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347A -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효율적인 물류 재고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효율적인 물류 재고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347A
KR20240007347A KR1020220084107A KR20220084107A KR20240007347A KR 20240007347 A KR20240007347 A KR 20240007347A KR 1020220084107 A KR1020220084107 A KR 1020220084107A KR 20220084107 A KR20220084107 A KR 20220084107A KR 20240007347 A KR20240007347 A KR 20240007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istics
inventory
center server
manufacturer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준석
Original Assignee
우리들생활안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들생활안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들생활안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4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7347A/ko
Publication of KR20240007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34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효율적인 물류 재고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고 관리 시스템은, 제조사 물류센터의 재고 정보를 관리하는 제조사 물류센터 서버, 협력사 물류센터의 재고 정보를 관리하는 협력사 물류센터 서버 및 제조사 물류센터 서버 및 협력사 물류센터 서버로부터 각각 재고 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 물류센터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재고 관리 시스템으로서, 스마트 물류센터 서버는, 제조사 물류센터의 재고 정보와 협력사 물류센터의 제공 정보를 통합하는 가상 통합 물류센터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불필요한 재고로 인한 공간 및 비용 낭비와 재고 결품으로 인한 손해를 방지할 수 있고 제조사의 발주 업무 및 협력사의 조달 업무에 투입되는 비용을 감축 시킬 수 있다. 또한, 협력사는 제조사의 실시간 재고 소진 모니터링을 통해 불필요한 생산을 방지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효율적인 물류 재고관리 시스템{Efficient Logistics Inventory Management System through Virtual Logistics Warehouse}
본 발명은 재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효율적인 물류 재고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장에서 생산된 물품이 판매되어 그 물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에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의 물류처리과정 을 거쳐야 함이 일반적이다. 물론 판매되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 실제적인 물류처리과정이 일부 달라질 수는 있 으나, 통상적으로 생산공장에서 물품이 생산되면, 그 물품은 일정 수량별로 컨테이너 등에 탑재된 후 트럭 등의 운송수단에 의해 전국 각지에 있는 물류회사의 물류센터로 이송되고, 각 물류센터에서는 다시 각 지역의 대리점 이나 집하장 등으로 물품을 이송하였다가, 최종적으로 소매점이나 소비자에게 전달되면서 판매가 이루어지게 된 다.
특히, 물류처리과정을 거침에 있어 물품이 공장에서 출하된 후 소매점이나 소비자에게 최종적으로 전달될 때까 지 물류센터 등의 창고에 적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처럼 물류처리과정을 거치는 동안 창고 등으로 입고 되거나 창고에서 출고되는 물품의 입출고 상황이나, 현재 창고에 적재되어 있는 재고의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하 는 것은 물류관리의 가장 중요한 사항이라 할 것이다.
최근에는 유무선 통신망상에서의 온라인 물품 구매가 급격히 증가하게 됨에 따라, 소셜커머스와 같은 온라인 업 체의 경우, 구매 물품을 본인들의 직접 운영하는 물류센터에서 직접 출고하여 소비자에게 배송하는 경우가 증가 하고 있다. 이 때, 상기 물품을 납품하는 업체는 협력사가 되며, 여러 협력업체로부터 물품을 공급받는 업체는 제조사가 된다.
제조사의 물류센터에는 고객이 언제 주문할지 모르기 때문에, 물품들이 일정 기간 적재되어 있어야 하므로 비교 적 규모가 크게 형성됨이 일반적이다. 물품의 소진을 염려하여 과다하게 협력사로부터 물품을 공급받는 경우, 물류센터에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반면 불필요한 공간 낭비를 막기 위해 물품이 소진된 후에 협력사 에게 재 납품을 요청할 경우, 제조 및 배송 기간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해 고객에게 필요한 시기에 물품을 공 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협력사는 제조사의 재 납품 요청이 언제 있을지 모르고, 신속하 게 재 납품하기 위해서 항상 과대 재고를 보유하게 된다. 따라서, 적정 규모의 물품이 항상 구비되어야 함이 중 요하며, 모든 물품이 소진되기 전에 협력사로부터 물품을 공급받아 상기 적정 규모의 물품을 유지해야 한다.
