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6438A - 발광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표시장치와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발광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표시장치와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6438A
KR20240006438A KR1020230081588A KR20230081588A KR20240006438A KR 20240006438 A KR20240006438 A KR 20240006438A KR 1020230081588 A KR1020230081588 A KR 1020230081588A KR 20230081588 A KR20230081588 A KR 20230081588A KR 20240006438 A KR20240006438 A KR 20240006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element
area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1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켄타로 이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308797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4008843A/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06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64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09G2300/0861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with additional control of the display period without amending the charge stored in a pixel memory, e.g. by means of additional select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09G2320/048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using evaluation of the usage tim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2Test circuits or failure detection circuits included in a display system, as permanent part thereof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5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originating from the display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제1발광 영역과, 상기 제1발광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발광 영역보다도 면적이 큰 제2발광 영역을 가지고, 제1발광 소자가 상기 제1발광 영역에 구비되고, 제2발광 소자가 상기 제1발광 영역에 구비되지 않고 상기 제2발광 영역에 구비되는, 발광 장치로서, 상기 발광 장치는 상기 제1발광 영역만이 발광하는 제1발광 형태와, 상기 제2발광 영역이 발광하는 제2발광 형태를 가지고, 상기 발광 장치는, 상기 제2발광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 소자의 발광량과 상기 제2발광 소자의 발광량과의 차이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발광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표시장치와 전자기기{LIGHT EMITT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본 발명은, 발광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표시장치와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러 가지 발광 소자가 개발되어, 이러한 발광 소자들을 매트릭스 배치하여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발광 소자의 성능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는 여러 가지 디바이스가 개발되고, 그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의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들 중에는, 사용 조건에 따라 표시하는 면적이 다른 일부의 표시장치가 알려져 있다. 일례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다.
일본 특허공개 2015-038606호 공보에는, 폴더블 디스플레이가 접힐 때와 사용중 접히지 않을 때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의 결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5-038606호 공보에 기재된 표시장치는, 그 표시 영역의 크기가 변화되지만, 그 표시 영역간에 있어서의 사용 시간의 차이를 보상할 수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이 표시장치는, 상이한 사용 시간으로 인해 표시 영역간의 휘도열화의 차이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발광 영역이 변화되는 발광 장치에 있어서의, 표시 영역간의 휘도열화의 차이를 저감한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른 발광 장치는, 제1발광 영역과, 상기 제1발광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발광 영역보다도 면적이 큰 제2발광 영역을 가지고, 제1발광 소자가 상기 제1발광 영역에 구비되고, 제2발광 소자가 상기 제1발광 영역에 구비되지 않고 상기 제2발광 영역에 구비되는, 발광 장치로서, 상기 발광 장치는 상기 제1발광 영역만이 발광하는 제1발광 형태와, 상기 제2발광 영역이 발광하는 제2발광 형태를 가지고, 상기 발광 장치는, 상기 제2발광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 소자의 발광량과 상기 제2발광 소자의 발광량과의 차이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 형태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의 제1발광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도1b는 본 발명의 그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의 제2발광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도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의 제1발광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도2b는 본 발명의 그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의 제2발광 형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도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도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도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도5b는 접기 가능한 표시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도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도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용 등도구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도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도7b는 촬상 장치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본 발명의 측면에 따른 발광 장치는, 제1발광 영역과, 상기 제1발광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발광 영역보다도 면적이 큰 제2발광 영역을 가지고, 제1발광 소자가 상기 제1발광 영역에 구비되고, 제2발광 소자가 상기 제1발광 영역에 구비되지 않고 상기 제2발광 영역에 구비되는, 발광 장치로서, 상기 발광 장치는 상기 제1발광 영역만이 발광하는 제1발광 형태와, 상기 제2발광 영역이 발광하는 제2발광 형태를 가지고, 상기 발광 장치는, 상기 제2발광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 소자의 발광량과 상기 제2발광 소자의 발광량과의 차이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는, 제1발광 영역과, 상기 제1발광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발광 영역보다도 면적이 큰 제2발광 영역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장치가 표시면이 외측을 향한 채 접어질 수 있는 폴더블 표시장치이면, 접은 그 표시장치 중 일측이 상기 제1발광 영역이다. 접히지 않은 상기 표시장치의 전체면은, 상기 제2발광 영역이다. 또는, 표시장치의 표시면의 일부가 제1발광 영역이며, 해당 일부를 구비하는 전체면이 제2발광 영역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는, 상기 발광 장치의 자세를 검지하는 검지부를 포함하여도 된다. 이 발광 장치는, 상기 제1발광 영역만이 발광하는 제1발광 형태와, 상기 제2발광 영역이 발광하는 제2발광 형태를 가져도 좋다. 상기 제1발광 형태와 상기 제2발광 형태는 상기 검지부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전환된다.
상기 제1발광 영역은 제1발광 소자를 구비한다. 상기 제1발광 영역이외의 제2발광 영역의 영역은 제2발광 소자를 구비한다. 상기 제1발광 소자 및 제2발광 소자는, 전류구동소자이여도 좋다. 상기 전류구동소자는 구동시간과 함께 그 발광 휘도가 저하될 수 있고, 상기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와의 휘도의 차이는 클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휘도의 차이를 저감하는 제어부는, 그 전류구동소자에 대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형태에서 사용된 발광 소자는, 유기발광 소자이여도 좋다. 유기발광 소자는, 발광 시간에 따라 발광 휘도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발광 영역에 사용된 발광 소자가 유기발광 소자일 경우에는, 상기 제1 및 제2발광 영역의 휘도의 차이가 생기기 쉬우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부는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부는,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와의 광량의 차이를 검지하고, 그 차이를 저감하도록 각각의 발광 소자의 광량을 제어한다. 광량의 조정은, 휘도를 조정해도 좋거나, 발광 시간을 조정해도 좋다. 그 파라미터의 양쪽을 조정해도 좋고, 다른 파라미터들도 조정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부는, 일정 전류가 제1발광 소자 및 제2발광 소자를 통과할 때 상기 제1발광 소자 및 제2발광 소자의 전압을 검지하여, 열화를 추정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는 상기 제어부는, 제1발광 소자가 제1 발광 휘도로 발광할 때의 제1전류값과, 제2발광 소자가 제1 발광 휘도로 발광할 때의 제2전류값을, 취득하는 전류측정부를 구비해도 좋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측정부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또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전류값과 제2전류값에 근거하여,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와의 발광량의 차이를 저감해도 좋다.
열화는, 일정 전류가 상기 제1발광 소자 및 제2발광 소자를 통과할 때의 휘도를 측정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추정되어도 좋다. 그 휘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수광소자를 추가해도 좋다. 수광소자는, 발광 소자를 구동하는 회로에 내장되어도 좋다. 수광소자를 구비하는 회로는, 발광 소자의 구동회로와는 별도로 설치되어도 좋다. 수광소자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신호를 생성해도 좋다. 수광소자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발광 소자에 인가된 전압을 조정할 수 있는 구동회로를 사용해도 좋다. 다시 말해, 발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는 상기 제어부는, 수광부를 더 구비해도 좋고, 수광부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와의 발광량의 차이를 저감해도 좋다.
