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9310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9310A
KR20240009310A KR1020220111738A KR20220111738A KR20240009310A KR 20240009310 A KR20240009310 A KR 20240009310A KR 1020220111738 A KR1020220111738 A KR 1020220111738A KR 20220111738 A KR20220111738 A KR 20220111738A KR 20240009310 A KR20240009310 A KR 20240009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cabinet
waterproof rib
hold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아
김기웅
김도완
박치언
황광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0473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14658A1/ko
Priority to US18/144,592 priority patent/US11917770B2/en
Publication of KR20240009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93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실장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후면을 커버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후면에 마련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홀더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복수의 제1마그넷과, 상기 고정부재가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캐비닛 및 복수의 제2마그넷을 포함하고, 캐비닛에 결합되는 회로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제1마그넷과 상기 보강부재의 자기적인 인력과, 상기 복수의 제2마그넷과 상기 보강부재의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상기 캐비닛에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개시된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캐비닛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획득 또는 저장된 전기적 정보를 시각적 정보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출력 장치의 일종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형 사이즈의 화면을 구현하기 위해,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하좌우로 연속적으로 타일링(tiling)하여 지지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는 캐비닛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캐비닛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과 마찬가지로 상하좌우로 연속적으로 타일링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캐비닛이 지지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은 하나의 대형화된 화면을 형성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모듈을 캐비닛에 손쉽게 조립 및 고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은,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방수가 필요한 면적을 줄임으로써 방수 성능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실장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후면을 커버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후면에 마련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홀더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복수의 제1마그넷과, 상기 고정부재가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캐비닛 및 복수의 제2마그넷을 포함하고, 캐비닛에 결합되는 회로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제1마그넷과 상기 보강부재의 자기적인 인력과, 상기 복수의 제2마그넷과 상기 보강부재의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상기 캐비닛에 결합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을 캐비닛에 손쉽게 조립 및 고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에서 방수가 필요한 면적을 줄임으로써 방수 성능이 개선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캐비닛과,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캐비닛과,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캐비닛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E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의 B-B'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후방", "좌측", "우측", "상방" 및 "후방"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실장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후면을 커버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후면에 마련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홀더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복수의 제1마그넷과, 상기 고정부재가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캐비닛 및 복수의 제2마그넷을 포함하고, 캐비닛에 결합되는 회로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제1마그넷과 상기 보강부재의 자기적인 인력과, 상기 복수의 제2마그넷과 상기 보강부재의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상기 캐비닛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결합 해제 위치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지 못하는 결합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 해제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일 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타 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기판의 접지 패드와 접촉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접지 가스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 가스켓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홀더에 형성되는 접지 홀을 통과하여 상기 보강부재와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접지 홀의 주변을 실링하도록 상기 홀더와 상기 보강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접지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홀더에 형성되는 제1커넥터 홀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노출되는 제1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케이스는, 상기 회로 케이스에 형성되는 제2커넥터 홀을 통해 상기 회로 케이스의 전방에 노출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제1커넥터 홀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제1커넥터 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커넥터 홀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제1방수리브와, 상기 제1방수리브의 내측에서 상기 제1커넥터 홀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제2방수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제1커넥터 홀을 제외한 상기 홀더의 나머지 영역에서 상기 홀더 내부로의 물 유입을 차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방수리브는, 상기 제1방수리브 내측의 물을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제1방수리브의 하단에 마련되는 제1배수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방수리브는, 상기 제2방수리브 내측의 물을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제2방수리브의 하단에 마련되는 제2배수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배수홀은, 상기 