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905A - 실버스킨이 함유된 가축 사료 - Google Patents

실버스킨이 함유된 가축 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905A
KR20240000905A KR1020220077685A KR20220077685A KR20240000905A KR 20240000905 A KR20240000905 A KR 20240000905A KR 1020220077685 A KR1020220077685 A KR 1020220077685A KR 20220077685 A KR20220077685 A KR 20220077685A KR 20240000905 A KR20240000905 A KR 20240000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arts
weight
livestock feed
silve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택
정유현
김광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시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시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시넷
Priority to KR1020220077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905A/ko
Publication of KR20240000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90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7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wast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1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rumin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2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3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sw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23K50/7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 A23K50/75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for birds for poul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6/00Food or edible material: processes, compositions, and products
    • Y10S426/807Poultry or ruminant fe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버스킨이 함유된 가축 사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두 로스팅시 발생되어 버려지는 실버스킨 및 센터컷을 이용함에 따라 가공 시 발생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특유한 잡내가 제거된 가축의 육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버스킨이 함유된 가축 사료{Livestock feed containing silver skin}
본 발명은 실버스킨이 함유된 가축 사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건초 10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버스킨 10 내지 100 중량부 및 센터컷 1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버스킨이 함유된 가축 사료에 관한 기술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커피는 커피나무 열매의 씨를 볶아서 만든 원두나 가루를 원료로 한 음료로, 커피나무 열매가 붉게 익으면 과육이 벌어지면서 푸른빛을 띤 생두가 나오는데, 이것을 말려서 볶은 뒤 가루로 내어 사용한다. 커피는 그 고유의 맛과 향으로 인하여 사람들이 기호 식품으로 많이 찾는 대표적인 음료로 자리를 잡았다. 따라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커피 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커피의 생산량이 늘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하여 커피를 만들기 위해 원두를 로스팅 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은 전부 폐기처분되므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 원두 로스팅 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은 생체기능, 면역증강, 식품보존 및 육류의 냄새(잡내)를 제거할 수 있으나, 현재는 대부분 모두 일반쓰레기로 배출되고 있어 이를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1816828호(2018년 01월 03일.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 즉, 종래의 가축 사료는 커피를 추출한 이후에 생기는 커피찌꺼기만을 이용하는 것으로, 원두 로스팅 과정에서 생기는 다양한 부산물을 재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버스킨, 센터컷 및 커피미분을 혼합한 사료를 가축에게 급여하여 육류의 냄새(잡내)를 제거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건초 10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버스킨 10 내지 100 중량부 및 센터컷 1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버스킨이 함유된 가축 사료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축 사료는 커피 미분 10 내지 20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축 사료는 뽕나무상황버섯추출물, 잎새버섯추출물, 흰목이버섯추출물 및 꽃송이버섯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제1추출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축 사료는 팔마로사추출물, 쑥추출물, 생강추출물 및 약모밀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제2추출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축 사료는 민트추출물, 타임추출물, 세이지추출물, 바질추출물 및 샐러리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제3추출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추출물은 건초 10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추출물은 건초 10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3추출물은 건초 10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실버스킨이 함유된 가축 사료는 원두 로스팅시 발생되어 버려지는 실버스킨 및 센터컷을 이용함에 따라 가공 시 발생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특유한 잡내가 제거된 가축의 육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실버스킨이 함유된 가축 사료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이하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재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추출물'이란, 추출 대상을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이산화탄소, 펜탄 등 초임계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의미하며, 추출 방법은 활성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상기 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 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추출물을 실리카겔 등이 충진된 칼럼에 흡착시킨 후 소수성 용매,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더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실버스킨이 함유된 가축 사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건초는
티모시건초, 알팔파건초, 라이건초, 오차드건초 및 버뮤다건초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다양한 건초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티모시건초는 다년생, 상번초 및 다발형의 벼과 목초를 수분함량이 15% 이하가 되도록 건조한 것으로, 큰조아재비, 티머시 및 티머디 등으로 불리우며, 섬유질이 풍부하고, 단백질 및 칼슘 함량은 낮으며, 소화속도가 빨라 초식동물용 사료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알팔파건초는 콩과의 여러해살이 목초를 수분함량이 15% 이하가 되도록 건조한 것으로, 자주개자리로 불리우며, 단백질, 비타민 및 칼슘의 함량이 풍부하여 소화력이 뛰어나며 성장기 가축에게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라이건초는 다년생 화본과 목초를 수분함량이 15% 이하가 되도록 건조한 것으로, 조단백질, 조섬유질, 회분 및 당분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소화력이 뛰어나며 가축에게 기호도가 좋다.
