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8440A -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8440A
KR20240008440A KR1020220084867A KR20220084867A KR20240008440A KR 20240008440 A KR20240008440 A KR 20240008440A KR 1020220084867 A KR1020220084867 A KR 1020220084867A KR 20220084867 A KR20220084867 A KR 20220084867A KR 20240008440 A KR20240008440 A KR 20240008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on
collection plate
guide
dus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준
이예완
한방우
김용진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084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8440A/ko
Publication of KR20240008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844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51Catch- space electrodes, e.g. slotted-box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60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는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집진판, 상기 제1 집진판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집진판, 상기 제1 집진판의 배치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집진판의 일측 단부의 위치에 상향 돌출되어 상기 제1 집진판 사이의 간격을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제1 가이드부, 상기 제1 집진판의 타측 단부 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집진판의 배치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집진판의 일측 단부의 위치에 상향 돌출되어 상기 제2 집진판 사이의 간격을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제2 가이드부, 일측면은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지지되고 타측면은 상기 제1 집진판 일측 단부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복수 개의 접촉부를 포함하며, 제1 전압을 공급받는 제1 전압인가부, 일측면은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지지되고 타측면은 상기 제2 집진판 일측 단부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복수 개의 접촉부를 포함하며, 접지되거나 상기 제2 전압과 다른 제2 전압을 공급받는 제2 전압인가부, 이웃하는 제1 가이드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집진판 일측 단부의 타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집진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삽입부가 복수 개 형성된 제1 위치 고정부 및 이웃하는 제2 가이드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집진판 일측 단부의 타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2 집진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삽입부가 복수 개 형성된 제2 위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DUST COLLECTOR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
본 발명은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중 입자를 하전시켜 하전된 입자를 전기장의 힘으로 집진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집진기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하전시키는 하전장치와 하전장치 후방에 배치되어 하전된 입자를 전기장의 힘으로 집진판에 포집하는 집진장치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집진판은 고전압이 인가되는 제 1 집진판과 상기 고전압과 반대의 극성이 인가되거나 접지되는 제 2 집진판으로 나뉘며, 복수 개의 제 1 집진판과 복수 개의 제 2 전극판을 교대로 이격 배치시켜 집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종래에 상기 집진판은 금속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서스(SUS) 등의 금속판의 경우 반도체 장비와 같이 부식성 가스가 포함되는 공기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쉽게 부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집진판의 크기(면적)가 커질 경우 금속판으로 얇게 제작하는 것이 어렵고 무게가 무거워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기저 필름에 카본과 같은 전도성 물질을 코팅시킨 필름 타입의 집진판이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내부식성이 강하고 가볍고 제조단가가 낮고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어서, 전술한 금속판 타입의 집진판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하지만, 필름 타입의 집진판의 경우 집진판의 크기가 커지면 쉽게 휘거나 굴곡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집진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이웃하는 집진판 사이의 이격 간격을 수 mm 이내로 수십 내지 수백 장의 집진판을 배치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촘촘하게 배치되는 필름 타입의 집진판을 이격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2-0021065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 mm 이내로 촘촘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집진판을 이격 간격을 유지하며 하우징 내에 쉽게 고정 배치시킬 수 있는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집진판; 상기 제1 집진판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집진판; 상기 제1 집진판의 배치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집진판의 일측 단부의 위치에 상향 돌출되어 상기 제1 집진판 사이의 간격을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제1 가이드부; 상기 제1 집진판의 타측 단부 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집진판의 배치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집진판의 일측 단부의 위치에 상향 돌출되어 상기 제2 집진판 사이의 간격을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제2 가이드부; 일측면은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지지되고 타측면은 상기 제1 집진판 일측 단부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복수 개의 접촉부를 포함하며, 제1 전압을 공급받는 제1 전압인가부; 일측면은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지지되고 타측면은 상기 제2 집진판 일측 단부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복수 개의 접촉부를 포함하며, 접지되거나 상기 제2 전압과 다른 제2 전압을 공급받는 제2 전압인가부; 이웃하는 제1 가이드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집진판 일측 단부의 타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집진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삽입부가 