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583A - 치과 생태계 연결 플랫폼 및 연결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치과 생태계 연결 플랫폼 및 연결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583A
KR20240009583A KR1020220086566A KR20220086566A KR20240009583A KR 20240009583 A KR20240009583 A KR 20240009583A KR 1020220086566 A KR1020220086566 A KR 1020220086566A KR 20220086566 A KR20220086566 A KR 20220086566A KR 20240009583 A KR20240009583 A KR 20240009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gn
terminal
information
dental
dental labor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6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경
정유석
하태진
오규협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대구테크노파크
Priority to KR1020220086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9583A/ko
Publication of KR20240009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58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사 단말에게 제작의뢰서 양식을 제공하고, 작성된 제작의뢰서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제작의뢰 관리부; 의사 단말에게 수정요청서 양식을 제공하고, 작성된 수정요청서를 수신하고, 의사 단말에게 평가의견 양식을 제공하고 작성된 평가의견을 수신하고 관리하는 의사 응대부; 상기 제작의뢰서에 포함된 디자인 요구사항과 상기 수정요청서의 내용과 상기 평가의견을 학습하여 해당 의사 단말에 대한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와 설계 가이드 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하는 선호도 파악부; 및 상기 제작의뢰서와 상기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설계 가이드 정보를 해당 의사 단말이 지정한 치기공소 단말로 전송하고, 치기공소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보철물의 3차원 디자인을 해당 의사 단말에게 제공하는 치기공소 응대부를 포함하는 치과 생태계 연결 서비스 플랫폼 및 이 플랫폼을 이용한 연결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 생태계 연결 플랫폼 및 연결 서비스 방법{Dental ecosystem connection platform and connection service method}
본 발명은 인터넷 플랫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사와 치기공소 또는 의사와 치기공사 간의 서비스 연결을 제공하고 서비스 연결과정에서 얻어진 정보를 AI(Artificial Intelligence, 인공지능)를 통한 학습을 통해 의사가 선호도하는 디자인툴 및 디자인 유형을 파악하여 보철물 제작의뢰 시에 의사가 원하는 요구사항을 치기공사가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치과 생태계 연결 플랫폼 및 연결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보철물의 제작을 의뢰하는 경우에는 대상자 즉, 환자의 구강을 3차원 영상장비(CBCT)에서 촬영한 영상과 구강 스캐너에서 스캔한 구강 스캐너 데이터와 함께 보철물의 디자인(즉, 설계)에 대한 요구 사항을 치기공소(또는 치기공사)에 전달한다. 그러면 치기공사는 의사의 요구사항에 맞게 보철물을 디자인하고 제작하여 해당 의사에게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치기공소와 치기공사를 통칭하여 '치기공소'라고 명명한다.
이러한 보철물 의뢰 과정이나 보철물 제작 과정을 보면 보철물 제작 의뢰는 치과의사와 치기공소 간에 직접 연락에 의해 처리되고 있으며, 보철물 디자인은 치기공소에서 자체적으로 구매한 디자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계되고 있다.
따라서, 치과의사의 입장에서는 거래하는 치기공소보다 나은 치기공소를 찾는 것이 어렵고, 찾더라도 자신이 원하는 디자인 유형을 다시 알려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마찬가지로 치기공소의 입장에서는 새로운 고객(즉, 치과 병원)을 유치하는 것이 어렵고, 다양한 디자인 프로그램을 사용할 기회가 적다.
