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329A -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기획을 수행하고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하여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투자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기획을 수행하고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하여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투자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329A
KR20240003329A KR1020220080650A KR20220080650A KR20240003329A KR 20240003329 A KR20240003329 A KR 20240003329A KR 1020220080650 A KR1020220080650 A KR 1020220080650A KR 20220080650 A KR20220080650 A KR 20220080650A KR 20240003329 A KR20240003329 A KR 202400033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nft
brand
beverage
n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세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블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블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블러스
Priority to KR1020220080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3329A/ko
Publication of KR20240003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3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06Q10/06395Quality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6Asset management; Financial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기획을 수행하고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하여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투자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메타버스 커머스 플랫폼에서 식음료 브랜드 및 신규 식음료 제품을 기획하고,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에 기반하여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생성하고, NFT에 대한 지분 투자자를 모집하고, NFT의 지분에 기반하여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의 수익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기획을 수행하고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하여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투자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CONDUCTING FOOD AND BEVERAGE BRAND AND PRODUCT PLANNING ON A METAVERSE PLATFORM AND INVESTING IN FOOD AND BEVERAGE BRANDS AND PRODUCTS USING NON-FUNGIBLE TOKENS}
본 발명은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기획을 수행하고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하여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투자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메타버스 커머스 플랫폼에서 식음료 브랜드 및 신규 식음료 제품을 기획하고,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에 기반하여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생성하고, NFT에 대한 지분 투자자를 모집하고, NFT의 지분에 기반하여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의 수익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뷰티, 라이프스타일 등 다양한 영역에서 기존의 대기업 기반의 대형 커머스 플랫폼이 아닌 크리에이터 중심의 판매 시장이 형성되었다. 대기업 기반의 대형 커머스가 일주일 판매할 물량을 한 명의 창작자(creator, 크리에이터)가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통해 몇 시간 만에 모두 판매한 사례는 이제 흔한 일이 되었다. 그러나, 유튜브,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기반의 크리에이터, 인플루언서들이 판매하는 시장도 최근에는 점차 포화 상태로 되고 있다. 크리에이터가 중심이 되는 온라인 커머스는 어느새 대중화된 컨셉이 되었지만 온라인 판매 채널이나 형식의 발전이 크리에이터 방식 마케팅의 성장을 뒷받침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메타버스, 블록체인 등의 신기술을 도입하여, 크리에이터의 창작, 커뮤니티의 형성, 탈중앙화된 금융 시스템과 투자, NFT와 블록체인을 통한 커뮤니티의 금융 통화 기술이 결합되는 방식의 새로운 커머스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소품종 대량생산에서 다품종 소량생산, 그리고 소비자가 실제 제작자가 되는 프로슈머까지 진화해온 것이 최근에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채널과 메타버스와 같은 저작도구를 활용한 크리에이터 문화로 이어지게 되었다. 실제로 많은 크리에이터들이 단순히 PPL(product placement) 광고나 사업적으로 연계된 제품을 판매만 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제품의 기획 및 제작에 참여하는 비중이 높아지게 되었고, 이러한 과정을 뒷받침하는 새로운 형태의 기획사 및 제조 대행사들이 생겨나고 있다. 기존에는 사용자가 제품을 기획하고, 생산하고, 마케팅하고, 판매하는 모든 과정에서 자본과 네트워크를 포함한 일반적인 자원을 보유하지 않으면 사실상 수익을 창출하기 어렵고 자영업에 머무를 수밖에 없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최근 온라인 커머스 시장은 크리에이터 중심의 구조로 재편되며, 자본과 네트워크가 전무한 사용자라도 제품에 대한 기획력이나 아이디어만 있으면 충분히 시장에 진입할 수 있고, 제품을 대행하여 제조할 수 있고, 이를 자신이 보유한 SNS 채널에서 오프라인 매장이나 홈쇼핑, 대기업 커머스 채널 같은 것들에 의존하지 않고도 판매할 수 있게 되고 있다.
이는 마케팅 방식이 전환되고 있음에도, 실질적인 온라인 판매 등에 있어서 여전히 사용되는 도구가 기존 방식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에, 크리에이터들이 보다 용이하게 커머스의 주체가 되어 수익 창출을 하는 사업 구조를 구축하는 데 기술적인 어려움이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그들에게 맞춤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서비스나 플랫폼을 직접 구축하기에는 또 다시 자본이나 지식의 한계에 부딪혀야 하고, 기존 서비스를 활용하는 경우에는 해당 플랫폼에 종속되거나, 비용을 지불하거나, 제한된 활동을 할 수밖에 없는 구조에 놓여 있다.
