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231A -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 - Google Patents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00231A KR20240000231A KR1020220076964A KR20220076964A KR20240000231A KR 20240000231 A KR20240000231 A KR 20240000231A KR 1020220076964 A KR1020220076964 A KR 1020220076964A KR 20220076964 A KR20220076964 A KR 20220076964A KR 20240000231 A KR20240000231 A KR 2024000023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nt
- coupling
- frame
- tent fabric
- rota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04H15/642—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with covers held by elongated fixing members locking in longitudinal recesses of a fram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글램핑 텐트 또는 개폐식 슬라이딩 텐트 시공 시 신속히 시공할 수 있으며, 텐트 시공 후 강한 바람 또는 폭설에도 텐트 원단을 원형 그대로 고정하면서도, 텐트 원단이 훼손되지 않고 오랫동안 원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텐트 시공 시 연결부 누수를 막을 수 있는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텐트 원단(140)이 양단이 삽입되고, 일측이 개구되는 삽입홀(111)이 서로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되, 그 간격에 결합홀(112)이 형성되어 결합 구조물(130)에 고정되는 메인 프레임(110); 및 상기 결합홀(112)에 결합되되, 상기 메인 프레임(110)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마감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텐트 원단(140)이 양단이 삽입되고, 일측이 개구되는 삽입홀(111)이 서로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되, 그 간격에 결합홀(112)이 형성되어 결합 구조물(130)에 고정되는 메인 프레임(110); 및 상기 결합홀(112)에 결합되되, 상기 메인 프레임(110)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마감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글램핑 텐트 또는 개폐식 슬라이딩 텐트 시공 시 신속히 시공할 수 있으며, 텐트 시공 후 강한 바람 또는 폭설에도 텐트 원단을 원형 그대로 고정하면서도, 텐트 원단이 훼손되지 않고 오랫동안 원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텐트 시공 시 연결부 누수를 막을 수 있는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야외 숙박 또는 야외에서 햇볕, 눈, 비 등을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써 사용되며, 바닥에 직립 설치된 다수의 기둥 상면을 연결하면서 천장만 설치하기도 하고 또는 숙박용으로서는 천장뿐 아니라 기둥과 기둥 사이 측면을 커버하며 집의 형태로 구성하기도 한다.
기존의 텐트(천막)는 파이프 형태의 기둥 또는 철골 구조물 형태의 기둥을 다수 세운 뒤, 텐트용 원단 테두리를 따라 다수의 구멍을 뚫고 각 구멍과 각 기둥을 번갈아 가며 줄을 연결하여 원단과 기둥을 상호 묶는 방법으로 원단을 기둥 구조물에 결합시켜 텐트를 시공하기도 하고, 또는 기둥에 인접한 원단의 구멍을 통해 묶음용 케이블을 이용하여 원단과 기둥을 밀착시키며 묶는 과정을 다수의 위치에서 반복 시행함으로써 전체 원단을 기둥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텐트를 형성하기도 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사각형의 파이프형 기둥 프레임에 텐트 원단을 위치시킨 뒤 졸대를 덧댄 뒤 졸대의 외측에서부터 못, 나사 등을 관통시켜 졸대와 원단과 기둥 프레임을 상호 결합시키며 원단을 기둥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 프레임에 텐트 원단을 씌우게 되면 글램핑 구조물을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언급한 기존 방식으로 제작된 텐트는 한 명의 작업자가 프레임에 원단을 밀착시키며 형태를 유지하면 또 다른 작업자가 줄, 나사, 못 등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원단을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최소 2인 이상의 작업인력이 필요하고 작업에 많은 공정이 수반되어 작업의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따라서 인건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게다가 기존 방식으로 제작된 텐트는 원단이 우글쭈글해지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미관상 좋지 못할뿐더러 원단이 팽팽하게 결합되지 못함으로써 비바람에 취약하고 기둥 프레임 결합력이 저하되어 견고하지 못한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글램핑 텐트 또는 개폐식 슬라이딩 텐트 시공 시 신속히 시공할 수 있으며, 텐트 시공 후 강한 바람 또는 폭설에도 텐트 원단을 원형 그대로 고정하면서도, 텐트 원단이 훼손되지 않고 오랫동안 원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텐트 시공 시 연결부 누수를 막을 수 있는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텐트 원단(140)이 양단이 삽입되고, 일측이 개구되는 삽입홀(111)이 서로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되, 그 간격에 결합홀(112)이 형성되어 결합 구조물(130)에 고정되는 메인 프레임(110); 및 상기 결합홀(112)에 결합되되, 상기 메인 프레임(110)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마감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텐트 원단(140)의 양단은 원통형의 심지(14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삽입홀(11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심지(141)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일정 길이 개구된 개구부(113)가 형성되어 상기 텐트 원단(140)을 감싼 심지(141)가 삽입되며, 상기 마감 프레임(120)에는 상기 결합홀(112)에 삽입되어 마감 프레임(120)이 결속되도록 삽입홀(111)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돌기(1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121)의 상부에는 마감 프레임(120)이 삽입되는 방향을 제외한 좌우측 및 하부가 일부 절개되는 절개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122)는 마감 프레임(120)이 삽입되어 결합될 시 마감 프레임(120)의 중심을 향하여 젖혀지도록 하는 회전 부재(150)가 메인 프레임(110)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회전 부재(150)는 타원형의 회전 판재(151)와, 상기 회전 판재(151)와 일체로 구비되어 