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500A - 클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클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500A
KR20240009500A KR1020237043843A KR20237043843A KR20240009500A KR 20240009500 A KR20240009500 A KR 20240009500A KR 1020237043843 A KR1020237043843 A KR 1020237043843A KR 20237043843 A KR20237043843 A KR 20237043843A KR 20240009500 A KR20240009500 A KR 20240009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liquid
cleaning
liquid tank
tank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3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겐 니
구오시앙 키안
용준 시에
신신 리
Original Assignee
킹클린 일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킹클린 일렉트로닉 그린 테크놀러지 (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0587480.6A external-priority patent/CN115399689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0813176.9A external-priority patent/CN115634867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2111007095.6A external-priority patent/CN115721201A/zh
Application filed by 킹클린 일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킹클린 일렉트로닉 그린 테크놀러지 (쑤저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킹클린 일렉트로닉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09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5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47L11/4016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27Filtering or separating contaminants or debr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1Roll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4Accessori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vacuum-cleaning devices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 Confectioner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개시물은 클리닝 장치를 제공한다. 클리닝 장치는 기계 본체, 세정액 탱크 및 바닥 브러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닥 브러시는 기계 본체의 단부에 연결되고, 세정액 탱크는 바닥 브러시의 위에 배열될 수 있으며, 세정액 탱크는 바닥 브러시나 바닥에 세정액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세정 작업을 위해 클리닝 장치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기계 본체를 잡고 바닥 브러시의 이동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클리닝 장치는 바닥 브러시에 세정액 탱크를 세팅함으로써 기계 본체의 용적과 하중을 줄일 수 있어, 클리닝 장치의 전체적인 용적과 하중을 줄여, 사용자가 기계 본체를 조작할 때의 부하와 하중을 줄일 수 있고 세정 작업 중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클리닝 장치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1년 5월 27일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2110587480.6, 2021년 7월 19일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2110813176.9, 2021년 8월 30일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2111007095.6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각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개시물은 클리닝 장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습식 및 건식 진공 청소기가 점점 대중화되고 있다. 현재의 습식 및 건식 진공 청소기는 일반적으로 청소기 본체에 세정액을 담는 탱크와 쓰레기를 저장하는 탱크를 배열하는데, 이로 인해 본체 전체의 용적과 하중이 증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손으로 조작하는 것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한편, 진공 청소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진공 청소기를 사용하여 개방되지 않은 공간(예: 침대 밑 바닥, 소파, 커피 테이블 등)의 바닥을 세정하는 경우, 사용자는 기계 본체를 바닥에 평행하게 또는 바닥에 비해 작은 각도로 회전시켜야 한다. 그러나 기계 본체에 많은 액세서리를 추가하면, 회전에 영향을 미쳐 개방되지 않은 공간에서 세정 작업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토대로, 높은 세정효율, 다양한 현장 적용 범위, 경량화, 심플하고 컴팩트한 외관을 갖춘 클리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개시물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클리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클리닝 장치는 기계 본체, 세정액 탱크 및 바닥 브러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바닥 브러시는 기계 본체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세정액 탱크는 바닥 브러시의 위에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세정액은 탱크는 바닥 브러시나 바닥에 세정액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액 탱크는 상기 바닥 브러시에 위치하며, 높이 방향에 따른 상기 바닥 브러시와 상기 세정액 탱크의 돌출부들은 기본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세정액 탱크의 길이 방향에 따른 상기 세정액 탱크의 최대 크기는 상기 바닥 브러시의 길이 방향에 따른 상기 바닥 브러시의 최대 크기와 기본적으로 일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 브러시는 작업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작업 부분의 최대 크기는 250 내지 270㎜이고, 상기 작업 부분의 폭 방향을 따른 상기 작업 부분의 최대 크기 대 상기 작업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작업 부분의 최대 크기의 비율은 0.5 내지 0.7이고, 및/또는 상기 세정액 탱크의 용적 대 상기 작업 부분의 용적의 비율은 0.3 내지 0.6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작업 부분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기 바닥 브러시의 작업 부분의 최대 크기 대 상기 작업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작업 부분의 최대 크기의 비율은 0.25 내지 0.55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액 탱크의 폭 방향을 따른 상기 세정액 탱크의 최대 크기 대 상기 작업 부분의 폭 방향을 따른 상기 바닥 브러시의 작업 부분의 최대 크기의 비율은 0.5 내지 0.7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액 탱크의 높이 방향에 따른 상기 세정액 탱크의 최대 크기 대 상기 작업 부분의 높이 방향에 따른 상기 바닥 브러시의 작업 부분의 크기들과 상기 세정액 탱크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기 세정액 탱크의 크기들의 합들의 최대 값의 비율은 0.4 내지 0.7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액 탱크의 용량과 상기 세정액 탱크의 용적의 비율은 0.35 이상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액 탱크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기 세정액 탱크의 무게 중심은 상기 세정액 탱크의 중간 영역으로 돌출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액 탱크의 저부에는 출구가 제공되고, 상기 출구에는 상기 출구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밸브 조립체가 제공되고, 상기 밸브 조립체의 출구 면적이 3㎟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 브러시는 설치 쉘, 상부 커버, 및 롤링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롤링 브러시의 양단은 상기 설치 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세정액 탱크는 상기 설치 쉘의 상부 부분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설치 쉘은 저부 쉘과 상단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 브러시의 설치 챔버가 상기 저부 쉘과 상기 상단 커버 사이에 형성되며, 및 상기 바닥 브러시는 쓰레기를 흡입하는 흡입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포트는 상기 설치 쉘의 전방측과 상기 롤링 브러시의 후방측에 위치하며, 상기 바닥 브러시의 설치 챔버에는 상기 흡입 포트와 연통되는 제1 채널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 브러시의 설치 챔버에는 펌프가 제공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세정액 탱크 내의 세정액을 펌핑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상단 커버는 수용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세정액 탱크는 상기 수용 슬롯 내에 위치하고, 상기 펌프의 상단이 상기 수용 슬롯의 최저 표면보다 높고, 및/또는 상기 제1 채널의 상단은 상기 수용 슬롯의 최저 표면보다 높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 슬롯의 저면에는 상기 펌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돌기가 제공되고, 상기 세정액 탱크의 저부 부분에는 상기 제1 돌기를 회피하도록 구성된 제1 오목 부분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 브러시는 상기 롤링 브러시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모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바닥 브러시의 설치 챔버 내에서 상기 펌프로부터 떨어진 제1 채널 측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롤링 브러시 내에 배열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설치 챔버는 저부 쉘을 포함하고, 상기 저부 쉘의 일측은 제1 롤링 브러시 지지부로 고정되고, 상기 저부 쉘의 타측은 자기 인력 구조체를 통해 제2 롤링 브러시 지지부와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롤링 브러시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롤링 브러시의 최대 크기 대 상기 작업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바닥 브러시의 작업 부분의 최대 크기의 비율은 0.9 이상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액 탱크의 상단 표면은 기본적으로 상기 상부 커버의 상단 표면과 같은 높이이고, 상기 세정액 탱크와 상기 상부 커버는 독립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설치 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커버에는 노즐이 설치되고, 상기 세정액 탱크 내의 세정액이 상기 펌프의 작용에 의해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액 탱크는 상기 설치 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액 탱크는 자기 인력 구조체를 통해 상기 설치 쉘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 브러시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기 세정액 탱크의 최대 크기는 상기 수용 슬롯의 크기보다 크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 브러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상단 커버의 양단에는 볼록 에지가 제공되고, 상기 세정액 탱크의 양측에는 슬롯이 제공되고 상기 볼록 에지는 상기 슬롯에 대응하여 배열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 브러시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슬롯의 크기 대 상기 세정액 탱크의 최대 크기의 비율은 0.4 내지 0.7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 브러시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볼록 에지의 크기는 7 내지 10㎜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 브러시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정액 탱크의 양측에는 상기 슬롯에 대해 상기 세정액 탱크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볼록 부분이 제공되고, 및 상기 바닥 브러시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볼록 부분의 최대 크기는 10 내지 20㎜이고 및/또는 상기 바닥 브러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볼록 부분의 크기는 8 내지 15㎜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 브러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세정액 탱크의 양측에는 둥근 모서리 또는 모따기가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클리닝 장치는 휴대형 집진 장치(handheld dust collection device)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기계 본체에는 고정 시트가 제공되며, 상기 휴대형 집진 장치는 상기 고정 시트에 배열되고, 상기 휴대형 집진 장치는 상기 고정 시트를 통해 상기 기계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클리닝 장치는 먼지 저장 탱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바닥 브러시는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먼지 저장 탱크와 연통하며, 상기 먼지 저장 탱크는 상기 휴대형 집진 장치로부터 멀리 상기 고정 시트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먼지 저장 탱크는 상기 고정 시트를 통해 상기 기계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먼지 저장 탱크는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상기 먼지 저장 탱크와 상기 휴대형 집진 장치 사이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시트에는 관통홀이 배열되고, 상기 채널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휴대형 집진 장치와 연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먼지 저장 탱크에는 분리기가 배열되고, 상기 분리기는 상기 먼지 저장 탱크 내의 쓰레기로부터 기체, 액체 또는 고체를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계 본체는 상기 먼지 저장 탱크의 지지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저장 탱크는 상기 먼지 저장 탱크의 지지 시트를 통해 상기 기계 본체에 배열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먼지 저장 탱크의 지지 시트는 상기 기계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계 본체는 제1 로킹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로킹 구조체는 상기 휴대형 집진 장치를 상기 기계 본체에 로킹하도록 구성되며, 및/또는 상기 기계 본체는 제2 로킹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로킹 구조체는 상기 먼지 저장 탱크를 상기 기계 본체에 로킹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형 집진 장치는 부착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 구성요소는 진드기 제거 브러시, 플랫 브러시, 헤어 브러시, 애완동물 브러시, 호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 구성요소는 상기 휴대형 집진 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계 본체는 막대(rod) 형상이고, 상기 기계 본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른 상기 고정 시트의 단면적, 상기 기계 본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른 상기 휴대형 집진 장치의 단면적 및 상기 기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른 상기 먼지 저장 탱크의 단면적은 상기 기계 본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른 상기 기계 본체의 최대 단면적보다 크다.
도 1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의 예시적인 분해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의 예시적인 부분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제2 채널의 예시적인 부분 유체 경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바닥 브러시의 예시적인 3차원 도면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5에 도시된 바닥 브러시의 예시적인 우측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물의 일부 일부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닥 브러시의 예시적인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도 5에 도시된 바닥 브러시의 예시적인 구조적 전개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세정액 탱크의 예시적인 우측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세정액 탱크의 예시적인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a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세정액 탱크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b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세정액 탱크의 예시적인 사시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c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밸브 조립체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상단 커버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예시적인 고정 위치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롤링 브러시의 예시적인 우측면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따른 롤링 브러시와 기어박스의 연결 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예시적인 단면도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지지 조립체의 예시적인 분해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먼지 저장 탱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저장 탱크의 예시적인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격벽판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체크 밸브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의 폐쇄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의 예시적인 단면도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커버의 예시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탱크에 격벽판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7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로드의 후방측의 오물 탱크 구조의 예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8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로드의 전방측 오물 탱크의 구조 예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기술적 해결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실시예의 설명에 사용해야 하는 도면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분명히, 다음 설명의 첨부 도면은 본 명세서의 일부 예 또는 실시예일 뿐이며, 당업자는 본 명세서를 다른 유사한 시나리오에 적용할 수도 있다. 문맥상 명백히 이해되지 않거나 문맥상 달리 예시되지 않는 한,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조 또는 동작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시스템", "장치", "유닛" 및/또는 "모듈"은 서로 다른 구성요소, 요소, 부품, 부품 또는 조립체를 서로 다른 수준으로 구별하기 위한 방법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다른 단어가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 해당 단어는 다른 표현으로 대체될 수 있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수 용어는 단수형에 국한되지 않으며,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포함하는" 및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명확하게 식별된 단계 및 요소의 포함을 의미할 뿐이며, 이러한 단계 및 요소는 배타적인 목록을 구성하지 않으며, 방법 또는 장치는 다른 단계 또는 요소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서, 클리닝 장치가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리닝 장치는 기계 본체, 세정액 탱크 및 바닥 브러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 브러시는 기계 본체의 단부에 연결되고, 바닥 브러시 위에는 세정액 탱크가 배열되며, 세정액 탱크는 바닥 브러시 또는 바닥에 세정액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 본체는 클리닝 장치의 다른 조립체(예: 바닥 브러시)를 운반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기계 본체의 일단(예: 하단)은 바닥 브러시에 연결된다. 사용자가 세정작업을 위해 클리닝 장치를 사용할 때, 사용자는 기계 본체를 잡고 바닥 브러시의 이동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클리닝 장치는 바닥 브러시에 세정액 탱크를 설치함으로써, 기계 본체의 용적 및 하중을 줄일 수 있으며, 이는 클리닝 장치의 전체 용적 및 하중을 감소시켜, 사용자가 기계 본체를 작동할 때의 부하와 하중을 감소시켜서 세정 작업시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시킨다. 또한, 바닥 브러시(예: 바닥 브러시의 작업 부분)와 세정액 탱크의 길이, 폭, 높이의 크기와 비율을 조절하여 바닥 브러시와 세정액 탱크를 결합하고, 세정액 탱크의 용량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바닥 브러시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바닥 브러시의 구조가 더욱 컴팩트하고 실용적이며 컴팩트하고 가볍다. 또한, 클리닝 장치는 개방된 공간에서 높은 세정효율을 가지며, 침대 바닥과 모서리를 원활하게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따른 클리닝 장치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도 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 장치는 기계 본체(5), 세정액 탱크(112), 바닥 브러시(1)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 브러시(1)는 기계 본체(5)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세정액 탱크(112)는 바닥 브러시(1) 위에 배열된다. 세정액 탱크(112)는 바닥 브러시(1) 또는 바닥에 세정액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 본체(5)는 막대 형상의 로드(5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로드(51)의 일단(예: 도 2에 도시된 로드(51)의 하단)은 바닥 브러시(1)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 본체(5)는 핸들 단부(512)를 포함할 수 있고, 핸들 단부(512)는 바닥 브러시(1)로부터 떨어진 로드(51)의 단부(예: 도 2에 도시된 로드(51)의 상단 단부)에 위치될 수 있어, 사용자가 클리닝 장치를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리닝 장치는 휴대형 집진 장치(6)(휴대형 진공 청소기로도 알려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휴대형 집진 장치(6)는 먼지 실린더 조립체(61) 및 동력 조립체(62)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조립체(62)는 휴대형 집진 장치(6)가 외부 환경으로부터 유체를 흡수하고 유체로부터 외부 환경으로 가스를 배출하도록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먼지 실린더 조립체(61)는 내부에 공동을 갖는 구조로 되어 유체 중의 쓰레기를 분리할 수 있다. 예컨대, 먼지 실린더 조립체(61)의 필터 구조는 유체 내의 고체(예: 입자상 물질, 먼지 등)와 가스를 분리할 수 있다. 먼지 실린더 조립체(61)는 동력 조립체(62)에 연결되어 유체 흐름을 위한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휴대형 집진 장치(6)가 작동 중일 때, 동력 조립체(62)의 작용에 따라 먼지 실린더 조립체(61)의 공기 입구(610)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유체를 흡수할 수 있고, 유체 내의 가스는 먼지 실린더 조립체(61)를 통과하여 외부 환경으로 배출되고, 유체 중의 고형물이 먼지 실린더 조립체(61)에 남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먼지 실린더 조립체(61)는 먼지 실린더 조립체(61) 내부의 쓰레기를 세정하기 위한 동력 구성요소(62)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분리 가능한 연결 부분은 나사연결, 클램핑, 본딩, 자기 흡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휴대형 집진 장치(6)는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유체를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클리닝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예: 먼지 저장 탱크(7))의 유체도 처리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계 본체(5)는 고정 시트(8)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시트(8)는 상기 기계 본체(5)의 로드(51)에 대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휴대형 집진 장치(6)는 상기 고정 시트(8)를 통해 상기 기계 본체(5)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고정 시트(8)에는 관통홀(8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먼지 실린더 조립체(61)의 공기 입구(610)의 일단은 정합 방식으로 관통홀(81)에 결합될 수 있다. 정합 방식의 연결은 먼지 실린더 조립체(61)의 공기 입구(610) 일단의 형상이 관통홀(81)의 형상과 일치하여 먼지 실린더 조립체(61)가 관통홀(81)과 밀봉된 채널을 형성하여, 먼지 저장 탱크(7)로부터 유체를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는 고정 시트(8)에 꽂혀 있는 휴대형 집진 장치(6)를 직접 제거하여 별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리닝 장치는 먼지 저장 탱크(7)를 포함할 수 있으며, 먼지 저장 탱크(7)는 제1 채널(23)(도 8에서 바닥 브러시 채널이라고도 함)을 통해 바닥 브러시(1)와 연통된다. 세정 공정에서, 외부 환경의 쓰레기는 제1 채널(23)을 통해 먼지 저장 탱크(7)로 유입될 수 있으며, 먼지 저장 탱크(7)는 먼지 저장 탱크(7) 내부로 유입된 쓰레기에 대해 제1 단계 분리 공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단계 분리 공정은 고체 액체 분리 공정, 고체 기체 분리 공정, 액체 기체 분리 공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먼지 저장 탱크(7)는 휴대형 집진 장치(6)로부터 떨어진 고정 시트(8)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먼지 저장 탱크(7)는 고정 시트(8)를 통해 기계 본체(5)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컨대, 바닥 브러시(1)에서 떨어진 먼지 저장 탱크(7)의 단부는 휴대형 집진 장치(6)에서 떨어진 고정 시트(8)의 단부와 정합 방식으로 연결되어 먼지 저장 탱크(7)와 고정 시트(8) 사이의 분리 가능한 연결을 달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기계 본체(5)에는 상기 제1 채널(23)과 상기 먼지 저장 탱크(7)를 연결하는 제2 채널(50)이 구비된다. 상기 제2 채널(50)은 상기 기계 본체(5) 내부에 배열되며, 상기 기계 본체(5)의 길이 방향(즉, 도 1에 도시된 Y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채널(50)의 일단은 제1 채널(23)과 연결되고, 제2 채널(50)의 타단은 먼지 저장 탱크(7)의 내부로 연결된다. 제1 채널(23)로 유입된 쓰레기는 제2 채널(50)을 통해 먼지 저장 탱크(7)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채널(50)은 기계 본체(5)에 배열되어 기계 본체(50)의 전체 용적을 줄일 수 있으므로 클리닝 장치의 전체 하중을 줄이고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채널(50)의 입구가 제1 채널(23)의 출구에 연결되고, 제2 채널(50)의 출구가 먼지 저장 탱크(7)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채널(50)의 출구는 먼지 저장 탱크(7)의 바닥, 측면 또는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 저장 탱크(7)는 고정 시트(8)의 관통홀(81)을 통해 휴대형 집진 장치(6)에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 저장 탱크(7)는 고정 시트(8)의 관통홀(81)을 통해 먼지 실린더 조립체(61)와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먼지 저장 탱크(7)의 제1 단계 분리 공정에 의해 분리된 유체는 관통홀(81)을 통해 휴대형 집진 장치(6)의 공기 입구(610)로 유입될 수 있다.
