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5601B1 -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5601B1
KR102395601B1 KR1020210160005A KR20210160005A KR102395601B1 KR 102395601 B1 KR102395601 B1 KR 102395601B1 KR 1020210160005 A KR1020210160005 A KR 1020210160005A KR 20210160005 A KR20210160005 A KR 20210160005A KR 102395601 B1 KR102395601 B1 KR 102395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using
pillar
assembly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권
김진모
강민구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비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비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유비씨에스
Priority to KR1020220050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402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장치 및 이에 연결되는 전기 케이블에 방수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방수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끝단에 결합되어 전기장치의 소켓에 결합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전기 케이블의 케이블 및 터미널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전기장치의 소켓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헤드부(head);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과 상기 하우징사이의 공간을 채우며, 상기 케이블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필러 어셈블리(filler assembly); 및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과 밀착되게 상기 필러 어셈블리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테일부(tail)로 이루어지는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 {WATERPROOF ASSEMBLY FOR ELECTRIC CABLE}
본 발명은 전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기설비에 연결된 전기 케이블에 방수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방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설비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전기설비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전기 케이블이 이용된다. 전기 케이블은 외부의 전원과 전기설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해당 전기설비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전기 케이블은 전원 케이블로 불릴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중에서, 통신설비는 다양한 형태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송신측과 수신측사이에서 통신을 위한 전기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전기신호의 교환을 위해서도 전기 케이블이 이용될 수 있다. 통신설비에서, 전기 케이블은 송수신측 장비들을 서로 연결하며 장거리에 걸친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송매체로서 기능하며, 이러한 경우, 전기 케이블은 통신 케이블로 불릴 수 있다. 즉, 전기 케이블은 다양한 형태의 전기적 및 물리적 상태량, 예를 들어 전기 또는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매체이며, 이들 전기적 상태량의 전달 및 교환을 위해 전기설비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기 케이블은 전기설비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용이하게 장착 및 탈착되기 위해 통상적으로 여러 부품이 조합된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전기설비 또는 통신설비에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외부에 노출되므로, 물이 이러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전기 케이블에 유입될 수 있으며, 유입된 물은 전기 또는 통신설비의 고장 및 파손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물 이외에도 다양한 이물질들도 노출된 커넥터 어셈블리 및 전기 케이블을 통해 전기 또는 통신 설비에 유입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고장 및 파손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물을 포함한 다양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기 케이블에는 방수 또는 차폐구조가 요구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전기 케이블은 바로 전기 또는 통신 설비에 연결되도록 미리 커넥터 어셈블리와 결합된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당한 크기 및 복잡한 구조를 가지므로, 방수 또는 차폐구조도 커넥터 어셈블리와 함께 미리 전기 케이블에 제공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만일 커넥터 어셈블리와 함께 전기 케이블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 즉, 커넥터 어셈블리만 전기 케이블에 설치된 경우, 방수 또는 차폐구조는 현장에서 나중에 전기 케이블에 설치되기가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방수 또는 차폐구조는 작업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전기 케이블에 바로 설치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케이블 및 이에 연결된 전기설비에 물을 포함하여 다른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바로 전기 케이블에 설치가능한 방수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끝단에 결합되어 전기장치의 소켓에 결합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전기 케이블의 케이블 및 터미널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전기장치의 소켓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헤드부(head);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과 상기 하우징사이의 공간을 채우며, 상기 케이블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필러 어셈블리(filler assembly); 및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과 밀착되게 상기 필러 어셈블리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테일부(tail)로 이루어지는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 후방부는 상기 전기 케이블의 전방 끝단이 이에 삽입되게 허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테일부의 후방부도 상기 전기 케이블의 전방 끝단이 이에 삽입되게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러 어셈블리의 측부는 상기 전기 케이블의 측부가 이에 삽입되게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어셈블리는 전기장치의 소켓과 결합되면서 소켓과 이의 전방부 끝단 사이에 개재되는 가스켓을 이용하여 이의 전방부에 밀폐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수 어셈블리는 이의 후방부에 수용되는 필러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전기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붙잡으면서 동시에 실질적인 밀폐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방수 어셈블리는 이의 전방 및 후방부들에서 밀폐를 실질적으로 구현하므로, 전기 케이블뿐만 아니라 소켓, 즉 전기장치에 외부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수 어셈블리는 전기장치의 소켓에 결합되면서 전기 케이블과 소켓의 연결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므로, 충격 또는 압력과 같은 외력으로부터 전기 케이블 및 소켓을 효과적으로 보호하면서 이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방수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들은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또는 측부로부터 결합되도록 구성되므로, 완성된 전기 케이블, 예를 들어 커넥터 어셈블리가 제공된 전기 케이블에도 직접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방수 어셈블리는 필요한 경우 현장에서도 바로 언제라도 편리하게 전기 케이블에 적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방수 어셈블리는 효과적인 밀폐 및 외력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면서도 현장에서의 편리한 조립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방수 어셈블리는 전기장치 및 전기 케이블의 안정성 및 신뢰성뿐만 아니라 작업상의 생산성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효과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어셈블리는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방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2의 방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일부 단면들을 포함하여 도 1 및 도 2의 방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 및 도 2의 방수 어셈블리는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의 예들이 다음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이러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어진다(comprise)",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같은 이유에서, 본 발명은 개시된 발명의 의도된 기술적 목적 및 효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앞선 언급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된 관련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의 조합으로부터도 일부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등이 생략된 조합도 포괄하고 있음도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어셈블리는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의 방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분해단면도이다. 