최근 화두가 되는 NFT와 블록체인, 그리고 메타버스 기술을 활용하여 크리에이터 중심의 커머스 시스템이 완전하게 운영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이 필요하다. 특히, 접근성이 낮고 중소상공인 비중이 높은 식음료(Food & Bevarage, F&B) 분야에 대하여 아이디어를 가진 크리에이터들이 손쉽게 브랜드/제품을 기획하고 시장을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1) F&B 메타버스 커머스 랜드 사용자 유입 및 코인 발행, (2) 크리에이터들이 제품의 기획과 판매에 참여, (3) 해당 판매에 대해 NFT 발행 및 거래, 스테이킹 (4) NFT 커뮤니티 운영 및 유지, (5) 실물 매장 및 커머스와 연계하는 기능의 제공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메타버스 커머스 플랫폼에서 식음료 브랜드 및 신규 식음료 제품을 기획하고,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에 기반하여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생성하고, NFT에 대한 지분 투자자를 모집하고, NFT의 지분에 기반하여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의 수익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83232호 (2021.07.23.) (비디오 커머스 시스템에서 라이브 영상 방송을 통해 상품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 및 실시간 상품 정보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해결 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기획을 수행하고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하여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투자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메타버스 커머스 플랫폼에서 식음료 브랜드 및 신규 식음료 제품을 기획하고,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에 기반하여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생성하고, NFT에 대한 지분 투자자를 모집하고, NFT의 지분에 기반하여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의 수익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장치,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서버로부터 메타버스 커머스 플랫폼 내 식음료(food and beverage, F&B) 브랜드의 가상 매장 정보를 송수신기에 의하여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메타버스 커머스 플랫폼 내 상기 식음료 브랜드의 상기 가상 매장 정보를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메타버스 커머스 플랫폼 내 신규 식음료 브랜드의 생성 정보 및 상기 신규 식음료 브랜드 내 제1 신규 식음료 제품의 정보, 또는 상기 식음료 브랜드 내 제2 신규 식음료 제품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를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에 기반하여 제1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의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1 NFT의 정보는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의 설명 정보,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의 창작자 정보, 상기 제1 NFT의 소유권 이전 이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NFT의 최초 소유자는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의 창작자로 설정되고, 상기 서버를 통해 운영되는 메타버스 플랫폼에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를 업로드 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NFT의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장치,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기획을 수행하고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하여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투자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메타버스 커머스 플랫폼에서 식음료 브랜드 및 신규 식음료 제품을 기획하고,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에 기반하여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생성하고, NFT에 대한 지분 투자자를 모집하고, NFT의 지분에 기반하여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의 수익을 분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 제2 사용자 단말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의 동작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메타버스 커머스 시스템에서 최초 가입시 기본 가상 화폐 및 NFT 멤버십의 지급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메타버스 커머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브랜드/제품에 대한 창작자(creator, 크리에이터)로서 기획에 참여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메타버스 커머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창작자(creator, 크리에이터)로서 기획에 참여한 브랜드/제품의 메타버스 내 가게에 입점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메타버스 커머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창작자(creator, 크리에이터)로서 기획에 참여한 브랜드/제품에 대한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발행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메타버스 커머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창작자(creator, 크리에이터)로서 기획에 참여한 브랜드/제품에 대한 온라인 매장과 오프라인 매장의 연계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100), 서버(200), 제2 사용자 단말(300: 300-1, 300-2, ..., 300-n), 블록체인 네트워크(400),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500)를 포함한다.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식음료(food and beverage, FNB, F&B) 브랜드/제품 정보(600)의 창작자에 의하여 운영되는 단말이다. 제1 사용자 단말(100)은 FNB 브랜드/제품 정보(600)에 대한 정보 생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생성된 FNB 브랜드/제품 정보(600)를 유/무선 네트워크(500)를 통해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는 단말이다. 제1 사용자 단말(100)은 FNB 브랜드/제품 정보(600)에 기반하여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생성하고, NFT의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전송할 수 있는 단말이다. 제1 사용자 단말(100)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를 구성하는 노드로서,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다. 제1 사용자 단말(100)은 컴퓨터, 셀룰러 폰,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이,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송수신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정보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장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장치 등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서버(200)는 메타버스 가상 현실 플랫폼 기반 온라인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운영되는 서버이다. 서버(200)는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제1 사용자 단말(1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300-1, 300-2, ..., 300-n)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이다. 서버(200)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를 구성하는 노드로서,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이다. 