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004A -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004A
KR20240001004A KR1020220128311A KR20220128311A KR20240001004A KR 20240001004 A KR20240001004 A KR 20240001004A KR 1020220128311 A KR1020220128311 A KR 1020220128311A KR 20220128311 A KR20220128311 A KR 20220128311A KR 20240001004 A KR20240001004 A KR 20240001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wearable device
user
processor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수정
김선애
김학준
조희영
김성철
김수경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77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1014A/ko
Priority to PCT/KR2023/008661 priority patent/WO2023249424A1/ko
Priority to US18/475,600 priority patent/US20240017124A1/en
Publication of KR20240001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0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사용자에게 외력을 인가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통신하는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장치와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1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실행된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1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상기 센싱 상태로 인식하며, 상기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전자 장치{WEARABLE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ING FEEDBACK TO USER}
실시 예는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에게 외력을 인가하여 사용자의 운동을 도와줄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사용자의 단말(예: 스마트폰)과 페어링될 수 있고, 웨어러블 장치가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자의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는 운동 중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쉽게 파악하지 못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는 사용자에게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에 대응되는 피드백(예: 시각적 피드백, 청각적 피드백, 햅틱 피드백)을 출력하는 전자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외력을 인가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통신한다. 전자 장치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통신 모듈; 디스플레이;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1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실행된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1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상기 센싱 상태로 인식하며, 상기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는 전자 장치와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통신 모듈; 토크(torque)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외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듈;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 표시 모듈; 및 상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1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상기 표시 모듈을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표시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획득된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토크를 발생시키는데 이용되는 제어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외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결정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는 전자 장치와 웨어러블 장치 사이의 동기화(또는 실시간 연동)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효과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는 운동 중인 사용자가 전자 장치의 화면을 주의 깊게 보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운동 진행 상황 및/또는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쉽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는 전자 장치의 화면에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에 대한 시각적 피드백과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의미하는 텍스트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 및/또는 운동 진행 상황을 쉽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는 웨어러블 장치에 상태에 대한 시각적 피드백 뿐 아니라 청각적 피드백 및/또는 촉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 및/또는 운동 진행 상황을 쉽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는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에 대한 피드백이 제3자(또는 트레이너)의 전자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어, 제3 자(또는 트레이너)가 사용자의 운동 진행 상황 및/또는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쉽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장치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후면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좌측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3a 내지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구성의 예시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의 예시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7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부팅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의 제공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의 제공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스캐닝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의 제공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의 제공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발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의 제공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와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할 때의 시각적 피드백의 제공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에러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의 제공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와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피드백 제공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의 제공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28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이 코칭 필요 상태인 경우 코칭 필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의 제공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구현되는 형태는 개시된 특정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실시예들로 설명한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장치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120)는 사용자(101)의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101)의 보행(walking), 운동(exercise) 및/또는 작업을 보조해 주는 장치일 수 있다. 실시 예들에서 "웨어러블 장치"의 용어는 웨어러블 로봇, 보행 보조 장치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사용자(101)는 사람 또는 동물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웨어러블 장치(120)는 사용자(101)의 신체(예: 하체(다리, 발목, 무릎 등), 상체(몸통, 팔, 손목 등), 또는 허리)에 착용되어 사용자(101)의 신체 움직임에 보조력(assistance force) 및/또는 저항력(resistance force)의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보조력은 사용자(101)의 신체 움직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적용되는 힘을 나타내고, 저항력은 사용자(101)의 신체 움직임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적용되는 힘을 나타낸다. "저항력"의 용어는 "운동 부하"로도 지칭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20)가 사용자(101)의 보행을 보조하기 위한 보행 보조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20)는 보조력을 사용자(101)의 신체에 제공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101)의 다리 일부 또는 전체를 보조하여 사용자(101)의 보행을 도울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20)는 사용자(101)의 보행에 필요한 힘을 보조함으로써 독립적인 보행을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장시간 보행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101)의 보행 능력을 확장시켜 줄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20)는 보행 습관이나 보행 자세가 비정상인 보행자의 보행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웨어러블 장치(120)가 사용자(101)의 운동 효과를 강화하기 위한 운동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110)는 저항력을 사용자(101)의 신체에 제공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101)의 신체 움직임을 방해하거나 사용자(101)의 신체 움직임에 저항을 줄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10)가, 예를 들어, 힙(hip) 타입의 웨어러블 장치인 경우, 웨어러블 장치(120)는 다리에 착용된 상태로 사용자(101)의 신체 움직임에 운동 부하를 제공하여 사용자(101)의 운동 효과를 보다 강화시킬 수 있다. 사용자(101)는 운동을 위해 웨어러블 장치(120)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 동작을 취할 수 있고,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120)는 사용자(101)의 보행 동작에서의 다리 움직임에 저항력을 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허리와 다리에 착용되는 힙 타입의 웨어러블 장치(120)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웨어러블 장치(120)는 허리 및 다리(특히 허벅지) 이외의 다른 신체 부위(예: 상박, 하박, 손, 종아리, 발)에도 착용될 수도 있고, 착용되는 신체 부위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의 형태와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도 1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10)는 웨어러블 장치(120)와 통신할 수 있고, 웨어러블 장치(12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일 있다. 전자 장치(110)는,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장치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110)는 웨어러블 장치(120)와 통신하여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예: 후술할 부팅 상태, 충전 상태, 스캐닝 상태, 센싱 상태, 발화 상태, 에러 상태 등)를 파악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파악된 상태에 대응되는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것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웨어러블 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20)는 제어 신호의 수신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에 대응되는 피드백(예: 시각적 피드백, 청각적 피드백, 또는 촉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을 제공(또는 출력)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전자 장치(110)는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에 대응되는 피드백(예: 시각적 피드백, 청각적 피드백, 또는 촉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을 제공(또는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110) 및/또는 웨어러블 장치(120)는 다른 웨어러블 장치(13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120), 전자 장치(110), 및 다른 웨어러블 장치(220) 간에는 무선 통신(예: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웨어러블 장치(130)는, 예를 들어 무선 이어폰(131), 스마트 워치(132), 또는 스마트 글래스(133)일 수 있으나, 전술한 장치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스마트 워치(132)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예: 심박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생체 정보를 전자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110)는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에 대응되는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것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다른 웨어러블 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웨어러블 장치(130)는 제어 신호의 수신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120)의 상태에 대응되는 피드백(예: 시각적 피드백, 청각적 피드백, 또는 촉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을 제공(또는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1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예: 와이파이) 또는 이동 통신(예: 4G, 5G 등)을 이용하여 서버(140)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110)는 사용자(101)로부터 사용자(101)의 프로파일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프로파일 정보는, 예를 들어, 나이, 성별, 키, 몸무게, 또는 BMI(Body Mass Index)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사용자(101)의 프로파일 정보를 서버(14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 및/또는 웨어러블 장치(120)는 사용자의 운동 능력을 판단(또는 체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목표 움직임을 수행할 것을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목표 움직임은, 예를 들어, 무릎 들기, 다리 뒤로 뻗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릎 들기는 사용자(101)가 두 발들을 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똑바로 선 자세에서 시작하고, 허리를 숙이지 않고 다리를 뒤로 최대한 올린 후 다시 선 자세로 돌아가는 자세일 수 있다. 다리 뒤로 뻗기는 사용자(101)가 벽을 손으로 짚은 상태에서 똑바로 선 자세에서 시작하고, 허리를 숙이지 않고 다리를 뒤로 최대한 올린 후 다시 선 자세로 돌아가는 자세일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120)는 센서(예: IMU(Inertial Measurement Unit))를 이용하여 목표 움직임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된 움직임 정보를 전자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획득된 움직임 정보를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40)는 전자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프로파일 정보와 움직임 정보를 통해 운동 타입들(예: 근력 운동, 밸런스 운동, 유산소 운동) 각각의 사용자(101)의 목표 운동량을 결정할 수 있다. 서버(140)는 각 운동 타입의 목표 운동량을 전자 장치(110)에 전송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전자 장치(110)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각 운동 타입의 목표 운동량을 포함하는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서버(140)는 웨어러블 장치(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복수의 운동 프로그램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40)는 전자 장치(110) 또는 웨어러블 장치(120)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계정을 관리할 수 있다. 