클리닝 장치의 사용시, 휴대형 집진 장치(6)는 먼지 저장 탱크(7)에 밀폐되어 유동적으로 연결되고, 먼지 저장 탱크(7)는 제2 채널(50)에 밀폐되어 유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동력 조립체(62)는 쓰레기 세정을 위한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외부 환경의 유체는 흡입 포트(211), 제1 채널(23), 제2 채널(50), 먼지 저장 탱크(7), 먼지 실린더 조립체(61)를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처리된 유체는 동력 조립체(62)의 배기 포트로부터 외부 환경으로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먼지 저장 탱크(7)와 먼지 실린더조립체(61)에 유체가 유입되면, 가스, 먼지 및/또는 액체가 혼합된 유체는 먼지 저장 탱크(7)에 의해 수행되는 가스, 먼지 및/또는 액체를 분리하는 제1 단계 분리 공정을 통해 분리될 수 있고; 먼지 및/또는 액체는 먼지 저장 탱크(7)에 저장될 수 있고, 제1 단계 분리 공정에 의해 분리된 유체는 먼지 및/또는 액체 분리를 위한 제2 단계 분리 공정을 위해 먼지 저장 탱크(7)로부터 먼지 실린더 조립체(61)로 유동할 수 있고, 분리된 깨끗한 공기는 동력 조립체(62)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본 개시물에서 유체는 세정 기류일 수도 있고, 쓰레기를 함유한 기류일 수도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쓰레기는 먼지, 고형 폐기물(예: 담배꽁초, 종이 조각, 쌀알 등) 및 더러운 액체(예: 오렌지 주스, 더러운 물, 깨끗한 물, 계란 액체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좁은 공간의 쓰레기를 세정할 때, 사용자가 휴대형 집진 장치(6)를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직접 사용할 수 있으므로, 클리닝 장치의 사용 시나리오가 더욱 다양해진다. 동력 조립체(62)의 흡입에 의해, 유체는 먼지와 가스 분리를 위해 휴대형 집진 장치(6)의 공기 입구(610)를 통해 먼지 실린더 조립체(61)로 유입될 수 있고, 분리된 깨끗한 공기는 동력 조립체(62)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먼지 저장 탱크(7)의 분리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먼지 저장 탱크(7) 내부에 분리기(도면에는 미도시)를 설치하고, 분리기는 먼지 저장 탱크(7)의 쓰레기 중 기체, 액체 또는 고체를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분리기는 유체가 먼지 저장 탱크(7)의 내부로 들어간 후 가스, 먼지 및/또는 액체를 분리할 수 있다. 먼지 및/또는 액체는 먼지 저장 탱크의 바닥에 저장되며, 분리된 가스는 휴대형 집진 장치(6)의 동력 조립체(62)의 작용에 따라 관통홀(81)과 먼지 실린더 조립체(61)를 통해 외부 환경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분리기는 사이클론 분리기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이클론 분리기는 원심분리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분리기는 필터형 분리기, 정전식 분리기 등과 같은 다른 분리기일 수도 있다.
휴대형 집진 장치(6)와 먼지 저장 탱크(7)는 고정 시트(8)를 통해 기계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휴대형 집진 장치(6), 먼지 저장 탱크(7) 및 기계 본체(5) 사이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계 본체(5)는 제1 로킹 구조(9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로킹 구조는 휴대형 집진 장치(6)를 기계 본체(5)에 로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 본체(5)는 제2 로킹 구조(91)를 포함하며, 제2 로킹 구조는 먼지 저장 탱크(7)를 기계 본체(5)에 로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로킹 구조(92)와 제2 로킹 구조(91)를 배열함으로써, 휴대형 집진 장치(6)와 먼지 저장 탱크(7)는 모두 기계 본체(5)에 대해 별도로 분리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로킹 구조(92)와 제2 로킹 구조(91)는 로킹 버클 구조, 버클 구조, 자기 흡인 구조, 접착 구조 등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계 본체(5)는 먼지 저장 탱크의 지지 시트(93)도 포함할 수 있다. 먼지 저장 탱크의 지지 시트(93)는 먼지 저장 탱크(7)를 먼지 저장 탱크의 바닥 또는 측면에서 지지함으로써 먼지 저장 탱크(7)를 기계 본체(5)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로킹 구조(91)에 의해 먼지 저장 탱크(7)의 로킹이 해제되면, 먼지 저장 탱크의 지지 시트(93)의 일단이 자동으로 기계 본체(5)로부터 멀어지면서 먼지 저장 탱크(7)와 기계 본체(5) 사이에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게 되고, 이로써 사용자가 먼지 저장 탱크(7)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각도는 45°를 초과할 수 없다. 예컨대, 특정 각도는 15°, 20°, 30°, 45° 등일 수 있다. 각도는 50°, 60° 및 기타 각도와 같이 45°보다 클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각도의 구체적인 값은 실제 상황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먼지 저장 탱크(7)를 제거하고 먼지 저장 탱크(7)에서 액체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먼지 저장 탱크의 지지 시트(93)는 기계 본체(5)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피봇부로부터 떨어진 일단은 플레이트형 또는 블록형 플러그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먼지 저장 탱크의 지지 시트(93)와 기계 본체(5) 사이에 탄성 요소가 제공될 수 있으며, 탄성 요소는 먼지 저장 탱크의 지지 시트(93)를 기계 본체(5)에 대해 튕겨서, 플러그 요소가 기계 본체(5)로부터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실시예에서, 먼지 저장 탱크(7)의 일단은 고정 시트(8)에 정합 방식으로 연결되고, 먼지 저장 탱크(7)의 타단은 먼지 저장 탱크의 지지 시트(93)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먼지 저장 탱크(7)의 측벽 일부가 기계 본체(5)에 부착될 수 있고, 먼지 저장 탱크(7)와 플러그 요소의 작용에 의해 탄성 요소가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가 먼지 저장 탱크(7)를 고정 시트(8)에서 분리하면, 탄성 요소의 탄성력에 의해, 플러그 요소가 기계 본체(5)에서 멀어질 수 있으며 동시에 플러그 요소가 기계 본체(5)로부터 멀어지게 먼지 저장 탱크(7)를 구동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탄성 요소는 스프링, 판 스프링, 벨로우즈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먼지 저장 탱크(7)에는 플러그 요소에 삽입될 수 있는 소켓 요소(70)가 제공될 수 있다. 플러그 요소가 회전하면, 먼지 저장 탱크(7)는 소켓 요소(70)를 통해 플러그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플러그 요소가 탄성 요소의 작용에 따라 기계 본체(5)로부터 멀어지면, 먼지 저장 탱크(7)는 플러그 요소와 함께 기계 본체(5)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먼지 저장 탱크(7)가 기계 본체(5)로부터 멀어지는 공정은 먼지 저장 탱크(7)가 자동으로 흔들리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러그 요소와 소켓 요소의 위치는 먼지 저장 탱크(7)를 자동으로 흔들어 빼내는 효과를 달성하도록 교환될 수 있다.
먼지 저장 탱크(7) 내에 액체가 있을 때, 자동으로 튀어나오는 각도가 너무 크면, 액체가 튀거나 넘칠 우려가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계 본체(5)에 대한 먼지 저장 탱크(7)의 자동으로 튀어나오는 각도는 45°를 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기계 본체(5)에 제한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먼지 저장 탱크의 지지 시트(93)의 최대 회전 진폭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자동으로 너무 빨리 튀어나오는 것을 회피하여, 먼지 저장 탱크(7)에 액체가 심하게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먼지 저장 탱크의 지지 시트(93)의 피봇부에 회전 댐퍼를 설치할 수도 있다.
고정 시트(8)를 기계 본체(5)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되게 배열함으로써, 휴대형 집진 장치(6)의 무게 중심과 하중의 대부분을 기계 본체(5)가 아닌 고정 시트(8)에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기계 본체(5)에는 제1 로킹 구조(92)가 배열될 수 있고, 고정 시트(8)와 제1 로킹 구조(92)의 협동을 통해, 휴대형 집진 장치(6)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기계 본체(5)에 지지 시트(93), 고정 시트(8), 제2 로킹 구조(91)를 설치함으로써, 기계 본체(5)와 먼지 저장 탱크(7) 사이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다.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클리닝 장치에서는, 고정 시트(8), 로킹 구조[예: 제1 로킹 구조(92)와 제2 로킹 구조(91)] 및 먼지 저장 탱크의 지지 시트(93)와 같은 구조들을 통해 휴대형 집진 장치(6) 또는 먼지 저장 탱크(7)의 고정이 달성되어, 기계 본체(5)의 지지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어, 로드(51)를 가느다란 막대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계 본체(5)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예컨대 기계 본체의 전체 중량을 70% 초과로 줄일 수 있으며, 클리닝 장치의 전체 외관은 더욱 간결하고 산뜻해질 수 있다.
또한, 가느다란 막대 형상을 갖는 로드(51)의 단면적은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는다. 로킹 구조 등 필요한 액세사리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로드(51)의 단면적(즉, 로드(5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면적)은 필연적으로 어느 정도변화를 갖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서 큰 변화가 없다는 것은 길이 방향(즉, 도 1에 도시된 Y 방향)을 따라 막대 형상을 갖는 로드(51)의 단면적의 대부분이 큰 변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로드(51)의 단면적은 최소값과 최대값을 가지며, 로드(51)의 단면적의 최대값은 고정 시트(8)의 평균 단면적, 휴대형 집진 장치(6)의 평균 단면적, 또는 먼지 저장 탱크(7)의 평균 단면적 중 어느 하나보다 작을 수 있다. 고정 시트(8)의 단면적은 로드(5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른 단면적을 의미한다. 따라서, 고정 시트(8)의 평균 단면적은 로드(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서 고정 시트(8)의 단면적의 평균을 의미한다. 휴대형 집진 장치(6)의 평균 단면적은 로드(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서 휴대형 집진 장치(6)의 단면적의 평균을 의미한다. 먼지 저장 탱크(7)의 평균 단면적은 로드(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먼지 저장 탱크(7)의 단면적의 평균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로드(51)의 단면적의 최대값은 고정 시트(8)의 평균 단면적, 휴대형 집진 장치(6)의 평균 단면적, 또는 먼지 저장 탱크(7)의 평균 단면적 중 하나의 절반 미만일 수 있어, 가느다란 막대 형상을 갖는 로드(51)의 이동성을 확보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로드(51)의 폭 방향(즉, 도 1에 도시된 X 방향)을 따른 로드(51)의 크기(W1) 대 로드(51)의 길이 방향을 따른 로드(51)의 크기(L1)의 비율은 0.02 내지 0.06일 수 있다. 로드(51)의 폭 방향을 따른 로드(51)의 크기(W1)는 43㎜ 내지 49㎜일 수 있고, 로드(51)의 길이 방향을 따른 로드(51)의 크기(L1)는 1000㎜ 내지 1200㎜일 수 있다. 상기 구성을 통해, 기계 본체의 전체 하중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가 쉽게 쥐고 사용할 수 있으며, 클리닝 장치의 전체 크기와 하중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고정 시트(8)의 형상은 대략 원형일 수 있으며, 고정 시트(8)의 폭 방향(예: 도 2에 도시된 W2)에 따른 고정 시트(8)의 최대 크기 대 로드(51)의 폭방향을 따른 로드(51)의 크기(W1)의 비율은 1.8 내지 3이 될 수 있으며, 이는 고정 시트(8)와 로드(51)의 전체적인 폭을 최대한 작게 설계하면서도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서, 로드(51)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여 바닥 브러시를 침대 바닥으로 추가로 깊게 연장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기계 본체(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되며, 고정 시트의 돌출 면적 대 로드의 돌출 면적의 비율은 6.5 내지 9일 수 있다. 돌출 면적은 단면 영역의 외부 에지로 둘러싸인 면적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고정 시트(8)의 돌출 면적은 55 내지 8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휴대형 집진 장치(6)는 부착 구성요소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부착 구성요소는 진드기 제거 브러시, 플랫 브러시, 헤어 브러시, 애완동물 브러시, 호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부착 구성요소는 휴대형 집진 장치(6)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휴대형 집진 장치가 별도로 사용되는 경우, 부착 구성요소는 휴대형 집진 장치(6)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부착 구성요소는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방 전체 세정에 적합하도록 연결 요소를 통해 휴대형 집진 장치(6)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 요소는 호스, 긴 파이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제공된 클리닝 장치의 구조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개시물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현장 기술인력의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안내에 따라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변형 및 수정은 보호 범위에 속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면에 도시된 요소의 개수는 실제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제거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다른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요소는 다수의 하위 요소로 분할될 수 있거나, 다수의 하위 요소는 단일 요소로 병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바닥 브러시의 예시적인 3차원 도면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브러시(1)는 작업 부분(11)과 연결 부분(12)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 브러시(1)는 바닥 브러시(1)의 폭 방향(예: 도 5에 도시된 W 방향)을 따라 서로 상대적인 전방 부분과 후방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연결 부분(12)은 작업 부분(11)의 후방에 배열될 수 있으며, 연결 부분(12)은 기계 본체(5)에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작업 부분(11) 및 연결 부분(12)은 일체형 구조일 수도 있고 서로 독립적일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작업 부분(11)은 바닥 브러시 본체(111)와 바닥 브러시 본체(111)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정액 탱크(112)로 구성될 수 있다. 바닥 브러시 본체(111)는 세정할 표면에 직접 접촉될 수도 있고, 세정할 표면의 쓰레기를 세정하는 데 사용된다. 세정액 탱크(112)는 내부에 깨끗한 물, 세정제, 케어제 등의 세정액을 저장할 수 있다. 세정할 표면을 젖은 상태로 분사해야 하는 경우, 세정액은 세정액 탱크(112)에서 세정할 표면으로 펌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는 투명 또는 불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세정액 탱크(112) 내의 세정액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는 일체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투명 재료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ABS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는 다수의 구성요소로 구성된 탱크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세정액 탱크(112)는 상단에서 저부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제1 쉘과 제2 쉘을 포함하고, 제1 쉘의 저부와 제2 쉘의 상단이 연결되어 내부 챔버를 갖는 세정액 탱크(112)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쉘과 제2 쉘의 연결 방식은 접합, 클램핑, 용접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쉘과 제2 쉘은 UV 경화형 접착제(UV 접착제)를 사용하여 용접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쉘과 제2 쉘의 재료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세정액 탱크(112)의 중량을 증가시켜 바닥 브러시(1)가 세정 표면에 가하는 압력을 증가시켜 세정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쉘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ABS 플라스틱 등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2 하우징 쉘은 유리, 세라믹, 금속(예: 스테인레스 스틸) 등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의 형상은 기본적으로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세정액 탱크(112)에 세정액이 채워지면, 세정액 탱크(112)의 높이 방향을 따른 세정액 탱크(112)의 무게 중심이 세정액 탱크(112)의 중간 영역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세정액 탱크(112)의 무게 중심은 세정액의 양에 따라 세정액 탱크(112)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컨대, 세정액 탱크(112)가 규칙적인 구조(예: 대략 직사각형 구조)이고, 세정액 탱크(112) 내의 세정액의 양이 최대값일 때(즉, 세정액 탱크(112)에 세정액이 채워져 있는 경우), 세정액 탱크(112)의 무게 중심은 세정액 탱크(112)의 기하학적 중심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세정액 탱크(112) 내의 세정액의 양이 세정액 탱크(112)의 용량보다 적은 경우, 세정액 탱크(112)의 무게 중심은 세정액 탱크(112)의 기하학적 중심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정액 탱크(112)의 저부에 출구가 열리면, 세정액이 중력에 의해 세정액 탱크(112)의 출구로 쉽게 흘러나올 수 있다. 또한, 세정액 탱크(112)가 불규칙한 구조인 경우, 예컨대 세정액 탱크(112)는 세정액 탱크(112)의 측벽에 기초하여 오목하거나 볼록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세정액 탱크(112)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세정액의 무게 중심은 세정액 탱크(112)의 중간 영역에 돌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세정액이 담긴 세정액 탱크(112)를 추출할 때, 세정액 탱크(112)의 무게 중심은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과도하게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의 출구는 세정액의 유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세정액 탱크(112) 바닥의 중앙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의 출구는 세정액 탱크(112)의 측벽과 같은 세정액 탱크(112)의 다른 위치에도 위치할 수 있다. 