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6752A -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6752A
KR20240006752A KR1020220083199A KR20220083199A KR20240006752A KR 20240006752 A KR20240006752 A KR 20240006752A KR 1020220083199 A KR1020220083199 A KR 1020220083199A KR 20220083199 A KR20220083199 A KR 20220083199A KR 20240006752 A KR20240006752 A KR 20240006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input
key
controller
butt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재람
이수민
한지본
한장희
Original Assignee
(주)이머시브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머시브캐스트 filed Critical (주)이머시브캐스트
Priority to KR1020220083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6752A/ko
Publication of KR20240006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675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05Lever arrangements for operating keyboard cursor control keys in a joystick-like mann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VR 컨트롤러에 구비되는 복수의 버튼들에 대해 문자 입력을 위한 키 레이아웃을 지정하고 지정된 키 레이아웃에 따라 가상 공간 상에 키가 배치된 자판을 배열하는 자판 배열부; 상기 복수의 버튼들 중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해당되는 키 입력을 수신하는 키 입력 수신부; 및 수신되는 상기 키 입력을 상기 자판의 배열에 따라 할당된 문자로 변환하여 문자 입력을 생성하는 문자 입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SYSTEM FOR INPUTTING CHARACTERS USING VR CONTROLLER}
본 발명은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공간 내에서 원격의 컴퓨터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VR 컨트롤러의 물리적 버튼과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문자 입력을 생성할 수 있는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은 컴퓨터 등을 통해 인공적으로 실제와 유사하지만 실제가 아닌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만드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때, 만들어진 가상의 환경이나 상황 등은 사용자의 오감을 자극하며, 사용자가 실제와 유사한 공간적, 시간적 체험을 하게 함으로써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자유롭게 드나들게 한다. 사용자는 만들어진 가상의 현실에 단순히 몰입할 뿐만 아니라 실재하는 디바이스를 이용해 조작이나 명령을 가하는 등 가상의 현실 속에 구현된 객체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기존의 유선 기반의 VR 시스템이나 LTE 기반의 VR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 속도, 응답 지연시간 및 편의성의 측면에서 대용량의 VR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하기는 어려웠다.
5G 네트워크는 빠른 데이터 전속 속도와 초저지연 응답을 특징으로 한다. 5G 네트워크는 고해상도의 그래픽을 초저지연으로 전송할 수 있으므로 무선 VR 시스템을 구현하기에 적합한다.
한편, VR 기기는 다양한 입력 도구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가상 키보드, 가상 마우스 등의 가상 입력 수단, 실제 풀 사이즈 블루투스 키보드, 마우스 등의 하드웨어 입력 수단, 핸드 트래킹을 이용한 모션 입력 수단 등이 있다. 하지만, 하드웨어 입력 수단의 경우에는 별도 준비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다. 가상 입력 수단 및 핸드 트래킹을 이용한 모션 입력 수단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손목을 공중에 띄운 상태를 유지해야 되어서 피로를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목을 공중에 띄우지 않고 책상 등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최소 움직임으로 문자 입력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입력 도구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2-0018559호 (2022.02.15)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상공간 내에서 원격의 컴퓨터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VR 컨트롤러의 물리적 버튼과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문자 입력을 생성할 수 있는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VR 기기의 컨트롤러 상에 있는 물리 버튼들의 조합을 통해 입력 가능한 문자 범위를 확대하여 별도의 입력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은 VR 컨트롤러에 구비되는 복수의 버튼들에 대해 문자 입력을 위한 키 레이아웃을 지정하고 지정된 