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8884A - 물체의 표면 처리용 항바이러스 조성물 - Google Patents

물체의 표면 처리용 항바이러스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8884A
KR20240008884A KR1020237042736A KR20237042736A KR20240008884A KR 20240008884 A KR20240008884 A KR 20240008884A KR 1020237042736 A KR1020237042736 A KR 1020237042736A KR 20237042736 A KR20237042736 A KR 20237042736A KR 20240008884 A KR20240008884 A KR 20240008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dry weight
silver
quaternary ammonium
antivi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2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앙리 로세트
Original Assignee
오베르튀르 휘뒤셰르 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베르튀르 휘뒤셰르 사스 filed Critical 오베르튀르 휘뒤셰르 사스
Publication of KR20240008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888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01N25/10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nitrogen compounds
    • A01N33/02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01N33/1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01N59/16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1/00Disinfectants; Antimicrobial compounds or mixtur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9Securities; Bank no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C08G73/028Polyamido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12/00 - C08G71/00
    • C08G73/02Polyamines
    • C08G73/028Polyamidoamines
    • C08G73/0293Quaternisation of polyamido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9/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nitroge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61/00 - C08L77/00
    • C08L79/02Pol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D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36Biocidal agents, e.g. fungicidal, bactericidal, insecticidal ag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물품의 표면 처리용 항바이러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PAAE 수지로 알려진 하나 이상의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및
- 하나 이상의 은 기반 화합물 및/또는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
또한, 본 발명은 물체, 특히 기재의 표면에 항바이러스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표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물체의 표면에 적어도 상기 PAAE 수지 및 상기 살생물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통해 표면 처리된 물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체의 표면 처리용 항바이러스 조성물
본 발명은 물체, 특히 기재, 특히 시트에 항바이러스 특성을 부여할 수 있는, 이의 표면을 처리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물체는 특히 상대적으로 자주 만져지거나 다루어질 목적으로 의도된 것이다. 이는 주로 상대적으로 자주 다루어지는 정보 매체(Information support)를 제조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특히 개선된 항바이러스 표면 특성을 갖는 기재, 예를 들어 지폐 제조용 섬유 기재를 제안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점점 더 많은 양의 자료나 사물, 예를 들어 정보 전달을 위한 매체와 같은 것들이 다수의 사람들에 의해 일상적으로, 자주 다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정보 매체의 비제한적인 예시로서는 특히 지폐, 수표 또는 레스토랑 티켓과 같은 지불 수단, 신분증, 비자, 여권 또는 운전면허증과 같은 신분 증명서, 복권, 여행 티켓, 세금 디스크 또는 세금 인지, 카드, 포장, 책, 잡지 등이 언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체의 사용자들은 병원성 미생물, 특히 바이러스의 매개체일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심각성을 지닌 전염병 및 유행병을 일으킬 수 있고, 따라서 그들이 접촉하는 모든 매체는 오염될 가능성이 있다. 만약 이러한 매체가 한 명 이상의 다른 사용자에 의해 연속적으로 다뤄지기 위한 것인 경우, 결국 이는 다른 사람들에게 미생물을 전파하는 주요한 수단이 된다.
상업 거래의 교환 매체로서 지폐는 세계에서 가장 널리 다뤄지는 정보 매체 중 하나이므로, 이는 질병 전파의 잠재적인 매개체이다.
특허 출원 WO 03/084326에서는 정보 매체에 정균제(bacteriostatic) 및/또는 살균제(bactericidal) 및 정진균제(fungistatic) 및/또는 살진균제(fungicidal)를 첨가하는 것이 이미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 출원 WO 2012/063176은 모노라우린(monolaurin)과 같은 자연 발생 바이러스 박멸제(virucides)를 기반으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코팅을 형성할 수 있는 유체 조성물을 기술하고 있다.
분명한 이유로 이러한 매체의 표면 처리에 의해 제공되는 항바이러스 특성을 최적화하는 것은 지속적인 목표이다. 특히, 목표는 광범위한 바이러스에 대해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능을 달성하는 것이다.
바이러스의 구조에 따라 두 가지 주요 유형의 바이러스로 구별될 수 있다: 게놈, DNA 또는 RNA와 바이러스 단백질의 캡시드로 구성된 "외피 비보유(naked)" 바이러스로 알려진 외피가 없는 바이러스 및 바이러스 단백질이 통합된 이중 지질층으로 구성된 외피를 추가적으로 갖고 있는 "외피 보유(enveloped)" 바이러스. 2019년 코로나바이러스 질병(COVID-19)을 일으키는 SARS-CoV-2 코로나바이러스를 포함한 코로나바이러스과(Coronaviridae)는 상기 두 번째 바이러스 분류에 속한다.
결과적으로, 지폐와 같이 다수의 사람에 의해 자주 다뤄지기 위한 것인 다양한 물체, 특히 정보 매체의 취급과 관련된 오염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이러한 물체의 표면에 우수한 항바이러스 특성, 바람직하게는 광범위한 바이러스, 외피 비보유 바이러스 및 외피 보유 바이러스 모두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물체, 특히 기재의 표면 처리를 위한 신규한 조성물, 특히 유리한 항바이러스 특성을 갖는 조성물을 제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첫 번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물체의 표면 상에 코팅을 형성하는데 특히 적합한 물체의 표면 처리용 항바이러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PAAE 수지로 알려진 하나 이상의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및
- 하나 이상의 은 기반 화합물, 특히 염화은(AgCl)과 같은 은염 및/또는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특히 중합체성 또는 비중합체성 4차 암모늄염, 특히 디데실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di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 DDAC)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항바이러스제 조성물은 특히 하기에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제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3-아이오도-2-프로피닐부틸 카바메이트(IPBC로 표시됨) 및/또는 디아이오도메틸-p-톨릴 술폰(DIMTS로 표시됨)을 또한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다음을 포함하는 살생물제의 조합을 사용한다:
. 하나 이상의 은 기반 화합물, 특히 염화은(AgCl)과 같은 은염 및/또는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특히 DDAC와 같은 비중합체성 4차 암모늄염; 및
. 적어도 3-아이오도-2-프로피닐부틸 카바메이트(IPBC로 표시됨) 및/또는 디아이오도메틸-p-톨릴 술폰(DIMTS로 표시됨).
이하 본문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PAAE 수지 및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 또는 더 간단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로 지칭된다.
본 발명은 물체, 특히 기재, 특히 시트의 표면에 우수한 항바이러스 특성, 바람직하게는 광범위한 바이러스에 대한 우수한 항바이러스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표면 처리(surface treatment)"라는 용어는 처리된 표면이 원하는 항바이러스 특성을 갖도록 제품의 표면에 조성물을 도포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물체의 표면 처리는 상기 물체의 표면 및/또는 물체 두께의 표면 부분에 국부적인 코팅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처리 방법은 적어도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물체, 특히 기재의 외부 표면에 위치하는 코팅의 형성을 유도한다. 특정 실시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처리는 물체의 표면 전체에, 즉 물체의 두께(thickness)로 조성물이 침투하지 않고 코팅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PAAE라는 약어로 알려진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는 습윤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종이 기재의 벌크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이온성 습강(wet-strength) 수지이다. 이러한 수지는 그 다음에 "벌크로" 즉, 종이 매체 제작 중 섬유질 현탁액에 투입된다.
본 발명자들이 아는 한, 물체, 특히 기재의 표면 처리, 예를 들어 표면처리(surfacing)에 의한 섬유 기재의 처리를 위한 것인 조성물에 코팅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러한 PAAE 수지를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제안된 적이 없다.
놀랍게도, 아래 실시예에서 보이듯이, 발명자들은 물체의 표면 처리를 위한, 즉 항균(antimicrobial) 코팅을 형성하기 위한 항바이러스 조성물에 본 발명에 따른 PAAE 수지를 전술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와 함께 첨가하는 것이 처리된 표면에서 나타나는 항바이러스 활성을 상당히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PAAE 수지의 존재는 하나 이상의 은 기반 화합물 및/또는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을 포함하는 표면 처리 조성물에 의해 나타나는 항바이러스 활성이 촉진/증강(stimulate/enhance)되도록 한다.
