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541U - 복합 글램핑 텐트 - Google Patents

복합 글램핑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541U
KR20240000541U KR2020230002184U KR20230002184U KR20240000541U KR 20240000541 U KR20240000541 U KR 20240000541U KR 2020230002184 U KR2020230002184 U KR 2020230002184U KR 20230002184 U KR20230002184 U KR 20230002184U KR 20240000541 U KR20240000541 U KR 202400005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wall portion
bedroom
protrusion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30002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목
Original Assignee
이승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목 filed Critical 이승목
Priority to KR2020230002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541U/ko
Publication of KR202400005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54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천시 빗물 등의 배수가 용이함은 물론 안정적이고, 내부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며, 미려한 외형과 사용자 편의성의 향상이 가능한 복합 글램핑 텐트에 관한 것으로, 좌측에 위치되며 우측으로 기울어진 제1 경사면이 형성된 제1 측벽부, 상기 제1 측벽부에 대향하여 우측에 위치되며 좌측으로 기울어진 제2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측벽부와는 다른 길이로 형성된 우측벽부와,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 상부를 서로간 연결하면서 상기 제1 측벽부와 제2 측벽부의 길이와 각도 차이만큼 기울어진 제3 경사면이 형성된 루프부와,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의 후측의 사이를 서로간 연결하면서 전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4 경사면이 형성된 후측벽부와,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의 전측을 서로간 연결하며 출입부가 설치된 전측벽부로 된 침실부; 상기 침실부와 동일 각도를 가지면서 축소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실부의 전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차양부; 및 상기 침실부와 상기 차양부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가드 돌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복합 글램핑 텐트{COMPLEX GLAMPING TENT}
본 고안은 우천시 빗물 등의 배수가 용이함은 물론 안정적이고, 내부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며, 미려한 외형과 사용자 편의성의 향상이 가능한 복합 글램핑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소득이 증가하고 캠핑문화가 확대됨에 따라 가족과 함께하는 여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주말과 연휴를 이용한 오토캠핑과 등산을 즐기는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고 그에 따라 아웃도어(Outdoor) 시장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생활수준의 향상과 주 5일제의 시행에 따라 여가 시간이 늘어나고 도시화에 따른 친자연주의적 욕구의 증가에 따라 캠핑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캠핑문화에서도 생활 수준이 향상되면서 글램핑이 각광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글램핑은 '화려하다'는 뜻의 '글래머러스(Glamorous)'와 '야영하다'의 '캠핑(camping)'의 합성어로 일반 캠핑보다 호화로운 캠핑을 말한다.
통상 글램핑 텐트(glamping tent)는 텐트가 설치되고, 그 텐트 앞에 간이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텐트와 간이 공간을 천막으로 덮어 햇살, 비, 바람 등을 막아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되, 그 천막의 전방은 개방되어 출입이 편리하도록 구조된다.
그러나 종래 글램핑 텐트는, 설치된 상태에서 우천시 빗물의 배수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10-2063518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침실 공간의 침실부를 전체적으로 비대칭 사다리꼴리 되도록 구성하여 우천시 빗물 등의 이물질의 배수 및 제거가 용이함은 물론 안정적이고, 내부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며, 미려한 외형의 구현이 가능하여 심미감의 부여가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한 복합 글램핑 텐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복합 글램핑 텐트는, 좌측에 위치되며 우측으로 기울어진 제1 경사면이 형성된 제1 측벽부, 상기 제1 측벽부에 대향하여 우측에 위치되며 좌측으로 기울어진 제2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측벽부와는 다른 길이로 형성된 우측벽부와,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 상부를 서로간 연결하면서 상기 제1 측벽부와 제2 측벽부의 길이와 각도 차이만큼 기울어진 제3 경사면이 형성된 루프부와,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의 후측의 사이를 서로간 연결하면서 전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4 경사면이 형성된 후측벽부와,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의 전측을 서로간 연결하며 출입부가 설치된 전측벽부로 된 침실부; 상기 침실부와 동일 각도를 가지면서 축소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실부의 전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차양부; 및 상기 침실부와 상기 차양부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가드 돌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경사면, 상기 제2 경사면, 상기 제3 경사면, 상기 제4 경사면의 경사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드 돌부는, 상기 제1 측벽부에 연결되어 돌출되며 제1 경사각을 갖는 제1 돌부; 상기 제2 측벽부에 연결되어 돌출되며 제2 경사각을 갖는 제2 돌부; 상기 제1 돌부와 상기 제2 돌부의 사이에서 상기 루프부에 연결되어 돌출되며 하향 경사진 제3 경사각을 갖는 제3 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실부의 전측 바닥면에는 데크부가 설치되며, 상기 차양부는, 상기 가드 돌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데크부의 상부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실부는,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와, 상기 루프부와, 상기 후측벽부와 상기 전측벽부를 형성하도록 연결된 복수개의 프레임;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들을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들의 사이를 덮는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를 덮는 암막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침실부가 비대칭의 사다리꼴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우천시 빗물 등의 