키 레이아웃에 따라 가상 공간 상에 키가 배치된 자판을 배열하는 자판 배열부; 상기 복수의 버튼들 중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해당되는 키 입력을 수신하는 키 입력 수신부; 및 수신되는 상기 키 입력을 상기 자판의 배열에 따라 할당된 문자로 변환하여 문자 입력을 생성하는 문자 입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판 배열부는 상기 복수의 버튼들 중 아날로그 스틱으로 문자를 선택하고 트리거와 그랩 버튼 및 원형 버튼들로 선택하는 상기 문자의 범위를 변경하도록 상기 복수의 버튼들에 대해 상기 키 레이아웃을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자판 배열부는 상기 아날로그 스틱의 가상 이미지에 일정간격으로 특정 개수의 키를 배치하여 상기 자판을 배열하고 상기 트리거 또는 상기 그랩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자판을 변경하여 키 입력 개수를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자판 배열부는 상기 원형 버튼들을 각각 삭제, 띄워 쓰기, 입력, 전환 키로 할당하고 상기 전환 키로 할당된 버튼 입력을 통해 상기 자판 배열을, 알파벳의 경우에는 대소문자 변경하고 특수문자의 경우에는 종류 변경하고 숫자의 경우에는 연산자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자판 배열부는 영어 알파벳 26개를 8개씩 4개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버튼들 중 자판 배열 변경 키로 지정된 버튼 입력에 따라 자판 배열을 그룹 단위로 변경하여 상기 아날로그 스틱의 상하 및 좌우 조작 방향에 배치하고, 상기 아날로그 스틱의 클릭 조작을 숫자 키 전환 입력으로 할당하여 상기 아날로그 스틱의 클릭 조작시 자판 배열을 숫자키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자판 배열부는 알파벳 'a' 부터 'h'까지의 8개 키를 제1 그룹으로 하여 기본 자판배열로 하고, 트리거 2개 중 자판 변경 입력이 할당되는 일측 트리거의 사용자 누름 동작 동안 상기 아날로그 스틱의 상하 및 좌우 조작 방향에 배치된 자판배열을 알파벳 'i'부터 'p'까지의 제2 그룹의 키입력 자판으로 변경하고, 자판 변경 입력이 할당되는 그랩 버튼 2개 중 일측 그랩 버튼의 사용자 누름 동작 동안 상기 자판배열을 알파벳 'q'부터 'x'까지의 제3 그룹의 키입력 자판으로 변경하고, 다른 일측 그랩 버튼의 사용자 누름 동작 동안 상기 자판배열을 알파벳 'y' 및 'z'와 특수문자로 된 제4 그룹의 키입력 자판으로 변경하고 상기 사용자 누름 동작의 해제시 상기 기본 자판배열로 복귀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은 가상공간 내에서 원격의 컴퓨터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VR 컨트롤러의 물리적 버튼과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문자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은 VR 기기의 컨트롤러 상에 있는 물리 버튼들의 조합을 통해 입력 가능한 문자 범위를 확대하여 별도의 입력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을 위한 VR 컨트롤러의 키 레이아웃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100)은 VR 단말(110), VR 컨트롤러(130) 및 PC 단말(150)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VR 단말(110)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장치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AR Glass 등 VR/AR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다양한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VR 단말(110)은 PC 단말(150)과 상호 연동하여 PC 단말(150)로부터 수신된 3차원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VR 단말(110)은 3차원 가상 공간을 재생할 수 있고, 3차원 가상 공간에 응용 프로그램 실행 화면이 통합된 3차원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여기에서, VR 단말(110)은 3차원 가상 공간을 재생하는 동안 본 발명에 따른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을 위한 구체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VR 단말(110)은 사용자의 VR 컨트롤러(130) 조작에 따른 컨트롤 입력을 생성하여 PC 단말(150)에게 전송할 수 있다. VR 단말(110)은 VR 컨트롤러(130)의 물리 버튼 입력을 적절한 문자 입력 방식으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VR 컨트롤러(130)는 VR 단말(110)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공간에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VR 컨트롤러(130)는 HMD 컨트롤러, 오큘러스 컨트롤러 등의 VR 기기 컨트롤러로, 컨트롤 입력을 위한 여러 개의 물리 버튼들이 구비된다. 