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8613A -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용 복합소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용 복합소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8613A
KR20240008613A KR1020220085679A KR20220085679A KR20240008613A KR 20240008613 A KR20240008613 A KR 20240008613A KR 1020220085679 A KR1020220085679 A KR 1020220085679A KR 20220085679 A KR20220085679 A KR 20220085679A KR 20240008613 A KR20240008613 A KR 20240008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amide
weight
parts
composite material
materi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5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석
이재혁
Original Assignee
이재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혁 filed Critical 이재혁
Priority to KR1020220085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8613A/ko
Publication of KR20240008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861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10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used in the polymer mix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용 복합소재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소재 조성물은 150 MPa~300 MPa 범위의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 고온고습환경(85℃, 85%, 1000h 기준)에서 30% 미만의 인장강도 변화율, UL94 기준 V0 등급(1.6T 기준)의 난연성을 갖는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용 복합소재 조성물{COMPOSITE MATERIAL COMPOSITION FOR CONNECTORS OF BUI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건축물에서 구조물들 사이에 사용되는 연결부재 제조를 위한 복합소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에는 수 많은 건축 부재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건축 부재들은 건축물 구조 전체에 대해 법적, 경제적, 사회적, 기술적으로 요구되는 품질 수준을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특성 지표를 갖는다. 특성 지표는 건축 자재의 목적과 용도에 따라 각기 다르게 정해진다.
건축 부재 중 하나인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는 건축물에서 구조물들 사이에 사용되는 부재를 말한다. 예를 들면 소정 간격 이격된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포스트 부재, 소정 간격 이격된 두 개의 측 구조물 사이에 수평으로 결합되는 외측 구조물을 내측 구조물에 연결시킴과 동시에 외측 구조물을 지지하는 수평 부재 등이 있다.
이와 같은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에서 요구되는 대표적인 특성 지표로는 내풍압 성능 확보를 위한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내설압이나 분포압 강도 성능 확보를 위한 압축강도(Compressive strength), 내충격 성능 확보를 위한 충격강도(impact strength) 등이 있다. 또한 이러한 강도들이 온습도에 의해 크게 변화되지 않도록 낮은 물성변화율도 요구되고 있다.
현재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로 주로 사용되는 소재는 6063 알루미늄 합금 또는 아연도 강판(KS D 3506)이다. 6063 알루미늄 합금(3T 기준)의 인장강도는 150~240MPa, 아연도강판(1.6T 기준)의 인장강도는 340~360MPa로 높은 내구성을 가지며, 온습도에 의한 물성변화 또한 낮은 편이기 때문이다.
한편 건축분야에서는 시공의 편의성을 높이고 건축물을 보다 경량화하기 위하여,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가벼운 건축재료에 관한 연구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 역시 마찬가지로 기존의 금속 재료를 대체하기 위한 플라스틱 기반의 복합소재를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있어 왔다. 예를 들어 구조물들 사이에 규격화된 단열재들이 배치되는 경우 그 틈새에 위치하여 열교(Heat Bridge)를 차단하는 열교차단 부재로 폴리아미드 수지 기반의 복합소재가 개발된바 있다.
