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4650A - Angular ball bearings - Google Patents

Angular ball bearing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4650A
KR20240004650A KR1020237040778A KR20237040778A KR20240004650A KR 20240004650 A KR20240004650 A KR 20240004650A KR 1020237040778 A KR1020237040778 A KR 1020237040778A KR 20237040778 A KR20237040778 A KR 20237040778A KR 20240004650 A KR20240004650 A KR 20240004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diameter
ball bearing
angular ball
b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07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쇼이치 가나자와
Original Assignee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엔티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04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4650A/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1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1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38Ball c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앵귤러 볼베어링(11)은, 내륜(12)과, 외륜(13)과, 내륜(12)과 외륜(13) 사이에 개재하는 복수의 볼(14)과, 원통 형상으로서 볼(14)을 원주 방향 복수 개소에 설치된 포켓(Pt)에 유지하는 유지기(15)를 구비한다. 유지기(15)는 외륜 안내의 유지기 안내 형식이다. 유지기(15)의 내경(Hd)을, 볼(14)의 피치 원직경(P.C.D.)으로부터 볼(14)의 직경(Da)의 0.25∼0.35배를 뺀 값으로 했다. 유지기(15)의 두께(T)를, 볼(14)의 직경(Da)의 0.40∼0.45배로 했다.The angular ball bearing 1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ring 12, an outer ring 13, a plurality of balls 14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ring 12 and the outer ring 13, and a cylindrical ball 14. It is provided with retainers 15 that hold it in pockets Pt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retainer 15 is a retainer guide type of the outer ring guide. The inner diameter (Hd) of the retainer 15 was determined by subtracting 0.25 to 0.35 times the diameter (Da) of the balls 14 from the pitch circle diameter (P.C.D.) of the balls 14. The thickness (T) of the retainer (15) was set to 0.40 to 0.45 times the diameter (Da) of the balls (14).

Description

앵귤러 볼베어링Angular ball bearings

[관련출원][Related applications]

본 출원은, 2021년 4월 27일자 일본특허출원 2021-075067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들 전체를 참조에 의해 본원의 일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원용한다.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2021-075067, dated April 27, 2021, and is hereby incorporated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공작 기계의 주축(spindle) 및 그 외의 기기에 사용되는 앵귤러 볼베어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gular ball bearings used in, for example, spindles of machine tools and other devices.

공작 기계의 주축을 비롯하여, 고속운전용의 회전체를 지지하는 베어링에는, 앵귤러 볼베어링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앵귤러 볼베어링의 유지기에는, 외륜 안내 유지기 또는 전동체(轉動體) 안내 유지기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상기 유지기로서는, 원심력에 의한 영향을 작게 하기 위하여, 경량의 수지제의 유지기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유지기는, 유리섬유, 카본섬유 등으로 보강된 지방족의 폴리아미드 수지(나일론), 방향족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약칭: PEEK재), 페놀 수지 등의 수지 재료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3).Angular ball bearings are widely used in bearings that support rotating bodies for high-speed operation, including the main axis of machine tools. As a retainer for this angular ball bearing, an outer ring guide retainer or a rolling element guide retainer is often used. As the retainer, a lightweight resin retainer is often used in order to reduce the influence of centrifugal force. These retainers are made of resin materials such as aliphatic polyamide resin (nylon) reinforced with glass fiber, carbon fiber, etc., aromatic polyamide resin, polyether ether ketone resin (abbreviated name: PEEK material), and phenolic resin, and are made of cylindrical shape. It is form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s 1 to 3).

공작 기계의 고효율화 및 공간절약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공작 기계의 주축를 지지하는 앵귤러 볼베어링의 고속회전화 및 내(耐)하중 성능의 향상이 필요하게 된다. 베어링이 고속회전 또는 고부하 조건에서 회전할 때, 유지기에는 원심력 및 볼의 진행 지연에 따른 과대한 하중이 볼로부터 부하되기 때문에, 유지기는 충분한 강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In order to realize high efficiency and space saving of machine tool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high-speed rotation and load-bearing performance of the angular ball bearings that support the main axis of the machine tool. When the bearing rotates at high speed or under high load conditions, the retainer needs to have sufficient strength because an excessive load is applied from the balls due to centrifugal force and delay in the movement of the balls.

일본공개특허 제2011-117542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1-117542 일본공개특허 제2014-95469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4-95469 일본공개특허 제2016-145644호 공보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6-145644

앵귤러 볼베어링의 기본적인 성능은 볼 직경 및 볼 개수에 좌우되지만, 볼을 대경화(大徑化) 또는 볼 개수를 증가시킨 경우, 유지기를 구성할 수 있는 스페이스가 작아져, 유지기가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것이 곤란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The basic performance of angular ball bearings depends on the ball diameter and number of balls, but when the balls are made larger or the number of balls is increased, the space available to construct the retainer becomes smaller, so it is important for the retainer to have sufficient strength. There is a possibility that you will be in trouble.

유지기가 충분한 강도를 가지기 위해서는, 유지기의 두께(직경 방향의 두께), 축 방향 폭, 포켓의 간격을 크게 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베어링의 기본 성능은 볼 직경 및 볼 개수에 좌우되기 때문에, 베어링 내의 한정된 공간 중에서, 베어링의 기본 성능을 확보하면서, 유지기 강도를 향상시키는 유지기 형상을 제안한다.In order for the retainer to have sufficient strength,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retainer (thickness in the diametric direction), the axial width, and the spacing between pockets. However, since the basic performance of a bearing generally depends on the ball diameter and the number of balls, a retainer shape that improves the retainer strength while securing the basic performance of the bearing in a limited space within the bearing is proposed.

본 발명의 목적은, 외륜 안내 유지기를 적용한 앵귤러 볼베어링에 있어서, 베어링의 치수, 기본 성능을 유지한 상태에서, 유지기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앵귤러 볼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gular ball bearing with an outer ring guide retainer that can improve the strength of the retainer while maintaining the dimensions and basic performance of the bearing.

본 발명의 앵귤러 볼베어링은, 내륜과, 외륜과, 이들 내륜과 외륜 사이에 개재하는 복수의 볼과, 원통 형상으로서 상기 볼을 원주 방향 복수 개소에 설치된 포켓에 유지하는 유지기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기는 외륜 안내의 유지기 안내 형식인 앵귤러 볼베어링으로서,The angular ball bea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ner ring, an outer ring, a plurality of ball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and a cylindrical retainer that holds the balls in pockets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retainer comprising: As an angular ball bearing, which is a retainer guide type of outer ring guide,

상기 유지기의 외경을 HD으로 하고, 상기 유지기의 내경을 Hd으로 하고, 상기 볼의 피치 원직경을 P.C.D.로 했을 때, HD-P.C.D.>P.C.D.-Hd의 관계를 만족하고,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retainer is HD, the inner diameter of the retainer is Hd, and the pitch circle diameter of the ball is P.C.D., the relationship HD-P.C.D.>P.C.D.-Hd is satisfied,

상기 유지기의 내경 Hd를, 상기 볼의 피치 원직경 P.C.D.로부터 상기 볼의 직경 Da의 0.25∼0.35배를 뺀 값으로 하고,The inner diameter Hd of the retainer is set to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0.25 to 0.35 times the diameter Da of the ball from the pitch circle diameter P.C.D. of the ball,

상기 유지기의 두께 T를, 상기 볼의 직경 Da의 0.40∼0.45배로 했다.The thickness T of the retainer was set to 0.40 to 0.45 times the diameter Da of the balls.

