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4003A - 신발 관리기 및 신발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발 관리기 및 신발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4003A
KR20240004003A KR1020220082009A KR20220082009A KR20240004003A KR 20240004003 A KR20240004003 A KR 20240004003A KR 1020220082009 A KR1020220082009 A KR 1020220082009A KR 20220082009 A KR20220082009 A KR 20220082009A KR 20240004003 A KR20240004003 A KR 20240004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flip
outlet
connector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민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2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4003A/ko
Priority to PCT/KR2022/020524 priority patent/WO2024010159A1/ko
Publication of KR20240004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40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53Resistance heating, e.g. us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as an electrical resis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dvancing Web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 관리기 및 신발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는 외부캐비닛, 송풍부, 전원공급부, 인렛부 및 아웃렛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2개 이상의 신발 관리기의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고, 감전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방수 효과가 우수한 신발 관리기 및 신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발 관리기 및 신발 관리 시스템{SHOES CARE DEVICE AND SYSTEM}
본 발명은 신발 관리기 및 신발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납된 신발을 관리하도록 이루어지는 신발 관리기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신발은, 착용자의 땀이 차거나, 외부의 오염물질이 묻거나, 비나 눈 등에 의하여 젖을 수 있다. 이러한 신발의 착용은 착용자를 불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상태에서는 신발에 세균이 번식하거나 악취를 풍길 수 있다.
따라서, 신발에 소정의 처리를 하여 세균이나 악취를 제거함으로써 항상 쾌적한 상태의 신발을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관리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신발관리기와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37245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 함)는 "신발 살균 처리 장치(Apparatus for sterilization disposal of shoes)"를 개시하며, 이에 따른 신발 살균 처리 장치는 본체, 자외선 방출 모듈, 탈취 모듈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한국공개특허 제10-2000-0009653호(이하, '선행문헌 2'라 함)는 "위생처리용 신발장(The shoes cabinet for the sanitization)"를 개시하며, 이에 따른 신발장은 본체, 원적외선 방사부, 순환팬, 공기순환통로, 위생필터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신발에 소정의 처리를 하여 세균이나 악취를 제거하는 신발 관리기의 경우, 신발에 대한 처리 과정에서는 제습 및 탈취에 사용된 공기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신발 처리에 대한 성능이 항상 적절하게 유지되기 위하여 해결되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 및 선행문헌 2에 따른 장치에 의할 경우 이러한 과제를 적절히 해결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취미 또는 재테크의 일환으로 인기있는 브랜드의 신발을 수집하는 사람들이 나타나고 있고, 신발을 보관 및 전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슈 케이스(shoe case)가 개시된다.
미국공개특허 제2018-0127150호(이하, '선행문헌 3'이라 함)는 "모듈화된 저장 컨테이너(modular storage container)"를 개시하며, 상기 모듈화된 저장 컨테이너는 하우징, 도어 패널, 팬, 광원을 포함한다.
상기 선행문헌 3에서는 컨테이너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시키는 기술에 대하여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신발의 변형 내지 오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통상의 사용자는 복수 켤레의 신발을 사용하거나 소유하고 있으며, 여러 신발의 적절한 관리를 위하여, 또한 각 신발의 단계별 관리를 위하여, 신발 관리를 위한 장치(신발관리기)는 2개 이상이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어느 하나의 신발관리기는 신발로부터 냄새 또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신발관리기는 깨끗한 신발(예컨대, 새 신발 또는 오염물질의 제거가 완료된 신발)의 상태가 오랫동안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로 다른 신발관리기가 서로 다른 신발을 관리하기 위하여 함께 사용될 수 있다.
2개 이상의 신발관리기의 사용을 위하여, 각 신발관리기에 전원이 공급되어야 하며, 이때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전원연결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2개 이상의 신발 관리기가 함께 사용될 때 어느 하나의 신발관리기가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고 또한 다른 하나의 신발관리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또한 2개 이상의 신발 관리기의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고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신발 관리기 및 신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2개 이상의 신발 관리기가 함께 사용될 때 모든 신발 관리기에서 감전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신발 관리기 및 신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2개 이상의 신발 관리기가 함께 사용될 때 모든 신발 관리기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부분에서 방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아울러 2개 이상의 신발 관리기의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의 신발 관리기 및 신발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신발 관리기는,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신발 관리기로서, 외부캐비닛, 송풍부, 전원공급부, 인렛부 및 아웃렛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부캐비닛은 상기 신발 관리기의 외형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송풍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이룰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송풍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렛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의 전원이 상기 인렛부로 들어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웃렛부는,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로 전원이 상기 아웃렛부로부터 나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렛부와 상기 아웃렛부는, 상기 외부캐비닛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렛부는 상기 외부캐비닛의 일측에서 노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신발 관리기는 플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립은 상기 외부캐비닛에 결합되고, 상기 아웃렛부를 차폐하거나 노출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신발 관리기는 아웃렛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웃렛홀은 상기 외부캐비닛을 관통하는 구멍이다. 상기 아웃렛홀을 통하여 상기 아웃렛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플립은 상기 아웃렛홀의 테두리에서 상기 외부캐비닛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신발 관리기는 플립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립스프링은, 상기 플립이 상기 아웃렛홀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상기 플립을 탄력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립 및 상기 플립스프링은, 상기 외부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플립의 외측면이 내측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아웃렛홀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신발 관리기는, 제1 플립, 제2 플립, 제1 플립스프링 및 제2 플립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플립은 상기 아웃렛홀의 테두리 중 제1 지점에서 상기 외부캐비닛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립은 상기 아웃렛홀의 테두리 중 상기 제1 지점과 대향되는 제2 지점에서 상기 외부캐비닛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립스프링은 상기 제1 플립이 상기 아웃렛홀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플립을 탄력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플립스프링은 상기 제2 플립이 상기 아웃렛홀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플립을 탄력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웃렛부는, 제1 폭방향의 폭이 상기 제1 폭방향과 직교하는 제2 폭방향의 폭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2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립, 상기 제2 플립, 상기 제1 플립스프링 및 상기 제2 플립스프링은, 상기 외부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립 및 상기 제2 플립의 각각의 외측면이 내측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아웃렛홀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외부캐비닛은 함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함몰부는 상기 외부캐비닛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부분을 이룬다.
상기 아웃렛부는 상기 함몰부가 형성된 지점에서 상기 외부캐비닛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발 관리기는 파워코드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파워코드장치는, 상기 인렛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인렛커넥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신발 관리기는 연결코드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코드장치는 제1 커넥터, 제2 커넥터 및 케이블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아웃렛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인렛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아웃렛부와 결합되되 상기 인렛부와 결합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아웃렛부에 결합될 때, 상기 아웃렛부의 핀이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커넥터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는 푸쉬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푸쉬리브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아웃렛부는 고정브라켓, 이동브라켓, 슬라이더 및 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외부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한다.
상기 이동브라켓은, 상기 아웃렛부의 핀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을 상대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푸쉬리브에 위해 가압되어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레버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양방향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대향되는 양쪽 단부가 각각 상기 이동브라켓과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된다.
상기 푸쉬리브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커넥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레버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아웃렛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웃렛부는 아웃렛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아웃렛하우징은, 상기 고정브라켓, 상기 이동브라켓,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레버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푸쉬리브가 삽입되는 하우징슬릿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아웃렛부에 결합되지 않을 때 상기 아웃렛부의 핀은 상기 아웃렛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아웃렛부에 결합될 때 상기 아웃렛부의 핀은 상기 아웃렛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아웃렛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외부캐비닛은 커넥터슬롯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커넥터슬롯은, 상기 제1 커넥터가 삽입되도록, 상기 외부캐비닛에 관통형성된 구멍이다. 상기 커넥터슬롯은 길이에 비해 폭이 좁은 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에서 기술되는 신발 관리 시스템은, 2개 이상의 신발 관리기 및 연결코드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신발 관리기는,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의 온도, 습도 및 기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코드장치는, 어느 하나의 신발 관리기인 제1 신발 관리기의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이 다른 하나의 신발 관리기인 제2 신발 관리기의 상기 전원공급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1 신발 관리기와 상기 제2 신발 관리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신발 관리기 및 상기 제2 신발 관리기 각각은, 상기 인렛부 및 상기 아웃렛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신발 관리기의 상기 아웃렛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신발 관리기의 상기 인렛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신발 관리기 및 상기 제2 신발 관리기 각각은, 외부캐비닛, 플립 및 플립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부캐비닛, 상기 플립 및 상기 플립스프링은 각각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립의 외측면이 상기 제1 커넥터에 의해 내측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아웃렛홀이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 및 신발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각 신발 관리기는 외부캐비닛, 송풍부, 전원공급부, 인렛부 및 아웃렛부를 포함하고, 파워코드장치가 하나의 신발 관리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2개 이상의 신발 관리기가 연결코드장치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파워코드장치를 통하여 2개 이상의 신발 관리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2개 이상의 신발 관리기의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고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 및 신발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각 신발 관리기는 플립 및 플립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플립은 아웃렛홀의 테두리에서 외부캐비닛에 힌지결합될 수 있고, 플립스프링은 플립이 아웃렛홀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플립을 탄력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웃렛부가 제1 커넥터와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아웃렛부는 플립에 의해 차폐되므로, 단일의 신발 관리기가 사용될 경우와, 2개 이상의 신발 관리기가 함께 사용될 때 모든 신발 관리기에서 감전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 및 신발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각 신발 관리기는, 제1 플립, 제2 플립, 제1 플립스프링 및 제2 플립스프링을 포함한다. 제1 플립은 아웃렛홀의 테두리 중 제1 지점에서 외부캐비닛에 힌지결합되고, 제2 플립은 아웃렛홀의 테두리 중 제2 지점에서 외부캐비닛에 힌지결합된다. 아웃렛부는 제1 폭방향의 폭이 제1 폭방향과 직교하는 제2 폭방향의 폭보다 길게 이루어지며, 제1 지점과 제2 지점은 제2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웃렛홀에서 아웃렛부까지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더 짧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커넥터와 아웃렛부 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2개 이상의 신발 관리기가 함께 사용될 때 모든 신발 관리기의 방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 및 신발 관리 시스템에 따른 추가적인 효과 및 상세한 효과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발 관리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신발 관리기에서 도어 및 제1 외부캐비닛의 일부가 제거된 모습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신발 관리기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기계실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발 관리기에서 각 구성간의 연결관계 및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신발 관리기의 제2 수용공간에 신발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제2 신발 관리기의 제2 수용공간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신발 관리기의 본체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부바디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코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코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외부캐비닛의 내측의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서 아웃렛부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일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외부캐비닛, 아웃렛부 및 플립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플립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는 신발 관리기의 단면도로서 플립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b는 신발 관리기의 단면도로서 플립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외부캐비닛의 내측의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1 커넥터와 아웃렛부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코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코드장치의 제1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6의 제1 커넥터와 아웃렛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에서 아웃렛부의 각 구성이 분해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제1 커넥터와 아웃렛부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b는 도 20a에서 제1 커넥터와 아웃렛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관리기를 개시한다. 여기서 관리기는 제1 관리기 및 제2 관리기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관리기(1)는 그 내부에 물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해당 물품이 청결해지거나 해당 물품의 물리/화학적인 상태가 개선되도록 해당 물품을 관리할 수 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관리기(1000)는 그 내부에 물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해당 물품의 상태가 유지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해당 물품이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관리 시스템(2000)을 개시한다. 관리 시스템(2000)은 복수의 제1 관리기(1), 복수의 제2 관리기(1000), 또는 하나 이상의제1 관리기(1) 및 하나 이상의 제2 관리기(10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물품은 신발, 지갑, 가방, 인형, 장난감, 프라모델, 액세서리, 기념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관리기(1)는 신발, 지갑, 가방, 인형, 장난감, 프라모델, 액세서리, 기념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관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관리기(1000)는 신발, 지갑, 가방, 인형, 장난감, 프라모델, 액세서리, 기념품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관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신발은 지갑, 가방, 인형, 장난감, 프라모델, 액세서리, 기념품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제1 신발 관리기는 상기 물품 중 신발을 관리의 대상으로 하는 제1 관리기일 수 있고, 제2 신발 관리기는 상기 물품 중 신발을 관리의 대상으로 하는 제2 관리기일 수 있으며, 신발 관리 시스템은 상기 물품 중 신발을 관리의 대상으로 하는 관리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신발 관리기는 제1 관리기 및/또는 제2 관리기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제1 신발 관리기는 제1 관리기로 대체될 수 있고, 제2 신발 관리기는 제2 관리기로 대체될 수 있으며, 신발 관리 시스템은 관리 시스템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 시스템(20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은 각각 서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X)과 제2 방향(Y) 각각은 수평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고, 제3 방향(Z)은 연직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X)이 좌우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때 제2 방향(Y)은 전후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X)이 전후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때 제2 방향(Y)은 좌우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 시스템(2000)은 2개 이상의 신발 관리기(1, 10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 1000)는 제1 신발 관리기(1) 및 제2 신발 관리기(1000)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신발 관리기(1)와 제2 신발 관리기(1000)는 서로 공통된 부분을 포함한다.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신발 관리기'는 '제1 신발 관리기' 일 수 있고 또는 '제2 신발 관리기' 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신발 관리기(1, 1000)는 서로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제1 신발 관리기(1)와 제2 신발 관리기(1000) 상하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신발 관리기(1000)가 상하로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신발 관리기(1)는 신발로부터 냄새 또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제2 신발 관리기(1000)는 현재 깨끗한 신발(예컨대, 새 신발 또는 오염물질의 제거가 완료된 신발)의 상태가 오랫동안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 1000)는, 수용공간(101, 1010), 외부캐비닛(20, 1101) 및 작동부(2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 관리기(1, 1000)는 송풍부(310, 1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캐비닛(20, 1101)은 신발 관리기(1, 1000)의 외형을 이룰 수 있다.