배수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안정적임은 물론 내부 공간의 활용성이 우수해지며, 사용자에게 심미감의 부여가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양부가 침실부에 돌출된 캡(cap) 형상의 가드 돌부에 의해 침실부의 전면에 설치되는 바, 다양한 기후 조건에서 글램핑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글램핑 텐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 글램핑 텐트의 커버부가 설치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선을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복합 글램핑 텐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복합 글램핑 텐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글램핑 텐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글램핑 텐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복합 글램핑 텐트의 커버부가 설치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선을 잘라서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복합 글램핑 텐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복합 글램핑 텐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글램핑 텐트(100)는, 평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비대칭의 사다리꼴로 형성된 침실부(10)와, 침실부(10)의 전측에 돌출된 가드 돌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침실부(10)는 내부에 사용자가 위치하여 수면을 취하거나 생활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침실부(10)는 설치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대략 육면체 형상의 복수개의 외표면이 서로간에 방향을 달리하면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침실부(10)의 외표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은, 우천시 빗물의 흐름을 보다 원활하게 하면서 사용자에게 유려한 심미감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해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침실부(10)는, 설치 공간의 바닥면에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제1 측벽부(11)와, 제2 측벽부(13)와, 루프부(15)와, 후측벽부(17) 및 전측벽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침실부(10)는 설치 공간에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침실부(10)는 설치된 상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해 분해 조립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침실부(10)는 분해 조립 가능한 상태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영구 사용이 가능한 지속 사용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측벽부(11)는 침실부(10)의 좌측에 형성하는 것으로, 우측으로 기울어진 제1 경사면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측벽부(11)에 대향하는 우측에는 제2 측벽부(13)가 설치된다.
제2 측벽부(13)는 제1 측벽부(11)와의 사이에 사용자의 침실 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좌측으로 기울어진 제2 경사면이 형성되면서 제1 측벽부(11)와는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정면상 비대칭 사다리꼴을 이루게 된다.
제2 측벽부(13)의 제2 경사면은 제1 경사면의 기울기 각도와 상이한 기울기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은 서로 동일한 기울기 각도로 침실부(10)의 대향하는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1 측벽부(11)와 제2 측벽부(13)의 상부는 루프부(15)에 의해 서로간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루프부(15)는 제1 측벽부(11)와 제2 측벽부(13)의 상부의 서로간을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침실부(10)의 천정부를 형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루프부(15)는 서로간에 경사각 및 길이가 상이한 제1 측벽부(11)와 제2 측벽부(13)의 상부의 사이를 연결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므로 자연스럽게 경사각 및 길이차이에 의해 제3 경사면이 형성되며, 따라서 우천시 빗물을 포함한 이물질의 외부 배출이 용이해지게 된다.
제1 측벽부(11)와 제2 측벽부(13) 및 루프부(15)는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로 서로간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제1 측벽부(11)와 제2 측벽부(13) 및 루프부(15)는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루프부(15)는 빗물 등이 침실 공간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 코팅을 포함한 재질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측벽부(11)와 제2 측벽부(13)의 후측에는 후측벽부(17)가 설치될 수 있다.
후측벽부(17)는 침실부(10)의 후측벽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1 측벽부(11)와 제2 측벽부(13)의 후측을 서로간에 연결하도록 설치되며, 전측방향으로 기울어진 제4 경사면이 형성되어 빗물 등의 배수가 용이해지게 된다.
한편, 후측벽부(17)에 대향하는 측면 위치에는 출입부(19a)가 설치되는 전측벽부(19)가 설치된다.
전측벽부(19)는 사용자가 출입 가능하도록 개폐 가능한 출입부(19a)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측벽부(19)는 침실부(10)의 폭방향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1 측벽부(11)와 제2 측벽부(13)의 전측의 사이를 서로간에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전측벽부(19)는 후측벽부(17)의 설치된 폭과 각도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침실부(10)의 침실 공간을 외부로부터 격리하면서 출입부(19a)를 통해 사용자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침실부(10)는, 제1 측벽부(11)와, 제2 측벽부(13)와, 루프부(15)와, 후측벽부(17)와 전측벽부(19)를 형성하도록 연결된 복수개의 프레임(16)과, 프레임(16)들을 덮는 커버부(18)를 포함하고, 커버부(18)는 복수개의 프레임(16)들이 사이를 덮는 단열재(18a)와, 단열재(18a)를 덮는 암막 커버(18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8)는 복수개의 프레임(16)들의 사이를 덮도록 부착되는 것으로, 준불연 열반사 보온 단열재 40T 또는 20T로 형성되어, 여름에는 글램핑 텐트 내부가 일정부분 시원함을 유지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보온성을 유지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암막 커버(18b)는, 단열재(18a)를 덮도록 부착되는 것으로 자외선과 화재로부터 막아줄 수 있는 방염된 암막천으로 시공되어 자연속에서 안전한 힐링이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침실부(10)의 전방에는 침실부(10)와 동일 각도를 가지면서 축소된 형태로 이루어져 침실부(10)의 전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차양부(30)와, 침실부(10)와 차양부(30)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가드 돌부(20)가 구비된다.