이 구성에 의하면, 외륜 안내 유지기의 내경 Hd를 볼의 피치 원직경 P.C.D.로부터 볼의 직경 Da의 0.25∼0.35배를 뺀 값으로 함으로써, P.C.D.로부터 유지기의 포켓의 내경측 부분까지의 직경 방향 치수에 대하여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지기의 진동 주위 및 볼과 유지기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접촉 타원이 유지기의 포켓의 내경측 에지부에 접촉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지기의 내경 Hd가 P.C.D.-Da×0.20 이하에서는, 상기 접촉 타원이 포켓의 내경측 에지부에 접촉한다. 유지기의 내경 Hd가 P.C.D.-Da×0.40 이상에서는, 유지기의 두께와의 관계로 인해, 유지기 내경측이 내륜에 접하는 내륜 안내가 되어, 외륜 안내가 성립하지 않는 경우가 있거나, 또는 유지기 내경측과 내륜 외경측의 틈이 비교적 좁은 상태가 되면, 베어링 사용 시의 유지기 외경부의 마모를 고려한 경우, 외륜 안내가 아니게 되거나, 혹은 그와 가까운 상태가 될 가능성이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inner diameter Hd of the outer ring guide retainer is set to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0.25 to 0.35 times the diameter Da of the ball from the pitch circle diameter P.C.D. of the ball, so that the radial dimension from P.C.D. to the inner diameter side of the pocket of the retainer is Sufficient distance can be secured. Accordingly, the contact ellipse generated around the vibration of the retainer and the contact between the ball and the retainer does not contact the inner diameter side edge portion of the pocket of the retainer. For example, when the inner diameter Hd of the retainer is P.C.D.-Da x 0.20 or less, the contact ellipse contacts the edge portion on the inner diameter side of the pocket. When the inner diameter Hd of the cage is P.C.D.-Da If the gap between the inner diameter side and the outer diameter side of the inner ring becomes relatively narrow, considering the wear of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retainer when using the bearing,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outer ring may not be guided, or may be close to it.

나아가서는 유지기의 두께 T를, 볼의 직경 Da의 0.40∼0.45배로 했다. 이로써, 고속운전 또한 고하중 조건에서 발생하는 원심력 또는 볼의 진행 지연에 따라 발생하는 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유지기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지기의 두께 T가 Da×0.35 이하에서는, 유지기 강도 또는 내하중 성능이 불충분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유지기의 두께 T가 Da×0.50 이상에서는, 유지기를 구성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내륜의 숄더부와 외륜의 숄더부에 대하여 원하는 치수가 필요하게 되는 만큼, 유지기의 직경 방향 영역이 규제되기 때문이다.Furthermore, the thickness T of the retainer was set to 0.40 to 0.45 times the diameter Da of the balls. As a result, the retainer can have sufficient strength against the centrifugal force that occurs under high-speed operation and high load conditions or the load that occurs due to the delay in ball progression. For example, if the thickness T of the cage is Da x 0.35 or less, the cage strength or load-bearing performance may become insufficient. If the thickness T of the cage is Da×0.50 or more, it becomes impossible to construct the cage. This is because the radial area of the retainer is regulated to the extent that desired dimensions are required for the shoulder portion of the inner ring and the shoulder portion of the outer ring.

따라서, 외륜 안내 유지기를 적용한 앵귤러 볼베어링에 있어서, 베어링의 치수, 기본 성능을 유지한 상태에서, 유지기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an angular ball bearing using an outer ring guide retainer, the strength of the retainer can be improved while maintaining the dimensions and basic performance of the bearing.

상기 유지기의 축 방향 폭 HB를, 이 앵귤러 볼베어링의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의 축 방향 양단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볼의 직경 Da의 1.6∼2.0배로 해도 된다. 외륜 안내 유지기에 있어서, 유지기 강도 및 내하중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내경측에 유지기를 크게 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축 방향 영역을 내륜과 외륜의 축 방향 양단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이용하여 유지기를 크게 하고 있다. 또한 유지기를 축 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외륜 내주면과 유지기 외주면과의 슬라이드 접촉 부분이 넓어지고, 베어링 회전 시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axial width HB of the retainer may be 1.6 to 2.0 times the diameter Da of the ball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protrude from both axial ends of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of the angular ball bearing. In the outer ring guide retainer, there is a limit to enlarging the retainer on the inner diameter side in order to improve the retainer strength and load-bearing performance. Accordingly, the retainer is enlarged by utilizing the axial area as much as possible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protrude from both axial ends of the inner and outer rings. Additionally, by extending the retainer in the axial direction, the slide contact area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ring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tainer is expanded, and stability during bearing rotation can be increased.

상기 유지기의 내주면에, 축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 외측에 이르도록 경사지는 경사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윤활제가 앵귤러 볼베어링의 외부로부터 경사부를 따라 베어링 공간에 유입하기 용이하게 되어 윤활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tainer, an inclined portion may be provided that slopes toward the axial outer side and reaches the radial outer side. In this case, the lubricant can easily flow into the bearing space from the outside of the angular ball bearing along the inclined portion, thereby improving lubricity.

상기 유지기는, 각 포켓 내의 유지기 내경측 에지에 포켓 내측으로 돌출한 볼 유지 돌기부를 가져도 된다. 이와 같이 유지기의 볼 유지 돌기부로 볼을 떠안는 형상으로 할 경우, 유지기의 원주 방향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유지기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retainer may have a ball retaining protrusion protruding inside the pocket on an inner diameter side edge of the retainer in each pocket. In this way, when the ball retaining protrusion of the retainer is shaped to hold the ball, the strength of the retain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an be secured, making it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strength of the retainer.

상기 유지기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 부분을 가지고, 상기 내륜의 소경측(小徑側)의 외경을 d1으로 하고, 대경측의 외경을 d2로 하고, 상기 돌출 부분의 내경을 Hd2로 했을 때, d <Hd2<d2의 관계를 만족해도 된다. 상기한 관계로 함으로써, 유지기를 조립하기 위해 필요 여유(필요한 간극)를 남긴 상태에서 유지기 포켓의 강도를 최대한으로 할 수 있다.When the retainer has a protruding portion that protrudes radially inward, the outer diameter of the small diameter side of the inner ring is d1, the outer diameter of the large diameter side is d2,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protruding portion is Hd2. , d <Hd2<d2 may be satisfied. By maintaining the above relationship, the strength of the retainer pocket can be maximized while leaving the necessary margin (necessary gap) for assembling the retainer.

회전 날개 및 이 회전 날개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가지는 구동부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회전 날개의 회전에 의해 비행하는 전동(電動) 수직이착륙기에 탑재되는 앵귤러 볼베어링으로서,An angular ball bearing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driving parts having rotary blades and motors for rotating the rotary blades, and mounted on an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that flies by rotation of the rotary blades, comprising:

상기 구동부에서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 발명의 상기 어느 하나의 구성의 앵귤러 볼베어링인 경우, 본 발명의 앵귤러 볼베어링에 대하여 전술한 각 효과가 얻어진다.In the case of the angular ball bearing of any of the above configu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rotatably supports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e unit, each effect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angular ball bea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btained.

청구범위 및/또는 명세서 및/또는 도면에 개시된 적어도 2개의 구성의 어떤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특히,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2개 이상의 어떤 조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Any combination of at least two configurations disclosed in the claims and/or specification and/or drawings is encompas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any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each claim in the claims i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한 하기 실시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실시형태 및 도면은 단순한 도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기 위하여 이용되어서는 않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진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복수의 도면에서의 동일한 부품번호는, 동일부 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앵귤러 볼베어링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동(同) 앵귤러 볼베어링의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동 앵귤러 볼베어링의 유지기를 축 방향으로부터 본 주요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동 유지기를 종래의 유지기와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앵귤러 볼베어링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동 앵귤러 볼베어링 및 윤활 기구(機構)를 구비한 베어링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앵귤러 볼베어링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앵귤러 볼베어링의 종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앵귤러 볼베어링을 구비한 전동 수직이착륙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동 앵귤러 볼베어링을 포함하는 모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예의 유지기를 구비한 앵귤러 볼베어링의 종단면도이다.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are for simple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and should not be used to defin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part numbers in multiple drawings indicate the same part.
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ngular ball bear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nlarged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same angular ball bearing.
Figure 3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retainer of the angular ball bearing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Figure 4 is a diagram for comparing the same retainer with a conventional retainer.
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ngular ball bear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bearing device including an angular ball bearing and a lubrication mechanism.
Figure 7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ngular ball bearing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ngular ball bearing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equipped with an angular ball bea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motor including an angular ball bearing.
Figure 1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n angular ball bearing with a conventional retainer.

