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623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623A
KR20240003623A KR1020220081432A KR20220081432A KR20240003623A KR 20240003623 A KR20240003623 A KR 20240003623A KR 1020220081432 A KR1020220081432 A KR 1020220081432A KR 20220081432 A KR20220081432 A KR 20220081432A KR 20240003623 A KR20240003623 A KR 20240003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ck frequency
output clock
video output
display device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1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3623A/ko
Priority to US18/120,333 priority patent/US20240004418A1/en
Priority to EP23161371.2A priority patent/EP4300479A1/en
Publication of KR20240003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04Generating or distributing clock signals or signals derived directly therefrom
    • G06F1/08Clock generators with changeable or programmable clock frequenc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06F1/3218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of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1Arbitration of resources in a display system, e.g. control of access to frame buffer by video controller and/or main process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63Graphics controll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4Maintain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43Preventing or counteracting the effects of age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8Arrangements within a display terminal for setting, manually or automatically, display parameters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 G09G2330/045Protection against panel overhea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모리,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 신호에 대해 제1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제1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각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에 따른 디바이스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최적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상기 입력 신호를 위한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TRANSPARENT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A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에 따라 최적의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수신, 처리 및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로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영상 신호를 분리하며, 분리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최근에는 상기 방송국 외에도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프로바이더(CP: Contents Provider)가 생겨나고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러한 컨텐츠 프로바이더(CP)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컨텐츠 프로바이더(CP)를 통해 획득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에 무관하게 고정된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이용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데이터 쓰로우풋(thoughput)이 증가되어 코어 전원 리플(ripple)이 크고, 발열로 인한 칩(chip)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어 세트가 불안정하고 소비전력이 증가하여, 결국 보드(board)의 수명 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항상 고정되었던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입력에 따라 어댑티브(adaptive)하게 조절하여 최적의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가 자동 설정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메모리,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 신호에 대해 제1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제1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각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에 따른 디바이스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최적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상기 입력 신호를 위한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입력 신호에 따른 해상도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해상도에 따른 제1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제1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제1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입력 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로 튜닝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제1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 및 상기 튜닝되는 각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에 따른 디바이스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최적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가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해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다양한 입력에 따라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어댑티브하게 변경하여 해당 입력에 대응하는 최적의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자동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다양한 입력에 따른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어댑티브하게 변경함으로써, 화질 손상이나 열화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발열 및 소비전력에 대하여 최적의 조건을 설정하여, 보드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디오 출력 클록 처리부가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VO CLK 테이블을 예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해상도와 VO CLK 주파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VO CLK 주파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과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VO CLK 주파수 튜닝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와 1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VO CLK 주파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 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Operating System)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TV, HBB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스마트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설명의 편의상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메모리(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 컨트롤러(170),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 디스플레이(180), 스피커(185), 전원 공급 회로(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기(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기(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70) 또는 메모리(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컨트롤러(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들은 RGB 단자, 하나 이상의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컴포넌트(Component)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된 외부장치의 음성 신호는 스피커(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 장치는 셋탑-박스(STB: Set-top box),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컨트롤러(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컨트롤러(170)로 전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컨트롤러(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컨트롤러(170)에 전달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스피커(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컨트롤러(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180) 또는 스피커(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 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180) 또는 스피커(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컨트롤러(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외부 기기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블루투스,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mounted display)),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러(17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3)를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송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컨트롤러(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on screen display)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기(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33)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박스(STB)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박스(STB)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기(210), 