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976A - 차량 사이드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사이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976A
KR20240003976A KR1020220081938A KR20220081938A KR20240003976A KR 20240003976 A KR20240003976 A KR 20240003976A KR 1020220081938 A KR1020220081938 A KR 1020220081938A KR 20220081938 A KR20220081938 A KR 20220081938A KR 20240003976 A KR20240003976 A KR 20240003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inner panel
gusset
wheel house
house i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언표
최상길
최슬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1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3976A/ko
Priority to US17/973,208 priority patent/US20240001741A1/en
Priority to DE102022129767.5A priority patent/DE102022129767A1/de
Priority to CN202211427036.9A priority patent/CN117341828A/zh
Publication of KR20240003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7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to the door, e.g. releasable attachm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3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38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elongated elements
    • B60J5/0443Beams
    • B60J5/0444Beams characterised by a special cross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29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diago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개시된 차량 사이드구조는, 리어 사이드도어에 장착된 리어 임팩트빔; 상기 리어 임팩트빔의 후방부와 중첩되는 플랜지를 가진 리어쿼터부; 및 상기 리어 임팩트빔의 후방부 및 상기 리어쿼터부의 플랜지 사이의 중첩영역에서 상기 리어 임팩트빔의 후방부에 정렬되는 거셋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사이드구조{VEHICLE SIDE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 사이드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 충돌 시에 차량도어 및 임팩트빔이 승객실 내로 침입함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사이드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충돌테스트가 Insurance Institute for Highway Safety(IIHS)에 의해 실행(conducted)되며, IIHS에 의한 충돌테스트 조건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 예컨대, 2023년에 도입될 예정인 새로운 IIHS 측면충돌테스트는 Moving Deformable Barrier(MDB)의 중량이 1500kg에서 1900kg으로 증가하고, 평가속도는 50km/h에서 60km/h로 증가한다. 이에 의해 MDB에 의한 충돌에너지가 대략 82% 증가한다. 또한, 실제 사고 발생시의 차량도어 침입량을 재현하기 위하여 MDB의 강도가 변경된다. 구체적으로, MDB의 중앙부의 강도는 기존에 비해 대략 55%로 하향되고, MDB의 사이드부의 강도는 기존에 비해 대략 354%로 상향된다. 또한, 차체의 생존공간에 대한 기준이 125mm에서 180mm로 대폭 증가하고, 상해기준이 차량의 측면충돌에 의한 흉부변위가 34mm에서 28mm로 감소하고, 차량의 측면충돌에 의한 골반하중이 5.1kN에서 4kN로 감소한다. 이에, 기존의 차량 사이드구조는 강화된 새로운 IIHS 측면충돌테스트에 의해 그 변형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고, 상해기준은 더욱 엄격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IIHS 측면충돌테스트 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차량의 사이드구조는 새롭게 강화된 IIHS 측면충돌테스트를 만족하고, 측면 충돌에 대해 탑승객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측면충돌 성능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차량은 각 차량도어 내에 임팩트빔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프론트 임팩트빔이 차량의 프론트 사이드도어 내에 제공되고, 리어 임팩트빔이 차량의 리어 사이드도어 내에 제공된다. 차량의 측면충돌 시에 프론트 임팩트빔 및 리어 임팩트빔이 변형됨에 따라 충돌에너지를 개별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기존의 차량 사이드구조에서 리어 임팩트빔의 후방부는 쿼터패널의 플랜지에만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즉, 리어 임팩트빔의 후방부를 추가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 또는 멤버가 제공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강화된 새로운 IIHS 측면충돌테스트 시에 MDB가 리어 사이드도어를 타격할 때 리어 임팩트빔의 후방부가 쿼터패널의 플랜지로부터 이탈되어 승객실 내로 침입할 수 있다. 이에, 리어 임팩트빔은 측면충돌 시에 변형없이 승객실 내로 침입하므로 리어 임팩트빔은 충돌에너지를 흡수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차량의 측면충돌 시에 차량의 프론트 임팩트빔 및 리어 임팩트빔 사이의 충돌에너지흡수의 밸런스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없다. 즉, 기존의 차량 사이드구조는 리어 임팩트빔의 후방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으므로 강화된 새로운 IIHS 측면충돌테스트를 충족할 수 없고, 측면충돌 성능을 확보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의 측면 충돌 시에 차량도어 및 리어 임팩트빔이 승객실 내로 침입함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사이드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이드구조는, 리어 사이드도어에 장착된 리어 임팩트빔; 상기 리어 임팩트빔의 후방부와 중첩되는 플랜지를 가진 리어쿼터부; 및 상기 리어 임팩트빔의 후방부 및 상기 리어쿼터부의 플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거셋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셋이 리어 임팩트빔의 후방부 및 리어쿼터부의 플랜지 사이의 중첩영역에서 리어 임팩트빔의 후방부에 정렬됨에 따라 거셋은 상기 리어 임팩트빔의 후방부 및 리어쿼터부의 플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측면충돌 발생 시에 거셋은 리어 임팩트빔의 후방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리어쿼터부는 차량의 승객실을 향해 돌출한 휠하우스 인너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거셋은 상기 리어쿼터부의 플랜지 및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셋이 리어쿼터부의 플랜지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을 연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거셋은 리어쿼터부의 플랜지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 사이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로드패스를 한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충돌하중이 로드패스를 따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거셋은, 상기 리어쿼터부의 플랜지로부터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보강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셋의 보강벽이 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승객실 내에 배치된 리어시트의 레이아웃과 간섭하지 않으므로 리어시트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상기 거셋은, 상기 보강벽으로부터 상기 리어쿼터부의 플랜지를 향해 연장된 프론트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플랜지는 상기 리어쿼터부의 플랜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론트플랜지는 상기 리어쿼터부의 플랜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론트플랜지가 리어쿼터부의 플랜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리어쿼터부의 플랜지에 고정됨에 따라 프론트플랜지는 리어쿼터부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로드패스를 한정할 수 있다.