복수 개 형성된 제1 위치 고정부; 및 이웃하는 제2 가이드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집진판 일측 단부의 타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2 집진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삽입부가 복수 개 형성된 제2 위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2 집진판의 하측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 슬릿이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2 집진판이 배치되는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공기가 유동하도록 개방된 개방구가 형성된 하측 하우징 및 상기 하측 하우징 상측에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2 집진판을 수용하고 공기가 유동하도록 개방된 개방구가 형성된 상측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압인가부와 상기 제2 전압인가부의 접촉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 위로 연장 돌출되고, 연장 돌출되는 부분은 지지되는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 내측으로 굽어져 상향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압인가부와 상기 제2 전압인가부는 복수의 접촉부를 연결하는 바 형태의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는 면 반대쪽 면 상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이웃하는 제1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는 면 반대쪽 면 상단부에는 상향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이웃하는 제2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위치 고정부의 삽입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고, 상기 삽입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 하향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이웃하는 삽입부 사이의 간격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위치 고정부의 삽입부는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고, 상기 삽입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2 가이드부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 하향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이웃하는 삽입부 사이의 간격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위치 고정부는 복수의 삽입부 상단을 연결하는 바 형태의 연결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고정부는 복수의 삽입부 상단을 연결하는 바 형태의 연결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ㄷ'자 형태의 프레임으로 절곡 중간부에는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2 집진판 중간부의 상측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 슬릿이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2 집진판이 배치되는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양단은 상기 하측 하우징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측 하우징은 격자로 상기 개방구를 형성하고, 상기 격자로 상기 간격 유지부의 상단을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격자에는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2 집진판 중간부의 상측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2 집진판은 필름에 전기 전도성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된 필름 타입의 집진판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에 따르면 수 mm 이내로 촘촘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집진판을 이격 간격으로 유지하며 하우징 내에 쉽게 고정 배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위치 고정부에 의한 1차 간격 유지, 간격 유지부에 의한 2차 간격 유지, 및 상측 하우징에 의한 3차 간격 유지 및 간격 유지부 가압을 통해 필름 타입의 집진판 사이의 간극을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의 상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의 하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집진판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의 상측 하우징의 내측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전압 인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에서 하측 하우징에 제1 집진판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7 및 도 8에서 제1 위치 고정부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의 조립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의 상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의 하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집진판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도 3의 상측 하우징의 내측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전압 인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3에서 하측 하우징에 제1 집진판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7 및 도 8에서 제1 위치 고정부가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는 제1 집진판(200a), 제2 집진판(200b), 제1 가이드부(125a), 제2 가이드부(125b), 제1 전압인가부(300a), 제2 전압인가부(300b), 제1 위치 고정부(400a) 및 제2 위치 고정부(40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 간격 유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집진판(200a)은 복수 개로 이격 배치된다. 또한, 제2 집진판(200b)은 복수 개로 이격 배치되되, 각각은 이격 배치되는 제1 집진판(200a)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집진판(200a)과 제2 집진판(200b)은 교대로 번갈아 가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격 배치되는 제1 집진판(200a)과 제2 집진판(200b) 사이의 간격은 일정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집진판(200a)에는 고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제2 집진판(200b)은 제1 집진판(200a)과 다른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거나 접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웃하는 제1 집진판(200a)과 제2 집진판(200b) 사이에는 전압차에 의해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특정 극성으로 하전된 입자는 이웃하는 두 집진판(200a, 200b)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에 의한 힘으로 이동하여 제1 집진판(200a) 또는 제2 집진판(200b)에 포집될 수 있다.
