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531A - 손 소독장치 - Google Patents

손 소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531A
KR20240007531A KR1020220084582A KR20220084582A KR20240007531A KR 20240007531 A KR20240007531 A KR 20240007531A KR 1020220084582 A KR1020220084582 A KR 1020220084582A KR 20220084582 A KR20220084582 A KR 20220084582A KR 20240007531 A KR20240007531 A KR 20240007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infectant
main body
spray nozzle
control unit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민
이권각
Original Assignee
비디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디씨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디씨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4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7531A/ko
Publication of KR20240007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5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8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0088Liquid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89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9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an atomising fluid, e.g. a gas, being supplied to the discharge device a liquid being supplied from a pressurized or compressible container to the discharg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7Combination with washing or clean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손 소독장치를 제시하며, 제어부가 마련되고, 전원공급부재가 구비되는 소독기본체; 상기 소독기본체에 설치되어 손 소독을 위한 소독액 및 압축공기 중 적어도 하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소독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소독기본체에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하면서 인체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제공하는 감지유닛; 상기 감지유닛의 감지신호에 의해 작동하면서 서로 다른 색상의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유닛; 상기 소독액을 소정의 용량으로 수용하면서 상기 소독기본체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소독액카트리지; 상기 소독기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소독액카트리지와 상기 분사노즐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소독액카트리지의 소독액을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소독액밸브; 상기 소독기본체에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생성 및 저장하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유닛; 및 상기 소독기본체에 설치된 구성품들을 커버하면서 상기 조명유닛의 조명을 투과시키는 본체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손 소독장치{HAND PURIFIERING APPARATUS}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손 소독장치에 관한 것으로, 손에 소독액을 자동으로 분사하여 소독할 수 있는 손 소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은 일상생활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신체 기관 중 하나로 각종 물건을 잡거나 접촉하고 있으며, 성인이 1분간 약 30여개의 물건과 접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사람의 손은 미생물(Microbe, Bacteria, Fungi, Rickettsia, Protozoas 등)을 부지불식간에 전파시키는 가장 큰 인위적 수단에 해당하며, 질병의 원인이 되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들이 전염되는 매개체가 되고 있다.
즉, 전염성 질병의 발생 경로를 살펴 보면, 일상생활에서 손이 다양한 물건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오염된 후, 오염된 손으로 코, 눈, 입 등을 만지면서 감염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전체 감염질환의 60%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손에 대한 청결을 유지 및 관리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메르스, 코로나 등과 같은 전염성 질병의 유행으로 인하여 손 소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직장이나 학교, 단체급식소, 병원 등과 같은 다중이용시설에 출입하는 사람들의 손을 소독 및 세정할 수 있는 손 소독장치가 개발되어 다중이용시설의 입구에 설치되고 있다.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104065호에 개시된 손 소독기가 있다. 선행기술은 케이스의 외부에 설치된 펌프의 누름버튼을 누를 경우 노즐에서 소독액이 배출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사용자에 의해 버튼이 눌리는 접촉식으로 작동하는 구성이므로 버튼을 접촉하는 과정에서 감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은 소독액만을 분사하는 구성이므로 소독액에 의해 손이 젖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손에 작동버튼을 접촉하지 않고도 소독액을 비접촉식으로 분사하여 손을 소독할 수 있는 손 소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소독액 뿐만 아니라 압축공기를 제공함으로써 압축공기에 의한 손의 이물질제거 및 건조와, 소독액에 의한 소독을 수행할 수 있는 손 소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소독액을 카트리지 방식으로 교체할 수 있으며, 특히 소독액카트리지의 교환 시 본체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면서 카트리지트레이가 인출될 수 있는 손 소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손 소독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가 마련되고, 전원공급부재가 구비되는 소독기본체; 상기 소독기본체에 설치되어 손 소독을 위한 소독액 및 압축공기 중 적어도 하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소독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소독기본체에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하면서 인체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제공하는 감지유닛; 상기 감지유닛의 감지신호에 의해 작동하면서 서로 다른 색상의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유닛; 상기 소독액을 소정의 용량으로 수용하면서 상기 소독기본체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소독액카트리지; 상기 소독기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소독액카트리지와 상기 분사노즐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소독액카트리지의 소독액을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소독액밸브; 상기 소독기본체에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생성 및 저장하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유닛; 및 상기 소독기본체에 설치된 구성품들을 커버하면서 상기 조명유닛의 조명을 투과시키는 본체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독장치는, 상기 소독기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소독액카트리지의 장착부위를 제공하며, 외력에 의한 수평이동을 통해 상기 소독기본체의 