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265U - 로봇 청소기 - Google Patents

로봇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265U
KR20240000265U KR2020220001908U KR20220001908U KR20240000265U KR 20240000265 U KR20240000265 U KR 20240000265U KR 2020220001908 U KR2020220001908 U KR 2020220001908U KR 20220001908 U KR20220001908 U KR 20220001908U KR 20240000265 U KR20240000265 U KR 202400002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robot
present
pad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9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우철
김민규
강승구
Original Assignee
에브리봇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브리봇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브리봇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200019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265U/ko
Publication of KR202400002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265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38Disk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Landscapes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얇은 두께를 갖는 1회용 클리너를 사용하여도 청소 성능을 저해하지 않고 1회용 클리너의 장점을 살리면서 이동 및 청소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바디(body);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하여 복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운동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이동력원을 제공하는 복수의 회전 부재; 상부면이 상기 복수의 회전 부재 각각에 탈부착 가능하고 하부면에 클리너가 각각 탈부착 가능한 복수의 중간 패드; 및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액체를 저장하여 상기 중간 패드를 통하여 상기 클리너에 상기 저장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중간 패드는, 상기 액체가 상기 클리너로 공급되기 위한 유로(流路)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로봇 청소기 {A Robot Cleaner}
본 고안은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얇은 두께를 갖는 1회용 클리너를 사용하여도 청소 성능을 저해하지 않고 1회용 클리너의 장점을 살리면서 이동 및 청소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기술 개발로 인해 이동 로봇의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로봇의 활용도 및 활용처가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사용자의 수동 조작이 없이도 자율적으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다양한 로봇 청소기 중에서도, 바퀴 없이 습식용 및/또는 건식용 클리너(예를 들어, 걸레)가 부착된 회전 부재의 회전력을 이동력원으로 이용하는 로봇 청소기가 관련 시장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로봇 청소기는 바퀴를 이용하여 주행하는 로봇 청소기보다 클리너의 바닥면(피청소면)에 대한 밀착력 및 마찰력이 증대하여 바닥면에 고착된 이물질이나 찌든 때 등을 잘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로봇 청소기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1은 상부에서 바라본 종래 기술에 따른 로봇 청소기(10)를 도시하고, 도 2는 측면에서 바라본 종래 기술에 따른 로봇 청소기(10)를 도시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07398호에 개시된 로봇 청소기를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의 예로 들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참조번호 11은 상기 로봇 청소기(10)의 바디를 나타내고, 참조번호 15 및 16은 상기 로봇 청소기(10)의 하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회전 부재(도면 미도시)에 각각 부착된 클리너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로봇 청소기(10)는 상기 복수의 회전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에 의해 이동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복수의 회전 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클리너(15, 16)에 의해 피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다.
특히,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로봇 청소기(10)는 상기 복수의 클리너(15, 16)가 바닥면에 대해 소정의 기울기를 형성하도록 상기 복수의 회전 부재가 형성되는데, 이는 클리너(15, 16)의 일측에 마찰력이 크게 작용하도록 하여 마찰력이 큰 일측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10)가 이동하는 동력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부재가 기울어져 있거나, 피청소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등 피청소면의 평탄도가 낮은 경우 청소 효율이 저하되므로, 피청소면과의 접촉 면적 또는 마찰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천으로 된 두꺼운 클리너(걸레, 15, 16)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습식 청소를 수행하기 위해 물과 같은 액체를 저장하여 클리너(15, 16)로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최근 들어 편의성이 추구되면서 1회용 클리너(걸레)의 수요가 증가 추세에 있는데, 1회용 클리너의 경우 두께가 얇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의 회전 부재에 직접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 청소 성능이 매우 낮아진다.