수용공간(101, 1010)은 신발 관리기(1, 1000)의 내부 공간으로서 신발이 수용되는 공간을 이룬다.
작동부(2700)는 수용공간(101, 1010)의 온도, 습도 및 기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송풍부(310, 1330)는 수용공간(101, 1010)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 신발 관리기(1, 1000)는 제어부(10, 1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0, 1600)는 각 신발 관리기(1, 100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제어부(10, 1600)는, 신발 관리기에서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신발 관리기의 각 구성의 구동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 및 제1 외부캐비닛(20)의 일부가 제거된 모습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신발 관리기(1)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기계실(50)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발 관리기(1)에서 각 구성간의 연결관계 및 유체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신발 관리기(1)는 외부캐비닛(20), 도어(30), 이너캐비닛(100) 및 기계실(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신발 관리기(1)는 프레임(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신발 관리기(1)의 외부캐비닛(20)을 제1 외부캐비닛(20)으로 칭하도록 한다.
제1 외부캐비닛(20)과 도어(30)는 제1 신발 관리기(1)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룰 수 있다. 제1 신발 관리기(1)의 외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외부캐비닛(20)과 도어(30)가 서로 결합되고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제1 신발 관리기(1)의 외형은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발 관리기(1)가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입체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5)은 제1 신발 관리기(1)의 전체적인 골격을 이룰 수 있다. 프레임(5)은 육면체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외부캐비닛(20)은 프레임(5)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어(30)는 제1 신발 관리기(1)의 내부(고내)를 개폐하도록 이루어진다. 도어(30)는 제1 신발 관리기(1)의 어느 한 쪽 면을 이룰 수 있다. 도어(30)는 제1 신발 관리기(1)의 왼쪽면 또는 오른쪽면을 이룰 수 있고, 또는 제1 신발 관리기(1)의 앞면을 이룰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30)는 프레임(5)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30)는 제1 외부캐비닛(20)에 힌지결합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어(30)는 이너캐비닛(100) 및/또는 기계실(50)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도어(30)의 힌지회전축(31)은 연직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는 연직방향의 회전축(31)(rotation axis)을 중심으로 양방향 회전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도어(30)가 제1 신발 관리기(1)의 앞쪽에 형성되는 것으로 정하여 설명한다. 즉, 제1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가 형성되는 면을 제1 신발 관리기(1)의 앞면으로 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1 방향(X)은 전후방향과 평행하고, 제2 방향(Y)은 좌우방향과 평행하고, 제3 방향(Z)은 상하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각각 정하여 설명한다.
이너캐비닛(100) 및 기계실(50)은 제1 외부캐비닛(2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은 상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의 내부의 공간은 수용공간(101)을 이루고, 이러한 수용공간(101)에 신발(S)이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신발 관리기(1)의 수용공간을 제1 수용공간(101)으로 칭하도록 한다.
복수 개의 신발(S)이 하나의 이너캐비닛(100)의 제1 수용공간(101)에서 함께 배치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은 프레임(5)에 고정될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은 어느 한쪽으로 개구된 상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너캐비닛(100)은 제1 신발 관리기(1)의 앞쪽으로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캐비닛(100)의 개구는 도어(30)에 의해 밀폐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계실(50)은 이너캐비닛(100)의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기계실(50)에는, 제1 신발 관리기(1)를 이루는 일부의 구성들이 수용될 수 있고, 이때 기계실(50)에 수용되는 구성들은 프레임(5)에 고정되거나 이너캐비닛(100) 또는 제1 외부캐비닛(2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발 관리기(1)는 관리장치(2a, 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신발 관리기(1)에서 관리장치(2a, 2b)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신발 관리기(1)는 제1 관리장치(2a) 및 제2 관리장치(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신발 관리기(1)는, 2개로 구분된 관리장치(2a, 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관리장치'는,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를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상술한 이너캐비닛(1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과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은 서로 구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은 제1 이너캐비닛(100a)으로 칭하여 질 수 있고,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은 제2 이너캐비닛(100b)로 칭하여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술되는 '이너캐비닛(100)'은,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제1 이너캐비닛(100a)' 및 '제2 이너캐비닛(100b)' 각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제1 신발 관리기(1)에서 도어(30)가 닫히면, 도어(30)는 제1 관리장치(2a)의 메인개구를 닫고, 또한 제2 관리장치(2b)의 메인개구를 닫는다. 즉, 도어(30)는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의 제1 수용공간(101)과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의 제1 수용공간(101)을 동시에 밀폐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의 제1 수용공간(101)과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의 제1 수용공간(101)은 서로 연통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관리장치(2a)의 이너캐비닛(100)의 제1 수용공간(101)과 제2 관리장치(2b)의 이너캐비닛(100)의 제1 수용공간(101)은 서로 독립된 공간을 이룰 수 있고, 또한 서로 차단된(서로 연통되지 않는) 공간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관리장치(2a)의 제1 수용공간(101)의 온도 및 습도와 제2 관리장치(2b)의 제1 수용공간(101)의 온도 및 습도는 서로 다르게 제어될 수 있고,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에서 서로 개별적인 신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연결유로(F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송풍부(310) 및 제습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흡입구(203) 및 노즐(8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신발 관리기(1)의 송풍부를 제1 송풍부(310)로 칭하도록 한다.
관리장치(2a, 2b)는 연결유로(F10)를 이루는 모듈하우징(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재생유로(F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가열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신발 관리기(1)의 가열부를 제1 가열부(320)로 칭하도록 한다.
관리장치(2a, 2b)는 변환유로(F1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장치(2a, 2b)는 댐퍼(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신발 관리기(1)는 스팀제너레이터(700) 및 스팀밸브(7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신발 관리기(1)는 섬프(600),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유로(F10)는 유체(流體)의 이동통로를 이룬다.
연결유로(F10)는, 제1 신발 관리기(1) 내부의 공기 및/또는 응축수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제습부(330)는 연결유로(F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제습제(3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습부(330)는 그 전부가 제습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그 일부가 제습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부(330)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발 관리기(1)는, 신발이 배치되는 이너캐비닛(100)의 내부의 공기를 연결유로(F10) 내부로 흡입하여 제습제(331)를 이용하여 제습하도록 이루어지고, 제습된 공기가 다시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는 순환 기류(air circulation) 구조를 갖는다.
연결유로(F10)는, 제1 신발 관리기(1)에서 이러한 순환 기류 구조를 이루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연결유로(F10)는, 그 전부 또는 일부가 파이프, 호스, 튜브, 덕트, 하우징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듈하우징(200)은 연결유로(F10)의 일부를 이룬다.
모듈하우징(200)에는 흡입구(203)가 형성된다. 흡입구(203)는 이너캐비닛(100)의 제1 수용공간(101)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지고, 이너캐비닛(100)의 제1 수용공간(101)의 공기가 모듈하우징(200)의 내부로 흡입되는 모듈하우징(200)의 입구를 이룬다.
제1 신발 관리기(1) 내부에서, 이너캐비닛(100)과 기계실(50)은 서로 분리된 공간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이너캐비닛(100)과 기계실(50)의 사이에 관리장치(2a, 2b)의 일부인 모듈하우징(20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발 관리기(1)에서 제1 송풍부(310), 제습부(330) 및 제1 가열부(320)는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기계실(50)에는, 제어부(10), 섬프(600), 스팀제너레이터(700) 및 스팀밸브(710)가 수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계실(50)은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신발 관리기(1)의 제어부를 제1 제어부(10)로 칭하도록 한다.
관리장치(2a, 2b)를 이루는 구성들 중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에 수용되지 않는 구성들은, 이너캐비닛(100)과 모듈하우징(200)의 외부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고, 또는 프레임(5)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기계실(50)에 결합되거나 수용되는 구성들은 각각, 기계실(50)에 고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은 각각 물을 수용하는 용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통(60)은 그 내부에, 제1 신발 관리기(1) 내부로 공급되는 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통(60)은, 스팀제너레이터(700)로 공급되는 물이 내부에 저장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통(60)의 물을 제1 신발 관리기(1) 내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급수통(60)에는 워터펌프(제1 워터펌프(61))가 연결될 수 있다.
배수통(70)은 그 내부에, 제1 신발 관리기(1)에서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배수통(70)은 제1 신발 관리기(1) 내부에서 응축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배수통(70)은 섬프(600)에서 배수된 물을 저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배수통(70)으로 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배수통(70)에는 워터펌프(제2 워터펌프(71))가 연결될 수 있다.
급수통(60)과 배수통(70)은, 기계실(50)의 어느 한쪽 벽면 외측에서 노출되도록 기계실(50)에 결합될 수 있다.
