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720U - Connector for acf cable - Google Patents

Connector for acf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720U
KR20240000720U KR2020220002491U KR20220002491U KR20240000720U KR 20240000720 U KR20240000720 U KR 20240000720U KR 2020220002491 U KR2020220002491 U KR 2020220002491U KR 20220002491 U KR20220002491 U KR 20220002491U KR 20240000720 U KR20240000720 U KR 202400007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f
cable
acf cable
connector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49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부곤
Original Assignee
가온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온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온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200024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720U/en
Publication of KR202400007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720U/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91Fixing tubing to casing by auxiliary means co-operating with indentations of the tubing, e.g. with tubing-convolu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ACF 케이블이 삽입되는 중공의 몸체; 상기 몸체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 가공부가 형성되는 중공의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몸체를 구획하는 플랜지; 및 상기 몸체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로 삽입된 상기 ACF 케이블과 연결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body into which the ACF cable is inserted; A hollow coupling member connected to the body to enable communication and having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flange dividing the coupling member and the body; and a fixture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ACF cable inserted into the body.

Description

ACF 케이블용 커넥터{CONNECTOR FOR ACF CABLE}Connector for ACF cable {CONNECTOR FOR ACF CABLE}

본 고안은 ACF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배전반이나 분전반, 전선 박스 등을 구성하는 케이싱에 알루미늄 인터록 금속 테이프 외장 전력 케이블(이하, 'ACF 케이블' 이라함)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an ACF cable, and more specifically, a connector used to connect an aluminum interlock metal tape armored power cab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CF cable') to a casing that constitutes a switchboard, distribution board, wire box, etc. It's about.

알루미늄 인터록 금속 테이프 외장 전력 케이블은, 편의상 'ACF(Aluminium Clad Flex Cable)케이블'이라고도 불리우며, 필요한 가닥수의 일반 케이블을 연합한 선심에 폴리에스터 테이프 등을 감은 절연전선 또는 완성품 케이블을 내부 선재로 고강도의 금속 주름관 외장재를 적용한 전선관 일체형 케이블을 말한다.Aluminum interlock metal tape sheathed power cable is also called 'ACF (Aluminium Clad Flex Cable) cable' for convenience. It is a high-strength inner wire made of insulated wire or finished cable wrapped with polyester tape, etc. on a core made by combining the required number of ordinary cables. It refers to an integrated cable with a conduit using a metal corrugated pipe exterior material.

이러한 ACF 케이블은, 배선 현장에 유연하게 설치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These ACF cable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installed flexibly at wiring sites.

즉, 기존의 전선관을 이용한 건물 내 배선 작업 방식은 전선관을 건물 바닥이나 벽체, 천장 등과 같은 구조물에 우선 설치한 후 전선관 내에 케이블을 인입 및 수용하는 작업을 별도로 실행하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ACF 케이블은 기존의 전선관보다는 배관/배선 작업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ACF 케이블은, 배관과 배선이 일체형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기존의 전선관 공법 대비 시공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In other words, the existing method of wiring work within a building using electrical conduits had the inconvenience of first installing the conduit on a structure such as the floor, wall, or ceiling of the building, and then separately inserting and accommodating the cable within the conduit. ACF cables are It has the advantage of making piping/wiring easier than existing conduit pipes. In addition, the ACF cable has the advantage of having excellent constructability compared to the existing conduit method because it has a structure in which piping and wiring are integrated.

한편, ACF 케이블을 배전반이나 분전반, 또는, 전선 박스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커넥터가 요구된다. 즉, 배전반이나 분전반, 또는, 전선 박스를 구성하는 케이싱의 내부로 ACF 케이블을 인입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커넥터가 요구된다.Meanwhile, a separate connector is required to connect the ACF cable to a switchboard, distribution board, or wire box. In other words, a separate connector is required to insert the ACF cable into the casing that constitutes the distribution board, distribution board, or wire box.

하지만, 종래의 커넥터는 기존의 전선관을 대상으로 하여 구성되었기 때문에, 외면이 주름관 형태를 가지는 ACF 케이블과는 결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conventional connectors are constructed for existing electrical conduit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are difficult to combine with ACF cables whose outer surfaces have a corrugated tube shape.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을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3841호의 '전선관용 조인트'가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proposed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related prior art literature includes 'Joint for Electrical Conduit' of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59384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ACF 케이블의 단부와 결착력을 높이고, 작업자가 원터치 방식으로 ACF 케이블을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ACF 케이블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connector for the ACF cable that increases the binding force with the end of the ACF cable and allows the worker to install the ACF cable in a one-touch method.

