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992B1 - Cable duct assembly - Google Patents

Cable duct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992B1
KR101606992B1 KR1020140074209A KR20140074209A KR101606992B1 KR 101606992 B1 KR101606992 B1 KR 101606992B1 KR 1020140074209 A KR1020140074209 A KR 1020140074209A KR 20140074209 A KR20140074209 A KR 20140074209A KR 101606992 B1 KR101606992 B1 KR 101606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uxiliary
fastening
guide rail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2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45012A (en
Inventor
최안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Priority to KR1020140074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992B1/en
Publication of KR20150145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0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9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05Set screws; Lock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4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케이블을 지지하는 덕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덕트 어셈블리는 내측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레일과 결합홀이 형성된 메인덕트와, 상기 메인덕트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케이블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보조덕트와, 일측부는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과 대향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레일을 수용하는 안내레일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덕트와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보조덕트를 향해 결합되는 분기덕트, 그리고 일단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체결홀 외측으로 돌출된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의 타단과 나선(螺旋) 결합되어 상기 체결볼트의 타단을 상기 분기덕트에 체결시키는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assembly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cables, the duct assembly including a main duct formed with a guide groove and a guide hol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coupling hole formed therein, And a coupling hole for support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is formed at a side of the auxiliary duct and a coupling hole is formed to face the coupling groove, A branch duct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and the other end projecting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hole, and a plurality of coupling bolts inserted in the coupling bolt, the coupling duct having a rail receiving portion formed therein and coupled to the main duct, And a nut for screwing the other end of the tightening bolt into the branch duct. And a member.

Figure R1020140074209
Figure R1020140074209

Description

덕트 어셈블리{CABLE DUCT ASSEMBLY}Duct assembly {CABLE DUCT ASSEMBLY}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덕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덕트와 분기덕트를 포함하며 연결이 용이한 케이블을 지지하는 덕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ct assembly including a main duct and a branch duct and supporting a cable which is easy to connect.

일반적으로 덕트는 작업영역에 배치되는 서버 또는 전력공급이 필요한 장치의 설치 위치에 따라 이와 같은 서버 또는 장치에 효과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천정에 설치된다. 또한, 케이블을 지지하는 덕트는 이러한 서버 또는 장치에 효과적으로 전력공급을 위해 메인덕트와 보조덕트와 같은 다양한 덕트의 결합으로 케이블을 지지한다.In general, ducts are installed on ceilings to effectively power such servers or device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servers disposed in the work area or where the devices need to be powered. In addition, the duct supporting the cable supports the cable by the combination of various ducts, such as the main duct and the auxiliary duct, for effective power supply to such server or device.

하지만, 작업자는 메인덕트와 보조덕트와 같은 덕트의 결합을 위해 작업영역에서 메인덕트 또는 보조덕트 등에 천공작업을 하여 이들을 연결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re has been a problem in that the operator has to drill holes in the main duct or auxiliary duct in the work area to connect the ducts such as the main duct and the auxiliary duct.

또한, 이러한 메인덕트와 보조덕트 등의 천공 후 이들을 체결시 케이블을 지지하는 덕트의 일면에 체결부재가 돌출되어 케이블의 이동시 피복이 박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astening member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duct which supports the cable when the main duct and the auxiliary duct are pierced after they are punched, thereby peeling off the covering when the cable is moved.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4117호(2007.10.25)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7-0104117 (October 25, 200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87098호(2009.03.04)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887098 (Mar. 4, 2009)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52458(2000.05.30)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0-152458 (May 30, 2000)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메인덕트와 보조덕트의 연결이 용이한 체결부재를 구비한 덕트 어셈블리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ct assembly having a fastening member that facilitates connection between a main duct and an auxiliary du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케이블을 지지하는 덕트 어셈블리는 내측에 걸림홈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레일과 결합홀이 형성된 메인덕트와, 상기 메인덕트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케이블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보조덕트와, 일측부는 상기 결합홀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과 대향하는 체결홀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레일을 수용하는 안내레일 수용부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덕트와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보조덕트를 향해 결합되는 분기덕트, 그리고 일단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체결홀 외측으로 돌출된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의 타단과 나선(螺旋) 결합되어 상기 체결볼트의 타단을 상기 분기덕트에 체결시키는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uct assembly supporting a plurality of cables includes a main duct formed with a guide rail and a coupling hole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latching groove formed therein, and a main duct connected to the main duct in a direction crossing the main duct And an auxiliary duct for supporting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cables, and a coupling hole for support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the coupling hole being opposed to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and a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guide rail is formed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auxiliary duct; a coupling bolt whose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the other end is projected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hole; and the other end of the coupling bolt and the spiral And a nut for coupling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bolt to the branch duct.

또한, 상기한 덕트 어셈블리는 상기 분기덕트의 타측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부와, 상기 보조덕트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부, 그리고 상기 제1 삽입부와 상기 제2 삽입부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기덕트와 상기 보조덕트를 연결하는 연결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duct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branch duct is inserted, a second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one end of the auxiliary duct is inserted, and a second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first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are divided And a connecting duct connecting the branch duct and the auxiliary duct.

또한, 상기 분기덕트는 상기 분기덕트의 타측부의 일영역이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연결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덕트는 상기 분기덕트의 연결홀과 대향하는 상기 제1 삽입부에 형성된 제1 연결 체결홈을 더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제1 연결 체결홈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홀에 삽입되는 제1 보조 체결볼트와 상기 제1 보조 체결볼트의 타단과 나선(螺旋) 결합되어 상기 제1 보조 체결볼트의 타단을 상기 연결덕트에 체결시키는 제1 보조 너트를 포함하는 제1 보조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branch duct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formed by protruding one area of the other side of the branch duct and a connection hole formed in the protrusion, wherein the connection duct includes a first insertion portion A first auxiliary fastening bolt whose one end protrudes outside the first fastening groove and whos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and a second fastening bolt whose one end is protruded outside the first fastening groove and the other end, And a first auxiliary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coupling duct and coupl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auxiliary coupling bolt to the coupling duct.

