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6319A -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6319A
KR20240006319A KR1020220083231A KR20220083231A KR20240006319A KR 20240006319 A KR20240006319 A KR 20240006319A KR 1020220083231 A KR1020220083231 A KR 1020220083231A KR 20220083231 A KR20220083231 A KR 20220083231A KR 20240006319 A KR20240006319 A KR 20240006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information
evaluation
job
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3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액트에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액트에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액트에듀
Priority to KR1020220083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6319A/ko
Publication of KR20240006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631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8Performance of employee with respect to a job fun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은, 자가 평가를 희망하는 사용자에게 평가 수행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평가 수행 정보에 대한 결과인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 및 처리하는 자가 평가 처리부; 상기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별 문화적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문화적 특성 정보 획득부; 및 상기 문화적 특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직무 분석 희망 정보에 따라 처리하고 처리 결과인 직무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및 방법{Job analysis system and method using self-evaluation of cultural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무 분석에 사용되는 특정 지표들에 대하여 평가 희망자가 자가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이용하여 해당 평가 희망자의 문화적 특성 정보를 획득하고, 문화적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적합 직무, 멘토/멘티 또는 구성원과의 관계성을 분석하여 개인의 문화적 특징과 조직의 문화가 일치하는 정도를 분석할 수 있는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 취업시장에서 상당수의 기업들이 인성 검사를 수행하고 있다. 인성 검사는 취업 희망자의 성격, 성향, 업무 일치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취업 희망자가 해당 기업에 적합한 인재인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된다. 인성 검사는 기업별로 서로 다른 검사가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취업 희망자는 이로 인해 이직을 위해서는 새로운 인성 검사를 다시 수행하는 과정이 요구될 수 있어 시간적/비용적 손실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107350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특정 지표들을 이용하여 평가 희망자가 자가 평가를 수행하고, 자가 평가 수행 결과를 분석하여 개인별 특성에 부합하는 직무를 추천하거나 조직 내에서 해당 평가 희망자의 조직 적응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은, 자가 평가를 희망하는 사용자에게 평가 수행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평가 수행 정보에 대한 결과인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 및 처리하는 자가 평가 처리부; 상기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별 문화적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문화적 특성 정보 획득부; 및 상기 문화적 특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직무 분석 희망 정보에 따라 처리하고 처리 결과인 직무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자가 평가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가 평가를 희망하는 정보인 자가 평가 희망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자가 평가 희망 정보에 따라 상기 평가 수행 정보를 생성하는 평가 수행 정보 생성 모듈; 상기 평가 수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하는 자가 평가 수행 정보 획득 모듈; 및 상기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자가 평가 수행 정보 저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가 평가 희망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직무, 직급, 성명 및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가 수행 정보는 상기 자가 평가 희망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개인별 고유 코드 및 복수개의 평가 문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문제는 6개의 주제 별 7개 지표가 적용된 문제이며, 7개 지표는 배려, 학습, 즐거움, 결과, 권위, 안전 및 질서일 수 있다.