제1방수리브의 아래로부터 상기 제1배수홀 및 제2배수홀을 통과하는 물의 양을 줄이도록 상기 제1배수홀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2방수리브와 상기 제1커넥터 홀 사이를 실링하도록 상기 제2방수리브의 내측에 마련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홀더 또는 상기 회로 케이스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제2방수리브의 내측에서 상기 제1커넥터 홀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제3방수리브와, 상기 제2방수리브와 상기 제2방수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실링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실링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복수의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캐비닛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서로 결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캐비닛과,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는 서로 수직한 X축, Y축, Z축 방향이 표시되어 있으며, X축 방향은 좌우 방향을 의미하고, Y축 방향은 상하 방향을 의미하며, Z축 방향은 전후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정보, 자료, 데이터 등을 문자, 도형, 그래프, 영상 등으로 표시하여 주는 장치로서, 광고판, 전광판, 스크린, 텔레비전, 모니터 등이 디스플레이 장치(1)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벽 또는 천장에 설치되거나, 스탠드(미도시)에 의해 실내 또는 실외 그라운드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지지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방에 결합되는 캐비닛(200)과, 캐비닛(200)에 결합되고 내부에 전장품을 수용하는 회로 케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 1개의 캐비닛(200)에는 6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개의 캐비닛(200)에는 좌우 방향(X)으로 2개의 디스플레이 모듈들(100)이 결합될 수 있고, 상하 방향(Y)으로 3개의 디스플레이 모듈들(10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들(100)은 2 * 3 매트릭스 형태로 캐비닛(20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캐비닛(200)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들(100)의 개수에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다. 1개의 캐비닛(200)에는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모듈들(100)이 결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8개의 캐비닛들(200)과, 상기 8개의 캐비닛들(200)에 결합된 48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100)이 결합된 복수의 캐비닛들(200)을 좌우 방향(X) 및 상하 방향(Y)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함으로써 대형 사이즈의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좌우 방향(X) 및 상하 방향(Y)으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캐비닛(200)의 개수에 한정이 있는 것은 아니고, 상기한 바와 같이, 캐비닛(200)에 결합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개수에 한정이 있는 것도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캐비닛(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캐비닛(200)으로부터 캐비닛(200)의 전방으로 분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자기력에 의해 캐비닛(200)에 결합될 수 있다. 캐비닛(200)과 회로 케이스(300)는 그 전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마그넷(1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마그넷(10)은, 캐비닛(200)의 전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마그넷(1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마그넷(10)은, 회로 케이스(300)의 전면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마그넷(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그 후면에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제1마그넷(10) 및 복수의 제2마그넷(10)과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결합되는 보강부재(140, 도 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200)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마그넷(10)과, 회로 케이스(300)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마그넷(10)은 서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복수의 제1마그넷(10)과 복수의 제2마그넷(10)을 통칭하여 복수의 마그넷(10)이라 할 수 있다.
캐비닛(200)은 캐비닛(200)의 외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210, 220, 230, 240, 도 6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케이스(300))는 상기 프레임(210, 220, 230, 24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 케이스(3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각각이 포함하는 제1커넥터(112, 도 5 참조)와 대응되는 제2커넥터(301)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케이스(300)는 일 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제1케이스(310)와, 제1케이스(310)의 개방된 일 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제2케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100) 각각의 제1커넥터(112)와 회로 케이스(300)의 제2커넥터들(301)이 결합함으로써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10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들(100)이 회로 케이스(300) 내부에 배치되는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을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기판(110, 도 11 참조)과, 기판(110)의 측면과 후면을 커버하고 기판(110)을 지지하는 홀더(12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10)은 접착제, 양면 접착 테이프 등을 통해 홀더(120)의 전면에 부착되거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홀더(120)에 결합될 수 있다.
기판(110)의 전면에는 복수의 엘이디(Light-emitting diode, LED, 111)가 실장될 수 있다. 기판(110)은 유리(glass), PI(polyimide), FR4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엘이디(111) 각각은 레드 엘이디, 그린 엘이디, 블루 엘이디를 하나의 픽셀로 패키징하여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엘이디(111)는 매트릭스 형태로 기판(110)에 실장될 수 있다. 