[제1 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앵귤러 볼베어링을 도 1 내지 도 4과 함께 설명한다.An angular ball bear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FIGS. 1 to 4.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앵귤러 볼베어링(11)은, 내륜(12)과, 외륜(13)과, 복수의 볼(14)과, 유지기(15)를 구비한다. 복수의 볼(14)은, 내륜(12) 및 외륜(13)의 궤도면(12a, 13a) 사이에 개재한다. 볼(14)은 강구(鋼球) 또는 세라믹스 등으로 이루어진다. 유지기(15)는, 원통 형상이며, 원주 방향 복수 개소에 설치된 포켓 Pt에 복수의 볼(14)을 유지한다. 이 앵귤러 볼베어링(11)은, 주요 치수(내경, 외경 및 폭)에 따른 일반적인 볼 직경 및 볼 개수가 적용된다.As shown in FIG. 1, this angular ball bearing 11 includes an inner ring 12, an outer ring 13, a plurality of balls 14, and a retainer 15. The plurality of balls 14 are interposed between the raceway surfaces 12a and 13a of the inner ring 12 and the outer ring 13. The ball 14 is made of a steel ball or ceramics. The retainer 15 has a cylindrical shape and holds a plurality of balls 14 in pockets Pt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or this angular ball bearing (11), typical ball diameters and numbers of balls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main dimensions (inner diameter, outer diameter and width).

외륜(13)의 정면측의 단면(端面)(13c)으로, 정면측 내주면(13b)를 통하여 궤도면(13a)이 이어진다. 정면측 내주면(13b)은, 정면측의 단면(13c)으로부터 궤도면(13a)을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 내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이며, 카운터보어이다. 궤도면(13a)과, 외륜(13)의 배면측의 단면(13d) 사이에, 유지기(15)를 안내하는 배면측 내주면(13e)이 형성되어 있다. 배면측 내주면(13e)은, 정면측 내주면(13b)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내륜(12)의 정면측의 단면(12c)으로, 정면측 외주면(12b)을 통하여 궤도면(12a)이 이어진다. 궤도면(12a)과, 내륜(12)의 배면측의 단면(12d) 사이에, 배면측 외주면(12e)이 형성되어 있다. 배면측 외주면(12e)은, 정면측 외주면(12b)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내륜(12) 및 외륜(13)의 정면측의 단면(12c, 13c)은 축 방향 하중을 지지하지 않는 측의 단면을 나타내고, 내륜(12) 및 외륜(13)의 배면측의 단면(12d, 13d)은, 축 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측의 단면을 나타낸다.In the cross section 13c on the front side of the outer ring 13, the raceway surface 13a continues throug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3b on the front side. The front inner peripheral surface 13b is a tapered surface that slopes radially inward from the front end surface 13c toward the raceway surface 13a, and is a counterbore. Between the raceway surface 13a and the end surface 13d on the back side of the outer ring 13, a back inner peripheral surface 13e for guiding the retainer 15 is formed. The back side inner peripheral surface 13e is located radially inside the front side inner peripheral surface 13b. In the cross section 12c on the front side of the inner ring 12, the raceway surface 12a continues through the front outer peripheral surface 12b. A back-side outer peripheral surface 12e is formed between the raceway surface 12a and the back-side end surface 12d of the inner ring 12. The rear outer peripheral surface 12e is located radially outer than the front side outer peripheral surface 12b. The cross sections 12c and 13c on the front side of the inner ring 12 and the outer ring 13 represent the cross section on the side that does not support the axial load, and the cross sections 12d on the back side of the inner ring 12 and the outer ring 13. 13d) shows the cross section on the side that supports the axial load.

내륜(12)의 배면측 외주면(12e), 즉 외륜(13)의 정면측 내주면(13b)에 대하여 직경 방향에 대향하는 주면(周面)은, 이 내륜(12)의 정면측 외주면(12b)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 소정 치수만큼 대경(大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륜(13)의 정면측 내주면(13b)를 테이퍼면으로 하고 있지만, 내륜(12)의 정면측 외주면(12b)을 테이퍼면에 의해 구성해도 되고, 양쪽을 테이퍼면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The rear outer peripheral surface 12e of the inner ring 12, that is, the main surface radially opposite to the front inner peripheral surface 13b of the outer ring 13, is the front outer peripheral surface 12b of the inner ring 12. It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by a predetermined size on the out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side inner peripheral surface 13b of the outer ring 13 is a tapered surface, but the front side outer peripheral surface 12b of the inner ring 12 may be configured with a tapered surface, and both sides are tapered surfaces. It can be configured by .

{유지기(15)에 대하여}{About Maintenance (15)}

유지기(15)는, 외륜(13)의 배면측 내주면(13e)으로 안내되는 외륜 안내의 유지기 안내 형식이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원통 형상의 유지기(15)의 외주면이 외륜 안내면이 되므로, 베어링 회전 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지기(15)의 각 포켓 Pt은, 주위 방향을 따른 환공(丸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기(15)는, 유리섬유, 카본섬유 등으로 보강된 지방족의 폴리아미드 수지(나일론), 방향족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약칭: PEEK재), 페놀 수지 등의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다.The retainer 15 is a retainer guide type of the outer ring guide guided b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3e on the rear side of the outer ring 13, and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inc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retainer 15 serves as the outer ring guide surface, stability during bearing rotation can be improved. Each pocket Pt of the retainer 15 is formed in a circular hole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is retainer 15 is made of a resin material such as aliphatic polyamide resin (nylon) reinforced with glass fiber, carbon fiber, etc., aromatic polyamide resin, polyether ether ketone resin (abbreviated name: PEEK material), and phenol resin. It consists of

이 유지기(15)는, 하기 구성 1, 2, 3 및 4를 구비한다.This retainer 15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s 1, 2, 3, and 4.

{구성 1: (HD-P.C.D.)>(P.C.D.-Hd)}{Configuration 1: (HD-P.C.D.)>(P.C.D.-Hd)}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기(15)의 외경 HD으로부터 볼(14)의 피치 원직경 P.C.D.를 뺀 값은, 상기 피치 원직경 P.C.D.로부터 유지기(15)의 내경 Hd를 뺀 값보다 크다는 관계를 만족한다.As shown in FIG. 1,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pitch circular diameter P.C.D. of the balls 14 from the outer diameter HD of the retainer 15 is greater than th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inner diameter Hd of the retainer 15 from the pitch circular diameter P.C.D. satisfies.

{구성 2: HD=D1-Sr 및 P.C.D.-0.35Da≤Hd≤P.C.D.-0.25Da}{Configuration 2: HD=D1-Sr and P.C.D.-0.35Da≤Hd≤P.C.D.-0.25Da}

유지기(15)의 외경 HD는, 원통 형상의 외주면의 직경이며, 외륜 내경 D1으로부터 유지기 직경 방향 간극 Sr을 뺀 값이다. 외륜 내경 D1은, 외륜(13)의 배면측 내주면(13e)의 내경이다. 유지기 직경 방향 간극 Sr은, 예를 들면, 각 베어링 구성 부품의 치수허용차 및 레이디얼(radial) 간극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정해진다.The outer diameter HD of the cage 15 is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is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cage radial clearance Sr from the outer ring inner diameter D1. The outer ring inner diameter D1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13e on the back side of the outer ring 13. The cage radial clearance Sr is appropriately determined, for example, taking into account the dimensional tolerance and radial clearance of each bearing component.

