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8379A - 스테이 및 서포터 - Google Patents

스테이 및 서포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8379A
KR20240008379A KR1020237045034A KR20237045034A KR20240008379A KR 20240008379 A KR20240008379 A KR 20240008379A KR 1020237045034 A KR1020237045034 A KR 1020237045034A KR 20237045034 A KR20237045034 A KR 20237045034A KR 20240008379 A KR20240008379 A KR 202400083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y
supporter
main body
central portion
b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5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교헤이 이카라시
가즈야 나이토
Original Assignee
니뽄 시그맥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시그맥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시그맥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08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83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일태양의 서포터는, 관절부를 덮도록 장착되는 서포터 본체와, 관절부를 보호하기 위한 스테이(50)와, 서포터 본체에 설치되고, 스테이(50)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한다. 스테이(50)는, 가요성을 가지는 편평장척형을 이루고, 길이 방향의 양 단부와 중앙부에서 휘기 쉬운 방향이 상이하다.

Description

스테이 및 서포터
본 발명은, 서포터에 장착되는 스테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무릎이나 팔꿈치 등의 관절부를 보호하는 서포터에는 일반적으로, 관절부의 사이드에 닿도록 스테이가 설치된다. 이 스테이는, 적절한 강성(剛性) 및 탄성을 가지는 장척형(長尺形)의 부재이며, 서포터에서 적절하게 위치결정됨으로써 관절부에 대한 부담을 경감한다.
이와 같은 스테이는, 서포터에 설치된 수용부에 수용되는 태양으로 장착되지만, 그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확보하기 위하여 두께가 일정한 편평 구조를 가지는 것이 많다(특허문헌1 참조). 예를 들면 무릎 서포터에서는, 한 쌍의 스테이가 각각 무릎의 내측과 외측에 위치하고, 그 평탄면이 무릎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일본공개특허 제2011-212093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스테이는, 전장(全長)에 걸쳐 판 두께를 일정하게 하면서, 길이 방향 중앙의 판의 폭을 국소적으로 작게 하고 있다. 이로써, 스테이의 중앙부의 굴곡성을 높여 무릎 관절의 굴곡 운동에 서포터의 변형을 추종시키기 쉽게 하는 한편, 중앙부 이외의 위치의 강성을 확보함으로써 무릎 관절을 좌우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관절부에 대한 부하를 경감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스테이에서는 중앙부를 제외하고 강성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서포터를 장착한 사용자가 굴신(屈伸) 등을 했을 때 스테이의 단부(端部)가 넓적다리나 장딴지의 표면을 국소적으로 압박하는 등에 의해 통증이나 위화감을 생기게 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무릎 서포터에 한정되지 않고, 팔꿈치 그 외의 서포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의 하나는, 서포터의 사용 시에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주기 어려운 스테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태양은, 서포터에 장착되어 관절부를 보호하기 위한 스테이다. 이 스테이는, 가요성을 가지는 편평장척형의 본체를 구비하고,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와 중앙부에서 휘기 쉬운 방향이 상이하다.
본 발명이 다른 태양은 서포터이다. 이 서포터는, 관절부를 덮도록 장착되는서포터 본체와, 관절부를 보호하기 위한 스테이와, 서포터 본체에 설치되고, 스테이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한다. 스테이는, 가요성을 가지는 편평장척형을 이루고, 길이 방향의 양 단부와 중앙부에서 휘기 쉬운 방향이 상이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포터의 사용 시에 사용자에게 위화감를 주기 어려운 스테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서포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서포터의 관절부로의 장착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무릎 관절로의 서포터의 장착 태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스테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스테이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심 부재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심 부재를 상세하게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스테이 전체의 구부림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스테이 전체의 구부림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스테이의 단부의 구부림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서포터에 스테이를 내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서포터는, 사용자의 관절부를 보호하기 위한 한 쌍의 스테이를 구비한다. 이 스테이는, 적절한 강성 및 탄성을 가지면서,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양 단부와 중앙부에서 휘기 쉬운 방향이 상이하다. 이로써, 관절 운동을 저해하지 않고 관절부의 유지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동시에, 서포터의 사용 시에 사용자에게 국소적인 압박감 등의 위화감를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그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서포터의 구성)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서포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A)는 정면도이며, 도 1의 (B)는 배면도이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 상, 서포터를 장착한 사용자로부터 본 방향을 기준으로 상하, 좌우, 전후 방향을 표현한다.