파이프라인(예: 제 1 파이프라인)의 배열을 용이하게 하고 파이프라인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 세정액 탱크(112)의 출구는 로드로부터 멀어지는 세정액 탱크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 내의 세정액은 세정액 공급 조립체(예: 도 8의 노즐(1120) 및 펌프(1121))를 통해 분사될 수 있다. 펌프(1121)는 세정액 탱크(112)로부터 노즐(1120)로 세정액을 펌핑하도록 구성되며, 노즐(1120)은 세정액 공급 조립체의 출력 단부로서 역할을 하여 세정할 표면에 세정액을 분사할 수 있고, 이로써 세정할 표면을 세정 및/또는 관리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는 세정액 또는 수용액을 주입하기 위한 입구(11202)를 포함할 수 있다. 입구(11202)는 세정액 탱크(112)의 상단 벽에 위치할 수 있으며, 입구(11202)는 세정액 탱크(112)의 상단 벽을 관통하여 세정액 탱크(112) 내부의 챔버와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홀 플러그(hole plug)는 입구(11202)에 배열될 수 있고, 홀 플러그는 입구(11202)와 정합할 수 있고, 예컨대, 홀 플러그와 입구(11202)는 나사식 연결, 억지 끼워맞춤, 삽입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는 하나 이상의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세정액 탱크(112)는 챔버를 포함할 수 있고, 챔버 내에 세정액이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세정액 탱크(112)는 제1 챔버와 제2 챔버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챔버는 제2 챔버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챔버는 수용액을 담는 구성일 수 있고, 제2 챔버는 세제를 담는 구성일 수 있고, 수용액을 제1 챔버에 주입하여 세제를 용해 또는 희석하여 세정액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1 파지 부분(1120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파지 부분(11203)은 세정액 탱크(112)의 상단 벽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파지 부분(11203)은 버클 요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파지 부분(11203)은 세정액 탱크(112)의 상단에 대해 아래쪽으로 오목한 제1 오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목 부분은 세정액 탱크(112)의 상단 벽과 핸들형 구조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세정액 탱크(112)를 취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는 또한 제2 파지 부분(11204)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파지 부분(11204)은 연결 부분(12)을 향하여 세정액 탱크(113)의 측벽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파지 부분(11204)은 연결 부분(12)을 향하는 세정액 탱크(113)의 측벽 상의 오목 영역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파지 부분(11203) 및/또는 제2 파지 부분(11204)은 세정액 탱크(112)의 중간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세정액 탱크(112)에 물이 채워진 후, 세정액 탱크(112)의 무게 중심이 오목한 영역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세정액 탱크(112)의 저부에는 다른 조립체(예: 펌프(1121)를 수용하기 위한 제1 돌기부(2203))가 오목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협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세정액 탱크(112)의 무게 중심은 여전히 제1 파지 부분(11203) 또는 제2 파지 부분(11204)의 돌출부 내에 있고, 이러한 배열은 사용자가 세정액 탱크(112)를 기계 본체(5) 부근으로 이동할 때 세정액 탱크(112)가 기본적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허용한다. 또한, 세정액 탱크(112)는 대략 아령 형태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제1 파지 부분(11203) 또는 제2 파지 부분(11204)을 통해 세정액 탱크(112)를 파지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파지 부분(11203)은 버클이고, 제2 파지 부분(11204)은 대략 오목한 영역일 수 있으며, 사용자는 아령처럼 세정액 탱크(112)를 파지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개시물에서는 도 5에서 길이 방향을 L 방향으로 표시하고, 도 5에서 높이 방향을 H 방향으로 표시하고, 폭 방향을 도 5에서 W 방향으로 표시할 수 있다.
바닥 브러시 본체(111)에 세정액 탱크(112)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로드를 잡고 침대 밑 공간을 세정하는데 편리하다. 동시에 위의 구조를 사용하면, 더 긴 세정액 파이프가 필요하지 않아 분사 반응이 더 빨라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배열은 바닥 브러시(1)의 전체 하중을 증가시켜, 지면에 대한 바닥 브러시(1)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세정 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세정액 탱크(112)가 바닥 브러시(1)의 위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 부분(11)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침대 바닥이나 모서리 등의 영역으로 쉽게 끌어서 세정하기가 어려워질 수 있다.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5 내지 도 7과 결합하여, 일부 실시예에서, 작업 부분(11)의 높이 방향(예: 도 5에 도시된 H 방향)을 따른 작업 부분(11)의 돌출부는 기본적으로 직사각형일 수 있고, 작업 부분(11)의 길이 방향(예: 도 5에 도시된 L 방향)을 따른 작업 부분(11)의 최대 크기()는 270㎜ 이하일 수 있다. 다른 형상에 비하여 기본 직사각형 돌출부 형상을 갖는 작업 부분(11)은 상대적으로 세정 범위가 크고, 한번의 푸시 풀(push pull) 동안 공간을 덜 차지하므로, 연결 부분(12)과 세정액 탱크(112)의 배열이 용이하다. 또한, 작업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작업 부분의 최대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모서리 세정을 위한 작업 부분(11)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작업 부분(11)의 길이 방향을 따른 최대 크기가 너무 작으면, 개방된 영역에서의 세정 효율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업 부분(11)의 길이 방향을 따른 최대 크기()는 250 내지 270㎜일 수 있다.
작업 부분(11)은 쓰레기를 흡입하는 상류 조립체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연결 부분(12)과 상호작용하여 기계 본체, 핸들, 기타 조립체를 지지하는 역할도 할 필요가 있고, 세정액 탱크(112)를 설치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작업 부분의 안정적인 지지 기능 및 설치 캐리어 기능을 충족시키면서 작업 부분(11)의 가능한 작은 크기를 달성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작업 부분(11)의 길이 또는 폭이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작업 부분(11)의 폭 방향의 최대 크기(b) 대 작업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른 최대 크기()의 비율은 0.5 내지 0.7일 수 있다. 바닥 브러시(1)의 프레임 구조로서 작업 부분(11)의 크기는 바닥 브러시(1)의 크기에 근접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세정액 공급 구성요소가 충분한 면적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의 용량은 0.35 내지 0.6L일 수 있다. 쉘을 갖는 세정액 탱크(112)로 인해, 즉, 세정액 탱크(112)의 용적(즉, 필요한 공간)은 필연적으로 세정액 탱크(112)의 용량을 초과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의 용량 대 세정액 탱크(112)의 용적의 비율은 0.35 이상일 수 있다. 세정액 탱크의 용량을 미리 설정할 때, 세정액 탱크(112)가 너무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제한하여 작업 부분(11)의 전체적인 컴팩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의 용적 대 작업 부분(11)의 용적의 비율은 0.3 내지 0.6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 부분(11)의 길이와 폭을 결정하면서, 작업 부분(11)의 높이를 제한할 수 있어, 세정을 위해 침대 저면, 소파 저면 등 높이가 제한되는 영역에 바닥 브러시(1)를 용이하게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작업 부분(11)의 높이 방향의 최대 크기() 대 작업 부분(11)의 길이 방향의 최대 크기()의 비율은 0.25 내지 0.55일 수 있으며, 이는 동시에 작업 부분의 세정 성능, 편의성 및 심미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바닥 브러시 본체(111)의 설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고 작업 부분(11)의 기본 형상에 맞추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의 높이 방향을 따른 세정액 탱크(112)의 돌출부는 기본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세정액 탱크(112)의 길이 방향을 따른 세정액 탱크(112)의 최대 크기()는 기본적으로 작업 부분(11)의 길이 방향을 따른 작업 부분(11)의 최대 크기()와 일치할 수 있다. 바닥 브러시(1)의 길이 방향을 따른 세정액 탱크(112)의 양측 사이의 거리는 기본적으로 바닥 브러시 본체(111)의 양측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고, 이는 세정액 탱크(112)에 설치 쉘의 원주 제한 기능만 유지하면서, 세정액 탱크(112)의 상부 구조가 기본적으로 작업 부분(11)의 길이 방향을 따른 최대 크기와 일치하도록 연장되도록 허용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동시에, 세정액 탱크(112)의 길이 방향을 따른 세정액 탱크(112)의 크기를 최대한 크게 설계할 수 있으며, 이는 세정액 탱크(112)의 높이 방향과 폭 방향을 따라 세정액 탱크(112)의 크기를 조절하는데 편리하고, 이로써 작업 부분(11)에 대한 조립체의 설치 위치 설계를 용이하게 한다.
설치 중에 필요한 제한 구조를 구성하고 및/또는 다른 조립체(예: 연결 부분(12))를 피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세정액 탱크(112)는 위에서 볼 때 정사각형이 될 수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기본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은 기본 평행성을 달성할 수 있는 부분을 갖는 양쪽 에지를 의미한다; 또한, 기본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인 작업 부분(1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작업 부분(11)의 돌출부도 이러한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세정액 탱크(112)의 후단은 작업 부분(11)의 후단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세정액 탱크(112)는 조립체가 바닥 브러시 본체(111) 위에 위치하지 않도록 최대한 뒤쪽에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닥 브러시 본체(111)는 설치 쉘(1111), 상부 커버(1112) 및 롤링 브러시(1113)를 포함할 수 있다. 롤링 브러시(1113)는 설치 쉘(1111)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배열되어 세정할 표면을 롤링 및 세정을 할 수 있고, 상부 커버(1112)는 롤링 브러시(1113)의 상부에 배열되어 롤링 브러시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며 설치 캐리어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세정액 탱크(112)는 상부 커버(1112)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 배열에 기초하여, 작업 부분(11)의 구조를 보다 높은 공간 활용도와 심미적인 실용성을 갖도록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와 상부 커버(1112)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세정액 투입 시 세정액 탱크(112)와 상부 커버(1112)는 함께 제거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와 상부 커버(1112)는 별도로 배열될 수도 있다. 세정액 탱크(112)와 상부 커버(1112)는 서로 독립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정액 탱크(112)의 제거 및 충전이 용이하게 되어, 세정액 탱크(112)와 상부 커버(1112)가 일체화될 때 사용자의 조작이 불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작업 부분(11)이 침대 밑의 영역까지 원활하게 연장될 수 있도록 작업 부분(11)의 상단을 거의 평탄한 구조로 하여 작업 부분(11) 상단에 돌출부가 없도록 할 수 있다. 즉, 세정액 탱크(112)의 상단 표면은 기본적으로 상부 커버(1112)의 상단 표면과 같은 높이일 수 있으며, 두 상단 표면은 단차를 피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평탄할 수 있다.
세정 공정 중에, 작업 부분(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작업 부분(11)의 양측이 장애물과 충돌하기 쉽다. 충돌로 인한 충격을 줄이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작업 부분(11)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커버(1112)와 세정액 탱크(112)는 바닥 브러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둥근 모서리 또는 챔퍼가 배열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커버(1112)가 설치 쉘(111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롤링 브러시(1113)를 편리하게 세정 및 분해할 수 있다. 세정액 탱크(112)와 상부 커버(1112)를 일체화한 것에 비해, 세정액 탱크(112)와 상부 커버(1112)를 분리하고 상부 커버(1112)를 설치 쉘(111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작업 부분(11)의 구조가 더욱 최적화되며, 사용자의 사용 습관과 더 잘 일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1112)의 폭이 너무 작을 경우, 롤링 브러시의 세정 및 분해 효과가 반영되기 어려울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의 폭 방향을 따른 세정액 탱크(112)의 최대 크기()(도 9 및 도 10에 도시됨) 대 작업 부분(11)의 폭방향을 따른 작업 부분(11)의 최대 크기()의 비율은 0.5 내지 0.7일 수 있다. 세정액 탱크(112)의 폭 방향을 따른 세정액 탱크(112)의 최대 크기(예: 최대 폭)를 제한함으로써, 상부 커버(1112)에 대한 충분한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설치 쉘(1111)은 저부 쉘(21)과 상단 커버(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롤링 브러시(1113)를 배열하기 위해 저부 쉘(21)과 상단 커버(22) 사이에 바닥 브러시 설치 챔버(210)가 배열될 수 있다. 바닥 브러시 본체(111)의 설치 쉘(1111)에는 쓰레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 포트(211)가 제공될 수 있다. 흡입 포트(211)는 저부 쉘(21)의 전방측 및 롤링 브러시(1113)의 후방측에 배열될 수 있다. 바닥 브러시의 설치 챔버(210)에는 흡입 포트(211)와 연통되는 제1 채널(23)이 제공될 수 있다. 세정 공정 동안, 세정할 표면의 쓰레기는 롤링 브러시(1113)에 의해 문질러지고 흡입 포트(211)를 통해 흡입되어 계속해서 제1 채널(23)을 통해 안내될 수 있다. 흡입 포트(211)에서 떨어진 제1 채널(23)의 단부는 기계 본체(5)의 제2 채널(50)과 연결되어 쓰레기를 먼지 저장 탱크(7)(도 4에 도시)로 이송할 수 있다.
브러시 설치 챔버(210) 내에서 제1 채널(23)이 일정 높이를 점유함에 따라, 바닥 브러시의 설치 챔버(210) 상부에 위치하는 세정액 탱크(112)의 높이가 작업 부분(11)의 과도한 높이를 회피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의 높이 방향을 따른 세정액 탱크(112)의 최대 크기() 대 작업 부분(1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작업 부분(11)의 최대 크기()의 비율 1은 0.4 내지 0.7일 수 있다.
도 8, 도 11a, 도 11b, 도 12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상단 커버(22)의 상부 부분에는 수용 슬롯(220)이 제공되고, 수용 슬롯(220)에는 세정액 탱크(112)가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는 수용 슬롯(22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수용 슬롯(220)에서 세정액 탱크(112)의 배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의 높이 방향을 따른 세정액 탱크(112)의 최대 크기()는 수용 슬롯의 높이 방향을 따른 수용 슬롯의 최대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수용 슬롯(220)의 구조에 기초하여, 바닥 브러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단 커버(22)의 양측이 볼록 에지(221)로 구성될 수 있음과 동시에, 세정액 탱크(112)의 양측이 볼록 에지(221)를 수용할 수 있는 슬롯(112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열에 기초하여, 세정액 탱크(112)는 약간 긴 상부 부분과 약간 짧은 하부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세정액 탱크(112)의 하부 부분은 위치결정 및 설치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약간 긴 상부 부분은 세정액 탱크(112)의 용량 연장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의 약간 긴 상부 부분에는 슬롯(1125)에 대해 세정액 탱크(112)의 양측을 향해 돌출되는 세정액 탱크(1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볼록 부분(1126)이 제공될 수 있다. 볼록 부분(1126)은 볼록 에지(221)와 정합되는 슬롯(1125)과 계단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의 입구(11202)의 저부는 계단 구조보다 높을 수 있다. 즉, 세정액 탱크(112)의 입구(11202)는 슬롯(1125)과 볼록 부분(1126) 사이의 연결 부분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볼록 부분(1126)은 세정액 탱크(112)의 내부와 연통되는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볼록 부분(1126)은 내부가 중공형 구조일 수 있다. 세정액 탱크(112)에 액체 용액이 채워지면, 세정액 탱크(112)의 슬롯(1125) 위의 볼록 부분(1126)의 공간에 세정액이 저장될 수 있어, 세정액 탱크(112)의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의 입구(11202)는 볼록 부분(1126)과 슬롯(1125)에 의해 형성된 계단 구조보다 높을 수 있으며, 이는 볼록 부분(1126)의 내부가 세정액을 저장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세정액 탱크(112)의 저장 공간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볼록 부분(1126)의 높이 방향을 따른 볼록 부분(1126)의 내부 공간의 최대 크기()는 10 내지 20㎜일 수 있다. 예컨대, 볼록 부분(1126)의 높이 방향을 따른 볼록 부분(1126)의 내부 공간의 최대 크기()는 14㎜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바닥 브러시(1)의 길이 방향을 따른 볼록 부분(1126)의 내부 공간의 크기()는 8 내지 15㎜일 수 있으며, 예컨대 볼록 부분(1126)의 내부 공간의 크기()는 11㎜일 수 있다.