상기 제어부는, 수광부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화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와의 광량의 차이를 저감해도 좋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수광부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발광 소자 또는 상기 제2발광 소자에 인가된 전압을 증가 또는 저감해도 좋다. 다시 말해, 수광부로부터의 신호로부터 화상신호를 생성하지 않고 발광 소자의 트랜지스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발광량의 차이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발광 소자 및 제2발광 소자의 각각이 발광한 총 시간으로부터 상기 제1발광 소자 및 제2발광 소자의 열화를 추정해도 좋다. 시간으로부터 열화를 추정하는 방법은, 시간과 열화도의 테이블을 사용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는 제어부는, 발광의 적산 시간을 측정하는 시간측정부를 더 구비하고, 각각의 시간측정부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발광 소자와 상기 제2발광 소자와의 발광량의 차이를 저감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는 제어부는, 제1발광 소자의 휘도 또는 제2발광 소자의 휘도를, 증가 또는 저감해도 좋다.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와의 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는 제어부는, 제1발광 소자의 발광 시간 또는 제2발광 소자의 발광 시간을, 증가 또는 저감해도 좋다.
도1a 및 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도1a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가 접어진 상태를 나타낸다. 발광 장치(10)는, 제1발광 영역(1)과, 제1발광 영역(1)을 구비하고 상기 제1발광 영역(1)보다도 면적이 큰 제2발광 영역(2)을 구비한다. 제1발광 영역(1)에는, 제1발광 소자가 구비되어 있다. 제1발광 영역(1)이외의 제2발광 영역(2)의 영역에는, 제2발광 소자가 포함되어 있다. 도1a는, 제1발광 영역(1)만이 발광하는 제1발광 형태를 나타낸다.
제1발광 형태에 있어서, 제2발광 소자는 발광하지 않는다.
제1발광 형태와 제2발광 형태의 양쪽에 있어서 제1발광 소자는 발광한다. 이에 반해서, 제2발광 소자는, 제2발광 형태에서만 발광한다. 이에 따라 발광의 시간에 차이가 생긴다. 발광의 시간의 차이에 의해, 각각의 광량의 저하량에 차이가 생길 수 있다. 도1b는,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로 단일의 화상을 형성하고, 그 화상내에서의 광량의 차이가 생길 수 있는, 제2발광 형태를 나타낸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는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와의 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의 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도록 제1발광 소자 및 제2발광 소자를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부는, 제1발광 소자의 휘도 저하와, 제2발광 소자의 휘도 저하와의 차이를, 일정 전류가 발광 소자를 통과할 때 각각의 발광 소자에 인가된 전압에 근거하여 추정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에 있어서 측정된 전압간의 차이가 오차의 범위를 초과했을 경우에, 즉시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와의 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도록 제어를 실행해도 좋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에 있어서 측정된 전압간의 차이가 특정한 차이를 초과했을 경우에,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와의 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도록 제어를 실행해도 좋다.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에 있어서 측정된 전압간의 차이가 그 특정한 차이를 초과했을 경우에 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도록 제어를 실행했을 경우에는, 이후의 발광에 있어서는 항상 광량의 차이가 저감되도록 제어된다. 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는 제어를 행하면서도, 더욱 광량의 차이가 나타날 경우에는, 다시 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는 제어를 실행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발광 소자 및 제2발광 소자의 열화를 추정할 때의 상기 전류와 상기 전압과의 관계를 교체해도 좋다. 구체적으로, 일정 전압을 제1발광 소자 및 제2발광 소자에 인가하고, 각각의 발광 소자를 통과한 전류값으로부터 열화를 추정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발광 소자 및 제2발광 소자에 일정 전류를 통과시키고 각각의 발광 소자에 인가된 전압을 측정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1발광 소자 및 제2발광 소자의 열화가 추정될 수 있다. 또는, 제1발광 소자 및 제2발광 소자에 일정 전압을 인가하고 각각의 발광 소자를 통과한 전류를 측정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1발광 소자 및 제2발광 소자의 열화가 추정될 수 있다.
제2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와의 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는 제어부는, 수광소자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제1발광 소자의 휘도와 제2발광 소자의 휘도를 측정하고, 측정에 근거하여 제1발광 소자의 발광량과 제2발광 소자의 발광량과의 차이를 저감한다. 즉, 제1발광 소자 및 제2발광 소자의 열화는, 상기 제1실시 형태와 상이한 방법으로 추정된다.
수광소자는, 제1발광 소자로부터의 발광을 수광하여서 얻어진 신호를 화상신호를 생성하는 회로에 송신해도 좋다. 화상신호를 생성하는 회로는, 수광소자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제1발광 소자를 위해 의도된 화상신호를 생성한다. 수광소자로부터의 신호로부터 제1발광 소자가 열화된다고 추정되면, 제1발광 소자를 위해 의도된 화상신호의 진폭은 보다 크게 설정된다. 즉, 제1발광 소자가 보다 밝게 만들어져도 좋다. 제1발광 소자를 보다 밝게 만드는 것은, 휘도량을 보다 크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제1발광 소자가 수광소자로부터의 상기 신호로부터 열화된다고 추정되면, 제1발광 소자는 보다 길게 발광하도록 제어되어도 좋다.
또는, 수광소자로부터의 신호는, 상기 제1발광 소자 또는 제2발광 소자에 접속되어 있는 트랜지스터에 전달되어, 제1발광 소자의 휘도 또는 제2발광 소자의 휘도를 증가 또는 저감시켜도 좋다.
수광소자가 받은 광의 휘도의 차이가 오차의 범위를 초과했을 경우에, 즉시 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는 제어를 실행해도 좋다. 또는, 수광소자가 받은 광의 휘도의 차이가 일정 레벨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발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도록 상기 제어를 실행해도 좋다.
제3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와의 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는 제어부는, 제1발광 소자의 총 발광 시간을 측정하는 부와, 제2발광 소자의 총 발광 시간을 측정하는 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발광 소자의 총 발광 시간과 상기 제2발광 소자의 총 발광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에 근거하여 상기 제1발광 소자의 발광량과 상기 제2발광 소자의 발광량과의 차이를 저감한다.
즉, 제1발광 소자 및 제2발광 소자의 열화는, 상기 제1실시 형태와 상이한 방법에 의해 추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와의 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는 제어부는,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의 총 발광 시간을 비교한다. 상기 제어부는, 그 차이가 일정 레벨 이상일 경우에,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와의 발광량의 차이를 저감한다. 총 발광 시간의 측정은,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 중 어느 한쪽이여도 좋다.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 중 어느 한쪽의 총 발광 시간이 측정되고, 측정된 제1발광 소자 또는 제2발광 소자의 총 발광 시간이 일정 레벨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열화의 차이가 일정 레벨 이상이 된다고 판단하여,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와의 광량의 차이를 저감한다.
총 발광 시간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열화를 추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총 발광 시간의 차이로부터 열화의 정도를 추정하는 테이블을 사용하여 상기 열화의 정보를 결정하여도 좋다. 상기 테이블은, 총 발광 시간과 열화의 정도간의 관계를 미리 나타낸다. 상기 테이블은, 상기 발광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메모리에 기억되어도 좋다. 상기 발광 장치에의 접속은, 유선 또는 무선이여도 좋다.