서버(200)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송수신기, 정보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300: 300-1, 300-2, ..., 300-n)은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를 구성하는 노드에 해당하는 단말로서, 유/무선 네트워크(500)를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 접속하고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다. 제2 사용자 단말(300: 300-1, 300-2, ..., 300-n)의 사용자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로부터 FNB 브랜드/제품 정보(600)를 수신하고, FNB 브랜드/제품 정보(600)를 인지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300: 300-1, 300-2, ..., 300-n)은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 서버(2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다. 제2 사용자 단말(300: 300-1, 300-2, ..., 300-n)은 컴퓨터, 셀룰러 폰, 스마트 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이,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는 송수신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정보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장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출력 장치, 카메라 등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는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복수의 노드들을 의미한다. 여기서, 블록체인 기술은 블록이 체인 형태로 연결된 저장 구조를 사용하여 관리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들에 저장하는 분산 저장 기술이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 서버(200), 제2 사용자 단말(300: 300-1, 300-2, ..., 300-n) 등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된 트랜잭션을 사전 결정된 합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블록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블록 형태로 저장되는 데이터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를 구성하는 복수의 노드들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는 구현 형태에 따라서 임의의 노드들이 합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 또는 사전 결정된 노드만이 합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서 수행되는 합의 알고리즘은: PoW(Proof of Work) 알고리즘, PoS(Proof of Stake) 알고리즘, DPoS(Delegated Proof of Stage) 알고리즘, PBFT(Practical Byzantine Fault Tolerance) 알고리즘, DBFT(Delegated Byzantine Fault Tolerance) 알고리즘, RBFT(Redundant Byzantine Fault Tolerance) 알고리즘, Sieve 알고리즘, Tendermint 알고리즘, Paxos 알고리즘, Raft 알고리즘, PoA(Proof of Authority) 알고리즘 및/또는 PoET(Proof of Elapsed Time)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서의 노드들은 계층 구조에 따른 블록체인 코어 패키지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상기 계층 구조는: 블록체인 네트워크(400)에서 다뤄지는 데이터의 구조를 정의하고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이터 계층, 블록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블록을 생성하는 마이닝을 수행하고 마이닝 과정에서 채굴자에게 지급되는 수수료의 처리를 담당하는 합의 계층, 스마트 컨트랙트를 처리 및 실행시키는 실행 계층, P2P 네트워크 프로토콜, 해시 함수, 전자서명, 인코딩 및 공통 저장소를 구현 및 관리하는 공통 계층,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생성, 처리 및 관리되는 응용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500)는, 제1 사용자 단말(100), 서버(200), 제2 사용자 단말(300: 300-1, 300-2, ..., 300-n), 블록체인 네트워크(400)가 서로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경로를 제공한다.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500)는 특정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구현 예에 따라 적절한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기초의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경우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500)는 유무선 인터넷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100), 서버(200), 제2 사용자 단말(300: 300-1, 300-2, ..., 300-n), 블록체인 네트워크(400)는 셀룰러 네트워크 또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 제2 사용자 단말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100), 제2 사용자 단말(300: 300-1, 300-2, ..., 300-n)는 송수신기(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입력 장치(140), 및 출력 장치(150)를 포함한다.
송수신기(110)는, 프로세서(130)와 연결되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송수신기(1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송수신기(110)는 유선 접속 시스템 및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xx 시스템, IEEE Wi-Fi 시스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시스템, 3GPP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3GPP 5G NR(new radio) 시스템, 3GPP2 시스템, 블루투스(bluetooth) 등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송수신기(110), 메모리(120), 프로세서(130), 입력 장치(140), 출력 장치(150)와 연결되고, 입력 장치(140)를 통해 입력된 정보, 송수신기(110)의 통신을 통해 수신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카메라(160)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의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30)와 연결되고 프로세서(13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프로세서(130)의 연산에 의하여 생성된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송수신기(110)를 통해 정보 등을 전송 또는 수신한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입력 장치(140)를 통해 정보를 입력 받는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출력 장치(150)를 통해 정보를 출력한다. 프로세서(1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40)는, 프로세서(130)와 연결되고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입력 장치(140)는 송수신기(130)를 통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800)로 연결된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 장치(140)는 터치 디스플레이, 키 패드,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장치(150)는, 프로세서(130)와 연결되고 정보 등을 영상/음성 등의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서, 출력 장치(150)는 송수신기(110)를 통해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800)로 연결된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한 정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출력 장치(150)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서버(200)는 송수신기(210), 메모리(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한다.
