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334U - 캡슐볼회전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캡슐볼회전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334U
KR20240000334U KR2020220001994U KR20220001994U KR20240000334U KR 20240000334 U KR20240000334 U KR 20240000334U KR 2020220001994 U KR2020220001994 U KR 2020220001994U KR 20220001994 U KR20220001994 U KR 20220001994U KR 20240000334 U KR20240000334 U KR 2024000033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ball
capsule ball
rotation
lo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9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명수
Original Assignee
서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명수 filed Critical 서명수
Priority to KR20202200019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334U/ko
Publication of KR202400003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334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 A63B22/00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involving an exercising of arms with particular movement of the arms provided by handles moving otherwise than pivoting about a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1/00Hollow inflatable ba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1/00Hollow inflatable balls
    • A63B2041/005Hollow inflatable balls with counterweight for adjusting the centre of grav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1Special aerodynamic features, e.g. airfoil shapes, wings or air pass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쌍구형 손잡이를 파지하고 회전운동시 회전축에 형성된 V형 홈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역회전 방향으로 캡슐볼 회전 궤도가 형성되고, 금속으로 이루어진 무게추를 내포한 캡슐볼 수를 가감하여 중량을 조절할 수 있고, 섬유로 이루어진 리본 수를 가감하여 공기저항을 조절하고 회전속도를 증감시키면서 실내외에서 남녀노소가 팔과 어깨 운동을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캡슐볼 회전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쌍구형 손잡이를 양손으로 파지하고 회전운동을 하면 고리줄에 형성된 캡슐볼이 회전 궤도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캡슐볼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정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V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쌍구형 손잡이는 그립(Grip)감을 배가시키기 위해 크기가 다른 두 개의 나무공을 결합하여 손잡이가 쌍구형 손잡이로 형성되고, 상기 캡슐볼은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금속으로 이루어진 무게추를 내포한 캡슐볼로 형성되고, 상기 캡슐볼은 불빛 회전원 궤도를 형성하기 위해 LED 진동볼을 내포한 캡슐볼로 형성되며, 상기 고리줄은 원운동시 강한 구심력을 유지하면서 회전운동을 지속하기 위해 인장력이 강한 고리줄로 형성되며, 상기 리본(53)은 회전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공기저항을 조절할 수 있는 면섬유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실내외 좁은 공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중량과 반경 및 속도를 간단히 조절하면서 다양한 운동방법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운동하면서 팔과 어깨의 근력과 지구력을 키우는 운동, 유산소 운동, 다이어트 운동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캡슐볼 회전 운동기구{Capsule ball rotation exercise equipment}
본 고안은 캡슐볼 회전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쌍구형 손잡이를 파지하고 회전운동시 회전축에 형성된 V형 홈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역회전 방향으로 캡슐볼 회전 궤도가 형성되고, 금속으로 이루어진 무게추를 내포한 캡슐볼 수를 가감하여 중량을 조절할 수 있고, 섬유로 이루어진 리본 수를 가감하여 공기저항을 조절하고 회전속도를 증감시키면서 실내외에서 남녀노소가 팔과 어깨 운동을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캡슐볼 회전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들식 팔 운동기구는 핸들을 원형으로 돌리면서 동시에 팔을 원형으로 돌리며 팔을 스트레칭 할 수 있는 운동기구이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팔 운동기구는 핸들을 회전시켜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운동기구가 바닥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운동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서만 운동을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운동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자는 고리 줄을 이용한 회전 운동기구를 출원하여 실용신안 등록(등록번호 2002924540000)을 받았다. 상기 고리 줄을 이용한 회전 운동기구는 원운동 원리에서 착안하여 고안한 운동기구이다. 원운동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물체를 회전의 중심으로 끌어당겨 회전하게 하는 구심력의 원리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심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물체의 질량, 원운동으로 이동하는 속도, 원운동 반경의 변화이다. 따라서 물체의 질량이 클수록, 원의 반지름이 작을수록, 그리고 물체의 속력이 클수록 구심력의 크기는 증가하고 원운동의 효과도 배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리 줄을 이용한 회전 운동기구는 원운동 원리를 활용하여 누구나 쉽게 두 손으로 고리 줄을 회전하여 운동할 수 있고, 다양한 운동방법으로 운동할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하여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운동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고리 줄을 이용한 회전 운동기구는 무게추를 회전하는 운동이므로 회전운동시 원심력에 의해 강한 중량감을 느끼게 된다. 이때 손잡이가 이탈되지 않도록 강하게 파지할 수 있는 그립감이 강한 손잡이가 필요하다.
