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639A -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639A
KR20240003639A KR1020220081461A KR20220081461A KR20240003639A KR 20240003639 A KR20240003639 A KR 20240003639A KR 1020220081461 A KR1020220081461 A KR 1020220081461A KR 20220081461 A KR20220081461 A KR 20220081461A KR 20240003639 A KR20240003639 A KR 20240003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holder
stem
exercise bik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환
고성규
김민석
주종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1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3639A/ko
Priority to PCT/KR2023/007619 priority patent/WO2024005390A1/ko
Priority to TW112123215A priority patent/TW202408628A/zh
Publication of KR20240003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6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7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by rotating cycl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8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article holders
    • A63B2225/685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article holders for electronic devices, e.g. phone, PDA, GPS device, noteboo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운동 자전거의 스템을 기준으로 일측의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며, 전면에 모바일기기가 안착되도록 안착부가 구비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하단의 안착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모바일기기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몸체부 상단의 안착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모바일기기의 상단면을 지지하는 가이드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이면에 수평판과 수직판의 조합인 판상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스템의 거치대 수용공간부를 암수 형태로 덮어 고정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FITNESS BIKE EQUIPPED WITH HOLDING DEVICE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운동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치대의 사용 여부에 따라 매립 또는 펼침 가능하고,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모바일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스 자전거는 근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실내 운동 기구로 사용되고 있다. 헬스 자전거는 페달을 밟는 동작에 의해 바퀴가 회전되며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헬스 자전거는 스피닝 운동을 할 수 있는 스피닝 자전거와, 일반 자전거와 같이 페달을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바퀴를 돌리는 실내 자전거로 구분할 수 있다.
스피닝 자전거는 페달을 밟고 운동을 하는 특성상 논 프리휠(Non-Freewheel) 구조를 적용하며, 실내 자전거는 프리휠(Freewheel) 구조를 적용한다.
스피닝 자전거에 적용되는 논 프리휠(Non-Freewheel) 구조는, 페달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 모두 바퀴로 동력이 전달되어 바퀴가 회전된다.
또한 실내 자전거에 적용되는 프리휠(Freewheel) 구조는, 페달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만 바퀴로 동력이 전달된다. 그러나, 페달을 정지시키거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바퀴로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국제공개번호 WO2013/103660(2013.07.11 공개, 발명의 명칭 : 외부 컴퓨터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통신연결 기능을 가진 운동장치)에는 콘솔을 포함한다. 콘솔에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와 같은 내부 전자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입력 컨트롤러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운동 자전거에 데이터를 입력할 수도 있다. 그런데, 디스플레이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운동 자전거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제특허공개번호 WO2013/103660(2013.07.1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기기를 거치 가능한 거치대를 매립형으로 구현하여 거치대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 자전거를 탈 때,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모바일기기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모바일기기의 시야각 및 거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형태인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는, 모바일기기를 거치 가능한 거치대를 매립형으로 형성하여 거치대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거치대가 스템의 내측에 매립됨으로써, 운동 자전거의 외관을 개선하고, 디자인 완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거치대를 다양한 각도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대의 크기를 확장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모바일기기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바일기기가 거치되는 부분에 마찰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 고무 소재의 미끄럼방지용 패드를 적용하여 모바일기기를 거치대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스템과 거치대의 경계면 사이에 개방홈부를 설치하여 거치대를 쉽게 펼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자전거의 스템을 기준으로 일측의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며, 전면에 모바일기기가 안착되도록 안착부가 구비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하단의 안착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모바일기기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몸체부 상단의 안착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모바일기기의 상단면을 지지하는 가이드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이면에 수평판과 수직판의 조합인 판상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스템의 거치대 수용공간부를 암수 형태로 덮어 고정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는 상기 안착부에 충격 및 진동 흡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전면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는, 상기 전면 패드가 상기 안착부로부터 연장되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지지부는, 하단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신축로드; 상기 신축로드에 삽입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신축로드에 설치되며, 상기 신축로드의 신축 동작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를 인장 또는 압축시키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대 수용공간부의 양측에는, 상기 스템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거치대에 대응하는 돌출 프레임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 프레임부에는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된 복수의 거치홈부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치홈부에는 상기 모바일기기의 하단면이 안착되는 상면에 흠부착 패드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의 측면 경계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수평판의 폭은 상기 돌출 프레임부의 폭에 대응하며, 상기 몸체부의 측면과 상기 덮개부의 상기 수직판은 상기 돌출 프레임부의 내외부 측면에 접촉되어 압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의 측면 경계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수평판은 상기 돌출 프레임부의 상면에 맞닿아 접촉되면서 상기 스템의 상면과 상기 몸체부의 이면이 평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 프레임부의 외부 측면에는, 상기 덮개부의 상기 수직판이 압착되어 상기 스템의 측면과 평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템의 상면에는 상기 거치대와의 경계면에 상기 거치대를 상기 힌지부에 의해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방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에 의하면, 거치대를 매립형 힌지구조로 구현함으로써, 운동 자전거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거치대를 다양한 각도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다.