송수신기(210)는, 프로세서(230)와 연결되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한다. 송수신기(2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iver),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송수신기(210)는 유선 접속 시스템 및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xx 시스템, IEEE Wi-Fi 시스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시스템, 3GPP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3GPP 5G NR(new radio) 시스템, 3GPP2 시스템, 블루투스(bluetooth) 등 다양한 무선 통신 규격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송수신기(220)와 연결되고, 송수신기(220)의 통신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100), 또는 제2 사용자 단말(300: 300-1, 300-2, ..., 300-n)로부터 수신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30)와 연결되고 프로세서(23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프로세서(230)의 연산에 의하여 생성된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서버(20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송수신기(210)를 통해 정보 등을 전송 또는 수신한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메모리(2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프로세서(2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1 사용자 단말의 동작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의 실시 예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은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장치, 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S401 단계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은 서버로부터 메타버스 커머스 플랫폼 내 식음료(food and beverage, F&B) 브랜드의 가상 매장 정보를 송수신기에 의하여 수신한다.
S402 단계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메타버스 커머스 플랫폼 내 상기 식음료 브랜드의 상기 가상 매장 정보를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한다.
S403 단계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메타버스 커머스 플랫폼 내 신규 식음료 브랜드의 생성 정보 및 상기 신규 식음료 브랜드 내 제1 신규 식음료 제품의 정보, 또는 상기 식음료 브랜드 내 제2 신규 식음료 제품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를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받는다.
S404 단계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에 기반하여 제1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의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생성한다. 상기 제1 NFT의 정보는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의 설명 정보,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의 창작자 정보, 상기 제1 NFT의 소유권 이전 이력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NFT의 최초 소유자는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의 창작자로 설정된다.
S405 단계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를 통해 운영되는 메타버스 플랫폼에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를 업로드 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상기 서버에게 전송한다.
S406 단계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은 상기 NFT의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4의 실시 예는, 상기 제1 NFT에 대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 예치하는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게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복수의 제2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제1 NFT에 대하여 가상 화폐를 통한 지분 투자 참여 정보를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게 지분 투자 참여한 가상 화폐의 양에 비례하여 상기 제1 NFT에 대한 일부 지분 정보를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단말들이 수신하는 상기 일부 지분 정보에서 가상 화폐의 양에 대한 상기 제1 NFT 지분 양 비율은 지분 투자 참여를 늦게 할수록 줄어들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4의 실시 예는,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또는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과 연동된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에 기반한 상품이 판매되는 경우,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에 기반한 상품의 판매에 기반하는 수익 중 일부 지급의 정보를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게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단말들 각각의 상기 제1 NFT에 대한 일부 지분에 비례하여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가 상기 메타버스 커머스 플랫폼 내 상기 신규 식음료 브랜드의 생성 정보 및 상기 신규 식음료 브랜드 내 상기 제1 신규 식음료 제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신규 식음료 브랜드 내 상기 제1 신규 식음료 제품에 대한 제조, 유통, 품질 관리(quality control, QC)가 상기 메타버스 커머스 플랫폼의 서비스 사업자 단말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가 상기 식음료 브랜드 내 제2 신규 식음료 제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신규 식음료 제품에 대한 제조, 유통, 품질 관리는 상기 식음료 브랜드의 운영자 단말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단말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NFT의 일부 지분은 다른 사용자에게 판매 가능하며, 상기 제1 NFT의 일부 지분의 판매 가격은 상기 제1 NFT의 일부 지분에 대한 수요의 양에 따라서 변동 가능하며, 상기 제1 NFT의 가치는 상기 제1 NFT의 일부 지분의 판매 가격에 기반하여 변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단말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NFT의 일부 지분은 다른 사용자에게 판매 가능하며, 상기 제1 NFT의 일부 지분의 판매 가격은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내에서 상기 복제 디자인의 생성 및 판매에 따라서 생성되는 상기 제2 NFT의 기간 별 생성 개수에 기반하여 변동 가능하며, 상기 제1 NFT의 가치는 상기 제1 NFT의 일부 지분의 판매 가격에 기반하여 변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일부 지분 정보는 상기 제1 NFT와 연동하여 개별 지분 증명(proof of stake, POS)을 위해 발행된 스테이킹 코인의 개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NFT에 대한 일부 지분을 증명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킹 코인에 대한 가상 화폐 기반 가격은 상기 제1 NFT 지분 양 비율은 지분 투자 참여를 늦게 할수록 높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NFT에 대한 상기 스테이킹 코인의 총 개수는 고정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도 4의 실시 예는, 상기 서버로부터 소정의 기본 가상 화폐 지급 정보를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에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를 업로드 하기 위하여 상기 기본 가상 화폐 지급 정보 중 일부 가상 화폐의 지급 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에게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에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를 업로드 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의 수익에 기반한 가상 화폐 지급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장치,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F&B 메타버스 커머스 랜드 사용자 유입 및 코인 발행
- 메타버스 커머스 플랫폼 내에 F&B 랜드에 진입하면 특정 브랜드가 해당 구역을 소유하고 매장을 입점하고 운영할 수 있는 가상의 공간이 존재한다.