유지기(15)의 내경 Hd는, 원통 형상의 내주면의 직경이며, 볼(14)의 피치 원직경 P.C.D.로부터 볼(14)의 직경 Da의 0.25∼0.35배를 뺀 값으로 하고 있다.The inner diameter Hd of the retainer 15 is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is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0.25 to 0.35 times the diameter Da of the balls 14 from the pitch circle diameter P.C.D. of the balls 14.

이에 따라, 유지기(15)의 진동 주위 및 볼(14)과 유지기(15)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접촉 타원 Ce(도 3)가 유지기(15)의 포켓 Pt의 내경측 에지부(15a)에 접촉하지 않는다.Accordingly, the contact ellipse Ce (FIG. 3) generated around the vibration of the retainer 15 and the contact between the ball 14 and the retainer 15 is located at the inner diameter side edge portion (FIG. 3) of the pocket Pt of the retainer 15. Do not touch 15a).

표 1에, 호칭번호 7014(내경 70mm×외경 110mm, 폭 20mm)의 앵귤러 볼베어링에서 13/32인치(10.31875mm)의 볼을 적용하고, 유지기의 내경 Hd 및 유지기의 두께 T를 변경한 예를 나타낸다.In Table 1, an example of applying 13/32 inch (10.31875 mm) balls to an angular ball bearing with the number 7014 (inner diameter 70 mm x outer diameter 110 mm, width 20 mm) and changing the inner diameter Hd of the retainer and the thickness T of the retainer. represents.

[표 1][Table 1]

표 1에 있어서, 후술하는 링 압축하중 등에 의해 유지기 강도 및 내하중 성능이 충분하며, 또한 외륜 안내 유지기로서 성립하는 것을 「○」, 그 외의 것을 「×」로 표시한다.In Table 1, those that have sufficient retainer strength and load-bearing performance due to the ring compression load, etc.,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at can be established as an outer ring guide retainer are indicated with "○", and others are indicated with "×".

예를 들면, 유지기의 내경 Hd가 P.C.D.-Da×0.20 이하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접촉 타원 Ce가 유지기(15)의 포켓 Pt의 내경측 에지부(15a)에 접촉한다. 유지기의 내경 Hd가 P.C.D.-Da×0.40 이상에서는, 유지기의 두께와의 관계로 인해, 유지기 내경측이 내륜에 접하는 내륜 안내가 되고, 외륜 안내가 성립하지 않을 경우가 있거나, 또는 유지기 내경측과 내륜 외경측의 간극이 비교적 좁은 상태가 되면, 베어링 사용 시의 유지기 외경부의 마모를 고려한 경우, 외륜 안내가 아니게 되거나, 혹은 그와 가까운 상태로 될 가능성이 있다.For example, when the inner diameter Hd of the retainer is P.C.D.-Da x 0.20 or less, as shown in FIG. 3, the contact ellipse Ce contacts the inner diameter side edge portion 15a of the pocket Pt of the retainer 15. When the inner diameter Hd of the cage is P.C.D.-Da If the gap between the inner diameter side and the outer diameter side of the inner ring is relatively narrow, considering wear of the outer diameter portion of the retainer when using the bearing,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outer ring may not be guided, or may be close to it.

{구성 3: 0.40Da≤T≤0.45Da}{Configuration 3: 0.40Da≤T≤0.45Da}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기(15)의 두께 T는, 볼(14)의 직경 Da의 0.40∼0.45배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유지기의 두께 T가 Da×0.35 이하에서는, 유지기 강도 또는 내하중 성능이 불충분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유지기의 두께 T가 Da×0.50 이상에서는, 유지기를 구성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는, 내륜의 숄더부와 외륜의 숄더부에 대하여 원하는 치수가 필요한 만큼, 유지기의 직경 방향 영역이 규제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표 1에 있어서, 유지기의 두께 T가 Da×0.35의 경우와 Da×0.5의 경우에 대해서는 「×」가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thickness T of the retainer 15 is 0.40 to 0.45 times the diameter Da of the balls 14. For example, if the thickness T of the cage is Da x 0.35 or less, the cage strength or load-bearing performance may become insufficient. If the thickness T of the cage is Da×0.50 or more, it becomes impossible to construct the cage. This is because the radial area of the retainer is regulated to the extent that desired dimensions are required for the shoulder portion of the inner ring and the shoulder portion of the outer ring. Accordingly, in Table 1, “×” is indicated for the case where the thickness T of the retainer is Da x 0.35 and for the case where Da x 0.5.

{구성 4: 1.6Da≤HB≤2.0Da}{Composition 4: 1.6Da≤HB≤2.0Da}

유지기(15)의 축 방향 폭 HB(축 방향은, 앵귤러 볼베어링(11), 내륜(12), 외륜(13) 및 유지기(15)에 있어서 공통임)는, 이 앵귤러 볼베어링(11)의 축 방향 양단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범위에서, 볼(14)의 직경 Da의 1.6∼2.0배로 하고 있다. 외륜 안내 유지기에 있어서, 유지기 강도 및 내하중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내경측에 유지기를 크게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축 방향 영역을 내륜(12)과 외륜(13)의 축 방향 양단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이용하여 유지기(15)를 크게 하고 있다. 또한 유지기(15)를 축 방향으로 연장함으로써, 외륜(13)의 배면측 내주면(13e)과 유지기 외주면과의 슬라이드 접촉 부분이 넓어지고, 베어링 회전 시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The axial width HB of the retainer 15 (the axial direction is common to the angular ball bearing 11, the inner ring 12, the outer ring 13, and the retainer 15) is that of the angular ball bearing 11. It is set to be 1.6 to 2.0 times the diameter Da of the ball 14 in the range where it does not protrude from both ends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outer ring guide retainer, there is a limit to enlarging the retainer on the inner diameter side in order to improve the retainer strength and load-bearing performance. Accordingly, the retainer 15 is enlarged by utilizing the axial area as much as possible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protrude from both axial ends of the inner ring 12 and the outer ring 13. Additionally, by extending the retainer 15 in the axial direction, the slid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rear inner peripheral surface 13e of the outer ring 13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tainer becomes wider, and stability during bearing rotation can be increased.

도 4에 나타낸 본 실시형태의 앵귤러 볼베어링(11)의 유지기(15)와, 종래의 앵귤러 볼베어링(50)의 유지기(51)(도 11)를 동일한 베어링 사이즈로 비교했다. 도 4 및 도 11의 앵귤러 볼베어링(11, 50)에서 적용되는 볼 직경 및 볼 개수는, 베어링(11, 50)의 주요 치수에 따라 정해지고, 듀얼 베어링(11, 50)에 있어서 동일하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종래의 앵귤러 볼베어링(50)은, 외륜 안내 유지기를 가지지만, 유지기의 두께는 볼(52)의 직경 Da의 0.40배 미만이다. 나아가서는 종래의 유지기(51)의 축 방향 폭 HBa는, 이 앵귤러 볼베어링(50)의 축 방향 양단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범위이지만, 볼(52)의 직경 Da의 1.6배 미만으로 되어 있다.The retainer 15 of the angular ball bearing 11 of this embodiment shown in FIG. 4 and the retainer 51 of the conventional angular ball bearing 50 (FIG. 11) were compared with the same bearing size. The ball diameter and number of balls applied to the angular ball bearings 11 and 50 of FIGS. 4 and 11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in dimensions of the bearings 11 and 50, and are the same for the dual bearings 11 and 50. Additionally, the conventional angular ball bearing 50 shown in FIG. 11 has an outer ring guide retainer, but the thickness of the retainer is less than 0.40 times the diameter Da of the balls 52. Furthermore, the axial width HBa of the conventional retainer 51 i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protrude from both axial ends of the angular ball bearing 50, but is less than 1.6 times the diameter Da of the balls 52.