무선통신회로(22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 센서(240), 출력 인터페이스(250), 전원공급회로(260), 메모리(270), 컨트롤러(280), 및 마이크로폰(29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회로(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회로(221)를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회로(22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회로(225)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회로(227)를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회로(229)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통신회로(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회로(221)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회로(223)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25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출력 인터페이스(250)를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250)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기(253),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257)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회로(2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회로(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메모리(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회로(221)를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컨트롤러(2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 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컨트롤러(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컨트롤러(28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마이크로폰(290)은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29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종래 도 8의 (a)와 같이 항상 고정값을 사용하였던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VO(video output) CLK(clock) frequency)(이하, 'VO CLK 주파수'라 함)를, 도 8의 (b)와 같이 입력에 따라 어댑티브(adaptive)하게 조절하여 해당 입력에 대해 최적의 VO CLK 주파수를 자동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관해 기술한다. 설명의 편의상, 도 8에서는 입력의 해상도와 VO CLK 주파수의 관계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입력에 따라 대응하는 디폴트(default) VO CLK 주파수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고, 자동 설정 이후 어댑티브 VO CLK 주파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해당 입력에 대한 최적의 VO CLK 주파수를 산출하여, 산출된 VO CLK 주파수를 상기 입력에 대한 최적 VO CLK 주파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한 과정을 예를 들어,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과정을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에 대한 화질 열화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발열 및 소비전력에 최적의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어, 칩의 온도 증가를 방지하거나 칩의 온도를 낮출 수 있어 결과적으로 해당 칩의 수명 나아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메모리,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 신호에 대해 제1 VO CLK 주파수(즉, 디폴트 VO CLK 주파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제1 VO CLK 주파수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제1 VO CLK 주파수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하면서, 동시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VO CLK 주파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각 VO CLK 주파수에 따른 디바이스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 VO CLK 주파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최적 VO CLK 주파수를 상기 입력 신호를 위한 VO CLK 주파수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입력에 따른 제1 VO CLK 주파수를 설정하는 내용과, 그렇게 설정된 최적 VO CLK 주파수를 산출하여 설정하는 내용에 대해 각각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처리부(510)가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처리부(51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처리부(510)는 감지부(520), 연산부(530) 및 제어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비록 도 5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도 1의 메모리(140)가 더 참조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520)는 입력 신호에 따른 해상도 변경 여부, 온도/소비전력 변화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530)는 상기 감지부(520)를 통해 해상도 변경이 감지되면, 변경된 해상도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제1 VO CLK 주파수를 기준으로 하여, VO CLK 주파수를 변경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디오 VO CLK 주파수(예를 들어, 제2 VO CLK 주파수)에 따른 디바이스 성능 정보 값들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제1 VO CLK 주파수는 예를 들어, 도 7의 VO CLK 테이블로부터 해당 해상도에 대해 맵핑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어부(540)는 상기 연산부(530)에서 연산된 디바이스 성능 정보 값들을 참조하여, 해당 해상도에 최적의 VO CLK 주파수를 선택 및 결정하여, 상기 제1 VO CLK 주파수에서 상기 결정된 VO CLK 주파수로 조정 변경하여,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해당 변경된 VO CLK 주파수에 따른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80)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VO CLK 주파수는, 상기 제1 VO CLK 주파수에 따른 디바이스 성능 정보와 무관하게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해 튜닝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VO CLK 주파수는, 상기 제1 VO CLK 주파수에 따른 디바이스 성능 정보에 따라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해 튜닝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VO CLK 주파수는, 상기 제1 VO CLK 주파수를 기준으로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해 튜닝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디바이스 성능 정보는, 해당 VO CLK 주파수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영상의 화질 데이터와 칩의 온도 및 소비전력 변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화질 데이터는, 데이터 에러 유무 판단을 위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 값 확인, 다이내믹 컬러(dynamic color)와 다이내믹 콘트라스트(dynamic contrast) 인에이블(enable) 확인, 가멧(Gammet) 인에이블 확인, FRC(Frame Rate Converter) 인에이블 확인 및 로컬 디밍(Local dimming) 인에이블 확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질 팩터의 인에이블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영상의 화질 열화 여부 판단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 성능 정보에 포함된 상기 출력 영상의 화질 데이터와, 칩의 온도 및 소비전력 변화 데이터에 대해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VO CLK 주파수에 따른 화질 데이터와 칩의 온도 및 소비전력 변화 데이터의 가중치의 합산 결과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성능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각 VO CLK 주파수에 대한 디바이스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최적 VO CLK 주파수 산출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 튜닝에 따른 디바이스 성능 정보에 관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가 제1 임계치 미만이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VO CLK 주파수 중 가장 낮은 VO CLK 주파수를 상기 최적 VO CLK 주파수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VO CLK 주파수에 따른 디바이스 성능과 상기 입력 신호 튜닝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VO CLK 주파수에 따른 디바이스 성능 정보의 차이가 제2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제1 VO CLK 주파수와 상기 입력 신호 튜닝 시 가장 낮은 제2 VO CLK 주파수 중 더 낮은 VO CLK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VO CLK 주파수와 상기 입력 신호 튜닝 시 가장 낮은 제2 VO CLK 주파수의 차이가 제3 임계치 이상이면, 상기 가장 낮은 제2 VO CLK 주파수를 상기 최적 VO CLK 주파수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VO CLK 주파수에 따른 디바이스 성능 정보와 상기 입력 신호 튜닝에 따른 모든 VO CLK 주파수에 따른 디바이스 성능 정보의 평균값과의 차이가 제4 임계치 미만이면, 상기 제1 VO CLK 주파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에 따른 해상도 변경이 있는 경우에만 상기 제1 VO CLK 주파수를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 신호에 따른 해상도 변경을 감지하고, 변경된 해상에 따른 제1 VO CLK 주파수를 설정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설정된 제1 VO CLK 주파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입력 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VO CLK 주파수로 튜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설정된 제1 VO CLK 주파수 및 상기 튜닝되는 각 제2 VO CLK 주파수에 따른 디바이스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제3 VO CLK 주파수 즉, 최적 VO CLK 주파수 산출하고, 산출된 VO CLK 주파수가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해 적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VO CLK 주파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처리부(510)는 입력 신호에 따른 해상도 변경을 감지하면(S101), 감지된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1 VO CLK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S103).