또한, 회전운동시 원심력에 의해 강한 중량감을 갖는 무게추가 신체에 충돌 시,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전운동시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데 이때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회전축 V형 홈에 고리줄로 연결된 캡슐볼을 회전하면서, 실내외에서 남녀노소 누구나 쌍구형 손잡이를 파지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회전운동시 금속으로 이루어진 무게추를 내포한 캡슐볼 수를 추가하면서 구심력의 크기를 증가시켜서 원운동의 효과를 배가시키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운동시 인장력이 강한 고리줄로 강한 구심력을 유지하면서 회전운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회전운동시 섬유로 이루어진 리본 수를 추가하면서 공기저항을 조절해서 회전속도를 증감시키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회전운동시 캡슐볼에 삽입된 LED 진동볼에 의해서 불빛 회전원 궤도를 형성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캡슐볼(41) 회전 운동기구는, V형 홈이 형성된 회전축(12)으로 이루어진 회전부(10)에 결합된 쌍구형 손잡이(26)와, 상기 회전부의 V형 홈에 연결되는 고리줄(31)과, 상기 고리줄(31)에 형성되는 캡슐볼(41)과, 상기 캡슐볼에 형성되는 섬유 리본(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캡슐볼(41) 회전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0)는 양손으로 쌍구형 손잡이(26)를 파지하고 회전운동을 하면 고리줄(31)에 형성된 캡슐볼(41)이 회전 궤도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캡슐볼(41)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정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V형 홈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10)에 결합된 쌍구형 손잡이(26)는 그립(Grip)감을 배가시키기 위해 크기가 다른 두 개의 나무공, 즉 앞 나무공(21)과 상기 나무공보다 직경이 큰 뒤 나무공(24)을 결합하여 손잡이가 쌍구형 손잡이(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리줄(31)에 형성된 캡슐볼(41)은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금속으로 이루어진 무게추(45)를 내포한 캡슐볼(4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리줄(31)에 형성된 캡슐볼(41)은 불빛 회전원 궤도를 형성하기 위해 LED 진동볼(47)을 내포한 캡슐볼(4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리줄(31)은 원운동시 강한 구심력을 유지하면서 회전운동을 지속하기 위해 인장력이 강한 고리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캡슐볼(41)에 형성되는 리본(53)은 회전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공기저항을 조절할 수 있는 면섬유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실내외 좁은 공간에서 제자리 서서 회전운동, 제자리 무릎 구부리고 회전운동, 제자리 뛰면서 회전운동, 제자리 점프하면서 회전운동, 양팔 엇갈리게 회전운동, 의자에 앉아서 회전운동 등의 다양한 운동방법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게추를 내포한 캡슐볼(41)의 수를 추가하면서 다양한 동작으로 운동을 하면, 팔과 어깨의 근력과 지구력을 키울 수 있고, 다이어트 및 관절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캡슐볼 내부에 삽입된 금속 무게추가 충분한 빈 공간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회전운동시 신체에 충돌로 인한 상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앞으로 돌리기, 뒤로 돌리기, 천천히 돌리기, 빠르게 돌리기 등 사용자 스스로 운동 강도를 쉽게 조절하면서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캡슐볼(41)과 리본을 간단하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으므로 휴대 및 보관이 매우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LED 진동볼(47)을 내포한 캡슐볼(41)로 회전운동시 불빛 회전원 궤도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캡슐볼 회전 운동기구의 전체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부의 확대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결부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쌍구형 손잡이부의 확대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쌍구형 손잡이부의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연결부의 확대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캡슐볼부의 확대 도면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캡슐볼부의 내부 사시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저항부의 확대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캡슐볼 회전 운동기구의 운동방법 예시도
이하, 본 고안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캡슐볼(41) 회전 운동기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2)에 결합된 V형 홈으로 이루어진 회전부(10)와, 상기 회전부(10)에 형성된 앞 나무공(21) 직경보다 뒤 나무공(24)의 직경이 큰 쌍구형으로 이루어진 쌍구형 손잡이부(20)와, 상기 쌍구형 손잡이부(20)에 형성된 고리줄 연결부(30)와, 상기 연결부(30)에 형성된 캡슐볼부(40)와, 상기 캡슐볼부(40)에 형성된 공기저항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12)에 형성된 V형 홈으로 이루어진 회전부(10)는, 회전축(12)에 축헤드 보다 직경이 큰 두 개의 와셔(13)를 삽입하고 두 와셔 사이에 드라이 베어링(14)을 삽입하여 V형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캡슐볼(41) 회전 운동기구는, 회전축(12)에 V형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양손으로 쌍구형 손잡이(26)를 파지하고 캡슐볼(41)을 회전시키면 사용자가 원하는 정역회전 방향으로 캡슐볼(41) 회전 궤도가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회전운동시 캡슐볼(41)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고 회전 궤도를 형성하면서 원운동과 구심력을 유지하면서 지속적인 운동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구형 손잡이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쌍구형 손잡이부(20)는 회전부(10)에 크기가 다르고 가운데 구멍이 형성된 두 개의 나무공, 즉 앞 나무공(21) 직경보다 뒤 나무공(24)의 직경이 큰 두 개의 나무공을 결합하여 쌍구형 손잡이를 구성한다. 