이 경우에, 동일한 하중 조건에서, 종래의 유지기 50(도 11)에서는, 포켓 Pt의 내경측 에지부에 볼(52)과 유지기(51)의 접촉 타원이 접촉하는 것에 대하여, 도 4의 유지기(15)에서는, 포켓 Pt의 내경측 에지부(15a)에 접촉 타원이 접촉하지 않는다. 부가하여, 종래의 유지기(51)(도 11)에 대하여 도 4의 유지기(15)는, 유지기(15)의 최박부(最薄部)의 단면적이 증가함으로써, 링 압축 강성(剛性), 및 유지기(15)의 피로 한계 하중에 대하여 볼(14)이 유지기(15)를 가압하는 힘을 나눈 값이, 그만큼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도 4의 유지기(15)는, 종래의 유지기(51)(도 11)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링 압축 강성이란, 원통의 축 방향 압축 응력(원통의 찌부러짐 강도)이다.In this case, under the same load conditions, in the conventional retainer 50 (FIG. 11), the contact ellipse of the ball 52 and the retainer 51 contacts the inner diameter side edge portion of the pocket Pt, as shown in FIG. 4. In the retainer 15, the contact ellipse does not contact the inner diameter side edge portion 15a of the pocket Pt. In addi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etainer 51 (FIG. 11), the retainer 15 in FIG. 4 has an increased ring compression rigidity by increas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innest part of the retainer 15. ), and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force with which the ball 14 presses the retainer 15 with respect to the fatigue limit load of the retainer 15 increased accordingly. Accordingly, it was confirmed that the retainer 15 in FIG. 4 has sufficient strength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retainer 51 ( FIG. 11 ). The ring compressive rigidity is the axial compressive stress of the cylinder (crushing strength of the cylinder).

{작용 효과}{action effect}

이상 설명한 앵귤러 볼베어링(11)에 의하면, 유지기(15)의 외경 HD를 외륜 내경 D1과 유지기 직경 방향 간극 Sr의 차로 하는 외륜 안내 유지기에 있어서, 유지기(15)의 내경 Hd를 볼(14)의 피치 원직경 P.C.D.로부터 볼(14)의 직경 Da의 0.25∼0.35배를 뺀 값으로 함으로써, P.C.D.로부터 유지기(15)의 포켓 Pt의 내경측 부분까지의 직경 방향 치수에 대하여 충분한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지기(15)의 진동 주위 및 볼(14)과 유지기(15)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접촉 타원이 유지기(15)의 포켓의 내경측 에지부(15a)에 접촉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angular ball bearing 11 described above, in the outer ring guide retainer where the outer diameter HD of the retainer 15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er ring inner diameter D1 and the retainer radial clearance Sr, the inner diameter Hd of the retainer 15 is set to the ball (14). ) by subtracting 0.25 to 0.35 times the diameter Da of the ball 14 from the pitch circular diameter P.C.D., ensuring a sufficient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P.C.D. to the inner diameter portion of the pocket Pt of the retainer 15. can do. Accordingly, the contact ellipse generated around the vibration of the retainer 15 and the contact between the ball 14 and the retainer 15 does not contact the edge portion 15a on the inner diameter side of the pocket of the retainer 15. .

부가하여 유지기(15)의 두께 T를 볼(14)의 직경 Da의 0.40∼0.45배로 하고 있다. 이로써, 고속운전 또한 고하중 조건에서 발생하는 원심력 또는 볼(14)의 진행 지연에 따라 발생하는 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유지기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외륜 안내 유지기를 적용한 앵귤러 볼베어링(11)에 있어서, 베어링의 치수, 기본 성능을 유지한 상태에서, 유지기(15)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dditionally, the thickness T of the retainer 15 is set to 0.40 to 0.45 times the diameter Da of the balls 14. As a result, the retainer can have sufficient strength against the centrifugal force that occurs under high-speed operation and high load conditions or the load that occurs due to the delay in the movement of the balls 14. Therefore, in the angular ball bearing 11 to which the outer ring guide retainer is applied, the strength of the retainer 15 can be improved while maintaining the dimensions and basic performance of the bearing.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Regarding other embodiments}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각 실시형태에서 선행하여 설명하고 있는 사항에 대응하고 있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의 일부만을 설명하고 있는 경우, 구성의 다른 부분은,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선행하여 설명하고 있는 형태와 동일한 것으로 한다. 동일한 구성으로부터는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각 실시형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부분의 조합뿐만 아니라, 특히 조합에 지장이 생기지 않으면, 실시형태끼리를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parts corresponding to matters previously described in each embodiment,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are omitted. When only part of the structure is explained, other parts of the structure are assumed to be the same as those previously explained unless otherwise specified.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from the same composition. In addition to the combination of the parts specifically explained in each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partially combine the embodiments with each other, especially if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combination.

[제2 실시형태: 도 5∼도 6][Second Embodiment: Figures 5 to 6]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기(15A)의 내주면에서의 포켓 Pt의 축 방향 양측 부분에, 각각 축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 외측에 이르도록 경사지는 경사부(16)가 설치되어도 된다. 각 경사부(16)는, 상기 유지기(15A)의 내주면에 있어서, 축 방향 한쪽 부분의 축 방향 중간 부근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유지기 단면까지 도 5의 종단면에서 직선형으로 연장된다.As shown in FIG. 5, inclined portions 16 may be provided on both axial portions of the pocket Pt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tainer 15A, respectively, slanting toward the axial outer side so as to reach the radial outer side. . Each inclined portion 16 extends linearly in the longitudinal cross section of Fig. 5 from a portion near the axial direction of one axial portion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tainer 15A to the end face of the retainer inclined radially outward.

도 6에 나타낸 세로 단면에 있어서, 경사부(16)의 축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α, 경사부(16)에서의 유지기 단면의 직경 방향 위치 P1은, 에어오일 윤활용의 윤활 기구(機構)(17)로부터 에어오일이 원활하게 베어링 공간으로 유입하도록, 상기 윤활 기구(17)의 노즐(18)의 직경 방향 위치, 및 노즐(18)의 축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β 등에 따라 정해진다. 경사 각도 α와 β를, (α-5°)<β<(α+5°)의 관계 로 함으로써, 상기 경사부(16)가 에어오일을 베어링 공간에 유입할 때의 방해가 되지 않아, 에어 오일을 원활하게 베어링 공간에 유입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1, 2, 3 및 4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In the vertical section shown in FIG. 6, the inclination angle α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inclined portion 16 and the radial position P1 of the cross section of the retainer in the inclined portion 16 are the lubrication mechanism for air oil lubrication ( So that air oil flows smoothly into the bearing space from 17), 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adial position of the nozzle 18 of the lubrication mechanism 17 and the inclination angle β of the nozzle 18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By setting the inclination angles α and β to the relationship of (α-5°)<β<(α+5°), the inclination portion 16 does not interfere with air oil flowing into the bearing space, thereby preventing the air from flowing into the bearing space. Oil can flow smoothly into the bearing space. Other configurations 1, 2, 3, and 4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이 구성에 의하면, 윤활 기구(17)의 노즐(18)로부터 에어오일이 앵귤러 볼베어링(11)의 외부로부터 경사부(16)를 따라 베어링 공간에 유입하기 용이하게 되어 윤활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경사부(16)는, 소정의 경사 각도 α로 이루어지며 복잡하지 않은 형상이므로, 금형에 의한 성형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금형 성형 후의 성형품을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그리고, 경사부(16)는, 상기 직선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곡선형 또는 직선과 곡선이 원활하게 이어지는 형상이라도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air oil from the nozzle 18 of the lubrication mechanism 17 can easily flow into the bearing space along the inclined portion 16 from the outside of the angular ball bearing 11, thereby improving lubricity. . Since the inclined portion 16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clined angle α and has an uncomplicated shape, it becomes possible to easily perform molding using a mold. Additionally, the molded product after molding can be easily taken out from the mold. Incidentally, the inclined portion 16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straight shape, but may also have a curved shape or a shape in which a straight line and a curved line are smoothly connected.

