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553Y1 - 숏크리트 와이어메쉬 고정앵커 - Google Patents

숏크리트 와이어메쉬 고정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553Y1
KR200234553Y1 KR2020010005319U KR20010005319U KR200234553Y1 KR 200234553 Y1 KR200234553 Y1 KR 200234553Y1 KR 2020010005319 U KR2020010005319 U KR 2020010005319U KR 20010005319 U KR20010005319 U KR 20010005319U KR 200234553 Y1 KR200234553 Y1 KR 2002345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tcrete
wire mesh
fixed
support member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3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만석
Original Assignee
(주)신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신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100053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5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5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553Y1/ko

Links

Landscapes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숏크리트 와이어메쉬 고정앵커에 관한 것으로, 굴착면(1)에 천공하여 신축가능하게 삽입고정되도록 내측에 삽입홈(11)이 형성된 지지부재(10)와, 상기 지지부재(10)의 삽입홈(11)에 끼워져 지지되는 삽입구(20)와, 일단이 상기 삽입구(20)에 고정되고 타단은 복수개의 가닥으로 되어 와이어메쉬(2)를 감아 지지하는 고정와이어(30)로 이루어져, 와이어메쉬(2)를 굴착면(1)에 소정간격을 두고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숏크리트를 굴착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갱도내의 안전을 도모하고 재시공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숏크리트 와이어메쉬 고정앵커{ A shotcrete wiremesh fixer }
본 고안은 터널작업시 사용되는 고정앵커에 관한 것으로, 특히 NATM 공법에서 와이어메쉬를 고정시키는 숏크리트 와이어메쉬 고정앵커에 관한 것이다.
NATM( 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공법은 록볼트나 숏크리트를 주체로주변 암반의 자체 강도를 최대한 이용하여 터널의 굴착면을 지지하도록 시공하는 공법이다.
숏크리트는 터널 굴착 후 굴착면에 콘크리트를 뿜어 붙여서 밀착시킴으로써 복공이 완성되는 동안 본 바닥의 붕괴를 방지하는 것으로, 굴착된 원시바닥면에 타설되어 주변 암반과 일체화시키는 1차숏크리트층(103)과 그 위에 타설되어 안전율을 높이는 2차숏크리트층(104)으로 이루어진다.
와이어메쉬(102)는 전단보강이나 부착력의 향상 또는 시공시와 시공후의 탈락을 방지하고 팽창성 원지반 등의 큰 변형이 발생할 경우에는 균열등의 발생을 방지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1차숏크리트층(103)과 2차숏크리트층(104)의 사이에는 와이어메쉬(2)가 고정핀(110)으로 고정되어 있다.
종래의 숏크리트 와이어메쉬용 고정핀(110)은 대략 L형으로 되어 원지반에 밀착하여 숏크리트를 타설한 후 와이어메쉬(102)를 결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고정핀(110)은 원지반에 밀착후 1차숏크리트(103)로 타설하여 고정하여야 함으로 숏크리트가 양생되는데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핀(110)을 원지반에 밀착시키기가 어려워 시공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정핀(110)이 불안전하게 고정되어 숏크리트(103,104)와 와이어메쉬(102)가 자중에 의해 원지반에서 쉽게 탈락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와이어메쉬를 견고하게 고정시켜 숏크리트층이 원지반에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숏크리트 와이어메쉬 고정앵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굴착면에 천공하여 삽입고정되고 신축가능하게 내측에 삽입홈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삽입홈에 끼워져 지지되는 삽입구와, 일단이 상기 삽입구에 고정되고 타단은 복수개의 가닥으로 되어 와이어메쉬를 감아 지지하는 고정와이어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를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굴착면에 천공삽입하고, 그 삽입구의 상단에 설치된 고정와이어로 와이어메쉬를 감아 지지함으로써 와이어메쉬가 굴착면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견고하게 고정지지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숏크리트 와이어메쉬 고정앵커와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숏크리트 와이어메쉬 고정앵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굴착면 2 : 와이어메쉬
3 : 1차숏크리트 4 : 2차숏크리트
10 : 지지부재 11 : 삽입홈
20 : 삽입구 30 : 고정와이어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숏크리트 와이어메쉬 고정앵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한 본 고안은, 굴착면(1)에 천공하여 신축가능하게 삽입고정되도록 내측에 삽입홈(11)이 형성된 지지부재(10)와, 상기 지지부재(10)의 삽입홈(11)에 끼워져 지지되는 삽입구(20)와, 일단이 상기 삽입구(20)에 고정되고 타단은 복수개의 가닥으로 되어 와이어메쉬(2)를 감아 지지하는 고정와이어(3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의 구조로 된 본 고안의 특징은 지지부재(10)에 삽입구(20)가 지지가능하게 삽입설치되고 그 삽입구(20)의 상단에 고정와이어(30)가 설치된 것에 있는 바, 상기 지지부재(10)는 굴착면(1)에 천공홈을 형성한 후 그 천공홈에 끼워지고, 그 삽입된 지지부재(10)에 삽입구(20)가 끼워져 지지되며, 그 삽입구(20)의 상단에 설치된 고정와이어(30)로 와이어메쉬(2)를 감아 지지함으로써 와이어메쉬(2)가 굴착면(1)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고정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10)는 굴착면(1)에 드릴로 천공하여 삽입설치되고, 내측에 삽입홈(11)이 형성되어, 지지부재(10)가 천공홈에 타격되어 삽입될 때 그 삽입홈(11)에 의해 수축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10)는 그 직경이 천공홈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삽입단이 뾰족하게 형성되어, 천공홈에 억지끼움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구(20)는 상기 지지부재(10)이 삽입홈(11)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10)가 굴착면(1)의 천공홈에 타격되어 고정삽입된 후에 그 삽입홈(11)에 타격되어 억지끼움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와이어(30)는 와이어메쉬(2)를 감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삽입구(20)의 상단에 감겨 고정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10)는 삽입구(20)를 굴착면(1)에 천공하여 고정지지하게 되고, 상기 고정와이어(30)로 와이어메쉬(2)를 감아 고정함으로써 와이어메쉬(2)가 견고하게 지지되어, 숏크리트를 와이어메쉬(2)로 굴착면(1)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원시 굴착면(1)에 1차숏크리트(3)를 타설한 후 상기 지지부재(10)를 굴착면(1)에 소정의 깊이로 천공하여 삽입시키고, 그 지지부재(10)에 삽입구(20)를 타격하여 고정시키며, 1차숏크리트(3) 위에 와이어메쉬(2)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와이어(30)로 와이어메쉬(2)를 감아 견고하게 지지하고, 그 위에 2차숏크리트(4)를 타설하여 숏크리트를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숏크리트 와이어메쉬 고정앵커에 의하면, 와이어메쉬를 굴착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숏크리트를 굴착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갱도내의 안전을 도모하고 재시공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굴착면(1)에 천공하여 신축가능하게 삽입고정되도록 내측에 삽입홈(11)이 형성된 지지부재(10)와; 상기 지지부재(10)의 삽입홈(11)에 끼워져 지지되는 삽입구(20)와; 일단이 상기 삽입구(20)에 고정되고, 타단은 와이어메쉬(2)를 감아 지지고정하도록 복수개의 가닥으로 된 고정와이어(30);로 이루어진 숏크리트 와이어메쉬 고정앵커.
KR2020010005319U 2001-02-28 2001-02-28 숏크리트 와이어메쉬 고정앵커 KR2002345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319U KR200234553Y1 (ko) 2001-02-28 2001-02-28 숏크리트 와이어메쉬 고정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319U KR200234553Y1 (ko) 2001-02-28 2001-02-28 숏크리트 와이어메쉬 고정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553Y1 true KR200234553Y1 (ko) 2001-09-28

