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661A - 전신 운동 기구 - Google Patents

전신 운동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661A
KR20240001661A KR1020230035702A KR20230035702A KR20240001661A KR 20240001661 A KR20240001661 A KR 20240001661A KR 1020230035702 A KR1020230035702 A KR 1020230035702A KR 20230035702 A KR20230035702 A KR 20230035702A KR 20240001661 A KR20240001661 A KR 20240001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pedal
user
pedal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5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하
Original Assignee
김재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하 filed Critical 김재하
Priority to KR1020230035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1661A/ko
Publication of KR20240001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6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25Supports for both feet or both hands performing simultaneously the same movement, e.g. single pedal or singl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63B2022/06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use
    • A63B2022/064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a particular use for cycling in a standing position, i.e. without a seat or support for the trun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전신 운동 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전신 운동 기구는, 중량체로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 이용자가 양쪽 발로 페달링(pedaling)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 하측에 마련되는 제1 페달부; 및 상기 이용자가 양쪽 손으로 페달링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 상측에 마련되는 제2 페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용자가 양쪽 발로 상기 제1 페달부를 페달링하고 동시에 양쪽 손으로 상기 제2 페달부를 페달링하는 경우, 상기 이용자가 상기 지지 프레임을 클라이밍(climbing)하는 자세가 만들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전신 운동 기구{Machine for whole body training}
본 발명은 전신 운동 기구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이클링(cycling)과 클라이밍(climbing)이 결합된, 전신 운동 기구에 관련된 것이다.
요즘, 현대인들은 육체적 활동보다는 정신적 활동을 많이 하는 관계로 각종 스트레스에 의한 정신적인 질환 및 운동 부족에 의해 비만 등 각종 질병에 노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운동이 필요한데, 시간과 공간의 제약으로 인하여, 이 또한 쉽지 않은 실정이다.
최근 들어, 미세 먼지나 전염병 등으로 인하여, 자신의 집안에서 하는 운동, 소위 "홈 트레이닝"이 각광 받고 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은 러닝 머신, 사이클링 머신, 역기, 하체 운동 기구, 상체 운동 기구 등을 자신의 집에 구비하여 실내 운동을 하고 있다.
이때,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산소 운동은 물론, 팔, 다리, 엉덩이, 복부, 코어 등 전신 근력을 골고루 강화하는 것이 필요한데, 상기 러닝 머신이나 사이클링 머신 등은 유산소 운동을 위한 것이어서, 전신 근력 운동을 하기 위해서는 팔 운동 기구, 다리 운동 기구, 엉덩이 운동 기구, 복부 운동 기구, 코어 운동 기구를 각각 이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러므로, 실내에서 유산소 운동과 전신 근력 운동을 통합시킬 수 있는 통합형 운동 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사이클링(cycling)과 클라이밍(climbing)이 결합된, 전신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운동 동작을 통한 작동 제어가 가능한, 전신 운동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일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신 운동 기구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신 운동 기구는, 중량체로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 이용자가 양쪽 발로 페달링(pedaling)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 하측에 마련되는 제1 페달부; 및 상기 이용자가 양쪽 손으로 페달링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 상측에 마련되는 제2 페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용자가 양쪽 발로 상기 제1 페달부를 페달링하고 동시에 양쪽 손으로 상기 제2 페달부를 페달링하는 경우, 상기 이용자가 상기 지지 프레임을 클라이밍(climbing)하는 자세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및 길이 방향 양측에 상기 제1 페달부 및 제2 페달부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며, 힌지축을 통하여,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 상단에 연결되는 제2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이용자에게 가변적인 경사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페달부를 페달링하는 이용자의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기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는 상기 제2 페달부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페달부의 회전 방향을 센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힌지축과 연결되어, 상기 힌지축을 회전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페달부가 정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이 설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심화 클라이밍 모드를 제공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2 페달부가 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이 최초 상태로 복귀되는 기본 클라이밍 모드를 제공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전 벨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 