따라서, 얇은 두께를 갖는 1회용 클리너를 사용하는 경우, 로봇 청소기의 회전 부재에 소정의 두께를 갖는 중간 패드를 부착하고, 상기 중간 패드에 1회용 클리너를 부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습식 청소의 경우, 상기 중간 패드가 1회용 클리너로 전달되어야 할 액체를 과도하게 흡수하거나 상기 중간 패드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으면 청소 성능이 대폭 떨어지게 된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중간 패드는 로봇 청소기의 회전 부재의 중앙에 부착하기가 쉽지 않고 상기 중간 패드의 두께가 불균일하여 로봇 청소기의 주행 속도와 방향이 제대로 제어되지 않으며, 상기 중간 패드가 물을 과도하게 흡수하여 청소 성능을 대폭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과제는, 얇은 두께를 갖는 1회용 클리너를 사용하여도 청소 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과제는, 얇은 두께를 갖는 1회용 클리너를 사용하는 경우, 1회용 클리너와 회전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 패드가 액체를 과도하게 흡수하지 않도록 하거나 액체 흡수를 차단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과제는, 1회용 클리너와 회전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 패드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여 주행 속도와 방향을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과제는, 1회용 클리너와 1회용 클리너를 부착하기 위한 중간 패드가 회전 부재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주행 속도 및 방향 제어가 저해되지 않도록 하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른 로봇 청소기는,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바디(body);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하여 복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운동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이동력원을 제공하는 복수의 회전 부재; 상부면이 상기 복수의 회전 부재 각각에 탈부착 가능하고 하부면에 클리너가 각각 탈부착 가능한 복수의 중간 패드; 및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액체를 저장하여 상기 중간 패드를 통하여 상기 클리너에 상기 저장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중간 패드는, 상기 액체가 상기 클리너로 공급되기 위한 유로(流路)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전 부재 각각은 중앙에 상기 중간 패드가 부착되는 위치를 가이드(guide)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패드의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부가 끼워지도록 제1 홀(hol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중간 패드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중간 패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홀(hole)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홀은, 상기 중간 패드의 중심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구비되어 원주(圓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홀은, 상기 중간 패드의 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에 구비되어 제1 원주를 형성하는 제2-1 홀 그룹과 상기 중간 패드의 중심으로부터 제2 거리에 구비되어 제2 원주를 형성하는 제2-2 홀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거리와 상기 제2 거리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2-1 홀 그룹에 속한 특정 홀의 중심과, 상기 제2-2 홀 그룹에 속하고 상기 특정 홀에 가장 가까운 2개의 홀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삼각형은 이등변 삼각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중간 패드는, 상기 상부면은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면은 벨크로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 사이에 발포처리된 소재로 구성되는 중간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하부면에는 상기 중간 패드가 부착될 수 있도록 부착력을 제공하는 벨크로 소재로 구성된 영역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로봇 청소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얇은 두께를 갖는 1회용 클리너를 사용하여도 청소 성능을 저해하지 않고 이동 및 청소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얇은 두께를 갖는 1회용 클리너를 사용하는 경우, 1회용 클리너와 회전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 패드가 액체를 과도하게 흡수하지 않도록 하거나 액체 흡수를 차단하여 액체가 클리너로 원활하게 공급되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1회용 클리너와 회전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중간 패드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여 주행 속도와 방향을 쉽게 제어할 수 있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1회용 클리너와 1회용 클리너를 부착하기 위한 중간 패드가 회전 부재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주행 속도 및 방향 제어가 저해되지 않는 로봇 청소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고안의 범위가 상술한 효과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회전 부재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로봇 청소기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로봇 청소기의 예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부재, 중간 패드 및 클리너의 결합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부재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패드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패드의 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고안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고안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고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고안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원리, 관점 및 실시 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 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고안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부가적으로,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아울러 서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유사한 참조부호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로봇 청소기의 예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물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도 4에서 참조번호 10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바디(body)를 나타낸다.
도 3은 두 개의 클리너(300, 301)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에 의해 이동 및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100)의 예를 도시하고, 도 4는 세 개의 클리너(300, 301, 302)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에 의해 이동 및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100)의 예를 도시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로봇 청소기, 즉 두 개의 클리너(300, 301)의 회전에 의해 이동 및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의 예를 중심으로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단, 본 고안은 세 개 이상의 클리너의 회전에 의해 이동 및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둔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바디(101), 상기 바디(101)에 설치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100)를 주행시키기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제1 및 제2 구동부(112, 113)를 포함하는 구동부(110),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112, 113)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 운동하는 제1 및 제2 회전 부재(115, 116), 전원 공급부(120),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통신부(160), 액체 공급부(170), 저장부(180), 제어부(190), 제1 및 제2 중간 패드(200, 20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건식 또는 습식 청소를 위한 복수의 클리너(300, 301)를 이용하여 건식 또는 습식 청소를 수행하며 주행할 수 있다.