서포터(1)는, 사용자의 무릎 관절을 덮도록 장착되는 무릎 서포터이다. 서포터(1)는, 사용자의 한쪽 발을 삽입 가능한 통형(筒形)의 서포터 본체(10)를 가진다. 서포터 본체(10)는, 적절한 신축성을 가지는 천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포터 본체(10)의 전면(前面) 중앙에는, 무릎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12)가 설치된다. 서포터 본체(10)의 좌우측면에는, 후술하는 한 쌍의 스테이가 수용되는 수용부(1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서포터 본체(10)의 좌측면 상부로부터 제1 스트랩(16)이, 우측면 상부로부터 제2 스트랩(18)이 각각 전방을 향하여 연장하고, 벨크로에 의해 서로 탈착 가능하게 접속된다. 또한, 서포터 본체(10)의 좌측면 중앙부로부터 제3 스트랩(20)이, 우측면 중앙부로부터 제4 스트랩(22)이 각각 전방 또한 하방을 향해 연장하고, 각각 벨크로에 의해 서포터 본체(10) 앞측면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된다.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포터 본체(10)의 이면측면 중앙에는 메쉬 천(28)이 채용되어, 그 부위에 있어서의 신축성과 통기성이 높아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메쉬 천(28)으로서 더블라셀 구조가 채용되고 있지만, 그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서포터 본체(10)의 이면측면 상반부에는, 탄성 스트랩(24, 26)이 교차하도록 배설(配設)되어 있다.
탄성 스트랩(24)은, 서포터 본체(10)의 좌측면 상부와 우측면 중앙부를 건너지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탄성 스트랩(26)은, 서포터 본체(10)의 우측면 상부와 좌측면 중앙부를 건너지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굴신 시의 서포터 본체(10)의 넓어짐을 억제하고, 대퇴부의 유지 기능을 보강할 수 있다.
도 2는, 서포터(1)의 관절부로의 장착 전의 상태(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서포터 본체(10)의 전방측면은, 개구부(12)보다 하방에 있어서 좌우로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즉, 서포터 본체(10)에서의 하부 좌측 전방부(30)와 하부 우측 전방부(32)가 오버랩하고, 벨크로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하부 좌측 전방부(30)의 외측면에 벨크로의 루프면(34)이 설치되고, 하부 우측 전방부(32)의 내측면에 벨크로의 훅면(36)이 설치되어 있다.
하부 우측 전방부(32)를 하부 좌측 전방부(30)로부터 이탈시켜 서포터 본체(10)의 하부를 벌리는 것에 의해, 서포터(1)로의 발의 삽입이 용이하게 된다. 하부 우측 전방부(32)를 하부 좌측 전방부(30)에 장착함으로써, 서포터 본체(10)의 하반부가 통형으로 되는 동시에 개구부(12)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우측 전방부(32)의 외측면에도 벨크로의 루프면(38)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스트랩(16)의 외측면에 벨크로의 루프면(40)이 설치되고, 제2 스트랩(18)의 내측면에 벨크로의 훅면(42)이 설치됨으로써, 양자가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스트랩(16)과 제2 스트랩(18)을 장착함으로써, 서포터 본체(10)의 상반부를 사용자의 대퇴부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제3 스트랩(20) 및 제4 스트랩(22)은, 각각 기단측(基端側)이 두 갈래가 되어 서포터 본체(10)의 좌우측면에 접속되어 있다. 제3 스트랩(20)의 선단부 내측면에는, 하부 우측 전방부(32)의 루프면(38)에 탈착 가능한 훅면(4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4 스트랩(22)의 선단부 내측면에는, 하부 좌측 전방부(30)의 루프면(34)에 탈착 가능한 훅면(46)이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12)로부터 사용자의 무릎을 노출시키면서, 하부 우측 전방부(32)를 하부 좌측 전방부(30)에 접속한다. 그 상태에서 제3 스트랩(20)을 하부 우측 전방부(32)에 접속하고, 제4 스트랩(22)을 하부 좌측 전방부(30)에 접속함으로써, 서포터 본체(10)의 하반부를 사용자의 정강이부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3은, 무릎 관절로의 서포터의 장착 태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도면은, 사용자가 서포터를 장착한 상태에서 무릎 관절을 다소 구부린 상태를 나타낸다.