동시에 회전하는 회전 톱니(152)와, 상기 회전 판재(151) 및 회전 톱니(152)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상기 마감 프레임(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 나사(15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150)는 회전 톱니(152)의 직경은 회전 판재(151)의 짧은 반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 판재(151)의 짧은 반지름은 결합홀(112)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고, 긴 반지름은 결합홀(112)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를 통해 삽입되는 마감 프레임(120)의 절개부(122)가 회전 톱니(152)에 의해 젖혀졌을 시 회전 판재(151)도 회전하여 긴 반지름의 끝단이 결합홀(112) 양단부 사이에 끼면서 고정되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으며, 회전 부재(150)도 결합홀(112) 상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에 의하면, 글램핑 텐트의 지주를 구성하는 구조물과 구조물을 연결하는 텐트 원단을 메인 프레임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텐트 원단이 울거나 바닥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여 텐트의 미관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쉽게 텐트가 무너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감 프레임이 결합되기 때문에 우천 시 빗물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쾌적한 야외 활동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감 프레임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이와 대응되는 위치의 메인 프레임에 회전 부재를 설치하여 마감 프레임의 절개부가 회전 부재의 회전 톱니와 결속됨으로써 보다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어 외력에 의해 메인 프레임과 마감 프레임의 결속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텐트 원단을 메인 프레임에 끼움 장착만으로도 쉽게 고정할 수 있어 기존 대비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시공이 간편하고 1인 시공이 가능하여 인건비가 절감되고 시공 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클램핑 텐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의 구성 중 메인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메인 프레임 및 마감 프레임이 결합 구조물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도 3의 구성 중 나사못 대신에 회전 부재가 적용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마감 프레임에 절개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회전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메인 프레임에 마감 프레임의 삽입되어 결속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의 변형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의 구성 중 메인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메인 프레임 및 마감 프레임이 결합 구조물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도 3의 구성 중 나사못 대신에 회전 부재가 적용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마감 프레임에 절개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회전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메인 프레임에 마감 프레임의 삽입되어 결속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의 변형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클램핑 텐트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의 구성 중 메인 프레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메인 프레임 및 마감 프레임이 결합 구조물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은 메인 프레임(110)과 마감 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각 프레임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메인 프레임(110)은 텐트 원단(140)이 양단이 삽입되고, 일측이 개구되는 삽입홀(111)이 서로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되, 그 간격에 결합홀(112)이 형성되어 결합 구조물(130)에 고정된다. 고정 수단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못(114)에 의해 고정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그 외에 다양한 수단에 의해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레임(110)의 삽입홀(11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심지(141)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일정 길이 개구된 개구부(113)가 형성되어 상기 텐트 원단(140)을 감싼 심지(14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결합 구조물(130)의 경우 예컨대 글램핑 텐트를 외곽을 구성하여 지지하도록 하는 직립 형태의 기둥 프레임, 글램핑 텐트의 천장 또는 지붕을 구성하는 지붕 프레임 등 다양한 구조물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110)은 결합 구조물(130)이 설치되는 방향, 형태 등에 의해 다양하게 이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원하는 길이 만큼 절단하여 사용도 가능하며, 반대로 길이가 긴 구조물의 경우 둘 이상을 연결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마감 프레임(120)은 메인 프레임(110)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며, 결합홀(112)에 결합된다. 결합홀(112)에 견고한 결합 및 결속력을 강하게 하기 위해 마감 프레임(120)에는 상기 결합홀(112)에 삽입되어 삽입홀(111)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돌기(121)가 형성된다. 상기한 결합돌기(121)는 마감 프레임(120)과 일체로 형성되며, 마감 프레임(120)의 길이 방향 전체에 형성된다. 또한, 마감 프레임(120)을 결합홀(112)에 결합할 시에는 결합홀(112)의 정면에서 마감 프레임(120)의 결합돌기(121)를 삽입홀(111)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가압하여 결합이 가능하다. 또는, 메인 프레임(110)의 상하, 전후, 좌우 방향(결합 구조물(130)이 설치된 형태에 따른 방향)으로 삽입하여 결합도 가능하다. 이는 작업 환경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다.
