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890A -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890A
KR20240001890A KR1020220078744A KR20220078744A KR20240001890A KR 20240001890 A KR20240001890 A KR 20240001890A KR 1020220078744 A KR1020220078744 A KR 1020220078744A KR 20220078744 A KR20220078744 A KR 20220078744A KR 20240001890 A KR20240001890 A KR 20240001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ropolis
alcohol
soluble
soluble propol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용갑
김미영
송다연
Original Assignee
유니크바이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크바이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크바이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8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1890A/ko
Publication of KR20240001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89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06Argin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24Histid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4Membrane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프로폴리스 원괴와 정제수를 혼합하여 투입한 후 교반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 의해 교반된 혼합물에 L-아르지닌(L-Arginine), L-히스티딘(L-Histidi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투입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혼합물을 농축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농축된 결과물을 여과하여 최종 수용화 결과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 공정상 잔류물이 남지 않아 수율이 높고,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아 맛과 향이 부드럽고 물에 잘 희석하여 섭취 시 용해가 잘되어 기호성이 개선되었으며, 색상이 밝고 투명한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은 수용성 프로폴리스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 {Method for producing water-soluble propolis without alcohol}
본 발명은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 공정상 잔류물이 남지 않아 수율이 높고,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아 맛과 향이 부드러우며, 물에 잘 희석되어 섭취 시 용해가 잘되고, 색상이 밝고 투명한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2000년 이후 우리의 삶에 불어 닥친 웰빙 문화 확산에 힘입어 자연 친화적인 소재들이 인기를 끌면서 내성이 없으며 항균작용과 항산화작용을 동시에 갖는 천연 항생물질인 프로폴리스가 각광을 받고 있다.
프로폴리스(Propolis)는 꿀벌이 식물로부터 수지(resin)를 수집하여 자신이 분비한 타액 과 왁스를 혼합하여 만든 물질로서 식물성 수지, 왁스, 정유, 화분, 플라보노이드 및 기타 유기물과 미네랄 등으로 조성되어 있다. 프로폴리스의 주요한 작용은 항균, 항염증 작용, 진통, 마취작용, 면역작용, 항산화작용, 항바이러스작용, 항암작용 등 생체 면역기능 활성화 작용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가지고 있으며, 이는 함유된 식물 유래의 페놀성 화합물인 플라보노이드에 기인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2020년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표한 건강기능식품 통계자료에 따르면 프로폴리스의 시장 규모는 352억 정도로 이중 절반 이상이 수입 완제품인데 이렇게 된 이유는 국내에서 소비자의 취향에 맞게 가공하는 기술이 아직 부족 하다는 데서 기인한다고 분석된다.
최근의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의 트렌드는 까다로운 소비자의 취향에 누가 더 부합 하느냐의 무한경쟁 시대에 들어선지 이미 오래전이다. 프로폴리스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고시한 '고시형 건강기능식품'으로서 그 기능성내용으로는 '구강내 항균작용'과 '항산화작용'을 고시하고 있다. 또한 단서조항에서, '구강내 항균작용'은 '구강에 직접 접촉할 수 있는 형태'로 제한하고 있다. 이는 프로폴리스를 섭취하는 형태는 구강에 직접 접촉할 수 있는 액체상태가 결국 가장 효과적인 제품형태임을 반증하는 것이다.