또한, 상기 보조덕트는 내측에 보조 걸림홈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조 안내레일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덕트는 상기 보조 걸림홈과 대향하는 상기 제2 삽입부에 형성된 제2 연결 체결홈을 더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보조 걸림홈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연결 체결홈 외측으로 돌출된 제2 보조 체결볼트와, 상기 제2 보조 체결볼트의 타단과 나선(螺旋) 결합되어 상기 제2 보조 체결볼트의 타단을 상기 연결덕트에 체결시키는 제2 보조 너트를 포함하는 제2 보조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auxiliary duct may further include auxiliary guide rail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uxiliary supporting grooves formed on the inside thereof, wherein the connection duct includes a second connecting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facing the auxiliary supporting groove, A second auxiliary fastening bolt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auxiliary fastening groove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outside the second fastening bolt; and a second fastening bolt coupled with the other end of the second fastening bolt, And a second auxiliary nut for fastening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uxiliary fastening bolt to the connecting duct.

또한, 상기 안내레일은 상기 메인덕트의 일면에 형성되며 내측에 제1 걸림홈이 형성된 제1 안내레일, 그리고 상기 메인덕트의 일면과 이웃한 일면에 형성되며 내측에 제2 걸림홈이 형성된 제2 안내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rail may include a first guide rail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duct and having a first locking groove formed on an inner side thereof and a second guide rail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duct adjacent to the first side, And may further include guide rails.

또한, 상기 분기덕트의 일측부는 상기 제1 걸림홈과 대향하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안내레일을 수용하는 제1 안내레일 수용부, 그리고 상기 제2 걸림홈과 대향하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안내레일을 수용하는 제2 안내레일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ranch duct may have a first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formed with a first fastening hole facing the first fastening groove and receiving the first guide rail, and a second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having a second fastening hole facing the second fastening groove, And a second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formed with a hole and receiving the second guide rail.

또한, 상기한 덕트 어셈블리의 상기 체결볼트와 상기 제1 보조 체결볼트 그리고 상기 제2 보조 체결볼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일단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축과 상기 장축보다 짧게 형성된 단축을 포함할 수 있다.One end of at least one of the fastening bolts,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bolts of the duct assembly may include a long axis formed in one direction and a short axis formed shorter than the long axi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덕트 어셈블리는 메인덕트에 형성된 걸림홈과 분기덕트에 형성된 체결홀을 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이를 체결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체결부재를 구비하여 메인덕트와 보조덕트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ct assembly includes a fastening bolt passing through a fastening hole formed in a main duct and a fastening hole formed in a main duct, and a fastening member including a nut for fastening the fastening bolt to easily connect the main duct and the auxiliary duct You can conn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체결부재와 제1 보조 체결부재 그리고 제2 보조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uc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astening member, the first subsidiary fastening member and the second subsidiary fastening member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Fig. 7 is a plan view of Fig. 6.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illustrate that they are not drawn to scale. The relative dimensions and ratios of the parts in the figures ar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figures, and any dimensions are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o the same structural elements or parts appearing in more than one draw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similar feature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illustrate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variations of the illustration are expected. Thus,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any particular form of the depicted area, but includes modifications of the form, for example, by manufacture.

이하, 도1 내지 도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10)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duct assembl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FIG.

도1 내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덕트 어셈블리(10)는 복수의 케이블(50)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덕트 어셈블리(10)는 걸림홈(140)이 형성된 안내레일(150)과 일측에 형성된 결합홀(110)을 포함하는 메인덕트(100)와, 메인덕트(10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는 보조덕트(200)와, 메인덕트(100)와 보조덕트(200) 사이에 설치되는 분기덕트(300), 그리고 분기덕트(300)와 메인덕트(100)를 체결하는 체결부재(4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duct assembly 10 supports a plurality of cables 50. Specifically, the duct assembly 10 includes a main duct 100 including a guide rail 150 formed with a latching groove 140 and a coupling hole 110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main duct 100 exten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main duct 100 A branching duct 300 provided between the main duct 100 and the auxiliary duct 200 and a coupling member 400 for coupling the branching duct 300 and the main duct 100, .

메인덕트(100)는 천장에 설치되어 복수의 케이블(50)을 지지할수 있으며, 단면이 약"ㄷ"자형으로 천장을 향한 일영역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메인덕트(100)는 메인덕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레일(150)을 포함한다. The main duct 100 can be installed on a ceiling and can support a plurality of cables 50. The main duct 100 can be formed by opening a region of a "C" The main duct 100 includes guide rails 15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duct 100.

일예로, 안내레일(150)은 메인덕트(100)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일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guide rail 15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duct 100 and protrud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one side.

그리고, 안내레일(150) 내측에는 걸림홈(14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홈(140)은 안내레일(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걸림홈(140)은 장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cking groove 140 may be formed in the inside of the guide rail 150. Specifically, the latching grooves 140 may be formed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guide rail 150. For example, the latching groove 140 may be formed in a long hole shape.

또한, 걸림홈(140)은 분기덕트(300)와 인접한 방향의 걸림홈(140)의 입구 폭이 걸림홈(140)의 내부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홈(140)은 분기덕트(300)와 인접한 방향으로 갈수로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걸림홈(140)이 형성된 안내레일(150)의 단면은 약"Ω"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tching groove 14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opening of the latching groove 140 in the direction adjacent to the branching duct 300 is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latching groove 140. That is, the latching groove 140 may be narrowed in the direction adjacent to the branch duct 300. For example, the cross section of the guide rail 150 formed with the engaging groove 140 may be formed to be approximately "? &Quot;.

즉, 메인덕트(100)는 내측에 걸림홈(140)이 형성되며 메인덕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레일(150)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main duct 100 is formed with a latching groove 140 formed therein, and a guide rail 15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duct 100 may protrude from the main duct 100.

또한, 메인덕트(100)에는 메인덕트(100)가 보조덕트(20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결합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덕트(200)는 메인덕트(100)가 지지하는 복수의 케이블(50)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지지할 수 있다.A coupling hole 110 may be formed in the main duct 100 so that the main duct 100 can be connected to the auxiliary duct 200 in a direction crossing the auxiliary duct 200. The auxiliary duct 200 can support some or all of the plurality of cables 50 supported by the main duct 100.