제4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는, 제2발광 소자만이 발광하고, 제1발광 소자가 발광하지 않는, 제3발광 형태를 가져도 좋다. 제1발광 소자의 총 발광 시간과, 제2발광 소자의 총 발광 시간과의 차이가 큰 경우에, 해당 차이는, 제1발광 소자가 발광하지 않고 제2발광 소자만을 사용하여 표시를 행하는 제3발광 형태에서의 발광에 의해 단축되어도 좋다. 폴더블 표시장치의 경우에, 표면의 제1발광 소자가 발광하는 상태를 계속하고 있으면, 이면의 제2발광 소자와의 총 발광 시간의 차이가 증가한다. 그 때문에, 이면의 제2발광 소자만을 발광시키는 제3발광 형태의 통상의 사용은,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와의 총 발광 시간의 차이를 저감할 수 있다. 유저의 의도로 제3발광 형태를 사용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의 제어부는, 제2발광 소자의 광량과 제1발광 소자의 광량과의 차이에 근거하여, 제3발광 형태에서의 발광 장치를 사용하여 유저에게 추천하는 표시를 제공하는 추천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추천부는, 표시부를 통해 제3발광 형태에서의 발광 장치를 사용할 것을 유저에게 재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와의 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는 제어부는, 제2발광 형태에 있어서, 제2발광 영역에 표시된 화상에 근거하여, 제1발광 소자 또는 제2발광 소자 중 어느 한쪽에 대한 휘도를 조정하는 부이여도 좋다. 그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제1발광 소자의 발광량으로 제2발광 소자의 발광량을 조정하기 위해서 제2발광 소자의 발광량을 저감하거나, 또는, 제1발광 소자의 발광량을 제2발광 소자의 발광량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제1발광 소자의 발광량을 증가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조정할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구비해도 좋다. 다시 말해, 상기 제어부는, 제2발광 형태에 있어서, 제2발광 영역에 표시된 화상에 근거하여 제2발광 영역의 광량을 제1발광 소자의 광량에 가까이 할지 또는 제2발광 소자의 광량에 가까이 할지 판단하는 판단부를 구비해도 좋다.
해당 판단부는, 제2발광 형태에 있어서, 표시하는 화상이 큰 발광량을 필요로 할 것인가 아닌가에 따라, 광량을 제2발광 소자의 광량으로 조정할지, 제1발광 소자의 광량으로 조정할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상이 백색 또는 황색 면적을 많이 포함하면, 표시하는 화상이 큰 발광량을 필요로 한다. 한편, 화상이 흑색 또는 청색 면적을 많이 포함하면, 발광량은 작아도 좋다. 상기 화상에 이러한 색들의 면적이 많이 포함되는가는, 화상에 대한 면적비에 근거하여 판단되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는, 제2발광 형태에 있어서, 제2발광 영역에 표시된 화상에 근거하여, 제2발광 영역의 광량을 상기 제1발광 소자의 광량에 가까이 할지 또는 제2발광 소자의 광량에 가까이 할지 유저가 선택하는 선택 지시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발광 장치의 제어부에 의해, 제1발광 소자의 광량 또는 제2발광 소자의 광량에 가까이 할지를 판단시켜도 좋지만, 유저에게 선택시켜도 좋다. 유저는, 상기 제어부가, 광량을 제1발광 소자의 광량 또는 제2발광 소자의 광량에 가까이 하려고 판단했는지를 열람할 수 있고, 그 판단을 고려하여, 광량을 어느 쪽의 발광 소자의 광량에 가까이 할지 지시할 수 있다.
도2a 및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를 나타낸다. 도2a에 기재된 발광 장치는, 발광 장치의 일부만이 발광하는 제1발광 형태에 있다. 도1a 및 1b와의 차이는, 상기 발광 장치가 접기 기구를 갖지 않는 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는, 폴더블 표시장치에 한정되지 않고, 도2a 및 2b와 같이 형태를 변화시키지 않고, 발광 영역만을 변화시키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도2b는, 제1발광 소자 및 제2발광 소자의 양쪽이 표시를 제공하는 제2발광 형태의 발광 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발광 장치는, 도1a 및 1b의 경우와 같이, 제1발광 소자와 제2발광 소자와의 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도2a 및 2b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제3발광 형태를 추천하는 표시가 제공되어도 좋다.
그 밖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는, 소리를 검지하는 마이크와 소리를 방출하는 스피커를 구비하는 휴대전화이여도 좋다. 복수의 마이크와 복수의 스피커가 설치되어도 좋고, 제1발광 영역과, 상기 제1발광 영역이외의 제2발광 영역의 영역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구비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는, 애플리케이션 등의 소프트웨어의 표시 스크린에 사용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는,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근거하여 제1발광 형태 또는 제2발광 형태에서 사용될지의 여부를 표시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는, 상기 제1발광 형태 또는 상기 제2발광 형태에서 애플리케이션 등의 상기 소프트웨어를 표시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발광 장치는, 우세한 유저의 손에 의한 등록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형태는,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좋다.
[유기발광 소자의 구성]
유기발광 소자는, 기판 위에, 절연층, 제1전극, 유기 화합물층 및 제2전극을 형성해서 설치된다. 상기 유기발광 소자 위에는, 보호층, 칼라 필터, 및/또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배치해도 좋다.
칼라 필터를 배치할 경우는, 상기 칼라 필터와 상기 보호층과의 사이에 평탄화층을 배치해도 좋다. 평탄화층은 아크릴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칼라 필터와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와의 사이에 있어서, 평탄화층을 배치하는 경우도 같다.
[기판]
기판의 예들로서는, 석영 기판, 유리 기판, 실리콘 웨이퍼, 수지 기판, 및 금속 기판이 있다. 상기 기판 위에는, 트랜지스터 등의 스위칭 소자나 배선을 배치한다. 그 위에 절연층을 배치해도 좋다. 이 절연층은, 상기 제1전극과의 사이에 배선이 형성하도록, 콘택트 홀을 형성 가능하고, 또한 접속하지 않은 배선과의 절연을 확보할 수 있으면, 어떠한 재료로도 제조되어도 좋다. 사용 가능한 재료들의 예로서는, 폴리이미드 등의 수지, 산화실리콘, 질화실리콘이 있다.
[전극]
전극은, 한 쌍의 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그 한 쌍의 전극은, 양극과 음극이여도 좋다.
유기발광 소자가 발광하는 방향으로 전계를 인가할 경우에, 전위가 높은 전극이 양극이며, 다른 쪽이 음극이다. 발광층에 정공을 공급하는 전극이 양극이며, 전자를 공급하는 전극이 음극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양극의 구성 재료로서는 일함수가 될 수 있는 한 큰 것이 좋다. 사용 가능한 재료들의 예로서는, 금, 백금, 은, 구리, 니켈, 팔라듐, 코발트, 셀레늄, 바나듐 및 텅스텐 등의 금속단체나, 이것들을 포함하는 혼합물, 이것들을 조합한 합금, 및 산화 주석, 산화 아연, 산화 인듐, 산화 주석 인듐(ITO), 산화 아연 인듐 등의 금속산화물이 있다.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및 폴리티오펜 등의 도전성 폴리머도 사용할 수 있다.
