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515A - IoT 장치의 관리 및 제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IoT 장치의 관리 및 제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515A
KR20240007515A KR1020220084531A KR20220084531A KR20240007515A KR 20240007515 A KR20240007515 A KR 20240007515A KR 1020220084531 A KR1020220084531 A KR 1020220084531A KR 20220084531 A KR20220084531 A KR 20220084531A KR 20240007515 A KR20240007515 A KR 20240007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tate
connection
information
io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건희
양기영
장유정
정명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4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7515A/ko
Publication of KR20240007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5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04L43/065Generation of reports related to network de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40Maintenance of th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연결 에러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에러 관리 장치에 의한, IoT 장치들의 네트워크 연결 에러 관리 및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연결 에러의 발생 알림을 IoT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서 생성된 로그(log) 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요청하는 로그 데이터 보고 요청을 상기 IoT 장치에게 송신하는 동작, 상기 로그 데이터를 포함하는 로그 데이터 보고(report)를 상기 IoT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상기 로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는 연결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제1 상태, 연결이 비정상 상태이므로 발생한 에러임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콜드 부팅(cold booting)으로 인한 로그 유실로 인하여 발생한 에러임을 나타내는 제3 상태 중 하나의 상태일 수 있다.

Description

IoT 장치의 관리 및 제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LECTRONIC DEVICE FOR MANAGEMENT AND CONTROL OF Io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IoT(internet of things) 장치의 관리 및 제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능을 겸비한 사물들 간의 지능형 통신 인프라, 즉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이 상용화됨에 따라,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스마트폰, 노트북 등과 같은 모바일 장치 뿐 아니라, TV, 에어컨, 공기 청정기, 청소기, 냉장고, 오븐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기 어려운 장치도 IoT 기술을 지원하고 있다.
IoT 장치들은 네트워크 서버에 연결될 수 있으며, IoT 장치들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이를 처리하여 자동으로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집 밖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집 안에 있는 TV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IoT 장치들은 ZigBee, Z-Wave, BT(Bluetooth)/BLE(Bluetooth Low Energy), WiFi,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예: LTE, 5G)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IoT 장치들의 오작동을 감지하는 기술 및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술, 블록 체인 등을 이용하여 IoT 장치들 간의 연결을 암호화하는 방법 등 IoT 기반의 여러 응용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IoT 장치는 IoT 장치가 네트워크에 연결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여러가지 이유로 IoT 장치에서 네트워크 연결 에러(error)가 발생할 수 있으며 원활한 IoT 환경 구현을 위하여 이러한 연결 에러를 확인하고, 원인을 식별할 필요가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IoT 장치에서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에러 상황 및 에러 원인을 확인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연결 에러가 네트워크가 아닌 IoT 장치로 인하여 발생하는 경우, 그 원인을 확인하고 수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IoT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에러와 관련하여 신속하게 문제 상황을 식별하고, 대응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에러 관리 장치에 의한, IoT 장치들의 네트워크 연결 에러 관리 및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연결 에러의 발생 알림을 IoT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서 생성된 로그(log) 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요청하는 로그 데이터 보고 요청을 상기 IoT 장치에게 송신하는 동작, 상기 로그 데이터를 포함하는 로그 데이터 보고(report)를 상기 IoT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상기 로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는 연결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제1 상태, 연결이 비정상 상태이므로 발생한 에러임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콜드 부팅(cold booting)으로 인한 로그 유실로 인하여 발생한 에러임을 나타내는 제3 상태 중 하나의 상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에러(error) 관리 장치는, 통신부, 메모리,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IoT 장치로부터, 상기 IoT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 에러의 발생 알림을 수신하고, 상기 IoT 장치에게,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서 생성된 로그(log) 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요청하는 로그 데이터 보고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IoT 장치로부터, 상기 로그 데이터를 포함하는 로그 데이터 보고(report)를 수신하고, 상기 로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는 연결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제1 상태, 연결이 비정상 상태이므로 발생한 에러임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콜드 부팅(cold booting)으로 인한 로그 유실로 인하여 발생한 에러임을 나타내는 제3 상태 중 하나의 상태일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IoT 장치와 같은 전자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에러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IoT 장치와 같은 전자 장치의 부팅 상황에서 발생하는 로그 유실로 인하여 발생하는 네트워크의 연결 에러를 효과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실시함에 따른 의도하지 아니한 효과들 역시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환경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에러 관리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에러 관리를 위한 IoT 환경에서의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에러 관리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6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에러 관리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 및 관련된 설명에서는, 잘 알려진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이 명확성과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환경의 예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IoT 환경(100)은 IoT 장치(102), AP(access point)(104), IoT 네트워크 서버(106), IoT 제어 장치(108) 및 연결 에러(error) 관리 장치(10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장치(102)는 IoT 네트워크 서버(106)을 통해 인접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예: 블루투스)을 사용하여 인접하여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미도시)와 페어링(pairing)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장치(102)는 IoT 제어 장치(108)로부터 원격 제어될 수 있다. IoT 제어 장치(108)는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장치(102)는 IoT 네트워크 서버(106)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장치(102)는 AP(104)를 통하여 IoT 네트워크 