국내등록특허 제10-2147445호(등록일, 2020. 08. 18)
본 발명은 치과의사와 치기공소 간에 연결을 제공하고, 각 치과의사별로 선호하는 디자인 유형을 학습하고 관리하며, 치기공소로 보철물 의뢰시 학습 정보를 제공하여 처음 제작하는 치기공소라도 쉽게 해당 치과의사의 디자인 유형에 맞는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게 하는 치과 생태계 연결 플랫폼 및 연결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생태계 연결 서비스 방법은 플랫폼에서 의사 단말과 치기공소 단말 간에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의사 단말로부터 제1 제작물에 대한 최초 제작의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작의뢰에 포함된 제1 치기공소 단말에게 제작의뢰에 대한 수임여부를 문의하여 응답을 확인하는 단계; 수락 응답한 상기 제1 치기공소 단말로부터 수신한 1차 디자인 정보를 상기 제1 의사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의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디자인 정보에 대한 디자인 수정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치기공소 단말로부터 수신된 최종 디자인 정보를 상기 제1 의사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의사 단말로부터 상기 최종 디자인 정보로 제작된 상기 제1 제작물에 대한 평가의견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최초 제작의뢰에 포함된 디자인 요구사항과 상기 수정요청 및 상기 평가의견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의사 단말에 대한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와 설계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의사 단말로부터 제2 제작물에 대한 제작의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작의뢰에 포함된 제2 치기공소 단말에게 제작의뢰에 대한 수임여부를 문의하여 응답을 확인하는 단계; 수락 응답한 상기 제2 치기공소 단말로 제작의뢰와 상기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와 설계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 치기공소 단말로부터 수신한 디자인 정보를 상기 제1 의사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수정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의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디자인 정보에 대한 디자인 수정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의사 단말로부터 제2 치기공소에서 제작한 상기 제2 제작물에 대한 평가의견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작의뢰에 포함된 디자인 요구사항과 수정요청 및 상기 제2 제작물에 대한 평가의견을 학습하고 학습한 정보로 상기 제1 의사 단말에 대한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와 설계 가이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생태계 연결 서비스 방법은 상기 제2 제작물에 대한 디자인 작업시 상기 제2 치기공소 단말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2 치기공소 단말로부터 디자인 작업중인 제1 디자인툴의 작업 항목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설계 가이드 정보에 수신한 작업 항목에 대한 설계 대상이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설계 대상에 대한 디자인 정보를 상기 제2 치기공소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생태계 연결 서비스 방법은 상기 제1 디자인툴의 종류와 상기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의 디자인툴의 종류가 동일한지를 파악하는 단계; 및 디자인툴의 종류가 다른 경우, 상기 설계 가이드 정보에 수신한 작업 항목에 대한 설계 대상이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설계 대상에 대한 디자인 정보와 함께 해당 작업 항목에 대한 호환성 값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생태계 연결 서비스 방법은 상기 호환성 값이 설정값 이하이면 경고나 주의 메시지를 상기 제2 치기공소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생태계 연결 서비스 플랫폼은 의사 단말에게 제작의뢰서 양식을 제공하고, 작성된 제작의뢰서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제작의뢰 관리부; 의사 단말에게 수정요청서 양식을 제공하고, 작성된 수정요청서를 수신하고, 의사 단말에게 평가의견 양식을 제공하고 작성된 평가의견을 수신하고 관리하는 의사 응대부; 상기 제작의뢰서에 포함된 디자인 요구사항과 상기 수정요청서의 내용과 상기 평가의견을 학습하여 해당 의사 단말에 대한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와 설계 가이드 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하는 선호도 파악부; 및 상기 제작의뢰서와 상기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설계 가이드 정보를 해당 의사 단말이 지정한 치기공소 단말로 전송하고, 치기공소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보철물의 3차원 디자인을 해당 의사 단말에게 제공하는 치기공소 응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생태계 연결 서비스 플랫폼은 보철물에 대한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는 치기공소 단말과 연결하고, 치기공소 단말로부터 디자인 작업중인 제1 디자인툴의 작업 항목을 수신하며, 상기 설계 가이드 정보에 수신한 작업 항목에 대한 설계 대상이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설계 대상에 대한 디자인 정보를 치기공소 단말에 제공하는 설계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계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디자인툴의 종류와 제작 의뢰한 의사 단말에 대한 상기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의 디자인툴의 종류가 동일한지를 파악하고, 디자인툴의 종류가 다른 경우, 상기 설계 가이드 정보에 수신한 작업 항목에 대한 설계 대상이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설계 대상에 대한 디자인 정보와 함께 해당 작업 항목에 대한 호환성 값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설계 가이드부는, 상기 호환성 값이 설정값 이하이면 경고나 주의 메시지를 상기 제2 치기공소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과의사가 자신이 선호하는 디자인 유형에 맞는 보철물을 제작하는 치기공소를 파악하고 보철물을 의뢰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치기공소에게 보철물을 의뢰하여도 해당 치과의사가 선호하는 디자인의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생태계 연결 플랫폼의 네트워크 환경을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생태계 연결 플랫폼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생태계 연결 서비스 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계 가이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생태계 연결 플랫폼의 네트워크 환경을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생태계 연결 플랫폼(100)(이하 플랫폼(100)'이라 한다)은 복수의 치과의사 단말(10)(이하 '의사 단말'이라 한다)과 복수의 치기공소 단말(2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의사 단말(10)은 의사나 치과병원의 관계자가 사용하는 단말이며, 휴대폰이나 컴퓨터 등과 같이 인터넷 기반으로 데이터 통신을 단말이거나, 디자인툴이나 디자인 뷰어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일 수 있다. 치기공소 단말(20)는 치기공사 또는 치기공소의 관계자가 사용하는 단말이며, 휴대폰이나 컴퓨터 등과 같이 인터넷 기반으로 데이터 통신을 단말이거나,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툴이 설치된 단말일 수 있다.