"항바이러스(antiviral)" 또는 "바이러스 박멸(virucidal)"이라는 용어는 바이러스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바이러스를 죽이는 화합물, 조성물 또는 코팅의 능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코팅 또는 조성물은 특히 포유동물, 더욱 특히 인간에게 병원성(pathogenic)인 바이러스를 억제 및/또는 사멸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은 조합의 살생물제와 함께 PAAE 수지의 사용은 유리하게는 외피 비보유 바이러스 및 외피 보유 바이러스 모두에 대해 우수한 항바이러스 성능을 갖는 코팅에 대한 접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기재의 항바이러스 활성은 아래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같이 표준 방법을 통해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피 비보유 바이러스를 대표하는 바이러스인 박테리오파지 MS2에 대한 표준 ISO18184:2019-06에 따른 방법, 및 외피 보유 바이러스를 대표하는 바이러스인 SARS-COV2가 속하는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Hcov-OC43에 대한 표준 ASTME 1053에 따른 방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물체, 특히 기재, 특히 섬유 기재의 표면 처리를 위한 조성물의 항바이러스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첨가제로서 하나 이상의 PAAE 수지의 용도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은 기반 화합물, 특히 은염 및/또는 하나 이상의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특히 DDAC와 같은 4차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를 포함하는 것이다.
유리하게는, 특정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 또는 코팅은 하나 이상의 PAAE 수지, 하나 이상의 은 기반 화합물, 특히 염화은과 같은 은염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IPBC 및/또는 DIMTS를 조합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 또는 코팅은 하나 이상의 PAAE 수지, 하나 이상의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특히 DDAC와 같은 4차 암모늄염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IPBC 및/또는 DIMTS를 조합한다.
아래 내용에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양한 물체, 특히 기재, 특히 시트 기재의 표면 처리를 위한 것일 수 있으며, 이들은 보다 특히 다수의 사람들에 의해 자주 다루어지기 위한 것이고, 그러므로 병원성 미생물, 특히 바이러스성 미생물을 옮기기 쉬운 것이다. 이는 특히 정보 매체 포장용 또는 제조용 시트 기재와 관련이 있다.
특히, 이들은 정보 매체의 제조를 위한 것인 기재, 특히 시트, 특히 보안 문서의 제조를 위한 것인 섬유 기재의 표면 처리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보안 문서의 예로는 그것의 유통 기간 동안 적어도 수백 번 다뤄지는 지폐가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물체, 특히 기재에 항바이러스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표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물체의 표면에 다음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PAAE 수지 및 하나 이상의 은 기반 화합물, 특히 은염 및/또는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특히 DDAC와 같은 4차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주제는 다음을 포함하여 물체, 특히 기재의 표면을 처리하여 항바이러스 특성을 부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 이상의 PAAE 수지 및 하나 이상의 은 기반 화합물, 특히 은염 및/또는 하나 이상의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특히 DDAC와 같은 4차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상기 물체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물체의 적어도 표면에 존재하는 적어도 상기 PAAE 수지 및 상기 살생물제를 포함하는 코팅을 형성하는 단계.
아래 기재에서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상태에 따른 표면 처리 방법은,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이 적어도 상기 PAAE 수지 및 상기 언급된 살생물제를 조합한 것인,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을 상기 물체의 표면에 단일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은 기반 화합물, 특히 은염 및/또는 하나 이상의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특히 DDAC와 같은 4차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여 물체의 전체 또는 일부 표면, 특히 적어도 하나의 기재의 하나 이상의 면의 전체 또는 일부 표면에 항바이러스 특성을 부여하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처리 방법은 적어도 상기 PAAE 수지 및 상기 살생물제를 조합하여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조성물을 연속적으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2개의 도포 단계 사이에 선택적으로 건조 단계가 수행된다.
기재 표면 처리를 위한 상기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처리할 표면에 분무(spraying), 사이징(sizing), 함침(impregnating), 프린팅(printing),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린팅된 표면에 대한 오버프린팅, 표면처리(surfacing), 코팅 또는 증착(depositing)으로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물체, 특히 기재의 표면 중 하나 이상의 표면의 전체 또는 일부에 항바이러스 코팅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상기 물체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PAAE 수지 및 하나 이상의 은 기반 화합물, 특히 은염 및/또는 하나 이상의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특히 DDAC와 같은 4차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앞서 정의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해 표면 처리된 물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기재, 특히 시트 형태인 물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정보 매체 제조를 위한 기재, 특히 시트, 보다 특히 지폐인 보안 문서(security document) 제조를 위한 것인 섬유 기재에 관한 것으로서, 이들의 하나 이상의 표면은, 하나 이상의 PAAE 수지 및 하나 이상의 은 기반 화합물, 특히 은염 및/또는 하나 이상의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특히 DDAC와 같은 4차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성 처리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코팅이 되어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서 정의된 것과 같은 기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기재의 하나 이상의 면의 표면 전부 또는 일부 상에 적어도 상기 PAAE 수지 및 하나 이상의 은 기반 화합물, 특히 은염 및/또는 하나 이상의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특히 DDAC와 같은 4차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를 포함하는 코팅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아래 기재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처리에 사용되는 상기 조성물은 특히 도포 방식 및 의도된 목적과 관련하여 하나 이상의 추가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재의 표면에 표면처리(surfacing)함으로써 도포하려는 조성물의 경우,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수성 표면 처리제(surfacing agent)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은 예를 들어, 특히 수성인 바니시, 특히 오버프린트 바니시, 잉크 또는 래커(lacquer)의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PAAE 수지 및 상기 살생물제, 특히 상기 언급된 살생물제의 조합 이외에, 이러한 유형의 코팅 제제에서 통상적으로 고려되는 성분 중 하나 이상, 예를 들어 아래 내용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결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의 다른 특징, 변형 및 이점, 그리고 물체, 특히 기재의 표면 처리를 위한 이의 구현은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주어진 다음의 설명 및 실시예를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계속된 내용 중에서 "... 내지 ...", "범위...에서...까지" 및 "...에서...까지 변하는"라는 표현은 동등하며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한계가 포함된다는 의미를 갖는다.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
전술한 바와 같이, 특히 유리한 항바이러스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PAAE 수지를 하나 이상의 은 기반 화합물, 특히 은염 및/또는 하나 이상의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특히 DDAC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와 결합한다.
PAAE 수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PAAE 수지라고 알려진 하나 이상의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 기재에 있어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용어 "PAAE 수지"는 단일 PAAE 수지 또는 적어도 2종의 PAAE 수지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아미드 아민-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라고도 알려진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는 종이 산업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종이 재료에 습윤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벌크로 셀룰로오스 섬유 재료에 도입된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PAAE 수지는 특히 아디프산, 디에틸렌트리아민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중합체일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아디프산, 디에틸렌트리아민(DETA)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PAAE 수지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합성 경로를 통해 제조될 수 있으며, 아디프산과 디에틸렌트리아민 사이의 1차 축합 단계를 수행한 후, 이렇게 형성된 폴리아미드 폴리아민 수지를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반응시켜 상기 PAAE 수지를 형성할 수 있다.
PAAE 수지는 또한 상업적으로도 이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Kemira 사에서 상표명 FennoStrength® XO로 판매되는 수지가 언급될 수 있다.
PAAE 수지는 클로라이드(chloride) 함량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특히 상표명 FennoStrength® XO로 판매되는 수지의 경우이다. 이러한 클로라이드 함량이 낮은 수지는 보안 요소, 특히 자성 요소, 예를 들어 때때로 부식에 민감한 보안 스레드의 부식 위험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폐 분야에서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은 특히 상기 PAAE 수지를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015% 내지 0.6%의 건조 중량, 특히 0.075% 내지 0.45%의 건조 중량, 보다 특히 0.075% 내지 0.3%의 건조 중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활성 물질의 중량"으로도 알려진 용어 "건조 중량"은 제제화되는 임의의 휘발성 용매, 예를 들어 물을 제외한 상기 화합물의 질량 함량을 나타내려는 의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처리 조성물 중 PAAE 수지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24% 내지 8.82%의 건조 중량, 특히 1.2% 내지 6.66%의 건조 중량, 보다 특히 1.2% 내지 4.6%의 건조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은 휘발성 용매, 특히 물을 제외하고, 상기 조성물의 제제에 사용된 화합물의 질량의 합을 의미한다. 이들 휘발성 용매는 제품 표면에 도포된 조성물을 건조시킨 후, 본 발명에 따른 코팅을 형성하는 동안 제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한 건조 중량 백분율로 표현된 주어진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코팅의 건조 중량에 대한 상기 화합물의 건조 중량 백분율에 해당한다.