서포터(1)의 측면을 따라 수용부(14)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내부에 스테이(50)가 수용되어 있다. 수용부(14)는, 장척형의 포대로 이루어지고, 스테이(50)를 미리 수용한 상태에서 포터 본체(10)의 측면에 꿰매어져 부착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무릎 관절이 구부려지면, 이것에 추종하여 서포터(1) 나아가서는 스테이(50)도 구부림 변형한다. 한 쌍의 수용부(14)는, 서포터(1)의 정면에서 볼 때 좌우 대칭인 위치에 설치되고, 무릎 관절을 좌우로부터 지지하도록 하여 보호한다.
(스테이의 구성)
다음으로, 스테이(5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 상, 도시한 상태를 기준으로 각 구조의 위치 관계를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도 4는, 스테이(5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는 스테이(50)의 사시도이며, 도 4의 (B)는 스테이(50)를 구성하는 심 부재(56)의 사시도이다.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50)는, 가요성을 가지는 편평장척형의 본체(52)를 구비한다. 본체(52)는, 스테이 본체(54)에 심 부재(56)를 매설하여 구성된다. 스테이 본체(54)는 스테이(50)의 외형을 구성한다. 심 부재(56)는 장척형을 이루고, 스테이 본체(54)의 내부를 양 단부에 걸쳐 연장된다.
도 4의 (B)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심 부재(56)의 상면 중앙부에 돌출부(58)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58)는, 일정 폭으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스테이 본체(54)의 상면(두께 방향의 일측면)에 돌출부(58)가 노출한다. 스테이 본체(54) 및 심 부재(56)는 모두 수지로 이루어지지만, 심 부재(56)는 스테이 본체(54)보다 경질(硬質)이다. 예를 들면, 심 부재(56)의 소재로서 나일론이 채용되고, 스테이 본체(54)의 소재로서 폴리우레탄이 채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테이(50)의 제조 시에 있어서 먼저, 도시를 생략한 제1 금형을 사용한 제1 수지재의 사출 성형에 의해 심 부재(56)를 제작한다. 그리고, 심 부재(56)를 도시를 생략한 제2 금형에 세팅하여 제2 수지재를 사출하고, 스테이 본체(54)를 심 부재(56)와 일체로 형성한다. 그리고, 변형예에 있어서는, 압출성형, 형내 발포, 그 외의 성형방법에 의해 스테이(50)를 제조해도 된다. 또한, 스테이 본체(54)와 심 부재(56)를 개별적으로 제작하고, 양자을 조립하여 스테이(50)를 구성해도 된다.
도 5는, 스테이(50)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평면도, 도 5의 (B)는 측면도, 도 5의 (C)는 저면도, 도 5의 (D)는 도 5 (A)의 A-A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 본체(54)는, 길이 방향의 중심선(L)에 대하여 대칭인 구조를 가진다. 도 5의 (C) 및 (D)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 본체(54)는, 심 부재(56)의 대부분을 피복하고 있다. 스테이 본체(54)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그 양단에 R모따기가 실시되어 있다. 스테이 본체(54)는, 그 전장에 걸쳐 대략 일정한 폭을 가지지만, 양 단부의 폭이 중앙부의 폭보다 약간 크다.
도 5의 (A) 및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 본체(54)의 폭 방향의 양 측면에는, 복수의 절결부(60)가 등간격으로 배설되어 있다. 각 절결부(60)는 스테이 본체(54)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고, 평면에서 볼 때 반원형상을 이룬다. 복수의 절결부(60)는, 스테이 본체(54)의 길이 방향 중앙 주위에 위치하고, 스테이 본체(54)의 폭 방향으로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스테이 본체(54)의 폭은, 절결부(60)가 설치된 위치에 있어서도 심 부재(56)의 폭보다 충분히 크다. 바꾸어 말하면, 심 부재(56)의 길이 방향 중앙부가 작은 폭이므로, 스테이 본체(54)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절결부(60)를 형성하기 용이하게 되어 있다.