플랫폼(100)은 의사와 치기공소를 연결시키고, 각 의사가 선호하는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와 설계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고 학습하여 해당 의사가 보철물을 제작의뢰 할 때에 해당 의사의 디자인 선호도 정보와 설계 가이드 정보를 치기공소에 제공하여 치기공소가 쉽게 의사가 만족하는 보철물을 디자인하고 제작할 수 있게 한다.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는 디자인툴의 종류에 대한 정보이고, 설계 가이드 정보는 치기공소에서 보철물을 디자인할 때 해당 의사가 선호하는 디자인 유형을 알리는 정보이다. 설계 가이드 정보는 설계 대상과 해당 설계 대상에 대한 디자인 정보를 포함한다. 설계 대상은 치아 전체, 치아의 특정 부분, 치아 간 간격, 치아의 색상, 임플란트 나사, 보철물의 특정 명칭 등 일 수 있고, 디자인 정보는 모양, 수치값, 종류, 재료 등 일 수 있다.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와 설계 가이드 정보는 한 종류의 보철물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이거나 보철물의 종류에 상관없이 특정 의사를 대상으로 하는 정보일 수 있다. 한 종류의 보철물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이면,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와 설계 가이드 정보는 특정 의사를 대상으로 보철물의 종류마다 생성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생태계 연결 플랫폼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생태계 연결 플랫폼(100)은 제작의뢰 관리부(110), 의사 응대부(120), 선호도 파악부(130), 치기공소 응대부(140), 설계 가이드부(150), 디자인툴 저장부(160), 의사정보 저장부(170), 치기공소정보 저장부(180) 및 호환성 저장부(190)를 포함한다.
제작의뢰 관리부(110)는 의사 단말(10)로부터 수신된 보철물 제작 요청에 대응하여 의사 단말(10)에게 제작의뢰서 양식을 제공하고, 작성된 제작의뢰서를 수신하며, 수신된 제작의뢰서에 포함된 치기공소를 파악하고, 치기공소 대응부(140)로 제작의뢰서를 제공하여 해당 치기공소 단말(20)로 전송되게 한다. 작성된 제작의뢰서는 의사정보 저장부(170)에 해당 의사(또는 의사 단말)의 식별정보에 매칭하여 저장된다.
제작의뢰서에는 로우 데이터(raw data)인 보철물 제작을 위한 기초 자료인 3차원 촬영영상과 구강 스캐너 데이터를 포함하고, 해당 의사 단말(10)의 식별정보, 제작 의뢰하는 치기공사의 식별정보, 해당 의사가 요청한 디자인 요구사항을 포함한다. 제작의뢰서에는 보철물 가격에 대한 가격 정보와 보철물 제작 일정에 대한 작업 스케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요구사항은 해당 의사가 선호하는 디자인툴의 종류(예; 디자인툴 명), 선호하는 디자인 유형 정보를 포함한다. 예컨대, 선호하는 디자인 유형 정보는 치아의 전체적인 모양, 치아의 특정 부분의 모양, 색상, 치아의 상부면(음식을 직접적으로 씹는 면)의 모양, 치아 간의 간격, 기타 각각의 보철물에 대한 특징적인 부분에 대한 모양이나 길이, 높이, 간격 등이다.
제작의뢰 관리부(110)는 해당 의사의 디자인 요구사항을 선호도 파악부(130)에 제공한다.