벨트의 길이 방향 일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체결되며, 길이 방향 타단은 상기 이용자의 허리에 착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중량체로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 이용자가 양쪽 발로 페달링(pedaling)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 하측에 마련되는 제1 페달부; 및 상기 이용자가 양쪽 손으로 페달링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 상측에 마련되는 제2 페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용자가 양쪽 발로 상기 제1 페달부를 페달링하고 동시에 양쪽 손으로 상기 제2 페달부를 페달링하는 경우, 상기 이용자가 상기 지지 프레임을 클라이밍(climbing)하는 자세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이클링(cycling)과 클라이밍(climbing)이 결합된, 전신 운동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에게 극대화된 운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이클링 동작을 통하여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동시에 클라이밍 동작을 통하여, 사용자의 코어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유산소 운동 효과는 물론, 팔, 다리, 엉덩이, 복부, 코어 등 전신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종합 운동 기구로서, 실제 클라이밍에 버금가는 운동 효과를 거두게 할 수 있는, 전신 운동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운동 강도 조절이 가능한 전신 운동 기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용자 입장에서는 자신이 컨디션 혹은 몸 상태에 맞는 운동을 할 수 있고, 신체 조건이 다른 다양한 사람들이 공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운동 동작을 통한 작동 제어가 가능한, 전신 운동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페달을 잡고 있는 손을 페달에서 떼지 않고 페달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페달의 회전 방향만을 변경하여, 전신 운동 기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안전 벨트를 구비함으로써, 전신 운동 기구가 기울어졌을 때, 이에 매달려 있는 이용자의 낙상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우수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용자가 손 페달 및 발 페달의 회전 방향과 회전 횟수를 직접 조작하여 운동 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이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에서, 제1 페달부의 발 페달과 고정 덮개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에서, 가변 경사면을 제공하는 지지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의 기본 클라이밍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의 심화 클라이밍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의 안전 벨트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형상 및 크기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에서, 제1 페달부의 발 페달과 고정 덮개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의 작동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에서, 가변 경사면을 제공하는 지지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의 기본 클라이밍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의 심화 클라이밍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의 안전 벨트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100)는 사이클링(cycling)과 클라이밍(climbing)이 결합된 운동 기구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전신 운동 기구(100)는 상기 사이클링을 통하여, 이용자에게 유산소 운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클라이밍을 통하여, 이용자에게 우수한 근력 운동 효과, 특히, 코어 운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이클링과 클라이밍이 결합된 형태로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100)에서, 상기 사이클링은 일반적인 사이클링 머신처럼 평지나 약간의 경사면 주행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이 아니라 수직 절벽 및 몸이 거의 뒤집어지는 극한의 경사면을 가지는 절벽 주행을 시뮬레이션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100)를 이용하는 이용자는 일반적인 사이클링 머신보다 월등한 운동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100)는 이용자에게 극대화된 운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100)는 유산소 운동 효과는 물론, 팔, 다리, 엉덩이, 복부, 코어 등 전신 근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종합 운동 기구로서, 실제 클라이밍에 버금가는 운동 효과를 거두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실내 운동 기구는 유산소 운동 기구와 근력 운동 기구로 구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모두 하기 위해서는 이들 운동 기구들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데, 제대로 운동하기 위해서는 많인 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100)는 유산소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사이클링과 근력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클라이밍이 결합된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한 번의 운동으로 유산소 운동 및 근력 운동 효과를 모두 거둘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운동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100)에서 제공하는 사이클링은 일반적인 사이클링 머신보다 동일 시간 대비 운동 강도가 월등히 높기 때문에, 적은 시간을 투자하여도 높은 운동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운동 시간이 길어지면 사람들은 점차 운동하는 것을 기피하게 된다. 유산소 운동 기구와 근력 운동 기구를 각각 사용하고 운동 시간 또한 길어지면 상기 유산소 운동 기구와 근력 운동 기구는 집안에서 운동 기구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100)는 투자 시간 대비 높은 운동 효과를 제공하므로, 헬스장에 갈 시간 조차 없는 사람들이나 장시간 운동에 지친 사람들에게 좋은 솔루션이 될 수 있다.