서버(140)는 사용자가 수행한 운동 프로그램 및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수행 결과 등을 사용자 계정과 연관하여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110) 및/또는 서버(140)는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운동 환경에서 운동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운동 목적은, 예를 들어, 근력 향상, 근체력 향상, 심폐지구력 향상, 코어 안정성 향상, 유연성 향상, 또는 대칭성 향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운동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자 장치(110) 및/또는 서버(140)는 사용자에게 운동 프로그램들을 추천할 수 있다. 각 운동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운동 모드들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운동 모드는 특정한 운동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신체 동작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달리기는 사용자의 심폐지구력 향상을 위한 운동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런지는 사용자의 코어 안정성 향상을 위한 운동 모드일 수 있다. 사용자의 운동 목적에 따라 각 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복수의 운동 모드들의 조합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동일한 운동 목적을 위한 경우에도, 복수의 운동 모드들의 조합에 따른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복수의 운동 모드들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전자 장치(110) 또는 서버(140)에 저장될 수 있다. 전자 장치(110) 또는 서버(140)는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에 기초하여 복수의 운동 프로그램들을 생성할 수 있고, 사용자의 운동 목적 또는 운동 수행 상태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운동 프로그램들 중 타겟 운동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10) 또는 서버(140)는 사용자의 운동 목적, 운동 이력 또는 운동 수행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추천할 타겟 운동 프로그램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동일한 운동 목표 하에서 매일 운동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새로운 운동 프로그램을 추천 받을 수 있고, 사용자는 새로운 운동 프로그램을 수행함으로써 기존과는 다른 운동을 수행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후면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좌측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2a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200)(예: 웨어러블 장치(120))는 베이스 바디(10), 베이스 프레임(20), 구동 모듈(30a, 30b), 한 쌍의 암(40), 및 메인 벨트(5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바디(1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요부(허리 부위)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 바디(10)는 사용자의 요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허리에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허리를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 바디(1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웨어러블 장치(200)가 중력에 의하여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사용자의 둔부(엉덩이 부위) 위에 걸쳐질 수 있다. 베이스 바디(1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웨어러블 장치(200)의 중량의 일부를 사용자의 허리로 분산시킬 수 있다. 베이스 바디(10)는 베이스 프레임(20)과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 바디(10)의 양 단부에는 베이스 프레임(20)과 연결될 수 있는 베이스 프레임 연결 요소(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바디(10)는 라이팅(lighting) 유닛(60)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팅 유닛(60)은 복수의 광원들(예: LED(Light Emitting Diode)들)을 포함할 수 있다. 라이팅 유닛(60)은 프로세서(예: 도 3a 및 도 3b의 프로세서(310))의 제어에 따라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는 웨어러블 장치(200)의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라이팅 유닛(6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또는 출력)될 수 있도록 라이팅 유닛(60)을 제어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0)은 베이스 바디(10)의 양 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0)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요부가 수용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체(rigid body) 빔(beam)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빔은 사용자의 요부를 둘러쌀 수 있도록 기 설정된 곡률을 가지는 곡선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0)의 단부에는 메인 벨트(50)가 연결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0)에는 구동 모듈(30)이 장착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0)은 구동 모듈(30)을 장착하기 위한 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모듈(30)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좌측에 위치되는 제1 구동 모듈(30a) 및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우측에 위치되는 제2 구동 모듈(3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동 모듈(30a)은 제1 액츄에이터(미도시) 및 제1 조인트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구동 모듈(30b)은 제2 액츄에이터(미도시) 및 제2 조인트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츄에이터는 제1 조인트 부재로 전달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제2 액츄에이터는 제2 조인트 부재로 전달되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액츄에이터 및 제2 액츄에이터는 각각 배터리(예: 도 3a와 도 3b의 배터리(330))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는 전력이 공급되어 구동될 때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력 또는 신체 움직임을 방해하는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조인트 부재는 제1 액츄에이터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1 조인트 부재의 일측에는 제1 조인트 부재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1 엔코더(encoder)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조인트 부재는 제2 액츄에이터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2 조인트 부재의 일측에는 제2 조인트 부재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 엔코더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 모듈(30)은 베이스 프레임(20)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동 모듈(30)은 한 쌍의 암(4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구동 모듈(30)은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대퇴부의 측면, 요부의 측면 또는 그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암(40)은, 사용자의 양 다리에 착용될 수 있다. 한 쌍의 암(40)은 구동 모듈(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사용자의 대퇴부, 무릎, 종아리 등의 거동을 보조하는 방향으로 사용자의 다리를 가압할 수 있다. 한 쌍의 암(40)은 사용자의 다리를 감싸는 지지 유닛과 지지 유닛을 구동 모듈(30)에 연결시키는 연결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벨트(50)는 베이스 프레임(20)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벨트(5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좌측 복부를 감쌀 수 있는 제1 메인 벨트(50a) 및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우측 복부를 감쌀 수 있는 제2 메인 벨트(5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인 벨트(50a)는 제2 메인 벨트(50b)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메인 벨트(50a)는 제2 메인 벨트(50b)와 동일한 길이 또는 짧은 길이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메인 벨트(50a) 및 제2 메인 벨트(50b)는 베이스 프레임(20)의 양 단부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벨트(50)는 사용자의 신체가 웨어러블 장치(200)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삽입되면 사용자의 복부를 감싸는 방향으로 밴딩(bending)될 수 있다. 제1 메인 벨트(50a)와 제2 메인 벨트(50b)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호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메인 벨트(5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2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웨어러블 장치(200)의 중량의 일부를 사용자의 복부로 분산시킬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베이스 바디(10)는 사용자의 요부 뒤쪽에 장착될 수 있고, 사용자의 둔부에 걸쳐짐으로써 웨어러블 장치(200)의 중량의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구동 모듈(30a)은 사용자의 좌측 요부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0)은 베이스 바디(10)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구동 모듈(30a)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일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0)에 장착된 제1 메인 벨트(50a)는 사용자의 좌측 복부를 감싸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암(40)은 사용자의 다리에 장착되어, 제1 구동 모듈(30a)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구성의 예시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300)(예: 웨어러블 장치(120), 웨어러블 장치(200))는 프로세서(310), 각도 센서들(320, 320-1), 배터리(330),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340), 메모리(350), IMU(360), 모터 드라이버 회로들(370, 370-1), 모터들(380, 380-1), 및 통신 모듈(39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는 복수의 각도 센서들(320, 320-1), 복수의 모터 드라이버 회로들(370, 370-1), 및 복수의 모터들(380, 380-1)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사항일 뿐, 도 3b에 도시된 예의 웨어러블 장치(300-1)는 하나의 각도 센서(320), 하나의 모터 드라이버 회로(370), 및 하나의 모터(3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현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300, 300-1)는 복수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 드라이버 회로 개수, 모터 개수, 또는 프로세서 개수는 웨어러블 장치(300, 300-1)가 착용되는 신체 부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각도 센서(320), 모터 드라이버 회로(370), 및 모터(380)는 도 2a의 제1 구동 모듈(30a)에 포함될 수 있고, 각도 센서(320-1), 모터 드라이버 회로(370-1), 및 모터(380-1)는 도 2a의 제2 구동 모듈(30b)에 포함될 수 있다.
각도 센서(320)는 사용자의 제1 관절(예: 왼쪽 고관절 등)의 각도를 측정 또는 센싱할 수 있다. 각도 센서(320)는 제1 관절의 각도를 측정한 제1 각도 정보를 프로세서(31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도 센서(320)는 사용자의 왼쪽 고관절 각도를 측정할 수 있고, 왼쪽 고관절 각도를 측정한 각도 정보를 프로세서(310)에 전달할 수 있다.
각도 센서(320-1)는 사용자의 제2 관절(예: 오른쪽 고관절)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고, 제2 관절의 각도를 측정한 제2 각도 정보를 프로세서(310)에 전달할 수 있다.
각도 센서(320)와 각도 센서(320-1))의 위치에 따라 각도 센서(320)와 각도 센서(320-1))는 사용자의 무릎 각도 및 발목 각도를 추가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각도 센서(320)와 각도 센서(320-1) 각각은, 예를 들어, 도 2a를 통해 설명한 제1 엔코더 및 제2 엔코더 각각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300, 300-1)는 포텐셔미터(potentiometer)를 포함할 수 있다. 포텐셔미터는 사용자의 보행 동작에 따른 R축 관절 각도, L축 관절 각도, R축 관절 각속도, 및 L축 관절 각속도를 센싱할 수 있다. R/L축은 사용자의 오른쪽/왼쪽 다리에 대한 기준 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R/L축은 지면에 수직이 되도록 설정되고, 사람의 몸통의 앞면 쪽이 음수 값을 갖고, 몸통의 뒷면 쪽이 양수 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PMIC(34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330)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원과 웨어러블 장치(300, 300-1)는 케이블(예: USB 케이블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PMIC(340)는 케이블을 통해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330)를 충전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PMIC(340)는 무선 충전 방식을 통해 배터리(330)를 충전할 수 있다.
PMIC(340)는 배터리(330)에 저장된 전력을 웨어러블 장치(300, 300-1) 내의 구성요소에 전달할 수 있다. PMIC(340)는, 예를 들어, 배터리(330)에 저장된 전력을 웨어러블 장치(300) 내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310), 각도 센서들(320, 320-1), 메모리(350), IMU(360), 모터들(380, 380-1) 등)에 적합한 전압 또는 전류 레벨로 조정할 수 있다. PMIC(340)는, 예를 들어, 상술한 조정을 수행할 수 있는 컨버터(예: DC(direct current)-DC 컨버터) 또는 레귤레이터(regulator)(예: LDO(low drop out) 레귤레이터 또는 스위칭 레귤레이터 등)를 포함할 수 있다.
PMIC(340)는 배터리(330)의 상태 정보(예: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수명 상태(state of health), 과전압, 저전압, 과전류, 과충전, 과방전(over discharge), 과열, 단락, 또는 팽창(swelling))를 결정할 수 있고, 배터리(330)의 상태 정보를 프로세서(310)에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후술할 출력 모듈을 통해 배터리(330)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IMU(360)는 사용자의 가속도 정보(또는 자세 정보)를 획득 또는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MU(360)는 사용자의 보행 동작에 따른 3축(예: X축, Y축, Z축) 가속도와 회전 각도(예: 롤(roll), 피치(pitch), 요(yaw))를 측정 또는 획득할 수 있다. IMU(330)는 획득된 가속도 정보(예: 측정된 3축 가속도와 회전 각도)를 프로세서(310)에 전달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웨어러블 장치(300, 300-1)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예를 들어, 메모리(35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또는 프로그램, 명령어들)를 실행하여 웨어러블 장치(300, 300-1) 내의 구성요소(예: 모터 드라이버 회로들(370, 370-1) 등)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310)는 다른 구성요소(예: IMU(360), 각도 센서들(320, 320-1) 등)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메모리(350)에 저장할 수 있고, 메모리(350)에 저장된 명령어들 또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모터들(380, 380-1) 각각의 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모터 드라이버 회로들(370, 370-1)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수학식 에 따라 사용자의 움직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인자(state factor) 를 결정할 수 있다. 는 제1 각도 정보를 나타낼 수 있고, 는 제2 각도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수학식 에 따라 제어 정보 를 결정할 수 있다. 게인 κ는 출력되는 토크의 크기와 방향을 나타내는 파라미터일 수 있다. 게인 κ의 값이 클수록 강한 토크가 출력될 수 있다. 게인 κ가 음수이면 사용자에게 저항력으로 작용하는 토크가 출력될 수 있고 게인 κ가 양수이면 사용자에게 보조력으로 작용하는 토크가 출력될 수 있다. 딜레이 △t는 토크의 출력 타이밍과 관련된 파라미터일 수 있다. 게인 κ의 값 및 딜레이 △t의 값은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 웨어러블 장치(300), 또는 웨어러블 장치(300)와 페어링된 전자 장치(110)에 의해 조정 가능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수학식 에 따라 모터(380-1)에서 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 를 결정할 수 있고, 에 따라 모터(380)에서 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 를 결정할 수 있다.