이 때, 상기 처리부(510)는 상기 설정된 제1 VO CLK 주파수에 기초하여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처리부(510)는 상기 S103 단계 이후에 본 발명에 따른 어댑티브 VO CLK 주파수 추정 알고리즘 기반으로 해당 해상도에 최적의 VO CLK 주파수를 산출하고(S105), 산출된 최적의 VO CLK 주파수를 상기 입력 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S107). 따라서, 처리부(510)는 상기 S107 단계 시점 이후부터는 적용된 VO CLK 주파수에 따라 상기 입력 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180)를 통해 영상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VO CLK 테이블을 예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열에 해상도, 제2 열에 코덱 정보, 그리고 제3 열에 디폴트 VO CLK 주파수가 서로 맵핑되어 정의되었다. 이 때, 상기 코덱 정보는 나열된 코덱 예를 들어, AV1(AOMedia Video 1), VVC(Versatile Video Coding),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VP9, AVS(Audio Video Coding Standard) 등인 경우에는 상기 해상도와 디폴트 VO CLK 주파수의 변화는 없으나, 만약 상기 나열된 코덱이 아닌 경우에는 도 7의 VO CLK 테이블에서 정의한 해상도 대비 디폴트 VO CLK 주파수는 달라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해상도가 2K 30일 경우에는 디폴트 VO CLK 주파수는 200이 할당(설정)되고, 4K 120인 경우에는 디폴트 VO CLK 주파수는 600Mhz(최대 VO CLK 주파수)가 할당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비록 도 7에서는 해상도가 2K, 4K인 경우에 대해서만 정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FHD(Full-HD)나 8K 등 다양한 해상도에 대해 정의 가능하다.
도 8의 (a)는 예컨대,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입력 신호에 따라 VO CLK 주파수를 적용하는 예를 설명하는 그래프이다. 즉, 도 8의 (a)를 참조하면,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는 항상 고정값(예를 들어, 600Mhz(최대 VO CLK 주파수))을 사용하며, 이는 상기 입력 신호에 따라 해상도 변경 유무와 무관하게 획일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8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입력 신호에 따른 해상도 변경을 고려하여 어댑티브하게 VO CLK 주파수를 제어하는 예시를 나타내었다. 도 8의 (b)는 편의상 VO CLK 주파수가 최소 200Mhz에서 최대 600MHz 범위 내에서 해상도에 따라 리니어(linear)하게 설정되는 것을 예로 한 것이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8의 (b)는 디폴트 VO CLK 주파수의 할당에 대한 것이고, 튜닝되는 VO CLK 주파수는 도시된 바와 달리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니어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0은 상기 도 8의 (b)에서 할당된 디폴트 VO CLK 주파수에 이어, 상기 디폴트 VO CLK 주파수를 기준으로 하여 입력 신호를 소정 방식으로 트랙킹(tracking)하는 실시 예로 볼 수 있다.