급수통(60) 및 배수통(70)은, 기계실(50)에서 착탈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급수통(60)과 배수통(70)의 착탈의 용이를 위하여, 급수통(60)의 외측면에 급수통(60)의 손잡이(60a)가 형성될 수 있고, 배수통(70)의 외측면에 배수통(70)의 손잡이(7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0)는, 제1 신발 관리기(1)를 이루는 각 구성들과 연계되어 각 구성들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제어부(10)의 제어를 위하여 제1 신발 관리기(1)에는,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가 구비될 수 있고, 제1 제어부(10)는, 제1 신발 관리기(1)로 입력되는 정보, 제1 신발 관리기(1)에서 출력되는 정보 등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제1 신발 관리기(1)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제어부(10)는, 제1 신발 관리기(1)를 이루는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가 개별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0)는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가 각각 서로 다른 상태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관리장치(2a)에서의 신발(예컨대, 운동화)과 제2 관리장치(2b)에서의 신발(예컨대, 구두)이 서로 다른 조건에서 관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0)는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가 서로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신발 관리기(1)에는, 이너캐비닛(100) 내부에 수분이 발생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스팀제너레이터(700)가 구비된다. 스팀제너레이터(700)는, 스팀을 생성하고, 이너캐비닛(100)의 내부로 선택적으로 수분 및 스팀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스팀제너레이터(700)에 의해 형성된 습한 공기가 이너캐비닛(100)의 제1 수용공간(101) 쪽으로 공급되고, 습기는 이너캐비닛(100)의 제1 수용공간(101)을 순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신발(S)에 습기가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신발 관리기(1)는 신발을 리프레쉬(refresh)하는 리프레셔(refresher)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리프레쉬라 함은 신발을 향해 공기(air), 열풍(heated air), 수분(water), 미스트(mist), 스팀(steam) 등을 제공하여 신발의 오물제거, 냄새제거(deodorizing), 살균(sanitizing), 정전기 제거(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또는 가열(warming) 등을 수행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스팀제너레이터(700)는 신발(S)이 수용되는 이너캐비닛(100)의 제1 수용공간(101)으로 스팀을 공급하여 신발에 대한 스팀 처리를 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의 효과와 함께 신발 재질의 부풀림 등에 의한 리프레쉬 효과를 발휘하기 위한 것이다.
스팀제너레이터(700)는 급수통(6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할 수 있다.
스팀밸브(710)는, 스팀제너레이터(700)와 연결되고, 제1 관리장치(2a)의 제1 수용공간(101) 및 제2 관리장치(2b)의 제1 수용공간(101) 각각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스팀밸브(710)는, 스팀제너레이터(700)의 스팀이 제1 관리장치(2a)의 제1 수용공간(101) 및/또는 제2 관리장치(2b)의 제1 수용공간(101)으로 공급됨에 있어서, 스팀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도록 작동하며, 스팀밸브(710)의 작동은 제1 제어부(10)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발 관리기(1)에서 제습부(330)는 공기를 제습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제습부(330)는 그 자체로 다공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부(330)에는 그 부피 전체에 걸쳐 다수의 공극이 형성될 수 있고, 공기가 이러한 공극을 통하여 제습부(330)를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습부(330)는 제습제(dehumidifying material)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습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331)는,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습도를 낮출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습제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거나 흡착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물질 또는 물질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는, 데시컨트(desiccant), 흡습제(absorbent) 또는 흡착제(adsorbent)로 칭하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는 미세 다공성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는, 실리카겔, 활성탄, 활성 알루미나(AL2O3), 규조토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습제는 제올라이트(zeolite)로 이루어지거나 제올라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송풍부(310)는 연결유로(F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제1 송풍부(310) 내부에 송풍팬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송풍부(310)가 연결유로(F10) 내부에 구비됨으로써, 제1 송풍부(310)의 작동시 연결유로(F10)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이 발생되고, 또한 연결유로(F10)는 이너캐비닛(100)의 제1 수용공간(101)과 연통되어 있으므로, 제1 송풍부(310)의 작동에 의하여 제1 수용공간(101)에서도 공기의 흐름 및 이동이 발생된다.
이처럼, 제1 송풍부(310)의 작동(송풍팬(313)의 회전)에 의하여 이너캐비닛(100)으로부터 공기를 연결유로(F10)로 흡입할 수 있고, 연결유로(F10) 내부의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송풍부(310)는 연결유로(F10)를 이루는 모듈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되고, 제1 송풍부(310)는 이너캐비닛(100) 내부의 공기가 흡입구(203)로 흡입되도록 작동한다. 연결유로(F10) 내부의 공기는 연결유로(F10)를 이루는 모듈하우징(200), 건조공기덕트(370) 및 노즐덕트(810)를 거친 후 노즐(820)을 통하여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다시 토출된다.
이처럼, 제1 송풍부(310)의 작동에 의하여 제1 신발 관리기(1)에서 공기의 흐름이 발생될 수 있다.
연결유로(F10) 내부에서 제습부(330) 및 제1 송풍부(310)의 일측에는 제1 가열부(320)가 구비된다. 제1 가열부(320)는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공기의 이동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제1 송풍부(310), 제1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 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모듈하우징(200)의 흡입구(203)로 유입된 공기는 제1 송풍부(310), 제1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 순으로 거치면서 연결유로(F10)를 이동하게 된다.
제1 가열부(320)는 모듈하우징(200) 내부의 모듈챔버(210)의 공기를 가열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가열부(320)는 제습부(330)를 가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송풍부(310)의 작동에 의하여 제1 가열부(32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제습부(330)로 바로 이동하며 이에 따라 제습부(330)가 가열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가열부(320)는 제습부(330)와 인접하여 모듈하우징(200) 내부에 배치된다. 특히, 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공기의 이동경로를 기준으로 제1 가열부(320)는 제습부(330)와 인접하여 모듈하우징(200) 내부에 배치된다.
모듈하우징(200)의 내부에서, 제1 가열부(320)가 선택적으로 가열됨으로써, 제습제에 의한 제습 또는 제습제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열부(320)는 모듈하우징(20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거나 제습부(330)에 열을 공급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장치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가열부(320)는 전기 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송풍부(310), 제1 가열부(320), 제습부(330) 및 모듈하우징(200)은 하나의 셋트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셋트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신발 관리기(1)에서 상기 셋트는 2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세트는 제1 관리장치(2a) 및 제2 관리장치(2b)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셋트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DM)을 이룰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건조모듈(DM)은, 모듈하우징(200), 제1 송풍부(310), 제1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건조모듈(DM)은 제1 관리장치(2a)와 제2 관리장치(2b) 각각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DM)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DM)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DM)이 한 쌍으로 구비될 때, 어느 하나의 건조모듈(DM)은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로서 '건조모듈 A(DM1)'를 이루고, 다른 하나의 건조모듈(DM)은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로서 '건조모듈 B(DM2)'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술되는 '건조모듈'은, 달리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건조모듈 A' 및 '건조모듈 B'를 각각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 A(DM1)와 건조모듈 B(DM2)는 서로 다른 모드로 작동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건조모듈 A(DM1)가 흡습모드로 작동될 때, 건조모듈 B(DM2)는 재생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반대로, 건조모듈 A(DM1)가 재생모드로 작동될 때, 건조모듈 B(DM2)는 흡습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흡습모드'는 제습부(330)가 공기 중의 습기를 흡착하는 경우를 의미하고, '재생모드'는 제습부(330)를 가열하여 제습부(330)에 흡착된 습기가 분리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건조모듈 A(DM1) 및 건조모듈 B(DM2)가 모두 흡습모드로 작동되거나, 또는 모두 재생모드로 작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발 관리기(1)는 이너캐비닛(10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재생유로(F20)를 이루는 컨덴서(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발 관리기(1)에서 스팀제너레이터(700)에서 생성된 스팀은 이너캐비닛(100)의 제1 수용공간(101)으로 공급되며, 이를 위하여 제1 신발 관리기(1)는 스팀유입구(204)를 포함한다.
스팀유입구(204)는 이너캐비닛(100)의 제1 수용공간(101)으로 스팀이 공급되는 입구를 이룬다.
연결유로(F10)는 흡입구(203)로부터 노즐(820)까지 연결되는 공기의 이동 통로를 이룬다. 즉, 흡입구(203)는 연결유로(F10)의 입구를 이루고, 노즐(820)은 연결유로(F10)의 출구를 이룰 수 있다.
연결유로(F10)는 변환유로(F10a) 및 건조유로(F10b)로 구분될 수 있다. 변환유로(F10a) 및 건조유로(F10b)는 순차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공기의 이동 통로를 이룬다. 연결유로(F10) 내부의 공기는 변환유로(F10a) 및 건조유로(F10b)를 순차적으로 거쳐 이동할 수 있다.
변환유로(F10a)는 흡입구(203)와 연결되는, 연결유로(F10)의 상류 구간을 이룬다. 변환유로(F10a)는 제1 송풍부(310), 제1 가열부(320) 및 제습부(330)가 위치하는 구간일 수 있다. 변환유로(F10a)는 모듈하우징(200)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모듈하우징(200) 내부의 모듈챔버(210)가 변환유로(F10a)를 이룰 수 있다.
변환유로(F10a)는 다습한 공기가 이동하면서 건조되는 구간일 수 있다. 변환유로(F10a)는 제습부(330)에 의한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는 구간일 수 있다.
한편, 변환유로(F10a)는 제습부(330)의 재생이 이루어지는 구간일 수 있다.
건조유로(F10b)는, 변환유로(F10a)와 노즐(820)을 연결하는, 연결유로(F10)의 하류 구간을 이룬다. 건조공기덕트(370), 노즐덕트(810) 및 노즐(820)이 형성하는 유로가 건조유로(F10b)를 이룰 수 있다.
건조유로(F10b)는 습기가 제거된 건조한 공기가 이동하는 구간일 수 있다.
건조모듈(DM)이 흡습모드로 작동할 때 건조유로(F10b)는 변환유로(F10a)와 연통되고, 건조모듈(DM)이 재생모드로 작동할 때 건조유로(F10b)는 변환유로(F10a)와 연통되지 않고 건조유로(F10b)와 변환유로(F10a)는 서로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변환유로(F10a)에서 제습부(330)에 의한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지면, 건조된 공기가 건조유로(F10b)를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너캐비닛(100)의 제1 수용공간(101)의 습한 공기는 변환유로(F10a)로 유입된 후 제습부(330)에 의해 제습되어 건조한 공기로 전환되며 건조한 공기가 건조유로(F10b)를 통하여 다시 이너캐비닛(100)의 제1 수용공간(101)으로 재공급될 수 있으며, 공기가 이너캐비닛(100)의 제1 수용공간(101)과 연결유로(F10)를 순환하면서 건조가 이루어진다.
재생유로(F20)는 유체(流體)의 이동통로를 이룬다.
재생유로(F20)는, 제1 신발 관리기(1) 내부의 공기 및/또는 응축수가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재생유로(F20)는, 제습부(330)의 제습제의 재생시, 제습부(330)를 거친 공기 및/또는 응축된 물이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재생유로(F20)는, 그 전부 또는 일부가 파이프, 호스, 튜브, 덕트, 하우징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습제(331)의 재생 과정에서 발생된 수분은, 건조공기가 이동하는 유로인 건조유로(F10b)와 분리된 별도의 유로를 통해 배출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발 관리기(1)는 재생유로(F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제습제의 재생 시에는 제습부(330)를 통과한 공기가 노즐(820)로 송풍되지 않고 재생유로(F20)를 통하여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재생유로(F20)는 연결유로(F10)에서 분기되는 유로이다. 재생유로(F20)는 연결유로(F10)의 건조유로(F10b)와 다른 경로를 이루도록 연결유로(F10)에서 분기될 수 있다. 재생유로(F20)는 섬프(600)로 이어진다.
재생유로(F20)는, 변환유로(F10a)와 섬프(600)를 연결하는 구간일 수 있다.
