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6222A -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 Google Patents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6222A
KR20240006222A KR1020220082999A KR20220082999A KR20240006222A KR 20240006222 A KR20240006222 A KR 20240006222A KR 1020220082999 A KR1020220082999 A KR 1020220082999A KR 20220082999 A KR20220082999 A KR 20220082999A KR 20240006222 A KR20240006222 A KR 20240006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leaf spring
support
unit
suspen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현
손영일
성준호
김민준
황상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2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6222A/ko
Priority to US18/073,125 priority patent/US20230391157A1/en
Priority to CN202211697091.XA priority patent/CN117360133A/zh
Publication of KR20240006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62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0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arranged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23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the mechanical spring being a leaf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60G11/113Mountings on th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52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 B60G17/0157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action on a particular type of suspension unit non-fluid unit, e.g.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1Leaf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1Leaf spring
    • B60G2202/114Leaf spring transvers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2Electric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3Rails, tubes, or the lik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2Spring cons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30Height or ground cl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5Electric motors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2Clutches or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6Suspen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는 휠이 체결되어 위치되는 너클, 차체에 위치하여 트레일링 암을 통해 상기 너클과 체결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너클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의 지지점이 가변되는 리프 스프링 및 상기 리프 스프링의 타단의 지지점을 가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리프 스프링과 접하여 위치하는 스프링 지지부 및 상기 스프링 지지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스프링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구동부는 상기 스프링 지지부의 위치를 이동하여 상기 리프 스프링의 지지점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Having Leaf-Spring}
본 발명은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바람직하게, 스프링 구동부를 통해 리프 스프링의 길이를 가변하도록 구성되어 서스펜션 장치에 제공되는 탄성력 및 스프링 강성을 조절할 수 있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현가장치에는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과 바퀴의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차량의 폭방향으로 횡치 리프 스프링(Leaf Spring)이 설치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현가장치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는데, 서브프레임(101)이 연결링크(102)를 통하여 휠(W)과 연결되고, 상기 현가장치(100)가 쇽업저버(103)를 통하여 차체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서브프레임(101)과 평행하게 횡치 리프 스프링(110)이 설치되어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고,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는데, 상기 횡치 리프 스프링(110)은 그 단부에 인접한 부위에서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상부마운팅 부시(111)와 하부마운팅부시(112)를 설치하여 상기 서브프레임(101)에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횡치 리프 스프링(110)은 상기 상부마운팅부시(111)와 상기 하부마운팅부시(11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현가장치(100)가 동일한 특성을 발휘할 수 밖에 없었다. 즉, 운전자는 취항에 따라 상기 현가장치(100)가 다른 특성을 발휘하기를 원하는데, 상기 현가장치(100)의 특성을 제어할 수가 없었다.
또한, 상기 횡치 리프 스프링(110)의 스프링상수에 따라 상기 차량의 승차감, 핸들링 특성 등이 변경될 수 있는데, 상기 횡치 리프 스프링(110)의 스프링상수가 고정되어 있어서, 차량의 내구에 따라 초기의 현가장치(100)의 특성이 변화됨에도 불구하고, 이를 초기의 상태로 조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취향에 따라 현가장치의 특성을 변경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휠의 높이 변경이 발생되는 환경에 대응하여 리프 스프링의 강성을 가변하고, 가변된 강성에 대응하여 차고의 제어 또는 휠의 범프/리바운드 환경에 대응한 리프 스프링의 탄성력 변화가 가능한 차량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0591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길이 가변을 통해서 차량에 제공되는 리프 스프링의 스프링 상수 및 스프링 강성을 조절할 수 있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리프 스프링의 강성 조절을 수행하고자, 모터부를 중심으로 이격되어 회전되는 스프링 지지부를 통해 리프 스프링의 일단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는 휠이 체결되어 위치되는 너클; 차체에 위치하여 트레일링 암을 통해 상기 너클과 