상기 오차드건초는 상번초, 다년생 및 다발형의 벼과 목초를 수분함량이 15% 이하가 되도록 건조한 것으로, 조단백, 칼슘, 인 및 리그닌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가축에게 기호도가 좋다.
상기 버뮤다건초는 다년생 화본과 목초를 수분함량이 15% 이하가 되도록 건조한 것으로, 조단백질, 조섬유, 비타민 및 칼슘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가축에게 기호도가 좋다.
또한, 상기 건초는 상기에 기재된 티모시건초, 알팔파건초, 라이건초, 오차드건초 및 버뮤다건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가축 사료에 사용하는 다양한 건초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실버스킨(silverskin)은
생두(가공되지 않은 커피 콩, Green Bean)를 감싸고 있는 얇은 은색의 막으로 은피라고도 하며, 커피 생두를 원두로 로스팅하는 과정에서 벗져지는 껍질 또는 껍질의 일부를 말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실버스킨은 커피 가공 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 중에 한가지로 식이섬유, 셀룰로오스, 자일로스, 아라비노스,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단백질, 칼슘, 칼륨, 마그네슘, 유리지방산, 스테롤 에스테르, 유리 스테롤, 비타민 E, 클로로겐산, 카페인, 멜라노이딘 및 플라보노이드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가축이 섭취 시 육류 특유의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버스킨은 입자직경 1 내지 5mm로 분쇄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입자직경 1mm 미만의 크기로 분쇄된 것을 사용하는 경우, 사료를 주는 과정에서 공기 중에 날려서 버려지는 양이 많아질 수 있고, 입자직경 5mm를 초과하는 크기로 분쇄된 것을 사용하는 경우, 사료를 섭취하는 가축이 골라낼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의 크기로 분쇄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버스킨은 케냐, 에티오피아, 콜롬비아, 과테말라, 브라질, 코스타리카, 파나마, 인도네시아 및 베트남 생두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생두를 직화방식으로 로스팅한 원두에서 얻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원두에서 얻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향이 풍부한 케냐 생두를 직화방식으로 로스팅한 원두에서 얻어지는 실버스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버스킨은 건초 10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0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0 중량부 미만을 사용할 경우, 가축이 섭취하여도 육류의 냄새(잡내)를 제거하기 어렵고, 10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실버스킨의 향으로 인해 가축이 섭취를 거부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센터컷(center cut)은
생두(가공되지 않은 커피 콩, Green Bean) 가운데 있는 갈라진 홈을 말하는 것으로, 습식법(Wet Dry Process)으로 세척된 생두일 경우 밝은 황색을 띠고, 건식법(Dry Process)으로 세척된 생두일 경우 짙은 갈색을 띤다.
상기 센터컷은 습식법으로 세척된 생두를 로스팅할 경우, 건식법으로 세척된 생두 보다 많은 양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습식법으로 세척된 생두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센터컷은 생두를 라이트로스트, 시나몬로스트, 미디엄로스트 및 하이로스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배전도로 로스팅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많은 양을 얻을 수 있고, 향미가 남아있어 가축이 섭취시 특유의 냄새(잡내)를 제거하기 좋다.