상기 자가 평가 수행 정보는 총 100점이 상기 복수개의 평가 문제에 각각 배분되는 강제 할당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자가 평가 수행 정보는, 상기 자가 평가 희망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어 상기 평가 수행 정보에 포함되는 개인별 고유 코드 별로 분류되며, 상기 자가 평가 수행 정보 저장 모듈은, 동일한 개인별 고유 코드에 기 저장된 자가 평가 수행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자가 평가 수행 정보의 대치, 삭제 또는 병합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문화적 특성 정보 획득부는, 상기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하고, 각 지표들을 이용하여 상기 문화적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문화적 특성 정보 생성 모듈; 및 상기 문화적 특성 정보에 기 설정된 해석 기준 범위를 적용하여 상기 문화적 특성 정보의 해석 결과인 문화적 특성 해석 결과를 획득하는 문화적 특성 해석 결과 획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화적 특성 정보는 상기 각 지표별로 산술 평균을 획득하여 상기 각 지표들이 각각 하나의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해석 기준 범위는 상기 각 지표 별로 적용되며, 적어도 두 개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해석 기준 범위는 제1 내지 제4범위인 총 4개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제1범위는 10 미만의 값인 경우로 매우 약함 단계로 표현되고 상기 제2범위는 10 이상 15 미만의 값인 경우로 약함 단계로 표현되며, 상기 제3범위는 15 이상 20 미만의 값인 경우로 보통 단계로 표현되고, 상기 제4범위는 20 이상의 값인 경우로 매우 강함 단계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부는, 상기 직무 희망 정보를 확인하고, 분석 과정을 결정하는 직무 희망 분석 과정 결정 모듈; 및 결정된 상기 분석 과정에 따라 상기 문화적 특성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분석 과정은 직무 추천 프로세스, 임직원 추천 프로세스, 구성원간 유사성 판단 프로세스 및 조직 적합도 확인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은, 상기 분석 과정이 상기 직무 추천 프로세스인 경우, 상기 문화적 특성 정보에 포함된 각 지표 값을 이용하여 상기 각 지표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 순서 중 상위 n개의 지표를 획득하여 상기 n개의 지표가 핵심 지표인 m개의 직무를 상기 분석 결과로 출력하며, 상기 m개의 직무 중 상기 각 n개의 지표 값과 상관성이 가장 높은 직무를 추천 직무 정보로 하여 상기 분석 결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은, 상기 분석 과정이 상기 임직원 추천 프로세스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문화적 특성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임직원의 문화적 특성 정보를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계산하여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상기 임직원을 추천 임직원 정보로 하여 상기 분석 결과에 포함시키고, 상기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은, 상기 분석 과정이 상기 구성원간 유사성 판단 프로세스인 경우, 기 설정된 그룹의 상기 구성원들의 문화적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행렬을 생성하고, 상기 행렬을 이용하여 상기 구성원들 사이의 유클리디안 거리를 계산하며, 상기 유클리디안 거리를 k차원 공간상에 나열하여 상기 구성원간 유사성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분석 결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직무 추천 프로세스는,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직무를 추천하는 프로세스이며, 상기 임직원 추천 프로세스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멘토 또는 멘티를 추천하는 프로세스이고, 상기 구성원간 유사성 판단 프로세스는 특정 집단을 구성하는 구성원 사이의 관계성 확인을 위한 제안 프로세스이며, 상기 조직 적합도 확인 프로세스는 상기 사용자의 특정 조직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방법은, 자가 평가 처리부를 이용하여 자가 평가를 희망하는 사용자에게 평가 수행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평가 수행 정보에 대한 결과인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 및 처리하는 단계; 문화적 특성 정보 획득부를 이용하여 상기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별 문화적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부를 이용하여 상기 문화적 특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직무 분석 희망 정보에 따라 처리하고 처리 결과인 직무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및 방법은 개인의 문화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직무 적합성의 판단을 수행하여 개인의 문화적 특성에 부합하는 직무를 제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및 방법은 개인의 조직문화적합도를 진단함으로써 개인의 조직 적응 수준과 조직의 인재상과의 일치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및 방법은 구성원들의 문화적 특성을 획득하여 유사성을 비교함으로써 조직 관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가 평가 처리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문화적 특성 정보 획득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계 S11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단계 S13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5의 단계 S15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이 도시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가 평가 처리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문화적 특성 정보 획득부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1의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이하, 편의상 시스템이라 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은, 평가 희망자 단말기(2)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정보를 주고받도록 형성된다. 평가 희망자는 개인일 수도 있고, 기업의 특정 조직일 수도 있다. 