본 고안은, ACF 케이블이 삽입되는 중공의 몸체; 상기 몸체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 가공부가 형성되는 중공의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몸체를 구획하는 플랜지; 및 상기 몸체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로 삽입된 상기 ACF 케이블과 연결되는 고정구;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body into which the ACF cable is inserted; A hollow coupling member connected to the body to enable communication and having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flange dividing the coupling member and the body; and a fixture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ACF cable inserted into the body.

또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몸체 또는 상기 결합부재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flange may have a cross-sectional area that is larger than that of the body or the coupling member.

또한, 상기 고정구는, 상기 몸체의 내주면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몸체에 형성된 걸림구멍에 걸림되는 제1걸림편; 및 상기 제1걸림편의 절곡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몸체로 삽입된 상기 ACF 케이블의 골에 걸림되는 제2걸림편;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ture includes a first locking piece bent towar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and caught in a locking hole formed in the body; and a second locking piece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locking piece and hooked on a groove of the ACF cable inserted into the body.

또한, 상기 고정구의 폭방향 단부는 서로 이격되며,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width direction ends of the fixture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may have an overall circular cross-sec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F 케이블용 커넥터는, 작업자가 가요성을 가지는 인터록 외장 케이블을 배전반이나 분전반, 기타 연결용 박스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The ACF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workers to easily connect a flexible interlock external cable to a distribution board, distribution board, or other connection box.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F 케이블용 커넥터는, 작업자가 원터치 방식으로 ACF 케이블과 몸체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or for the ACF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worker to easily combine the ACF cable and the body with a one-touch method.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F 케이블용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F 케이블용 커넥터에 ACF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구의 정면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for an ACF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ACF cable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for the ACF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fixture shown in Figure 3;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are within the scope of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F 케이블용 커넥터가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Hereinafter, a connector for an ACF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I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to make the gist of the invention unambiguous.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F 케이블용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F 케이블용 커넥터에 ACF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고정구의 정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for an ACF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CF cable is connected to a connector for an ACF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CF cable is connected to a connector for an ACF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front view of the fixture shown in Figure 3.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F 케이블용 커넥터(100)는, ACF 케이블(10)이 삽입되는 중공의 몸체(110); 상기 몸체(110)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 가공부가 형성되는 중공의 결합부재(130); 상기 결합부재(130)와 상기 몸체(110)를 구획하는 플랜지(150); 및 상기 몸체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110)로 삽입된 상기 ACF 케이블(10)과 연결되는 고정구(17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connector 100 for an ACF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body 110 into which the ACF cable 10 is inserted; A hollow coupling member 130 connected to the body 110 so as to be in communication and having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flange 150 dividing the coupling member 130 and the body 110; and a fixture 170 provided in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ACF cable 10 inserted into the body 110.

먼저, 몸체(110)와 결합부재(130) 및 플랜지(150)는 일체로 연결된다.First, the body 110, the coupling member 130, and the flange 150 are integrally connected.

또한, 몸체(110)와 결합부재(130)에는, ACF 케이블(10)이 삽입되어 통과될 수 있는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즉, 몸체(110)와 결합부재(130)는 중공의 형태를 가진다.In addition,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ACF cable 10 can be inserted is formed in the body 110 and the coupling member 130. That is, the body 110 and the coupling member 130 have a hollow shape.

몸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반이나 분전반을 구성하는 케이싱(C)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반대로, 결합부재(130)는 케이싱(C)에 형성된 결합공을 통과하여 케이싱(C)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싱(C)의 내부에 배치된 결합부재(130)에는 너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결합된다.As shown in FIG. 2, the body 11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casing (C) constituting the switchboard or distribution board. Conversely, the coupling member 130 may pass through a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asing (C) and be disposed inside the casing (C). And,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nut is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130 disposed inside the casing C.

상기 플랜지(150)는 몸체(110) 또는 결합부재(130)의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플랜지(150)는 케이싱(C)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될 수 없는 크기 및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flange 150 may have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body 110 or the coupling member 130. In other words, the flange 150 may have a size and shape that cannot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formed in the casing (C).

따라서, 플랜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C)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lange 150 may b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casing (C), as shown in FIG. 2.

상기 고정구(170)는, 몸체(110)의 내부로 삽입된 ACF 케이블(10)을 고정된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The fixture 170 serves to maintain the ACF cable 10 inserted into the body 110 in a fixed state.