살생물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은 살생물제로서 하나 이상의 은 기반 화합물, 특히 은염 및/또는 하나 이상의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특히 디데실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DDAC)와 같은 4차 암모늄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에 있어서, "항균제(antimicrobial agent)"라는 용어와 동등한 용어인 "살생물제(biocidal agent 즉, biocide)"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곰팡이, 박테리아, 효모 등과 같은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 및/또는 조절하고/하거나 밀도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모든 제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살생물제의 조합은 유리하게는 바이러스에 대한 항균 효과, 즉 특히 외피 비보유 바이러스 및 외피 보유 바이러스 둘 다에 대한 항바이러스 또는 바이러스 박멸 활성을 갖는다.
은 기반 화합물, 특히 은염 및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특히 4차 암모늄염은 항균제 및/또는 살균제(microbicidal agent), 특히 정균제(bacteriostatic) (또는 항균제(antibacterial)) 및/또는 살균제(bactericidal)로 알려져 있다.
항균 특성을 갖는 은 기반 화합물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특히 은염, 특히 질산은, 염화은 또는 은 티오황산염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제로 사용되는 은염은 염화은이다.
대안적으로, 이는 지지체에 부착된 입자 형태의 은일 수 있다. 은(산화 상태 0)은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올라이트 및 유리, 특히 인산염 유리에서 선택되는 입자 형태의 무기물에 의해 지지된다.
은이 담지되거나 (silver-loaded) 은이 도핑된(silver-doped) 물질의 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10 μm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μm 미만이다. 입자 크기는 특히 SEM 이미징 또는 DLS(동적 광산란, dynamic light scattering)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입자 크기는 더욱 구체적으로 D98 직경, 즉 입자 중량의 98%가 상기 직경보다 작도록 하는 직경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물질에 함유된 산화 상태 0의 은 함량은 총 함유 중량에 대해서 0.5중량% 내지 3중량%, 특히 1.0중량% 내지 2.5중량% 범위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항균제로서 사용되는 은은 유리, 바람직하게는 인산염 유리로 만들어진 입자 물질에 의해 지지된 은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은 금속은 인산염 유리 매트릭스에 은 입자 형태로 존재한다. 이 매트릭스는 Ag+ 은 이온에 투과성이 있어 Ag+ 은 이온의 통과/이동성을 허용한다는 장점이 있다. 살균 활성을 갖는 이러한 Ag+ 이온은 표면 처리 조성물에 분산된, 산화 상태 0의 은을 주위 수분(humidity) 또는 오염, 예를 들어 특히 기침(sputum)으로부터의 물방울과 접촉시킴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재료는 특히 Thomson Research Associates Inc.에서 Ultrafresh CA16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된다.
또한,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특히 4차 암모늄염은 항균제(antimicrobial) 및/또는 살균제(microbicidal), 더욱 특히 정균제(bacteriostatic) 또는 항균제(antibacterial) 및/또는 살균제(bactericidal) 및/또는 정진균제(fungistatic) 또는 항진균제(antifungal) 및/또는 살진균제(fungicidal)로도 알려져 있다.
더욱 특히, 이들은 중합체성 또는 비중합체성 4차 암모늄염이다.
4차 암모늄염은 일반적으로 적합한 음이온과 함께 하나 이상의 4차 암모늄 양이온을 포함한다.
상기 양이온은 보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화학식]
여기서, R1, R2, R3 및 R4는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알킬, 아릴, 알킬아릴, 아릴알킬, 사이클로알킬, 방향족 또는 비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 또는 알케닐 기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기들은 치환 또는 비치환,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고,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산소 원자, 또는 하나 이상의 포스피네이트 기가 개재된 것이다.
대안적으로, R1, R2, R3 및 R4 중 2개 기는 이들을 지지하는 질소 원자와 함께, 치환 또는 비치환 헤테로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특정 실시상태에 따르면, R1, R2, R3 및 R4 기는 바람직하게는 선형의 특히 C1 내지 C20 알킬 기이다.
R1, R2, R3 및 R4 기는 합쳐서 4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특히, R1, R2, R3 및 R4 기의 총 탄소 원자 수는 10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R1, R2, R3 및 R4 기 중 적어도 하나, 특히 R1, R2, R3 및 R4 기 중 2개가 6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특히 8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4차 암모늄 염의 음이온은 특히 예를 들어 클로라이드, 플루오라이드, 브로마이드 또는 아이오다이드 같은 할라이드 음이온 및 설포네이트 음이온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4차 암모늄염의 음이온은 클로라이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비중합체성 4차 암모늄염은 하기 화학식을 가질 수 있다:
[화학식 2]
여기서 A는 R1, R2, R3 및 R4에 대해 앞서 정의된 것과 같고; X-는 앞서 정의된 음이온이고; n은 1과 3 사이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이고; m은 1과 3 사이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이고, 단 n+m의 합은 4이다. m이 2 또는 3인 경우, A 기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특히 동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제로서 사용되는 4차 암모늄염은 화학식 (CH3)n(A)mN+X-일 수 있으며, 여기서 n은 2이고 m은 2이며, A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R1, R2, R3 및 R4에 대해 앞서 정의된 것과 같다.
특히,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고, 특히 동일할 수 있는 A는 선형의 C6 내지 C20, 특히 C8 내지 C18, 특히 C8 내지 C12 알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시로서, 디데실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DDAC), 디옥틸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옥틸데실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가 언급될 수 있다.
특정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은 적어도 디데실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DDAC)를 사용한다.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은 또한 중합체성 4차 암모늄염, 즉 그것의 화학식이 "4차 암모늄"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성" 4차 암모늄염은 R1, R2, R3 및 R4 중 하나 이상이 중합가능한 작용기(polymerizable function), 보다 특히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알릴기에서 선택된 에틸렌성 불포화 작용기(ethylenically unsaturated function)를 갖는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특히,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상기 언급된 화학식 (I)의 4차 암모늄염(여기서 R1, R2, R3 및 R4 중 2개가 중합가능한 작용기를 갖는 기이고, 특히 알릴기이고; 다른 2개는 바람직하게는 알킬기, 특히 C1 내지 C6, 특히 C1 내지 C4 알킬기, 특히 메틸기)의 중합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특정 실시상태에 따르면,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은 디알릴디알킬암모늄 클로라이드 중합체이다. 특히 이는 polyDADMAC로 알려진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중합체일 수 있다.
PolyDADMAC는 과산화물 촉매의 존재 하에 DADMAC의 라디칼 중합에 의해 합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은염, 특히 염화은, 특히 예를 들어 유리, 바람직하게는 인산염 유리와 같은 입자 형태의 무기물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체에 부착된 입자 형태의 은; 특히 디데실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DDAC) 및 디알릴디알킬암모늄 클로라이드 중합체로, 예를 들어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중합체(polyDADMAC)와 같은, 중합체성 또는 비중합체성 4차 암모늄염;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은 기반 살생물 화합물, 특히 은염 유형 및/또는 상기 4차 암모늄 기반 살생물 화합물, 특히 4차 암모늄염 유형을 포함하고, 특히, 상기 은 기반 살생물 화합물 및/또는 상기 4차 암모늄 기반 살생물 화합물은 상기 처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004% 내지 1%의 건조 중량, 특히 0.004% 내지 0.75%의 건조 중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은 기반 살생물 화합물, 특히 은염 유형은 상기 처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004% 내지 0.04%의 건조 중량, 특히 0.004% 내지 0.02%의 건조 중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이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예를 들어 DDAC와 같은 상기 4차 암모늄 기반 살생물 화합물은 상기 처리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05% 내지 1%의 건조 중량, 특히 0.25% 내지 0.75%의 건조 중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특히 은염 유형의 은 이온을 기반으로 하는 상기 살생물 화합물 및/또는 특히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상기 4차 암모늄을 기반으로 하는 살생물 화합물은 상기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해서 0.07% 내지 18%의 건조 중량, 특히 0.07% 내지 14%의 건조 중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은 기반 살생물 화합물, 특히 은염 유형은 상기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07% 내지 0.7%의 건조 중량, 특히 0.07% 내지 0.35%의 건조 중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이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예를 들어 DDAC와 같은 상기 4차 암모늄 기반 살생물 화합물은 상기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해서 0.8% 내지 18%의 건조 중량, 특히 4% 내지 14%의 건조 중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하는 살생물제의 조합을 포함한다:
. 특히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은 기반 화합물 및/또는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중 하나 이상; 및
. 적어도 3-아이오도-2-프로피닐부틸 카바메이트(IPBC) 및/또는 적어도 디아이오도메틸-p-톨릴 술폰(DIMTS).