슬롯(1125)의 높이 방향을 따른 슬롯(1125)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 슬롯(1125)의 돌기(221)의 제한성이 좋지 않아, 세정액 탱크(112)가 흔들리기 쉬울 수 있다. 슬롯(1125)의 높이 방향을 따른 슬롯(1125)의 크기가 너무 크면, 슬롯(1125)의 상부 부분에 위치하는 세정액 탱크(112)의 공간적 연장이 제한되어, 결과적으로 공간적 연장의 의미가 거의 없게 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슬롯(1125)의 높이 방향을 따른 슬롯(1125)의 크기() 대 세정액 탱크(112)의 높이 방향을 따른 세정액 탱크(112)의 최대 크기()의 비율은 0.4 내지 0.7일 수 있다.
볼록 에지(221)가 상대적으로 얇으면, 볼록 에지(221)의 강도가 약하여 세정액 탱크(112)를 효과적으로 제한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볼록 에지(221)가 상대적으로 두꺼운 경우, 슬롯(1125)의 크기가 증가하고, 세정액 탱크(112)의 용량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바닥 브러시(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볼록 에지(221)의 크기()는 7 내지 10㎜가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는 로킹 버클 구조, 버클 구조, 본딩 등과 같은 분리 가능한 연결을 통해 설치 쉘(111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분리 가능한 연결 구조는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필요로 하고, 눈에 잘 띄는 위치에 배열되어야 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는 자기 흡인 구조를 통해 설치 쉘(111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 도 11a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의 저부에는 제1 철 본체(1124)가 고정되고, 제1 철 본체(1124)와 인력 생성 가능한 제1 자석(214)이 바닥 브러시의 설치 챔버(2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 구조의 공간 점유를 감소시킬 수 있고, 연결 구조를 은폐시킬 수 있어 작업 부분(11)의 구조를 더욱 콤팩트하고 아름답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철 본체(1124)와 제1 자석(214)의 위치를 교환하거나, 제1 철 본체(1124)와 제1 자석(214)을 두 개의 자석으로 설정하여 자기 인력을 형성함으로써 자기 흡인 구조를 구현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의 저부에는 제1 액체 보간부(interpolation;1122) 및 위치결정 블록(1123)이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액체 보간부(1122)는 설치 쉘(1111)에 위치하는 제1 액체 소켓(2201)과 함께 밸브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액체 보간부(1122)가 제1 액체 소켓(1123)에 꽂히면, 세정액이 세정액 탱크(112) 밖으로 흘러나올 수 있다. 위치결정 블록(1123)은 설치 쉘(1111)의 소켓(2202)에 삽입되어 위치결정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조립체(1130)는 다른 구조일 수도 있다.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1130)는 세정액 탱크(112)의 출구에 제공될 수 있으며, 밸브 조립체(1130)의 적어도 일부는 세정액 탱크(112)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1130)는 조립체 출구(1132), 로드 해제 삽입 요소(1134), 및 삽입 요소 스프링(1138)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립체 출구(1132)는 내부 관통 구조일 수 있다. 즉, 조립체 출구(1132)는 내부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체 출구(1132)는 나사식 캡(1133)을 통해 세정액 탱크(112)의 출구에 설치될 수 있다. 로드 해제 삽입 요소(1134)는 패드(예: 도시되지 않은 O-링)를 통해 조립체 출구(1132)에 연결될 수 있다. 로드 해제 삽입 요소(1134)는 조립체 출구(1132)의 내부 채널의 개폐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로드 해제 삽입 요소(1134)의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조립체 출구(1132)의 내부 채널의 개폐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실시예에서, 로드 해제 삽입 요소(1134)는 원통형 구조일 수 있고, 로드 해제 삽입 요소(1134)는 적어도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원통형 구조와 제2 원통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원통형 구조의 반경은 제2 원통형 구조의 반경보다 클 수 있으며, 제1 원통형 구조의 반경은 조립체 출구(1132)의 내경과 대략 동일할 수 있다. 제2 원통형 구조의 반경은 조립체 출구(1132)의 내경보다 작을 수 있다. 삽입 요소 스프링(1138)은 밸브 조립체(1130)를 스프링 쉘(1136) 내부의 폐쇄 위치로 바이어스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 요소 스프링(1138)의 작용 하에, 로드 해제 삽입 요소(1134)의 제1 원통형 구조는 조립체 출구(1132)에 내부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밸브 조립체(1130)는 폐쇄될 수 있고, 세정액 탱크(112) 내의 세정액은 세정액 탱크(112)로부터 외부 환경으로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밸브 조립체(1130)가 세정액 공급 조립체에 연결될 때, 로드 해제 삽입 요소(1134)는 파이프라인 계면의 압력 하에서 삽입 요소 스프링(1138)을 변형시킬 수 있고, 로드 해제 삽입 요소(1134)의 제1 원통형 구조는 조립체 출구(1132)의 내부 채널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제2 원통형 구조체는 조립체 출구(1132)의 내부 채널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원통형 구조체와 조립체 출구(1132)의 내부 채널에 대응하는 측벽 사이에 틈이 존재할 수 있다. 밸브 조립체(1130)는 유체를 유체 전달 채널(예: 제1 파이프라인, 제2 파이프라인, 및 제3 파이프라인)로 방출하기 위해 개방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로드 해제 삽입 요소(1134)는 서로 다른 직경의 구조일 수 있다. 즉, 로드 해제 삽입 요소(1134)의 반경은 위에서 아래로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로드 해제 삽입 요소(1134)가 서로 다른 직경의 구조이고 로드 해제 삽입 요소(1134)가 조립체 출구(1132)와 일치하는 원리는 위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1130)는 또한 미립자 물질이 세정액 공급 조립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 네트워크 플러그인 요소(sieve network plug-in element;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체 네트워크 플러그인 요소는 세정액 탱크의 출구와 밸브 조립체(1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체 네트워크 플러그인 요소는 밸브 조립체(1130)로부터 멀리 떨어진 세정액 탱크(112)의 출구 측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노즐(1120)에서 나오는 세정액이 지면을 적시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조립체의 출구 면적은 3㎟보다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밸브 조립체의 출구 면적은 4㎟보다 클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밸브 조립체의 출구 면적은 5㎟보다 클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밸브 조립체의 출구 면적은 6㎟보다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로드 해제 삽입 요소(1134) 또는 조립체 출구(1132)의 내경은 밸브 조립체에 의한 물 생산량 출력을 보장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로드 해제 삽입 요소(1134)의 제2 원통형 구조의 반경을 감소시킴으로써, 밸브 조립체의 출구 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의 높이 방향(예: 도 11c에 도시된 H 방향)을 따라, 로드 해제 삽입 요소(1134)와 세정액 탱크(112) 사이의 거리는 세정액 탱크(112)로부터 떨어진 나사식 캡(1133)의 단부와 세정액 탱크(112) 사이의 간격(d1)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한편으로는 로드 해제 삽입 요소(1134)가 외부 물체와 충돌하여 누수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스태프가 밸브 조립체(1130)가 정상인지 여부를 관찰하기 위해 로드 해제 삽입 요소(1134)를 눌러 밸브 조립체(1130)를 검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간격(d1)은 0.2㎜ 내지 0.8㎜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간격(d1)은 0.3㎜ 내지 0.6㎜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간격(d1)은 0.4㎜ 내지 0.5㎜일 수 있다.
밸브 조립체는 도 11c에 도시된 제1 액체 노즐(1122)과 위치결정 블록(1123) 및 밸브 조립체(1130)로 구성된 밸브 조립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밸브 조립체(1130)는 연결 및 분리 동작을 통해 액체 전도/차단을 달성하는 구성요소(여기에 제한되지 않음)이며,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로드 해제 삽입 요소(1134)의 형상은 직사각형 구조, 사다리꼴 구조, 원형 플랫폼 구조 등과 같은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따라서, 조립체 출구(1132)의 내부 채널의 형상은 로드 해제 삽입 요소(1134)의 형상과 정합할 수 있다.
세정액 탱크(112)의 높이 방향, 하중 방향, 길이 방향의 최대 크기는 제 1 액체 노즐(1122) 및 위치결정 블록(1123)과 같은 돌기의 크기를 포함하지 않는 세정액 탱크(112)의 크기(예: 높이, 폭, 길이)를 의미함을 유의해야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세정액 공급 조립체도 노즐(1120)과 펌프(11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펌프(1121)는 세정액 탱크(112)로부터 세정액을 노즐(1120)로 펌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즐(1120)은 세정액 공급 조립체의 출력 단부 역할을 하며, 세정액을 세정할 표면에 분사하여 지면을 세정 및/또는 관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펌프(1121)는 바닥 브러시(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채널(23) 측에 배열되는 바닥 브러시의 설치 챔버(210)에 배열되고, 노즐(1120)은 상부 커버(1112)에 배열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세정액 탱크(112)의 용량이 부적절하게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펌프(1121)의 상단이 수용 슬롯(220)의 최저 표면보다 높을 수 있다. 즉, 수용 슬롯(220)의 저면에는 제1 돌기(2203)가 제공되고, 펌프(1121)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11a를 참조하면, 이에 따라, 세정액 탱크(112)의 저부에는 제1 돌기(2203)를 회피하기 위한 제1 리세스(도면에 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채널(23)의 상단은 수용 슬롯(220)의 최저 표면보다 높을 수 있다. 즉 수용 슬롯(220)의 저면은 제1 채널(23)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제2 돌기(2204)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세정액 탱크(112)의 저부에는 제2 돌기(2204)를 회피하기 위한 제2 리세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될 수 있다. 세정액의 펌핑 용량 및 쓰레기의 이송 용량을 보장하기 위해, 펌프(1121) 및 제1 채널(23)은 각각 특정 높이에 도달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수용 슬롯(220)의 저면이 기본적으로 평면으로 구성되는 경우, 평면의 높이는 펌프(1121)의 상단과 제1 채널(23)의 상단 중 더 높은 것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 경우, 세정액 탱크(112)의 용량을 연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공간이 의심의 여지 없이 희생된다. 상기 배열에 기초하여, 세정액 탱크(112)와 바닥 브러시 본체(111)는 높이 관점에서 제한될 수 있으며, 이는 세정액 탱크(112)의 충분한 용량을 보장하고 작업 부분(11)의 구조를 보다 컴팩트하고 실용적으로 만들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침대 바닥과 같이 매우 제한된 공간에서 사용자가 바닥 브러시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해졌다. 수용 슬롯(220) 내부의 최저 표면은 제1 돌기(2203) 및 제2 돌기(2204)에 연결되는 수용 슬롯(220)의 본질적으로 평평한 내부 바닥을 지칭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쉘(1111)에는 제2 액체 보간부(11211)가 제공될 수 있고, 상부 커버(1112)에는 제2 액체 보간부(11211)를 갖는 밸브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는 제2 액체 소켓(11121)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펌프(1121)는 펌프 입구 및 펌프 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관을 통해 펌프 입구와 제1 액체 소켓 사이에 유체 전도가 달성될 수 있고, 제2 도관을 통해 펌프 출구와 제2 액체 보간부(11211) 사이에 유체 전도가 달성될 수 있으며, 제3 도관(11122)을 통해 제2 액체 보간부(11121)와 노즐(1120) 사이에 유체 전도가 달성될 수 있다. 제1 도관과 제2 도관은 바닥 브러시의 설치 챔버(210)에 구성될 수 있고, 제3 도관(11122)은 상부 커버(1112)에 구성될 수 있으며, 노즐(1120)은 롤링 브러시(1113) 위의 상부 커버(1112)에 위치할 수 있다. 세정할 표면을 적실 필요가 있는 경우, 펌프(1121)의 동력에 의해 세정액은 제1 액체 보간부(1122)와 제1 액체 소켓(2201)(도 12 참조), 제1 도관, 펌프(1121), 제2 도관, 제2 액체 보간부(11211)로 구성된 밸브 조립체, 그리고 순차적으로 제2 액체 보간부(11211)와 제2 액체 소켓(11121), 제3 도관(11122) 및 노즐(1120)로 구성된 밸브 조립체를 통해 외부 환경으로 유출되어 롤러 브러시(1113) 앞의 세정할 표면을 적신다. 일부 실시예에서, 노즐(1120)의 개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노즐(1120)의 개수가 다수인 경우, 노즐(1120)은 상부 커버(1112)의 길이 방향[롤링 브러시(1113)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분포되어 노즐(1120)의 젖음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2개의 밸브 조립체와 3개의 도관을 구성함으로써, 다수의 세정액 공급 조립체들 사이의 효과적인 흐름 유도가 가능하고, 다수의 세정액 공급 조립체를 개별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세정 동작 동안, 롤링 브러시(1113)는 제1 모터(311)의 전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모터(311)는 바닥 브러시의 설치 챔버(210)에 배열되고, 제1 모터(311)는 바닥 브러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채널(23)의 타측에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모터(311)는 롤링 브러시(1113)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작업 부분(11)의 크기를 더욱 최적화하고 작업 부분(11)의 컴팩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모터(311)가 롤링 브러시(1113) 내부에 배열되는 실시예에서는, 제1 롤러 브러시 지지부가 저부 쉘(21)의 측면에 고정되어 제1 모터(311)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암(212)은 상기 바닥 브러시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연결 부분(12)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롤링 브러시 지지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터(311)의 일단은 연결 슬리브(215)를 통해 지지 암(212)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제1 모터(311)의 타단은 기어박스(312)에 연결되고, 기어박스(312)는 롤링 브러시(1113)에 직접 작용하여 롤링 브러시의 회전을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롤링 브러시(1113)는 브러시 실린더(32)와 브러시 실린더(32)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강모(33)를 포함하고, 브러시 실린더(32) 내부에는 브러시 실린더(32)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격벽(322)이 고정된다. 다수의 연결 슬롯(3220)은 격벽(322)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으며, 기어박스(312)의 출력축은 연결 슬롯에 내장될 수 있는 다수의 연결 기둥(312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모터(311)가 시동되면, 연결 기둥(3121)은 롤링 브러시(1113)의 회전을 구동하기 위해 연결 슬롯(3220)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 기둥(3121)은 기어박스 출력축의 방사상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결 기둥(3121)이 많을수록, 롤링 브러시(1113)와 기어박스(312)의 전달 안정성이 추가로 좋아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 기둥(3121)과 연결 슬롯(3220)의 개수는 모두 3개일 수 있다. 연결 기둥(3121)과 연결 슬롯(3220)의 개수는 3개로 제한되지 않고, 1개, 2개 또는 그 이상일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인 개수는 실제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세정 후에는, 롤링 브러시(1113)를 별도로 분해하여 세정해야 한다. 제1 모터(311)와 기어박스(312)가 브러시 실린더(32) 내부에 배열됨에 따라, 롤링 브러시(1113)는 저부 쉘(21)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만 인출될 수 있다. 그러나 롤링 브러시(1113)를 재장착할 경우에는, 연결 기둥(3121)과 연결 슬롯(3220) 사이의 어려운 정렬 문제로 인해 사용자 경험이 저하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 기둥(3121)은 기본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으며, 동시에 연결 슬롯(3220)의 외측 에지는 둥근 모서리 또는 모따기(3221)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기초하여, 롤링 브러시(1113)의 삽입 동안, 기본 원통형 연결 기둥(3121)은 둥근 모서리 또는 모따기를 따라 연결 슬롯(3220)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저부 쉘(21)의 지지 암(212)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는 제2 롤링 브러시 지지부를 분리 가능하게 배열하고, 롤링 브러시(1113)의 회전 지지 및 단부 제한을 위해 제2 롤링 브러시 지지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조립체(4)가 제2 롤링 브러시 지지 부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3,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조립체(4)는 커버 플레이트 요소(41)를 포함할 수 있고, 커버 플레이트 요소는 자기 흡인 구조를 통해 설치 쉘(1111)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 플레이트 요소(41)의 저부 쉘(21)과 마주보는 일측에는 제2 철(413)이 배열될 수 있고, 저부 쉘(21)에는 측부 플레이트(213)가 제공되고, 측부 플레이트에는 제2 자석(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 조립체(4)의 연결 구조가 숨겨질 수 있으며, 이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작업 부분(11)의 최대 크기를 제어하는 데 유리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 조립체(4)의 자기 고정은 제2 철(413)과 제2 자석을 교환하거나 두 개의 자석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자기 흡인 구조를 통해 지지 조립체(4)를 고정하는 것은 커버 플레이트 요소(41)와 저부 쉘(21)의 길이 방향의 크기를 제어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작업 부분(11)에서 롤링 브러시(1113)의 길이 비율이 최적화되었다. 일부 실시예에서, 롤링 브러시(1113)의 길이 방향을 따른 최대 크기() 대 작업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른 최대 크기()의 비율은 0.9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1회 푸시 풀 세정 동안, 롤링 브러시(1113)는 세정할 표면을 최대한 닦아내어, 닦는 길이(즉, 롤링 브러시의 길이 방향 최대 크기)를 작업 부분의 길이 방향 최대 크기와 거의 동일하게 하여, 세정 효과 및 세정 효율을 향상시킨다.
