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086A - 모바일 장치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 장치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086A
KR20240003086A KR1020220080145A KR20220080145A KR20240003086A KR 20240003086 A KR20240003086 A KR 20240003086A KR 1020220080145 A KR1020220080145 A KR 1020220080145A KR 20220080145 A KR20220080145 A KR 20220080145A KR 20240003086 A KR20240003086 A KR 20240003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mobile device
camera
inner space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0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룡
최성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3086A/ko
Publication of KR20240003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08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모바일 장치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가 개시된다. 촬영 보조 장치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속이 빈 관통형 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측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측 공간과 연통하도록 몸체에 카메라 노출홀이 형성된 케이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장치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Shooting assist device for camera of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장치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 현장에서의 작업 결과 확인 등의 목적으로 촬영되는 사진 데이터는 정확한 확인이나 작업 품질 검사가 가능하도록 일정한 촬영 환경에서 획득될 필요가 있다.
일 예로, 해양 구조물의 제작을 위해 야드에 입고된 철판이 장기간 미도장 상태로 유지되다가 설치 및 조립되는 경우가 다수 존재한다. 이 경우, 미도장 상태의 철판의 부식 방지를 위해 숍 프라이머(shop primer)라는 페인트를 이용하여 코팅되어 보관되며, 도장이 이루어지기 전에 숍 프라이머를 연마 작업으로 제거한 후 도장 작업된다.
또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LNG 화물창 등의 공간에서 작업 대상물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그라인딩 작업도 실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양 구조물의 몸체를 이루는 철판의 표면이나, 강재 모서리부 등은 오염물을 제거하거나, 코팅된 숍 프라이머를 제거하거나, 도장 효율을 높이는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연마 처리되고 있다.
이때, 거주구(Living Quarter) 블록 등의 철판 표면을 어느 수준으로 연마하여야 하는지에 관한 연마율 표준도 이미 제정되어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현장에서 검사관이 연마 작업된 철판의 표면과 연마율 표준에 게시된 사진을 육안으로 비교하여 필요 수준까지 연마 작업 완료된 것인지가 판단하고 있다. 또는, 현장에서 작업면을 사진 촬영하여 원격지의 검사자에게 전송하여 작업 품질을 검사받는 방식도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작업면의 작업 품질에 대한 검사자의 원격 검사 또는 작업 결과에 대한 증거 자료 확보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현장에서 작업면에 대한 사진 촬영은 필요하다.
그러나, LNG 화물창의 내부와 같이 어두운 공간이거나 야외 공간 등에서는 작업면을 촬영한 사진이 주변의 불규칙한 빛(예를 들어, 조명, 태양광 등)이나 카메라 플래쉬에 영향(도 1의 (b) 참조)을 받게 되어, 다양한 장소 및 환경에 위치된 작업면들을 각각 촬영한 사진이 서로 대비되어 활용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 이해를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라고 단정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48260호
본 발명은 작업면 주변의 빛 환경에 관계없이 작업면을 촬영한 사진이 균일한 기준 환경 조건하에서 획득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장치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속이 빈 관통형 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측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측 공간과 연통하도록 카메라 노출홀이 몸체에 형성된 케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노출홀을 통해 모바일 장치의 뒷면에 구비된 카메라가 노출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측 공간을 향하는 자세가 되도록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되는, 모바일 장치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촬영 보조 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바닥부의 내측 둘레면에 배치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부는, 상기 바닥부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연속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에 배치되는 광원 모듈과, 상기 광원 모듈의 빛 조사 방향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디퓨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 모듈은 복수 개의 LED 소자가 직렬로 연결된 밴드 형상으로 형성된 플렉시블 LED 바일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가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내측 공간을 통해 촬영 대상면을 촬영하도록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된 상기 모바일 장치와 상기 촬영 대상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외부의 빛이 상기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수축되어 촬영 대상면과 밀착되는 완충 바닥층과, 철재 재질인 촬영 대상면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자석 부재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작업면 주변의 빛 환경에 관계없이 작업면을 촬영한 사진이 균일한 기준 환경 조건하에서 획득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표면 처리된 작업면을 촬영한 사진을 예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촬영 보조 장치의 내측 공간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촬영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의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가 결합된 상태에서 촬영 보조 장치의 내측 공간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촬영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100)는 본체부(110) 및 케이스부(12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속이 빈 관통형 뿔대(penetrated frustum)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본체부(110)는 상하 방향에서 관통되어 속이 빈 원뿔대(Circular Truncated Cone) 또는 밑면이 n각형인 n각뿔대(n-frustum of pyramid)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10)는 바닥부가 상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뿔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촬영 대상면을 촬영할 때 모바일 장치와 촬영 대상면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키고 외부의 빛이 내측 공간에 유입되지 않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소재, 목재 등과 같이 불투명하며 견고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촬영 대상면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빈 본체부(110)의 바닥부의 내측 둘레면에 의해 구획된 내측 공간의 바닥 영역으로서, 모바일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될 대상 영역이다.