이것들의 전극물질은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다. 2종류이상을 병용해서 사용해도 좋다. 양극은, 일층 또는 다층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양극을 반사 전극으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크롬, 알루미늄, 은, 티타늄, 텅스텐, 몰리브덴, 또는 이것들의 합금, 적층한 것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재료들은, 전극 기능 없는 반사막을 형성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양극을 투명전극으로서 사용할 경우에는, 산화 인듐 주석(ITO), 산화 인듐 아연 등의 산화물 투명 도전층을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양극은,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음극의 구성 재료로서는 일함수가 작은 것이 좋다. 사용 가능한 재료들의 예로서는, 리튬 등의 알칼리 금속, 칼슘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 알루미늄, 티타늄, 망간, 은, 납, 크롬 등의 금속단체 또는 이것들을 포함하는 혼합물이 있다. 또한, 이 금속단체들을 조합한 합금도 사용 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재료들의 예로서는, 마그네슘-은, 알루미늄-리튬, 알루미늄-마그네슘, 은-구리, 및 아연-은이 있다. ITO등의 금속산화물도 이용 가능하다. 이 전극물질의 하나는 1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다. 2종류이상을 병용해서 사용해도 좋다. 음극은 일층 또는 다층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물질 중에서 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은의 응집을 저감하기 위해서, 은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은의 응집을 저감할 수 있으면, 합금의 성분은 비율에 있어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은은 다른 금속과 1:1 또는 3:1로 합금될 수 있다.
음극은, 임의의 특정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ITO 또는 다른 산화물 도전층을 사용해서 탑 에미션 소자를 구성하여도 좋다. 알루미늄(Al) 또는 다른 반사 전극을 사용해서 보텀 에미션 소자를 구성하여도 좋다. 음극의 형성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직류 또는 교류 스퍼터링은, 양호한 막 커버리지와 낮은 저항에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화소분리층]
화소분리층은, 화학기상 퇴적법(CVD법)을 사용해서 형성된 실리콘질화물(SiN)막이나 실리콘 산질화물(SiON)막이나 실리콘 산화물(SiO)막으로 형성된다.
유기 화합물층(들)의 면내 방향의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유기 화합물층(들) 또는, 특히 정공수송층은, 화소분리층의 측벽에 있어서 얇게 성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화합물층(들)은, 화소분리층의 측벽의 테이퍼각이나 화소분리층의 두께를 증가시켜, 증착시 가림을 증가시킨 결과, 화소분리층의 측벽에 얇게 성막될 수 있다.
한편, 화소분리층은, 그 위에 형성된 보호층에 틈이 형성되지 않도록, 화소분리층의 측벽 테이퍼각이나 화소분리층의 두께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층에 틈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보호층에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보호층에 결함의 발생을 저감하므로, 다크 스폿의 발생이나, 제2전극의 도통 불량의 발생으로 인해, 신뢰성 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화소분리층의 측벽의 테이퍼각이 급준한 테이퍼각이 아닌 경우에도, 인접화소에의 전하누설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본 검토의 결과, 테이퍼각이 60°이상 90°이하의 범위이면 충분히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화소분리층의 바람직한 두께는, 10nm이상 150nm이하이다. 화소분리층 없이 화소전극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단, 이 경우, 화소전극의 두께는 상기 유기층(들)의 두께의 절반이하 할지, 화소전극의 단부를 60°미만의 순 테이퍼로 하는 것이 유기발광 소자간의 단락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제1전극을 음극, 제2전극을 양극이라고 했을 경우에, 전자수송층 위에 발광층을 형성함으로써 고색역과 저전압 구동이 구현될 수 있다.
[유기 화합물층(들)]
유기 발광소자는, 단일의 유기 화합물층 또는 복수의 유기 화합물층을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복수의 층의 경우에는, 각각의 기능에 따라, 상기 층들을,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블록킹층, 발광층, 정공 블록킹층, 전자수송층, 및/또는 전자주입층이라고 하여도 좋다. 유기 화합물층(들)은, 주로 유기 화합물 또는 유기 화합물들로 형성되지만, 무기원자, 무기화합물을 함유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구리, 리튬, 마그네슘, 알루미늄, 이리듐, 백금, 몰리브덴, 및/또는 아연이 포함되어도 좋다. 유기 화합물층(들)은, 제1전극과 제2전극과의 사이에 위치되어도 좋고, 제1전극 및 제2전극에 접하여서 위치되어도 좋다.
[보호층]
제2전극 위에, 보호층을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제2전극에 흡습제를 수반한 유리판을 접합하여, 유기 화합물층(들)에 대한 물의 침입을 저감하고, 표시 불량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음극 위에 질화실리콘 패시베이션막을 배치하여, 유기 화합물층(들)에 대한 물의 침입을 저감해도 좋다. 예를 들면, 음극의 형성 후에, 진공을 깨지 않고 다른 챔버에 물품을 반송하고, CVD법으로 두께 2μm의 질화실리콘막을 상기 보호층으로서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CVD법의 성막 후에, 원자층 퇴적법(ALD법)으로 보호층을 형성해도 좋다. ALD법에 의한 막의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질화 실리콘, 산화 실리콘, 또는 산화 알루미늄이여도 좋다. 상기 ALD법에 의한 막 위에, 한층 더 CVD법으로 질화 실리콘을 배치하여도 좋다. 상기 ALD법에 의한 막은, CVD법에 의한 막보다도 작은 두께이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ALD법에 의한 막은, CVD법에 의한 막의 두께의 50%이하, 또는, 10%이하이여도 좋다.
[칼라 필터]
보호층 위에 칼라 필터를 배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유기발광 소자의 사이즈를 고려한 칼라 필터를 다른 기판 위에 배치하고, 유기발광 소자를 배치한 상기 기판이 적층되어도 좋다. 앞서 말한 보호층 위에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에 의해, 칼라 필터를 패터닝 해도 좋다. 칼라 필터는, 고분자로 제조되어도 좋다.
[평탄화층]
상기 칼라 필터와 상기 보호층과의 사이에 평탄화층을 배치하여도 좋다. 평탄화층은, 아래의 층들의 요철을 저감할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 목적을 제한하지 않고, 상기 평탄화층을 재질 수지층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평탄화층은 저분자 또는 고분자이여도 좋은 유기 화합물로 제조되어도 좋다. 고분자 평탄화층인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평탄화층은, 칼라 필터의 상하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러한 평탄화층들의 재료는, 동일해도 상이해도 좋다. 이 재료의 구체적인 예들로서는, 폴리비닐칼바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ABS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및 요소 수지가 있다.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상기 발광 장치는, 그 광출사측에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등의 광학부재를 구비하여도 좋다.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는, 아크릴수지나 에폭시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는, 상기 발광 장치로부터 추출하는 광량의 증가나, 출력 광 빔의 방향의 제어를 목적으로 하여도 좋다. 각 마이크로렌즈는, 반구의 형상을 가져도 좋다. 마이크로렌즈가 반구의 형상을 가질 경우, 해당 반구에 접하는 접선 중, 상기 절연층에 평행한 접선이 있고, 그 접선과 반구와의 접점이 마이크로렌즈의 정점이다. 상기 마이크로렌즈의 정점은, 주어진 단면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 단면도에 있어서의 마이크로렌즈의 반원에 접하는 접선 중, 상기 절연층에 평행한 접선이 있고, 그 접선과 반원과의 접점이 마이크로렌즈의 정점이다.