이때, 상기 센터컷은 입자직경 1 내지 10mm로 분쇄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입자직경 1mm 미만의 크기로 분쇄된 것을 사용하는 경우, 사료를 나눠주는 과정에서 공기 중에 날려서 버려지는 양이 많아질 수 있고, 입자직경 10mm를 초과하는 크기로 분쇄된 것을 사용하는 경우, 사료를 섭취하는 가축이 골라낼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의 크기로 분쇄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터컷은 케냐, 에티오피아, 콜롬비아, 과테말라, 브라질, 코스타리카, 파나마, 인도네시아 및 베트남 생두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생두를 직화방식으로 로스팅한 원두에서 얻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으로 많이 섭취하는 원두에서 얻어지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터컷은 건초 10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0 중량부 미만을 사용할 경우, 가축이 섭취하여도 육류의 냄새(잡내)를 제거하기 어렵고,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센터컷의 향으로 인해 가축이 섭취를 거부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커피미분(Coffee Fines)은
로스팅된 원두를 커피로 만들기 위해 그라인딩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미세한 원두 입자를 말하는 것으로, 커피의 향미가 나며, 가축이 섭취 시 적은 양으로 육류의 냄새(잡내)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피미분은 입자직경 10 내지 100 ㎛의 커피미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0㎛ 미만의 입자직경을 가지는 커피미분을 사용할 경우, 응집하는 성질로 인해 뭉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100 ㎛을 초과하는 입자직경을 가지는 커피미분을 사용할 경우, 가축이 섭취 시 텁텁하여 선호도가 저하되어 골라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 내의 크기로 분쇄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피미분은 건초 1000 중량부에 대하여 커피 미분 10 내지 2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0 중량부 미만 사용할 경우, 가축이 섭취하여도 육류의 냄새(잡내)를 제거하기 어렵고,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커피미분의 향으로 인해 가축이 섭취를 거부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제1추출물은
뽕나무상황버섯추출물, 잎새버섯추출물, 흰목이버섯추출물 및 꽃송이버섯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가축이 섭취시 육류의 냄새(잡내)를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뽕나무상황버섯추출물은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송이과의 버섯에서 추출한 추출물로, 니아신, 나트륨, 단백질, 비타민 B, 비타민 E, 아연, 엽산, 인, 철분, 칼륨, 칼슘 및 지질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항암, 노화예방, 혈관질환 예방, 심장질환 예방, 독성물질 배출 및 피로회복 등의 효능이 있다.
상기 잎새버섯추출물은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의 버섯에서 추출한 추출물로, 니아신, 비타민 B, 비타민 E, 아연, 엽산, 인, 철분, 칼륨, 칼슘 및 지질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다이어트, 면역력 증진, 항암 및 혈당조절 등의 효능이 있다.
상기 흰목이버섯은 담자균류 흰목이목 흰목이과의 버섯에서 추출한 추출물로, 나트륨, 단백질, 비타민 B, 비타민 E, 아연, 엽산, 인, 철분, 칼륨, 비타민 D, 칼슘, 식이섬유, 콜라겐, 베타글루칸 및 인터페론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골다공증 예방, 다이어트, 빈혈예방, 피부미용, 면연력 상승 및 항암 등의 효능이 있다.
상기 꽃송이버섯은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 꽃송이버섯과의 버섯에서 추출한 추출물로, 단백질, 비타민 B, 비타민 E, 아연, 엽산, 인, 철분, 칼륨, 비타민 D, 칼슘, 식이섬유 및 베타글루칸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면역력 상승, 항암 효과, 염증 완화, 고혈압 예방, 심혈관 예방 및 피부미용 등의 효능이 있다.
또한, 상기 제1추출물은 팽이버섯추출물, 노루궁뎅이버섯추출물 및 잣버섯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팽이버섯추출물은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송이과 버섯에서 추출한 추출물로, 나트륨, 단백질, 비타민, 아연, 엽산, 인, 철분, 칼륨, 칼슘, 식이섬유, 콜라겐, 베타클루칸 및 리놀산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혈액순환, 내장지방개선, 피로회복 및 장 건강 개선 등의 효능이 있다.
상기 노루궁뎅이버섯추출물은 노루궁뎅이과의 버섯에서 추출한 추출물로, 단백질, 섬유질, 비타민, 식이섬유, 아르기닌, 발린, 메티오닌, 류신, 이소류신, 티로신 및 페닐알라딘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항암, 항산화, 당뇨개선 및 면역력 강화 등의 효능이 있다.
상기 잣버섯추출물은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느타리과 잣버섯속의 버섯으로, 백색 또는 연한 황갈색을 띠며, 나트륨, 단백질, 비타민 B, 비타민 E, 아연, 엽산, 인, 철분, 칼륨, 비타민 D, 칼슘, 식이섬유, 콜라겐, 베타글루칸 및 에부리코산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항암, 항균 및 항진균, 면역증강 등에 좋다.