이와 같이 기존 금속 재료를 대체하기 위한 플라스틱 기반의 복합소재는 금속 재료와 동등한 수준의 강도 특성(특히 높은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과, 강도 특성이 온습도에 의해 크게 변화되지 않는 낮은 물성변화율을 필수적인 특성 지표로 하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 재료는 기본적으로 불에 잘 타는 성질이 있으므로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에 사용되는 복합소재는 UL94 기준 V0 등급(1.6T 기준)에 해당하는 난연성도 갖추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높은 인장강도, 낮은 인장강도 변화율 및 난연성(UL94 기준 V0)을 갖는 건축물구조 연결부재를 제조할 수 있는 복합소재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 및 폴리아미드 MXD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계 베이스 수지; 난연제; 및 유리섬유와 판상형 광물을 포함하는 보강제를 포함하고, 상기 판상형 광물은 탈크, 마이카, 제올라이트 및 몬모릴로나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1이상 선택되는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용 복합소재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난연제 및 보강제의 중량부 합계가 베이스 수지의 중량부보다 높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폴리아미드계 베이스 수지 33~57 중량부; 난연제 13~17 중량부; 및 유리섬유와 판상형 광물을 포함하는 보강제 28~5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상형 광물은 탈크, 마이카, 제올라이트 및 몬모릴로나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1 이상 선택되는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용 복합소재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폴리아미드계 베이스 수지는 폴리아미드6 15~25 중량부, 폴리아미드66 15~25 중량부 및 폴리아미드 MXD6 3~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제는 유리섬유 25~45 중량부 및 판상형 광물 3~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판상형 광물은 탈크이고, 상기 보강제는 유리섬유 25~45 중량부 및 탈크 3~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소재 조성물은 150 MPa~300 MPa 범위의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 고온고습환경(85℃, 85%, 1000h 기준)에서 30% 미만의 인장강도 변화율, UL94 기준 V0 등급(1.6T 기준)의 난연성을 갖는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는 건축물에서 구조물들 사이에 사용되는 부재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는 건축물의 일 부분에 있어서 소정 간격 이격된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부재(또는 이와 같이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부재의 일부를 이룰 수도 있음), 또는 구조물들 사이에 규격화된 단열재들이 배치되는 경우 그 틈새에 위치되는 열교차단 부재일 수 있다. 물론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는 건축물의 구조물들 사이에 사용 가능한 부재면 충분하고, 상기에서 예시된 부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용 복합소재 조성물(이하, 복합소재 조성물)은 폴리아미드계 베이스 수지 33~57 중량부, 무기계 난연제 13~17 중량부 및 보강제 28~52 중량부를 포함한다.
폴리아미드계 베이스 수지는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 및 폴리아미드 MXD6(Polyxylylene Adipamide)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시에서 폴리아미드계 베이스 수지는 폴리아미드6 15~25 중량부, 폴리아미드66 15~25 중량부 및 폴리아미드 MXD6 3~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시에서 폴리아미드계 베이스 수지는 폴리아미드6 15~20 중량부, 폴리아미드66 15~20 중량부 및 폴리아미드 MXD6 3~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술한 것과 같이 폴리아미드계 베이스 수지로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 및 폴리아미드 MXD6를 상기 범위 내에서 혼합하여 형성하는 경우, 목적하는 기계적 물성(인장강도, 압축강도, 충격강도)을 충족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온고습환경에서의 인장강도 변화율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하기의 시험예에서 부연 설명될 것이다.
난연제는 복합소재 조성물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서 강성, 유연성, 내마모성 등에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UL94 기준 V0 등급 수준의 높은 난연성이 요구될 경우에는 난연제가 첨가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난연제는 무기계 난연제, 할로겐계 난연제, 인계 난연제, 멜라민계 난연제 중 1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무기계 난연제의 예로는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안티몬(삼산화, 오산화), 수산화마그네슘, 주석산아연, 몰리브덴산염, 지르코늄 등이 있고, 할로겐계 난연제의 예로는 염소계 또는 브롬계가 있고, 인계 난연제의 예로는 적인, 암모늄 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할로알킬 포스페이트 등이 있다. 물론 난연제의 종류는 상기에서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소재 조성물에 있어 난연제는 적인 난연제 또는 멜라민계 난연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보강제는 유리섬유와 판상형 광물을 포함한다. 이 때 판상형 광물은 탈크, 마이카, 제올라이트 및 몬모릴로나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1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탈크가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시에서 보강제는 유리섬유 25~45 중량부 및 판상형 광물 3~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시에서 보강제는 유리섬유 25~45 중량부 및 탈크 3~7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술한 것과 같이 보강제로 유리섬유 및 판상형 광물을 상기 범위 내에서 혼합하여 형성하는 경우, 목적하는 기계적 물성(인장강도, 압축강도, 충격강도)을 충족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온고습환경에서의 인장강도 변화율을 최소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강제로 유리섬유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아미드계 베이스 수지 내에서의 분산성이 저하되어 목적하는 기계적 물성 및 난연성을 동시에 충족하기 어려우나, 보강제로 유리섬유 및 판상형 광물을 상기 범위 내에서 혼합하여 형성하는 경우에는 판상형 광물이 유리섬유의 폴리아미드계 베이스 수지 내에서의 분산 효과를 높여 목적하는 기계적 물성 및 난연성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하기의 시험예에서 부연 설명될 것이다.