[제3 실시형태: 도 7][Third Embodiment: Figure 7]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기(15B)는, 각 포켓 Pt 내의 유지기 내경측 에지에 포켓 내측으로 돌출한 볼 유지 돌기부(19)를 가져도 된다. 볼 유지 돌기부(19)는, 유지기(15B)의 피치 원직경 P.C.D. 부근에서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포켓 내측으로 크게 경사지는 경사면(19a)을 가진다. 그 외의 구성 1, 2, 3 및 4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유지기(15B)의 볼 유지 돌기부(19)로 볼(14)을 떠안는 형상으로 할 경우, 유지기(15B)의 원주 방향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유지기 전체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볼 유지 돌기부(19)도 전술한 경사부(16)(도 5)와 마찬가지로 금형에 의한 성형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금형 성형 후의 성형품을 금형으보다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retainer 15B may have a ball retaining protrusion 19 protruding inside the pocket at the inner diameter side edge of the retainer within each pocket Pt. The ball retaining protrusion 19 has a pitch circular diameter P.C.D. of the retainer 15B. It has an inclined surface 19a that slopes greatly toward the inside of the pocket as it goes radially inward in the vicinity. Other configurations 1, 2, 3, and 4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ball retaining protrusion 19 of the retainer 15B is shaped to hold the ball 14, the strength of the retainer 15B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an be secured, and the strength of the entire retainer can be further improved. It becomes possible. The ball retaining protrusion 19 can also be easily molded using a mold,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inclined portion 16 (FIG. 5). Additionally, the molded product after molding can be taken out of the mold more easily.

[제4 실시형태: 도 8][Fourth Embodiment: Figure 8]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기(15C)는, 축 방향에 있어서 전동체를 유지하는 개소인 축 방향 전동체 개소만 두껍게 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유지기(15C)는, 축 방향 전동체 개소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 부분(20)과, 이 돌출 부분(20)으로 이어지는 축 방향 양측의 경사 부분(21)과, 각 경사 부분(21)으로 어어지고 축 방향 양단까지 연장되는 2개의 원통 부분(22)을 가진다. 상기 원통 부분(22)의 내경 Hd1을, 볼(14)의 피치 원직경 P.C.D로부터 볼의 직경 Da의 0.25∼0.35배를 뺀 값으로 하고 있다.As shown in FIG. 8, the retainer 15C may be thick only at the axial rolling element portion, which is the portion that holds the rolling element in the axial direction. Specifically, the retainer 15C includes a protruding portion 20 whose axial rolling element portion protrudes radially inward, inclined portions 21 on both sides of the axial direction connected to the protruding portion 20, and each It has two cylindrical parts 22 connected by an inclined part 21 and extending to both ends in the axial direction. The inner diameter Hd1 of the cylindrical portion 22 is set to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0.25 to 0.35 times the diameter Da of the ball from the pitch circular diameter P.C.D of the ball 14.

돌출 부분(20)의 내경 Hd2는, 내륜(12)의 소경측의 외경 d1에, 조립 필요 여유 γ를 더한 값으로 하고 있다. 상기 조립 필요 여유 γ는, 이 유지기(15C) 및 볼(14)을 내륜(12) 및 외륜(13) 사이의 베어링 공간에 조립하기 필요 여유(필요한 간극)이다. 축 방향 양측의 경사 부분(21, 21)은, 돌출 부분(20)의 축 방향 양측 에지부로부터 각각 축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 외측으로 경사진다. 이들 경사 부분(21, 21)의 축 방향 외측 에지부로부터 원통 부분(22, 22)이 축 방향 외측으로 각각 연장된다. 또한, 내륜(12)의 대경측의 외경을 d2로 했을 때, 돌출 부분(20)의 내경 Hd2와, 내륜(12)의 소경측의 외경 d1의 관계를, d1<Hd2<d2로 해도 된다. 상기 관계로 함으로써, 유지기(15C)를 조립하기 위한 필요 여유를 남긴 상태에서 유지기 포켓의 강도를 최대한으로 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성 1, 2, 3 및 4에 대해서는,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유지기(15C)의 축 방향 전동체 개소만 두껍게 하면, 유지기(15C)의 원주 방향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유지기 전체의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 inner diameter Hd2 of the protruding portion 20 is the outer diameter d1 on the small diameter side of the inner ring 12 plus the required assembly allowance γ. The assembly required margin γ is the margin (necessary gap) required to assemble the retainer 15C and the balls 14 into the bearing space between the inner ring 12 and the outer ring 13. The inclined portions 21, 21 on both axial sides are inclined radially outward as they go outwar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edge portions on both axial sides of the protruding portion 20, respectively. From the axially outer edge portions of these inclined portions 21 and 21, cylindrical portions 22 and 22 extend axially outward, respectively. Additionally, when the outer diameter on the large diameter side of the inner ring 12 is d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ner diameter Hd2 of the protruding portion 20 and the outer diameter d1 on the small diameter side of the inner ring 12 may be d1 < Hd2 < d2. By maintaining the above relationship, the strength of the retainer pocket can be maximized while leaving the necessary margin for assembling the retainer 15C. Other configurations 1, 2, 3, and 4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By thickening only the axial rolling element portion of the cage 15C, the strength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age 15C can be secured, and the strength of the entire cage can be further improved.

{전동 수직이착륙기에 대한 적용예: 도 9, 도 10}{Application examples for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Figures 9 and 10}

앵귤러 볼베어링을 전동 수직이착륙기에 적용해도 된다.Angular ball bearings can be applied to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최근에는, 자동차를 대신하는 이동수단으로서 비행 가능한 자동차, 소위 하늘을 나는 자동차가 주목받고 있다. 하늘을 나는 자동차는, 지역 내 이동, 지역간 이동, 관광·레저, 구급의료, 재해구조 등, 다양한 장면에서의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Recently, flying cars, so-called flying cars,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replacing cars. Flying cars are expected to be used in a variety of situations, including intra-regional travel, inter-regional travel, tourism and leisure, emergency medical services, and disaster relief.

하늘을 나는 자동차로서는, 수직이착륙기(VTOL;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가 주목받고 있다. 수직이착륙기는, 수직으로 승강할 수 있으므로, 활주로가 필요하지 않아, 편리성이 우수하다. 특히, 최근에는 CO2의 삭감을 향한 사회적 요청 등으로부터 배터리와 모터로 비행하는 타입의 전동 수직이착륙기(eVTOL)가 개발의 주류가 되고 있다.As a flying car,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VTOL) is attracting attention. Sinc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can ascend and descend vertically, they do not require a runway and are highly convenient. 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eVTOL), a type of vehicle that flies with batteries and motors, has become the mainstream of development due to social demands for reduction of CO 2 emissions.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 수직이착륙기(1)는, 기체 중앙에 위치하는 본체부(2)와, 전후 좌우로 배치된 4개의 구동부(3)를 가지는 멀티콥터이다. 구동부(3)는, 전동 수직이착륙기(1)의 양력 및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며, 구동부(3)의 구동에 의해 전동 수직이착륙기(1)가 비행한다. 전동 수직이착륙기(1)에 있어서 구동부(3)는 복수 있으면 되며, 4개로 한정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9, the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1 is a multicopter having a main body 2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fuselage and four drive units 3 arranged left, right, front and rear. The driving unit 3 is a device that generates lift and thrust of the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1, and the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1 flies by driving the driving unit 3. In the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1), there may be a plurality of driving units (3), but it is not limited to four.