끝으로, 도 5는 일부 단면들을 포함하여 도 1 및 도 2의 방수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1 및 도 2의 방수 어셈블리는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앞서 언급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전기 케이블에 방수 기능을 제공하는 방수 어셈블리의 구성이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예들은 기본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전기적 상태량을 소정의 전기장치에 전달하는 매체인 전기 케이블(10)에 관한 것이다. 앞서 종래기술에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전기 케이블(10)은 외부의 전원과 전기장치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상기 전기장치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전원 케이블이 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기 케이블(10)은 상기 전기장치, 정확하게는 통신장치와 다른 이격된 통신장치사이의 통신을 위해 전기 신호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케이블이 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기 케이블(10)에 의해 운반되는 전기적 상태량을 전기장치에 전달하기 위해, 전기 케이블(10)을 소정의 전기장치에 연결시키 구성되는, 즉 전기케이블(10)과 전기장치사이에 물리적 연결을 형성하는 커넥터 어셈블리가 상기 전기 케이블(10) 및 전기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예로서, 전기장치에는 소켓(S)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케이블(10)은 실질적인 전기적 상태량의 전달 매체인 케이블(12)과 더불어 커넥터 어셈블리로서, 상기 케이블(12)의 끝단에 제공되는 터미널 또는 플러그(11)(이하, "터미널")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케이블(10)의 터미널(11)은 일차적으로 케이블(12)에 분리되지 않게 견고하게 고정되는 반면, 전기장치의 소켓(S)에는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켓(S)은 소정의 전기장치에 제공되어, 상기 전기장치의 내부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11)이 소켓(S)에 결합되면, 이러한 물리적 결합에 의해 케이블(12)과 전기장치사이에 전기적 결합 또는 연결이 달성된다. 따라서, 결합된 터미널(11) 및 소켓(S), 즉 연결 또는 조립된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해 전기장치는 전기 케이블(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기 또는 전기신호를 포함한 다양한 전기적 에너지 또는 상태량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예로서, 터미널(11)은 또한, 소켓(S)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미널(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면서 소켓(S)에 선택적으로 걸리도록 구성되는 탭(tab)(11a)을 포함할 수 있다. 탭(11a)은 터미널(11)이 소켓(S)에 정확하게는 이의 인렛(inlet)(S1)에 삽입될 때, 소켓(S)에 의해 상대적으로 변형되면서 이의 내부에 걸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터미널(11)은 소켓(S)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탭(11a)이 변형되면, 예를 들어, 상기 탭(11a)이 눌러지면, 소켓(S)으로부터 해제되며, 이에 따라 터미널(11)은 소켓(S)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11)은 소켓(S)에 착탈 가능하게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 케이블(10)도 전기 장치와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전원 또는 통신 케이블로 이루어지며 전기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와 결합된 전기 케이블(10)에 방수기능을 제공하는 방수 어셈블리를 일 예로서 설명하지만, 설명된 방수 어셈블리의 예들은 이들의 원리(principle) 및 구성(configuration)에 대한 실질적인 변형없이 전기 및 전기신호이외에 다른 전기적 상태량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케이블들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의 방수 어셈블리의 예들은 원리 및 구성의 실질적인 변형없이 그와 같은 다양한 케이블을 위한 다양한 커넥터 어셈블리들에도 결합가능하게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 및 도 2는 터미널(11)로서 표준화된 통신설비인 RJ45 커넥터를 도시하며, 이에 따라 전기 케이블(10)도 일 예로서 통신 케이블인 네트워크 케이블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 어셈블리로서 RJ45 커넥터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케이블이외에도, 다른 다양한 케이블 및 커넥터 어셈블리에 본 발명의 방수 어셈블리가 원리 및 구성상의 실질적 변경없이 적용될 수 있음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이해될 수 있다.
첨부된 모든 도면들인 도 1-도 6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어셈블리는 기본적으로 전기 케이블(10)을 수용하는 하우징(housing)(1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수 어셈블리는 하우징(100)의 전후방에 배치되는 헤드부(head)(200) 및 테일부(tail)(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우징(100)내에 배치되는 필러 어셈블리(filler assembly)(3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의 방수 어셈블리 자체 및 그 구성요소들(100-400)의 설명에서, "전방"은 방수 어셈블리 및 이의 각 구성요소(100-400)가 마주하면서 결합되는 대상장치, 예를 들어 전기장치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를 의미하며, "후방"은 그와 같은 대상장치에 상대적으로 먼 위치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기준위치(즉, 상대적 근접 및 이격)에 상대적인 것으로, 기준위치의 변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방수 어셈블리 및 이의 구성요소들(100-400)의 해당부위에 대한 정의도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방수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들(100-400)은 첨부된 도면들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결합되는 다른 구성요소 또는 전기 케이블(10)을 수용하면서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특별히 반대되는 설명이 없는 경우, 다음에서 방수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들(100-400)은 중공 실린더 구조 또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전기적 누설을 방지하도록 방수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들(100-400)은 다음에서 특별히 다른 설명이 없는 경우, 절연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다른 고분자 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들에서 방수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들(100-400)은 원형 단면을 가지나 이외에도 다른 형상, 예를 들어 삼각 또는 사각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방수 어셈블리의 구성요소(100-400)는 중공 실린더 구조를 가지므로, 특별히 반대되는 설명이 없는 경우, 이들 구성요소(100-400)에 제공되는 모든 추가적인 부재 및 구조는 이들(100-400)의 외주부 또는 내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거나, 방수 어셈블리의 보다 안정적인 구조 및 원활한 기능달성을 위해 상기 외주부 또는 내주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 또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제하에서, 방수 어셈블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방수 어셈블리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그와 같은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중공 부재 또는 