Family

ID=73080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319U KR200234553Y1 (ko) 2001-02-28 2001-02-28 숏크리트 와이어메쉬 고정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5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339B1 (ko) * 2014-09-05 2016-02-29 구연진 데크플레이트 결합용 체결구
KR20190058019A (ko) * 2017-11-21 2019-05-2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 그물망을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8339B1 (ko) * 2014-09-05 2016-02-29 구연진 데크플레이트 결합용 체결구
KR20190058019A (ko) * 2017-11-21 2019-05-29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 그물망을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
KR102128933B1 (ko) * 2017-11-21 2020-07-01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터널 지보 숏크리트 보강용 섬유 그물망을 이용한 터널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50291A (en) Process for providing a foundation pile for alternating compressive and tractive stresses and a pile thus provided
KR101584054B1 (ko) 압축과 인장력을 받는 복합형 프리텐션용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
WO2017034152A1 (ko) 개선된 구조의 영구앵커 공법용 선단정착앵커
US20150086278A1 (en) Systems and methods to reinforce excavation walls
US3087308A (en) Method of installing piles for resisting upward soil movements
US5320452A (en) Cast-in-place concrete pil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in the ground
CN110130360A (zh) 一种后张预应力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00022767A (ko) 암반층 정착용 쐐기식 확장형 앵커
CA2551712C (en) Void form for constructing post-tensioned foundation piles
JP3886261B2 (ja) 法面安定化工法および法面独立受圧装置
KR200234553Y1 (ko) 숏크리트 와이어메쉬 고정앵커
JP2011080195A (ja) アンカー装置およびアンカーの施工法
JP2006291657A (ja) 構造物の支持構造及び支持工法
KR200449724Y1 (ko) 확경형 락볼트
CN207919561U (zh) 一种锚拉式基坑支护结构
KR102111153B1 (ko) Pc강연선을 이용한 옹벽패널 구조물
KR101222477B1 (ko) 파쇄대 지반에서도 인장이 가능한 확공지압형 앵커
KR101853185B1 (ko) 주면마찰력 향상을 위한 말뚝 그라우팅 장치
JPS55159024A (en) Construction method for structure foundation
CN109083669A (zh) 巷道底板预应力灌浆鸟笼锚索施工方法
KR102008413B1 (ko) 부력저항파일의 시공 방법
KR101951684B1 (ko) 확장형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
CN109868837A (zh) 一种无刻槽的肋柱式锚杆挡墙
CN206916755U (zh) 具有暗梁的护坡结构
CN217897879U (zh) 隧道结构预应力锚拉纠偏体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