또한, 상기 제1추출물은 건초 10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0 중량부 미만 사용할 경우, 육류의 냄새(잡내)를 저하시키기 어렵고,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제1추출물 특유의 향이 강해져 가축이 섭취를 거부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제2추출물은
팔마로사추출물, 쑥추출물, 생강추출물 및 약모밀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팔마로사추출물은 게라니올, 파르네솔, 시트로넬롤, 시트랄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항진균 및 살균 등의 효능이 있다.
이때, 상기 팔마로사추출물은 팔마로사를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추출에 적용할 수 있고, 팔마로사의 줄기, 꽃, 잎, 뿌리, 뿌리줄기 및 줄기껍질 등의 모든 부분 또는 일부에서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쑥추출물은 정유 성분인 시네올로 인해 특유의 향긋한 향이 나고,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C, 비타민 K, 칼륨, 칼슘, 인, 철분, 셀레늄 및 베타카로틴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노화예방, 성인병 예방, 부인병 예방 및 해독 작용 등의 효능이 있다.
이때, 상기 쑥추출물은 쑥을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추출에 적용할 수 있고, 약모밀의 잎, 줄기, 줄기껍질, 뿌리, 뿌리줄기 및 꽃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강추출물은 매운 맛을 내는 진저롤, 다량의 무기질 및 쇼가올, 폴리페놀류, 플라보노이드 같은 항산화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세정 및 염증억제 등의 효능이 있다.
이때, 상기 생강추출물은 생강을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추출에 적용할 수 있고, 생강의 잎, 줄기, 줄기껍질, 가지, 가지껍질, 뿌리, 뿌리줄기, 꽃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뿌리 또는 뿌리줄기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모밀추출물은 어성초라고도 불리우며, 아피질린, 베타시토스테롤, 메틸노닌케톤, 미르센, 쿠에르시트린 및 아이소쿠에르스트린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살균, 향균, 면역증강, 항염증, 이뇨, 진해 등의 효능이 있다.
이때, 상기 약모밀추출물은 약모밀을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추출에 적용할 수 있고, 약모밀의 잎, 줄기, 줄기껍질, 뿌리, 뿌리줄기 및 꽃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추출물은 육두구추출물, 참당귀추출물 및 시호뿌리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육두구추출물은 은은한 향이 나고, 리모넨, 게라니올, 샤프롤, 미리스티신 등과 같은 정유성분, 칼슘, 철, 마그네슘, 인, 망간, 칼륨, 나트륨, 아연, 구리, 셀레늄, 비타민 C,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3, 비타민 B9 및 카로틴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항균작용, 항노화작용, 소화기 건강, 진정작용 등에 효능이 있다.
이때, 상기 육두구추출물은 육두구를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추출에 적용할 수 있고, 육두구의 줄기, 잎, 꽃, 열매 및 열매껍질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참당귀추출물은 데쿠르신, 데쿠르시놀 안겔레이트, 노다케닌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진정 및 항염 등의 효능이 있다.
이때, 참당귀뿌리추출물은 참당귀를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추출에 적용할 수 있고, 잎, 꽃, 줄기, 줄기껍질, 뿌리, 뿌리줄기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뿌리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시호뿌리추출물은 정유,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 폴리아세틸렌, 플라보노이드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해열, 진정, 진통, 진해 및 항염증 등의 효능이 있다.
이때, 상기 시호뿌리추출물은 시호를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추출에 적용할 수 있고, 잎, 꽃, 줄기, 줄기껍질, 뿌리, 뿌리줄기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뿌리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제2추출물은 건초 10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0 중량부 미만 사용할 경우, 육류의 냄새(잡내)를 저하시키기 어렵고, 3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제2추출물 특유의 향이 강해져 가축이 섭취를 거부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추출물은
민트추출물, 타임추출물, 세이지추출물, 바질추출물 및 샐러리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가축이 섭취 시 육류의 냄새(잡내)를 저하시킬 수 있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3추출물은 민트, 타임, 세이지, 바질 및 샐러리를 -60 내지 -10℃에서 24 내지 72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여 분말형태로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3추출물은 -60℃ 내지 -10℃에서 24 내지 72시간 동안 동결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60℃ 미만, -10℃을 초과하는 온도로 동결 건조할 경우, 추출물의 성분이 변하거나 파괴될 수 있고, 24시간 미만으로 건조할 경우,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72시간을 초과하여 건조할 경우, 제조시간만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상기 범위내의 온도 및 시간으로 동결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민트추출물은 멘톨, 멘톨아세테이트, 플라본, 리모넨, 이소라이폴린, 아카세틴, 올레아놀산 및 페놀산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진정, 항염, 미생물 억제 및 소염 등의 효능이 있다.
