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483A - Assembling boat having multiple flange at bottom - Google Patents

Assembling boat having multiple flange at bott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483A
KR20240001483A KR1020220078198A KR20220078198A KR20240001483A KR 20240001483 A KR20240001483 A KR 20240001483A KR 1020220078198 A KR1020220078198 A KR 1020220078198A KR 20220078198 A KR20220078198 A KR 20220078198A KR 20240001483 A KR20240001483 A KR 20240001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s
boat
flange
pieces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1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서준
Original Assignee
박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서준 filed Critical 박서준
Priority to KR1020220078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1483A/en
Publication of KR20240001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48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2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 B63B7/04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sectional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 B63B5/24Hull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of non-metallic material made predominantly of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40Synthetic materials
    • B63B2231/52Fibre reinforced plastics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강풍이나 작은 파도에도 상대적으로 흔들림이 심하지 않고, 약간의 높은 파도에도 전복될 위험성이 작으며, 외부의 충격을 충분하게 지탱하는 선저에 복수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립식 보트를 제시한다. 그 보트는 보트의 길이방향으로 조각난 n개의 조각이 조립되어 이루어지고, n개의 조각이 조립되어 보트의 선저로부터 돌출되는 복수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며, 플랜지는 2개의 외측 플랜지 및 (n-3)개의 내측 플랜지를 포함한다.We present a prefabricated boat that is relatively not shaken by strong winds or small waves, has a small risk of capsizing even by slightly high wave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langes at the bottom that sufficiently supports external shocks. The boat is made by assembling n piece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at, and the n pieces are assembled to include a plurality of flanges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boat, where the flanges include two outer flanges and (n-3) pieces. Includes inner flange.

Description

선저에 복수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립식 보트{Assembling boat having multiple flange at bottom}Assembling boat having multiple flanges at bottom}

본 발명은 조립식 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개 조각의 조립으로 선저로부터 돌출된 복수개의 플랜지를 구비하여 보트에서 요구되는 물성이 개선된 조립식 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boat, and more specifically, to a prefabricated boat with improved physical properties required for a boat by having a plurality of flanges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ship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pieces.

일반적으로 요트, 낚시 보트, 연안용 어선 등의 중소형 선박은 크기가 작기 때문에 운반과 보관이 편리하고, 비용이 저렴한 등의 장점이 있다. 하지만, 강풍이나 작은 파도에도 흔들림이 심하고, 약간의 높은 파도에도 전복될 위험성이 높으며, 외부의 충격에 취약하다. 대부분의 선박은 하나의 선체(mono hull)로 이루어져 있지만, 다수의 선체(multi-hull)로 이루어진 쌍동선(catamaran, trimaran)도 존재한다. 쌍동선은 배수량을 복수개의 선체가 분담되도록 하고, 그 선체를 갑판 또는 그 밖의 구조물로 연결한 형태로 탁월한 복원성(stability)을 가진다.In general, small and medium-sized vessels such as yachts, fishing boats, and coastal fishing boats have advantages such as convenient transportation and storage and low cost due to their small size. However, it is subject to severe shaking even in strong winds or small waves, has a high risk of capsizing even in slightly high waves, and is vulnerable to external shocks. Most ships are made up of a single hull (mono hull), but catamarans (catamarans, trimarans) are also made up of multiple hulls (multi-hulls). A catamaran has excellent stability because the displacement is shared between multiple hulls and the hulls are connected to a deck or other structure.

한편, 보트를 제작하는 방식에서, 중국공개특허 제103010400호, 미국공개특허 제2017-0305501호 등에서 복수의 조각을 조립하는 조립식 보트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 특허는 몰드(mold)에 섬유강화플라스틱을 적층하여 제작하는 일체형 보트에 비하여, 상기 조립식 보트는 복수개의 섬유강화플라스틱 조각을 결합하여 제작한다. 그런데, 종래의 보트는 조립식이라고 해도, 중소형 선박에 내재되어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어렵다. Meanwhile, a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boat, a prefabricated boat that assembles multiple pieces has been proposed in Chinese Patent Publication No. 103010400, U.S. Patent Publication No. 2017-0305501, etc. In the patent, compared to an integrated boat manufactured by laminating fiber-reinforced plastic on a mold, the prefabricated boat is manufactur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fiber-reinforced plastic pieces. However, even if conventional boats are prefabricated,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s inherent in small and medium-sized ship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강풍이나 작은 파도에도 상대적으로 흔들림이 심하지 않고, 약간의 높은 파도에도 전복될 위험성이 작으며, 외부의 충격을 충분하게 지탱하는 선저에 복수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립식 보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fabricated boat that is relatively not shaken by strong winds or small waves, has a small risk of capsizing even by slightly high wave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langes at the bottom of the ship that sufficiently supports external shocks. is to provide.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저에 복수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립식 보트는 보트의 길이방향으로 조각난 n개의 조각이 조립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n개의 조각이 조립되어 상기 보트의 선저로부터 돌출되는 복수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는 2개의 외측 플랜지 및 (n-3)개의 내측 플랜지를 포함한다.A prefabricated boat including a plurality of flanges on the bottom for solving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by assembling n piece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at, and the n pieces are assembled to form a plurality of flanges that protrude from the bottom of the boat. It includes a flange, wherein the flange includes two outer flanges and (n-3) inner flanges.