한편, 보통의 혹은 대부분의 가정 집에는 러닝 머신, 사이클링 머신 및 각종 근력 운동 기구들을 설치할 공간이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100)는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모두 제공한다. 이에 따라, 한 대의 상기 전신 운동 기구(100)만으로도 충분한 운동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러닝 머신 자리에 상기 전신 운동 기구(100)를 설치하면 되므로, 공간 상의 제약이 최소화될 수 있다.
아울러, 대부분의 사람들이 운동 기구를 이용하여 운동할 때 중도 포기하는 이유는 반복적인 패턴에 따른 지루함 때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100)는 가정 집에서 접하기 어려운 클라이밍 운동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신 운동 기구(100)를 이용하는 이용자는 운동 시 재미와 흥미를 느낄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전신 운동 기구(100)를 이용한 운동을 계속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100)는 베이스 프레임(110), 지지 프레임(120), 제1 페달부(130) 및 제2 페달부(14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지면 혹은 바닥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120), 제1 페달부(130) 및 제2 페달부(140)를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 프레임(11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상기 지지 프레임(120), 제1 페달부(130) 및 제2 페달부(1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중량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변형 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H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신 운동 기구(100)의 이동 설치를 가능하기 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운동 중 베이스 프레임(110)이 이동되어 운동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롤러에는 잠금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프레임(110)에 롤러가 구비되는 것은 일례일 뿐,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상기 롤러 외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을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이동 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롤러와 같은 이동 부재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지지 프레임(12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프레임(12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 프레임(120)은 측면에서 봤을 때, 길이 방향으로 라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프레임(120)은 이용자와 마주하는 측면이 오목한 라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지지 프레임(120)은 제1 지지 프레임(121) 및 제2 지지 프레임(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 프레임(121)은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121)은 힌지축(H)을 통하여 제2 지지 프레임(122)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지지 프레임(121)은 상기 제2 지지 프레임(122)이 힌지축(H)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2 지지 프레임(12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121)은 바(bar)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바 형태의 제1 지지 프레임(121)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지지 프레임(121)은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서로 좌우 대칭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 제1 지지 프레임(121)은 설정 폭을 가지는 판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지지 프레임(122)은 제1 페달부(130) 및 제2 페달부(140)의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지지 프레임(122)은 제1 지지 프레임(121) 상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지지 프레임(122)은 힌지축(H)을 통하여 제1 지지 프레임(121) 상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지지 프레임(122)은 힌지축(H)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지지 프레임(122)은 힌지축(H)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이용자에게 가변적인 경사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전신 운동 기구(100)를 이용하는 이용자는, 제2 지지 프레임(122)이 힌지축(H)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실제 클라이밍에서나 접할 수 있는 90도 이상의 경사면을 마주하게 된다. 즉, 이용자의 몸은 거의 뒤로 젖혀지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지지 프레임(122)은 제1 지지 프레임(121)과 마찬가지로 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지지 프레임(122)은 길이 방향으로 휘어진 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121)이 한 쌍으로 구비됨에 따라, 제2 지지 프레임(122) 또한 이와 대응되게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지지 프레임(122)은 한 쌍의 제1 지지 프레임(121) 상에 일대일 대응되게 연결됨에 따라, 서로 좌우 대칭을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지지 프레임(122)이 한 쌍의 바(bar)로 구비됨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프레임(120)은 제3 지지 프레임(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지지 프레임(123)은 봉 또는 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지지 