IPBC 및 DIMTS는 특히 정진균제 및/또는 살진균제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다음을 조합한다:
- 하나 이상의 PAAE 수지;
- 은 기반 화합물, 특히 염화은과 같은 은염,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특히 예를 들어 DDAC 또는 polyDADMAC와 같은 중합체성 또는 비중합체성 4차 암모늄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균제 및/또는 살균제;
- 3-아이오도-2-프로피닐부틸 카바메이트(IPBC), 디아이오도메틸-p-톨릴 술폰(DIMTS)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진균제 및/또는 살진균제.
"아이오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로도 알려지고 "IPBC"로 표시되는 3-아이오도-2-프로피닐부틸 카바메이트, 및 "p-[(디아이오도메틸)술포닐]톨루엔"으로도 알려지며 "DIMTS"로 표시되는 디아이오도메틸-p-톨릴 술폰은 일반적으로 정진균제 및/또는 살진균제 및 해조제(algistatic) 또는 살조제(algicidal)로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수성 분산액 형태이다.
이러한 살생물제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은 IPBC 및/또는 DIMTS를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6%의 건조 중량, 특히 0.2% 내지 0.6%의 건조 중량의 비율로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 IPBC 및/또는 DIMTS의 양은 상기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해서 1.9% 내지 10.5%의 건조 중량, 특히 1.9% 내지 3.77%의 건조 중량으로 나타날 수 있다.
특정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은 기반 화합물, 특히 은염, 특히 염화은 및 적어도 IPBC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특히 4차 암모늄염, 특히 DDAC 및 적어도 IPBC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은염, 특히 염화은 및 적어도 DIMTS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특히 4차 암모늄염, 특히 DDAC 및 적어도 DIMTS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위에서 언급한 특정 화합물 외에 하나 이상의 추가 살생물제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살생물 화합물은 본 발명에 따른 IPBC 및/또는 DIMTS와 결합될 수 있는, PAAE 수지와 위에서 언급한 은 기반 화합물 및/또는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의 조합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다양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말할 필요도 없이, 이들 제제(agents)들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 조건 하에서 인간에게 무해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추가적인 살생물제는 정균제(bacteriostatic), 살균제(bactericidal), 정진균제(fungistatic), 살효모균제(yeasticidal), 살진균제(fungicidal) 및/또는 바이러스 박멸제(virucidal)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이소티아졸린(isothiazoline) 또는 이소티아졸론(isothiazolone) 유도체를 기반으로 하는 화합물, 키토산(chitosan) 또는 키틴(chitin) 유도체를 기반으로 하는 화합물, 아연 제올라이트, 트리클로산(triclosan)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특히 예를 들어 자연 유래의 하나 이상의 보조 바이러스 박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인간에게 병원성이 있고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될 수 있는 바이러스의 대표로서 다음이 언급될 수 있다: 특히 코로나바이러스(예: SARS-COV2, HcoV-OC43 또는 HcoV-229E), 레트로바이러스(retroviruses), 거대세포바이러스(cytomegaloviruses), 로타바이러스(rotaviruses), 파라믹소바이러스(paramyxoviruses ), 폴리오바이러스(polioviruses), 한타바이러스(hantaviruses), 콕사키(coxsackie) 바이러스, 뇌심근염(encephalomyocarditis) 바이러스, 리노바이러스(rhinoviruses)를 포함하는 피코나바이러스(picornaviruses), DNA 또는 RNA 바이러스, 특히 플라비바이러스(Flaviviridae), AIDS 바이러스, Ebola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천연두 바이러스, 황열병 바이러스, C형 간염 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 Epstein-Barr 바이러스, 수두-대상포진(varicella-zoster) 바이러스, 풍진 바이러스, simian 바이러스 40 또는 SV40.
"자연 발생 바이러스 박멸제"라는 용어는 자연에 이미 존재하거나 자연 발생 화합물로부터 합성될 수 있는 임의의 바이러스 박멸제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자연 유래의 바이러스 박멸제는 이를 함유하는 천연 배지로부터 추출 및 정제하거나 천연 화합물로부터 합성하여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바이러스 박멸제의 예로서, 글리세롤과 라우르산으로부터 합성하여 얻을 수 있는 모노라우린이 특히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모노라우린이라는 용어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모노라우린과 글리세롤과 라우르산으로부터 합성적으로 얻어지는 모노라우린을 모두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특정 실시상태에 따르면, 자연 발생 바이러스 박멸제는 특히 모노라우린, 락토페린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정유, 예를 들어 월계수 정유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특정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IPBC 또는 DIMTS와 조합된, 은 이온 기반 화합물 및/또는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이외의 어떠한 살생물제도 포함하지 않는다.
유리하게는, 상기 PAAE 수지의 첨가로 인해 얻어지는 항바이러스 활성 강화 효과로 인해 살생물제, 특히 바이러스 박멸제의 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정 실시상태에 따르면,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은 특히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살생물제를 총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1%의 건조 중량 이하, 특히 0.1% 내지 0.7%의 건조 중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상기 살생물제, 특히 선택적으로 IPBC 및/또는 DIMTS와 조합된, 상기 은염 및/또는 4차 암모늄염인 살생물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해서 1.5% 내지 15%의 건조 중량, 특히 1.5% 내지 10%의 건조 중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특정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처리 조성물은 적어도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0.24% 내지 8.82%의 건조 중량, 특히 1.2% 내지 6.66% 의 건조 중량, 더 특히 1.2% 내지 4.6% 의 건조 중량의 하나 이상의 PAAE 수지;
- 0.07% 내지 18%의 건조 중량, 특히 0.07% 내지 14%의 건조 중량의, 은 기반 화합물, 특히 염화은과 같은 은염 및/또는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특히 DDAC 및 polyDADMAC와 같은 중합체성 또는 비중합체성 4차 암모늄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진균제 및/또는 살균제
- 1.9% 내지 10.5%의 건조 중량, 특히 1.9% 내지 3.77%의 건조 중량의, 3-아이오도-2-프로피닐부틸 카바메이트(IPBC), 디아이오도메틸-p-톨릴 술폰(DIMTS)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정진균제(fungistatic) 및/또는 살진균제(fungicidal),
여기서, 함량은 상기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해서 표현되었다.
표면 처리 조성물 제제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의 제제는 의도하는 도포방법, 예를 들어 바니시, 특히 오버프린트 바니시, 잉크, 래커 등과 관련하여 조정되는 것으로, 아래 기재에서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은, 상기 조성물로 기재 표면을 처리하기 위해 고려 중인 도포 방법에 맞추어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유체 조성물이며, 특히 60℃에서 측정 시 30mPa.s 내지 40Pa.s, 특히 50mPa.s 내지 25Pa.s의 점도를 갖는다.
상기 조성물의 점도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특히 고려 중인 조성물의 점도 스케일과 관련한 적절한 측정 방법 및 장비의 선택은 분명히 당업자의 능력 내에 속한다.
예를 들어, 점도가 확실히 2 Pa.s 미만인 조성물의 경우 100rpm의 스핀들 2번인(ISO 2555)인 Brookfield 점도계가 선호되는 측정 장치이다.
상기 점도는 조성물의 목적 및 도포 방식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조성물의 특히 점도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용매가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라 요구되는 화합물과 관련된 용매 매질의 성질 및/또는 양을 통해, 또는 결합제의 첨가 및 양의 조정을 통해 조정될 수 있다.
용매 매질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은 수성 또는 유기 용매 매질을 포함할 수 있다. 용매 매질은 특히 의도된 조성물의 유형과 관련하여 선택된다.
상기 용매 매질은 1상(one-phase) 또는 2상(two-phase) 매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용매 매질은 수중유(water-in-oil) 또는 유중수(oil-in-water) 에멀젼의 형태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용매 매질로서 물, 유기 용매, 오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수성 조성물이고, 상기 용매 매질은 바람직하게는 물이다. 특히, 상기 PAAE 수지 및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상기 살생물제를 물에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화합물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은 고려 중인 조성물 유형에 대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가 성분을 또한 포함할 수 있으며, 단, 이들의 존재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PAAE 및 상기 살생물제의 조합에 의해 부여되는 항바이러스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상기 추가 화합물의 성질은 고려 중인 조성물의 유형 및 이의 도포 방식과 관련하여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결합제, 특히 중합체 결합제를 포함한다.