국내 및 해외에서 유통되고 액상 프로폴리스 제품은 90% 이상이 에탄올로 추출하여 병에 담은 제품들로 물에 희석하여 섭취할 때 희뿌옇게 현탁이 되며 상층부에 왁스 층이 형성되고 향취가 강해서 일반 소비자들이 섭취하기를 꺼려 온 게 사실이다.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들이 있어왔으나 아직 액상 프로폴리스 섭취 시 소비자들이 가장 불편해하는 쓴맛을 순화하는 기술에는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를 극복하고자 다양한 합성첨가제를 사용하는 일부 기술도 있으나 이는 프로폴리스를 섭취하기 위해 불필요 하게 식품 첨가물을 함께 섭취해야 하는 문제를 안고 있어 논란의 여지가 많다. 이러한 기술로 개발된 제품들은 흡수율을 떨어뜨리고 일부는 소화 장애를 일으키기도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문헌 제10-140351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문헌 제10-1486922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조 공정상 잔류물이 남지 않아 수율이 높고,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아 맛과 향이 부드러우며, 물에 잘 희석되어 섭취 시 용해가 잘되며 색상이 밝고 투명한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교반 탱크에 프로폴리스 원괴와 정제수를 혼합하여 투입한 후 교반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 의해 교반된 혼합물에 L-아르지닌(L-Arginine), L-히스티딘(L-Histidine)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투입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혼합물을 농축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농축된 결과물을 여과하여 최종 수용화 결과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프로폴리스 원괴와 정제수는 2~3 : 5~6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투입하고, 상온에서 교반 속도 200 내지 300RPM 조건으로 3시간 내지 8시간동안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L-아르지닌(L-Arginine)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투입 함량은 상기 (A)단계에서 교반된 혼합물의 중량대비 1~8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L-히스티딘(L-Histidine)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투입 함량은 상기 (A)단계에서 교반된 혼합물의 중량대비 1~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L-아르지닌(L-Arginine) : L-히스티딘(L-Histidine)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투입 함량은 상기 (A)단계에서 교반된 혼합물의 중량대비 1~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L-아르지닌(L-Arginine) : L-히스티딘(L-Histidine)은 0.5~1.5 : 0.8~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C) 단계에서 농축 함량은 상기 (B)단계까지 투입된 혼합물의 총 중량대비 50~70중량%까지 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단계에서 상기 (C)단계에서 농축된 결과물을 10시간 내지 14시간 동안 정치한 후 10 내지 100㎛로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은 수용성 프로폴리스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조 공정상 잔류물이 남지 않아 수율이 높고,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아 맛과 향이 부드럽고 물에 잘 희석하여 섭취 시 용해가 잘되어 기호성이 개선되었으며, 색상이 밝고 투명한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은 수용성 프로폴리스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생리 활성성분인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고, 이에 더욱 향상된 항균 및 항산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용성 프로폴리스의 항균성을 확인하기 위한 paper disk 확산법의 실험 과정 및 결과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은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은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은 (A) 교반 탱크에 프로폴리스 원괴와 정제수를 혼합하여 투입한 후 교반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 의해 교반된 혼합물에 L-아르지닌(L-Arginine), L-히스티딘(L-Histidi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투입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혼합물을 농축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농축된 결과물을 여과하여 최종 수용화 결과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은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A)단계는 교반 탱크에 프로폴리스 원괴와 정제수를 혼합하여 투입한 후 교반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폴리스 원괴와 정제수는 2~3 : 5~6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투입하고, 상온에서 교반 속도 200 내지 300RPM 조건으로 3시간 내지 8시간동안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단계는 상기 (A)단계에 의해 교반된 혼합물에 L-아르지닌(L-Arginine), L-히스티딘(L-Histidi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투입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상기 L-아르지닌(L-Arginine)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투입 함량은 상기 (A)단계에서 교반된 혼합물의 중량대비 1~80중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L-히스티딘(L-Histidine)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투입 함량은 상기 (A)단계에서 교반된 혼합물의 중량대비 1~50중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L-아르지닌(L-Arginine) : L-히스티딘(L-Histidine)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투입 함량은 상기 (A)단계에서 교반된 혼합물의 중량대비 1~40중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아르지닌(L-Arginine) : L-히스티딘(L-Histidine)은 0.5~1.5 : 0.8~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아르지닌(L-Arginine) 및 상기 L-히스티딘은 조건부 필수 아미노산으로써, 동물성 단백질의 구성요소이다. 우리 몸의 성장 및 복구, 혈관확장과 같은 우리 몸의 순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C)단계는 상기 (B)단계의 혼합물을 농축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상기 농축단계에서의 농축 함량은 상기 (B)단계까지 투입된 혼합물의 총 중량대비 50~70중량%까지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D)단계는 상기 (C)단계에서 농축된 결과물을 여과하여 최종 수용화 결과물을 수득하는 단계이다,
여기에서, 상기 여과를 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C)단계에서 농축된 결과물을 10시간 내지 14시간 동안 정치한 후 10 내지 100㎛로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의 크기로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 예를 통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본 발명의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
교반 탱크에 프리폴리스 원괴 : 정제수 = 2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투입한 후 상온에서 교반 속도 300RPM으로 6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여기에 L-아르지닌(L-Arginine) : L-히스티딘(L-Histidine)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투입하여 총 혼합물의 중량대비 60중량%까지 농축하고, 이 후 12시간 동안 정치한 다음 50㎛ 크기로 여과하여 본 발명의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를 수득한다.