또한, 마이크로렌즈의 중점을 정의할 수도 있다.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단면에 있어서, 원호의 형상이 종료하는 점부터 다른 원호의 형상이 종료하는 점까지의 선분을 가정한다. 해당 선분의 중점이 마이크로렌즈의 중점이라고 말할 수 있다. 상기 정점 및 중점을 판별하는 단면은, 상기 절연층에 수직한 단면이여도 좋다.
마이크로렌즈는 볼록부를 구비한 제1면과, 제1면에 반대인 제2면을 가진다. 제2면이 제1면보다도 기능층(들)에 보다 가까이 위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 상기 발광 장치 위에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층(들)이 유기층 또는 유기층들일 경우에는, 제조 공정에 있어서 고온 공정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면이 제1면보다도 기능층(들)에 보다 가까이 위치되는 경우에는, 유기층(들)을 구성하는 유기 화합물의 유리 전이 온도가 모두 10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30℃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대향기판]
상기 평탄화층 위에는, 대향기판을 배치하여도 좋다. 대향기판은, 전술의 기판에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되기 때문에, 대향기판이라고 불린다. 대향기판의 재료는, 전술의 기판과 같아도 좋다. 대향기판은, 전술의 기판을 제1기판이라고 했을 경우, 제2기판이여도 좋다.
[유기 화합물층(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유기 화합물층(들)(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 블록킹층, 발광층, 정공 블록킹층, 전자수송층, 및/또는 전자주입층)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발광 소자를 구성하는 유기 화합물층(들)은, 진공증착법, 이온화 증착법, 스퍼터링 및 플라즈마 CVD 등의 드라이 프로세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 드라이 프로세스 대신에, 적당한 용매에 용해된 유기재료를 사용하고 공지의 도포법(예를 들면, 스핀 코팅, 디핑, 캐스팅, 랭뮤어 블로젯(LB)법, 잉크젯 인쇄 등)에 의해 용액을 형성함으로써 층을 형성하는 웨트 프로세스를 사용할 수 있다.
진공증착법이나 용액 도포법에 의해 형성된 층들은, 결정화가 발생하기 어렵고 경시 안정성이 뛰어나다. 그 용액 도포법은, 적당한 바인더 수지와 조합하여 성막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의 예들로서는, 폴리비닐칼바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ABS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페놀 수지,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및 요소 수지가 있지만,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러한 바인더 수지들의 각각은, 호모 폴리머 또는 공중합체로서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좋다. 2종류이상을 조합해서 사용되어도 좋다. 필요에 따라서, 가소제, 산화 방지제 및 자외선 흡수제 등의 공지의 첨가제를 병용해도 좋다.
[화소회로]
상기 발광 장치는, 발광 소자에 접속되어 있는 화소회로를 구비하여도 좋다. 화소회로는, 제1의 발광 소자, 제2 발광 소자를 따로따로 발광 제어하는 액티브 매트릭스형 회로이여도 좋다. 액티브 매트릭스형 회로는 전압 프로그래밍 회로 또는 전류 프로그래밍 회로이여도 좋다. 구동회로는, 화소마다 화소회로를 구비한다. 화소회로는, 발광 소자의 발광 휘도를 제어하는 트랜지스터, 발광 타이밍을 제어하는 트랜지스터, 발광 휘도를 제어하는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을 유지하는 용량, 및 상기 발광 소자를 우회하여 접지(GND)에 접속하기 위한 트랜지스터를, 각각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발광 장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 주위의 주변영역을, 구비한다. 표시 영역에는 상기 화소회로를 구비하고, 주변영역에는 표시 제어 회로를 구비한다. 화소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이동도는, 표시 제어 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이동도보다도 작아도 좋다.
상기 화소회로를 구성하는 상기 트랜지스터는,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한 트랜지스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기판의 절연성 표면상에 활성층을 각기 가지는 박막 트랜지스터이여도 좋다. 활성층의 재료의 예들로서는, 단결정 실리콘과, 아모퍼스 실리콘과 미결정 실리콘 등의 비단결정 실리콘과, 인듐 아연 산화물과 인듐 갈륨 아연 산화물등의 비단결정 산화물 반도체가 있다. 또한, 박막 트랜지스터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소자라고도 불린다.
화소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전류전압특성의 기울기는, 표시 제어 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전류전압특성의 기울기보다도 작아도 좋다. 전류전압특성의 기울기는, Vg-Ig특성에 근거하여 측정될 수 있다.
화소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는, 제1의 발광 소자 등의 발광 소자에 접속되어 있는 트랜지스터를 말한다.
[화소]
상기 발광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구비한다. 각 화소는 각각의 상이한 색으로 발광하는 부화소를 구비한다. 부화소는, 예를 들면,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RGB)으로 발광할 수도 있다.
화소는, 화소개구라고도 불리는 영역으로부터 발광한다.
화소개구의 크기는 15μm이하이여도 좋고, 5μm이상이여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 크기는, 11μm, 9.5μm, 7.4μm 또는 6.4μm이여도 좋다.
부화소간 피치는, 10μm이하이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그 피치는, 8μm, 7.4μm 또는 6.4μm이여도 좋다.
화소는, 평면도에 있어서, 종래의 배치로 배열될 수 있다. 예들로서는, 스트라이프 배치, 델타 배치, 펜타일 배치 및 베이어 배치가 있다. 부화소의 평면도에 있어서의 형상은, 종래의 어느 쪽의 형상이여도 좋다. 예들로서는, 직사각형, 마름모꼴등의 4각형, 6각형이 있다. 직사각형은 엄밀한 의미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직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을 하고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부화소의 형상과, 화소 배치를, 임의의 적당한 조합으로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용도]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발광 소자는, 표시장치나 조명 장치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 밖의 용도는, 전자 사진방식의 화상형성 장치의 노광 광원이나,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및 백색광원에 칼라 필터를 가지는 발광 장치의 용도가 있다.
표시장치는, 지역 전하결합소자(CCD) 이미지 센서, 리니어CCD 이미지 센서, 또는 메모리 카드로부터의 화상정보를 입력하는 화상입력부와, 입력된 정보를 처리하는 정보처리부를 구비하여, 입력된 화상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정보처리 장치이여도 좋다.
촬상 장치나 잉크젯 프린터가 가지는 표시부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 터치스크린 기능의 구동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외선, 정전용량, 저항막 또는 전자 유도의 구동방식이 사용되어도 좋다. 상기 표시장치는 멀티펑션 프린터의 표시부로서 사용되어도 좋다.