서버(106)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IoT 장치(102)가 IoT 네트워크 서버(106)와 연결되기 위하여,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3G, 4G, LTE(long term evolution), LTE-A, 5G, NR(new radio), 근거리 통신(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WiFi) 등의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장치(102)는 IoT 네트워크 서버(106)와 연결을 관리하기 위하여, 연결 에러 관리 장치(101)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IoT 장치(102)는 AP(104)를 통하여 연결 에러 관리 장치(101)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장치(102)는 디스플레이 장치(예: TV), 냉장고, 에어컨, 공기 청정기, 청소기, 냉장고, 오븐, 시계 및 안경 등의 웨어러블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oT 장치(102)는 상술한 내용에 제한없이 컴퓨팅 및 통신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IoT 장치(102)는 IoT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제어 장치(108)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제어 장치(108)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예: 스마트 워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 탑 컴퓨터,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등의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IoT 네트워크 서버(106)는 IoT 플랫폼을 지원하기 위하여 원거리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전자 장치들과 상호 연결되는 서버, 클라우드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IoT 네트워크 서버는 사물 인터넷 플랫폼을 지원하는 서버 또는 장치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AP(104)는 Wireless LAN에서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여,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104)는 IoT 장치(102)가 연결되어 있는 무선 LAN과 IoT 네트워크 서버(106)를 연결하는 브릿지(bridge)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104)는 IoT 장치(102)와 연결 에러 관리 장치(101)를 연결하는 브릿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에러 관리 장치(101)는 IoT 장치(102)와 IoT 네트워크 서버(106) 사이의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에러 관리 장치(101)는 IoT 장치(102)와 IoT 네트워크 서버(106) 사이의 연결에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에러 발생 현황을 수집할 수 있다. 연결 에러 관리 장치(101)는 IoT 장치(102)로부터 에러와 관련한 데이터를 수신하여, 에러의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연결 에러 관리 장치(101)에 관한 설명은 이하 도 3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의 전자 장치는 도 1의 IoT 장치(102)에 상응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220)는 전자 장치(200)가 사용하는 저장 매체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221) 또는 설정 정보 등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및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220)는 네트워크 연결(예: IoT 네트워크 서버(106) 사이의 연결)과 관련한 로그(log)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2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 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입력부(230)는 튜너(미도시),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통신부(250)를 통해 영상 및 영상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영상 입력부(230)는 상기 튜너 및 상기 입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너는 유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 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전자 장치(2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방송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비디오, 오디오 및 부가 데이터(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튜너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방송 소스로부터 실시간 방송 채널(또는, 실시간 시청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튜너는 전자 장치(200)와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전자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별도 튜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입출력부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전자 장치(200)의 외부 장치로부터 영상 및 영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입력 포트, 컴포넌트 입력 잭(Jack), PC 입력 포트 및 USB 입력 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상기 입출력부가 추가, 삭제 및/또는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40)는 숫자, 문자, 이미지, 및/또는 그래픽의 형태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출력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모듈은,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LPD(Light emitting Polymer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FLED(Flexible LE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프로세서(21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출력부', '표시부'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250)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유선 이더넷(Ethernet), 무선랜 통신부 및 근거리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랜 통신부는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를 포함할 수 있고, 미국 전기전자학회(IEEE)의 무선랜 규격(IEEE802.11x)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무선랜 통신부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무선으로 AP(Access Point)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부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의해 외부 장치와 무선으로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장치는 영상 등을 제공하는 서버 장치 및 모바일 단말(예: 폰, 태블릿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221)를 실행함으로써,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MCU(Micro Controller Unit), 센서 허브, 보조 프로세서(Supplementary Processor),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0)는 IoT 네트워크 서버(106)와 연결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IoT 네트워크 서버(106)와 연결이 끊어짐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IoT 네트워크 서버(106)와 연결이 유지되고 있음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0)는 IoT 네트워크 서버(106)로부터 연결 유지 알림(예: Keep alive)을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수신한 연결 유지 알림에 기초하여, IoT 네트워크 서버(106)와의 연결 상태 유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200)와 IoT 네트워크 서버(106)의 연결 방식(예: 무선(wireless), 유선(wired))에 기반하여, 연결 유지 알림의 식별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0)와 IoT 네트워크 서버(106)의 연결 방식이 유선인 경우, 연결 유지 알림의 식별 주기를 제1 주기로 설정할 수 있고, 전자 장치(200)와 IoT 네트워크 서버(106)의 연결 방식이 무선인 경우, 연결 유지 알림의 식별 주기를 상기 제1 주기와 다른 제2 주기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0)는 IoT 네트워크 서버(106) 사이의 네트워크 연결에 대한 연결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상태 정보는 네트워크 상태(network status) 정보, AP 정보, 전자 장치의 기기 정보(예: 펌웨어 정보, 식별 정보), 연결 유지 알림 정보, 연결 유지 알림 식별 주기에 관련된 정보, 네트워크 등록 정보(sign up)(예: 전자 장치가 최초에 서버에 등록하는 경우, 등록에 관한 정보), 네트워크 로그인 정보(sign in)(예: 전자 장치가 서버에 연결되는 경우, 인증(authentication)과 관련한 정보), 네트워크 등록 및 로그인 결과에 관한 정보, 전자 장치가 IoT를 통하여 깨어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IOTWAKEUP_SUPPORT), 전자 장치가 깨어난 시간에 관한 정보(WAKEUP_TIME), 전자 장치를 깨운 제어 장치에 관한 정보(WAKEUP_REASON), 