체결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너클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의 지지점이 가변되는 리프 스프링; 및 상기 리프 스프링의 타단의 지지점을 가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리프 스프링과 접하여 위치하는 스프링 지지부; 및 상기 스프링 지지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스프링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구동부는 상기 스프링 지지부의 위치를 이동하여 상기 리프 스프링의 지지점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 구동부는, 상기 스프링 지지부로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의 출력단과 상기 스프링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클러치부;를 포함하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클러치부 출력단에 위치하는 감속기;를 더 포함하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 지지부는, 상기 스프링 구동부의 출력단과 체결되어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에 대응하여 회전되는 지지캠; 및 상기 리프 스프링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 구동부의 출력단은 상기 지지캠의 중심축에 편심되어 체결되고,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캠의 중심축이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차량에 무게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하중 센서;를 더 포함하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중 센서에서 측정되는 하중이 설정범위 보다 큰 경우, 제어부는 상기 리프 스프링과 상기 너클이 체결되는 일단에서 상기 리프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지지부가 접하는 지지점까지의 길이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중 센서에서 측정되는 하중이 설정범위 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는 상기 리프 스프링과 상기 너클이 체결되는 일단에서 상기 리프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지지부가 접하는 지지점까지의 길이가 길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는 휠 스트로크가 범프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리프 스프링이 상기 스프링 지지부와 접하는 지지점이 상기 너클과 가까워 지도록 상기 스프링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어부는 휠 스트로크가 리바운드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리프 스프링이 상기 스프링 지지부와 접하는 지지점이 상기 너클과 멀어 지도록 상기 스프링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트레일링 암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너클과 상기 트레일링 암을 일체로 구성되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을 통해서 서스펜션 장치에 인가되는 리프 스프링의 탄성력 및 강성을 가변할 수 있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의 차고, 범프 및 리바운드에 대응하여 리프 스프링의 강성을 제어하여 차량의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한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로서, 리프 스프링을 포함하는 서스펜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의 스프링 구동부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의 스프링 구동부의 구동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스프링 구동부의 클러치부의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스프링 구동부의 클러치부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설정범위보다 작은 하중이 인가된 상태에서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의 구동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설정범위의 하중이 인가된 상태에서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의 구동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c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설정범위보다 큰 하중이 인가된 상태에서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의 구동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휠 스트로크의 리바운드 상태에서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의 구동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설정범위의 휠 스트로크 상태에서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의 구동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c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휠 스트로크의 범프 상태에서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의 구동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리프 스프링(220)의 길이'는 리프 스프링(220)이 차체 또는 서스펜션을 이루는 구성과 접하는 양단 사이의 길이를 의미하는 것으로, 고정된 일단을 제외한 타단의 지지점이 가변됨에 따라 리프 스프링(220)의 지지점간의 길이는 가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리프 스프링의 '강성'은 '탄성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으며, 탄성력은 탄성계수의 변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클러치부(500)를 구성하는 인풋 샤프트(503)는 모터부(321)의 중심축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우터 샤프트(506)는 스프링 지지부(310)와 체결되는 모터부(321)의 중심축과 동축에 구성되는 출력단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리프 스프링(220) 서스펜션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휠이 체결되는 너클(200), 차체에 고정되는 차체 고정 프레임(210), 차체 고정 프레임(210)과 너클(200) 사이에 위치하는 트레일링 암(230)을 포함한다. 너클(200) 또는 트레일링 암(230)에 위치하는 체결부(240)를 포함하고, 체결부(240)에는 리프 스프링(220)의 일단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리프 스프링(220)의 타단의 지지점은 차체에 체결되어 위치하는 지지유닛(300)에 접하여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리프 스프링(220)의 타단 지지점 외측으로 연장되어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너클(200)과 트레일링 암(230)을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리프 스프링(220)은 탄소소재(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로 구성될 수 있다.