상기 쌍구형 나무공 사이에 나무공 구멍보다 직경이 큰 두 개의 와셔(13)와 드라이 베어링(23)을 삽입하고, 두 나무공을 관통하고 있는 회전축(12)을 고정너트(25)로 결합하여 상기 두 나무공 사이에 엄지와 검지 손가락이 위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캡슐볼(41) 회전 운동기구는, 금속 무게추를 내포한 캡슐볼(41)을 회전하는 운동이므로 회전운동시 원심력에 의해 강한 중량감을 느끼게 된다. 이때 손잡이가 이탈되지 않도록 파지할 수 있는 강한 그립감이 있는 손잡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에서는 손잡이의 재질을 그립감이 좋은 목재를 선택하였고 손잡이 형태를 V형 홈이 형성되는 쌍구형 손잡이(26)로 고안하였다. 쌍구형 손잡이(26)는 두 나무공 사이에 있는 V형 홈의 위치에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그립을 형성하여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막대형 손잡이보다 강한 그립감을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에 따라 회전운동시 캡슐볼(41) 회전 운동기구가 손에서 이탈되지 않고 강한 그립감을 유지하면서 운동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1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10)에 형성된 연결부는 인장력이 강한 고리줄(31)로 이루어져 있다. 인장력이 강한 낚시줄(32)을 더블슬리브(33)로 압착하고 줄을 결속하여 고리줄을 만들고 카라비너(34)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캡슐볼(41) 회전 운동기구는, 금속 무게추(45)를 내포한 캡슐볼(41)을 회전하는 운동이므로 회전운동시 원심력에 의해 강한 중량감을 느끼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강한 중량감을 견디면서 회전운동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그 회전 중량을 견딜 수 있는 인장력이 강한 고리줄(31)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에서는 인장력이 강한 100호 낚시줄(32)을 선택하였고, 그 낚시줄로 이루어진 고리를 고안하였다. 인장력이 강한 100호 낚시줄(32)을 더블슬리브(33)로 압착하여 고리줄(31)을 만들고 그 고리줄(31)을 카라비너(34)로 연결한다. 상기 고리줄(31)은 회전운동시 강한 회전 중량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인장력이 강한 고리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회전운동시 고리줄(31)이 강한 회전 중량을 견디면서 끊어지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정역회전 방향으로 운동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3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볼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부(30)에 형성된 캡슐볼부(40)는 금속 무게추(45)와 LED 진동볼(47)을 내포한 캡슐볼(4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캡슐볼(41)은 금속 무게추(45)와 LED 진동볼(47)을 내포하고 있고 인장력이 강한 고리줄(31)로 결속되어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캡슐볼(41) 회전 운동기구의 고리줄(31)에 결속된 캡슐볼(41)은 금속 무게추(45)를 내포하고 고리줄(31)로 결속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수량을 간단하게 증감시켜서 중량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캡슐볼(41)은 LED 진동볼(47)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회전운동시 불빛 회전원 궤도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에서는 인장력이 강한 100호 낚시줄(32) 두 갈래에 두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반쪽 캡슐(42)을 삽입하고, 그 반쪽 캡슐(42) 안쪽에 충격완화용볼(46)을 두 갈래의 낚시줄(32)에 한 개씩 삽입하고, 충격완화용볼(46) 위에 구멍이 있는 금속 무게추(45)를 삽입하고, 상기 무게추(45) 위에 충격완화용볼(46)을 추가로 삽입한 후, 상기 캡슐에 LED 진동볼(47)을 삽입하고, 나머지 반쪽 캡슐(42)을 결합한 후에 두 갈래의 100호 낚시줄(32)을 더블슬리브(33)로 압착하여 결속한 캡슐볼(41)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회전운동시 사용자가 원하는 수량을 간단하게 증감시켜서 중량을 조절할 수 있고, 회전운동시 불빛 회전원 궤도를 형성하면서 운동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30)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저항부(5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캡슐볼부(40)에 형성된 공기저항부(50)는 섬유 리본(53)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공기저항부(50)는 부드러운 섬유 리본(53)을 고리줄(58)로 결합하여 카라비너(56)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캡슐볼(41) 회전 운동기구는, 금속 무게추(45)를 내포한 캡슐볼(41)을 회전하는 운동이므로 회전운동시 매우 빠른 속도로 회전한다. 이때 빠른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에서는 공기저항력이 있는 부드러운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리본(53)을 선택했고, 상기 리본을 30호 낚시줄(54)로 결속하여 상기 낚시줄(54)을 외슬리브(55)로 압착하고 결속한 고리줄 리본(52)을 형성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공기저항용 리본(51)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회전운동시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 공기저항용 리본(51)을 간단하게 증감하여 회전속도를 조절하면서 운동을 할 수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캡슐볼(41) 회전 운동기구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2)에 축헤드보다 직경이 큰 와셔(13), 드라이 베어링(14), 연결 고리줄(31), 축헤드보다 직경이 큰 와셔(13), 작은 나무볼(21) 등을 차례로 조립하여 V형 홈이 형성되도록 조립한다.