(비교 예) 알코올을 사용하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
교반 탱크에 프로폴리스 원괴 : 에탄올 = 1 : 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투입한 후 상온에서 교반 속도 500RPM으로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5일동안 추출 및 숙성한 후 마이크로 필터를 사용하여 1차 여과를 진행한다. 1차 여과가 완료된 추출액을 영하 20도의 냉동고에서 24시간동안 정치하고 지방, 왁스 및 수지성분을 분리시킨 후 마이크로 필터를 이용하여 2차 여과를 진행한다. 2차 여과가 완료된 추출액을 농축하고, 이 후 12시간 동안 정치한 다음 수용성 프로폴리스를 수득한다.
(실험 예 1) 항산화능(ABTs) 실험
각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시료와 ABTs 시험용액을 중량비 1 : 9로 혼합하여 30분간 반응시킨 후 734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항산화능이 100%인 L-ascorbic acid을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각각 5회에 걸쳐 시행하여 비교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항산화능(ABTs) 실험비교 결과
공정구분 항산화능(ABTs)
본 발명의
실시 예
실시예 1 (1회차) 97.2
실시예 2 (2회차) 99.4
실시예 3 (3회차) 102.5
실시예 4 (4회차) 100.0
실시예 5 (5회차) 99.8
평균 ± 편차 99.78±1.89
비교 예 비교예 1 (1회차) 15.7
비교예 2 (2회차) 10.9
비교예 3 (3회차) 17.6
비교예 4 (4회차) 23.0
비교예 5 (5회차) 23.7
평균 ± 편차 18.18±5.32
상기 표 1에 따르면, 비교 예의 수용성 프로폴리스의 항산화능이 실시 예1의 5회 평균 18.18±5.32 이고,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조공정으로 제조된 수용성 프로폴리스의 항산화능이 실시예 5회 평균 99.78±1.89으로 본 발명의 수용성 프로폴리스가 비교 예1의 공정으로 제조된 수용성 프로폴리스에 비해 항산화능(ABTs)이 5.48배 정도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 예 2) 항균성 실험
항균성 실험의 실험방법은 paper disk 확산법을 사용하였다. Staphylococcus aureus 균주의 경우는 TSA 배지에 1.65Х105 농도로 petri dish에 도포한 후 각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수용성 프로폴리스액을 함유한 disk를 배지위에 올린 후 incubator에서 37℃로 24시간 배양한 다음 생성된 생육저지환의 크기를 측정하였고, Staphylococcus mutans 균주는 BHI 배지에 1.28Х105 농도로 petri dish에 도포한 후 수용성 프로폴리스액을 함유한 disk를 배지위에 올린 후 incubator에서 37℃로 48시간 배양한 다음 생성된 생육저지환의 크기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냈다.
Staphylococcus aureus, Staphylococcus mutans 생육저지환 측정 결과
공정구분 S.aureus S.mutans
본 발명의
실시 예
실시예1 (1회차) 23 18
실시예2 (2회차) 23 16
실시예3 (3회차) 23 18
실시예4 (4회차) 23 16
실시예5 (5회차) 23 14
평균 ± 편차 23±0.00 16.4±1.67
비교 예 비교예1 (1회차) 20 15
비교예2 (2회차) 20 13
비교예3 (3회차) 20 15
비교예4 (4회차) 20 12
비교예5 (5회차) 20 12
평균 ± 편차 20±0.00 13.4±1.52
도 1을 살펴보면, a는 Staphylococcus aureus 균주를 도포한 petri dish에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수용성 프로폴리스액을 도포한 후의 생성된 생육저지환이고, b는 Staphylococcus mutans 균주를 도포한 petri dish에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수용성 프로폴리스액을 도포한 후의 생성된 생육저지환이다. c는 Staphylococcus aureus 균주를 도포한 petri dish에 비교 예의 수용성 프로폴리스액을 도포한 후의 생성된 생육저지환이고, d는 Staphylococcus mutans 균주를 도포한 petri dish에 비교 예의 수용성 프로폴리스액을 도포한 후의 생성된 생육저지환이다. 각각의 균주는 5회에 걸쳐서 값을 측정하였고, 그에 따른 결과는 하기에서 설명한다.