의사 응대부(120)는 의사 단말(10)로부터 수신된 수정요청에 대응하여 수정요청서양식을 의사 단말(10)에게 제공하고, 작성된 수정요청서를 수신하며, 치기공소 대응부(140)로 수정요청서를 제공하여 해당 치기공소 단말(20)로 전송되게 한다. 수정요청서에는 수정할 항목(수정할 부분) 및 해당 항목에서의 구체적인 수정내용을 포함한다. 또한 의사 응대부(120)는 의사가 치기공소로부터 의뢰한 보철물의 완성본을 제공받은 경우에 제공받은 보철물의 완성본에 대한 평가의견을 작성하도록 지원하고 작성된 평가의견을 수신하고 관리한다. 평가의견에는 제작된 보철물의 디자인에 대한 평가 내용(즉, 설계 대상에 대한 평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의사 응대부(120)는 각 제작의뢰에 대한 수정요청서의 내용 및 평가의견을 선호도 파악부(130)에 제공한다.
선호도 파악부(130)는 각 제작의뢰서에 포함된 디자인 요구사항과 수정요청서의 내용 및 평가의견을 수신하고 학습하며, 학습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의사에 대한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와 설계 가이드 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한다. 선호도 파악부(130)는 제작의뢰 관리부(110)에서 치기공소 응대부(140)로 제작의뢰서를 제공하는 것에 연동하여 해당 의사에 대한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와 설계 가이드 정보를 치기공소 응대부(140)에 제공한다.
치기공소 응대부(140)는 제작의뢰 관리부(110)에서 제공하는 제작의뢰서와 선호도 파악부(130)에서 제공하는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 및 설계 가이드 정보를 의사가 지정한 해당 치기공소 단말(20)로 전송하고, 치기공소 단말(20)로부터 수신되는 보철물의 3차원 디자인을 해당 의사 단말(10)에게 제공한다. 치기공소 응대부(140)는 치기공소 단말(20)로부터 수신한 3차원 디자인이 해당 의사가 선호하는 디지인툴에 호환하지 않으면 3차원 디자인을 해당 의사가 선호하는 디지인툴에 호환되도록 변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설계 가이드부(150)는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는 치기공소 단말(20)이 접속하면 의사 단말(10)과 치기공소 단말(20) 및 수행중인 디자인 작업에 관련된 제작의뢰를 식별하며, 치기공소 단말(20)과 연동하여 디자인툴에서 수행중인 작업 항목을 파악하고, 파악한 디자인 작업에 대응하는 해당 의사의 설계 가이드 정보의 내용이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내용을 치기공소 단말(20)의 디자인툴에 제공하여 디자인툴에 해당 내용이 표시되게 한다.
작업 항목은 디자인 항목 또는 디자인 단계이며, 설계 가이드 정보에 포함된 설계 대상에 해당한다. 디자인 항목은 디자인툴에서 제공하는 각종의 설계 항목이고, 디자인 단계는 외형 모델링 단계, 수치 모델링 단계, 색상 모델링 단계 등과 같이 보철물 디자인을 위해 구별되는 작업의 종류를 의미한다.
한편, 설계 가이드부(150)는 의사가 선호하는 디자인툴의 종류와 치기공소에서 작업하는 디자인툴의 종류가 다른 경우에 호환성 체크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호환성은 서로 다른 2 종류의 디자인툴에 대하여 동일 디자인 작업에서 작업한 디자인 결과물에 대한 차이의 정도이다. 제1 디자인툴의 제1 디자인 작업에 의해 생성된 제1 결과물이 제2 디자인툴의 제1 디자인 작업에 의해 생성된 제2 결과물보다 품질이 높다고 하는 경우에, 제2 결과물의 입장에서 제1 결과물에 대해 호환성이 있다고 하고, 제1 결과물의 입장에서 호환성이 낮다고 한다.
설계 가이드부(150)는 호환성에 대하여 호환성 값을 통해 파악한다. 호환성 값은 2개의 서로 다른 디자인툴별로 각 작업별로 작성되어 있는데, 예컨대, 제1 및 제2 디자인툴의 제1 작업에 대하여 제1 결과물의 호환성 값은 120, 제2 결과물의 호환성 값은 80과 같이 작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결과물은 제2 결과물에 대하여 호환성이 있고, 제2 결과물은 제1 결과물에 대하여 호환성이 낮다.
설계 가이드부(150)는 호환성 체크를 통해 호환성이 낮으면 호환성 값을 치기공소 단말(20)에 제공하여 작업시에 호환성 정도를 고려하게 한다.