본체부(110)의 바닥부에는 본체부(110)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조명부(115)가 배치될 수 있다. 본체부(110)의 바닥부에는 조명부(115)를 배치하기 위해, 본체부(110)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연속되는 오목한 안착 홈이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조명부(115)는 광원 모듈(220) 및 디퓨저(225)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 모듈(220)은 예를 들어, 복수 개의 LED 소자가 직렬로 연결된 밴드(띠)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하는 형태로 부착하여 사용할 때 견고하면서도 다양한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LED 조명등(플랙시블 LED 바)일 수 있다. 물론, 광원 모듈(220)은 본체부(110)의 n각형인 밑면의 변 길이에 부합하도록 형성된 리지드(rigid) LED 바일 수도 있다.
광원 모듈(220)에서 조사되는 빛이 진행하는 광원 모듈(220)의 전방에는 디퓨저(225)가 배치될 수 있다. 디퓨저는 광원 모듈(220)에서 조사되는 빛이 확산되어 본체부(110)의 내측 공간으로 퍼지도록 함으로써, 본체부(110)가 안착된 촬영 대상면이 균일한 조도로 비춰지도록 한다.
도 2 및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광원 모듈(220)을 점등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광원 모듈(220)의 턴 온/턴 오프를 조정하기 위한 선택부가 본체부(110)의 일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다만, 광원 모듈(220)을 점등시키기 위한 전력이 후술될 케이스부(120)에 고정된 모바일 장치로부터 공급되거나, 외부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경우라면, 전원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상측 단부에는 케이스부(120)가 장착된다.
케이스부(120)는 카메라 모듈이 구비된 모바일 장치를 고정한다. 모바일 장치는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작업 현장에 휴대하는 소형의 디지털 처리 장치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소형의 타블렛피씨일 수 있다.
케이스부(120)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대응되는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와 마찬가지로, 모바일 장치의 용이한 탈착이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실리콘 재질, 신축되는 고무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의 앞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모바일 장치가 케이스부(120)에 고정되었을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장치의 뒷면에 구비된 카메라(210)가 본체부(110)의 개방된 상측 공간을 통해 본체부(110)의 내측 공간을 향해 노출될 수 있도록 케이스부(120)의 몸체에는 카메라 노출홀(125)이 형성된다.
케이스부(120)는 본체부(110)의 상측 단부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부(120)에 모바일 장치를 고정 장착하는 것만으로 모바일 장치가 촬영 보조 장치(100)의 내측 공간을 통해 바닥면인 촬영 대상면에 대한 촬영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다른 경우로서, 다양한 모바일 장치에 대한 범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케이스부(120)는 본체부(110)의 상측 단부에 예를 들어 슬라이딩 체결 구조, 오목부와 돌기부를 이용한 가압식 체결 구조 등으로 착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작업자가 소지한 모바일 장치의 크기가 다양할 수 있으므로, 대응되는 케이스부(120)에 휴대한 모바일 장치를 고정한 후, 케이스부(120)를 본체부(110)의 상측 단부에 체결함으로써 모바일 장치가 촬영 보조 장치(100)의 내측 공간을 통해 바닥면인 촬영 대상면에 대한 촬영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상측 단부에 장착된 케이스부(120)에 모바일 장치가 고정되고, 본체부(110)의 바닥 표면이 촬영 대상면에 접촉하도록 촬영 보조 장치(100)가 배치되면, 모바일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연마 작업 등이 실시된 촬영 대상면을 촬영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촬영 대상면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본체부(110)에 의해 외부의 빛이 차단되고, 조명부(115)의 광원 모듈(220)에서 조사된 빛에 의해서만 촬영 환경이 형성되며, 본체부(110)에 의해 이격된 고정 높이(h)에서 촬영 대상면에 대한 사진 촬영이 가능해진다.