한편, 보강제에 포함되는 유리섬유는 원료를 고온에서 용융시켜 필라멘트(filament) 형태로 제조되는 무기질 섬유를 의미한다. 유리섬유는 봉형, 바늘형 또는 섬유상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공지된 방법을 통해 제조되거나 상용화 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유리섬유의 평균 길이, 직경 및 종횡비 등은 특정되지 않는다. 판상형 광물 또한 상용화 된 제품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소재 조성물은 기존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로 사용되는 소재인 6063 알루미늄 합금 또는 아연도 강판을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복합소재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공되는 복합소재가 150 MPa~300 MPa 범위의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 고온고습환경(85℃, 85%, 1000h 기준)에서 30% 미만의 인장강도 변화율, UL94 기준 V0 등급(1.6T 기준)의 난연성을 갖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복합소재가 150 MPa~260 MPa 범위의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 고온고습환경(85℃, 85%, 1000h 기준)에서 20% 미만의 인장강도 변화율, UL94 기준 V0 등급(1.6T 기준)의 난연성을 갖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 알려진 열교차단 부재용 폴리아미드 수지 기반의 복합소재는 폴리아미드계 베이스 수지, 난연제, 보강제(주로 유리섬유) 및 첨가제가 혼합되어 제조되고 있으나, 기계적 물성(인장강도, 압축강도, 충격강도 등)에서 6063 알루미늄 합금 또는 아연도 강판을 대체하기에 충분치 않거나, 기계적 물성 및 UL94 기준 V0 등급(1.6T 기준)의 난연성을 동시에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고온고습환경(85℃, 85%, 1000h 기준)에서의 인장강도 변화율이 40%를 초과하는 수준이어서 내구성 확보에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복합소재 조성물은 첫째, 폴리아미드계 베이스 수지 대비 상대적으로 보강제의 함량을 높이고, 둘째, 보강제를 유리섬유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판상형 광물을 첨가하여 유리섬유의 베이스 수지에서의 분산성을 높여 기계적 물성, 난연성을 동시에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다양한 폴리아미드계 베이스 수지에서 선택된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 및 폴리아미드 MXD6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인장강도 변화율도 최소화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용 복합소재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물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성형물은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성형물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용 복합소재 조성물을 압출 성형 또는 사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압출 성형 또는 사출 성형을 위한 공정 조건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용 복합소재 조성물 또는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물은 다음의 특성 지표를 갖출 수 있다.
가. 인장강도(MPa): KS M ISO 527-2에 따른 인장시험 결과, 150 MPa~300 MPa 범위, 보다 구체적으로는 150 MPa~260 MPa 범위 내에 있음.
나. 압축강도(MPa): KS M ISO 604에 따른 압축강도 시험 결과, 150 MPa~300 MPa 범위, 보다 구체적으로는 160 MPa~280 MPa 범위 내에 있음.
다. 충격강도(KJ/m2): KS M ISO 180에 따른 IZOD 충격강도 시험 결과, 10~20 KJ/m2 범위, 보다 구체적으로는 12~18 KJ/m2 범위 내에 있음.
라. 인장강도 변화율(%):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인장강도 변화율이 30% 미만,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미만 범위 내에 있음.
[식 1]
인장강도 변화율(%) = |(TS2 - TS1)/TS1| × 100
여기에서 TS1은 KS M ISO 527-2에 따른 인장시험에서 측정된 시편의 초기 인장강도(MPa), TS2는 상기 시편을 고온고습환경(85℃, 85%, 1000h 기준)에서 에이징한 후에 KS M ISO 527-2에 따른 인장시험에서 측정된 시편의 인장강도(MPa)를 의미함.