최근 물류 창고의 재고현황을 관리하기 위해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한 다양한 시도가 있다. 예를 들어, 물류센터 에서 근무하는 작업자나 관리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물류의 집하, 배송, 또는 출고 등의 관리에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들을 이용하려는 시도들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들은 단일 물류센터 내 재고 관리에만 한정되어 있을 뿐이며, 제조사와 협력 업체의 물류를 함 께 실시간으로 고려하여 재고 관리를 하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조사의 재고 소비가 일정치 못하기 때문에, 제조사와 협력사 간 중복재고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매주 금요일에 재고를 보충하는 정기발주의 경우, 협력사는 제조사의 실제 재고 소 모량을 알 수 없기 때문에, 매주 금요일에 사전 설정되어 있는 최대 보유수량만큼 납품을 위한 재고를 쌓아놓고 준비하게 된다. 그러나, 제조사가 실제 재고를 그만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그 사용하지 않은 재고는 중복재 고로 남게 된다.
본 명세서는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효율적인 물류 재고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상기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따른 스마트 재고 관리 시스템은, 제조사 물류센터의 재고 정보를 관 리하는 제조사 물류센터 서버; 협력사 물류센터의 재고 정보를 관리하는 협력사 물류센터 서버; 및 상기 제조사 물류센터 서버 및 상기 협력사 물류센터 서버로부터 각각 재고 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 물류센터 서버;를 포함 하는 스마트 재고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스마트 물류센터 서버는, 상기 제조사 물류센터의 재고 정보와 상기 협력사 물류센터의 재공 정보를 통합하는 가상 통합 물류센터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제조사 물류센터 서버는, 각 물품 보관 장소에 보관된 물품의 존재여부 및 물품의 수량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된 값을 통해 물품의 재고량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재고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조사 물류센터 서버 또는 협력사 물류 센터 서버는, 바코드, QR코드 또는 RFID를 이용하여 측정된 재고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사 물류센터 서버 또는 협력사 물류 센터 서버는,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또는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를 포함할 수 있다.상기 제조사 물류센터 서버 또는 협력사 물류센터 서버는, 각 물품 보관 장소에 보관된 물품의 존재여부 및 수 량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된 값을 통해 물품의 재고량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재고 산출 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물류센터 서버는 상기 제조사 물류센터의 재고량이 미리 설정된 재 발주점에 해당할 때, 상기 협력사 물류센터 서버에게 발주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주 명령은 상기 가상 통합 물류센터에 해당 물품에 대해 미리 설정된 최대 재고량에서 현재 재고량을 제외한 부족량만큼의 발주 명령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스마트 물류센터 서버는 상기 협력사 물류센터의 재고량이 상기 부족량보다 적을 때 상기 협력사 물류센터 서버에게 미리 설정된 협력사 물류센터의 최대 재고량의 부족량만큼 생산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물류센터 서버는 해당 물품이 정량발주 물품일 때, 미리 설정된 조달기간 내 미리 설정된 최대 재고량에서 평균 재고량을 제한 안전재고량과 상기 조달기간 동안의 평균재고량 의 합으로 재발주점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물류센터 서버는 해당 물품이 정기발주 물품일 때, 발주간격 동안 수요, 조달기간 동안 수요 및 안전재고를 합한 최대보유재고에서 현재재고와 운송중 재고량의 합산값을 제 외한 값을 발주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전재고는 최대 수요에서 최소 수요를 제한 수요량에 발주 간격과 조달기간을 합산값을 곱한 값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물류센터 서버는 해당 물품이 정기발주 물품일 때, 발주간 격 동안 수요, 조달기간 동안 수요 및 안전재고를 합한 최대보유재고에서 현재재고와 운송중 재고량의 합산값을 제외한 값을 발주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전재고는 제조사와 협력사의 합의에 의해서 사전 결정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불필요한 재고로 인한 공간 및 비용 낭비와 재고 결품으로 인한 손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조사의 발주 업무 및 협력사의 조달 업무에 투입되는 비용을 감축 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협력사는 제조사의 실시간 재고 소진 모니터링을 통해 불필요한 생산을 방지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조사와 협력사의 재고의 소비와 생산이 연동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조사와 협력사 간 생산 지시가 자동화되어 발주와 조달 업무가 사라지게 된 다. 협력사의 자체적인 생산 계획 및 생산 지시 업무가 사라지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 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 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 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이하 '당업자')에게 본 명세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 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 /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 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 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 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 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 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따른 스마트 재고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 따른 스마트 재고 관리 시스템은 제조사 물류센터의 재고 정보를 관리하는 제조 사 물류센터 서버, 협력사 물류센터의 재고 정보를 관리하는 협력사 물류센터 서버 및 상기 제조사 물류센터 서 버 및 상기 협력사 물류센터 서버로부터 각각 재고 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 물류센터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조사란 협력사로부터 물품을 납품 받는 주체를 의미하며, 상기 협력사란 상기 제조사에 물품을 납품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조사 및 협력사는 물품 납품 관계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결정 되는 관계이며, 특정 물품, 물품의 판매 방식 등에 의해서 결정되지 않는다.