상기 거셋은, 상기 보강벽으로부터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을 향해 연장된 리어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플랜지는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어플랜지가 휠하우스 인너패널에 고정됨으로써 거셋은 리어쿼터부의 플랜지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보강벽이 상기 리어쿼터부의 플랜지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거셋, 상기 리어쿼터부의 플랜지,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은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셋, 리어쿼터부의 플랜지,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이 폐단면을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측면충돌 발생 시에 거셋, 리어쿼터부의 플랜지,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은 리어 임팩트빔의 후방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거셋은 상기 보강벽에 제공된 함몰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함몰비드는 상기 보강벽으로부터 상기 리어쿼터부를 향해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강벽은 함몰비드에 의해 그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거셋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보강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브라켓은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브라켓이 거셋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됨으로써 거셋 및 보강브라켓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로드패스를 한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거셋 및 보강브라켓은 리어쿼터부에 대한 충돌성능 및 강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상기 보강브라켓은,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의 전방부로부터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의 후방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보강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브라켓의 보강벽이 휠하우스 인너패널의 전방부로부터 휠하우스 인너패널의 후방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승객실 내에 배치된 다른부품의 레이아웃과 간섭하지 않으므로 다른부품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상기 보강브라켓은, 상기 보강벽의 전방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거셋을 향해 연장된 프론트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플랜지는 상기 거셋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론트플랜지가 거셋에 고정됨에 따라, 보강브라켓 및 거셋의 연결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보강브라켓은, 상기 보강벽의 후방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의 후방부를 향해 연장된 리어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플랜지는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의 후방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리어플랜지가 휠하우스 인너패널의 후방부에 고정됨에 따라 보강브라켓은 휠하우스 인너패널에 대한 강성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브라켓의 리어플랜지가 상기 지지구조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구조는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는 차량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구조가 휠하우스 인너패널을 차량의 높이방향을 따라 지지함으로써 휠하우스 인너패널의 지지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의 플랜지가 상기 보강브라켓의 리어플랜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구조의 제2지지부재가 보강브라켓의 리어플랜지에 고정됨에 따라 보강브라켓은 거셋 및 지지구조 사이를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보강브라켓은 상기 보강벽에 제공된 함몰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함몰비드는 상기 보강벽으로부터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을 향해 함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보강브라켓은 함몰비드에 의해 그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리어쿼터부의 하부에 연결된 리어 사이드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셋은 상기 리어 사이드멤버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셋이 리어 사이드멤버에 연결됨으로써 리어 임팩트빔의 후방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거셋을 통해 리어 사이드멤버로 전달될 수 있고, 리어 사이드멤버 및 거셋은 충돌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리어쿼터부는 상기 플랜지의 일부를 형성하는 쿼터인너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셋은 상기 쿼터인너패널 및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셋이 쿼터인너패널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을 연결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거셋은 쿼터인너패널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 사이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로드패스를 한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충돌하중이 로드패스를 따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리어 임팩트빔의 후방부는 브라켓을 통해 리어 사이드도어의 후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및 상기 거셋은 차량의 폭방향을 따라 정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리어 임패트빔으로 충돌하중이 가해질 때, 충돌하중이 브라켓, 거셋, 및 보강브라켓을 통해 전달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충돌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측면충돌 시에 발생된 충돌하중이 리어 임팩트빔에 가해질 때, 충돌하중은 거셋 및 보강브라켓을 통해 전달됨으로써 리어 임팩트빔의 후방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리어 임팩트빔 및 차량도어가 승객실로 침입함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거셋이 리어 임팩트빔의 후방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거셋은 리어쿼터부의 플랜지와 함께 리어 임팩트빔의 후방부를 추가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측면충돌 발생 시에 리어 임팩트빔의 후방부 및 리어 사이드도어가 차량의 승객실 내로 침입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이드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이드구조의 리어쿼터부를 차량의 실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이드구조의 리어쿼터부에 이용되는 거셋 및 보강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지지구조의 제1지지부재 및 수평부재가 휠하우스 인너패널에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거셋이 차량 사이드구조의 리어쿼터부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보강브라켓이 