중공 실린더인 몸체(1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00)은 그 내부공간에 다양한 내부부품들, 예를 들어 후술되는 필러 어셈블리(300)을 수용할 수 있으며, 전기 케이블(10)도 상기 내부부품들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0)내에 수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그 내부에 전기 케이블(10)의 터미널(11)과 상기 터미널(11)에 연결된 케이블(12)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전기 케이블(10)을 감싸면서 수용하므로, 기본적으로 외부의 충격 및 이물질의 유입으로부터 상기 전기 케이블(10)을 보호하며,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100)은 소켓(S)에 상대적으로 인접하는 전방부(111) 및 상기 소켓(S)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이격되는 후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이미 논의된 바와 같이, 전기 케이블(10)은 바로 전기 또는 통신 설비에 연결되도록 미리 커넥터 어셈블리(즉, 터미널(11))와 결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당한 크기 및 복잡한 구조를 가지므로, 통상적으로 방수 어셈블리도 적절하게 전기 케이블(10)에 설치되기 위해서는 커넥터 어셈블리와 함께 미리 전기 케이블(10)에 제공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만일 커넥터 어셈블리와 함께 전기 케이블(10)에 설치되지 않는 경우, 즉, 커넥터 어셈블리만 전기 케이블(10)에 설치된 경우, 방수 어셈블리는 현장에서 나중에 전기 케이블(10)에 설치되기가 어렵다. 예를 들어, 전기 케이블(10)의 어느 한 끝단, 즉 전방 끝단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대상 전기장치의 소켓(S)에 연결되는 반면, 전기 케이블(10)의 다른 끝단, 즉 후방 끝단은 외부의 다른 전기 장치에 연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외부 전기장치는 대부분의 경우 원거리에 이격되어 있으므로, 방수 어셈블리의 하우징(100)의 전방부(111)가 외부 전기장치에 배치된 전기 케이블(10)의 후방 끝단으로부터 결합되고, 이 후 하우징(100)이 전기 케이블(10)을 따라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까지 이동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거나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방수 어셈블리에 있어서, 적어도 하우징(100)의 후방부(112)는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이 이에 삽입되게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은 후방부(112)로부터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에는 전기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터미널(11)이 배치되므로, 이와 같은 후방부(112)로부터의 삽입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후방부(112)는 이러한 터미널(11)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한 구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3-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후방부(112)의 제 1 내경(D1)은 전기 케이블(10)의 터미널(1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방부(112)의 제 1 내경(D1)은 터미널(11)의 높이, 폭, 대각길이 및/또는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후방부(112)의 구성에 의해, 전기 케이블(10), 정확하게는 이의 전방끝단은 하우징(100)의 후방부(112)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내에 바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후방부(112)는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으로부터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방수 어셈블리는 커넥터 어셈블리가 이미 제공된 후에도 작업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전기 케이블(10)에 바로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이 하우징(100)의 후방부(112)로부터 전방부(111)까지 원활하게 이동 및 결합되기 위해서는, 하우징(100) 전체가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즉, 터미널(11))이 이에 삽입되게 허용하여 상기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으로부터 결합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하우징(100)이 전체적으로 제 1 내경(D1) 또는 이에 근접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실질적으로 소켓(S)에 연결되는 전기 케이블(10)을 수용하므로, 전기 케이블(10)로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소켓(S)과 함께 전기 케이블(10)을 위한 밀폐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전방부(111)는 소켓(S)에 맞닿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경우 하우징(100)과 소켓(S)은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허용하지 않는 서로 연결된 밀폐구조 또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정확하게는, 일 예로서, 밀폐구조의 형성을 위해, 전방부(111)의 끝단(또는 끝단면)은 상기 끝단이 마주하는 소켓(S)의 끝단, 즉 전방 끝단(또는 끝단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이의 전방부(111)에 제공되며, 소켓(S)과 맞닿도록 구성되는 가스켓(1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스켓(120)은 하우징(100)과 소켓(S)사이에 밀폐를 제공하도록 상기 하우징(100) 및 소켓(S)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정확하게는, 일 예로서, 가스켓(120)은 하우징(120)의 전방부(111)의 끝단(또는 끝단면)과 소켓(S)의 끝단(또는 끝단면)사이에 개재되며, 보다 확실하고 견고한 밀폐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120)은 하우징(100)의 전방부(111)의 전방 끝단에 제공되는 몸체(121)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21)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전방부(111)의 전방 끝단을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케이블(10) 및 방수 어셈블리의 다른 구성요소(예를 들어 후술되는 헤드부(120))와 간섭하지 않도록, 몸체(121)는 전방부(111)의 전방끝단을 넘어서 반경방향으로 안쪽 및 바깥쪽을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몸체(121)는 예를 들어, 전방부(111)의 전방끝단에 배치되며 상기 전방 끝단과 반경방향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링 부재가 될 수 있다. 또한, 가스켓(120)은 몸체(121), 정확하게는 이의 후방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레그(122)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122)는 하우징(100), 즉 이의 몸체(110)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가스켓(120)이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보다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한 쌍의 레그(122)가 몸체(110)의 좌우측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방수 어셈블리는 안정적 설치 및 보다 확실한 이물질 유입방지를 위해 소켓(S)에도 결합되며, 방수 어셈블리가 소켓에 결합되면, 가스켓(120)은 소켓(S) 및 하우징(100) 사이에서 이들에게 밀착되면서 밀폐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개스킷(120)에 의해 전기 케이블(10)의 전방부에서의 밀폐 및 이물질 유입방지가 보다 확실하게 구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전기 케이블(10), 정확하게는 터미널(11)보다 큰 크기를 가지면서 감싸도록 구성되므로, 전기 케이블(10)이 하우징(100)내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않고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하우징(100)은 전기 케이블(10), 정확하게는 이의 터미널(11)이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않게, 즉 축방향에 대해 회전하지 않게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를 위해, 하우징(10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터미널(11)의 외부윤곽에 형상적으로 일치하는 내주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내주면은 터미널(11)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게 되며, 상기 터미널(11)이 회전하지 않도록 붙잡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앞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터미널(11)은 소켓(S)와의 결합을 위해 탭(11a)을 포함하므로, 하우징(100)은 상기 탭(11a)의 작동을 간섭하지 않기 위해, 상기 탭(11a)이 설치되지 않은 터미널(11)의 외면과 접촉하며 붙잡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즉 이의 내주면은 터미널(11)의 양측면들(11b,11c)과 접촉하면서 붙잡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100)은 이의 내주면의 양 측부들에 각각 제공되며, 터미널(11)의 양측면들(11b,11c)과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표면들(1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표면들(131)을 형성하기 위해, 하우징(100)은 이의 내주면 양측부들에 각각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돌출부(1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돌출부(130)의 터미널(11)의 양측면들(11b,11c)과 마주하는 표면들이 상기 제 1 및 제 2 표면들(131)로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미널(11)은 솔리드한 제 1 및 제 2 돌출부(13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이의 제 1 및 제 2 표면들(131)에 의해 축방향에 대해 회전되지 않게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개스킷(120), 즉 이의 레그(122)도 이러한 견고한 구조의 제 1 및 제 2 돌출부(130)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 및 지지될 수 있다. 