시스템(1)은 자가 평가를 희망하는 평가 희망자로부터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하고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평가 희망자)의 문화적 특성 정보를 획득하며, 이를 직무 분석 희망 정보에 대응하여 처리하고 그 처리 결과를 직무 분석 결과 정보로 출력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 평가 처리부(11), 문화적 특성 정보 획득부(13) 및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부(15)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자가 평가 처리부(11)는 자가 평가를 희망하는 사용자에게 평가 수행 정보를 제공하고, 평가 수행 정보에 대한 결과인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 및 처리하도록 형성된다. 자가 평가 처리부(11)는 평가 희망자 단말기(2)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평가 수행 정보를 제공하고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도 2를 참고하면,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평가 처리부(11)는 평가 수행 정보 생성 모듈(111), 자가 평가 수행 정보 획득 모듈(113) 및 자가 평가 수행 정보 저장 모듈(115)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평가 수행 정보 생성 모듈(111)은 사용자의 단말기(2)로부터 자가 평가를 희망하는 자가 평가 희망 정보를 획득하면, 획득한 자가 평가 희망 정보에 따라 평가 수행 정보를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자가 평가 희망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정보이며,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직무, 직급, 성명 및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후술되는 개인별 고유 코드를 생성하고, 자가 평가용 문제 풀이 결과를 분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평가 수행 정보는 자가 평가 희망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개인별 고유 코드와 기 저장된 복수개의 평가 문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평가 문제는 N개의 주제 별로 각각 M개 지표가 적용된 문제이며, NxM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6개의 주제 별로 각각 7개 지표가 적용된 문제들이며, 총 42개의 문제가 복수개의 평가 문제로 준비된다. 이때, 7개 지표는 배려, 학습, 즐거움, 결과, 권위, 안전 및 질서로 설정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지표 또는 더 많거나 적은 지표가 사용될 수 있고 주제의 개수 역시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 평가 수행 정보는 개인별 고유 코드와 평가 수행 링크를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기(2)로 전달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개의 평가 문제를 온라인 상에서 풀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의 자가 평가 수행 정보 획득 모듈(113)은 평가 수행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로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기(2)로부터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자가 수행 평가 정보는 사용자가 상술한 평가 문제를 푼 결과이며, 본 발명에서 자가 평가 수행 정보는 복수개의 평가 문제에 대한 결과의 총 합이 100점인 강제 할당 방식이 적용된 정보이다. 자가 평가 수행 정보는 개인별 고유 코드 별로 분류될 수 있다.
자가 평가 수행 정보 저장 모듈(115)은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자가 평가 수행 정보 저장 모듈(115)은 동일한 개인별 고유 코드에 기 저장된 자가 평가 수행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이미 존재하는 경우, 관리자가 기 설정한 기준에 따라 자가 평가 수행 정보의 대치, 삭제 또는 병합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 자가 평가 수행 정보는 최신 정보만 유지될 수도 있고, 평균적인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하면, 본 발명의 문화적 특성 정보 획득부(13)는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사용자 별 문화적 특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적 특성 정보 획득부(13)는 문화적 특성 정보 생성 모듈(131) 및 문화적 특성 해석 결과 획득 모듈(133)을 포함할 수 있다.
문화적 특성 정보 생성 모듈(131)은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하고, 각 지표들을 이용하여 문화적 특성 정보를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문화적 특성 정보는 각 지표별로 산술 평균을 획득하여 각 지표들이 각각 하나의 값으로 표현되는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시에서 자가 평가 수행 정보는 6개의 주제에 7개의 지표에 대한 문제가 각각 포함된 총 42개의 문제에 대한 점수 배분 결과로 정의된다. 즉, 각각의 지표는 6개의 점수를 가지게 되며, 문화적 특성 정보 생성 모듈(131)은 각각의 지표에 배분된 6개의 점수에 대하여 산술 평균을 획득하여 하나의 지표에 하나의 산술 평균 점수를 가지는 문화적 특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문화적 특성 정보는 행렬 형태로 표현될 수도 있고, 7개의 지표 축을 가지는 방사 그래프로 표현될 수도 있다.
문화적 특성 해석 결과 획득 모듈(133)은 문화적 특성 정보에 기 설정된 해석 기준 범위를 적용하여 문화적 특성 정보의 해석 결과인 문화적 특성 해석 결과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기 설정된 해석 기준 범위는 각 지표 별로 적용되며, 적어도 두 개의 범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범위 내지 제4범위인 총 4개의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범위는 지표의 점수가 10 미만인 경우로 매우 약함 단계로 표현되고, 제2범위는 지표의 점수가 10 이상 15 미만인 경우로 약함 단계로 표현된다. 또, 제3범위는 지표의 점수가 15 이상 20 미만인 경우로 보통 단계로 표현되고, 제4범위는 지표의 점수가 20 이상인 경우로 매우 강함 단계로 표현될 수 있다.