프레임(123)은 양측 제2 지지 프레임(122)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3 지지 프레임(123)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3 지지 프레임(123)은 제2 지지 프레임(122)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 상단에 설치되는 제3 지지 프레임(123)에는 제2 페달부(140)가 연결될 수 있으며, 최 하단에 설치되는 제3 지지 프레임(123)에는 제1 페달부(13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중간에 설치되는 제3 지지 프레임(123)에는 후술되는 안전 벨트(도 5의 180)의 고리가 체결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페달부(130)는 이용자의 발 페달링(pedaling)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제1 페달부(130)는 지지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 하측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페달부(130)는 예를 들어, 최 하단에 설치되는 제3 지지 프레임(123)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제1 페달부(130)는 제1 축 프레임(131), 제1 회전축(132), 제1 링크(133), 발 페달(134) 및 고정 덮개(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축 프레임(131)은 제1 회전축(132)을 지지하는 부재로, 최 하단에 설치되는 제3 지지 프레임(12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축(132)은 제1 축 프레임(131)의 양측을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축(132)은 제1 축 프레임(13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링크(133)는 제1 회전축(132)과 발 페달(134)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이다. 제1 링크(133)에 의해 제1 회전축(132)과 발 페달(134)이 이격됨으로써, 페달링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링크(133)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1 링크(133)는 각각, 제1 회전축(132)의 길이 방향 양단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축(132)의 길이 방향 일단에 결합되는 제1 링크(133)와 제1 회전축(132)의 길이 방향 타단에 결합되는 제1 링크(133)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제1 회전축(132)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발 페달(134)은, 이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판으로, 이용자의 양쪽 발을 지지하기 위하여,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발 페달(134)은 각각, 한 쌍의 제1 링크(133)의 길이 방향 일단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덮개(135)는 발 페달(134)에 올려지는 이용자의 발을 고정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덮개(135)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각각의 발 페달(134)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발 페달(134)과 고정 덮개(135) 사이로 발을 끼워 넣고, 발이 고정된 상태에서 페달링을 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덮개(135)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2 페달부(140)는 이용자의 손 페달링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용자는 상기 제1 페달부(130) 및 제2 페달부(140)를 통하여, 손과 발로 동시에 페달링할 수 있다.
상기 제2 페달부(140)는 지지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페달부(140)는 예를 들어, 최 상단에 설치되는 제3 지지 프레임(123)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제2 페달부(140)는 제2 축 프레임(141), 제2 회전축(142), 제2 링크(143) 및 손 페달(144)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축 프레임(141)은 제2 회전축(142)을 지지하는 부재로, 최 상단에 설치되는 제3 지지 프레임(12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축(142)은 제2 축 프레임(141)의 양측을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회전축(142)은 제2 축 프레임(1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143)는 제2 회전축(142)과 손 페달(144)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이다. 제2 링크(143)에 의하여 제2 회전축(142)과 손 페달(144)이 이격됨으로써, 페달링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링크(143)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2 링크(143)는 각각, 제2 회전축(142)의 길이 방향 양단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회전축(142)의 길이 방향 일단에 결합되는 제2 링크(143)와 제2 회전축(142)의 길이 방향 타단에 결합되는 제2 링크(143)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제2 회전축(142)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손 페달(144)은, 이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바(bar) 혹은 봉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손 페달(144)은 이용자의 양손 파지가 가능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손 페달(144)은 각각, 한 쌍의 제2 링크(143)의 길이 방향 일단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변형 예에 따르면, 상기 손 페달(144)은 실제 클라이밍 하듯이 조약돌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용자가 양쪽 발로 상기 제1 페달부(130),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페달부(130)의 발 페달(134)을 밟으면서 페달링하고, 동시에 양쪽 손으로 제2 페달부(140), 구체적으로, 제2 페달부(140)의 손 페달(144)를 손으로 파지하여 페달링하게 되면, 이용자는 절벽을 기어오르는 동작을 취할 수 있다.