상기 회전축(12)에 V형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리줄(31)은 회전축(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2)에 가운데 구멍이 형성된 직경이 작은 나무공(21), 와셔(13), 드라이 베어링(14), 와셔(13), 가운데 구멍이 형성된 직경이 큰 나무공(24) 등을 차례로 조립하여 V형 홈 공간이 형성되도록 쌍구형 손잡이(26)를 조립한다.
상기 쌍구형 손잡이(26)에 V형 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두 나무공 사이에 있는 V형 홈 공간에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그립을 형성하여 파지할 수 있기 때문에 쌍구형 손잡이(26)는 강한 그립감을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력이 강한 100호 낚시줄(32)을 더블슬리브(33)로 압착하고 줄을 결속하여 고리줄(31)을 만들고 그 고리줄(31)을 카라비너(34)로 연결하여 조립한다.
상기 연결된 고리줄(31)은 강한 인장력을 갖고 있으므로 회전운동시 캡슐볼(41)이 강한 회전 중량을 견디면서 끊어지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정역회전 방향으로 운동을 할 수가 있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력이 강한 100호 낚시줄(32) 두 갈래에 두 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반쪽 캡슐(42), 충격완화용볼(46), 구멍이 있는 금속 무게추(45), 충격완화용볼(46) 등을 차례로 삽입한 후, 상기 캡슐(42)에 LED 진동볼(47)을 삽입하여 나머지 반쪽 캡슐(42)을 결합한 후에 두 갈래의 낚시줄을 더블슬리브(33)로 압착하여 결속해서 조립한다.
상기 캡슐볼(41)이 금속 무게추(45)와 LED 진동볼(47)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회전운동시 사용자가 원하는 캡슐볼 수를 증감하여 중량을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고, 불빛 회전원 궤도를 형성하면서 운동을 할 수가 있다.
이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저항력이 있는 부드러운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리본(53)을 30호 낚시줄(54)과 함께 외슬리브(55)로 압착하고 결속하여 조립한다.
마지막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와 쌍구형 손잡이부(20)와, 고리줄 연결부(30)와, 캡슐볼부(40)와, 공기저항부(50)를 카라비너로 차례로 연결하면 캡슐볼 회전 운동기구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어서 본 고안에 따른 캡슐볼(41) 회전 운동기구의 운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캡슐볼(41) 회전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팔과 어깨의 근력과 지구력을 키울 수 있는 운동방법 예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캡슐볼(41) 회전 운동기구는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자리 서서 회전운동, 제자리 무릎 구부리고 회전운동, 제자리 뛰면서 회전운동, 제자리 점프하면서 회전운동, 양팔 엇갈리게 회전운동, 의자에 앉아서 회전운동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캡슐볼(41)을 회전하면서 팔과 어깨의 근력과 지구력을 키우는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운동을 하면서 앞으로 돌리기, 뒤로 돌리기, 천천히 돌리기, 빠르게 돌리기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캡슐볼(41) 회전 전신운동을 하면서 유산소운동과 다이어트 운동을 동시에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캡슐볼(41) 회전 운동기구는 쌍구형 손잡이(26)를 파지하고 회전 운동을 하면 회전에 의해 회전부(10)에 연결된 캡슐볼(41)이 지속적으로 회전 운동을 하면서, 팔과 어깨의 근력과 지구력을 키우는 운동, 유산소 운동, 다이어트 운동 효과를 누릴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중량과 반경 및 속도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 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회전부
20: 쌍구형 손잡이부
30: 연결부
40: 캡슐볼부(Capsule ball)
50: 공기저항부
11: 회전축부
12: 회전축
13: 큰 와셔 (Washer)
14: 회전축 V형 홈 드라이 베어링(Dry Bearing)
21: 앞쪽 작은 나무공
22: 작은 와셔
23: 나무공 V형 홈 드라이 베어링
24: 뒤쪽 큰 나무공
25: 고정 너트
26. 쌍구형 손잡이
31: 연결고리줄
32: 100호 낚시줄
33: 더블슬리브(Double sleeve)
34: 연결고리줄 결속용 카라비너(Carabiner)
41: 캡슐볼
42: 반쪽 캡슐
43: 결합된 캡슐
44: 캡슐볼 고리
45: 금속 무게추
46: 충격완화볼
47: LED 진동볼
51: 추가된 공기저항용 리본
52: 고리줄 연결된 리본
53: 섬유 리본
54: 30호 낚시줄
55: 외슬리브
56: 리본 결속용 카라비너
57: 클립 연결고리
58: 리본 결속용 고리줄

Claims (6)