거치대의 크기를 확장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모바일기기를 적용할 수 있다.
모바일기기가 거치되는 부분에 마찰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 고무 소재의 미끄럼방지용 패드를 적용하여 모바일기기를 거치대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스템과 거치대의 경계면 사이에 개방홈부를 설치하여 거치대를 쉽게 펼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자전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운동 자전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매립된 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펼쳐진 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확장형 거치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확장형 거치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돌출 프레임부의 거치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펼쳐진 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거치대의 개방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자전거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자전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운동 자전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자전거(1)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핸들(143)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운동 자전거(1)는 프레임부(120), 스페이서부(125), 스템(140), 시트 하우징부(126), 시트 포스트(150), 스템 록킹부(145) 및 포스트 록킹부(154)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20)의 하측에는 프레임부(120)를 지지하도록 베이스부(113)가 설치된다. 베이스부(113)는 프레임부(120)의 하측에 연결되는 직사각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113)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프레임부(120)는 구동축부(133)와 회전축부(160)를 지지한다. 이러한 프레임부(120)는 운동 자전거(1)의 하중 분포, 구조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120)의 외측을 커버하도록 케이싱(110)이 설치된다. 케이싱(110)의 내부에는 프레임부(120), 플라이휠(170), 브레이크 장치(미도시) 등이 설치된다. 케이싱(110)은 전방과 후방측이 라운드지고 좌우방향 양측이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10)의 좌우방향 양측에는 원형의 디스크홀부(111)가 형성된다.
디스크홀부(111)에는 회전 디스크(131)가 설치된다. 회전 디스크(131)는 원형 패널 형태로 형성된다. 케이싱(110)과 회전 디스크(131)는 프레임부(120), 플라이휠(170) 등을 외부와 차폐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 유아 및 반려동물의 접근을 차단하여 부상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120), 플라이휠(170) 등의 부품에 외부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싱(110)은 운동 자전거(1)의 외관을 형성한다.
구동축부(133)의 양측에는 회전 디스크(131)의 중심부가 연결된다. 각 회전 디스크(131)의 둘레부에는 페달(130)이 각각 연결된다. 일측 회전 디스크(131)의 페달(130)과 타측 회전 디스크(131)의 페달(130)은 구동축부(133)의 외측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페달(130)을 밟으면 회전 디스크(131)가 구동축부(133)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구동축부(133)는 구동휠(미도시)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구동축부(133)와 회전축부(160)는 벨트나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부(미도시)에 의해 연결된다. 사용자가 페달(130)을 밟게 되면 회전 디스크(131)가 회전하게 된다. 회전 디스크(131)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축부(133)와 회전축부(160)가 회전하게 된다. 회전 디스크(131)가 디스크홀부(111)를 차폐시키므로, 페달(130)을 밟아 회전 디스크(131)를 회전시키더라도 사용자나 유아 등이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디스크(131)가 구동축부(133)와 구동휠(135) 등을 차폐하여 운동 자전거(1)의 내부 부품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나 애완동물, 신체의 일부가 케이싱(11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싱(110)의 전방측에는 스페이서부(125)가 상측으로 연장된다. 스페이서부(125)는 프레임부(120)에 의해 지지된다. 스페이서부(125)는 스템(140)(stem)이 결합되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스템(140)은 스페이서부(125)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템 포스트(141)를 포함한다. 스템(140)은 스페이서부(125)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탬(123)의 상측에는 핸들(143)이 연결된다.