고정구(17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고정구(170)의 폭방향 단부는 서로 이격된다.The fixture 170 may have an overall cylindrical shape, as shown in FIGS. 3 and 4 . That is, it may have an overall circular cross section. At this time, the width direction ends of the fixture 17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고정구(170)의 폭방향 단부가 서로 이격되는 이유는, 몸체(10)의 내부로 ACF 케이블(10)이 삽입될 때 ACF 케이블(10)의 직경 방향으로 용이하게 확장되기 위함이다. 즉, 고정구(170)는, ACF 케이블(10)이 몸체(1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면, 폭방향 일측 및 타측 단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확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reason that the widthwise ends of the fixture 17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to easily expand the ACF cable 10 in the radial direction when the ACF cable 10 is inserted into the body 10. That is, when the ACF cable 10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110, the fixture 170 can maintain an expanded state with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spaced apart in a direction away from each other.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구(170)는, 몸체(11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The fixture 170 configured as above is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body 110.

이때, 고정구(170)는 제1걸림편(171)을 매개로 하여 몸체(110)의 내면과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xture 170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10 via the first locking piece 171.

상기 제1걸림편(17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170)의 외면에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1걸림편(171)이 서로 간격을 두고서 고정구(170)의 둘레면 외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두 개 이상의 제1걸림편(171)을 고정구(170)에 형성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first locking piece 171 may be formed in plural number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ture 170. For referen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first locking pieces 171 are shown in the drawing as being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fixture 170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wo or more first locking pieces 171 may be formed on the fixture 170.

상기 제1걸림편(171)은 고정구(170)가 형성하는 면적 중에서 일부 영역을 절개한 뒤 형성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The first locking piece 171 can be said to be a component formed after cutting a portion of the area formed by the fixture 170.

상기 제1걸림편(171)은, 몸체(110)의 내주면을 향하여 절곡된 형태를 가진다. 즉, 제1걸림편(171)의 길이방향 일단은 몸체(110)와 일체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고, 제1걸림편(171)의 길이방향 타단은 몸체(110)의 내주면을 향하여 연장된 자유단이라 할 수 있다.The first locking piece 171 has a shape bent towar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110. That is, one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locking piece 171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dy 110, and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locking piece 171 is a free end extending towar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110. It can be said that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걸림편(171)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에 형성된 걸림구멍(111)에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다.The first locking piece 171 configured as above can be inserted into and caught in the locking hole 111 formed in the body 110, as shown in FIGS. 1 and 2.

즉, 제1걸림편(171)의 길이방향 타단이 걸림구멍(111)에 삽입되어 걸리어진 상태가 되면, 고정구(170)는 몸체(110)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이룰 수 있다.That is, when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first locking piece 171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hole 111 and is locked, the fixture 170 is in a fixed state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inner space of the body 110 to the outside. It can be achieved.

한편, 상기 고정구(170)는 제2걸림편(172)을 매개로 하여 몸체(1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ACF 케이블(10)과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xture 170 may be connected to the ACF cable 10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110 via the second locking piece 172.

상기 제2걸림편(17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구(170)의 내면에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2걸림편(172)이 서로 간격을 두고서 고정구(170)의 둘레면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두 개 이상의 제2걸림편(172)을 고정구(170)에 형성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second locking piece 172 may be formed in plural number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ture 170. For referenc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second locking pieces 172 are shown in the drawing as being formed insid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xture 170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wo or more second locking pieces 172 may be formed on the fixture 170.

상기 제2걸림편(172)도 고정구(170)가 형성하는 면적 중에서 일부 영역을 절개한 뒤 형성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The second locking piece 172 can also be said to be a component formed after cutting a portion of the area formed by the fixture 170.

상기 제2걸림편(172)은, 제1걸림편(171)의 절곡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며, 상기 몸체(1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상기 ACF 케이블(10)의 골(11)에 삽입되어 걸림될 수 있다. 즉, 제2걸림편(172)의 길이방향 일단은 몸체(110)와 일체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고, 제2걸림편(172)의 길이방향 타단은 몸체(1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ACF 케이블(10)의 외면을 향하여 연장된 자유단이라 할 수 있다.The second locking piece 172 is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locking piece 171, and is connected to the groove 11 of the ACF cable 10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110. It may be inserted into and become stuck. That is, one longitudinal end of the second locking piece 172 is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body 110, and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second locking piece 172 is an ACF cable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110. It can be said to be a free end extending toward the outer surface of (10).

이때, 제2걸림편(172)의 길이방향 타단은, ACF 케이블(10)이 몸체(1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될 때, 상기 ACF 케이블(10)의 삽입 이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ACF 케이블(10)의 삽입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other longitudinal end of the second locking piece 172 is the ACF cable (1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insertion movement of the ACF cable 10 when the ACF cable 10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110. It is preferable that it extends toward the insertion direction of 10).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걸림편(172)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외면이 주름 형태를 가지는 ACF 케이블(10)의 골(11)에 삽입되어 걸리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locking piece 172 configured as above can be inserted into and caught in the groove 11 of the ACF cable 10, which has a corrugated outer surface.