  1. V형 홈이 형성된 회전축(12)으로 이루어진 회전부(10)에 결합된 쌍구형 손잡이(26)와, 상기 회전부의 V형 홈에 연결되는 고리줄(31)과, 상기 고리줄(31)에 형성되는 캡슐볼(41)과, 상기 캡슐볼에 형성되는 섬유 리본(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캡슐볼(41) 회전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0)는 양손으로 쌍구형 손잡이(26)를 파지하고 회전운동을 하면 고리줄(31)에 형성된 캡슐볼(41)이 회전 궤도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캡슐볼(41)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정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V형 홈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볼(41) 회전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10)에 결합된 쌍구형 손잡이(26)는 그립(Grip)감을 배가시키기 위해 크기가 다른 두 개의 나무공, 즉 앞 나무공(21)과 상기 나무공보다 직경이 큰 뒤 나무공(24)을 결합하여 손잡이가 쌍구형 손잡이(2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볼(41) 회전 운동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줄(31)에 형성된 캡슐볼(41)은 중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금속으로 이루어진 무게추(45)를 내포한 캡슐볼(4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볼(41) 회전 운동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줄(31)에 형성된 캡슐볼(41)은 불빛 회전원 궤도를 형성하기 위해 LED 진동볼(47)을 내포한 캡슐볼(4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볼(41) 회전 운동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줄(31)은 원운동시 강한 구심력을 유지하면서 회전운동을 지속하기 위해 인장력이 강한 고리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캡슐볼(41) 회전 운동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슐볼(41)에 형성되는 리본(53)은 회전속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공기저항을 조절할 수 있는 면섬유 리본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볼(41) 회전 운동기구.
KR2020220001994U 2022-08-16 2022-08-16 캡슐볼회전운동기구 KR2024000033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994U KR20240000334U (ko) 2022-08-16 2022-08-16 캡슐볼회전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994U KR20240000334U (ko) 2022-08-16 2022-08-16 캡슐볼회전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334U true KR20240000334U (ko) 2024-02-23

Family

ID=9004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994U KR20240000334U (ko) 2022-08-16 2022-08-16 캡슐볼회전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33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1333B2 (en) Jump rope device comprising a removably-connected cable
US10478655B2 (en) Jump rope device with removably-connected cable
US11148001B2 (en) Exercise system
US825187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unctional training exercises having function-specific user interfaces
US9320932B2 (en) Exercise jump rope
JP4772874B2 (ja) ピッチング訓練方法及び装置
US8210997B2 (en) Exercise device
US20110306474A1 (en) Rope-less jump rope simulator and resistance exercise device
US20040002408A1 (en) Virtual jump rope device
US20100240501A1 (en) Jump rope simulator
TWM367013U (en) Twisting and jumping type sports apparatus
US20100016135A1 (en) Exercise device for abdominal and other core muscles
US6887188B1 (en) Virtual jump rope
US6896643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20170087395A1 (en) Kinzi
US10426988B1 (en) Resistance exercise device
KR20240000334U (ko) 캡슐볼회전운동기구
US11607573B2 (en) Jump rope device with removably-connected cable and improved bearing assembly therefor
KR101243264B1 (ko) 유희용 운동기구
US4872671A (en) Exercise device providing varied and predetermined resistance
CN201094829Y (zh) 一种单端式腕力练习器
EP1857148A1 (en) Tug-of-war exercise machine
US4681317A (en) Golf exercise device
US20100029450A1 (en) Crunch ball rotator tension bar exerciser
KR20080000683U (ko) 라켓용 연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