복수의 엘이디들(111)는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배열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의 해상도 및 크기에 따라 복수의 엘이디(111)간의 간격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기판(110)의 전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커버 플레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30)는 기판(110)에 실장된 복수의 엘이디(111)와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엘이디 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엘이디 홀(131)을 통해 복수의 엘이디(111)가 커버 플레이트(130)의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30)와 홀더(120) 내부에는 기판(110)이 수용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30)와 홀더(120)는 서로 결합됨으로써 기판(110)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30)는 루버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루버부(132)는 수평 루버부(133)와, 수직 루버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루버부(132)는 복수의 엘이디(111)로 유입되는 수분을 줄이거나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커버 플레이트(130)는 복수의 엘이디(111)의 상측에 마련되는 루프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루프부(135)는 커버 플레이트(13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방으로부터 복수의 엘이디(111)로 물이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30)는 커버 플레이트(130)와, 기판(110) 및 홀더(120)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미도시)가 삽입되는 체결홀(136)과, 고정부재(20)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고정홀(13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캐비닛과,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캐비닛(200)의 전방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자기력에 의해 캐비닛(200)에 결합될 수 있다. 캐비닛(200)의 전면에는 복수의 마그넷(10, 도 2 참조)이 마련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는 상기 복수의 마그넷(10)의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끌어 당겨지는 보강부재(140, 도 5 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보강부재(140)는 홀더(120)의 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보강부재(140)는 홀더(120)의 후면의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부재(140)는 제1보강부재(141)와, 제2보강부재(142)와, 제3보강부재(143) 및 제4보강부재(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보강부재(141)는 홀더(120)의 후면 상측 테두리와 인접하게 마련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보강부재(142)는 홀더(120)의 후면 하측 테두리와 인접하게 마련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보강부재(143)는 홀더(120)의 후면 좌측 테두리와 인접하게 마련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보강부재(144)는 홀더(120)의 후면 우측 테두리와 인접하게 마련되고,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강부재(140)는 홀더(120)의 후면에 결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보강부재(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부재(14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물리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부재(140)는 마그넷(10)의 자력에 의해 끌어 당겨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140)는 외부의 자력에 의해 자화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140)는 보강부재(140)가 외부의 자력에 의해 얻은 극성에 의해서 마그넷(10)과 서로 끌어 당길 수 있다. 보강부재(140)는 마그넷(10)과 상호 작용하는 자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강부재(140)는 철(Fe)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고정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상측과, 하측에 각각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재(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 상측 중앙과, 후면 하측 중앙에 마련될 수 있으나, 그 위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재(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캐비닛(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복수의 마그넷(10)과 보강부재(140) 사이의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상기 자기적인 인력 이상의 힘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캐비닛(20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가해질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캐비닛(2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고정부재(2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캐비닛(200)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기판(110)의 후면에 마련되는 제1커넥터(112)를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으로 노출시키는 제1커넥터 홀(128)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제1커넥터 홀(128)로의 물 유입을 차단하도록 홀더(12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방수리브(122)와, 제2방수리브(123) 및 제3방수리브(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방수리브(123)와 제3방수리브(124) 사이에는 실링 홈(125, 도 7 참조)이 형성될 수 있고, 실링 홈(125)에는 실링부재(15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방수리브(122)와 제2방수리브(123) 및 제3방수리브(124)는 각각 링(ring)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방수리브(122)의 내측에는 제2방수리브(123)가 마련될 수 있고, 제2방수리브(123)의 내측에는 제3방수리브(124)가 마련될 수 있다.
제1방수리브 내지 제3방수리브(122, 123, 124)는 회로 케이스(300)의 전면과 접촉함으로써 제1방수리브 내지 제3방수리브(122, 123, 124)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2방수리브(123)와 제3방수리브(124) 사이에 형성되는 실링 홈(125)에는 실링부재(150)가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재(150)는 실링 홈(125)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재(150)는 대략 링(ring)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실링부재(150)는 부피 변화가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링부재(15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부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링부재(150)는 실링 홈(125)과 대응되도록 회로 케이스(300)의 전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제1방수리브(122)와, 제2방수리브(123)와, 제3방수리브(124)와, 실링 홈(125)과 좌우 대칭으로 마련되는 제1방수리브(122a)와, 제2방수리브(123a)와, 제3방수리브(124a)와, 실링 홈(125a)을 포함할 수 있다. 편의상, 제1방수리브 내지 제3방수리브(122a, 123a, 124a)를 좌측 방수리브라 하고, 제1방수리브 내지 제3방수리브(122, 123, 124)를 우측 방수리브라 할 수 있다.
좌측 방수리브(122a, 123a, 124a)와 우측 방수리브(122, 123, 124)는 좌우 대칭의 동일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캐비닛(200)의 2열 중 좌측 열과 우측 열에 모두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캐비닛(200)의 우측 열에 결합될 때에는, 우측 방수리브(122, 123, 124) 내측에 제1커넥터(112)가 배치될 수 있고, 제1커넥터(112)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부재(150)가 우측 실링 홈(125)에 마련될 수 있다. 반대로,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캐비닛(200)의 좌측 열에 결합될 때에는, 좌측 리브(122a, 123a, 124a) 내측에 제1커넥터(112)가 배치될 수 있고, 실링부재(150)는 좌측 실링 홈(125a)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커넥터(112)가 배치되지 않는 방수리브의 내측에는 제1커넥터 홀이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좌측 제3방수리브(124a)의 내측에는 제1커넥터 홀이 마련되지 않을 수 있고, 우측 제3방수리브(124)의 내측에는 제1커넥터(112)가 노출되도록 제1커넥터 홀(128)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우측 방수리브(122, 123, 124)와 우측 실링 홈(125)을 방수리브(122, 123, 124)와 실링 홈(125)이라 칭하기로 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캐비닛의 정면도이다.