커버 플레이트 요소(41)와 측부 플레이트(213)의 연결 관계를 강화하고 측부 플레이트(213)에 대한 지지 조립체(4)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 플레이트 요소(41)의 일부는 측부 플레이트(213)에 내장되는 것으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 요소(41)가 제자리에 설치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제한 슬롯(414)은 저부 쉘(21)을 향하는 커버 플레이트 요소(41)의 측면에 배열될 수 있고, 측부 플레이트(213)에는 제한 슬롯(414)에 정합되어 삽입될 수 있는 제한 블록(2131)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 요소(41)의 저부 쉘(21)과 마주보는 일측에는 지지 슬리브(42)가 고정될 수 있고, 서클립(431)을 통해 지지 슬리브(42) 내부에 제1 베어링 요소(43)가 설치될 수 있다. 연결 로드(44)는 제1 베어링 요소(43)의 내부 링에 고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고, 제1 베어링 요소(43)로부터 떨어진 연결 로드(44)의 단부는 간섭을 통해 회전 슬리브(45)에 삽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연결 슬리브(215)에는 제2 베어링 요소(2150)가 설치될 수 있다. 사용 상태에서는, 브러시 실린더(32)가 회전 슬리브(45)와 제2 베어링 요소(2150)에 슬리브 결합될 수 있다. 회전 슬리브(45)와 제2 베어링 요소(2150)는 롤링 브러시(1113)의 우측 및 좌측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두 개의 베어링 요소의 작용으로, 롤링 브러시(1113)의 회전 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롤링 브러시(1113)와 회전 슬리브(45) 사이의 회전 속도 불일치로 인한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회전 슬리브(45)에 플랜지(451)가 제공될 수 있으며, 플랜지(451)에는 여러 노치(450)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러시 실린더(32)에는 노치에 대응되는 다수의 삽입 블록(321)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 상태에서, 삽입 블록(321)은 노치(450)에 대응하게 삽입되어, 원주 회전 중에 롤링 브러시(1113)와 회전 슬리브(45) 사이의 완전한 동기화를 보장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플랜지(451)의 높이 방향의 크기는 브러시 실린더(32)의 두께 이상일 수 있으며, 이는 회전 슬리브(45)를 통해 브러시 실린더(32)의 일단을 막아 쓰레기가 브러시 실린더(32)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동일하다. 회전 슬리브(45)는 원주를 따라 링 슬롯을 구비하고, 링홈에 밀봉 링(46)을 배열하여 브러시실린더(32)의 내벽에 맞닿게 하여 쓰레기 차단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저부 쉘(21)과 마주하는 커버 플레이트 요소(41)의 측면에는 오목 부분(410)이 제공될 수 있고, 당김 블록(411)이 오목 부분(410)에 배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수동으로 당김 블록(411)을 집어서 지지 조립체(4)를 분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당김 블록(411)은 오목 부분(410)에 완전히 배열될 수 있으므로, 당김 블록(411)은 저부 쉘(21)과 마주하는 커버 플레이트 요소(41)의 평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으며, 이로써 작업 부분(11)의 최대 길이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장애물에 쉽게 부딪히지 않게 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당김 블록(411)과 지지 슬리브(42)는 볼트, 나사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설계는 분해를 용이하게 하고 후속 부품 세정 및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 플레이트 요소(41)에는 제한 슬리브(412)가 또한 제공될 수 있고, 지지 슬리브(42)는 간섭을 통해 제한 슬리브(412)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지지 슬리브(42)의 설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커버 플레이트 요소(41)에 대한 지지 슬리브(42)의 흔들림을 방지하여 롤링 브러시(1113)의 회전균형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회전 슬리브(45)는 커버 플레이트 요소(41)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므로, 회전 슬리브(45)와 커버 플레이트 요소(41) 사이에 틈이 있어야 한다. 세정 공정 동안, 머리카락이나 필라멘트, 그리고 다른 필라멘트 물질은 틈을 통해 회전 슬리브(45)로 들어갈 수 있다. 제1 베어링 요소(43) 및 연결 로드(44)와 같은 회전 요소 주위에 필라멘트성 물질이 감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회전 슬리브(45)를 향하는 지지 슬리브(42)의 측면에는 연장부(421)가 제공될 수 있으며, 연장부(421)는 제1 베어링 요소(43) 및 연결 로드(44)와 같은 회전 요소를 둘러싸서, 회전 요소와 외부 환경 사이의 통로가 구불구불해지도록 하여, 위에서 언급한 필라멘트형 물질이 이들 회전 요소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연장부(421)는 이들 회전 요소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롤링 브러시(1113)의 높이 방향()(도 8 참조)을 따라, 연장부(421)와 회전 슬리브(45) 사이의 최소 거리는 1.5㎜ 이하일 수 있다; 롤링 브러시(1113)의 길이 방향()(도 8 참조)을 따라, 연장부(421)와 회전 슬리브(45) 사이의 최소 거리는 1.5㎜를 초과할 수 없다. 이 경우, 이렇게 작은 거리로 인해 필라멘트형 물질이 회전 요소에 도달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해진다. 지지 슬리브(42)와 회전 슬리브(45)는 기본적으로 동축일 수 있으므로, 전술한 연장부(421)와 회전 슬리브(45) 사이의 두 최소 거리는 각각 연장부(421)의 외측 에지와 회전 슬리브(45)의 내벽 사이의 최소 거리와 연장부(421)의 우측 단부와 회전 슬리브(45)의 타측 내벽 사이의 최소 거리일 수 있다.
세정 장치의 사용시, 세정액 탱크(112)는 세정할 표면에 세정액을 분사할 수 있다. 오물은 바닥 브러시(1)의 흡입 포트(711)를 통해 제1 채널(23)을 통해 먼지 저장 탱크(7)로 유입될 수 있다. 먼지 저장 탱크(7)는 먼지 저장 탱크(7) 내부로 유입된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8 내지 도 28과 조합하여 먼지 저장 탱크(7)를 추가로 설명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저장 탱크(7)의 내부 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저장 탱크의 예시적인 전체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저장 탱크(7)는 탱크 본체(70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탱크 본체(701) 내부에는 채널(702)이 제공될 수 있으며, 채널(702)은 휴대형 집진 장치(6)(도 1에 도시됨)와 먼지 저장 탱크(7)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채널(702)은 먼지 저장 탱크(7)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며, 채널(702)은 제2 채널(50)(도 1에 도시됨)과 연결될 수 있으므로, 바닥 브러시(1)(도 1에 도시됨)의 유체 폐기물은 휴대형 집진 장치(6)의 작용에 따라 먼지 저장 탱크(7)로 유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702)은 관형 구조의 내부 채널이거나 탱크 본체(701)의 내부 채널일 수 있다. 채널에 대한 추가 설명은 본 개시물의 다른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탱크 본체(701) 내부에 격벽(703)이 배열될 수 있으며, 격벽(703)은 먼지 저장 탱크(7)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 또는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격벽(703)은 탱크 본체(701)의 내부 공간을 상부 공간(704)과 하부 공간(705)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부 공간(704)은 휴대형 집진 장치(6)에 가깝고, 하부 공간(705)은 바닥 브러시(1)에 가깝다. 격벽(702)은 하부 공간(705)에서 격벽(703)을 거쳐 상부 공간(704)까지 연장될 수 있다. 격벽(703)에는 제1 홀 그룹(1001)과 역류 방지 구조(100)가 구비될 수 있다. 역류 방지 구조(100)는 상부 공간(704)의 오물은 제1 홀 그룹(1001)에서 하부 공간(7205)으로 유입되고, 하부 공간(705)의 오물이 제1 홀 그룹(1001)에서 상부 공간(704)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채널(702)로부터 탱크 본체(701)의 상부 공간(704)으로 유입되는 오물은 적어도 제1 홀 그룹(1001)과 역류 방지 구조(100)를 통해 저장용 하부 공간(705)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역류 방지 구조(100)는 하부 공간(705)의 오물이 역류 방지 구조(100)를 통해 상부 공간(704)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702)과 탱크 본체(701)는 일체형 구조일 수 있으며, 예컨대, 일체형 구조를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할 수 있어 제조가 간단하고 편리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702)과 탱크 본체(701)는 또한 별도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필요할 때 채널(702)이 탱크 본체(701)에서 제거될 수 있고 채널(702) 또는 탱크 본체(701)가 철저하게 세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702)과 탱크 본체(701)가 별도의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 채널(702)과 탱크 본체(701)는 함께 나사 결합되거나 밀봉될 수 있다.
도 1, 도 18, 도 19를 참조하면, 로드(51)(또는 먼지 저장 탱크(7))가 기본적으로 직립한 경우(예: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90도이거나 60도 이상인 경우 '기본적으로 직립형'이라 함), 오물은 채널(702)로 흡입되어 채널(702)에서 상부 공간(704)으로 유입된 후 역류 방지 구조(100) 및 제1 홀 그룹(1001)을 통해 하부 공간(705)으로 유입되고 하부 공간(705)에 저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로드(51)(또는 먼지 저장 탱크(7))가 크게 기울어진 경우(예: 수평면에 대한 각도가 30도 이하 또는 약 2도 정도라도, 이하 "크게 기울어짐" 또는 "평탄화"라 함), 역류 방지 구조(100)는 하부 공간(705)의 오물이 제1 홀 그룹(1001)을 통해 역류하여 상부 공간(704)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는 오물이 모터(예: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집진 장치(6)의 동력 조립체 또는 도 27 또는 도 28에 도시된 제2 모터)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클리닝 장치는 여전히 정상적으로 세정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먼지 저장 탱크(7)를 갖춘 클리닝 장치는 로드(51)를 세워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로드(51)를 크게 기울일 수도 있고 심지어 로드(51)를 편평하게 눕혀서 사용할 수도 있어 사용자의 사용이 매우 용이해진다. 또한, 클리닝 장치가 휴대형 집진 장치(예: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집진 장치(6))를 포함하는 경우, 제2 모터(727)는 배열되지 않을 수 있으며, 휴대형 집진 장치(6)의 동력 조립체는 유체 이동에 힘을 제공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먼지 저장 탱크(7)가 로드(51)의 원주 방향 어느 위치에나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먼지 저장 탱크(7)는 로드(51)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에 배열될 수 있다. 로드(51)의 전방측은 로드(51)와 바닥 브러시(1) 사이의 각도가 대략 90°일 때 바닥 브러시(1) 구조의 대부분이 로드(51)에서 돌출되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측은 로드(51) 전방측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먼지 저장 탱크(7)에서, 탱크 본체(701) 상단의 오물을 버리는 개구에 커버(716)가 제공되고, 커버(716)에 가스 유출 채널(718)이 제공될 수 있다. 상부 공간(704)에는 가스 유출 채널(718)의 입구(719)가 연결될 수 있다. 가스 유출 채널(718)의 출구(721)에는 제 2 모터(727)가 연결되어 탱크 본체(701)로부터 공기를 추출할 수 있어서, 오물이 채널(702)을 통해 탱크 본체(701) 내로 흡입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가스 유출 채널(718)의 출구(721)에 필터 요소(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 요소는 가스 중의 작은 고형 폐기물을 여과하도록 구성되어 제2 모터(727)의 쓰레기 막힘을 방지하고 여과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필터 요소는 여과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Hypa, 필터 스크린 또는 여과지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이클론 분리 구조(725)(사이클론 분리기라고도 함)가 가스 유출 채널(718)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사이클론 분리 구조(725)를 통해 가스가 유동할 때, 사이클론 분리 구조(725)는 가스에 의해 운반되는 고형 폐기물의 일부를 분리할 수 있고, 나머지 고형 폐기물은 필터 요소에 의해 여과될 수 있다. 사이클론 분리 구조(725)는 커버(716)와 일체로 형성되어 세정이 용이할 수 있다. 사이클론 분리 구조(725)를 배열함으로써, 필터 요소의 작업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필터 요소의 사용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필터 요소의 유지보수 또는 교체빈도를 감소시켜 사용자가 클리닝 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물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격벽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703)에는 제1 홀 그룹(1001)이 제공될 수 있다. 역류 방지 구조(100)는 제1 홀 그룹(1001)에 대응되며 격벽(703) 상에 배열되는 체크 밸브(1002)를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밸브(1002)는 하부 공간(705)에 위치하며, 제1 홀 그룹(1001)을 통해 상부 공간(704)과 연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703)의 에지의 제1 부분(706)은 탱크 본체(701)의 측벽과 밀봉 접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703)과 탱크 본체(701) 사이의 밀봉 접촉을 달성하기 위해, 격벽(703)의 에지와 탱크 본체(701)의 측벽 사이에 밀봉 링이 배열될 수 있다. 로드(51)가 편평해지면, 체크 밸브(1002)는 하부 공간(705)의 오물이 체크 밸브(1002)를 통해 상부 공간(704)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탱크 본체(701)에서 격벽(703)을 제거하면, 제1 홀 그룹(1001)이 오물 중의 고형 폐기물을 여과할 수 있다. 즉 오물은 탱크 본체(701)에 저장될 수 있고, 고형 폐기물은 격벽(703)에 운반되어 고형 폐기물과 오물을 분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고형 폐기물은 분리하여 쓰레기통에 붓고, 오물은 변기, 싱크대 등의 배출 장치에 부어줌으로써 변기, 싱크대 등의 배출 장치가 막히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홀 그룹(1001)과 체크 밸브(1002)를 구비한 격벽(703)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공정이 간단하며, 가격이 저렴하고, 클리닝 장치에 사용이 용이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홀 그룹(1001)은 하나 이상의 제1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공간(704)에서 하부 공간(705)으로 흐르는 오물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홀 그룹(1001)의 제1 관통홀의 개수는 50 내지 200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703)의 구조적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제1 홀 그룹(1001)의 제1 관통홀의 개수는 70개 내지 150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홀 그룹(1001)의 제1 관통홀의 개수는 80 내지 120개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관통홀은 스트립 홀, 원형 홀 등과 같이 규칙적이거나 불규칙한 형상을 갖는 관통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관통홀은 스트립 홀일 수 있고, 스트립 홀은 추가로 큰 길이 대 폭 비율을 가지며, 이는 오물이 제1 홀 그룹(1001)을 통과하는 효율을 보장하고 고형 폐기물이 제1 관통홀을 통과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서, 격벽(703)이 양호한 여과 효과를 갖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관통홀이 스트립 홀인 경우, 격벽(703)이 양호한 여과 효과를 갖고 고형 폐기물이 제1 홀 그룹(1001)을 통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길이 대 폭의 비율 스트립 홀은 0.5 내지 2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트립 홀의 길이 대 폭 비율은 0.7 내지 1.5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트립 홀의 길이 대 폭 비율은 0.8 내지 1.2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홀 그룹(1001) 중 제1 관통홀의 면적은 80㎟ 내지 100㎟일 수 있으며, 이는 제1 홀 그룹(1001)을 통과하는 오물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과적으로 고형 폐기물을 차단하고 좋은 여과 역할을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홀 그룹(1001)의 제1 관통홀의 면적은 90㎟ 내지 10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홀 그룹(1001)의 제1 관통홀의 면적은 98㎟일 수 있으며, 이는 제1 홀 그룹(1001)을 통과하는 오물의 효율을 추가로 향상시키고 고형 폐기물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홀 그룹(1001)이 격벽(703) 상에 위치함에 따라, 격벽(703) 상에서의 제1 홀 그룹(1001)의 면적의 비율(즉, 제1 홀 그룹(1001)의 제1 관통홀의 전체 면적 대 격벽(703)의 면적의 비율)은 격벽(703)의 구조적 강도와 관련될 수 있다. 격벽(703)의 구조적 강도가 양호하고 오물이 제1 홀 그룹(1001)을 고효율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703) 상의 제1 홀 그룹(1001)의 면적의 비율은 0.1 내지 0.5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703) 상의 제1 홀 그룹(1001)의 면적의 비율은 0.1 내지 0.4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703) 상의 제1 홀 그룹(1001)의 면적의 비율은 0.2 내지 0.3일 수 있다.