전자 장치가 깨어난 경우 타이머 상태와 관련한 정보(WAKEUP_TIMER_STATUS), 전자 장치가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중간 모듈에 관한 정보(예: SES_THING_RESULT, SES_THINGS_STATUS, SES_DIAGNOSTICS_LOG), 로그 수집에 대한 주기와 이벤트 정보(예: QLOG_KEEPER_STATUS & LOST_QLOG_EVENTS, CONNECTION_CONTROLLER_STATUS & PERIODIC_LOG_STATU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전자 장치(200)와 IoT 네트워크 서버(106)의 연결에 끊김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에러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연결 에러 관리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에러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에러 발생 현황 수집 서버(미도시)를 통하여 연결 에러 관리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10)는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의 상황과 관련된 데이터를 연결 에러 관리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0)는 에러가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소정시간 전후의 시구간의 상황(예: AP 연결성, SmartThings IoT 서버, 기기 정보)와 동작 시퀀스(sequence)에 관한 정보를 인코딩하여 연결 에러 관리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도 3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에러 관리 장치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다. 도 3의 연결 에러 관리 장치(300)는 도 1의 연결 에러 관리 장치(101)에 상응하는 장치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연결 에러 관리 장치(300)의 블록 구성은 본 발명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들 만을 도시한 것이고,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다른 구성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에러 관리 장치(300)는 IoT 장치(예: IoT 장치(102))와 IoT 네트워크 서버(예: IoT 네트워크 서버(106)) 간의 연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를 참고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에러 관리 장치(300)는 통신부(310), 프로세서(320), 메모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310)는 유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 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부(320)는 송신부, 수신부,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330)는 연결 에러 관리 장치(30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33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에러와 관련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330)는 에러 발생 원인을 식별하기 위하여 필요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330)는 프로세서(32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20)는 메모리(3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221)를 실행함으로써, 연결 에러 관리 장치(3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20)는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MCU(Micro Controller Unit), 센서 허브, 보조 프로세서(Supplementary Processor),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20)는 통신부(310)를 통하여 전자 장치(200)로부터 전자 장치(200)와 IoT 네트워크 서버(예: IoT 네트워크 서버(106))의 연결에 문제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20)는 통신부(310)를 통하여 전자 장치(200)로 문제가 발생한 시구간의 데이터(예. 로그(log) 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예: 로그 데이터 보고 요청)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20)는 전자 장치(200)로부터 문제가 발생한 시구간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전력 상태 정보, 연결 유지 알림(keep alive)에 관한 정보, 연결 타입(typ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320)는 상기 전력 상태 정보, 상기 연결 유지 알림에 관한 정보, 상기 연결 타입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200)에 발생한 에러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연결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제1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연결이 비정상 상태이므로 발생한 에러임을 나타내는 제2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20)는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콜드 부팅(cold booting)으로 인한 로그 유실로 인하여 발생한 에러임을 나타내는 제3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들 간의 시그널링 흐름을 도시한다. 도 4의 전자 장치(401)는 도 1의 IoT 장치(102), 도 2의 전자 장치(200)에 상응하는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4의 연결 에러 관리 장치(405)는 도 1의 연결 에러 관리 장치(101)에 상응하는 전자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4의 에러 발생 감지 서버(403), 연결 에러 관리 장치(405)는 별개 또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네트워크, IoT 네트워크, IoT 네트워크 서버는 모두 도 1의 IoT 네트워크 서버(106)과 같은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네트워크 연결 에러는 모두 전자 장치(401)와 IoT 네트워크 서버(예: IoT 네트워크 서버(106))의 연결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에러, 연결 에러와 같이 지칭될 수 있다. 연결 에러 관리 장치(405)는 에러 로그 수집부(405-1) 및 에러 분석부(405-2)를 포함할 수 있다. 에러 로그 수집부(405-1) 및 에러 분석부(405-2)는 하나의 프로세서 내에 포함되는 별개의 구성이거나, 별도의 프로세서로 구현되거나,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 410에서, 전자 장치(401)는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연결 에러는 전자 장치(401)와 IoT 네트워크 서버(예: IoT 네트워크 서버(106)) 사이의 연결이 끊어지거나,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지연(latency)이 발생하는 경우와 같이, 비정상적인 연결 상태가 식별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401)는 연결 유지 알림(keep alive)을 미리 정해진 시간을 초과하는 동안 식별하지 못하는 경우,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네트워크 서버는 연결 유지 알림을 주기적으로 생성하여 전자 장치(401)에게 송신할 수 있다. IoT 네트워크 서버와 전자 장치(401)의 연결이 유지될 경우, 전자 장치(401)는 서버로부터 연결 유지 알림을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1)는 수신된 연결 유지 알림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이 유지되고 있음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 유지 알림이 식별되는 주기는 전자 장치(401)의 화면이 켜져 있는지(turn on) 또는 꺼져 있는지(turn off)에 관한 정보, 전자 장치(401)와 IoT 네트워크 서버의 연결이 유선인지 또는 무선인지 여부에 관한 정보, 전자 장치(401)가 부팅(booting)되는 경우에 전자 장치(401)의 전력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미리 정해진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401)가 IoT 네트워크 서버(106)에 송신하는 신호에 대하여 응답(Ack)을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IoT 네트워크와의 연결에 에러가 발생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401)가 IoT 네트워크 서버(106)에서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신호(예: 기준 신호, 파일럿 신호, 채널 측정 기준 신호, MIB(master information bock), SIB(system information block),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등)를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동안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401)는 IoT 네트워크 서버와의 연결에 관한 연결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상태 정보는 연결 에러의 발생 여부와는 무관하게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미리 정해진 주기 마다 상기 연결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미리 정해진 주기 마다 IoT 네트워크 서버(106)와의 연결에 관한 로그(log)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메모리(예: 메모리(22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401)는 특정한 이벤트(예: 연결 에러 관리 장치(405)로부터 요청되는 경우)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연결 