도 10의 (a)에서는 튜닝되는 소정 VO CLK 주파수 단위를 도 8의 (b)와 같이, 리니어한 값을 채용한 경우이다. 즉, 도 10의 (a)에서는 디폴트 VO CLK 주파수(120)가 450Mhz로 설정된 경우에, 좌우 트랙킹 범위에서 각각 2번씩 튜닝(2탭)을 하되, 각 튜닝 VO CLK 주파수는 10Mhz씩 차이로 정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면, 도 10의 (b)에서는 튜닝되는 소정 VO CLK 주파수 차이는 도 10의 (a)와 같이, 10Mhz이나 튜닝에 이용되는 VO CLK 주파수 값들이 리니어하게 선정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1에서는 최초 설정된 제1 디폴트 VO CLK 주파수(1110)가 450Mhz이고 10Mhz 단위로 좌우로 튜닝을 수행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일정 시간(Tvo clk)이 경과한 후에, 제2 디폴트 VO CLK 주파수(1120)로 400Mhz를 설정하고, 마찬가지로 10Mhz 단위로 좌우로 튜닝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도 11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상기 제1 디폴트 VO CLK 주파수(1110)를 설정하고 튜닝을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결과로부터 디바이스 성능 정보에 기초할 때 최적의 VO CLK 주파수를 산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값을 가지는 제2 디폴트 VO CLK 주파수(1120)를 설정하고 튜닝하여 최적의 VO CLK 주파수를 산출하도록 시도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최적의 VO CLK 주파수를 산출할 때까지 반복 수행되되, 상기 각 디폴트 VO CLK 주파수 값은 매회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비록 도 11에서는 좌우로 1번 총 2번의 튜닝을 수행하나, 반복 수행에 따라 튜닝 횟수 내지 범위가 달라질 수도 있다.
한편, 도 10 내지 11에서 튜닝에 이용된 주파수 차이는 10Mhz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 설정 가능하거나 학습 등을 통해 업데이트 또는 수정 가능하다.
다음으로, 전술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최적의 VO CLK 주파수를 산출하기 위한 어댑티브 VO CLK 주파수 추정 알고리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처리부(510)는 제n VO CLK 주파수(여기서, 상기 n은 자연수)를 설정할 수 있다(S201).
이 때, 상기 S201 단계에서 설정되는 제n VO CLK 주파수는 제1 VO CLK 주파수를 포함하여 미리 정의된 범위에서 튜닝되는 제2 VO CLK 주파수 중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미리 정의된 범위는 예를 들어, 도 10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VO CLK 주파수를 기준으로 좌우로 10MHz씩 2탭(Tap) 이동하면서, 튜닝될 수 있다.
처리부(510)는 상기 제n VO CLK 주파수 설정에 따른 칩의 온도와 데이터 에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203/S205).
처리부(510)는 제n VO CLK 주파수를 설정한 후에 설정된 VO CLK 주파수에 따른 온도 확인 및 데이터 에러 여부 확인 즉, S201 내지 S205 단계를 하나의 세트로 보아, 이를 M회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M은 자연수로서, 임의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M은 도 10의 (a) 내지 (b)를 참조하면, 제1 VO CLK 주파수와 트랙킹 범위 내의 다른 주파수까지 포함하여, '5'일 수 있다. 즉, 도 10의 (a) 내지 (b)에 따르면, M은 5이고, 이는 상기 S201 내지 S205 단계를 5회 반복 수행함을 나타낼 수 있다. 다만, 각 회차에서 n값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처리부(510)는 S205 단계 수행 이후에 해당 회차 즉, 모든 트랙킹 범위 내의 VO CLK 주파수에 대하여 온도 확인 및 데이터 에러 여부 확인을 수행한 것인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 만약 M회 반복 수행한 것으로 판단되면, 동작을 종료할 수 있다.
전술한 도 9의 경우에는, 제n VO CLK 주파수 즉, 하나의 특정 VO CLK 주파수를 설정한 후, 해당 VO CLK 주파수가 입력 신호에 대해 적절한 주파수인지 또는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해 최적의 주파수를 찾기 위하여, 온도 및 데이터 에러 여부를 확인하여 디바이스 성능을 판단하였다.
반면, 도 12에서는 반대로 이벤트(event) 발생을 감지하고, 칩(SoC) 온도의 변화에 기초하여, 기설정된(또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VO CLK 주파수에 대한 조정을 제어하는 과정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처리부(510)는 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S301).