스페이서부(125)의 상측은 하측보다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스템(140)의 높이가 높게 조절될수록 핸들(143)이 전방측으로 멀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장이 클수록 핸들(143)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핸들(143)의 높이와 전후방향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케이싱(110)의 내부에는 시트 하우징부(126)가 설치된다. 시트 하우징부(126)는 케이싱(11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시트 하우징부(126)는 케이싱(110)의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시트 하우징부(126)는 구동축부(133)과 회전축부(16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시트 하우징부(126)는 다각 파이프 또는 원형 파이프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시트 하우징부(126)의 내부에는 시트 포스트(150)가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된다. 시트 포스트(150)의 상단부는 그 하단부보다 후방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시트 포스트(150)의 상측에는 시트(153)가 설치된다. 시트 포스트(150)는 시트 하우징부(126)의 내부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시트 포스트(150)의 단면은 시트 하우징부(126)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시트 포스트(150)와 시트 하우징부(126)가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시트 포스트(150)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시트(153)가 핸들(143)에서 멀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신장이 클수록 시트 포스트(150)의 높이를 높임으로써, 사용자의 신장에 맞게 시트(153)와 핸들(143)의 높이와 전후방향 거리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플라이휠(170)은 회전축부(160)에 축결합된다. 플라이휠(170)의 회전 중심에는 회전축부(160)가 결합되고, 회전축부(160)와 플라이휠(170)은 원웨이 베어링(미도시)(oneway bearing)을 매개로 연결된다. 원웨이 베어링은 회전축부(160)와 플라이휠(170)과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또한, 회전축부(160)와 플라이휠(170)은 클러치 기어모듈(미도시)에 의해 구속되거나 구속 해제될 수 있다. 클러치 기어모듈 역시 회전축부(160)와 플라이휠(170)과 동심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플라이휠(170)은 프리휠 모드(freewheel mode)와 논프리휠 모드(non-freewheel mode)로 회전된다.
프리휠 모드는 회전축부(16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플라이휠(170)이 원웨이 베어링의 구속력에 의해 회전되고, 회전축부(16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플라이휠(170)이 회전되지 않는 운전 모드를 의미한다. 프리휠 모드에서는 회전축부(160)의 역방향 회전시 회전축부(160)가 플라이휠(170)에서 공회전된다.
논프리휠 모드는 회전축부(16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모든 경우에 플라이휠(170)이 회전되는 운전 모드를 의미한다. 논프리휠 모드에서는 회전축부(160)와 플라이휠(170)이 클러치 기어모듈에 의해 서로 록킹(locking)되어 함께 회전된다.
스테이터(180)는 플라이휠(170)에 자력을 가하여 플라이휠(170)의 회전 부하를 조절하도록 프레임부(120)에 설치된다. 스테이터(180)는 철심(181)에 코일(182)이 감긴 전자석이다. 코일(182)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스테이터(180)에서 자력이 발생된다. 스테이터(180)의 코일(182)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여 스테이터(180)의 자력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이휠(170)의 회전 부하(스테이터(180)의 자력 세기)가 증가될수록 페달(130)을 밟는 답력이 증가하게 되고, 플라이휠(170)의 회전 부하(스테이터(180)의 자력 세기)가 감소될수록 페달(130)의 밟는 답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테이터(180)의 자력 세기 조절에 의해 플라이휠(170)의 회전 부하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답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운동 자전거(1)에서는 플라이휠(170)이 구동축부(133)를 기준으로 후방측에 배치되거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이휠(170)의 설치 위치에 따라 프레임부(120)와 케이싱(110)의 형태가 변경된다. 또한, 구동축부(133)와 회전축부(160)의 위치도 변경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매립된 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펼쳐진 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스템(140)에는 모바일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200)가 설치된다. 거치대(200)는 스템(140)을 기준으로 일측의 힌지부(250)에 의해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거치대(200)를 접고 펼 수 있게 된다. 거치대(200)를 접게 될 경우, 거치대(200)가 스템(140) 내측으로 매립될 수 있도록 스템(140)에는 거치대 수용공간부(140a)가 형성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대(200)는 몸체부(210), 받침부(220), 가이드지지부(230), 덮개부 및 힌지부(250)를 포함한다.
몸체부(210)는 전면에 모바일기기가 안착되도록 평판형 안착부(211)가 구비된다. 몸체부(210)는 상부에 가이드지지부(230)가 결합되고, 하부에 받침부(220)가 결합된다. 몸체부(210)는 모바일기기가 안착되는 전면에 충격 및 진동 흡수, 미끄럼 방지를 위한 전면 패드(400)가 부착된다.