차체 고정 프레임(210)은 일단이 차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트레일링 암(230)과 체결되는바, 트레일링 암(230)이 차체 고정 프레임(210)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트레일링 암(230)은 휠 스트로크에 대응하여 너클(200)과 일체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트레일링 암(230)은 차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절곡되고, 리프 스프링(220)의 적어도 일부는 트레일링 암(230)을 따라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리프 스프링(220)의 일단은 너클(200) 또는 트레일링 암(230)에 체결부(240)를 통해 고정되어 위치되는바, 리프 스프링(220)의 일단과 너클(200) 또는 트레일링 암(230)이 일체로 볼트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트 스프링의 타단은 지지유닛(300)에 지지점이 위치하도록 구성되는바, 더 바람직하게, 지지유닛(300)의 스프링 지지부(310)와 접하여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지지유닛(300)은 리프 스프링(220)과 접하여 위치하는 스프링 지지부(310)와 스프링 지지부(310)의 위치를 가변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스프링 구동부(320)로 구성된다. 스프링 구동부(320)는 일단이 차체에 고정되고, 타단의 출력단(323)은 스프링 지지부(310)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스프링 지지부(310)는 스프링 구동부(320)의 출력단(323)과 편심 체결되어 상기 스프링 구동부(320)의 회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스프링 지지부(310)의 중심축은 상기 스프링 구동부(3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위치가 가변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스프링 지지부(31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 지지부(310)와 마주하는 리프 스프링(220)의 타단 지지점이 리프 스프링(2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스프링 구동부(320) 모터부(321)의 양방향 회전에 대응하여 리프 스프링(220) 타단 지지점과 접하는 스프링 지지부(310)의 위치는 상기 리프 스프링(220)과 접하는 양단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지도록 상기 스프링 지지부(310)의 위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스프링 구동부(320)는 스프링 지지부(310)에 회전력은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모터부(321), 모터부(321)의 출력축에 위치하여 모터부(321)의 양방향 회전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클러치부(500) 및 클러치부(500) 출력단에 위치하여 모터부(321)의 회전량에 대응하여 출력단의 회전량을 제어하는 감속기(322)로 구성된다. 모터부(321)는 제어부(600)의 설정에 대응하여 회전량이 설정되고, 설정된 회전량에 대응하여 스프링 지지부(310)와 체결되는 출력단(323)의 회전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클러치부(500)는 모터부(321)의 양방향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력을 출력단(323)으로 전달하고 전달된 회전력에 대응하여 스프링 지지부(310)가 회전되어 상기 스프링 지지부(310)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스프링 지지부(310)는 리프 스프링(220)의 타단과 접하여 위치되고, 측면은 스프링 구동부(320)의 출력단(323)과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리프 스프링(220)과 체결되는 지지캠(311)을 포함하고, 리프 스프링(2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가이드(312)를 포함한다.
스프링 가이드(312)는 지지캠(311)의 중심축을 따라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가이드 링크(313)를 포함하고, 리프 스프링(220)의 일측면과 접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가이드 바(314)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스프링 가이드 바(314)는 스프링 가이드 링크(313)를 기준으로 회전 자유도를 갖도록 체결되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캠(311)은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리프 스프링(220)이 상기 지지캠(311)의 외주면에 접하여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스프링 구동부(320)의 출력단(323)은 지지캠(311)의 측면에 중심축을 기준으로 편심되어 체결된다. 따라서, 모터부(321)의 회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지지캠(311)은 스프링 구동부(320)의 출력단(323)을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지지캠(311)에 접하여 위치하는 리프 스프링(220)의 타단의 지지점의 위치가 상기 지지캠(311)과 일체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차량에 위치하는 하중 센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중 센서(400)에서 측정되는 차량의 하중이 설정범위(설정값) 보다 큰 경우, 제어부(600)는 상기 스프링 구동부(320)의 구동을 수행하고, 스프링 지지부(310)의 회전을 수행하여 리프 스프링(220)의 타단이 상기 리프 스프링(220)의 일단과 가까운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리프 스프링(220)의 강성이 증가하도록 제어된다.