상기 스마트 물류센터 서버는, 상기 제조사 물류센터의 재고 정보와 상기 협력사 물류센터의 재고 정보를 통합 하는 가상 통합 물류센터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제조사 물류센터 서버 및 상기 협력사 물류센터는 이른바 자동화 관리 물류창고라고 할 수 있다. 즉, 현재 물류센터 내 물품의 종류, 재고 현황(잔여량), 입고 날짜, 소비 속도 등에 대한 정보가 각각의 서버에서 전산화 된 자료에 의해 관리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조사 물류센터 서버는, 각 물품 보관 장소에 보관된물품의 존재여부 및 물품의 수량을 측 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된 값을 통해 물품의 재고량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재고 산출부를 포 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협력사 물류센터 서버는, 각 물품 보관 장소에 보관된 물품의 존재여부 및 물품의 수 량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된 값을 통해 물품의 재고량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재고 산출 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설치된 물품의 존재여부를 측정하는 근접센서 또는 물품의 질량을 측정하 는 무게측정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조사 물류센터 서버 또는 상기 협력사 물류센터 서버 각각은, 바코드, QR코드, RFID 등 본 명세서 가 출원된 당시에 물품의 수량을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입력 장치 및 방식에 의해 재고량에 대한 정보를 입력 할 수 있다. 이때 입력된 재고량은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등의 시스템을 통해서 전산화가 가능하다.이 경우 앞선 센서부를 통해 재고량을 산출하지 않더라도, 기존 시스템과 연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즉, 예를 들어, 제조사 또는 협력사에 WMS 등이 구축되어 있다면 이를 통해 재고량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WMS 등이 구축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센서부를 통해 실물 재고를 센싱하여 재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 다.
이를 통해 상기 스마트 물류센터 서버는, 상기 제조사 물류센터의 재고 정보와 상기 협력사 물류센터의 재고 정 보를 통합하여, 가상 통합 물류센터에 현재 재고량, 최대 재고량, 평균재고량, 조달기간, 운송기간, 발주 간격, 발주기간 내 수요, 재고 소비 속도 등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스마트 재고 관리 시스템의 특징은 상기 가상 통합 물류센터를 통해 상기 제조사 물류센터와 상기 협력사 물류센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종래 물류 관리 기술은 각각의 물류센터에서 발 생하는 데이터만을 처리하였기 때문에 제조사와 협력사를 통합적으로 관리하지 못하였다. 만약, 제조사가 협력 사에게 추가 물품을 발주할 경우, 제조사는 협력사 물품센터의 재고량을 알지 못하고 자신이 필요한 물품의 수 량만을 발주하게 된다. 이로 인해 협력사는 다음 번 발주에 대비하기 위해 필요 이상의 물품을 재고로 보관하며 불필요한 비용을 발생시킨다. 마찬가지로, 제조사 입장에서는 협력사의 현재 재고량을 고려하지 못하고 발주 시 기를 정하기 때문에 제때 물품을 공급받지 못하여 수요에 민첩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종래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명세서에 따른 스마트 재고 관리 시스템은 가상 통합 물류센터를 통해 유기적인 재 고 관리를 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상기 스마트 물류센터 서버는 적정 재고량을 유지하기 위해 발주 명령을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 물류센터 서버는 상기 제조사 물류센터의 재고량이 미리 설정된 재발주점 에 해당할 때, 상기 협력사 물류센터 서버에게 발주 명령을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 세서에 따른 가상 통합 물류센터에는 제조사 물류센터의 재고와 협력사 물류센터의 재고량을 고려한다. 그러나 가상 통합 물류센터의 현재 재고량은 충분하나 실제 물품이 제조사가 아닌 협력사 물류센터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재고량 관리는 통합적으로 관리하나, 발주 관리는 제조사 물류센터를 기준으로 처리한다. 상기 재발주 점(ROP)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될 방법에 의해 상기 스마트 재고 관리 시스템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발주 명령은, 상기 가상 통합 물류센터에 해당 물품에 대해 미리 설정된 최대 재고량에서 현재 재고 량을 제외한 부족량만큼의 발주 명령일 수 있다. 발주 명령에는 어떠한 물품을 얼마만큼의 양으로 주문할 것인 가 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주 명령에 의해 새롭게 재고로 산출되는 물품의 양은 적정해야 함 은 자명하다. 따라서, 미리 설정된 최대 재고량을 넘지 않을 정도의 물품을 주문한다. 한편, 상기 발주 명령에 포함되는 발주량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될 방법에 의해 상기 스마트 재고 관리 시 스템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또 한편, 상기 발주량 모두가 현재 협력사 물류센터에 보관중이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마트 물류센 터 서버는 상기 협력사 물류센터의 재고량이 상기 부족량보다 적을 때 상기 협력사 물류센터 서버에게 미리 설 정된 협력사 물류센터의 최대 재고량의 부족량만큼 생산 명령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생상 명령은 상 기 협력사가 직접 물품을 생산하는 것뿐만 아니라 제3의 협력사 또는 외부 제조사로부터 새로운 물품을 조달 받 도록 제3의 발주 명령에 해당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생산 명령은 생산을 위한 1차 신호와 배송을 위한2차 신호로 구분될 수 있다. 물품의 생 산 및 배송 기간을 고려한 복수의 신호로서, 재발주점 즉 생산 명령을 최초 전송하는 시점에 물품을 생산하기 위한 1차 신호가 전송되고, 소정의 기간 이후 배송을 위한 신호가 전송되는 것이다. 