도 6은, 심 부재(56)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는 평면도, 도 6의 (B)는 측면도, 도 6의 (C)는 저면도, 도 6의 (D)는 도 6의 (A)의 A-A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6의 (A)∼(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 부재(56)는,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 양 단부에서보다 폭이 작고, 또한 두께가 큰 형상을 가진다. 심 부재(56)는, 길이 방향의 중심선(L)에 대하여 대칭인 구조를 가지고, 양단에 R모따기가 실시되어 있다. 심 부재(56)는, 길이 방향의 양 단부 측으로부터 중앙부측을 향하여 폭이 점감(漸減)하고, 또한 두께가 점증(漸增)하는 형상천이부(62)를 가진다. 심 부재(56)의 상면중앙부에 설치된 돌조(突條)가 돌출부(58)를 구성하고 있다.
도 7은, 심 부재(56)를 상세하게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심 부재(56)의 길이 방향 한쪽 절반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의 (D)에 대응한다. 도 7의 (B)는 도 7의 (A)의 B-B화살표 단면도이다. 도 7의 (C)∼(F)는, 각각 도 7의 (B)의 C-C화살표 단면도, D-D화살표 단면도, E-E화살표 단면도, F-F화살표 단면도이다.
심 부재(56)는, 길이 방향 중앙부를 제외하고, 길이 방향을 따라 단면형상이 변화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7의 (C)∼(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심 부재(56)는, 형상천이부(62)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단부 측으로부터 중앙부측을 향하여 폭이 점감하고, 또한 두께가 점증하고 있다. 스테이 본체(54)도 형상천이부(62)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 길이 방향의 단부 측으로부터 중앙부측을 향하여 폭이 점감하고, 또한 두께가 점증하고 있지만, 그 폭 및 두께의 변화의 비율은 심 부재(56)의 그것보다 작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스테이(50)는, 본체(5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가 양 단부보다 두께 방향의 구부림에 관한 단면 2차모멘트가 크고, 양 단부는 중앙부보다 폭 방향의 구부림에 관한 단면 2차모멘트가 커진다. 그 결과, 본체(5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양 단부와 중앙부에서 휘기 쉬운 방향이 상이하다.
또한, 도 7의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58)를 스테이 본체(54)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스테이(50) 전체로서는 박형을 유지하면서, 심 부재(56)를 두께 방향으로 크게 하여 구부림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스테이에 의한 작용 효과)
도 8 및 도 9는, 스테이(50) 전체의 구부림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중의 백색 화살표는, 스테이(50)에 작용시키는 구부림 하중을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50)의 양단에 두께 방향의 구부림 하중(F1)을 부여하면, 본체(52)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중앙부는 변형이 작은 것에 비해, 양 단부는 크게 변형한다. 이는, 심 부재(56)의 두께 방향의 구부림 강성에 관한 단면 2차모멘트가, 길이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크고, 양 단부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작은 것에 의한 것이다.
한편,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이(50)의 양단에 폭 방향의 구부림 하중(F1)을 부여하면, 본체(52)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크게 변형한다. 이는, 심 부재(56)의 폭 방향의 구부림 강성에 관한 단면 2차모멘트가, 길이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작은 것에 의한 것이다. 또한, 스테이(50)의 폭 방향의 양쪽측면을 따라 복수의 절결부(60)를 설치하는 것도 그 구부리기 쉬움에 기여하고 있다. 구부림 방향의 내측에 위치하는 절결부(60)가 좁아지고, 외측에 위치하는 절결부(60)가 넓어지는 것에 의해, 스테이(50)의 탄성 변형을 촉진할 수 있다. 절결부(60)는, 스테이(50)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구부리기 쉬운 「저강성부」를 실현한다.