반면, 터미널(11)은 제 1 및 제 2 표면들(131)과 접촉하면서 축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허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표면들(131)에 의해 안내되면서 방수 어셈블리, 즉 하우징(100)내의 의도된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방수 어셈블리가 소켓(S)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방수 어셈블리는 안정적으로 전기장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동시에 전기 케이블(10)에 효과적인 방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방수 어셈블리는 하우징(100)의 전방부(111)에 제공되는 헤드부(head)(20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200)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중공 부재 또는 중공 실린더인 몸체(2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헤드부(200), 즉 몸체(210)는 예를 들어 하우징(100)의 전방부(111)의 외주부에 제공되며, 이에 따라 전기 케이블(10) 뿐만 아니라 하우징(100)의 일부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부(200)는 적어도 하우징(100)내에 배치되는 전기 케이블(10)과 간섭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전기 케이블(10)을 보호할 수 있다. 헤드부(200)는 도 4-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20)을 포함하며, 이러한 결합부(220)는 소켓(S)의 결합부(S2)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부(200)와 소켓(S)의 결합부(220,S2)는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나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나사결합을 위해, 헤드부(200)는 하우징(100)의 전방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서, 결합부(220)는 헤드부(200)의 전방부의 내주부상에 제공되며, 결합부(S2)는 소켓(S)의 외주부상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부(200)는 하우징(100)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100)에 맞닿는 소켓(S)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헤드부(200)는 방수 어셈블리가 전기장치 및 전기 케이블(10)에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설치되게 할 뿐만 아니라 외부의 충격 및 이물질의 유입으로부터 전기 케이블(10) 및 소켓(S), 즉 전기장치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들(220,S2)의 나사 결합은 헤드(200)의 회전 및 길이방향 이동을 요구하며, 이러한 헤드부(200)의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구조가 하우징(100) 및 헤드부(200)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이의 외주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는 홈(groove)(11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부(200)은 이의 내주부로부터 반경방형 안쪽으로 연장되며 홈(114)내에 삽입되는 리브(rib)(230)을 포함할 수 있다. 홈(1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원주방향 전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리브(230)도 홈(114)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헤드부(200)의 내주부에서 원주방형 전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리브(230)는 홈(114)내에서 하우징(100)의 길이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상기 홈(114)의 내벽에 의해 안내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리브(230) 및 홈(114)과 같은 안내구조에 의해 헤드부(200)는 하우징(100)에 상대적으로 안정적으로 회전하며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켓(S)과 체결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안내구조로서, 하우징(100)은 이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flange)(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115)는 헤드부(200)의 후방부 및 홈(114)의 후방부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부(100)의 후방 끝단은 플랜지(115)에 걸리며 이에 의해 플랜지(115)는 헤드부(100)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헤드부(100)가 길이방향으로 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전기 케이블(10)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전기 케이블(10)을 안정적으로 붙잡으면서 밀폐를 형성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조 및 부재가 요구된다. 또한, 전기 케이블(10)의 전방부에 위치한 터미널(11)은 하우징(100), 즉 이의 제 1 및 제 2 표면(131)에 의해 고정되므로, 터미널(11)의 후방에 위치한 전기 케이블(10)의 일부, 즉 케이블(12)을 붙잡도록 구성되는 구조가 전기 케이블(10) 전체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방수 어셈블리는 하우징(100)의 후방부(112)내에 배치되는 필러 어셈블리(filler assembly)(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필러 어셈블리(300)는 케이블(12)과 하우징(100)사이의 공간을 채우며, 이에 따라 하우징(100)의 내주면과 케이블(12)의 외주면과 맞닿을 수 있다. 따라서, 필러 어셈블리(300)는 하우징(100)내에서 케이블(12)을 움직이지 않도록 붙잡을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12)주위에 효과적인 밀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필러 어셈블리(300)는 실린더 부재로 이루어져 케이블(12)의 외주부를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견고하게 케이블(12)를 붙잡을 수 있다. 더 나아가, 필러 어셈블리(300)는 변형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필러 어셈블리(300)는 후술되는 방수 어셈블리의 테일부(tail)(400)에 의해 가압되면, 변형되면서 케이블(12)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필러 어셈블리(300)는 하우징(100)내에서 케이블(12)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면서 동시에 방수 어셈블리의 후방부에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밀폐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방수 어셈블리가 커넥터 어셈블리가 이미 설치된 전기 케이블(10)에 현장에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은 전기 케이블(10)의 전방끝단으로부터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은 전기 케이블(10)의 터미널(11)보다 크게 형성된 내경(D1)을 가질 수 있다. 