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3174A - 표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33174A KR20170133174A KR1020160064315A KR20160064315A KR20170133174A KR 20170133174 A KR20170133174 A KR 20170133174A KR 1020160064315 A KR1020160064315 A KR 1020160064315A KR 20160064315 A KR20160064315 A KR 20160064315A KR 20170133174 A KR20170133174 A KR 2017013317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osed
- cabinet
- holder
- display module
- rot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63—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은, 복수의 발광 패널이 M행 및 N열(M>1,N>1)을 갖고 배열된 패널 어셈블리와, 패널 어셈블리의 후면에 결합된 캐비닛 및 캐비닛의 후면부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고정부는 캐비닛의 전면부 및 후면부 방향으로의 누룸에 따라 회전하여 벽 또는 지지구조물의 홀더에 착탈된다. 따라서, 실시 예는 표시 모듈과 벽 사이의 간소화된 결합구조에 의해 표시 모듈의 설치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표시 모듈과 벽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공간 활용 및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 예는 표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는 표시 모듈을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전류가 인가되면 광을 방출하는 반도체 소자 중 하나이다. 발광 다이오드는 저 전압으로 고효율의 광을 방출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 효과가 뛰어나다. 최근, 발광 다이오드의 휘도 문제가 크게 개선되어, 액정표시장치의 라이트 유닛(light Unit), 전광판, 표시기, 가전 제품 등과 같은 각종 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공공장소의 광고나, 화면표시에 있어서, 대형화면의 수요가 점점 늘고 있으며, 대형화면의 표시수단으로 발광 다이오드(LED)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종래의 액정 발광 패널을 이용한 표시수단에 비해 대형화가 용이하고, 전기 에너지의 소모가 적으며, 적은 유지보수비용으로 긴 수명을 가지기 때문이다. 최근 발광 다이오드(LED)를 이용한 대형 표시수단은 TV, 모니터, 경기장용 전광판, 옥외광고, 옥내광고, 공공표지판, 및 정보표시판 등의 여러 곳에 사용되고 있으며, 그 구성방법 또한 다양하다.
실시 예는 발광 다이오드가 배열된 발광 패널을 지지하는 캐비닛(Cabinet)을 갖는 표시 모듈의 벽걸이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실시 예는 발광 다이오드가 배열된 발광 패널의 코너(corner)들의 후방에 방열 프레임이 배치된 캐비닛을 갖는 표시 모듈을 제공한다.
실시 예는 발광 패널의 후방에 수지 재질의 캐비닛에 일체로 결합된 방열 프레임을 갖는 표시 모듈을 제공한다.
실시 예는 복수의 표시 모듈의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고 각각의 표시 모듈의 방열 프레임이 서로 접촉될 수 있도록 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는 발광 패널의 후방 캐비닛의 외측을 따라 복수의 자석이 배치된 표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는 복수의 표시 모듈의 측면들 중 서로 대면하는 측면들이 비 접촉되며 복수의 자석 및 방열 프레임들이 접촉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는 표시 모듈과 벽 또는 지지구조물 사이의 결합이 용이한 누름 체결구조의 고정부를 갖는 표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는 표시 모듈과 벽 또는 지지구조물 사이의 간소화된 결합구조에 의해 표시 모듈의 설치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는 미세 조정이 가능한 표시 모듈의 결합구조에 의해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는 표시 모듈과 벽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은, 복수의 발광 패널이 M행 및 N열(M>1,N>1)을 갖고 배열된 패널 어셈블리와, 패널 어셈블리의 후면에 결합된 캐비닛 및 캐비닛의 후면부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고정부는 캐비닛의 전면부 및 후면부 방향으로의 누룸에 따라 회전하여 벽 또는 지지구조물의 홀더에 착탈된다. 따라서, 실시 예는 표시 모듈과 벽 사이의 간소화된 결합구조에 의해 표시 모듈의 설치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표시 모듈과 벽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공간 활용 및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발광 패널이 M행 및 N열(M>1,N>1)을 갖고 배열된 패널 어셈블리;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후면에 결합된 캐비닛(130); 및 상기 캐비닛의 후면부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제1 고정부(210)를 포함하는 적어도 2 이상의 표시 모듈; 및 적어도 2 이상의 표시 모듈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표시 모듈은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인접한 제1 및 제2 표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 모듈의 서로 인접한 모서리 영역의 방열 프레임 상에 배치된다.
실시 예는 캐비닛에 방열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표시 모듈의 두께를 줄여줄 수 있다.
실시 예는 캐비닛에 방열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표시 모듈의 무게를 줄여줄 수 있다.
실시 예는 캐비닛과 발광 패널의 회로 기판 사이에 전원 보드가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전원 보드에 의한 표시 모듈의 두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는 발광 패널의 방열이 개선될 수 있다.
실시 예는 복수의 발광 패널을 갖는 표시 장치의 방열이 개선될 수 있다.
실시 예는 복수의 표시 모듈의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실시 예는 표시 모듈과 벽 사이의 간소화된 결합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실시 예는 표시 모듈과 벽 사이의 간소화된 결합구조에 의해 표시 모듈의 설치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예는 미세 조정이 가능한 표시 모듈의 결합구조에 의해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예는 표시 모듈과 벽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표시 모듈의 A-A측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발광 패널의 예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캐비닛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캐비닛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캐비닛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6의 표시 모듈의 캐비닛의 방열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캐비닛 및 방열 프레임의 B-B측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캐비닛 및 방열 프레임의 C-C측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캐비닛 및 방열 프레임의 D-D측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결합 전 상태이다.
도 14는 실시 예의 표시모듈 각각의 캐비닛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실시 예의 고정부 및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실시 예의 고정부 및 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1 회전부와 마주보는 제2 회전부의 탑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홀더의 전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는 홀더의 후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3a 및 도 23b는 고정부 및 홀더의 착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다른 실시 예의 제2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제2 고정부의 후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제2 고정부의 후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4의 제2 고정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표시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표시 모듈의 A-A측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발광 패널의 예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캐비닛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캐비닛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캐비닛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6의 표시 모듈의 캐비닛의 방열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캐비닛 및 방열 프레임의 B-B측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캐비닛 및 방열 프레임의 C-C측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캐비닛 및 방열 프레임의 D-D측 단면도이다.
도 13은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결합 전 상태이다.
