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196A -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196A
KR20240003196A KR1020220080365A KR20220080365A KR20240003196A KR 20240003196 A KR20240003196 A KR 20240003196A KR 1020220080365 A KR1020220080365 A KR 1020220080365A KR 20220080365 A KR20220080365 A KR 20220080365A KR 20240003196 A KR20240003196 A KR 20240003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bolt
sleeve
branch
rod structure
type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관
전호충
전종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80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3196A/ko
Publication of KR20240003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0Side-supporting means therefor, e.g. using guy ropes or str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암반지역의 절개지 및 도로변 콘크리트 옹벽 등의 지면에 천공홀(200)을 형성한 후 천공홀(200)내의 앵커볼트(100)를 슬리브(110)의 타격에 의한 형상 변형에 의해 앵커볼트(100)를 장악하고, 앵커볼트(100)와 아이너트(150)를 체결한 후 아이너트(150)에 연결된 지선연결링(160)과 전주를 지선으로 연결하는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 및 그 시공방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지선시공 기준을 표준화하여 품질 제고는 물론 시공편의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 및 그 시공방법{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Anchor Bolt Type Earth Line Rod}
본 발명은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도 및 인류개소 건주공사 후 지선시공 곤란개소(암반개소, 콘크리트 옹벽 개소 등)의 지선시공할 수 있는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전주를 지지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의 상단에 지선밴드(1)를 설치하고, 이에 아연도 철연선(2)을 연결하여 지선롯드(3)로 지면에 고정시키는데, 상기 아연도 철연선(2)의 중간에는 지선애자(4)를 매개하고 하단에는 지선커버(5)를 설치하며, 상기 지선롯드(3)의 끝단에는 상기 지선롯드(3)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콘크리트근가(6)를 설치하였다.
즉, 종래에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선롯드(3)를 지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먼저 상기 지선롯드(3)에 지선근가(7)를 끼우고, 상기 지선근가(7)의 하단홈에 사각형상의 와셔(8)를 끼운 후, 상기 와셔(8)의 외측으로 2개의 너트(9)를 끼워서 2개의 너트(9)가 상호 밀착되도록 완전히 조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지선롯드(3)의 하부를 통해 지선근가(7), 와셔(8), 2개의 너트(9)를 끼워서 결합하는 기자재 형태는 대지 굴착 방법의 지선공사 시공 개소에만 적용이 가능하지만, 산악지(암반지역) 및 도로변 콘크리트 구조물 개소 등에는 기자재 형태가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시공이 불가능하였다.
즉, 각도 및 인류개소 건주공사 후 지선시공 곤란개소(암반개소, 콘크리트 옹벽 개소 등)가 발생할 때 각도주 및 인류주 개소는 전주경사 우려로 지선 시공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종래의 지선롯드(3)의 기자재 형태로는 시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지선롯드(3)를 임의 절단 및 굴곡 후 지선롯드(3)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시공방법이 통일되지 않아 품질 제고가 어려워 시공 하자 발생은 물론 시공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8593호(2001.12.11.)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암반지역의 절개지 및 도로변 콘크리트 옹벽 등의 지면에 지선시공 기준을 표준화하여 품질 제고는 물론 시공편의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는, 암반 또는 콘크리트 옹벽의 천공홀(200)에 고정되어 지선으로 연결된 전주를 지지하는 지선롯드(90)는, 상기 천공홀(200)에 삽입되는 앵커볼트(100); 상기 앵커볼트(100)의 외경에 끼워져 펀칭기(210)에 의해 타격될 때 하부가 변형되어 상기 천공홀(200)의 내주면에 결속되는 슬리브(110); 상기 슬리브(110)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앵커볼트(100)의 수나사부(104)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체결되는 너트(120), 