이와 반대로, 하중 센서(400)에서 측정되는 차량의 하중이 설정범위(설정값) 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600)는 상기 스프링 구동부(320)의 타방향 구동을 수행하고, 스프링 지지부(310)의 타방향 회전을 수행하여 리프 스프링(220)의 타단이 상기 리프 스프링(220)의 일단과 먼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리프 스프링(220)의 강성이 감소하도록 제어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어부(600)는 차량의 하중에 대응하여 차고 조절을 수행하기 위해 리프 스프링(220)의 강성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600)는 차량의 범프 상태 또는 리바운드 상태를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 상태에 대응하여 지지유닛(300)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600)는 휠 스트로크의 범프 상태가 측정되는 경우 리프 스프링(220)의 타단이 상기 리프 스프링(220)의 일단과 가까운 위치로 이동되도록 지지유닛(300)을 제어하고, 이와 반대로 휠 스트로크의 리바운드 상태에서는 리프 스프링(220)의 타단이 리프 스프링(220)의 일단과 먼 위치로 이동되도록 지지유닛(300)을 제어한다.
따라서, 제어부(600)는 차량에 인가되는 하중 또는 휠 스트로크 상태를 고려하여 리프 스프링(220)의 강성을 가변할 수 있도록 상기 스프링 지지부(310)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도 3 내지 4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지지유닛(30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지지유닛(300)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리프 스프링(220)이 접하여 위치하는 스프링 지지부(310)와 상기 스프링 지지부(310)의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구동부(320)를 포함한다.
스프링 구동부(320)는 차량에 위치하는 배터리를 통해 전력이 인가되고, 인가된 전력에 기반하여 모터부(321)의 회전력이 인가된다. 회전력이 인가되는 모터부(321)는 양방향 회전을 수행하는 클러치부(500), 클러치부(500) 출력단에 위치하는 감속기(322)를 통해 스프링 지지부(310)의 지지캠(311)에 회전력을 인가한다. 더 바람직하게, 스프링 구동부(320)의 출력단(323)은 스프링 지지부(310)의 지지캠(311)에 편심되어 체결되는바, 모터부(321)의 구동력이 인가되는 경우, 출력단의 회전축과 방사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갖고 스프링 지지부(310)가 상기 스프링 구동부(320)의 출력단(323)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스프링 지지부(310)와 체결되어 위치하는 리프 스프링(220)의 타단의 접점이 변경되어 리프 스프링(220)을 통해 인가되는 강성이 가변되도록 구성된다.
리프 스프링(220)의 타단은 지지캠(311)에 접하여 위치되고, 리프 스프링(220)의 상단은 지지캠(311)과 체결되는 스프링 가이드(312)를 통해 지지캠(3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스프링 가이드(312)의 구성으로서, 스프링 가이드 링크(313)는 지지캠(311)의 중심축을 따라 리프 스프링(220)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리프 스프링(220)의 일측면과 접하도록 구성되고, 스프링 가이드 링크(313)와 양단이 체결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프링 가이드 바(314)를 포함한다.
더욱이, 모터부(321)의 회전량에 대응하여 스프링 구동부(320)의 출력단으로부터 지지캠(311)으로 인가되는 회전력에 따라 지지캠(311)의 중심축은 출력단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스프링 구동부(320)의 출력단과 지지캠(311)의 중심축까지의 거리에 따라 리프 스프링(220)의 강성이 결정되도록 구성된다.
도 4에서는 스프링 구동부(320)의 출력단(323)과 체결되는 지지캠(311)의 중심축 및 스프링 가이드(312)의 링크축의 위치관계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구동부(320)는 스프링 지지부(310)의 지지캠(311)과 편심되어 체결되도록 구성되는바, 스프링 구동부(320)의 출력단(323)이 지지캠(311)의 중심축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는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모터부(321)의 회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스프링 지지부(310)는 일체로 스프링 구동부(320)의 출력단(323)의 회전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지지캠(311)이 스프링 구동부(320)의 구동력에 따라 회전되는 경우 스프링 가이드(312)는 리프 스프링(2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고, 리프 스프링(220)이 스프링 지지부(3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캠(311)의 외주면의 외측에 이격되어 상기 지지캠(311)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스프링 가이드(312)는 지지캠(311)의 중심축에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지지캠(311)의 회전시에 리프 스프링(220)의 일측면과 접하여 리프 스프링(220)이 지지캠(311)과 지속적으로 접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b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모터부(321)와 체결되는 클러치부(50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클러치부(500)는 하우징(501)을 포함하고, 하우징(501) 일단에 하우징(501)의 개방된 일단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커버부(502)를 포함한다. 하우징(501)은 원형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며, 커버부(502)는 하우징(501)의 일단의 개구부가 모두 감싸지도록 구성된다.