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상태 정보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network status), AP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상태 정보는 전자 장치(401)의 장치 정보(예: 펌웨어 정보,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상태 정보는는 연결 유지 알림에 관한 정보(예: 특정 시점에 연결이 전자 장치(401)와 네트워크의 연결이 유지되고 있음을 지시하는 정보, 연결 유지 알림 식별 주기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상태 정보는는 전자 장치(401)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sign up)(예: 전자 장치가 최초에 서버에 등록하는 경우, 등록에 관한 정보), 네트워크 로그인 정보(sign in)(예: 전자 장치가 서버에 연결되는 경우, 인증(authentication)과 관련한 정보), 네트워크 등록 및 로그인 결과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상태 정보는 전자 장치(401)가 IoT를 통한 Wake up을 지원하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IOTWAKEUP_SUPPORT), 전자 장치(401)가 깨어난(wake up) 시간에 관한 정보(WAKEUP_TIME), 전자 장치(401)를 깨운 제어 장치에 관한 정보(WAKEUP_REASON), 전자 장치가 깨어난 경우 타이머 상태와 관련한 정보(WAKEUP_TIMER_STATUS) 중 적어도 하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상태 정보는 전자 장치(401)가 IoT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중간 모듈에 관한 정보(예: SES_THING_RESULT, SES_THINGS_STATUS, SES_DIAGNOSTICS_LOG)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상태 정보는 로그(log) 수집에 대한 주기와 이벤트 정보(예: QLOG_KEEPER_STATUS & LOST_QLOG_EVENTS, CONNECTION_CONTROLLER_STATUS & PERIODIC_LOG_STATUS)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12에서, 전자 장치(401)는 에러 발생 감지 서버(403)로 상기 전자 장치(401)에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401)는 연결 에러가 발생함을 식별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401)의 식별 정보를 에러 발생 감지 서버(403)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1)는 연결 에러가 발생함을 식별하는 경우, 상기 IoT 네트워크 서버(106)와의 연결에 관한 정보에 포함되는 전자 장치(401)의 장치 정보에 기반하여, 에러 발생 감지 서버(403)로 전자 장치(401)의 식별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러 발생 감지 서버(403)는 전자 장치(401)와 IoT 네트워크 서버(106)와의 연결과는 무관하게, 전자 장치(401)에게 네트워크 연결이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송신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14에서, 전자 장치(401)는 에러 관리 장치(405)로 네트워크 연결 에러의 발생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연결 에러의 발생 알림은 전자 장치(401)에 연결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16에서, 에러 발생 감지 서버(403)는 연결 에러 관리 장치(405)로 전자 장치(401)에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에러 발생 감지 서버(403)는 전자 장치(401)로부터 연결 에러 발생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함에 응답하여 연결 에러 관리 장치(405)로 전자 장치(401)의 네트워크 연결에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 에러 관리 장치(405)의 에러 로그 수집부(405-1)는 전자 장치(401) 또는 에러 발생 감지 서버(403)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자 장치(401)에 연결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18에서, 연결 에러 관리 장치(405)는 전자 장치(401)로 로그 데이터 보고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 에러 관리 장치(405)의 에러 로그 수집부(405-1)는 전자 장치(401)로 로그 데이터 보고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로그 데이터 보고 요청은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서 생성된 로그(log) 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로그 데이터 보고 요청은 전자 장치(401)가 로그 데이터를 보고하는 주기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은 연속하여 순차적으로 생성된 서로 다른 시점의 두개의 연결 유지 알림이 생성된 시점 사이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서 두개의 연결 유지 알림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 에러 관리 장치(405)는 연결 에러가 발생한 전자 장치를 식별하기 위한 타겟팅(targeting) 부(미도시) 및 데이터를 수집하는 API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20에서, 전자 장치(401)는 연결 에러 관리 장치(405)로 로그 데이터 보고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로그 데이터 보고(report)는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서 생성된 로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401)는 연결 에러 관리 장치(405)의 에러 로그 수집부(405-1)로 로그 데이터 보고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서 생성된 로그 데이터는, 전자 장치(401)가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네트워크와의 연결에 관한 정보 중에서,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로그 데이터는 전력 상태 정보,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의 연결이 유지되고 있음을 알리는 연결 유지 알림(keep alive)에 관한 정보 및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을 지시하는 연결 타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력 상태 정보는 전자 장치의 부팅 시 전력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 전자 장치의 펌웨어(firmware) 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타입 정보는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이 유선임을 지시하는 제1 타입,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이 무선임을 지시하는 제2 타입 중 하나의 타입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타입 정보는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AP(access point)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로그 데이터는 전자 장치의 시스템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로그 데이터는 전자 장치의 시스템 시간에 상응하는 time tick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22에서, 연결 에러 관리 장치(405)는 전자 장치(401)의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에러 분석부(405-2)는 전자 장치(401)의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는 연결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제1 상태, 연결이 비정상 상태이므로 발생한 에러임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콜드 부팅(cold boot)d로 인한 로그 유실로 인하여 발생한 에러임을 나타내는 제3 상태 중 하나의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이 비정상 상태이므로 발생한 에러임을 나타내는 제2 상태는, 전자 장치(401)와 네트워크의 연결이 유선을 통해 이루어진 경우의 제2-1 상태, 전자 장치(401)와 네트워크의 연결이 무선을 통해 이루어진 경우의 제2-2 상태, 전자 장치(401)와 네트워크의 연결이 유선인지 무선인지 알 수 없는 경우의 제2-3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연결 에러 관리 장치(405)는 네트워크 연결 에러를 제1 상태로 결정하는 경우, 전자 장치(401)로부터 다음 로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 에러 관리 장치(405)는 네트워크 연결 에러를 제2 상태 또는 제3 상태로 결정하는 경우, 네트워크 연결 에러의 경고(alert)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에러 관리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5의 연결 에러 관리 장치는 도 1의 연결 에러 관리 장치(101), 도 3의 연결 에러 관리 장치(300), 도 4의 연결 에러 관리 장치(405)를 의미할 수 있다. 