평와셔(130), 스프링와셔(140), 아이너트(150); 및 상기 아이너트(150)의 상부측 고리부(158)에 연결되는 지선연결링(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앵커볼트(100)의 하부에는 상기 슬리브(110)의 하부가 걸리도록 일정높이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확장부(10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슬리브(110)의 하부는 타격 시 상기 확장부(102)를 타고 하강되면서 벌려져 상기 천공홀(200)의 내주면에 결속되어 상기 앵커볼트(100)를 장악하도록 상기 슬리브(110)의 일정 높이에서 하부측으로 개구된 절개부(1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절개부(114)는 상기 슬리브(110)의 하부 둘레측에 대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아이너트(150)의 하면 중앙측 암나사부(154)와 하면 가장자리측 사이에는 풀림방지돌기(15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풀림방지돌기(156)는 상기 아이너트(150)의 하면 둘레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펀칭기(210)는 상부보다 하부 외경이 작은 중공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지선연결링(160)은 절연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시공방법은, 암반 또는 콘크리트 옹벽에 드릴링하여 천공홀(200)을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천공홀(200)에 슬리브(110)가 끼워진 앵커볼트(100)를 삽입하는 단계(S20); 상기 천공홀(200) 내에서 상기 슬리브(110)가 상기 앵커볼트(100)로부터 확장되어 천공홀(200)에 결속되어 상기 앵커볼트(100)를 장악하도록 펀칭기(210)에 의해 상기 슬리브(110)를 타격하는 단계(S30); 상기 천공홀(200) 내에 수분 침투를 방지하도록 레진(300)을 주입하는 단계(S40); 상기 앵커볼트(100)에 너트(120), 평와셔(130), 스프링와셔(140)를 매개로 아이너트(150)를 체결하는 단계(S50); 및 상기 아이너트(150)의 고리부(158)에 연결된 지선연결링(160)과 지선을 연결하는 단계(S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레진(300)은 에폭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암반지역의 절개지 및 도로변 콘크리트 옹벽 등의 지면에 천공홀을 형성한 후 천공홀내의 앵커볼트를 슬리브의 타격에 의한 형상 변형에 의해 앵커볼트를 장악하고, 앵커볼트와 아이너트를 체결한 후 아이너트에 연결된 지선연결링과 전주를 지선으로 연결하는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 및 그 시공방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지선시공 기준을 표준화하여 품질 제고는 물론 시공편의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주를 지지하기 위한 지선 공사용 자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지선롯트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의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의 결합도.
도 5(a)(b)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볼트형 지선롯드가 암반 천공홀에서 펀칭전과 펀칭 후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볼트형 지선롯드가 암밤 천공홀에 펀칭된 후 레진이 주입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볼트형 지선롯드에 아이너트가 결합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볼트형 지선롯드의 시공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앵커볼트형 지선롯드(90)는 암반 또는 콘크리트 옹벽의 천공홀(200)에 고정되어 지선으로 연결된 전주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앵커볼트(100), 슬리브(110), 너트(120), 평와셔(130), 스프링와셔(140), 아이너트(150), 지선연결링(160), 펀칭기(21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앵커볼트(100)는 천공홀(200)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앵커볼트(100)의 하부에는 슬리브(110)의 하부가 걸려 있다가 타격 시 벌려지도록 일정높이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확장부(102)가 형성되고, 앵커볼트(100)의 상부에는 아이너트(150)와 체결되는 수나사부(104)가 형성된다.