문화적 특성 해석 결과 획득 모듈(133)에서 획득된 문화적 특성 해석 결과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출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지표에 대한 해당 사용자의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부(15)는 문화적 특성 정보를 사용자의 직무 분석 희망 정보에 따라 처리하고 처리 결과인 직무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된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부(15)는 직무 희망 분석 과정 결정 모듈(151) 및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153)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직무 희망 분석 과정 결정 모듈(151)은 직무 희망 정보를 확인하고, 분석 과정을 결정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분석 과정은 직무 추천 프로세스, 임직원 추천 프로세스, 구성원간 유사성 판단 프로세스 및 조직 적합도 확인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직무 추천 프로세스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직무를 추천하는 프로세스이며, 임직원 추천 프로세스는 사용자에 대한 멘토 또는 멘티를 추천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또 구성원간 유사성 판단 프로세스는 특정 집단을 구성하는 구성원 사이의 관계성 확인을 위한 제안 프로세스이며, 조직 적합도 확인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특정 조직에 적합한지 확인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153)은 결정된 분석 과정에 따라 사용자의 문화적 특성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출력하도록 형성된다.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153)은 분석 과정이 어떤 프로세스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문화적 특성 정보를 분석한 분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먼저,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153)은 결정된 분석 과정이 직무 추천 프로세스인 경우, 사용자의 문화적 특성 정보에 포함된 지표 값을 이용하여 지표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정렬 순서 중 상위 n개의 지표를 획득할 수 있다.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153)은 n개의 지표를 획득하면, 해당 지표들이 핵심 지표인 m개의 직무를 분석 결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이때 m개의 직무 중 n개의 지표 값과 상관성이 가장 높은 직무를 추천 직무 정보로 하여 분석 결과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A, B, C, D, E, F, G 지표 값이 각각 12, 15, 13, 22, 4, 7, 18인 문화적 특성 정보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153)은 지표 값을 확인하여 A 내지 G 지표를 내림차순으로 정리한다. 그 결과는 D, G, B, C, A, F, E 순서로 정리된다. 이때, n개의 지표가 3개로 정의되면,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153)은 D, G, B 지표를 핵심 지표로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153)은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직무 정보를 획득하고, D, G, B 지표가 핵심 지표인 직무를 m개 획득한다. 핵심 지표는 해당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우선되어야 하는 지표들이며 이는 기 저장된 기초 정보 - 문화적 특성 정보 관계를 이용하여 정리된 지표들일 수 있다.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153)은 사용자의 문화적 특성 정보에서 선정된 D, G, B 지표의 값 또는 세 지표의 비율과 가장 유사한 직무를 m개 중에서 선정하고, 선정한 직무를 추천 직무로 분석 결과에 더 포함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153)은 결정된 분석 과정이 임직원 추천 프로세스인 경우, 사용자의 문화적 특성 정보와 임직원으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임직원 사용자의 문화적 특성 정보를 비교하여 상관 관계를 각각 계산하여 획득한다. 적어도 하나의 임직원 사용자와의 상관 관계를 획득하면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153)은 획득한 상관 관계 중 가장 높은 상관 관계를 가지는 임직원 사용자를 추천 임직원 정보로 하여 분석 결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153)은 상관 관계를 획득하기 위해 익히 알려진 피어슨 상관관계(피어슨 상관 계수)를 이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153)은 결정된 분석 과정이 구성원간 유사성 판단 프로세스인 경우, 유사성 판단을 위해 기 설정된 그룹 내의 구성원들의 문화적 특성 정보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그룹 내 구성원들의 문화적 특성 정보를 획득하면,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153)은 문화적 특성 정보들을 지표 및 구성원으로 배열되는 행렬로 변형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구성원 행은 구성원 수만큼 생성되며, 지표 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예로 7개가 형성될 수 있다.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153)은 행렬을 생성하면, 행렬을 이용하여 구성원들 사이의 유클리디안 거리를 계산한 새로운 행렬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k차원 공간상에 나열하여 구성원간의 유사성을 판단할 수 있다. k차원은 일반적으로 시각적 인식이 용이한 1차원 내지 3차원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153)에서 공간상에서 구성원간의 유사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익히 알려진 클러스터 구분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방법이 나타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단계 S11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7은 도 5의 단계 S13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5의 단계 S15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방법(이하 편의상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이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의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10)은, 평가 희망자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정보를 주고받도록 형성된다. 평가 희망자는 개인일 수도 있고, 기업의 특정 조직일 수도 있다. 