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345U - 넣고 빼기가 용이한 신발 카운터 - Google Patents

넣고 빼기가 용이한 신발 카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345U
KR20240000345U KR2020247000016U KR20247000016U KR20240000345U KR 20240000345 U KR20240000345 U KR 20240000345U KR 2020247000016 U KR2020247000016 U KR 2020247000016U KR 20247000016 U KR20247000016 U KR 20247000016U KR 20240000345 U KR20240000345 U KR 202400003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heel
foot
user
configu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470000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존 맥스웰 윅스
스콧 켈리
프랭크 에프 추앙
페이-춘 리아오
존슨 트자
후웨이 시에
커트 스톡브리지
Original Assignee
스케처스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케처스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투 filed Critical 스케처스 유.에스.에이., 인코포레이티드 투
Publication of KR202400003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345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A43B11/02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with built-in shoe-hor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8Heel stiffen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26Resilient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2Resilient supports for the hee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4Uppers made of one piece; 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43B23/045Uppers with inserted gussets
    • A43B23/047Uppers with inserted gussets the gusset being 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10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made of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16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 A43B23/17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made of plastic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6Tongues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2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upp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8Joint supports, e.g. instep supports
    • A43B7/20Ankle-joint supports or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4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 물품은 갑피(16)와 밑창 구조물(14)을 포함하며, 갑피(16)는 발 수용 신발 개구부를 포함한다. 신발 물품은, 갑피(16)에 부착되고 밑창 구조물(14)로부터 갑피(16)의 후방 힐 칼라(74)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장되는 힐 컵(52)을 더 포함한다. 또한, 힐컵(52)은 상부 부분(64), 중간 부분(58) 및 하부 부분(54)으로 균일하게 성형되고, 상부 부분(64)은 중간 부분(58)보다 횡 내외측 길이가 작으며, 중간 부분(58)과 하부 부분(54)은 발 뒤꿈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구조를 형성한다. 상부 부분은(64)은 제1 구성을 가지며, 사용자가 신발을 신을 때 사용자 발의 하중에 의해 제2 구성으로 일그러질 수 있다. 제2 구성에서, 상부 부분(64)의 적어도 일부가 제1 구성에 비해 낮아지고, 상부 부분(64)은 사용자 발의 하중이 제거된 후 제1 구성으로 복귀할 수 있다. 중간 부분(58)은 제1 두께를 갖는 외주 부분(70)과 제2 두께를 갖는 중앙 부분(50)을 포함하며, 제2 두께는 제1 두께보다 작다.

Description

넣고 빼기가 용이한 신발 카운터{FOOTWEAR COUNTER FOR EASIER ENTRY AND REMOVAL}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개시는 2021년 10월 15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3/256,521호의 우선권의 혜택을 주장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신발의 힐 카운터 또는 힐 카운터의 구성요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용자의 발이 신발에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설계된 힐 카운터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운동화와 같은 신발을 신을 때 한 손 또는 양손을 사용하거나 신발과 별도의 구둣주걱을 조작하여 발을 신발에 제대로 삽입하고 쿼터가 발 뒤꿈치 아래로 압괴되지 않도록 고정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본 고안의 양태는 발을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일그러짐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신발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양태에서, 힐 컵은 상부 부분, 중간 부분 및 하부 부분으로 균일하게 성형될 수 있고, 상부 부분은 중간 부분보다 작은 횡 내외측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중간 부분과 하부 부분은 발 뒤꿈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오목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힐 컵의 상부 부분은 그 자연 상태에서 제1 구성을 가지며, 사용자가 신발을 신을 때 사용자 발의 하중 하에서 제2 구성으로 일그러질 수 있다. 제 2 구성에서, 상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구성에 비해 낮아지고, 상부 부분은 사용자 발의 하중이 제거된 후 제 1 구성으로 복귀할 수 있다. 중간 부분은 제1 두께를 갖는 외주 부분과 제2 두께를 갖는 중앙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두께는 제1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양태에서, 힐 컵의 상부 부분은 그 자연 상태에서 제1 구성을 가지며, 사용자가 신발을 신을 때 사용자 발의 하중에 의해 제2 구성으로 일그러질 수 있고, 힐 컵은 사용자 발의 하중이 제거된 후 제1 구성으로 복귀할 수 있다. 제1 구성에서 상부 부분은 바닥의 수평 표면에 대해 법선인 수직선에 대해 제1 각도를 갖는 하향 경사를 가지며, 제2 구성에서 상부 부분은 제1 각도보다 큰 제2 각도를 갖는 경사를 갖는다. 또한, 제2 구성에서, 힐 컵의 중앙 부분의 하부 구역은 신발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향으로 확장되어, 신발 개구부가 횡 내외측 방향을 따라 넓어지게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태에서, 신발 물품의 갑피는, 형상이 실질적으로 관형이며 발 수용 신발 개구부의 최상단 구역을 형성하는 U자형 발포성 발목 칼라를 포함한다. 발포성 발목 칼라는 발 수용 신발 개구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그 위로 연장될 수 있으며, 발 삽입 동안 사용자의 발 뒤꿈치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신발에 발을 삽입하면 발목 칼라가 사용자의 발목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발목 칼라는 최상단 구역으로부터 신발 물품의 전면을 향해 하향 각도를 형성하는 납작한 구역을 발목 칼라의 길이를 따라 가질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태에서, 힐 카운터 지지부가 밑창 구조물 위에서 갑피에 위치된다. 힐 카운터 지지부는 후향 각도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중공 리셉터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중공 리셉터클 각각은 압축성 구성요소의 일 단부를 수용한다. 압축성 구성요소는 그 자연 상태에서 제1 구성을 가지며, 압축성 구성요소는 사용자가 신발을 신을 때 사용자 발의 하중 하에서 제2 구성으로 일그러질 수 있고, 사용자의 발이 신발에 완전히 삽입된 후 제1 구성으로 자동으로 복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선택된 실시예 및 양태를 예시적으로만 아래에 설명한다. 각 설명은 설명된 사항을 도시하는 도면("도")을 참조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이나 사진에 표시된 일부 도면은 왼발 또는 오른발용 신발에 대한 것일 수 있다. 각 도면에는 본 고안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 또는 요소(들)에 대한 하나 이상의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다.
다양한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면에 있어서,
도 1은 압축성 힐 컵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압축성 힐 컵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압축성 힐 컵의 측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압축 구성(도 4a)과 비압축 구성(도 4b)에서의 도 1의 압축성 힐 컵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c와 4d는 압축 구성(도 4c)와 비압축 구성(도 4d)으로 신발 안에 배치된 도 1의 압축성 힐 컵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일련의 십자형 빔을 갖도록 구성된 힐 컵의 정면도이다.
도 6a는 도 1의 힐 컵의 최후방 부분의 호 길이의 단면의 개략도이다.
도 6b는 도 1의 6-6 선을 따라 취한 도 1의 힐 컵의 단면도이다.
도 7은, 힐 카운터의 내부에 힐 컵이 위치된 것을 도시하는, 힐 카운터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힐 카운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힐 카운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10-10 선을 따라 취한 도 8의 힐 카운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강성 힐 컵이 통합된 힐 카운터를 갖는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신발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신발의 배면도이다.
도 14는 텅과 인스텝 지지부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완충 라이닝을 갖는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완충 라이닝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완충 라이닝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완충 라이닝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19-19 선을 따라 취한 도 18의 완충 라이닝의 단면도이다.