도 10은, 스테이(50)의 단부의 구부림 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는, 본체(52)의 단부에서의 중앙 주위의 위치(절결부(60)의 근방: 2점쇄선 참조)를 고정하면서, 본체(52)의 선단 근방에 두께 방향의 하중을 부여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10의 (B)는, 동일하게 본체(52)의 단부에서의 중앙 주위의 위치를 고정하면서, 본체(52)의 선단 근방에 폭 방향으로 하중을 부여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면 중의 백색 화살표는, 스테이(50)에 작용시키는 구부림 하중을 나타낸다.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께 방향의 구부림 하중(F2)을 부여하면, 본체(52)의 단부는 크게 변형한다. 한편,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 방향의 구부림 하중(F2)을 부여하면, 그 변형은 작다. 이는, 본체(52)(즉 스테이 본체(54) 및 심 부재(56))의 단부에 있어서, 두께 방향의 구부림 강성에 관한 단면 2차모멘트가, 폭 방향의 구부림 강성에 관한 단면 2차모멘트보다 작은 것에 의한 것이다.
도 11은, 서포터(1)에 스테이(50)를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A)는 측면도이며, 도 11의 (B)는 배면도이다.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14)는, 가늘고 긴 포대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서포터 본체(10)의 측면에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걸쳐 연장하도록 꿰매져 부착되어 있다. 수용부(14)는, 상측 수용부(70), 하측 수용부(72), 및 이들을 연결하는 접속부(74)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도면은 서포터(1)의 좌측면이 나타나 있지만, 서포터(1)의 우측면에도 동일한 구성이 설치된다(도 3 참조).
서포터 본체(10)의 상부에 상측 수용부(70), 하부에 하측 수용부(72), 중앙부에 접속부(74)가 배설되어 있다. 접속부(74)가 대략 개구부(12)의 높이 위치에 있고, 상측 수용부(70)가 개구부(12)보다 위쪽, 하측 수용부(72)가 개구부(12)보다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테이(50)의 상부가 상측 수용부(70)에, 하부가 하측 수용부(72)에, 중앙부가 접속부(74)에 각각 수용된다. 접속부(74)는, 상측 수용부(70) 및 하측 수용부(72)보다 유연성이 높은 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면 중의 굵은 파선은, 서포터 본체(10)에 대한 수용부(14)의 솔기(ST)를 나타내고 있다. 상측 수용부(70) 및 하측 수용부(72)는, 그 전방 에지 및 후방 에지의 양쪽이 서포터 본체(10)에 꿰매어져 부착되어 있다. 한편, 접속부(74)는, 그 전방 에지가 서포터 본체(10)에 꿰매어져 부착되어 있지만, 후방 에지는 꿰매어져 부착되어 있지 않다. 즉, 접속부(74)는, 관절부가 구부려질 때 볼록형으로 변형하는 측이 서포터 본체(10)에 고정되고, 관절부가 구부려질 때 오목형으로 변형하는 측은 서포터 본체(10)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도 1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부(74)와 서포터 본체(10) 사이에는, 후방에 개구하는 간극(S)이 설치된다. 즉, 접속부(74)의 유연성을 높이는 동시에, 접속부(74)를 서포터 본체(10)로부터 뜨게 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로써, 서포터 본체(10)에 장착된 스테이(50)의 구속(拘束)을 완화하여 전후 방향으로 구부리기 용이하여, 관절부의 구부림 운동을 저해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58)가 서포터(1)의 외측을 향한, 즉 스테이(50)에서의 서포터 본체(10)와는 반대측면에 위치하도록 수용부(14)에 배치된다. 이로써, 스테이(50)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면이 관절부를 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수용부(14)에 스테이(50)를 수용한 상태에서 포터 본체(10)에 꿰매어 부착하고 있다. 이로써, 서포터(1)의 사용 시에 스테이(50)가 탈락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수용부(14)에 슬릿 등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스테이(50)를 출입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테이(50)는, 길이 방향의 양 단부와 중앙부에서 휘기 쉬운 방향이 상이하다. 이에 따라, 서포터(1)에 부가할 기능에 대하여, 스테이(50)의 구부림 특성을 유연하게 대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테이(50)는 편평장척형을 이루는 바, 그 중앙부는 두께 방향의 구부림에 관한 단면 2차모멘트가 크고, 양 단부는 폭 방향의 구부림에 관한 단면 2차모멘트가 크다. 이에 따라, 스테이(50)의 평탄면을 사용자의 관절부 및 그 근방을 따르게 할 때, 중앙부에서 관절부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한편, 양 단부는 사용자의 자세에 맞추어서 유연하게 변형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테이(50)를 장착함으로써 서포터(1)에 의한 관절부의 유지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동시에, 서포터(1)의 사용 시에 사용자에 국소적인 압박감을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스테이(50)를 무릎 서포터에 적용함으로써, 무릎을 구부리기 위한 유연성과 무릎 관절을 비켜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강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 본체(54) 및 심 부재(56)는 모두 탄성을 가지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바, 상대적으로 부드러운 스테이 본체(5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하드한 심 부재(56)를 매설함으로써 스테이(50)를 구성하고 있다. 