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834A - 엠보구조를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엠보구조를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834A
KR20240007834A KR1020220084198A KR20220084198A KR20240007834A KR 20240007834 A KR20240007834 A KR 20240007834A KR 1020220084198 A KR1020220084198 A KR 1020220084198A KR 20220084198 A KR20220084198 A KR 20220084198A KR 20240007834 A KR20240007834 A KR 20240007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embossed
manufacturing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민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주)세경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경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세경하이테크
Priority to KR1020220084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7834A/ko
Publication of KR20240007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834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6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53/00Adhesive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6Vapour de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32B2037/268Releas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32B2309/105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코레이션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엠보구조를 포함하여 기포, 얼룩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용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엠보구조를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Decoration film for smartphone including embossment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본 발명은 데코레이션 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엠보구조를 포함하여 기포, 얼룩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용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글라스를 이용하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글라스를 통해 구현해 낼 수 있는 다양한 외관 미감 형성 등의 효과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글라스의 장식필름(이를 '데코 필름'이라 지칭하기도 함)에 관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글라스 장식필름을 이용하면, 전자기기의 외관을 통해 금속 질감 또는 입체감 등을 부여할 수 있는데, 비교적 저렴한 비용과 간소한 공정을 통해 생산성과 품질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최근 스마트폰 또는 각종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자인은 전면 윈도우는 단순하게 단일의 컬러(예: 블랙 등)로 하고, 백커버(back cover) 디자인을 다양한 컬러와 다양한 입체 패턴 등으로 변화를 주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백 커버에 차별화를 주기 위한 다양한 데코레이션 구현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제조되는 데코레이션 필름은, 패턴 등을 형성하는 전면 코팅층과 이를 보호하는 보호비닐(PET)을 포함하여 백커버에 적용되는데, 전면 코팅층에는 다양한 디자인 요소, 예컨대, 패턴, 색상, 무늬, 질감 등이 표현된다. 이때, 상기 보호 비닐에 대하여 습기나 온도 등의 외부 환경 요소에 의한 기포, 얼룩 등과 같은 오염이 쉽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234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엠보 구조를 포함하는 PET 라이너층을 제조함으로써, 습기가 엠보 모양 사이로 통과하도록 하여 기포, 얼룩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용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이형지, 점착층 및 엠보 PET 라이너지가 순차적으로 합지된 보호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이형지의 일면 상에 엠보(embo)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형지에 형성된 엠보 패턴 위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도포된 점착제 위에 PET 필름을 위치시키고, 가압하여 상기 엠보 패턴을 본뜨는 단계; 및 엠보 패턴이 형성된 상기 엠보 PET 라이너지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이형지의 두께는 40 내지 60 ㎛ 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엠보 PET 라이너지의 두께는, 36 내지 40 ㎛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7 내지 15 ㎛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엠보 PET 라이너지의 전면에 형성된 데코 필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코 필름층은, PCPMMA(Polycarbonate Polymethyl methacrylate)층; 상기 PCPMMA 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칼라 반사층; 상기 칼라 반사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UV 패턴층; 상기 UV 패턴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증착층; 및 상기 증착층 하부에 위치하는 실크 인쇄층;을 포함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데코 필름층; 및 상기 데코 필름층의 배면에 위치하는 보호필름층;을 구비하되, 상기 보호필름층은, 이형지; 상기 이형지 상에 위치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상에 위치하는 엠보 PET 라이너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코 필름층은, PCPMMA(Polycarbonate Polymethyl methacrylate)층; 상기 PCPMMA 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칼라 