도 14는 실시 예의 표시모듈 각각의 캐비닛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실시 예의 고정부 및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실시 예의 고정부 및 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1 회전부와 마주보는 제2 회전부의 탑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홀더의 전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는 홀더의 후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3a 및 도 23b는 고정부 및 홀더의 착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다른 실시 예의 제2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의 제2 고정부의 후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제2 고정부의 후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7은 도 24의 제2 고정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over)"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on/over)"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상/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표시 모듈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표시 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표시 모듈의 A-A측 단면도이며,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발광 패널의 예이고,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캐비닛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표시 모듈의 캐비닛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캐비닛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6의 표시 모듈의 캐비닛의 방열 프레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의 캐비닛 및 방열 프레임의 B-B측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캐비닛 및 방열 프레임의 C-C측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9의 캐비닛 및 방열 프레임의 D-D측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발광 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단일 피크 파장을 발광하거나, 복수의 피크 파장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LED 칩으로 이루어지거나, LED 칩 상에 형광체층을 구비하거나, LED 칩이 패키징된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중에서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층은 LED 칩으로부터 방출된 광에 의해 여기되어 한 컬러 이상의 피크 파장을 발광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는 반도체 적층 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소자 예컨대, 제너 다이오드 또는 FET와 같은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용이하게 설명하도록 LED 및 이에 부가되는 구성을 갖는 소자를 발광 소자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모듈(100)은 발광 소자들이 배열된 복수의 발광 패널(111,112,113,114)을 갖는 패널 어셈블리(110), 및 상기 발광 패널(111,112,113,114)의 제1면에 결합되며 상기 발광 패널(111,112,113,114)를 지지 및 방열하는 캐비닛(130)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130)의 배면에는 상기 발광 패널(111,112,113,114)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보드(173) 및 제어를 위한 제어 보드(17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30)의 제1측 예컨대, 후방에는 상기 전원 보드(173) 및 제어 보드(175)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커버(cover)(17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30)은 패널 어셈블리(panel assembly)(110)의 제1면에 배치되며, 상기 패널 어셈블리(110)는 복수의 발광 패널(111,112,113,114)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발광 패널(111,112,113,114) 각각은 서로 동일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110)는 M행N열(M>1, N>1, M+N≥2) 개의 발광 패널(111,112,113,114) 예컨대, 2행2열 또는 그 이상의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상기 발광 패널(111,112,113,114) 각각은 가로와 세로의 길이(X3,Y3)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예컨대 가로 길이(X3)가 세로 길이(Y3)보다 길 수 있다. 상기 발광 패널(111,112,113,114) 각각의 가로 길이(X3)는 세로 길이(Y3)의 1.5배 이상 예컨대, 1.5배 내지 2배 사이의 범위로 화면 비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110)의 가로 길이(X2)는 480mm 이상이고, 세로 길이(Y2)는 250mm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른 예로서, 상기 복수의 발광 패널(111,112,113,114) 중 적어도 하나는 사이즈가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 패널(111,112,113,114) 각각은 다각형 형상을 포함하며, 예컨대 직사각형 형상 또는 정사각형 형상이거나 사각 이상의 다각형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에 따라 발광 패널들의 길이들은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캐비닛(130)의 가로 길이(도 6의 X1)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110)의 가로 길이(X2)와 동일할 수 있으며, 세로 길이(도 6의 Y1)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110)의 세로 길이(Y3)와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캐비닛(130)의 가로 및 세로 길이(X1,Y1)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110)의 가로 및 세로 길이(X2,Y2)와 다를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패널 어셈블리(110)의 크기가 상기 캐비닛(130)의 크기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비닛(130)이 패널 어셈블리(110)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 패널(111,112,113,114)은 상기 캐비닛(130) 상에서 서로 동일한 평면 상에 배열되거나, 서로 다른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복수의 발광 패널(111,112,113,114)들은 수평한 평면 상에 배치되거나, 적어도 하나는 수평한 평면으로부터 틸트(tilt)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널 어셈블리(110)의 각 발광 패널(111,112,113,114)은 발광 소자의 서브 픽셀(pixel)을 갖는 단위 픽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며, 상기 단위 픽셀은 서로 다른 컬러 예컨대, 적어도 삼색 컬러를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들로 구현하거나, 서로 동일한 컬러를 발광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단위 픽셀의 발광 소자는 청색, 녹색 및 적색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패널(111,112,113,114)은 도 5와 같이, 회로 기판(1), 상기 회로 기판(1) 상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 소자(2A,2B,2C)를 포함하는 픽셀 영역(2), 상기 회로 기판(1) 상에 배치된 투광층(3)을 포함한다. 상기 회로 기판(1)은 단층 또는 다층의 리지드(rigid) 기판이거나 연성 기판일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은 예컨대, 수지 계열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메탈 코어(Metal Core) PCB, 연성(Flexible) PCB, 세라믹 PCB, FR-4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은 전극 패턴을 갖는 필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PI(폴리 이미드) 필름, PET(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필름, 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필름, PEN(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 TAC(트라아세틸셀룰로오스)필름, PAI(폴리아마이드-이미드), PEEK(폴리에테리-에테르-케톤), 퍼플루오로알콕시(PFA),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수지 필름(PE, PP, PE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 상에는 회로 패턴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로 패턴은 복수의 발광 소자(2A,2B,2C)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 상에는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층(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은 상기 회로 기판(1) 상에서 명암 대비 율은 개선될 줄 수 있다. 상기 블록 매트릭스층은 상기 픽셀 영역(2)들 사이에 배치되어 명암 대비 율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층의 재질은 예컨대 카본 블랙(carbon black), 그라파이트(Graphite) 또는 폴리 피롤(poly pyrrole)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블랙 매트릭스 재질의 표면에는 요철 패턴과 같은 러프니스(roughness)가 형성되어, 광의 확산성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의 두께는 100㎛ 이상 예컨대, 100㎛ 내지 500㎛ 범위 예컨대, 100㎛ 내지 400㎛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의 두께가 상기 범위보다 두꺼우면 비아 전극(미도시)의 가공시 어려움이 존재하며, 상기 범위보다 얇은 경우 핸들링(handling)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크랙(crack)이나 스크래치(scratch)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 기판(1)이 상기한 두께로 제공됨으로써, 상기 발광 소자(2A,2B,2C)를 지지하며 방열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발광 소자(2A,2B,2C)는 복수의 서브 픽셀로서 단위 픽셀 영역(2)으로 구현되며, 상기 픽셀 영역(2)은 청색 LED 칩, 녹색 LED 칩, 적색 LED 칩을 포함하거나, 상기 복수의 청색 LED 칩과 녹색 형광체층 및 적색 형광체층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II족-VI족 화합물 반도체 및 III족-V족 화합물 반도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AlInGaN, InGaN, GaN, GaAs, InGaP, AllnGaP, InP, InGaAs 등의 계열의 반도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반도체 발광소자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n형 반도체층, p형 반도체층, 및 활성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활성층은 InGaN/GaN, InGaN/AlGaN, InGaN/InGaN, GaN/AlGaN, InAlGaN/InAlGaN, AlGaAs/GaAs, InGaAs/GaAs, InGaP/GaP, AlInGaP/InGaP, InP/GaAs와 같은 페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수평형 칩 구조, 수직형 칩 구조, 플립 칩 구조 또는 비아 전극을 갖는 구조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 소자(2A,2B,2C) 상에는 투광층(3)이 배치되며, 상기 투광층(3)은 실리콘 또는 에폭시와 같은 투명한 수지 재질을 포함한다. 상기 투광층(3)은 상기 발광 소자(2A,2B,2C)를 덮을 수 있으며, 상기 회로 기판(1)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투광층(3)은 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회로 기판(1)의 상면을 통해 침투하는 습기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투광층(3) 상에는 보호층(4)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층(4)은 상기 투광층(3)의 표면을 보호하게 된다. 상기 보호층(4)은 실리콘 또는 에폭시와 같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어, 입사되는 광을 투과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보호층(4)의 일부는 상기 회로 기판(1)의 에지 부분에 접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로 기판(1)의 측면을 통한 습기 침투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 상기 투광층(3) 및 상기 보호층(4) 각각의 상면 면적은 상기 각 발광 패널(111,112,113,114)의 상면 면적과 동일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각 발광 패널(111,112,113,114)은 단위 픽셀의 서브 픽셀들이 발광 다이오드로 구현됨으로써, 픽셀들 간의 피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발광 패널(111,112,113,114)을 SD(Standard Definition)급 해상도(760480), HD(High definition)급 해상도(1180720), FHD(Full HD)급 해상도(19201080), UH(Ultra HD)급 해상도(34802160), 또는 UHD급 이상의 해상도(예: 4K(K=1000), 8K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 패널(111,112,113,114)을 LED를 갖는 픽셀로 구현함으로써, 전력 소비가 낮아지며 낮은 유지 비용으로 긴 수명으로 제공될 수 있고, 고 휘도의 자발광 디스플레이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각 발광 패널(111,112,113,114)의 후면에는 복수의 체결 부재(19)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 부재(19)는 상기 각 발광 패널(111,112,113,114)의 후면 예컨대, 회로 기판(1)의 후면에 본딩 물질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19)는 상기 회로 기판(1)의 후면에 접합된 너트(nu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19)를 회로 기판(1)의 후면에 본딩해 줌으로써, 회로 기판(1) 내에 체결을 위한 부재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회로 기판(1)의 두께를 박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1)의 상면에서 체결 부재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너트는 금속 재질로 구현하여, 발광 패널(111,112,113,114)을 캐비닛(130)에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줄 수 있고 열 전달 효율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19)는 후크(hook) 구조의 홈이거나 돌기 구조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회로 기판(1)의 후면에는 복수의 드라이버 IC(5)가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드라이버 IC(5)는 상기 발광 소자(2A,2B,2C)의 구동 및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와 같이, 상기 캐비닛(130)의 전면부에는 패널 어셈블리(110) 예컨대, 복수의 발광 패널(111,112,113,114)이 배치된다. 상기 캐비닛(130)의 전면부에 상기 복수의 발광 패널(111,112,113,114)이 배치되며, 체결 수단(191)으로 상기 캐비닛(130) 내의 체결 구멍(192)과 상기 발광 패널(111,112,113,114)의 체결 부재(19)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캐비닛(130)에 발광 패널(111,112,113,114)에 고정시켜 줄 수 있다.