여기에서, VR 컨트롤러(130)에 있는 물리 버튼들의 키 레이아웃을 지정하여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따라 VR 단말(110)은 지정된 키 배열로부터 문자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PC 단말(150)은 가상 공간을 포함하는 3차원 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VR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 또는 이를 수행하는 독립된 서버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즉, PC 단말(150)은 클라우드 서버로 구현되는 경우 클라우드 단말에 해당할 수 있다. PC 단말(150)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VR 단말(110)과 연동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는 블루투스, WiFi, 5G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C 단말(150)은 VR 단말(110)의 요청을 수신하여 원격의 사용자 컴퓨팅 장치(미도시)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고 사용자 컴퓨팅 장치로부터 수신된 캡쳐 데이터를 기초로 가상 공간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이 통합된 3차원 영상을 VR 단말(1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PC 단말(150)은 VR 단말(110)로부터 문자 입력을 받을 수 있고, 이를 기초로 원격의 사용자 컴퓨팅 장치에서 문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성된 문서를 VR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PC 단말(150)은 VR 단말(110)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XR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100)은 자판 배열부(210), 키 입력 수신부(230), 문자 입력부(250) 및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VR 컨트롤러(130)는 VR 단말(110)과 연동하여 가상 공간에서 움직일 수 있고 물건을 잡고, 던지고, 쌓고, 누르는 다양한 동작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복수의 버튼들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오큘러스 컨트롤러의 경우에는 좌우 한쌍의 컨트롤러로 이루어지며, 아날로그 스틱, 트리거, 그랩 버튼, 원형 버튼들(X,Y,a,b,오큘러스 버튼 등)을 구비한다. 아날로그 스틱은 주로 엄지손가락으로 조작하는 부분으로 스틱을 360도로 조작할 수 있고 누를 수도 있다. 주로 이동이나 회전 등에 사용된다. 트리거(Triggers)는 게임 등에서 총을 쏘거나 무언가 선택할 때 주로 사용한다. 그랩 버튼은 손으로 무언가를 잡거나 주먹을 쥐거나 할 때 사용한다. X,Y,a,b 버튼은 게임 패드에서 주로 사용하는 버튼으로 기술을 쓰거나 아이템 단축키 등으로 활용한다. 오큘러스 버튼은 오큘러스 홈화면을 불러올 때 사용한다.
자판 배열부(210)는 VR 컨트롤러(130)에 구비되는 복수의 버튼들에 대해 문자 입력을 위한 키 레이아웃을 지정하고 지정된 키 레이아웃에 따라 가상 공간 상에 키버튼들이 배치된 자판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판 배열부(210)는 VR 컨트롤러(130)의 아날로그 스틱으로 문자를 선택하고 나머지 트리거, 그랩버튼, 원형버튼으로 선택 가능한 문자 범위를 변경하도록 키 레이아웃을 지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판 배열부(210)는 VR 컨트롤러(130)의 아날로그 스틱 2개의 상하좌우를 알파벳 순서대로 영문자 “a,b,c,d” 및 “e,f,g,h”의 기본 8개 키버튼으로 지정하고, 좌측 트리거, 좌측 그랩, 우측 그랩을 자판 변경 버튼으로 지정하여 자판 변경 버튼 입력에 따라 아날로그 스틱 상의 상하좌우를 다음 알파벳 순서의 영문자 키버튼으로 변경하여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판 배열부(210)는 VR 컨트롤러(130)의 아날로그 스틱의 상하 및 좌우 조작 방향에 대해 자판 배열을 변경해가면서 총 32개의 문자 입력 키버튼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자판 배열부(210)는 VR 컨트롤러(130)의 좌측 트리거, 좌측 그랩 및 우측 그랩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자판 변경이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자판 배열부(210)는 좌측 트리거 또는 좌측 그랩 또는 우측 그랩 버튼의 누름이 해제되면 기본 키 입력 자판으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다. 자판 배열부(210)는 우측 트리거에 대해 마우스 포인터와 같이 선택키로 할당할 수 있다.
자판 배열부(210)는 VR 컨트롤러(130)에 구비되어 있는 X,Y,a,b버튼 각각을 삭제키(delet 또는 backspace), 띄어쓰기(space), 입력(enter), 전환(shift)으로 할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환키는 지정된 키 레이아웃을 한번 더 변경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파벳의 경우 대소문자의 변경, 특수문자의 경우 종류 변경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자판 배열부(210)는 좌우 아날로그 스틱을 누르면 숫자 변환 및 한/영 키로 할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환(shift), 숫자 변환, 한/영 키는 한번 누르면 키 상태로 변환되고 다시 눌러야 원래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자판 배열부(210)는 VR 단말(110)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VR 컨트롤러(130)의 각 아날로그 스틱 가상 이미지에 키를 배치하여 자판을 배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자판 배열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VR 컨트롤러(130)에 구비되는 복수의 버튼들 중 자판 배열 변경으로 지정된 버튼 조작 신호가 수신되면 가상 공간 상에 배치된 자판의 배열을 변경할 수 있다.