캐비닛(20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네 개의 프레임(210, 220, 230, 240)을 결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네 개의 프레임(210, 220, 230, 240)은 네 개의 코너 브라켓(250a, 250b, 250c, 250d)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210, 220, 230, 240)은 캐비닛(200)의 상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1프레임(210)과, 캐비닛(200)의 하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2프레임(220)과, 캐비닛(200)의 좌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3프레임(230)과, 캐비닛(200)의 우측 테두리를 형성하는 제4프레임(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3프레임(230)과 제4프레임(240)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프레임(210)과 제4프레임(240)은 제1코너 브라켓(250a)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프레임(210)과 제3프레임(230)은 제2코너 브라켓(250b)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2프레임(220)과 제3프레임(230)은 제3코너 브라켓(250c)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제2프레임(220)과 제4프레임(240)은 제4코너 브라켓(250d)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프레임 내지 제4프레임(210, 220, 230, 240)은 제1코너 브라켓 내지 제4코너 브라켓(250a, 250b, 250c, 250d)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사각 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로 케이스(300)는 프레임(210, 220, 230, 240)의 내측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회로 케이스(300)는 회로 케이스(300)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마련되는 제1연결 브라켓(340)과 제2연결 브라켓(350)에 의해 프레임(210, 220)에 결합될 수 있다.
회로 케이스(300)는, 회로 케이스(300)의 전면과 측면을 형성하고 후면이 개방된 제1케이스(310)와, 제1케이스(310)의 개방된 후면을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제2케이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310)와 제2케이스(320)는 서로 결합되어 회로 케이스(30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케이스(310)와 제2케이스(320)는 그 내부가 밀폐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케이스(310)와 제2케이스(320)는 외부로부터의 물 유입이 차단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케이스(310)의 전면에는 제2커넥터 홀(311a)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케이스(310)는, 제2커넥터 홀(311a)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고 전방을 향해 돌출된 리브(3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커넥터 홀(311a)의 내측에는 제2커넥터(301)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커넥터 홀(311a)와 제2커넥터(301) 및 리브(311)는 캐비닛(200)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개수와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회로 케이스(300)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전원 공급 장치(미도시)와,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제어하도록 마련되는 제어 보드(미도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장품은 상기한 전원 공급 장치, 제어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 케이스(3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 브라켓(3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브라켓(330)은 회로 케이스(300)의 양 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브라켓(330)은 회로 케이스(330)의 양 측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각각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4개의 지지 브라켓(330)이 회로 케이스(330)에 결합될 수 있다.
캐비닛(200)은 복수의 마그넷(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로 케이스(300)는 복수의 마그넷(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캐비닛(200)은 제1프레임 내지 제4프레임(210, 220, 230, 240)의 전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마그넷(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로 케이스(300)는 회로 케이스(300)의 전면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마그넷(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200)과 회로 케이스(300)는 1개의 디스플레이 모듈(100) 당 10개의 마그넷(1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200)과 회로 케이스(300)는 총 60개의 마그넷(10)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200)은 38개의 마그넷(10)을 포함할 수 있고, 회로 케이스(300)는 22개의 마그넷(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마그넷(10)의 개수와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그넷(10)의 개수와 위치는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캐비닛(200)의 우측 상단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지지하기 위해, 캐비닛(200)은 제1마그넷 내지 제7마그넷(10a, 10b, 10c, 10d, 10e, 10f, 10g)을 포함할 수 있고, 회로 케이스(300)는 제8마그넷 내지 제10마그넷(10h, 10i, 10j)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마그넷(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자화 가능한 재질로 마련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에 배치되는 보강부재(140)를 자기적인 인력으로 끌 당김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캐비닛(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기판(110)의 후면에는 기판(110)의 접지 패드(미도시)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접지 가스켓(113)이 마련될 수 있다. 접지 가스켓(113)은 기판(110)에 실장될 수 있다. 