분기덕트(300)는 메인덕트(100)가 지지하는 복수의 케이블(50)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보조덕트(200)가 지지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걸림턱(310)과 체결홀(340)이 형성된 안내레일 수용부(3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분기덕트(300)의 일측부는 메인덕트(100)와 결합되어 메인덕트(100)를 지지하고, 분기덕트(300)의 타측부는 보조덕트(200)를 향해 결합될 수 있다.The branch duct 300 guides part or all of the plurality of cables 50 supported by the main duct 100 to support the auxiliary duct 200 and the coupling jaw 310 and the coupling hole 340 And a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350 formed thereon. One end of the branch duct 300 may be coupled with the main duct 100 to support the main duct 100 and the other side of the branch duct 300 may be coupled to the auxiliary duct 200.

걸림턱(310)은 분기덕트(300)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메인덕트(100)에 형성된 결합홀(110)의 내주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턱(310)은 결합홀(110)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The stopping jaw 310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branch duct 300 to suppor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110 formed in the main duct 100. Specifically, the locking protrusion 310 may be form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oupling hole 110.

안내레일 수용부(350)는 메인덕트(100)에 형성된 안내레일(150)을 수용할 수 있다. 즉, 분기덕트(300)의 일측부에는 메인덕트(100)에 형성된 안내레일(15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안내레일 수용부(35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내레일 수용부(350)에는 분기덕트(300)와 메인덕트(100)가 결합시 메인덕트(100)의 안내레일(150) 내측에 형성된 걸림홈(140)과 대향하는 체결홀(340)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체결홀(340)은 안내레일(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350 can receive the guide rail 150 formed in the main duct 100. That is, the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350 may be formed at one side of the branch duct 300 to receive the guide rail 150 formed in the main duct 100. When the branch duct 300 and the main duct 1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35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340 (see FIG. 3) opposite to the fastening groove 140 formed inside the guide rail 150 of the main duct 100 May be formed. For example, the fastening holes 340 may be formed in plur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150.

체결부재(4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덕트(100)와 분기덕트(3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재(400)는 체결볼트(410)와 너트(42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4, the fastening member 400 can couple the main duct 100 and the branch duct 300 together. Specifically, the fastening member 400 may include a fastening bolt 410 and a nut 420.

체결볼트(410)의 일단은 메인덕트(100)의 안내레일(150) 내측에 형성된 걸림홈(140)에 삽입되고, 체결볼트(410)의 타단은 분기덕트(300)의 안내레일 수용부(350)에 형성된 체결홀(340)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astening bolt 410 is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140 formed inside the guide rail 150 of the main duct 100 and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bolt 410 is inserted into the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of the branching duct 300 35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너트(420)는 체결볼트(410)의 타단과 나선(螺旋) 결합되어 상기 분기덕트(300)와 메인덕트(100)를 체결시킬 수 있다. The nut 420 may be spirally engaged with the other end of the fastening bolt 410 to fasten the branch duct 300 and the main duct 100.

따라서, 작업장에서 별도의 천공(穿孔) 작업 없이 메인덕트(100)의 안내레일(150)에 형성된 걸림홈(140)과 분기덕트(300)의 체결홀(340)을 체결부재(400)로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ecure the fastening hole 400 of the branch duct 300 and the fastening groove 140 formed in the guide rail 150 of the main duct 100 to the fastening member 400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perforating operation in the workplace Can be combined.

또한, 분기덕트(300)의 일측부에 안내레일 수용부(350)가 형성되어 있어 메인덕트(100)의 안내레일(150)을 수용하며 지지할 수 있어, 분기덕트(300)의 일측부에 의해 메인덕트(100)가 지지될 수 있다.The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35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ranch duct 300 so that the guide rail 150 of the main duct 100 can be received and supported. So that the main duct 100 can be supported.

또한, 체결부재(400)는 체결홀(340)과 너트(420) 사이에 결합되는 와셔(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astening member 400 may further include a washer 430 coupled between the fastening hole 340 and the nut 420.

그리고, 메인덕트(100)의 결합홀(110)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걸림턱(310)이 분기덕트(300)에 형성되어 있어 메인덕트(100)와 분기덕트(300)의 결합시 결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걸림턱(310)은 케이블(50)을 지지하는 메인덕트(100)의 면과 케이블(50)을 안내하는 분기덕트(300)의 면 사이의 동일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어, 케이블(50)의 시공시 메인덕트(100)의 면과 분기덕트(300)의 면 사이의 높이 차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케이블(50)의 피복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 coupling protrusion 310 for suppor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110 of the main duct 100 is formed in the branch duct 300 so that the coupling accuracy when the main duct 100 and the branch duct 300 are coupled Can be improved. The hooking jaw 310 can maintain the same height between the surface of the main duct 100 supporting the cable 50 and the surface of the branch duct 300 guiding the cable 50,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covering damage of the cable 50, which may be caused by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surface of the main duct 100 and the surface of the branch duct 300 at the time of the install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10)는, 앞서 서술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덕트(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uct assembl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duct 500, as shown in FIG. 2 described above.

연결덕트(500)는 분기덕트(300)와 보조덕트(200) 사이에 설치되어, 분기덕트(300)와 보조덕트(200)를 지지하며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덕트(500)는 제1 삽입부(510)와, 제2 삽입부(520) 그리고 제1 삽입부(510)와 제2 삽입부(520)를 구획하는 격벽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duct 500 is installed between the branch duct 300 and the auxiliary duct 200 so that the branch duct 300 and the auxiliary duct 200 can be support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Specifically, the connecting duct 500 includes a first insertion portion 510, a second insertion portion 520, and a partition portion 530 for partitioning the first insertion portion 510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520 .

제1 삽입부(510)는 분기덕트(300)의 타측부가 삽입되도록 약"ㄷ"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분기덕트(300)의 타측부와 대향하는 연결덕트(500)의 일측에 제1 삽입부(510)가 형성되며, 제1 삽입부(510)에 분기덕트(300)의 타측부가 삽입되어 분기덕트(300)의 타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The first insertion portion 510 may be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C" shape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branch duct 300 is inserted. That is, a first insertion portion 51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nnecting duct 500 facing the other side of the branch duct 300, and the other side of the branch duct 3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portion 510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branch duct 300 can be supported.

따라서, 분기덕트(300)의 일측부는 메인덕트(100)와 결합되고, 분기덕트(300)의 타측부는 연결덕트(500)와 결합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branch duct 300 may be coupled to the main duct 100 and the other side of the branch duct 300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duct 500.