이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재고량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발주에는 정량발주와 정기발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정량발주는 재고가 재발주점에 도달했을 때 항상 정 해진 수량 만큼을 발주하는 방식이며, 정기발주는 일정기간 간격으로 부정량을 발주하는 방식이다. 물품의 특성 에 따라 발주 방식이 구분될 수 있듯이, 본 명세서에 따른 스마트 재고 관리 시스템 역시 단순히 재고량에 기초 하여 발주하는 것이 아니라, 정량발주 및 정기발주 특성에 맞추어 발주시점 또는 발주량을 산출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량발주의 재발주점을 산출하는 참고도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물류센터 서버는 해당 물품이 정량발주 물품일 때, 미리 설정된 조달기간 내 미리 설정된 최대 재고량에서 평균 재고량을 제한 안전재고량과 상기 조달기간 동안의 평균재고량 의 합으로 재발주점(ROP)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재발주점은 제조사와 협력사의 합의에 의해서 사전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 때, 재발주점은 상 술한 미리 설정된 조달기간 내 미리 설정된 최대 재고량에서 평균 재고량을 제한 안전재고량과 상기 조달기간 동안의 평균재고량의 합에 소정의 값(5%, 10%, 20% 등)을 가감하는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도 3은 본 명세서 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정기발주의 발주량을 산출하는 참고도이다.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 물류센터 서버는 해당 물품이 정기발주 물품일 때, 발주간격 동안 수요, 조달기간 동안 수요 및 안전재고를 합한 최대보유재고에서 현재재고와 운송중 재고량의 합산값을 제 외한 값으로 발주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전재고는 최대 수요에서 최소 수요를 제한 수요량에 발 주간격과 조달기간을 합산값을 곱한 값일 수 있다.한편, 재발주점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최대보유재고(Max. Stock)도 제조사와 협력사의 합의에 의해서 사전 결정 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내용은 제조사와 협력사가 1:1 관계인 것을 가정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따른 스마 트 재고 관리 시스템은, 도 4와 같이, 제조사와 협력사가 1:다수 관계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스마트 재고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불필요한 재고로 인한 공간 및 비용 낭비와 재고 결품으로 인한 손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조사의 발주 업무 및 협력사의 조달 업무에 투입되는 비용을 감축 시킬 수 있다. 또한, 협력사는 제조사의 실시간 재고 소진 모니터링을 통해 불필요한 생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조사와 협력사의 재고의 소비와 생산이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제조사와 협력사 간 생산 지시가 자동화되어 발주와 조달 업무가 사라지게 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Memory),
ROM(Read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Access
Onl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 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 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제조사 물류센터의 재고 정보를 관리하는 제조사 물류센터 서버; 협력사 물류센터의 재고 정보를 관리하는 협력사 물류센터 서버; 및
    상기 제조사 물류센터 서버 및 상기 협력사 물류센터 서버로부터 각각 재고 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 물류센터 서버;를 포함하는 스마트 재고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스마트 물류센터 서버는, 상기 제조사 물류센터의 재고 정보와 상기 협력사 물류센터의 재공 정보를 통합 하는 가상 통합 물류센터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효율적인 물류 재고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조사 물류센터 서버는,
    각 물품 보관 장소에 보관된 물품의 존재여부 및 물품의 수량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된 값을 통해 물품의 재고량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재고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효율적인 물류 재고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조사 물류센터 서버 또는 협력사 물류 센터 서버는,
    바코드, QR코드 또는 RFID를 이용하여 측정된 재고 정보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효율적인 물류 재고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조사 물류센터 서버 또는 협력사 물류 센터 서버는,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또는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효율적인 물류 재고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조사 물류 센터 서버 또는 협력사 물류센터 서버는, 각 물품 보관 장소에 보관된 물품의 존재여부 및 물품의 수량을 측정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출력된 값을 통해 물품의 재고량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재고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효율적인 물류 재고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물류센터 서버는,