도 20a는 힐 카운터 지지부를 갖는 신발의 횡 외측 도면이다.
도 20b는 힐 카운터 지지부를 갖는 신발의 사시도이다.
도 20c는 도 20a의 신발의 배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신발의 갑피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3의 신발의 밑창 및 힐 카운터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신발은 밑창(sole)과 갑피(upper)를 포함할 수 있다. 밑창은 겉창, 중창 및/또는 일체로 형성된 겉창과 중창을 포함할 수 있다. 갑피는 토 박스, 뱀프, 텅, 횡 내측 쿼터(medial quarter), 횡 외측 쿼터(lateral quarter), 및 힐 카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신발은 앞발 부분, 뒷부분, 횡 내측 측부(medial side), 및 횡 외측 측부(lateral side)를 포함한다. 갑피는 외부 층, 내부 층 또는 내부 구조물 및/또는 내부 라이닝을 포함할 수 있다. 갑피는 사용자가 신발을 신을 때 사용자의 발을 수용할 수 있는 신발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
힐 카운터 또는 갑피의 뒷부분은 발을 신발 개구부에 쉽게 삽입할 수 있는 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물(들)은 발을 쉽게 뺄 수 있도록 지원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 힐 카운터 또는 갑피의 뒷부분이 일시적으로 더 넓어질 수 있다. 신발 개구부의 넓어짐은 사용자가 사용자 손의 도움을 거의 또는 전혀 받지 않고 사용자의 발에 의해 가해질 수 있는 하중을 힐 카운터 또는 갑피의 뒷부분에 두는 것에 의해 시작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힐 카운터는 충분한 하중 하에 놓일 때에는 압축 가능하다가 그의 비압축 상태로 돌아갈 수 있다. 힐 카운터가 낮아지면 사용자의 발을 더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발이 신발에 삽입되면 힐 카운터에 발포 구성요소와 같은 압축성 층이 있어, 사용자가 신발을 정상적으로 착용하는 동안 발을 고정하거나 발의 고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압축성 힐 컵. 도 1-10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힐 카운터(32)는 압축성 힐 컵(5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힐 컵은 갑피(16)의 내부 구성요소, 내부 라이닝(46)의 일부, 또는 힐 컵(52)이 발과 접촉하도록 갑피(16)의 내부 라이닝(46)에 인접한 부착물 또는 갑피(16)의 외부 층(42)의 일부 또는 갑피(16)의 외부 층(42)의 외부 표면의 부착물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면, 힐 컵(52)은 힐 커버링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배류의 형상(pear-like shape)과 유사한 프로파일을 갖는다. 힐 컵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힐 컵 칼라(84) 부근의 횡 내외측 폭(mediolateral width)이 하부 부분(54)의 횡 내외측 폭보다 작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힐 컵의 최후방 부분에 있는 힐 컵의 상부 부분(64)의 내벽(66)은 바닥의 수평 표면(88)에 대해 법선인 수직선(86)에 대해 0도 내지 90도 사이의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부 부분(66)은 30도의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힐 컵(52)의 상부 부분(64)의 내벽(66)은 또한 신발 개구부(48)를 향하는 볼록한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볼록한 곡률의 상단 부분은 30도의 하향 경사(A1)를 갖는다. 볼록한 곡률의 하부 부분은 발 뒤꿈치를 수용하는 힐 컵(52)의 부분 바로 위에서 연장된다. 볼록한 곡률의 하부 부분은 A1의 하향 경사보다 작은 하향 경사를 가질 수 있으며 수직선(86)과 동일한 경사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감소한다. 힐 컵(52)은 발 뒤꿈치의 뒷부분을 감싸는 오목한 곡률을 갖는다. 힐 컵(52)의 횡 내측 및 횡 외측 측부(medial and lateral sides)는 또한 연장되어 쿼터의 일부의 지지 및 심지어 뱀프까지의 지지를 형성할 수 있다.
힐 컵(52)의 두께는 다양한 위치에서 감소될 수 있다. 상단 가장자리 라인(88)은 힐 컵(52)의 내부 표면 및 힐 컵(52)의 외부 표면의 테이퍼링을 가질 수 있다. 힐 컵(52)은 다른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두께(T1)가 증가될 수 있다(예컨대, 2 내지 3mm).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두께(T1)는 신발(12)을 신거나 벗을 때 힐 컵(52)에 더 큰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 영역에서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힐 컵(52)의 두께(T1)는 힐 컵(52)의 외주의 영역을 형성하는 외주 부분(70)으로부터 중간 부분(58)의 중앙 부분 또는 구역(50)을 향해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중간 부분(58)의 중앙 구역(50)에서의 최소 두께(T1)는 힐 컵(52)의 외주에서 가장 두꺼운 부분에 대한 두께의 대략 1/4 내지 1/6, 예를 들어 0.5 내지 1mm 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단 부분의 가장 두꺼운 구역은 하단 부분의 가장 두꺼운 구역보다 더 클 수 있다. 중간 부분(58)의 중앙 구역에서의 감소된 두께(T1)는 힐 컵(52)이 충분한 하중 하에서 압축되게 할 수 있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두께(T1)는 전체 횡 내외측 부분을 가로질러 또는 중간 부분(58) 내의 구역들 및/또는 상부 부분(64)의 구역들과 같은 다수의 구역에서 감소될 수 있다. 더 얇은 영역은, 예를 들어 신발(12)을 신는 동안, 사용자의 발의 하중 하에서 필요한 압축성을 제공하는 힐 컵(52)의 증가된 유연성 및 굽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압축은 힐 컵(52)의 상부 부분(64) 및/또는 중간 부분(58)이 후방으로 이동해서 신발 개구부(48)를 넓힘으로써 발이 쉽게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힐 컵(52)은 그 자연 상태의 제1 구성으로부터, 사용자가 신발을 신을 때 사용자 발의 하중 하에서의 제2 구성으로 일그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힐 컵(52)은 부분적으로 압축되어, 힐 컵(52)의 상부 부분(64) 및/또는 중간 부분(58)이 사용자 발의 삽입을 위해 충분히 낮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길 바란다. 사용자의 발이 신발(12)에 삽입되면 힐 컵(52)은 비압축 구성으로 돌아갈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추가로, 사용자가 신발(12)을 신을 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12)의 힐 컵(52)의 볼록한 곡률의 상단 부분 또는 힐 카운터(32)의 최상부 세그먼트는 힐 카운터(32)가 압축될 때 낮아져서 발로부터 멀리 후방으로 확장될 수 있다. 이 동작을 통해 사용자의 발이 발바닥 굴곡 정도를 줄이면서 신발 개구부(48)에 삽입될 수 있다. 