접지 가스켓(113)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홀더(120)는 접지 가스켓(113)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접지 홀(129)을 포함할 수 있다. 접지 홀(129)은 접지 가스켓(113)과 대응되는 위치에 접지 가스켓(113)과 대응되는 크기로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접지 홀(129)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접지 실링부재(151)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 실링부재(151)는 접지 홀(129)의 주변을 실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접지 실링부재(151)는 홀더(120)의 후면과 보강부재(14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접지 실링부재(151)는 홀더(120)와 보강부재(140) 사이를 실링함으로써 접지 홀(129)로의 물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접지 실링부재(151)는 접지 홀(129)로의 상하좌우 모든 방향에서의 물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폐루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강부재(140)는 접지 홀(129)을 관통하여 홀더(120)의 후방으로 돌출된 접지 가스켓(113)의 적어도 일부분과 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재(140)는 접지 가스켓(113) 및 캐비닛(200)의 마그넷(10)과 접촉할 수 있다. 보강부재(140)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재(140)는 기판(110)에 서지(surge)가 발생했을 때, 과전류를 접지 가스켓(113)으로부터 마그넷(10)을 거쳐 캐비닛(200)으로 흘려 보낼 수 있다. 서지로 인한 과전류는, 접지 가스켓(113)과 접촉하는 보강부재(140)와, 보강부재(140)와 접촉하는 마그넷(10)을 거쳐 캐비닛(200)으로 흐를 수 있다. 이를 통해, 기판(110)에 실장된 복수의 엘이디(111)와 같은 부품이 서지로 인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부재(140)는 넓은 의미에서, 접지면으로 기능할 수 있다.
도 9는 도 4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부재(20)는 윙 너트(wing nut)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20)는 홀더(120)의 홀더 홀(121) 내에 삽입되는 원기둥 형상의 바디부(21)와, 바디부(2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22)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200)은 고정부재(20)가 관통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관통홀(20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20)는 관통홀(201)을 통과할 수 있는 결합 해제 위치와, 관통홀(201)에 돌기부(22)가 걸림으로써 관통홀(201)을 통과하지 못하는 결합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캐비닛(200)의 후방에서, 관통홀(201)을 통과하여 캐비닛(200)의 후방으로 돌출된 고정부재(20)를 별도의 도구 없이 손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캐비닛(200)에 결합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캐비닛(200)으로부터 결합 해제할 수 있다. 관통홀(201)을 통과한 고정부재(20)가 결합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디스플레이 모듈(100)에 자기력 이상의 힘을 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캐비닛(2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관통홀(201)을 통과한 고정부재(20)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캐비닛(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고정부재(20)의 적어도 일부가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하는 고정홀(137, 도 3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홀(137)은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20)의 일 단은 고정홀(137)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면에 노출될 수 있다. 고정부재(20)의 일 단에는 소정 형상의 홈(groove)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재(20)의 일 단에는 고정부재(20)의 타 단에 마련되는 육각형의 홈(23)이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부재(20)의 일 단에 형성된 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도구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방에서 고정부재(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20)를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캐비닛(200)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캐비닛(200)의 후면에 접근하지 않고서도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전방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을 캐비닛(2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마그넷(10)과 보강부재(140)의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캐비닛(2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자기적인 인력 이상의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캐비닛(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고정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20)가 결합 위치에 위치할 때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캐비닛(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은 도 7의 E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의 B-B'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제1방수리브(122)의 하단에 마련되는 제1배수홀(126)과, 제2방수리브(123)의 하단에 마련되는 제2배수홀(12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배수홀(126)은 제1방수리브(122)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2배수홀(127)은 제2방수리브(122)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배수홀(126)은 제1방수리브(122)를 일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배수홀(127)도 제2방수리브(123)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방수리브(122)의 하단에는 제1배수홀(126)이 마련될 수 있고, 제2방수리브(123)의 하단에는 제2배수홀(127)이 마련될 수 있다.
