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6172A -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6172A
KR20240006172A KR1020220082911A KR20220082911A KR20240006172A KR 20240006172 A KR20240006172 A KR 20240006172A KR 1020220082911 A KR1020220082911 A KR 1020220082911A KR 20220082911 A KR20220082911 A KR 20220082911A KR 20240006172 A KR20240006172 A KR 202400061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indoor
insulation
window frame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양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원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원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원창호
Priority to KR1020220082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6172A/ko
Publication of KR20240006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617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34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specially adapted for sliding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06B3/267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 E06B3/2675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with insulating elements formed in situ combined with prefabricated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 E06B7/23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 E06B7/2305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 E06B7/2307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 E06B7/231Plastic, sponge rubber, or like strips or tubes with an integrally formed part for fixing the edging with a single sealing-line or -plane between the wing and the part co-operating with the wing with a solid sealing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는 창틀프레임, 창틀 프레임의 실외측에 결합되는 실외측 창짝, 창틀프레임의 실내측에 실외측 창짝과 결합되어 슬라이딩 개폐되는 실내측 창짝을 포함하고, 실내측 창짝의 하부에 구비되는 호차는 창틀프레임과 실내측 창짝 그리고 실내측 창짝의 유리로 이어지는 수직 단열라인에서 실내측으로 편심되게 마련된 설치홈부 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 설치 구조 {SLIDING WINDOW INSTALLATION STRUCTURE WITH IMPROVED INSULATION}
아래 실시예들은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출입 단속, 채광이나 환기 등을 목적으로 하는 창호가 마련되어 있다.
창호는 개폐 방식에 따라 미닫이식, 여닫이식, 고정식 등으로 구분되고, 창틀프레임 및 창짝프레임을 형성하는 재질에 따라 목재 창호, PVC(Poly Vinyl Choride) 창호, 알루미늄 창호 등으로 구분된다.
목재 창호의 경우 재질 특성상 성형 등의 작업이 번거로워 대량 생산이 곤란한 반면, PVC 창호 및 알루미늄 창호는 사출 공법에 의해 비교적 간단히 성형되어 대량 생산이 원활하므로 최근 창호의 대다수가 PVC 창호 또는 알루미늄 창호로 제작된다.
알루미늄 창호의 경우 대량 생산이 원활하고, 고유의 질감에 의해 외관이 미려한 장점이 있지만, PVC 창호에 비해 열전달율이 높아 단열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 설치 구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실시예들은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는 창틀프레임, 창틀 프레임의 실외측에 결합되는 실외측 창짝, 창틀프레임의 실내측에 실외측 창짝과 결합되어 슬라이딩 개폐되는 실내측 창짝을 포함하고, 실내측 창짝의 하부에 구비되는 호차는 창틀프레임과 실내측 창짝 그리고 실내측 창짝의 유리로 이어지는 수직 단열라인에서 실내측으로 편심되게 마련된 설치홈부 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들은 슬라이딩 창짝의 하부에 구비되는 호차를 창호의 수직 단열라인에서 실내측으로 편심되게 설치해줌과 아울러, 창호의 실내, 외측면을 구성하는 프로파일 사이에 단열발포소재인 블록형 단열부재를 단열브릿지로 적용함에 따라 단열부재의 재질 특성과 공극에 의해 상기 프로파일 사이의 열전달을 효율적으로 차단해줄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수직 단열라인을 구성하는 창짝과 창틀프레임 사이 틈새에 복수의 가스켓 및 기밀부재를 개재하는 방식으로 다중 실링구조를 적용해줌으로써 창호의 기밀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의 실내측 입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의 실내측 창짝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의 실외측 창짝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의 실내측 입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의 실내측 창짝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의 실외측 창짝을 기준으로 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는 창틀프레임, 창틀 프레임의 실외측에 결합되는 실외측 창짝, 창틀프레임의 실내측에 실외측 창짝과 결합되어 슬라이딩 개폐되는 실내측 창짝을 포함하고, 실내측 창짝의 하부에 구비되는 호차는 창틀프레임과 실내측 창짝 그리고 실내측 창짝의 유리로 이어지는 수직 단열라인에서 실내측으로 편심되게 마련된 설치홈부 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창틀프레임과 실외측 창짝 및 실내칙 창짝의 실내, 외측면을 각각 구성하는 프로파일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프로파일의 대향면 사이에는 단열발포소재의 블록형 단열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단열부재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되어 공극을 구비하며 블록형이다.