가드 돌부(20)는, 침실부(10)의 전측벽부(19)의 상부에서 전방향으로 하향 돌출되는 것으로, 침실부(10)와 차양부(30)의 크기 차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경사를 이루어 빗물 등의 배수가 용이함은 물론 미려한 외관을 형성해주게 된다.
이러한 가드 돌부(20)는, 일측은 제1 측벽부(11)와 제2 측벽부(13)와 루프부(15)의 각각에 연결되고 타측은 전측벽부(19)의 전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드 돌부(20)는 제1 측벽부(11)에 연결되어 돌출되며 제1 경사각을 갖는 제1 돌부(21)와, 제2 측벽부(13)에 연결되어 돌출되며 제2 경사각을 갖는 제2 돌부(23)와, 제1 돌부(21)와 제2 돌부(23)의 사이에서 루프부(15)에 연결되어 돌출되며 하향 경사진 제3 경사각을 갖는 제3 돌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부(21)는 제1 측벽부(11)의 높이 방향으로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은 침실부(10)의 전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침실부(10)의 폭방으로 제1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돌부(21)는 제1 측벽부(11)의 가장자리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길이가 점차 증가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돌부(23)는 제2 측벽부(13)의 높이 방향으로 일측이 연결되며 타측은 침실부(10)의 전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침실부(10)의 폭방으로 제2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돌부(23)는 제2 측벽부(13)의 가장자리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길이가 점차 증가되는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돌부(25)는 제1 돌부(21)와 제2 돌부(23)의 사이에서 루프부(15)에 연결되어 돌출되며 제3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3 돌부(25)는 루프부(15)의 전측 가장자리에 연결된 상태에서 바닥면 방향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진 제3 경사각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드 돌부(20)는 제1 내지 제3 돌부(25)를 포함하는 것으로, 침실부(10)의 전측으로 캡(cap)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차양부(3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침실부(10)의 전측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차양부(30)는 가드 돌부(2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은 침실부(10)의 전측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양부(30)는 가드 돌부(20)에 연결된 상태로 침실부(10)의 전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우천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고 직사광산의 차단이 가능하도록 가드 돌부(20)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차양부(30)는 가드 돌부(20)에 연결된 상태로 침실부(1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가 서로간에 연결된 프레임(31)과 프레임(31)을 덮는 차양 커버(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차양부(30)는 바닥면에 설치된 데크부(40)의 상부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데크부(40)는 침실부(10)의 전측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표면에는 사용자가 위치 가능한 편평면이 형성되는 것으로, 차양부(3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데크부(40)는 목재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소정의 재질로 적절하게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데크부(40)는 상부에 탁자 등의 소정의 편의 시설이 설치되어, 자외선의 차단 또는 우천시 빗물의 유입을 차단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 휴게 공간의 구현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복합 글램핑 텐트(100)는, 침실부(10)가 비대칭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게 되고, 루프부(15) 역시 제1 측벽부(11)와 제2 측벽부(13)의 경사각 및 길이 차이에 의해 경사를 이루게 되므로 우천시 빗물 등의 배수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음 물론 안정적이며, 내부 공간을 넓게 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고, 일정 각도 기울어진 형상에 의해 사용자에게 심미감의 부여가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전체적으로 프레임(16)에 커버부(18)가 덮여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별도의 설치용 끈 등이 필요없어 주변이 걸리적거리지 않고 깔끔해지는 이점도 있게 된다.