상기 슬리브(110)는 앵커볼트(100)가 삽입되도록 삽입홀(112)이 형성되고, 슬리브(110)의 하부는 펀칭기(210)에 의해 타격 시 확장부(102)를 타고 하강되면서 벌려지거나 찌그러져 천공홀(200)의 내주면에 결속되어 앵커볼트(100)를 장악하도록 슬리브(110)의 일정 높이에서 하부측으로 개구된 절개부(11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개부(114)는 슬리브(110)의 하부 둘레측에 대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너트(120)는 앵커볼트(100)의 수나사부(104)에 체결되어 있다가 앵커볼트(100)의 수나사부(104)와 아이너트(150)의 암나사부(154)가 체결될 때 아이너트(150)의 몸체(152)에 밀착되면서 결합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평와셔(130)와 스프링와셔(140)는 앵커볼트(100)의 수나사부(104)에 먼저 끼워져 있다가 앵커볼트(100)로부터 아이너트(150)가 풀리지 않도록 너트(120)의 결합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이너트(150)는 몸체(152)의 하부 중앙에 암나사부(154)가 형성되고, 몸체(152)의 상부에 지선연결링(160)과 연결되는 고리부(158)가 형성되며, 몸체(152)의 하면 중앙측 암나사부(154)와 하면 가장자리측 사이에 풀림방지돌기(15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풀림방지돌기(156)는 아이너트(150)의 하면 둘레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아이너트(150)와 스프링와셔(140)간의 접촉력을 높여 너트(120)의 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선연결링(160)은 아이너트(150)의 고리부(158)를 따라 움직이도록 연결되는 금속 또는 절연성 재질로서, 지선(와이어선)의 하부와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는 역할을 한다. 즉, 지선연결링(160)은 지선의 진동이 발생될 때 고리부(158)를 따라 이동되면서 진동을 감쇄시켜 줌으로써 고리부(158)와 지선이 직접 결속되어 맞닿는 부분(움직이지 못하고 한 곳에만 결속되는 부분)에서 집중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마찰력에 의한 훼손을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펀칭기(210)는 천공홀(200) 내에서 슬리브(110)의 상단에 수직으로 맞닿도록 안착시킨 상태에서 해머 등으로 타격 시 슬리브(110)가 앵커볼트(100)를 타고 하강되어 슬리브(110)의 하부가 벌려지거나 찌그러지는 변형이 일어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펀칭기(210)는 상부보다 하부 외경이 작은 중공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시공방법은, 암반 또는 콘크리트 옹벽에 드릴링하여 천공홀(200)을 형성한 후, 천공홀(200)에 슬리브(110)가 끼워진 앵커볼트(100)를 삽입한다.
그 다음, 천공홀(200) 내에서 슬리브(110)가 앵커볼트(100)로부터 확장되어 천공홀(200)에 결속되면서 앵커볼트(100)를 장악하도록 펀칭기(210)에 의해 슬리브(110)를 타격한다.
이때, 천공홀(200)과 슬리브(110)의 사이 공간에 천공홀(200) 내에 수분 침투를 방지하도록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레진(300)을 주입한다.
그 다음, 천공홀(200)의 외부로 돌출된 앵커볼트(100)의 수나사부(104)에 너트(120), 평와셔(130), 스프링와셔(140) 수순으로 끼운 후, 최종 아이너트(150)를 체결한다.
그 다음, 아이너트(150)의 고리부(158)에 연결된 지선연결링(160)과 지선의 하부가 감기도록 한 후, 클램프에 의해 지선이 풀어지지 않도록 결속시킴으로써 지선롯드(90)의 설치 작업을 완료한다.
이 처럼, 본 발명은 암반지역의 절개지 및 도로변 콘크리트 옹벽 등의 지면에 천공홀(200)을 형성한 후 천공홀(200)내의 앵커볼트(100)를 슬리브(110)의 타격에 의한 형상 변형에 의해 앵커볼트(100)를 장악하고, 앵커볼트(100)와 아이너트(150)를 체결한 후 아이너트(150)에 연결된 지선연결링(160)과 전주를 지선으로 연결하는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 및 그 시공방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지선시공 기준을 표준화하여 품질 제고는 물론 시공편의성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90 : 지선롯드 100 : 앵커볼트
102 : 확장부 104 : 수나사부
110 : 슬리브 112 : 삽입홀
114 : 절개부 120 : 너트
130 : 평와셔 140 : 스프링와셔
150 : 아이너트 152 : 몸체
154 : 암나사부 156 : 풀림방지돌기
158 : 고리부 160 : 지선연결링
200 : 천공홀 210 : 펀칭기
300 : 레진

Claims (10)

  1. 암반 또는 콘크리트 옹벽의 천공홀(200)에 고정되어 지선으로 연결된 전주를 지지하는 지선롯드(90)는,
    상기 천공홀(200)에 삽입되는 앵커볼트(100);
    상기 앵커볼트(100)의 외경에 끼워져 펀칭기(210)에 의해 타격될 때 하부가 변형되어 상기 천공홀(200)의 내주면에 결속되는 슬리브(110);
    상기 슬리브(110)의 상부로 돌출된 상기 앵커볼트(100)의 수나사부(104)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체결되는 너트(120), 평와셔(130), 스프링와셔(140), 아이너트(150); 및