방법(10)은 자가 평가를 희망하는 평가 희망자로부터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하고 분석하여 해당 사용자(평가 희망자)의 문화적 특성 정보를 획득하며, 이를 직무 분석 희망 정보에 대응하여 처리하고 그 처리 결과를 직무 분석 결과 정보로 출력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가 평가를 처리하는 단계(S11), 문화적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 및 직무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S15)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자가 평가를 처리하는 단계(S11)는 자가 평가 처리부를 이용하여 자가 평가를 희망하는 사용자에게 평가 수행 정보를 제공하고, 평가 수행 정보에 대한 결과인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 및 처리하도록 형성된다. 자가 평가를 처리하는 단계(S11)는 평가 희망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평가 수행 정보를 제공하고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도 6를 참고하면,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평가를 처리하는 단계(S11)는 평가 수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11),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13) 및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15)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평가 수행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11)는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자가 평가를 희망하는 자가 평가 희망 정보를 획득하면, 획득한 자가 평가 희망 정보에 따라 평가 수행 정보를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자가 평가 희망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정보이며,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직무, 직급, 성명 및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들은 후술되는 개인별 고유 코드를 생성하고, 자가 평가용 문제 풀이 결과를 분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평가 수행 정보는 자가 평가 희망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개인별 고유 코드와 기 저장된 복수개의 평가 문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평가 문제는 N개의 주제 별로 각각 M개 지표가 적용된 문제이며, NxM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6개의 주제 별로 각각 7개 지표가 적용된 문제들이며, 총 42개의 문제가 복수개의 평가 문제로 준비된다. 이때, 7개 지표는 배려, 학습, 즐거움, 결과, 권위, 안전 및 질서로 설정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지표 또는 더 많거나 적은 지표가 사용될 수 있고 주제의 개수 역시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 평가 수행 정보는 개인별 고유 코드와 평가 수행 링크를 포함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됨으로써 사용자가 복수개의 평가 문제를 온라인 상에서 풀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의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13)는 평가 수행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자가 수행 평가 정보는 사용자가 상술한 평가 문제를 푼 결과이며, 본 발명에서 자가 평가 수행 정보는 복수개의 평가 문제에 대한 결과의 총 합이 100점인 강제 할당 방식이 적용된 정보이다. 자가 평가 수행 정보는 개인별 고유 코드 별로 분류될 수 있다.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13)는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13)는 동일한 개인별 고유 코드에 기 저장된 자가 평가 수행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이미 존재하는 경우, 관리자가 기 설정한 기준에 따라 자가 평가 수행 정보의 대치, 삭제 또는 병합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서 자가 평가 수행 정보는 최신 정보만 유지될 수도 있고, 평균적인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유지할 수도 있다.
한편,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하면, 본 발명의 문화적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는 문화적 특성 정보 획득부를 이용하여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사용자 별 문화적 특성 정보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적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3)는 문화적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31) 및 문화적 특성 해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S133)를 포함할 수 있다.
문화적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31)는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하고, 각 지표들을 이용하여 문화적 특성 정보를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문화적 특성 정보는 각 지표별로 산술 평균을 획득하여 각 지표들이 각각 하나의 값으로 표현되는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시에서 자가 평가 수행 정보는 6개의 주제에 7개의 지표에 대한 문제가 각각 포함된 총 42개의 문제에 대한 점수 배분 결과로 정의된다. 즉, 각각의 지표는 6개의 점수를 가지게 되며, 문화적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131)는 각각의 지표에 배분된 6개의 점수에 대하여 산술 평균을 획득하여 하나의 지표에 하나의 산술 평균 점수를 가지는 문화적 특성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문화적 특성 정보는 행렬 형태로 표현될 수도 있고, 7개의 지표 축을 가지는 방사 그래프로 표현될 수도 있다.
문화적 특성 해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S133)는 문화적 특성 정보에 기 설정된 해석 기준 범위를 적용하여 문화적 특성 정보의 해석 결과인 문화적 특성 해석 결과를 획득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기 설정된 해석 기준 범위는 각 지표 별로 적용되며, 적어도 두 개의 범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범위 내지 제4범위인 총 4개의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범위는 지표의 점수가 10 미만인 경우로 매우 약함 단계로 표현되고, 제2범위는 지표의 점수가 10 이상 15 미만인 경우로 약함 단계로 표현된다. 또, 제3범위는 지표의 점수가 15 이상 20 미만인 경우로 보통 단계로 표현되고, 제4범위는 지표의 점수가 20 이상인 경우로 매우 강함 단계로 표현될 수 있다.