모터 드라이버 회로들(370, 370-1) 각각은 프로세서(310)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모터들(380, 380-1) 각각을 제어할 수 있고, 이러한 제어에 의해 모터들(380, 380-1) 각각은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통신 모듈(390)은 웨어러블 장치(300, 300-1)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웨어러블 장치(300, 300-1)는 표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및/또는 라이팅 유닛(예: 도 2a의 라이팅 유닛(6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표시 모듈이 사용자에게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표시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웨어러블 장치(300, 300-1)는 음향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은, 예를 들어,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음향 출력 모듈이 사용자에게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음향 출력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웨어러블 장치(300, 300-1)는 진동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출력 모듈은, 예를 들어, 진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0)는 진동 출력 모듈이 사용자에게 촉각적 피드백(또는 햅틱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진동 출력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2a와 도 2b의 베이스 바디(10) 내부에는 프로세서(310), 배터리(330), PMIC(340), 메모리(350), IMU(360), 통신 모듈(390), 표시 모듈, 음향 출력 모듈, 또는 진동 출력 모듈 중 적어도 하나가 위치하거나 이들의 조합이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의 예시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400)(예: 도 1b의 전자 장치(110))는 프로세서(410), 통신 모듈(420), 메모리(430), 및 디스플레이(4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420)은 웨어러블 장치(예: 웨어러블 장치(300) 등)와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링크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링크, BLE(Bluetooth Low Energy) 링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메모리(430)는 피트니스(fitness)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운동 프로그램을 추천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목표 운동량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3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운동을 수행한 경우 사용자의 운동 수행 결과를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실행된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디스플레이(44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은 제1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웨어러블 장치(300)의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제1 영역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프로세서(410)는 통신 모듈(420)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300)로부터 부팅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부팅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300)의 상태를 부팅 상태로 인식(또는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웨어러블 장치(300)의 부팅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제1 영역을 통해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의 부팅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프로세서(410)는 제1 영역의 UI(User Interface)(예: 후술할 도 6a의 제1 객체(612) 또는 후술할 도 6b의 제2 객체(622))에 제1 컬러가 표현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고, UI의 제1 컬러가 제2 컬러로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컬러는, 예를 들어, 화이트 계열의 컬러들(shades of white) 중 하나 또는 화이트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2 컬러는, 예를 들어, 블루 계열의 컬러들(shades of blue) 중 하나 또는 블루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프로세서(410)는 통신 모듈(420)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300)로부터 충전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충전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300)의 상태를 충전 상태로 인식(또는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웨어러블 장치(300)의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제1 영역을 통해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의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프로세서(410)는 웨어러블 장치(300)의 충전율을 이용하여 제1 영역의 UI(예: 후술할 도 6a의 제1 객체(612) 또는 후술할 도 6b의 제2 객체(622))에서 제1 컬러가 표현될 영역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영역에 제1 컬러가 표현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장치(300)의 충전율이 높아질수록 제1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이 UI 상에서 이동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프로세서(410)는 통신 모듈(420)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300)가 스캐닝을 수행할 것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웨어러블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스캐닝은 웨어러블 장치(300)가 사용자가 운동 시작 준비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웨어러블 장치(300)로부터 스캐닝을 수행하기 위한 스캐닝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통신 모듈(42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스캐닝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300)의 상태를 스캐닝 상태로 인식(또는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스캐닝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제1 영역을 통해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캐닝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프로세서(410)는 제1 영역의 UI(예: 후술할 도 6a의 제1 객체(612) 또는 후술할 도 6b의 제2 객체(622)) 상에서 제2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이 이동(예: 좌우로 이동)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프로세서(410)는 통신 모듈(420)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300)가 사용자의 움직임(예: 운동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센싱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300)의 상태를 센싱 상태로 인식(또는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웨어러블 장치(300)의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제1 영역을 통해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프로세서(410)는 제1 영역의 UI(예: 후술할 도 6a의 제1 객체(612) 또는 후술할 도 6b의 제2 객체(622))에 복수의 컬러들 각각이 순차적으로 표현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프로세서(410)는 통신 모듈(420)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로(300)부터 웨어러블 장치(300)가 사용자의 운동 자세의 평가 결과를 발화(utterance)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발화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 및 운동 자세의 평가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발화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300)의 상태를 발화 상태로 인식(또는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웨어러블 장치(300)의 발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제1 영역을 통해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프로세서(410)는 제1 영역의 UI(예: 후술할 도 6a의 제1 객체(612) 또는 후술할 도 6b의 제2 객체(622)) 상에서 제2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의 확장과 축소가 반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가 말하는 것과 같은 시각적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프로세서(410)는 통신 모듈(420)을 통해 전자 장치(400)가 무선 이어폰(예: 도 1b의 무선 이어폰(131))과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300)가 발화 음성을 출력하지 않도록 웨어러블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수신된 평가 정보를 기초로 발화 음성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발화 음성이 무선 이어폰에 의해 출력되도록 생성된 발화 음성을 무선 이어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무선 이어폰을 통해 운동 자세의 평가 결과의 발화 음성을 들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프로세서(410)는 통신 모듈(420)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300)의 무선 통신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410)는 전자 장치(400)와 웨어러블 장치(300)가 연결 중임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이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제1 영역을 통해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중임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프로세서(410)는 제1 영역의 UI(예: 후술할 도 6a의 제1 객체(612) 또는 후술할 도 6b의 제2 객체(622)) 상에서 제2 컬러로 표현된 일정 영역의 크기가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컬러의 빛이 깜빡이는 것과 같은 시각적 효과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자 장치(400)와 웨어러블 장치(300)가 서로 연결 중인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전자 장치(400)와 웨어러블 장치(300) 사이의 연결이 완료된 경우, 연결 중임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프로세서(410)는 통신 모듈(420)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300)로부터 웨어러블 장치(300)에 에러 상황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에러 상황은,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300)를 잘못 착용한 경우, 사용자가 낙상한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에러 상황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300)의 상태를 에러 상태로 인식(또는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웨어러블 장치(300)의 에러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제1 영역을 통해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러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프로세서(410)는 제1 영역의 UI(예: 후술할 도 6a의 제1 객체(612) 또는 후술할 도 6b의 제2 객체(622)) 상에서 제1 컬러의 농도가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컬러의 빛이 깜빡이는 것과 같은 시각적 효과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300)에 에러가 발생한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프로세서(410)는 통신 모듈(420)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300)로부터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획득된 움직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통신 모듈(420)을 통해 움직임 정보, 사용자의 위치 정보, 사용자의 생체 정보(예: 심박수 정보 등), 및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서버(예: 도 1b의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는 수신된 움직임 정보, 위치 정보, 생체 정보, 운동량 정보, 및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환경 정보(예: 날씨, 지형 등)를 기초로 사용자의 운동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가이드 정보를 전자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수신된 가이드 정보가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제1 영역을 통해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500)은 제1 영역(510)과 제2 영역(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510)에는 웨어러블 장치(300)의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표시될 수 있고,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대부분의 실행 화면에서 제1 영역(510)은 고정 영역일 수 있고,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실행 화면(예: 설정 화면 등)에서 제1 영역(510)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400)의 AI(Artificial Intelligence)의 분석 결과(예: 운동 자세의 평가 결과)가 텍스트로 제1 영역(510)에 표시될 수 있어, 제1 영역(510)은 AI 영역으로 표현될 수 있다.
제2 영역(520)에는 운동 타입들(예: 근력 운동, 밸런스 운동, 유산소 운동) 각각의 목표 운동량 및/또는 추천 운동이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2 영역(520)에는 사용자가 수행하고 있는 운동에 대한 가이드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6a와 도 6b에 제1 영역(510)의 예시가 도시된다.
도 6a에 도시된 예에서, 제1 영역(610)은 텍스트 영역(611)과 제1 객체(61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텍스트를 텍스트 영역(611)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웨어러블 장치(300)의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1 객체(61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대응되게, 웨어러블 장치(300)의 베이스 바디(10)의 라이팅 유닛(60)은 웨어러블 장치(300)의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1 객체(612)를 통해 제공되는 시각적 피드백과 라이팅 유닛(60)을 통해 제공되는 시각적 피드백은 동기화될 수 있다. 제1 객체(612)의 모양은 라이팅 유닛(60)의 모양과 대응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예에서, 제1 영역(620)은 텍스트 영역(621)과 제2 객체(6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객체(622)는 원 모양일 수 있고, 텍스트 영역(621)의 좌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객체(622)의 모양과 위치는 도 6b에 도시된 모양과 위치로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410)는 텍스트를 텍스트 영역(621)에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웨어러블 장치(300)의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2 객체(622)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대응되게, 웨어러블 장치(300)의 베이스 바디(10)의 라이팅 유닛(60)은 웨어러블 장치(300)의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2 객체(622)를 통해 제공되는 시각적 피드백과 라이팅 유닛(60)을 통해 제공되는 시각적 피드백은 동기화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400)는 스마트 워치(132)와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워치(132)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고, 제1 영역(510)(예: 도 6a의 제1 영역(610) 또는 도 6b의 제1 영역(620))과 동일한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7a와 도 7b에 제2 영역(520)의 예시가 도시된다.
도 7a에 도시된 예에서, 제2 영역(710)은 복수의 서브 영역들(711, 712, 7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영역(711)에는 운동 타입들 각각의 목표 운동량을 제공하기 위한 제1 형태(예: 바(bar) 형태)의 객체들,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한 시간, 사용자의 운동 자세 점수, 또는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하면서 소비한 칼로리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서브 영역(711)에서 제1 형태의 객체들은 사선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서브 영역(712)에는 추천 운동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서브 영역(712)에 표시된 추천 운동을 선택하면, 추천 운동에 대한 영상이 재생되거나 추천 운동에 대한 설명이 제공될 수 있다.
제3 서브 영역(713)에는 복수의 메뉴 버튼들(예: 홈 메뉴 버튼, 운동 목록 메뉴 버튼, 레포트 메뉴 버튼, 내페이지 메뉴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영역(510)(예: 도 6a의 제1 영역(610) 또는 도 6b의 제1 영역(620))과 도 7a의 제2 영역(710)을 포함하는 실행 화면은 홈 화면일 수 있다. 사용자가 홈 메뉴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프로세서(410)는 홈 화면이 디스플레이에(44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운동 목록 메뉴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프로세서(410)는 사용자가 수행할 운동 프로그램 내의 운동 목록을 포함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에(44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레포트 메뉴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프로세서(410)는 운동 프로그램의 수행 결과에 대한 레포트를 포함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에(44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내페이지 메뉴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프로세서(410)는 사용자 정보(예: ID 등)를 포함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에(44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예에서, 제2 영역(720)은 복수의 서브 영역들(721, 722, 7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영역(721)에는 운동 타입들 각각의 목표 운동량을 제공하기 위한 제2 형태(예: 곡선 형태)의 객체들,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한 시간, 사용자의 운동 자세 점수, 또는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하면서 소비한 칼로리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서브 영역(721)에서 곡선 형태의 객체들은 원을 이룰 수 있다.
제2 서브 영역(722)에는 추천 운동이 표시될 수 있고, 제3 서브 영역(723)에는 복수의 메뉴 버튼들(예: 홈 메뉴 버튼, 운동 목록 메뉴 버튼, 레포트 메뉴 버튼, 내페이지 메뉴 버튼)가 표시될 수 있다. 제2 서브 영역(722)과 제3 서브 영역(723)에 대한 설명은 제2 서브 영역(712)과 제3 서브 영역(713)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의 실행 화면(500)은, 예를 들어, 도 6a의 제1 영역(610)과 도 7a의 제2 영역(710)을 포함하거나 도 6a의 제1 영역(610)과 도 7b의 제2 영역(720)을 포함하거나 도 6b의 제1 영역(620)과 도 7a의 제2 영역(710)을 포함하거나 도 6b의 제1 영역(620)과 도 7b의 제2 영역(7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부팅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의 제공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300)의 전원 버튼에 입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장치(300)는 파워 온 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10에서, 전자 장치(400)는 웨어러블 장치(300)와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파워 온 되는 경우 전자 장치(400)에 무선 통신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전자 장치(400)는 무선 통신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웨어러블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와 웨어러블 장치(300)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동작 82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부팅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웨어러블 장치(300)로부터 부팅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동작 83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의 상태를 부팅 상태로 인식(또는 결정)할 수 있다.