하나의 특정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하나 이상의 안료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제는 특히 종이, 바니시 및/또는 잉크 가공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합물이다. 이들의 기능은 일반적으로 안료가 조성물에 존재하는 경우 안료와 같은 입자의 분산을 보장하고, 지지체 표면에 도포된 조성물의 건조 및/또는 가교 이후에 상기 지지체의 내구성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경도의 필름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제는 특히 수지, 왁스, 검(gums)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수지는 특히 지환족 에폭시, 아크릴, 비닐, 케톤,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및 알데히드 수지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는 왁스로서 다음이 언급될 수 있다:
- 식물 왁스, 예를 들어 카르나우바(carnauba), 칸델릴라(candelilla), 오우리큐리(ouricury), 재팬 왁스(Japanese), 코코아 버터 또는 코르크 왁스 또는 사탕수수 섬유 왁스,
- 미네랄 왁스, 예를 들어 파라핀 왁스, 바셀린 왁스(petroleum jelly wax), 갈탄 왁스(lignite wax),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또는 오조케라이트(ozokerites),
- 합성 왁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왁스, 특히 폴리에틸렌 왁스 및 Fisher-Tropsch 합성으로 얻은 왁스,
- 실리콘 왁스, 특히 치환된 선형 폴리실록산;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실리콘 왁스, 16 내지 45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알킬 또는 알콕시-디메티콘(dimethicones), Dow Corning에서 상표명 AMS C 30으로 판매되는 C30-C45 알킬 메티콘(methicone)과 같은 알킬 메티콘,
- 경화유(hydrogenated oils),
- 및/또는 이들의 혼합물.
본 발명에 적합한 왁스의 예시로서, 특히 탄화수소계 왁스, 예를 들어 비즈왁스, 라놀린 왁스, 중국산 곤충 왁스, 쌀겨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칸델릴라 왁스, 오우리큐리 왁스, 에스파르토 풀(esparto grass) 왁스, 베리 왁스, 셸락(shellac) 왁스, 재팬 왁스 및 옻나무(sumac) 왁스; 몬탄(montan) 왁스, 오렌지 왁스 및 레몬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파라핀 및 오조케라이트; 폴리에틸렌 왁스, Fisher-Tropsch 합성으로 얻은 왁스 및 왁스 공중합체(waxy copolymers), 및 이들의 에스테르가 언급될 수 있다.
검은 예를 들어, 아카시아 검, 트라가칸스(tragacanth) 검, 카시아 검, 구테(gutte) 검, 셸락 검, 산다락(sandarac) 검, 매스틱(mastic) 검 또는 수지 검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특정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성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결합제, 특히 친수성 결합제, 특히 중합체성 결합제, 더욱 특히 폴리알코올,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PVA)부터 선택된 결합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특히 PVA와 같은 유형의 하나 이상의 결합제를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1% 내지 40%의 건조 중량, 특히 2% 내지 20%의 건조 중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PVA 유형의 상기 결합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해서 30% 내지 90%의 건조 중량, 특히 50% 내지 80%의 건조 중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하나 이상의 보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특히 기재 표면에 표면처리(surfacing)하여 도포하려는 조성물의 경우에 해당한다.
보습제는 보습(moisturizing) 또는 흡습(hygroscopic) 효과를 줄 수 있는 화합물이다.
이들 보습제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폴리올 유형 화합물, 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릴 트리아세테이트 또는 소르비톨이 본 발명의 맥락에서 특히 고려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상태 변형에 따르면, 고려되는 보습제는 다음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피돌산(PCA) 및 이의 유도체(아르기닌 PCA, 구리 PCA, 에틸헥실 PCA, 라우릴 PCA, 마그네슘 PCA, 나트륨 PCA, 아연 PCA 등), 글루콘산칼슘(calcium gluconate), 과당, 포도당, 이소말트, 유당, 말티톨, 만니톨, 폴리덱스트로스, 소르비톨, 수크로스 또는 자일리톨, 글리시리진산(glycyrrhizic acid) 및 이의 유도체, 히스티딘, 히알루론산 및 히알루론산나트륨과 같은 히알루론산염, 실크, 케라틴 또는 대두 가수분해물, 피탄트리올(phytanetriol), 실크 또는 요소(urea).
바람직한 실시상태 변형에 따르면, 보습제는 폴리올, 더욱 특히 글리세롤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보습제, 특히 글리세롤을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서 0.5% 내지 4%의 건조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3%의 건조 중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은 용매 매질, 특히 수성 용매 매질 내에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 하나 이상의 PAAE 수지,
- 전술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은 기반 화합물, 특히 은염 및/또는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특히 4차 암모늄염, 특히 적어도 염화은 및/또는 DDAC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
및 바람직하게는 3-아이오도-2-프로피닐부틸 카바메이트(IPBC), 디아이오도메틸-p-톨릴 술폰(DIMTS)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진균제 및/또는 살진균제;
- 하나 이상의 결합제, 특히 폴리비닐 알코올(PVA);
-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첨가제, 특히 글리세롤과 같은 하나 이상의 보습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처리 조성물은 다음을 포함한다:
- 0.24% 내지 8.82%의 건조 중량, 특히 1.2% 내지 6.66%의 건조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4.6%의 건조 중량의 하나 이상의 PAAE 수지;
- 0.07% 내지 18%의 건조 중량, 특히 0.07% 내지 14%의 건조 중량을 만족하는, 은 기반 화합물, 특히 은염,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특히 4차 암모늄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특히 적어도 염화은 및/또는 DDAC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
- 선택적으로, 1.9% 내지 10.5%의 건조 중량, 특히 1.9% 내지 3.77%의 건조 중량의, IPBC 및/또는 DIMTS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정진균제 및/또는 살진균제;
- 30% 내지 90%의 건조 중량, 특히 50% 내지 80%의 건조 중량의, 특히 PVA 유형인 하나 이상의 결합제;
상기 백분율은 상기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해 표현된 것이다.
특정 실시상태에 따르면,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은 수성 조성물, 특히 수성 표면처리(surfacing) 조성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하나 이상의 보습제, 특히 글리세롤을 포함한다.
표면 처리 방법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성 조성물은 물체의 표면 처리를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물체 또는 대상은 특히 바이러스를 운반하기 쉬운 물체 또는 대상이므로 상대적으로 자주 만지거나 다뤄지기 위한 물체들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다뤄지기 위한 물체는 동일한 개인 또는 적어도 두 명의 다른 개인에 의해 직접 2회 이상 다뤄지는 물체다. 직접 다루어짐은 손의 적어도 한 부분에 의한 적어도 한 번의 접촉(예: 잡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정보 매체(예: 지폐 또는 스마트 카드와 같은 카드)를 제조하거나 포장하기 위한 것인 기재이거나; 컴퓨터 키보드 및 마우스, 터치 스크린, 핸드폰의 키보드, 스크린 및 핸드셋, 어린이 장난감, 의료 또는 건강 관리 지침, 손톱, 악기, 작업복, 도구, 가구용 직물, 손잡이, 단추, 포장과 같은 플라스틱 물체일 수 있다.
상기 대상은 예를 들어 유리, 종이, 판지, 플라스틱, 직물 등에서 선택되는 재료로 구성된 것이다.
특정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특히 시트 형태의 기재의 표면 처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기재는 다양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기재는 다공성 기재, 특히 섬유질, 더욱 특히 당업자에게 공지된 섬유,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계 섬유(특히 면 섬유) 및/또는 셀룰로오스가 아닌 천연 유기 섬유,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 및/또는 선택적으로 광물 섬유, 예를 들어 유리 섬유와 같은 섬유를 기반으로 하는 종이일 수 있다.
특히, 종이 유형의 기재는 평량(basis weight)이 10g/m² 내지 300g/m², 특히 50g/m² 내지 150g/m², 또는 심지어 65g/m² 내지 150g/m² 일 수 있다. 상기 평량은 예를 들어 표준 ISO 536:2019에 따라 기존 방법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특정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기재, 특히 시트 형태의 기재는 셀룰로오스계 섬유를 기반으로 한다.
다른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기재, 특히 시트 형태의 기재는 셀룰로오스계 섬유 이외의 천연 유기 섬유를 기반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기재, 특히 시트 형태의 기재는 플라스틱 재료, 특히 합성 섬유를 기반으로 한다.
상기 기재는 플라스틱 필름, 특히 Arjobex사가 판매하는 Polyart® 재료와 같은 이중 연신(bi-stretched) 폴리에틸렌계 필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는 예를 들어 코어 층 및 적어도 하나의 스킨 층을 포함하고, 코어 층은 공극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재료로 제조된 공압출된 지지체를 포함하는 시트일 수 있다.
합성 기재는 또한 BOPP(이방향 폴리프로필렌, bi-oriented polypropylene), 특히 지폐용인 BOPP 기반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필름은 CCL Secure사에서 Guardian이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고, De La Rue사에서는 Safeguard라는 이름으로 판매된다.