도 4의 IoT 장치는 도 1의 IoT 장치(102), 도 2의 전자 장치, 도 4의 전자 장치(401)에 상응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5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4에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의 전자 장치의 동작은 도 4의 연결 에러 관리 장치(405)의 동작에 상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510에서, 연결 에러 관리 장치는 IoT 장치로부터 네트워크 연결 에러의 발생 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IoT 장치는 에러 관리 장치로 네트워크 연결 에러의 발생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연결 에러의 발생 알림은 IoT 장치에 연결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520에서, 연결 에러 관리 장치는 IoT 장치로,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서 생성된 로그(log) 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요청하는 로그 데이터 보고(report)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로그 데이터 보고 요청은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서 생성된 로그(log) 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로그 데이터 보고 요청에는 IoT 장치가 로그 데이터를 보고하는 주기에 관련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은 연속하여 순차적으로 생성된 서로 다른 시점의 두개의 연결 유지 알림이 생성된 시점 사이의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서 두개의 연결 유지 알림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530에서, 연결 에러 관리 장치는 IoT 장치로부터 로그 데이터를 포함하는 로그 데이터 보고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로그 데이터 보고(report)는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서 생성된 로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IoT 장치는 연결 에러 관리 장치의 에러 로그 수집부(405-1)로 로그 데이터 보고를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서 생성된 로그 데이터는, IoT 장치가 주기적으로 생성하는 네트워크와의 연결에 관한 정보 중에서,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로그 데이터는 전력 상태 정보,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의 연결이 유지되고 있음을 알리는 연결 유지 알림(keep alive)에 관한 정보 및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을 지시하는 연결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력 상태 정보는 전자 장치의 부팅 시 전력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 전자 장치의 펌웨어(firmware) 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 타입 정보는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이 유선임을 지시하는 제1 타입,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이 무선임을 지시하는 제2 타입 중 하나의 타입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 타입 정보는 전자 장치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AP(access point)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로그 데이터는 전자 장치의 시스템 시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그 데이터는 전자 장치의 시스템 시간에 상응하는 time tick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540에서, 연결 에러 관리 장치는 로그 데이터에 포함되는 전력 상태(power status) 정보, IoT 장치와 네트워크의 연결이 유지되고 있음을 알리는 연결 유지 알림(keep alive)에 관한 정보 및 IoT 장치와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을 지시하는 연결 타입(type) 정보에 기반하여 네트워크 연결 에러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 에러 관리 장치는 수신한 로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력 상태 정보, 연결 유지 알림에 관한 정보 및 연결 타입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력 상태 정보는 IoT 장치의 부팅(booting) 시 전력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 IoT 장치의 펌웨어(firmware) 데이터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타입 정보는 IoT 장치와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이 유선임을 지시하는 제1 타입, IoT 장치와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이 무선임을 지시하는 제2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타입 정보는 IoT 장치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AP(access point)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는 연결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제1 상태, 연결이 비정상 상태이므로 발생한 에러임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콜드 부팅(cold booting)으로 인한 로그 유실로 인하여 발생한 에러임을 나타내는 제3 상태 중 하나의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이 비정상 상태이므로 발생한 에러임을 나타내는 제2 상태는, IoT 장치와 네트워크의 연결이 유선을 통해 이루어진 경우의 제2-1 상태, IoT 장치와 네트워크의 연결이 무선을 통해 이루어진 경우의 제2-2 상태, IoT 장치와 네트워크의 연결이 유선인지 무선인지 알 수 없는 경우의 제2-3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일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에러 관리 장치의 동작 흐름을 도시한다. 도 6의 연결 에러 관리 장치는 도 5의 연결 에러 관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의 연결 에러 관리 장치(405)의 동작 422 및 도 5에서 설명되는 연결 에러 관리 장치의 동작 540의 세부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610에서, 연결 에러 관리 장치는 제1 연결 유지 알림이 식별되는 제1 시점 및 제2 연결 유지 알림이 식별되는 제2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시점 및 제2 시점은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 포함되는 특정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시점은 제1 시점보다 늦은 시점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시점과 제2 시점을 제외하고,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에 생성되는 연결 유지 알림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연결 에러 관리 장치는 연결 유지 알림이 정해진 시간에 들어오지 않는 경우, 상기 정해진 시간을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두개의 연결 유지 알림을 기준으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결정하기 때문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620에서, 연결 에러 관리 장치는 임계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임계 시간은 IoT 장치가 연결 유지 알림을 식별하는 주기에 상응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임계 시간은 IoT 장치와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점에 IoT 장치의 화면이 켜져 있었는지 여부, 또는 IoT 장치의 부팅 모드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 에러 관리 장치는 연결 타입 정보가 제1 타입(유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임계 시간을 제1 시간으로 결정하고, 연결 타입 정보가 제2 타입(무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임계 시간을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 에러 관리 장치는 IoT 장치의 부팅 시 전력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에 기반하여 IoT 장치의 화면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장치의 부팅 모드가 STANDBY 모드, SUSPEND 모드, LOWPOWER 모드 또는 IoT 모드인 경우, 화면이 꺼져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장치의 부팅 모드가 NORMAL 모드 또는 AMBIENT 모드인 경우, IoT 장치의 화면이 켜져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 에러 관리 장치는 IoT 장치의 부팅 시 전력 상태가 제1 상태인 경우, 화면이 켜져 있다고 결정할 수 있고, IoT 장치의 전력 상태가 제1 상태보다 작은 제2 상태인 경우, 화면이 꺼져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 에러 관리 장치는 IoT 장치의 화면이 켜져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임계 시간을 제1 시간으로 결정하고, 화면이 꺼져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임계 시간을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630에서, 연결 에러 관리 장치는 제1 시점과 제2 시점의 시간 차이가 임계 시간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시점과 제2 시점의 시간 차이 값이 임계 시간 이하인 경우, 동작 640에서, 전자 장치는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제1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시점과 제2 시점의 시간 차이 값이 임계 시간보다 큰 경우, 동작 650에서, 연결 에러 관리 장치는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서 IoT 장치의 시스템 클럭과 관련되는 틱(tick) 값이 증가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틱 값이 증가하는 경우, 동작 660에서, 연결 에러 관리 장치는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제2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틱 값이 증가하지 않는 경우, 동작 670에서, 연결 에러 장치는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제3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도 