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850A - Defect inspection system for apparatus - Google Patents

Defect inspection system for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850A
KR20240000850A KR1020220077563A KR20220077563A KR20240000850A KR 20240000850 A KR20240000850 A KR 20240000850A KR 1020220077563 A KR1020220077563 A KR 1020220077563A KR 20220077563 A KR20220077563 A KR 20220077563A KR 20240000850 A KR20240000850 A KR 20240000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eck
defect inspection
inspection system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5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원
이해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아이
Priority to KR1020220077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850A/en
Publication of KR20240000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85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1Subjecting similar articles in turn to test, e.g. "go/no-go" tests in mass production; Testing objects at points as they pass through a testing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3Environmental or reliability te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Abstract

복수의 전자장치가 실장된 메인장치부, 상기 메인장치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장치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듈판넬부, 상기 전자장치의 외형을 표시하여 상기 전자장치의 이상을 체크할 수 있는 제1체크부 및 상기 전자장치에 일방향으로 체크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전자장치의 배선의 이상을 체크할 수 있는 제2체크부를 포함하는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이 개시된다.A main device unit o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re mounted, a module panel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device unit to supply power to the main device unit, and a display device that displays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device to check for abnormalities in the electronic device. A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including a first check unit and a second check unit capable of checking for abnormalities in wiring of the electronic device by applying a check signal in one direc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is disclosed.

Description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DEFECT INSPECTION SYSTEM FOR APPARATUS}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DEFECT INSPECTION SYSTEM FOR APPARATUS}

본 발명은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특히 각종 전자장치가 배치된 장치를 최종적으로 검사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it relates to a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that can finally inspect devices in which various electronic devices are placed and determine whether they are defective.

제품은 생산과 더불어 불량 검사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다양한 센서, 반도체 등이 전자장치가 실장된 장치는 하나의 전자장치가 문제가 있으면 장치가 동작에 문제가 있으므로, 불량 검사가 중요한 공정 중 하나일 수 있다.In addition to production, defect inspection is very important for products. In particular, in devices in which electronic devices such as various sensors and semiconductors are mounted, if there is a problem with one electronic device, the device may malfunction, so defect inspection can be one of the important processes.

장치의 검사는 실장된 전자장치 그 자체, 전자장치의 배선의 연결관계, 전자장치의 접지의 연결관계, 전자장치의 동작 시 온도 등 일관성이 없는 다양한 작업이 필요하므로 작업자가 수동으로 이를 직접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다.Inspection of a device requires a variety of inconsistent tasks, such as the mounted electronic device itself,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wiring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e grounding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temperature during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so the operator must manually perform this. There is a situation.

그러나 작업자의 수동 검사는 작업자의 실력에 의존하여야 하므로, 작업자의 피로감, 집중도가 저하됨에 따라 검사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또한, 작업자는 장치의 불량 여부를 검사하고, 이 검사 결과를 수동으로 기록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작업자의 피로감을 증가시키는 행위일 수 있으며, 기록 결과가 정확하지 않을 경우가 빈번하였다.However, since the manual inspection of the worker must depend on the worker's skills, the inspection is often not performed properly due to the worker's fatigue and reduced concentration. Additionally, workers inspect the device for defects and manually record the results of this inspection, which can increase the worker's fatigue, and the recorded results are often inaccurate.

따라서 장치의 불량 검사 시에는 정상 판정을 받았으나, 출고 후 불량이 발생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였다.Therefore, although the device was judged normal when inspected for defects, defects occurred very frequently after shipment.

이에 따라 장치의 불량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 또는 방법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Accordingly, the demand for a system or method that can accurately determine device defects is increasing.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의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정확하게 장치의 불량을 판단할 수 있는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its purpose is to provide a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that can accurately determine device defects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operator's condition.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은 복수의 전자장치가 실장된 메인장치부, 상기 메인장치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장치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듈판넬부, 상기 전자장치의 외형을 표시하여 상기 전자장치의 이상을 체크할 수 있는 제1체크부 및 상기 전자장치에 일방향으로 체크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전자장치의 배선의 이상을 체크할 수 있는 제2체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A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main device unit o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re mounted, a module panel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device unit to supply power to the main device unit, and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device. It may include a first check unit capable of checking for abnormalities in the electronic device and a second check unit capable of checking for abnormalities in wiring of the electronic device by applying a check signal in one direc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제1체크부는 기준이 되는 전자장치를 일방향에서 촬상한 촬상정보를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rst check unit may display image information captured from one direction of a reference electronic device on the display in order.