제2 삽입부(520)는 보조덕트(200)의 일단부가 삽입되도록 약"ㄷ"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덕트(200)의 일단부와 대향하는 연결덕트(500)의 타측에 제2 삽입부(520)가 형성되며, 제2 삽입부(520)에 보조덕트(20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보조덕트(200)의 일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The second insertion portion 520 may be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C" shape so that one end of the auxiliary duct 200 is inserted. That is,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52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duct 500 facing the one end of the auxiliary duct 200, and one end of the auxiliary duct 20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520 So that one end of the auxiliary duct 200 can be supported.

격벽부(530)는 제1 삽입부(510)와 제2 삽입부(520)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삽입부(510)와 제2 삽입부(520)를 구획할 수 있다.The partition part 53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insertion part 510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520 to divide the first insertion part 510 and the second insertion part 520.

따라서, 연결덕트(500)의 제1 삽입부(510)에는 분기덕트(300)의 타측부가 삽입되고, 연결덕트(500)의 제2 삽입부(520)에는 보조덕트(200)의 일단부가 삽입되며, 연결덕트(500)는 분기덕트(300)와 보조덕트(200) 사이에 설치되어 분기덕트(300)와 보조덕트(200)를 지지하며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branch duct 3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portion 510 of the connection duct 500 and the other end of the auxiliary duct 2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520 of the connection duct 500 And the connecting duct 500 is installed between the branch duct 300 and the auxiliary duct 200 to support the branch duct 300 and the auxiliary duct 200 and to effectively connect the branch duct 300 and the auxiliary duct 200.

그리고, 연결덕트(500)은 제1 삽입부(510)와 제2 삽입부(520)를 포함하고 있어, 보조덕트(200) 또는 분기덕트(300)의 설치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The connection duct 500 includes the first insertion portion 510 and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520 and can have a degree of freedom in installing the auxiliary duct 200 or the branch duct 300.

또한,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10)는 분기덕트(300)에 형성된 돌출부(370)와 연결홀(371)와, 연결덕트(500)에 형성된 제1 연결 체결홈(551), 그리고 제1 보조 체결볼트(611)와 제1 보조 너트(612)를 포함하는 제1 보조 체결부재(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3 and 5, the duct assembl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trusion 370 formed in the branch duct 300, a connection hole 371, a connection duct 370, And a first auxiliary fastening member 610 including a first auxiliary fastening bolt 611 and a first auxiliary nut 612. The first auxiliary fastening member 611 includes a first fastening bolt 611 and a first fastening bolt 611. The first fastening bolt 611 has a first fastening member 551,

분기덕트(300)는 분기덕트(300)의 타측부의 일영역이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370)와 돌출부(370)에 형성된 연결홀(371)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ranch duct 300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370 formed by protruding one area of the other side of the branch duct 300 and a connection hole 371 formed in the protrusion 370.

돌출부(370)는 제1 삽입부(510)에 삽입되는 분기덕트(300)의 타측부의 일영역이 제1 삽입부(51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370)에는 연결홀(371)이 형성될 수 있다.The projecting portion 370 may be formed by protruding one 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branch duct 300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portion 510 toward the outside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510. A connection hole 371 may be formed in the protrusion 370.

연결덕트(500)는 분기덕트(300)의 돌출부(370)에 형성된 연결홀(371)과 대향하는 제1 삽입부(510)에 형성된 제1 연결 체결홈(5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duct 5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nection coupling groove 551 formed in the first insertion portion 510 facing the connection hole 371 formed in the protrusion 370 of the branch duct 300.

제1 보조 체결부재(610)는 분기덕트(300)와 연결덕트(5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보조 체결부재(610)는 제1 보조 체결볼트(611)와 제1 보조 너트(61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auxiliary fastening member 610 can couple the branch duct 300 and the connecting duct 500 together. Specifically, the first auxiliary fastening member 610 may include a first auxiliary fastening bolt 611 and a first auxiliary nut 612.

제1 보조 체결볼트(611)는 일단이 제1 연결 체결홈(551)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이 연결홀(371)에 삽입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auxiliary fastening bolt 611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onnection fastening groove 551 and the other end may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371.

제1 보조 너트(612)는 제1 보조 체결볼트(611)의 타단과 나선(螺旋) 결합되어 상기 분기덕트(300)와 연결덕트(500)를 체결시킬 수 있다. The first auxiliary nut 612 is hel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auxiliary fastening bolt 611 to fasten the branch duct 300 and the connecting duct 500.

또한, 제1 보조 체결부재(610)는 제1 연결 체결홈(551)과 제1 보조 체결볼트(611)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보조 와셔(6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uxiliary coupling member 6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auxiliary washer 613 install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coupling groove 551 and the first auxiliary coupling bolt 611.

구체적으로, 제1 보조 너트(612)는 제1 삽입부(510)의 내측과 분기덕트(300)의 돌출부(370) 사이에 삽입되어 제1 연결 체결홈(551) 및 연결홀(371)을 관통한 제1 보조 체결볼트(611)를 연결덕트(500)에 체결할 수 있다.The first auxiliary nut 612 is insert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insertion portion 510 and the protruding portion 370 of the branch duct 300 to connect the first connection coupling groove 551 and the connection hole 371 It is possible to fasten the penetrating first auxiliary bolt 611 to the connecting duct 500.

따라서, 작업장에서 별도의 천공(穿孔) 작업 없이 분기덕트(300)와 연결덕트(500)를 제1 보조 체결볼트(611)와 제1 보조 너트(612)를 포함하는 제1 보조 체결부재(610)를 통해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ranch duct 300 and the connecting duct 500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auxiliary fastening member 610 (including the first auxiliary fastening bolt 611 and the first auxiliary nut 612)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perforating operation in the workplace ). ≪ / RTI >

또한, 제1 보조 체결볼트(611)가 연결덕트(500) 전체를 관통하지 않고 연결덕트(500)의 제1 삽입부(510)의 외측을 관통하며 제1 삽입부(510)의 내측과 분기덕트(300)의 타측부에 형성된 돌출부(370) 사이에 제1 보조 너트(612)가 위치하며 제1 보조 체결볼트(611)를 나선 결합할 수 있어, 케이블(50)을 지지하는 연결덕트(500)의 면에는 제1 보조 체결부재(610)가 간섭 없이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auxiliary fastening bolt 611 passes through the first insertion portion 510 of the connection duct 500 without passing through the entire connection duct 500 and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portion 510, The first auxiliary nut 612 is positioned between the projections 370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duct 300 and the first auxiliary bolt 611 can be spir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duct The first auxiliary fastening member 610 can be installed without interference.