본체부(2)는 탑승자(예를 들면, 1∼2명 정도)가 탑승 가능한 거주 공간을 가지고 있다. 이 거주 공간에는, 진행 방향 및 고도 등을 결정하기 위한 조작계나, 고도, 속도, 비행 위치 등을 나타내는 계량기류 등이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2)로부터는 4개의 암(2a)이 방사형으로 연장되고, 각 암(2a)의 선단에 구동부(3)가 설치되어 있다. 도 9에 있어서, 암(2a)에는, 회전 날개(4)를 보호하기 위하여, 회전 날개(4)의 회전 주위를 덮는 원환부(圓環部)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2)의 하부에는, 착륙 시에 기체를 유지하는 스키드(2b)가 설치되어 있다.The main body 2 has a living space where passengers (for example, about 1 to 2 people) can ride. In this living space, a control system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ravel, altitude, etc., and meters indicating altitude, speed, flight position, etc. are installed. Four arms 2a extend radially from the main body 2, and a drive unit 3 is installed at the tip of each arm 2a. In Fig. 9, in order to protect the rotary blade 4, the arm 2a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n annular portion that covers the rotation periphery of the rotary blade 4. Additionally, a skid 2b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2 to maintain the aircraft during landing.

구동부(3)는, 회전 날개(4)와, 이 회전 날개(4)를 회전시키는 모터(5)를 가진다. 구동부(3)에 있어서, 회전 날개(4)는 모터(5)를 사이에 두고 축 방향으로 한 쌍 설치되어 있다. 각 회전 날개(4)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2장의 블레이드를 가진다.The drive unit 3 has a rotary blade 4 and a motor 5 that rotates the rotary blade 4. In the drive unit 3, a pair of rotary blades 4 are installed in the axial direction with the motor 5 interposed therebetween. Each rotary blade 4 has two blades exten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도 10은, 구동부에서의 모터(5)의 종단면도이다. 모터(5)의 회전축(7)의 도 10의 상측에는 상기 회전 날개(4)(도 9)가 장착되고, 도 10의 하측에는 모터(5)의 로터(5a)가 장착된다. 모터(5)는, 하우징(6)에 고정된 스테이터(5b)에 로터(5a)가 대향 배치되고, 이 로터(5a)가 스테이터(5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이너(inner) 로터형이며 다이렉트 드라이브 형식이다. 그리고, 모터(5)로서는, 아우터(outer) 로터형의 브러시레스 모터 또는 이너 로터형의 브러시레스 모터를 채용할 수 있다.Fig. 10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tor 5 in the drive unit. The rotary blade 4 (FIG. 9) is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rotation shaft 7 of the motor 5 in FIG. 10, and the rotor 5a of the motor 5 is mounted on the lower side in FIG. 10. The motor 5 is a direct drive type in which a rotor 5a is disposed opposite to a stator 5b fixed to the housing 6, and the rotor 5a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tator 5b. It is a form. As the motor 5, an outer rotor type brushless motor or an inner rotor type brushless motor can be adopted.

도 10에 있어서, 모터(5)는, 하우징(6)과, 로터(5a)와, 스테이터(5b)와, 전술한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른 2개의 앵귤러 볼베어링(11, 11)을 구비한다. 하우징(6)은 외통(6a)과 내통(6b)을 가지고, 이들 외통(6a)과 내통(6b) 사이에는 냉각 매체를 흐르게 하는 유로(流路)(6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유로(6c)에 냉각 매체를 흐르게 함으로써, 모터(5)의 과도한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In Fig. 10, the motor 5 is provided with a housing 6, a rotor 5a, a stator 5b, and two angular ball bearings 11, 11 according to any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 housing 6 has an outer cylinder 6a and an inner cylinder 6b, and a flow path 6c for flowing a cooling medium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cylinder 6a and the inner cylinder 6b. By flowing the cooling medium through this flow path 6c, excessive temperature rise of the motor 5 can be prevented.

앵귤러 볼베어링(11)은, 하우징(6) 내에서 회전축(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앵귤러 볼베어링(11)의 외륜(13)의 외주 형상은, 하우징 내주의 끼워맞춤부와 동일한 형상이며, 하우징(6)에 대하여, 베어링 하우징 등을 개재하지 않고 직접 끼워맞추어진다. 2개의 앵귤러 볼베어링(11, 11)은, 이 예에서는 내륜 스페이서(8) 및 외륜 스페이서(9)를 개재하여 배면 조합에 의해 배치되고, 예압(豫壓)이 인가되고 있다.The angular ball bearing 11 rotatably supports the rotating shaft 7 within the housing 6. The outer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outer ring 13 of the angular ball bearing 11 is the same as the fitting portion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housing, and is directly fitted into the housing 6 without intervening the bearing housing or the like. In this example, the two angular ball bearings 11, 11 are arranged back to back through the inner ring spacer 8 and the outer ring spacer 9, and a preload is applied.

{제어계에 대하여}{About control system}

본체부(2)에는, 복수의 모터(5) 등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31)와, 각 모터(5) 및 제어 장치(31)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32)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 장치(31)는, 배터리(32)의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조작계에 따라서 생성되는 토크 지령에 의해 상기 인버터의 출력을 PWM 제어 등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진다.The main body 2 is provided with a control device 31 that controls a plurality of motors 5 and the like, and a battery 32 that supplies power to each motor 5 and the control device 31. The control device 31 has an inverter that converts the direct current power of the battery 32 into alternating current power,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utput of the inverter by PWM control or the like based on a torque command generated according to the operating system.

상기 제어부는, 현재자세와 목표자세의 차로부터 양력을 조정할 모터(5)에 회전수 변경의 지령을 출력함으로써, 모터(5) 및 회전 날개(4)(도 9)의 회전수를 변경한다. 모터(5)의 회전수의 조정은, 복수의 모터(5)에 대하여 동시에 실시되며, 그에 따라 기체의 자세가 결정된다.The control unit changes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5 and the rotary blade 4 (FIG. 9) by outputting a command to change the rotation speed to the motor 5 to adjust the lift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posture and the target posture.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5 is adjusted simultaneously for a plurality of motors 5, and the attitude of the aircraft is determined accordingly.

도 10에서는, 모터(5)의 회전축과 회전 날개(4)(도 9)의 회전축을 동일한 회전축으로 하였으나, 모터의 회전축과 회전 날개의 회전축이 전달 기구를 통하여 접속된 구성이라도 된다. 이 경우에, 구동부에서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앵귤러 볼베어링은, 모터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앵귤러 볼베어링이라도 되고, 회전 날개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앵귤러 볼베어링이라도 된다.In Fig. 10,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5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ry blade 4 (Fig. 9) are the same rotation axis, but the rotation axis of the motor and the rotation axis of the rotary blade may be connected through a transmission mechanism. In this case, the angular ball bearing supporting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e unit may be an angular ball bearing supporting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or may be an angular ball bearing supporting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blade.

앵귤러 볼베어링을 정면 조합에 의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use angular ball bearings in a face-to-face combination.

앵귤러 볼베어링을 전동 수직이착륙기 이외의 용도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ngular ball bearings to applications other than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앵귤러 볼베어링의 유지기는, 금형에 의한 성형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기계적 가공 또는 3D프린터로 제작해도 된다.The retainer of an angular ball bearing may be manufactured not only by molding using a mold, but also by, for example, mechanical processing or a 3D printer.