상기 제2체크부는 복수의 배선 중 어느 하나의 배선에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체크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체크신호에 대응하여 확인신호가 생성되어 수신되며, 상기 확인신호에 대응하여 기준정보가 생성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cond check unit applies a check signal to one of the plurality of wires in a preset order, generates and receives a confirmation signal in response to the check signal, and determines whether reference information i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confirmation signal. It can be characterized by checking.

상기 제2체크부는 상기 복수의 전자장치 중 적어도 3개 이상의 배선이 연결된 전자장치의 배선 이상을 체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cond check unit may be capable of checking wiring abnormalities in electronic devices to which at least three or more wirings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re connected.

상기 제2체크부는 상기 접지와 연결된 배선의 이상을 체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econd check unit may be capable of checking abnormalities in wiring connected to the ground.

상기 모듈판넬부는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연결단자와, 상기 메인장치부의 일면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module panel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to which a plurality of cables can be connected, and a fixing part that can be connected to and fix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device unit.

상기 메인장치부에는 메인가이드블록이 배치되고, 상기 모듈판넬부에는 모듈가이드블록이 배치되어, 상기 모듈판넬부가 상기 메인장치부에 정렬되어 위치되면 상기 메인가이드블록의 일면과 상기 모듈가이드블록의 일면이 맞닿으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main guide block is disposed in the main device portion, and a module guide block is disposed in the module panel portion. When the module panel portion is aligned with the main device portion, one side of the main guide block and one side of the module guide block are aligned. It can be characterized as being arrang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설정된 순서에 따라서 장치의 이상 여부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과한 노동이 필요한 불량 체크 작업은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하여 장치의 불량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or can check whether a device is defective according to a set sequence, and defect check work that requires excessive labor of the worker can be automatically performed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device is defective.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의 메인가이드블록과 모듈가이드블록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의 메인가이드블록과 모듈가이드블록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의 제1모듈판넬부와 제2모듈판넬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의 제1체크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의 제2체크부가 동작되어 배선 상태를 체크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은 일 실시예 의한 본 발명인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의 제2체크부가 동작되어 접지 상태를 체크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의 확인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s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2 is a flowchart of the operation of the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3 shows the main guide block and module guide block of the present inventor's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4 shows the main guide block and module guide block of the present inventor's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5 shows the first module panel portion and the second module panel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or's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6 shows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check unit of the present inventor's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7 shows the second check unit of the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to check the wiring st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8 shows the second check unit of the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ng to check the grounding state.
Figure 9 shows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firm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or's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exemplified and explain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t this time, note that in the attached drawings, like components are indicated by the same symbols whenever possible. Additionally,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의 메인가이드블록과 모듈가이드블록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의 메인가이드블록과 모듈가이드블록을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의 제1모듈판넬부와 제2모듈판넬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의 제1체크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의 제2체크부가 동작되어 배선 상태를 체크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의 제2체크부가 동작되어 접지 상태를 체크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의 확인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or's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n operation flow chart of the present inventor's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ure 3 is the present inventor's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shows the main guide block and module guide block of the system, Figure 4 shows the main guide block and module guid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s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ure 5 shows the main guide block and module guide bloc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t shows the first module panel part and the second module panel part of the inventor's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Figure 6 shows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check part of the inventor's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ure 7 It shows that the second check unit of the present inventor's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operated to check the wiring status, and Figure 8 shows the second check unit of the present inventor's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perated. It shows checking the grounding status, and Figure 9 shows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nfirmation unit of the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은 메인장치부(100), 모듈판넬부(200), 제1체크부(300), 제2체크부(400), 저장부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device unit 100, a module panel unit 200, a first check unit 300, a second check unit 400, and a storage unit. Includes.