받침부(220)는 직육면체 형태로 구비되어 몸체부(210) 하단의 안착부(211)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받침부(220)는 상면이 개방되어, 모바일기기의 하단면이 지지될 수 있다. 받침부(220)의 상면에는 몸체부(210)의 안착부(211)에 부착된 전면 패드(400)가 연장되어 부착될 수 있다.
받침부(220)에는 모바일기기로 충전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는 전원 공급 회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PCB)으로 구비되어 받침부(2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받침부(220)의 대향하는 상측에는 모바일기기의 상단면을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지지부(230)가 구비된다.
가이드지지부(230)는 받침부(220)와 마찬가지로 직육면체 형태로 구비되어 몸체부(210) 상단의 안착부(211)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확장형 거치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확장형 거치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지지부(230)는 하단에 신축 가능한 소정 길이의 신축로드(231)가 연결된다. 신축로드(231)는 몸체부(210)의 내부 공간 내에 삽입된다. 몸체부(210)의 내부 공간에는 신축로드(231)의 둘레를 따라 탄성부재(232)가 삽입된다. 몸체부(2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 신축로드(231)에는 신축로드(231)의 신축 동작에 따라 탄성부재(232)를 인장 또는 압축시키는 걸림부(231a)가 구비된다.
가이드지지부(230)의 하단부가 몸체부(210)의 상단부에 접촉하여, 가이드지지부(230)와 받침부(220) 사이의 간격이 최소 간격을 유지할 경우, 탄성부재(232)는 걸림부(231a)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몸체부(2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다. 반면에, 가이드지지부(230)의 하단부가 몸체부(210)의 상단부 위로 탄성 이동하여, 가이드지지부(230)와 받침부(220) 사이의 간격이 최대 간격을 유지할 경우, 탄성부재(232)는 인장된 상태로 몸체부(2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된다. 즉, 가이드지지부(230)의 하단부가 몸체부(210)의 상단부에 맞닿아 접촉하여 설치되는 경우 탄성부재(232)는 압축된 상태이다.
가이드지지부(230)에는 탄성부재(232)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가이드지지부(230)가 몸체부(21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지지부(230)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스톱퍼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톱퍼부는 가이드지지부(230)가 몸체부(210)의 상단부 위로 탄성 이동하여 최대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그 간격을 축소시켜 고정할 때에도 상측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부(210)에는 다양한 길이의 모바일기기를 선택하여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탄성부재(232)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몸체부(210)는 가이드지지부(230)의 높이 조정을 통해 모바일기기의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 가능하나, 폭은 정해져 있어, 정해진 폭을 초과하는 모바일기기의 거치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몸체부(210)의 안착부(211)에 거치 가능한 모바일기기로는 6인치 화면 이하의 상대적으로 폭이 작은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를 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지지부(230)는 스톱퍼부에 의해 상측 이동에 대한 제한이 해제될 경우 압축된 상태의 탄성부재(232)가 인장되면서 가이드지지부(230)를 상방으로 탄성 이동시켜 가이드지지부(230)가 상방으로 확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부(210)의 이면에는 수평판(241)과 수직판(24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판상 구조의 덮개부가 형성된다. 덮개부는 스템(140)에 형성된 거치대 수용공간부(140a)를 암수 형태로 덮어 고정하게 된다. 거치대 수용공간부(140a)에는 스템(140)의 측면을 유지하면서 모바일기기를 거치하는 동시에 거치대(200)를 매립하는데 보조적인 기능을 하는 돌출 프레임부(300)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부는 거치대 수용공간부(140a)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 프레임부(300)에 대응하는 역 'U'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거치대(200)의 몸체부(210)의 측면 경계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수평판(241)의 폭은 돌출 프레임부(300)의 폭에 대응한다. 따라서, 거치대(200)의 몸체부(210)의 측면과 수직판(242)은 돌출 프레임부(300)의 내외부 측면에 접촉되어 압착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대(200)의 몸체부(210)의 측면 경계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수평판(241)은 돌출 프레임부(300)의 상면에 맞닿아 접촉되면서 스템(140)의 상면과 몸체부(210)의 이면이 평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거치대(20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매립형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운동 자전거(1)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거치대 수용공간부(140a)에 형성된 돌출 프레임부(300)의 외부 측면에는 수직판(242)이 압착되어 스템(140)의 측면과 평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돌출 프레임부(3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단차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돌출 프레임부의 거치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거치대 수용공간부(140a)의 양측에 형성된 돌출 프레임부(300)에는 대응하는 양측에 돌출 프레임부(300)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된 복수의 거치홈부(310)가 형성된다. 거치홈부(310)는 돌출 프레임부(300)의 하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홈 형태로 이루어진다. 거치홈부(310)는 받침부(220)와 마찬가지로 모바일기기의 하단면을 지지하게 된다.