하우징(501)의 타단을 관통하고 적어도 하나의 평평한 면을 구성하는 아우터 샤프트(506)(출력단)를 포함한다. 하우징(501) 내측에는 아우터 샤프트(506)(출력단)의 평평한 면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락커(507)를 포함하고, 각각의 락커(507)에 위치하는 개구부(508) 내측에 삽입되는 일단을 포함하는 인풋 샤프트(503)를 제공한다. 아우터 샤프트(506)(출력단)는 하우징(501) 내측에 위치하는 다수의 락커(507)의 개수와 대응되는 평평한 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아우터 샤프트(506)(출력단)는 4개의 락커(507)와 대응되는 4개의 평평한 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아우터 샤프트(506)(출력단)에 위치하는 평평한 면은 인풋 샤프트(503)의 회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인접한 다수의 락커(507)와 접합하도록 구성되는바, 락커(507)와 아우터 샤프트(506)(출력단)는 선택적으로 면접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풋 샤프트(503)는 각각의 락커(507)에 위치하는 개구부(508)로 적어도 길이 방향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타단은 커버부(502)를 관통하여 커버부(502) 외측으로 돌출된 구동 전달부(505)를 포함한다. 구동 전달부(505)는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부(미도시)와 체결되어 구동부의 회전 방향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인풋 샤프트(503) 타단에 위치하는 구동 전달부(505)로 구동부의 회전력이 인가되도록 구성되고, 구동 전달부(505)로 인가된 구동력은 회전 전달부(504)를 통해 아우터 샤프트(506)(출력단)를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구동부는 인풋 샤프트(503)가 회전될 수 있는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다수의 락커(507)가 인풋 샤프트(503)의 회전력에 대응하여 아우터 샤프트(506)(출력단)의 평평한 면과 면접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인풋 샤프트(503)와 체결되는 구동부는 모터부(321)로 구성될 수 있다.
인풋 샤프트(503)는 다수의 락커(507) 각각에 형성되는 개구부(508) 내측으로 삽입되는 회전 전달부(504)를 포함하는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4개의 락커(507)에 대응되는 4개의 회전 전달부(504)를 포함하고, 각각의 회전 전달부(504)는 다수의 락커(507)에 형성되는 각각의 개구부(508)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회전 전달부(504)는 구동 전달부(505)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개구부(508)를 통해 회전 전달부(504)와 접하는 락커(507)는 인풋 샤프트(503)의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클러치부(500) 하우징(501) 내측에 위치하는 제동유닛은 아우터 샤프트(506)(출력단)의 회전력이 클러치 내부로 인가되는 경우, 다수의 락커(507)의 움직임을 규제하도록 구성되는바, 아우터 샤프트(506)(출력단)의 회전력이 인풋 샤프트(503)로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동유닛은 락커(507) 최외측에 위치하는 자성부(511), 하우징(501) 내주면에 위치하여 상기 자성부(511)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성되는 스틸부(512)를 포함하고, 스틸부(512)와 인접하여 상기 락커(507)와 선택적으로 접하도록 구성되는 제동부(513)를 포함한다.