본 발명의 보트에 있어서, 상기 보트는 적어도 하나의 선체를 가진다. 상기 내측 플랜지의 단부는 상기 외측 플랜지의 단부가 연결된 직선에 일치하거나, 또는 상기 직선에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외측 플랜지의 폭은 상기 선저의 깊이보다 크다. 상기 선저의 평탄한 부분에서의 상기 플랜지의 폭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마감부에 의해 마감될 수 있다.In the boa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at has at least one hull. The end of the inner flange may coincide with a straight lin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outer flange, or may not reach the straight line. The width of the outer flange is greater than the depth of the bottom. The width of the flange at the flat portion of the bottom may be the same. The flange may be closed by a finishing por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보트에 있어서, 상기 조각은 단층 또는 적층구조를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층구조는 n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는 2n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층구조는 적어도 1층의 기재 및 적어도 1층의 섬유강화플라스틱층이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ferred boa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eces may be of single layer or laminated structure. The laminated structure may be made of n layers, and the flange may be made of 2n layers. The laminated structure may include at least one layer of a substrate and at least one layer of fiber-reinforced plastic.

본 발명의 선저에 복수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립식 보트에 의하면, 선저에서의 복수개 플랜지를 활용함으로써, 강풍이나 작은 파도에도 상대적으로 흔들림이 심하지 않고, 약간의 높은 파도에도 전복될 위험성이 작으며, 외부의 충격을 충분하게 지탱한다.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boat including a plurality of flanges at the bottom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tilizing the plurality of flanges at the bottom of the ship, the shaking is relatively not severe even in strong winds or small waves, the risk of capsizing even in slightly high waves is small, and the external Sufficiently sustains the impact of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보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2 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보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bo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in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bo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bo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하였다. 한편, 상부, 하부, 정면 등과 같이 위치를 지적하는 용어들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관련될 뿐이다. 실제로, 보트는 임의의 선택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 사용할 때 공간적인 방향은 보트의 방향 및 회전에 따라 변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drawing, the representation is exaggera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Meanwhile, terms indicating location, such as top, bottom, front, etc., are only related to what is shown in the drawing. In practice, the boat can be used in any optional orientation, and in actual use the spatial orientation changes depending on the orientation and rotation of the boa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저에서의 복수개 플랜지를 활용함으로써, 강풍이나 작은 파도에도 상대적으로 흔들림이 심하지 않고, 약간의 높은 파도에도 전복될 위험성이 작으며, 외부의 충격을 충분하게 지탱하는 조립식 보트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복수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립식 보트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고, 상기 플랜지에 의하여 보트의 물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보트는 요트, 낚시 보트, 연안용 어선 등의 중소형 선박을 말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plurality of flanges at the bottom of the ship to create a prefabricated boat that is relatively less shaken by strong winds or small waves, has a small risk of capsizing even by slightly high waves, and sufficiently supports external shocks. present. To this end, we will look at the prefabricated boat including a plurality of flanges in detail, and explain in detail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boat by the flanges. The prefabricated bo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small and medium-sized vessels such as yachts, fishing boats, and coastal fishing boa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보트(100)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irst boa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ure 1. However, it is not a drawing in the strict sense, and there may be components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보트(100)는 단일 선체의 모노 헐(mono hull) 구조로써, 여러 가지 조각을 조립하여 제작한 조립식 보트이다. 도면에서는 4개의 조각(10~13)을 조립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4개의 조각(10~13) 중에서 제1 및 제4 조각(10, 13)은 제1 보트(100) 좌우의 측벽(A)을 구성하며, 스트레이크(strake, 14)와, 제1 및 제6 접합부(20, 25)를 포함한다. 스트레이크(14)는 밑판이 평탄하고 약간 경사지게 한 것으로, 양력을 증가시키고 안정된 운행을 할 수 있게 하며 침몰에 대한 저항력을 증대시키는 등 효과가 있다. 제1 및 제6 접합부(20, 25)는 스트레이크(14)로부터 연장된다. 즉, 제1 및 제4 조각(10, 13)은 스트레이크(14)와, 제1 및 제6 접합부(20, 25)를 포함하여 하나의 몸체로 이룬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first boat 100 is a single-hull monohull structure and is a prefabricated boat manufactured by assembling several pieces. The drawing presents an example of assembling four pieces (10 to 13). Among the four pieces (10 to 13), the first and fourth pieces (10, 13) constitute the side walls (A)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boat (100), and the strake (14) and the first and fourth pieces (10, 13) 6 Contains joints 20 and 25. Strakes (14) have a flat, slightly sloping bottom plate, and are effective in increasing lift, enabling stable operation, and increasing resistance to sinking. The first and sixth joints 20, 25 extend from the strakes 14. That is, the first and fourth pieces 10 and 13 include the strakes 14 and the first and sixth joints 20 and 25 to form one body.