도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상기 표시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표시장치(1000)는, 상부 커버(1001)와, 하부 커버(1009)와의 사이에, 터치스크린(1003), 표시 패널(1005), 프레임(1006), 회로 기판(1007) 및 배터리(1008)를 구비하여도 좋다. 터치스크린(1003) 및 표시 패널(1005)에는, 플렉시블 프린트 회로(FPC) 1002, 1004가 접속되어 있다. 회로 기판(1007)에는, 트랜지스터가 프린트 되어 있다. 배터리(1008)는, 표시장치(1000)가 휴대 기기가 아니면, 구비될 필요는 없다. 표시장치(1000)가 휴대 기기이여도, 배터리(1008)는 다른 위치에 위치되어도 좋다. 표시 패널(1005)은, 상기 표시 영역을 연장되도록 확장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는, RGB 칼라 필터를 구비하여도 좋다. 칼라 필터는, RGB 델타 배치로 되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는, 휴대 단말의 표시부에 사용되어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 표시장치는 표시 기능과 조작 기능의 양쪽을 가져도 좋다. 휴대 단말의 예들로서는, 스마트 폰 등의 휴대전화, 타블렛,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는,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광학부와, 해당 광학부를 통과한 광을 수광하는 촬상 소자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의 표시부에 사용되어도 좋다. 촬상 장치는, 촬상 소자가 취득한 정보를 표시하는 상기 표시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표시부는, 촬상 장치의 외부에 노출한 표시부이여도, 뷰화인더내에 위치된 표시부이여도 좋다. 촬상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또는 디지털 비디오카메라이여도 좋다.
도4a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촬상 장치(1100)는, 뷰화인더(1101), 배면 디스플레이(1102), 조작부(1103) 및 하우징(1104)을 구비하여도 좋다. 뷰화인더(1101)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를 구비하여도 좋다. 그 경우, 표시장치는, 촬상하는 화상뿐만 아니라, 환경정보, 촬상 지시도 표시하여도 좋다. 환경정보에는, 외광의 강도, 외광의 방향, 피사체가 움직이는 속도, 및/또는 피사체가 차폐물에 차폐될 가능성이 포함되어도 좋다.
도4a에 있어서는, 화면은 고정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의 화면을 확장할 수 있다. 도시된 상태는 제1표시 영역에 상당하고, 상기 확장된 상태는 제2표시 영역에 상당한다.
촬상 기회가 순간만 지속되므로 가능한 빨리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발광 소자를 사용한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유기발광 소자는 응답 속도가 빠르기 때문이다. 유기발광 소자를 사용한 표시장치는, 표시 속도가 액정표시장치보다도 빠른 상기와 같은 장치에 보다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촬상 장치(1100)는, 도시되지 않은 광학부를 구비한다. 광학부는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고, 하우징(1104)내에 수용된 촬상 소자에 결상한다. 복수의 렌즈는, 그들의 상대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다. 촬상 장치는 광전변환 장치라고 불려도 좋다. 광전변환 장치는, 순차 촬상하는 대신에, 촬상 방법으로서, 이전 화상으로부터의 차분을 검출하는 방법과, 항상 기록되어 있는 화상의 일부를 잘라내는 방법을 포함하여도 좋다.
도4b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기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전자기기(1200)는, 표시부(1201)와, 조작부(1202)와, 하우징(1203)을 구비한다. 하우징(1203)에는, 회로, 해당 회로를 구비하는 프린트 기판, 배터리, 및 통신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조작부(1202)는, 버튼이여도 좋고, 터치스크린 방식의 반응부이여도 좋다. 조작부(1202)는, 지문을 인식해서 록해제를 실행하는, 생체인식부이여도 좋다. 또한, 상기 통신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1200)는 통신 기기라고 할 수도 있다. 전자기기(1200)는, 렌즈와, 촬상 소자를 구비함에 따라, 카메라 기능도 가질 수도 있다. 카메라 기능에 의해 촬상된 화상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다. 전자기기(1200)의 예들로서는, 스마트 폰과 노트북이 있다.
도5a 및 5b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상기 표시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도5a는, 텔레비전 모니터나 퍼스널 컴퓨터(PC)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다. 표시장치(1300)는, 액자(1301)와 표시부(1302)를 구비한다. 표시부(1302)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상기 발광 장치가 사용되어도 좋다.
상기 표시장치(1300)는, 액자(1301)와 표시부(1302)를 지지하는 토대(1303)도 구비한다. 토대(1303)는, 도4a에 나타낸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액자(1301)의 하변이 토대를 겸해도 좋다.
상기 액자(1301)와 표시부(1302)는, 만곡되어도 좋다. 그 곡률반경은, 5000mm이상 6000mm이하이여도 좋다.
도5b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상기 표시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모식도다. 도5b의 표시장치(1310)는, 접기 가능하도록 구성된 폴더블 표시장치다. 표시장치(1310)는, 제1표시부(1311), 제2표시부(1312), 하우징(1313) 및 굴곡 점(1314)을 구비한다. 제1표시부(1311)와 제2표시부(131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발광 소자를 구비하여도 좋다. 제1표시부(1311)와 제2표시부(1312)는, 이음매 없는 1매의 표시장치이여도 좋다. 제1표시부(1311)와 제2표시부(1312)는, 굴곡 점에서 나누어질 수 있다. 제1표시부(1311)와 제2표시부(1312)는, 각각의 상이한 화상 또는 하나의 화상을 표시해도 좋다.
도6a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조명 장치(1400)는, 하우징(1401)과, 광원(1402)과, 회로 기판(1403)과, 광학 필름(1404)과, 광확산부(1405)를 구비하여도 좋다. 광원(1402)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발광 소자를 구비하여도 좋다. 광학 필름(1404)은, 광원(1402)의 연색성을 향상시키는 필름이여도 좋다. 광확산부(1405)는, 광원(1402)으로부터의 광을 효과적으로 확산하고, 조명목적을 위해 넓은 범위에 광을 보낼 수 있다. 광학 필름(1404)과 광확산부(1405)는, 조명 장치(1400)의 광출사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필요에 따라서, 최외측에 커버를 배치해도 좋다.
조명 장치(1400)는, 예를 들면 실내를 조명하는 장치다. 조명 장치(1400)는 백색, 주백색, 또는 청색부터 적색까지의 임의의 다른 색을 발광해도 좋다. 조명 장치(1400)는, 그 광을 조광하는 조광회로를 구비하여도 좋다.
조명 장치(1400)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발광 소자와 그것에 접속되는 전원회로를 구비하여도 좋다. 전원회로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회로다. 화이트란 색온도가 4200K이다. 주백색이란, 색온도가 5000K이다. 조명 장치(1400)는 칼라 필터를 구비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조명 장치(1400)는, 방열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방열부는 조명 장치(1400)의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것이다. 방열부의 재료의 예들로서는, 비열이 높은 금속과, 액체 실리콘이 있다.
도6b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체의 일례인 자동차의 모식도다. 해당 자동차는 등도구의 일례인 테일 램프를 구비한다. 자동차(1500)는, 테일 램프(1501)를 구비한다. 테일 램프(1501)는, 브레이크 조작을 행했을 때에 점등되어도 좋다.
테일 램프(1501)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발광 소자를 구비하여도 좋다. 테일 램프(1501)는, 유기발광 소자(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EL]소자)를 보호하는 보호 부재를 구비하여도 좋다. 보호 부재는, 상당한 강도를 가지는 임의의 투명 재료로 제조되어도 좋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되어도 좋다. 이 폴리카보네이트에는, 퓨란디카르복실산 유도체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유도체가 혼합되어도 좋다.