상기 캐비닛(130)은 상기 복수의 발광 패널(111,112,113,114)의 후방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의 패널 패널(111,112,113,114)을 지지함으로써, 방열 특성이 높고 열에 의한 변형이 적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30)은 수지 재질 또는 플라스틱 예컨대, 내열 플라스틱, 강화 플라스틱 또는 열 전도성 수지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30)은 수지 재질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을 포함할 수 있어, 내열성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상기 캐비닛(130)은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ETP), 폴리 플로필렌(PP), 스틸렌 수지, 및 열 가소성 플라스틱(FRT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캐비닛(130)에는 복수의 케이블 구멍(132)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블 구멍(132)을 통해 케이블(미도시)이 삽입될 수 있고, 발광 패널(111,112,113,114) 및 드라이버 IC(5)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구멍(132) 간의 수평한 간격(B1)은 전원 보드(173)의 너비(B2)보다 크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캐비닛(130)에는 방열 구멍(133)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방열 구멍(133)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110)의 센터 영역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방열 구멍(133) 각각은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보다 더 긴 형상으로 배치되므로, 수직 방향으로의 방열이 용이할 수 있다. 상기 방열 구멍(133)은 상부의 제1,2발광 패널(111,112,113,114)의 코너 영역에 배치된 개수보다는 하부의 제3,4발광 패널(111,112,113,114)의 코너 영역에 배치된 개수가 더 많을 수 있어, 상/하부 발광 패널(111,112,113,114) 간의 열 이동에 따른 방열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열 구멍(133)의 크기는 위치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예컨대 상부 및 하부 열에 배치된 구멍의 크기보다 센터 열에 배치된 구멍의 크기가 더 크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 구멍(133)의 크기는 상기 패널 어셈블리(110)의 센터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된 구멍의 크기를 다른 영역의 구멍의 크기보다 크게 배치하여, 열이 집중되는 것을 줄여줄 수 있다.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캐비닛(130)의 전면부에는 복수의 전면 리브(rib)(31,32,33,34)가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전면 리브(31,32,33,34)는 수직하게 배치된 제1리브(31,34), 및 수평하게 배치된 제2리브(3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2리브(31,32,33,34)는 서로 교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리브(31,32,33,34)는 상기 캐비닛(130)의 에지 영역과 내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영역에 배치된 제1리브(34)는 복수개가 수직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며, 내부 영역에 배치된 제2리브(33)는 복수개가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상기 내부 영역에서 복수의 제1리브(34) 간의 간격(C2)은 복수의 제2리브(33) 간의 간격(C4)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30)의 센터 영역에서 각각 교차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30)의 에지 영역에 배치된 제1,2리브(31,32)는 측벽(40A,40B,40C,40D)과의 간격이 상기 내부 영역에 배치된 제1,2리브(33,34)들 간의 간격(C2,C4)보다 좁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30)의 전면부에 제1,2리브(31,32,33,34)에 의해 에지 영역 및 내부 영역에서의 변형에 대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내/외 영역의 제1리브(31,34) 간의 간격(C1)은 내/외부 영역의 제2리브(32,33) 간의 간격(C3)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캐비닛(130)의 내부 영역에 배치된 제1,2리브(33,34)들 사이에는 브리지 리브(33A)가 배치되어, 상기 제1리브(33)들을 서로 연결해 주거나, 제2리브(34)들을 서로 연결해 줄 수 있다. 상기 브리지 리브(33A)는 도 4에 도시된, 패널 어셈블리(110)의 체결 부재(19)가 결합되는 리브(33,34)들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2리브(31,32,33,34)의 소정 부분에는 상기 발광 패널(111,112,113,114)의 체결 부재(도 4의 19)가 삽입되는 삽입 홈(36A)을 갖는 가이드 리브(36)가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 리브(36)는 상기 발광 패널 방향으로 돌출되고 내부 삽입 홈(36A)에 상기 체결 부재(도 4의 19)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삽입 홈(36A) 내에는 체결 구멍(192)이 배치되어, 체결 수단(191)을 통해 상기 체결 부재(도 4의 19)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삽입 홈(36A) 및 체결 구멍(192)은 상기 발광 패널(111,112,113,114)의 체결 부재(도 4의 19)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2리브(31,32,33,34)의 선 상 또는 이에 인접한 영역에 각각 형성되어, 강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도 4 및 도 6과 같이, 상기 캐비닛(130)의 후면부는 플랫한 영역(131)이 배치되며, 상기 플랫한 영역(131)에는 방열 판(171) 및 제어 보드(175)가 결합되고, 상기 방열 판(171)의 후방에 전원 보드(173)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방열 판(171)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110)의 회로 기판(1) 및 전원 보드(173)을 통해 전도되는 열을 방열할 수 있다. 상기 방열 판(171)은 복수의 돌출부(171A)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171A)는 상기 발광 패널(111,112,113,114) 방향으로 돌출되며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캐비닛(130)의 방열 구멍(133)과 선택적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보드 (175) 및 전원 보드(173)는 전기적인 보호를 위해, 갭 부재(19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갭 부재(195)는 상기 제어 보드(175)와 상기 방열 판(171) 사이의 영역과, 상기 전원 보드(173)과 상기 캐비닛(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체결 수단(191)을 이용하여 상기 전원 보드(173) 및 제어 보드(175)를 캐비닛(130)에 체결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상기 캐비닛(130)의 후면부에는 다수의 후면 리브(41,4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후면 리브(41,42)는 백(back) 리브로서, 수평한 복수의 제3리브(41), 및 수직한 복수의 제4리브(42)가 배치된다. 상기 제3리브(41)들 중 센터 영역(B3)에 배치된 리브(R5)들은 이의 외측에 배치된 리브들의 밀도나 간격보다 좁게 배치되어, 캐비닛(130)의 수평한 방향으로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3,4리브(41,42)는 캐비닛(130)의 후방 측벽(40A,40B,40C,40D)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리브(41) 중 상/하 측벽(40B,40D)에 인접한 영역 예컨대, 상기 방열 프레임(141,142,143,144)들에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되거나 상기 방열 프레임(141,142,143,144)들 사이에 배치된 리브(R2)들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리브들이 배치되어, 캐비닛(130)의 수평 방향으로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리브(R2)는 상기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의 영역(A2)과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4리브(42) 중 좌/우 측벽(40A,40C)에 인접한 영역 예컨대, 상기 방열 프레임(141,142,143,144)들에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거나 상기 방열 프레임(141,142,143,144)들 사이에 배치된 리브(R1)들은 적어도 2개 이상이 배치되어, 캐비닛(130)의 수직 방향으로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리브(R1)는 상기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의 영역(A1)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어, 수직 방향으로의 뒤틀림 방지 및 스트레스를 보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캐비닛(130)의 후면 리브(41,42)의 밀도는 전면 리브(31,32,33,34)의 밀도보다 높게 배치되어, 상기 후면 리브(41,42)를 통해 캐비닛(130)의 수직 방향의 하중을 보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캐비닛(130)은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은 복수의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은 캐비닛(130)의 각 코너 영역에 배치된 제1 내지 제4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은 탑뷰 형상이 다각형 형상 예컨대, 사각형 형상을 포함한다. 