다수의 락커(507)는 하우징(501) 내측에 위치하고, 아우터 샤프트(506)(출력단)의 평평한 면과 각각의 락커(507)가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다수의 락커(507)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위치하고, 아우터 샤프트(506)(출력단)의 평평한 면과 하우징(501)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위치된다. 더 바람직하게, 아우터 샤프트(506)(출력단)의 평평한 면은 락커(507)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각각의 락커(507)의 내측면은 아우터 샤프트(506)(출력단)의 평평한 면과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인풋 샤프트(503)의 회전력이 인가되는 경우, 락커(507)의 내측 일단은 아우터 샤프트(506)(출력단)에 형성되는 평평한 면과 접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501)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이격되어 하우징(501) 내주면의 간섭 없이 인풋 샤프트(503), 락커(507) 및 아우터 샤프트(506)(출력단)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501) 내주면에는 스틸부(512)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락커(507) 외주면에는 자성부(511)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바, 인풋 샤프트(503)의 회전력이 해제되는 경우, 락커(507)의 자성부(511)는 하우징(501) 내주면과 가까운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더욱이, 스틸부(512)와 인접하여 하우징(501) 내주면과 가까이 위치하는 제동부(513)를 포함하는바, 자기력에 의해 락커(507)의 외주면은 제동부(513)와 접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인풋 샤프트(503)의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아우터 샤프트(506)(출력단)의 회전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상기 아우터 샤프트(506)(출력단)의 평평한 면이 다수의 락커(507)를 방사방향으로 밀어 하우징(501) 내주면에 위치하는 제동부(513)와 락커(507)의 외주면이 서로 접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아우터 샤프트(506)(출력단)의 회전력이 인풋 샤프트(503)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제동부(513)는 상대적으로 스틸부(512)보다 락커(507)와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바, 락커(507)의 자성부(511)가 스틸부(512)와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락커(507)와 하우징(501) 내주면은 락커(507)의 위치에 따라 소정의 간격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풋 샤프트(503)의 구동력이 해제된 상태에서 자성부(511)의 자성력에 의해 락커(507)의 외주면은 하우징(501)의 내주면과 인접한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하우징(501) 내주면과 락커(507) 외주면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 되도록 위치된다.
이와 반대로, 인풋 샤프트(503)가 회전되는 경우, 인풋 샤프트(503)의 회전 전달부(504)가 락커(507) 개구부(508)의 폭방향 일단과 접하여 위치하고, 각각의 락커(507)가 구동부의 회전력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경우, 다수의 락커(507)는 아우터 샤프트(506)(출력단)의 평평한 면과 접하도록 위치되는바, 하우징(501)의 내주면과 락커(507)의 외주면의 간격이 최대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인풋 샤프트(503) 회전에 대응하여 락커(507)는 하우징(501)과 반력이 발생하지 않고 아우터 샤프트(506)(출력단)를 면구속하는 상태로 위치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클러치부(500)는 구동부로부터 인가되는 회전방향과 일치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인풋 샤프트(503)에 대응하여 락커(507)가 하우징(501)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아우터 샤프트(506)(출력단)가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인풋 샤프트(503)로 인가되는 회전력이 해제되는 경우 제동부(513)와 락커(507)가 접하여 인풋 샤프트(503)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백 드라이브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6a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하중 센서(400)를 통해 측정되는 차량의 하중이 설정범위보다 작은 경우, 리프 스프링(220)의 강성을 감소하는 방향으로 스프링 지지부(310)의 위치를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6b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설정범위의 하중이 인가되는 경우, 리프 스프링(220)의 제어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6c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측정된 하중이 설정범위보다 큰 경우 리프 스프링(220)의 길이 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제어부(600)는 차량에 위치하는 하중 센서(400)를 통해 차량으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을 측정하고, 측정된 하중이 미리 설정된 설정범위 내의 하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부(600)는 측정된 하중이 설정범위보다 작은 경우 스프링 구동부(320)의 모터부(321)로 전력을 인가하여 스프링 지지부(310)가 일방향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b와 비교하여, 단면상 스프링 지지부(3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리프 스프링(220)이 접하는 길이 L2가 도 6b에 개시된 리프 스프링(220)의 길이 L1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길어지도록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리프 스프링(220)의 양단 지지점 사이의 거리가 길어지는 경우에도 리프 스프링(220)은 지지캠(311)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구성되며, 스프링 가이드(312)는 리프 스프링(22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위치된다.