자동차(1500)는, 차체(1503)와, 이 차체에 부착된 창문(1502)을 구비하여도 좋다. 창문(1502)은, 자동차(1500)의 전후를 확인하기 위한 창문이 아니면, 투명한 디스플레이이여도 좋다. 해당 투명한 디스플레이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발광 소자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유기발광 소자의 전극 및 그 밖의 구성 요소는, 투명한 재료로 제조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동체는, 선박, 항공기 또는 드론이여도 좋다. 이동체는, 기체와 해당 기체에 부착된 등도구를 구비하여도 좋다. 등도구는, 기체의 위치를 알리기 위한 발광을 해도 좋다. 등도구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발광 소자를 구비한다.
도7a 및 7b를 참조하여, 상술의 실시 형태에 따른 상기 표시장치의 적용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표시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 글래스,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HMD) 및 스마트 콘택트 렌즈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장착가능한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적용 예에 사용된 촬상 표시장치는, 가시 광을 광전변환 가능한 촬상 장치와, 가시 광을 발광가능한 표시장치를, 구비한다.
도7a는, 1개의 적용 예에 따른 안경(1600)(스마트 글래스)을 나타낸다. 안경(1600)의 렌즈(1601)의 표면측에, 상보적 금속산화물 반도체(CMOS)센서나 단광자 애벌란시 다이오드(SPAD)와 같은 촬상 장치(1602)가 배치된다. 또한, 렌즈(1601)의 이면측에는, 상술한 실시 형태의 표시장치가 배치된다.
안경(1600)은, 제어장치(1603)를 더 구비한다. 제어장치(1603)는, 촬상 장치(1602)와 각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어장치(1603)는, 촬상 장치(1602)와 표시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렌즈(1601)는, 촬상 장치(1602)에 광을 집광하기 위한 광학계를 구비한다.
도7b는, 다른 적용 예에 따른 안경(1610)(스마트 글래스)을 나타낸다. 안경(1610)은, 제어장치(1612)를 구비한다. 해당 제어장치(1612)는, 촬상 장치(1602)에 상당하는 촬상 장치와, 표시장치를 구비한다. 렌즈(1611)는 제어장치(1612)내의 상기 표시장치로부터 방출된 광을 투영하기 위한 광학계를 구비하고, 렌즈(1611)에는 화상이 투영된다. 제어장치(1612)는, 촬상 장치 및 표시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으로서 기능함과 아울러, 촬상 장치 및 표시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장치(1612)는, 장착자(유저)의 시선을 검지하는 시선검지부를 구비하여도 좋다. 시선의 검지는 적외선을 사용해도 좋다.
적외발광부는, 표시 화상을 주시하고 있는 유저의 각 안구를 향해 적외광을 방출한다. 방출된 적외광의 안구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소자를 구비하는 촬상부가 검출함으로써, 안구의 촬상 화상이 얻어진다. 평면도에 있어서의 적외발광부로부터 표시부에의 광을 저감하는 저감부를 구비하는 것으로, 화상품위의 저하를 저감한다.
적외광의 촬상에 의해 얻어진 안구의 촬상 화상으로부터 표시 화상에 대한 유저의 시선을 검출한다. 안구의 촬상 화상을 사용한 시선검출에는 임의의 공지의 수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막에서의 조명 광의 반사에 의한 푸르키니에상에 근거하는 시선검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공 각막 반사법에 근거하는 시선검출 처리가 행해진다. 동공 각막 반사법에 의해, 안구의 촬상 화상에 포함되는 동공의 상과 푸르니키에상에 근거하여, 안구의 방향(회전각)을 의미하는 시선 벡터가 산출되는 것에 의해, 유저의 시선이 검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장치는, 수광소자를 구비한 촬상 장치를 구비하고, 촬상 장치로부터의 유저의 시선정보에 근거해서 상기 표시장치의 표시 화상을 제어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표시장치는, 시선정보에 근거하여, 유저가 주시하는 제1 시야영역과, 제1의 시야영역이외의 제2 시야영역을 결정한다. 제1의 시야영역 및 제2 시야영역은, 상기 표시장치의 제어장치에 의해 결정되어도 좋다. 상기 표시장치는, 외부의 제어장치가 결정한 제1의 시야영역 및 제2 시야영역을 수신해도 좋다. 상기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에 있어서, 제1의 시야영역의 표시 해상도를 제2 시야영역의 표시 해상도보다도 높게 제어해도 좋다. 즉, 제2 시야영역의 해상도를 제1의 시야영역보다도 낮게 해도 좋다.
상기 표시 영역은, 제1의 표시 영역과, 상기 제1의 표시 영역과는 상이한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시선정보에 근거하여, 제1의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에서 우선도가 높은 영역이 결정된다. 우선도가 높은 영역은, 상기 표시장치의 제어장치에 의해 결정되어도 좋다. 상기 표시장치는, 외부의 제어장치가 결정한 우선도가 높은 영역을 수신해도 좋다. 우선도가 높은 영역의 해상도를, 우선도가 높은 영역이외의 영역의 해상도보다도 높게 제어해도 좋다. 즉, 우선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영역의 해상도를 낮게 해도 좋다.
제1의 시야영역이나 우선도가 높은 영역의 결정에는, 인공지능(AI)을 사용해도 좋다. AI는, 안구의 화상과 해당 화상에서 안구가 실제로 보는 방향을 교사 데이터로서 사용하여, 안구 화상으로부터 시선의 각도, 및/또는 시선 앞의 목적물까지의 거리를, 추정하도록 구성된 모델이여도 좋다. AI프로그램은, 상기 표시장치, 상기 촬상 장치 또는 외부장치에 구비되어도 좋다. 외부장치가 AI프로그램을 구비하는 경우, 그 결정은, 통신에 의해 상기 표시장치에 전달된다.