반사층; 상기 칼라 반사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UV 패턴층; 상기 UV 패턴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증착층; 및 상기 증착층 하부에 위치하는 실크 인쇄층;을 포함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엠보 구조를 포함하는 PET 라이너층을 제조함으로써, 습기가 엠보 모양 사이로 통과하도록 하여 기포, 얼룩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용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PET 라이너층은 엠보 구조를 포함하되, 단층 또는 2층으로도 확장이 가능할 수 있고, 전면에 형성되는 코팅층, 코팅 방식에 대한 제약 없이 우수한 내오염성을 발휘할 수 있어서, 보다 다양한 디자인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 분야의 기술 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의 보호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엠보 구조를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작한 실제 사진들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비교예 1 및 실시예에 대한 실험예의 결과를 나타낸 사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의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측면은, 이형지, 점착층 및 엠보 PET 라이너지가 순차적으로 합지된 보호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이형지의 일면 상에 엠보(embo) 패턴을 새기는 단계; 상기 이형지의 엠보 패턴 위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도포된 점착제 위에 PET 필름을 위치시키고, 가압하여 상기 엠보 패턴을 본뜨는 단계; 및 엠보 패턴이 형성된 상기 엠보 PET 라이너지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레이션 필름의 보호필름의 구조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호필름(1)은 데코 필름층의 배면에 형성되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데코 필름층의 인쇄층 등을 보호하고, 데코레이션 필름의 내구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보호필름(1)은, 이형지(10), 점착층(20) 및 엠보 PET 라이너지(30)가 순차적으로 합지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이형지(10)는 사용 시 제거되고, 노출된 점착층(20)이 백커버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1)은 엠보(Embo) 구조가 형성된 기재인 엠보 PET 라이너층(30)을 포함함으로써, 습기가 엠보 모양 사이로 통과하도록 하여 기포, 얼룩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1)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이형지(10)가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이형지(10)는 추후 박리되는 필름 형태의 부재이자, 점착층(20)을 형성하기 위한 바탕이 되는 층으로서, 재료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형지(10)의 일면 상에 엠보 패턴(embo pattern)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엠보 패턴이란 표면에 올록볼록한 모양의 요철들이 복수개로 넓게 형성된, 즉, 엠보싱(embossing)된 형상을 통칭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이때, 요철의 높이와 형상에 대하여는 크게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형지(10) 상에 엠보 패턴의 형상을 직접 새겨 넣고, 이를 PET 기재층(30)에 복사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추후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상기 이형지(10)에 엠보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은, 예를 들어, 패턴이 새겨진 롤 형태의 금형을 롤링하거나, 엠보 형상의 메쉬 시트를 압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먼저, 상기 이형지(10), 구체적으로, PET 필름의 일면 상에 PE 레진을 도포할 수 있다. 이때, 온도는 320℃가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 PE 레진의 도포되는 두께는 상기 PET 필름 두께의 50 내지 80% 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상기 PE 레진 상에 엠보 형상의 메쉬 시트를 위치시키고, 300 내지 320℃에서 압착한 후 냉각함으로써, 엠보 패턴이 형성된 이형지(10)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형지의 물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엠보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느 방법이든 가능하다.
상기 이형지(10)의 두께는 40 내지 60 ㎛, 일례로, 50 ㎛ 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두께를 가지면, 상기 엠보 패턴의 형성이 가장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엠보 패턴의 두께는, 상기 이형지(10)의 전체 두께 대비 50 내지 90%, 구체적으로, 70 내지 90% 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이형지(10)에 형성된 엠보 패턴 위에 점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의 도포 방법은 공지된 기술에 따를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추후 점착층(20)을 형성하며, 상기 점착층(20)은 상기 이형지(10)가 박리된 다음에 백커버의 전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형지(10)가 먼저 제거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접착 강도를 가지기 위하여, 상기 점착제는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점착제의 접착 강도는, 예를 들어, 1 내지 2 kgf/cm 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점착층(20)에는 상기 이형지(10)에 형성된 엠보 패턴이 그대로 복사되어 추후 PET 라이너지(30)에도 엠보 패턴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점착층(20)의 두께는, 7 내지 15 ㎛, 구체적으로, 12 내지 13㎛ 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착층(20)의 두께가 7㎛ 미만인 경우 점착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두께가 15 ㎛ 을 초과할 경우, 불필요하게 두께가 증가하여 추후, PET 라이너지(30)에 대한 엠보 패턴의 형성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점착제를 도포한 다음에는 건조 및 숙성을 추가로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건조는, 115 내지 125℃, 일례로, 120℃에서, 1.5 내지 2.5min, 일례로, 2 min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숙성은, 상기 건조가 완료된 후에, 55 내지 65℃, 일례로, 55℃에서, 24 내지 48 시간 동안 정치시키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포된 점착제 위에 PET 필름을 위치시키고, 가압하여 엠보 패턴이 형성된 엠보 PET 라이너지(30)를 제조할 수 있다. 