격벽(703)을 탱크 본체(701)로부터 편리하게 제거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703)이 탱크 본체(701)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배열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핸들(707)이 격벽(703) 상에 제공될 수 있고 핸들(707)은 탱크 본체(701)의 개구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먼지 저장 탱크(7)를 세정할 때, 핸들(707)은 격벽(703)을 탱크 본체(701) 밖으로 들어올리기 위해 위로 들어올려질 수 있거나 폐기물은 탱크 본체(701)로부터 제거되어 고형 폐기물과 오물을 분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703)은 커버(716)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커버(716)를 제거할 때, 격벽(703)은 제거되어 오물을 쏟을 때 격벽(703)을 제거하는 것을 잊어버려서 발생하는 오물와 고형 폐기물의 재혼합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703)은 아크형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703)은 하부 공간(705)을 향해 돌출된 원호형 패널일 수 있으며, 제1 홀 그룹(1001)은 격벽(703)의 최저 지점에서 벗어나게 형성될 수 있다. 격벽(703)의 최저 지점은 바닥 브러시(1)로부터 최소 거리를 갖는 격벽(703)의 상면 또는 하면 상의 위치를 의미한다. 제1 홀 그룹(1001)이 격벽(703)의 최저 지점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은 제1 홀 그룹(1001)의 위치와 격벽(703)의 방사상으로 격벽(703)의 최저 지점 사이에 간격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격벽(703)을 돌출된 원호형 패널로 배열함으로써, 고형 폐기물이 격벽(703)의 최저 지점에 집중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1 홀 그룹(1001)이 고형 폐기물에 의해 막힐 확률을 감소시키고 사용자의 클리닝 장치 사용이 용이해진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703)에 제2 홀 그룹(710)이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홀 그룹(710)은 상부 공간(704)과 하부 공간(705)을 자유롭게 연결할 수 있다. 사용 중에, 오물이 제1 홀 그룹(1001)을 통해 하부 공간(705)으로 유입되고, 하부 공간(705)의 공기는 제2 홀 그룹(710)을 통해 상부 공간(704)으로 유입되어 제2 모터(727)에 의해 추가로 추출되어 상부 공간(704)과 하부 공간(705) 사이에 압력차를 증가시키므로, 오물이 원활하게 하부 공간(705)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공간(704)에 있는 오물의 일부가 제2 홀 그룹(710)으로부터 하부 공간(705)으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홀 그룹(710)은 오물 중의 고형 폐기물을 여과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홀 그룹(710)과 제1 홀 그룹(1001)은 격벽(703)의 원주 방향을 따라 편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703)의 원주 방향을 따른 제2 홀 그룹(710)과 제1 홀 그룹(1001) 사이의 편향은 격벽(703)의 원주 방향을 따른 제2 홀 그룹(710)과 제1 홀 그룹(1001) 사이에 간격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격벽(703)의 원주 방향은 격벽(703)의 에지를 따르는 방향을 의미한다. 사용을 위해 클리닝 장치를 평탄하게 할 때에는, 체크 밸브(1002)가 닫혀 하부 공간(705)의 오물이 제2 홀 그룹(710)을 통해 유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홀 그룹(1001)과 제2 홀 그룹(710)은 방사상으로 반대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홀 그룹(1001)과 제2 홀 그룹(710) 사이의 방사상의 반대는 격벽(703)의 방사상에서 제1 홀 그룹(1001)과 제2 홀 그룹(710)의 위치가 격벽(203)의 기하학적 중심에 대해 중심 대칭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고, 이는 격벽(703)의 원주 방향에서 제1 홀 그룹(1001)과 제2 홀 그룹(710)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하부 공간(705)에 많은 양의 오물이 발생하더라도, 오물의 수위가 제2 홀 그룹(710)보다 높지 않도록 함으로써 하부 공간(705)의 오물이 제2 홀 그룹(710)을 통해 상부 공간(704)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사용자의 클리닝 장치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홀 그룹(710)은 하나 이상의 제2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홀 그룹(710)을 통과하는 오물의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고형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우수한 여과 역할을 수행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홀 그룹(710)에서 제2 관통홀의 면적은 350㎟ 내지 40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홀 그룹(710) 중 제2 관통홀의 면적은 360㎟ 내지 39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홀 그룹(710) 중 제2 관통홀의 면적은 370㎟ 내지 38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홀 그룹(710) 중 제2 관통홀의 면적은 376㎟일 수 있으며, 이는 제2 홀 그룹(710)을 통과하는 오물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고형 폐기물을 추가로 잘 차단할 수 있다.
격벽(703)의 구조적 강도가 양호하고, 오물이 제2 홀 그룹(710)을 효율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703) 상의 제2 홀 그룹(710)의 면적의 비율(즉, 제2 홀 그룹(710)의 제2 관통홀의 전체 면적과 격벽(703)의 면적 사이의 비율)은 0.01 내지 0.2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703) 상의 제2 홀 그룹(710)의 면적의 비율은 0.02 내지 0.1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703) 상의 제2 홀 그룹(710)의 면적의 비율은 0.05 내지 0.08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홀 그룹(710)의 제2 관통홀과 제1 홀 그룹(1001)의 제1 관통홀은 동일 형상이거나 다른 형상 및/또는 동일 양을 갖거나 다른 양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홀 그룹(710)의 제2 관통홀의 개수 또는 형상에 대한 더 많은 설명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는 제1 홀 그룹(731)의 제1 관통홀의 개수 또는 형상에 대한 관련 설명에서 찾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리닝 장치를 비스듬하게 사용할 때 오물이 하부 공간(705)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클리닝 장치가 제2 홀 그룹(710)의 방향을 향해 기울어지지 않도록 배열될 수 있다면, 격벽(703)에 제1 홀 그룹 없이 제2 홀 그룹(710)만 제공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2 홀 그룹(710)이 탱크 본체(701)의 전방측 근처 격벽(703)에 배열될 때, 클리닝 장치는 사용 중 장치가 후방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703)이 원호 패널로 배열되는 경우, 제2 홀 그룹(710)은 격벽(703)의 최저 지점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이는 제2 홀 그룹(710)이 고형 폐기물에 의해 막힐 확률을 줄이고 사용자를 위한 클리닝 장치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703)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유지 벽(711)이 배열될 수 있으며, 유지 벽(711)은 적어도 상부 공간(704)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703)이 탱크 본체(701)로부터 들어올려질 때, 유지 벽(711)은 고형 폐기물이 탱크 본체(701) 내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배수 홀이 유지 벽(711)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는 고형 폐기물이 탱크 본체(701)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떨어지지만, 오물을 탱크 본체(701) 내부로 최대한 배출할 수 있어 고형 폐기물과 오물 사이의 분리 효과가 향상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703)의 둘레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브라켓(712)이 배열되고, 브라켓(712) 상에 필터 스크린(713)이 배열되어 배수 홀을 갖는 유지 벽(711)을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유지 벽(711)을 구성할 때, 핸들(707)은 유지 벽(711)에 연결되거나 유지 벽(7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예: 핸들(707)은 위쪽으로 연장되는 브래킷(712)의 일부일 수 있다).
도 18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격벽(703)에도 설치 홀(714)이 제공될 수 있다. 설치 홀(714)은 제1 홀 그룹(1001)과 제2 홀 그룹(710)으로부터 벗어나 있을 수 있다. 채널(702)은 오물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격벽(703)을 탱크 본체(701)에 조립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부 공간(705)에서 설치 홀(714)을 통해 상부 공간(704)까지 위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설치 홀(714)은 (예: 밀봉 링을 배열함으로써) 채널(702)과 밀봉 접촉하여 클리닝 장치를 평평하게 눕힐 때 오물이 하부 공간(705)에서 흘러나오지 않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702)의 오물 개구가 탱크 본체(701)의 측벽에 배열되어 상부 공간(704)과 연결될 수 있다. 오물 개구는 오물이 채널(702)을 따라 탱크 본체(701)[예: 상부 공간(704)]로 유입되는 개구로 이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탱크 본체(701)의 상단에는 상단 벽이 제공될 수 있고, 덤핑 개구(dumping opening)는 상단 벽에 개방될 수 있으며, 커버(716)는 덤핑 개구를 덮을 수 있고, 또한, 채널(702)의 오물 개구가 탱크 본체(701)의 상단 벽에 개방되어 상부 공간(704)과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설치 홀(714)의 측면을 따라 환형 배플(715)이 제공될 수 있으며, 환형 배플(715)은 상부 공간(704)으로 연장될 수 있고, 채널(702)은 환형 배플(715)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클리닝 장치를 기울이거나 평탄화하는 경우, 격벽(703)(유지 벽(711)과 함께)이 탱크 본체(701) 내부에서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고, 격벽(703)의 역류 방지 구조(100)가 여전히 원래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는 오물이 역류 방지 구조(100)를 통해 하부 공간(705)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1은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8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밸브(1002)는 조인트(1003)와 가요성 밸브 본체(1004)를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1003)는 밸브 본체(1004)의 입구에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1004) 출구의 제2 방향을 따른 단면의 크기는 밸브 본체(1004) 출구의 제3 방향을 따른 단면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즉, 밸브 본체(1004)는 편평한 마우스 밸브 본체일 수 있다. 예컨대, 밸브 본체(1004) 출구의 단면은 직사각형일 수 있고, 제2 방향을 따른 밸브 본체(1004)의 크기는 직사각형의 길이를 의미하고, 제3 방향을 따른 밸브 본체(1004)의 크기는 직사각형의 폭을 나타낸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인트(1003)와 밸브 본체(1004)는 사출 성형, 3D 프린팅 및 기타 통합 성형 방식을 통해 형성된 통합 구조이거나 분할 구조일 수 있다. 조인트(1003)와 밸브 본체(1004)는 본딩, 클램핑, 기타 연결 방식을 통해 조립되어 체크 밸브(1002)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인트(1003)는 제1 홀 그룹(1001)에 대응하는 격벽(703)에 설치될 수 있다. 체크 밸브(1002)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홀 그룹(1001)에 대응되는 격벽(703) 하면에 도관(708)이 제공되고, 도관(708)에 조인트(1003)가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인트(1003)는 도관(708)에 편리하게 슬리브되도록 탄성 구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인트(1003)와 도관(708) 사이의 연결은 고정 요소(예: 클램프)를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인트(1003)와 도관(708)은 연결 요소(예: 플랜지)를 통해 함께 연결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인트(1003)와 도관(708)은 또한 나사식 연결을 통해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조인트(1003)에는 내부 나사산이 제공될 수 있고, 도관(708)의 외면에는 내부 나사산과 정합하는 외부 나사산이 제공될 수 있다. 나사산을 조임으로써, 조인트(1003)는 도관(708)에 연결될 수 있다. 체크 밸브(1002)를 격벽(703)에 설치하는 공정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른 공정(예: 본딩, 클램핑 등)도 격벽(703)에 체크 밸브(1002)를 설치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서 반복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구조(100)는 제1 홀 그룹(1001)의 모든 제1 관통홀에 대응되는 격벽(730)에 배열된 체크 밸브(1002)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지 예컨대, 격벽(703)의 하면에는 제1 홀 그룹(1001)에 대응하는 도관(708)이 제공될 수 있다. 도관(708)의 일단은 체크 밸브(1002)의 조인트(1003)에 연결되고, 도관(708)의 타단은 체크 밸브(1002)의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도관(708)의 타단은 제1 홀 그룹(1001)의 모든 제1 관통홀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써 상부 공간(704)으로부터의 오물이 모든 제1 관통홀을 통해 동일한 체크 밸브로 유입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구조(100)는 제1 홀 그룹(1001)의 하나 이상의 제1 관통홀에 각각 대응하는 격벽(703) 상에 배열되는 다수의 체크 밸브(1002)를 포함할 수 있다. 단지 예시일 뿐, 격벽(730)의 하면은 제1 홀 그룹(1001)에 대응하는 다수의 도관(708)이 제공되고, 다수의 도관(708) 각각의 일단은 다수의 체크 밸브(1002) 중 하나의 조인트(1003)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다수의 도관(708) 각각의 일단은 격벽(730)의 하면에 연결되고, 다수의 도관(708) 각각의 타단은 제1 홀 그룹(1001)에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관통홀 중 하나와 연결되어, 상부 공간으로부터의 오물이 하나 이상의 제1 관통홀을 통과한 후 대응하는 체크 밸브(1002)로 들어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구조(100)의 체크 밸브(1002)의 개수는 제1 홀 그룹(1001)의 제1 관통홀의 개수에 기초하여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구조(100)의 체크 밸브(1002)의 개수 대 제1 홀 그룹(1001)의 제1 관통홀의 개수의 비율은 1:1일 수 있다. 즉, 역류 방지 구조(100)의 각 체크 밸브는 제1 홀 그룹의 제1 관통홀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구조(100)의 체크 밸브(1002)의 개수 대 제1 홀 그룹(1001)의 제1 관통홀의 개수의 비율은 1:2일 수 있다. 즉, 역류 방지 구조(100)의 각 체크 밸브(1002)는 제1 홀 그룹의 두 개의 제1 관통홀에 대응하여 격벽(730)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구조(100)의 체크 밸브(1002)의 개수 대 제1 홀 그룹(1001)의 제1 관통홀의 개수의 비율은 1:4일 수 있다. 즉, 역류 방지 구조(100)의 각 체크 밸브(1002)는 제1 홀 그룹(1001)의 4개의 제1 관통홀에 대응하여 격벽(730)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구조(100)의 체크 밸브(1002)의 개수 대 제1 홀 그룹(1001)의 제1 관통홀의 개수의 비율은 1:5일 수 있다. 즉, 역류 방지 구조(100)의 각 체크 밸브(1002)는 제1 홀 그룹(1001)의 5개의 제1 관통홀에 대응하여 격벽(730)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 구조(100)의 체크 밸브(1002)의 개수 대 제1 홀 그룹(1001)의 제1 관통홀의 개수의 비율은 1:10일 수 있다. 즉, 역류 방지 구조(100)의 각 체크 밸브(1002)는 제1 홀 그룹(1001)의 10개의 제1 관통홀에 대응하여 격벽(730)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역류 방지 구조(100)의 체크 밸브(1002)의 개수 대 제1 홀 그룹(1001)의 제1 관통홀의 개수의 비율은 다른 값일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1004)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조인트(1003)도 밸브 본체(1004)와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1004)의 외면도 평면(1005)으로 구성될 수 있고, 평면(1005)은 외부 환경 압력 하에서 밸브 본체(1004)를 폐쇄(즉, 편평한 마우스를 폐쇄)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 장치를 세워서 사용하는 경우, 상부 공간(704)에 있는 오물의 압력(P1)이 밸브 본체(1004)에 작용하여 밸브 본체(1004)를 개방(즉, 편평한 마우스를 개방)시킬 수 있고, 오물은 하부 공간(705)으로 유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 장치가 편평하게 사용되는 경우, 하부 공간(705)의 오물 압력(P2)이 밸브 본체(1004)의 외면(1005)에 작용하여 밸브 본체(1004)로 하여금 하부 공간(705)의 오물이 밸브 본체(1004) 밸브 본체(1004)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폐쇄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공간(704)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소량의 물은 탱크 본체(701)로부터 빠져나가지 않게 되어, 가스 유출 채널(718)의 입구(719)에서 멀어지는 격벽(703)에 집중될 수 있으므로, 제2 모터(727)가 정지하거나 손상될 확률이 크게 감소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클리닝 장치가 편평하게 사용되는 경우, 하부 공간(705)에 오물이 없거나 소량만 있어서 체크 밸브(1002)가 닫히면, 흡입된 오물은 격벽(703) 근처의 상부 공간(704)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고(하부 공간(705)으로 일부 오물이 유입될 수 있음), 그리고 탱크 본체(701)로부터 추출되지 않아 제2 모터(727)가 정지되거나 파손되는 일이 없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밸브(1002)는 격벽(703)의 하면에 배열되는 제1 홀 그룹(1001)에 대응되는 탄성 밸브 플레이트(1006)일 수 있다. 