이때, 모바일 장치의 카메라(210)가 본체부(110)에 의해 촬영 대상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고정 높이(h)는, 카메라(210)가 미리 설정된 촬영 각도로 촬영한 사진에 촬영 대상면은 촬영되지만 본체부(110)의 내측 둘레면 표면은 촬영되지 않는 높이로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카메라(210)에 의해 촬영 대상면을 촬영할 때 본체부(110)의 내측 둘레면 표면이 촬영되지 않도록, 본체부(110)는 아래쪽으로 진행할수록 상대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영 보조 장치(100)를 이용하여 촬영 대상면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촬영 높이와 조도가 일정해지게 되며, 연마 작업 등이 실시된 촬영 대상면에 대한 사진이 균일한 기준 환경 조건하에서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의 바닥 하부의 틈을 통해 외부의 빛이 유입되지 않도록, 작업자가 사진 촬영시 본체부(110)를 가압하여 촬영 대상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본체부(110)의 바닥 표면에는 예를 들어 스펀지 재질 또는 신축성있는 고무 재질의 완충 바닥층이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촬영 대상면이 작업자의 머리 위 영역 등으로서 작업자가 한 손으로 촬영 보조 장치(100)를 잡은 상태로 사진 촬영하여야 하는 경우의 작업 편의성을 확보하기 위해, 촬영 보조 장치(100)가 철재 재질인 촬영 대상면에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본체부(110)의 바닥 표면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작업자는 철재 재질인 촬영 대상면에 촬영 보조 장치(100)를 자력으로 부착시킨 후, 원격 제어 방식으로 모바일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여 촬영 대상면을 촬영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100)는 작업면(즉, 촬영 대상면) 주변의 빛 환경에 관계없이 작업면을 촬영한 사진이 균일한 기준 환경 조건하에서 획득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촬영 보조 장치 110 : 본체부
115 : 조명부 120 : 케이스부
125 : 카메라 노출홀 210 : 카메라
220 : 광원 모듈 225 : 디퓨저

Claims (5)

  1.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속이 빈 관통형 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측 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측 공간에 연통하도록 카메라 노출홀이 몸체에 형성된 케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노출홀을 통해 모바일 장치의 뒷면에 구비된 카메라가 노출되어 상기 본체부의 내측 공간을 향하는 자세가 되도록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되는, 모바일 장치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바닥부의 내측 둘레면에 배치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명부는, 상기 바닥부의 내측 둘레면을 따라 연속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홈에 배치되는 광원 모듈과, 상기 광원 모듈의 빛 조사 방향에서 전방에 배치되는 디퓨저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모듈은 복수 개의 LED 소자가 직렬로 연결된 밴드 형상으로 형성된 플렉시블 LED 바인, 모바일 장치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가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내측 공간을 통해 촬영 대상면을 촬영하도록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된 상기 모바일 장치와 상기 촬영 대상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고, 외부의 빛이 상기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재질로 형성되는, 모바일 장치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수축되어 촬영 대상면과 밀착되는 완충 바닥층과, 철재 재질인 촬영 대상면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자석 부재 중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모바일 장치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
KR1020220080145A 2022-06-30 2022-06-30 모바일 장치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 KR202400030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145A KR20240003086A (ko) 2022-06-30 2022-06-30 모바일 장치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0145A KR20240003086A (ko) 2022-06-30 2022-06-30 모바일 장치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086A true KR20240003086A (ko) 2024-01-08

Family

ID=89533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0145A KR20240003086A (ko) 2022-06-30 2022-06-30 모바일 장치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30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260A (ko) 2018-10-29 2020-05-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최적효율운항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260A (ko) 2018-10-29 2020-05-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최적효율운항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322B1 (ko) 카메라 모듈의 렌즈 광축 정렬 및 조립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렌즈 광축 정렬 및 조립 방법
TWI711817B (zh) 外觀檢測裝置
TW200639492A (en) Visual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inspecting display panel using the visual inspection apparatus
RU2006128903A (ru) Цифровая фотокамера
JP2008532093A (ja) 拡大撮影のためのカメラのフラッシュディフューザ
ATE468568T1 (de) System zur bilderfassung
JP6782909B2 (ja) 撮影器具及びパノラマ撮影装置
ATE179271T1 (de) Poststück-behandl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JP2004104168A5 (ko)
KR20240003086A (ko) 모바일 장치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
KR101825217B1 (ko) 휴대폰 이용 미세구조 관찰 기구
US10921685B2 (en) Apparatus that enables the photographing of highly reflective, objects without reflections
US7845058B2 (en) Method for assembling camera module
JP2009162492A (ja) 検査装置
EP2028014A3 (en) Line hea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EP3671315A3 (en) Display device and mobile object
JP6935262B2 (ja) 外観検査装置
KR20240037539A (ko) 모바일 장치 카메라용 촬영 보조 장치
TW201411088A (zh) 板狀工作件中心檢測方法
KR101249138B1 (ko) 차량의 도색상태 검사장치
US20210109424A1 (en) Compact equipment for extreme macro photography
JP6685748B2 (ja) 光学機器
DE50304164D1 (de) Verfahren zur fotografischen aufnahme eines zylinderförmigen, insbesondere plattenförmigen gegenstandes
JP4046997B2 (ja) 積分球光源の開放端の構造
JP2003207718A (ja) 顕微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