4개의 조각(10~13) 중에서 제2 및 제3 조각(11, 12)은 제1 보트(100)의 선저(B) 및 선미(C)를 구성한다. 제2 및 제3 조각(11, 12)의 선미(C)에는 절벽처럼 잘라진 부분인 트랜솜(transom, 15)과, 제2 내지 제5 접합부(21, 22, 23, 24)를 포함할 수 있다. 트랜솜(15)은 제1 보트(100)에 적용되는 하나의 사례로써,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제2 내지 제5 접합부(21, 22, 23, 24)는 선저(B)로부터 연장된다. 이때, 제2 및 제3 조각(11, 12)은 트랜솜(15)과, 제2 내지 제5 접합부(21, 22, 23, 24)를 포함하여 하나의 몸체로 이룬다. Among the four pieces (10 to 13), the second and third pieces (11, 12) constitute the bottom (B) and stern (C) of the first boat (100). The stern (C) of the second and third pieces (11, 12) may include a transom (15), which is a cliff-like part, and second to fifth joints (21, 22, 23, 24). there is. The transom 15 is an example applied to the first boat 100, and various forms may be appli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to fifth joints 21, 22, 23, and 24 extend from the bottom B. At this time, the second and third pieces 11 and 12 include the transom 15 and the second to fifth joints 21, 22, 23, and 24 to form one body.

4개의 조각(10~13)을 조립된 제1 보트(100)는 선저(B)로부터 돌출된 제1 및 제2 플랜지(30, 31)를 제공한다. 여기서, 선저(B)로부터의 돌출은 선저(B)를 벗어난 것을 의미한다. 제1 플랜지(30)는 제1 조각(10)의 제1 접합부(20)와 제2 조각(11)의 제2 접합부(21), 및 제4 조각(13)의 제6 접합부(25)와 제3 조각(12)의 제5 접합부(24)가 접합되어 이루어진다. 제2 플랜지(30)는 제2 조각(11)의 제3 접합부(22)와 제3 조각(12)의 제4 접합부(23)가 접합되어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플랜지(30, 31)의 접합은 접착제를 활용하거나 융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제2 및 제3 조각(11, 12)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제2 및 제3 조각(11, 12)은 이음부(16)에 의해 결합된다. 이음부(16)는 공지된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간략하게 표현하였다. The first boat 100 assembled from four pieces 10 to 13 provides first and second flanges 30 and 31 protruding from the bottom B. Here, protrusion from the bottom (B) means deviating from the bottom (B). The first flange 30 has a first joint 20 of the first piece 10, a second joint 21 of the second piece 11, and a sixth joint 25 of the fourth piece 13. It is formed by joining the fifth joint portion 24 of the third piece 12. The second flange 30 is formed by joining the third joint 22 of the second piece 11 and the fourth joint 23 of the third piece 12. The joining of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30 and 31 can be accomplished using an adhesive or by fusion. At this time,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second and third pieces 11 and 12, the second and third pieces 11 and 12 are joined by the joint 16. All known methods can be applied to the joint 16, and are briefly expressed here.