- 해당 플랫폼과 관련된 행위자는 (1) 일반 소비자 (2) 크리에이터 (3) 브랜드 (때로는 크리에이터 자신) (4) 서비스 제공자이며, (3) 브랜드는 제품의 소유권과 사업권을 보유하고 실제 제작 및 유통을 전담하는 기관을 의미한다.
- 커머스 랜드에 가입한 사용자에게는 최초에 10 코인을 무료로 발행하고, 해당 브랜드 구역에 진입하는 사용자에게도 최초에는 PFP로 활용할 수 있는 해당 브랜드에서 파생된 NFT를 무료로 지급한다. 초기 무료 코인 지급 및 NFT 에어 드랍 이벤트를 통해 초기 사용자의 가입 및 지갑 연동 등을 유도할 수 있다.
- 사용자가 (1)에서 기획한 브랜드/제품 관련 정보에 대해 NFT를 발행하고 메타버스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별도의 마켓플레이스에 업로드할 수 있다.
- 마켓플레이스에 업로드된 NFT는 우선 일반적인 방식으로 거래되며 소유권이 이전될 수 있다.
(2) 크리에이터들이 제품의 기획과 판매에 참여
- 크리에이터는 두 가지 방식으로 존재한다. (a) 브랜드 내에 제휴하여 새로운 제품을 기획하고 판매하는 데 참여하고 판매량과 매출에 따른 수수료를 획득한다. (b) 브랜드 구역 외의 편집숍에 입점하여 자신의 브랜드를 론칭하고 판매한다.
- 초기 크리에이터들에게 메타버스 커머스 및 마켓플레이스의 높은 비중을 제공하기에는 리스크가 존재하기 때문에 (검증 이슈) 거래 내역과 VOC 내역 등을 분석하여 플랫폼 내에서 등급으로 관리하여 운영하고 해당 레벨에 따라 판매권 및 접근 권한을 부여한다.
- 브랜드 내에 소속되어 활동하는 크리에이터의 경우 해당 브랜드가 기획 및 판매되는 제품에 대한 제조 및 유통, QC 등을 전담한다.
- 브랜드 내에 소속되지 않은 구역의 크리에이터의 경우 서비스 사업자가 대행업체를 통해 신규 제품에 대한 제조, 유통, QC를 대행하여 소비자들이 얻을 수 있는 리스크를 헷징한다.
(3) 제품에 대한 NFT 발행 및 거래, 스테이킹
- 크리에이터들은 제품에 대한 아이디어 및 description을 플랫폼이 제공하는 마켓 플레이스에 등록하게 된다.
- 해당 제품은 NFT로 발행되어 마켓플레이스에서 사용자들이 접근할 수 있고 구매할 수 있게 제공된다. 이 단계에서는 실제 제품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 스테이킹 개념을 활용해 크리에이터들이 기획한 제품이 얼마나 인기를 얻을지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NFT의 스테이킹과 관련된 구체적인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 식별된 발행 회차에 따라 결정되는 스테이킹 개수의 코인을 스테이킹하고 상기 아이템에 대하여 개별지분증명(POS: Poof of Stake) 방식으로 상기 식별된 발행 회차의 NFT를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 (계산식 1) 스테이킹 개수 = N^n
- 상기 계산식 1에서 N은 최소 스테이킹 개수로서 임의의 자연수이고, n은 발행 회차를 의미한다.
- (계산식 2) 스테이킹 개수 = N^(n)*α
- 상기 계산식 2에서 N은 최소 스테이킹 개수로서 임의의 자연수이고, n은 발행 회차, α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발행된 코인의 발행 총량의 변화율에 비례하는 값을 반영하는 가중치를 의미한다.
- 구체적으로, α=n회차 NFT 발행을 위한 코인 스테이킹 완료 전 네트워크 상에서 발행된 코인 총량 / n-1회차 NFT 발행 시점에 네트워크 상에서 발행된 코인 총량으로 정해 질 수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일부 코인이 소각되거나 추가 발행된 경우의 디플레이션 인플레이션까지 반영할 수 있게 되어 특정 아이템에 관한 스테이킹 코인 개수를 정할 수 있게 된다.
- 또한, 회차 별 코인의 발행총량의 변화량을 가중치 곱으로 사용함으로써, 인플레이션 및 디플레이션의 변화량에 대한 수준과 속도를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다.