또한, 앞서 서술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10)는 보조덕트(200)에 형성되며 보조 걸림홈(253)이 형성된 보조 안내레일(251)과, 연결덕트(500)의 제2 삽입부(520)에 형성된 제2 연결 체결홈(552) 그리고 제2 보조 체결부재(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and 3, the duct assembl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uxiliary guide rails 251 formed in the auxiliary duct 200 and having auxiliary supporting grooves 253 formed therein A second coupling coupling groove 552 formed in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520 of the coupling duct 500 and a second auxiliary coupling member 620. [

보조덕트(200)는 보조덕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조 안내레일(2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보조 안내레일(251)은 보조덕트(2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The auxiliary duct 20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guide rail 251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duct 200. For example, the auxiliary guide rail 251 may protrude outward from the auxiliary duct 200.

또한, 보조 안내레일(251) 내측에는 보조 걸림홈(253)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 걸림홈(253)은 보조 안내레일(25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uxiliary latching groove 253 may be formed inside the auxiliary guide rail 251. Specifically, the auxiliary latching groove 253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guide rail 251.

즉, 보조덕트(200)에는 내측에 보조 걸림홈(253)이 형성되며 보조덕트(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조 안내레일(251)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uxiliary ducts 253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auxiliary duct 200, and auxiliary guide rails 251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duct 200 are protruded.

연결덕트(500)는 제2 연결 체결홈(5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연결 체결홈(552)은 보조 걸림홈(253)과 대향하는 제2 삽입부(520)에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duct 5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necting coupling groove 552. Specifically, the second connection coupling groove 552 may be formed in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520 opposite to the auxiliary coupling groove 253.

제2 보조 체결부재(620)는 연결덕트(500)와 보조덕트(2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보조 체결부재(620)는 제2 보조 체결볼트(621)와 제2 보조 너트(6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auxiliary fastening member 620 can couple the connecting duct 500 and the auxiliary duct 200 together. Specifically, the second auxiliary fastening member 620 may include a second auxiliary fastening bolt 621 and a second auxiliary nut 622.

제2 보조 체결볼트(621)의 일단은 보조 걸림홈(253)에 삽입되고, 제2 보조 체결볼트(621)의 타단은 제2 연결 체결홈(55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econd auxiliary fastening bolt 621 may be inserted into the auxiliary latching groove 253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uxiliary fastening bolt 621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connecting fastening groove 552.

제2 보조 너트(622)는 제2 연결 체결홈(552)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 보조 체결볼트(621)의 타단과 나선 결합되어 연결덕트(500)와 제2 보조 체결볼트(621)를 체결할 수 있다.The second auxiliary nut 622 is coupled with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uxiliary fastening bolt 621 protruded outward of the second fastening bolt hole 552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duct 500 and the second auxiliary fastening bolt 621 Can be concluded.

일예로, 제2 보조 체결부재(620)의 세부적인 구성 및 체결방법은 체결부재(40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tailed configuration and fastening method of the second auxiliary fastening member 620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fastening member 400.

또한, 제2 보조 체결부재(620)는 제2 연결 체결홈(552)과 제2 보조 너트(622) 사이에 설치되는 제2 보조 와셔(6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auxiliary coupling member 6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uxiliary washer 623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coupling coupling groove 552 and the second auxiliary nut 622

따라서, 작업장에서 별도의 천공(穿孔) 작업 없이 보조덕트(200)의 보조 안내레일(251)에 형성된 보조 걸림홈(253)과 연결덕트(500)의 제2 연결 체결홈(552)을 제2 보조 체결부재(620)로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Therefore, the auxiliary securing groove 253 formed in the auxiliary guide rail 251 of the auxiliary duct 200 and the second connection engaging groove 552 of the connecting duct 500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It can be effectively combined with the auxiliary fastening member 620.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10)의 안내레일(150)은, 도 6과 앞서 서술한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안내레일(152) 및 제2 안내레일(151)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guide rail 150 of the duct assembl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guide rail 152 and a second guide rail (not shown), as shown in FIG. 6 and FIG. 151).

제1 안내레일(152)은 메인덕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메인덕트(1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안내레일(152)의 내측에는 제1 걸림홈(142)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rail 152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duct 100 and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duct 100. In addition, a first latching groove 142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guide rail 152.

제2 안내레일(151)은 메인덕트(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제1 안내레일(152)이 형성된 메인덕트(100)의 상기 일면과 이웃한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안내레일(151)의 내측에는 제2 걸림홈(141)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guide rail 151 may be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duct 100 and may be formed on one side adjacent to the one side of the main duct 100 on which the first guide rail 152 is formed. In addition, a second latching groove 141 may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guide rail 151.

따라서, 단면이 약"ㄷ"자형으로 형성된 메인덕트(100)에 형성된 안내레일(150)이 제1 안내레일(152)과 제2 안내레일(151)을 포함하며 형성될 수 있어 분기덕트(300)를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Therefore, the guide rail 150 formed in the main duct 100 having a substantially "C" -shaped cross section can be formed to include the first guide rail 152 and the second guide rail 151, ) Can be effectively combin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10)의 분기덕트(300)는, 앞서 서술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레일 수용부(350)는 제1 안내레일 수용부(352)와 제2 안내레일 수용부(3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the branching duct 300 of the duct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350 and the first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352 And a second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351. The second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351 includes a first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351 and a second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351. [

메인덕트(100)와 결합되는 분기덕트(300)의 일측부에는 제1 안내레일(152)을 수용하는 제1 안내레일 수용부(352)와 제2 안내레일(151)을 수용하는 제2 안내레일 수용부(351)가 형성될 수 있다.A first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352 for receiving the first guide rail 152 and a second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352 for receiving the second guide rail 151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branch duct 300 coupled to the main duct 100. [ The rail receiving portion 351 can be formed.