상기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은 상기 패널 어셈블리(110)의 후방 코너 영역에 대응되고 상기 각 발광 패널(111,112,113,114)의 어느 한 코너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은 상기 캐비닛(13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30)은 상기 방열 프레임(141,142,143,144)과 결합된 결합부(5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50)는 상기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의 일부 예컨대, 후면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50)는 각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의 서로 다른 두 측면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의 외 측면이 상기 캐비닛(130)의 측벽(40A,40B,40C,40D)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캐비닛(130)의 가로 길이(X1)는 제1,2방열 프레임(141,142)의 외 측면 간의 간격이며, 세로 길이(Y1)는 제1,3방열 프레임(141,143) 간의 외측 간의 간격일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2와 같이, 상기 방열 프레임(141,142,143,144) 각각은 외측 둘레의 측벽 프레임(60)과, 상기 측벽 프레임(60)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리세스(60A,60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벽 프레임(60)에는 복수의 체결 구멍(6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의 전면부는 제1리세스(60A) 및 복수의 구멍(H1,H2)이 배치되며, 상기 제1리세스(60A)는 측벽 프레임(60)으로부터 소정 깊이(도 11의 E3)를 갖고 배치될 수 있으며, 발광 패널(111,112,113,114)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구멍(H1,H2) 중 외측 구멍(H1)은 발광 패널(111,112,113,114)의 체결 부재(도 4의 19)와 결합되며, 내측 구멍(H2)은 캐비닛(130)에 인접한 구멍으로서, 하나 또는 복수로 배치될 있고, 도 9와 같이 캐비닛(130)의 일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측 구멍(H2)은 도 9와 같이, 복수 개 중 적어도 하나가 캐비닛(130)의 결합부(50) 내에 배치될 수 있고, 나머지는 결합부(50)와 접촉되거나 오픈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은 별도의 리브없이 형성될 수 있고, 도 8과 같이 상기 캐비닛(130)의 전면 바닥보다 돌출될 수 있다.
도 6 및 도 9와 같이, 상기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은 후면부에 제2리세스(60B)가 배치되며, 상기 제2리세스(60B)에는 복수의 체결 리브(62), 상기 체결 리브(62) 각각과 상기 측벽 프레임(60) 사이에 연결된 다중 리브(61), 및 상기 체결 리브(62)와 인접한 체결 리브(62) 간을 연결하는 연결 리브(67)를 포함한다.
상기 제2리세스(60B)는 측벽 프레임(60)으로부터 소정 깊이(도 11의 E4)로 배치될 수 있으며, 도 11과 같이 상기 제2리세스(60B)는 깊이(E4)가 상기 제1리세스(60A)의 깊이(E3)보다 깊게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130)의 결합부(50)와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줄 수 있다.
상기 체결 리브(62)는 상기 제2리세스(60B)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리브(62)들을 연결한 형상은 다각형 형상으로 배치 예컨대, 마름모 형상, 사각형 형상, 오각형 형상, 사다리꼴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체결 리브(62) 중 인접한 체결 리브들은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인접하지 않는 체결 리브들은 수직 선 또는 수평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리브(62)는 보스(Boss)로 기능할 수 있다. 실시 예는 복수의 체결 리브(62)가 마름모 형상으로 제공하며, 상기 마름모 형상으로 배치된 경우 수직 방향의 하중에 대한 스트레스를 분산시켜 줄 수 있다. 상기 각 체결 리브(62)의 형상은 기둥 형상 예컨대, 원 기둥 형상 또는 다각 기둥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에 체결 홈(62A)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체결 홈(62A)은 외부 벽이나 케이스에 체결 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다중 리브(61)는 상기 각 체결 리브(62)와 이에 인접한 상기 측벽 프레임(60) 사이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체결 리브(62)에 연결된 다중 리브(61)는 측벽 프레임(60)으로 갈수록 점차 넓은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다중 리브(61)는 체결 리브(62) 및 측벽 프레임(60)에 연결된 부분이 서로 분리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분산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다중 리브(61)의 최대 간격은 상기 체결 리브(62)의 최대 너비보다 더 크게 배치될 수 있어, 보다 큰 면적 또는 보다 큰 영역을 갖는 다중 리브(161)를 통해 가해지는 힘이 상기 체결 리브(62)로 집중되고 분산될 수 있다. 상기 다중 리브(61)는 2개 이상 예컨대, 3개 또는 그 이상이 각 체결 리브(62)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체결 리브(62)들 사이의 연결 리브(67)에 비해 2배 이상의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방열 프레임(141)에서 다중 리브(61)의 전체 개수는 상기 연결 리브(67)의 전체 개수의 3배 이상 예컨대, 3.5배 이상의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 리브(62)들 사이의 연결 리브(67)는 사선 방향에 배치된 체결 리브(62)들을 서로 연결해 주며, 브리지 리브일 수 있다. 상기 연결 리브(67)는 서로 다른 체결 리브(62)들을 연결해 주며, 체결 리브(62)로 전달된 외부 스트레스를 다른 체결 리브(62)로 분산시켜 전달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에 배열된 체결 리브(62)들을 연결해 주는 수평 또는/및 수직한 연결 리브(6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다중 리브(61)와 상기 연결 리브(67)는 상기 체결 리브(62)와 측벽 프레임(60) 사이, 상기 체결 리브(62)들을 연결해 주는 리브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리브(62), 연결 리브(67)의 배면 면적 합은 상기 방열 프레임(141,142,143,144) 각각의 배면의 면적의 40% 이하 예컨대, 20% 내지 30%의 범위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의 무게가 무거워질 수 있고, 상기 범위보다 작으면 리브(61,62,67)들의 하중에 대한 분산 효율 및 방열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의 배면 면적은 2000mm2 이상 예컨대, 2100mm2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케비닛130)의 사이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의 배면 면적의 전체 합은 상기 캐비닛(130)의 배면 면적의 합의 10% 이하 예컨대, 4% 내지 8% 범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의 배면 합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복수의 표시 모듈(100)을 적층할 때 전체 무게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고, 상기 범위보다 적으면 방열 효율 및 지지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의 재질은 금속 재질 예컨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은 열 전도 특성이 높고 사출 후 캐비닛(130)과의 결합력이 좋고 강성을 갖는 금속 또는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은 다른 예로서, 티타늄(Ti), 구리(Cu), 니켈(Ni), 금(Au), 크롬(Cr), 탄탈늄(Ta), 백금(Pt), 주석(Sn), 은(Ag), 인(P), 철(Fe)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선택적인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의 바닥 두께는 0.5mm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실시 예는 캐비닛(130)에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금속 재질로 형성된 캐비닛(130)에 의한 무게를 증가로 인한 문제 예컨대, 단위 모듈의 무게 증가, 세트 전체의 무게 증가, 별도의 보조 프레임을 이용하거나, 고 비용인 문제들이 있다. 실시 예는 캐비닛(130)의 적어도 코너 부분에 배치된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에 의해, 단위 모듈의 무게나 세트 전체의 문제가 감소될 수 있고, 별도의 보조 프레임을 이용하지 않을 수 있고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방열 프레임(141,142,143,144)과 사출됨으로써, 캐비닛(130)의 두께를 줄여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비닛(130)의 결합부(50)는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의 상/하/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을 차단할 수 있다.