- 본 개시에 따른 메타버스 커머스 시스템에 있어서, NFT를 확보하는 것과 아이템에 대한 수익 지분을 평가하는 구체적인 방식을 이원화한 것으로, NFT의 개수를 통해 아이템의 인기를 정확히 측정함과 동시에 NFT가 발행되는 회차가 증가할수록 NFT를 구매하기 위하여 스테이킹할 코인의 개수를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시켜 실제 인기가 많은 것으로 보이게 하기 위하여 코인을 스테이킹하여 NFT를 무분별하게 발행시키는 것을 간접적으로 방어할 수 있게 되며, 나중에 NFT를 발행한 사람에게는 스테이킹된 코인만큼 해당 아이템에 대한 수익 지분을 더 크게 부여한 것이다.
해당 NFT에 대한 스테이킹으로 인기도 증명의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 해당 NFT가 발행될 때 추가적으로 스테이킹 기능을 제공한다.
- 스테이킹을 통해 해당 브랜드/제품이 얼마나 인기를 끄는지를 증명할 수 있고, 초기 참여자들에게는 향후에 인기가 높을 것 같은 아이템에 대해 투자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된다.
- 해당 아이템에 대한 무분별한 스테이킹을 통해 인기 있게 보이도록 조작하는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스테이킹 횟수가 반복됨에 따라 기본적으로 예치해야 하는 코인의 숫자를 증가시킨다. 이에 늦은 차수에 스테이킹을 할수록 많은 양의 코인을 지불하게 하여 무분별한 투자를 제한할 수 있다.
- 그러나 높은 금액의 코인을 지불하여 스테이킹한 참여자에 대해서는 해당 NFT의 지분을 비례해서 지급한다. 따라서 해당 NFT의 가치를 높게 판단하여 많은 금액을 지불한 것에 대한 보상을 제공한다.
- 해당 지분에 대해서는 NFT 거래를 통해 수익을 얻은 대행사에서 실제 차량이 제작되는 경우에 대한 수익 중 일부를 사용자에게 지급하도록 한다.
(4) NFT 커뮤니티 운영 및 유지
- 메타버스 커머스 내 신생 브랜드에서 발행되는 NFT의 경우 해당 브랜드가 대중적으로 노출되고 인기를 끌게 되면 자연적으로 NFT의 가치도 높아진다. 따라서 유사 NFT를 보유한 유저들은 투자 및 이익 배분이라는 측면에서 커뮤니티에 대한 높은 충성도와 결속력을 가지게 된다.
- 연관성이 있는 (동일 브랜드, 동일 NFT 컬렉션 등) NFT 소유자에 대한 자동 친구 리스트 기능을 추가하고, 메타버스 커머스 랜드 내에서도 소모임 같은 커뮤니티 기능을 추가한다.
- 커뮤니티에서 소통하는 NFT 유저들은 해당 브랜드 및 컬렉션의 가치가 높아지기 위해 적극적으로 홍보 및 마케팅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NFT의 지분 투자자들 간의 커뮤니티를 운영하면서 브랜드/제품의 개선 및 가치 상승과 관련된 토론이 이루어지고, 간접적으로 경영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5) 메타버스 상 매장의 커머스를 실물 매장 및 커머스와 연계하는 기능
- 메타버스 내에 실물 매장을 실사 기반의 360도 메타버스 공간으로 옮겨 운영한다.
- 예를 들면 특정 베이커리의 18호점을 메타버스 내에만 유치해서 온라인으로 운영한다.
- 실제 물리적인 공간에 (Physical space) 디지털 기능들을 추가하여 (digital) 사용자 경험을 증진하는 이벤트를 추가한다.