힐 컵(52)의 압축 동안 힐 컵(52)의 부분들이 앞발 부분의 방향을 향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힐 컵(52)의 일그러짐은 부착된 힐 카운터(32)가 힐 컵의 횡 내측 및 횡 외측 측부가 외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넓어지는 것을 포함하며, 그에 의해 신발의 개구부가 넓어질 수 있다. 신발 개구부(48)의 횡 내외측 방향의 넓어짐에 따라 사용자 발의 앞발 부분을 쉽게 삽입하는 등의 발 넣기가 용이하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7.5cm의 신발 개구부는 최대 4cm 또는 약 50%까지 넓어질 수 있다. 도 4c 및 4d를 참조하길 바란다. 신발의 사이즈와 힐 컵의 유연성에 따라 넓어짐이 더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일부 신발의 경우 고정 필요 및 사용에 따라 원하는 넓어짐이 더 적거나 클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힐 컵(5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듀퐁 하이트렐(Dupont Hytrel)과 같은 폴리머 재료로 제조된 힐 컵(52)의 두께(T1)는 0.4밀리미터 내지 4밀리미터 범위일 수 있다. 힐 컵의 두께(T1)의 범위는 재료의 원하는 탄성 및 내구성 특성에 따라 다양한 구역에서 더 얇거나 더 두꺼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 지점 구역은 그 주변 구역보다 얇을 수 있으며, 특히 도 6b에 도시된 것처럼 중앙 부분이 더 얇을 수 있다. 중앙 부분은 횡 내측 및 횡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외주 가장자리는 더 큰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기타 적합한 재료로는 다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또는 힐 컵의 압축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타 폴리머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힐 컵은 달걀판 류의 구성을 형성하는 일련의 십자형 빔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대각선 구성의 빔을 갖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빔은 또한 수직 및 측방향 구성일 수 있다. 빔 사이의 구멍은 대략 균일한 크기일 수 있다. 빔은 치수가 균일하거나 두께 및 폭이 다양할 수 있다. 더 얇거나 더 좁은 넓이의 빔은 지정된 위치에서 유연성과 압축성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더 두껍거나 넓은 빔은 다양한 정도의 견고한 지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빔은 중간 부분이 다 얇을 수 있으며, 특히 가장자리로부터 이격된 중간 부분의 중앙 부분이 더 얇을 수 있다. 주변 빔이 중앙 부분보다 두꺼울 수 있다. 중앙 부분은 하중을 받으면 일그러질 수 있도록 더 큰 유연성을 허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힐 컵(52)의 최후방 부분은 도 6a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S 파와 유사한 전체 수직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S 파의 상부 및 하부 부분은 수평 평면을 통한 지점(P1), 즉 S 파의 상부 호 끝과 하부 호 끝 사이에 그려지고 힐 카운터(52) 및 S 파의 변곡점과 교차하는 중간 선(90)에서 구분될 수 있다. S파의 상부 부분의 호의 진폭(AU) 및 폭(WU)은 S파의 하부 부분의 하부 호의 진폭(AL) 및 폭(WL)과 상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WU 는 WL 의 약 0.44배이다. AU 는 AL 의 약 1/3 이다.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WU 는 약 2 센티미터이고 WL은 약 4.5 센티미터이다. AU 는 대략 3 밀리미터이고, AL 은 대략 9 밀리미터이다. S자 구성은 힐 컵(52)의 최후방 부분의 단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영역의 단면에서 AU/AL 및 WU/WL 이 모두 감소하며 힐 컵(52)의 횡 내측 및 횡 외측 측부를 따라 하부 부분 호로만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의 힐 컵(52)의 최후방 부분에서의 측정은 예시적으로 의도된다.
힐 컵의 중간 부분의 중앙 구역은 단일 구멍 또는 복수의 구멍을 가질 수 있다. 중간 부분의 중앙 구역이 칼라의 최대 두께 및/또는 베이스의 최대 두께보다 적은 재료로 제작될 수 있는 것처럼, 힐 컵의 중간 부분의 중앙 구역은 그 외주를 형성하는 재료보다 더 큰 유연성을 가진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단일 구멍, 복수의 구멍, 더 적은 두께 및/또는 더 큰 유연성의 재료를 포함하는 중앙 구역의 결과적인 효과는 사용자의 발을 신발에 넣고 빼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추가하여, 힐 컵(52)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내부 발포 층(92)에 부착될 수 있다. 힐 컵(52)은 도 8-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피(16)의 힐 카운터(3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발포 층(92)은 힐 컵(52)의 내벽(66)과 힐 컵(52)의 외벽의 양자를 라이닝할 수 있다. 상부 부분 및 중간 부분 주변에서, 발포 층(92)은 돌출되어 신발 개구부(48) 안으로 추가로 연장될 수 있다. 발포 층(92)은 힐 컵(52)의 상부 부분(64) 및 중간 부분(58)에서 또는 이에 인접하여 더 두꺼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신발 개구부(48)의 커프스(cuff)의 일부를 형성한다. 더 두꺼운 발포 층(92)은 발포체가 사용자 발의 종골 구역 위에 위치하여 발목 구역의 적어도 일부 주위로 연장되므로, 사용자의 발이 신발(12) 내에 삽입되면 그 발을 고정시킬 수 있다. 발포체는 압축성이기 때문에 발을 넣거나 빼는 동안 발 뒤꿈치에 의해 압축될 수 있으며, 발을 넣은 후에는 사용자의 발목을 잡아줄 수 있다.
강성 힐 컵.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신발(12)은 도 11-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갑피(16)의 뒷부분(36)에 위치한 힐 카운터(32)를 가질 수 있다. 힐 카운터(32)는 힐 컵(52)을 포함할 수 있는데, 힐 컵(52)은 갑피(16)의 내부 구성요소, 내부 라이닝(46)의 일부 또는 힐 컵(52)이 발에 접촉하도록 갑피(16)의 내부 라이닝(46)에 인접한 부착물 또는 갑피(16)의 외부 층(42)의 일부 또는 갑피(16)의 외부 층(42)의 외부 표면의 부착물일 수 있다.
힐 컵은, 발의 뒤꿈치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힐 컵을 형성하는 하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힐 컵의 하부 부분은 횡 내측 측부(medial side)와 횡 외측 측부(lateral side) 양자 둘레에 측부 확장부를 추가로 가질 수 있다. 힐 컵은, 힐 컵의 하부 부분 위에 위치하며 발 뒤꿈치 뼈 위로 안쪽으로 만곡되거나 구멍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중간 부분을 가질 수 있다. 힐 컵은 힐 컵의 후방에 위치한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추가로, 힐 컵은 발의 하중 하에서 실질적으로 비압축성인 재료로 제작된 강성 힐 컵일 수 있다.