키 입력 수신부(230)는 사용자의 VR 컨트롤러(130)의 버튼 조작에 따라 키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VR 컨트롤러(130)의 아날로그 스틱의 방향을 조작하여 가상 공간 상에 배치된 자판 배열에서 원하는 문자나 숫자 키를 선택할 수 있다. 키 입력 수신부(230)는 사용자의 키 선택에 따른 VR 컨트롤러(130)의 버튼 조작 신호를 키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다.
문자 입력부(250)는 수신되는 키입력을 가상 공간 상에 배치된 자판 배열에 따라 문자로 변경하여 문자 입력하고 입력된 문자를 PC 단말(15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자판 배열부(210), 키 입력 수신부(230) 및 문자 입력부(2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문자 입력 시스템(100)은 가상 환경에서 자판 배열부(210)를 통해 VR 컨트롤러(130)에 구비되는 물리적 버튼들에 할당되는 자판 배열을 VR 화면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단계 S310).
문자 입력 시스템(100)은 키 입력 수신부(230)를 통해 사용자의 VR 컨트롤러(130)의 버튼 조작에 따른 키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S330).
문자 입력 시스템(100)은 문자 입력부(250)를 통해 수신되는 컨트롤러 작동 신호를 자판 배열의 키입력으로 변환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단계 S350).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VR 컨트롤러의 키 레이아웃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VR 컨트롤러(130)는 사용자가 한손 또는 양손에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1개 또는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VR 컨트롤러(130)는 2개의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지만 1개의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문자 입력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VR 컨트롤러(130)는 아날로그 스틱(410a,410b), 트리거(420a,420b), 그랩 버튼(430a,430b), X 및 Y 버튼(440a,440b), a 및 b 버튼(450a,450b)을 포함할 수 있다. 아날로그 스틱(410a,410b)은 360도로 조작할 수 있으며 클릭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아날로그 스틱(410a,410b)의 상하 및 좌우 방향에 문자 입력을 위한 8개의 가상 키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가상 키들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치 간격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VR 컨트롤러(130)의 물리 버튼이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날로그 스틱(410a,410b)의 상하 및 좌우 조작 방향에 각각 영어 알파벳 제1 그룹이 배열되는 기본 키입력 자판으로 할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그룹은 'a', 'b', 'c', 'd' 및 'e', 'f', 'g', 'h'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영어 알파벳 26개를 8개씩 4개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자판 배열을 그룹 단위로 변경할 수 있다. 아날로그 스틱(410a,410b)은 클릭 조작에 각각 '한/영 변환' 및 '숫자 키 전환' 입력이 할당되어 상하 및 좌우 조작 방향에 할당된 키입력을 한글 모음 및 자음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숫자로 변경할 수 있다.
트리거(420a,420b) 중 일측에 있는 트리거(420a)는 '자판 변경' 입력이 할당되어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420a) 조작시 아날로그 스틱(410a,410b) 상에 배열되는 기본 키입력 자판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경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보면, 좌측 트리거(420a)를 누른 상태에서는 아날로그 스틱(410a,410b)의 상하 및 좌우 조작 방향에 배치된 기본 8개 키입력이 알파벳 제2 그룹인 'i', 'j', 'k', 'l' 및 'm', 'n', 'o', 'p'의 키입력 자판으로 변경 할당될 수 있다. 트리거(420a,420b) 중 나머지 일측에 있는 트리거(420b)는 가상 공간 상의 특정 지점을 가리키는 포인터로 할당될 수 있고, 이럴 경우 문자 입력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랩 버튼(430a,430b) 또한, '자판 변경' 입력이 할당되어 사용자에 의해 그랩 버튼(430a,430b) 조작시 아날로그 스틱(410a,410) 상에 배열되는 가상의 키입력 자판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경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보면, 좌측 그랩 버튼(430a)를 누른 상태에서는 아날로그 스틱(410a,410b)의 상하 및 좌우 조작 방향에 배치된 8개 키입력이 알파벳 제3 그룹인 'q', 'r', 's', 't' 및 'u', 'v', 'w', 'x'의 키입력 자판으로 변경 할당될 수 있다. 도 7을 보면, 우측 그랩 버튼(430b)을 누른 상태에서는 아날로그 스틱(410a,410b)의 상하 및 좌우 조작 방향에 배치된 8개 키입력이 알파벳 제4 그룹인 'y', 'z'와 특수문자 '?', '!' 및 ',', '‘’', '′', '“”'의 키입력 자판으로 변경 할당될 수 있다.