단열부재는 프로파일 사이에 직접 결합될 수 있으나 단열부재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프로파일의 대향면에 서로 마주하도록 결합된 연결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재는 폴리아미드 재질로 형성되고, 연결부재에는 돌기가 구비되고, 프로파일의 대향면에는 연결부재의 돌기가 결합될 수 있도록 홈이 구비된다 홈은 상측 날개와 하측 날개의 구조를 통해 그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홈에 돌기가 삽입된 후 상측 날개와 하측 날개가 가압에 의해 돌기를 물어 고정해줌에 따라 프로파일과 연결부재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홈은 프로파일의 대향면 상하로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는 단열발포소재인 단열부재에 비해 고강도 재질이다. 즉 단열부재와 프로파일 사이에 연결부재를 각각 개재하는 결합방식을 적용해줌으로써 구성요소 간에 견고한 조립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단열부재는 PU 경화폼으로서 모서리의 강도를 높이고 중심부까지 밀도를 동일하게 한 것이다. 액체 형상의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 및 기타 첨가제를 포함하여 혼합 가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열부재는 고단열 재질로, 일단 경화가 된 이후에는 온도변화(-50 ~ 115℃의 조건에서 실험)에 따른 변형이 없다.
이 경우 단열부재의 기본물성은, 열전도도가 0.03 ~ 0.08W/mK이고, 탄성계수가 800 ~ 1200MPa이며, 인장강도가 5 ~ 7MPa이고, 기공입자의 크기가 80 ~ 150㎛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물성으로 이루어진 블록형 단열부재를 알루미늄 창호의 단열브릿지로 사용함으로써, 실내,외측 프로파일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하여 창호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일정한 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호의 내풍압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단열부재는 별도의 제조 공정을 통해 제조된 후 연결부재의 돌기에 홈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조할 수도 있으나, 제조 공정의 편의를 위해 몰드 내에 한 쌍의 연결부재를 서로 대향되게 삽입한 상태에서 우레탄 폼의 발포 성형을 통해 연결부재 사이에 단열부재를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창틀프레임 내에 적어도 한 쌍으로 구성되는 창짝은 모두 슬라이딩 창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창호의 기밀 및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창틀프레임의 실외측에 결합되는 실외측 창짝은 고정창으로 구성하고, 실내측 창짝은 창틀프레임의 실내측 레일 상에 슬라이딩 개폐 가능한 슬라이딩 창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내측 창짝의 저면에 구비되는 호차는 단열라인에서 실내측으로 편심되게 마련된 설치홈부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창호의 단열라인에 빈 공간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는 호차 설치용 설치홈부를 단열라인의 동일 수직선상에 위치시켜서는 안 된다.