제1 플랜지(30)는 제1 보트(100)의 양측인 외측에 배치되고, 제2 플랜지(31)는 제1 보트(100)의 중간인 내측에 배치된다. 4개의 조각(10~13)을 조립하면, 2개의 제1 플랜지(30) 및 1개의 제2 플랜지(31)가 만들어진다. 즉, n개의 조각이 조립되면, 2개의 제1 플랜지(30) 및 (n-3)개의 제2 플랜지(31)가 존재한다. 제1 내지 제6 접합부(20~25)는 선미(B)로부터 선수(17)에 걸쳐 존재한다. 즉, 4개의 조각(10~13)은 선미(B)로부터 선수(17)에 걸쳐 조각난 것이다. 선미(B)로부터 선수(17)에 걸쳐 조각난 것을 보트의 길이방향으로 조각났다고 한다. 선저(B)는 평탄한 부분과 선수(17)로 갈수록 상승하는 부분이 구분되는 꺾인 부분인 꺾임부(18)가 존재한다. 제1 플랜지(30)는 꺾임부(18)를 기준으로, 제1 폭(W1) 및 제2 폭(W2)을 가지며, 제2 플랜지(31)는 제3 폭(W3) 및 제4 폭(W4)을 가진다. The first flange 30 is disposed on the outside, on both sides of the first boat 100, and the second flange 31 is disposed on the inside, in the middle of the first boat 100. By assembling the four pieces (10 to 13), two first flanges (30) and one second flange (31) are created. That is, when n pieces are assembled, there are two first flanges 30 and (n-3) second flanges 31. The first to sixth joints 20 to 25 exist from the stern B to the bow 17. That is, four pieces (10 to 13) are cut from the stern (B) to the bow (17). The pieces from the stern (B) to the bow (17) are said to be pieces along the length of the boat. The bottom (B) has a bent portion (18) that is divided into a flat portion and a portion that rises toward the bow (17). The first flange 30 has a first width W1 and a second width W2 based on the bent portion 18, and the second flange 31 has a third width W3 and a fourth width (W3). W4).

꺾임부(18)를 중심으로 제1 플랜지(30)의 평탄한 부분은 제1 폭(W1)과, 제1 플랜지(30)의 상승하는 부분은 제2 폭(W2)을 이룬다. 마찬가지로, 제2 플랜지(31)의 평탄한 부분 제3 폭(W3)과, 상승하는 부분은 제4 폭(W4)을 이룬다. 제1 폭(W1) 및 제3 폭(W3)은 전체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제2 폭(W2) 및 제4 폭(W4)은 선수(17)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4 폭(W1, W2, W3, W4)은 제1 보트(100)의 종류, 크기, 형태, 제1 및 제2 플랜지(30, 31)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랜지(30)의 제1 폭(W1)은 선저(B)의 깊이(D)보다 크게 하여, 선저(B) 아래로 돌출되도록 한다. The flat part of the first flange 30 around the bent portion 18 forms the first width W1, and the rising part of the first flange 30 forms the second width W2. Likewise, the flat portion of the second flange 31 forms a third width W3, and the rising portion forms a fourth width W4.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width (W1) and the third width (W3) are the same overall, and the second width (W2) and the fourth width (W4) may become narrower toward the bow 17. The first to fourth widths W1, W2, W3, and W4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type, size, shape, and first and second flanges 30 and 31 of the first boat 100. For example, the first width W1 of the first flange 30 is made larger than the depth D of the bottom B, so that it protrudes below the bottom B.

한편, 제1 내지 제4 조각(10~13)은 단층 또는 적층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적층구조는 도 2에서와 같이, 적어도 1층의 기재(12a, 13a)에 적어도 1층의 섬유강화플라스틱층(FRP layer, 12b, 13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면에서는 3층으로 이루어진 제3 및 제4 조각(12, 13)이 접합되어 이루어진 제1 플랜지(30)를 예로 들었다. 제1 플랜지(30)는 3층의 제3 및 제4 조각(12, 13)이 접합되어 총 6층을 이룬다. 즉, n층의 제1 내지 제4 조각(10~13)이 접합되어 제1 및 제2 플랜지(30, 31)를 이루면, 제1 및 제2 플랜지(30, 31)는 2n층을 이룬다. 제1 및 제2 플랜지(30, 31)의 두께가 커지면, 제1 내지 제4 조각(10~13)에 비하여, 외부의 충격에도 충분하게 견딜 수 있도록 정도로 강성을 증대시킨다. Meanwhile, the first to fourth pieces 10 to 13 may have a single-layer or laminated structure. As shown in FIG. 2, the laminated structure includes at least one layer of substrates 12a and 13a and at least one fiber-reinforced plastic layer (FRP layer, 12b and 13b). In the drawing, the first flange 30 formed by joining the third and fourth pieces 12 and 13 made of three layers is used as an example. The first flange 30 is made up of three layers of third and fourth pieces 12 and 13 joined to form a total of six layers. That is, when the first to fourth pieces 10 to 13 of n layers are joined to form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30 and 31,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30 and 31 form 2n layers. When the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30 and 31 increases, the rigidity is increased to a degree that can sufficiently withstand external shock compared to the first to fourth pieces 10 to 13.