재생유로(F20)는 제습부(330)에서 분리된 습한 공기가 이동하는 구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덴서(400)는 재생유로(F20)를 이룬다. 제습제(331)로부터 분리된 수분은 재생유로(F2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와 함께 컨덴서(400)로 이동한 후 응축될 수 있다. 그리고, 컨덴서(400)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재생유로(F20)를 통해 섬프(600)로 이동하여 섬프(600)의 하부에서 집수된 후, 배수통(70)으로 배출되거나 외부로 배출되거나 스팀제너레이터(700) 등으로 압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신발 관리기(1)에서, 건조모듈(DM)이 재생모드로 작동할 때 재생유로(F20)는 변환유로(F10a)와 연통되고, 건조모듈(DM)이 흡습모드로 작동할 때 재생유로(F20)는 변환유로(F10a)와 연통되지 않고 재생유로(F20)와 변환유로(F10a)는 서로 차단될 수 있다.
따라서, 변환유로(F10a)에서 제습부(330)의 재생이 이루어지면, 제습부(330)에서 분리된 습기를 포함하는 습한 공기가 재생유로(F20)를 통하여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댐퍼(350)는 댐퍼 밸브(damper valve)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댐퍼(350)는 모듈하우징(200) 내부에서 제습제를 거친 공기의 이동경로를 제어한다. 댐퍼(350)의 작동에 따라 제습제를 거친 공기는, 노즐(820)을 통하여 이너캐비닛(100) 내부로 이동할 수 있고, 또는, 재생유로(F20)로 이동할 수 있다.
댐퍼(350)는, 건조유로(F10b)를 차단하면서 재생유로(F20)를 개방하거나, 또는 재생유로(F20)를 차단하면서 건조유로(F10b)를 개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에서는 댐퍼(350)가 습공기출구(232)를 밀폐하고 건조공기출구(231)를 개방하고,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에서는 댐퍼(350)가 습공기출구(232)를 개방하고 건조공기출구(231)를 밀폐하는 경우, 제1 관리장치(2a)의 변환유로(F10a)에서 공기는 건조유로(F10b)를 따라 흐르고, 제2 관리장치(2b)의 변환유로(F10a)에서 공기는 재생유로(F20)를 따라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는 흡습모드로 작동하고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는 재생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에서 댐퍼(350)가 습공기출구(232)를 개방하고 건조공기출구(231)를 밀폐하고,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에서 댐퍼(350)가 습공기출구(232)를 밀폐하고 건조공기출구(231)를 개방하는 경우, 제1 관리장치(2a)의 변환유로(F10a)에서 공기는 재생유로(F20)를 따라 흐르고, 제2 관리장치(2b)의 변환유로(F10a)에서 공기는 건조유로(F10b)를 따라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는 재생모드로 작동하고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는 흡습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 및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 모두에서, 댐퍼(350)가 습공기출구(232)를 밀폐하고 건조공기출구(231)를 개방하는 경우, 건조모듈 A(DM1) 및 건조모듈 B(DM2)는 모두 흡습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제1 관리장치(2a)의 건조모듈 A(DM1) 및 제2 관리장치(2b)의 건조모듈 B(DM2) 모두에서, 댐퍼(350)가 건조공기출구(231)를 밀폐하고 습공기출구(232)를 개방하는 경우, 건조모듈 A(DM1) 및 건조모듈 B(DM2)는 모두 재생모드로 작동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제2 수용공간(1010)에 신발(S)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제2 수용공간(1010)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본체(1100)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부바디(1130)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신발 관리기(1000)는, 신발을 안전하게 보관하고, 각 신발에 요구되는 환경(예컨대, 소정 범위의 온도, 습도 등)을 형성 및 조정하고, 신발을 효과적으로 전시하며,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신발 관리기(1000)는 본체(1100) 및 이동체(1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100)와 이동체(1200)는 함께, 신발(S)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010)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수용공간을 제2 수용공간(1010)으로 칭하도록 한다.
본체(1100)와 이동체(1200)는 서로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동체(1200)는 본체(1100)에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체(1100)는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외부캐비닛(1101)을 이룬다. 본체(1100)의 외측 표면 부분이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외부캐비닛(1101)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외부캐비닛은 제2 외부캐비닛(1101)으로 칭하여 질 수 있다.
이동체(1200)는 본체(1100)를 상대로 제1 방향(X)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고, 제2 신발 관리기(1000)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변형되며, 제2 수용공간(1010)이 열릴 수 있다.
도 6b 도시된 제2 신발 관리기(1000)는 다시 도 6a에 도시된 제2 신발 관리기(1000)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이동체(1200)는 본체(1100)를 상대로 제1 방향(X)의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고, 제2 신발 관리기(1000)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변형되며, 제2 수용공간(1010)이 닫힐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신발 관리기(1000)에서, 이동체(1200)는 본체(1100)를 상대로 제1 방향(X) 또는 제1 방향(X)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전후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제2 수용공간(1010)이 폐쇄된 상태에서 제2 수용공간(1010)은 외기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신발(S)이 제2 수용공간(1010)에 수용되고 제2 수용공간(1010)이 폐쇄되면, 신발(S)은 외기의 먼지 및 습기와의 접촉이 차단될 수 있다.
본체(1100)는 제2 수용공간(1010)의 상면 및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동체(1200)는 제2 수용공간(1010)의 전면, 하면 및 양쪽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수용공간(1010)은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제2 수용공간(1010)은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입체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100)와 이동체(1200)는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룰 수 있다.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외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체(1100)와 이동체(1200)가 서로 결합되고 제2 수용공간(1010)이 폐쇄된 상태에서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외형은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신발 관리기(1000)가 이와 같은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입체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100)는 상부바디(1130), 중간바디(1120) 및 하부바디(1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바디(1130)는 제2 수용공간(1010)의 상측에 위치한다. 상부바디(1130)는 제2 수용공간(1010)의 상면을 형성한다. 상부바디(1130)는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가장 위쪽 부분을 이룰 수 있다. 상부바디(1130)의 상면은 대체로 수평면을 따라 평평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2 신발 관리기(1000)가 구비될 때, 어느 하나의 제2 신발 관리기(1000)는 다른 하나의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상부바디(1130)의 상면에 놓일 수 있으며, 서로 적층될 수 있다.
하부바디(1110)는 제2 수용공간(1010) 아래에 위치한다. 하부바디(1110)는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가장 아래쪽 부분을 이룰 수 있다. 하부바디(1110)는 제2 신발 관리기(1000)가 바닥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중간바디(1120)는 제2 수용공간(1010)의 뒤에 위치한다. 중간바디(1120)는 제2 수용공간(1010)의 후면을 형성한다. 중간바디(1120)는 제2 수용공간(1010)의 뒤쪽에서 상부바디(1130)와 하부바디(1110)를 연결할 수 있다. 중간바디(1120)는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뒤쪽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100)가 상부바디(1130), 중간바디(1120) 및 하부바디(1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본체(1100)는 측면도상 대체로 'ㄷ'자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체(1200)는 본체(1100)를 상대로 전후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동체(1200)는 베이스(1220), 투명창(1210) 및 턴테이블(123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220)는 하부바디(1110)에 제1 방향(X)으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1220)는 이동체(1200)의 바닥 부분을 이룰 수 있다. 베이스(1220)는 하부바디(11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1220)의 저면은 하부바디(1110)의 상면에 밀착되거나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투명창(1210)은 베이스(1220)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된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투명창(1210)은 제2 수용공간(1010)의 전면과 양쪽 측면(왼쪽 면 및 오른쪽 면)을 형성할 수 있다. 투명창(1210)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수용공간(1010) 내부의 빛과 외부의 빛은 투명창(1210)을 통과할 수 있다. 투명창(1210)은 변색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후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창(1210)은 내후성 및 내긁힘성이 우수한 아크릴(PMMA)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투명창(1210)은 소정의 파장을 갖는 광선이 제2 수용공간(101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예로, 투명창(1210)은 자외선을 차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자외선(ultraviolet)은 파장이 가시광선보다 짧은 10~397nm에 해당하는 전자기파로서, 화학 작용이 강하고 햇빛에 타거나 변색의 원인이 되는 빛이다.
일 예로, 투명창(1210)의 내면 또는 외면에 자외선 차단필름(ultraviolet-proof film)이 부착될 수 있다. 또는, 투명창(1210)의 내면 또는 외면에 자외선 차단제를 도막 처리(UV coating)할 수 있다.
투명창(1210)은 제1 창(1211), 제2 창(1212) 및 제3 창(1213)을 포함한다. 제1 창(1211)은 제2 수용공간(101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창(1212)은 제2 수용공간(1010)의 왼쪽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창(1213)은 제2 수용공간(1010)의 오른쪽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신발(S)이 제2 수용공간(10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투명창(1210)을 통해 신발(S)을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신발 관리기(1000)는 신발(S)을 보관 및 관리하면서 동시에 신발(S)을 전시할 수 있는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1200)가 상대적으로 가장 뒤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 수용공간(1010)은 외기로부터 밀폐될 수 있다. 이때, 제2 수용공간(1010)은 육면체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이동체(1200)는 제1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고, 제2 신발 관리기(1000)는 닫힌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체(1200)가 제1 방향(X)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2 수용공간(1010)은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제1 창(1211)의 상부는 상부바디(1130)의 전면으로부터 제1 방향(X) 앞쪽으로 이격되어 간격(이하 '제1 간격'으로 지칭)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창(1212)은 중간바디(1120)의 왼쪽 측면로부터 제1 방향(X)으로 이격되어 간격(이하 '제2 간격'으로 지칭)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창(1213)은 중간바디(1120)의 오른쪽 측면로부터 제1 방향(X) 앞쪽으로 이격되어 간격(이하 '제3 간격'으로 지칭)을 형성할 수 있다.
이동체(1200)가 제1 방향(X)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에서, 즉, 이동체(1200)가 상대적으로 가장 앞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동체(1200)는 제2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고, 제2 신발 관리기(1000)는 열린 상태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신발(S)을 제1 간격을 통해 제2 수용공간(1010)에 넣거나 제2 수용공간(1010)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턴테이블(1230)은 신발(S)이 놓이는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턴테이블(1230)의 상면은 원형을 형성할 수 있다. 턴테이블(1230)은 베이스(1220)와 함께 제2 수용공간(101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턴테이블(1230)은 베이스(1220)에 수직방향의 축, 즉, 제3 방향(Z)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턴테이블(1230)의 회전을 위하여 이동체(1200)에는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모터는 베이스(1220)에 결합될 수 있다. 턴테이블(1230)은 모터의 회전축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모터와 회전동력은 감속기를 거쳐 턴테이블(1230)에 전달될 수 있다. 모터는 일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양방향으로 왕복 회전할 수 있다.
턴테이블(1230)이 구비됨으로써 제2 수용공간(1010)에서 신발(S)이 회전할 수 있으며 신발의 전시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제2 신발 관리기(1000)는 작동버튼(1610) 및 제어부(160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제어부를 제2 제어부(1600)로 칭하도록 한다.
작동버튼(1610)은 본체(1100)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작동버튼(1610)은 상부바디(113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작동버튼(1610)을 조작하면, 턴테이블(1230)이 회전하거나 정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1610)을 조작하여 턴테이블(12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1610)을 통해 제2 제어부(1600)에 턴테이블(1230)의 회전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1610)을 조작하여 턴테이블(123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수용공간(1010)이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신발(S)의 어느 한 부분(heel top, lining, tong 등)을 잡고 신발(S)을 턴테이블(1230) 상면에 놓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작동버튼(1610)을 조작하여 턴테이블(123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작동버튼(1610)을 조작하여 신발(S)의 전후방향이 제1 방향(X)과 일치하도록 턴테이블(123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작동버튼(1610)을 조작하여 신발(S)의 전후방향이 제1 방향(X)과 소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턴테이블(1230)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신발(S)의 어느 한 부분을 파지한 상태에서 신발(S)을 턴테이블(1230) 상면에 올려놓더라도, 신발(S)을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놓이도록(전시되도록) 할 수 있다.