한편, 설계 가이드부(150)는 호환성이 낮은 경우에 호환성 값을 설정값과 비교하여 호환성 값이 설정값 이하이면 경고 또는 주위 표시를 치기공소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디자인 항목 또는 디자인 단계에 대응하는 해당 의사가 요구한 디자인 요구사항을 치기공소 단말(20)의 디자인툴에 표시하면, 작업중인 치기공사는 작업중인 디자인에 대한 설계 가이드 정보를 숙지하지 않아도 의사가 요구한 디자인 유형에 맞게 설계를 할 수 있게 된다.
디자인툴 저장부(160)는 각종 디자인툴을 저장하고 있으며, 각종 디지인툴은 치기공소 단말(20) 또는/및 의사 단말(10)의 요청시에 다운로드된다.
의사정보 저장부(170)는 각 의사 단말(10)의 식별정보, 각 의사 단말(10)에서 작성한 제작의뢰서, 수정요청서, 평가의견 등,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 설계 가이드 정보 및 제작의뢰이력 등을 저장한다.
치기공소정보 저장부(180)는 각 치기공소 단말(20)의 식별정보, 각 치기공소에서 사용하는 디자인툴의 종류, 의사 단말에 제공한 각 보철물별 디자인 및 각 보철물별 제작이력 등을 저장한다.
호환성 저장부(190)는 각 디자인툴별로 종류가 다른 디자인툴별, 작업 종류별 호환성 값을 저장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치과 생태계 연결 서비스 방법에 대한 전반적인 동작 순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플랫폼(100)은 제1 의사 단말(10)로부터 보철물에 대한 제작의뢰를 수신하면 최초 제작의뢰인지를 파악한다. 여기서 최초 제작의뢰는 해당 의사(또는 해당 치과병원)에서 최초 의뢰한 것이거나, 해당 해당 의사(또는 해당 치과병원)에서 해당 보철물에 대하여 최초 의뢰한 것일 수 있다.
플랫폼(100)은 제1 의사 단말(10)로부터 제1 치기공소로 제작 의뢰를 요청하는 최초 제작의뢰를 수신하면(S301), 제1 치기공소 단말(20)의 의뢰 수락 하에 제1 의사 단말(10)의 최초 제작의뢰에 대한 제작의뢰서를 제1 치기공소 단말(20)에 제공하고, 제1 의사 단말(10)이 검토할 수 있는 환경에서 제1 치기공소 단말(20)에서 보출물의 디자인을 제작하며, 디자인 검토가 완료된 경우에 제1 치기공소에서 보철물을 제작하여 제작된 보출물이 제1 의사에게 제공하게 처리한다(S302).
S302 과정에서는 제1 의사 단말(10)에서 치기공소 단말(20)로 보철물 디자인 작업에 관련한 정보를 전송하며, 플랫폼(100)은 제1 의사 단말(10)에서 치기공소 단말(20)로 전송한 보철물 디자인 작업에 관련한 정보를 이용하여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와 설계 가이드 정보를 생성한다(S303).
이후, 플랫폼(100)은 제1 의사 단말(10)로부터 제2 치기공소로 제작 의뢰를 요청하는 제작의뢰(최초 제작의뢰 아님)를 수신하면(S304), S303 과정에서 생성한 설계 가이드 정보와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 및 제작의뢰서를 제2 치기공소 단말(20)에 제공한다(S305).
플랫폼(100)은 제2 치기공소 단말(20)에서 디자인 작업시에 제2 치기공소 단말(20)과 네트워크로 연결되고, 제2 치기공소 단말(20)의 디자인 작업에 연동하여 디자인 작업별로 제1 의사 단말(10)이 요청한 디자인 요청 사항을 제2 치기공소 단말(20)에게 제공함으로써, 제2 치기공소 단말(20)에서 작성되는 디자인이 제1 의사 단말(10)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디자인되도록 안내한다(S306).
플랫폼(100)은 제2 치기공소 단말(20)에서 제작한 디자인을 제1 의사 단말(10)에 제공하여 검토하게 하고, 제1 의사 단말(10)의 수정 요구시 수정요청서 작성을 지원하며, 수정사항이 없는 경우 작업지시를 제2 치기공소 단말(20)에 알린다(S307).
제2 치기공소에서 최종 확인된 디자인으로 보철물을 제작하고 제1 의사에게 전달하면, 제1 의사 단말(10)은 제작한 보철물에 대한 평가의견을 작성하여 플랫폼(100)에 제공하고, 플랫폼(100)은 평가의견과 더불어 제1 의사 단말(10)에서 제공한 보철물 디자인 작업에 관련한 정보를 학습하고(S308), 학습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의사 단말(10)에 대한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와 설계 가이드 정보를 갱신한다(S309).