이때, 상기 민트추출물은 민트의 잎, 꽃, 줄기, 줄기껍질, 뿌리 및 뿌리줄기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잎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타임추출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비타민 E, 니아신, 베타카로틴, 아연, 엽산, 인, 철분, 칼륨, 칼슘, 플라보노이드, 테르페노이드, 카르바콜로, 보르네올, 게라니올 및 식이섬유 등이 함유되어 있어 암예방 및 피로회복 등의 효능이 있고, 방부제, 항균제 및 항생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임추출물은 타임의 잎, 꽃, 줄기, 줄기껍질, 뿌리 및 뿌리줄기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잎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세이지추출물은 알파피넨, 보르네올, 세스퀴테르펜, 페놀, 테르페노이드 및 플라보노이드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소화촉진, 피로회복, 항균작용, 피부질환 예방, 노화예방, 신경질환 예방 등의 효능이 있다.
이때, 상기 세이지추출물은 세이지의 잎, 꽃, 줄기, 줄기껍질, 뿌리 및 뿌리줄기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잎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바질추출물은 베타카로틴,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비타민 E, 아연, 엽산, 인, 철분, 칼륨, 칼슘 및 식이섬유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노화방지, 소화불량 해소, 이뇨작용 등에 효능이 있다.
이때, 상기 바질추출물은 바질의 잎, 꽃, 줄기, 줄기껍질, 뿌리 및 뿌리줄기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잎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샐러리추출물은 베타카로틴,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K, 비타민 C, 비타민 B6, 칼륨, 칼슘, 엽산 및 식이섬유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염증완화, 콜레스테롤 수치 조절, 변비예방 및 나트륨 배출 등의 효능이 있다.
이때, 상기 샐러리추출물은 샐러리의 잎, 줄기, 뿌리 및 뿌리줄기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잎 및 줄기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3추출물은 로즈마리추출물, 레몬그라스추출물, 고수씨앗추출물 및 정향나무꽃봉오리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추출물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즈마리추출물은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B6, 엽산, 펄분, 마그네슘, 칼륨, 망간, 리보플라빈, 미네랄, 카르노산, 보르네올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보호, 피부보습, 피부진정, 향균, 항염, 항알러지 등의 효능이 있다.
이때, 상기 로즈마리추출물은 잎, 꽃, 줄기, 줄기껍질, 뿌리 및 뿌리줄기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잎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레몬그라스추출물은 벼목 화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알파피넨, 캄펜, 리머넨, 미르센, 시트랄, 클로로겐산, 게라니올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두통 완화, 빈혈 예방, 근육통 완화 등의 효능이 있다.
이때, 상기 레몬그라스추출물은 잎, 줄기, 뿌리 및 뿌리줄기 또는 이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잎 및 줄기에서 추출한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고수씨앗추출물은 고수씨앗을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켐퍼롤, 퀘세틴,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K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산화 방지, 미생물 억제, 변비 예방, 감기 예방, 비염 예방, 천식 예방, 아토피 예방, 알레르기 방지 등의 효능이 있다.
상기 정향나무꽃봉오리추출물은 꽃이 피기 전에 수확한 꽃봉오리를 건조 및 파쇄하여 분말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유게놀, 살리실산 메틸, 후물렌, 람네틴, 트리테르페노이드, 캠페롤, 유게니틴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혈액 순환 촉진, 항산화 작용, 부패 방지 및 살균력이 좋아 방부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추출물은 건초 10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0 중량부 미만 사용할 경우, 육류의 냄새(잡내)를 저하시키기 어렵고,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제3추출물 특유의 향이 강해져 가축이 섭취를 거부할 수 있어 상기 범위 내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제1추출물, 제2추출물 및 제3추출물은 각각 증류 방식으로 추출하고 얻어진 각 추출물을 혼합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추출물들을 함께 증류 방식에 의해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증류 방식은 감압 증류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감압 증류는 낮은 압력에서 물질의 끓는점이 내려가는 현상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분리법으로서, 상압에서 끓는점까지 물질을 가열하면 분해할 우려가 있는 물질을 증류할 때 사용되며, 이에 따라, 생성물의 분해나 불필요한 고분자 생성물을 억제할 수 있다.