거치홈부(310)에는 모바일기기의 하단면이 안착되는 상면에 충격 및 진동 흡수, 미끄럼 방지를 위한 홈부착 패드(410)가 부착된다.
거치홈부(310)에는 소정 두께의 홈부착 패드(410)가 부착되는 것을 감안하여 홈부착 패드(410)의 두께 대비, 거치홈부(310)의 깊이를 더 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거치홈부(310)에 홈부착 패드(410)가 부착되더라도 모바일기기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
거치홈부(310)는 돌출 프레임부(300)의 외측으로 어떠한 장애물도 없이 개방된 상태이기 때문에, 정해진 폭을 초과하는 모바일기기의 거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거치대(200)의 몸체부(210)의 전면 방향으로 거치홈부(310)를 통해 거치 가능한 모바일기기로는 6인치 화면 이상의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는 태블렛과 같은 모바일기기를 거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펼쳐진 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거치대(200)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모바일기기의 시야각 및 거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거치홈부(310)의 위치를 달리하여 모바일기기를 지지하게 된다. 즉, 모바일기기의 거치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최적의 시야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모바일기기가 각각의 가이드지지부(230)와, 받침부(220) 또는 거치홈부(310)에 거치되는 각도는 대략 최소 120°에서 최대 140°의 각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각도는 사용자가 운동 자전거의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모바일기기의 화면을 정상적으로 볼 수 있는 최대한의 측면 각도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핸들(143)의 높이, 시트(153)의 높이 및 시트(153)의 전후방향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정상적인 시야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모바일기기의 거치 각도를 조정하여 최적의 시야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거치대의 개방홈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템(140)의 상면에는, 거치대(200)와의 경계면에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손톱을 이용하여 거치대(200)를 힌지부(250)에 의해 회동시킬 수 있도록 개방홈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개방홈부(330)에는 스템(140)으로부터 거치대(200)의 가이드지지부(230)에 이르기까지 경사면(331)이 형성된다. 스템(140)에 형성된 경사면(331)과 거치대(200)의 가이드지지부(230)의 경계면 사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손톱이 진입할 수 있는 틈새, 즉 개방홈부(330)가 형성되는바, 사용자는 이 틈새로 손가락이나 손톱을 이용하여 거치대(200)를 용이하게 회동시켜 펼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거치대(200)를 매립형 힌지구조로 구현함으로써, 운동 자전거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게 거치대(200)를 다양한 각도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대(200)의 크기를 확장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모바일기기를 적용할 수 있고, 모바일기기가 거치되는 부분에 마찰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 고무 소재의 미끄럼방지용 패드(400,410)를 적용하여 모바일기기를 거치대(200)에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템(140)과 거치대(200)의 경계면 사이에 개방홈부(330)를 설치하여 거치대(200)를 쉽게 펼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운동 자전거
110 : 케이싱
111: 디스크홀부
113: 베이스부
120: 프레임부
125: 스페이서부
126: 시트 하우징부
126a: 걸림홈부
130: 페달
131: 회전 디스크
133: 구동축부
140: 스템
140a : 거치대 수용공간부
141: 스템 포스트
143: 핸들
145 : 스템 록킹부
150: 시트 포스트
153: 시트
154 : 포스트 록킹부
160: 회전축부
170: 플라이휠
180: 스테이터
181: 철심
182: 코일
200 : 거치대
210 : 몸체부
211 : 안착부
220 : 받침부
230 : 가이드지지부
231 : 신축로드
231a : 걸림부
232 : 탄성부재
240 : 덮개부
241 : 수평판
242 : 수직판
250 : 힌지부
300 : 돌출 프레임부
310 : 거치홈부
320 : 단차부
330 : 개방홈부
331 : 경사면
400 : 전면 패드
410 : 홈부착 패드

Claims (10)

  1. 운동 자전거의 스템을 기준으로 일측의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며, 전면에 모바일기기가 안착되도록 안착부가 구비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하단의 안착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모바일기기의 하단면을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몸체부 상단의 안착부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모바일기기의 상단면을 지지하는 가이드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이면에 수평판과 수직판의 조합인 판상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스템의 거치대 수용공간부를 암수 형태로 덮어 고정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안착부에 미끄럼 방지용 전면 패드가 부착된,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는, 상기 미끄럼 방지용 전면 패드가 상기 안착부로부터 연장되어 부착되는,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지지부는, 하단에 신축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신축로드;