여기서, 청소는 상기 복수의 클리너(300, 301)를 이용하여 피청소면을 닦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건식 청소는 마른 걸레 등을 이용한 청소를 포함하고, 습식 청소는 액체에 젖은 걸레 등을 이용한 청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112, 113)는, 상기 바디(10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부재(115, 116)와 각각 결합하는 복수의 서브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구동부는, 모터, 기어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부재(115, 116)는, 상기 복수의 서브 구동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서브 구동부에 의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동력에 의해 복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운동하는 복수의 전달 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클리너(300, 301)는 상기 복수의 전달 부재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120)는, 상기 로봇 청소기(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원 공급부(120)는 상기 로봇 청소기(100)를 구성하는 각 기능부들에 전원을 공급하며, 전원 잔량이 부족하면 충전 전류를 공급받아 충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원 공급부(12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30)는, 상기 로봇 청소기(100)를 조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입력부(130)는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청소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청소 모드는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주변 공간을 집중적으로 청소하는 집중 청소 모드, 벽면을 따라 주행하며 청소하는 벽타기 청소 모드, 사용자의 방향키 입력값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주행하며 청소하는 수동 청소 모드, S자 패턴으로 주행하며 청소하는 S자 청소 모드, Y자 패턴으로 주행하며 청소하는 Y자 청소 모드, 직진 주행하며 청소하는 직진 청소 모드, 복수의 청소 모드 중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상황에 적절한 청소 모드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청소하는 자동 청소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40)는,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주변 환경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지부(140)는, 가구, 벽 또는 구조물과 같은 고정체, 사람이나 동물과 같은 이동체 등 각종 객체 및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140)는, 적외선 센서, 레이저, 라이다(Lidar), 카메라, 충돌 감지 수단 등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감지부(140)는,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중 주행 방향에 존재하는 문턱과 같은 둔덕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 모듈 및 알람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60)는, 상기 로봇 청소기(100)와 다른 무선 단말 사이 또는 상기 로봇 청소기(100)와 다른 무선 단말이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160)는 원격 제어 장치로서의 무선 단말과 통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무선 인터넷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80)는, 상기 제어부(19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부(18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9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각 구성요소 간 정보 또는 데이터의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9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MPU(Micro Processing Unit)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예컨대, 레지스터 및/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 그리고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버스(또는 내부 케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90)는, 소프트웨어적으로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의 다양한 동작 및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정의 기록매체로부터 상기 실행 메모리로 로딩(Loading)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 처리되는 소정의 프로그램 루틴(Routine) 및/또는 프로그램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112, 113)를 포함하는 구동부(110),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부재(115, 116), 상기 전원 공급부(120), 상기 입력부(130), 상기 감지부(140), 상기 출력부(150), 상기 통신부(160), 상기 액체 공급부(170) 및 상기 저장부(180)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상기 중간 패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패드(200, 201)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부재(115, 116)에 각각 수용되고, 상기 복수의 클리너(300, 301)는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패드(200, 201)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패드(200, 201)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부재(115, 116)에 각각 탈부착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클리너(300, 301)는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패드(200, 201)에 각각 탈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패드(200, 201),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부재(115, 116) 및 상기 복수의 클리너(300, 301)의 관계 및 그 상세한 기술적 특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액체 공급부(170)는,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패드(200, 201)를 통해 상기 복수의 클리너(300, 301) 중 적어도 하나에 액체(물, 세척액 등)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액체 공급부(170)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클리너(300, 301) 중 적어도 하나에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상기 액체 공급부(170)에 의해 상기 복수의 클리너(300, 301) 중 적어도 하나에 액체가 공급되는 클리너에 의해 습식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상기 복수의 클리너(300, 301) 중 액체가 공급되지 않는 클리너에 의해, 건식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복수의 클리너(300, 301) 모두에 