    상기 제조사 물류센터의 재고량이 미리 설정된 재발주점에 해당할 때, 상기 협력사 물류센터 서버에게 발주 명 령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효율적인 물류 재고관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발주 명령은, 상기 가상 통합 물류센터에 해당 물품에 대해 미리 설정된 최대 재고량에서 현재 재고량을 제외한 부족량만큼의 발주 명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효율적인 물류 재고관리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물류센터 서버는, 상기 협력사 물류센터의 재고량이 상기 부족량보다 적을 때 상기 협력사 물류센 터 서버에게 미리 설정된 협력사 물류센터의 최대 재고량의 부족량만큼 생산 명령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효율적인 물류 재고관리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물류센터 서버는,
    해당 물품이 정량발주 물품일 때, 미리 설정된 조달기간 내 미리 설정된 최대 재고량에서 평균 재고량을 제한 안전재고량과 상기 조달기간 동안의 평균재고량의 합으로 재발주점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효율적인 물류 재고관리 시스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물류센터 서버는,
    해당 물품이 정기발주 물품일 때, 발주간격 동안 수요, 조달기간 동안 수요 및 안전재고를 합한 최대보유재고에 서 현재재고와 운송중 재고량의 합산값을 제외한 값을 발주량을 산출하되,
    상기 안전재고는, 최대 수요에서 최소 수요를 제한 수요량에 발주간격과 조달기간을 합산값을 곱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효율적인 물류 재고관리 시스템.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물류센터 서버는,
    해당 물품이 정기발주 물품일 때, 발주간격 동안 수요, 조달기간 동안 수요 및 안전재고를 합한 최대보유재고에 서 현재재고와 운송중 재고량의 합산값을 제외한 값을 발주량을 산출하되,
    상기 안전재고는, 제조사와 협력사의 합의에 의해서 사전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효율적인 물류 재고관리 시스템.
KR1020220084107A 2022-07-08 2022-07-08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효율적인 물류 재고관리 시스템 KR202400073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107A KR20240007347A (ko) 2022-07-08 2022-07-08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효율적인 물류 재고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107A KR20240007347A (ko) 2022-07-08 2022-07-08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효율적인 물류 재고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347A true KR20240007347A (ko) 2024-01-16

Family

ID=89719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107A KR20240007347A (ko) 2022-07-08 2022-07-08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효율적인 물류 재고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73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gbo et al. The impact of effective inventory control management on organisational performance: A study of 7up bottling company nile mile enugu, nigeria
KR20190107787A (ko) 제조사와 협력사의 통합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실시간 재고 관리 시스템
JP5072863B2 (ja) 予備部品の在庫管理
US8498888B1 (en) Cost-based fulfillment tie-breaking
KR102257049B1 (ko) 인바운드 구입 주문의 인텔리전트 조정에 의한 제품 재고 최적화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354795B1 (ko) 자동화된 아웃바운드 프로파일 생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11260178A (zh) 一种实现业务运作自动化的系统、方法及存储介质
Sana et al. (Q, r, L)(Q, r, L) model for stochastic demand with lead-time dependent partial backlogging
CN117217662A (zh) 一种仓库物流管理系统
CN110956295A (zh) 供应链运营优化方法、装置、处理器和机器可读存储介质
WO2002025558A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inventory
CN107679815A (zh) 供应商库存管理系统
Dhaiban Two models of inventory system with stochastic demand and deteriorating items: Case study of a local cheese factory
KR20240007347A (ko) 가상 물류 창고를 통한 효율적인 물류 재고관리 시스템
Kappauf et al. Warehouse logistics and inventory management
KR20230045904A (ko) 실시간 스마트 재고 관리 시스템
Odintsova et al. The development of models of supply chain management in retailing
CN113837685A (zh) 出库拦截方法、仓储物流系统、订单系统及可读存储介质
Onyshchenko et al. Features of inventory management in logistics system of a trading enterprise
Khan et al. Inventory Management
JP2005089060A (ja) 物流拠点決定装置、物流拠点決定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102315898B1 (ko) 클라우드 기반 제조업체 사내물류 및 자동구매관리 플랫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Taghipour et al. Integration of pricing and inventory decision in a supply chain under vendor-managed inventory with defective items and inspection errors: A game-theoretic approach
Tanaka et al. Inventory management method with demand forecast in e-commerce
KR102515834B1 (ko) 사이클 및 안전 재고 결정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