발 뒤꿈치의 발 둘레로 신발의 끼워맞춤을 향상시키기 위해 강성 힐 컵의 중간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추가될 수 있다. 구멍을 덮는 갑피 재료 층은 재료가 발 뒤꿈치의 윤곽을 따라 신장되도록 탄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신장시 탄성 재료에 의해 발생하는 장력이 신발의 정상적인 사용 동안 발의 고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힐 컵의 상부 부분은 힐 컵의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신발 개구부(48)를 향해 하향으로 만곡되는 부드러운 곡률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부분의 내벽은 상부 부분의 곡선형 상단 가장자리로부터 갑피(16)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는 전체적인 하향 경사를 갖는다. 상부 부분의 내벽은 구둣주걱과 유사한 치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 부분의 부드러운 곡률 및 하향 경사 각도에 의해 발의 뒤꿈치가 신발(12) 안으로 보다 쉽게 미끄러질 수 있다. 힐 컵은 사용자 발의 하중 하에서 실질적으로 압축되지 않는 강성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힐 컵은 일부 유연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발을 쉽게 넣고/넣거나 빼도록 하기 위해 힐 컵의 상부 부분이 신발 개구부로부터 멀리 하향으로 구부러지고/구부러지거나 신발 개구부(48)를 넓히기에 충분한 약간의 일부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힐 카운터(32)의 상단 가장자리(72)는 또한 후방 힐 칼라(74)의 탄력적인 지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힐 컵(52)이 갑피(16)에 통합될 때, 직물 재료(들)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적절한 재료(들)이 힐 컵(52)을 덮기 위해 사용되어, 갑피의 외부 층(42) 및 내부 층 또는 구조물(44)을 형성할 수 있다. 직물 재료는 힐 컵(52) 위로 연장되어, 힐 칼라(74)의 연장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발포 재료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내부 라이닝 재료(들)은 도 11의 갑피(16)의 내부 압축성 층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발포 재료(76)는 강성 힐 컵 재료에 대한 완충을 제공하기 위해 힐 컵(52)의 내부 표면에 접합될 수 있다. 발포 재료의 두께는 균일할 수도 있고, 또는 발에 대한 원하는 완충이나 지지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 달라질 수도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보다 두꺼운 발포 재료는 상부 부분(64)의 내벽(66)에 위치할 수 있고, 내벽(66)의 횡 내외측 길이(mediolateral length)를 따라 적어도 일부가 더 연장될 수 있다. 발포 재료는 도 10에 도시된 발포 재료 구성과 유사하게 신발(12)이 착용될 때 발 뒤꿈치 위의 발목의 적어도 일부 주위로 만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발은 발 삽입 동안 발포 재료를 압축할 수 있다. 발 삽입 후 발포 재료는 그의 완전 비압축 상태로 팽창하거나 부분적으로 팽창하여, 신발(12) 내에서 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 얇은 발포 재료를 사용하여 힐 컵(52)의 다른 부분을 라이닝할 수 있다.
강성 힐 컵(52)은 힐 컵(52)과 발 수용 신발 개구부(48)의 앞 부분 사이에서 갑피의 측부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탄성 구역(78)을 갖는 신발 갑피(16)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탄성 구역(78)은 발을 신발(12)에 쉽게 삽입할 수 있도록 발 수용 신발 개구부(48)를 넓히기 위해 힐 카운터(32)의 뒷부분을 일시적으로 뒤로 이동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탄성 재료를 가질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재료는 횡 내측 쿼터 또는 횡 외측 쿼터 또는 양자에 거싯의 형태와 같이 갑피의 보이드 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고어 피스(gore piece: 80)일 수 있다. 탄성 재료는 쿼터(30) 또는 뱀프(24)에 위치한 상부 부분 또는 어쩌면 텅과 힐 컵(52) 사이의 임의의 공간에 있을 수 있다. 탄성 재료는 또한 힐 컵(52)과 뱀프(24)의 횡 내측 및 횡 외측 측부 또는 어쩌면 텅 사이에서 연장되는 일련의 탄성 스트립 또는 웨빙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인스텝 지지부. 일부 실시예에서, 인스텝 지지부는 사용자가 신발을 신을 때 일부 사례에서 사용자의 발등이 인스텝의 일부 또는 텅을 스로트(throat) 영역 안으로 부분적으로 잡아 끄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텅(126)을 갖는 일부 실시예에서, 텅(126)의 상부 부분(132)의 횡 내측 측부는 횡 내측 탄성 스트랩(128)의 제1 또는 근위 단부에 부착되고, 텅(126)의 상부 부분(132)의 횡 외측 측부는 횡 외측 탄성 스트랩(130)의 제1 또는 근위 단부에 부착된다. 텅의 전방 하부 부분은 갑피에 직접 부착된다. 횡 내측 및 횡 외측 탄성 스트랩 각각은 그의 제2 또는 원위 단부에서 갑피의 내부 라이닝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탄성 스트랩은 각각 횡 내측 쿼터 및 횡 외측 쿼터의 내부 라이닝의 개구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횡 내측 및 횡 외측 탄성 스트랩 각각의 제2 단부는 각각 밑창, 삭 라이너(sockliner) 또는 갑피의 내부 라이닝 내의 구역에서 종단될 수 있다. 탄성 스트랩은 사용자가 신발을 신었을 때 텅의 일반적인 위치를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텅의 가장자리 또는 텅의 상부 부분의 횡 내측 및 횡 외측 측부 각각은 탄성 재료일 수 있는 거싯에 의해 갑피의 횡 내측 쿼터 및 횡 외측 쿼터의 갑피의 내부 라이닝에 부착된다. 거싯은 사용자가 신발을 신었을 때 텅의 일반적인 위치설정을 유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텅의 다른 실시예에서, 텅의 횡 내측 및 횡 외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는 갑피의 내부 부분 및 텅에 직접 부착되거나 스티칭될 수 있다. 게다가, 텅은 텅의 상부 부분에서 횡 내외측 방향을 따라 종래의 텅보다 넓게 연장될 수 있으며, 연장된 부분의 가장자리 또는 일부 부분이 갑피의 내부 부분에 부착 또는 스티칭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인스텝 또는 텅의 직물보다 더 큰 경도의 시트형 재료로 제작될 수 있는 인스텝 또는 텅 지지부는 텅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거나 신발 개구부를 향하는 내부 텅 층과 외부 텅 층 사이에 매립될 수 있다. 인스텝 또는 텅 지지부는 발의 삽입 동안 인스텝 또는 텅이 압괴(collapsing)되는 것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텅 지지부(134)는 텅보다 더 강성이도록 구성된 열가소성 폴리머와 같은 더 강성의 재료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인스텝 또는 텅 지지부는 0.2mm 내지 1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인스텝 지지부는 인스텝 또는 텅과 공동 연장될 수도 있고, 인스텝 또는 텅의 횡 내측 또는 횡 외측 측부를 넘어 연장될 수도 있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텅 지지부(134)는 인스텝 또는 텅보다 더 좁고 더 짧을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강용 쿼터 요소는 힐 카운터로부터 인스텝(instep) 또는 아이스테이(eyestay)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11-12의 거싯(80)과 같은 거싯이 통합될 때, 보강용 쿼터 요소는 힐 카운터(52)로부터 거싯의 전방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칼라의 상단 가장자리 둘레로 인스텝, 뱀프(24) 근처의 구역 또는 텅에 인접한 아이스테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보강용 쿼터 요소는 갑피 또는 쿼터 재료보다 더 뻣뻣할 수 있다. 보강용 쿼터 요소의 재료는 가죽, 플라스틱 또는 강성 직물로 제작될 수 있다. 보강용 쿼터 요소는 본딩 또는 스티칭을 통해 갑피에 부착할 수 있다. 보강용 쿼터 요소는 거싯의 전방 하부 가장자리와 칼라 부분을 따라 연장되는 스트립과 같은 길쭉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강용 쿼터 요소는 외부 표면에 위치할 수도 있고, 또는 갑피의 내부에 또는 갑피의 내부 라이닝의 일부를 따라 매립된 층과 같은 갑피의 내부 층일 수도 있다. 보강용 쿼터 요소는, 발을 신발에 삽입하고 힐 컵을 후방으로 밀 때 쿼터와 인스텝 구역이 압괴되거나 신발의 개구부 안으로 내향 이동하는 것에 대한 저항이 제공되도록, 신발의 개구부에 더 큰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보강용 쿼터 요소를 끈으로 묶은 신발에 사용되는 아이스테이 층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아이스테이는 쿼터와 인스텝이 압괴되거나 신발 개구부 안쪽으로 내향 이동하는 것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는 데 있어서의 추가적인 구조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발이 힐 컵을 밀어서 거싯이 후방으로 신장될 때 보강용 쿼터 요소가 후방으로 크게 당겨지지 않는다. 따라서 발이 신발에 삽입되어 힐 컵을 후방으로 밀면 신발 개구부가 더 넓어질 수 있다.