신발(S)의 형태, 크기 및/또는 종류에 따른 턴테이블(1230)의 회전속도가 제2 제어부(1600)에 세팅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작동버튼(1610)을 통해 제2 제어부(1600)에 신발(S)의 형태, 크기 및 종류에 따른 턴테이블(1230)의 회전속도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신발 관리기(1000)는 제1 조명(14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명(1410)은 상부바디(1130)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조명(1410)은 제2 수용공간(1010)을 조명할 수 있다. 제1 조명(1410)은 광원 및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명(1410)의 광원은 신발(S)이 놓이는 턴테이블(1230)의 상면에 빛을 집중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광원의 빛은 턴테이블(1230) 상면에 놓인 신발(S)을 집중적으로 조명할 수 있다. 제1 조명(1410)이 켜지면, 광원의 빛에 의해 제2 수용공간(1010)에 수납된 신발(S)의 이미지가 변화할 수 있다.
광원의 빛은 렌즈를 통과하여 제2 수용공간(1010)을 조명할 수 있다. 렌즈는 자외선을 차단하도록 자외선 차단필름(ultraviolet-proof film)이 부착되거나 자외선 차단제를 도막 처리(UV coating)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작동버튼(1610)을 조작하면, 광원이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1610)을 통해 제2 제어부(1600)에 광원의 작동 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1610)을 조작하여 광원의 작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제2 제어부(1600)에 신발(S)의 형태, 크기 및/또는 종류에 따른 광원의 작동 시간 및 작동 유형이 세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1610)을 통해 제2 제어부(1600)에 신발(S)의 형태, 크기 및 종류에 따른 광원의 작동 시간 및 작동 유형을 입력할 수 있다.
본체(1100)는 공기유로(1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1100)는 유입구(1310) 및 토출구(1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유로(1300)는 상부바디(113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공기유로(1300)는 유입구(1310)와 토출구(1320)를 연결한다. 유입구(1310)는 공기유로(1300)의 입구를 이루고, 토출구(1320)는 공기유로(1300)의 출구를 이룰 수 있다.
유입구(1310)는 상부바디(113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1320)는 상부바디(113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공간(1010)의 공기는 유입구(1310)를 통해 공기유로(1300)로 흡입될 수 있다. 공기유로(1300)의 공기는 토출구(1320)를 통해 제2 수용공간(1010)으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제2 송풍부(1330)가 강제 송풍한 공기는 제2 수용공간(1010)과 공기유로(1300)를 순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신발 관리기(1000)는 송풍부(1330) 및 가열부(1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송풍부는 제2 송풍부(1330)로 칭하도록 하고, 제2 신발 관리기의 가열부는 제2 가열부(1340)으로 칭하도록 한다.
제2 송풍부(1330) 및 제2 가열부(1340)는 상부바디(1130)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송풍부(1330)는 제2 수용공간(1010)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제2 송풍부(1330)는 공기유로(1300) 내에 배치되고, 공기유로(1300)에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 가열부(1340)는 제2 수용공간(1010)의 공기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가열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가열부(1340)는 공기유로(13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1100)는 제2 조명(1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조명(1420)은 제1 조명(1410)의 뒤에서 상부바디(1130)의 저면에 형성되어 중간바디(1120)를 조명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가열부(1340)는 공기유로(1300)를 이동하는 공기에 열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제2 송풍부(1330) 및 제2 가열부(1340)에 의해 제2 수용공간(1010)의 온도 및/또는 습도가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작동버튼을 조작하면, 제2 송풍부(1330)가 회전하거나 정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을 조작하여 제2 송풍부(133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을 통해 제2 제어부에 제2 송풍부(1330)의 회전시간을 입력할 수 있다. 제2 송풍부(1330)의 작동에 의하여 제2 수용공간(1010)의 공기는 순환할 수 있고, 제2 수용공간(1010)의 공기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작동버튼을 조작하면, 제2 가열부(1340)가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을 조작하여 제2 가열부(1340)의 작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을 통해 제2 제어부에 제2 가열부(1340)의 작동 온도를 입력할 수 있다. 제2 가열부(1340)에 의해 가열되는 공기의 온도는, 사용되는 신발(S)의 특성에 맞게 선택되거나 조절될 수 있다.
제2 송풍부(1330) 및 제2 가열부(1340)의 작동은 소정의 시간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 송풍부(1330) 및 제2 가열부(1340)의 작동과 정지가 각각 소정의 시간을 가지며 반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시간들은 사용자에 의해 정하여질 수 있고,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으로 정하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수용공간(1010)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각 신발(S)의 특성에 맞는 최적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신발 관리기(1000)는 신발을 디스플레이하는 신발 전시효과와 신발의 변형 내지 오염을 차단하는 신발 관리효과를 동시에 이룰 수 있다.
제2 제어부(1600)에 신발의 형태, 크기 및/또는 종류에 따른 제2 송풍부(1330) 및 제2 가열부(1340)의 작동 시간 및 작동 유형이 세팅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작동버튼을 통해 제2 제어부에 신발의 형태, 크기 및 종류에 따른 제2 송풍부(1330) 및 제2 가열부(1340)의 작동 시간 및 작동 유형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신발 관리기(1000)는 신발의 소재, 하중, 형태, 크기 및/또는 종류에 따라 제2 수용공간(1010)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다르게 제어함으로써, 신발의 변형 내지 오염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 시스템(20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 파워코드장치(2500) 및 연결코드장치(2600)는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신발 관리 시스템(2000)에서 각 구성간의 전기적인 연결관계가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워코드장치(25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코드장치(26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 시스템(20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에서 연결코드장치(2600)는 점선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연결코드장치(2600)가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 신발 관리기(10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는 모습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1a, 도 11b 및 도 11c 각각에서 아웃렛부(2200)는 플립(2300)에 의해 가려져 있는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연결코드장치(2600)가 아웃렛부(2200)에 결합될 때 플립(2300)이 개방되게 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1, 1000)는, 전원공급부(11, 1601), 인렛부(2100) 및 아웃렛부(2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렛부(2100)와 아웃렛부(2200)는 각각 전기접속기구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렛부(2100)와 아웃렛부(2200)는 각각 전기커넥터(electrical connector)일 수 있다.
제1 신발 관리기(1)는 전원공급부(11, 제1 전원공급부), 인렛부(2100) 및 아웃렛부(2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 신발 관리기(1000)는 전원공급부(1601, 제2 전원공급부), 인렛부(2100) 및 아웃렛부(2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원공급부(11, 1601)는 전원 장치(power supply unit)로서 각 신발 관리기의 각 구성에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공급부(11, 1601)는 작동부(27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공급부(11, 1601)는 송풍부(310, 133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신발 관리기(1)의 제1 송풍부(310) 및/또는 제1 가열부(320)는 제1 신발 관리기(1)의 작동부(2700)를 이룰 수 있다.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제2 송풍부(1330) 및/또는 제2 가열부(1340)는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작동부(2700)를 이룰 수 있다.
전원공급부(11, 1601)는 제어부(10, 1600)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제어부(10, 1600)와 별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공급부(11, 1601)는 제어부(10, 1600)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인렛부(2100)는 전원공급부(11, 16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렛부(2100)를 통하여 외부의 전원이 각 신발 관리기로 들어오게 된다. 전원공급부(11, 1601)가 인렛부(2100)와 연결됨으로써, 신발 관리기의 외부의 전원이 인렛부(2100) 및 전원공급부(11, 1601)를 통하여 신발 관리기의 각 구성으로 공급될 수 있다.
아웃렛부(2200)는 전원공급부(11, 16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아웃렛부(2200)를 통하여 신발 관리기에서 전원이 외부로 나가게 된다. 전원공급부(11, 1601)가 아웃렛부(2200)와 연결됨으로써, 신발 관리기의 내부로 공급된 전원이 전원공급부(11, 1601) 및 아웃렛부(2200)를 통하여 신발 관리기의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신발 관리기로 공급된 전원은 아웃렛부(2200)를 통하여 다른 신발 관리기로 공급될 수 있다.
인렛부(2100)는 소켓 또는 플러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웃렛부(2200)는 소켓 또는 플러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렛부(2100) 및 아웃렛부(2200)는,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EE(또는 CEE, 유럽 표준), NEMA(National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BSI(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영국표준협회)와 같은 국제기구가 정하는 각 규격에 맞게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렛부(2100) 및 아웃렛부(2200)는 각각, Type A (NEMA 1-15), Type B (NEMA 5-15), Type C (CEE 7/1), Type D, Type E (CEE 7/5), Type F (CEE 7/3, CEE 7/4), Type G (BS 1363), Type H, Type I, Type J, Type K, Type L, Type M, Type N 또는 Type O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렛부(2100) 및 아웃렛부(2200)는 각각 AC 단자(IEC-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렛부(2100) 및 아웃렛부(2200)는 각각, 교류 전원 케이블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IEC-320 (IEC_60320) 단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렛부(2100)는 수 단자(IEC-320 C14)의 구조, 형태 및 규격에 맞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웃렛부(2200)는 암 단자(IEC-320 C13)의 구조, 형태 및 규격에 맞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인렛부(2100) 및 아웃렛부(2200)는, 외부캐비닛(20, 1101)의 외측면(20a, 1101a)에 형성되거나 외부캐비닛(20, 1101)의 외측면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인렛부(2100)와 아웃렛부(2200)는 서로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인렛부(2100)와 아웃렛부(2200)는 외부캐비닛(20, 1101)의 같은 면에 형성 될 수 있다. 인렛부(2100)와 아웃렛부(2200)는 외부캐비닛(20, 1101)의 배면(20a, 1101a)에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2개 이상의 신발 관리기가 연속하여 배치될 때(도 8, 11a, 11b 및 11c 참조) 사용되는 연결코드장치(2600)의 길이를 비교적 짧게 형성할 수 있고, 연결코드장치(2600)의 배치 및 파워코드장치(2500)의 배치가 깔끔하고 각 신발 관리기의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인렛부(2100)와 아웃렛부(2200)가 외부캐비닛(20, 1101)의 어느 한 면(예컨대, 배면(20a, 1101a))에 형성될 때, 인렛부(2100)와 아웃렛부(2200)는 서로 이격되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렛부(2100)와 아웃렛부(2200)는 가로 방향(예컨대, 수평방향)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실시예에서 인렛부(2100)와 아웃렛부(2200)는 세로 방향(예컨대, 수직방향)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인렛부(2100)는 외부캐비닛(20, 1101)의 일측에 결합된다.
신발 관리기는 파워코드장치(2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파워코드장치(2500)는 신발 관리기와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외부의 전기에너지가 신발 관리기 내부로 전달되도록 한다.
파워코드장치(2500)는, 인렛부(2100)에 착탈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인렛커넥터(2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파워코드장치(2500)는 전원커넥터(2510) 및 케이블(25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파워코드장치(2500)의 케이블(2530)을 제1 케이블(2530)로 칭하도록 한다.