감압 증류 방식으로 수득된 추출물은 입자가 미세하여 피부세포에 잘 흡수될 수 있으며, 눈에 보이지 않는 불순물까지 다 걸러내기 때문에 잔류 농약, 중금속 등과 같은 유해물질이 남아있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실버스킨을 함유한 가축 사료는 가축의 종류 및 주령, 사육 조건 등에 따라 가축에게 급여되는 일반적인 배합사료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축은 돼지, 소, 닭, 말, 오리, 메추라기, 거위, 꿩, 칠면조, 당나귀, 양, 염소 및 토끼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제조된 시편의 물성 측정 방법과 사용된 재료의 제원은 하기 표 1과 같다.
제원
실버스킨 평균입경 1 내지 5 mm
센터컷 평균입경 1 내지 10 mm
커피미분 평균입경 10 내지 100 ㎛
(관능검사-육류 잡내)
피시험자로 미각이 발달한 20대의 남자 25명, 여자 25명을 대상으로, 굽는 과정을 거친 본 발명의 사료를 6개월 동안 먹고 자란 가축의 육류와 일반적인 종래의 사료를 6개월 동안 먹고 자란 가축의 육류(대조구)를 섭취하게 하였다. 섭취 후 설문지를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관능검사는 5점 척도법(5: 매우 좋다, 4: 좋다, 3: 보통이다, 2: 나쁘다, 1: 매우 나쁘다) 및 (○ : 종래의 사료를 먹고 자란 가축의 육류와 유사하게 잡내가 난다, △ : 종래의 사료를 먹고 자란 가축의 육류 보다 잡내가 적게 난다. X : 잡내가 나지 않는다)에 따라 실시되었으며, 상기 점수를 조사한 후 이를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산술평균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육색, 근내지방도 및 탄력)
하기 표 2에 기재된 중량부로 혼합된 사료를 6개월 동안 급여한 가축(돼지)를 이용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육질 관능검사는 NPPC 기준에 따라 9명의 관능검사 요원이 육색 기준 1~5(숫자가 클수록 선명함), 근내지방도:1~5(숫자가 클수록 마블링 분포가 균일함), 경도:1~5(숫자가 클수록 육질의 탄력이 좋음)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상기 점수를 조사한 후 이를 소수점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산술평균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버스킨 센터컷 커피미분 제1추출물 제2추출물 제3추출물
실시예 1 50 25 15 25 15 10
실시예 2 50 25 15 0 15 10
실시예 3 50 25 15 25 0 10
실시예 4 50 25 15 25 15 0
비교예 1 50 25 0 25 15 10
비교예 2 0 25 15 25 15 10
기호도 냄새(잡내) 육색 근내지방도 탄력
실시예 1 4.8 X 4.2 3.1 3.2
실시예 2 4.6 X 4.0 2.8 2.9
실시예 3 4.6 X 4.0 2.8 2.9
실시예 4 4.6 X 4.0 2.8 2.9
비교예 1 3.3 3.2 2.3 2.6
비교예 2 2.8 3.2 2.3 2.6
대조구 1.8 O 2.4 1.7 1.8
상기 표 2 내지 표 3과 같이, 실버스킨, 센터컷 및 커피미분을 모두 포함하는 사료를 먹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경우, 육류에서 잡내가 나지 않음과 동시에 육색, 근내지방도 및 탄력도가 모두 우수하고 기호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2 내지 표3과 같이, 실버스킨, 센터컷 및 커피미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가 포함되지 않은 사료를 먹인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의 경우, 종래의 사료를 먹고 자란 대조구 보다 육류에서 잡내가 덜나고, 육색, 근내지방도 및 탄력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보다 잡내, 육색, 근내지방도 및 탄력도는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건초 10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버스킨 10 내지 100 중량부 및 센터컷 1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버스킨이 함유된 가축 사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 사료는,
    건초 1000 중량부에 대하여 커피 미분 10 내지 20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버스킨이 함유된 가축 사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 사료는,
    뽕나무상황버섯추출물, 잎새버섯추출물, 흰목이버섯추출물 및 꽃송이버섯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제1추출물;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버스킨이 함유된 가축 사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 사료는,
    팔마로사추출물, 쑥추출물, 생강추출물 및 약모밀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제2추출물;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버스킨이 함유된 가축 사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축 사료는,
    민트추출물, 타임추출물, 세이지추출물, 바질추출물 및 샐러리추출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제3추출물;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버스킨이 함유된 가축 사료.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추출물은,
    건초 10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버스킨이 함유된 가축 사료.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추출물은,
    건초 10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버스킨이 함유된 가축 사료.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추출물은,
    건초 10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버스킨이 함유된 가축 사료.