그러면, 몸체(11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ACF 케이블(10)은 상기 고정구(170)와 결합된 채 상기 몸체(110)의 내부 공간에 고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n, the ACF cable 10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110 can be fixedly plac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body 110 while being coupled to the fixture 17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ACF 케이블용 커넥터(100)는, 작업자가 가요성을 가지는 인터록 외장 케이블을 배전반이나 분전반, 기타 연결용 박스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작업자가 원터치 방식으로 ACF 케이블(10)과 몸체(110)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The ACF cable connecto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worker to easily connect a flexible interlock external cable to a distribution board, distribution board, or other connection box, and further allows the worker to Allows the ACF cable 10 and body 110 to be easily combined using a one-touch method.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so fa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described later as well as equivalents to the claims of this patent.

100 : 커넥터
110 : 몸체
111 : 걸림구멍
130 : 결합부재
150 : 플랜지
170 : 고정구
171 : 제1걸림편
172 : 제2걸림편
100: connector
110: body
111: Hook hole
130: Coupling member
150: Flange
170: fixture
171: Part 1
172: Part 2

Claims (4)

ACF 케이블이 삽입되는 중공의 몸체;
상기 몸체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외주면에 나사 가공부가 형성되는 중공의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와 상기 몸체를 구획하는 플랜지; 및
상기 몸체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로 삽입된 상기 ACF 케이블과 연결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F 케이블용 커넥터.
A hollow body into which the ACF cable is inserted;
A hollow coupling member connected to the body to enable communication and having a threaded por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flange dividing the coupling member and the body; and
A connector for an ACF cable, comprising: a fixture provided in an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body and connected to the ACF cable inserted into the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몸체 또는 상기 결합부재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F 케이블용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flange is a connector for an ACF c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is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body or the coupl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상기 몸체의 내주면을 향해 절곡되어 상기 몸체에 형성된 걸림구멍에 걸림되는 제1걸림편; 및
상기 제1걸림편의 절곡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몸체로 삽입된 상기 ACF 케이블의 골에 걸림되는 제2걸림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F 케이블용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fixture is,
a first locking piece bent towar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and caught in a locking hole formed in the body; and
A connector for an ACF cable, comprising: a second locking piece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locking piece and hooked to a groove of the ACF cable inserted into the bod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폭방향 단부는 서로 이격되며,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CF 케이블용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3,
A connector for an ACF cabl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wise ends of the fixtur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e an overall circular cross-section.
KR2020220002491U 2022-10-26 2022-10-26 Connector for acf cable KR2024000072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491U KR20240000720U (en) 2022-10-26 2022-10-26 Connector for acf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491U KR20240000720U (en) 2022-10-26 2022-10-26 Connector for acf c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720U true KR20240000720U (en) 2024-05-03

Family

ID=91071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491U KR20240000720U (en) 2022-10-26 2022-10-26 Connector for acf c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720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41627B (en) Optical fiber cable with optical connector, method of passing the optical fiber cable, and pulling part and optical connector used for the method
US20080128164A1 (en) Conduit connector assembly
EP2833044B1 (en) Hydraulic hose guide
PL127500B1 (en) Plug in connection for connacting bundles of conduits
KR20240000720U (en) Connector for acf cable
WO1999028650A1 (en) Auxiliary tool for cable hauling
KR20100133887A (en) Fxjoimt
JP2012060755A (en) Connection structure of multicore metal cable, connection method of multicore metal cable, multicore metal cable for railway signal, and cable branch adapter for railway signal
KR101736498B1 (en) Connecting Device of Submarine Cable
WO2020184788A1 (en) Connector integrated conduit
JP4986671B2 (en) Cable protection tube
KR20110113255A (en) Fx joimt
JP5185166B2 (en) Pipe fitting
JP7280688B2 (en) Flexible split tube for underground cable
JP2007228772A (en) Tool and method for laying electrical cable
JP6211646B2 (en) Conduit connection
KR102557647B1 (en) Multi-coupler kits for embedded cable pipe
JP7311960B2 (en) Piping structure for underground cables
KR102437713B1 (en) Piping wir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conduit integrated cable
KR101606992B1 (en) Cable duct assembly
KR200480222Y1 (en) Interference Checking Member
KR20110032699A (en) Cable protecting duct using sub-protecting ducts having the same structure
KR102163982B1 (en) Clamp for flexible tube wrapping cable
JP4213802B2 (en) Pipe material laying jig and laying method
JP3059635B2 (en) Corrugated pi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