이하, 제1방열 프레임(141)과 캐비닛(130)의 결합부(50)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제2 내지 제4방열 프레임(142,143,144)는 제1방열 프레임(141)의 결합 구조를 참조하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기 제1방열 프레임(141)에서 측벽 프레임(60)에는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 구멍(69) 예컨대, 복수의 결합 구멍(69)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결합 구멍(69)을 통해 상기 결합부(50)의 사출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결합 구멍(69)을 통해 결합부(50)가 결합됨으로써, 상/하/좌/우 방향으로 제1방열 프레임(141)의 표면들과 캐비닛(130)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방열 프레임(141)의 외 측면은 상기 결합부(50)의 측면보다 소정 간격(E1) 더 외측에 배치될 수 있어, 표시 모듈의 조립시 방열 프레임들의 외 측면들의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1과 같이, 상기 캐비닛(130)의 결합부(50)는 제1방열 프레임(141)의 측벽 프레임(60)의 내측 영역(64)과, 다수의 지지 리브(6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50)는 상기 체결 리브(62)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거나 이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9 및 도 12와 같이, 상기 캐비닛(130)의 결합부(50)는 상기 제1방열 프레임(141)의 측벽 프레임(60)의 내측 접촉부(64)를 기준으로 외측에 배치된 영역과 내측에 배치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50)는 상기 접촉부(64)의 내측 영역의 너비(D5) 또는 면적이 외측 영역의 너비(D1) 또는 면적보다 클 수 있다(D5>D1). 예컨대, 상기 내측 영역의 너비(D5)는 외측 영역의 너비(D1)보다 2배 이상 크게 배치되어, 상기 제1방열 프레임(141)은 상기 결합부(50)의 내부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고, 접착력을 강화시켜 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의 측벽 프레임(60)의 두께(D2)는 1.6mm±0.4mm의 범위를 포함하며, 상기 측벽 프레임(60) 중 상기 캐비닛(130)의 결합부(50)와 결합되는 접촉부(64)는 적어도 2측면일 수 있다. 상기 측벽 프레임(60) 및 접촉부(64)의 두께(D2)는 상기 외측 영역의 너비(D1)와 같거나 1.6mm±0.4mm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캐비닛(130)의 결합부(50)의 일부(50A)는 상기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의 결합 구멍(69)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구멍(69)의 높이(D4)는 제출 시의 용액의 유입을 용이하도록 도 11의 제2리세스(60B)의 깊이(E4)의 1/2이상일 수 있으며, 삼차원 구조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30)의 결합부(50)는 상기 제1방열 프레임(141)의 측벽 프레임(60)보다 소정 두께(D4)로 돌출되어, 상기 측벽 프레임(60)의 접촉부(64)가 후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두께(D4)는 상기 측벽 프레임(60)의 두께(D2)와 같거나 더 두껍게 배치되어, 측벽 프레임(60)의 유동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방열 프레임(141,142,143,144)의 적어도 2개의 측벽 프레임의 접촉부(64)를 캐비닛(130)의 결합부(50)와 일체로 결합시켜 줄 수 있고, 상기 결합부(50)의 내측 영역이 더 넓은 면적으로 상기 측벽 프레임(60)의 접촉부(64)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방열 프레임(141)을 캐비닛(130)에 결합시켜 줄 수 있다.
도 1,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모듈(10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의 수납부(38)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수납부(38)는 상기 캐비닛(130)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며 관통된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수납부(38)에는 자석(151)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자석(151)은 상기 수납부(38)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38)는 전면 또는/및 후면을 통해 자석(151)을 삽입하고, 측면부의 가이드 홀을 통해 상기 자석(151)의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석(151)의 측 방향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모듈의 결합 전 상태이고, 도 14는 실시 예의 표시모듈 각각의 캐비닛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 내지 도 17은 실시 예의 고정부 및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의 표시 장치는 복수의 표시 모듈(100,101,102,103)이 서로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표시 모듈(100,101,102,103)은 표시면이 나란하게 적어도 2개 이상이 수평 방향 또는/및 수직 방향으로 밀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표시 모듈(100,101,102,103)은 외측 둘레에 배치된 자석(151) 간이 서로 부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이다. 실시 예의 표시장치는 상기 복수의 표시 모듈(100,101,102,103)과 벽 또는 지지구조물 사이의 고정이 용이한 결합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는 상기 복수의 표시 모듈(100,101,102,103)과 벽 또는 지지 구조물 사이의 간소화된 결합구조에 의해 표시 모듈의 설치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외관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상기 복수의 표시 모듈(100,101,102,103)과 벽 또는 지지구조물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시 예의 표시장치는 상기 복수의 표시 모듈(100,101,102,103) 각각의 후면부 모서리 영역에 배치된 제1 고정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210)는 상기 복수의 표시 모듈(100,101,102,103) 각각의 캐비닛(130) 후면부 4개의 모서리 영역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의 제1 고정부(210)는 상기 캐비닛(130)의 4개의 모서리 영역에 모두 배치된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1 고정부(210)는 상기 복수의 표시 모듈(100,101,102,103) 각각을 벽 또는 지지구조물에 누름 체결구조로 서로 고정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210)는 벽 또는 지지구조물에 설치된 홀더(230)에 착탈될 수 있다. 여기서, 실시 예는 상기 복수의 표시 모듈(100,101,102,103) 각각의 전면부와 후면부의 수직한 z방향(z)으로 누름에 의해 상기 제1 고정부(210)와 홀더(230)가 착탈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210)는 연결몸체(211), 탄성부재(215), 제1 회전부(213) 및 제2 회전부(2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210)는 상기 연결몸체(211)의 z방향(z)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부(213)가 상기 연결몸체(211)에 의해 상기 제2 회전부(217)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 회전부(217)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210)는 상기 제2 회전부(217)의 회전에 의해 상기 홀더(230)로부터 착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부(213)는 상기 연결몸체(211)가 상기 복수의 표시 모듈(100,101,102,103)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부(213)의 회전은 다음 상기 연결몸체(211)의 z방향(z) 이동 시에 상기 제2 회전부(217)를 회전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몸체(211)는 상기 복수의 표시 모듈(100,101,102,103) 각각의 후면부 4개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된 방열 프레임(141, 142, 143, 144)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연결몸체(211)는 상기 복수의 표시 모듈(100,101,102,103) 각각의 후면부 4개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된 방열 프레임(141, 142, 143, 144)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연결몸체(211)는 체결 수단(290)에 의해 상기 방열 프레임(141, 142, 143, 144)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 수단(290)은 나사이거나 리벳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몸체(211)는 금속 재질이거나 플라스틱 재질일 수 있으며, 바닥 뷰 형상이 다각형 형상 또는 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몸체(211)는 상기 방열 프레임(141, 142, 143, 144)과 z방향(z)으로 중첩될 수 있다. 