이와 비교하여, 도 6c에서는 측정된 하중이 설정범위보다 큰 경우 스프링 구동부(320)의 모터부(321)로 전력이 인가되고, 스프링 구동부(320)의 출력단(323)이 도시된 단면상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지지캠(311)의 중심축이 상기 출력단(323)의 회전각도만큼 이동된다. 따라서 리프 스프링(220)이 너클(200) 및 스프링 지지부(310)와 접하는 양단이 서로 가까워 지도록 길이 L3를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리프 스프링(220)은 설정범위 내의 하중이 인가된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리프 스프링(220)이 접하는 양단이 가까워 지는 경우 상대적으로 지지캠(311)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는 리프 스프링(220)의 끝단이 길어지도록 구성되며, 여전히 스프링 가이드(312)와 지지캠(311) 사이에 리프 스프링(220)이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도 7a 내지 도 7c에서는 본 발명이 또 다른 실시예로서, 휠 스트로크에 대응하여 리프 스프링(220)의 강성을 제어하기 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의 휠 스트로크 변경시 차체 고정 프레임(210)에 위치하는 트레일링 암(23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너클(200)은 상하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성되는바, 이에 대응하여 리프 스프링(220)의 강성이 가변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 7b는 휠 스트로크가 설정범위 내측에 위치하는 경우, 리프 스프링(220)의 길이 L5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제어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비교하여, 도 7a에서는 휠 스트로크가 리바운드 상태인 경우, 휠 스트로크 상태에 따라 트레일링 암(230)이 차량의 높이 방향 하단으로 회전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스프링 구동부(320)는 스프링 지지부(310)를 제어하여 리프 스프링(220)을 지지하는 타단이 체결부(240)를 기준으로 길이가 가장 긴 L4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된다. 즉, 도면상 스프링 구동부(320)가 반시계 방향을 따라 회전되고, 이에 스프링 지지부(310)와 리프 스프링(220)의 지지점이 설정범위 내측의 휠 스트로크시 리프 스프링(220)의 길이 L5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멀어 지도록 제어된다.
또한, 도 7c에서는 휠 스트로크가 범프 상태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휠 스트로크가 범프 상태인 경우, 트레일링 암(230)이 고정 프레임(210)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 상단으로 회전되고, 이에 대응하여 리프 스프링(220)의 길이 L6가 도 7b의 길이 L5 보다 짧아지는 위치로 스프링 지지부(310)가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부(600)는 스프링 구동부(320) 모터부(321)의 시계방향 회전을 인가하고, 상기 스프링 구동부(320)의 출력단(323)의 회전 방향을 따라 지지캠(311)이 회전되는바, 리프 스프링(220)의 양단이 가장 짧은 상태로 전환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차고의 높이, 휠 스트로크 상태를 고려하여 리프 스프링(220)의 타단에 지지점을 변경하여 탄성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바, 상대적으로 리프 스프링(220)의 강성을 가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기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기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너클
210: 고정 프레임
220: 리프 스프링
230: 트레일링 암
240: 체결부
300: 지지유닛
310: 스프링 지지부
311: 지지캠
312: 스프링 가이드
313: 스프링 가이드 링크
314: 스프링 가이드 바
320: 스프링 구동부
321: 모터부
322: 감속기
323: 출력단
400: 하중 센서
500: 클러치부
501: 하우징
502: 커버부
503: 인풋 샤프트
504: 회전 전달부
505: 구동 전달부
506: 아우터 샤프트
507: 락커
508: 개구부
509: 가압돌기
510: 삽입홈
511: 자성부
512: 스틸부
513: 제동부
600: 제어부

Claims (14)

  1. 휠이 체결되어 위치되는 너클;
    차체에 위치하여 트레일링 암을 통해 상기 너클과 체결되는 고정 프레임;
    상기 너클에 일단이 체결되고 타단의 지지점이 가변되는 리프 스프링; 및
    상기 리프 스프링의 타단의 지지점을 가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리프 스프링과 접하여 위치하는 스프링 지지부; 및
    상기 스프링 지지부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동력을 인가하는 스프링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구동부는 상기 스프링 지지부의 위치를 이동하여 상기 리프 스프링의 지지점 위치가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구동부는,
    상기 스프링 지지부로 회전력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의 출력단과 상기 스프링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클러치부;를 포함하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 출력단에 위치하는 감속기;를 더 포함하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지지부는,
    상기 스프링 구동부의 출력단과 체결되어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에 대응하여 회전되는 지지캠; 및
    상기 리프 스프링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가이드는,
    상기 지지캠의 중심축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가이드 링크; 및