시인 검지에 근거해서 표시 제어할 경우, 상기 표시장치는, 외부를 촬상하는 촬상 장치를 더 구비하는 스마트 글래스에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스마트 글래스는, 촬상한 외부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유기발광 소자를 사용한 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양호한 화질로, 장시간에 걸쳐 안정한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발광 영역이 변화되는 발광 장치에 있어서의, 발광 영역간의 휘도열화의 차이를 저감한 발광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 형태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 형태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와,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22)

  1. 제1발광 영역과, 상기 제1발광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발광 영역보다도 면적이 큰 제2발광 영역을 가지고, 제1발광 소자가 상기 제1발광 영역에 구비되고, 제2발광 소자가 상기 제1발광 영역에 구비되지 않고 상기 제2발광 영역에 구비되는, 발광 장치로서, 상기 발광 장치는 상기 제1발광 영역만이 발광하는 제1발광 형태와, 상기 제2발광 영역이 발광하는 제2발광 형태를 가지고, 상기 발광 장치는,
    상기 제2발광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 소자의 발광량과 상기 제2발광 소자의 발광량과의 차이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구비하는, 발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발광 영역에 구비된 상기 제1발광 소자의 상기 발광량과, 상기 제1발광 영역에 구비되지 않는 상기 제2발광 소자의 상기 발광량과의 차이를 저감하도록 구성된, 발광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 소자가 제1 발광 휘도로 발광할 때의 제1전류값과, 상기 제2발광 소자가 상기 제1 발광 휘도로 발광할 때의 제2전류값을, 취득하도록 구성된 전류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류측정부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발광 소자와 상기 제2발광 소자와의 발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는, 발광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수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로부터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발광 소자와 상기 제2발광 소자와의 발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는, 발광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해서 화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화상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발광 소자와 상기 제2발광 소자와의 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는, 발광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발광 소자 또는 상기 제2발광 소자에 인가된 전압이 증가 또는 저감하는, 발광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발광의 적산 시간을 각각 측정하도록 구성된 시간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시간측정부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발광 소자와 상기 제2발광 소자와의 발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는, 발광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의 자세를 검지하도록 구성된 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지부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발광 형태와 상기 제2발광 형태를 전환하는, 발광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 영역과, 상기 제1발광 영역이외의 상기 제2발광 영역의 영역과의 사이에, 접기 기구를 더 포함하는, 발광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기 기구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제2발광 영역의 발광이 제어되는, 발광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기 기구는, 상기 제1발광 영역과, 상기 제1발광 영역이외의 상기 제2발광 영역의 상기 영역과의 양쪽이, 외측으로 대향하면서 접어지게 구성되는, 발광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소리를 방출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스피커; 및
    소리를 검지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발광 영역과, 상기 제1발광 영역이외의 상기 제2발광 영역의 상기 영역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를 구비하는, 발광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광 소자만이 발광하고 상기 제1발광 소자가 발광하지 않는 제3발광 형태를 가지는, 발광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 소자의 광량과 상기 제2발광 소자의 광량과의 차이에 근거하여, 상기 제3발광 형태에서의 상기 발광 장치를 사용하여 유저에게 추천하는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추천부를 더 포함하는, 발광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광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발광 영역에 표시된 화상에 근거하여, 상기 제2발광 영역의 광량을 상기 제1발광 소자의 발광량에 가까이 할지 또는 상기 제2발광 소자의 발광량에 가까이 할지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발광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광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발광 영역에 표시하는 화상에 근거하여, 상기 제2발광 영역의 광량을 상기 제1발광 소자의 발광량에 가까이 할지 또는 상기 제2발광 소자의 발광량에 가까이 할지 유저가 선택하는 선택 지시부를 더 포함하는, 발광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 소자와 상기 제2발광 소자와의 발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발광 소자의 휘도 또는 상기 제2발광 소자의 휘도를, 증가 또는 저감시키도록 구성된, 발광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 소자와 상기 제2발광 소자와의 발광량의 차이를 저감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발광 소자의 발광 시간 또는 상기 제2발광 소자의 발광 시간을, 증가 또는 저감시키도록 구성된, 발광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실행될 소프트웨어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소프트웨어에 근거하여 상기 제1발광 형태 또는 상기 제2발광 형태에서 표시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발광 장치.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광 장치를 구비하는 표시부; 및
    상기 발광 장치에 접속되어, 상기 표시부의 표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에 접속되어, 외부와 정보를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22.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상기 발광 장치;
    상기 발광 장치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구비된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0230081588A 2022-07-06 2023-06-26 발광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표시장치와 전자기기 KR202400064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108938 2022-07-06
JPJP-P-2022-108938 2022-07-06
JP2023087972A JP2024008843A (ja) 2022-07-06 2023-05-29 発光装置、それを有する表示装置、電子機器
JPJP-P-2023-087972 2023-05-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438A true KR20240006438A (ko) 2024-01-15

Family

ID=87036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1588A KR20240006438A (ko) 2022-07-06 2023-06-26 발광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표시장치와 전자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13719A1 (ko)
EP (1) EP4312204A3 (ko)
KR (1) KR20240006438A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3248A1 (de) * 2001-03-19 2002-10-02 Able Design Ges Fuer Entwicklu Verfahren zur Kompensation des Einbrennens von Plasma-Bildschirmen
KR20030013933A (ko) * 2001-08-10 2003-02-1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의 구동방법
TWI297875B (en) * 2004-09-16 2008-06-1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Im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using thereof
US7400345B2 (en) * 2004-10-22 2008-07-15 Eastman Kodak Company OLED display with aspect ratio compensation
US20140111567A1 (en) * 2005-04-12 2014-04-24 Ignis Innov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on of non-uniformities in light emitting device displays
KR20140081445A (ko) * 2012-12-21 201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신호 제어 방법 및 장치
TWI667644B (zh) 2013-07-19 2019-08-0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資料處理裝置
KR102287826B1 (ko) * 2015-03-23 2021-08-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것의 구동 방법
KR102438779B1 (ko) * 2015-10-01 2022-09-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이밍 컨트롤러 및 그의 구동 방법
US11079995B1 (en) * 2017-09-30 2021-08-0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devices with multiple displ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12204A3 (en) 2024-05-01
US20240013719A1 (en) 2024-01-11
EP4312204A2 (en) 202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528016B2 (ja) 発光装置、表示装置、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JP7549637B2 (ja) 表示装置
JP2024129092A (ja) 有機発光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20230363240A1 (en)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of light emitting device, display device,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electronic apparatus, illumination device, moving body, and wearable device
KR20230153266A (ko) 발광장치, 그 제조 방법, 표시장치, 광전변환장치, 전자기기, 조명장치, 및 이동체
US11527580B2 (en) Semiconductor device, display imaging apparatus, photoelectric conversion apparatus, electronic device, illumination apparatus, and moving body
KR20240006438A (ko) 발광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표시장치와 전자기기
JP2024008843A (ja) 発光装置、それを有する表示装置、電子機器
WO2023233760A1 (ja) 発光装置、表示装置、光電変換装置、電子機器、およ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US20240215417A1 (en) Light-emitting element
CN117373345A (zh) 发光设备以及包括该发光设备的显示设备和电子装置
US20240172506A1 (en) Light emitt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photoelectric conversion apparatus, electronic device, illumination apparatus, and moving body
WO2024185261A1 (ja)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4149235A1 (en)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S20240196711A1 (en) Semiconductor device, display device,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electronic apparatus, illumination device, moving body, wearabl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JP2023164291A (ja) 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表示装置、光電変換装置、電子機器、照明装置、並びに移動体
JP2023177215A (ja) 発光装置、表示装置、光電変換装置、電子機器、およ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2023174318A (ja) 発光装置、撮像装置、電子機器および移動体
JP2024074234A (ja) 発光装置、表示装置、光電変換装置、電子機器、照明装置及び移動体
JP2024131054A (ja) 発光装置、表示装置、光電変換装置、電子機器、照明装置、および、移動体
JP2023178185A (ja) 電子モジュール、表示装置、光電変換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24104631A (ja) 半導体装置、表示装置、光電変換装置、電子機器、照明装置、および、移動体
KR20230149726A (ko) 발광장치, 표시장치, 광전 변환장치, 전자기기, 및 이동체
JP2024128183A (ja) 半導体装置、画像形成装置、表示装置、光電変換装置、電子機器、照明装置、移動体、および、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JP2024116826A (ja) 発光装置および組立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