전기집진기는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하전시키는 하전장치와 하전장치 후방에 배치되어 하전된 입자를 전기장의 힘으로 집진판에 포집하는 집진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집진기 후방에 배치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집진장치 전방에는 도시되지 않은 하전장치가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판(200a, 200b)은 유연 재질의 필름에 카본과 같은 전기 전도성 물질(202)을 코팅한 필름 타입의 집진판(200a, 200b)이 사용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름 타입의 집진판(200a, 200b)은 기저 필름의 일측면에 전기 전도성 물질(202)을 코팅하고, 전기 전도성 물질(202)의 코팅면에 절연물질로 코팅을 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는, 기저필름의 양측면에 전기 전도성 물질(202)을 코팅하고, 전기 전도성 물질(202)의 코팅면에 절연물질로 코팅을 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필름 타입의 집진판(200a, 200b)의 경우 쉽게 휘어질 수 있는데, 이웃하는 집진판(200a, 200b)과 접촉하거나 이격 거리가 달라지면 집진 성능에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필름 타입의 집진판(200a, 200b)을 수 mm 이내의 좁은 간격으로 이격 배치시키더라도 이격 간격을 잘 유지시키며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판(200a, 200b)의 형태를 도시한다. 제1 집진판(200a)과 제2 집진판(200b)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하우징(100)에 고정될 때에는 각 집진판(200a, 200b)의 양측 단부는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집진판(200a, 200b)은 대체로 직사각 형태의 판상의 형태를 가지며, 일단부는 폭이 좁게 돌출되어 카본과 같은 전기 전도성 물질(202)이 외부로 노출된 전기 연결부(205)가 형성될 수 있다. 전기 연결부(205)는 후술하는 전압인가부(300a, 300b)의 접촉부(305)와 접촉하여 전압인가부(300a, 300b)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상단과 하단에는 내측으로 파여진 홈(204)이 길이 방향으로 따라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하단의 홈(205)은 하측 하우징(120)의 고정 슬릿(124)에 삽입될 수 있고, 상단의 홈(205)은 간격 유지부(500)의 고정 슬릿(510) 또는 상측 하우징(110)의 고정 슬릿(114)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집진판(200a)은 도 3 좌측의 제1 가이드부(125a), 제1 전압인가부(300a), 제1 위치 고정부(400a)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집진판(200b)은 도 3 우측의 제2 가이드부(125b), 제2 전압인가부(300b), 제2 위치 고정부(400b)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집진판(200a)과 제2 집진판(200b)의 전기 연결 구조는 위치만 반대이고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집진판(200a)의 전기 연결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가이드부(125a)는 제1 집진판(200a)의 배치 방향을 따라 제1 집진판(200a)의 일측 단부의 위치에 복수 개로 이격되어 상향 돌출되어 제1 집진판(200a) 사이의 간격을 가이드한다. 이웃하는 제1 가이드부(125a) 사이에 제1 집진판(200a)의 전기 연결부(205)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25a)는 하측 하우징(120) 내측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가이드부(125b)는 하측 하우징(120) 내측면 타측에 대칭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압인가부(300a)는 일측면은 제1 가이드부(125a)에 지지되고 타측면은 제1 집진판(200a)의 전기 연결부(205)가 접촉하는 복수 개의 접촉부(305)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305)는 각각의 제1 가이드부(125a)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전압인가부(300a, 300b)의 일 예를 도시하는데, 전기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전압인가부(300a, 300b)는 복수의 접촉부(305)를 연결하는 바 형태의 연결부(302)를 포함하여, 복수의 접촉부(305)는 연결부(302)를 통해 동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압인가부(300a)의 연결부(302)를 통해 고전압을 인가시키면 연결부(302)에 연결되는 복수의 접촉부(305)에 고전압이 인가될 수 있고, 따라서 접촉부(305)와 접촉하는 각각의 제1 집진판(200a)에 동시에 고전압을 인가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전압인가부(300b)의 연결부(302)를 접지시키면 연결부(302)에 연결되는 복수의 접촉부(305)가 접지될 수 있고, 따라서 접촉부(305)와 접촉하는 각각의 제2 집진판(200a)을 동시에 접지시킬 수 있다.
도 6의 확대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접촉부(305)는 바 형태의 연결부(302) 일측에서 상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상단부가 수평 방향으로 직교하는 형태로 절곡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접촉부(305)는 연결부(302) 상부에 위치하지 않고 연결부(302)의 일측 상부에 위치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320)는 제1 가이드부(125a) 후방 바닥에 고정되고, 연결부(302) 전방에 위치하는 제1 가이드부(125a) 일측에 상기 접촉부(305)가 지지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7의 확대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접촉부의 상단부(307)는 제1 가이드부(125a) 위로 연장 돌출되고, 연장 돌출되는 부분은 접촉부(305)가 지지되는 제1 가이드부(125a)를 향하는 내측으로 굽어져 상향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촉부(305)의 상단부가 제1 가이드부(125a)를 향하는 내측으로 굽어져 상향 연장됨에 따라서, 제1 집진판(200a)이 위에서 아래로 삽입될 때 삽입 가능 폭(a)이 넓어져 제1 집진판(200a)의 삽입을 보다 쉽게 수행할 수 있다.