이로써, 이형지(10), 점착층(20) 및 엠보 PET 라이너지(3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보호필름(1)을 제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형지(10)에 새긴 엠보 패턴이 도포된 점착제로 그대로 복사되고, 복사된 엠보 패턴을 상기 PET 필름의 일면 상에 본뜨는 방법으로, 상기 엠보 PET 라이너지(3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압은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0 내지 320℃의 온도 조건에서 압착할 수 있으며, 압착 후에는 냉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엠보 PET 라이너지(30)는, 상기 보호필름(1)의 베이스 필름으로써, 저면에 점착층(20)을 구비하여, 상기 백커버의 전면 상에 부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엠보 PET 라이너지(30)의 두께는, 36 내지 40 ㎛, 일례로, 38 ㎛ 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엠보 PET 라이너지(30)는 올록볼록한 요철 구조인 엠보 패턴을 구비하여, 외부 온도와 습도에 노출되었을 때, 습기가 엠보 모양의 공간 사이로 통과하도록 하여 기포, 얼룩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엠보 PET 라이너지(30)는, 상기 이형지(10)에 엠보 패턴을 먼저 새긴 다음, 점착제를 도포하고, PET 필름을 위치시켜 가압하는 단순한 공정을 통하여 형성됨으로써, 기존 대비 공정의 단순화를 이루면서도, 보다 얇은 두께로의 엠보 PET 라이너지(30)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나아가, 데코 필름층의 인쇄층, 코팅층 등에 대한 코팅 방식, 코팅액 등의 다양한 조건에도 전혀 제약을 받지 않고 엠보 PET 라이너지의 용이한 형성이 가능하며, 엠보 패턴의 형상에 대하여도 얼마든지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엠보 PET 라이너지(30)는 단일층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2층 이상의 복수의 층으로 적층된 구조를 형성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엠보 PET 라이너지(30)는 엠보 패턴이 형성되지 않는 클리어 타입의 PET 필름 또는 실리콘층과, 순서에 관계없이 적층된 적층구조를 형성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데코 필름층은, 베이스 필름층, UV 패턴층, 인쇄층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코 필름층의 구조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스마트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사용되는 글라스에 적용 가능한 필름 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을 따를 수 있다.
일례로써, 상기 데코 필름층은, 베이스 필름층인 PCPMMA(Polycarbonate Polymethyl methacrylate)층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층의 배면에 위치하는 칼라 반사층, 상기 칼라 반사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UV 패턴층, 상기 UV 패턴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증착층 및 상기 증착층 하부에 위치하는 실크 인쇄층을 포함하는 구조를 나타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데코 필름층은, 상기 베이스 필름층의 전면에 형성되는 장식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장식층은, 예컨대, 패턴, 색상, 문양, 질감, 양각, 음각의 표현 등의 디자인 요소를 나타낼 수 있는 디자인층일 수 있다. 상기 장식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는, 형성되는 디자인 요소의 특성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기술을 얼마든지 설계 변경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데코 필름층의 배면 상에 위치하는 상기 보호필름(1)을 형성하여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1)의 상기 이형지(10)는 제거하여, 상기 점착층(20)에 의해 상기 엠보 PET 라이너지(30)를 백커버의 전면 상에 합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합지의 방법은 공지의 기술을 따를 수 있으며, 예컨대, 롤투롤(roll-to-roll) 합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합지는, 70 내지 90℃, 일례로, 80℃에서 0.8 m/min 내지 1.2 m /min, 일례로, 1m /min의 속도로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엠보 구조를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작한 실제 사진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선명한 엠보 구조를 구비하고 초박막형으로 형성된 보호필름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엠보 구조를 포함하는 엠보 PET 라이너지를 제조함으로써, 습기가 엠보 모양 사이로 통과하도록 하여 기포, 얼룩 등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폰용 데코레이션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PET 라이너층은 엠보 구조를 포함하되, 단층 또는 2층으로도 확장이 가능할 수 있고, 전면에 형성되는 코팅층, 코팅 방식에 대한 제약 없이 우수한 내오염성을 발휘할 수 있어서, 보다 다양한 디자인 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 분야의 기술 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 내오염성 평가 >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엠보 PET 라이너지를 포함하는 보호필름에 대하여, 내오염성을 평가하였다. 정확한 비교를 위하여 종래의 클리어 타입(엠보 구조가 형성되지 않은)의 보호필름 3종을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으로 실험군을 설정하여 함께 비교하였다.