처리부(510)는 상기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현재 칩 온도의 변화 예컨대, 온도가 미리 정한 소정 시점 이전에 비하여 상승하였는지 또는 온도 상승폭이 미리 정의한 임계치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303). 이 때, 상기 온도 변화 판단은 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이용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처리부(510)는 예를 들어, 온도가 상승하였으면, 다시 온도 상승폭이 임계치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303 단계에서, 온도 변화 판단의 기준으로 상기 미리 정한 소정 시점은 예를 들어, 임의 설정 가능하며, 상기 이벤트 발생 (감지) 시점 또는 그 이전이면 족하다. 실시 예에 따라서, 상기 미리 정한 소정 시점은 예를 들어, 상기 이벤트 발생 (감지) 시점으로부터 1분, 3분, 5분, ??, 1시간 등과 같은 구체적인 수치로 나타내거나 직전 이벤트 발생 (감지) 시점, 마지막 온도 변화(상승 또는 하강) 시점, 직전 온도 변화 판단 시점 등일 수도 있다.
처리부(510)는 상기 S303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온도가 상승하지 않았거나 온도가 상승하였다고 하더라도 상승폭이 임계치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감지한 이벤트를 무시(ignore or disregard)할 수 있다.
반면, 처리부(510)는 상기 S303 단계 판단 결과, 만약 온도가 상승하였거나 온도 상승폭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는, 다음 단계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처리부(510)는 상기 감지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또는 상기 온도 변화에 따른 제1 VO CLK 주파수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305). 이 때, 상기 추출을 위하여 예를 들어, VO CLK 테이블(룩업 테이블)(미도시)이 참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서는 입력 신호에 따른 해상도, 코덱 정보 및 VO CLK 주파수가 서로 맵핑된 형태의 룩업 테이블인데 반하여, 도 8에서는 이벤트 타입이나 속성 정보, 온도 상승폭, 및 VO CLK 주파수가 서로 맵핑된 형태의 룩업 테이블이 참조될 수 있다. 이 때, 도 12에서 참조하는 룩업 테이블에서 VO CLK 주파수는 도 7과 같이 특정 VO CLK 주파수를 정의할 수도 있으나, VO CLK 주파수의 변동폭(예를 들어, +20Mhz, -10Mhz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처리부(510)는 상기 S305 단계 이후에 전술한 도 9의 900 과정을 적어도 1회 이상 수행 또는 복수회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처리부(510)는 상기 감지한 이벤트나 온도 상승 대응 최적 VO CLK 주파수를 산출하고(S307), 산출된 VO CLK 주파수를 기설정된 VO CLK 주파수를 대신하여 적용할 수 있다(S309).
상기 처리부(510)는, 이벤트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하여 칩의 온도 및 소비전력 변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처리부(510)는, 상기 추출된 칩의 온도 및 소비전력 변화 데이터의 변화량이 이전 추출된 칩의 온도 및 소비전력 변화 데이터 대비 임계치 이상 변화된 경우에만 상기 제1 VO CLK 주파수를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기생성한 VO CLK 테이블(룩업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방법에 대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13은 설명의 편의상 서버(server)(미도시)의 관점에서 기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9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에서 동작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3에서 기술하는 VO CLK 테이블의 업데이트는 예를 들어, 설정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서버는 네트워크에 속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VO CLK 테이블을 수신하여 DB에 저장할 수 있다(S401).
서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로그 데이터(log data)를 수신할 수 있다(S403). 이 때, 상기 로그 데이터의 수신은 예를 들어, 미리 약속된 주기(예를 들어, 1개월, 3개월, 6개월, 1년 등 단위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로그 데이터의 수신은 예를 들어, VO CLK 테이블 내 맵핑된 값들의 변경 적용이 이루어진 경우에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변경 적용이 임계치 이상의 유의미한 변화인 경우에만 상기 로그 데이터의 수신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에서, 로그 데이터는 예를 들어, 온도, 데이터 에러 여부 등을 포함하여, VO CLK 주파수와 관련된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에 대한 로그값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는 상기 S403 단계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로그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를 미리 생성된 인공지능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학습할 수 있다(S405).
서버는 상기 S405 단계에서 학습한 결과에 기초하여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VO CLK 테이블의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7).
서버는 상기 S407 단계 판단 결과 만약 VO CLK 데이터에 업데이트가 있었다면, 해당 VO CLK 데이터가 반영되도록 VO CLK 테이블을 업데이트하고, 저장할 수 있다(S409).