압축성 라이닝 . 일부 실시예에서, 힐 카운터 및 힐/발목 칼라의 내부 표면은 발포 층과 같은 압축성 층을 갖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압축성 층이 신발 개구부 안으로 연장될 수 있다. 압축성 층은 신발을 신거나 벗는 도중 하중을 받아 압축된다. 발이 신발에 삽입된 후 발포 층이 그의 비압축 상태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팽창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팽창은 신발 내에서 발의 고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압축성 층(100)이 적어도 발목 칼라(140)의 일부 및 힐 카운터(32)의 상부 구역 내에 매립된다. 도 15-19를 참조하길 바란다. 압축성 층(100)이 신발의 개구부까지 연장된다. 신발을 신는 동안, 발은 압축성 층에 하중을 가하고, 그에 의해 압축성 층의 일시적인 압축을 통해 신발의 개구부가 넓어진다. 발을 신발에 삽입한 후 압축성 층이 다시 그 원래의 형상으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팽창한다. 압축성 층이 팽창하면 발 주위로 발포체가 팽창하여 발의 편안함 및 고정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압축성 층은 사용자 발의 종골 위 및/또는 둘레와, 발의 발목 구역의 적어도 일부분 둘레로 연장된다.
압축성 층은 EVA 또는 폴리우레탄 폼과 같은 발포 소재의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압축성 층의 형상은 재료를 성형하고 적어도 두 층의 텍스타일 재료(textile material) 사이에 압축성 층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예비 형성될 수 있다. 압축성 층의 형상은 신발의 개구부 및/또는 신발의 발목 칼라 안으로 연장되는 둥근 외부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질 수 있다. 압축성 층의 부피는 도 17-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힐 카운터의 뒷부분에서 더 클 수 있으며 신발의 양 측부에서 발포 층의 내부 부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테이퍼질 수 있다. 압축성 층은 또한 수직 축을 따라 테이퍼지거나 둥글어질 수 있으며, 압축성 층은 발목 칼라(140)의 상부 부분에서 부피가 더 크고 발목 칼라(140)의 하부 부분에서 부피가 더 작다. 도 18-19를 참조하길 바란다. 압축성 층은 추가적인 힐 컵이나 힐 카운터의 필요 없이 전체 힐 컵을 형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성 층을 압축성 힐 컵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힐 컵은 갑피의 외부 표면을 규정할 수도 있고, 갑피의 내부 표면을 규정할 수도 있으며, 또는 예를 들어 압축성 층에 매립된 경우 내부 층을 규정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부 플랜지(118)가 발목 칼라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갑피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하부 플랜지는 발목 칼라를 갑피에 고정하는 데 필요한 임의의 치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하부 플랜지는 또한 길이도 다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플랜지는 발목 칼라로부터 하향으로 전혀 연장됨이 없이 갑피에 부착된 발목 칼라의 부분을 규정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부 플랜지는 갑피의 하단까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하향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부 플랜지는 힐 카운터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힐 컵은 하부 플랜지에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매립될 수 있다.
압축성 층(100)은 임의의 유형의 텍스타일로 덮일 수 있다. 텍스타일은 탄성이고 흡습성(wicking properties)을 가질 수 있다. 텍스타일은 압축성 층의 외부 형상에 끼워맞춤되는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열가소성 기반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가 압축성 층에 도포되고, 그 후 압축성 층이 탄성 텍스타일 슬리브에 삽입된다. 결과적 제품은 또한 발목 칼라(140)의 원하는 패턴에 따라 아교 또는 스티칭과 같은 임의의 수단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텍스타일은 또한 열가소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압축성 층(100)이 텍스타일 슬리브에 삽입된 후 열을 가하여 텍스타일을 압축성 층(100)에 융합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텍스타일이 발목 칼라 및/또는 힐 카운터의 일부를 형성하는 예비형성된 형상에 부합하도록 증기를 가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추가로, 발목 칼라(140)는 그의 상부 부분에 스티치 또는 솔기가 없고, 갑피(16)에 부착되는 하단 부분에 솔기를 가질 수 있다. 솔기 없는 발목 칼라(140)는 횡 내측 쿼터로부터 발 뒤꿈치 둘레로 횡 외측 쿼터까지 연장될 수 있다. 사용자의 발이 신발에 삽입되면, 사용자의 발 뒤꿈치가 압축성 층(100)을 힐 컵에 대해 누른다. 힐 컵은 사용자의 발 뒤꿈치가 압축성 층(100)을 누를 때 갑피(16)의 발 뒤꿈치 구역 일부의 구조적 보존성을 유지하고, 그에 의해 사용자의 손이나 외부 구둣주걱을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의 발이 신발 안으로 쉽게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의 발 뒤꿈치가 신발에 완전히 삽입되면 압축성 층이 반동하여 종골 위쪽에서 발목 구역의 부분을 둘러싼 사용자 발 뒤꿈치의 후방에 힘을 가할 수 있으며, 이는 편안함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발을 신발 안에 고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발목 칼라(140)의 솔기 없는 상부 부분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원형이다. 발목 칼라(140)는 앞부분(142)과 뒷부분(144)으로 분리될 수 있다. 앞부분과 뒷부분의 각각은 대략 원형 단면(22) 또는 반원형 단면과 유사하며, 앞부분의 반경이 뒷부분의 반경보다 크다. 도 18-19를 참조하길 바란다. 압축성 층은 힐 카운터의 내부 구조물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고 또는 압축성 층 재료를 덮는 텍스타일 슬리브를 통해 부착될 수도 있다.
힐 카운터 지지부를 갖는 압축성 힐 카운터.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힐 카운터 지지부(96)는 신발의 외부 층을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도 20-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의 횡 내측 쿼터로부터 신발의 횡 외측 쿼터까지 갑피(16)의 발 뒤꿈치 부분 둘레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힐 카운터 지지부는 쿼터의 일부를 따라, 전체 쿼터를 따라, 또는 전체 쿼터를 따라 신발의 뱀프 부분 안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힐 카운터 지지부(96)는 신발의 상이한 구역에서 높이가 다양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힐 카운터 지지부(96)의 횡 내측 단부 및 횡 외측 단부는 밑창(14) 바로 위의 갑피(16)의 베이스까지 점차적으로 높이가 감소한다. 힐 카운터 지지부(96)는 갑피의 발 뒤꿈치 부분의 횡 내측 측부에 최대 높이의 횡 내측 구역을 가질 수 있고, 갑피의 발 뒤꿈치 부분의 횡 외측 측부에 최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힐 카운터 지지부(96)는 갑피(16) 높이의 적어도 일부를 연장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갑피(16)의 횡 내측 및 횡 외측 측부의 발 뒤꿈치 부분(98)의 높이는 라스트 표면(lasting surface: 116)으로부터 대략 5cm 위이고, 발 뒤꿈치 부분의 횡 내측 및 횡 외측 측부에서의 힐 카운터 지지부(96)의 최대 높이는 라스트 표면(116)으로부터 약 3 센티미터 위이다. 힐 카운터 지지부(96)는 최대 높이의 구역으로부터 갑피(16)의 발 뒤꿈치 부분(98)의 후면을 따른 대략 균일한 높이의 구역까지 점차적으로 높이가 감소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갑피(16)의 발 뒤꿈치 부분(98)을 따른 높이는 라스트 표면(116) 위로 대략 3 센티미터까지 연장되고, 힐 카운터 지지부(96)의 뒷부분을 형성하는 부분의 대략 균일한 높이는 라스트 표면(116) 위로 대략 2 센티미터 연장된다.