외곽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소독액카트리지의 교체를 허용하는 카트리지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독장치는, 상기 소독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에어공급유닛의 압축공기를 기반으로 상기 본체커버를 이동시켜 상기 카트리지트레이를 노출시키면서 상기 카트리지트레이를 상기 소독기본체의 외곽으로 인출시키는 트레이슬라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슬라이더는, 상기 소독기본체에 설치된 상태로 로드가 상기 본체커버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공급되는 상기 에어공급유닛의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로드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상기 본체커버를 상승시키는 공압실린더; 및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본체커버 및 상기 카트리지트레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본체커버의 상승 시 상기 카트리지트레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소독기본체의 외곽으로 인출시키는 트레이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소독기본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소독기본체에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웰컴센서; 및 상기 분사노즐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분사노즐에 접근하는 손의 온도를 감지하는 노즐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유닛은, 상기 소독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면서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펌프; 상기 압축펌프에서 압축된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공기탱크; 및 상기 공기탱크와 상기 분사노즐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공기탱크의 압축공기를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에어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유닛에 의해 인체의 온도가 감지될 경우, 상기 에어공급유닛과 상기 소독액밸브를 교대로 작동시키면서 압축공기와 소독액을 교대로 분사노즐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유닛에 의해 인체의 온도가 감지될 경우, 상기 에어공급유닛과 상기 소독액밸브를 교대로 작동시키면서 압축공기를 먼저 분사노즐로 공급한 후 소독액을 분사노즐로 공급하고, 다시 압축공기를 분사노즐로 공급할 수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유닛의 감지신호에 의해 소독액이 비접촉식으로 분사되므로 손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손 소독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분사노즐로 소독액뿐만 아니라 압축공기가 교대로 분사되므로 소독액에 의한 소독 전에 압축공기를 통해 손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소독액에 의한 소독 후에는 압축공기를 통해 손을 건조시킬 수 있는 손 소독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소독액이 카트리지에 수용된 상태로 카트리지트레이에 장착되므로 소독액의 교체가 용이하며, 특히 트레이슬라이더에 의해 본체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면서 카트리지트레이가 소독기본체의 외곽으로 인출되므로 소독액카트리지를 더욱 용이하게 장착 또는 교체할 수 있는 손 소독장치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조명유닛이 인체의 접근이나 온도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조명을 제공하므로 이상 여부를 조명 색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본체커버가 소독기본체의 구성품들을 커버하면서 조명유닛의 조명을 투과시키므로 실내를 장식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에에 따른 손 소독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장치의 카트리지트레이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장치의 외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장치의 카트리지트레이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장치(10)는 손의 소독을 위한 소독액을 비접촉식으로 분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손 소독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탁자에 놓여 사용되는 데스크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놓여 사용되는 플로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손 소독장치(10)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스탠드(110)의 길이 및 형태에 따라 데스크형 및 플로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독기본체(100), 분사노즐(200), 감지유닛(300), 조명유닛(400), 소독액카트리지(500), 소독액밸브(600), 에어공급유닛(700) 및 본체커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독기본체(100)는 손 소독장치(10)의 외형을 이루면서 후술되는 구성품들의 설치부위를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스탠드(110) 및 승강구조물(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로 제작되면서 탁자의 바닥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제작되면서 플로어의 바닥면을 지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스탠드(110)는 미도시된 전원공급부재가 내장되어 후술되는 구성품들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구성품들로 전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각종 스위치부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스탠드(110)는 텔레스코픽 구조로 제작되어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길이 조절을 통해 데스크형 및 플로어형 겸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구조물(120)은 스탠드(110)의 상단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후술되는 구성품들의 설치부위를 제공하면서 후술되는 소독액카트리지(500)의 교체 시 상승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승강구조물(120)은 트레이슬라이더(900)를 구성하는 공압실린더(910)를 매개로 스탠드(110)에 연결되어 공압실린더(910)의 작동을 통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할 수 있으며, 본체커버(150)를 포함한 구성품들의 설치부위를 제공함으로써 소독액카트리지(500)의 교체 시 본체커버(150)와 함께 상승하면서 소독액카트리지(500)를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소독기본체(100)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50)는 제어프로그램이 내장된 프로세서와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어 후술되는 구성요소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200)은 손 소독을 위한 소독액과 압축공기 중 적어도 하나를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분사노즐(200)은 소독기본체(100)를 구성하는 승강구조물(120)에 설치된 상태로 후술되는 소독액밸브(600)에 연결호스(미도시)로 연결되어 소독액밸브(600)의 작동을 통해 소독액카트리지(500)에 수용된 소독액을 분사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에어공급유닛(700)을 구성하는 에어밸브(730)에 연결호스(미도시)로 연결되어 에어밸브(730)의 작동을 통해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여기서, 분사노즐(200)은 복수를 이루면서 소독기본체(100)에 설치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면서 소독액 및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분사노즐(200)은 사용자의 양손을 동시에 소독하거나, 복수의 사용자의 손을 동시에 소독할 수 있다.