액체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건식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클리너(300, 301)는, 회전 운동을 통해 바닥면의 고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극세사 천, 걸레, 부직포, 브러시 등과 같이, 다양한 피청소면을 닦을 수 있는 천과 같은 섬유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클리너(300, 301)의 형태는 원형일 수 있으나, 형태에 제한없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부재(115, 116)의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복수의 클리너(300, 301)가 각각 회전함에 따라 피청소면과의 마찰을 통해 바닥에 고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클리너(300, 301)와 피청소면 사이의 마찰력이 생성되면 그 마찰력은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이동력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청소기(100)는,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부재(115, 116)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복수의 클리너(300, 301)와 피청소면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고, 그 합력이 작용하는 크기 및 방향에 따라,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속도 및 주행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부재, 중간 패드 및 클리너의 결합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부재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패드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패드의 상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 부재, 중간 패드 및 클리너를 구비하는 로봇 청소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패드(200, 201)는, 상부면이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부재(115, 116)에 각각 탈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부재(115, 116)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패드(200, 201)가 각각 탈부착될 수 있도록 소정의 부착력을 제공하는 벨크로(velcro) 소재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401)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복수의 클리너(300, 301)는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패드(200, 201)의 하부면에 각각 탈부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패드(200, 201)는 3개 층(layer, 411, 412, 41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3개 층 중,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1 층(411)은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부재(115, 116)의 하부면과 탈부착할 수 있고, 중간층을 형성하는 제2 층(412)은 발포처리된 소재로 구성되어 쿠션(cushion)을 제공할 수 있고, 하부면을 형성하는 제3 층(413)은 벨크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층(412)는 발포 수지로 구성되므로, 액체를 흡수하지 않는 추가적인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클리너(300, 301)는 벨크로 소재로 이루어진 상기 제3 층(413)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패드(200, 201)의 하부면과 탈부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3개 층으로 구성된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패드(200, 201)의 두께는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패드(200, 201)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로봇 청소기(100)의 주행 방향 및 주행 속도의 제어가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부재(115, 116) 각각은 중앙에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패드(200, 201)가 각각 부착되는 위치를 가이드(guide)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6,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패드(200, 201)의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부(400)가 끼워지도록 제1 홀(hole, 410)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가이드 돌기부(400) 및 상기 제1 홀(410)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패드(200, 201)를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부재(115, 116)의 정중앙에 정확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패드(200, 201)가 상기 제1 및 제2 회전 부재(115, 116)의 정중앙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직선 주행, 방향 전환 등이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중간 패드(200, 201)는, 상기 액체 공급부(170)로부터 공급되는 액체가 상기 복수의 클리너(300, 301)로 원활하게 공급되기 위한 유로(流路)를 구비할 수 있다.
도 6,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유로는, 상기 중간 패드(200, 201)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홀(hole, 210, 21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6,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제2 홀(hole, 210, 211)은, 상기 중간 패드(200, 201)의 중심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구비되어 원주(圓周)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6,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제2 홀(210, 211)은, 상기 중간 패드(200, 201)의 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에 구비되어 제1 원주를 형성하는 제2-1 홀 그룹(210)과 상기 중간 패드의 중심으로부터 제2 거리에 구비되어 제2 원주를 형성하는 제2-2 홀 그룹(21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거리와 상기 제2 거리는 서로 다르다.
또한,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1 홀 그룹(210)에 속한 특정 홀의 중심과, 상기 제2-2 홀 그룹(211)에 속하고 상기 특정 홀에 가장 가까운 2개의 홀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삼각형은 이등변 삼각형을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1 홀 그룹(210)과 상기 제2-2 홀 그룹(211)은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액체를 내보내는 배수(排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액체 공급부(170)로부터 출수된 액체는, 상기 회전 부재(115, 116)와 상기 중간 패드(200, 201)의 사이로 스며들면 상기 유로(210, 211)를 통해 상기 클리너(300, 301)로 흘러내리게 된다.