    상기 리프 스프링의 일측면과 접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가이드 바;로 구성되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가이드 바는 상기 스프링 가이드 링크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구동부의 출력단은 상기 지지캠의 중심축에 편심되어 체결되고, 상기 모터부의 회전력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캠의 중심축이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차량에 무게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하중 센서;를 더 포함하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센서에서 측정되는 하중이 설정범위 보다 큰 경우, 제어부는 상기 리프 스프링과 상기 너클이 체결되는 일단에서 상기 리프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지지부가 접하는 지지점까지의 길이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센서에서 측정되는 하중이 설정범위 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는 상기 리프 스프링과 상기 너클이 체결되는 일단에서 상기 리프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지지부가 접하는 지지점까지의 길이가 길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스프링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휠 스트로크가 범프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리프 스프링이 상기 스프링 지지부와 접하는 지지점이 상기 너클과 가까워 지도록 상기 스프링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휠 스트로크가 리바운드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리프 스프링이 상기 스프링 지지부와 접하는 지지점이 상기 너클과 멀어 지도록 상기 스프링 지지부를 이동시키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일링 암은 상기 고정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클과 상기 트레일링 암을 일체로 구성되는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KR1020220082999A 2022-07-06 2022-07-06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KR2024000622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999A KR20240006222A (ko) 2022-07-06 2022-07-06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US18/073,125 US20230391157A1 (en) 2022-07-06 2022-12-01 Suspension having leaf spring
CN202211697091.XA CN117360133A (zh) 2022-07-06 2022-12-28 具有板簧的悬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999A KR20240006222A (ko) 2022-07-06 2022-07-06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222A true KR20240006222A (ko) 2024-01-15

Family

ID=8897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999A KR20240006222A (ko) 2022-07-06 2022-07-06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91157A1 (ko)
KR (1) KR20240006222A (ko)
CN (1) CN11736013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910A (ko) 2011-07-08 2013-0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횡치 리프 서스펜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910A (ko) 2011-07-08 2013-0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횡치 리프 서스펜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91157A1 (en) 2023-12-07
CN117360133A (zh) 2024-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5702A (ko) 안티-롤 바를 구비한 차량
US6530562B1 (en) Automotive beam spring
CN111032374B (zh) 用于机动车的车轮悬架
KR20240006222A (ko)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US6082748A (en) Wheel suspension for motor vehicles
JP2002234324A (ja) 自動車用懸架コイルばね及び該懸架コイルばねを備えたストラット型懸架装置
KR20220068549A (ko) 독립 현가 시스템
JP3551630B2 (ja) 車両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
KR20230036598A (ko) 차량의 스케이트보드 플랫폼용 서스펜션 구조
JPH02197411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130062138A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져 장치
KR102542943B1 (ko) 차량의 롤 강성 가변 장치
KR20240043826A (ko)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KR100398210B1 (ko) 롤링 억제 기능을 가진 듀얼링크 리어 서스펜션
KR102638576B1 (ko) 줄 꼬임을 이용한 모빌리티용 가변 서스펜션
JP7502979B2 (ja) 懸架装置
KR100392344B1 (ko) 자동차용현가장치
KR100458189B1 (ko) 감쇠력 가변 서스펜션
KR20060053711A (ko) 차량의 스트럿어셈블리
KR101284340B1 (ko) 액티브 롤 컨트롤 장치
JP2022114964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KR100345128B1 (ko) 쇽 업소오버의 감쇠력 조절장치
JP2022091046A (ja) 懸架装置
KR100946508B1 (ko) 롤 댐핑 조절 기능을 갖는 차량용 현가장치
KR20030024376A (ko) 킹핀축 가변이 가능한 스트러트 인슈레이터 마운트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