실시 예에 따라, 도 6, 9 및 12-13에 도시된 동작 순서와는 다른 동작 순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 9 및 12-13에 도시된 동작들 중 일부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 9 및 12-13에 비록 도시되었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 일부 동작은 생략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르면, 입력에 따라 대응하는 VO CLK 주파수를 결정하여 자동 설정할 수 있고, 상기 자동 설정 이후 해당 입력에 최적의 VO CLK 주파수를 산출하여, 기설정된 VO CLK 주파수로 조정 즉, 설정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한 과정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되는 영상에 대한 화질 손상이나 열화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발열 및 소비전력에 최적의 조건으로 설정하여, 칩의 온도 증가를 방지하거나 칩의 온도를 낮출 수 있어 결과적으로 해당 칩의 수명 및 디스플레이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30 : 방송 수신부
135 : 외부장치 인터페이스 140 : 메모리
150 :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 170 : 컨트롤러
173 :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180 : 디스플레이
185 : 스피커 190 : 전원 공급 회로
510 : 처리부 520 : 감지부
530 : 연산부 540 : 제어부

Claims (15)

  1. 메모리;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 신호에 대해 제1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제1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각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에 따른 디바이스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최적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상기 입력 신호를 위한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는,
    상기 입력 신호의 해상도에 따라 미리 정의된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인,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는,
    상기 제1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에 따른 디바이스 성능 정보와 무관하게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해 튜닝되도록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는,
    상기 제1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에 따른 디바이스 성능 정보에 따라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해 튜닝되도록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는,
    상기 제1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기준으로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해 튜닝되도록 설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성능 정보는,
    해당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에 기초하여, 출력되는 영상의 화질 데이터와 칩의 온도 및 소비전력 변화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질 데이터는,
    데이터 에러 유무 판단을 위한 CRC(Cyclic Redundancy Check) 값 확인, 다이내믹 컬러(dynamic color)와 다이내믹 콘트라스트(dynamic contrast) 인에이블 확인, 가멧(Gammet) 인에이블 확인, FRC(Frame Rate Converter) 인에이블 확인 및 로컬 디밍(Local dimming) 인에이블 확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화질 팩터의 인에이블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출력 영상의 화질 열화 여부 판단에 이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 성능 정보에 포함된 상기 출력 영상의 화질 데이터와, 칩의 온도 및 소비전력 변화 데이터에 대해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에 따른 화질 데이터와 칩의 온도 및 소비전력 변화 데이터의 가중치의 합산 결과에 기초하여 디바이스 성능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각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에 대한 디바이스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최적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 산출에 이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에 따른 해상도 변경이 있는 경우에만 상기 제1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벤트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하여 칩의 온도 및 소비전력 변화 데이터를 추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칩의 온도 및 소비전력 변화 데이터의 변화량이 이전 추출된 칩의 온도 및 소비전력 변화 데이터 대비 임계치 이상 변화된 경우에만 상기 제1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설정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 신호에 대하여 해상도, 코덱 및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가 맵핑된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해 튜닝되어 설정된 각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에 따른 디바이스 성능 정보 관련 로그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로그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룩업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입력 신호에 따른 해상도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해상도에 따른 제1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제1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에 기초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제1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상기 입력 신호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로 튜닝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제1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 및 상기 튜닝되는 각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에 따른 디바이스 성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최적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비디오 출력 클록 주파수가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해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220081432A 2022-07-01 2022-07-0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4000362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432A KR20240003623A (ko) 2022-07-01 2022-07-0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8/120,333 US20240004418A1 (en) 2022-07-01 2023-03-10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23161371.2A EP4300479A1 (en) 2022-07-01 2023-03-13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432A KR20240003623A (ko) 2022-07-01 2022-07-0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623A true KR20240003623A (ko) 2024-01-09

Family

ID=85571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432A KR20240003623A (ko) 2022-07-01 2022-07-01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04418A1 (ko)
EP (1) EP4300479A1 (ko)
KR (1) KR20240003623A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8192B2 (en) * 2008-06-30 2013-11-05 Intel Corporation Power efficient high frequency display with motion blur mitig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00479A1 (en) 2024-01-03
US20240004418A1 (en)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1039B2 (en) Image display device
CN108513152B (zh) 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CN110402583A (zh) 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CN112911355A (zh) 显示装置
KR20240010068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0362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67194B1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953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56679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3938735B (zh) 显示器装置
EP3902269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102168340B1 (ko) 영상 표시 기기
KR20200131559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40055005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of
US11195476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974004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1776456B2 (en) Display device
KR10264658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962832B2 (en) Display device, remote control device and display system including display device and remote control device
US20230269415A1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258250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EP4350692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20215792A1 (en) Display device
CN109845284B (zh) 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KR2024001661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