차량 사이드구조의 리어쿼터부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지지구조의 제2지지부재가 차량 사이드구조의 리어쿼터부에 장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이드구조의 리어쿼터부를 차량의 실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거셋 및 보강브라켓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D-D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이드구조(1)는 어퍼부(54)와, 어퍼부(54)의 아래에 위치한 로어부(55)와, 어퍼부(54)의 전방단 및 로어부(55)의 전방단을 연결하는 프론트필러(51)와, 어퍼부(54)의 센터부 및 로어부(55)의 센터부를 연결하는 센터필러(52)와, 어퍼부(54)의 후방단 및 로어부(55)의 후방단을 연결하는 리어쿼터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부(54)는 프론트필러(51)의 상단, 센터필러(52)의 상단, 및 리어쿼터부(53)의 상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어부(55)는 프론트필러(51)의 하단, 센터필러(52)의 하단, 및 리어쿼터부(53)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필러(51)는 승객실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고, 센터필러(52)는 승객실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며, 리어쿼터부(53)는 승객실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이드구조(1)는 프론트필러(51), 센터필러(52), 어퍼부(54), 로어부(55)에 의해 한정된 프론트개구를 가질 수 있고, 프론트 사이드도어(2)는 프론트필러(51) 및 센터필러(52)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프론트개구를 커버 내지 언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 임팩트빔(4)이 프론트 사이드도어(2)에 장착될 수 있고, 프론트 임팩트빔(4)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론트 임팩트빔(4)이 프론트 사이드도어(2)의 프론트 인너패널에 장착될 수 있고, 프론트 임팩트빔(4)의 전방부는 브라켓(4a)을 통해 프론트 사이드도어(2)의 전방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프론트 임팩트빔(4)의 후방부는 브라켓(4b)을 통해 프론트 사이드도어(2)의 후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프론트필러(51)는 프론트개구를 향하는 플랜지(51a)를 가질 수 있고, 센터필러(52)는 프론트개구를 향하는 제1플랜지(52a) 및 리어개구를 향하는 제2플랜지(52b)를 가질 수 있으며, 리어쿼터부(53)는 리어개구를 향하는 플랜지(53a)를 가질 수 있다. 프론트 임팩트빔(4)의 전방부는 프론트필러(51)의 플랜지(51a)에 중첩되고 지지될 수 있다. 프론트 임팩트빔(4)의 후방부는 센터필러(52)의 제1플랜지(52a)에 중첩되고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이드구조(1)는 센터필러(52), 리어쿼터부(53), 어퍼부(54), 및 로어부(55)에 의해 한정된 리어개구를 가질 수 있고, 리어 사이드도어(3)는 센터필러(52) 및 리어쿼터부(53)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리어개구를 커버 내지 언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임팩트빔(5)이 리어 사이드도어(3) 내에 장착될 수 있고, 리어 임팩트빔(5)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리어 임팩트빔(5)은 리어 사이드도어(3)의 리어 인너패널에 장착될 수 있고, 리어 임팩트빔(5)의 전방부는 브라켓(5a)을 통해 리어 사이드도어(3)의 전방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는 브라켓(5b)을 통해 리어 사이드도어(3)의 후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임팩트빔(5)의 전방부는 센터필러(52)의 제2플랜지(52b)에 중첩되고 지지될 수 있다.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는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에 중첩되고 지지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리어쿼터부(53)는 리어개구의 후방가장자리를 한정하는 리어 사이드아웃터패널(6)과, 리어 사이드아웃터패널(6)에 연결된 휠하우스 아웃터패널(7)과, 휠하우스 아웃터패널(7)에 연결된 휠하우스 인너패널(8)을 포함할 수 있다.
리어 사이드아웃터패널(6)은 리어개구의 후방부를 한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리어 사이드아웃터패널(6)은 리어개구를 향해 연장된 플랜지(6a)를 가질 수 있다.
휠하우스 아웃터패널(7)은 차량의 실외를 향할 수 있고, 휠하우스 인너패널(8)은 차량의 승객실을 향할 수 있으며, 휠하우스 아웃터패널(7)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8)은 리어 휠하우스를 형성함으로써 리어휠을 포위 및 보호할 수 있다.
쿼터인너패널(7a)이 휠하우스 아웃터패널(7)로부터 리어개구를 향해 연장될 수 있고, 쿼터인너패널(7a)은 승객실을 향할 수 있으며, 쿼터인너패널(7a)은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쿼터인너패널(7a) 및 휠하우스 아웃터패널(7)은 단일체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쿼터인너패널(7a)은 휠하우스 아웃터패널(7)과 다른 부품으로 만들어지고, 쿼터인너패널(7a)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휠하우스 아웃터패널(7)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휠하우스 인너패널(8)의 플랜지가 쿼터인너패널(7a)에 고정됨으로써 휠하우스 인너패널(8)은 쿼터인너패널(7a)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리어 사이드멤버(10)가 리어쿼터부(53)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고, 리어 사이드멤버(10)는 로어부(55)에 정렬될 수 있으며, 리어 사이드멤버(10)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리어 휠하우스가 차량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각 리어 휠하우스는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지지구조(20)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지지구조(20)는 각 리어 휠하우스의 휠하우스 인너패널(8)에 장착된 제1지지부재(21)와, 제1지지부재(21)의 하단으로부터 리어 사이드멤버(10)까지 연장된 제2지지부재(22)와, 차량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부재(21)는 그 전방가장자리에 제공된 프론트플랜지(21a)와, 그 후방가장자리에 제공된 리어플랜지(21b)를 가질 수 있다. 제1지지부재(21)의 프론트플랜지(21a) 및 리어플랜지(21b)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휠하우스 인너패널(8)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고, 이에 제1지지부재(21)는 휠하우스 인너패널(8)의 상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부재(22)는 전방가장자리에 제공된 프론트플랜지(22a)와, 후방가장자리에 제공된 리어플랜지(22b)와, 그 전방하단에 제공된 프론트 로어플랜지(22c)와, 그 후방하단에 제공된 리어 로어플랜지(22d)를 가질 수 있다. 제2지지부재(22)의 프론트플랜지(22a) 및 리어플랜지(22b)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휠하우스 인너패널(8)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고, 이에 제2지지부재(22)는 휠하우스 인너패널(8)의 하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부재(22)의 프론트 로어플랜지(22c) 및 리어 로어플랜지(22d)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리어 사이드멤버(10)에 고정될 수 있고, 이에 제2지지부재(22)는 제1지지부재(21) 및 리어 사이드멤버(10)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제1지지부재(21) 및 제2지지부재(22)가 차량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지지부재(22)가 리어 사이드멤버(10)에 연결됨으로써 제1지지부재(21) 및 제2지지부재(22)는 차량의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로드패스(L3, 도 3 참조)를 한정할 수 있다.