이하에서는 최초 제작의뢰시에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플랫폼(100)은 의사 단말(10)에서 보철물에 대한 최초 제작의뢰 요청을 수신하면 제작의뢰서 양식을 제공하여 제작의뢰서를 수신한다(S401),
플랫폼(100)은 제작의뢰서에 포함된 의사 단말(10)과 치기공소 단말(20)(또는 치기공소)을 식별하고(S402), 해당 치기공소 단말(20)에게 제작의뢰서를 제공하여 제작 의뢰를 문의한다(S403).
플랫폼(100)은 치기공소 단말(20)로부터 제작 의뢰에 대한 응답으로 승낙을 수신하면(S404), 승낙 사실을 의사 단말(10)에 알린다. 치기공소 단말(20)은 제작의뢰서에 포함된 디자인 요구사항을 참고하여 1차적으로 제작한 1차 제작 디자인을 플랫폼(100)에 제공하고(S405), 플랫폼(100)은 수신한 1차 제작 디자인을 의사 단말(10)에 제공하여 디자인 확인을 요청한다(S406).
플랫폼(100)은 의사 단말(10)로부터 수정 요청을 수신하면 수정요청서 양식을 제공하고 작성된 수정요청서를 수신하여(S407), 수정요청서를 치기공소 단말(20)에 제공한다(S408).
그러면 치기공소에서는 수정요청서에 포함된 수정 요청사항을 확인하여 2차적으로 제작한 2차 제작 디자인을 플랫폼(100)에 제공하고(S409), 플랫폼(100)은 수신한 2차 제작 디자인을 의사 단말(10)에 전달한다(S410).
플랫폼(100)은 의사 단말(10)로부터 수정사항이 없음을 알리는 확인 정보를 수신하면(S411), 이를 치기공소 단말(20)에 전달하여 실물 보철물의 제작을 지시한다(S412).
치기공소는 확인된 디자인으로 보철물을 제작하고, 제작한 보철물을 오프라인 상으로 의사에게 전달한다(S413).
보철물을 제공받은 의사는 의사 단말(10)을 통해 플랫폼(100)에 접속하고, 플랫폼(100)은 의사 단말(10)에게 평가의견을 작성할 수 있는 평가의견 작성 양식을 제공하여 의사로부터 평가의견을 수신한다(S414).
플랫폼(100)은 제작의뢰서에 포함된 디자인 요구사항의 선호하는 디자인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를 생성하고, 디자인 요구사항, 수정요청서 및 평가의견을 이용하여 해당 의사에 대한 설계 가이드 정보를 생성한다(S415).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하여 S306 과정인 설계 가이드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설계 가이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플랫폼(100)은 제1 의사 단말(10)로부터 제작의뢰서를 수신하면(S501), 제작의뢰서, 제1 의사 단말에 대한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 및 설계 가이드 정보를 치기공소 단말(20)에 제공한다(S502).
제작 의뢰를 승낙한 치기공소인 경우에, 치기공소 단말(20)은 제작의뢰서에 포함된 로우 데이터 즉, 3차원 촬영영상과 구강 스캐너 데이터를 확인하고(S503), 설계 가이드 정보와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를 확인한다(S504).
그런 다음 디자인 작업을 위해 치기공소 단말(20)에서 제2 디자인툴을 실행하면(S505), 치기공소 단말(20)은 플랫폼(100)에 접속하여 제작의뢰에 대응한 디자인 작업을 수행함을 알리고, 작업하는 디자인툴의 종류를 알린다(S506).
플랫폼(100)은 치기공소 단말(20)에서 실행한 디자인툴의 종류와 제1 의사 단말(10)이 선호하는 디자인툴의 종류가 같은지 또는 다른지를 확인하고(S507), 제1 의사 단말(10)이 선호하는 디자인툴의 종류가 제2 디자인툴이 아닌 제1 디자인툴이면 설계 가이드 동작을 시작한다(S508).
치기공소 단말(20)은 제2 디자인툴을 이용한 작업시에 제1 디자인 항목 또는 제1 디자인 단계에 대한 제1 작업 항목에 대한 정보를 플랫폼(100)에 제공하고(S509), 플랫폼(100)은 제1 의사 단말(10)에 대한 설계 가이드 정보에서 제1 작업 항목이 있는지를 파악한다(S510).