상기 감지유닛(300)은 소독기본체(100)에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하면서 인체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50)로 감지신호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감지유닛(300)은 인체의 접근과, 분사노즐(200)의 하부로 접근하는 손을 감지함으로써 소독액 또는 압축공기의 분사를 위한 감지신호를 제공하고, 손의 온도를 감지하여 체온의 이상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감지신호를 제어부(50)로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감지유닛(30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컴센서(310) 및 노즐센서(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웰컴센서(310)는 소독기본체(100)에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웰컴센서(310)는 소독기본체(10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적외선이나 초음파를 조사하면서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여 제어부(50)로 감지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웰컴센서(310)에서 감지신호가 인가될 경우, 조명유닛(400)을 제어하여 소정 색상의 조명을 발광시킬 수 있으며, 소독을 안내하는 청각적 메시지 또는 시각적 메시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노즐센서(320)는 분사노즐(200)에 접근하는 인체, 즉 손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인가하면서 손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50)로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노즐센서(320)는 분사노즐(200)에 각각 설치되어 적외선이나 초음파를 조사하면서 손을 감지하면서 손의 체온을 원격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감지신호를 제어부(50)로 인가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노즐센서(310)에서 감지신호가 인가될 경우, 소독액밸브(600) 및 에어밸브(730)를 작동시키면서 소독액이나 압축공기를 분사노즐(2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는 노즐센서(310)에서 인가되는 손의 체온에 따라 조명유닛(400)을 제어하여 소정 색상의 조명을 발광시킬 수 있으며, 체온의 이상유무를 안내하는 청각적 메시지 또는 시작적 메시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조명유닛(400)은 소독기본체(100)에 설치된 상태로 감지유닛(300)의 감지신호에 의한 제어부(50)의 제어를 통해 작동하면서 서로 다른 색상의 조명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조명유닛(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네오픽셀 LED로 구성되어 소독기본체(100)에 설치되면서 미도시된 전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감지유닛(300)의 감지신호가 인가될 경우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조명을 발광할 수 있다.
즉, 조명유닛(400)은 웰컴센서(310) 및 노즐센서(320)의 감지신호가 인가될 경우와 노즐센서(320)에서 손의 체온이 감지되었을 경우에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조명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본체커버(150)는 소독기본체(100)에 설치된 구성품들을 커버하면서 조명유닛(400)의 조명을 투과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본체커버(150)는 반투명재질로 형성되면서 타원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소독기본체(100)의 승강구조물(120)에 고정되면서 소독기본체(100)의 승강구조물(120)의 외곽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소독액카트리지(500)는 소독액을 소정의 용량으로 수용하면서 소독기본체(100)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소독액카트리지(500)는 소독기본체(100)를 구성하는 스탠드(110)의 상단면에 직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카트리지트레이(800)를 매개로 스탠드(110)의 상단면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소독액밸브(600)는 소독액카트리지(500)와 분사노즐(200)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제어부(50)의 제어를 통해 소독액카트리지(500)의 소독액을 분사노즐(200)로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소독액밸브(600)는 제어부(50)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독액카트리지(500)로 연장되는 소독액니들(610)을 통해 소독액을 유입하여 분사노즐(20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에어공급유닛(700)은 소독기본체(100)에 설치된 상태로 압축공기를 생성 및 저장하면서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분사노즐(200)로 압축공기를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에어공급유닛(7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펌프(710), 공기탱크(720) 및 에어밸브(7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펌프(710)는 소독기본체(100)를 구성하는 승강구조물(120)에 설치된 상태로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면서 공기를 압축하여 압축공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압축펌프(710)는 통상의 컴프레서로 구성되어 제어부(50)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공기탱크(720)는 승강구조물(120)에 설치된 상태로 압축펌프(710)에 연결되어 압축펌프(710)에서 압축된 압축공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에어밸브(730)는 공기탱크(720)와 분사노즐(200)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면서 제어부(50)의 제어를 통해 공기탱크(720)의 압축공기를 분사노즐(200)로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에어밸브(730)는 제어부(50)에 