리어 사이드아웃터패널(6)의 플랜지(6a)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쿼터인너패널(7a)에 고정됨으로써 리어 사이드아웃터패널(6)의 플랜지(6a) 및 쿼터인너패널(7a)은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가 브라켓(5b)을 통해 리어 사이드도어(3)의 후방부에 장착될 수 있고, 리어 사이드도어(3)의 후방부는 리어 사이드아웃터패널(6)의 플랜지(6a)와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는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와 일정한 중첩영역(0V)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에 차량의 측면충돌 시에 충돌에너지가 리어 임팩트빔(5)에 전달될 때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는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에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프론트필러(51), 센터필러(52)는 핫스탬핑공법에 의해 제조되는 고강도 스틸 등과 같은 고강도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고, 리어쿼터부(53)는 비용 절감 및 제조 용이성을 고려하여 프론트필러(51) 및 센터필러(52)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강도를 가진 저강도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강화된 새로운 IIHS 측면충돌테스트 시에, Moving Deformable Barrier(MDB)가 프론트 사이드도어(2)를 타격할 때, 프론트 임팩트빔(4)의 전방부는 고강도재질인 프론트필러(51)의 플랜지(51a)에 지지되고 프론트 임팩트빔(4)의 후방부는 고강도재질인 센터필러(52)의 제1플랜지(52a)에 지지되므로, MDB가 프론트 임팩트빔(4)을 타격할 때 프론트 임팩트빔(4)의 중앙부가 변형되고 충돌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 한편, 리어 임팩트빔(5)의 전방부가 고강도재질인 센터필러(52)의 제2플랜지(52b)에 지지되고,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가 저강도재질인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에 지지되므로, MDB가 리어 임팩트빔(5)을 타격할 때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 및 브라켓(5b)은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로부터 이탈되어 승객실로 침입할 가능성이 있다. 즉, 리어쿼터부(53)의 재질이 상대적으로 저강도재질이므로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가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에 충분히 지지받을 수 없고, 이로 인해 차량의 측면충돌 발생 시에 리어 임팩트빔(5)은 그 변형을 통해 충돌에너지를 흡수할 수 없으므로 리어 임팩트빔(5)의 기능을 실행할 수 없을 수도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이드구조(1)는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 브라켓(5b), 및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거셋(1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거셋(11)은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 및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 사이의 중첩영역(OV)에서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 및 브라켓(5b)에 차량의 폭방향으로 정렬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거셋(11)은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특히, 거셋(11)은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 브라켓(5b), 및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의 측면충돌 발생 시에 거셋(11)은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거셋(11)은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고, 다.
구체적으로, 거셋(11)의 적어도 일부가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 및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와 중첩되도록 거셋(11)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쿼터인너패널(7a)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거셋(11)은 보강벽(31)과, 보강벽(31)으로부터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를 향해 연장된 프론트플랜지(32)와, 보강벽(31)으로부터 휠하우스 인너패널(8)을 향해 연장된 리어플랜지(33)를 포함할 수 있다.
거셋(11)은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8)을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거셋(11)은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8) 사이에서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로드패스를 한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충돌하중이 로드패스를 따라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셋(11)은 쿼터인너패널(7a)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8)을 직접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강벽(31)은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로부터 휠하우스 인너패널(8)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휠하우스 인너패널(8)이 리어쿼터부(53)의 쿼터인너패널(7a)로부터 차량의 승객실을 향해 돌출할 수 있고, 이에 보강벽(31)은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로부터 휠하우스 인너패널(8)을 향해 경사질 수 있다. 이를 통해 거셋(11)의 보강벽(31)이 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승객실에 배치된 다른 부품(예컨대, 리어시트)의 레이아웃과 간섭하지 않으므로 다른 부품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프론트플랜지(32)는 보강벽(31)의 전방가장자리로부터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를 향해 연장될 수 있고, 프론트플랜지(32)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론트플랜지(32)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쿼터인너패널(7a)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론트플랜지(32)는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의 길이방향(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특히, 프론트플랜지(32)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리어쿼터부(53)의 쿼터인너패널(7a)에 고정됨으로써 거셋(11)의 프론트플랜지(32)는 리어쿼터부(53)의 길이방향(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로드패스(L1, 도 3 참조)를 한정할 수 있다.