한편, 제1 폭(W1) 및 제3 폭(W3)의 단부(30a, 31a)는 일직선으로 일치하거나, 제3 폭(W3)의 단부(31a)는 제1 폭(W1)의 단부(30a)에 미치지 않을 수 있다. 제1 및 제2 플랜지(30, 31)는 강풍이나 작은 파도에도 흔들림을 줄이고, 약간의 높은 파도에도 전복될 위험성을 낮추며, 외부의 충격에도 제1 보트(100)를 보호하는 등과 같은 역할을 한다. 예컨대, 제1 보트(100)가 파도, 암초 등으로 충격을 받으면, 제1 및 제2 플랜지(30, 31)는 상기 충격에 의한 힘을 분산시키며 상기 충격을 흡수한다. Meanwhile, the ends 30a and 31a of the first width W1 and the third width W3 are aligned in a straight line, or the end 31a of the third width W3 is aligned with the end 30a of the first width W1. ) may not reach this level.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30 and 31 reduce shaking even in strong winds or small waves, reduce the risk of capsizing even in slightly high waves, and protect the first boat 100 from external shocks. . For example, when the first boat 100 is impacted by a wave, a reef, etc.,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30 and 31 disperse the force caused by the impact and absorb the impact.

만일, 제1 플랜지(30)로 상기 역할을 충분하게 감당할 수 있으면, 제3 폭(W3)의 단부(31a)가 제1 폭(W1)의 단부(30a)에 미치지 않아도 무방하다. 제3 폭(W3)의 단부(31a)가 제1 폭(W1)의 단부(30a)에 미치지 않으면, 제1 플랜지(30)가 상기 역할에 대하여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제2 플랜지(31)는 보조적인 역할을 한다. 왜냐하면, 제2 플랜지(31)의 단부는 상기 일직선과 선저(B)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1 플랜지(30)로 상기 역할을 충분하게 감당하지 못한다면, 제3 폭(W3)의 단부(31a)는 제1 폭(W1)의 단부(30a)에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f the first flange 30 can sufficiently fulfill the above role, the end 31a of the third width W3 does not need to reach the end 30a of the first width W1. If the end 31a of the third width W3 does not reach the end 30a of the first width W1, the first flange 30 plays a leading role in this role, and the second flange 31 plays an auxiliary role. This is because the end of the second flange 31 is located between the straight line and the bottom (B). In addition, if the first flange 30 cannot sufficiently fulfill the above rol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31a of the third width W3 coincides with the end 30a of the first width W1.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보트(2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제2 보트(200)는 제1 및 제2 플랜지(30, 31)에 마감부(40, 41)가 결합된 것을 제외하고, 제1 보트(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boa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second boat 200 is the same as the first boat 100, except that the finishing portions 40 and 41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30 and 31. Accordingly, detail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parts will be omitted.

도 3에 의하면, 제2 보트(200)에서의 제1 플랜지(30)는 제1 마감부(40)에 의해 마감되고, 제2 플랜지(31)는 제2 마감부(41)에 의해 마감된다. 제1 마감부(40)는 제1 플랜지(30)의 단부(30a)를 감싸고, 제2 마감부(41)는 제2 플랜지(31)의 단부(31a)를 감싼다. 제1 및 제2 마감부(40, 41)은 접착제를 활용하거나 융착 등으로 각각 제1 및 제2 플랜지(30, 31)에 접합하여 마감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마감부(40, 41)의 단면 형상, 재질, 두께는 제1 보트(100)의 흔들림, 운행 안정성, 제1 및 제2 플랜지(30, 31)의 훼손 방지 등이 고려되어 설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3, the first flange 30 in the second boat 200 is closed by the first finishing part 40, and the second flange 31 is closed by the second finishing part 41. . The first closure portion 40 surrounds the end portion 30a of the first flange 30, and the second closure portion 41 surrounds the end portion 31a of the second flange 31. The first and second finishing parts 40 and 41 can be finished by joining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30 and 31, respectively, using an adhesive or by fusion. The cross-sectional shape,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first and second finishing parts (40, 41)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prevent shaking of the first boat (100), operational stability, and damage to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30, 31). can be set.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3 보트(3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제3 보트(300)는 3개의 선체인 트라이마란(trimaran) 구조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 제1 보트(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boa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third boat 300 is the same as the first boat 100 except that it has a three-hull trimaran structure. Accordingly, detailed description of overlapping parts will be omitted.