KR1020220077685A 2022-06-24 2022-06-24 실버스킨이 함유된 가축 사료 KR202400009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685A KR20240000905A (ko) 2022-06-24 2022-06-24 실버스킨이 함유된 가축 사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685A KR20240000905A (ko) 2022-06-24 2022-06-24 실버스킨이 함유된 가축 사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905A true KR20240000905A (ko) 2024-01-03

Family

ID=89539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685A KR20240000905A (ko) 2022-06-24 2022-06-24 실버스킨이 함유된 가축 사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90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828B1 (ko) 2016-05-30 2018-01-10 (주)현농 가축의 보조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828B1 (ko) 2016-05-30 2018-01-10 (주)현농 가축의 보조사료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wafor et al. Chemical composition and nutritive benefits of chicory (Cichorium intybus) as an ideal complementary and/or alternative livestock feed supplement
Balasubramanian et al. Postharvest processing and benefits of black pepper, coriander, cinnamon, fenugreek, and turmeric spices
Abdallah et al. Application of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 by-products as dietary feed supplements and antibiotic replacements in animal production
Ribeiro-Santos et al. A novel insight on an ancient aromatic plant: The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L.)
Eevuri et al. Use of certain herbal preparations in broiler feeds-A review.
Nawaz et al. Phytochemical composition: antioxidant potential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corn
KR101940627B1 (ko) 애견용 사료 제조방법
Tajodini et al. Use of black pepper, cinnamon and turmeric as feed additives in the poultry industry
PF Guiné et al. Bioactive compounds in some culinary aromatic herbs and their effects on human health
KR101617146B1 (ko)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김치의 제조방법
KR20180032959A (ko) 사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Pathaw et al. A comparative review on the anti-nutritional factors of herbal tea concoctions and their reduction strategies
Rana et al. Proximate and phytochemical screening of the seed and pulp of Tamarind indica
Ain et al. Nutritional importance and industrial uses of pomegranate peel: A critical review
Mughal A review on potential antioxidant effects of Cumin (Cuminum cyminum), phytochemical Profile and its uses
Salem et al. Promising prospective effects of Withania somnifera on broiler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A comprehensive review
Mushtaq et al. Almond (Purunus amygdalus L.): A review on health benefits, nutritional value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Ayoola et al. Phytochemical screening and proximate analysis of newbouldia laevis and allium sativum
Alyahya et al. Phoenix dactylifera L.(Ajwa Dates): An energetic plant fruit with immense nutraceuticals value for strengthening the power of resistance
KR100315330B1 (ko) 손바닥선인장 열매분말 또는 농축액을 함유한 건강식품캡슐의 제조방법
Rafique et al. Asma Shafi 2, Sehrish Kamran 3 Department of Chemistry, Lahore Garrison University, Lahore, Punjab, Pakistan 2 Deparment of polymer, Punjab University Lahore, Pakistan 3 Department of Allied sciences, FMH College of medicine and dentistry
KR20240000905A (ko) 실버스킨이 함유된 가축 사료
KR101073478B1 (ko) 천마, 오가피, 천궁 및 당귀가 혼합된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El-Hadidy et al. Omar. Protective Effect on Lipids Profile of Lion’s Foot (Alchemilla Vulgaris) Leaves against Ccl4 Toxicity and its Fortified to Guava and Mango Pulp
El-Desouky et al. Protective effect of aqueous extract pomegranate peel against sterigmatocystin toxicity in r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