메인장치부(100)는 특정한 형상(예를 들면 육면체 형상)의 프레임 내부에 각종 전자장치들이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메인장치부(100)의 일측에는 도어가 설치되어 도어를 통하여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메인장치부(100)의 타측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메인장치부(100)의 타측은 후술할 모듈판넬부(200)가 설치될 수 있다. 메인장치부(100)의 둘레의 양면에는 복수의 메인가이드블록(110)이 배치될 수 있다. The main device unit 100 may have various electronic devices mounted inside a frame of a specific shape (for example, a hexahedron shape). A doo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device unit 100, so that the inside can be checked through the door. The other side of the main device unit 100 may be formed open.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device unit 100, a module panel unit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talled. A plurality of main guide blocks 11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main device unit 100.

메인가이드블록(110)은 메인장치부(100)의 타측에 복수개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즉, 메인가이드블록(110)은 4개로 구성되며 메인장치부(100)의 타측과 인접한 둘레의 양면에 각각 2개씩이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메인가이드블록(110)은 후술할 모듈가이드블록(210)과 함께 모듈판넬부(200)의 조립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다A plurality of main guide blocks 110 may be locat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device unit 100. That is, the main guide block 110 consists of four pieces, and two blocks each can b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ce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main device unit 100. The main guide block 110 can guide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module panel portion 200 together with the module guide block 21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모듈판넬부(200)는 메인장치부(100)의 타측에 조립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모듈판넬부(200)는 메인장치부(100)에 조립되어 메인장치부(100)를 동작시키거나 다른 작업을 수행 가능할 수 있다. The module panel portion 200 may be formed to be assembl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device portion 100. The module panel unit 200 may be assembled to the main device unit 100 to operate the main device unit 100 or perform other tasks.

모듈판넬부(200)는 복수개의 연결단자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모듈판넬부(200)의 연결단자에는 대응되어 각각의 케이블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판넬부(200)의 연결단자는 일측에서는 각종 전자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과 연결되고, 타측에서는 정렬되어 메인장치부(100)에 조립되는 경우 메인장치부(100)의 각종 전자장치들과 연결되도록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모듈판넬부(200)는 메인장치부(100)와 정확한 위치에서 연결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이는 모듈판넬부(200)의 모듈가이드블록(210)을 통하여 가능할 수 있다.The module panel portion 200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Each cable may be installed correspondingly to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module panel portion 200. Here, the connection terminals of the module panel unit 200 are connected to cables that supply power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on one side, and are aligned on the other side to connect various electronic devices of the main device unit 100 when assembled in the main device unit 100. can be connected to other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module panel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main device unit 100 at an accurate position, and this can be achieved through the module guide block 210 of the module panel unit 200.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가이드블록(110)과 모듈가이드블록(210)은 상호 대응되는 형태로 배치되어 모듈판넬부(200)의 위치를 정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모듈가이드부가 정렬되어 메인장치부(100)의 타측에 위치되면 모듈판넬부(200)의 모듈가이드블록(210)의 일면들이 메인가이드블록(110)의 일면과 맞닿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전체적으로 관찰 시 메인가이드블록(110)이 외측에 모듈가이드블록(210)이 내측에 위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그러므로 모듈판넬부(200)는 메인장치부(100)의 타측에 정렬되어 위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main guide block 110 and the module guide block 210 can be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o align the positions of the module panel portion 200. When the module guide part is aligned and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device part 100, one surface of the module guide block 210 of the module panel part 200 can be arranged in such a way that it contacts one surface of the main guide block 110. That is, when viewed as a whole, the main guide block 110 may be located on the outside and the module guide block 210 may be located on the inside. Therefore, the module panel unit 200 can be aligned and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device unit 100.