제1 위치 고정부(400a)는 제1 가이드부(125a) 사이에 삽입되어 제1 집진판(200a)의 일측 단부인 전기 연결부(205)의 타측면을 가압하여 제1 집진판(200a)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삽입부(4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 고정부(400a)의 삽입부(402)는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될 수 있고, 복수의 삽입부(402) 상단을 연결하는 바 형태의 연결대(404)에 의해 복수의 삽입부(402)를 한꺼번에 삽입하여 복수의 제1 집진판(200a) 위치를 한꺼번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위치 고정부(400a)는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7 내지 도 10에서는 복수의 제1 집진판(200a) 중 어느 하나의 집진판(200a)만 하측 하우징(120)에 삽입되어 고정된 형태를 도시한다.
이때, 도 9의 확대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1 가이드부(125a)의 접촉부(305)를 지지하는 면 반대쪽 면 상단부에는 경사면(126)이 형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이웃하는 제1 가이드부(125a) 사이의 간격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집진판(200a) 및 제1 위치 고정부(400a)의 삽입부(402)가 삽입될 때 삽입 가능 폭이 넓어져 복수의 삽입부(402)를 보다 용이하게 제1 가이드부(125a) 사이에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삽입부(402)의 하단부에는 제1 가이드부(125a)의 경사면(126)이 형성되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 하향의 경사면(403)이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이웃하는 삽입부(402) 사이의 간격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위치 고정부(400a)의 삽입부(402)가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될 때 삽입부(402)의 삽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하우징(100)은 하측 하우징(120)과 상측 하우징(110)으로 분리 결합될 수 있다. 하측 하우징(120)의 내측 바닥면에는 제1 집진판(200a)과 제2 집진판(200b)이 삽입될 수 있도록 폭 방향으로 복수의 고정 슬릿(1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슬릿(124)은 집진판(200a, 200b)이 삽입되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슬릿(124)에 대응하도록 집진판(200a, 200b)의 아래에는 전술한 홈(204)이 형성될 수 있다.
하측 하우징(120)의 하측면은 격자 형태로 형성되어 격자(122)가 형성하는 개방구를 통해 하전된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가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측 하우징(110)은 하측 하우징(120) 상부에 체결되어 하측 하우징(120)의 상부를 마감한다. 따라서, 상측 하우징(110)과 하측 하우징(120)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 내에 집진판(200a, 200b)이 수용될 수 있다. 상측 하우징(110)도 격자(112)로 형성되어 격자(112)가 형성하는 개방구를 통해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가 바깥으로 유동할 수가 있다.
간격 유지부(500)는 'ㄷ'자 형태의 프레임으로 절곡되어 절곡 중간부에는 제1 집진판(200a)과 제2 집진판(200b)의 중간부 상측에 고정되는 고정 슬릿(510)이 제1 집진판(200a)과 제2 집진판(200b)이 배치되는 폭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제1 집진판(200a)과 제2 집진판(200b)의 중간부 상부에는 상기 고정 슬릿(510)에 삽입되는 홈(204)이 형성될 수 있다. 집진판(200a, 20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 유지부(500)는 복수 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간격 유지부(500)는 집진판(200a, 200b) 중간부에 삽입되어 중간부에서 집진판(200a, 200b) 사이의 이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간격 유지부(500)의 절곡된 양단부는 하측 하우징(12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위치 고정부(400a)와 제2 위치 고정부(400b)에 의해 제1 집진판(200a)과 제2 집진판(200b)의 일측 단부의 위치가 고정되어 집진판(200a, 200b) 사이의 간격이 어느 정도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간격 유지부(500)가 삽입되기 때문에 간격 유지부(500)를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측 하우징(110)은 격자(112)를 통해 개방구를 형성하여 공기가 유동하도록 하는데, 상기 격자(112) 내측면에는 제1 집진판(200a) 또는 제2 집진판(200b)의 중간부 상측 단부가 고정되는 고정 슬릿(11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위치 고정부(400a, 400b), 간격 유지부(500)의 고정 슬릿(510) 및 상측 하우징(110)의 고정 슬릿(114)을 통해 복수의 집진판(200a, 200b) 사이의 이격 거리를 유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측 하우징(110)의 격자(112) 중 고정 슬릿(114)이 형성되지 않은 격자(112)를 통해 간격 유지부(500)를 상측에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간격 유지부(500)에 의한 집진판(200a, 200b)의 간격 유지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의 조립 순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하측 하우징(120)에 제1 집진판(200a)과 제2 집진판(200b)을 교대로 고정시킨다. 즉, 하측 하우징(120) 내측면에 형성된 고정 슬릿(124)에 제1 집진판(200a) 및 제2 집진판(200b) 아래에 형성된 홈(204)을 삽입시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집진판(200a)의 전기 연결부(205)는 제1 가이드부(125a)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제2 집진판(200b)의 전기 연결부(205)는 제2 가이드부(125b)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접촉부(305)의 상단부가 제1 가이드부(125a) 및 제2 가이드부(125b)를 향하여 내측으로 굽어져 상향 연장되고, 제1 가이드부(125a) 및 제2 가이드부(125b)의 상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제1 집진판(200a) 및 제2 집진판(200b)의 삽입 가능 폭이 넓어져 용이하게 삽입시킬 수 있다.