실시 예의 제2 고정부(210)는 상기 방열 프레임(141, 142, 143, 144)과 전체가 중첩된 구조를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어도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몸체(211)는 상기 제1 회전부(213)를 덮는 덮개(211a)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211a) 내부에는 상기 제1 회전부(213)와 접하는 복수의 제1 돌기(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돌기(211b)는 상기 덮개(211a)의 내부면으로부터 개구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돌기(211b)는 상기 덮개(211a)의 내부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돌기(211b)는 상기 덮개(211a)의 측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 돌기(211b) 각각은 끝단에 제1 직선부(211d) 및 상기 제1 직선부(211d)로부터 이격된 제1 경사부(21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직선부(211d)는 상기 제1 경사부(211c)보다 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직선부(211d)는 상기 제1 경사부(211c)보다 상기 제1 회전부(213)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직선부(211d)는 상기 제1 회전부(213)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부(213)는 제1 회전몸체(213a)와, 상기 제1 회전몸체(213a)로부터 상기 연결몸체(211)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부(213b)와, 상기 지지부(213b) 끝단에 배치된 제2 경사부(213c) 및 제2 직선부(213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기(211b)의 제1 직선부(211d)는 상기 제1 회전부(213)의 제2 직선부(213d)와 접촉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몸체(211)는 상기 제1 회전부(213)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회전부(213)를 상기 제2 회전부(217)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부(211c)는 상기 제1 회전부(213)의 제2 경사부(213c)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연결몸체(211)가 상기 제1 회전부(213)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 경사부(211c)와 제2 경사부(213c)가 접하면서 상기 제1 회전부(213)가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부(213)는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211c, 213c)에 따라 회전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회전각도는 제1 고정부(210)의 센터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211c, 213c) 각각의 일끝단과 타끝단이 이루는 사이각(θ)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경사부(211c, 213c) 각각의 일끝단과 타끝단이 이루는 사이각이 45도인 경우, 상기 제1 회전부(213)의 회전각도는 45도일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213)는 상기 제2 회전부(217)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회전부(217)의 내측방향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213)는 상기 연결몸체(211)와 상기 제2 회전부(21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213)의 제1 회전몸체(213a)는 탑뷰가 원형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213b)는 상기 제1 회전몸체(213a)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13b)는 상기 제1 회전몸체(213a)의 외측을 따라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13b)는 상기 제1 회전몸체(213a)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연결몸체(211)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213)의 제2 직선부(213d) 및 제2 경사부(213c)는 상기 제1 회전몸체(213a)로부터 연장된 지지부(213b)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직선부(213d)는 상기 지지부(213b)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213b)의 내측에 단차구조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직선부(213d)는 상기 제2 경사부(213c)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부(213c)는 상기 지지부(213b)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경사부(213c)는 상기 제1 회전부(213)의 회전시에 상기 제1 경사부(211c)와 대면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213)는 제3 경사부(213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경사부(213e)는 상기 지지부(213b)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경사부(213e)는 상기 제1 회전몸체(213a)와 지지부(213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경사부(213e)는 상기 지지부(213b)와 상기 제1 회전몸체(213a) 사이의 단차구조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경사부(213e)는 상기 지지부(213b)의 외측면과 상기 제1 회전몸체(213a)의 외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경사부(213e)는 z방향(z)을 기준으로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217)는 제2 회전몸체(217a), 제4 경사부(217b), 제2 돌기(217h) 및 걸림부(217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217)는 상기 제1 회전부(213)의 z방향(z) 이동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217)는 상부가 개구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217)는 상기 제1 회전부(213)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몸체(217a)는 탑뷰가 원형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몸체(217a)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측면에 제4 경사부(217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경사부(217b)는 상기 제2 회전몸체(217a)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회전부(213)와 대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4 경사부(217b)는 상기 제3 경사부(213e)와 대면될 수 있다. 상기 제4 경사부(217b)는 제1 및 제2 끝단(217f, 217g)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끝단(217f, 217g)은 상기 제4 경사부(217b)의 양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217)는 상기 제1 및 제2 끝단(217f, 217g)에 의해 회전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회전각도는 제2 회전몸체(217a)의 센터 영역(C)을 기준으로 상기 제4 경사부(217b)의 제1 및 제2 끝단(217f, 217g)이 이루는 사이각(θ)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4 경사부(217b)의 제1 및 제2 끝단(217f, 217g)이 이루는 사이각이 45도인 경우, 상기 제2 회전부(217)의 회전각도는 45도일 수 있다.
상기 걸림부(217d)는 상기 제2 회전몸체(217a)의 외측에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17d)는 상기 제2 회전몸체(217a)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17d)는 일면에 수용홈(217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17d)는 상기 홀더(230)와 체결되어 상기 복수의 표시 모듈(100,101,102,103) 각각을 상기 홀더(230)가 고정된 벽 또는 지지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다.