또한, 차양부(30)가 침실부(10)에 돌출된 캡(cap) 형상의 가드 돌부(20)에 의해 침실부(10)의 전면에 설치되는 바, 다양한 기후 조건에서 글램핑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글램핑 텐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글램핑 텐트(200)는, 차양부(30)의 하부에 복수개의 걸림 고리(11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걸림 고리(110)는 차양부(30)의 하부에 복수개가 서로간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 사용을 위한 소정의 편의 용품을 적절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차양부(30)의 하부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용자의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침실부 11...제1 측벽부
13...제2 측벽부 15...루프부
17...후측벽부 19...전측벽부
19a..출입부 20...가드 돌부
21...제1 돌부 23...제2 돌부
25...제3 돌부 30...차양부
40...데크부 110..걸림 고리

Claims (5)

  1. 좌측에 위치되며 우측으로 기울어진 제1 경사면이 형성된 제1 측벽부, 상기 제1 측벽부에 대향하여 우측에 위치되며 좌측으로 기울어진 제2 경사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측벽부와는 다른 길이로 형성된 우측벽부와,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 상부를 서로간 연결하면서 상기 제1 측벽부와 제2 측벽부의 길이와 각도 차이만큼 기울어진 제3 경사면이 형성된 루프부와,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의 후측의 사이를 서로간 연결하면서 전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제4 경사면이 형성된 후측벽부와,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의 전측을 서로간 연결하며 출입부가 설치된 전측벽부로 된 침실부;
    상기 침실부와 동일 각도를 가지면서 축소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침실부의 전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차양부; 및
    상기 침실부와 상기 차양부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가드 돌부;
    를 포함하는 복합 글램핑 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 상기 제2 경사면, 상기 제3 경사면, 상기 제4 경사면의 경사각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글램핑 텐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 돌부는,
    상기 제1 측벽부에 연결되어 돌출되며 제1 경사각을 갖는 제1 돌부;
    상기 제2 측벽부에 연결되어 돌출되며 제2 경사각을 갖는 제2 돌부;
    상기 제1 돌부와 상기 제2 돌부의 사이에서 상기 루프부에 연결되어 돌출되며 하향 경사진 제3 경사각을 갖는 제3 돌부;
    를 포함하는 복합 글램핑 텐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실부의 전측 바닥면에는 데크부가 설치되며,
    상기 차양부는, 상기 가드 돌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데크부의 상부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글램핑 텐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실부는,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와, 상기 루프부와, 상기 후측벽부와 상기 전측벽부를 형성하도록 연결된 복수개의 프레임;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들을 덮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복수개의 프레임들의 사이를 덮는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를 덮는 암막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글램핑 텐트.
KR2020230002184U 2022-09-16 2023-10-27 복합 글램핑 텐트 KR202400005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30002184U KR20240000541U (ko) 2022-09-16 2023-10-27 복합 글램핑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228 2022-09-16
KR2020230002184U KR20240000541U (ko) 2022-09-16 2023-10-27 복합 글램핑 텐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228 Division 2022-09-16 2022-09-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541U true KR20240000541U (ko) 2024-03-25

Family

ID=90472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0002184U KR20240000541U (ko) 2022-09-16 2023-10-27 복합 글램핑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541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518B1 (ko) 2018-07-09 2020-01-08 이창호 조립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글램핑 하우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518B1 (ko) 2018-07-09 2020-01-08 이창호 조립성과 단열성이 우수한 글램핑 하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66400A1 (en) Tent with extendable windows
US11530551B2 (en) Expandable tent with adjustable height and internal volume
US20060283103A1 (en) Gazebo
KR20240000541U (ko) 복합 글램핑 텐트
CA3103907C (en) Multi-purpose and reconfigurable outdoor furniture
JP3375897B2 (ja) オーニング装置
KR101298561B1 (ko) 프론트 캡이 구비된 낚시 텐트
KR101668292B1 (ko) 다용도실 일체형 텐트
KR101281027B1 (ko) 프론트 캡이 구비된 낚시 텐트
KR102708736B1 (ko) 타프 설치식 텐트
CN214874447U (zh) 房车
KR101660338B1 (ko) 캠핑 쉘터용 탈부착형 투명창 타프
KR200255862Y1 (ko) 다기능 파라솔 텐트
KR200179375Y1 (ko) 텐트용 플라이
CN218715486U (zh) 顶棚可开闭式凉亭
KR102476344B1 (ko) 빗물 유입 차단 구조를 갖는 텐트
KR102692297B1 (ko) 착탈 가능한 메쉬스크린이 구비된 사계절용 텐트
KR200488280Y1 (ko) 차양 방갈로 프레임
JP7421715B1 (ja) テントサウナセット及びサウナ用テント
CA3112336C (en) Apartment balcony
CN216921538U (zh) 一种具有隐藏式结构的户外重型百叶篷
KR101846261B1 (ko) 클램핑용 텐트구조
US20220412118A1 (en) Modular Tent System With Removable Roof And Floor
KR200490809Y1 (ko) 막구조물
KR102068869B1 (ko) 누마루를 구비하는 전통양식 건축물의 공간배치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