반면, 필러 어셈블리(300)는 하우징(100)내에 배치되는 부재이므로, 이러한 하우징(100)과는 달리 큰 내경을 갖도록 구성되기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방수 어셈블리에 있어서, 필러 어셈블리(300)의 측부는 전기 케이블(10) 또는 이의의 측부가 이에 삽입되게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전기 케이블(10) 또는 이의 측부(즉, 케이블(12) 또는 이의 측부)는 필러 어셈블리(200)의 측부를 통해 상기 필러 어셈블리(200)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삽입이 가능하도록 필러 어셈블리(200)에는 다양한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러 어셈블리(200)는 상하 또는 양측으로 분할된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할된 필러 어셈블리(200)는 작업중 작은 크기로 인해 망실될 가능성이 있으며, 분할된 구조로 인해 높은 강도 및 강성을 갖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도 3-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 어셈블리(300)는 이의 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절개부 또는 슬롯(slot) (311,321,331)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311,321,331)은 길이방향을 따라 필러 어셈블리(300:310,320,330)의 전체 측부에 걸쳐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러 어셈블리(300:310,320,330)의 측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필러 어셈블리(300)가 도 5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벌어지면, 개방된 측부, 즉 확장된 슬롯(311,321,331)을 통해 전기 케이블(10) 또는 이의의 측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슬롯(311,321,331)이 형성되어도 필러 어셈블리(300)는 여전히 하나의 일체화된 몸체를 가지므로, 충분한 강도를 가지면서도 용이하게 전기 케이블(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필러 어셈블리(300)는 전기 케이블(10) 즉, 케이블(12)의 측부로부터 상기 케이블(12)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방수 어셈블리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마찬가지로, 필요한 경우 언제라도 현장에서 전기 케이블(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필러 어셈블리(3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필러 어셈블리(300)는 먼저 전기 케이블(10)의 케이블(12)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상기 케이블(12)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제 1 필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필러(310)는 케이블(12)을 감싸도록 전체적으로 중공 실린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변형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 1 필러(31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테일부(400) 및 다른 필러들(320,330)에 의해 가압되면, 케이블(12)에 직접적으로 밀착되면서 이를 붙잡으면서 밀폐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두께를 갖는 다른 필러들(320,330)과는 다르게, 다수개의 제 1 필러(310)가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사전에 제작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굵기의 케이블(12)에 밀착되게 대응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필러(310)는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 측부에 걸쳐 연장되는 제 1 슬롯(3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슬롯(311)은 제 1 필러(310)의 측부를 개방시켜, 케이블(12)이 제 1 필러(310)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필러(310)는 이의 몸체 전방부의 외주부에 배치되며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 1 리세스(3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필러(310)는 제 1 리세스(312)의 후방에 위치되면서 몸체 외주부에 형성되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 1 돌출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1 필러(310)은 이의 몸체 후방부 또는 끝단의 외주부에 배치되며,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보조 리세스(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 1 리세스, 제 1 돌출부 및 보조 리세스(312,313,314)는 후술되는 제 2 필러(320)와 제 1 필러(310)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한 구성이며, 이를 위해 제 1 필러(3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외주부 전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제 1 리세스, 제 1 돌출부 및 보조 리세스(312,313,314)의 상세한 기능은 제 2 필러(320)의 해당 구성과 함께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또한, 필러 어셈블리(300)는 제 1 필러(310)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상기 제 1 필러(310)를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되는 제 2 필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필러(320)는 제 1 필러(310)를 감싸도록 전체적으로 중공 실린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변형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 2 필러(32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테일부(400) 및 다른 필러(330)에 의해 가압되는 동안, 변형되면서 제 1 필러(310)를 케이블(12)에 밀착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필러(320)는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 측부에 걸쳐 연장되는 제 2 슬롯(32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슬롯(321)은 제 2 필러(320)의 측부를 개방시켜, 케이블(12)이 제 2 필러(320)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2 필러(320)는 이의 몸체 전방부의 내주부에 배치되며 반경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제 2 돌출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필러(320)는 제 2 돌출부(322)의 후방에 위치되면서 몸체 내주부에 형성되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 2 리세스(3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돌출부(322)는 제 1 필러(310)의 제 1 리세스(312)내에 삽입되며, 제 2 리세스(323)는 제 1 필러(310)의 제 1 돌출부(313)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필러(310,320)의 리세스 및 돌출부(312,313,322,323)의 결합에 의해 제 2 필러(320)는 제 1 필러(310)에 상대적으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이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제 1 리세스 및 제 1 돌출부(312,313)과 마찬가지로, 제 2 돌출부 및 제 2 리세스(322,323)도 제 2 필러(3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의 외주부 전체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 2 필러(320)는 이의 후방부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플랩 또는 블레이드(flap or blade)(32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랩들(324)은 제 2 필러(320)의 몸체, 정확하게는 이의 중앙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랩들(324)은 가늘고 긴 몸체 및 이들 사이의 간격으로 인해, 반경방향 안쪽으로, 즉 제 2 필러(210)의 중심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압되면 서로 모이면서 반경방형 안쪽으로 변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랩들(324)는 케이블(12)를 향해 변형되면서 제 1 필러(310)의 후방부를 조이며(clamp), 조여진 제 1 필러(310)의 후방부는 케이블(12)에 밀착될 수 있다. 즉, 플랩들(324)에 의해 제 2 필러(320)의 후방부는 용이하게 수축되면서 제 1 필러(310)의 후방부를 가압하면서 방수 어셈블리 후방부에서 케이블(12)에 밀폐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플랩들(324)의 후방 끝단에는 반경방향 안쪽을 돌출되는 후크(325)가 제공될 수 있다. 후크들(325)는 제 1 필러(310)의 후방 끝단에 맞물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크들(325)는 제 1 필러(310)의 보조 리세스(314)내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랩들(324)는 제 1 필러(310), 즉 이의 후방부에 안정적으로 걸리며, 이에 따라 변형되면서 상기 제 1 필러(310)의 후방부를 확실하게 조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2 필러(320)는 이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326)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326)는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후방부(112)의 끝단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326)에 의해 제 1 및 제 2 필러(310,320)의 어셈블리는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하우징(100)내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다른 필러(330) 및 테일부(400)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압되면서 변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플랜지(326)는 플랩(324), 정확하게는 이의 전방끝단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플랩(324)(즉, 제 2 필러(320)의 후방부) 및 제 1 필러(310)의 후방부는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제 1 및 제 2 필러(310,320)의 노출된 후방부는 방수 어셈블리의 후방부에서 밀폐를 형성하도록 다른 필러(330) 및 테일부(400)에 의해 적절하게 가압 및 변형될 수 있다.