또한, 메인가이드블록(110)은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메인장치부(100)의 타측에 모듈판넬부(200)를 정렬하여 위치시킨 후 메인가이드블록(110)을 회전시켜 모듈가이드블록(210)과 맞닿는 형태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되어 메인가이드블록(110)은 모듈가이드블록(210)을 대칭되는 위치에서 가압하며 그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판넬부(200)는 메인장치부(100)의 타측에 정렬되어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guide block 110 is rotatably coupled about an axis. Therefore, after aligning and positioning the module panel part 200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device part 100, the main guide block 110 can be rotated and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module guide block 210. By operating in this way, the main guide block 110 can guide the position of the module guide block 210 by pressing it at a symmetrical position. Therefore, the module panel unit 200 can be aligned and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device unit 100.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메인장치부(100)는 결합고리부(1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모듈판넬부(200)는 결합바(2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장치부(100)의 메인가이드블록(110)은 결합홈(1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모듈판넬부(200)의 모듈가이드블록(210)은 결합돌기(220)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ure 4, the main device par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additionally include a coupling ring part 130, and the module panel part 200 may additionally include a coupling bar 230. It can be included as . Additionally, the main guide block 110 of the main device unit 100 may be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120, and the module guide block 210 of the module panel unit 200 may be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220. .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우, 결합바(230)와 결합고리부(130)의 결합으로 보다 정확하게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즉, 모듈판넬부(200)를 메인장치부(100)에 정렬되어 위치시킨 후 결합바(230)를 결합고리부(130)에 인입하는 방식으로, 즉, 이를 통하여 1차적으로 모듈판넬부(200)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이후, 메인가이드블록(110)을 회전시켜, 모듈가이드블록(210) 방향으로 이동시켜 모듈판넬부(200)를 메인장치부(100)에 연결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osition can be more accurately aligned by combining the coupling bar 230 and the coupling ring portion 130. That is, the module panel part 200 is aligned and positioned on the main device part 100 and then the coupling bar 23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ring part 130, that is, through this, the module panel part ( 200) can be aligned. Afterwards, the main guide block 110 can be rotated and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module guide block 210 to connect the module panel part 200 to the main device part 100.

여기서, 메인가이드블록(110)의 결합홈(120)으로 인하여 메인가이드블록(110)은 요철 구조로 관찰되며, 모듈판넬부(200) 역시 결합돌기(220)가 형성되어 요철 구조로 관찰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홈(120)으로 인하여 형성된 공간에 결합돌기(220)가 위치되므로, 모듈판넬부(200)는 메인장치부(100)에 보다 정확하게 정렬되어 위치될 수 있다.Here, the main guide block 110 is observed to have an uneven structure due to the coupling groove 120 of the main guide block 110, and the module panel portion 200 can also be observed to have an uneven structure due to the formation of coupling protrusions 220. there is. Therefore, since the coupling protrusion 220 is locat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coupling groove 120, the module panel part 200 can be aligned and positioned more accurately with the main device part 100.

또한, 모듈판넬부(200)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듈판넬부(200, 도 5의 (a))와 제2모듈판넬부(200, 도 5의 (b))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모듈판넬부(200)와 제2모듈판넬부(200)는 상이한 역할을 하며, 조립 가능한 모듈판넬부(200)를 다르게 명명한 것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module panel portion 200 is composed of a first module panel portion 200 ((a) of FIG. 5) and a second module panel portion 200 (b) of FIG. 5. You can. The first module panel portion 200 and the second module panel portion 200 play different roles, and the assemblyable module panel portion 200 is named differently.

일례로 제1모듈판넬부(200)는 전술한 연결단자가 형성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것일 수 있으며 제2모듈판넬부(200)는 유로관과 연결되어 메인장치부(100) 내로 물을 드롭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제2모듈판넬부(200)는 후술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For example, the first module panel unit 200 may be formed with the aforementioned connection terminal to supply power, and the second module panel unit 200 may be connected to a flow pipe to drop water into the main device unit 100. It may be possible. The second module panel portion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도 6을 참고하여 제1체크부(300)를 살펴보면, 제1체크부(300)는 설정된 순서에 따라 전자장치의 외형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여기서 제1체크부(300)가 표시하는 전자장치의 외형은 불량이 없는 정상적인 전자장치에 관한 정보인 촬상정보일 수 있다. 작업자는 제1체크부(300)가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전자장치와 메인장치부(100) 내에 배치된 전자장치를 확인한 후 입력부를 이용하여 전자장치가 불량인지 아닌지를 입력할 수 있다. 제1체크부(30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전자장치와 작업자가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한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입력부를 이용하여 정상정보를 생성하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전자장치를 정상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Looking at the first check unit 300 with reference to FIG. 6, the first check unit 300 displays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device on the display according to a set order. Here,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ed by the first check unit 300 may be imaging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about a normal electronic device without defects. After checking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ed on the display by the first check unit 300 and the electronic device placed in the main device unit 100, the operator can use the input unit to input whether the electronic device is defective. The first check unit 300 can match and store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the information input by the operator through the input unit. In other words, when the operator generates normal information using the input unit,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ed on the display can be matched with the normal information and stored.