6에 따른 연결 에러 관리 장치는, 전력 상태 정보, 연결 유지 알림 정보,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도 6에 도시되는 동작을 수행하고, 그 결과 연결 유지 알림의 시간 간격 값(예: 제1 시간 또는 제2 시간), 제1 시점(start time), 제2 시점(end_time), 네트워크 상태(Net_status), 화면 켜짐 여부(last_power)에 관한 정보가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 에러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에러 관리 장치에 의한, IoT 장치들의 네트워크 연결 에러 관리 및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연결 에러의 발생 알림을 IoT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서 생성된 로그(log) 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요청하는 로그 데이터 보고 요청을 상기 IoT 장치에게 송신하는 동작, 상기 로그 데이터를 포함하는 로그 데이터 보고(report)를 상기 IoT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상기 로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는 연결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제1 상태, 연결이 비정상 상태이므로 발생한 에러임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콜드 부팅(cold booting)으로 인한 로그 유실로 인하여 발생한 에러임을 나타내는 제3 상태 중 하나의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 연결 에러 관리 및 제어 방법은, 상기 로그 데이터에 포함되는 전력 상태(power status) 정보, 상기 IoT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의 연결이 유지되고 있음을 알리는 연결 유지 알림(keep alive) 정보 및 상기 IoT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을 지시하는 연결 타입(type)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상태 정보는 상기 IoT 장치의 부팅(booting) 시 전력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 상기 IoT 장치의 펌웨어(firmware)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상기 연결 타입 정보는 상기 IoT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이 유선(wired)임을 지시하는 제1 타입, 상기 IoT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이 무선(wireless)임을 지시하는 제2 타입 중 하나의 타입을 지시하는 정보 및 상기 IoT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AP(access point)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연결 에러(error)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전력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IoT 장치의 부팅(booting) 시 전력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 상기 IoT 장치의 펌웨어(firmware)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타입 정보는 상기 IoT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이 유선(wired)임을 지시하는 제1 타입, 상기 IoT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이 무선(wireless)임을 지시하는 제2 타입 중 하나의 타입을 지시하는 정보 및 상기 IoT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AP(access point)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연결 에러(error)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연결 유지 알림이 식별되는 제1 시점 및 제2 연결 유지 알림이 식별되는 제2 시점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시점 및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 포함되고,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제1 시점보다 늦은 시점이고, 상기 연결 유지 알림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에 식별되는 연결 유지 알림은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연결 에러(error)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의 시간 차이(gap)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의 상기 시간 차이와 미리 정해진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연결 에러(error)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시간 차이가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제1 상태로 결정하는 동작, 상기 시간 차이가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IoT 장치의 상기 시구간에서의 시스템 클럭에 관련되는 틱(tick) 값이 증가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틱 값이 증가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상기 제2 상태로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틱 값이 증가한다고 결정하는지 않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상기 제3 상태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타입 정보가 상기 제1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제1 시간(예: 4분)이고, 상기 연결 타입 정보가 상기 제2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예: 59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연결 에러(error)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IoT 장치의 부팅(booting) 시 전력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IoT 장치의 화면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화면이 켜져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제1 시간이고, 상기 화면이 꺼져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연결 에러(error)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IoT 장치의 부팅 시 전력 상태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화면이 켜져 있다고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IoT 장치의 부팅 시 전력 상태가 제1 상태보다 작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화면이 꺼져 있다고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로그 데이터 보고 요청은 상기 IoT 장치의 상기 로그 데이터 보고 주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연결 에러(error)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상기 제2 상태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로그 데이터 보고 주기에 관한 정보에 포함되는 로그 보고 주기를 이전보다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연결 에러(error) 관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상기 제3 상태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로그 데이터는, 상기 IoT 장치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 상기 IoT 장치의 부팅 방식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에러(error) 관리 장치는, 통신부, 메모리,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IoT 장치로부터, 상기 IoT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 에러의 발생 알림을 수신하고, 상기 IoT 장치에게,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서 생성된 로그(log) 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요청하는 로그 데이터 보고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IoT 장치로부터, 상기 로그 데이터를 포함하는 로그 데이터 보고(report)를 수신하고, 상기 로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는 연결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제1 상태, 연결이 비정상 상태이므로 발생한 에러임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콜드 부팅(cold booting)으로 인한 로그 유실로 인하여 발생한 에러임을 나타내는 제3 상태 중 하나의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로그 데이터에 포함되는 전력 상태(power status) 정보, 상기 IoT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의 연결이 유지되고 있음을 알리는 연결 유지 알림(keep alivet) 정보 및 상기 IoT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을 지시하는 연결 타입(type)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전력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IoT 장치의 부팅(booting) 시 전력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 상기 IoT 장치의 펌웨어(firmware)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타입 정보는 상기 IoT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이 유선(wired)임을 지시하는 제1 타입, 상기 