동작 840에서, 전자 장치(400)는 부팅 상태에 대응되는 피드백 제공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웨어러블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850에서, 전자 장치(400)는 부팅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제1 영역의 객체(예: 도 6a의 제1 객체(612) 또는 도 6b의 제2 객체(622))에 제1 컬러가 표현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고, 객체(예: 도 6a의 제1 객체(612) 또는 도 6b의 제2 객체(622))의 제1 컬러가 제2 컬러로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86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부팅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60)이 제1 컬러의 빛을 출력하도록 라이팅 유닛(60)을 제어할 수 있고, 라이팅 유닛(60)이 출력하는 빛의 제1 컬러가 제2 컬러로 변경되도록 라이팅 유닛(60)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300)는 부팅 상태를 나타내는 햅틱 피드백 및/또는 청각적 피드백을 시각적 피드백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동작 850과 동작 860의 예시를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의 화면들(910 내지 940) 각각은 도 5의 실행 화면(500)의 예시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300)는 부팅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고,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화면(910)이 디스플레이(44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화면(910)의 제1 영역(510)에는 제2 컬러로 표현된 제1 객체(901)(예: 도 6a의 제1 객체(612))와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객체(901)의 제2 컬러는 예시적인 사항이며, 제1 객체(901)에는 제1 컬러 또는 제1 컬러의 농도보다 낮은 노동의 컬러가 표현될 수 있다. 화면(920)의 제2 영역(520)(예: 도 7b의 제2 영역(720))에는 운동 타입들 각각의 목표 운동량을 제공하기 위한 제2 형태(예: 곡선 형태)의 객체들,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한 시간, 사용자의 운동 자세 점수,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하면서 소비한 칼로리, 추천 운동, 및 복수의 메뉴 버튼들이 표시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가 부팅되지 않은 상태이어서 웨어러블 장치(300)의 라이팅 유닛(903)(예: 도 2a의 라이팅 유닛(60))은 빛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부팅 상태에 대응되는 피드백 제공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웨어러블 장치(300)로 전송한 경우(또는 웨어러블 장치(300)의 상태를 부팅 상태로 인식한 경우), 제1 객체(901)가 제1 컬러로 표현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화면(920)의 제1 영역(510)에는 제1 컬러로 표현된 제1 객체(901)와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제1 컬러의 빛이 출력되는 것과 같은 시각적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전자 장치(400)로부터 부팅 상태에 대응되는 피드백 제공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라이팅 유닛(903)이 제1 컬러의 빛을 출력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객체(901)가 제1 컬러로 표현되는 것과 라이팅 유닛(903)이 제1 컬러의 빛을 출력하는 것은 동기화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1 컬러로 표현된 제1 객체(901)가 점진적으로 제2 컬러를 표현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대응되게,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제1 컬러의 빛을 출력 중인 라이팅 유닛(903)이 점진적으로 제2 컬러의 빛을 출력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1 컬러로 표현된 제1 객체(901)의 가운데 부분의 컬러를 제1 컬러에서 제2 컬러로 변경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1 객체(901)의 가운데 부분에서 가장자리로 이동하면서 제1 컬러를 제2 컬러로 변경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화면(930)의 제1 객체(901)의 가장자리 부근을 제외한 영역에 제2 컬러가 표현될 수 있고, 가장자리 부근에 제1 컬러가 표현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제1 컬러의 빛을 출력 중인 라이팅 유닛(903)의 가운데 부분이 제2 컬러의 빛을 출력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의 가운데 부분에서 가장자리로 이동하면서 제2 컬러의 빛이 출력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화면(930)의 제1 객체(901)와 대응되게, 라이팅 유닛(903)의 가장자리 부근을 제외한 영역에서 제2 컬러의 빛이 출력될 수 있고 라이팅 유닛(903)의 가장자리 부근에 제1 컬러의 빛이 출력될 수 있다.
제1 객체(901)의 제1 컬러가 제2 컬러로 점진적으로 변경됨으로써, 제1 객체(901)는 제2 컬러로 표현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라이팅 유닛(903)이 출력하는 빛의 컬러가 제1 컬러에서 제2 컬러로 점진적으로 변경됨으로써, 라이팅 유닛(903)은 제2 컬러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객체(901)가 제2 컬러로 표현된 것과 라이팅 유닛(903)이 제2 컬러의 빛을 출력하는 것은 웨어러블 장치(300)의 부팅이 완료된 것과 대응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화면(940)의 제1 영역(510)에는 제2 컬러로 표현된 제1 객체(901)와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이 제2 컬러의 빛을 출력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부팅 상태에서, 전자 장치(400)는 부팅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예: 제1 객체(901)의 제1 컬러를 점진적으로 제2 컬러로 변경하는 시각적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부팅 상태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부팅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예: 라이팅 유닛(903)이 출력하는 빛의 컬러를 제1 컬러에서 제2 컬러로 점진적으로 변경하는 시각적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300)가 부팅 상태에 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400)는 스마트 워치(132)와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워치(132)는 전자 장치(400)와 통신하여 웨어러블 장치(300)의 부팅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132)는 전자 장치(400)와 동기화될 수 있고, 이러한 동기화를 통해, 도 9의 화면들(910 내지 940) 각각의 제1 영역(510)과 동일한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의 제공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1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충전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는 충전 케이블과 연결되는 경우(또는 무선 충전되는 경우), 충전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웨어러블 장치(300)로부터 충전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동작 102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의 상태를 충전 상태로 결정(또는 인지)할 수 있다.
동작 1030에서, 전자 장치(400)는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피드백 제공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웨어러블 장치(103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040에서, 전자 장치(400)는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제1 영역의 객체(예: 도 6a의 제1 객체(612) 또는 도 6b의 제2 객체(622))에서 제1 컬러가 표현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결정된 영역에 제1 컬러가 표현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웨어러블 장치(300)의 충전율이 높아질수록 객체(예: 도 6a의 제1 객체(612) 또는 도 6b의 제2 객체(622)) 상에서 제1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이 이동하는 시각적 효과가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105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60)에서 제1 컬러의 빛이 출력될 영역(또는 일부 광원들)을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결정된 영역에 제1 컬러의 빛이 출력되도록 라이팅 유닛(60)을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웨어러블 장치(300)의 충전율이 높아질수록 라이팅 유닛(60)에서 제1 컬러의 빛이 출력되는 영역이 이동하는 시각적 효과가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300)는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햅틱 피드백 및/또는 청각적 피드백을 시각적 피드백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동작 1040과 동작 1050의 예시를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1의 화면들(1110 내지 1130)은 도 5의 실행 화면(500)의 예시일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웨어러블 장치(300)로부터 제1 충전율(예: 충전율 25%)을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1 충전율을 이용하여 제1 객체(901)에서 제1 컬러가 표현될 영역(또는 제1 컬러가 표현될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객체(901)의 가장 좌측이 충전율 0에 대응될 수 있고 제1 객체(901)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향하는 방향은 웨어러블 장치(300)의 충전율이 높아지는 것과 대응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1 객체(901)에서 제1 충전율과 대응되는 영역(또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결정된 영역에 제1 컬러가 표현된 제1 객체(901)와 제1 충전율을 포함하는 화면(1110)이 디스플레이(44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라이팅 유닛(903)의 가장 좌측이 충전율 0에 대응될 수 있고, 라이팅 유닛(903)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향하는 방향은 웨어러블 장치(300)의 충전율이 높아지는 것과 대응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의 광원들 중 제1 충전율에 대응되는 위치의 광원들이 제1 컬러의 빛을 출력할 수 있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충전율이 높아질수록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1 객체(901) 상에서 제1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시각적 효과가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의 충전율이 제2 충전율(예: 75%)인 경우,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2 충전율에 대응되는 영역이 제1 컬러로 표현된 제1 객체(901)와 제2 충전율을 포함하는 화면(1120)이 디스플레이(44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충전율이 높아질수록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에서 제1 컬러의 빛이 출력되는 영역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시각적 효과가 제공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의 광원들 중 제2 충전율에 대응되는 위치의 광원들이 제1 컬러의 빛을 출력할 수 있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가 완전 충전된 경우,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좌우 끝 부분이 제1 컬러로 표현된 제1 객체(901)와 완충되었음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화면(1130)이 디스플레이(44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의 광원들 중 일부 광원들(예: 좌우 끝 부분의 광원들)이 제1 컬러의 빛을 출력할 수 있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가 완전 충전된 경우,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 중 일부 광원들이 제1 컬러의 빛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어, 전력 소모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400)는 스마트 워치(132)와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워치(132)는 전자 장치(400)와 통신하여 웨어러블 장치(300)의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132)는 전자 장치(400)와 동기화될 수 있고, 이러한 동기화를 통해, 도 11의 화면들(1110 내지 1130) 각각의 제1 영역(510)과 동일한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스캐닝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의 제공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동작 1210에서, 전자 장치(400)는 웨어러블 장치(300)에 스캐닝 수행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스캐닝은 웨어러블 장치(300)가 사용자가 운동 시작 준비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400)는 사용자의 운동 시작 명령이 있으면, 스캐닝 수행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웨어러블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운동 시작 명령은,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의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화면 상의 운동 시작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운동 시작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있으면 스캐닝 수행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웨어러블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운동 시작 명령은 음성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사용자로부터 운동 시작을 나타내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스캐닝 수행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웨어러블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22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스캐닝을 수행하기 위한 스캐닝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스캐닝 수행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400)로부터 수신함으로써 스캐닝 상태로 진입할 수 있고, 스캐닝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230에서, 전자 장치(400)는 스캐닝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300)의 상태를 스캐닝 상태로 인식(또는 결정)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3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운동 시작을 위한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센서(예: IMU(360))를 이용하여 운동 시작을 위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의 감지가 있으면, 웨어러블 장치(300)는 전자 장치(400)에 스캐닝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스캐닝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웨어러블 장치(3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300)가 스캐닝 상태에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동작 124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센서(예: IMU(360))를 통해 사용자가 운동 시작 