이방향으로의 상대적 운동에 의해 가해진 길이방향 힘에 의해 발생되는 변형은 상쇄되거나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제 1 홈(141)의 폭에 대한 제한에 의해, 보스(330) 및 테일부(300)는 원주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이 제한되며, 의도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의 급격한 운동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운동에 의해,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부(300)는 헤드부(100)내부로 추가적으로 삽입되어, 내부 어셈블리(100-300), 정확하게는 헤드부(100)와 테일부(300)의 길이가 단축된다. 또한, 테일부(300)와 함께 외부하우징(400)도 헤드부(100)에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전진 및 돌출되며, 이에 따라 외부하우징(400)은 자연스럽게 통신장치의 소켓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 후, 플러그(200) 및 커넥터 어셈블리의 다른 부품들을 터미널 및 소켓에 보다 정확하게 정렬 또는 피팅하기 위해, 작업자에 의해 커넥터 어셈블리는 비틀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넥터 어셈블리는 원주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원주방향의 힘도 외부 하우징(400)을 통해 테일부(300)로 전달되며, 이들은 함께 원주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홈(141)의 전방끝단에 제 2 홈(142)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보스(330) 및 테일부(300)는 연속적으로 제 1 홈(141)에 따른 길이방향의 운동으로부터 후술되는 제 2 홈(142)에 따른 원주방향으로의 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계속해서, 보스(330) 및 테일부(300)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홈(141)의 전방 끝단(141b)으로부터, 제 2 홈(142)을 따라 운동할 수 있다.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보스(330) 및 테일부(300)는 우측 또는 좌측방향 (또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으로 제 2 홈(142)를 따라 운동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홈(142)의 기 설정된 방향/배향에 의해 보스(330) 및 테일부(300)는 원주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보스(330) 및 테일부(300)는 제 2 홈(142)의 길이, 즉 끝단(142a,142b)에 의해 적절하게 제한된 거리만큼 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원주방향으로의 상대적 운동에 의해, 가해진 원주방향 힘에 의해 발생 가능한 변형은 상쇄되거나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은 제 2 홈(142)의 폭에 대한 제한에 의해, 보스(330) 및 테일부(300)는 길이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이 제한되며, 의도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의 급격한 운동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최종적으로 플러그(200)를 터미널에 완전하게 삽입시키기 위해, 작업자는 테일부(300)을 헤드부(100)에 잠글(lock) 수 있다. 즉, 테일부(300)는 헤드부(100)에 운동불가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함 잠김상태를 위해, 작업자에 의해 커넥터 어셈블리는 원주방향으로 힘을 받으면서 더이상 비틀어지지 않을 때까지 추가적으로 비틀어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c)를 참조하면, 보스(330)는 제 2 홈(142)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운동하여, 제 2 홈(142)의 양측 끝단(142a,142b)중 어느 하나에 걸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 홈(142) 자체는 보스(330)의 길이방향 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고 양측 끝단(142a,142b)는 보스(330)의 원주방향의 추가적인 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되므로, 보스(330) 및 이에 결합된 테일부(300)는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 둘 다로 운동불가하게 헤드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잠김상태에서 커넥터 어셈블리에 가해지는 힘은 어떠한 상쇄없이 서로 고정된 외부 하우징(400), 테일부(300) 및 헤드부(100)를 통해 플러그(200)에 그대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잠김상태하에서 커넥터 어셈블리 전체를 추가적으로 밀어붙여 길이방향(즉, 축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플러그(200)는 터미널내에 완전하게 삽입되고 탭(230)은 변형되면서 터미널에 걸릴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플러그(200)의 추가적인 정렬 또는 피팅이 요구되는 경우, 작업자는 잠김상태하에서 직접적으로 커넥터 어셈블리 전체를 용이하게 더 비틀수도 있다. 따라서, 플러그(200)가 분리되지 않게 최종적으로 터미널에 삽입될 수 있다.
이 후, 앞서 설명된 것과 반대의 순서로 커넥터 어셈블리에 힘을 가하면, 보스(330) 및 테일부(300)는 잠김상태에서 해제되고 제 2 홈(142) 및 제 1 홈(141)을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도 3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복귀는 앞선 단계들에 의해 변형되었던 탄성부재(130)의 복원력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나사체결 메커니즘이 채택된 경우, 결합부재(420)는 회전하면서 소켓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도 4에 도시된 메커니즘이 적용되는 경우, 단순히 커넥터 어셈블리를 소켓에 밀터붙이는 작동에 의해 추가적인 체결작업없이 결합부재(420)는 소켓에 장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커넥터 어셈블리의 장착시 힘은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가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안내 어셈블리(140,330)의 서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홈(141,142)에 의해 테일부(300)는 헤드부(1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러한 장착작업의 순서 및 이에 따른 힘의 부가순서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중단없이 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운동중 가해지는 힘에 의해 발생가능한 변형도 완전하게 상쇄되거나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 어셈블리(140,330)에 의해 커넥터 어셈블리는 통신장치에 광케이블(O) 및 관련 부품들의 변형이나 파손없이 원활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작동을 고려할 때, 안내 어셈블리(140,330)는 길이방향의 힘에 응답하여 플러그(200)를 터미널에 삽입하도록 보스(330)를 제 1 홈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허용하는 제 1 모드 및 원주방향의 힘에 응답하여 플러그(200)를 터미널에 정렬 및 피팅하도록 보스(330)를 제 2 홈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허용하는 제 2 모드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안내 어셈블리(140,330)은 추가적으로 플러그(200)를 터미널에 완전하게 삽입시키기 위해, 테일부(300)을 헤드부(100)에 락(lock)시키는 제 3 모드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3 모드들에서의 세부적인 작동들은 위의 해당 설명들에서 상세하게 제공되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다음에서 생략된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헤드부 200: 플러그
300: 테일부 310: 하부커버
320: 상부커버 400: 외부하우징
410: 제 1 케이스 420: 제 2 케이스