    상기 신축로드에 삽입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신축로드에 설치되며, 상기 신축로드의 신축 동작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를 인장 또는 압축시키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수용공간부의 양측에는, 상기 스템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거치대에 대응하는 돌출 프레임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 프레임부에는 간격을 두고 이격 형성된 복수의 거치홈부가 오목하게 형성된,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부에는 상기 모바일기기의 하단면이 안착되는 상면에 흠부착 패드가 부착되는,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측면 경계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수평판의 폭은 상기 돌출 프레임부의 폭에 대응하며,
    상기 몸체부의 측면과 상기 덮개부의 상기 수직판은 상기 돌출 프레임부의 내외부 측면에 접촉되어 압착되는,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측면 경계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수평판은 상기 돌출 프레임부의 상면에 맞닿아 접촉되면서 상기 스템의 상면과 상기 몸체부의 이면이 평행 상태를 유지하는,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프레임부의 외부 측면에는, 상기 덮개부의 상기 수직판이 압착되어 상기 스템의 측면과 평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는 단차부가 형성된,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의 상면에는 상기 거치대와의 경계면에 상기 거치대를 상기 힌지부에 의해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방홈부가 형성된,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









KR1020220081461A 2022-07-01 2022-07-01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 KR2024000363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461A KR20240003639A (ko) 2022-07-01 2022-07-01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
PCT/KR2023/007619 WO2024005390A1 (ko) 2022-07-01 2023-06-02 헬스 자전거
TW112123215A TW202408628A (zh) 2022-07-01 2023-06-20 健身腳踏車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461A KR20240003639A (ko) 2022-07-01 2022-07-01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639A true KR20240003639A (ko) 2024-01-09

Family

ID=89538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461A KR20240003639A (ko) 2022-07-01 2022-07-01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363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3660A1 (en) 2012-01-06 2013-07-11 Icon Health & Fitness, Inc. Exercise device with communication linkage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compu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3660A1 (en) 2012-01-06 2013-07-11 Icon Health & Fitness, Inc. Exercise device with communication linkage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compu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02292A1 (en) Dual-function treading exerciser
US20180333602A1 (en) Recumbent step exerciser with self-centering mechanism
ES2288323B1 (es) Mecanismo de embrague de rueda libre para una bicicleta estatica.
US7758475B2 (en) Upper body exercise cycle
KR20170072260A (ko) 무선 트레드밀
US20120065034A1 (en) Exercise machine
WO2004035144A3 (en) An exercise apparatus
US9283428B1 (en) Exercise system
KR101758902B1 (ko) 미끄럼방지와 선택적으로 무게조절이 가능하며 안전성을 향상시킨 밸런스보드
KR200438271Y1 (ko) 경사로 조절방식의 등반장치
US20030211920A1 (en) Light weight and portable exercise device with bench seat
KR20140002938A (ko) 안정된 화면보기가 가능한 휴대용 영상기기 거치대
KR20240003639A (ko) 모바일기기용 거치대가 장착된 운동 자전거
US20090266662A1 (en) Shock absorption apparatus for a treadmill
US10702738B2 (en) Treadmill
US20080182726A1 (en) Treadmill with anti-overturn treadbase
CN212118878U (zh) 一种综合训练站
CN215505345U (zh) 一种带靠背的健身单车
CN217854390U (zh) 训练臂及综合训练设备
KR20110056170A (ko) 점핑 트위스트 운동기구
US20030224909A1 (en) Dual-function treading exerciser
CN113827439B (zh) 脚踝机
KR20240003624A (ko) 운동 자전거
CN109578461B (zh) 一种多功能传动装置
KR20230133463A (ko) 운동 자전거, 핸들 높이 조절 장치 및 시트 높이 조절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