즉, 이용자가 발 페달(134)을 발로 밟으면서 페달링하고, 동시에 손 페달(144)를 손으로 파지하여 페달링하게 되면, 지지 프레임(120)을 절벽으로 하여 클라이밍(climbing)하는 자세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이클링과 클라이밍이 결합된 전신 운동 기구(100)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페달부(130)와 제2 페달부(140)가 양측 제2 지지 프레임(122) 사이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달리, 변형 실시 예에 따르면, 양측 발 페달(134)은 각각, 양측 제2 지지 프레임(122)의 양 측방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양측 손 페달(144) 또한 양측 제2 지지 프레임(122)의 양 측방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실시 예에 따르면, 발 페달(134)은 발바닥 및 발목을 지지할 수 있도록 대략 'ㄴ'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변형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 덮개(135)는 스노보드의 발 고정 방식처럼 이용자의 발을 안전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제1 고정 덮개(135a) 및 제2 고정 덮개(13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덮개(135a)는 이용자의 발등을 고정할 수 있는 형태로 발 페달(134)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2 고정 덮개(135b)는 이용자의 발목을 고정할 수 있는 형태로 발 페달(134)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100)는 제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50)는 제2 페달부(140), 구체적으로, 제2 페달부(140)의 손 페달(144)을 손으로 파지하여 페달링하는 이용자의 동작에 기반하여, 제2 지지 프레임(120)의 기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힌지축(H)을 회전시켜, 지지 프레임(120)의 기울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제1 지지 프레임(121)과 제2 지지 프레임(122) 사이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2 지지 프레임(120)의 기울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100)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는 제1 센서(161) 및 제2 센서(16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161)는 제2 페달부(140)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센서(161)는 이용자의 손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2 페달부(140), 구체적으로, 손 페달(144)이 회전되는 방향 및 회전 횟수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161)를 통하여 센싱된 손 페달(144)의 회전 방향 및 회전 횟수에 대한 신호는 제어부(15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50)는 예를 들어, 이용자의 손에 의하여 회전되는 손 페달(144)의 회전 방향이 정 방향인 경우, 심화 클라이밍 모드 제공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여, 최초 상태에서 제2 지지 프레임(122)을 설정 각도로 기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이용자의 손에 의하여 회전되는 손 페달(144)의 회전 방향이 역 방향이고, 역 방향으로 2회 회전된 경우, 기본 클라이밍 모드 제공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여, 기울어진 상태에서 최초 상태로 제2 지지 프레임(122)을 복귀시키는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 센서(162)는 제1 페달부(130)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센서(162)는 이용자의 발에 의하여 회전되는 제1 페달부(130), 구체적으로 발 페달(134)이 회전되는 방향 및 회전 횟수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162)를 통하여 센싱된 발 페달(134)의 회전 방향 및 회전 횟수에 대한 신호는 제어부(15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50)는 예를 들어, 이용자의 손에 의하여 회전되는 손 페달(144)의 회전 방향이 역 방향이고, 1회 회전된 상태에서, 이용자의 발에 의하여 회전되는 발 페달(134)이 정 방향으로 2회 회전된 경우, 제1 회전축(132)과 제2 회전축(142)의 토크를 +2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운동 강도는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이용자의 손에 의하여 회전되는 손 페달(144)의 회전 방향이 역 방향이고, 1회 회전된 상태에서, 이용자의 발에 의하여 회전되는 발 페달(134)이 역 방향으로 2회 회전된 경우, 제1 회전축(132)과 제2 회전축(142)의 토크를 -2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운동 강도는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100)는 페달링을 통한 운동 강도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 입장에서는 자신이 컨디션 혹은 몸 상태에 맞는 운동을 할 수 있고, 신체 조건이 다른 다양한 사람들이 공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100)는 구동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70)는 힌지축(H)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70)는 힌지축(H)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100)는 기본 클라이밍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기본 클라이밍 모드는 최초 상태로, 제2 지지 프레임(122)이 힌지축(H)을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은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기본 클라이밍 모드에서, 이용자가 발 페달(134)을 밟고, 손 페달(144)을 파지하면, 이용자는 허리가 세워진 상태로 수직 절벽을 오르는 자세를 취하게 된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100)는 심화 클라이밍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심화 클라이밍 모드는 최초 상태에서 제2 지지 프레임(122)이 힌지축(H)을 중심으로 회전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심화 클라이밍 모드에서, 이용자가 발 페달(134)을 밟고, 손 페달(144)을 파지하면, 이용자는 뒤로 젖혀진 상태에서 경사면을 기어가는 자세를 취하게 된다.