힐 카운터 지지부(96)는 갑피(16)의 외부 표면을 부분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힐 카운터 지지부(96)는 갑피(16)의 발 뒤꿈치 부분(98)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는 내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힐 카운터 지지부(96)는 그 외부 표면을 가로질러 그 내부 표면까지 다양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진 스트립(argular strip: 102)이 힐 카운터 지지부(96)의 증가된 두께의 일부를 형성한다. 각진 스트립(102)은 힐 카운터 지지부(96)에 증가된 강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압축성 구성요소(1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진 스트립(102)은 압축성 구성요소(100)의 단부가 고정되는 중공 돌출부를 신발(12)의 횡 내측 및 횡 외측 측부에 구비한다. 압축성 구성요소(100)는 파이프일 수 있으며, 파이프의 각 단부는 중공 돌출부(102) 내에 고정된다. 각진 스트립(102)의 중공 돌출부는 압축성 구성요소(100)의 표면 주위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압축성 구성요소(100)는 폴리옥시메틸렌, 또는 유사한 내구성과 발의 하중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성 및 신발(12)의 발 뒤꿈치 부분의 횡 내측 측부부터 횡 외측 측부까지 만곡될 수 있는 유연성을 갖는 임의의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압축성 구성요소(100)의 중앙 세그먼트(104)가 발목 개구부 뒤 및 신발(12)의 힐 카운터 위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각진 스트립(102)은 압축성 구성요소(100)를 소정 각도로 수용하도록 설계되어, 압축성 구성요소(100)가 중공 돌출부(102) 내부로부터 신발(12)의 후면을 향해 후향 경사(A2)로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압축성 구성요소(100)의 후향 경사(A2)는 바닥(88)의 평평한 평면에 대해 약 45도이다. 도 20a를 참조하길 바란다. 발 뒤꿈치 개구부의 뒷부분에서 갑피(16)의 후방 발 뒤꿈치 부분(98) 위로 연장되는 발포 층(92)은 압축성 구성요소(100)와 공동 연장되는 후향 경사(A2)를 가질 수 있다. 발포 층(92)의 후향 경사(A2)는 신발을 신을 때 사용자의 발을 신발(12) 안으로 안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압축성 구성요소(100)의 중앙 세그먼트(104)가 갑피(16)의 최후방 부분 뒤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갑피(16)의 하나 이상의 가이드 터널(106)을 통해 끼워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죽 재료의 스트립이 발포 층(92)에 재봉되고 발 뒤꿈치 개구부의 뒷부분에서 갑피 위로 연장된다. 가죽의 스트립의 단부들은 함께 스티칭되어, 압축성 구성요소가 통과하는 가이드 터널(106)을 형성한다.
신발(12)을 신을 때, 사용자의 발은 압축성 구성요소(100) 및/또는 후방으로 경사진 발포 층(92)을 신발 개구부로부터 하향 및 후향으로 누를 수 있다. 사용자의 발이 신발(12)에 완전히 들어가면 압축성 구성요소(100)와 후방으로 경사진 발포 층(92)이 처음의 상승된 위치로 돌아간다.
발포 재료로 이루어진 추가적인 내부 발 뒤꿈치 지지부(114)는 아킬레스 건에서 발을 고정하는 것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충분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신발(12)을 신으면, 종골은 추가적인 내부 발 뒤꿈치 지지부(114)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내부 발 뒤꿈치 지지부(114)는 발이 신발에 삽입된 후 종골 위에 위치하기에 충분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추가로, 신발은 발 뒤꿈치의 뒷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진 힐 컵(52)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힐 컵은 힐 카운터로서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열가소성 재료이다. 내부 발 뒤꿈치 지지부(114)는 사용자의 발 뒤꿈치에 필요한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한 발포 재료 라이닝일 수 있다.
본 고안이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술되었지만, 본 고안의 의도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단독 구조에 대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6)

  1. 신발 물품에 있어서,
    갑피 및 밑창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갑피는 발 수용 신발 개구부를 가지며;
    강성 힐 카운터 지지부가 상기 밑창 구조물 위에서 상기 갑피에 위치되며;
    상기 힐 카운터 지지부는 후향 각도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중공 리셉터클을 가지며;
    압축성 구성요소가 양 단부를 갖고;
    상기 두 개의 중공 리셉터클 각각은 압축성 구성요소의 일 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압축성 구성요소는 제1 구성을 가지며;
    상기 압축성 구성요소는 사용자가 신발을 신고 있을 때 사용자의 발의 하중 하에서 제2 구성으로 일그러질 수 있으며;
    상기 압축성 구성요소는 사용자의 발이 신발에 완전히 삽입된 후 제1 구성으로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는
    신발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힐 카운터 지지부는 갑피의 외부 층을 형성하는
    신발 물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성 구성요소는 원통형인
    신발 물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성 구성요소는 실질적으로 신장가능하지 않으며, 횡 내측 쿼터로부터 상기 발 수용 신발 개구부 위로 횡 외측 쿼터까지 연장되고, 상기 압축성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구성에서 밑창에 더 가까이 위치되는
    신발 물품.
  5. 신발 물품에 있어서,
    갑피 및 밑창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갑피는 발 수용 신발 개구부를 가지며;
    강성 힐 카운터 지지부가 상기 밑창 구조물 위에서 상기 갑피에 위치되며;
    상기 힐 카운터 지지부는 후향 각도를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중공 리셉터클을 가지며;
    압축성 구성요소가 양 단부를 갖고, 실질적으로 신장가능하지 않으며;
    상기 두 개의 중공 리셉터클 각각은 압축성 구성요소의 일 단부를 수용하고;
    상기 압축성 구성요소는 제1 구성을 가지며;
    상기 압축성 구성요소는 제2 구성으로 일그러질 수 있으며, 상기 압축성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가 신발을 신고 있을 때 사용자의 발의 하중 하에서 밑창에 더 가까이 위치되고;
    상기 압축성 구성요소는 사용자의 발이 신발에 완전히 삽입된 후 제1 구성으로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는
    신발 물품.
  6. 신발 물품에 있어서,
    갑피 및 밑창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갑피는 발 수용 신발 개구부를 가지며;
    강성 힐 카운터 지지부가 상기 밑창 구조물 위에서 상기 갑피에 위치되며;
    상기 강성 힐 카운터 지지부는 횡 내측 부분, 힐 부분 및 횡 외측 부분을 가지며;
    상기 강성 힐 카운터 지지부는 상기 횡 내측 부분으로부터 힐 부분 둘레를 돌아 횡 외측 부분까지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횡 내측 부분, 힐 부분 및 횡 외측 부분이 밑창에 부착되며;
    상기 강성 힐 카운터 지지부는 상기 횡 내측 부분에 후향 각도를 갖는 제1 중공 리셉터클을 갖고, 상기 횡 외측 부분에 후향 각도를 갖는 제2 중공 리셉터클을 가지며;
    압축성 구성요소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실질적으로 신장가능하지 않으며;
    상기 제1 단부는 제1 중공 리셉터클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제2 중공 리셉터클에 수용되며;
    상기 압축성 구성요소는 제1 구성을 가지며;
    상기 압축성 구성요소는 사용자가 신발을 신고 있을 때 사용자의 발의 하중 하에서 제2 구성으로 일그러질 수 있으며;
    상기 압축성 구성요소는 사용자의 발이 신발에 완전히 삽입된 후 제1 구성으로 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는
    신발 물품.