플랫폼(100)은 설계 가이드 정보에 제1 작업 항목이 없으면 제1 작업 항목에 대한 설계 가이드를 하지 않지만, 제1 작업 항목이 있으면 호환성 저장부(190)에서 제1 디자인툴에 대한 제2 디자인툴의 제1 작업 항목에 대한 호환성 값을 파악한다(S511).
플랫폼(100)은 파악한 호환성 값이 100 이상이면 호환성이 좋다고 치기공소 단말(20)에 알리고, 호환성 값이 100 미만이면 설정값 이하인지를 판별한 후 설정값보다 크면 호환성 값을 치기공소 단말(20)에 제공하며, 설정값 이하이면 호환성 값과 함께 경고 또는 주의 메시지를 치기공소 단말(20)에 제공한다(S512).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치과 생태계 연결 플랫폼 10: 의사 단말
20: 치기공소 단말 110: 제작의뢰 관리부
120: 의사 응대부 130: 선호도 파악부
140: 치기공소 응대부 150: 설계 가이드부
160: 디자인툴 저장부 170: 의사정보 저장부
180: 치기공소정보 저장부 190: 호환성 저장부

Claims (8)

  1. 플랫폼에서 의사 단말과 치기공소 단말 간에 정보를 교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의사 단말로부터 제1 제작물에 대한 최초 제작의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작의뢰에 포함된 제1 치기공소 단말에게 제작의뢰에 대한 수임여부를 문의하여 응답을 확인하는 단계;
    수락 응답한 상기 제1 치기공소 단말로부터 수신한 1차 디자인 정보를 상기 제1 의사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의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디자인 정보에 대한 디자인 수정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치기공소 단말로부터 수신된 최종 디자인 정보를 상기 제1 의사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의사 단말로부터 상기 최종 디자인 정보로 제작된 상기 제1 제작물에 대한 평가의견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최초 제작의뢰에 포함된 디자인 요구사항과 상기 수정요청 및 상기 평가의견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의사 단말에 대한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와 설계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의사 단말로부터 제2 제작물에 대한 제작의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작의뢰에 포함된 제2 치기공소 단말에게 제작의뢰에 대한 수임여부를 문의하여 응답을 확인하는 단계;
    수락 응답한 상기 제2 치기공소 단말로 제작의뢰와 상기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와 설계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 치기공소 단말로부터 수신한 디자인 정보를 상기 제1 의사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수정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 의사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디자인 정보에 대한 디자인 수정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의사 단말로부터 제2 치기공소에서 제작한 상기 제2 제작물에 대한 평가의견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작의뢰에 포함된 디자인 요구사항과 수정요청 및 상기 제2 제작물에 대한 평가의견을 학습하고 학습한 정보로 상기 제1 의사 단말에 대한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와 설계 가이드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과 생태계 연결 서비스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작물에 대한 디자인 작업시 상기 제2 치기공소 단말과 연결하는 단계;
    상기 제2 치기공소 단말로부터 디자인 작업중인 제1 디자인툴의 작업 항목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설계 가이드 정보에 수신한 작업 항목에 대한 설계 대상이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설계 대상에 대한 디자인 정보를 상기 제2 치기공소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 생태계 연결 서비스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자인툴의 종류와 상기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의 디자인툴의 종류가 동일한지를 파악하는 단계; 및
    디자인툴의 종류가 다른 경우, 상기 설계 가이드 정보에 수신한 작업 항목에 대한 설계 대상이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설계 대상에 대한 디자인 정보와 함께 해당 작업 항목에 대한 호환성 값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 생태계 연결 서비스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호환성 값이 설정값 이하이면 경고나 주의 메시지를 상기 제2 치기공소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치과 생태계 연결 서비스 방법.
  5. 의사 단말에게 제작의뢰서 양식을 제공하고, 작성된 제작의뢰서를 수신하여 관리하는 제작의뢰 관리부;
    의사 단말에게 수정요청서 양식을 제공하고, 작성된 수정요청서를 수신하고, 의사 단말에게 평가의견 양식을 제공하고 작성된 평가의견을 수신하고 관리하는 의사 응대부;
    상기 제작의뢰서에 포함된 디자인 요구사항과 상기 수정요청서의 내용과 상기 평가의견을 학습하여 해당 의사 단말에 대한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와 설계 가이드 정보를 생성 또는 갱신하는 선호도 파악부; 및
    상기 제작의뢰서와 상기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 및 상기 설계 가이드 정보를 해당 의사 단말이 지정한 치기공소 단말로 전송하고, 치기공소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보철물의 3차원 디자인을 해당 의사 단말에게 제공하는 치기공소 응대부를 포함하는 치과 생태계 연결 서비스 플랫폼.