기본 클라이밍 모드에서 심화 클라이밍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제어부(150)는, 제2 페달부(140)의 손 페달(144)이 정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구동부(170)를 작동시켜 힌지축(H)을 회전시키고, 이를 통하여, 제2 지지 프레임(122)이 설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심화 클라이밍 모드에서 기본 클라이밍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제어부(150)는, 제2 페달부(140)의 손 페달(144)이 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구동부(170)를 작동시켜 힌지축(H)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를 통하여, 제2 지지 프레임(122)이 최초 상태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심화 클라이밍 모드인 경우, 이용자의 몸이 완전히 뒤로 젖혀진 상태에서 제2 지지 프레임(122)에 매달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손 페달(144)에서 손을 놓게 되면, 자칫 낙상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심화 클라이밍 모드를 해제하고 싶은 이용자는 손 페달(144)을 잡고 있는 손을 손 페달(144)에서 떼지 않고 잡고 있는 상태에서 손 페달(144)의 회전 방향만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심화 클라이밍 모드를 기본 클라이밍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심화 클라이밍 모드인 경우, 이용자의 몸이 과도하게 뒤로 젖혀지고, 이 상태에서 팔과 다리에 힘이 빠질 때, 바닥으로 추락할 위험이 있다.
이에,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100)는 안전 벨트(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전 벨트(180)는 허리 벨트(181), 인출 로프(182) 및 체결구(18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허리 벨트(181)는 이용자의 허리 둘레에 착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허리 벨트(181)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허리 벨트(181)에는 허리 벨트(18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벨트 클립(181a)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체형의 이용자가 안전 벨트(18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출 로프(182)는 허리 벨트(181)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출 로프(182)의 길이 방향 단부에는 체결구(18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구(183)는 제2 지지 프레임(122)에 연결되어 있는 체결 로프(184)의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체결구(183)는 분리 가능하게 체결 로프(184)의 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손 페달(144)을 잡고 있는 손을 손 페달(144)에서 떼지 않고 잡고 있는 상태에서 손 페달(144)의 회전 방향만을 변경하여, 심화 클라이밍 모드를 기본 클라이밍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르면, 심화 클라이밍 모드 시 안전 벨트(180)를 착용한 상태로 지지 프레임(120)에 매달릴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100)는 우수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100)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이용자가 전신 운동 기구(100)를 이용하기 전, 제2 지지 프레임(122)의 기울기, 발 페달(134)과 손 페달(144)의 회전 강도, 기본 클라이밍 모드에서 심화 클라이밍 모드로 전환되는 시간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 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러한 조작부는 예를 들어, 베이스 프레임(110)이나 지지 프레임(1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의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각 구성들의 도면 부호는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용자의 페달링 동작을 통하여, 전신 운동 기구(100)의 운동 모드가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용자는 손 페달(144)의 회전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기본 클라이밍 모드에서 심화 클라이밍 모드로 전신 운동 기구(100)의 운동 모드를 전환시키거나, 심화 클라이밍 모드에서 기본 클라이밍 모드로 전신 운동 기구(100)의 운동 모드를 전환시킬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100)는 제1 센서(161)를 통하여 제2 페달부(140), 구체적으로, 제2 페달부(140)의 손 페달(144)의 회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S11).
그 다음, 상기 전신 운동 기구(100)는 손 페달(144)의 회전 방향이 정 방향인지 확인할 수 있다(S12).
상기 전신 운동 기구(100)는 예를 들어, 상기 손 페달(144)의 회전 방향이 정 방향인 것으로 확인되면, 구동부(170)를 통하여 힌지축(H)을 회전시켜, 제2 지지 프레임(122)이 설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심화 클라이밍 모드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13).
이때, 상기 제2 지지 프레임(122)의 설정 각도는, 이용자가 전신 운동 기구(100)를 이용하기 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100)는 손 페달(144)의 회전 방향이 역 방향인지 확인할 수 있다(S14).
상기 전신 운동 기구(100)는 손 페달(144)의 회전 방향이 역 방향인 것으로 확인되면, 구동부(170)를 통하여 힌지축(H)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지지 프레임(122)이 최초 상태로 복귀되는 기본 클라이밍 모드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용자의 페달링 동작을 통하여, 전신 운동 기구(100)의 페달링 운동 강도가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용자는 손 페달(144) 및 발 페달(134)의 회전 방향 및 회전 횟수를 변경함으로써, 페달링하는 강도를 증가시키거나 페달링하는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신 운동 기구(100)는 제1 센서(161)를 통하여 제2 페달부(140), 구체적으로, 제2 페달부(140)의 손 페달(144)이 역 회전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S21).