마. 난연등급: UL94 규정에 따라 측정한(1.6T 기준) 시편의 난연등급으로, V0 등급 이상. 참고로 UL94 규정에 따른 난연등급은 HB, V2, V1, V0 등으로 분류되며, V0가 가장 우수한 난연성을 보인다.
이하에서는 시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 시험예로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시험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준비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을 혼합하고(단위: wt%), L/D 45, Φ 45mm인 이축 압출기를 통해 펠렛 형태의 복합소재 시편을 제조하였다. 펠렛이 토출되는 다이 온도는 275℃로 설정되었고, 복합소재가 혼련되는 구간은 270℃로 설정되었다. 이 때, 비교예 5, 7에서는 펠렛 형태의 압출 성형이 불가함을 확인하였다.
구분 베이스 수지 보강제 난연제 성형결과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 폴리아미드MXD6 유리섬유 탈크 적인
실시예1 25 25 5 25 5 15 양호
실시예2 20 20 5 35 5 15 양호
실시예3 15 15 5 45 5 15 양호
실시예4 20 15 5 40 5 15 양호
실시예5 15 20 5 40 5 15 양호
비교예1 60 25 15 양호
비교예2 55 30 15 양호
비교예3 50 35 15 양호
비교예4 45 40 15 불량
비교예5 40 45 15 불가
비교예6 50 35 15 양호
비교예7 20 20 5 40 15 불가
상기 표 1을 통해 다음의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베이스 수지가 45wt% 이하이고보강제로 유리섬유만 사용하였을 경우에는(비교예 4, 5, 7 참고), 성형 결과가 불량하거나 아예 성형이 되지 않았다. 둘째, 베이스 수지가 45wt% 이하이더라도 보강제로 유리섬유 및 탈크(판상형 광물)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실시예 3, 4, 5 참고) 성형 결과가 양호하였다.
2. 물성 평가
상기 표 1에서 성형이 불가하였던 비교예 5 및 7을 제외한 나머지 시편들에 대해서 다음의물성 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가. 인장강도(MPa): KS M ISO 527-2에 따라, 시편 유형 1A에 해당하는 시험편 10개에 대하여 50mm/min의 속도로 인장시험을 수행하고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나. 압축강도(MPa): KS M ISO 604에 따라, 시편 5개(길이 10mm, 너비 10mm, 두께 4mm)에 대하여 1mm/min의 속도로 압축강도 시험을 수행하고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다. 충격강도(KJ/m2): KS M ISO 180에 따라, 시편 10개(길이 80mm, 너비 10mm, 두께 4mm)에 대하여 IZOD 충격강도 시험을 수행하고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라. 인장강도 변화율(%):식 1로 표시되는 인장강도 변화율을 산출하였다.
[식 1]
인장강도 변화율(%) = |(TS2 - TS1)/TS1| × 100
여기에서 TS1은 KS M ISO 527-2에 따른 인장시험에서 측정된 시편의 초기 인장강도(MPa), TS2는 상기 시편을 고온고습환경(85℃, 85%, 1000h 기준)에서 에이징한 후에 KS M ISO 527-2에 따른 인장시험에서 측정된 시편의 인장강도(MPa)를 의미함.
마. 난연등급: UL94 규정에 따라 난연등급을 측정하였다(1.6T 기준).
구분 인장강도(MPa, TS1) 압축강도(MPa) 충격강도(KJ/m2) 인장강도 변화율(%) 난연등급
TS2 변화율(%)
실시예1 152 163 12 124 18.4 VO
실시예2 198 241 14 175 11.6 VO
실시예3 255 274 18 235 7.8 VO
실시예4 222 239 15 204 8.1 VO
실시예5 245 262 17 224 8.6 VO
비교예1 108 112 6 59 45.4 VO
비교예2 114 124 7 63 44.7 VO
비교예3 126 132 8 73 42.1 VO
비교예4 105 98 4 55 47.6 V1
비교예6 145 156 10 85 41.4 V0
상기 표 2를 참고하면,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물성을 모두 충족시키고 있음에 반해, 비교예들은 모두 충족하고 있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비교예 1,2,3,6의 경우에는 난연등급은 충족하였으나, 기계적 물성(인장강도, 압축강도 및 충격강도)이나 인장강도 변화율이 실시예들에 비해 매우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Claims (7)

  1. 폴리아미드6, 폴리아미드66 및 폴리아미드 MXD를 포함하는 폴리아미드계 베이스 수지;
    난연제; 및
    유리섬유와 판상형 광물을 포함하는 보강제를 포함하고,
    상기 판상형 광물은 탈크, 마이카, 제올라이트 및 몬모릴로나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1이상 선택되는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용 복합소재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 및 보강제의 중량부 합계가 베이스 수지의 중량부보다 높은 값을 가지는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용 복합소재 조성물.