제1배수홀(126)과 제2배수홀(127)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배수홀(127)은 제1방수리브(122)의 아래로부터 제1배수홀(126) 및 제2배수홀(127)을 통과하는 물의 양을 줄이도록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배수홀(126)과 제2배수홀(127)은 상하 방향으로 겹치지 않도록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배수홀(127)의 아래에 제1배수홀(126)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제1배수홀(126)과 제2배수홀(127)을 거쳐 제1커넥터(112)까지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배수홀(126)과 제2배수홀(127)이 상하 방향으로 서로 겹치게 위치하면, 제1배수홀(126)의 아래로부터 제1배수홀(126) 및 제2배수홀(127)을 거쳐 실링 홈(125)으로의 물 유입 경로가 단순해지고, 이는 실링 홈(125)으로의 물 유입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제1배수홀(126)과 제2배수홀(127)이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하면, 제1배수홀(126)을 통해 유입된 물은 측방으로 이동한 후 상방으로 이동해야만 제2배수홀(127)을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제1배수홀(126)과 제2배수홀(127)을 거쳐 실링 홈(125)으로의 물 유입 경로가 복잡해지고, 이는 실링 홈(125)으로의 물 유입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실링부재(150)는 실링 홈(125) 및 제3방수리브(124) 내측으로의 수분 유입을 차단하도록 마련되긴 하지만,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방수 성능을 강화하기 위해 실링부재(150)로의 수분 유입량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배수홀(126)과 제2배수홀(127)은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캐비닛(200)에 결합되었을 때, 물 유입 차단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캐비닛(200)에 결합되면, 실링부재(150)는 제1케이스(310)의 전면과 접촉할 수 있다. 실링부재(150)는 제1케이스(310)의 전면 및 홀더(120)의 후면과 접촉함으로써 제1케이스(310)의 전면과 홀더(120)의 후면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이 캐비닛(200)에 결합되었을 때, 실링부재(150)는 실링부재(150)의 외측으로부터 실링부재(150)의 내측으로의 물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커넥터(112)가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내부로의 물 유입 차단과 제2커넥터(301)가 위치하는 회로 케이스(300)의 내부로의 물 유입 차단을 위해, 제1방수리브(122)와, 제2방수리브(123)와, 제3방수리브(124)와, 실링부재(150)와, 리브(311)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제3방수리브(124) 내측에 형성된 개구를 통한 물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 내부로의 물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제1커넥터(11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개구를 제외하고는 수분 유입이 차단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회로 케이스(300)는 제2커넥터 홀(311a)를 통한 물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회로 케이스(300) 내부로의 물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회로 케이스(300)는 제2커넥터(30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제2커넥터 홀(311a)를 제외하고는 수분 유입이 차단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제3방수리브(124) 내측의 개구와, 회로 케이스(300)의 제2커넥터 홀(311a)를 실링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 내부로의 물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제1커넥터(112)와 제2커넥터(301)가 위치한 디스플레이 장치(1) 내부로 물이 유입되려면, 도 10의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물은 제1방수리브(122)의 외측으로부터 제1방수리브(122)와, 제2방수리브(123)와, 실링부재(150)와, 제3방수리브(124)와, 리브(311)를 통과해야 한다. 즉, 물 유입 경로 상에 제1방수리브(122)와, 제2방수리브(123)와, 실링부재(150)와, 제3방수리브(124)와, 리브(311)가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구조물들을 통과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 내부로의 물 유입되기 어렵고,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의 방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의 일부 영역과 회로 케이스(300)의 전면의 일부 영역만을 실링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0)과 회로 케이스(300) 내부로의 물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0)은 제3방수리브(124) 내측에 형성된 개구로의 물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방수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회로 케이스(300)는 제2커넥터 홀(311a)로의 물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방수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00)의 후면의 일부 영역과, 그와 대응되는 회로 케이스(300)의 전면의 일부 영역만을 실링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는 방수가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 일부 영역은 실링부재(150) 내측의 영역을 가리킬 수 있다. 제1방수리브 내지 제3방수리브(122, 123, 124)와, 실링부재(150) 및 리브(311)를 통해 실링부재(150) 내측으로의 물 유입을 차단할 수 있고, 실링부재(150) 내측의 영역은 그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아 효율적으로 수분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방수가 필요한 면적을 줄임으로써 방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방수가 필요한 면적을 줄임으로써 방수가 필요한 영역으로의 물 유입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디스플레이 장치
100 : 디스플레이 모듈
110 : 기판
111 : 발광 다이오드
112 : 제1커넥터
113 : 접지 가스켓
120 : 홀더
121 : 홀더 홀
122 : 제1방수리브
123 : 제2방수리브
124 : 제3방수리브
125 : 실링 홈
126 : 제1배수홀
127 : 제2배수홀
128 : 제1커넥터 홀
129 : 접지 홀
130 : 커버 플레이트
131 : 엘이디 홀
132 : 루버부
133 : 수평 루버부
134 : 수직 루버부
135 : 루프부
136 : 체결홀
137 : 고정홀
140 : 보강부재
150 : 실링부재
151 : 접지 실링부재
200 : 캐비닛
201 : 관통홀
210 : 제1프레임
220 : 제2프레임
230 : 제3프레임
240 : 제4프레임
240 : 제2수직 프레임
250a, 250b, 250c, 250d : 코너 브라켓
300 : 회로 케이스
301 : 제2커넥터
311 : 리브
311a : 제2커넥터 홀
330 : 지지 브라켓
340 : 제1연결 브라켓
350 : 제2연결 브라켓

Claims (15)