Claims (4)

  1. 광케이블을 소정의 통신장치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광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헤드부(head);
    상기 헤드부의 전방부에 제공되며, 상기 광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전기장치의 터미널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상기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후방부에 배치되어 상기 헤드부의 후방부에 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광케이블을 수용하면서 붙잡도록 구성되는 테일부(tail); 및
    상기 헤드부 및 테일부에 제공되며, 상기 헤드부에 대한 상기 테일부의 상대적인 운동을 기설정된 방향 및 거리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안내 어셈블리로 이루어지는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어셈블리는 상기 테일부가 상기 헤드부에 대해 소정의 거리로 상기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의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운동하게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어셈블리는:
    상기 헤드부에 제공되며 기 설정된 방향들로 연장되는 홈; 및
    상기 테일부에 제공되며,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보스(boss)를 포함하는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부는 이의 내부공간내에 배치되며 상기 광케이블을 붙잡으면서 상기 테일부에 고정되어 상기 광 케이블을 상기 테일부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클램프(clamp)를 포함하는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240004746A 2022-07-05 2024-01-11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KR202400100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261 2022-07-05
KR20220082261 2022-07-05
KR20220091129 2022-07-22
KR1020220091129 2022-07-22
KR1020230086015A KR102625691B1 (ko) 2022-07-05 2023-07-03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6015A Division KR102625691B1 (ko) 2022-07-05 2023-07-03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075A true KR20240010075A (ko) 2024-01-23

Family

ID=8954313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6015A KR102625691B1 (ko) 2022-07-05 2023-07-03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240004746A KR20240010075A (ko) 2022-07-05 2024-01-11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6015A KR102625691B1 (ko) 2022-07-05 2023-07-03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25691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8101B1 (en) * 1999-07-08 2001-05-29 Molex Incorporated Tunable fiber optic connector
KR200450506Y1 (ko) * 2008-11-06 2010-10-07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광커넥터 및 심선 연결용 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5691B1 (ko) 2024-01-17
KR20240006451A (ko) 202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2125B2 (en) Plug-side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or system
US11677223B2 (en) Cable grounding assembly for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US8814441B2 (en) Optical connector
US5280556A (en) Cable closure which includes a cable sheath gripping assembly
KR101964764B1 (ko) 플러그 보호 캡, 광섬유 커넥터 조립체, 광섬유 플러그 및 네트워크 장치
JP5669135B2 (ja) コネクタ用エンクロージャ組立体、ストレインリリーフ部材、及び封止方法
KR20160010362A (ko) 인클로저 조립체
CN108761657B (zh) 一种防水连接器、适配器以及防水连接器组件
CN101981760A (zh) 通信电缆入口设备
EP4134717A1 (en) Prefabricated connector, coupler, and prefabricated connector assembly
US7621674B2 (en) High optical fiber count connector
CN113261215A (zh) 具有防脱结构的电缆端子组件
KR102625691B1 (ko)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JP7459246B2 (ja) プリコネクタ及び通信装置
CA1043143A (en) Deformable fiber optic connection alignment device
CN218917717U (zh) 扩束水密光纤连接器组件及插头
CN112782802B (zh) 光纤阵列装置
TWM629465U (zh) Emi屏蔽件以及具有emi屏蔽件的光纖轉接模組
JP2024508857A (ja) ケーブル保護装置
KR102395601B1 (ko)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
CN214204011U (zh) 一种集束连接器组件
CN110989091B (zh) 光缆组件及其插头组件
AU2016215668B2 (en) Universal remote radio unit bird armored fiber optic cable assembly
CN113325527B (zh) 一种有源连接器及其刚柔印制板组件
CN113687475B (zh) 一种预端接防水光纤连接组件及适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