- 메타버스 상 이루어진 상거래를 연계된 실물 매장에서 실질적 상품 거래로 연동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이익금을 NFT 투자자에게 지분과 비례하여 배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메타버스 커머스 시스템에서 최초 가입시 기본 가상 화폐 및 NFT 멤버십의 지급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메타버스 커머스 시스템에 대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가입할 수 있으며, 이 때 NFT 멤버십으로 할인 이벤트, 커뮤니티 이용권, 한정 제품 판매, 굿즈 제공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또한, NFT 연동 지갑을 통해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본 가상 화폐를 지급받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메타버스 커머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브랜드/제품에 대한 창작자(creator, 크리에이터)로서 기획에 참여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따른 메타버스 커머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브랜드/제품에 대한 창작자(creator, 크리에이터)로서 기획에 참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식음료에 대한 브랜드, 제품을 신규 생성할 수 있으며, 해당 브랜드/상품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스토리, 주재료, 가격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메타버스 커머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창작자(creator, 크리에이터)로서 기획에 참여한 브랜드/제품의 메타버스 내 가게에 입점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메타버스 커머스 시스템 내 편집숍에서 사용자가 기획한 브랜드/제품을 입점하여 실제 판매를 하고, 수익금에 대한 배분을 받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메타버스 커머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창작자(creator, 크리에이터)로서 기획에 참여한 브랜드/제품에 대한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을 발행하는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기획한 브랜드/제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NFT를 발행할 수 있다. NFT는 브랜드/제품의 이미지, 특징, 재질, 구매 혜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NFT는 NFT의 소유자 정보, 소유권 이전 이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NFT의 최초 소유자가 사용자로 설정됨을 통해 NFT에 기재된 브랜드/제품의 최초 기획자가 사용자임을 증명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메타버스 커머스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창작자(creator, 크리에이터)로서 기획에 참여한 브랜드/제품에 대한 온라인 매장과 오프라인 매장의 연계 과정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메타버스 커머스 시스템 내 온라인 매장에 사용자가 기획한 브랜드/제품을 입점할 수 있으며, 온라인 매장과 연계된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도 5의 실시 예와 같이 NFT 멤버십을 획득한 제2 사용자가 온라인 매장에 멤버십 보유자의 자격으로 액세스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연계를 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연계 방식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또는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등이 본 발명의 프로세서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코드를 포함하는 저장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들은,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 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 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 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 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본질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모든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 및 본 발명의 균등한 범위 내 가능한 모든 변화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100: 제1 사용자 단말 110: 송수신기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140: 입력 장치 150: 출력 장치
200: 서버 210: 송수신기
220: 메모리 230: 프로세서
300(300-1, 300-2, ..., 300-n): 제2 사용자 단말
400: 블록체인 네트워크 500: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600: 식음료(food and beverage, FNB, F&B) 브랜드/제품 정보

Claims (10)

  1.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은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장치,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서버로부터 메타버스 커머스 플랫폼 내 식음료(food and beverage, F&B) 브랜드의 가상 매장 정보를 송수신기에 의하여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메타버스 커머스 플랫폼 내 상기 식음료 브랜드의 상기 가상 매장 정보를 상기 출력 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메타버스 커머스 플랫폼 내 신규 식음료 브랜드의 생성 정보 및 상기 신규 식음료 브랜드 내 제1 신규 식음료 제품의 정보, 또는 상기 식음료 브랜드 내 제2 신규 식음료 제품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를 상기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에 기반하여 제1 대체 불가능 토큰(non-fungible token, NFT)의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제1 NFT의 정보는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의 설명 정보,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의 창작자 정보, 상기 제1 NFT의 소유권 이전 이력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NFT의 최초 소유자는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의 창작자로 설정되고,
    상기 서버를 통해 운영되는 메타버스 플랫폼에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를 업로드 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상기 서버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NFT의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NFT에 대하여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 예치하는 정보를 상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게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복수의 제2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제1 NFT에 대하여 가상 화폐를 통한 지분 투자 참여 정보를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게 지분 투자 참여한 가상 화폐의 양에 비례하여 상기 제1 NFT에 대한 일부 지분 정보를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단말들이 수신하는 상기 일부 지분 정보에서 가상 화폐의 양에 대한 상기 제1 NFT 지분 양 비율은 지분 투자 참여를 늦게 할수록 줄어들도록 설정되는,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또는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과 연동된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에 기반한 상품이 판매되는 경우,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에 기반한 상품의 판매에 기반하는 수익 중 일부 지급의 정보를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단말들 각각에게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단말들 각각의 상기 제1 NFT에 대한 일부 지분에 비례하여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가 상기 메타버스 커머스 플랫폼 내 상기 신규 식음료 브랜드의 생성 정보 및 상기 신규 식음료 브랜드 내 상기 제1 신규 식음료 제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신규 식음료 브랜드 내 상기 제1 신규 식음료 제품에 대한 제조, 유통, 품질 관리(quality control, QC)가 상기 메타버스 커머스 플랫폼의 서비스 사업자 단말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가 상기 식음료 브랜드 내 제2 신규 식음료 제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신규 식음료 제품에 대한 제조, 유통, 품질 관리는 상기 식음료 브랜드의 운영자 단말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설정되는,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단말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NFT의 일부 지분은 다른 사용자에게 판매 가능하며,