만약 작업자가 입력부를 이용하여 비정상정보를 생성하면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전자장치는 비정상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그러면 본 발명은 장치의 불량을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제1체크부(300)는 작업자의 육안에 따른 이상 여부를 점검하는 것이므로, 이는 추후 확인부(500)를 통하여 다시 한 번 점검될 수 있다.If the operator generates abnormal information using the input unit,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ed on the display can be matched with the abnormal information and stored. Then,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the device is defective. However, since the first check unit 300 checks for abnormalities according to the operator's visual observation, this can be checked again through the confirmation unit 500 later.

또한, 제1체크부(300)는 전자장치의 체크할 부분을 강조할 수 있다. 특정한 전자장치의 경우 작업자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전자장치와 전자장치를 대비한다 하여도 이상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다. 또는 전자장치의 불량이 발생되는 부분이 반복되는데 해당 부분이 자세히 확인하지 않은 경우 확인되지 않는 부분일 수 있다. 제1체크부(300)는 해당 부분을 강조하여 표시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check unit 300 can highlight a part of the electronic device to be checked. In the case of certain electronic devices, even if the operator compares the electronic device displayed on the display with the electronic device,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an abnormality. Or, if a defect occurs repeatedly in an electronic device and the part is not checked in detail, it may be a part that cannot be confirmed. The first check unit 300 can display the relevant part with emphasis.

일례로 전자장치가 사출에 의하여 제조되는 경우, 사출물이 금형 내에 채워져 굳어져서 전자장치는 형성될 것이다. 이 전자장치는 사출물이 주입되는 반대 부분에 사출물이 채워지지 않아서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한다고 가정하겠다. 그러면 제1체크부(300)는 전자장치의 사출물이 주입되는 부분의 반대 부분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작업자는 제1체크부(300)가 디스플레이에 체크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체크하여 전자장치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n electronic device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the injection material is filled into a mold and solidifies to form the electronic device. We assume that defects in this electronic device frequently occur because the part opposite to where the injection molding material is injected is not filled with the injection molding material. Then, the first check unit 300 can display the part opposite to the part where the injection molded product of the electronic device is injected on the display. The operator can check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electronic device by focusing on the part checked by the first check unit 300 on the display.

도 7을 참고하여 제2체크부(400)를 살펴보면, 제2체크부(400)는 배선의 정확한 여부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장치의 불량 검사에서 문제가 되었던 것은 배선의 연결이다. 배선의 단락, 접합 등으로 불량이 발생된 경우 종래에는 작업자가 각각의 배선에 연결된 핀들에 직접 하나하나 접속해 가면서 배선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는 당연하게도 이상 점검이 정확하지 못하였다.Looking at the second check unit 400 with reference to FIG. 7, the second check unit 400 can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the wiring is correct. What was problematic when inspecting the device for defects was the wiring connection. In the past, when a defect occurred due to a short circuit or splicing of a wire, a worker would check for abnormalities in the wire by directly connecting the pins connected to each wire one by one. Naturally, the abnormality check was not accurate.

본 발명의 제2체크부(400)는 자동으로 배선의 불량 여부를 파악한다. 복수의 배선을 순차적으로 체크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배선에 문제가 없는 경우 해당 배선에 전류가 흐르게 될 수 있다. 여기서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확인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체크부(400)는 확인신호를 수신하고 확인신호가 기준정보에 대응되는지 확인을 한다.The second check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cally determines whether the wiring is defective. A check signal can be applied sequentially to multiple wires. Here, if there is no problem with the wiring, current may flow through the wiring. Here, when current flows through the diode, a confirmation signal can be generated. The second check unit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confirmation signal and checks whether the confirmation signal corresponds to the reference information.

일례로 배선이 R상인 경우 전류가 제대로 흐르면 제1기준정보로 신호가 입력되어야 한다. 제2체크부(400)는 R상을 N상과 연결하여 체크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그러면 전자장치의 R상에 대응되는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확인신호 생성). For example, if the wiring is in the R phase and the current flows properly, a signal must be input as the first reference information. The second check unit 400 can connect the R phase to the N phase to apply a check signal. Then, current flows through the diode corresponding to the R phase of the electronic device (generating a confirmation signal).