도 4에 의하면, 제3 보트(300)는 9개의 조각(50~59)을 조립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제3 보트(300)는 제3 내지 제6 플랜지(60~63)를 포함한다. 제3 플랜지(60)는 제5 및 제6 조각(50, 51)과, 제13 및 제14 조각(58, 59)이 접합되어 이루어진다. 제3 플랜지(60)는 제1 보트(100)의 제1 플랜지(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역할을 한다. 이때, 제3 플랜지(60)는 제5 폭(W5)을 가진다. 제4 플랜지(61)는 제6 및 제7 조각(51, 52)과, 제12 및 제13 조각(57, 58)이 접합되어 이루어진다. 제4 플랜지(61)는 제1 보트(100)의 제2 플랜지(3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및 역할을 한다. 이때, 제4 플랜지(61)는 제6 폭(W6)을 가진다.According to Figure 4, the third boat 300 presented an example in which nine pieces (50 to 59) were assembled. The third boat 300 includes third to sixth flanges 60 to 63. The third flange 60 is formed by joining the fifth and sixth pieces 50 and 51 and the thirteenth and fourteenth pieces 58 and 59. The third flange 60 has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and role as the first flange 30 of the first boat 100. At this time, the third flange 60 has a fifth width W5. The fourth flange 61 is formed by joining the sixth and seventh pieces 51 and 52 and the twelfth and thirteenth pieces 57 and 58. The fourth flange 61 has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and role as the second flange 31 of the first boat 100. At this time, the fourth flange 61 has a sixth width W6.

제5 플랜지(62)는 제7 및 제8 조각(52, 53)과, 제11 및 제12 조각(56, 57)이 접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제8 및 제11 조각(53, 56)는 트라이마란 선체를 이루기 위한 구조물이며, 제5 플랜지(62)는 제7 폭(W7)을 가진다. 제6 플랜지(63)는 실질적으로 제5 플랜지(65)와 동일한 기능 및 역할을 하며, 제8 및 제9 조각(53, 54)과, 제10 및 제11 조각(55, 56)이 접합되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제6 플랜지(63)의 폭은 제7 폭(W7)과 거의 동일하다. 제3 내지 제6 플랜지(60~63)는 제1 보트(100)와 같이 단층 또는 적층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n층의 제5 내지 제14 조각(50~59)이 접합되어 제3 내지 제6 플랜지(60~63)를 이루면, 제3 내지 제6 플랜지(60~63)는 2n층을 이룬다. The fifth flange 62 is formed by joining the 7th and 8th pieces 52 and 53 and the 11th and 12th pieces 56 and 57. At this time, the eighth and eleventh pieces 53 and 56 are structures for forming the trimaran hull, and the fifth flange 62 has a seventh width W7. The sixth flange 63 has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and role as the fifth flange 65, and the eighth and ninth pieces 53 and 54 and the tenth and eleventh pieces 55 and 56 are joined. It comes true. Preferably, the width of the sixth flange 63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seventh width W7. The third to sixth flanges 60 to 63 may have a single-layer or laminated structure like the first boat 100. That is, when the 5th to 14th pieces 50 to 59 of the n layer are joined to form the 3rd to 6th flanges 60 to 63, the 3rd to 6th flanges 60 to 63 form a 2n layer.

제3 보트(300)에서의 제3 플랜지(60)는 제2 보트(200)와 마찬가지로 제3 마감부(70)에 의해 마감되고, 제4 플랜지(61)는 제4 마감부(71)에 의해 마감된다. 제5 및 제6 플랜지(62, 63)는 제5 마감부(72)에 의해 마감된다. 제3 마감부(70)는 제3 플랜지(60)의 단부를 감싸고, 제4 마감부(71)는 제4 플랜지(61)의 단부를 감싼다. 제5 마감부(72)는 제5 및 제6 플랜지(62, 63)의 단부를 감싼다. 제3 내지 제5 마감부(70, 71, 72)은 접착제를 활용하거나 융착 등으로 각각 제3 내지 제6 플랜지(60, 61, 62, 63)에 접합하여 마감할 수 있다. 제3 내지 제6 마감부(70, 71, 72)의 단면 형상, 재질, 두께는 제1 보트(100)의 흔들림, 운행 안정성, 제3 내지 제6 플랜지(60, 61, 62, 63)의 훼손 방지 등이 고려되어 설정될 수 있다. The third flange 60 in the third boat 300 is closed by the third finishing part 70 like the second boat 200, and the fourth flange 61 is closed by the fourth finishing part 71. is closed by The fifth and sixth flanges (62, 63) are closed by the fifth finishing portion (72). The third closure portion 70 surrounds the end of the third flange 60, and the fourth closure portion 71 surrounds the end of the fourth flange 61. The fifth closure portion 72 surrounds the ends of the fifth and sixth flanges 62 and 63. The third to fifth finishing portions 70, 71, and 72 may be finished by joining the third to sixth flanges 60, 61, 62, and 63, respectively, using an adhesive or by fusion. The cross-sectional shape, material, and thickness of the third to sixth finishing portions 70, 71, and 72 are determined by the shaking of the first boat 100, operational stability, and the third to sixth flanges 60, 61, 62, and 63. It can be set taking into account damage prevention, etc.