리어플랜지(33)는 보강벽(31)의 후방가장자리로부터 휠하우스 인너패널(8)을 향해 연장될 수 있고, 거셋(11)의 리어플랜지(33)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휠하우스 인너패널(8)의 전방부에 고정될 수 있다. 리어플랜지(33)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보강벽(31)이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거셋(11), 및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8)은 그 사이에서 캐비티를 한정할 수 있고, 이에 거셋(11),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8)은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측면충돌 발생 시에 거셋(11),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 휠하우스 인너패널(8)은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강벽(31)은 쿼터인너패널(7a)로부터 이격됨으로써 거셋(11), 및 쿼터인너패널(7a),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8)은 그 사이에서 캐비티를 한정할 수 있고, 이에 거셋(11), 쿼터인너패널(7a),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8)은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거셋(11)은 보강벽(31)에 제공된 함몰비드(36a, 36b)들을 가질 수 있고, 함몰비드(36a, 36b)는 보강벽(31)으로부터 리어쿼터부(53)의 쿼터인너패널(7a)을 향해 함몰될 수 있다. 2개의 함몰비드(36a, 36b)가 이격될 수 있고, 각 함몰비드(36a, 36b)는 보강벽(3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강벽(31)은 함몰비드(36a, 36b)에 의해 그 길이방향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도 4,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거셋(11)은 보강벽(31)으로부터 차량의 상부를 향해 연장된 어퍼플랜지(34)와, 보강벽(31)으로부터 차량의 하부를 향해 연장된 로어플랜지(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퍼플랜지(34)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리어쿼터부(53)의 쿼터인너패널(7a)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8)에 고정될 수 있고, 로어플랜지(35)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리어쿼터부(53)의 쿼터인너패널(7a)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8)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거셋(11)은 어퍼플랜지(34)로부터 융기된 어퍼 장착보스(37a)와, 로어플랜지(35)로부터 융기된 로어 장착보스(37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장착보스(37a)는 프론트플랜지(32) 및 보강벽(31)과 인접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어퍼 장착보스(37a)는 체결구가 장착되는 체결홀을 가질 수 있다. 로어 장착보스(37b)는 프론트플랜지(32) 및 보강벽(31)과 인접한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로어 장착보스(37b)는 체결구가 장착되는 체결홀을 가질 수 있다. 거셋(11)은 어퍼 장착보스(37a) 및 로어 장착보스(37b)를 통해 리어쿼터부(53)의 쿼터인너패널(7a)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사이드구조(1)는 거셋(11)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보강브라켓(12)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보강브라켓(12)은 휠하우스 인너패널(8)에 장착될 수 있고, 보강브라켓(12)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강브라켓(12)은 거셋(11) 및 지지구조(20)의 제2지지부재(22)를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에 거셋(11) 및 보강브라켓(12)은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로드패스(L2, 도 3 참조)를 한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리어쿼터부에 대한 충돌성능 및 강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보강브라켓(12)은 휠하우스 인너패널(8)의 전방부로부터 휠하우스 인너패널(8)의 후방부를 향해 연장된 보강벽(41)과, 보강벽(41)의 전방가장자리로부터 거셋(11)을 향해 연장된 프론트플랜지(42)와, 보강벽(41)의 후방가장자리로부터 휠하우스 인너패널(8)의 후방부를 향해 연장된 리어플랜지(43)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벽(41)은 휠하우스 인너패널(8)의 전방부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8)의 후방부 사이의 외곽형상에 대응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휠하우스 인너패널(8)의 전방부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8)의 후방부 사이의 외곽형상은 커브진 형상일 수 있다. 특히, 보강벽(41)은 휠하우스 인너패널(8)의 전방부로부터 휠하우스 인너패널(8)의 후방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고, 보강벽(41)은 휠하우스 인너패널(8)의 전방부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8)의 후방부 사이의 커브진 부분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강브라켓(12)의 보강벽(41)이 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승객실에 배치된 다른 부품(예컨대, 리어시트)의 레이아웃과 간섭하지 않으므로 다른 부품의 레이아웃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도 2를 참조하면, 보강벽(41)이 휠하우스 인너패널(8)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보강브라켓(12)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8)은 그 사이에서 캐비티를 한정할 수 있고, 이에 보강브라켓(12)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8)은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휠하우스 인너패널(8)의 강성을 강화할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보강브라켓(12)의 프론트플랜지(42)는 거셋(11)의 리어플랜지(33)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고, 보강브라켓(12)의 프론트플랜지(42)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거셋(11)의 리어플랜지(33)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보강브라켓(12)은 프론트플랜지(42)의 위에 위치한 함몰플랜지(44)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함몰플랜지(44)는 프론트플랜지(42)로부터 휠하우스 인너패널(8)을 향해 함몰될 수 있다. 함몰플랜지(44)는 휠하우스 인너패널(8)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함몰플랜지(44)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휠하우스 인너패널(8)에 직접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강브라켓(12)은 휠하우스 인너패널(8)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보강브라켓(12)의 리어플랜지(43)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휠하우스 인너패널(8)의 후방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보강브라켓(12)의 리어플랜지(43)는 지지구조(2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보강브라켓(12)의 리어플랜지(43)는 지지구조(20)의 제2지지부재(22)의 프론트플랜지(22a)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2지지부재(22)의 프론트플랜지(22a)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보강브라켓(12)의 리어플랜지(43)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 도 10,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보강브라켓(12)은 보강벽(41)에 제공된 함몰비드(47)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비드(47)는 보강벽(41)으로부터 휠하우스 인너패널(8)을 향해 함몰될 수 있다. 