  3. 폴리아미드계 베이스 수지 33~57 중량부;
    난연제 13~17 중량부; 및
    유리섬유와 판상형 광물을 포함하는 보강제 28~5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상형 광물은 탈크, 마이카, 제올라이트 및 몬모릴로나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1 이상 선택되는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용 복합소재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계 베이스 수지는 폴리아미드6 15~25 중량부, 폴리아미드66 15~25 중량부 및 폴리아미드 MXD6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용 복합소재 조성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강제는 유리섬유 25~45 중량부 및 판상형 광물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용 복합소재 조성물.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판상형 광물은 탈크이고,
    상기 보강제는 유리섬유 25~45 중량부 및 탈크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용 복합소재 조성물.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용 복합소재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물.
KR1020220085679A 2022-07-12 2022-07-12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용 복합소재 조성물 KR202400086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679A KR20240008613A (ko) 2022-07-12 2022-07-12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용 복합소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5679A KR20240008613A (ko) 2022-07-12 2022-07-12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용 복합소재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613A true KR20240008613A (ko) 2024-01-19

Family

ID=8971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679A KR20240008613A (ko) 2022-07-12 2022-07-12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용 복합소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86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0746B1 (de) Polyamidformmasse, hieraus hergestellter formkörper sowie verwendungszwecke
EP2060596B1 (de) Gefüllte Polyamidformmassen
EP1882719B1 (de) Polyamidformmasse und deren Verwendung
EP3006507B1 (de) Verstärkte polyamidformmassen sowie daraus hergestellte spritzgussteile
US8993670B2 (en) Glass-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thereof
EP2060607B2 (de) Gefüllte Polyamidformmassen
DE69408833T3 (de) Mineralgefüllte copolyamdidzusammensetzungen
EP2468810B1 (de) Mit gemahlenem Glas gefüllte flammwidrige Polyamidzusammensetzungen
EP3083805B1 (de) Langfaser-verstärkte polyamide
WO2005121249A1 (de) Polyamid-formmassen mit verbesserter fliessfähigkeit
CN104927229A (zh) 一种耐低温、耐油、阻燃软聚氯乙烯电缆料及制备方法
CN102993740A (zh) 玻璃纤维增强的阻燃尼龙合金材料的制备方法
CH708727B1 (de) Kohlenstofffaser-verstärkte Kunststoff-Formmassen.
EP2831159B1 (d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mit erhöhter hydrolyse-beständigkeit
KR20240008613A (ko) 건축물 구조 연결부재용 복합소재 조성물
KR101777446B1 (ko) 유리섬유 보강 폴리아미드 수지 조성물 및 플라스틱 성형품
DE2144687C3 (de) Verwendung von härtbaren Epoxydharzen, als Zusatz zu thermoplastischen Kunstharzmassen
KR20240008615A (ko) 구조물 연결부재용 복합소재 조성물
KR20240017658A (ko) 열교차단을 위한 건축용 부재
DE69738315T2 (de) Farbstabiles flammgeschütztes polyamidharz
KR101622882B1 (ko) 무기물이 함유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N103509343A (zh) 玻璃纤维增强聚苯硫醚/聚苯醚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20060124346A (ko) 내후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240017659A (ko) 열교차단을 위한 건축 구조물 연결부재
CN112745671A (zh) 一种良外观高模量的聚酰胺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