상기 손 페달(144)이 역 회전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전신 운동 기구(100)는, 상기 손 페달(144)의 역 방향 회전 횟수를 확인할 수 있다(S22).
이때, 상기 전신 운동 기구(100)는 손 페달(144)의 역 방향 회전 횟수가 1회인 경우, 제2 센서(162)를 통하여, 제1 페달부(130), 구체적으로, 제1 페달부(130)의 발 페달(134)의 회전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S23).
그 다음, 상기 전신 운동 기구(100)는 발 페달(134)의 회전 방향이 정 방향인지 확인할 수 있다(S24).
상기 전신 운동 기구(100)는 상기 발 페달(134)의 회전 방향이 정 방향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발 페달(134)의 정 방향 회전 횟수에 비례하여 제1 회전축(132) 및 제2 회전축(142)의 회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신 운동 기구(100)는 상기 발 페달(134)의 정 방향 회전 횟수가 1회인 경우, 상기 제1 회전축(132) 및 제2 회전축(142)의 회전력을 +1 증가시키고, 상기 발 페달(134)의 정 방향 회전 횟수가 2회인 경우, 상기 제1 회전축(132) 및 제2 회전축(142)의 회전력을 +2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전신 운동 기구(100)는 상기 발 페달(134)의 정 방향 회전 횟수가 N(자연수)회인 경우, 상기 제1 회전축(132) 및 제2 회전축(142)의 회전력을 +N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신 운동 기구(100)는 상기 발 페달(134)의 회전 방향이 정 방향이 아닌 역 방향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S24-1), 상기 발 페달(134)의 역 방향 회전 횟수에 비례하여 제1 회전축(132) 및 제2 회전축(142)의 회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S24-2).
예를 들어, 상기 전신 운동 기구(100)는 상기 발 페달(134)의 역 방향 회전 횟수가 1회인 경우, 상기 제1 회전축(132) 및 제2 회전축(142)의 회전력을 -1 감소시키고, 상기 발 페달(134)의 역 방향 회전 횟수가 2회인 경우, 상기 제1 회전축(132) 및 제2 회전축(142)의 회전력을 -2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전신 운동 기구(100)는 상기 발 페달(134)의 역 방향 회전 횟수가 N(자연수)회인 경우, 상기 제1 회전축(132) 및 제2 회전축(142)의 회전력을 -N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용자는 손으로 손 페달(144)을 페달링하여, 상기 손 페달(144)을 역 방향으로 1회 회전시킨 다음, 발로 발 페달(134)을 페달링하여, 상기 발 페달(134)을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N회 회전시키면서, 자신에게 맞는 강도로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신 운동 기구(100)는 상기 손 페달(144)의 역 방향 회전 수가 1회가 아닌 2회인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S22-1), 구동부(170)를 통하여 힌지축(H)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지지 프레임(122)이 최초 상태로 복귀되는 기본 클라이밍 모드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전신 운동 기구 110; 베이스 프레임
120; 지지 프레임 121; 제1 지지 프레임
122; 제2 지지 프레임 123; 제3 지지 프레임
130; 제1 페달부 131; 제1 축 프레임
132; 제1 회전축 133; 제1 링크
134; 발 페달 134; 고정 덮개
140; 제2 페달부 141; 제2 축 프레임
142; 제2 회전축 143; 제2 링크
144; 손 페달 150; 제어부
161; 제1 센서 162; 제2 센서
170; 구동부 180; 안전 벨트
H; 힌지축

Claims (3)

  1. 중량체로 구비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지지 프레임;
    이용자가 양쪽 발로 페달링(pedaling)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 하측에 마련되는 제1 페달부; 및
    상기 이용자가 양쪽 손으로 페달링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 상측에 마련되는 제2 페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용자가 양쪽 발로 상기 제1 페달부를 페달링하고 동시에 양쪽 손으로 상기 제2 페달부를 페달링하는 경우, 상기 이용자가 상기 지지 프레임을 클라이밍(climbing)하는 자세가 만들어지며,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는 제1 지지 프레임; 및
    길이 방향 양측에 상기 제1 페달부 및 제2 페달부의 설치 공간을 제공하며, 힌지축을 통하여,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길이 방향 상단에 연결되는 제2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이용자에게 가변적인 경사면을 제공하고,