제1 안내레일 수용부(352)에는 제1 걸림홈(142)과 대향하는 제1 체결홀(342)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체결홀(342)은 제1 안내레일 수용부(35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352 may have a first engagement hole 342 opposed to the first engagement groove 142. For example, the first fastening holes 342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352.

제2 안내레일 수용부(351)에는 제2 걸림홈(141)과 대향하는 제2 체결홀(341)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351 may have a second fastening hole 341 opposed to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41.

구체적으로, 메인덕트(100)에 형성된 결합홀(110)이 메인덕트(100)의 일면과 상기 일면과 이웃한 일면을 따라 형성된 경우, 분기덕트(300)의 일측부의 일단에 형성된 제1 안내레일 수용부(352)는 메인덕트(100)의 일면에 형성된 제1 안내레일(152)을 수용하고 분기덕트(300)의 일측부의 타단에 형성된 제2 안내레일 수용부(351)는 제1 안내레일(152)이 형성된 상기 일면과 이웃한 일면에 형성된 제2 안내레일(151)을 수용하며 분기덕트(300)가 메인덕트(100)를 지지 및 연결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coupling hole 110 formed in the main duct 100 is formed along one side of the main duct 100 and one side adjacent to the one side, a first guide (not shown) formed at one end of one side of the branch duct 300, The rail accommodating portion 352 accommodates the first guide rail 152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duct 100 and the second guide rail accommodating portion 351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one side of the branch duct 300 includes the first The branch duct 300 can receive and connect the main duct 100 while receiving the second guide rail 151 formed on one side adjacent to the one side on which the guide rail 152 is formed.

또한, 메인덕트(100)와 분기덕트(300)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기덕트(300) 역시 메인덕트(100)가 포함하는 복수의 보조 안내레일(25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결덕트(500)와 제2 보조 체결부재(620)와 결합되는 보조 안내레일(251)은 메인덕트(100)의 제2 안내레일(151)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main duct 100 and the branch duct 30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Specifically, the branch duct 3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uxiliary guide rails 251 included in the main duct 100. At this time, the auxiliary guide rail 251 coupled to the connection duct 500 and the second auxiliary coupling member 620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second guide rail 151 of the main duct 100.

또한, 도 6 및 도 7 그리고 앞서 서술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10)의 체결볼트(410)와 제1 보조 체결볼트(611) 그리고 제2 보조 체결볼트(621)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일단이 장축(L)과 단축(ℓ)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체결볼트(410)와 제1 보조 체결볼트(611) 그리고 제2 보조 체결볼트(621)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장축(L)과 단축(ℓ)을 갖는 "T"자형 볼트로 형성될 수 있다.3 and FIG. 3, the fastening bolts 410, the first auxiliary fastening bolts 611, and the second fastening bolts 611 of the duct assembly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auxiliary fastening bolts 621 may include one long axis L and one short axis l.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astening bolt 410, the first auxiliary fastening bolt 611 and the second auxiliary fastening bolt 621 is formed of a "T" shaped bolt having a long axis L and a short axis L .

걸림홈(140)에 삽입되는 체결볼트(410)의 일단이 장축(L)과 단축(ℓ)을 포함하는 경우, 체결볼트(410)의 단축(ℓ)은 걸림홈(140)의 폭(w) 보다 짧게 형성되고 체결볼트(410)의 장축(L)은 걸림홈(140)의 폭(w)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one end of the fastening bolt 410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40 includes the long axis L and the short axis l, the short axis l of the fastening bolt 410 is the width w of the fastening groove 140 And the longitudinal axis L of the fastening bolt 410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width w of the latching groove 140.

따라서, 체결볼트(410)의 일단의 단축(ℓ)이 걸림홈(140)의 폭(w) 보다 짧게 형성되어 걸림홈(140)에 용이하게 삽입되며, 작업자가 걸림홈(140)에 삽입된 체결볼트(410)의 일단을 체결볼트(410)의 단축(ℓ)과 걸림홈(140)의 폭(w)이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홈(140)의 폭(w) 보다 길게 형성된 체결볼트(410)의 장축(L)이 걸림홈(140)에 지지될 수 있다.The short axis l of one end of the fastening bolt 410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width w of the fastening groove 140 and is easily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40. When the operator inserts the fastening bolt 410 into the fastening groove 140 When one end of the fastening bolt 41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hort axis of the fastening bolt 410 intersects with the width w of the fastening groove 140, The long axis L of the bolt 410 can be supported in the engaging groove 140. [

즉, 일단이 장축(L)과 단축(ℓ)을 갖는 체결볼트(410)에 의해 메인덕트(100)와 분기덕트(300)가 효과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That is, the main duct 100 and the branch duct 300 can be effectively fastened by the fastening bolts 410 having the long axis L and the short axis l, respectively.

또한, 보조 걸림홈(253)에 삽입되는 제2 보조 체결볼트(621)의 일단이 장축(L)과 단축(ℓ)을 포함하는 경우, 제2 보조 체결볼트(621)의 단축(ℓ)은 보조 걸림홈(253)의 폭(w) 보다 짧게 형성되고 제2 보조 체결볼트(621)의 장축(L)은 보조 걸림홈(253)의 폭(w)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걸림홈(253)과 제2 보조 체결볼트(621)의 체결방법은 걸림홈(140)과 체결볼트(410)의 체결방법과 동일할 수 있다.When one end of the second auxiliary fastening bolt 621 inserted into the auxiliary fastening groove 253 includes the long axis L and the short axis l, the short axis l of the second auxiliary fastening bolt 621 is The width w of the auxiliary latching groove 253 may be shorter than the width w of the auxiliary latching groove 253 and the length L of the second auxiliary fastening bolt 621 may be longer than the width w of the auxiliary latching groove 253. The securing method of the auxiliary securing groove 253 and the second securing bolt 621 may be the same as the securing method of the securing groove 140 and the securing bolt 410.

또는, 제1 보조 체결볼트(611)는 체결볼트(410) 또는 제2 보조 체결볼트(621)와 동일하게 일단이 장축(L)과 단축(ℓ)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보조 체결볼트(61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육각볼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uxiliary fastening bolt 611 may be formed to have one long end L and one short end ℓ in the same manner as the fastening bolt 410 or the second auxiliary fastening bolt 621. However, the first auxiliary fastening bolt 611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egular hexagonal bolt.