의해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솔레노이드밸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공기탱크(720)와 분사노즐(200)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면서 압축공기를 분사노즐(20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밸브(730)는 압축공기를 분사노즐로 분사시킴으로써 압축공기를 통해 손의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손을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밸브(7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성되어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압축공기를 분사노즐(200)로 직접 공급하거나 소독액밸브(600)로도 공급함으로써 소독액의 분사를 위한 공기의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50)는 감지유닛(300)을 구성하는 노즐센서(320)에 의해 손의 접근 또는 손의 온도가 감지될 경우, 에어밸브(730)와 소독액밸브(600)를 교대로 작동시키면서 압축공기와 소독액을 교대로 분사노즐(200)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는 노즐센서(320)의 감지신호가 인가될 경우, 에어밸브(730)를 먼저 작동시켜 압축공기를 분사노즐(200)로 공급함으로써 손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소독액밸브(600)를 작동시켜 소독액을 분사노즐(200)로 공급함으로써 손을 소독할 수 있으며, 이후 다시 에어밸브(730)를 작동시켜 압축공기를 분사노즐(200)로 공급함으로써 손을 건조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50)는 에어밸브(730)와 소독액밸브(600)를 교대로 작동시키면서 손의 이물질제거와 소독 및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장치(1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트레이(800) 및 트레이슬라이더(9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카트리지트레이(800)는 전술한 소독액카트리지(500)의 장착부위를 제공하면서 소독액카트리지(500)의 교체 시 제어부(50)의 제어를 통한 외력에 의해 소독기본체(100)의 외곽으로 인출됨으로써 소독액카트리지(500)의 교체를 허용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카트리지트레이(800)는 소독기본체(100)를 구성하는 스탠드(110)의 상면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소독액카트리지(500)의 안착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카트리지트레이(800)는 스탠드(110)의 상면에 구비되는 가이드판(810)에 후술되는 트레이링크(920)를 매개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카트리지트레이(800)는 소독액카트리지(500)의 교체 시, 후술되는 트레이슬라이더(900)의 작동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소독기본체(100)의 외곽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슬라이더(900)는 소독액카트리지(500)의 교체 시, 제어부(50)에 의해 작동하면서 전술한 본체커버(150)를 이동시켜 카트리지트레이(800)를 노출시킬 수 있으며, 본체커버(15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카트리지트레이(80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소독기본체(100)의 외곽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슬라이더(900)는 공압실린더(910) 및 트레이링크(9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압실린더(910)는 소독기본체(100)에 설치된 상태로 본체커버(150)에 연결되어 에어공급유닛(700)의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하면서 본체커버(150)를 상승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공압실린더(910)는 압축공기의 공급에 의해 로드(911)의 길이가 신축하는 구성이며, 소독기본체(100)를 구성하는 스탠드(110)의 상면에 설치된 상태로 로드(911)를 통해 승강구조물(120)에 결합되면서 에어공급유닛(700)을 구성하는 에어밸브(7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공압실린더(910)는 제어부(50)의 제어를 통해 에어밸브(730)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911)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승강구조물(120)과 함께 본체커버(150)를 상승시킴으로써 카트리지트레이(800)를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트레이링크(920)는 공압실린더(910)의 작동에 의한 본체커버(150)의 상승과정에서 카트리지트레이(800)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카트리지트레이(800)를 소독기본체(100)의 외곽으로 인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트레이링크(920)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일단부가 승강구조물(120)에 결합되면서 본체커버(150)에 연결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의 양단부 중 타단부가 카트리지트레이(800)에 결합되어 승강구조물(120)의 상승 시 카트리지트레이(800)를 수평방향으로 견인하여 소독기본체(100)의 외곽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링크(920)는 일단부가 고정단을 이루면서 승강구조물(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타단부가 자유단을 이루면서 가이드판(810)을 통해 트레이링크(9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공압실린더(910)의 작동 시 카트리지트레이(800)를 견인하여 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카트리지트레이(800)와 가이드판(810)에는 각각 장공형태를 이루는 링크레일(850)이 형성되어 트레이링크(920)의 결합부위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트레이링크(920)는 공압실린더(910)에 의한 승강구조물(120)의 상승 시 링크레일(850)을 따라 이동하면서 카트리지트레이(800)를 견인하여 소독기본체(100)의 외곽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장치(10)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한다.