하측 하우징(120)에 집진판(200a, 200b)을 고정시킨 이후에 제1 위치 고정부(400a) 및 제2 위치 고정부(400b)의 삽입부(402)를 각각 제1 가이드부(125a) 및 제2 가이드부(125b)에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시켜 고정시킨다. 이때, 삽입부(402)가 집진판(200a, 200b) 일측면을 가압하여 집진판(200a, 200b)의 전기 연결부(205)와 접촉부(305)를 접촉시켜 제1 전압인가부(300a)와 제1 집진판(200a) 사이와 제2 전압인가부(300b)와 제2 집진판(200b)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다음, 간격 유지부(500)의 고정 슬릿(510)을 제1 집진판(200a) 및 제2 집진판(200b)의 중간부 상측에 고정시켜 집진판(200a, 200b)의 중간부의 이격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도 11의 확대도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간격 유지부(500)의 절곡 부위 양단에 형성된 홈(502)이 하측 하우징(120)에 형성된 돌기(129)에 삽입되어 간격 유지부(500)를 하측 하우징(1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 하측 하우징(120)에 상측 하우징(110)을 고정시킨다. 이때, 상측 하우징(110)의 격자(112) 내측에 형성된 고정 슬릿(114)은 집진판(200a, 200b) 상부에 삽입되어 간격 유지부(500)와 함께 집진판의 중간부의 이격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고정 슬릿(114)이 형성되지 않은 격자(112)는 간격 유지부(500)를 가압하여 간격 유지부(500)에 의한 집진판(200a, 200b)의 고정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하우징
110: 상측 하우징
112: 격자
114: 고정 슬릿
120: 하측 하우징
122: 격자
124: 고정 슬릿
125a: 제1 가이드부
125b: 제2 가이드부
126: 경사면
129: 돌기
200a: 제1 집진판
200b: 제2 집진판
204: 홈
205: 전기 연결부
300a: 제1 전압인가부
300b: 제2 전압인가부
305: 접촉부
302: 연결부
400a: 제1 위치 고정부
400b: 제2 위치 고정부
402: 삽입부
403: 경사면
404: 연결대
500: 간격 유지부
502: 홈
510: 고정 슬릿

Claims (12)

  1.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집진판;
    상기 제1 집진판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집진판;
    상기 제1 집진판의 배치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집진판의 일측 단부의 위치에 상향 돌출되어 상기 제1 집진판 사이의 간격을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제1 가이드부;
    상기 제1 집진판의 타측 단부 쪽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집진판의 배치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집진판의 일측 단부의 위치에 상향 돌출되어 상기 제2 집진판 사이의 간격을 가이드하는 복수 개의 제2 가이드부;
    일측면은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지지되고 타측면은 상기 제1 집진판 일측 단부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복수 개의 접촉부를 포함하며, 제1 전압을 공급받는 제1 전압인가부;
    일측면은 상기 제2 가이드부에 지지되고 타측면은 상기 제2 집진판 일측 단부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복수 개의 접촉부를 포함하며, 접지되거나 상기 제2 전압과 다른 제2 전압을 공급받는 제2 전압인가부;
    이웃하는 제1 가이드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집진판 일측 단부의 타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집진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삽입부가 복수 개 형성된 제1 위치 고정부; 및
    이웃하는 제2 가이드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집진판 일측 단부의 타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제2 집진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삽입부가 복수 개 형성된 제2 위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2 집진판의 하측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 슬릿이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2 집진판이 배치되는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공기가 유동하도록 개방된 개방구가 형성된 하측 하우징 및 상기 하측 하우징 상측에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2 집진판을 수용하고 공기가 유동하도록 개방된 개방구가 형성된 상측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 내측면에 형성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인가부와 상기 제2 전압인가부의 접촉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 위로 연장 돌출되고, 연장 돌출되는 부분은 지지되는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 내측으로 굽어져 상향 연장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인가부와 상기 제2 전압인가부는 복수의 접촉부를 연결하는 바 