기재는 또한 특히 적층되거나 적층 결합된 다층 기재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다층 기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셀룰로오스 또는 플라스틱 재료를 기반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한다.
합성 기재는 특히 다층 종이-플라스틱 하이브리드 기재, 예를 들어 Banque de France에서는 EverFit, Louisenthal 사에서는 Hybrid, Landqart 사에서는 Durasafe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보안 문서용 기재와 같은 종이-플라스틱-종이 또는 플라스틱-종이-플라스틱일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기재는 광물 섬유를 기반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기재는 특히 정보 매체, 특히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다뤄지기 위한 것인 정보 매체의 제조를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정보 매체는 여권, 신분증, 운전면허증, 출입 카드, 로열티 카드, 복사 카드(photocopying card), 구내식당 카드, 게임용 카드, 수집가 카드, 지불 수단, 특히 지불 카드, 지폐, 바우처 또는 영수증, 문화 또는 스포츠 행사 입장권, 정품 인증서 또는 포장, 책, 지리적 지도, 라벨, 봉투 또는 잡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장 특히 보안 문서, 특히 지폐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기재는 보안 문서용 기재, 특히 지폐 제조용으로 의도된 특히 시트 형태의 기재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기재를 포함하는 정보 매체, 특히 보안 문서, 특히 지폐에 관한 것이다.
보안 문서의 기재는 워터마크 및 기타 관례적인 1차, 2차 또는 3차 레벨 보안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보안 요소 중 일부는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눈, 햇빛 또는 인공 조명 하에서 감지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보안 요소에는 예를 들어 유색 섬유나 플랑셰트(planchettes),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인쇄되거나 금속화된 와이어가 포함된다. 이들은 1차 레벨 보안 요소라고 한다.
다른 유형의 보안 요소는 자외선(UV) 또는 적외선(IR) 방출 램프와 같은 비교적 간단한 장치를 통해서만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보안 요소에는 예를 들어 섬유, 플랑셰트, 스트립, 실 또는 입자가 포함된다. 이러한 보안 요소는 예를 들어 365 nm의 파장에서 방출되는 나무 램프의 조명 아래에서 발광하여, 육안으로 볼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보안 요소를 2차 레벨 보안 요소라고 한다.
다른 유형의 보안 요소는 탐지를 위해 더 정교한 장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이러한 보안 요소는 동시에 또는 비-동시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여기(excitation) 소스에 노출될 때 특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신호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문서를 인증할 수 있다. 이러한 보안 요소에는 예를 들어 활성 물질, 입자 또는 섬유 형태의 추적자가 포함되며, 이러한 추적자는 광학적, 전기적, 자기적 또는 전자기 여기를 받을 때 특정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보안 요소를 3차 레벨 보안 요소라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 문서에 존재하는 보안 요소는 1차, 2차 또는 3차 레벨 보안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표면 처리 방법이다. 즉, 이는 상기 물체의 표면 및/또는 물체 두께의 표면 부분에 위치하는 본 발명에 따라 요구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코팅(필름 또는 층)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처리 방법은 사용된 상기 조성물을 기재 두께의 표면 부분으로 침투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처리용 조성물은 기재 두께의 15% 미만, 특히 두께의 10% 미만으로 기재에 침투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처리 방법은 일반적으로 제조 단계에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기재의 벌크에 통합시키는 것, 예를 들어 종이 매체의 제조 중 섬유질 현탁액에 통합시키는 것인 "벌크" 처리와 구별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처리 방법은 적어도 상기 처리된 물품의 표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체의 표면에만(침투 없이) 코팅이 존재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상기 PAAE 수지 및 상기 살생물제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항바이러스 코팅 위에 중첩되는 하나 이상의 층을 형성하기 위한 임의의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물체는 그 표면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표면 코팅을 가진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물체의 외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상기 항바이러스 코팅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처리 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상기 PAAE 수지 및 적어도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상기 살생물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상기 물품의 처리될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및 그 이후 건조 단계로 진행된다.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코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 단일 도포를 통해, 또는 대안적으로 적어도 2개의 서로 상이한 조성물의 연속적인 도포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특정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 구체적으로 적어도 상기 PAAE 수지 및 하나 이상의 은 기반 화합물 및/또는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예를 들어 염화은 및/또는 DDAC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그 이후의 건조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실시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방법은 적어도 2개의 서로 상이한 조성물의 연속적인 도포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상기 PAAE 수지 및 본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를 조합하여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두 도포 단계 사이에 선택적으로 건조 단계가 수행되며, 이어서 건조 단계가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치료를 위해 2개 이상의 서로 상이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조성물은 특히 용매 매체의 성질 및 존재하는 추가 화합물의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대해 전술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조성물이 사용되는 조건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로부터 얻은 코팅의 형성을 허용하도록 조정되며, 상기 코팅은 본 발명에 따른 PAAE 수지에 의한 항바이러스 활동 증진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발명에 따라 요구되는 모든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처리할 표면에 분무, 사이징, 함침, 프린팅, 예를 들어 오프셋 프린팅, 로토그라비어, 플렉소그래피에 의해 도포되거나; 예를 들어 플렉소그래피 오버프린팅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린팅된 표면에 오버프린팅하는 것에 의해 도포되거나; 표면처리(surfacing), 코팅 또는 증착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처리를 위한 상기 조성물의 도포 방식은 표면이 처리될 물체의 특성에 따라 조정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기재, 특히 섬유질 기재의 표면에 적용하기 위한 상기 조성물은 표면처리(surfacing), 사이징 또는 코팅에 의해 도포된다.
이러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 예를 들어 함침기, 사이즈 프레스(size presses), 에어 나이프 코터(air knife coaters), 닥터 블레이드 코터, 커튼 코터, 그라비아 코터(rotogravure), 스크린 프린터 및 플렉소그래피 프린터 등을 사용하여 조성물을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처리는 물품 표면의 일부에 국한되거나 물품 표면 전체에 도포될 수 있다. 기재, 특히 시트의 처리를 위한 것일 때, 처리는 기재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국한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만지거나 다뤄지는 면에 국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체의 표면에 상기 조성물을 도포한 후에 건조 단계가 수행되며, 이 건조 단계는 특히 상기 조성물에 존재하는 용매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은 예를 들어 바니시, 특히 오버프린트 바니시, 잉크, 래커(lacquer) 또는 페인트의 조성물, 특히 수성 조성물을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조성물에 존재하는 결합제의 특성에 따라 이는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폴리우레탄 또는 아크릴 바니시 또는 잉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재의 표면을 처리할 때,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는 기재, 특히 시트 기재의 두 개의 반대 면에 대해 수행된다.
특정 실시상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기재, 특히 예를 들어 종이 시트 형태의 섬유 기재의 표면 처리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표면처리, 사이징 또는 코팅에 의해 상기 기재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 특히 두개의 반대 면에 본 발명에 따른 항바이러스 처리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은 수성 조성물을 증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증착물은 예를 들어 사이징 프레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섬유 기재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에 사전 처리, 특히 함침, 표면처리(surfacing), 사이징 또는 스프레딩(spreading), 특히 코팅을 거칠 수 있다.
변형된 실시상태에 따르면, 표면 처리 공정은 2개의 조성물의, 바람직하게는 표면처리, 사이징 또는 코팅에 의한 연속적인 증착 단계 및 상기 두개의 증착 단계 사이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건조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2개의 조성물 중 하나는 적어도 상기 살생물제 또는 본 발명에 따라 고려되는 살생물제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적어도 상기 PAAE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증착물은 예를 들어 사이징 프레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아래에 주어진 실시예는 본 발명의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제시된다.
실시예
실시예 1
처리된 종이의 제조
모든 기재는 지폐 제조용 종이로 적합할 수 있는 종이 시트 한장으로 준비되었다.
다음과 같이 상기 종이 시트는 워터마크를 만들 수 있는 패턴을 포함하는 와이어를 사용하여 "둥근" 종이 제조기에서 형성된다:
- 면 섬유 펄프를 물에 현탁시킨 후 60℃의 Shoepper-Riegler에서 정제한다.
- 습윤 강화제, 폴리(아미드-아민-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를 면 섬유를 기준으로 한 약 2.5%의 건조 중량으로 첨가한다.
- 상기 현탁액에 무지개 빛깔의 플랭크(Iridescent planks)가 도입된다.