IoT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이 무선(wireless)임을 지시하는 제2 타입 중 하나의 타입을 지시하는 정보 및 상기 IoT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AP(access point)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연결 유지 알림이 식별되는 제1 시점 및 제2 연결 유지 알림이 식별되는 제2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시점 및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 포함되고,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제1 시점보다 늦은 시점이고, 상기 연결 유지 알림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에 식별되는 연결 유지 알림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의 시간 차이(gap)를 식별하고,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의 상기 시간 차이와 미리 정해진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시간 차이가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제1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시간 차이가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IoT 장치의 상기 시구간에서의 시스템 클럭에 관련되는 틱(tick) 값이 증가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틱 값이 증가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상기 제2 상태로 결정하고, 및 상기 틱 값이 증가한다고 결정하는지 않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상기 제3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타입 정보가 상기 제1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제1 시간이고, 상기 연결 타입 정보가 상기 제2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IoT 장치의 부팅(booting) 시 전력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IoT 장치의 화면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화면이 켜져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제1 시간이고, 상기 화면이 꺼져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IoT 장치의 부팅 시 전력 상태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화면이 켜져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IoT 장치의 부팅 시 전력 상태가 제1 상태보다 작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화면이 꺼져 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장치,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단수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되는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되는 항목들 중 하나 이상의 항목에 의한 임의의 가능한 모든 조합들을 포괄하는 것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다,' '가지다,'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 상에 기재된 특징,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부" 또는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부" 또는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 또는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할 경우”는 문맥에 따라 “할 때”, 또는 “할 시”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유사하게, “라고 결정되는 경우” 또는 “이 검출되는 경우”는 문맥에 따라 “결정 시” 또는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또는 “검출 시” 또는 “검출하는 것에 응답하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문서를 통해 설명된 IoT 장치(102) 및 연결 에러 관리 장치(1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명령어들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어(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로는, 예를 들어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연결 에러 관리 장치에 의한, IoT 장치들의 네트워크 연결 에러 관리 및 제어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연결 에러의 발생 알림을 IoT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서 생성된 로그(log) 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요청하는 로그 데이터 보고 요청을 상기 IoT 장치에게 송신하는 동작,
    상기 로그 데이터를 포함하는 로그 데이터 보고(report)를 상기 IoT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상기 로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는 연결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제1 상태, 연결이 비정상 상태이므로 발생한 에러임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콜드 부팅(cold booting)으로 인한 로그 유실로 인하여 발생한 에러임을 나타내는 제3 상태 중 하나의 상태인,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그 데이터에 포함되는 전력 상태(power status) 정보, 상기 IoT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의 연결이 유지되고 있음을 알리는 연결 유지 알림(keep alive result) 정보 및 상기 IoT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을 지시하는 연결 타입(type)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전력 상태 정보는 상기 IoT 장치의 부팅(booting) 시 전력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 상기 IoT 장치의 펌웨어(firmware)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고,
    상기 연결 타입 정보는 상기 IoT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이 유선(wired)임을 지시하는 제1 타입, 상기 IoT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이 무선(wireless)임을 지시하는 제2 타입 중 하나의 타입을 지시하는 정보 및 상기 IoT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AP(access point)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 연결 유지 알림이 식별되는 제1 시점 및 제2 연결 유지 알림이 식별되는 제2 시점을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시점 및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 포함되고,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제1 시점보다 늦은 시점이고,
    상기 연결 유지 알림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에 식별되는 연결 유지 알림은 포함하지 않는,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의 시간 차이(gap)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의 상기 시간 차이와 미리 정해진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시간 차이가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제1 상태로 결정하는 동작,
    상기 시간 차이가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IoT 장치의 상기 시구간에서의 시스템 클럭에 관련되는 틱(tick) 값이 증가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
    상기 틱 값이 증가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상기 제2 상태로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틱 값이 증가한다고 결정하는지 않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상기 제3 상태로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 타입 정보가 상기 제1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제1 시간이고,
    상기 연결 타입 정보가 상기 제2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인,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의 부팅(booting) 시 전력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IoT 장치의 화면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상기 화면이 켜져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제1 시간이고,