함몰비드(47)는 보강벽(41)의 중심종축선(longtudinal central axis)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함몰비드(47)는 보강벽(4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보강벽(41)은 함몰비드(47)에 의해 그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보강브라켓(12)의 함몰비드(47)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거셋(11)의 함몰비드(36a, 36b)에 정렬될 수 있고, 이를 통해 거셋(11) 및 보강브라켓(12)은 그 길이방향 강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보강브라켓(12)은 보강벽(41) 및 프론트플랜지(42) 사이에 위치한 전방벽(4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방벽(45)은 프론트플랜지(42)로부터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고(angularly connected), 보강벽(41)은 전방벽(45)으로부터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프론트플랜지(42)는 전방벽(45)으로부터 거셋(11)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전방벽(45)은 보강브라켓(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비드(47)에 정렬되는 센터 융기비드(45a)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 융기비드(45a)는 전방벽(4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전방벽(45)은 센터 융기비드(45a)에 의해 그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도 4,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전방벽(45)은 센터 융기비드(45a)의 위에 위치한 어퍼 함몰비드(46a)와, 센터 융기비드(45a)의 아래에 위치한 로어 함몰비드(46b)와, 어퍼 함몰비드(46a)의 위에 어퍼 융기비드(45b)와, 로어 함몰비드(46b)의 아래에 위치한 로어 융기비드(45c)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함몰비드(46a), 로어 함몰비드(46b), 어퍼 융기비드(45b), 및 로어 융기비드(45c)는 센터 융기비드(45a)와 평행할 수 있다. 전방벽(45)은 어퍼 함몰비드(46a), 로어 함몰비드(46b), 센터 융기비드(45a), 어퍼 융기비드(45b), 및 로어 융기비드(45c)에 의해 그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어퍼 함몰비드(46a), 어퍼 융기비드(45b), 로어 함몰비드(46b), 및 로어 융기비드(45c)는 보강벽(4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센터 함몰비드(47)는 일정 반경으로 곡률진 전방 커브드부(47a, front curved portion)을 통해 센터 융기비드(45a)에 연결될 수 있고, 함몰비드(47)는 리어 돌출부(47b, rear protrusion)를 통해 리어플랜지(43)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보강브라켓(12)은 보강벽(41) 및 전방벽(45)의 어퍼 융기비드(45b)에 연결된 상부벽(4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벽(41a)이 보강벽(41) 및 전방벽(45)을 연결함으로써 보강브라켓(12)의 전체적인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개구(41c)가 상부벽(41a), 전방벽(45)의 어퍼 융기비드(45b), 및 보강벽(41)의 상부 사이의 모서리부에 형성될 수 있고, 보강브라켓(12)은 개구(41c)를 통해 그 중량을 절감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거셋(11) 및 보강브라켓(12)이 리어쿼터부(53)에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구조(20)의 제1지지부재(21) 및 수평부재(23)가 리어쿼터부(53)의 휠하우스 인너패널(8)을 지지하도록 차체에 조립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21)의 프론트플랜지(21a) 및 리어플랜지(21b)는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휠하우스 인너패널(8)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고, 이에 제1지지부재(21)는 휠하우스 인너패널(8)의 상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지지구조(20)의 제1지지부재(21) 및 수평부재(23)가 장착된 이후에, 도 6과 같이 거셋(11)의 프론트플랜지(32)가 리어쿼터부(53)의 쿼터인너패널(7a)에 고정될 수 있고, 거셋(11)의 리어플랜지(33)가 휠하우스 인너패널(8)에 고정될 수 있다.
거셋(11)이 장착된 이후에, 도 7과 같이 보강브라켓(12)의 전방부가 거셋(11)의 리어플랜지(33)에 고정될 수 있고, 보강브라켓(12)의 후방부가 리어쿼터부(53)의 휠하우스 인너패널(8)에 고정될 수 있다.
보강브라켓(12)이 장착된 이후에, 도 8과 같이 제2지지부재(22)가 제1지지부재(2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지지부재(22)의 프론트플랜지(22a) 및 리어플랜지(22b)는 휠하우스 인너패널(8)에 고정될 수 있고, 제2지지부재(22)의 프론트 로어플랜지(22c) 및 리어 로어플랜지(22d)가 리어 사이드멤버(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거셋(11)의 적어도 일부는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 및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사이의 중첩영역(OV)에서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차량의 측면충돌 발생 시에 리어 임팩트빔(5)이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를 타격할 때 거셋(11)은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 및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가 승객실로 침입함을 방지할 수 있고, 리어 임팩트빔(5)은 충돌하중에 의해 적절히 변형됨으로써 충돌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거셋(11)의 프론트플랜지(32)가 리어쿼터부(53)의 쿼터인너패널(7a)에 중첩 및 고정되며, 거셋(11)의 리어플랜지(33)가 리어쿼터부(53)의 휠하우스 인너패널(8)에 고정되고, 보강브라켓(12)의 프론트플랜지(42)가 거셋(11)의 리어플랜지(33)에 중첩 및 고정되며, 지지구조(20)의 제2지지부재(22)의 프론트플랜지(22a)가 보강브라켓(12)의 리어플랜지(43)에 중첩 및 고정된다. 차량의 측면충돌 발생 시에 충돌하중이 리어 사이드도어(3) 및 리어 임팩트빔(5)을 통해 거셋(11)으로부터 전달될 수 있고, 충돌하중은 거셋(11)의 프론트플랜지(32)에 의해 한정된 로드패스(L1)를 따라 차량의 높이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충돌하중은 거셋(11) 및 보강브라켓(12)에 의해 한정된 로드패스(L2)를 따라 전달될 수 있고, 제1지지부재(21) 및 제2지지부재(22)에 의해 한정된 로드패스(L3)를 따라 차량의 높이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리어 사이드도어(3) 및 리어 임팩트빔(5)에 가해지는 충돌하중이 거셋(11), 보강브라켓(12), 지지구조(20)를 통해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고, 리어 임팩트빔(5)은 충돌에너지를 적절히 흡수할 수 있다.