    상기 아이너트(150)의 상부측 고리부(158)에 연결되는 지선연결링(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앵커볼트(100)의 하부에는 상기 슬리브(110)의 하부가 걸리도록 일정높이에서 하부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확장부(10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10)의 하부는 타격 시 상기 확장부(102)를 타고 하강되면서 벌려져 상기 천공홀(200)의 내주면에 결속되어 상기 앵커볼트(100)를 장악하도록 상기 슬리브(110)의 일정 높이에서 하부측으로 개구된 절개부(1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114)는 상기 슬리브(110)의 하부 둘레측에 대해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이너트(150)의 하면 중앙측 암나사부(154)와 하면 가장자리측 사이에는 풀림방지돌기(15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돌기(156)는 상기 아이너트(150)의 하면 둘레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펀칭기(210)는 상부보다 하부 외경이 작은 중공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선연결링(160)은 절연성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
  9. 암반 또는 콘크리트 옹벽에 드릴링하여 천공홀(200)을 형성하는 단계(S10);
    상기 천공홀(200)에 슬리브(110)가 끼워진 앵커볼트(100)를 삽입하는 단계(S20);
    상기 천공홀(200) 내에서 상기 슬리브(110)가 상기 앵커볼트(100)로부터 확장되어 천공홀(200)에 결속되어 상기 앵커볼트(100)를 장악하도록 펀칭기(210)에 의해 상기 슬리브(110)를 타격하는 단계(S30);
    상기 천공홀(200) 내에 수분 침투를 방지하도록 레진(300)을 주입하는 단계(S40);
    상기 앵커볼트(100)에 너트(120), 평와셔(130), 스프링와셔(140)를 매개로 아이너트(150)를 체결하는 단계(S50); 및
    상기 아이너트(150)의 고리부(158)에 연결된 지선연결링(160)과 지선을 연결하는 단계(S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시공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레진(300)은 에폭시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시공방법.
KR1020220080365A 2022-06-30 2022-06-30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40003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365A KR20240003196A (ko) 2022-06-30 2022-06-30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365A KR20240003196A (ko) 2022-06-30 2022-06-30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196A true KR20240003196A (ko) 2024-01-08

Family

ID=89533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365A KR20240003196A (ko) 2022-06-30 2022-06-30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319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593Y1 (ko) 2001-10-04 2001-12-29 한국전력공사 콘크리트 근가 고정용 지선롯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593Y1 (ko) 2001-10-04 2001-12-29 한국전력공사 콘크리트 근가 고정용 지선롯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0125B1 (ko) 확개된 앵커헤드부를 가지는 그라운드 앵커 및 그 그라운드 앵커를 이용한 앵커 시공 방법
US3295274A (en) Combination of pole anchor with a gym set or the like
KR20070058940A (ko) 인장재제거용 앵커의 내부정착제
US6202368B1 (en) Earth anchoring system
KR101072527B1 (ko) 강연선 지중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KR101074293B1 (ko) 압착형 방식구 및 이를 이용한 정착장치, 정착장치 설치방법, 앵커체 및 앵커체 시공방법
KR20240003196A (ko) 앵커볼트형 지선롯드 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3763610A (en) Earth anchor and apparatus for applying
KR102247857B1 (ko) 지주용 앙카식 기초말뚝
KR101764407B1 (ko) 스톤네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772664B1 (ko) 스톤네트 구조물
KR102113859B1 (ko) 두부보강수단을 이용한 파일 및 시공방법
KR101853185B1 (ko) 주면마찰력 향상을 위한 말뚝 그라우팅 장치
KR101991262B1 (ko) 확장형 날개를 갖는 국부 확장 앵커장치
KR100629944B1 (ko) 암반붕괴방지용 와이어로프 고정구
KR200443047Y1 (ko) 그라운드 앵커용 앵커체
KR101299432B1 (ko) 톱니형 쐐기를 구비한 스팅식 앵커 및 그 시공방법
KR101050952B1 (ko) 보강 앵커
KR200234553Y1 (ko) 숏크리트 와이어메쉬 고정앵커
KR101661238B1 (ko) 지주 고정장치와 그 지주 고정장치를 이용한 지주 시공방법
CN114045862B (zh) 一种适用于沙质土壤地基的基座
EP3425139A1 (en) Post-holder
SK19698A3 (en) Device for the vertical arrangement of a pole or post-like object
AU2016101563A4 (en) Fence Post with Cleats
KR102149740B1 (ko) 낙석방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