    상기 제1 NFT의 일부 지분의 판매 가격은 상기 제1 NFT의 일부 지분에 대한 수요의 양에 따라서 변동 가능하며,
    상기 제1 NFT의 가치는 상기 제1 NFT의 일부 지분의 판매 가격에 기반하여 변동 가능한,
    방법.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사용자 단말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1 NFT의 일부 지분은 다른 사용자에게 판매 가능하며,
    상기 제1 NFT의 일부 지분의 판매 가격은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 내에서 상기 복제 디자인의 생성 및 판매에 따라서 생성되는 상기 제2 NFT의 기간 별 생성 개수에 기반하여 변동 가능하며,
    상기 제1 NFT의 가치는 상기 제1 NFT의 일부 지분의 판매 가격에 기반하여 변동 가능한,
    방법.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지분 정보는 상기 제1 NFT와 연동하여 개별 지분 증명(proof of stake, POS)을 위해 발행된 스테이킹 코인의 개수에 기반하여 상기 제1 NFT에 대한 일부 지분을 증명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스테이킹 코인에 대한 가상 화폐 기반 가격은 상기 제1 NFT 지분 양 비율은 지분 투자 참여를 늦게 할수록 높아지도록 설정되고,
    상기 제1 NFT에 대한 상기 스테이킹 코인의 총 개수는 고정되도록 설정되는,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소정의 기본 가상 화폐 지급 정보를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에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를 업로드 하기 위하여 상기 기본 가상 화폐 지급 정보 중 일부 가상 화폐의 지급 정보를 상기 서버에게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에게 상기 메타버스 플랫폼에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를 업로드 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신규 브랜드/제품 정보의 수익에 기반한 가상 화폐 지급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송수신기에 의하여 수신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9.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입력 장치,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 사용자 단말.
  10.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20080650A 2022-06-30 2022-06-30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기획을 수행하고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하여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투자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400033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650A KR20240003329A (ko) 2022-06-30 2022-06-30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기획을 수행하고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하여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투자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650A KR20240003329A (ko) 2022-06-30 2022-06-30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기획을 수행하고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하여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투자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329A true KR20240003329A (ko) 2024-01-08

Family

ID=89533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650A KR20240003329A (ko) 2022-06-30 2022-06-30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기획을 수행하고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하여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투자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332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232B1 (ko) 2020-08-18 2021-07-30 주식회사 앱플러 비디오 커머스 시스템에서 라이브 영상 방송을 통해 상품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 및 실시간 상품 정보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3232B1 (ko) 2020-08-18 2021-07-30 주식회사 앱플러 비디오 커머스 시스템에서 라이브 영상 방송을 통해 상품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 및 실시간 상품 정보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1695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network based on uniform code issuance, method therefor, and sensing access device
US20210233048A1 (en) Blockchain-based content sharing and creation server, content distribution server, and system including same
Kollmann et al. Toward a renaissance of cooperatives fostered by Blockchain on electronic marketplaces: a theory-driven case study approach
US2008010923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locating a consumer access right to a live event
US2021012528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08010929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icing contingent rights
US201202265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ally-facilitated collective purchasing
US11315150B2 (en) Portfolio driven targeted advertising network, system, and method
US201901305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etizing Intellectual Property
CN103854207A (zh) 一种网络报酬分配系统及方法
KR20210103450A (ko) 참가자의 활동에 의해 블록체인 화폐가 생성되는 미래예측 플랫폼 제공 서비스 시스템
Bhatt How digital communication technology shapes markets: Redefining competition, building cooperation
Ronteau et al. Digital business models: the new value creation and capture mechanisms of the 21st century
CN111861354A (zh) 一种新型的社团互助式共享福利的商业系统及方法
Lazareva et al. The Innovative Blockchain Technology in the Sharing Economy Subject Decision Making
Klein et al. Feeless micropayments as drivers for new business models: Two exemplary application cases
US20220398553A1 (en) Media distribution system using blockchai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40003329A (ko)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기획을 수행하고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하여 식음료 브랜드 및 제품 투자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16956B1 (ko) 인플루언서와 업체를 매칭시키는 플랫폼 시스템
Klein et al. Feeless Micropayments and Their Impact on Business Models
KR20220106400A (ko) 하이퍼레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p2p 에너지 거래 시스템
CN111062714A (zh) 全类实体私人定制被动营销和全民创业的分享支付方法
KR20190091600A (ko) 참가자의 활동에 의해 블록체인 화폐가 생성되는 미래예측 플랫폼 제공 서비스 시스템
KR20240014847A (ko)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와이너리 셀러 샵에 의해 발행된 nft를 통한 와인의 구매 및 nft 재판매를 통한 와인의 재판매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40030403A (ko) 대체 불가능 토큰을 이용하여 아티스트 투자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