따라서, 호차를 단열라인에서 실내측으로 편심되게 설치함으로써 창호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내측 창짝은 리프트 슬라이딩(Lift-sliding)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내측 창짝의 저면에는 수직 단열라인을 구성하는 창틀프레임과 실내측 창짝 사이 틈새를 막아 기밀을 유지해주는 가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가스켓은 실내,외측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된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창호의 기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창틀프레임의 내주면에는 실내측 창짝의 닫힘 조작 시 실내측 창짝의 실외측면에 맞닿아 사이 틈새를 막아 기밀을 유지해주는 기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단열라인이 일치되는 알루미늄 슬라이딩 창호는, 창틀프레임과 실내측 창짝, 그리고 실내측 창짝에 결합된 유리로 이어지는 단열라인을 일치시켜 빈 공간을 없애줌으로써 창호의 단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창호의 실내,외측면을 구성하는 프로파일 사이에 단열발포소재인 블록형 단열부재를 단열브릿지로 적용함에 따라, 단열부재의 재질 특성과 공극에 의해 프로파일 사이의 열전달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수직 단열라인을 구성하는 창틀프레임과 창짝의 사이 틈새에 복수의 가스켓 및 기밀부재를 개재하는 방식으로 다중 실링구조를 적용해줌으로써 창호의 기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창틀프레임;
    창틀 프레임의 실외측에 결합되는 실외측 창짝;
    창틀프레임의 실내측에 실외측 창짝과 결합되어 슬라이딩 개폐되는 실내측 창짝을 포함하는,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 설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실내측 창짝의 하부에 구비되는 호차를 더 포함하고,
    호차는 창틀프레임과 실내측 창짝 그리고 실내측 창짝의 유리로 이어지는 수직 단열라인에서 실내측으로 편심되게 마련된 설치홈부 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 설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단열부재는
    발포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재질로,
    열전도도가 0.03 ~ 0.08W/mK, 탄성계수가 800 ~ 1200MPa, 인장강도가 5 ~ 7MPa, 기공입자 크기가 80 ~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 설치 구조.
KR1020220082911A 2022-07-06 2022-07-06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 설치 구조 KR202400061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911A KR20240006172A (ko) 2022-07-06 2022-07-06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911A KR20240006172A (ko) 2022-07-06 2022-07-06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 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6172A true KR20240006172A (ko) 2024-01-15

Family

ID=89543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911A KR20240006172A (ko) 2022-07-06 2022-07-06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61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913B1 (ko) 기밀 및 단열성능이 향상된 알루미늄 슬라이딩 창호
KR101153212B1 (ko) 단열복합의 프로젝트 이중 창
WO2020259142A1 (zh) 一种复合铝合金型材及制备方法
US11598142B2 (en) Fenestration assemblies including composite frame cores and methods for same
US11739586B2 (en) Door assemblies with insulated glazing unit venting
KR101709700B1 (ko) 단열 및 조립성이 개선된 미서기 창짝 및 그 제조방법
KR102108538B1 (ko) 고단열 알루미늄 창호
KR101223620B1 (ko) 단열복합의 이중 커튼 월 창
KR102249378B1 (ko) 여밈대의 기밀성능이 향상된 알루미늄 슬라이딩 창호
KR20240006172A (ko) 단열성이 개선된 슬라이딩 창호 설치 구조
KR100510392B1 (ko)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내측패널과 외측패널로 구성된복합창호
KR20220084768A (ko) 단열 커튼월
KR102189261B1 (ko) 수직 단열라인이 일치되는 알루미늄 슬라이딩 창호
KR20170130160A (ko) 여밈대의 기밀성능이 향상된 알루미늄 슬라이딩 창호
KR102168659B1 (ko) 단열 프로젝트 창호
CN104265139B (zh) 一种建筑门窗及建筑幕墙开启扇处密封节能构造
KR102371814B1 (ko) 알루미늄 창호 프레임
CN208669155U (zh) 建筑用被动式窗
KR102650016B1 (ko) 다중 단열 프로젝트 창호
CN111593999A (zh) 一种新型三层复合粘接式节能门窗型材及制作工艺
CN211144255U (zh) 一种新型耐火窗型材
CN219158767U (zh) 一种被动式低能耗建筑门窗
CN205445321U (zh) 铝合金树脂薄木内开节能门窗系统
KR200326568Y1 (ko)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내측패널과 외측패널로 구성된복합창호
CN106460445B (zh) 具有密封系统的门、窗或建筑外立面元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