클리닝 장치를 세워서 사용할 경우, 탄성 밸브 플레이트(1006)는 상부 공간(704)에서 오물의 압력에 의해 하부 공간(1005) 쪽으로 밀려(도 24의 점선 참조), 오물이 하부 공간(705)으로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클리닝 장치를 편평하게 사용하는 경우, 하부 공간(1005)의 오물은 탄성 밸브 플레이트(1006)를 격벽(703)에 가압하여 제1 홀 그룹(1001)을 폐쇄하여 하부 공간(705)의 오물이 제1 홀 그룹(1001)을 통해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물이 체크 밸브(1002)를 통과하여 오물이 상부 공간(704)에 위치할 때, 체크 밸브(1002)를 완전히 개방(예: 밸브 본체(1004)를 열거나 또는 탄성 밸브 플레이트(1006)가 하부 공간(705)측으로 밀려서, 상부 공간(704)에서 하부 공간(705)으로 오물이 유입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하부 공간(705)으로 유입된 후 체크 밸브(1002)가 완전히 폐쇄될 수 있으므로(예: 밸브 본체(1004)를 닫거나 탄성 밸브 플레이트(1006)를 격벽(703)에 부착하여 제1 홀 그룹(1001)을 폐쇄함), 하부 공간(705)의 오물이 상부 공간(704)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밸브 본체(1004) 또는 탄성 밸브 플레이트(1006)는 우수한 탄성 변형 능력을 가져야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1004) 또는 탄성 밸브 플레이트(1006)는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1004) 또는 탄성 밸브 플레이트(1006)는 20 내지 80도 사이의 쇼어 경도(Shore hardness)(D)를 갖는 고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1004) 또는 탄성 밸브 플레이트(1006)는 40도 내지 80도 사이의 쇼어 경도(Shore hardness)(D)를 갖는 고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1004) 또는 탄성 밸브 플레이트(1006)는 60 내지 70도 사이의 쇼어 경도(Shore hardness)(D)를 갖는 고무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1004) 또는 탄성 밸브 플레이트(1006)는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1004) 또는 탄성 밸브 플레이트(1006)는 쇼어 경도(D)가 35도인 실리콘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쇼어 경도(D)가 35도인 실리콘은 탄성과 경도가 좋아 밸브 본체(1004)나 탄성 밸브 플레이트(1006)의 변형 능력이 좋을 뿐만 아니라, 밸브 본체(1004)나 탄성 밸브 플레이트(1006)의 강성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은 내식성이 우수하므로, 밸브 본체(1004)나 탄성 밸브 플레이트(1006)가 오물에 의해 오랫동안 부식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사용 시나리오에서는, 클리닝 장치에 의해 흡입된 쓰레기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쓰레기가 체크 밸브(1002)를 통과하면서 체크 밸브(1002)의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온도가 높으면 밸브 본체(1004)나 체크 밸브(1002)의 탄성 밸브 플레이트(1006)의 탄성에 영향을 주어, 체크 밸브(1002)를 통과하는 오물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밸브 본체(1004)나 탄성 밸브 플레이트(1006)의 탄성이 감소하면, 체크 밸브를 여는 어려움(즉, 상부 공간(704)에서 하부 공간(705)으로 체크 밸브(1002)의 일방향 전도)이 증가하여 오물이 체크 밸브(1002)를 통과하는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온도가 너무 높으면 밸브 본체(1004)나 탄성 밸브 플레이트(1006)가 열리게 되어 체크 밸브(1002)의 수명이 단축될 수도 있다. 내열 성능이 우수하고 고온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1004) 또는 탄성 밸브 플레이트(1006)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재료의 내열 온도는 25℃ 내지 8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1004) 또는 탄성 밸브 플레이트(1006)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재료의 내열 온도는 30℃ 내지 7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밸브 본체(1004) 또는 탄성 밸브 플레이트(1006)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재료의 내열 온도는 40℃ 내지 6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체크 밸브(1002)는 또한 덕빌 밸브(duckbill valve), 다이어프램 일방향 밸브, 전자기 일방향 밸브, 또는 다른 유형의 일방향 밸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1에 도시된 체크 밸브(1002)를 대체하기 위해 다른 유형의 체크 밸브 또는 일방향 밸브도 사용될 수 있으며, 체크 밸브(1002)와 동일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이들은 본 개시물의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 탱크 본체(701) 내부에 어댑터 튜브(717)가 배열될 수 있고, 커버(716)는 어댑터 튜브(717)에 접할 수 있다. 커버(716)의 압력은 어댑터 튜브(717)를 더욱 안정하게 할 수 있고, 오물 유속이 상대적으로 빠르더라도 채널(702)에서 나오는 오물의 충격으로 인해 흔들리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어댑터 튜브(717)의 입구(722)는 채널(702)의 출구(723)와 결합될 수 있고, 어댑터 튜브(717)의 출구(720)는 커버(716)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커버(716) 쪽으로의 어댑터 튜브(717)의 단부는 폐쇄될 수 있고, 출구(720)는 어댑터 튜브(717)의 측벽에 배열되어 탱크 본체(701) 내부의 물-가스 혼합물의 이동 경로를 연장하고 물-가스의 분리 효과를 개선하고 물이 가스 유출 채널(718)로 펌핑되어 제2 모터(727)에 도달하는 위험을 줄여서, 클리닝 장치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어댑터 튜브(717)의 출구(720)는 가스 유출 채널(718)의 입구(719)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편향될 수 있다. 어댑터 튜브(717)의 출구(720)는 가스 유출 채널(718)의 입구(719)와 방사상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고, 출구(720)의 높이는 입구(719)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으며, 이는 출구(720)와 입구(719) 사이의 거리를 최대화하여, 탱크 본체(701) 내부의 물-가스 혼합물의 이동 경로를 연장시키고, 물-가스 분리 효과를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어댑터 튜브(717)와 채널(702)은 일체형 구조일 수 있다. 즉, 어댑터 튜브(717)는 채널(702)의 일부일 수 있다. 어댑터 튜브(71)는 격벽(703)의 설치 홀(714)을 통과하기 쉽도록 채널(702)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직경을 갖는 직선형 튜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어댑터 튜브(717)와 채널(702)은 별도의 구조일 수 있다. 즉, 어댑터 튜브(717)를 별도로 제작한 후 채널(702)과 조립할 수 있다. 채널(702)은 어댑터 튜브(717)와 설치 홀(714) 사이의 크기 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직선형 튜브로 제작할 수 있고, 이는 채널(702)과 어댑터 튜브(717)의 제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16)에는 수위 탐침 그룹(1200)이 제공될 수 있으며, 수위 탐침 그룹(1200)은 하부 공간(705)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수위 탐침 그룹(1200)은 탱크 본체(701)의 오물 수위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탱크 본체(701)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하면, 제2 모터(727)는 회전을 멈추고 사용자에게 상기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위 탐침 그룹(1200)은 양극성 수위 탐침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위 탐침 그룹(1200)은 또한 단극성 수위 탐침 또는 다른 형태의 수위 탐침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위 탐침 그룹(1200)은 하부 공간(705)을 향해 연장된 제1 탐침 그룹(1201)과 제2 탐침 그룹(12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탐침 그룹(1201)의 연장 길이는 제2 탐침 그룹(1202)의 연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제2 탐침 그룹(1202)은 상부 공간(704)으로 연장되어 제1 홀 그룹(1001)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클리닝 장치를 세워서 사용하는 경우, 제1 탐침 그룹(1201)은 탱크 본체(701)의 수위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 탱크(701)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하면, 제2 모터(727)는 회전을 멈추고 사용자에게 상기시킬 수 있다. 클리닝 장치가 편평하게 사용되는 경우, 제2 탐침 그룹(1202)은 탱크 본체(701)의 수위를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탐침 그룹(1202)에 의해 감지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에 도달하면, 제2 모터(727)가 회전 정지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상기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리닝 장치를 평탄하게 사용하는 경우, 격벽(703)에 배열된 역류 방지 구조(100)는 하부 공간(705)의 오물이 상부 공간(704)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2 모터(727)가 회전을 중지할 수 있고, 클리닝 장치는 여전히 정상적으로 세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공간(704)으로 흡입된 오물은 상부 공간(704)의 격벽(703)에 고이게 될 수 있다. 상부 공간(704)에 너무 많은 오물이 고여 커버(716)로 흘러가는 경우, 오물이 먼저 제2 탐침 그룹(1202)으로 흘러갈 수 있다. 제2 탐침 그룹(1202)은 제2 모터(727)의 회전을 정지하라는 신호를 발생시켜, 오물이 제2 모터(727)로 흡입되어 제2 모터(727)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탐침 그룹(1201) 및 제2 탐침 그룹(1202)을 배열함으로써, 탱크 본체(701) 내부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오물이 제2 모터(727)로 흡입되어 제2 모터(727)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클리닝 장치의 수명을 크게 연장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탐침 그룹(1201)은 하부 공간(705)까지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탐침 그룹(1201)은 격벽(703)을 통해 하부 공간(705)까지 연장될 수 있다. 탱크 본체(7010 내의 오물 수위가 격벽(703)에 도달하기 전에, 제1 탐침 그룹(1201)은 임계 수위를 감지할 수 있고, 이는 제2 모터(727)의 회전을 정지시켜 오물이 제2 모터(727)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클리닝 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하부 공간(705)으로의 제1 탐침 그룹(1201)의 깊이는 실제 시나리오에 따라 적응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탐침 그룹(1201)은 상부 공간(704)에 위치하여 격벽(703)에 근접하게 위치할 수도 있다. 격벽(703)이 막히면, 하부 공간(705)의 오물 수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오물이 상부 공간(704)에 쌓이는 경우에도, 제1 탐침 그룹(1201)은 오물 수위를 정확하게 모니터링하여 오물이 제2 모터(727)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공간(705)의 제1 탐침 그룹(1201)의 위치는 실제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실제 상황에 따라, 제1 탐침 그룹(1201)은 하부 공간(705) 또는 상부 공간(704)으로 연장될 수도 있거나, 제1 탐침 그룹(1201)이 상부 공간(704)과 하부 공간(705) 모두에 배열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2 탐침 그룹(1202)은 어댑터 튜브(717)의 출구(720) 상부에 위치하여 오물이 제2 탐침 그룹(1202)에 직접 분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오판의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도 18 및 도 25를 참조하면, 커버(716)에도 상부 공간(704)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배플 플레이트(1203)가 제공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배플 플레이트(1203)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각 배플 플레이트(1203)의 측면 에지(1205)의 적어도 일부는 탱크 본체(701)의 측벽과 이격될 수 있다. 채널(702)의 출구(723)는 배플 플레이트(1203)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배플 플레이트(1203)는 오물이 탱크 본체(701) 내에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플 플레이트(1203)에 튀는 오물이 아래로 흐르도록 안내하여 클리닝 장치의 사용 경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채널(702)에서 탱크 본체(701)로 흡입된 공기는 배플 플레이트(1203)를 우회하여 커버(716)에 있는 가스 유출 채널(718)의 입구(719)에 도달해야 하므로, 이는 물-가스 혼합물의 이동 경로를 구불구불하게 하고 탱크 본체(701) 내부의 물-가스 혼합물의 이동 경로를 연장시킴으로써, 물-가스 분리 효과를 향상시킨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플 플레이트(1203) 사이에도 제2 탐침 그룹(1202)을 배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커버(716)의 구조를 보다 콤팩트하게 할 수 있고, 먼지 저장 탱크(7)의 방사상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 클리닝 장치가 추가로 간결하고 유연하며 작은 공간을 추가로 쉽게 세정할 수 있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플 플레이트(1203)의 측면 에지(1205)의 상부 영역(1206)은 탱크 본체(701)의 측벽과 접촉할 수 있고, 배플 플레이트(1203)의 측면 에지(1205)의 하부 영역(1207)은 탱크 본체(701)의 측벽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채널(702)의 출구(723)는 측면 에지(1205)의 상부 영역(1206)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배플 플레이트(1203)는 오물이 탱크 본체(701) 내에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가스 혼합물이 배플 플레이트(11203)를 가로지르도록 아래쪽으로 편향되도록 강제하여, 탱크 본체(701) 내부의 물-가스 혼합물의 이동 경로가 길어지고 물-가스 분리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커버(716)에는 또한 후방 플레이트(1204)가 제공되고, 후방 플레이트(1204)는 채널(702)의 출구(723)의 방사상 반대측에 배열되어 양단에서 대응하는 배플 플레이트(1203)와 연결될 수 있다. 가스 유출 채널(718)의 입구(719)는 후방 플레이트(1204)의 방사상 외측에 배열될 수 있다. 물-가스 혼합물은 아래쪽으로 흘러야 하고 가스 유출 채널(718)의 입구(719)에 도달하기 전에 후방 플레이트(1204)를 가로질러야 하며, 이는 탱크 본체(701) 내부의 물-가스 혼합물의 이동 경로를 연장하는 데 도움을 주어, 물-가스 분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후방 플레이트(1204)의 연장 길이는 배플 플레이트(1203)의 연장 길이보다 작을 수 있으며, 이는 배플 플레이트(1203) 및 후방 플레이트(1204)가 물-가스 혼합물의 경로를 과도하게 차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원활한 공기 흐름을 만들고 좋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탱크 본체(701) 내부의 후방 플레이트(1204)의 연장 길이는 실제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명세서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탱크 본체(701) 내부의 물-가스 혼합물의 이동 경로를 효과적으로 연장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후방 플레이트(1204)의 연장 길이는 50㎜ 내지 10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후방 플레이트(1204)의 연장 길이는 60㎜ 내지 10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후방 플레이트(1204)의 연장 길이는 70㎜ 내지 95㎜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후방 플레이트(1204)의 연장 길이는 75㎜ 내지 90㎜일 수 있다. 배플 플레이트(1203)와 후방 플레이트(1204)가 물-가스 혼합물의 경로를 과도하게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에서, 배플 플레이트(1203)의 연장 길이와 후방 플레이트(1204)의 연장 길이 사이의 차이가 25㎜ 내지 4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플 플레이트(1203)의 연장 길이와 후방 플레이트(1204)의 연장 길이 사이의 차이는 28㎜ 내지 37㎜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배플 플레이트(1203)의 연장 길이와 후방 플레이트(1204)의 연장 길이 사이의 차이는 30㎜ 내지 35㎜일 수 있다.
어댑터 튜브(717)와 채널(702)이 분리되면, 어댑터 튜브(717)의 출구(720) 위에는 물 배플(미도시)이 배열될 수 있고, 제2 탐침 그룹(1202) 밑에는 물 배플이 탱크 본체(701)의 측벽과 접촉한다. 이 과정에서, 물 배플이 제2 탐침 그룹(1202)의 출구(720)와 어댑터 튜브(717)를 분리함으로써, 오물이 제2 탐침 그룹(1202)에 직접 분사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오판의 가능성을 더욱 줄여준다.
단지 예컨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저장 탱크(7)는 로드(51)의 후방측에 배열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51)와 정합하는 설치 영역(724)이 탱크 본체(701)의 원주 외면에 제공될 수 있고, 역류 방지 구조(100)는 설치 영역(724)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멀어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설치 영역(724)은 탱크 본체(701)의 전방측에 위치할 수 있고, 역류 방지 구조(100)는 탱크 본체(701)의 후방측 부근에 탱크 본체(701)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클리닝 장치를 편평하게 사용하는 경우에는, 역류 방지 구조(100)는 폐쇄되고 제2 홀 그룹(710)은 하부 공간(705)의 오물이 역류 방지 구조(100)를 통해 상부 공간(704)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낮은 높이에 있고, 이는 클리닝 장치의 정상적인 사용을 보장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저장 탱크(7)는 로드(51)의 전방측에 배열될 수 있으며, 클리닝 장치의 플랫 사용 형태는 역류 방지 구조(100)의 배열 위치에 맞춰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 저장 탱크(7)는 로드(51)의 전방측에 배열될 수 있고, 역류 방지 구조(100)는 설치 영역(724)에 방사상으로 근접할 수 있다. 클리닝 장치를 편평하게 사용할 때, 역류 방지 구조(100)는 폐쇄될 수 있고, 제2 홀 그룹(710)은 낮은 높이로 되어 있어 하부 공간(705)의 오물이 역류 방지 구조(100)를 통해 흘러 상부 공간(704)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는 클리닝 장치의 정상적인 사용을 보장할 수 있다.
도 27 및 도 28에 제공된 예시적인 클리닝 장치는 단지 기계 본체(51) 상의 먼지 저장 탱크(7)의 위치를 예시하기 위한 것임을 유의해야 한다. 클리닝 장치의 다른 조립체의 구조(예: 바닥 브러시(1), 휴대형 집진 장치(6) 등)은 도 1 내지 도 17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다른 유익한 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능한 유익한 효과는 위의 것 중 어느 하나 또는 조합일 수 있고, 또는 임의의 다른 가능한 유익한 효과일 수 있다.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하였다. 물론, 당업자에게 있어서, 상세한 개시물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물을 제한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여기에 명시적으로 언급되지는 않았지만, 당업자는 본 개시물에 대해 다양한 수정, 개선 및 보정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변경, 개선 및 수정은 본 개시물에 의해 제안되도록 의도되었으며 본 개시물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다.