이로써, 스테이(50)의 구부림 강성에 관하여, 스테이 본체(54)보다 심 부재(56)의 기여율을 높게 하고 있다. 그리고, 스테이(50)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있어서 심 부재(56)의 폭을 작게 하고, 또한 두께를 크게함으로써, 관절부를 지지하는 방향의 강성을 높게 하는 한편, 관절부의 구부림 운동을 저해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관절부의 굴곡 운동을 방해하지 않고, 관절부의 측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50)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있어서 스테이 본체(54) 및 심 부재(56)의 두께를 작게 하고, 또한 폭을 크게 함으로써, 스테이(50)가 두께 방향으로 휘기 쉽고, 폭 방향으로 휘기 어렵도록 했다. 이로써, 스테이(50)가 관절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사용자의 자세를 따르기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서포터(1) 내에서 전후의 위치 어긋남이 생기지 않을 정도로 스테이(50)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스테이(50)의 외측 프레임을 구성하는 스테이 본체(54)에 부드러운 소재를 사용 하였으므로,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촉감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심 부재(56)에 형상천이부(62)를 설치하고 그 폭 및 두께의 변화를 완만하게 하는 것에 의해, 구부림 하중이 작용했을 때의 국소적인 응력 집중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스테이(50)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직사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편평장척형의 스테이(50)의 일례를 나타내었으나, 그 형상이나 길이 등, 구체적 구조에 대하여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스테이의 단면형상을 마름모꼴, 타원형상, 그 외의 형상으로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절결부(60)를 형성하였으나, 그 형상이나 개수, 배치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절결부(60)를 생략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테이(50)의 일측면에 돌출부(58)를 돌출시키는 구성을 예시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스테이의 일측면 및 반대측면의 양쪽에 돌출부를 설치해도 된다. 이로써, 스테이 본체의 두께를 작게함으로써, 심 부재의 구부림 강성을 유지하면서, 스테이 전체로서 보다 박형을 실현할 수 있다. 혹은, 스테이 전체의 박형을 유지하면서, 심 부재를 두께 방향으로 크게 하여 구부림 강성을 보다높일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58)를 돌조로서 구성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심 부재의 상면을 따라 축선방향에 단속적인 돌출부(복수의 돌출부)를 설치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부(74)의 구성으로서, 유연성이 높은 천, 및 서포터 본체(10)로부터 부분적으로 뜨게 하는 것의 양쪽을 채용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이들 중 어느 한쪽을 채용해도 된다. 접속부를 협지하여 상측 수용부와 하측 수용부로 나누지 않고, 단일 천를 서포터 본체(10)에 꿰매어 부착하는 것에 의해 수용부의 전체를 형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서포터 본체(10)의 측면에 밴드형의 천을 꿰매어 부착하여 수용부를 형성하고, 그 수용부의 내측에 스테이(50)를 수용해도 된다. 혹은, 장척 백형의 천을 수용부로 하여 서포터 본체(10)의 측면에 꿰매어 부착하고, 그 수용부의 내측에 스테이(50)를 수용해도 된다. 미리 백형의 수용부에 스테이(50)를 수용한 것을 서포터 본체(10)에 꿰매어 부착해도 된다. 그 밴드형 또는 백형의 천으로서, 서포터 본체(10)보다 유연성이 높은 천를 채용해도 된다. 그러한 구성이라도, 스테이(50)를 구부리기 쉽게 하는 점에서 일정한 효과가 얻어진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테이(50)를 스테이 본체(54) 및 심 부재(56)로 구성하고, 양자를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했다. 또한, 심 부재(56)에 스테이 본체(54)보다 경질의 소재를 채용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심 부재(56)의 재질을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금속으로 해도 된다. 혹은, 스테이를 단일 수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고, 그 본체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양 단부와 중앙부에서 휘기 쉬운 방향이 상이하게 되어도 된다. 