실시예 : PET 이형지(50㎛) / 아크릴계 점착층(15㎛) / 엠보 PET 라이너지(38㎛)
비교예 1 : PET 이형지(50㎛) / 아크릴계 점착층(15㎛) / PET 라이너지(38㎛)
비교예 2(D 사) : PET 이형지(50㎛) / 아크릴계 점착층(20㎛) / PET 라이너지(38㎛) / 정전기 방지용 필름
비교예 3(C 사) : PET 이형지(50㎛) / 아크릴계 점착층(20㎛) / PET 라이너지(50㎛) / 정전기 방지용 필름
평가방법으로는, 고온고습 72hr 가습, 열충격 가습 및 상온 10일으로 3가지 타입의 조건을 각각 실험군에게 부여하고, 기포나 얼룩이 생기는 등의 오염 정도를 육안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3 및 4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 및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는 고온고습 72hr 가습, 열충격 가습 및 상온 10일의 모든 환경에서도, 기포나 얼룩 등이 발생되지 않아 우수한 내오염성을 발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들의 경우, 기포나 얼룩이 발생하는 등의 오염이 발견되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엠보 구조가 형성된 PET 라이너지를 구비하여 엠보 모양 사이로 습기가 빠져나감으로써, 우수한 내오염성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이형지
20 : 점착층
30: 엠보 PET 라이너지
1: 보호필름

Claims (8)

  1. 이형지, 점착층 및 엠보 PET 라이너지가 순차적으로 합지된 보호필름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이형지의 일면 상에 엠보(embo)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이형지에 형성된 엠보 패턴 위에 점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도포된 점착제 위에 PET 필름을 위치시키고, 가압하여 상기 엠보 패턴을 본뜨는 단계; 및
    엠보 패턴이 형성된 상기 엠보 PET 라이너지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지의 두께는 40 내지 60 ㎛ 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 PET 라이너지의 두께는, 36 내지 40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7 내지 1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 PET 라이너지의 전면에 형성된 데코 필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데코 필름층은,
    PCPMMA(Polycarbonate Polymethyl methacrylate)층;
    상기 PCPMMA 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칼라 반사층;
    상기 칼라 반사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UV 패턴층;
    상기 UV 패턴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증착층; 및
    상기 증착층 하부에 위치하는 실크 인쇄층;을 포함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방법.
  7. 데코 필름층; 및
    상기 데코 필름층의 배면에 위치하는 보호필름층;을 구비하되,
    상기 보호필름층은,
    이형지;
    상기 이형지 상에 위치하는 점착층; 및
    상기 점착층 상에 위치하는 엠보 PET 라이너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데코 필름층은,
    PCPMMA(Polycarbonate Polymethyl methacrylate)층;
    상기 PCPMMA 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칼라 반사층;
    상기 칼라 반사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UV 패턴층;
    상기 UV 패턴층의 하부에 위치하는 증착층; 및
    상기 증착층 하부에 위치하는 실크 인쇄층;을 포함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KR1020220084198A 2022-07-08 2022-07-08 엠보구조를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078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198A KR20240007834A (ko) 2022-07-08 2022-07-08 엠보구조를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198A KR20240007834A (ko) 2022-07-08 2022-07-08 엠보구조를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834A true KR20240007834A (ko) 2024-01-17

Family

ID=89713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198A KR20240007834A (ko) 2022-07-08 2022-07-08 엠보구조를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783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344B1 (ko) 2015-07-29 2017-01-04 (주)세경하이테크 보호필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344B1 (ko) 2015-07-29 2017-01-04 (주)세경하이테크 보호필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82948B1 (en) Curved casing formed from thermoplastic resin and film having a polarizing effect,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casing
KR102028718B1 (ko) 합지 공정을 이용한 멀티 색상 구현 장식필름 제조방법
CN205705588U (zh) 具有纹路装饰的非平面钢化玻璃
CN111314509A (zh) 一种玻璃后盖的制作方法、玻璃后盖及移动终端
KR102025788B1 (ko) 멀티 톤 컬러 구현이 가능한 데코필름 제조 방법 및 그 데코필름
KR20180064024A (ko) 그라데이션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07834A (ko) 엠보구조를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712193B (zh) 模内装饰方法
US9989919B2 (en) Method for forming a hydraulic transfer film, hydraulic transfer film, and patterned article
KR20180129039A (ko) 글라스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172814B1 (ko) 인몰드용 홀로그램 전사필름
KR20180059152A (ko) 그라데이션 장식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0256212B1 (ko) 장식용 유리패널 제조방법
KR101294397B1 (ko) 엠보 유지가 우수한 장식 시트 제조 방법
JP5615567B2 (ja) 装飾用薄物
KR101222067B1 (ko) 입체장식효과를 가지는 인서트 성형용 장식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69676A (ko) 홀로그램 난반사 효과를 가지는 바닥재 및 이 바닥재의 제조방법
CN113573526A (zh) 壳体的制备方法、壳体及电子设备
KR102602491B1 (ko) 3d 홀로그램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
KR101849667B1 (ko) 글라스 장식부재 형성방법 및 그 형성구조
KR102117321B1 (ko) 코팅 공정을 이용한 멀티 색상 구현 장식필름 제조방법
KR101936885B1 (ko) 열전사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 방법 및 그 열전사 데코레이션 필름
KR101873020B1 (ko) 지문센서 장식 형성방법 및 지문센서 장식 형성구조
KR20240007384A (ko) 진공성형 방식을 이용한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방법
KR102537486B1 (ko) 패브릭 원단을 포함하는 데코레이션 필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