여기서 제2체크부(400)는 다이오드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확인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이 확인신호가 제1기준정보로 입력되는지 아닌지를 확인하여 배선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기준정보로 확인신호가 입력되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확인신호가 생성되지 않거나 생성된 확인신호에 대응되어 제1기준정보로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2체크부(400)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 check unit 400 can receive a confirmation signal when current flows through the diode. Afterwards,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or not this confirmation signal is input as first reference information to check whether there is a wiring problem. Her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a confirmation signal is input or not using the first standard information. Here, if a confirmation signal is not generated or a signal is not input as first refer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confirmation signal,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second check unit 400 is abnormal.

여기서 체크신호 인가는 N상을 인가하는 것일 수 있다.Here, applying the check signal may mean applying the N phase.

또한, 제2체크부(400)는 3상 이상의 배선이 연결된 전자장치(센서)를 체크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check unit 400 can be used to check an electronic device (sensor) connected to three or more phase wires.

도 8을 참고하여 제2체크부(400)를 확인하면, 또한, 제2체크부(400)는 동일한 방법으로 접지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각각의 전자장치들은 접지 연결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각각 전자장치의 개별접지 배선에 체크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면 접지가 제대로 연결된 경우 동일하게 체크신호에 대응하여 확인신호가 생성되고, 이 확인신호에 대응되는 기준정보로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접지 연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If the second check unit 400 is checked with reference to FIG. 8, the second check unit 400 can also check whether the ground connection is made in the same manner. Each electronic device may not have a proper ground connection. In this case as well, a check signal is applied to the individual ground wiring of each electronic device. Then, if the ground is properly connected, a confirmation signal i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check signal, and the ground connection can be confirmed by checking whether the signal is input as refere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rmation signal.

추가로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확인부(500)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확인부(500)는 제1체크부(300)에 비정상정보가 입력된 경우 동작될 수 있다. Additionally, referring to the confirmation uni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9, the confirmation uni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when abnormal information is input to the first check unit 300.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체크부(300)가 수행 중 입력부를 통하여 비정상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확인부(500)가 동작될 수 있다. 확인부(500)는 제1체크부(300)를 수행하고 있는 다른 작업자가 비정상정보가 입력된 전자장치를 확인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 후 이상 여부를 파악하는 것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bnormal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while the first check unit 300 is being performed, the check unit 500 may be operated. The confirmation unit 500 may be configured to allow another worker performing the first check unit 300 to check the electronic device into which abnormal information has been input and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abnormality.

즉, 본 발명의 검사 장치를 동작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개별적으로 부여된 아이디정보를 입력한 후 제1체크부(300), 제2체크부(400)를 동작할 수 있는데, 비정상정보가 입력되면 다른 아이디정보를 가지는 작업자가 아이디정보를 입력한 후 비정상정보가 입력된 전자장치를 확인한다. 여기서 다른 아이디정보를 가지는 작업자가 입력부를 이용하여 정상정보, 비정상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정상정보가 입력되면 제1체크부(300)는 다시 원래의 순서에 따라서 전자장치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고, 비정상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장치는 불량이라고 판단되어 이상 체크가 중단될 수 있다.That is, in order to operate the inspe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can input individually assigned ID information and then operate the first check unit 300 and the second check unit 400. If abnormal information is input, another A worker with ID information enters the ID information and then checks the electronic device where abnormal information was entered. Here, a worker with different ID information can input normal information and abnormal information using the input unit. Here, when normal information is input, the first check unit 300 checks again for abnormalities in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original order, and when abnormal information is input, the device is determined to be defective and the abnormality check may be stopped.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patent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changed in various ways,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메인장치부
110 : 메인가이드블록
120 : 결합홈
130 : 결합고리부
200 : 모듈판넬부
210 : 모듈가이드블록
220 : 결합돌기
230 : 결합바
300 : 제1체크부
400 : 제2체크부
500 : 확인부
100: main device part
110: Main guide block
120: Combination groove
130: coupling ring part
200: module panel part
210: module guide block
220: combination protrusion
230: combination bar
300: 1st check unit
400: 2nd check unit
500: Confirmation unit