상기 표 2에 따르면, 비교 예의 공정으로 제조된 수용성 프로폴리스의 S.aureus 항균능이 5회 평균 20±0.00이고,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공정으로 제조된 수용성 프로폴리스의 항균능이 5회 평균 23±0.00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공정으로 제조된 수용성 프로폴리스가 비교 예의 공정으로 제조된 수용성 프로폴리스에 비해 항균능(S.aureus)이 15% 정도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S.mutans에 대한 항균능은 비교 예의 공정으로 제조된 수용성 프로폴리스는 5회 평균 13.4±1.52이고,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공정으로 제조된 수용성 프로폴리스의 항균능이 5회 평균 16.4±1.67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공정으로 제조된 수용성 프로폴리스가 비교 예로 제조된 수용성 프로폴리스에 비해 항균능(S.mutans)이 22.4% 정도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 예 3) 알코올 함량 측정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수용성 프로폴리스와 비교 예로 제조된 수용성 프로폴리스의 알코올 잔류량을 비교하고자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한 주류분석방법으로 알코올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냈다.
알코올 함량 측정 결과
공정구분 알코올 함량
본 발명의
실시 예
실시예1 (1회차) 0.0
실시예2 (2회차) 0.0
실시예3 (3회차) 0.0
실시예4 (4회차) 0.0
실시예5 (5회차) 0.0
평균 ± 편차 0.0±0.0
비교 예 비교예1 (1회차) 1.8
비교예2 (2회차) 9.2
비교예3 (3회차) 4.3
비교예4 (4회차) 3.6
비교예5 (5회차) 3.3
평균 ± 편차 4.44±2.81
상기 표 3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비교 예의 공정으로 제조된 수용성 프로폴리스의 알코올 함유량이 5회 평균 4.44±2.81이고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공정으로 제조된 수용성 프로폴리스의 항산화능이 5회 평균 0.0±0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 공정의 수용성 프로폴리스는 알코올 함량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예 4) 생산 수율 비교 측정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수용성 프로폴리스와 비교 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수용성 프로폴리스의 공정 생산 수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각의 공정으로 3회 제조하여 생산 수율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냈다.
생산 수율 비교 결과
항목 차수 여과 전 중량(kg) 여과 후 중량(kg) 수율(%)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g)
본 발명의
실시 예
1차 199.6 192.3 96.15 11.01
2차 199.5 192.1 96.05 10.61
3차 199.6 191.8 95.90 10.47
평균± 편차 199.56±0.06 192.06±0.25 96.03±0.13 10.70±0.28
비교 예 1차 199.3 161.2 80.60 10.32
2차 199.7 162.1 81.17 10.82
3차 199.2 161.1 80.87 10.97
평균± 편차 199.40±0.26 161.46±0.55 80.88±0.29 10.70±0.34
상기 표 4에 따르면, 비교 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수용성 프로폴리스의 생산수율이 3회 평균 80.88±0.29이고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수용성 프로폴리스의 생산수율이 3회 평균으로 96.03±0.13이므로 생산 수율은 15.15가 증가하여 18.73%의 생산 수율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각각의 제조방법 3회 평균이 동일하게 유지되어 활성성분의 손실없이 생산 수율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의 실험 예를 통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용성 프로폴리스는 항산화 및 항균성이 향상되어 생리활성성분인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였고, 알코올이 잔류하지 않아 맛과 향이 부드러우며, 제조 공정상 잔류물이 남지 않아 공정 생산 수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A) 프로폴리스 원괴와 정제수를 혼합하여 투입한 후 교반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 의해 교반된 혼합물에 L-아르지닌(L-Arginine), L-히스티딘(L-Histidin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투입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혼합물을 농축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농축된 결과물을 여과하여 최종 수용화 결과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프로폴리스 원괴와 상기 정제수는 2~3 : 5~6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투입하고, 상온에서 교반 속도 200 내지 300RPM 조건으로 3시간 내지 8시간동안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L-아르지닌(L-Arginine)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투입 함량은 상기 (A)단계에서 교반된 혼합물의 중량대비 1~8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L-히스티딘(L-Histidine)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투입 함량은 상기 (A)단계에서 교반된 혼합물의 중량대비 1~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L-아르지닌(L-Arginine) : L-히스티딘(L-Histidine)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투입 함량은 상기 (A)단계에서 교반된 혼합물의 중량대비 1~4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L-아르지닌(L-Arginine) : L-히스티딘(L-Histidine)은 0.5~1.5 : 0.8~1.