준비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는 IMU(360) 및/또는 각도 센서들(320, 320-1)를 통해 사용자가 제1 자세(예: 똑바로 서 있는 자세)를 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300)를 제대로 착용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동작 1250에서, 전자 장치(400)는 스캐닝 상태에 대응되는 피드백 제공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웨어러블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260에서, 전자 장치(400)는 스캐닝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1 영역(510)의 객체(예: 제1 객체(612) 또는 제2 객체(622))에서 제2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이 이동하는 시각적 효과가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127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스캐닝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움직이는 라이팅이 라이팅 유닛(903)에 의해 수행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300)는 시각적 피드백과 함께 스캐닝 중임을 나타내는 청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사용자가 운동 시작 준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후술할 센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고, 전자 장치(400)에 사용자가 운동 시작 준비 상태에 있다고 알리거나 센싱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사용자가 운동 시작 준비 상태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전자 장치(400)에 사용자가 운동 시작 준비 상태에 있지 않다고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400)는 동작 1210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260과 동작 1270의 예시를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3의 화면들(1310 내지 1330) 각각은 도 5의 실행 화면(500)의 예시일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예에서,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스캐닝 상태에 대응되는 피드백 제공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웨어러블 장치(300)에 전송한 경우,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화면(1310)이 디스플레이(44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화면(1310)에, 예를 들어, 카운트다운 숫자(예: 3)가 표시될 수 있고, 제1 영역(510)에 특정 자세를 취할 것을 요청하는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으며, 제1 객체(901)의 일부 영역(예: 왼쪽 영역)에 제2 컬러가 표현될 수 있다. 카운트다운 숫자(예: 3)는 스캐닝이 수행되는 시간 또는 운동 시작까지 남은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의 일부 광원들(예: 왼쪽 광원들)이 제2 컬러의 빛을 출력할 수 있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라이팅 유닛(903)에서 제2 컬러의 빛이 출력되는 광원들의 위치는 화면(1310)의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시각적 효과가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고, 카운트다운 숫자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의 화면(1320)에 카운트다운 숫자(예: 2)가 표시될 수 있고, 제1 객체(901)의 일부 영역(예: 오른쪽 영역)에 제2 컬러가 표현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의 일부 광원들(예: 오른쪽 광원들)이 제2 컬러의 빛을 출력할 수 있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라이팅을 수행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라이팅 유닛(903)에서 제2 컬러의 빛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시각적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라이팅 유닛(903)에서 제2 컬러의 빛이 출력되는 광원들의 위치는 화면(1320)의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이 왼쪽으로 이동하는 시각적 효과가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고, 카운트다운 숫자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의 화면(1330)에 카운트다운 숫자(예: 1)가 표시될 수 있고, 제1 객체(901)의 왼쪽 영역에 제2 컬러가 표현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의 일부 광원들(예: 왼쪽 광원들)이 제2 컬러의 빛을 출력할 수 있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는 라이팅을 수행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라이팅 유닛(903)에서 제2 컬러의 빛이 왼쪽으로 이동하는 시각적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라이팅 유닛(903)에서 제2 컬러의 빛이 출력되는 광원들의 위치는 화면(1330)의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웨어러블 장치(300)가 스캐닝을 수행하는 동안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이 좌우로 이동하는 시각적 피드백(또는 시각적 효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웨어러블 장치(300)가 스캐닝을 수행하는 동안 라이팅 유닛(903)에서 제2 컬러의 빛이 좌우로 이동하는 시각적 피드백(또는 시각적 효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스캐닝 동안 사용자가 운동 시작 준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후술할 센싱 상태로 진입할 수 있고, 전자 장치(400)에 사용자가 운동 시작 준비 상태에 있다고 알릴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사용자가 운동 시작 준비 상태에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전자 장치(400)에 사용자가 운동 시작 준비 상태에 있지 않다고 알릴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디스플레이(440)에 화면(1310)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400)는 스마트 워치(132)와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워치(132)는 전자 장치(400)와 통신하여 웨어러블 장치(300)의 스캐닝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132)는 전자 장치(400)와 동기화될 수 있고, 이러한 동기화를 통해, 도 13의 화면들(1310 내지 1330) 각각의 제1 영역(510)과 동일한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의 제공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동작 141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사용자의 움직임(예: 운동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는 스캐닝 동안 사용자가 운동 시작 준비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센싱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센싱 상태로 진입하면, 센싱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420에서, 전자 장치(400)는 웨어러블 장치(300)의 상태를 센싱 상태로 인식(또는 결정)할 수 있다.
동작 143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는 센서(예: IMU(360) 및/또는 각도 센서들(320, 320-1))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획득된 움직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운동 진행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운동 진행 상황 정보는, 예를 들어, 운동의 반복 횟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전자 장치(400)에 운동 진행 상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300)는 획득된 움직임 정보를 전자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웨어러블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움직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운동 진행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동작 1440에서, 전자 장치(400)는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피드백 제공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웨어러블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450에서, 전자 장치(400)는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1 영역(510)의 객체(예: 제1 객체(612) 또는 제2 객체(622))에 복수의 컬러들 각각이 순차적으로 표현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컬러들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할 수 있다.
동작 146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60)이 복수의 컬러들 각각의 빛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라이팅 유닛(60)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300)는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햅틱 피드백 및/또는 청각적 피드백을 시각적 피드백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동작 1450과 동작 1460의 예시를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5의 화면들(1510 내지 1530) 각각은 도 5의 실행 화면(500)의 예시일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예에서,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피드백 제공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 경우(또는 웨어러블 장치(300)의 상태를 센싱 상태로 인식한 경우),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화면(1510)이 디스플레이(44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화면(1510)의 제1 영역(510)에 사용자가 수행하는 운동의 명칭이 표시될 수 있고, 제3 컬러로 표현된 제1 객체(901)가 표시될 수 있다. 제3 컬러는 제1 및 제2 컬러와 다를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할 수 있다. 화면(1510)의 제2 영역(520)에 운동 진행 상황 정보(예: 세트 당 총 반복 횟수와 사용자가 수행한 반복 횟수), 심박수 정보, 사용자가 소모한 칼로리, 또는 사용자가 수행하는 운동의 가이드 영상의 썸네일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썸네일에 대한 입력을 인가하면, 가이드 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 제공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라이팅 유닛(903)이 제3 컬러의 빛을 출력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1 객체(901)의 제3 컬러를 제4 컬러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5의 화면(1520)의 제1 영역(510)에 제4 컬러로 표현된 제1 객체(901)가 표시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1 객체(901)의 컬러를 제3 컬러에서 제4 컬러로 변경하는 시각적 효과가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이 제4 컬러의 빛을 출력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의 빛의 컬러가 제3 컬러에서 제4 컬러로 변경되는 시각적 효과가 제공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4 컬러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1 객체(901)의 제4 컬러를 제5 컬러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5의 화면(1530)의 제1 영역(510)에 제5 컬러로 표현된 제1 객체(901)가 표시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1 객체(901)의 컬러를 제4 컬러에서 제5 컬러로 변경하는 시각적 효과가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이 제5 컬러의 빛을 출력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의 빛의 컬러가 제4 컬러에서 제5 컬러로 변경되는 시각적 효과가 제공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5 컬러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1 객체(901)의 컬러 변경과 함께, 제1 객체(901)의 컬러의 농도를 점점 희미하게 한 후 점점 진하게 하는 효과(이하, "제1 숨쉬는 효과"라 지칭함)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대응되게,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의 빛의 세기를 점점 희미하게 한 후 점점 강하게 하는 효과(이하, "제2 숨쉬는 효과"라 지칭함)를 적용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센싱 상태에서, 전자 장치(400)는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예: 제1 객체(901)의 컬러를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시각적 효과와 제1 숨쉬는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센싱 상태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예: 라이팅 유닛(903)의 빛의 컬러를 순차적으로 변경하는 시각적 효과와 제2 숨쉬는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300)가 센싱 상태에 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400)는 스마트 워치(132)와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워치(132)는 전자 장치(400)와 통신하여 웨어러블 장치(300)의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132)는 전자 장치(400)와 동기화될 수 있고, 이러한 동기화를 통해, 도15의 화면들(1510 내지 1530) 각각의 제1 영역(510)과 동일한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5에서 웨어러블 장치(300)의 센싱 상태를 나타내는 컬러들의 개수를 3개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사항일 뿐, 웨어러블 장치(300)의 센싱 상태를 나타내는 컬러들의 개수는 3개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6 내지 도 1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발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의 제공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동작 161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는 센서(예: IMU(360) 및/또는 각도 센서들(320, 320-1))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사용자의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동작 162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획득된 움직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는 사용자의 관절의 구부러진 각도를 운동에서 요구하는 구부러진 각도와 비교하여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평가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동작 1620은 전자 장치(4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는 획득된 움직임 정보를 전자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AI는 움직임 정보를 기초로 통해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평가할 수 있다.
동작 163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사용자의 운동 자세의 평가 결과 및 웨어러블 장치(300)가 평가 결과를 발화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발화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640에서, 전자 장치(400)는 웨어러블 장치(300)로부터 발화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300)의 상태를 발화 상태로 인식(또는 결정)할 수 있다.