실시 예는 제1 고정부(210)의 센터 영역을 기준으로 제1 내지 제4 경사부(211c, 213c, 213e, 217b)의 길이방향 양끝단이 이루는 사이각(θ)에 의해 제1 및 제2 회전부(213, 217)의 회전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실시 예의 회전각도는 45도로 한정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걸림부(217d)의 개수도 2개 이상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2 돌기(217h)는 상기 제2 회전몸체(217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돌기(217h)는 상기 제2 회전부(217)의 회전 시에 벽 또는 지지구조물과 접하되 상기 걸림부(217d)가 이동될 수 있도록 제2 회전부(217)의 지지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돌기(217h)는 핀 타입으로 상기 제2 회전부(217)의 최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돌기(217h)는 상기 걸림부(217d)의 끝단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15)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213, 21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15)는 일정한 탄성을 갖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탄성부재(215)는 상기 제2 회전부(217)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15)는 상기 제2 회전부(217)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부(213) 내부 바닥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217)는 상기 탄성부재(215)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돌기(217c)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217c)는 상기 제2 회전부(217)의 내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의 제1 고정부(210)는 가이드 핀(21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219)은 상기 제1 회전부(213), 탄성부재(215) 및 제2 회전부(217)를 각각 가이드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가이드 핀(219)은 상기 제1 회전부(213), 탄성부재(215) 및 제2 회전부(217)와 체결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실시 예의 고정부 및 홀더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0은 제1 회전부와 마주보는 제2 회전부의 탑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1은 홀더의 전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2는 홀더의 후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3A 및 도 23B는 고정부 및 홀더의 착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230)는 홀더 고정구멍(233), 단차부(235), 홀더구멍(237a) 및 홀더슬릿(237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 고정구멍(233)은 홀더 전면부(231a)와 상기 홀더 후면부(231b)를 관통하고, 모서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 고정구멍(233)은 벽 또는 지지구조물에 상기 홀더(230)를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수단은 나사이거나 리벳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235)는 상기 홀더 전면부(231a)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단차부(235)는 상기 홀도 후면부(231b) 방향으로 오목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단차부(235)는 상기 제1 고정부(210)의 걸림부(217d)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235)는 상기 홀더구멍(237a) 및 홀더슬릿(237b)를 사이에 두고 적어도 2이상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4개의 홀더슬릿(237b)을 포함하여 4개의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단차부(235) 및 홀더슬릿(237b)의 개수는 상기 걸림부(217d)의 개수와 대응되거나, 상기 걸림부(217d)의 2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차부(235)는 홀더돌기(235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더돌기(235a)는 상기 홀더 후면부(231b)에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돌기(235a)는 상기 단차부(235)의 오목한 하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돌기(235a)는 상기 걸림부(217d)의 수용홈(217e)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돌기(235a)는 상기 걸림부(217d)의 수용홈(217e)에 수용되어 상기 제1 고정부(210)를 홀더(23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의 홀더돌기(235a)는 서로 인접한 단차부(235) 사이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을 나란하게 배치된 단차부(235)의 홀더돌기(235a)는 제2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단차부(235)의 홀더돌기(235a)보다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210)는 서로 인접한 단차부(235) 사이에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홀더돌기(235a)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표시 모듈(100,101,102,103)의 z방향(z) 미세조정이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홀더구멍(237a)은 제2 회전몸체(217a)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홀더구멍(237a)의 탑뷰는 상기 제2 회전몸체(217a)의 탑뷰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홀더슬릿(237b)은 상기 홀더구멍(237a)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홀더슬릿(237b)은 상기 걸림부(217d)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홀더슬릿(237b)의 탑뷰는 상기 걸림부(217d)의 탑뷰와 대응될 수 있다.
도 23A 및 도 23B는 고정부 및 홀더의 착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A 및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 예는 작업자의 표시모듈 누름에 의해 표시 모듈 각각의 후면부에 모서리에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된 고정부가 회전하여 홀더에 체결되어 벽 또는 지지구조물 상에 표시 모듈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작업자의 표시모듈 누름에 의해 표시 모듈 각각의 후면부에 모서리에 적어도 2개 이상 배치된 고정부의 제2 회전부(217)가 회전하여 홀더의 단차부(235)로부터 분리되어 벽 또는 지지구조물로부터 표시 모듈을 용이하게 탈거할 수 있다.
실시 예는 표시 모듈과 벽 사이의 간소화된 결합구조에 의해 표시 모듈의 설치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예는 표시 모듈과 벽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공간 활용 및 외관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예는 홀더의 단차부의 돌기 높이를 조절하여 미세 조정이 가능한 표시 모듈의 결합구조에 의해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4는 다른 실시 예의 제2 고정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5는 도 24의 제2 고정부의 후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6은 도 24의 제2 고정부의 후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7은 도 24의 제2 고정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4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는 표시장치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인접한 표시 모듈(100, 101) 사이에 배치된 제2 고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는 제2 고정부(300)가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표시장치의 가장자리는 도 14 내지 도 23의 제1 고정부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 예는 표시장치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인접한 표시 모듈(100, 101) 사이를 제외한 표시 모듈(100, 101)의 모서리 영역에는 도 14 내지 도 23의 제1 고정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300)는 인접한 표시 모듈(100, 101)을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체결하여 인접한 표시 모듈(100, 101) 사이의 유격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의 제2 고정부(300)는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인접한 표시 모듈(100, 101) 사이를 체결하여 제1 고정부의 개수를 줄여 조립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고정부(300)는 몸체(310), 고정구멍(320), 탄성부재(350), 제1 및 제2 가이드부(330, 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310)는 제1 표시 모듈(100)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된 방열 프레임(143)과 제2 표시 모듈(101)의 모서리 영역에 배치된 방열 프레임(14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310)는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방열 프레임(143, 141)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몸체(310)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 모듈(100, 101)의 방열 프레임(143, 141) 전체와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몸체(310)의 외측면은 상기 제1 및 제2 표시 모듈(100, 101)의 방열 프레임(143, 141) 외측면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멍(320)은 상기 제1 및 제2 표시 모듈(100, 101)의 방열 프레임(143, 141) 상에 2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멍(320)에는 체결 수단이 체결될 수 있고, 상기 체결수단은 나사이거나 리벳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300)는 상기 몸체(310)의 하면부(311)에 노출부(31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330, 340)는 상기 몸체(31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330, 340)의 일부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 모듈(100, 101)의 방열 프레임(143, 141)과 대면되는 상기 몸체(310)의 하면부(311)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330, 340)의 일부는 상기 몸체(310) 하부에 노출부(310a)로부터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330)는 끝단에 제1 가이드 돌기(33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돌기(330a)는 상기 노출부(310a)로부터 상기 몸체(310)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 돌기(330a)의 끝단은 상기 몸체(310)의 하부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부(340)는 끝단에 제2 가이드 돌기(34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돌기(340a)는 상기 노출부(310a)로부터 상기 몸체(310)의 하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 돌기(340a)의 끝단은 상기 몸체(310)의 하부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돌기(330a, 340a)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 모듈(100, 101)의 방열 프레임(143, 141)의 측벽 프레임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돌기(330a, 340a)는 서로 대면되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부재(215)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표시 모듈(100, 101)은 1차 고정될 수 있다. 실시 예의 제1 및 제2 가이드부(330, 340)는 탄성부재(35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표시모듈(100, 101)을 1차 고정하고, 체결 수단을 통해서 상기 고정구멍(320) 및 상기 제1 및 제2 표시 모듈(100, 101)의 방열 프레임(143, 141) 사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는 표시장치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인접한 표시 모듈(100, 101) 사이에 배치된 제2 고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는 제2 고정부(300)가 배치된 영역을 제외한 표시장치의 가장자리는 도 14 내지 도 23의 제1 고정부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다른 실시 예는 표시장치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인접한 표시 모듈(100, 101) 사이를 제외한 표시 모듈(100, 101)의 모서리 영역에는 도 14 내지 도 23의 제1 고정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300)는 인접한 표시 모듈(100, 101)을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체결하여 인접한 표시 모듈(100, 101) 사이의 유격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의 제2 고정부(300)는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인접한 표시 모듈(100, 101) 사이를 체결하여 제1 고정부의 개수를 줄여 조립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실시 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설정하는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 제1 고정부