- 시트가 형성되면 종이 표면의 특정 윈도우가 나타나도록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윈도우 스레드(window thread)를 도입한다; 그리고
- 상기 시트를 약 100℃에서 건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기재를 사이징 프레스에서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제 1 및 2로 연속적으로 처리하였다.
다양한 화합물을 물에 혼합하여 제제를 제조하였다. 함량은 각 제제의 전체 중량에 대한 활성 물질의 중량 또는 "건조 중량"으로 표시하였다.
상기 종이 기재의 양면에 사이징 프레스를 사용하여 상기 제제들을 연속적으로 도포하고, 이 후 105℃에서 10분간 건조하였다.
제제 CC1 CC2 I1 I2
제제 1 % 건조 중량
PVA 28-99* 10% 어닐링됨 1.50 1.50 1.50 1.50
PVA 25-88* 10% 어닐링됨 2.40 2.40 2.40 2.40
IPBC (20% 용액) 0.52 - 0.52 0.52
AgCl (4% AgCl 함유 용액) 0.01 - 0.01 0.01
글리세롤(Glycerol) 1.20 1.20 1.20 1.20
제제 2 % 건조 중량
PVA 28-99* 10% 어닐링됨 4.00 4.00 4.00 4.00
PAAE (15%) - 0.33 0.17 0.33
글리세롤(Glycerol) 2.20 2.20 2.20 2.20
60°C에서의 점도 (1) 28.3 33.8 28.8 33.8
PVA에 대한 *에서, 처음 두 자리는 4%에서의 점도를 나타내며 마지막 두 자리는 가수분해도(%)를 나타낸다.(1) 100rpm에서 스핀들 2번을 갖춘 Brookfield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 점도(ISO 2555).
실시예 2
항바이러스 활성의 평가
모든 처리된 기재의 항바이러스 활성은 다음과 같이 평가되었다.
박테리오파지 MS2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외피 비보유 바이러스 계열의 박테리아 바이러스인 박테리오파지 MS2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테스트는 표준 ISO18184:2019-06을 기반으로 한다.
원칙은 다음과 같다: MS2 파지를 테스트할 매체에 침착시킨 다음, 첫번째로 파지를 테스트할 매체와 접촉시킨 직후인 t = 0에서, 두 번째로는 18시간동안 접촉시킨 후에, 활성 MS2 파지의 수를 평가한다.
주어진 시간에서 테스트할 매체에 존재하는 활성 MS2 파지 수를 평가하기 위해 이러한 매체를 MS2 파지의 숙주가 되는 특성을 가진 특정 박테리아가 있는 곳에 배치한다: 배양 후 라이시스 영역(lysis areas) 또는 바이러스 플레이트(또는 "플랙 형성 단위(plaque-forming unit)"을 의미하는 PFU)의 수를 측정하면 MS2 파지의 원하는 양을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정의된 항파지 활성(A로 표시)을 추론할 수 있다:
A = log(C18) - log(E18)
여기서 C18은 처리되지 않은 대조 샘플(비활성 폴리에테르술폰(PES))에 대한 3회 테스트를 통해 얻은 바이러스 플랙(PFU)의 평균 수이고;
E18은 실시예 1에 따라 처리된 각 매체와 18시간 동안 접촉시킨 후 3회 테스트를 통해 얻은 바이러스 플랙(PFU)의 평균 수이다.
실시예 1에 따라 처리된 각 매체에 대해 얻은 항바이러스 활성 결과를 아래 표 2에 정리하였다.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Hcov-OC43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SARS-COV2가 속하는 코로나바이러스과를 대표하는 외피 바이러스인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Hcov-OC43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테스트는 표준 ASTM E 1053을 기반으로 한다.
세포 배양 감염성 테스트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Hcov-OC43은 최확수 시험법(MPN법)을 사용하여 배양되고 계수되었으며, 과정에서 인간 결장좌 상피암 세포라인(human ileocaecal colorectal adenocarcinoma cell line)인 HCT-8 (ATCC CCL-244)을 숙주로 사용하였다. 세포는 6웰 플레이트의 세포 배양 플라스크에서 성장시켰다.
바이러스 계수는 APHA(미국 공중보건협회) 2012 표준 방법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EPA/600/R-95/178 및 EPA/600/4/84/013 업데이트 버전과 동등한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간략하게, 바이러스 함유 샘플의 소량을 HCT8의 신선하게 준비된 세포 단일층(약 90% 적합도)에 접종하였다. 그 후 세포를 둘베코 개질 이글 배지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및 2% 소 태아 혈청(FBS, Mediatech, 미국)이 함유된 배지에서 35℃ 및 5% 이산화탄소(CO2) 환경에서 10~14일 동안 배양하었다. 세포를 변성의 징후에 대해 현미경으로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였다. 플라스크에서 감염성 징후(세포변성 효과(cytopathic effects), CPE)를 보이는 세포는 양성(+)으로, CPE가 없는 세포는 음성(-)으로 간주되었다. 그런 다음 MPNCALC 소프트웨어(버전 0.0.0.23)를 사용하여 샘플에서 감염성 바이러스의 최확수를 계산했다.
실험을 위해 냉동 바이러스 스톡(일반적으로 1×108 IU/ml)을 35℃ 수조에서 빠르게 해동했다. 바이러스 현탁액은 2% FBS를 함유하고 있으며 해동 후 15분 이내에 사용되었다. 바이러스 현탁액을 PBS에서 10배 연속 희석한 후 위에서 설명한대로 HCT8 세포에 접종하여 계수하였다.
처리된 종이 샘플의 평가
평가 테스트는 ASTM 프로토콜 E 1053("Standard Practice to Assess Virucidal Activity of Chemicals Intended for Disinfection of Inanimate, Nonporous Environmental Surfaces")을 채택했다.
구체적으로, 시험 종이를 25mm 정사각형 단면으로 절단하였다. 처리된 각 시험 종이의 섹션 3개와 참조 종이(비활성 면 종이)의 섹션 2개를 멸균된 100mm 직경 페트리 접시에 넣었다. 100ml의 바이러스 현탁액을 평가할 각 종이 섹션의 표면에 균일하게 적용했다. 접종원(inoculum)은 샘플 가장자리에서 최소 5mm 떨어진 곳에 적용되었다. 접종원을 1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페트리 접시를 덮은 채로 생물학적 안전 챔버에서 20-22°C에서 추가 4시간 동안 배양했다(총 접촉 시간은 5시간이었다). 그런 다음, 각 샘플(처리된 종이 섹션 3개와 참조 섹션 2개)을 멸균 처리된 D/E 중화 브로쓰 10ml가 들어 있는 50ml 원뿔형 편심 분리 튜브(Corning, USA)로 옮겼다.
수집된 샘플을 궤도 진탕기(orbital shaker)에 놓고 15분 동안 저속으로 진탕했다. 이어서, PBS에서 현탁액을 10배 희석했다. 샘플의 생존 가능한(감염성) 바이러스 단위 수는 이전에 설명한 MPN(최확수)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항바이러스 활성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수학식 1]
A = log (MPNcontrol) - log (MPNtreated)
MPN법을 사용하여 참조 종이(MPNcontrol) 및 처리된 시험 종이(MPNtreated)에 대해 전술한 것과 수행하여 5시간의 접촉 시간 후 바이러스 감염 단위의 최확수(Most Probable Number of Viral Infectious Units)의 평균을 결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처리된 종이 CC1 CC2 I1 I2
박테리오 파지 MS2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A (log) 0.41 log 0.04 log 0.64 log 0.84 log
PFU에서의 감소% 61.44% 8.85% 77.02% 85.67%
코로나바이러스 Hcov-OC43 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A (log) 4.2 log 1.71 log 4.2 log 4.2 log
MPN에서의 감소% >99.999% 99.70% >99.999% >99.999%
AgCl 살생물제과 IPBC의 조합의 항바이러스 활성은 너무 강해서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종이인 I1 및 I2 와 프로토콜에 따르지 않은 종이인 CC1로 얻은 결과를 구별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즉, Hcov-OC43 코로나바이러스의 100% 사망률은 접촉 시간 5시간 후에 얻어졌다.
박테리오파지 MS2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 테스트는 PAAE 수지의 존재가 항바이러스 활성 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종이인 I1는 그것의 표면처리(surfacing)에 PAAE 수지의 사용이 포함되지 않은 부적합 종이인 CC1에 비해 박테리오파지 MS2에 대해 상당히 향상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항바이러스 효과는 더 높은 PAAE 수지 함량(I2 처리 종이)을 사용하여 더욱 강화된다.