웰컴센서(310)는 소독기본체(100)로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하고, 제어부(50)는 웰컴센서(310)의 감지신호를 통해 조명유닛(400)을 제어하여 소정의 색상의 조명을 발광시킬 수 있다.
노즐센서(320)는 분사노즐(200)로 접근하는 손의 감지하면서 손의 온도를 감지하고, 제어부(50)는 노즐센서(320)의 감지신호를 통해 에어밸브(730) 및 소독액밸브(600)를 작동시키면서 압축공기 및 소독액을 분사노즐(200)로 분사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는 노즐센서(320)의 감지신호가 인가될 경우, 에어밸브(730)와 소독액밸브(600)를 교대로 작동시키면서 손의 이물질제거, 손 소독 및 손 건조를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노즐센서(320)의 감지신호가 인가될 경우, 에어밸브(730)를 작동시켜 압축공기의 분사를 통해 손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소독액밸브(600)를 작동시켜 소독액의 분사를 통해 손을 소독한 후, 에어밸브(730)를 작동시켜 압축공기의 분사를 통해 손을 건조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50)는 노즐센서(320)에 의해 감지된 손의 온도에 따라 조명유닛(400)을 제어하여 서로 다른 색상의 조명을 발광시킬 수 있다.
소독액카트리지(500)를 교체할 경우, 제어부(50)는 에어밸브(730)를 제어하여 압축공기를 공압실린더(910)로 공급할 수 있으며, 공압실린더(910)는 압축공기의 공급에 의해 로드(911)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승강구조물(120)을 본체커버(150)와 함께 상승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트레이(800)는 본체커버(150)와 함께 상승하는 트레이링크(920)에 의해 견인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소독기본체(100)의 외곽으로 인출됨으로써 소독액카트리지(500)의 교체를 허용할 수 있다.
소독액카트리지(500)의 교체가 완료되면, 제어부(50)는 에어밸브(730)를 제어하여 공압실린더(910)의 로드(911)를 하강시킴으로써 카트리지트레이(800)와 본체커버(150)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소독장치(10)는 분사노즐(200)로 소독액뿐만 아니라 압축공기가 교대로 분사되므로 소독액에 의한 소독 전에 압축공기를 통해 손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소독액에 의한 소독 후에는 압축공기를 통해 손을 건조시킬 수 있으며, 트레이슬라이더(900)에 의해 본체커버(150)가 자동으로 개방되면서 카트리지트레이(800)가 소독기본체의 외곽으로 인출되므로 소독액카트리지(500)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손 소독장치
50 : 제어부
100 : 소독기본체
110 : 스탠드 120 : 승강구조물
150 : 본체커버
200 : 분사노즐
300 : 감지유닛
310 : 웰컴센서 320 : 노즐센서
400 : 조명유닛
500 : 소독액카트리지
600 : 소독액밸브
610 : 소독액니들
700 : 에어공급유닛
710 : 압축펌프 720 : 공기탱크
730 : 에어밸브
800 : 카트리지트레이
810 : 가이드판 850 : 링크레일
900 : 트레이슬라이더
910 : 공압실린더 911 : 로드
920 : 트레이링크

Claims (8)

  1. 제어부가 마련되고, 전원공급부재가 구비되는 소독기본체;
    상기 소독기본체에 설치되어 손 소독을 위한 소독액 및 압축공기 중 적어도 하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상기 소독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소독기본체에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하면서 인체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제공하는 감지유닛;
    상기 감지유닛의 감지신호에 의해 작동하면서 서로 다른 색상의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유닛;
    상기 소독액을 소정의 용량으로 수용하면서 상기 소독기본체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소독액카트리지;
    상기 소독기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소독액카트리지와 상기 분사노즐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소독액카트리지의 소독액을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소독액밸브;
    상기 소독기본체에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생성 및 저장하면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분사노즐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유닛; 및
    상기 소독기본체에 설치된 구성품들을 커버하면서 상기 조명유닛의 조명을 투과시키는 본체커버를 포함하는, 손 소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장치는,
    상기 소독기본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소독액카트리지의 장착부위를 제공하며, 외력에 의한 수평이동을 통해 상기 소독기본체의 외곽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소독액카트리지의 교체를 허용하는 카트리지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손 소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장치는,