특히,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제2-1 홀 그룹(210)과 상기 제2-2 홀 그룹(211)에 의해 액체는 상기 로봇 청소기(100)의 외부(예를 들어, 피청소면)로 흘러내리지 않고 상기 클리너(300, 301)로 쉽게 공급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중간 패드는, 본 고안에 따른 중간 패드와 같은 유로가 형성되지 않아 중간 패드가 액체를 다량 흡수하게 되어 피청소면과 접촉하는 클리너로 액체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고, 청소 완료 후 세균 번식으로 악취를 유발하거나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 패드에 의하면, 발포 수지에 의해 액체를 흡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유로(210, 211)에 의해 상기 액체 공급부(170)로부터 공급된 액체가 누수 없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고안의 원리들의 '일 실시예'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이 실시예와 관련되어 특정 특징, 구조, 특성 등이 본 고안의 원리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현 '일 실시예에서'와,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 개시된 임의의 다른 변형례들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고안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00: 로봇 청소기 11, 101: 바디(body)
15, 16, 300, 301, 302: 클리너 110: 구동부
112: 제1 구동부 113: 제2 구동부
115: 제1 회전 부재 116: 제2 회전 부재
120: 전원 공급부 130: 입력부
140: 감지부 150: 출력부
160: 통신부 170: 액체 공급부
180: 저장부 190: 제어부
200: 제1 중간 패드 201: 제2 중간 패드
210, 211: 유로 400: 가이드 돌기부

Claims (9)

  1. 로봇 청소기에 있어서,
    바디(body);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하여 복수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 운동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의 주행을 위한 이동력원을 제공하는 복수의 회전 부재;
    상부면이 상기 복수의 회전 부재 각각에 탈부착 가능하고 하부면에 클리너가 각각 탈부착 가능한 복수의 중간 패드; 및
    상기 바디에 구비되고 액체를 저장하여 상기 중간 패드를 통하여 상기 클리너에 상기 저장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중간 패드는, 상기 액체가 상기 클리너로 공급되기 위한 유로(流路)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회전 부재 각각은 중앙에 상기 중간 패드가 부착되는 위치를 가이드(guide)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패드의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부가 끼워지도록 제1 홀(hole)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패드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중간 패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복수의 제2 홀(ho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홀은,
    상기 중간 패드의 중심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에 구비되어 원주(圓周)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홀은,
    상기 중간 패드의 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에 구비되어 제1 원주를 형성하는 제2-1 홀 그룹과 상기 중간 패드의 중심으로부터 제2 거리에 구비되어 제2 원주를 형성하는 제2-2 홀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거리와 상기 제2 거리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홀 그룹에 속한 특정 홀의 중심과, 상기 제2-2 홀 그룹에 속하고 상기 특정 홀에 가장 가까운 2개의 홀의 중심을 연결한 가상의 삼각형은 이등변 삼각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패드는,
    상기 상부면은 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면은 벨크로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면과 상기 하부면 사이에 발포처리된 소재로 구성되는 중간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하부면에는 상기 중간 패드가 부착될 수 있도록 부착력을 제공하는 벨크로 소재로 구성된 영역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청소기.
KR2020220001908U 2022-08-04 2022-08-04 로봇 청소기 KR202400002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908U KR20240000265U (ko) 2022-08-04 2022-08-04 로봇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908U KR20240000265U (ko) 2022-08-04 2022-08-04 로봇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265U true KR20240000265U (ko) 2024-02-14

Family

ID=8985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908U KR20240000265U (ko) 2022-08-04 2022-08-04 로봇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26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91297B (zh) 清掃機器人
KR101578887B1 (ko) 습식 청소 장치,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4401659B (zh) 清洁器
CN109247880B (zh) 清扫机器人以及其行走控制方法
CN114449934B (zh) 机器人吸尘器
KR20120042642A (ko) 로봇청소기
CN102440718A (zh) 灰尘流入感测单元和具有其的机器人清洁器
CN111918593B (zh) 清扫机器人以及其控制方法
US20210228048A1 (en) Side brush and intelligent cleaning device
JP2014071691A (ja) 自律移動型掃除装置
JP6345912B2 (ja) 電気掃除機
KR101622737B1 (ko)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TWI764466B (zh) 清掃機器人
KR20240000265U (ko) 로봇 청소기
US20230292974A1 (en) Robot cleaner
KR102386437B1 (ko) 로봇 청소기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230255436A1 (en) Robot cleaner
KR20240000883U (ko) 로봇 청소기
KR20120112292A (ko) 로봇청소기
KR20240001176U (ko) 로봇 청소기
KR20240103239A (ko) 이동 로봇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408997A1 (en) Mobile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230028685A1 (en) Mobile robo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TWI821708B (zh) 清掃機器人
KR20230093632A (ko) 로봇 청소기용 충전 스테이션 및 로봇 청소기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