전원커넥터(2510)는 숫단자(플러그, Plug) 형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전원커넥터(2510)는,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EE(또는 CEE, 유럽 표준), NEMA(National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BSI(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영국표준협회)와 같은 국제기구가 정하는 각 규격에 맞게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커넥터(2510)는, Type A (NEMA 1-15), Type B (NEMA 5-15), Type C (CEE 7/1), Type D, Type E (CEE 7/5), Type F (CEE 7/3, CEE 7/4), Type G (BS 1363), Type H, Type I, Type J, Type K, Type L, Type M, Type N 또는 Type O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커넥터(2510)은 다른 전기커넥터 또는 전기소켓에 결합되어 전기에너지를 신발 관리기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케이블(2530)은 전기케이블로서 전원커넥터(2510)와 인렛커넥터(25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신발 관리기는 연결코드장치(2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코드장치(2600)는 하나의 신발 관리기와 다른 하나의 신발 관리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코드장치(2600)는 제1 신발 관리기(1)의 전기에너지를 제2 신발 관리기(1000)로 전달한다. 연결코드장치(2600)는, 어느 하나의 신발 관리기인 제1 신발 관리기(1)의 전원공급부(11)의 전원이 다른 하나의 신발 관리기인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전원공급부(1601)로 공급되도록, 제1 신발 관리기(1)와 제2 신발 관리기(10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코드장치(2600)는 하나의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전기에너지를 다른 하나의 제2 신발 관리기(1000)로 전달한다. 연결코드장치(2600)는, 어느 하나의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전원공급부(1601)의 전원이 다른 하나의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전원공급부(1601)로 공급되도록, 제2 신발 관리기(1000)와 제2 신발 관리기(10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코드장치(2600)는 제1 커넥터(2610), 제2 커넥터(2620) 및 케이블(26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코드장치(2600)의 케이블(2630)을 제2 케이블(2630)로 칭하도록 한다.
제2 케이블(2630)은 전기케이블로서 제1 커넥터(2610)와 제2 커넥터(26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2 케이블(2630)의 길이는 사용되는 신발 관리기에 크기, 모양 등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커넥터(2610)는 아웃렛부(2200)에 착탈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제1 커넥터(2610)는 제1 신발 관리기(1)의 아웃렛부(22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커넥터(2610)는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아웃렛부(22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620)는 인렛부(2100)에 착탈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제2 커넥터(2620)는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인렛부(2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인렛커넥터(2520), 제1 커넥터(2610) 및 제2 커넥터(2620)는 각각,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EE(또는 CEE, 유럽 표준), NEMA(National Electrical Manufacturers Association), BSI(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영국표준협회)와 같은 국제기구가 정하는 각 규격에 맞게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렛커넥터(2520), 제1 커넥터(2610) 및 제2 커넥터(2620)는 각각, Type A (NEMA 1-15), Type B (NEMA 5-15), Type C (CEE 7/1), Type D, Type E (CEE 7/5), Type F (CEE 7/3, CEE 7/4), Type G (BS 1363), Type H, Type I, Type J, Type K, Type L, Type M, Type N 또는 Type O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렛커넥터(2520), 제1 커넥터(2610) 및 제2 커넥터(2620)는 각각 AC 단자(IEC-3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렛커넥터(2520), 제1 커넥터(2610) 및 제2 커넥터(2620)는 각각, 교류 전원 케이블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IEC-320 (IEC_60320) 단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렛커넥터(2520) 및 제2 커넥터(2620)는 각각 인렛부(2100)와 체결가능하도록 대응되는 형태, 구조 및 크기로 이루어진다. 인렛부(2100)가 암(female) 단자 형태로 이루어질 때 인렛커넥터(2520) 및 제2 커넥터(2620)는 각각 수(male) 단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인렛부(2100)가 수 단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때 인렛커넥터(2520) 및 제2 커넥터(2620)는 각각 암 단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인렛커넥터(2520) 및 제2 커넥터(2620)는 각각 암 단자(IEC-320 C13)의 구조, 형태 및 규격에 맞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커넥터(2610)는 아웃렛부(2200)와 체결가능하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태, 구조 및 크기로 이루어진다. 아웃렛부(2200)가 암 단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때 제1 커넥터(2610)는 수 단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아웃렛부(2200)가 수 단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때 제1 커넥터(2610)는 암 단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커넥터(2610)는 수 단자(IEC-320 C14)의 구조, 형태 및 규격에 맞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커넥터(2610)는 아웃렛부(2200)와 결합되되 인렛부(2100)와 결합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커넥터(2610)와 아웃렛부(2200)는 서로 암수로 대응되는 형태(예컨대,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서로 꼭 맞게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 커넥터(2610)와 인렛부(2100)는 서로 결합되지 않도록, 크기, 모양 등이 대응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 시스템(2000)에서 제1 신발 관리기(1)와 제2 신발 관리기(1000)는 상하로 적층되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신발 관리기(1) 상측에 제2 신발 관리기(1000)가 적층되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파워코드장치(2500)가 제1 신발 관리기(1)의 인렛부(2100)에 연결 및 결합되고, 연결코드장치(2600)가 제1 신발 관리기(1)와 제2 신발 관리기(1000)를 연결할 수 있다.(도 8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 시스템(2000)에서 복수 개의 제2 신발 관리기(1000)는 상하로 적층되는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파워코드장치(2500)가 가장 아래에 위치하는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인렛부(2100)에 연결 및 결합되고, 연결코드장치(2600)가 인접하여 상하로 적층된 2개의 제2 신발 관리기(10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도 11a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 시스템(2000)에서 복수 개의 제2 신발 관리기(1000)는 좌우로 밀착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때, 파워코드장치(2500)가 가장 왼쪽 또는 오른쪽에 위치하는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인렛부(2100)에 연결 및 결합되고, 연결코드장치(2600)가 인접하여 배열된 2개의 제2 신발 관리기(10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도 11b 및 도 11c 참조)
일 실시예에서, 인렛부(2100)와 아웃렛부(2200)는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배면에서 수평방향을 따라 배열되게 형성될 수 있다(도 11b 참조). 그리고 인렛부(2100)와 아웃렛부(2200)는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 신발 관리기(1000)가 수평방향으로 배열될 때, 어느 하나의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아웃렛부(2200)와 다른 하나의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인렛부(2100)는 비교적 가깝게 배치되게 되고, 어느 하나의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아웃렛부(2200)와 다른 하나의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인렛부(2100) 사이의 길이는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좌우 폭(L3)보다 작게 된다. 따라서, 인접한 2개의 제2 신발 관리기(1000)를 연결하는 연결코드장치(2600)의 제2 케이블(2630)의 길이는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좌우 폭(L3)보다 작게 형성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신발 관리기의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고 깔끔하게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인렛부(2100)와 아웃렛부(2200)는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배면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배열되게 형성될 수 있다(도 11c 참조). 그리고 인렛부(2100)와 아웃렛부(2200)는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 시스템(2000)에서 각 신발 관리기(1, 1000)는 평면도상(제3 방향(Z)에서 바라볼 때), 상부면과 하부면이 크기 및 모양에 있어서 서로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신발 관리기(1, 1000)의 상부면과 하부면은 전체적인 형상이 수평방향과 평행하거나 대체로 수평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신발 관리기(1)의 상부면(US)과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하부면(LS)은 크기 및 모양에 있어서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거의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 시스템(2000)에서, 제1 신발 관리기(1)는 제1 높이(L1)로 이루어지고 제2 신발 관리기(1000)는 제2 높이(L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신발 관리기(1)의 좌우 폭은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좌우 폭과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신발 관리기(1)의 배면 및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배면은 서로 동일한 좌우 폭(L3)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신발 관리기(1)의 제1 높이(L1)가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제2 높이(L2)보다 클 때, 제1 신발 관리기(1)의 상부면(US)에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하부면(LS)이 밀착되게 제1 신발 관리기(1)와 제2 신발 관리기(1000)가 적층될 수 있다.
이때, 제1 신발 관리기(1)의 아웃렛부(2200)는 상측에 치우쳐 형성되고,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인렛부(2100)는 하측에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신발 관리기(1)와 제2 신발 관리기(1000)를 연결하는 연결코드장치(2600)의 제2 케이블(2630)의 길이를 비교적 짧게 형성할 수 있고, 제1 신발 관리기(1)와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고 간결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신발 관리기(1)의 상부면(US)과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하부면(LS)은 크기 및 모양에 있어서 서로 대응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상부면(US)과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하부면(LS)은 크기 및 모양에 있어서 서로 대응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신발 관리기(1)의 상부면(US)과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상부면(US)은 크기 및 모양에 있어서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거의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면(US)과 상기 하부면(LS)이 서로 대응된다는 의미는, 상기 상부면(US)과 상기 하부면(LS)은, 신발 관리기(1, 1000)들 간의 수평방향의 상대 이동이 저지되도록 이루어진다는 의미일 수 있다.
상기 상부면(US)과 상기 하부면(LS)이 서로 대응될 때, 상기 상부면(US)과 상기 하부면(LS) 중 어느 하나는 오목한 면을 갖고 다른 하나는 볼록한 면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볼록한 면과 오목한 면은 서로 접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면(US)과 상기 하부면(LS)이 서로 대응될 때, 상기 상부면(US)은 그 테두리(E1)가 그 중앙부분보다 전체적으로 상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면(LS)은 그 테두리(E2)가 그 중앙부분보다 전체적으로 하측으로 덜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제2 신발 관리기(1000)가 상하로 적층될 때, 상측에 위치하는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하부는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상부의 테두리(E1)에 걸리게 되며, 복수의 제2 신발 관리기(1000) 간의 수평방향 상대이동이 저지될 수 있다.(도 11a 참조)
복수 개의 제2 신발 관리기(1000)가 상하로 적층될 때, 복수 개의 제2 신발 관리기(1000)를 연결하는 연결코드장치(2600)의 제2 케이블(2630)의 길이는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높이(L2) 보다 크고 상기 높이(L2)의 2배 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높이(L2) 보다 크고 제2 신발 관리기(1000)의 폭(L3)의 2배 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코드장치(2600)의 제2 케이블(2630)의 길이는, 삼각함수를 고려할 때, L2가 L3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약1.414*L2 이하(단 L2 이상)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L3가 L2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약 1.414*L3 이하(단 L3 이상)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2개 이상의 신발 관리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각 신발 관리기의 효과적인 이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신발 관리기의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고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인렛부(2100)는 외부캐비닛(20, 1101)의 일측에서 노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기케이블(예컨대, 파워코드장치(2500) 또는 연결코드장치(2600))이 인렛부(210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렛부(2100)를 가리거나 덮는 별도의 구성이 없이 인렛부(2100)가 신발 관리기의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아웃렛부(2200)는 외부캐비닛(20, 1101)의 일측에 결합된다.