211: 연결몸체
211a: 덮개
211b: 제1 돌기
211c: 제1 경사부
211d: 제1 직선부
213: 제1 회전부
213a: 제1 회전몸체
213b: 지지부
213c: 제2 경사부
213d: 제2 직선부
213e: 제3 경사부
215: 탄성부재
217: 제2 회전부
217a: 제2 회전몸체
217b: 제4 경사부
217h: 제2 돌기
217d: 걸림부
217e: 수용홈
217f: 제1 끝단
217g: 제2 끝단
217c: 가이드 돌기
230: 홀더
231a: 홀더 전면부
231b: 홀더 후면부
233: 홀더 고정구멍
235: 단차부
235a: 홀더돌기
237a: 홀더구멍
237b: 홀더슬릿
300: 제2 고정부
310: 몸체
311: 하면부
320: 고정구멍
330: 제1 가이드부
330a: 제1 가이드 돌기
340: 제2 가이드부
340a: 제2 가이드 돌기
350: 탄성부재
211: 연결몸체
211a: 덮개
211b: 제1 돌기
211c: 제1 경사부
211d: 제1 직선부
213: 제1 회전부
213a: 제1 회전몸체
213b: 지지부
213c: 제2 경사부
213d: 제2 직선부
213e: 제3 경사부
215: 탄성부재
217: 제2 회전부
217a: 제2 회전몸체
217b: 제4 경사부
217h: 제2 돌기
217d: 걸림부
217e: 수용홈
217f: 제1 끝단
217g: 제2 끝단
217c: 가이드 돌기
230: 홀더
231a: 홀더 전면부
231b: 홀더 후면부
233: 홀더 고정구멍
235: 단차부
235a: 홀더돌기
237a: 홀더구멍
237b: 홀더슬릿
300: 제2 고정부
310: 몸체
311: 하면부
320: 고정구멍
330: 제1 가이드부
330a: 제1 가이드 돌기
340: 제2 가이드부
340a: 제2 가이드 돌기
350: 탄성부재
Claims (19)
- 복수의 발광 패널이 M행 및 N열(M>1,N>1)을 갖고 배열된 패널 어셈블리;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후면에 결합된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의 후면부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캐비닛의 전면부 및 후면부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벽 또는 지지구조물의 홀더에 착탈되는 표시 모듈.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캐비닛의 모서리와 결합되고 덮개를 갖는 연결몸체;
상기 연결몸체의 덮개에 수용되어 회전하는 제1 회전부;
상기 제1 회전부와 직접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2 회전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 사이에 배치된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몸체는 상기 제1 회전부와 접하는 제1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제1 회전부 방향으로 돌출된 표시 모듈.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제1 돌기의 끝단에 배치된 제1 직선부 및 상기 제1 직선부와 이격된 제1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직선부는 상기 제1 경사부보다 상기 제1 회전부와 인접하게 배치된 표시 모듈.
-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는 탑뷰가 원형 구조의 제1 회전몸체 및 상기 제1 회전몸체의 외측을 따라 일 간격 이격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끝단에 배치된 제2 직선부 및 제2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직선부는 상기 제1 직선부와 대면되고, 상기 제2 경사부는 상기 제1 경사부와 대면되는 표시 모듈.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측부에 제3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모듈.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는 탑뷰가 원형이고, 상부가 개구된 제2 회전몸체; 및
상기 제2 회전몸체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3 경사부와 대면되는 제4 경사부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몸체의 센터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제4 경사부의 길이방향으로 양끝단이 이루는 사이각은 상기 제2 회전부의 회전각도와 대응되는 표시 모듈.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벽 또는 지지구조물의 홀더와 착탈되는 적어도 2 이상의 걸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2 회전몸체의 외측에 배치된 표시 모듈.
-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수용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은 상기 걸림부의 상에 오목한 구조를 갖는 표시 모듈.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몸체의 하부에는 제2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2 회전부의 센터 영역에 배치되는 표시 모듈.
-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2 회전몸체가 수용되는 홀더구멍;
상기 걸림부가 수용되는 홀더슬릿; 및
상기 걸림부와 체결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표시 모듈.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는 상기 걸림부의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홀더돌기를 더 포함하는 표시 모듈.
- 복수의 발광 패널이 M행 및 N열(M>1,N>1)을 갖고 배열된 패널 어셈블리; 상기 패널 어셈블리의 후면에 결합된 캐비닛; 및 상기 캐비닛의 후면부 모서리 영역에 배치되는 제1 고정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2 이상의 표시 모듈; 및
적어도 2 이상의 표시 모듈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 이상의 표시 모듈은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를 따라 서로 인접한 제1 및 제2 표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 모듈의 서로 인접한 모서리 영역의 방열 프레임 상에 배치된 표시 장치.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및 제2 표시 모듈의 상기 방열 프레임과 배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 내에 배치되어 상기 몸체의 하부에 노출부에 일부가 노출된 제1 및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끝단에 배치된 제1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1 표시 모듈의 방열 프레임의 측벽 프레임에 접하는 표시 장치.
-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는 끝단에 배치된 제2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 돌기는 상기 제2 표시 모듈의 방열 프레임의 측벽 프레임에 접하는 표시 장치.
-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부를 서로 대면되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4315A KR20170133174A (ko) | 2016-05-25 | 2016-05-25 | 표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4315A KR20170133174A (ko) | 2016-05-25 | 2016-05-25 | 표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33174A true KR20170133174A (ko) | 2017-12-05 |
Family
ID=60920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4315A KR20170133174A (ko) | 2016-05-25 | 2016-05-25 | 표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3317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533421A (zh) * | 2020-12-07 | 2021-03-19 |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 一种安装架及机箱 |
KR20230013184A (ko) * | 2021-07-16 | 2023-01-26 | 티씨엘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타일 캐비닛 및 타일형 디스플레이 스크린 |
-
2016
- 2016-05-25 KR KR1020160064315A patent/KR2017013317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533421A (zh) * | 2020-12-07 | 2021-03-19 |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 一种安装架及机箱 |
KR20230013184A (ko) * | 2021-07-16 | 2023-01-26 | 티씨엘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 타일 캐비닛 및 타일형 디스플레이 스크린 |
JP2023538792A (ja) * | 2021-07-16 | 2023-09-12 | ティーシーエル チャイナスター 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連結ケース及び連結ディスプレ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70539B1 (ko) | 표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
US11764253B2 (en) | Light-emitting diode unit for display comprising plurality of pixels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 |
KR102572819B1 (ko) | 발광모듈 제조방법 및 표시장치 | |
KR102605973B1 (ko) | 픽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
KR101312730B1 (ko) | Led 발광 유니트들 및 에지 커넥터들을 가지는어셈블리들 | |
USRE46795E1 (en) |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
US7740373B2 (en) | LED module for illumination | |
US7817429B2 (en) |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same | |
KR101774277B1 (ko) | 액정표시장치 | |
KR20100098989A (ko) | 발광 모듈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 |
US20090146159A1 (en) | Light-emitting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light-emit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the light-emitting device | |
KR20140043664A (ko) | 유기발광 표시장치 | |
KR20170133174A (ko) | 표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
KR20180008205A (ko) | 표시장치 및 그 표시 제어 방법 | |
KR102573277B1 (ko) | 표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
KR20130088534A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KR100741821B1 (ko) | 발광 다이오드 모듈 | |
KR102573279B1 (ko) | 표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
KR20170133998A (ko) | 표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 |
JPH0850458A (ja) | 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 | |
CN113451487B (zh) | 显示面板及具有其的显示装置 | |
KR20170112776A (ko) | 발광소자, 어레이 기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 |
CN210574826U (zh) | 一种实现电源连接的led模组用防尘散热盖结构 | |
JP2013050520A (ja) | 発光装置、照明装置 | |
KR101956110B1 (ko) | 백라이트 유닛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