X 및 Y 버튼(440a,440b)은 '띄워 쓰기(space)' 및 '전환(shift)' 입력이 할당되어 사용자에 의해 X 버튼(440a) 조작시 입력되는 문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가 Y 버튼(440b)을 조작하는 경우에는 아날로그 스틱(410a,410b) 상에 배열되는 가상의 키입력 자판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경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보면, 아날로그 스틱(410a,410b)의 상하 및 좌우 조작 방향에 배치된 8개의 키입력이 알파벳의 소문자인 상태에서 Y 버튼(440b)을 누르면 대문자의 키입력 자판으로 변경 할당될 수 있다. 아날로그 스틱(410a,410b)의 상하 및 좌우 조작 방향에 배치된 8개의 키입력이 특수문자인 경우에 Y버튼(440b)을 누르면 특수문자의 종류를 변경 할당할 수 있다. 특수 문자의 경우, 도 7과 같이 우측 그랩 버튼(430b)을 누른 상태에서 Y 버튼(440b)을 여러 번 누를 수 있도록 하여 누를 때마다 특수문자의 종류가 변경 할당되어 많은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a 및 b 버튼(450a,450b)은 '삭제' 및 '입력'으로 키 할당되어 사용자에 의해 a 버튼(450a) 조작시 입력되는 문자를 삭제할 수 있다. 사용자가 b 버튼(450b)을 조작하는 경우에는 문자 입력을 완료할 수 있다.
도 9는 우측 아날로그 스틱(410b)을 클릭하여 숫자키를 누른 상태로, 아날로그 스틱(410a,410b)의 상하 및 좌우에 배치된 8개의 키입력이 10개의 숫자 키입력 자판으로 변경 배열될 수 있다. 숫자는 '0'에서 '9'까지 10개이므로 아날로그 스틱(410a,401b) 각각에 5방향으로 키입력을 배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Y 버튼(440b)을 클릭하여 전환을 누르면 아날로그 스틱(410a,410b) 상에 배열된 숫자 키입력 자판이 연산자(예: +, -, *, / 등)를 입력할 수 있는 키입력 자판으로 변경 할당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은 XR 오피스에서 다른 입력도구(예: 키보드, 마우스 등)를 갖추지 않아도 효과적으로 문서작업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활용하여 피로하지 않게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110: VR 단말 130: VR 컨트롤러
150: PC 단말
210: 자판 배열부 230: 키입력 수신부
250: 문자 입력부 270: 제어부
410a,410b: 아날로그 스틱 420a,420b: 트리거
430a,430b: 그랩 버튼 440a: X 버튼
440b: Y 버튼 450a: a 버튼
450b: b 버튼

Claims (6)

  1. VR 컨트롤러에 구비되는 복수의 버튼들에 대해 문자 입력을 위한 키 레이아웃을 지정하고 지정된 키 레이아웃에 따라 가상 공간 상에 키가 배치된 자판을 배열하는 자판 배열부;
    상기 복수의 버튼들 중 사용자의 버튼 조작에 해당되는 키 입력을 수신하는 키 입력 수신부; 및
    수신되는 상기 키 입력을 상기 자판의 배열에 따라 할당된 문자로 변환하여 문자 입력을 생성하는 문자 입력부를 포함하는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 배열부는
    상기 복수의 버튼들 중 아날로그 스틱으로 문자를 선택하고 트리거와 그랩 버튼 및 원형 버튼들로 선택하는 상기 문자의 범위를 변경하도록 상기 복수의 버튼들에 대해 상기 키 레이아웃을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 배열부는
    상기 아날로그 스틱의 가상 이미지에 일정간격으로 특정 개수의 키를 배치하여 상기 자판을 배열하고 상기 트리거 또는 상기 그랩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상기 자판을 변경하여 키 입력 개수를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 배열부는
    상기 원형 버튼들을 각각 삭제, 띄워 쓰기, 입력, 전환 키로 할당하고 상기 전환 키로 할당된 버튼 입력을 통해 상기 자판 배열을, 알파벳의 경우에는 대소문자 변경하고 특수문자의 경우에는 종류 변경하고 숫자의 경우에는 연산자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 배열부는
    영어 알파벳 26개를 8개씩 4개의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복수의 버튼들 중 자판 배열 변경 키로 지정된 버튼 입력에 따라 자판 배열을 그룹 단위로 변경하여 상기 아날로그 스틱의 상하 및 좌우 조작 방향에 배치하고, 상기 아날로그 스틱의 클릭 조작을 숫자 키 전환 입력으로 할당하여 상기 아날로그 스틱의 클릭 조작시 자판 배열을 숫자키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판 배열부는