거셋(11)은 리어 사이드멤버(1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거셋(11)이 리어 사이드멤버(10)에 연결됨에 따라 거셋(11)의 지지강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셋(11)은 리어 사이드멤버(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거셋(11)은 리어 사이드멤버(10)의 어퍼플랜지에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거셋(11)은 리어 사이드멤버(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거셋(11) 및 리어 사이드멤버(10)는 프레스 공법, 주조 공법 등과 같은 다양한 제조공법을 통해 단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가 상대적으로 낮게 위치하도록 구성된 경우(즉,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가 로어부(55)에 가까워지도록 구성되는 경우) 거셋(11)이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와 중첩되도록 거셋(11)은 리어 사이드멤버(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거셋(11)은 리어 사이드멤버(10)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0a)를 통해 리어 사이드멤버(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리어 사이드멤버(10)는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를 향해 연장된 연장부(10a)를 가질 수 있고, 거셋(11)이 연장부(10a)의 상부에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거셋(11)이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와 중첩될 수 있도록 연장부(10a)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며, 거셋(11), 연장부(10a), 리어 사이드멤버(10)는 프레스공법, 주조 공법 등과 같은 다양한 제조공법을 통해 단일체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연장부(10a) 및 리어 사이드멤버(10)는 프레스공법, 주조공법 등과 같은 다양한 제조공법을 통해 단일체를 형성할 수 있고, 거셋(11)은 연장부(10a)에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셋(11)이 리어 사이드멤버(10)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연장부(10a)를 통해 리어 사이드멤버(10)에 연결됨으로써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거셋(11)을 통해 리어 사이드멤버(10)로 전달될 수 있고, 리어 사이드멤버(10) 및 거셋(11)이 충돌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리어쿼터부(53)의 실내면은 리어 실내트림(예컨대, 러기지 사이드트림)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쿼터인너패널(7a)의 실내면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8)의 실내면은 러기지 사이드트림에 의해 커버될 수 있고, 러기지 사이드트림은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쿼터인너패널(7a), 휠하우스 인너패널(8)은 스틸,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거셋(11)의 두께 및 보강브라켓(12)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지 않으므로 거셋(11) 및 보강브라켓(12)은 리어쿼터부(53)의 실내면 및 리어 실내트림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거셋(11) 및 보강브라켓(12)은 리어 실내트림에 의해 커버될 수 있으므로 차량의 후방 인터리어에 영향을 주지않고, 탑승객에 불편함을 끼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 및 도 10과 같이 보강브라켓(12)은 그 전방벽(25)의 센터 융기비드(45a)에 제공된 스터드볼트(49)를 포함할 수 있다. 플로어 상에 설치되는 와이어가 클립 등을 통해 스터드볼트(49)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거셋(11) 및 보강브라켓(12)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가질 수 있고, 플로어 상에 설치되는 와이어가 거셋(11)의 관통홀 및/또는 보강브라켓(12)의 관통홀을 통과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강브라켓(12)에 부착된 스터드볼트가 생략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거셋(11)이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와 중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거셋(11)은 리어쿼터부(53)의 플랜지(53a)와 함께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를 추가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측면충돌 발생 시에 리어 임팩트빔(5)의 후방부 및 리어 사이드도어(3)가 차량의 승객실 내로 침입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차량 사이드구조 2: 프론트 사이드도어
3: 리어 사이드도어 4: 프론트 임팩트빔
5: 리어 임팩트빔 6: 사이드아웃터패널
7: 휠하우스 아웃터패널 7a: 쿼터인너패널
8: 휠하우스 인너패널 10: 리어 사이드멤버
10a: 연장부 11: 거셋
12: 보강브라켓 20: 지지구조
21: 제1지지부재 22: 제2지지부재
23: 수평부재 31: 보강벽(거셋)
32: 프론트플랜지(거셋) 33: 리어 플랜지(거셋)
34: 어퍼플랜지(거셋) 35: 로어플랜지(거셋)
36a, 36b: 함몰비드(거셋) 37a: 어퍼 장착보스(거셋)
37b: 로어 장착보스(거셋) 41: 보강벽(보강브라켓)
42: 프론트플랜지(보강브라켓) 43: 리어플랜지(보강브라켓)
44: 함몰플랜지(보강브라켓) 45: 전방벽(보강브라켓)
45a: 센터 융기비드(보강브라켓) 45b: 어퍼 융기비드(보강브라켓)
45c: 로어 융기비드(보강브라켓) 46a: 어퍼 함몰비드(보강브라켓)
46b: 로어 함몰비드(보강브라켓) 47: 함몰비드(보강브라켓)
51: 프론트필러 52: 센터필러
53: 리어쿼터부 54: 어퍼부
55: 로어부

Claims (16)

  1. 리어 사이드도어에 장착된 리어 임팩트빔;
    상기 리어 임팩트빔의 후방부와 중첩되는 플랜지를 가진 리어쿼터부; 및
    상기 리어 임팩트빔의 후방부 및 상기 리어쿼터부의 플랜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거셋을 포함하는 차량 사이드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쿼터부는 차량의 승객실을 향해 돌출한 휠하우스 인너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거셋은 상기 리어쿼터부의 플랜지 및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차량 사이드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셋은, 상기 리어쿼터부의 플랜지로부터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보강벽을 포함하는 차량 사이드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셋은, 상기 보강벽으로부터 상기 리어쿼터부의 플랜지를 향해 연장된 프론트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플랜지는 상기 리어쿼터부의 플랜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프론트플랜지는 상기 리어쿼터부의 플랜지에 고정되는 차량 사이드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셋은, 상기 보강벽으로부터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을 향해 연장된 리어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플랜지는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에 고정된 차량 사이드구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셋, 상기 리어쿼터부의 플랜지, 및 휠하우스 인너패널은 폐단면을 형성하는 차량 사이드구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거셋은 상기 보강벽에 제공된 함몰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함몰비드는 상기 보강벽으로부터 상기 리어쿼터부를 향해 함몰되도록 구성된 차량 사이드구조.