형태의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는 면 반대쪽 면 상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이웃하는 제1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는 면 반대쪽 면 상단부에는 상향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이웃하는 제2 가이드부 사이의 간격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고정부의 삽입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고, 상기 삽입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 하향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이웃하는 삽입부 사이의 간격이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위치 고정부의 삽입부는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고, 상기 삽입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2 가이드부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면과 대향하는 면에 하향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이웃하는 삽입부 사이의 간격이 커지도록 형성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고정부는 복수의 삽입부 상단을 연결하는 바 형태의 연결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 고정부는 복수의 삽입부 상단을 연결하는 바 형태의 연결대를 더 포함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
  9. 제2 항에 있어서,
    'ㄷ'자 형태의 프레임으로 절곡 중간부에는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2 집진판 중간부의 상측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 슬릿이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2 집진판이 배치되는 폭 방향으로 형성되고 양단은 상기 하측 하우징에 체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간격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하우징은 격자로 상기 개방구를 형성하고, 상기 격자로 상기 간격 유지부의 상단을 가압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에는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2 집진판 중간부의 상측 단부가 삽입되는 고정 슬릿이 형성되는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진판과 상기 제2 집진판은 필름에 전기 전도성 물질을 코팅하여 형성된 필름 타입의 집진판인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
KR1020220084867A 2022-07-11 2022-07-11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 KR202400084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867A KR20240008440A (ko) 2022-07-11 2022-07-11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867A KR20240008440A (ko) 2022-07-11 2022-07-11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440A true KR20240008440A (ko) 2024-01-19

Family

ID=89717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867A KR20240008440A (ko) 2022-07-11 2022-07-11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844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065A (ko) 2020-08-12 2022-02-22 한국기계연구원 전기집진기가 복합된 탈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065A (ko) 2020-08-12 2022-02-22 한국기계연구원 전기집진기가 복합된 탈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5848B1 (ko) 전기집진장치
EP0558090A2 (en) Electrical dust collector
KR20110088742A (ko)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KR20200009889A (ko)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기
KR101997549B1 (ko) 집진부를 포함하는 필터링 장치
US3016980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2421908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KR20240008440A (ko) 전기집진기의 집진장치
KR101963786B1 (ko) 대전부를 포함하는 필터링 장치
KR20170053866A (ko) 전기집진장치
KR20240048598A (ko) 전기 집진기
CN107755096B (zh) 电集尘装置
JPH11207208A (ja) 空気清浄装置
KR102634227B1 (ko) 대전부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KR102572534B1 (ko) 전기집진기용 집진부
KR19980058754U (ko) 전기집진장치
KR102583485B1 (ko) 전기집진장치
KR102543274B1 (ko) 모듈형 전기 집진기
JP3616283B2 (ja) 静電式集塵装置における電極支持方法および電極支持装置
KR102190076B1 (ko) 공기청정기용 집진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43282B1 (ko) 전기 집진기의 집진 플레이트 고정 구조
US11980897B2 (en) Electrification apparatus for electric dust collection
KR20230129098A (ko) 멀티채널 하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집진기
KR20220168609A (ko) 전기 집진기
CN114729757B (zh) 空气调节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