제3 보트(300)는 3개의 선체(H1, H2, H3)를 구비하며, 제1 선체(H1)는 제3 내지 제5 플랜지(60, 61, 62)를 포함한다. 제2 선체(H2)는 제4 및 제6 플랜지(61, 63)를 포함하고, 제3 선체(H3)에는 제3 내지 제5 플랜지(60, 61, 62)를 포함한다. 제3 내지 제6 플랜지(60~63)가 제작되는 과정은 제1 보트(100)의 제1 및 제2 플랜지(30, 3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각(50~59)이 접합되어 이루어지며, 제5 내지 제7 폭(W5, W6, W7)은 제1 및 제2 폭(W1, W2)에서와 같이, 제3 보트(300)의 종류, 크기, 형태, 제3 및 제6 플랜지(60~63) 등이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The third boat 300 includes three hulls (H1, H2, and H3), and the first hull (H1) includes third to fifth flanges (60, 61, and 62). The second hull H2 includes fourth and sixth flanges 61 and 63, and the third hull H3 includes third to fifth flanges 60, 61, and 62.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third to sixth flanges 60 to 63 is accomplished by joining the pieces 50 to 59 as described in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30 and 31 of the first boat 100, The fifth to seventh widths (W5, W6, W7) are, like the first and second widths (W1, W2), the type, size, and shape of the third boat 300, and the third and sixth flanges (60). ~63) can be set taking into account the following.

한편, 여기서는 3개의 선체인 트라이마란을 제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2개의 선체인 카타마란(catamaran)에도 확장되어 적용될 수 있다. 2개의 선체인 카타마란, 3개의 선체인 트라이마란은 쌍동선이라고 하며, 배수량을 복수개의 선체가 분담되도록 하고, 그 선체를 갑판 또는 그 밖의 구조물로 연결한 형태로 좋은 복원성(stability)을 가진다. 이때, 트라이마란의 경우, 제3 내지 제6 플랜지(60~63)는 외부의 충격에도 충분하게 견딜 수 있도록 정도로 강성을 증대시킨다. Meanwhile, here, a three-hull trimaran is presented, but it can be extended and applied to a two-hull catamaran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catamaran with two hulls and a trimaran with three hulls are called catamarans, and the displacement is shared between multiple hulls, and the hulls are connected to a deck or other structure, so they have good stability. At this time, in the case of the trimaran, the third to sixth flanges 60 to 63 increase their rigidity to a degree so that they can sufficiently withstand external impacts.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보트(100, 200, 300)에 따르면, 본 발명의 보트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선체를 가진 보트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각각의 보트는 측벽(A)으로부터 연장된 플랜지가 있으며, 제1 플랜지(30) 및 제3 플랜지(60)가 이에 해당한다. 이때, 제1 플랜지(30) 및 제3 플랜지(60)는 외측 플랜지라고 한다. 또한, 각각의 보트는 측벽(A) 사이에 존재하는 플랜지가 있으며, 제2 플랜지(31), 제4 내지 제6 플랜지(61, 62, 63)가 이에 해당한다. 이때, 제2 플랜지(31), 제4 내지 제6 플랜지(61, 62, 63)는 내측 플랜지라고 한다. 만일, n개의 조각이 조립되면, 2개의 외측 플랜지 및 (n-3)개의 내측 플랜지가 존재한다.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boats 100, 200, and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a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boats having one or more hulls. Each boat has flanges extending from the side wall (A), including the first flange 30 and the third flange 60. At this time, the first flange 30 and the third flange 60 are called outer flanges. In addition, each boat has a flange between the side walls (A), including the second flange 31 and the fourth to sixth flanges 61, 62, and 63. At this time, the second flange 31 and the fourth to sixth flanges 61, 62, and 63 are referred to as inner flanges. If n pieces are assembled, there are two outer flanges and (n-3) inner flanges.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possible.