또한, 본 개시물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특정 용어가 사용되었다. 예컨대, "하나의 실시예", "일 실시예" 및/또는 "일부 실시예"라는 용어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한 특징, 구조, 특성이 본 개시물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의 다양한 부분에서 "일 실시예", "하나의 실시예" 또는 "대안적인 실시예"에 대한 둘 이상의 언급이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강조되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본 개시물의 일부 특징들, 구조 또는 특징이 적절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청구범위에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출원의 처리 요소 및 순서의 서열, 디지털 문자의 사용 또는 기타 명칭은 출원 흐름 및 방법의 순서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 상기 개시물은 현재 본 개시물의 다양한 유용한 실시예로 간주되는 다양한 예를 통해 논의되지만, 그러한 세부 사항은 단지 그러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청구범위는 개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반대로, 개시된 실시예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수정 및 동등한 배열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예컨대, 위에서 설명한 다양한 조립체의 구현은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지만, 기존 서버나 모바일 장치에 설치하는 것과 같이 소프트웨어 전용 솔루션으로도 구현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본 개시물의 실시예에 대한 전술한 설명에서, 하나 이상의 다양한 실시예의 이해를 돕고 본 개시물을 간소화할 목적으로 다양한 특징이 때때로 단일 실시예, 도면 또는 설명으로 함께 그룹화된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본 개시물은 본 개시물의 목적이 특허청구범위에 언급된 특징보다 더 많은 특징을 요구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실제로, 실시예의 특징은 위에 개시된 개별 실시예의 모든 특징보다 적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출원의 특정 실시예를 기술하고 청구하는 데 사용된 양, 특성 등을 표현하는 숫자는 일부 경우에 "약", "대략" 또는 "실질적으로"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약", "대략적인" 또는 "실질적으로"는 설명된 값의 ±20% 변동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실시예에서,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제시된 수치적 파라미터는 특정 실시예에 의해 얻고자 하는 원하는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근사치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치 파라미터는 보고된 유효 자릿수를 고려하여 일반적인 반올림 기술을 적용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수치 영역 및 파라미터는 범위들의 범위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이러한 유형의 설정은 특정 실시예의 실현 가능한 범위에서 실현 가능한 범위만큼 정확하다.
여기에 인용된 각 특허, 특허 출원, 특허 출원 간행물 및 기사, 서적, 설명서, 간행물, 문서 등과 같은 기타 자료는 전체 내용이 참조로 여기에 포함된다. 본 개시물의 내용과 모순되거나 상충되는 출원 이력 서류 외에, 본 개시물의 청구범위를 가장 광범위하게 제한할 수 있는 문서(본 출원에 현재 또는 향후 첨부되는 문서)는 본 개시물에서 제외된다. 본 개시물의 첨부된 출원에 사용된 설명, 정의 및/또는 용어가 본 개시물에 기술된 내용과 일치하지 않거나 상충하는 경우, 본 개시물의 설명, 정의 및/또는 용어를 우선적으로 사용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개시물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수정이 본 개시물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한이 아닌 예로서, 본 개시물의 실시예의 대안적인 구성이 본 명세서의 교시에 따라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물의 실시예는 정확히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37)

  1. 기계 본체, 세정액 탱크 및 바닥 브러시를 포함하는 클리닝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 브러시는 상기 기계 본체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세정액 탱크는 상기 바닥 브러시의 위에 배열되며, 상기 세정액 탱크는 상기 바닥 브러시 또는 바닥에 세정액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클리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탱크는 상기 바닥 브러시에 위치하며, 높이 방향에 따른 상기 바닥 브러시와 상기 세정액 탱크의 돌출부들은 기본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세정액 탱크의 길이 방향에 따른 상기 세정액 탱크의 최대 크기는 상기 바닥 브러시의 길이 방향에 따른 상기 바닥 브러시의 최대 크기와 기본적으로 일치하는, 클리닝 장치.
  3. 제1 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브러시는 작업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작업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작업 부분의 최대 크기는 250 내지 270㎜이고,
    상기 작업 부분의 폭 방향을 따른 상기 작업 부분의 최대 크기 대 상기 작업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작업 부분의 최대 크기의 비율은 0.5 내지 0.7이고, 및/또는
    상기 세정액 탱크의 용적 대 상기 작업 부분의 용적의 비율은 0.3 내지 0.6인, 클리닝 장치.
  4. 제1 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부분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기 바닥 브러시의 작업 부분의 최대 크기 대 상기 작업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작업 부분의 최대 크기의 비율은 0.25 내지 0.55인, 클리닝 장치.
  5. 제1 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탱크의 폭 방향을 따른 상기 세정액 탱크의 최대 크기 대 상기 작업 부분의 폭 방향을 따른 상기 바닥 브러시의 작업 부분의 최대 크기의 비율은 0.5 내지 0.7인, 클리닝 장치.
  6. 제1 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탱크의 높이 방향에 따른 상기 세정액 탱크의 최대 크기 대 상기 작업 부분의 높이 방향에 따른 상기 바닥 브러시의 작업 부분의 크기들과 상기 세정액 탱크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기 세정액 탱크의 크기들의 합들의 최대 값의 비율은 0.4 내지 0.7인, 클리닝 장치.
  7. 제1 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탱크의 용량과 상기 세정액 탱크의 용적의 비율은 0.35 이상인, 클리닝 장치.
  8. 제1 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탱크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기 세정액 탱크의 무게 중심은 상기 세정액 탱크의 중간 영역으로 돌출되는, 클리닝 장치.
  9. 제1 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탱크의 저부에는 출구가 제공되고, 상기 출구에는 상기 출구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밸브 조립체가 제공되고, 상기 밸브 조립체의 출구 면적이 3㎟보다 큰, 클리닝 장치.
  10. 제1 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브러시는 설치 쉘, 상부 커버, 및 롤링 브러시를 포함하고, 상기 롤링 브러시의 양단은 상기 설치 쉘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상부 커버 및 상기 세정액 탱크는 상기 설치 쉘의 상부 부분에 위치하는, 클리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쉘은 저부 쉘과 상단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 브러시의 설치 챔버가 상기 저부 쉘과 상기 상단 커버 사이에 형성되며, 및
    상기 바닥 브러시는 쓰레기를 흡입하는 흡입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흡입 포트는 상기 설치 쉘의 전방측과 상기 롤링 브러시의 후방측에 위치하며, 상기 바닥 브러시의 설치 챔버에는 상기 흡입 포트와 연통되는 제1 채널이 제공되는, 클리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브러시의 설치 챔버에는 펌프가 제공되고, 상기 펌프는 상기 세정액 탱크 내의 세정액을 펌핑하도록 구성되는, 클리닝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커버는 수용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세정액 탱크는 상기 수용 슬롯 내에 위치하고,
    상기 펌프의 상단이 상기 수용 슬롯의 최저 표면보다 높고, 및/또는
    상기 제1 채널의 상단은 상기 수용 슬롯의 최저 표면보다 높은, 클리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슬롯의 저면에는 상기 펌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돌기가 제공되고, 상기 세정액 탱크의 저부 부분에는 상기 제1 돌기를 회피하도록 구성된 제1 오목 부분이 제공되는, 클리닝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브러시는 상기 롤링 브러시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된 제1 모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바닥 브러시의 설치 챔버 내에서 상기 펌프로부터 떨어진 제1 채널 측에 위치하거나, 상기 제1 모터는 상기 롤링 브러시 내에 배열되는, 클리닝 장치.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챔버는 저부 쉘을 포함하고, 상기 저부 쉘의 일측은 제1 롤링 브러시 지지부로 고정되고, 상기 저부 쉘의 타측은 자기 인력 구조체를 통해 제2 롤링 브러시 지지부와 연결되는, 클리닝 장치.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 브러시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롤링 브러시의 최대 크기 대 상기 작업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바닥 브러시의 작업 부분의 최대 크기의 비율은 0.9 이상인, 클리닝 장치.
  18. 제10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탱크의 상단 표면은 기본적으로 상기 상부 커버의 상단 표면과 같은 높이이고, 상기 세정액 탱크와 상기 상부 커버는 독립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상부 커버는 상기 설치 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클리닝 장치.
  19.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에는 노즐이 설치되고, 상기 세정액 탱크 내의 세정액이 상기 펌프의 작용에 의해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클리닝 장치.
  20. 제10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탱크는 상기 설치 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클리닝 장치.
  21. 제10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 탱크는 자기 인력 구조체를 통해 상기 설치 쉘에 설치되는, 클리닝 장치.
  22.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브러시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기 세정액 탱크의 최대 크기는 상기 수용 슬롯의 크기보다 큰, 클리닝 장치.
  23. 제11항 내지 제15항 및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브러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상단 커버의 양단에는 볼록 에지가 제공되고, 상기 세정액 탱크의 양측에는 슬롯이 제공되고 상기 볼록 에지는 상기 슬롯에 대응하여 배열되는, 클리닝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브러시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슬롯의 크기 대 상기 세정액 탱크의 최대 크기의 비율은
    상기 슬롯의 크기 대 상기 바닥 브러시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기 세정액 탱크의 최대 크기의 비율은 0.4 내지 0.7인, 클리닝 장치.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브러시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볼록 에지의 크기는 7 내지 10㎜인, 클리닝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브러시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세정액 탱크의 양측에는 상기 슬롯에 대해 상기 세정액 탱크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볼록 부분이 제공되고, 및
    상기 바닥 브러시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볼록 부분의 최대 크기는 10 내지 20㎜이고 및/또는 상기 바닥 브러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볼록 부분의 크기는 8 내지 15㎜인, 클리닝 장치.
  27. 제10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브러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세정액 탱크의 양측에는 둥근 모서리 또는 모따기가 제공되는, 클리닝 장치.
  28. 제1 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장치는 휴대형 집진 장치(handheld dust collection device)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기계 본체에는 고정 시트가 제공되며, 상기 휴대형 집진 장치는 상기 고정 시트에 배열되고, 상기 휴대형 집진 장치는 상기 고정 시트를 통해 상기 기계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클리닝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장치는 먼지 저장 탱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바닥 브러시는 상기 제1 채널을 통해 상기 먼지 저장 탱크와 연통하며, 상기 먼지 저장 탱크는 상기 휴대형 집진 장치로부터 멀리 상기 고정 시트의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먼지 저장 탱크는 상기 고정 시트를 통해 상기 기계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클리닝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저장 탱크는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은 상기 먼지 저장 탱크와 상기 휴대형 집진 장치 사이에 연결되는, 클리닝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시트에는 관통홀이 배열되고, 상기 채널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휴대형 집진 장치와 연통되는, 클리닝 장치.
  32.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저장 탱크에는 분리기가 배열되고, 상기 분리기는 상기 먼지 저장 탱크 내의 쓰레기로부터 기체, 액체 또는 고체를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클리닝 장치.
  33. 제29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본체는 상기 먼지 저장 탱크의 지지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저장 탱크는 상기 먼지 저장 탱크의 지지 시트를 통해 상기 기계 본체에 배열되는, 클리닝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저장 탱크의 지지 시트는 상기 기계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클리닝 장치.
  35. 제29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본체는 제1 로킹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로킹 구조체는 상기 휴대형 집진 장치를 상기 기계 본체에 로킹하도록 구성되며, 및/또는
    상기 기계 본체는 제2 로킹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로킹 구조체는 상기 먼지 저장 탱크를 상기 기계 본체에 로킹하도록 구성되는, 클리닝 장치.
  36. 제28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집진 장치는 부착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 구성요소는 진드기 제거 브러시, 플랫 브러시, 헤어 브러시, 애완동물 브러시, 호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부착 구성요소는 상기 휴대형 집진 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클리닝 장치.
  37. 제29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본체는 막대 형상이고, 상기 기계 본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른 상기 고정 시트의 단면적, 상기 기계 본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른 상기 휴대형 집진 장치의 단면적 및 상기 기계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른 상기 먼지 저장 탱크의 단면적은 상기 기계 본체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따른 상기 기계 본체의 최대 단면적보다 큰, 클리닝 장치.
KR1020237043843A 2021-05-27 2022-05-13 클리닝 장치 KR202400095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587480.6A CN115399689A (zh) 2021-05-27 2021-05-27 吸尘、清洗、手持三合一干湿两用多功能立式吸尘器
CN202110587480.6 2021-05-27
CN202110813176.9 2021-07-19
CN202110813176.9A CN115634867A (zh) 2021-07-19 2021-07-19 用于清洁装置的污水箱和清洁装置
CN202111007095.6 2021-08-30
CN202111007095.6A CN115721201A (zh) 2021-08-30 2021-08-30 一种地刷及具有其的清洁设备
PCT/CN2022/092726 WO2022247660A1 (zh) 2021-05-27 2022-05-13 一种清洁设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500A true KR20240009500A (ko) 2024-01-22

Family

ID=84229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3843A KR20240009500A (ko) 2021-05-27 2022-05-13 클리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81602A1 (ko)
EP (1) EP4331462A1 (ko)
KR (1) KR20240009500A (ko)
AU (1) AU2022281727A1 (ko)
WO (1) WO202224766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0150B (zh) * 2015-06-02 2016-08-31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带独立尘气分离和储灰装置的杆式手持二合一分体吸尘器
KR101799296B1 (ko) * 2015-12-23 2017-11-20 주식회사 디앤티 물걸레 청소기
CN108903784B (zh) * 2018-09-30 2024-02-02 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 干湿两用吸尘器
KR102018521B1 (ko) * 2019-05-29 2019-09-09 주식회사 브랜뉴인터내셔널 상황별 효율적인 청소가 용이한 무선 청소기
CN112641394B (zh) * 2020-05-21 2022-12-27 深圳市博宝特机器人有限公司 一种带有浮动吸嘴的吸拖一体机
CN112754369A (zh) * 2021-01-28 2021-05-07 苏州川欧电器有限公司 清洁设备用水路系统及清洁设备
CN215128139U (zh) * 2021-05-07 2021-12-14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湿拖地刷及清洁设备
CN216060388U (zh) * 2021-05-27 2022-03-18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吸尘、清洗、手持三合一干湿两用多功能立式吸尘器
CN216060390U (zh) * 2021-05-27 2022-03-18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吸尘、清洗、手持三合一干湿两用多功能立式吸尘器
CN216060389U (zh) * 2021-05-27 2022-03-18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吸尘、清洗、手持三合一干湿两用多功能立式吸尘器
CN216060391U (zh) * 2021-08-30 2022-03-18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地刷和配置有该地刷的洗地机
CN216060393U (zh) * 2021-08-30 2022-03-18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地刷及具有其的洗地机
CN216060394U (zh) * 2021-08-30 2022-03-18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清洁设备的地刷和洗地机
CN216060392U (zh) * 2021-08-30 2022-03-18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拆装清洁液箱的地刷及具有该地刷的洗地机
CN113749580A (zh) * 2021-09-28 2021-12-07 深圳市杉川机器人有限公司 一种组合洗地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281727A1 (en) 2023-12-21
EP4331462A1 (en) 2024-03-06
US20240081602A1 (en) 2024-03-14
WO2022247660A1 (zh) 2022-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172915A1 (en) Robot base station, robot system, base module, and functional parts of base station
JP6792299B2 (ja) 電気掃除機
CN216060392U (zh) 一种便于拆装清洁液箱的地刷及具有该地刷的洗地机
WO2023010943A1 (zh) 水箱、过滤器、转接头、基站及清洗系统
KR20020079164A (ko) 세척수 순환식 진공청소기
CN216060393U (zh) 一种地刷及具有其的洗地机
CN216060394U (zh) 一种应用于清洁设备的地刷和洗地机
US20240090717A1 (en) Cleaning devices
CN113647876A (zh) 一种清洁设备的污水箱及清洁设备
KR20240009500A (ko) 클리닝 장치
CN216060391U (zh) 地刷和配置有该地刷的洗地机
CN216823274U (zh) 一种污水箱以及清洁装置
CN215914471U (zh) 一种清洁设备的污水箱及清洁设备
CN216823273U (zh) 一种污水箱以及清洁装置
CN219196872U (zh) 虹吸清洁器
CN218738767U (zh) 储液装置和清洁机器人
WO2023213278A1 (zh) 一种地面清洁装置
CN218044979U (zh) 一种洗地机
CN115721201A (zh) 一种地刷及具有其的清洁设备
CN115721200A (zh) 一种高拆解度的地刷及具有该地刷的清洁设备
CN215533994U (zh) 一种用于灰尘分离模块的固体筛网及灰尘分离模块
CN211324726U (zh) 旋风式预分离装置及包括该旋风式预分离装置的吸尘装置
CN117694778A (zh) 洗地机及其污水桶组件
CN219878069U (zh) 一种具有干湿分离装置的洗地机污水箱
CN218588932U (zh) 一种吸尘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