문화적 특성 해석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S133)에서 획득된 문화적 특성 해석 결과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출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지표에 대한 해당 사용자의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직무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S15)는 직무 분석 정보 결과 출력부를 이용하여 문화적 특성 정보를 사용자의 직무 분석 희망 정보에 따라 처리하고 처리 결과인 직무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된다. 도 8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직무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S15)는 직무 희망 분석 과정을 결정하는 단계(S151) 및 직무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53)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직무 희망 분석 과정을 결정하는 단계(S151)는 직무 희망 정보를 확인하고, 분석 과정을 결정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분석 과정은 직무 추천 프로세스, 임직원 추천 프로세스, 구성원간 유사성 판단 프로세스 및 조직 적합도 확인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직무 추천 프로세스는 사용자에게 적합한 직무를 추천하는 프로세스이며, 임직원 추천 프로세스는 사용자에 대한 멘토 또는 멘티를 추천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또 구성원간 유사성 판단 프로세스는 특정 집단을 구성하는 구성원 사이의 관계성 확인을 위한 제안 프로세스이며, 조직 적합도 확인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특정 조직에 적합한지 확인하는 프로세스일 수 있다.
직무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53)는 결정된 분석 과정에 따라 사용자의 문화적 특성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출력하도록 형성된다. 직무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53)는 분석 과정이 어떤 프로세스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문화적 특성 정보를 분석한 분석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먼저, 직무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53)는 결정된 분석 과정이 직무 추천 프로세스인 경우, 사용자의 문화적 특성 정보에 포함된 지표 값을 이용하여 지표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정렬 순서 중 상위 n개의 지표를 획득할 수 있다. 직무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53)는 n개의 지표를 획득하면, 해당 지표들이 핵심 지표인 m개의 직무를 분석 결과로 출력할 수 있으며, 이때 m개의 직무 중 n개의 지표 값과 상관성이 가장 높은 직무를 추천 직무 정보로 하여 분석 결과에 포함시킬 수 있다.
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A, B, C, D, E, F, G 지표 값이 각각 12, 15, 13, 22, 4, 7, 18인 문화적 특성 정보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직무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53)는 지표 값을 확인하여 A 내지 G 지표를 내림차순으로 정리한다. 그 결과는 D, G, B, C, A, F, E 순서로 정리된다. 이때, n개의 지표가 3개로 정의되면, 직무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53)는 D, G, B 지표를 핵심 지표로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직무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53)는 데이터베이스에 기 저장된 직무 정보를 획득하고, D, G, B 지표가 핵심 지표인 직무를 m개 획득한다. 핵심 지표는 해당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우선되어야 하는 지표들이며 이는 기 저장된 기초 정보 - 문화적 특성 정보 관계를 이용하여 정리된 지표들일 수 있다. 직무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53)는 사용자의 문화적 특성 정보에서 선정된 D, G, B 지표의 값 또는 세 지표의 비율과 가장 유사한 직무를 m개 중에서 선정하고, 선정한 직무를 추천 직무로 분석 결과에 더 포함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직무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53)는 결정된 분석 과정이 임직원 추천 프로세스인 경우, 사용자의 문화적 특성 정보와 임직원으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임직원 사용자의 문화적 특성 정보를 비교하여 상관 관계를 각각 계산하여 획득한다. 적어도 하나의 임직원 사용자와의 상관 관계를 획득하면 직무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53)는 획득한 상관 관계 중 가장 높은 상관 관계를 가지는 임직원 사용자를 추천 임직원 정보로 하여 분석 결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직무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53)는 상관 관계를 획득하기 위해 익히 알려진 피어슨 상관관계(피어슨 상관 계수)를 이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직무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53)는 결정된 분석 과정이 구성원간 유사성 판단 프로세스인 경우, 유사성 판단을 위해 기 설정된 그룹 내의 구성원들의 문화적 특성 정보를 각각 획득할 수 있다. 그룹 내 구성원들의 문화적 특성 정보를 획득하면, 직무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53)는 문화적 특성 정보들을 지표 및 구성원으로 배열되는 행렬로 변형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구성원 행은 구성원 수만큼 생성되며, 지표 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예로 7개가 형성될 수 있다. 직무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53)는 행렬을 생성하면, 행렬을 이용하여 구성원들 사이의 유클리디안 거리를 계산한 새로운 행렬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k차원 공간상에 나열하여 구성원간의 유사성을 판단할 수 있다. k차원은 일반적으로 시각적 인식이 용이한 1차원 내지 3차원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직무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S153)에서 공간상에서 구성원간의 유사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익히 알려진 클러스터 구분을 위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2: 평가 희망자 단말기 11: 자가 평가 처리부