  6. 제5 항에 있어서,
    보철물에 대한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는 치기공소 단말과 연결하고, 치기공소 단말로부터 디자인 작업중인 제1 디자인툴의 작업 항목을 수신하며, 상기 설계 가이드 정보에 수신한 작업 항목에 대한 설계 대상이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설계 대상에 대한 디자인 정보를 치기공소 단말에 제공하는 설계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 생태계 연결 서비스 플랫폼.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가이드부는,
    상기 제1 디자인툴의 종류와 제작 의뢰한 의사 단말에 대한 상기 디자인툴 선호도 정보의 디자인툴의 종류가 동일한지를 파악하고, 디자인툴의 종류가 다른 경우, 상기 설계 가이드 정보에 수신한 작업 항목에 대한 설계 대상이 포함되어 있으면 해당 설계 대상에 대한 디자인 정보와 함께 해당 작업 항목에 대한 호환성 값을 제공하는 치과 생태계 연결 서비스 플랫폼.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설계 가이드부는,
    상기 호환성 값이 설정값 이하이면 경고나 주의 메시지를 상기 제2 치기공소 단말에게 제공하는 치과 생태계 연결 서비스 플랫폼.
KR1020220086566A 2022-07-13 2022-07-13 치과 생태계 연결 플랫폼 및 연결 서비스 방법 KR20240009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566A KR20240009583A (ko) 2022-07-13 2022-07-13 치과 생태계 연결 플랫폼 및 연결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566A KR20240009583A (ko) 2022-07-13 2022-07-13 치과 생태계 연결 플랫폼 및 연결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583A true KR20240009583A (ko) 2024-01-23

Family

ID=89714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6566A KR20240009583A (ko) 2022-07-13 2022-07-13 치과 생태계 연결 플랫폼 및 연결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958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445B1 (ko) 2020-03-13 2020-08-24 주식회사 아스터유나이티드 치과 보철물 설계를 위한 디자이너와 치과 기공소의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445B1 (ko) 2020-03-13 2020-08-24 주식회사 아스터유나이티드 치과 보철물 설계를 위한 디자이너와 치과 기공소의 매칭 플랫폼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0869B2 (en)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Kalenderian et al. The development of a dental diagnostic terminology
KR102050458B1 (ko) 치과 병원과 치기공물 제작자 간의 업무 매칭 방법 및 장치
CN112423699A (zh) 用于评估牙齿状况的方法
KR20080089437A (ko) 치과용 제품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 및 방법과제조 공정
CN106137123A (zh) 个人口腔健康诊疗系统
WO2021044693A1 (ja) 指示書管理システム、指示書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指示書管理方法
KR20060100737A (ko) 인터넷을 이용한 치과 환자 진료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Valizadeh et al. A novel digital dentistry platform based on cloud manufacturing paradigm
KR101619343B1 (ko) 치과 병의원과 치과 기공소의 공정 관리 시스템
US20100035212A1 (en) Preparation of dental implant surgery and prosthesis installation
JP6697200B1 (ja) 指示書管理システム、指示書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指示書管理方法
KR20200106649A (ko) 치과의 보철 치료 통합 관리 서버 및 이를 이용한 통합 관리 방법
JP7382582B2 (ja) 技工物自動設計システム
US11538579B2 (en) Medical management system
KR20240009583A (ko) 치과 생태계 연결 플랫폼 및 연결 서비스 방법
KR101559462B1 (ko) Nfc를 이용한 치과기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931214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producing implant placing guide
KR101146998B1 (ko) 온라인 기공물 제조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KR102452171B1 (ko) 보철물 관리 시스템
JP2006209288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2377060B1 (en) System and method for multi-person and multi-site, interactive treatment simulation
JP2022183117A (ja) データ管理システム
CN115187423A (zh) 牙齿设计制造云平台
JP7418815B2 (ja) 患者と歯科医とのマッチ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