아웃렛부(2200)는 신발 관리기의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기케이블(예컨대, 연결코드장치(2600))이 아웃렛부(220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아웃렛부(2200)를 가리거나 덮는 별도의 구성(2300)이 마련되어 아웃렛부(2200)가 신발 관리기의 외부에서 가려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신발 관리기는 플립(2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플립(2300)은 대체로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외부캐비닛(20)의 내측의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서 아웃렛부(2200)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의 일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외부캐비닛(20), 아웃렛부(2200) 및 플립(2300)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플립(2300)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a는 신발 관리기의 단면도로서 플립(2300a, 2300b)이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b는 신발 관리기의 단면도로서 플립(2300a, 2300b)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b에는 각 구성의 모습을 나타내기 위하여 제1 커넥터(2610)가 아웃렛부(2200)와 이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제1 커넥터(2610)가 제1 플립(2300a) 및 제2 플립(2300b)에 접촉하여 밀면서 개방시키고 아웃렛부(2200)와 결합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립(2300)은 제1 플립(2300a) 및 제2 플립(230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플립(2300)은 외부캐비닛(20, 1101)에 결합되고, 외측에서 볼 때 아웃렛부(2200)를 차폐하거나 노출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 관리기는 아웃렛홀(24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웃렛홀(2450)은 외부캐비닛(20, 1101)을 관통하는 구멍이다. 아웃렛홀(2450)을 통하여 아웃렛부(220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아웃렛홀(2450)은,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웃렛홀(2450)은 제1 커넥터(2610)의 단면(cross section)의 모양에 대응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웃렛홀(2450)의 크기는, 제1 커넥터(26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커넥터(2610)의 단면의 크기에 상응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플립(2300)은 아웃렛홀(2450)의 테두리에서 외부캐비닛(20, 1101)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플립(2300)은 제1 단부(2301) 및 제2 단부(23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단부(2301)와 제2 단부(2302)는 플립(2300)의 대향된 양 끝 부분을 이룬다.
플립(2300)은 외부캐비닛(20, 1101)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플립(2300)의 제1 단부(2301)(힌지축을 이루는 부분)가 외부캐비닛(20, 1101)의 내측면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플립(2300)은 아웃렛홀(2450)을 차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플립(2300)의 크기(면적)는 아웃렛홀(2450)의 크기(면적)보다 크거나 적어도 같게 이루어질 수 있다. 플립(2300)이 제1 플립(2300a) 및 제2 플립(2300b)으로 구분될 때, 제1 플립(2300a) 및 제2 플립(2300b)의 전체 면적(크기)이 아웃렛홀(2450)의 크기(면적)보다 크거나 적어도 같게 이루어질 수 있다.
플립(2300)의 외측면이 제1 커넥터(2610)에 의해 내측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아웃렛홀(2450)이 개방될 수 있다.
신발 관리기는 플립스프링(2310a, 231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플립스프링(2310a, 2310b)은, 플립(2300)이 아웃렛홀(2450)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플립(2300)을 탄력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플립스프링(2310a, 2310b)은 플립(23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행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립스프링(2310a, 2310b)은 코일스프링, 토션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립스프링(2310a, 2310b)은 제1 플립스프링(2310a)과 제2 플립스프링(231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플립(2300) 및 플립스프링(2310a, 2310b)은, 외부캐비닛(20, 110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플립스프링(2310a, 2310b)이 플립(2300)을 탄력지지함으로써, 플립(2300)은 아웃렛홀(2450)을 차폐하며 플립(2300)의 테두리가 외부캐비닛(20, 1101)의 내측면에 밀착된다.(도 13 참조) 플립(2300)의 외측면에 내측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면, 플립(2300)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아웃렛홀(2450)이 개방된다.(도 14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는 플립(2300)이 아웃렛홀(2450)을 차폐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외부의 습기 또는 물 등이 아웃렛부(2200) 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수한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신발 관리기가 기울어진 경우, 예컨대 신발 관리기의 상측이 앞쪽으로 기울어진 경우에도, 플립(2300)에 의해 아웃렛홀(2450)이 모두 차폐됨으로써 외부의 습기 또는 물 등이 아웃렛홀(2450)을 통하여 아웃렛부(2200) 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우수한 방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신발 관리기는, 제1 플립(2300a), 제2 플립(2300b), 제1 플립스프링(2310a) 및 제2 플립스프링(231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플립(2300a), 제2 플립(2300b), 제1 플립스프링(2310a) 및 제2 플립스프링(2310b)은, 외부캐비닛(20, 110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플립(2300a) 및 제2 플립(2300b)의 각각의 외측면이 내측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아웃렛홀(2450)이 개방될 수 있다.
제1 플립(2300a)은 아웃렛홀(2450)의 테두리 중 제1 지점(P1)에서 외부캐비닛(20, 1101)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제2 플립(2300b)은 아웃렛홀(2450)의 테두리 중 제1 지점(P1)과 대향되는 제2 지점(P2)에서 외부캐비닛(20, 1101)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점(P1)이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할 때 제2 지점(P2)은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한다. 제1 지점(P1)이 왼쪽에 위치할 때 제2 지점(P2)은 오른쪽에 위치한다.
제1 플립(2300a)과 제2 플립(2300b)은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서로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플립(2300a)과 제2 플립(2300b)은 아웃렛홀(245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플립스프링(2310a)은 제1 플립(2300a)이 아웃렛홀(2450)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제1 플립(2300a)을 탄력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플립스프링(2310b)은 제2 플립(2300b)이 아웃렛홀(2450)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제2 플립(2300b)을 탄력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플립(2300a)과 제2 플립(2300b)에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플립(2300a)과 제2 플립(2300b)은 아웃렛홀(2450)을 차폐한다. 이때, 제1 플립(2300a)의 제2 단부(2302)(힌지축의 반대쪽 단부)와 제2 플립(2300b)의 제2 단부(2302)(힌지축의 반대쪽 단부)는 서로 밀착되거나 매우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플립(2300a)과 제2 플립(2300b) 사이에 틈이 없거나 거의 없으며, 제1 플립(2300a) 및 제2 플립(2300b)은 아웃렛홀(2450)을 완전히 차폐하거나 거의 완전히 차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플립스프링(2310a)과 제2 플립스프링(2310b)에 탄성력이 증가되는 방향으로 제1 플립(2300a)과 제2 플립(2300b)에 외력이 작용하면 제1 플립(2300a)과 제2 플립(2300b)이 힌지회전하면서 아웃렛홀(2450)이 개방된다. 제1 플립(2300a)과 제2 플립(2300b)에 작용된 외력이 제거되면, 제1 플립스프링(2310a) 및 제2 플립스프링(2310b)에 의하여 제1 플립(2300a)과 제2 플립(2300b)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아웃렛홀(2450)을 닫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아웃렛홀(2450)이 하나의 플립에 의해 차폐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아웃렛부(2200)를 차폐하는 하나의 플립이 구비될 수 있다.(제1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나의 아웃렛홀(2450)이 2개의 플립(2300a, 2300b)에 의해 차폐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아웃렛부(2200)를 차폐하는 제1 플립(2300a) 및 제2 플립(2300b)이 구비될 수 있다.(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할 때, 제1 플립(2300a)과 제2 플립(2300b) 각각에서 제1 단부(2301)에서 제2 단부(2302)까지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아웃렛홀(2450)에서 아웃렛부(2200)까지의 길이(아웃렛홀(2450)에서 아웃렛부(2200)의 단부면(2201)까지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제2 실시예), 제1 커넥터(2610)가 아웃렛홀(2450)을 통과하여 외부캐비닛(20, 1101) 내측으로 진입하는 정도(길이)를 상대적으로 짧아지도록 할 수 있으며, 제1 커넥터(2610)와 아웃렛부(2200) 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아웃렛부(2200)는, 제1 폭방향(D1)의 폭이 제1 폭방향(D1)과 직교하는 제2 폭방향(D2)의 폭보다 길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지점(P1)과 제2 지점(P2)은 제2 폭방향(D2)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폭방향(D1)이 수평방향이고 제2 폭방향(D2)이 수직방향일 때, 그리고 아웃렛부(2200)의 수평방향의 폭이 수직방향의 폭보다 클 때, 제1 지점(P1)과 제2 지점(P2)이 수평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고, 제1 플립(2300a)의 회전축 및 제2 플립(2300b)의 회전축이 수직방향과 평행한 경우(제3 실시예)를 가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폭방향(D1)이 수평방향이고 제2 폭방향(D2)이 수직방향일 때, 그리고 아웃렛부(2200)의 수평방향의 폭이 수직방향의 폭보다 클 때, 제1 지점(P1)과 제2 지점(P2)은 수직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1 플립(2300a)은 아웃렛홀(2450)의 상측에 결합되고 제2 플립(2300b)은 아웃렛홀(245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제1 플립(2300a)의 회전축 및 제2 플립(2300b)의 회전축은 수평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진다.(제4 실시예, 도 13 및 도 14 참조)
제4 실시예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제3 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할 때, 제1 플립(2300a)과 제2 플립(2300b) 각각에서 제1 단부(2301)에서 제2 단부(2302)까지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아웃렛홀(2450)에서 아웃렛부(2200)까지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더 짧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제4 실시예), 제3 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할 때, 제1 커넥터(2610)가 아웃렛홀(2450)을 통과하여 외부캐비닛(20, 1101) 내측으로 진입하는 정도(길이)를 상대적으로 더 짧아지도록 할 수 있으며, 제1 커넥터(2610)와 아웃렛부(2200) 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외부캐비닛(20, 1101)은 함몰부(2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함몰부(2400)는 외부캐비닛(20, 1101)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부분을 이룬다.
아웃렛홀(2450)은 함몰부(2400)에 형성되고, 아웃렛부(2200)는 함몰부(2400)의 내측(함몰부(2400)가 형성된 지점에서 외부캐비닛(20, 110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함몰부(2400)의 테두리 부분에는 단차진 턱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수분 등이 외부캐비닛(20, 1101)의 외측면을 타고 흐르더라도 수분 등이 아웃렛홀(2450)을 통하여 유입될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방수에 유리한 구조의 신발 관리기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외부캐비닛(20)의 내측의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1 커넥터(2610)와 아웃렛부(2200)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코드장치(26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코드장치(2600)의 제1 커넥터(261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6의 제1 커넥터(2610)와 아웃렛부(2200)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에서 아웃렛부(2200)의 각 구성이 분해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제1 커넥터(2610)와 아웃렛부(2200)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b는 도 20a에서 제1 커넥터(2610)와 아웃렛부(22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발 관리기에서, 제1 커넥터(2610)가 아웃렛부(2200)에 결합될 때, 아웃렛부(2200)의 핀(2205)이 외측으로 이동하여 제1 커넥터(2610)의 단자(26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캐비닛(20, 1101)은 커넥터슬롯(22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커넥터슬롯(2270)은, 제1 커넥터(2610)가 삽입되도록, 외부캐비닛(20, 1101)에 관통형성된 구멍이다.
제1 커넥터(2610)는 푸쉬리브(26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푸쉬리브(2640)는 제1 커넥터(2610)의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룬다.
푸쉬리브(2640)는 제1 커넥터(2610)의 중앙에서 양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푸쉬리브(264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1 커넥터(26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대칭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푸쉬리브(2640)는 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푸쉬리브(2640)는 리브단부(26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리브단부(2645)는 제1 커넥터(2610) 보다 원위방향(아웃렛부(2200)와 체결되는 방향)을 향하여 더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웃렛부(2200)는 고정브라켓(2220), 이동브라켓(2230), 슬라이더(2240) 및 레버(2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웃렛부(2200)는 아웃렛하우징(22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웃렛하우징(2210)은 아웃렛부(2200)의 전체적인 몸체를 이룰 수 있고, 아웃렛부(2200)를 이루는 구성들이 아웃렛하우징(2210)에 결합될 수 있다.
아웃렛하우징(2210)은 외부캐비닛(20, 1101)의 내측에 위치한다.
신발 관리기에서 아웃렛하우징(2210)은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아웃렛하우징(2210)은 신발 관리기의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고, 또는 신발 관리기의 이너캐비닛(100)에 고정될 수 있다.