그러한 경우에도, 본체의 중앙부에 있어서 양 단부에서 보다 폭이 작고, 또한 두께가 큰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테이 본체(54) 및 심 부재(56)의 양쪽이(50)의 축선방향으로 단면을 변화시키는 구성을 예시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심 부재만 축선방향으로 단면형상을 변화시켜도 된다. 스테이 본체보다 심 부재 측이 축선방향의 단면형상의 변화가 커지도록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테이 본체(54)의 양 측면에 복수의 절결부(60)를 등간격으로 배설하는 구성을 예시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절결부의 간격을 적절하게 상이하게 해도 된다. 스테이 본체의 중앙 주위에 가까울수록 간격을 작게 하고, 중앙으로부터 이격될수록 간격을 넓게 해도 된다. 복수의 절결부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스테이의 폭 방향의 구부림 성능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서포터(1)의 정면에 대하여 좌우 대칭인 위치에 한 쌍의 수용부(14)를 설치하고, 그 양쪽에 동일한 형상의 스테이(50)를 수용하는 구성을 예시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서포터의 좌우가 비대칭인 위치에 수용부를 설치하고, 각각 스테이를 수용해도 된다. 또한, 무릎 관절의 내측에 배치되는 스테이와,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에서 서로의 형상(외측형상이나 단면형상)을 상이하게 해도 된다.
혹은, 서포터의 좌우의 한쪽에만 수용부를 설치하고, 스테이를 수용해도 된다. 그러한 경우에, 무릎 관절의 외측에 위치하는 서포터의 부위에 수용부를 설치해도 된다. 반대로, 무릎 관절의 내측에 위치하는 서포터의 부위에 수용부를 설치해도 된다. 혹은, 서포터의 좌우의 양쪽에 수용부를 설치해 두고, 어느 한쪽에 스테이를 수용해도 된다. 그러한 경우에, 수용부는 스테이를 출입 가능한 구성으로 하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서포터(1)의 일태양을 나타내었으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적절하게 변형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 와는 상이한 스트랩의 형상, 배치, 개수 등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서포터로서, 스트랩을 가지지 않는 단순한 통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무릎을 노출시키는 개구부의 아래쪽이 분리하지 않는(개폐하지 않는) 구조로 해도 된다. 무릎을 노출시키는 개구부 자체를 가지고 있지 않는 구조로 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무릎 관절을 보호하는 서포터를 예시했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팔꿈치, 그 외의 관절부를 보호하는 서포터로서 구성하고, 동일한 구성 및 특성을 가지는 스테이를 적용해도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나 변형예로 한정되지 않고,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의해 구성 요소를 변형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나 변형예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를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발명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나 변형예에 나타내는 전체 구성 요소로부터 몇 개의 구성 요소를 삭제해도 된다.

Claims (11)

  1. 서포터에 장착되어 관절부를 보호하기 위한 스테이(stay)로서,
    가요성을 가지는 편평장척형(扁平長尺形)의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端部)와 중앙부에서 휘기 쉬운 방향이 상이한, 스테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는 상기 양 단부보다 두께 방향의 구부림에 관한 단면 2차모멘트가 크고,
    상기 양 단부는 상기 중앙부보다 폭 방향의 구부림에 관한 단면 2차모멘트가 큰, 스테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형을 구성하는 스테이 본체와,
    상기 스테이 본체보다 경질(硬質)이며, 상기 스테이 본체의 내부를 상기 양 단부에 걸쳐 연장되는 심(芯) 부재를 포함하는, 스테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 본체는, 상기 심 부재를 피복하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테이.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심 부재는, 상기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양 단부에서보다 폭이 작고, 또한 두께가 큰 단면형상을 가지는, 스테이.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 부재는, 상기 양 단부 측으로부터 상기 중앙부 측을 향하여 폭이 점감(漸減)하고, 또한 두께가 점증(漸增)하는 형상천이부를 가지는, 스테이.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 부재는, 상기 중앙부의 두께 방향의 일측면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지는, 스테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중앙부에서의 폭 방향의 양쪽 측면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설(配設)된 절결부를 가지는, 스테이.