동작 165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운동 자세의 평가 결과의 발화 음성을 출력할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는 사용자의 운동 자세가 좋다고 판단한 경우 스피커를 통해 "자세가 아주 좋아요"의 발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300)는 운동의 남아 있는 반복 횟수가 일정값에 도달하는 경우, 운동 자세의 평가 결과를 발화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로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결정에 따라 운동 자세의 평가 결과와 남아 있는 반복 횟수의 발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는 "자세가 아주 좋아요. 5회 남았으니 끝까지 힘내세요"의 발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300)는 사용자의 운동 자세가 일정 횟수 이상 틀린 경우, 운동 자세의 평가 결과를 발화 음성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로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결정에 따라 운동 자세의 평가 결과의 발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는 사용자의 운동 자세가 3회 틀린 경우, "자세를 바로 잡아 주세요"의 발화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동작 1650을 통해 설명한 발화 음성은 전자 장치(400)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동작 1660에서, 전자 장치(400)는 발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 제공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웨어러블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670에서, 전자 장치(400)는 발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1 영역(510)의 객체(예: 제1 객체(612) 또는 제2 객체(622))에서 제2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의 확장과 축소가 반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168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발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에서 제2 컬러의 빛이 출력되는 영역의 확장과 축소가 반복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동작 1670과 동작 1680의 예시를 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7의 화면들(1710 내지 1730) 각각은 도 5의 실행 화면(500)의 예시일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예에서,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발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 제공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 경우,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화면(1710)이 디스플레이(44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화면(1710)의 제1 영역(510)에 운동 자세의 평가 결과 및 남아있는 반복 횟수의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고, 일부 영역(예: 가운데 영역)이 제2 컬러로 표현된 제1 객체(901)가 표시될 수 있다. 화면(1510)의 제2 영역(520)에 운동 진행 상황 정보와 사용자가 수행하는 운동의 가이드 영상의 썸네일이 표시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발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 제공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라이팅 유닛(903)의 영역#1(예: 가운데 영역)에서 제2 컬러의 빛이 출력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라이팅 유닛(903)에서 제2 컬러의 빛이 출력되는 영역#1은 화면(1710)의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로 표현된 영역이 축소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7의 화면(1720)의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로 표현된 영역은 도 17의 화면(1710)의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로 표현된 영역보다 좁을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의 영역#1보다 좁은 영역#2에서 제2 컬러의 빛이 출력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라이팅 유닛(903)에서 제2 컬러의 빛이 출력되는 영역#2는 화면(1720)의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로 표현된 영역이 확장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화면(1730)의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로 표현된 영역은 화면(1720)의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로 표현된 영역보다 넓을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의 영역#2보다 넓은 영역#3에서 제2 컬러의 빛이 출력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라이팅 유닛(903)에서 제2 컬러의 빛이 출력되는 영역#3은 화면(1730)의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발화 상태에서, 전자 장치(400)는 발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예: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의 축소와 확장을 반복하는 시각적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발화 상태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발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예: 라이팅 유닛(903)에서 제2 컬러의 빛이 출력되는 영역의 축소와 확장을 반복하는 시각적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300)가 발화 상태에 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시각적 피드백과 함께, 운동 자세의 평가 결과 및 남아있는 반복 횟수의 발화 음성을 웨어러블 장치(30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400)는 사용자의 무선 이어폰과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400)는 웨어러블 장치(300)가 발화 음성을 출력하지 않도록 웨어러블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웨어러블 장치(300)에게 발화 음성을 출력하지 않을 것을 나타내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운동 자세의 평가 결과 및 남아있는 반복 횟수의 발화 음성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발화 음성을 무선 이어폰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무선 이어폰은 전자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발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400)는 스마트 워치(132)와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워치(132)는 전자 장치(400)와 통신하여 웨어러블 장치(300)의 발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132)는 전자 장치(400)와 동기화될 수 있고, 이러한 동기화를 통해, 도 17의 화면들(1710 내지 1730) 각각의 제1 영역(510)과 동일한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와 전자 장치의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할 때의 시각적 피드백의 제공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의 화면들(1810 내지 1830) 각각은 도 5의 실행 화면(500)의 예시일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400)와 웨어러블 장치(300)는 연결 중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통신 모듈(420)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300)로부터 연결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통신 모듈(420)을 통해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웨어러블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통신 모듈(420)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300)에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고, 통신 모듈(420)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300)로부터 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전자 장치(400)와 웨어러블 장치(300)가 연결 중인 경우,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화면(1810)이 디스플레이(44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화면(1810)의 제1 영역(510)에는 연결 중임을 나타내는 텍스트가 표시될 수 있고, 일정 영역(예: 가운데 영역)에 제2 컬러가 표현된 제1 객체(901)가 표시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웨어러블 장치(300)와 전자 장치(400)가 연결 중인 경우, 라이팅 유닛(903)의 영역a에 제2 컬러의 빛이 출력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라이팅 유닛(903)의 영역a는 화면(1810)의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가 표현된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로 표현된 영역의 크기가 주기적으로 변경되는 시각적 효과가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에서 제2 컬러의 빛이 출력되는 영역의 크기가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8의 화면(1820)에서의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로 표현된 영역의 크기는 화면(1810)에서의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로 표현된 영역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라이팅 유닛(903)에서 영역a보다 좁은 영역에서 제2 컬러의 빛이 출력될 수 있다. 도 18의 화면(1830)에서의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로 표현된 영역의 크기는 화면(1820)에서의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로 표현된 영역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화면(1830)에서의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로 표현된 영역의 크기는 화면(1810)에서의 제1 객체(901)에서 제2 컬러로 표현된 영역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라이팅 유닛(903)의 영역a에서 제2 컬러의 빛이 출력될 수 있다.
프로세서(410)는 전자 장치(400)와 웨어러블 장치(300) 사이의 연결이 완료된 경우, 연결 중임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300)는 연결 중임을 나타내는 시각적 피드백과 함께, 청각적 피드백 및/또는 햅틱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400)는 스마트 워치(132)와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워치(132)는 전자 장치(400)와 통신하여 웨어러블 장치(300)의 연결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132)는 전자 장치(400)와 동기화될 수 있고, 이러한 동기화를 통해, 도 18의 화면들(1810 내지 1830) 각각의 제1 영역(510)과 동일한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의 에러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의 제공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동작 191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에러 상황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에러 상황은,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웨어러블 장치(300)와 전자 장치(400) 사이의 연결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가 웨어러블 장치(300)를 잘못 착용한 경우, 사용자가 낙상한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1920에서, 전자 장치(400)는 에러 상황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웨어러블 장치(300)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웨어러블 장치(300)의 상태를 에러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동작 1930에서, 전자 장치(400)는 에러 상태에 대응되는 피드백 제공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웨어러블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1940에서, 전자 장치(400)는 에러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1 영역(510)의 객체(예: 제1 객체(612) 또는 제2 객체(622))에서 제1 컬러의 농도가 주기적으로 변경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 195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에러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이 제1 컬러의 빛을 빠른 속도로 깜빡이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300)는 시각적 피드백과 함께, 에러 상태에 대응되는 청각적 피드백 및/또는 햅틱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동작 1940과 동작 1950의 예시를 도 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0의 화면들(2010 내지 2030) 각각은 도 5의 실행 화면(500)의 예시일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예에서,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화면(2010)이 디스플레이(44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화면(2010)의 제1 영역(510)에 제1 컬러로 표현된 제1 객체(901)가 표시될 수 있다.
화면(2010)의 제1 객체(901)와 대응되게,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이 제1 컬러의 빛을 출력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1 객체(901)에 제1 컬러의 농도가 점점 낮아지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화면(2020)의 제1 객체(901)의 제1 컬러의 농도는 화면(2010)의 제1 객체(901)의 제1 컬러의 농도보다 낮을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의 빛의 세기가 점점 작아지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화면(2020)의 제1 객체(901)와 대응되게, 라이팅 유닛(903)은 빛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1 객체(901)에 제1 컬러의 농도가 점점 높아지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화면(2030)의 제1 객체(901)의 제1 컬러의 농도는 화면(2020)의 제1 객체(901)의 제1 컬러의 농도보다 높을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의 빛의 세기가 점점 커지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화면(2030)의 제1 객체(901)와 대응되게, 라이팅 유닛(903)은 제1 컬러의 빛을 출력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에러 상태에서, 전자 장치(400)는 에러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예: 제1 객체(901)에서 제1 컬러의 농도가 낮아짐과 높아짐이 반복하는 시각적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에러 상태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에러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예: 라이팅 유닛(903)에서 제1 컬러의 빛이 깜빡이는 시각적 효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웨어러블 장치(300)가 에러 상태에 있음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400)는 스마트 워치(132)와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스마트 워치(132)는 전자 장치(400)와 통신하여 웨어러블 장치(300)의 에러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132)는 전자 장치(400)와 동기화될 수 있고, 이러한 동기화를 통해, 도 20의 화면들(2010 내지 2030) 각각의 제1 영역(510)과 동일한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2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와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피드백 제공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400)는 웨어러블 장치(300)로부터 움직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움직임 정보, 사용자의 위치 정보,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서버(2110)(예: 도 1b의 서버(14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2110)는 수신된 움직임 정보, 위치 정보, 생체 정보, 운동량 정보, 및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환경 정보(예: 날씨, 지형 등)를 기초로 사용자의 운동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110)는 사용자의 심박수가 높고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강수 확률이 높은 경우, 운동을 중단할 것을 나타내는 가이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2110)는 결정된 가이드 정보를 전자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수신된 가이드 정보가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화면(510)의 제1 영역(511)을 통해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수신된 가이드 정보에 대한 텍스트를 제1 영역(511)에 표시할 수 있고, 수신된 가이드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1 영역(511)의 객체(예: 제1 객체(612) 또는 제2 객체(622))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는 제1 영역(511)에 운동 중단에 대한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고, 제6 컬러(예: 붉은색)로 표현된 제1 객체(901)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수신된 가이드 정보에 대응되는 피드백 제공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웨어러블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신호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300)는 수신된 가이드 정보에 대응되는 피드백(예: 시각적 피드백, 청각적 피드백, 햅틱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는 운동 중단에 대응되는 피드백 제공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경우, 라이팅 유닛(60, 903)이 제6 컬러의 빛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스피커를 통해 운동 중단의 발화 음성을 출력 및/또는 진동 모터를 통해 운동 중단에 해당하는 햅틱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수신된 가이드 정보를 스마트 워치(2130)(예:도 1b의 스마트 워치(132))에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2130)는 수신된 가이드 정보에 대응되는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2130)는 운동 중단을 나타내는 가이드 정보를 전자 장치(400)로부터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400)의 제1 화면과 동일한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서버(2110)는 결정된 가이드 정보를 트레이너의 전자 장치(212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2110)는 결정된 가이드 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생체 정보, 운동량 정보, 또는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전자 장치(212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2120)는 서버(2110)로부터 수신된 정보(예: 가이드 정보, 생체 정보, 운동량 정보, 움직임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2120)는 결정된 가이드 정보에 대응되는 피드백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트레이너는 전자 장치(21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피드백을 통해 사용자가 어떤 상황(예: 운동을 중단해야 하는 상황 등)에 있는지 알 수 있다. 사용자가 예를 들어 운동을 중단해야 하는 상황에 있는 경우, 트레이너는 사용자에게 운동 중단을 요청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서버(2110)는 웹 사이트 또는 웹 페이지에 가이드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의 제공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동작 221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사용자의 운동 상태(예: 운동 속도(또는 움직임 속도), 운동 강도 등)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있어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센서(예: IMU(360))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 속도값(예: 보행 속도값)을 계산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계산된 운동 속도값이 속도 범위(예: 4km/h~6km/h) 내에 있는 경우, 사용자의 운동 속도가 중간 속도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계산된 운동 속도값이 속도 범위(예: 4km/h~6km/h) 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의 운동 속도가 낮은 속도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계산된 운동 속도값이 속도 범위(예: 4km/h~6km/h) 보다 큰 경우, 사용자의 운동 속도가 빠른 속도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앞서 운동 속도를 3단계로 구분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사항일 뿐이다. 속도 범위는 앞서 설명한 예시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 예에 있어서, 전자 장치(400)는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웨어러블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는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가 사용자의 최대 심박수의 50~60%인 경우, 사용자의 운동 강도를 매우 낮은 운동 강도(또는 제1 운동 강도)로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가 사용자의 최대 심박수의 60~70%인 경우, 사용자의 운동 강도를 낮은 운동 강도(또는 제2 운동 강도)로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가 사용자의 최대 심박수의 70~80%인 경우, 사용자의 운동 강도를 중간(moderate) 운동 강도(또는 제3 운동 강도)로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가 사용자의 최대 심박수의 80~90%인 경우, 사용자의 운동 강도를 높은 운동 강도(또는 제4 운동 강도)로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가 사용자의 최대 심박수의 90%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운동 강도를 매우 높은 운동 강도(또는 제5 운동 강도)로 결정할 수 있다. 앞서 운동 강도를 5단계로 구분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사항일 뿐이다.