    알파벳 'a' 부터 'h'까지의 8개 키를 제1 그룹으로 하여 기본 자판배열로 하고, 트리거 2개 중 자판 변경 입력이 할당되는 일측 트리거의 사용자 누름 동작 동안 상기 아날로그 스틱의 상하 및 좌우 조작 방향에 배치된 자판배열을 알파벳 'i'부터 'p'까지의 제2 그룹의 키입력 자판으로 변경하고, 자판 변경 입력이 할당되는 그랩 버튼 2개 중 일측 그랩 버튼의 사용자 누름 동작 동안 상기 자판배열을 알파벳 'q'부터 'x'까지의 제3 그룹의 키입력 자판으로 변경하고, 다른 일측 그랩 버튼의 사용자 누름 동작 동안 상기 자판배열을 알파벳 'y' 및 'z'와 특수문자로 된 제4 그룹의 키입력 자판으로 변경하고 상기 사용자 누름 동작의 해제시 상기 기본 자판배열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KR1020220083199A 2022-07-06 2022-07-06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KR202400067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199A KR20240006752A (ko) 2022-07-06 2022-07-06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199A KR20240006752A (ko) 2022-07-06 2022-07-06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752A true KR20240006752A (ko) 2024-01-16

Family

ID=8971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199A KR20240006752A (ko) 2022-07-06 2022-07-06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675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559A (ko) 2019-06-07 2022-02-15 페이스북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자가-햅틱 가상 키보드를 갖는 인공 현실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8559A (ko) 2019-06-07 2022-02-15 페이스북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자가-햅틱 가상 키보드를 갖는 인공 현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50196B1 (en) Data processing system using gesture-based input data
Bowman et al. Novel uses of Pinch Gloves™ for virtual environment interaction techniques
JP4501018B2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入力装置
US20060202865A1 (en) Text entry coding system and handheld computing device
US20140329593A1 (en) Text entry using game controller
US7859830B2 (en) Mobile quick-keying device
CN101589425A (zh) 将数据输入计算系统的系统和方法
JP2008521112A (ja) データを制御し入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KR20220044443A (ko) 버튼에 배정된 특정 그룹 문자 배정 변환 방법
US96066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 to electronic devices
US20090109173A1 (en) Multi-function computer pointing device
JP2007035059A (ja) 計算装置用のマン/マシンインタフェース
US20050057508A1 (en) Multiple keypad mouse system
KR20040101560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1039284B1 (ko) 터치식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130227477A1 (en) Semaphore gesture for human-machine interface
EP0895153B1 (en) Data input device and method
KR20240006752A (ko) Vr 컨트롤러를 이용한 문자 입력 시스템
TWI631484B (zh) 基於方向的文字輸入方法及其系統與電腦可讀取記錄媒體
KR100762944B1 (ko) 화면자판 편집기와 편집방법
WO2021178255A1 (en) Electronic input system
Sandnes et al. Multi-switch scanning keyboards: A theoretical study of simultaneous parallel scans with QWERTY layout
KR100448261B1 (ko) 컴퓨터 키보드에 근거한 수식 편집 방법 및 그 기록매체
JP2003263264A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WO2010031123A1 (en) Input apparatus and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