끝으로, 필러 어셈블리(300)는 제 2 필러(320), 즉 이의 외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상기 제 2 필러(320)의 후방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제 3 필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필러(330)는 제 2 필러(320)의 후방부, 즉 플랩(324)을 감싸도록 대체적으로 중공 실린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변형이 가능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 3 필러(33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테일부(400)에 의해 가압되며, 가압되는 동안 제 1 및 제 2 필러(310,320)를 케이블(12)에 밀착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정확하게는, 제 3 필러(330)는 테일부(400)내에 배치되며, 상기 테일부(400)가 하우징(100)의 후방부에 결합될 때, 상기 테일부(400)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제 2 필러(320)의 후방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3 필러(330)는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 측부에 걸쳐 연장되는 제 3 슬롯(3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3 슬롯(331)은 제 3 필러(330)의 측부를 개방시켜, 케이블(12)이 제 3 필러(320)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3 필러(330)는 이의 전방 끝단에 제공되는 가압면(33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면(332)는 제 2 필러(320)의 후방부, 즉 플랩(324)과 맞닿으며, 테일부(400)에 의해 가해지는 힘 또는 압력에 의해 플랩(324)를 변형되도록 가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압면(332)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배향되며 이에 따라 플랩(324)를 반경방향 안쪽으로 가압 및 변형시킬 수 있다. 즉, 가압면(332)는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보다 정확하게는 후방으로 가면서 점점 축소되는 내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3 필러(330)는 이의 몸체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스텝부(3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텝부(333)는 테일부(400)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한 것으로 이의 기능은 나중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더 나아가, 제 3 필러(330)는 이의 후방부에 제공되는 노치(334)를 포함할 수 있다. 노치(334)는 경사면을 포함하며 제 3 슬롯(331)과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 필러(330)와 케이블(12)가 결합될 때, 케이블(12)은 노치(334)에 의해 제 3 슬롯(331)까지 안내되어 용이하게 상기 제 3 슬롯(331)을 통해 제 3 필러(33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방수 어셈블리는 하우징(100)의 후방부(111)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테일부(tail)(400)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일부(400)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중공 부재 또는 중공 실린더인 몸체(4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테일부(400), 즉 몸체(410)는 예를 들어 하우징(100)의 후방부(112)의 외주부에 제공되며, 이에 따라 전기 케이블(10)뿐만 아니라 하우징(100)의 일부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일부(400)는 적어도 하우징(100)내에 배치되는 전기 케이블(10)과 간섭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전기 케이블(10)을 보호할 수 있다. 테일부(400)는 도 3-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420)을 포함하며, 이러한 결합부(420)는 하우징(100)의 후방부(112)에 형성되는 결합부(113)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일부(400)와 하우징(100)의 결합부(420,113)는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나사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서, 테일부(400)의 결합부(420)는 상기 테일부(400)의 전방부의 내주부상에 제공되며, 하우징(100)의 결합부(113)는 상기 하우징(100)의 후방부(112)의 외주부상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현장에서의 방수 어셈블리와 전기 케이블(10)의 용이한 결합을 위해, 하우징(100)과 유사하게, 적어도 테일부(400)의 후방부(412)도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이 이에 삽입되게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은 후방부(412)로부터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에는 터미널(11)이 배치되므로, 이와 같은 후방부(412)로부터의 삽입을 허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후방부(412)는 이러한 터미널(11)의 크기를 고려하여 적절한 구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도 3-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일부 후방부(412)의 제 2 내경(D2)은 전기 케이블(10)의 터미널(1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후방부(412)의 제 2 내경(D2)은 터미널(11)의 높이, 폭, 대각길이 및/또는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후방부(412)의 구성에 의해, 전기 케이블(10), 정확하게는 이의 전방끝단은 테일부(400)의 후방부(412)를 통해 상기 테일부(400)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일부(400)의 후방부(412)는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으로부터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방수 어셈블리는 커넥터 어셈블리가 이미 제공된 후에도 작업현장에서 필요에 따라 전기 케이블(10)에 바로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이 테일부(400)의 후방부(412)로부터 전방부까지 원활하게 이동되기 위해서는, 테일부(400) 전체가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즉, 터미널(11))이 이에 삽입되게 허용하여 상기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으로부터 결합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테일부(400)가 전체적으로 제 2 내경(D1) 또는 이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테일부(400)는 필러 어셈블리(300)를 케이블(12)과 밀착되게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테일부(400)는 적어도 필러 어셈블리(300)의 일부, 세부적으로는 필러 어셈블리(300)의 후방부를 수용하면서 이를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테일부(400)는 필러 어셈블리(300)의 후방부, 세부적으로 후방 끝단에 위치되는 제 3 필러(330)를 제 1 및 제 2 필러(310,320)의 후방부들과 함께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제 3 필러(330) 및 제 1 및 제 2 필러(310,320)의 후방부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며 테일부(400)의 몸체(410)의 내부공간내에 가압되도록 수용될 수 있다. 