  9. 관절부를 덮도록 장착되는 서포터 본체;
    상기 관절부를 보호하기 위한 스테이; 및
    상기 서포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를 수용하는 수용부;
    를 구비하고,
    상기 스테이는, 가요성을 가지는 편평장척형을 이루고, 길이 방향의 양 단부와 중앙부에서 휘기 쉬운 방향이 상이한, 서포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스테이의 상기 중앙부를 수용하는 부분이, 상기 양 단부를 수용하는 부분보다 유연성이 높은 천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서포터.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의 상기 중앙부를 수용하는 부분은,
    상기 관절부가 구부려질 때 볼록형으로 변형하는 측이 상기 서포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관절부가 구부려질 때 오목형으로 변형하는 측은 상기 서포터 본체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서포터.
KR1020237045034A 2021-08-03 2022-03-02 스테이 및 서포터 KR202400083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27515 2021-08-03
JP2021127515A JP7195658B1 (ja) 2021-08-03 2021-08-03 ステーおよびサポータ
PCT/JP2022/008711 WO2023013120A1 (ja) 2021-08-03 2022-03-02 ステーおよびサポー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8379A true KR20240008379A (ko) 2024-01-18

Family

ID=8460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5034A KR20240008379A (ko) 2021-08-03 2022-03-02 스테이 및 서포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195658B1 (ko)
KR (1) KR20240008379A (ko)
WO (1) WO202301312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2093A (ja) 2010-03-31 2011-10-27 Taketora:Kk 関節サポータおよび関節サポータ用ステ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6324A (ja) * 1996-04-10 1997-10-28 Arukea Kk 膝サポーター用ステー
JP4212370B2 (ja) * 2003-01-28 2009-01-21 日本シグマックス株式会社 関節サポーター用支柱
JP2011087816A (ja) * 2009-10-23 2011-05-06 Medical Link:Kk 膝装具
EP3496673B1 (en) * 2016-08-09 2020-12-30 Össur Iceland EHF Orthopedic device
EP3960131B1 (en) * 2017-08-09 2023-09-20 Össur Iceland EHF Hinge for orthopedic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12093A (ja) 2010-03-31 2011-10-27 Taketora:Kk 関節サポータおよび関節サポータ用ステ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95658B1 (ja) 2022-12-26
JP2023022575A (ja) 2023-02-15
WO2023013120A1 (ja)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7250A (en) Contoured wrist support
US4130115A (en) Brace hinge
US4366813A (en) Knee brace
US6446272B1 (en) Buckle assembly for adjusting straps for headgear
US20090261644A1 (en) Chair
US11786390B2 (en) Hinge for orthopedic device
CN104754983B (zh) 支承件
JP5822268B2 (ja) 膝装具
EP0608354A1 (en) ADJUSTABLE KNEE SUPPORT.
US5711036A (en) Goggles having vertical band insertion holes
JP2020020052A (ja) アシストスーツ
KR20240008379A (ko) 스테이 및 서포터
JP3134256U (ja) サポータ
JP7365057B2 (ja) 姿勢矯正サポーター
KR101852603B1 (ko) 허리 보호용 밸트
US20060248625A1 (en) Adjustable padding system
US8657768B1 (en) Cervical collar having flexible chin support
KR200438717Y1 (ko) 허리보호대용 지지판
KR20070001787A (ko) 충격 흡수 버클
JP2012233287A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CN218773384U (zh) 矫形固定护腰带
US20240074885A1 (en) Orthosis
KR200470291Y1 (ko) 웨이스트 니퍼
JP3240958U (ja) ヒップシート
JP7229606B1 (ja) 膝サポ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