이상과 같이, 도면을 참조하면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건 명세서를 보고, 자명한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상정(想定)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경 및 수정은, 첨부한 청구의 범위로부터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으로 해석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imagin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obvious by looking at the specification. Accordingly,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constru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전동 수직이착륙기
3: 구동부
4: 회전 날개
5: 모터
7: 회전축
11: 앵귤러 볼베어링
12: 내륜
13: 외륜
14: 볼
15, 15A, 15B, 15C: 유지기
16: 경사부
19: 볼 유지 돌기부
20: 돌출 부분
Pt: 포켓
1: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3: Drive part
4: rotary blade
5: motor
7: Rotation axis
11: Angular ball bearing
12: Inner ring
13: paddle
14: ball
15, 15A, 15B, 15C: retainer
16: inclined portion
19: Ball holding protrusion
20: protruding part
PT: Pocket

Claims (6)

내륜, 외륜, 이들 내륜과 외륜 사이에 개재하는 복수의 볼, 및 원통 형상으로서 상기 볼을 원주 방향 복수 개소에 설치된 포켓에 유지하는 유지기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기는 외륜 안내의 유지기 안내 형식인 앵귤러 볼베어링으로서,
상기 유지기의 외경을 HD로 하고, 상기 유지기의 내경을 Hd로 하고, 상기 볼의 피치 원직경을 P.C.D.로 했을 때, HD-P.C.D.>P.C.D.-Hd의 관계를 만족하고,
상기 유지기의 내경 Hd를, 상기 볼의 피치 원직경 P.C.D.로부터 상기 볼의 직경 Da의 0.25∼0.35배를 뺀 값으로 하고,
상기 유지기의 두께 T를, 상기 볼의 직경 Da의 0.40∼0.45배로 한, 앵귤러 볼베어링.
It is provided with an inner ring, an outer ring, a plurality of ball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and a cylindrical retainer that holds the balls in pockets provided at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retainer is an angular type of retainer guide of the outer ring guide. As a ball bearing,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retainer is HD, the inner diameter of the retainer is Hd, and the pitch circle diameter of the ball is PCD, the relationship HD-PCD>PCD-Hd is satisfied,
The inner diameter Hd of the retainer is set as a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0.25 to 0.35 times the diameter Da of the ball from the pitch circle diameter PCD of the ball,
An angular ball bearing in which the thickness T of the retainer is 0.40 to 0.45 times the diameter Da of the bal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기의 축 방향 폭 HB를, 이 앵귤러 볼베어링의 상기 내륜과 상기 외륜의 축 방향 양단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 볼의 직경 Da의 1.6∼2.0배로 한, 앵귤러 볼베어링.
According to paragraph 1,
An angular ball bearing in which the axial width HB of the retainer is 1.6 to 2.0 times the diameter Da of the balls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protrude from both axial ends of the inner ring and the outer ring of the angular ball bearin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기의 내주면에, 축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 외측에 이르도록 경사지는 경사부가 설치되어 있는, 앵귤러 볼베어링.
According to claim 1 or 2,
An angular ball bearing in which an inclined portion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tainer that slopes toward the axial outer side to reach the radial outer sid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기는, 각각의 포켓 내의 유지기 내경측 에지에 포켓 내측으로 돌출한 볼 유지 돌기부를 가지는, 앵귤러 볼베어링.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retainer is an angular ball bearing having a ball retaining protrusion protruding inside the pocket on an inner diameter side edge of the retainer in each pocke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기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 부분을 가지고, 상기 내륜의 소경측의 외경을 d1으로 하고, 대경측의 외경을 d2로 하고, 상기 돌출 부분의 내경을 Hd2로 했을 때, d1<Hd2<d2의 관계를 만족하는, 앵귤러 볼베어링.
According to clause 4,
The retainer has a protruding portion that protrudes radially inward, and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small diameter side of the inner ring is d1, the outer diameter of the large diameter side is d2,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protruding portion is Hd2, d1 < Hd2 < Angular ball bearing that satisfies the d2 relationship.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회전 날개 및 상기 회전 날개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가지는 구동부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회전 날개의 회전에 의해 비행하는 전동 수직이착륙기에 탑재되는 앵귤러 볼베어링으로서,
상기 구동부에서의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앵귤러 볼베어링.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 angular ball bearing mounted on an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aircraft comprising a plurality of rotary blades and a driving unit having a motor for rotating the rotary blades, and flying by rotation of the rotary blades, comprising:
An angular ball bearing that rotatably supports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unit.
KR1020237040778A 2021-04-27 2022-04-20 Angular ball bearings KR2024000465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75067 2021-04-27
JP2021075067A JP2022169195A (en) 2021-04-27 2021-04-27 Angular ball bearing
PCT/JP2022/018237 WO2022230730A1 (en) 2021-04-27 2022-04-20 Angular ball bear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4650A true KR20240004650A (en) 2024-01-11

Family

ID=8384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0778A KR20240004650A (en) 2021-04-27 2022-04-20 Angular ball bearings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22169195A (en)
KR (1) KR20240004650A (en)
CN (1) CN117242271A (en)
DE (1) DE112022002363T5 (en)
TW (1) TW202300793A (en)
WO (1) WO2022230730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7542A (en) 2009-12-04 2011-06-16 Ntn Corp Rolling bearing and retainer for rolling bearing
JP2014095469A (en) 2012-10-09 2014-05-22 Nsk Ltd Rolling bearing
JP2016145644A (en) 2015-02-04 2016-08-12 日本精工株式会社 Cage for rolling bearing, rolling bearin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age for rolling bear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4450A (en) * 2000-08-10 2002-02-20 Nsk Ltd Rotary support device for turbo-charger
JP2002323048A (en) * 2000-10-27 2002-11-08 Nsk Ltd Bearing device and main spindle of machine tool
JP6493580B2 (en) * 2018-02-13 2019-04-03 日本精工株式会社 Angular contact ball bearings
JP7245728B2 (en) * 2018-09-12 2023-03-24 Ntn株式会社 Rotor support device for unmanned aircraft
JP7243574B2 (en) 2019-11-05 2023-03-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OF ELECTRIC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7542A (en) 2009-12-04 2011-06-16 Ntn Corp Rolling bearing and retainer for rolling bearing
JP2014095469A (en) 2012-10-09 2014-05-22 Nsk Ltd Rolling bearing
JP2016145644A (en) 2015-02-04 2016-08-12 日本精工株式会社 Cage for rolling bearing, rolling bearin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age for rolling bea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242271A (en) 2023-12-15
JP2022169195A (en) 2022-11-09
WO2022230730A8 (en) 2023-11-09
TW202300793A (en) 2023-01-01
WO2022230730A1 (en) 2022-11-03
DE112022002363T5 (en)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43553B1 (en) Rolling bearing cage and rolling bearing
US8021053B2 (en) Rotary wing aircraft ball bearing
US9746027B2 (en) Auxiliary bearing of the ball bearing type for a magnetically suspended rotor system
US7150565B1 (en) Cylindrical roller bearing
US20160178007A1 (en) Ball bearing retainer
EP1835190A2 (en) Angular ball bearing tandem for rotary wing aircraft
US20150362013A1 (en) Hybrid duplex ball bearing assembly
JP6912065B2 (en) Rolling deep groove ball bearings
US8215845B2 (en) Tandem stack angular contact bearing for rotary wing aircraft
JP5929543B2 (en) Rolling bearings and spindles for machine tools
EP2956684B1 (en) Angular contact ball bearing
KR20240004650A (en) Angular ball bearings
CN111656032B (en) Angular contact ball bearing
CN112013020A (en) Polyamide retainer of cylindrical roller bearing for high speed and heavy load and bearing
WO2022202544A1 (en) Seal-equipped bearing
CN211314842U (en) Special bearing for aviation control system
JP4322650B2 (en) Cylindrical roller bearing
WO2022202899A1 (en) Bearing with seal
JP2022169216A (en) rolling bearing
CN212615937U (en) Polyamide retainer of cylindrical roller bearing for high speed and heavy load and bearing
WO2019151306A1 (en) Ball bearing
WO2020090572A1 (en) Ball bearing
KR20240022519A (en) bearing with seal
CN117043481A (en) Insulating rolling bearing
WO2018021434A1 (en) Ball bea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