또한, 테일부(400)는 이의 내주부에 형성되는 스텝부(41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스텝부(411)는 제 3 필러(330)의 스텝부(333)와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테일부(400)가 하우징(100)의 후방부(112)에 결합될 때, 스텝부(333.411)의 맞물림에 의해 제 3 필러(330)는 테일부(400)과 함께 동시에 제 1 및 제 2 필러(310,320)의 후방부에 밀어붙여지며,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제 1 및 제 2 필러(310,320)의 후방부를 케이블(12)에 밀착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제 3 필러(330) 및 테일부(400)의 보다 안정적인 결합 및 동시 이동을 위해, 스텝부(333,411)은 반경방향으로 제 3 필러(330)의 외주부 및 테일부(400)의 내주부의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테일부(400)는 헤드부(200)와 마찬가지로 방수 어셈블리가 전기 케이블(20)에 견고하게 설치되게 하며, 또한 방수 어셈블리의 후방부에서 확실한 밀폐를 형성하여 전기 케이블(10) 뿐만 아니라 소켓(S), 즉 전기장치로 물, 먼지등과 같은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된 방수 어셈블리의 구성은 이의 작동, 특히 조립과정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수 어셈블리의 작동이 관련 도면인 도 1-도 6 모두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방수 어셈블리의 조립 순서는 일 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개념 및 원리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전기 케이블(10)은 커넥터 어셈블리인 커넥터(11)와 결합된 상태로 준비되며, 마찬가지로, 전기 케이블(10)이 연결될 전기장치도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부인 소켓(S)을 포함하도록 준비될 수 있다. 전기 케이블(10)은 또한 결합된 커넥터(11)와 함께 전기장치에 연결되도록 상기 전기장치의 소켓(S)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후, 방수 어셈블리가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도록 전기 케이블(10) 및 전기 장치에 걸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수 어셈블리의 설치중에 전기 케이블(10)은 전기 장치, 즉 이의 소켓(S)에 또한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 어셈블리의 설치를 위해 먼저 테일부(400)가 전기 케이블(10)과 결합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테일부(400)와 전기 케이블(10)의 결합을 위해,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끝단, 즉 터미널(11)은 테일부(400)의 후방부(412)를 통해, 즉 이의 후방 끝단의 개구부를 통해 테일부(400)내에 삽입되면서 상기 테일부(400)을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 및 관통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터미널(11)보다 크게 형성되는 테일부(400)의 제 2 내경(D2)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 후, 하우징(100)이 전기 케이블(10)과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헤드부(200)가 먼저 하우징(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준비되며, 이에 따라 실제적으로 하우징(100)과 헤드부(200)의 예비 어셈블리(preassembly)가 테일부(400)와 기 결합된 전기 케이블(10)과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와 같은 예비 어셈블리와의 결합을 위해, 전기 케이블(10)의 전방끝단, 즉 터미널(11)은 하우징(100)의 후방부(112)를 통해, 즉, 이의 후방 끝단의 개구부를 통해 하우징(100)내에 삽입되며, 이의 내부공간을 따라 전방부(111)까지 이동된다. 하우징(100)의 전방부(111)에서, 전기 케이블(10)의 터미널(11)은 제 1 및 제 2 표면(131)에 의해 붙잡히며, 의도된 위치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삽입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적어도 터미널(11)보다 크게 형성되는 하우징(100)의 제 1 내경(D1)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 후, 필러 어셈블리(300)가 전기 케이블(10)과 결합될 수 있다. 정확하게는, 필러 어셈블리(300)는 기 결합된 테일부(400) 및 하우징(100)/헤드부(200) 사이의 케이블(12)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필러 어셈블리(300)의 결합을 위해, 전기 케이블(10) 또는 이의 측부(즉, 케이블(12) 또는 이의 측부)는 필러 어셈블리(300)의 측부를 통해 상기 필러 어셈블리(200)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전기케이블(10)의 삽입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필러 어셈블리(300)의 측부에 제공되는 슬롯들(311,321,331)을 통해 가능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필러 어셈블리(300)의 결합에 있어서, 먼저 제 1 필러(310)가 제 1 슬롯(311)을 이용하여 케이블(12)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 후, 제 2 필러(320)가 제 2 슬롯(321)을 이용하여 케이블(12)에 결합되고 이후, 다시 제 1 필러(310)의 외주부상에 상기 외주부를 감싸면서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리세스, 제 1 돌출부(312,313)과 제 2 돌출부 및 제 2 리세스(322,323)의 상호 결합에 의해 제 1 및 제 2 필러(310,320)는 길이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않게 견고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후, 제 3 필러(330)가 제 3 슬롯(331)을 이용하여 케이블(12)에 결합될 수 있다. 제 3 필러(330)는 제 1 및 제 2 필러(310,320)의 예비 어셈블리의 후방부에 배치되며 이러한 후방부를 감쌀 수 있다.
이와 같이, 방수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들(100-400)과 전기 케이블(10)의 예비적인 결합이 완료되면, 이들 예비결합된 구성요소들(100-400)의 최종적인 조립 및 방수 어셈블리와 전기장치(즉, 소켓(S))와의 결합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전기 케이블(10)의 터미널(11)이 전기장치의 소켓(S), 정확하게는 이의 인렛(S1)에 삽입됨으로써, 전원 또는 전기신호와 같은 전기적 상태량의 전달을 위한 전기 케이블(10)과 전기 장치의 연결이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이 후, 결합부(220)와 결합부(S2)를 이용하여 헤드부(200)가 소켓(S)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부(200)가 하우징(100)에 대해 회전하면서 이의 결합부(220)는 소켓(S1)의 결합부(S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나사 결합이 진행되는 동안, 헤드부(200) 및 이에 결합된 하우징(100)은 소켓(S)쪽으로 즉, 전방으로 점차적으로 이동하며, 하우징(100)의 전방부(111)의 전방 끝단은 소켓(S)의 마주하는 끝단면상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300)의 전방부(111)의 전방 끝단에 배치되는 가스켓(120)은 소켓(S)과 하우징(100) 둘 다에 밀착되며, 방수 어셈블리의 전방부에서의 밀폐가 달성될 수 있다.