표준 ISO 21702:2019에 따라 채택된 프로토콜에 따라 코로나바이러스 SARS-COV2 및 HcoV-229E에 대해 테스트한 I1 종이는 각각 1.6log 및 2.5log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보여주었다.

Claims (19)

  1. 물체 표면에 코팅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항바이러스 조성물로서,
    - PAAE 수지로 알려진 하나 이상의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및
    - 하나 이상의 은 기반 화합물 및/또는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AAE 수지는 아디프산, 디에틸렌트리아민 및 에피클로로히드린으로부터 형성되는 것인 조성물.
  3. 청구항 1 및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AAE 수지는 상기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해서 0.24% 내지 8.82%의 건조 중량, 특히 1.2% 내지 6.66%의 건조 중량, 보다 특히 1.2% 내지 4.6%의 건조 중량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은염, 특히 염화은, 특히 입자 형태의 무기물, 예를 들어 유리, 바람직하게는 인산염 유리에 의해 지지되는 것인 지지된 입자 형태의 은; 특히 디데실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di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 DDAC) 및 디알릴디알킬암모늄 클로라이드(diallyldialkylammonium chloride) 중합체, 예를 들어 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diallyldimethylammonium chloride) 중합체(폴리DADMAC)로부터 선택된 중합체성 또는 비중합체성 4차 암모늄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를 포함하는 것인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은 기반 화합물, 특히 은염 종류인 것 및/또는 상기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특히 4차 암모늄염 종류인 것은 상기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해서 0.07% 내지 18%의 건조 중량, 특히 0.07% 내지 14%의 건조 중량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6.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3-아이오도-2-프로피닐부틸 카바메이트(3-iodo-2-propynylbutyl carbamate, IPBC) 및/또는 디아이오도메틸-p-톨릴 술폰(diiodomethyl-p-tolyl sulfone, DIMTS)을, 특히 상기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해서 1.9% 내지 10.5%의 건조 중량, 특히 1.9% 내지 3.77%의 건조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은 기반 화합물, 특히 은염, 특히 염화은 및 적어도 IPBC를 포함하는 조성물.
  8.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특히 폴리알코올,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알코올(PVA)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제를 포함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해서 30% 내지 90%의 건조 중량, 특히 50% 내지 80%의 건조 중량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수성 또는 유기 용매 매질, 특히 수성 용매 매질, 특히 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특히 폴리올, 보다 특히 글리세롤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보습제를 포함하고,
    보다 특히 상기 보습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건조 중량에 대해서 0.5% 내지 4%의 건조 중량, 특히 1% 내지 3%의 건조 중량으로 존재하는 것인 조성물.
  11. 물체, 특히 기재의 표면에 항바이러스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표면 처리 방법으로서, 상기 물체의 표면에 다음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 특히 청구항 2에 기재된 것과 같은, PAAE 수지로 알려진 하나 이상의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 및
    - 특히 청구항 4에 기재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은 기반 화합물 및/또는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
    및 상기 처리된 물체의 적어도 표면에 존재하는 적어도 상기 PAAE 수지 및 상기 살생물제를 포함하는 코팅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또는 상기 조성물 중 적어도 하나는 특히 폴리알코올,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알코올(PVA)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13.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단일 항바이러스 조성물을 상기 물체의 표면에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1 또는 12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PAAE 수지 및 상기 살생물제를 조합하여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조성물을 연속적으로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2개의 도포 단계 사이에 선택적으로 건조 단계가 수행되는 방법.
  15. 청구항 1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처리할 표면에 상기 조성물이 분무(spraying), 사이징(Sizing), 함침(impregnating), 프린팅(printing), 예를 들어 오프셋 프린팅, 로토그라비어(rotogravure), 플렉소그래피(flexography)에 의해 도포되거나; 예를 들어 플렉소그래피 오버프린팅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린팅된 표면에 오버프린팅하는 것에 의해 도포되거나; 표면 처리(surfacing), 코팅 또는 증착(depositing)으로 도포되는 것인 방법.
  16. 청구항 1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정의된 방법에 따라 표면 처리된 물체로서, 상기 물체는 특히 기재, 특히 시트인 것인 물체.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정보 매체 제조를 위한 기재, 특히 시트, 보다 특히 지폐인 보안 문서(security document) 제조를 위한 것인 섬유 기재인 것인 물체.
  18. 청구항 17에 정의된 기재를 포함하는 정보 매체로서, 상기 정보 매체는 특히 보안 문서이고, 보다 특히 지폐인 것인 정보 매체.
  19. 물체, 특히 기재의 표면 처리를 위한 조성물의 항바이러스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첨가제로서의 하나 이상의 폴리아미드-폴리아민-에피클로로히드린 수지의 용도로서,
    상기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은 기반 화합물, 특히 은염 및/또는 하나 이상의 4차 암모늄 기반 화합물, 특히 DDAC와 같은 4차 암모늄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살생물제를 포함하는 것인 용도.
KR1020237042736A 2021-05-17 2022-05-13 물체의 표면 처리용 항바이러스 조성물 KR202400088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2105126 2021-05-17
FR2105126A FR3122806B1 (fr) 2021-05-17 2021-05-17 Composition antivirale pour le traitement de surface d’un article
PCT/EP2022/063020 WO2022243186A1 (fr) 2021-05-17 2022-05-13 Composition antivirale pour le traitement de surface d'un art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884A true KR20240008884A (ko) 2024-01-19

Family

ID=76284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2736A KR20240008884A (ko) 2021-05-17 2022-05-13 물체의 표면 처리용 항바이러스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4340610A1 (ko)
JP (1) JP2024519788A (ko)
KR (1) KR20240008884A (ko)
CN (1) CN117580453A (ko)
BR (1) BR112023023863A2 (ko)
FR (1) FR3122806B1 (ko)
WO (1) WO2022243186A1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8025B1 (fr) 2002-04-08 2005-08-05 Arjo Wiggins Support d'information presentant des proprietes biocides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CA2784922C (en) * 2010-01-18 2018-05-01 Cascades Canada Ulc Antimicrobial tissue paper and process to manufacture same
FR2967074B1 (fr) 2010-11-08 2013-06-28 Arjowiggins Security Compositions fluides aptes a former un revetement presentant des proprietes antivirales
CN104074099B (zh) * 2014-05-30 2016-03-16 太仓卡斯特姆新材料有限公司 一种环保型抗菌防霉壁纸
CN106088495A (zh) * 2016-06-20 2016-11-09 钱学东 一种防霉抗菌复合壁纸
CN106079785A (zh) * 2016-06-21 2016-11-09 钱学东 一种防霉抗菌阻燃复合壁纸
CN106079763A (zh) * 2016-06-21 2016-11-09 钱学东 一种含有白竹炭纤维的壁纸
FR3061212A1 (fr) * 2016-12-27 2018-06-29 Arjowiggins Security Substrat fibreux cellulosique resistant a la falsification par clivage.
FR3099768B1 (fr) * 2019-08-06 2021-08-06 Oberthur Fiduciaire Sas Papier de sécurit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43186A1 (fr) 2022-11-24
BR112023023863A2 (pt) 2024-02-06
FR3122806B1 (fr) 2024-03-29
FR3122806A1 (fr) 2022-11-18
JP2024519788A (ja) 2024-05-21
EP4340610A1 (fr) 2024-03-27
CN117580453A (zh) 2024-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632B1 (ko) 항 바이러스 성질을 갖는 정보 매체 및 그 제조 방법
CA2677635A1 (en) Antimicrobial currency, material and method
JP2023507484A (ja) 保護ワニス、特にセキュリティ文書の為の保護ワニス
EP4010529B1 (fr) Papier de sécurité
US8765159B2 (en) Data medium having biocidal properti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20240008884A (ko) 물체의 표면 처리용 항바이러스 조성물
CN102016172A (zh) 可印刷产品和用于制备可印刷产品的方法
US20220159948A1 (en) Antimicrobial and Antiviral Paper Products Including Silver Ions
CN106318189A (zh) 一种有价证券抗菌涂层
JP2024520310A (ja) 殺生物特性を有する多孔性媒体
Yazdani et al. Effect of cationic polyacrylamide and antibacterial nanosilver on bank-note paper properties
WO2022115856A1 (en) Anti-microbial and anti-viral paper products including silver ions
DE102021003200A1 (de) Biozides Papier, biozides Wertdoku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WO2023222726A1 (fr) Utilisation d'au moins une huile végétale siccative à titre d'agent antiviral
RU2575744C2 (ru) Жидкая композиция, образующая покрытие, обладающее антивирус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способ (варианты) и издели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