13: 문화적 특성 정보 획득부 15: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부
111: 평가 수행 정보 생성 모듈
113: 자가 평가 수행 정보 획득 모듈
115: 자가 평가 수행 정보 저장 모듈
131: 문화적 특성 정보 생성 모듈
133: 문화적 특성 해석 결과 획득 모듈
151: 직무 희망 분석 과정 결정 모듈
153: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

Claims (17)

  1. 자가 평가를 희망하는 사용자에게 평가 수행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평가 수행 정보에 대한 결과인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 및 처리하는 자가 평가 처리부;
    상기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별 문화적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문화적 특성 정보 획득부; 및
    상기 문화적 특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직무 분석 희망 정보에 따라 처리하고 처리 결과인 직무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평가 처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가 평가를 희망하는 정보인 자가 평가 희망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자가 평가 희망 정보에 따라 상기 평가 수행 정보를 생성하는 평가 수행 정보 생성 모듈;
    상기 평가 수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하는 자가 평가 수행 정보 획득 모듈; 및
    상기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자가 평가 수행 정보 저장 모듈;을 포함하는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평가 희망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연령, 성별, 직무, 직급, 성명 및 전화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수행 정보는 상기 자가 평가 희망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개인별 고유 코드 및 복수개의 평가 문제를 포함하는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문제는 6개의 주제 별 7개 지표가 적용된 문제이며, 7개 지표는 배려, 학습, 즐거움, 결과, 권위, 안전 및 질서인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평가 수행 정보는 총 100점이 상기 복수개의 평가 문제에 각각 배분되는 강제 할당 방식인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 평가 수행 정보는,
    상기 자가 평가 희망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되어 상기 평가 수행 정보에 포함되는 개인별 고유 코드 별로 분류되며,
    상기 자가 평가 수행 정보 저장 모듈은,
    동일한 개인별 고유 코드에 기 저장된 자가 평가 수행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자가 평가 수행 정보의 대치, 삭제 또는 병합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화적 특성 정보 획득부는,
    상기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하고, 각 지표들을 이용하여 상기 문화적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문화적 특성 정보 생성 모듈; 및
    상기 문화적 특성 정보에 기 설정된 해석 기준 범위를 적용하여 상기 문화적 특성 정보의 해석 결과인 문화적 특성 해석 결과를 획득하는 문화적 특성 해석 결과 획득 모듈;을 포함하는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문화적 특성 정보는 상기 각 지표별로 산술 평균을 획득하여 상기 각 지표들이 각각 하나의 값으로 표현되는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해석 기준 범위는 상기 각 지표 별로 적용되며, 적어도 두 개의 범위를 가지는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해석 기준 범위는 제1 내지 제4범위인 총 4개의 범위를 가지며, 상기 제1범위는 10 미만의 값인 경우로 매우 약함 단계로 표현되고 상기 제2범위는 10 이상 15 미만의 값인 경우로 약함 단계로 표현되며, 상기 제3범위는 15 이상 20 미만의 값인 경우로 보통 단계로 표현되고, 상기 제4범위는 20 이상의 값인 경우로 매우 강함 단계로 표현되는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부는,
    상기 직무 희망 정보를 확인하고, 분석 과정을 결정하는 직무 희망 분석 과정 결정 모듈; 및
    결정된 상기 분석 과정에 따라 상기 문화적 특성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출력하는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분석 과정은 직무 추천 프로세스, 임직원 추천 프로세스, 구성원간 유사성 판단 프로세스 및 조직 적합도 확인 프로세스 중 적어도 하나인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은,
    상기 분석 과정이 상기 직무 추천 프로세스인 경우, 상기 문화적 특성 정보에 포함된 각 지표 값을 이용하여 상기 각 지표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고, 상기 정렬 순서 중 상위 n개의 지표를 획득하여 상기 n개의 지표가 핵심 지표인 m개의 직무를 상기 분석 결과로 출력하며, 상기 m개의 직무 중 상기 각 n개의 지표 값과 상관성이 가장 높은 직무를 추천 직무 정보로 하여 상기 분석 결과에 포함시키는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은,
    상기 분석 과정이 상기 임직원 추천 프로세스인 경우, 상기 사용자의 문화적 특성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임직원의 문화적 특성 정보를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계산하여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는 상기 임직원을 추천 임직원 정보로 하여 상기 분석 결과에 포함시키고, 상기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획득하는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 모듈은,