    상기 소독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하며, 상기 에어공급유닛의 압축공기를 기반으로 상기 본체커버를 이동시켜 상기 카트리지트레이를 노출시키면서 상기 카트리지트레이를 상기 소독기본체의 외곽으로 인출시키는 트레이슬라이더를 더 포함하는, 손 소독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슬라이더는,
    상기 소독기본체에 설치된 상태로 로드가 상기 본체커버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공급되는 상기 에어공급유닛의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로드의 길이가 늘어나면서 상기 본체커버를 상승시키는 공압실린더; 및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본체커버 및 상기 카트리지트레이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본체커버의 상승 시 상기 카트리지트레이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소독기본체의 외곽으로 인출시키는 트레이링크를 포함하는, 손 소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소독기본체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소독기본체에 접근하는 인체를 감지하는 웰컴센서; 및
    상기 분사노즐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분사노즐에 접근하는 손의 온도를 감지하는 노즐센서를 포함하는, 손 소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유닛은,
    상기 소독기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면서 공기를 압축하는 압축펌프;
    상기 압축펌프에서 압축된 압축공기를 저장하는 공기탱크; 및
    상기 공기탱크와 상기 분사노즐을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공기탱크의 압축공기를 상기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에어밸브를 포함하는, 손 소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유닛에 의해 인체의 온도가 감지될 경우, 상기 에어공급유닛과 상기 소독액밸브를 교대로 작동시키면서 압축공기와 소독액을 교대로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손 소독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유닛에 의해 인체의 온도가 감지될 경우, 상기 에어공급유닛과 상기 소독액밸브를 교대로 작동시키면서 압축공기를 먼저 분사노즐로 공급한 후 소독액을 분사노즐로 공급하고, 다시 압축공기를 분사노즐로 공급하는, 손 소독장치.
KR1020220084582A 2022-07-08 2022-07-08 손 소독장치 KR202400075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582A KR20240007531A (ko) 2022-07-08 2022-07-08 손 소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582A KR20240007531A (ko) 2022-07-08 2022-07-08 손 소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531A true KR20240007531A (ko) 2024-01-16

Family

ID=89719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582A KR20240007531A (ko) 2022-07-08 2022-07-08 손 소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75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0282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ытья рук
KR101237458B1 (ko) 공간살균 및 방향을 위한 자동분사장치
CN105999530A (zh) 便携脚踏式全身消毒装置
CN105463763B (zh) 对洗衣料盒进行杀菌的装置及方法
KR102192179B1 (ko) 다중 분사구가 형성되는 출입자용 소독장치
KR20120029758A (ko) 살균소독고
CN111714660B (zh) 一种医疗普外科手术器械消毒存放设备
CN107913454A (zh) 一种用于卫生防疫人员的消毒装置
KR20240007531A (ko) 손 소독장치
KR102292937B1 (ko) 복수 개의 노즐을 통해 소독액을 균일하게 분사하는 출입 게이트형 소독장치
US20130071300A1 (en) Bills-only sterilizer
KR102310087B1 (ko) 게이트형 소독 살균장치
KR200407560Y1 (ko) 흡기구를 갖춘 자외선 살균기구
CN213407702U (zh) 一种带有消毒功能的娃娃机
KR102432145B1 (ko) 조립식 복합 방역 게이트
KR102513797B1 (ko) 무동력 살균 의자
CN208973786U (zh) 单独消毒的可封盖鞋底清洗机
KR101649027B1 (ko) 모기살충기
CN105727332A (zh) 野外手推式个体用消毒包
KR102563987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신발장 문용 스마트 미러를 이용한 살균 조명 시스템
KR101181525B1 (ko) 좌변기
KR200367735Y1 (ko) 자외선 살균 진공청소기
KR102631776B1 (ko) 실내 인테리어에 사용되는 소독용 클리너장치
CN211724129U (zh) 一种口罩杀菌消臭收纳盒
JP2005230252A (ja) 手の洗浄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