KR2020247000016U 2021-10-15 2022-10-14 넣고 빼기가 용이한 신발 카운터 KR20240000345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56521P 2021-10-15 2021-10-15
US63/256,521 2021-10-15
KR2020237000036U KR20240000337U (ko) 2021-10-15 2022-10-14 넣고 빼기가 용이한 신발 카운터
PCT/US2022/046726 WO2023064568A1 (en) 2021-10-15 2022-10-14 Footwear counter for easier entry and remova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37000036U Division KR20240000337U (ko) 2021-10-15 2022-10-14 넣고 빼기가 용이한 신발 카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345U true KR20240000345U (ko) 2024-02-23

Family

ID=85987889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47000016U KR20240000345U (ko) 2021-10-15 2022-10-14 넣고 빼기가 용이한 신발 카운터
KR2020247000014U KR20240000343U (ko) 2021-10-15 2022-10-14 넣고 빼기가 용이한 신발 카운터
KR2020237000036U KR20240000337U (ko) 2021-10-15 2022-10-14 넣고 빼기가 용이한 신발 카운터
KR2020247000010U KR20240000340U (ko) 2021-10-15 2022-10-14 넣고 빼기가 용이한 신발 카운터
KR2020247000012U KR20240000342U (ko) 2021-10-15 2022-10-14 넣고 빼기가 용이한 신발 카운터
KR2020247000015U KR20240000344U (ko) 2021-10-15 2022-10-14 넣고 빼기가 용이한 신발 카운터
KR2020247000011U KR20240000341U (ko) 2021-10-15 2022-10-14 넣고 빼기가 용이한 신발 카운터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47000014U KR20240000343U (ko) 2021-10-15 2022-10-14 넣고 빼기가 용이한 신발 카운터
KR2020237000036U KR20240000337U (ko) 2021-10-15 2022-10-14 넣고 빼기가 용이한 신발 카운터
KR2020247000010U KR20240000340U (ko) 2021-10-15 2022-10-14 넣고 빼기가 용이한 신발 카운터
KR2020247000012U KR20240000342U (ko) 2021-10-15 2022-10-14 넣고 빼기가 용이한 신발 카운터
KR2020247000015U KR20240000344U (ko) 2021-10-15 2022-10-14 넣고 빼기가 용이한 신발 카운터
KR2020247000011U KR20240000341U (ko) 2021-10-15 2022-10-14 넣고 빼기가 용이한 신발 카운터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3) US20230284748A1 (ko)
EP (9) EP4364603A2 (ko)
KR (7) KR20240000345U (ko)
CN (2) CN220756721U (ko)
AU (1) AU2022362306B2 (ko)
CA (1) CA3202848A1 (ko)
CL (7) CL2023002373A1 (ko)
CO (1) CO2023006621A2 (ko)
DE (4) DE212022000099U1 (ko)
DK (16) DK202300036Y3 (ko)
ES (2) ES1306951U (ko)
FI (11) FI20245364A1 (ko)
GB (9) GB2623458A (ko)
IL (3) IL302945A (ko)
NO (3) NO20230930A1 (ko)
PE (1) PE20240620Z (ko)
PT (2) PT12258U (ko)
SE (8) SE2450279A1 (ko)
TW (1) TWM648140U (ko)
WO (1) WO2023064568A1 (ko)
ZA (1) ZA2023055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14654C (en) 2019-01-07 2022-03-22 Fast Ip, Llc Rapid-entry footwear having a compressible lattice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549A (en) * 1906-07-23 1907-08-13 Henry Metz Overshoe.
US912579A (en) * 1908-05-09 1909-02-16 Frederick W Krech Heel-pad.
US1028586A (en) * 1911-05-11 1912-06-04 Robert J Coleman Shoe-retainer.
US1174619A (en) * 1915-03-20 1916-03-07 William M Scholl Shoe-heel-retaining grip.
US1812622A (en) * 1929-12-30 1931-06-30 Dominic B George Shoe
US2275191A (en) * 1939-10-27 1942-03-03 Solomon E Schwartz Stocking protector
US3040454A (en) * 1960-10-06 1962-06-26 Int Shoe Co Shoe with elastic goring
US3768182A (en) * 1972-04-13 1973-10-30 Nippon Rubber Usa Corp Soft and securely held shoe
FR2554690B1 (fr) * 1983-11-14 1986-09-12 Technisynthese Sarl Contrefort pour chaussures de sport
US4608769A (en) * 1984-09-28 1986-09-02 Sturlaugson Lee S Shoe construction
JPH11187906A (ja) * 1997-12-26 1999-07-13 Murai:Kk 靴用月型芯
DE10019865A1 (de) * 2000-04-18 2001-10-25 Egon Wahnsiedler Schuh mit Schuhlöffel
US20020008124A1 (en) * 2000-07-20 2002-01-24 Runge Kathy L. Shoe donning device - shoe chute
GB2369551A (en) * 2000-12-04 2002-06-05 Raymond Wells Footwear with shoehorn
NL2000762C1 (nl) * 2007-07-19 2009-01-20 Intersko B V Schoen.