이 후, 제 1 및 제 2 필러(310,320)의 예비 어셈블리는 하우징(100)의 후방부(112)를 통해 상기 하우징(100)내에 삽입된다. 또한, 제 2 필러(320)의 플랜지(326)가 하우징(100)의 후방부(112)의 끝단에 걸리므로,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예비 어셈블리의 전방부는 하우징(100)내에 배치되는 반면, 이의 후방부는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노출된 예비 어셈블리의 후방부에 제 3 필러(3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후, 테일부(400)가 하우징(100)의 후방부(112)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테일부(400)가 회전하면서 이의 결합부(420)은 하우징(100)의 후방부(112)의 결합부(113)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 결합이 진행되는 동안, 테일부(400)는 하우징(100)쪽으로 즉 전방으로 점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 3 필러(310)는 이의 스텝부(333)와 이에 맞물리는 테일부(400)의 스텝부(411)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상기 테일부(400)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테일부(400)가 하우징(100)에 결합되면, 제 3 필러(310)는 제 1 및 제 2 필러(310,320)의 가압하여 변형시키며, 이에 따라 변형된 후방부는 케이블(12)에 밀착될 수 있다. 즉, 제 3 필러(310)의 가압에 의해 제 2 필러(320)의 플랩(324)는 수축되면서 제 1 필러(310) 및 케이블(12)를 타이트하게 죄게 된다. 따라서, 테일부(400)에 의해 가압된 필러 어셈블리(300)에 의해 방수 어셈블리의 후방부에의 밀폐가 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방수 어셈블리는 이의 전방 및 후방부들에서 밀폐를 실질적으로 구현하므로, 전기 케이블(10)뿐만 아니라 소켓(S), 즉 전기장치에 외부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수 어셈블리는 소켓(S)에 결합되면서 전기 케이블(10)과 소켓(S)의 연결부를 전체적으로 감싸므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 힘에 대해서도 전기 케이블(10) 및 소켓(S)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방수 어셈블리의 구성요소들(100,300,400)은 각각 전기 케이블(10)의 전방 또는 측부로부터 결합되도록 구성되므로, 완성된 전기 케이블(10), 예를 들어 커넥터 어셈블리가 제공된 전기 케이블(10)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필요한 경우 현장에서도 바로 언제라도 편리하게 전기 케이블(10)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하우징 200: 헤드부
300: 필러 어셈블리 310: 제 1 필러
320: 제 2 필러 330: 제 3 필러
400: 테일부

Claims (3)

  1.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끝단에 결합되어 전기장치의 소켓에 결합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전기 케이블의 케이블 및 터미널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방부에 회전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전기장치의 소켓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헤드부(head);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과 상기 하우징사이의 공간을 채우며, 상기 케이블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필러 어셈블리(filler assembly); 및
    상기 하우징의 후방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케이블과 밀착되게 상기 필러 어셈블리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테일부(tail)로 이루어지며,
    상기 필러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블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상기 케이블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제 1 필러;
    상기 제 1 필러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면서 상기 제 1 필러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제 2 필러; 및
    상기 제 2 필러의 후방부를 감싸며, 상기 제 2 필러의 후방부를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제 3 필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필러는 이의 후방부에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되면서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는 다수개의 플랩(flap)들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플랩들은 상기 제 3 필러의 가압에 의해 서로 모이면서 반경방향 안쪽으로 수축 및 변형되며, 상기 케이블에 밀착되게 상기 제 1 필러를 조이도록 구성되는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후방부는 상기 전기 케이블의 전방 끝단이 이에 삽입되게 허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테일부의 후방부도 상기 전기 케이블의 전방 끝단이 이에 삽입되게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필러 어셈블리의 측부는 상기 전기 케이블의 측부가 이에 삽입되게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플랩들은 이의 후방 끝단에 배치되며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되는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필러는 이의 후방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후크가 걸리도록 구성되는 리세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 1-3 필러들은 서로 별도의 부재들로 형성되어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
KR1020210160005A 2021-09-13 2021-11-19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 KR102395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318A KR20230040258A (ko) 2021-09-13 2022-04-22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839 2021-09-13
KR20210121839 2021-09-1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318A Division KR20230040258A (ko) 2021-09-13 2022-04-22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5601B1 true KR102395601B1 (ko) 2022-05-10

Family

ID=815920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005A KR102395601B1 (ko) 2021-09-13 2021-11-19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
KR1020220050318A KR20230040258A (ko) 2021-09-13 2022-04-22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318A KR20230040258A (ko) 2021-09-13 2022-04-22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9560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3108A (ja) * 2002-02-05 2003-08-29 Amphenol Socapex 標準電気又は光接続コード用プラグ装置
KR20140003918U (ko) * 2012-12-17 2014-06-25 에이브이시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와이어 부재의 걸림-나사결합 부재 및 상기 와이어 부재의 걸림- 나사결합 부재를 구비한 와이어 부재 고정장치
JP2015210997A (ja) * 2014-04-30 2015-11-24 株式会社七星科学研究所 モジュラープラグ内蔵プラグ組立体及びモジュラーコネクタ内蔵コネクタ組立体
JP2015222654A (ja) * 2014-05-23 2015-12-10 株式会社七星科学研究所 Lan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lanケーブル接続装置
KR20200138357A (ko) * 2018-04-06 2020-12-09 노이트릭 아게 플러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3108A (ja) * 2002-02-05 2003-08-29 Amphenol Socapex 標準電気又は光接続コード用プラグ装置
KR20140003918U (ko) * 2012-12-17 2014-06-25 에이브이시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와이어 부재의 걸림-나사결합 부재 및 상기 와이어 부재의 걸림- 나사결합 부재를 구비한 와이어 부재 고정장치
JP2015210997A (ja) * 2014-04-30 2015-11-24 株式会社七星科学研究所 モジュラープラグ内蔵プラグ組立体及びモジュラーコネクタ内蔵コネクタ組立体
JP2015222654A (ja) * 2014-05-23 2015-12-10 株式会社七星科学研究所 Lan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lanケーブル接続装置
KR20200138357A (ko) * 2018-04-06 2020-12-09 노이트릭 아게 플러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258A (ko) 202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3540B1 (en) Photovoltaic module connector assemblies having cable strain relief
US9618718B2 (en) Universal remote radio unit bird armored fiber optic cable assembly
US20180248306A1 (en) Electric Cable Subassembly
KR100684024B1 (ko) 케이블 클로저 및 케이블의 밀폐 방법
US20140153876A1 (en) Cable fixture assembly for fastening at least one cable at a cable carrier as well as a splitter comprising such cable fixture assembly
CA2528994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socket assemblies
JP2013097898A (ja) シール部材
CN107430249A (zh) 插头侧光连接器以及光连接器系统
KR20160010362A (ko) 인클로저 조립체
US11977264B2 (en) Pre-connector and communications device
KR102395601B1 (ko) 전기 케이블용 방수 어셈블리
CN110165487A (zh) 一种隔爆型电缆连接器
CN213878612U (zh) 内芯部件、连接器及连接器组件
US20220200193A1 (en) Battery connector for electric bicycle
CN112292789B (zh) 多芯电线的防水结构
KR200209229Y1 (ko)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CN109273917B (zh) 防水连接器母头和防水连接器
KR101790602B1 (ko) 통합형 케이블 어셈블리
KR102625691B1 (ko) 광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CN110749962A (zh) 一种防水防尘适配器、连接器及连接器组件
CN217882087U (zh) 密封结构及连接器
AU2016215668B2 (en) Universal remote radio unit bird armored fiber optic cable assembly
BR102014016480A2 (pt) conector para cabo de fibra óptica
CN217882086U (zh) 密封塞及连接器
CN214706515U (zh) 一种多端口射频同轴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