동작 222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결정된 운동 상태(예: 운동 속도, 운동 강도 등)를 전자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결정된 운동 속도(예: 낮은 속도, 중간 속도, 또는 빠른 속도)를 전자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는 결정된 운동 강도(예: 매우 낮은 운동 강도, 낮은 운동 강도, 중간 운동 강도, 높은 운동 강도, 또는 매우 높은 운동 강도)를 전자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앞서 동작 2210은 웨어러블 장치(3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사항일 뿐, 전자 장치(400)가 동작 2210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웨어러블 장치(300)는 센서(예: IMU(360))의 측정 결과를 전자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수신된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 속도(예: 낮은 속도, 중간 속도, 또는 빠른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전자 장치(400)는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 강도(예: 매우 낮은 운동 강도, 낮은 운동 강도, 중간 운동 강도, 높은 운동 강도, 또는 매우 높은 운동 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223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결정된 운동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동작 2240에서, 전자 장치(400)는 결정된 운동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동작 2230과 동작 2240의 예시를 도 23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3의 화면(2310)은 도 5의 실행 화면(500)의 예시일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예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결정된 운동 상태(예: 운동 속도)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라이팅 유닛(903)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결정된 운동 상태(예: 운동 속도)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의 운동 속도가 낮은 속도에 해당하는 경우, 라이팅 유닛(903)이 상술한 제2 숨쉬는 효과를 제1 속도로 수행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대응되게,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사용자의 운동 속도가 낮은 속도에 해당하는 경우, 화면(2310)의 제1 객체(901)를 통해 상술한 제1 숨쉬는 효과가 제1 속도로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의 운동 속도가 중간 속도에 해당하는 경우, 라이팅 유닛(903)이 제2 숨쉬는 효과를 제2 속도로 수행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대응되게,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사용자의 운동 속도가 중간 속도에 해당하는 경우, 화면(2310)의 제1 객체(901)를 통해 제1 숨쉬는 효과가 제2 속도로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속도는 제1 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의 운동 속도가 높은 속도에 해당하는 경우, 라이팅 유닛(903)이 제2 숨쉬는 효과를 제3 속도로 수행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대응되게,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사용자의 운동 속도가 높은 속도에 해당하는 경우, 화면(2310)의 제1 객체(901)를 통해 제1 숨쉬는 효과가 제3 속도로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3 속도는 제2 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도 24를 통해 사용자의 운동 강도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 제공의 예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의 화면(2410)은 도 5의 실행 화면(500)의 예시일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예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결정된 운동 상태(예: 운동 강도)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라이팅 유닛(903)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결정된 운동 상태(예: 운동 강도)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화면(24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의 운동 강도가 매우 낮은 운동 강도에 해당하는 경우, 라이팅 유닛(903) 중 매우 낮은 운동 강도에 대응되는 영역(1번 영역)의 광원들이 제1 컬러의 빛을 출력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대응되게,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사용자의 운동 강도가 매우 낮은 운동 강도에 해당하는 경우, 화면(2410)의 제1 객체(901)에서 매우 낮은 운동 강도에 대응되는 영역(1번 영역)에 제1 컬러가 표현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의 운동 강도가 낮은 운동 강도에 해당하는 경우, 라이팅 유닛(903) 중 낮은 운동 강도에 대응되는 영역(1번 영역과 2번 영역)의 광원들이 제1 컬러의 빛을 출력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대응되게,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사용자의 운동 강도가 낮은 운동 강도에 해당하는 경우, 화면(2410)의 제1 객체(901)에서 낮은 운동 강도에 대응되는 영역(1번 영역, 2번 영역)에 제1 컬러가 표현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의 운동 강도가 중간 운동 강도에 해당하는 경우, 라이팅 유닛(903) 중 중간 운동 강도에 대응되는 영역(1번 영역, 2번 영역, 3번 영역)의 광원들이 제1 컬러의 빛을 출력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대응되게,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사용자의 운동 강도가 중간 운동 강도에 해당하는 경우, 화면(2410)의 제1 객체(901)에서 중간 운동 강도에 대응되는 영역(1번 영역, 2번 영역, 3번 영역)에 제1 컬러가 표현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의 운동 강도가 높은 운동 강도에 해당하는 경우, 라이팅 유닛(903) 중 높은 운동 강도에 대응되는 영역(1번 영역, 2번 영역, 3번 영역, 4번 영역)의 광원들이 제1 컬러의 빛을 출력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대응되게,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사용자의 운동 강도가 높은 운동 강도에 해당하는 경우, 화면(2410)의 제1 객체(901)에서 높은 운동 강도에 대응되는 영역(1번 영역, 2번 영역, 3번 영역, 4번 영역)에 제1 컬러가 표현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의 운동 강도가 매우 높은 운동 강도에 해당하는 경우, 라이팅 유닛(903) 중 높은 운동 강도에 대응되는 영역(1번 영역, 2번 영역, 3번 영역, 4번 영역, 5번 영역)의 광원들이 제1 컬러의 빛을 출력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대응되게,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사용자의 운동 강도가 매우 높은 운동 강도에 해당하는 경우, 화면(2410)의 제1 객체(901)에서 매우 높은 운동 강도에 대응되는 영역(1번 영역, 2번 영역, 3번 영역, 4번 영역, 5번 영역)에 제1 컬러가 표현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5와 도 26을 통해 사용자의 운동 상태(예: 심박수 정보)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 제공의 예시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동작 2510에서, 전자 장치(400)는 사용자의 심박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스마트 워치(132)로부터 사용자의 심박수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심박수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심박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400)는 수신된 심박수 정보가 사용자의 최대 심박수의 70~80%인 경우, 사용자의 심박수 상태를 중간 상태(또는 제1 심박수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수신된 심박수 정보가 사용자의 최대 심박수의 80~90%인 경우, 사용자의 심박수 상태를 힘든(hard) 상태(또는 제2 심박수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수신된 심박수 정보가 사용자의 최대 심박수의 90%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심박수 상태를 최대(maximum) 상태(또는 제3 심박수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심박수 상태를 결정하는 예시는 전술한 예시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앞서 심박수 상태를 3단계로 구분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사항일 뿐이다.
동작 2520에서, 전자 장치(400)는 사용자의 심박수 상태(예: 중간 상태, 힘든 상태, 또는 최대 상태)를 웨어러블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2530에서, 전자 장치(400)는 심박수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동작 254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심박수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동작 2530과 동작 2540의 예시를 도 2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6의 화면들(2610 내지 2630) 각각은 도 5의 실행 화면(500)의 예시일 수 있다.
도 26에 도시된 예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결정된 운동 상태(예: 심박수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라이팅 유닛(903)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400)는 결정된 운동 상태(예: 심박수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의 심박수 상태가 중간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라이팅 유닛(903)이 제7 컬러(예: 녹색)의 빛을 출력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대응되게,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사용자의 심박수 상태가 중간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화면(2610)의 제1 객체(901)에 제7 컬러가 표현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의 심박수 상태가 힘든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라이팅 유닛(903)이 제8 컬러(예: 노란색)의 빛을 출력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대응되게,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사용자의 심박수 상태가 힘든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화면(2620)의 제1 객체(901)에 제8 컬러가 표현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의 심박수 상태가 최대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라이팅 유닛(903)이 제9 컬러(예: 오렌지색)의 빛을 출력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대응되게,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사용자의 심박수 상태가 최대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화면(2630)의 제1 객체(901)에 제9 컬러가 표현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운동이 코칭 필요 상태인 경우 코칭 필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의 제공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동작 271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사용자의 운동이 코칭(coaching) 필요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장치(300)는 사용자의 운동 자세가 일정 횟수 이상 틀린 경우, 사용자의 운동이 코칭 필요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동작 272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사용자의 운동이 코칭 필요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자 장치(40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2730에서, 전자 장치(400)는 코칭 필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동작 2740에서, 웨어러블 장치(300)는 코칭 필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동작 2730과 동작 2740의 예시를 도 2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8의 화면들(2610 내지 2630) 각각은 도 5의 실행 화면(500)의 예시일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예에서,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사용자의 운동이 코칭 필요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웨어러블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경우,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화면(2810)이 디스플레이(44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부 영역이 제10 컬러(예: 보라색)로 표현된 제1 객체(901)가 화면(2810)의 제1 영역(510)에 표시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사용자의 운동이 코칭 필요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자 장치(400)로 전송한 경우, 라이팅 유닛(903)의 일부 영역에서 제10 컬러의 빛이 출력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라이팅 유닛(903)에서 제10 컬러의 빛이 출력되는 영역은 화면(2810)의 제1 객체(901)에서 제10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과 대응될 수 있다.
전자 장치(400)의 프로세서(410)는 제1 객체(901)에서 제10 컬러로 표현된 영역이 이동하는 시각적 효과가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4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8의 화면(2820)이 디스플레이(440)에 표시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300)의 프로세서(310)는 라이팅 유닛(903)에서 제10 컬러의 빛이 출력되는 영역이 이동하는 시각적 효과가 제공되도록 라이팅 유닛(903)을 제어할 수 있다.
트레이너는 웨어러블 장치(300)의 라이팅 유닛(903)의 라이팅에 의해 사용자가 코칭 필요 상태에 있는 것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2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장치(예: 웨어러블 장치(120, 200, 300, 300-1))(2900)는 프로세서(2910)(예: 프로세서(310)), 통신 모듈(2920)(예: 통신 모듈(390)), 센서(2930), 구동 모듈(예: 구동 모듈(30))(2940), 및 표시 모듈(295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920)은 전자 장치(400)와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할 수 있다.