NZ585957A (en) * 2008-01-16 2012-09-28 James Neville Somerville Sandal with spring loaded heel strap
USD629188S1 (en) * 2009-05-14 2010-12-21 Deckers Outdoor Corporation Fleece heel portion
US8215036B2 (en) * 2009-06-22 2012-07-10 Nike, Inc. Removable heel bucket
US8181365B2 (en) * 2009-06-30 2012-05-2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including improved heel structure
US9149086B2 (en) * 2009-10-07 2015-10-06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upper with knitted elements
JP5722908B2 (ja) * 2009-11-12 2015-05-27 オジオ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早履き靴
JP4984012B2 (ja) * 2009-11-16 2012-07-25 株式会社アシックス 踵のフィット性能を改良した靴
WO2013054358A2 (en) * 2011-10-12 2013-04-18 Thaikattil Jose A sandal or a shoe
US9044063B2 (en) * 2012-05-16 2015-06-02 Srl, Llc Infant footwear
US20150113830A1 (en) * 2013-10-28 2015-04-30 Kathleen Maire Dillinger Heel grip insert
DE102014220093B4 (de) * 2014-10-02 2022-10-20 Adidas Ag Schuh
US20160183635A1 (en) * 2014-11-14 2016-06-30 JM Promotions, Inc. Shoe heel engagement support system
US10182620B2 (en) * 2015-10-16 2019-01-22 Nike, Inc. Footwear ankle collar trim transition
WO2017184943A1 (en) * 2016-04-22 2017-10-26 Fast Ip, Llc Rapid-entry footwear with rebounding fit system
US10602802B2 (en) * 2016-10-26 2020-03-31 Nike, Inc. Hinged footwear sole structure for foot ent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N114521721A (zh) * 2016-10-26 2022-05-2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鞋类跟部弹簧装置
US10743616B2 (en) * 2016-10-26 2020-08-18 Nike, Inc. Footwear heel spring device
EP3967171A1 (en) * 2016-10-26 2022-03-16 Nike Innovate C.V. Upper component for an article of footwear
JP6473201B1 (ja) * 2017-08-10 2019-02-20 美津濃株式会社 シューズ
US11000091B1 (en) * 2017-09-01 2021-05-11 Kentigern Kyle Bimodal shoe
ES1214014Y (es) * 2018-05-10 2018-09-12 Verge Dolz Virgilio Andres Calzado de fácil y rápida inserción y sujeción destinado a la práctica deportiva y uso diario
EP3813582B1 (en) * 2018-06-28 2023-03-01 Fast IP, LLC Rapid-entry footwear having an actuator arm
US20210204644A1 (en) * 2018-07-06 2021-07-08 Kentigern Kyle Shoe with bimodal heel counter and activating elements for rapid entry and release
CN108968234A (zh) * 2018-07-13 2018-12-11 郝志 方便脚跟入鞋的装置
US20200196787A1 (en) * 2018-12-20 2020-06-25 John N. DAMENT Shoe donning assist device
US10455898B1 (en) * 2018-12-21 2019-10-29 Nike, Inc. Footwear article with tongue reinforcer
US10897956B2 (en) * 2018-12-21 2021-01-26 Nike, Inc. Footwear article with asymmetric ankle collar
US10721994B2 (en) * 2018-12-28 2020-07-28 Nike, Inc. Heel structure with locating peg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JP7225423B2 (ja) * 2019-02-13 2023-02-20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履物踵支持装置
EP3930527A4 (en) * 2019-02-26 2022-10-19 Fast IP, LLC QUICK ENTRY SHOE WITH HEEL ARM AND ELASTIC ELEMENT
US11140941B2 (en) * 2019-05-03 2021-10-12 Nike, Inc. Footwear upper with unitary support frame
US11523654B2 (en) * 2020-03-13 2022-12-13 Nike, Inc. Footwear article with hinged heel
EP4312649A1 (en) * 2021-03-31 2024-02-07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with pivoting tongue and anchoring str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202470113A1 (en) 2024-05-16
US20230284747A1 (en) 2023-09-14
DE212022000112U1 (de) 2023-08-28
GB202403555D0 (en) 2024-04-24
DK202470095A1 (en) 2024-04-22
CL2023002399U1 (es) 2023-11-17
WO2023064568A1 (en) 2023-04-20
EP4364601A2 (en) 2024-05-08
CL2023002373A1 (es) 2024-01-19
EP4364604A2 (en) 2024-05-08
DK202470097A1 (en) 2024-04-22
ES1307137U (es) 2024-05-03
DK202470094A1 (en) 2024-04-19
CL2023002398U1 (es) 2023-11-17
GB202404129D0 (en) 2024-05-08
GB202400732D0 (en) 2024-03-06
GB202400731D0 (en) 2024-03-06
KR20240000337U (ko) 2024-02-23
CN220859550U (zh) 2024-04-30
DK202400020U1 (da) 2024-04-15
IL302899A (en) 2023-07-01
DK202400014Y3 (da) 2024-03-18
IL302945A (en) 2023-07-01
FI20245366A1 (fi) 2024-03-28
EP4368057A2 (en) 2024-05-15
KR20240000344U (ko) 2024-02-23
SE2350738A1 (en) 2023-06-16
SE2450381A1 (en) 2024-04-10
ZA202305574B (en) 2024-03-27
EP4258928A1 (en) 2023-10-18
DK202300036Y3 (da) 2024-02-28
CL2023002396A1 (es) 2024-01-19
FI20245367A1 (fi) 2024-03-28
ES1306951U (es) 2024-04-25
FI20245374A1 (fi) 2024-03-28
DK202400017U1 (da) 2024-04-15
US20230284745A1 (en) 2023-09-14
DK202400014U1 (da) 2024-02-22
FI20245364A1 (fi) 2024-03-28
DK202470096A1 (en) 2024-04-22
GB2623458A (en) 2024-04-17
DE112022000220T5 (de) 2023-08-17
EP4258928A4 (en) 2024-05-22
CL2023002397U1 (es) 2023-11-17
EP4344573A2 (en) 2024-04-03
EP4368058A2 (en) 2024-05-15
IL302940A (en) 2023-07-01
DK202370318A1 (en) 2023-07-07
FI20245368A1 (fi) 2024-03-28
US20230284748A1 (en) 2023-09-14
DE212022000099U1 (de) 2023-07-11
GB202403481D0 (en) 2024-04-24
DK202400015Y3 (da) 2024-03-18
KR20240000343U (ko) 2024-02-23
FI20235646A1 (en) 2023-06-09
KR20240000340U (ko) 2024-02-23
DK202400020U8 (da) 2024-05-17
CL2023002394A1 (es) 2024-01-19
EP4349202A2 (en) 2024-04-10
CA3202848A1 (en) 2023-04-20
SE2450279A1 (en) 2024-03-12
DK202300036U1 (da) 2023-10-03
GB202403557D0 (en) 2024-04-24
DK202400019U1 (da) 2024-04-15
NO20230930A1 (en) 2023-08-31
NO20231010A1 (en) 2023-08-31
GB2616224A (en) 2023-08-30
FI13550Y1 (fi) 2024-02-19
FI20235905A1 (en) 2023-08-11
FI20235903A1 (en) 2023-08-11
SE2350807A1 (en) 2023-06-29
DK202400015U1 (da) 2024-02-22
EP4364602A2 (en) 2024-05-08
GB202404132D0 (en) 2024-05-08
CO2023006621A2 (es) 2023-06-09
PT12259U (pt) 2024-03-27
DK202470112A1 (en) 2024-05-14
PE20240620Z (es) 2024-03-26
SE2450282A1 (en) 2024-03-12
AU2022362306A1 (en) 2023-06-22
GB202403482D0 (en) 2024-04-24
KR20240000342U (ko) 2024-02-23
EP4364603A2 (en) 2024-05-08
DK202470057A1 (en) 2024-03-05
CL2023002395A1 (es) 2024-01-19
SE2450280A1 (en) 2024-03-12
AU2022362306B2 (en) 2024-05-02
DK202400018U1 (da) 2024-04-15
DK202470056A1 (en) 2024-03-05
DK202470094A8 (en) 2024-04-22
KR20240000341U (ko) 2024-02-23
NO20231011A1 (en) 2023-08-31
DE212022000110U1 (de) 2023-08-28
EP4344573A3 (en) 2024-05-22
SE2450380A1 (en) 2024-04-10
CN220756721U (zh) 2024-04-12
FI20245362A1 (fi) 2024-03-28
FIU20244001U1 (fi) 2024-01-04
TWM648140U (zh) 2023-11-11
PT12258U (pt) 2024-03-27
SE2450281A1 (en)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02470112A1 (en) Footwear counter for easier entry and removal
AU2023203319A1 (en) Footwear counter for easier entry and removal
AU2023203320A1 (en) Footwear counter for easier entry and removal
TWM654732U (zh) 鞋子製品之鞋面
TWM653012U (zh) 鞋子製品
TWM654731U (zh) 鞋子製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