    상기 분석 과정이 상기 구성원간 유사성 판단 프로세스인 경우, 기 설정된 그룹의 상기 구성원들의 문화적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행렬을 생성하고, 상기 행렬을 이용하여 상기 구성원들 사이의 유클리디안 거리를 계산하며, 상기 유클리디안 거리를 k차원 공간상에 나열하여 상기 구성원간 유사성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상기 분석 결과에 포함시키는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무 추천 프로세스는, 상기 사용자에게 적합한 직무를 추천하는 프로세스이며, 상기 임직원 추천 프로세스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멘토 또는 멘티를 추천하는 프로세스이고, 상기 구성원간 유사성 판단 프로세스는 특정 집단을 구성하는 구성원 사이의 관계성 확인을 위한 제안 프로세스이며, 상기 조직 적합도 확인 프로세스는 상기 사용자의 특정 조직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 프로세스인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17. 자가 평가 처리부를 이용하여 자가 평가를 희망하는 사용자에게 평가 수행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평가 수행 정보에 대한 결과인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획득 및 처리하는 단계;
    문화적 특성 정보 획득부를 이용하여 상기 자가 평가 수행 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별 문화적 특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직무 분석 결과 정보 출력부를 이용하여 상기 문화적 특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직무 분석 희망 정보에 따라 처리하고 처리 결과인 직무 분석 결과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방법.
KR1020220083231A 2022-07-06 2022-07-06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06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231A KR20240006319A (ko) 2022-07-06 2022-07-06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3231A KR20240006319A (ko) 2022-07-06 2022-07-06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319A true KR20240006319A (ko) 2024-01-15

Family

ID=89542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3231A KR20240006319A (ko) 2022-07-06 2022-07-06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631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350A (ko) 2009-03-25 2010-10-05 이빛커뮤니티 주식회사 종합직무검사를 이용한 인력채용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7350A (ko) 2009-03-25 2010-10-05 이빛커뮤니티 주식회사 종합직무검사를 이용한 인력채용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65224A1 (en) Generation of Automated Reports and Matching Using Online Surveys and Collaborative Filtering
CN101128818A (zh) 向信息源路由查询以及对查询结果进行分类和筛选
US20070282775A1 (en) Method for ordinal ranking
Rao Data mining and clustering techniques
JP5905651B1 (ja) 実績評価装置、実績評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実績評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Ciavolino et al. High-order PLS path model for multi-group analysis: the prosumership service quality model
Appadoo et al. Job recommendation system, machine learning, regression, classificatio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Burke et al. Using and abusing QFD scores
Botti et al. Goal ambiguity in public organizations: A systematic literature
CN115879829A (zh) 一种应用于平台创新能力审核的评审专家筛选方法
KR101429569B1 (ko) 교육이력사항을 기반으로 한 직업 매칭 시스템
US11328232B2 (en) Method of matching employers with job seekers
Solt Modeling dynamic comparative public opinion
JP6742039B1 (ja) 組織開発を支援する組織開発支援装置および組織開発支援プログラム
CN112581037A (zh) 一种多维度人才评价的背景调查方法及其系统
Larichev et al. Experiments comparing qualitative approaches to rank ordering of multiattribute alternatives
KR20240006319A (ko) 문화적 특성의 자가 평가를 이용한 직무 분석 시스템 및 방법
KR20230149751A (ko) 인공지능을 활용한 직업 및 학과 추천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정보처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3677006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Goodwin Supporting multiattribute decisions in scenario planning using a simple method based on ranks
Ananda et al. Analysis of forest policy using multi-attribute value theory
Dunn et al. Cognitive performance appraisal—Mapping managers' category structures using the grid technique
JP7480441B1 (ja) 設問作成支援装置、設問作成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Haddon et al. Class and class conflict: An objective‐subjective interactive approach
Mittone et al. Does inducing choice procedures make individuals better off? An experimental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