따라서, 체결볼트(410)와 제1 보조 체결볼트(611) 그리고 제2 보조 체결볼트(621)의 일단이 장축(L)과 단축(ℓ)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어, 작업자가 메인덕트(100)와 분기덕트(300) 또는 연결덕트(500)와 보조덕트(200)를 체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refore, one end of the fastening bolt 410, the first auxiliary fastening bolt 611 and the second auxiliary fastening bolt 621 can be formed to have the long axis L and the short axis L, And the branch duct 300 or the connecting duct 500 and the auxiliary duct 200 can be easily fastened.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덕트 어셈블리(10)는 메인덕트(100)와 분기덕트(300) 또는 분기덕트(300)와 연결덕트(500) 또는 연결덕트(500)와 보조덕트(200)의 체결시 작업장에서 별도의 천공작업 없이 작업자가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정의 감소로 인해 덕트 어셈블리(10) 체결 작업시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다.The duct assembly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between the main duct 100 and the branch duct 300 or the branch duct 300 and the connecting duct 500 or the connecting duct 500 The operator can easily fasten the auxiliary duct 200 without performing a separate drilling operation at the work site when the auxiliary duct 200 is fastened. In addition, the reduction of such a process can reduce the working time in the fastening operation of the duct assembly 1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덕트 어셈블리 50: 케이블
100: 메인덕트 110: 결합홀
140: 걸림홈 141: 제2 걸림홈
142: 제1 걸림홈 150: 안내레일
151: 제2 안내레일 152: 제1 안내레일
200: 보조덕트 251: 보조 안내레일
253: 보조 걸림홈 300: 분기덕트
310: 걸림턱 340: 체결홀
341: 제2 체결홀 342: 제1 체결홀
350: 안내레일 수용부 351: 제2 안내레일 수용부
352: 제1 안내레일 수용부 370: 돌출부
371: 연결홀 400: 체결부재
410: 체결볼트 420: 너트
430: 와셔 500: 연결덕트
510: 제1 삽입부 520: 제2 삽입부
530: 격벽부 551: 제1 연결 체결홀
552: 제2 연결 체결홀 L: 장축
ℓ: 단축 610: 제1 보조 체결부재
611: 제1 보조 체결볼트 612: 제1 보조 너트
613: 제1 보조 와셔 620: 제2 보조 체결부재
621: 제2 보조 체결볼트 622: 제2 보조 너트
623: 제2 보조 와셔
10: duct assembly 50: cable
100: Main duct 110: Coupling hole
140: engaging groove 141: second engaging groove
142: first engaging groove 150: guide rail
151: second guide rail 152: first guide rail
200: auxiliary duct 251: auxiliary guide rail
253: auxiliary engagement groove 300: branch duct
310: locking jaw 340: fastening hole
341: second fastening hole 342: first fastening hole
350: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351: second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352: first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370:
371: connection hole 400: fastening member
410: fastening bolt 420: nut
430: Washer 500: Connection duct
510: first insertion portion 520: second insertion portion
530: partition wall portion 551: first connection hole
552: Second connection hole L: Long axis
ℓ: Short axis 610: First auxiliary fastening member
611: first auxiliary fastening bolt 612: first auxiliary nut
613: first auxiliary washer 620: second auxiliary fastening member
621: second auxiliary fastening bolt 622: second auxiliary nut
623: Second auxiliary washer

Claims (7)