  1.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실장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후면을 커버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의 후면에 마련되는 보강부재와, 상기 홀더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복수의 제1마그넷과, 상기 고정부재가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캐비닛; 및
    복수의 제2마그넷을 포함하고, 캐비닛에 결합되는 회로 케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제1마그넷과 상기 보강부재의 자기적인 인력과, 상기 복수의 제2마그넷과 상기 보강부재의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는 결합 해제 위치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지 못하는 결합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결합 해제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일 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 노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재의 타 단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기판의 접지 패드와 접촉하도록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접지 가스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지 가스켓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홀더에 형성되는 접지 홀을 통과하여 상기 보강부재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접지 홀의 주변을 실링하도록 상기 홀더와 상기 보강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접지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홀더에 형성되는 제1커넥터 홀을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노출되는 제1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 케이스는, 상기 회로 케이스에 형성되는 제2커넥터 홀을 통해 상기 회로 케이스의 전방에 노출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커넥터 홀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제1커넥터 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커넥터 홀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제1방수리브와,
    상기 제1방수리브의 내측에서 상기 제1커넥터 홀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제2방수리브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커넥터 홀을 제외한 상기 홀더의 나머지 영역에서 상기 홀더 내부로의 물 유입을 차단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수리브는, 상기 제1방수리브 내측의 물을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제1방수리브의 하단에 마련되는 제1배수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방수리브는, 상기 제2방수리브 내측의 물을 하방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제2방수리브의 하단에 마련되는 제2배수홀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배수홀은,
    상기 제1방수리브의 아래로부터 상기 제1배수홀 및 제2배수홀을 통과하는 물의 양을 줄이도록 상기 제1배수홀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제2방수리브와 상기 제1커넥터 홀 사이를 실링하도록 상기 제2방수리브의 내측에 마련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홀더 또는 상기 회로 케이스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2방수리브의 내측에서 상기 제1커넥터 홀을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제3방수리브와,
    상기 제2방수리브와 상기 제2방수리브 사이에 형성되는 실링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실링 홈에 삽입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복수의 캐비닛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캐비닛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서로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111738A 2022-07-13 2022-09-02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0931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4736 WO2024014658A1 (ko) 2022-07-13 2023-04-07 디스플레이 장치
US18/144,592 US11917770B2 (en) 2022-07-13 2023-05-08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6553 2022-07-13
KR20220086553 2022-07-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9310A true KR20240009310A (ko) 2024-01-22

Family

ID=89716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738A KR20240009310A (ko) 2022-07-13 2022-09-02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93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8830B2 (en) Display apparatus
KR101917075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장치
ES2367147T3 (es) Panel modular de control mejorado para un electrodoméstico.
EP3799656B1 (en) Display apparatus
US11353732B2 (en) Display apparatus
JP5075852B2 (ja) Led発光表示装置
US20140063351A1 (en) Television receiver and electronic device
JP3223482U (ja) 上方から蓋を開いて電池交換可能な発光プレート
US10219417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blocking element
KR10221993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0931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94877B1 (ko) 타일형 엘이디모듈
KR100940919B1 (ko) 엘이디 표시장치
US11917770B2 (en) Display apparatus
KR2024001225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114635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453383B2 (en) Display panel having a sealed back cover
KR20240032580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3640158B2 (ja) 表示装置
US20240032217A1 (en) Display apparatus
CN210606423U (zh) 显示屏模块单元及具有其的led显示屏
KR20240030832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5202301A (ja) 電光表示装置
KR20170133174A (ko) 표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EP3614033B1 (en) Display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