    상기 화면이 꺼져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인,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IoT 장치의 부팅 시 전력 상태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화면이 켜져 있다고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IoT 장치의 부팅 시 전력 상태가 제1 상태보다 작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화면이 꺼져 있다고 결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로그 데이터 보고 요청은 상기 IoT 장치의 상기 로그 데이터의 보고 주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상기 제2 상태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로그 데이터 보고 주기에 관한 정보에 포함되는 로그 보고 주기를 이전보다 길게 설정하는, 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상기 제3 상태로 결정하는 경우, 상기 로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그 데이터는, 상기 IoT 장치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 및 상기 IoT 장치의 부팅 방식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연결 에러(error) 관리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메모리;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메모리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IoT 장치로부터, 상기 IoT 장치에 네트워크 연결 에러의 발생 알림을 수신하고,
    상기 IoT 장치에게,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서 생성된 로그(log) 데이터를 송신할 것을 요청하는 로그 데이터 보고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IoT 장치로부터, 상기 로그 데이터를 포함하는 로그 데이터 보고(report)를 수신하고,
    상기 로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는 연결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제1 상태, 연결이 비정상 상태이므로 발생한 에러임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콜드 부팅(cold booting)으로 인한 로그 유실로 인하여 발생한 에러임을 나타내는 제3 상태 중 하나의 상태인,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로그 데이터에 포함되는 전력 상태(power status) 정보, 상기 IoT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의 연결이 유지되고 있음을 알리는 연결 유지 알림(keep alive result) 정보 및 상기 IoT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을 지시하는 연결 타입(type)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전력 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기 IoT 장치의 부팅(booting) 시 전력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 상기 IoT 장치의 펌웨어(firmware)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타입 정보는 상기 IoT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이 유선(wired)임을 지시하는 제1 타입, 상기 IoT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의 연결 방식이 무선(wireless)임을 지시하는 제2 타입 중 하나의 타입을 지시하는 정보 및 상기 IoT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AP(access point)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연결 유지 알림이 식별되는 제1 시점 및 제2 연결 유지 알림이 식별되는 제2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시점 및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가 발생한 시구간에 포함되고,
    상기 제2 시점은 상기 제1 시점보다 늦은 시점이고,
    상기 연결 유지 알림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 사이에 식별되는 연결 유지 알림은 포함하지 않는,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의 시간 차이(gap)를 식별하고,
    상기 제1 시점과 상기 제2 시점의 상기 시간 차이와 미리 정해진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결정하는,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시간 차이가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제1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시간 차이가 미리 정해진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IoT 장치의 상기 시구간에서의 시스템 클럭에 관련되는 틱(tick) 값이 증가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틱 값이 증가한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상기 제2 상태로 결정하고, 및
    상기 틱 값이 증가한다고 결정하는지 않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연결 에러 상태를 상기 제3 상태로 결정하는,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연결 타입 정보가 상기 제1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제1 시간이고,
    상기 연결 타입 정보가 상기 제2 타입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인, 장치.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IoT 장치의 부팅(booting) 시 전력 상태를 지시하는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IoT 장치의 화면이 켜져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화면이 켜져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제1 시간이고,
    상기 화면이 꺼져 있다고 결정하는 경우,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상기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인,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IoT 장치의 부팅 시 전력 상태가 제1 상태인 경우, 상기 화면이 켜져 있다고 결정하고,
    상기 IoT 장치의 부팅 시 전력 상태가 제1 상태보다 작은 제2 상태인 경우, 상기 화면이 꺼져 있다고 결정하는, 장치.
KR1020220084531A 2022-07-08 2022-07-08 IoT 장치의 관리 및 제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400075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531A KR20240007515A (ko) 2022-07-08 2022-07-08 IoT 장치의 관리 및 제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531A KR20240007515A (ko) 2022-07-08 2022-07-08 IoT 장치의 관리 및 제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515A true KR20240007515A (ko) 2024-01-16

Family

ID=8971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531A KR20240007515A (ko) 2022-07-08 2022-07-08 IoT 장치의 관리 및 제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75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2335B2 (ja) 複数のカバレッジエンハンスメントレベルにおける進化型ノードbの動作に関する技術及びコンフィギュレーション
CN105763597B (zh) 用于处理传感器信息的方法和设备
US9351252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ly transmitting data
WO2016058366A1 (zh) 智能家电的控制方法及家庭控制中心
WO2016058367A1 (zh) 智能家居控制系统
US201503727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iring electronic device and lighting device
EP3192214B1 (en) Automatic device configuration
US9703353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by the electronic device
US20220377670A1 (en) Search Space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US11770726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WO2016058368A1 (zh) 家电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家庭数据终端
US1056098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US11082925B2 (en) Staggered extended sleep cycles, comprising on and off sleep durations, in wireless devices
US953832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 location of a movable information apparatus
US11150722B1 (en) Mitigating thermal increases in electronic devices
US20210314183A1 (en) Internet of things device connectivity real time notification
US9225579B2 (en) Renewing registrations for a plurality of client application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same host server via an explicit piggybacking scheme
US20170171809A1 (en) Wireless access point power save mode
WO2023098553A1 (zh) 控制方法及装置
AU2013219865B2 (en) Wireless scan and advertisement in electronic devices background
US10200477B2 (en) Scalability and redundacy for machine-to-machine (M2M) architecture
US11451990B2 (en) Method and managing module for enabling management of operation of network node
EP3010169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in electronic device
KR20240007515A (ko) IoT 장치의 관리 및 제어를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23020611A1 (zh) 小数据传输sdt的数据传输方法和终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