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농축 함량은 상기 (B)단계까지 투입된 혼합물의 총 중량대비 50~70중량%까지 농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상기 (C)단계에서 농축된 결과물을 10시간 내지 14시간 동안 정치한 후 10 내지 100㎛로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
KR1020220078744A 2022-06-28 2022-06-28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 KR20240001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744A KR20240001890A (ko) 2022-06-28 2022-06-28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744A KR20240001890A (ko) 2022-06-28 2022-06-28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890A true KR20240001890A (ko) 2024-01-04

Family

ID=89542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744A KR20240001890A (ko) 2022-06-28 2022-06-28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189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511B1 (ko) 2013-09-25 2014-06-11 유니크바이오텍 주식회사 친환경 무알콜, 수용성 프로폴리스의 제조방법
KR101486922B1 (ko) 2014-05-09 2015-01-27 (주)라파프로폴리스 무알콜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511B1 (ko) 2013-09-25 2014-06-11 유니크바이오텍 주식회사 친환경 무알콜, 수용성 프로폴리스의 제조방법
KR101486922B1 (ko) 2014-05-09 2015-01-27 (주)라파프로폴리스 무알콜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12762B (zh) 一种新型功能性软糖及其制备方法
KR101601947B1 (ko) 땅콩 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해소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621414B (zh) 用桔皮生产叶黄素富集蛋的蛋鸡饲料添加剂及制备方法
CN102429848B (zh) 一种右旋龙脑香水
KR101661495B1 (ko) 천연 벌꿀을 이용한 친환경 무알콜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
KR20240001890A (ko)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는 수용성 프로폴리스 제조방법
CN103981073B (zh) 一种沙棘配制酒及其制备方法
WO2015159157A2 (de) Präparat aus hafermehl und verfahren zu seiner verwendun
KR102396513B1 (ko) 버섯의 감마-아미노부티르산 함량 증가용 조성물
KR102508306B1 (ko) 루테인 및 제아잔틴의 함량이 증대된 계란 생산방법, 이로부터 생산된 계란, 및 상기 계란으로부터 난황유 또는 난황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
KR102136316B1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 및 한라봉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2013558A (ja) 黒菊芋、黒菊芋エキス、黒菊芋ゼリー、黒菊芋酵母ゼリ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43710B1 (ko) 열처리 가공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937731A (zh) 蜂王幼虫粉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1955629A (zh) 一种稳定的多功能枸杞复合汁制作方法
CN105029624A (zh) 一种黑果枸杞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282013B1 (ko) 수용성 프로폴리스 조성물
CN109589299A (zh) 花粉能量口红及其制备方法
KR20170136070A (ko) 클로렐라 효소 가수분해물을 첨가한 염지액을 이용한 가우다 치즈 제조방법
RU2542520C2 (ru) Безалкогольный напиток (варианты)
TW201823443A (zh) 白樺茸的培養基及其製備方法
KR102638542B1 (ko) 복령 된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75964B1 (ko) 항산화 효과가 있는 삼백초 사탕 제조 방법
KR102618848B1 (ko) 다시마 부산물 추출물의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1707457B1 (ko)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 내의 클로로필 a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