아웃렛하우징(2210)은, 고정브라켓(2220), 이동브라켓(2230), 슬라이더(2240) 및 레버(2250)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아웃렛하우징(2210)에는, 푸쉬리브(2640)가 삽입되는 하우징슬릿(2215)이 구비된다. 하우징슬릿(2215)은 아웃렛하우징(2210)의 좌우 양쪽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아웃렛하우징(2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푸쉬리브(2640)의 리브단부(2645)가 하우징슬릿(2215)에 삽입되면서 리브단부(2645)가 슬라이더(2240)을 가압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아웃렛하우징(2210)에는, 제1 커넥터(2610)의 중앙부분이 삽입되는 아웃렛개구(2211)가 구비된다.
고정브라켓(2220)은 외부캐비닛(20, 1101)의 내측에 위치한다. 고정브라켓(2220)은 아웃렛하우징(2210)의 내측에 위치하고 아웃렛하우징(221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브라켓(2220)은 아웃렛하우징(2210)의 일부와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브라켓(2230)에는 아웃렛부(2200)의 핀(2205,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는 핀)이 고정된다. 이동브라켓(2230)은 고정브라켓(2220)을 상대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동브라켓(2230)은 고정브라켓(2220)을 상대로, 내외방향(외부캐비닛(20, 1101)의 내외방향, 예컨대,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고정브라켓(2220)에 결합된다.
슬라이더(2240)는 푸쉬리브(2640)에 위해 가압되어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슬라이더(2240)는 고정브라켓(2220)을 상대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슬라이더(2240)는 고정브라켓(2220)을 상대로, 내외방향(외부캐비닛(20, 1101)의 내외방향)으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고정브라켓(2220)에 결합된다.
레버(2250)는 고정브라켓(22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레버(2250)의 회전축(2251)은 제3 방향(Z)과 평행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레버(2250)의 회전축(2251)을 중심으로 한 레버(2250)의 대향되는 양쪽 단부가 각각 이동브라켓(2230)과 슬라이더(2240)에 결합된다.
따라서, 슬라이더(2240)가 내측방향(외부캐비닛(20, 1101)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브라켓(2230)은 외측방향(외부캐비닛(20, 1101)의 외측방향)으로 이동하고, 슬라이더(2240)가 외측방향(외부캐비닛(20, 1101)의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브라켓(2230)은 내측방향(외부캐비닛(20, 1101)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아웃렛부(2200)에서, 슬라이더(2240) 및 레버(225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아웃렛부(2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웃렛부(2200)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웃렛부(2200)의 스프링은 이동브라켓(2230)이 내측방향(외부캐비닛(20, 1101)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동브라켓(2230)을 탄력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아웃렛부(2200)의 스프링은 다양한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웃렛부(2200)의 스프링은 슬라이더(2240)가 외측방향(외부캐비닛(20, 1101)의 외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슬라이더(2240)를 탄력지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커넥터(2610)가 아웃렛부(2200)에 결합되지 않을 때 아웃렛부(2200)의 핀(2205)은 아웃렛하우징(22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커넥터(2610)가 아웃렛부(2200)에 결합될 때 아웃렛부(2200)의 핀(2205)은 아웃렛하우징(2210)을 관통하여 아웃렛하우징(22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습기, 수분 등이 아웃렛부(2200) 쪽으로 유입될 가능성 및 아웃렛부(2200)의 핀(2205) 쪽으로 유입될 가능성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으며, 방수에 유리한 구조의 신발 관리기를 형성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제1 신발 관리기 1000: 제2 신발 관리기
2000 : 신발 관리 시스템 2100 : 인렛부
2200 : 아웃렛부 2210 : 아웃렛하우징
2215 : 하우징슬릿 2220 : 고정브라켓
2230 : 이동브라켓 2240 : 슬라이더
2250 : 레버 2270 : 커넥터슬롯
2300 : 플립 2300a : 제1 플립
2300b : 제2 플립 2301 : 제1 단부
2302 : 제2 단부 2310 : 플립스프링
2310a : 제1 플립스프링 2310b : 제2 플립스프링
2400 : 함몰부 2450 : 아웃렛홀
2500 : 파워코드장치 2510 : 전원커넥터
2520 : 인렛커넥터 2530 : 제1 케이블
2600 : 연결코드장치 2610 : 제1 커넥터
2620 : 제2 커넥터 2630 : 제2 케이블
2640 : 푸쉬리브 2700 : 작동부
P1 : 제1 지점 P2 : 제2 지점

Claims (20)

  1.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신발 관리기로서,
    상기 신발 관리기의 외형을 이루는 외부캐비닛;
    상기 수용공간의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이루어지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의 전원이 들어오는 인렛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로 전원이 나가는 아웃렛부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부와 상기 아웃렛부는, 상기 외부캐비닛의 배면에 형성되는,
    신발 관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렛부는 상기 외부캐비닛의 일측에서 노출되고,
    상기 신발 관리기는,
    상기 외부캐비닛에 결합되고, 상기 아웃렛부를 차폐하거나 노출시키도록 이루어지는 플립을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관리기는,
    상기 외부캐비닛을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상기 아웃렛부가 노출되는 아웃렛홀;
    상기 아웃렛홀의 테두리에서 상기 외부캐비닛에 힌지결합되는 상기 플립; 및
    상기 플립이 상기 아웃렛홀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상기 플립을 탄력지지하는 플립스프링을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 및 상기 플립스프링은, 상기 외부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플립의 외측면이 내측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아웃렛홀이 개방되는,
    신발 관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관리기는,
    상기 외부캐비닛을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상기 아웃렛부가 노출되는 아웃렛홀;
    상기 아웃렛홀의 테두리 중 제1 지점에서 상기 외부캐비닛에 힌지결합되는 제1 플립;
    상기 아웃렛홀의 테두리 중 상기 제1 지점과 대향되는 제2 지점에서 상기 외부캐비닛에 힌지결합되는 제2 플립;
    상기 제1 플립이 상기 아웃렛홀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플립을 탄력지지하는 제1 플립스프링; 및
    상기 제2 플립이 상기 아웃렛홀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플립을 탄력지지하는 제2 플립스프링을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렛부는, 제1 폭방향의 폭이 상기 제1 폭방향과 직교하는 제2 폭방향의 폭보다 길고,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2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신발 관리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립, 상기 제2 플립, 상기 제1 플립스프링 및 상기 제2 플립스프링은, 상기 외부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플립 및 상기 제2 플립의 각각의 외측면이 내측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아웃렛홀이 개방되는,
    신발 관리기.
  9.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캐비닛은,
    상기 외부캐비닛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렛부는 상기 함몰부가 형성된 지점에서 상기 외부캐비닛의 내측에 구비되는,
    신발 관리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관리기는,
    상기 인렛부에 착탈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인렛커넥터를 포함하는 파워코드장치; 및
    상기 아웃렛부에 착탈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1 커넥터와, 상기 인렛부에 착탈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연결코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아웃렛부와 결합되되 상기 인렛부와 결합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는,
    신발 관리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 관리기는,
    상기 아웃렛부에 착탈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1 커넥터와, 상기 인렛부에 착탈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제2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연결코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아웃렛부에 결합될 때, 상기 아웃렛부의 핀이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커넥터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발 관리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외측으로 연장된 푸쉬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렛부는,
    상기 외부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하는 고정브라켓;
    상기 아웃렛부의 핀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을 상대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이동브라켓;
    상기 푸쉬리브에 위해 가압되어 이동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대향되는 양쪽 단부가 각각 상기 이동브라켓과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리브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커넥터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레버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아웃렛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이루어지는,
    신발 관리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렛부는,
    상기 고정브라켓, 상기 이동브라켓,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레버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푸쉬리브가 삽입되는 하우징슬릿이 구비된 아웃렛하우징;을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아웃렛부에 결합되지 않을 때 상기 아웃렛부의 핀은 상기 아웃렛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아웃렛부에 결합될 때 상기 아웃렛부의 핀은 상기 아웃렛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아웃렛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신발 관리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캐비닛은,
    상기 제1 커넥터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커넥터슬롯을 포함하는,
    신발 관리기.
  17.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 상기 수용공간의 온도, 습도 및 기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작동부, 및 상기 작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신발 관리기; 및
    어느 하나의 신발 관리기인 제1 신발 관리기의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이 다른 하나의 신발 관리기인 제2 신발 관리기의 상기 전원공급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제1 신발 관리기와 상기 제2 신발 관리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코드장치를 포함하는,
    신발 관리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발 관리기 및 상기 제2 신발 관리기 각각은,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의 전원이 들어오는 인렛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외부로 전원이 나가는 아웃렛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코드장치는,
    상기 제1 신발 관리기의 상기 아웃렛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커넥터;
    상기 제2 신발 관리기의 상기 인렛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신발 관리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발 관리기 및 상기 제2 신발 관리기 각각은,
    상기 제1 신발 관리기 및 상기 제2 신발 관리기 각각의 외형을 이루고, 아웃렛홀이 관통형성된 외부캐비닛;
    상기 외부캐비닛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아웃렛부를 차폐하거나 노출시키도록 이루어지는 플립; 및
    상기 플립이 상기 아웃렛홀을 차폐하는 방향으로 상기 플립을 탄력지지하는 플립스프링을 포함하는,
    신발 관리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 및 상기 플립스프링은, 상기 외부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플립의 외측면이 상기 제1 커넥터에 의해 내측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아웃렛홀이 개방되는,
    신발 관리 시스템.
KR1020220082009A 2022-07-04 2022-07-04 신발 관리기 및 신발 관리 시스템 KR2024000400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009A KR20240004003A (ko) 2022-07-04 2022-07-04 신발 관리기 및 신발 관리 시스템
PCT/KR2022/020524 WO2024010159A1 (ko) 2022-07-04 2022-12-16 신발 관리기 및 신발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009A KR20240004003A (ko) 2022-07-04 2022-07-04 신발 관리기 및 신발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4003A true KR20240004003A (ko) 2024-01-11

Family

ID=89453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009A KR20240004003A (ko) 2022-07-04 2022-07-04 신발 관리기 및 신발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04003A (ko)
WO (1) WO202401015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121A (ko) * 2004-07-08 2006-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등의 케이블 어셈블리
KR101366334B1 (ko) * 2007-06-13 2014-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의류처리시스템
CN102114251A (zh) * 2010-01-06 2011-07-06 深圳中天银河科技有限公司 多功能光电式保健鞋具
KR20170002888A (ko) * 2015-06-30 201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190057737A (ko) * 2017-11-20 2019-05-29 유학성 전원 접속이 가능한 시스템 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0159A1 (ko)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420B1 (ko) 살균, 건조 및 탈취 기능을 가지는 신발장
KR20230123493A (ko) 건조장치 및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230122623A (ko) 건조장치 및 건조장치의 제어방법
KR20240004003A (ko) 신발 관리기 및 신발 관리 시스템
US20240065524A1 (en) Shoes care device
KR102664497B1 (ko) 신발 관리기
KR102603566B1 (ko) 신발 관리기
KR102601790B1 (ko) 신발 관리기
KR102662599B1 (ko) 신발 관리기
KR102662601B1 (ko) 신발 관리기
KR102671608B1 (ko) 신발 관리기
KR20240031760A (ko) 신발 관리기
KR102609894B1 (ko) 신발 관리기
KR102637625B1 (ko) 신발 관리기
CN118338828A (zh) 鞋护理装置和包括鞋护理装置的鞋护理套件
US20240191422A1 (en) Object treatment apparatus
KR20240003634A (ko)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03632A (ko) 신발 관리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92493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92542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86571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85398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85397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86638A (ko) 신발 관리기
KR20230085405A (ko) 신발 관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