    제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페달부를 페달링하는 이용자의 동작에 따른 상기 제2 페달부의 회전 방향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기울기를 제어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페달부 및 제2 페달부를 통하여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매달린 이용자의 몸이 뒤로 젖혀지게 만드는 제1 클라이밍 경사면을 제공하는 심화 클라이밍 모드를 제공하거나, 상기 제1 페달부 및 제2 페달부를 통하여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에 매달린 이용자의 허리가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지게 만드는 제2 클라이밍 경사면을 제공하는 기본 클라이밍 모드를 제공하도록, 상기 제2 페달부를 페달링하는 이용자의 동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기울기를 제어하며,
    구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상기 힌지축과 연결되어, 상기 힌지축을 회전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페달부가 정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이 설정 각도로 기울어지는 상기 심화 클라이밍 모드를 제공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2 페달부가 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이 최초 상태로 복귀되는 상기 기본 클라이밍 모드를 제공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페달부를 페달링하는 이용자의 동작에 따른 상기 제1 페달부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1 페달부의 회전 후의 상기 제2 페달부의 회전 방향과 회전 횟수에 기반하여 운동 강도를 제어하는, 전신 운동 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센서는 상기 제2 페달부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페달부의 회전 방향을 센싱하는, 전신 운동 기구.
  3. 제1 항에 있어서,
    안전 벨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안전 벨트의 길이 방향 일단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체결되며, 길이 방향 타단은 상기 이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전신 운동 기구.
KR1020230035702A 2022-06-27 2023-03-20 전신 운동 기구 KR202400016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5702A KR20240001661A (ko) 2022-06-27 2023-03-20 전신 운동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488 2022-06-27
KR1020230035702A KR20240001661A (ko) 2022-06-27 2023-03-20 전신 운동 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488 Division 2022-06-27 2022-06-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661A true KR20240001661A (ko) 2024-01-03

Family

ID=89539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5702A KR20240001661A (ko) 2022-06-27 2023-03-20 전신 운동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16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0570B1 (en) Elliptical exercise equipment with stowable arms
US6450923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enhanced exercises and back pain relief
US7662070B1 (en) Recumbent bicycle for disabled users
US7780577B2 (en) Pendulous exercise device
US20080103034A1 (en) Balance Fitness Machine
US20140011645A1 (en) Multiple position exercise device
US20070099767A1 (en) Body training machine
US20090062090A1 (en) Rocking type exercising apparatus
KR101487135B1 (ko) 승마용 운동기구
KR102000626B1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장치
US11712600B2 (en) Convertible bicycle exercise apparatus
KR100977046B1 (ko) 승마형 운동기구
KR101966608B1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01661A (ko) 전신 운동 기구
CA2485140C (en) Cardiovascular spine exerciser
KR101827253B1 (ko) 다기능 복합운동기구
CN207187045U (zh) 一种用于运动、娱乐和vr游戏或体验的环形悬挂装置
CN207101738U (zh) 一种用于运动、娱乐和vr游戏或体验的悬挂装置
KR20080035935A (ko) 런닝머신장치
KR100493355B1 (ko) 전신운동 기구장치
KR100814472B1 (ko) 추진력 제공수단이 형성된 트레드밀
KR20080005308U (ko) 헬스 사이클
KR101969283B1 (ko) 무릎과 발목 관절을 보호하며 다리 상부와 힙을 운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0489544Y1 (ko) 걷기 및 허리 운동기구
KR101048678B1 (ko) 승마 평형성 훈련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