100, 200, 300; 제1 내지 제3 보트
10, 11, 12, 13; 제1 내지 제4 조각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제5 내지 제14 조각
14; 스트레이크 15; 트랜솜
16; 이음부 17; 선수
18; 꺾임부
20, 21, 22, 23, 24, 25; 제1 내지 제6 접합부
30, 31, 60, 61, 62, 63; 제1 내지 제6 플랜지
40, 41, 70, 71, 72; 제1 내지 제5 마감부
W1, W2, W3, W4, W5, W6, W7; 제1 내지 제7 폭
100, 200, 300; 1st to 3rd boats
10, 11, 12, 13; Pieces 1 to 4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Pieces 5 to 14
14; strakes 15; transom
16; joint 17; player
18; bend part
20, 21, 22, 23, 24, 25; 1st to 6th joints
30, 31, 60, 61, 62, 63; 1st to 6th flanges
40, 41, 70, 71, 72; 1st to 5th closing sections
W1, W2, W3, W4, W5, W6, W7; 1st to 7th width

Claims (9)

보트의 길이방향으로 조각난 n개의 조각이 조립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n개의 조각이 조립되어 상기 보트의 선저로부터 돌출되는 복수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는 2개의 외측 플랜지 및 (n-3)개의 내측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저에 복수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립식 보트.
It is made by assembling n piece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at,
The n pieces are assembled and include a plurality of flanges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boat,
A prefabricated boat including a plurality of flanges at the bottom of the ship, wherein the flange includes two outer flanges and (n-3) inner flang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트는 적어도 하나의 선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저에 복수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립식 보트.The prefabricated boat including a plurality of flanges on the bottom of claim 1, wherein the boat has at least one hu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플랜지의 단부는 상기 외측 플랜지의 단부가 연결된 직선에 일치하거나, 또는 상기 직선에 미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저에 복수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립식 보트.The prefabricated boat including a plurality of flanges at the bottom of claim 1, wherein the end of the inner flange coincides with a straight lin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outer flange, or does not reach the straight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플랜지의 폭은 상기 선저의 깊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저에 복수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립식 보트.The prefabricated boat including a plurality of flanges at the bottom of claim 1, wherein the width of the outer flange is greater than the depth of the bottom of the shi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저의 평탄한 부분에서의 상기 플랜지의 폭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저에 복수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립식 보트.The prefabricated boat including a plurality of flanges at the bottom of claim 1, wherein the width of the flanges at the flat portion of the bottom of the ship is the s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마감부에 의해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저에 복수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립식 보트.The prefabricated boat including a plurality of flanges at the bottom of claim 1, wherein the flange is closed by a finish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은 단층 또는 적층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저에 복수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립식 보트.The prefabricated boat including a plurality of flanges at the bottom of claim 1, wherein the pieces form a single-layer or laminated structur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구조는 n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랜지는 2n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저에 복수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립식 보트.The prefabricated boat including a plurality of flanges at the bottom of claim 7, wherein the laminated structure is made of n layers, and the flange is made of 2n layer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구조는 적어도 1층의 기재 및 적어도 1층의 섬유강화플라스틱층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저에 복수개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조립식 보트.The prefabricated boat including a plurality of flanges at the bottom of claim 7, wherein the laminated structure includes at least one layer of substrate and at least one layer of fiber-reinforced plastic.
KR1020220078198A 2022-06-27 2022-06-27 Assembling boat having multiple flange at bottom KR202400014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198A KR20240001483A (en) 2022-06-27 2022-06-27 Assembling boat having multiple flange at bott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198A KR20240001483A (en) 2022-06-27 2022-06-27 Assembling boat having multiple flange at botto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483A true KR20240001483A (en) 2024-01-03

Family

ID=89538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198A KR20240001483A (en) 2022-06-27 2022-06-27 Assembling boat having multiple flange at bott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148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18880B1 (en) Ship
JPS6128549B2 (en)
US7305926B2 (en) Ported tri-hull boat
JP2008018812A (en) Large sized transportation vessel
KR20240001483A (en) Assembling boat having multiple flange at bottom
US4779556A (en) Boat with sectional hull assembly held by geodetically oriented tendons
KR200324723Y1 (en) Ship with twin hulls
KR20240001496A (en) Assembling boat having hydrofoil at flange
JP6124091B2 (en) Boat with buoyancy unit
JPS60163783A (en) Hull structure
KR200317288Y1 (en) Ship with twin hulls
WO2018067061A1 (en) Ship with watertight wall
JP4421495B2 (en) High speed catamaran
BR112014025212B1 (en) A MARITIME HULL AND A MARITIME VESSEL
RU2321516C1 (en) Three-layer body structure
CN215436847U (en) Torrent section passenger ferry with bottom-touching protection
CA1183733A (en) Boat with sectional hull assembly held by geodesically oriented tendons
RU2783765C1 (en) Inflatable combined boat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7013819B2 (en) Marine catamaran platform
US913973A (en) Navigable vessel.
KR200330308Y1 (en) Ship with sub-hulls
CN209972715U (en) Novel five-body ship
JPH035197Y2 (en)
AU2010100448B4 (en) Multi-hull Vessel Cross Deck Structure
KR200224503Y1 (en) Hull Construction of a Cotainer 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