복수의 케이블을 지지하는 덕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내측에 걸림홈(140)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레일(150)과, 결합홀(110)이 형성된 메인덕트(100);
상기 메인덕트(10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케이블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보조덕트(200);
일측부는 상기 결합홀(110)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걸림턱(310)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40)과 대향하는 체결홀(340)이 형성되며 상기 안내레일(150)을 수용하는 안내레일 수용부(350)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덕트(100)와 결합되고, 타측부는 상기 보조덕트(200)를 향해 결합되는 분기덕트(300);
일단이 상기 걸림홈(140)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체결홀(340) 외측으로 돌출된 체결볼트(410)와, 상기 체결볼트(410)의 타단과 나선(螺旋) 결합되어 상기 체결볼트(410)의 타단을 상기 분기덕트(300)에 체결시키는 너트(420)를 포함하는 체결부재(400); 및
상기 분기덕트(300)의 타측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부(510)와, 상기 보조덕트(200)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제2 삽입부(520), 그리고 상기 제1 삽입부(510)와 상기 제2 삽입부(520)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부(530)를 포함하며 상기 분기덕트(300)와 상기 보조덕트(200)를 연결하는 연결덕트(500)
를 포함하는 덕트 어셈블리.
In a duct assembly supporting a plurality of cables,
A main duct 100 having a coupling groove 110 formed therein and a guide rail 150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latching groove 140 formed therein;
An auxiliary duct (200) connect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main duct (100) and supporting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cables;
The guide rail 150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with a locking protrusion 310 for suppor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110 and a locking hole 340 opposed to the locking groove 140, (350) and coupled to the main duct (100), and the other side coupled to the auxiliary duct (200);
A fastening bolt 410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40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outside the fastening hole 340 and a fastening bolt 410 fastened to the fastening bolt 410 And a nut 420 for fastening the other end of the tubular member 300 to the branch duct 300. And
A first insertion portion 510 into which the other side of the branch duct 300 is inserted, a second insertion portion 520 into which one end of the auxiliary duct 200 is inserted, A connecting duct 500 which includes a partition 530 for partitioning between the second insertion portions 520 and connects the branch duct 300 and the auxiliary duct 200,
The duct assembly comprising: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분기덕트(300)는 상기 분기덕트(300)의 타측부의 일영역이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370)와 상기 돌출부(370)에 형성된 연결홀(371)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덕트(500)는 상기 분기덕트(300)의 연결홀(371)과 대향하는 상기 제1 삽입부(510)에 형성된 제1 연결 체결홈(551)을 더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제1 연결 체결홈(551)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홀(371)에 삽입되는 제1 보조 체결볼트(611)와, 상기 제1 보조 체결볼트(611)의 타단과 나선(螺旋) 결합되어 상기 제1 보조 체결볼트(611)의 타단을 상기 연결덕트(500)에 체결시키는 제1 보조 너트(612)를 포함하는 제1 보조 체결부재(610)를 더 포함하는 덕트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branch duct 300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370 formed by protruding one area of the other side of the branch duct 300 and a connection hole 371 formed in the protrusion 370,
The connection duct 500 further includes a first connection coupling groove 551 formed in the first insertion portion 510 facing the connection hole 371 of the branch duct 300,
A first auxiliary fastening bolt 611 having one end protruding outside the first fastening bolt 551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hole 371 and a second fastening bolt 611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fastening bolt 611, And a first auxiliary nut (610) coupled to the connecting duct (500) by coupl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auxiliary bolt (611) to the connecting duct (500).
제3항에서,
상기 보조덕트(200)는 내측에 보조 걸림홈(253)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보조 안내레일(25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덕트(500)는 상기 보조 걸림홈(253)과 대향하는 상기 제2 삽입부(520)에 형성된 제2 연결 체결홈(552)을 더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보조 걸림홈(253)에 삽입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연결 체결홈(552) 외측으로 돌출된 제2 보조 체결볼트(621)와, 상기 제2 보조 체결볼트(621)의 타단과 나선(螺旋) 결합되어 상기 제2 보조 체결볼트(621)의 타단을 상기 연결덕트(500)에 체결시키는 제2 보조 너트(622)를 포함하는 제2 보조 체결부재(620)를 더 포함하는 덕트 어셈블리.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uxiliary duct 200 further includes auxiliary guide rails 251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uxiliary grooves 253 formed therein,
The connection duct 500 further includes a second connection engagement groove 552 formed in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520 facing the auxiliary engagement groove 253,
A second auxiliary fastening bolt 621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auxiliary fastening groove 253 and the other end protruding outside the second fastening bolt hole 552; And a second auxiliary coupling member (620) including a second auxiliary nut (622) coupled to the coupling duct (500) by coupling the other end of the second auxiliary coupling bolt (621) .
제1항에서,
상기 안내레일(150)은,
상기 메인덕트(100)의 일면에 형성되며 내측에 제1 걸림홈(142)이 형성된 제1 안내레일(152); 및
상기 메인덕트(100)의 일면과 이웃한 일면에 형성되며 내측에 제2 걸림홈(141)이 형성된 제2 안내레일(151)을 더 포함하는 덕트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rails (150)
A first guide rail 152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duct 100 and having a first latching groove 142 formed therein;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guide rail (151) formed on a side adjacent to one side of the main duct (100) and having a second latching groove (141) formed on the inside thereof.
제5항에서,
상기 분기덕트(300)의 일측부는,
상기 제1 걸림홈(142)과 대향하는 제1 체결홀(34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안내레일(152)을 수용하는 제1 안내레일 수용부(352); 및
상기 제2 걸림홈(141)과 대향하는 제2 체결홀(34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안내레일(151)을 수용하는 제2 안내레일 수용부(351)
를 더 포함하는 덕트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5,
One side of the branch duct (300)
A first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352 formed with a first fastening hole 342 facing the first fastening groove 142 and receiving the first guide rail 152; And
A second guide rail receiving portion 351 formed with a second fastening hole 341 opposed to the second fastening groove 141 and receiving the second guide rail 151,
The duct assembly further comprising:
제4항에서,
상기 체결볼트(410)와 상기 제1 보조 체결볼트(611) 그리고 상기 제2 보조 체결볼트(621)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일단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장축과 상기 장축보다 짧게 형성된 단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어셈블리.
5. The method of claim 4,
One end of the fastening bolt (410), the first auxiliary fastening bolt (611), and the second auxiliary fastening bolt (621) includes a long axis formed in one direction and a short axis formed shorter than the long axis. Duct assembly.
KR1020140074209A 2014-06-18 2014-06-18 Cable duct assembly KR1016069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209A KR101606992B1 (en) 2014-06-18 2014-06-18 Cable duct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209A KR101606992B1 (en) 2014-06-18 2014-06-18 Cable duct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012A KR20150145012A (en) 2015-12-29
KR101606992B1 true KR101606992B1 (en) 2016-03-28

Family

ID=56506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209A KR101606992B1 (en) 2014-06-18 2014-06-18 Cable duct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99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6344B1 (en) * 2017-11-10 2019-06-05 탑라이트 주식회사 Protection duct for cab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098B1 (en) * 2008-07-17 2009-03-04 주식회사 오피시스 Cable duc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2458A (en) 1998-11-17 2000-05-30 Babcock Hitachi Kk Connecting structure of cable tray
KR20070104117A (en) 2006-04-21 2007-10-25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Connection structure of protection element for duct wir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7098B1 (en) * 2008-07-17 2009-03-04 주식회사 오피시스 Cable 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012A (en) 2015-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4188B2 (en) Raceway for instrumentation lines
KR200431085Y1 (en) Front-pipe Fixing Clamp
US20110120582A1 (en) Configurable conduit body
EP2875558B1 (en) Metal wall bracket
KR101606992B1 (en) Cable duct assembly
US6835893B2 (en) Button fastening device
US9611954B2 (en) Construction conduit securing device
KR20160054685A (en) The joint for cable race way
US11732464B2 (en) Securing assembly
KR100940228B1 (en) A spacer for conduit tubes of a distribution line
US20170054281A1 (en) Tubular part, embeddable electrical box, and kits formed by both
KR101717273B1 (en) Cable fixing device
US20080217054A1 (en) Gang Box Clip
JP4873259B2 (en) Wiring too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eiling penetrating portion using the wiring tool
JP2011087362A (en) Wiring box
KR200451739Y1 (en) Wiring box with fixing member
KR20110019848A (en) Combination structure of buried box for electric wiring
US20140086698A1 (en) Drilling Tool
KR200480808Y1 (en) Lamp fitting apparatus for mesh tray
US9068672B2 (en) T-style grommet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KR101583367B1 (en) Cable Duct With Cable Holder
KR102542619B1 (en) Structure for mounting of race way
KR20240000720U (en) Connector for acf cable
JP5070181B2 (en) Cable fixture
KR200252766Y1 (en) Wiring 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