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셋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연장된 보강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브라켓은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에 장착되는 차량 사이드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보강브라켓은,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의 전방부로부터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의 후방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된 보강벽을 포함하는 차량 사이드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강브라켓은, 상기 보강벽의 전방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거셋을 향해 연장된 프론트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플랜지는 상기 거셋에 고정되는 차량 사이드구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강브라켓은, 상기 보강벽의 후방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의 후방부를 향해 연장된 리어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플랜지는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의 후방부에 고정되는 차량 사이드구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을 지지하는 지지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브라켓의 리어플랜지가 상기 지지구조의 하부에 연결되는 차량 사이드구조.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강브라켓은 상기 보강벽에 제공된 함몰비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함몰비드는 상기 보강벽으로부터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을 향해 함몰되는 차량 사이드구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쿼터부의 하부에 연결된 리어 사이드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셋은 상기 리어 사이드멤버에 연결되는 차량 사이드구조.
  1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어쿼터부는 상기 플랜지의 일부를 형성하는 쿼터인너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거셋은 상기 쿼터인너패널 및 상기 휠하우스 인너패널을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차량 사이드구조.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 임팩트빔의 후방부는 브라켓을 통해 리어 사이드도어의 후방부에 장착되고,
    상기 브라켓, 및 상기 거셋은 차량의 폭방향으로 정렬되는 차량 사이드구조.
KR1020220081938A 2022-07-04 2022-07-04 차량 사이드구조 KR2024000397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938A KR20240003976A (ko) 2022-07-04 2022-07-04 차량 사이드구조
US17/973,208 US20240001741A1 (en) 2022-07-04 2022-10-25 Vehicle side structure
DE102022129767.5A DE102022129767A1 (de) 2022-07-04 2022-11-10 Fahrzeugseitenstruktur
CN202211427036.9A CN117341828A (zh) 2022-07-04 2022-11-15 车辆侧面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938A KR20240003976A (ko) 2022-07-04 2022-07-04 차량 사이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976A true KR20240003976A (ko) 2024-01-11

Family

ID=8916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938A KR20240003976A (ko) 2022-07-04 2022-07-04 차량 사이드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01741A1 (ko)
KR (1) KR20240003976A (ko)
CN (1) CN117341828A (ko)
DE (1) DE102022129767A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01741A1 (en) 2024-01-04
DE102022129767A1 (de) 2024-01-04
CN117341828A (zh) 2024-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23496B1 (en) Automotive door with enhanced side collision performance
JP6409724B2 (ja)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US6129410A (en) Apparatus for reinforcing a body side panel of a motor vehicle
JP5327614B2 (ja) 車体のピラー構造
KR102575806B1 (ko) 자동차용 사이드 실 부품
US6575525B2 (en) Reinforced door frame for a motor vehicle
KR20170117366A (ko) 사이드 임팩트에 대하여 강화된 차량 도어
US9365242B1 (en) Tubular vehicle roof pillar reinforcement
US10399602B2 (en) Vehicle body including reinforcement on rocker panel
US8262153B2 (en) Vehicle pillar with opening having angled flange
US10625581B2 (en) Vehicle lateral structure
JP4834353B2 (ja) 車両用エネルギ吸収ビーム及び車両用ドア構造
JPH02258481A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3695211B2 (ja) 自動車の側部補強構造
KR20240003976A (ko) 차량 사이드구조
JP7173288B2 (ja) 複合長尺部材
US11273870B2 (en)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CN207274782U (zh) 铰接柱支撑装置及汽车
KR20120015625A (ko) 차량의 센터필러 구조
US11591025B2 (en) Front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JPS6320621Y2 (ko)
CN115257938A (zh) 一种a柱、门环及车辆
JPS61244675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H07205838A (ja) 前部車体構造
KR19980024639U (ko) 자동차 프런트 필라 로어 패널의 보강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