Claims (7)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전자장치가 실장된 메인장치부;
상기 메인장치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장치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듈판넬부;
상기 전자장치의 외형을 표시하여 상기 전자장치의 이상을 체크할 수 있는 제1체크부; 및
상기 전자장치에 일방향으로 체크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전자장치의 배선의 이상을 체크할 수 있는 제2체크부를 포함하는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
In the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A main device unit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re mounted;
a module panel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device unit to supply power to the main device unit;
a first check unit capable of checking abnormalities in the electronic device by display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A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including a second check unit capable of checking for abnormalities in wiring of the electronic device by applying a check signal in one direc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크부는
기준이 되는 전자장치를 일방향에서 촬상한 촬상정보를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check unit
A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characterized by displaying image information captured from one direction of a reference electronic device on a display in or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크부는
복수의 배선 중 어느 하나의 배선에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체크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체크신호에 대응하여 확인신호가 생성되어 수신되며, 상기 확인신호에 대응하여 기준정보가 생성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econd check unit
A check signal is applied to one of a plurality of wires in a preset order, a confirmation signal is generated and received in response to the check signal, and it is checked whether reference information is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confirmation signal. A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크부는
상기 복수의 전자장치 중 적어도 3개 이상의 배선이 연결된 전자장치의 배선 이상을 체크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econd check unit
Capable of checking wiring abnormalities in electronic devices to which at least three or more wirings are connected amo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A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characterized by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크부는
상기 접지와 연결된 배선의 이상을 체크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second check unit
Able to check for abnormalities in the wiring connected to the ground
A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characterized by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판넬부는
복수의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연결단자와, 상기 메인장치부의 일면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odule panel part
It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to which a plurality of cables can be connected, and a fixing part that can be connected to and fix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device unit.
A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characterized by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장치부에는 메인가이드블록이 배치되고,
상기 모듈판넬부에는 모듈가이드블록이 배치되어,
상기 모듈판넬부가 상기 메인장치부에 정렬되어 위치되면 상기 메인가이드블록의 일면과 상기 모듈가이드블록의 일면이 맞닿으며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불량 검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6,
A main guide block is disposed in the main device part,
A module guide block is disposed in the module panel section,
When the module panel part is aligned with the main device part, one surface of the main guide block and one surface of the module guide block are plac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 device defect inspection system characterized by a.
KR1020220077563A 2022-06-24 2022-06-24 Defect inspection system for apparatus KR2024000085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563A KR20240000850A (en) 2022-06-24 2022-06-24 Defect inspection system for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563A KR20240000850A (en) 2022-06-24 2022-06-24 Defect inspection system for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850A true KR20240000850A (en) 2024-01-03

Family

ID=89538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563A KR20240000850A (en) 2022-06-24 2022-06-24 Defect inspection system for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85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66387A1 (en) Display substrate, lamp-lighting device and alignment detection method for lamp-lighting test probe
KR100818563B1 (en) Method of testing for display panel and the device thereof
KR101782289B1 (en) Multiple inspecting system for wire harness
KR20240000850A (en) Defect inspection system for apparatus
JP200621483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optical panel, and test probe
KR20170113869A (en) Test system and test controller
KR200448424Y1 (en) A wire harness test apparatus
US7847571B2 (en) Semiconductor test system with self-inspection of electrical channel for Pogo tower
WO2017168530A1 (en) Inspection method and inspection system for wiring path of substrate
KR101619721B1 (en) Device testing printed circuit board
KR2004007679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liquid crystal substrate
WO2010055574A1 (en) Cable inspection method, cable inspection d device, jig device inspec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0458112Y1 (en) Jig for test of miltimedia display
KR102029796B1 (en) Harness tester
JP2008026224A (en) Self-diagnostic method for function diagnostic device
KR101294334B1 (en) Apparatus for testing without display panel the control pcb for display unit, and the method therefor
KR10096045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060075173A (en) Test apparatus and test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305002B1 (en) PCB automatic connection device
KR20190044152A (en) Circuit Board Tester using IR sensor
US20210123951A1 (en) Short-circuit probe card, wafer test system, and fault detection method for the wafer test system
JP2002297052A (en) Inspecting method for display cell, display device and flexible board
JP4959155B2 (en) Appearance inspection guidance system
KR0179093B1 (en) Test adapter board checker
JP3361982B2 (en) Inspection apparatus and inspection method for substrate etc.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