센서(2930)는 IMU(360) 및/또는 각도 센서들(320, 320-1)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293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움직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동 모듈(2940)은 토크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외력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 모듈(2950)은 라이팅 유닛(60, 90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910)는 웨어러블 장치(2900)가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1 상태 정보를 통신 모듈(2920)을 통해 전자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910)는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표시 모듈(2950)을 통해 제공되도록 표시 모듈(2950)을 제어할 수 있다.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프로세서(2910)는 라이팅 유닛(60, 903)이 복수의 컬러들 각각의 빛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라이팅 유닛(60, 903)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910)는 획득된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토크를 발생시키는데 이용되는 제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910)는 사용자에게 외력이 제공되도록 결정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구동 모듈(294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910)는 통신 모듈(2920)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2900)가 부팅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910)는 부팅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표시 모듈(2950)(예: 라이팅 유닛(60, 903))을 통해 제공되도록 표시 모듈(295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910)는 통신 모듈(2920)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2900)가 충전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3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910)는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표시 모듈(2950)(예: 라이팅 유닛(60, 903))을 통해 제공되도록 표시 모듈(295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910)는 통신 모듈(2920)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2900)가 사용자가 운동 시작 준비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캐닝을 수행할 것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전자 장치(4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910)는 통신 모듈(2920)을 통해 웨어러블 장치(2900)가 스캐닝을 수행하기 위한 스캐닝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4 상태 정보를 전자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91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스캐닝을 수행할 수 있고, 스캐닝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표시 모듈(2950)(예: 라이팅 유닛(60, 903))을 통해 제공되도록 표시 모듈(295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910)는 획득된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일부(예: IMU(360)의 측정 결과 또는 각도 센서들(320, 320-1) 각각의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평가할 수 있다. 프로세서(2910)는 웨어러블 장치(2900)가 운동 자세의 평가 결과를 발화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발화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5 상태 정보 및 운동 자세의 평가 결과를 통신 모듈(2920)을 통해 전자 장치(4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910)는 웨어러블 장치(2900)의 스피커를 통해 발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2910)는 발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표시 모듈(2950)(예: 라이팅 유닛(60, 903))을 통해 제공되도록 표시 모듈(295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28을 통해 설명한 실시 예들은 도 29의 웨어러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외력을 인가하는 웨어러블 장치(300)와 통신하는 전자 장치(400)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통신 모듈(420), 디스플레이(440),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430); 및 상기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1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실행된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1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상기 센싱 상태로 인식하며, 상기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의 UI에 복수의 컬러들 각각이 순차적으로 표현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컬러들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부팅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상기 부팅 상태로 인식하며, 상기 부팅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부팅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의 UI에 제1 컬러가 표현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UI의 상기 제1 컬러가 제2 컬러로 변경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충전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3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3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상기 충전 상태로 인식하며, 상기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충전율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역의 UI에서 제1 컬러가 표현될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영역에 상기 제1 컬러가 표현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충전율이 높아질수록 상기 제1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이 상기 UI 상에서 이동하는 시각적 효과가 제공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운동 시작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사용자가 운동 시작 준비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캐닝을 수행할 것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스캐닝을 수행하기 위한 스캐닝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4 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제4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스캐닝 상태로 인식하고, 상기 스캐닝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캐닝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의 UI 상에서 제2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이 이동하는 시각적 효과가 제공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운동 자세의 평가 결과를 발화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발화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5 상태 정보 및 상기 평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5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상기 발화 상태로 인식하며, 상기 발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발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의 UI 상에서 제2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의 확장과 축소가 반복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가 무선 이어폰과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발화 음성을 출력하지 않도록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평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발화 음성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발화 음성이 상기 무선 이어폰에 의해 출력되도록 상기 생성된 발화 음성을 상기 무선 이어폰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움직임을 센싱한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움직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움직임 정보,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생체 정보, 상기 운동량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환경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운동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이드 정보가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외력을 인가하는 웨어러블 장치(300)와 통신하는 전자 장치(400)의 동작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1 상태 정보를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제1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상기 센싱 상태로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의 제1 영역을 통해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상기 제1 영역의 UI에 복수의 컬러들 각각을 순차적으로 표현(또는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컬러들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부팅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제2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상기 부팅 상태로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부팅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부팅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상기 제1 영역의 UI에 제1 컬러를 표현(또는 출력)하고, 상기 UI의 상기 제1 컬러가 제2 컬러로 변경되도록 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충전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3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제3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상기 충전 상태로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충전율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역의 UI에서 제1 컬러가 표현될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 상기 결정된 영역에 상기 제1 컬러가 표현되도록 하는 동작; 및 상기 충전율이 높아질수록 상기 제1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이 상기 UI 상에서 이동하는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방법은 사용자의 운동 시작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사용자가 운동 시작 준비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캐닝을 수행할 것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하는 동작;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스캐닝을 수행하기 위한 스캐닝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4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제4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스캐닝 상태로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스캐닝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스캐닝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상기 제1 영역의 UI 상에서 제2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이 이동하는 시각적 효과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운동 자세의 평가 결과를 발화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발화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5 상태 정보 및 상기 평가 결과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제5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상기 발화 상태로 인식하는 동작; 및 상기 발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발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상기 제1 영역의 UI 상에서 제2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의 확장과 축소가 반복되도록 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무선 이어폰과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발화 음성을 출력하지 않도록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제어하는 동작; 상기 수신된 평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발화 음성을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발화 음성이 상기 무선 이어폰에 의해 출력되도록 상기 생성된 발화 음성을 상기 무선 이어폰으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방법은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움직임을 센싱한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움직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움직임 정보,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생체 정보, 상기 운동량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환경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운동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가이드 정보를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위에서 설명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사용자에게 외력을 인가하는 웨어러블 장치(300)와 통신하는 전자 장치(400)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치와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통신 모듈(420);
    디스플레이(440);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메모리(430); 및
    상기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제1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실행된 피트니스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410)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1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상기 센싱 상태로 인식하며, 상기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의 UI(user interface)에 복수의 컬러들 각각이 순차적으로 표현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들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한,
    전자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부팅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상기 부팅 상태로 인식하며, 상기 부팅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팅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의 UI에 제1 컬러가 표현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UI의 상기 제1 컬러가 제2 컬러로 변경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충전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3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3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상기 충전 상태로 인식하며, 상기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충전율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영역의 UI에서 제1 컬러가 표현될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영역에 상기 제1 컬러가 표현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충전율이 높아질수록 상기 제1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이 상기 UI 상에서 이동하는 시각적 효과가 제공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의 운동 시작 명령이 있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사용자가 운동 시작 준비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캐닝을 수행할 것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웨어러블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스캐닝을 수행하기 위한 스캐닝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4 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제4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스캐닝 상태로 인식하고, 상기 스캐닝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의 UI 상에서 제2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이 이동하는 시각적 효과가 제공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운동 자세의 평가 결과를 발화(utterance)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발화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5 상태 정보 및 상기 평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5 상태 정보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장치의 상태를 상기 발화 상태로 인식하며, 상기 발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영역의 UI 상에서 제2 컬러가 표현되는 영역의 확장과 축소가 반복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가 무선 이어폰과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발화 음성을 출력하지 않도록 상기 웨어러블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평가 결과를 기초로 상기 발화 음성을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발화 음성이 상기 무선 이어폰에 의해 출력되도록 상기 생성된 발화 음성을 상기 무선 이어폰으로 전송하는,
    전자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상기 움직임을 센싱한 움직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움직임 정보,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 상기 사용자의 생체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움직임 정보, 상기 위치 정보, 상기 생체 정보, 상기 운동량 정보, 및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지역의 환경 정보를 기초로 결정된 상기 사용자의 운동에 대한 가이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이드 정보가 상기 제1 영역을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14. 웨어러블 장치(2200)에 있어서,
    전자 장치(400)와 무선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통신 모듈(2220);
    토크(torque)를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외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듈(2240);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움직임 정보를 획득하는 센서(2230);
    표시 모듈(2250); 및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센싱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1 상태 정보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상기 표시 모듈을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표시 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획득된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토크를 발생시키는데 이용되는 제어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외력이 제공되도록 상기 결정된 제어 정보를 기초로 상기 구동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2210)
    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라이팅(lighting)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을 위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라이팅 유닛이 복수의 컬러들 각각의 빛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도록 상기 라이팅 유닛을 제어하는,
    웨어러블 장치.
  16. 제14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부팅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2 상태 정보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부팅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상기 표시 모듈을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표시 모듈을 제어하는,
    웨어러블 장치.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충전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3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충전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상기 표시 모듈을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표시 모듈을 제어하는,
    웨어러블 장치.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사용자가 운동 시작 준비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캐닝을 수행할 것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스캐닝을 수행하기 위한 스캐닝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4 상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스캐닝을 수행하고, 상기 스캐닝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상기 표시 모듈을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표시 모듈을 제어하는,
    웨어러블 장치.
  19.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움직임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운동 자세를 평가하고, 상기 웨어러블 장치가 상기 운동 자세의 평가 결과를 발화 음성으로 출력하기 위한 발화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는 제5 상태 정보 및 상기 평가 결과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발화 음성을 출력하고, 상기 발화 상태에 대응되는 시각적 피드백이 상기 표시 모듈을 통해 제공되도록 상기 표시 모듈을 제어하는,
    웨어러블 장치.
  20. 제14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시각적 피드백의 제공을 명령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웨어러블 장치.
KR1020220128311A 2022-06-24 2022-10-07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전자 장치 KR2024000100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7414A KR20240001014A (ko) 2022-06-24 2022-12-16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전자 장치
PCT/KR2023/008661 WO2023249424A1 (ko) 2022-06-24 2023-06-22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전자 장치
US18/475,600 US20240017124A1 (en) 2022-06-24 2023-09-27 Wearabl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feedback to user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77697 2022-06-24
KR1020220077697 2022-06-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004A true KR20240001004A (ko) 2024-01-03

Family

ID=89539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311A KR20240001004A (ko) 2022-06-24 2022-10-07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100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8450B2 (en) Customized configuration for an exoskeleton controller
JP7232310B2 (ja) 歩行補助方法及びこれを行う装置
KR20240001004A (ko)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전자 장치
KR20240001014A (ko)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웨어러블 장치와 전자 장치
US20240017124A1 (en) Wearabl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feedback to user cross-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KR20240047512A (ko)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기 위한 웨어러블 장치 제어 방법 및 웨어러블 장치
EP4238711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muscular fitness of user by using wearable device
US20240146090A1 (en) Wearable apparatus for perform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EP4311488A1 (en) Electronic device and wearable device for providing evaluation information on user's exercise mo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20240123291A1 (en) Electronic device and wearable device for providing exercise program,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240066206A (ko) 체결 프레임의 연결을 감지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240047282A (ko)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 이들의 제어 방법
KR20240075626A (ko)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625749B1 (ko) 사용자의 보행 지표를 추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웨어러블 장치
EP436471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wearable device on basis of exercise mode, and electronic device performing method
KR20230157216A (ko) 사용자에게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01694A (ko) 운동 모드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240066207A (ko) 웨어러블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240009061A1 (en) Wearable device for providing wear detection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2024014859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wearable apparatus for user safety and wearable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KR20230101685A (ko) 운동 모드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240047610A (ko) 웨어러블 장치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참조 영상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240049759A (ko) 웨어러블 장치와 전자 장치 간의 인터랙션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웨어러블 장치 및 전자 장치
KR20230065875A (ko) 사용자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40139055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augmented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