한편, 결합 구조물(130)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메인 프레임(110)을 둘 이상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메인 프레임(110)이 서로 접하는 부분이 생길 수 있다. 이럴 경우 미세한 틈을 이용하여 우천 시 빗물이 샐 수가 있어서 이 부분에 마감 프레임(120)을 통해 덮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복수의 메인 프레임이 소정의 간격 및 형상으로 설치가 되면 삽입홀(111)에 천막 원단을 삽입하여 외벽을 형성하게 되는데, 텐트 원단(140)는 심지(141)에 말아서 삽입홀(111)에 삽입하게 된다.
예를 들어 텐트 원단(140)의 선단을 접은 상태에서 접은 부위를 삽입홀(111)에 삽입하고, 반대쪽도 마찬가지로 텐트 원단(140)의 선단을 접은 상태에서 인접하는 메인 프레임(110)의 삽입홀(111)에 텐트 원단(140)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벽체를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심지(141)에 텐트 원단(140)의 일부를 말아서 고정할 수 있도록 재봉 또는 스테플러 등을 이용하여 고정한 뒤 삽입홀(111)에 삽입도 가능하다. 이는 설치되는 구조물의 규모에 따라 텐트 원단을 재단하여 준비하지만, 현장에서 작은 오차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심지(141)에 텐트 원단(140)을 완전하게 고정하지 않은 상태로 현장에 와서 적절한 길이로 심지(141)에 텐트 원단(140)을 말아 적절한 길이로 맞춰 구조물을 구성하거나 다양한 용도(외벽, 지붕 등)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클램핑 텐트와 같은 구조물을 설치하고자 할 때 원하는 장소에 복수의 결합 구조물(130)을 설치하고, 결합 구조물(130)에 메인 프레임(110)을 고정한 뒤 텐트 원단(140)을 적절한 길이로 말거나 재단하여 심지(141)에 고정하여 결합홀(112)에 삽입하게 되면 글램핑 텐트의 외벽을 형성하게 되며, 결합 구조물(130)의 직립 고정력에 의해 텐트 원단(140)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구조물(13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의 변형예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 도 3의 구성 중 나사못 대신에 회전 부재가 적용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마감 프레임에 절개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회전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의 변형예는 상기한 도 2 및 도 3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다. 다만, 나사못(114) 대신에 회전 부재(150)로 변형되고, 결합돌기(121)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절개부(122)가 형성되는 것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메인 프레임(110)이 결합 구조물(130)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메인 프레임(110)의 결합홀(112) 측에서 회전 부재(150)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회전 부재(150)는 복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인 프레임(110)에 등간격으로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결합되어야 보다 견고한 고정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한 회전 부재(150) 및 결합돌기(121)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결합돌기(121)에는 마감 프레임(120)이 삽입되는 방향을 제외한 좌우측 및 하부가 일부 절개되는 절개부(122)가 결합돌기(121)의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절개부(122)는 마감 프레임(120)이 삽입되거나 전면에서 끼움 결합될 시 마감 프레임(120)의 중심을 향하여 젖혀진다. 회전 부재(150)는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회전 부재(150)는 타원형의 회전 판재(151)와, 상기 회전 판재(151)와 일체로 구성되어 회전하는 대략 원통형의 회전 톱니(152)와, 상기 회전 판재(151) 및 회전 톱니(152)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상기 마감 프레임(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 나사(153)로 구성된다. 또한, 회전 판재(151)의 하부에는 와셔 형태의 스톱퍼(154)가 결합나사(153)의 나사산이 시작되는 부분에 접합 고정된다. 따라서 결합 나사(153)의 머리에 형성된 십자 또는 일자 형태의 홈에 드라이버 또는 드릴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박을 때 스톱퍼(154)에 의해 결합나사(153) 까지만 메인 프레임(120) 및 결합 구조물(130)에 삽입되는 것이다.
즉, 회전 판재(151)와 회전 톱니(152)는 결합 나사(153)의 머리 부분에 관통결합되며, 결합 나사(153) 상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결합 나사(153)는 결합 구조물(130)에 박혀 고정되지만, 결합 나사(153) 상에서 회전 판재(151)와 회전 톱니(152)는 회전하는 구조인 것이다. 이때 회전 판재(151)와 회전 톱니(152)는 결합 나사(153)와 헐겁게 결합되어 자유 회전이 되지 않도록, 즉, 마찰력이 높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결합홀(112)에서 결합될 마감 프레임(120)의 상하 운동에 부드럽게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회전 판재(151)와 회전 톱니(152)는 서로 결합된 형태이고, 도 6과 같이 회전 판재(151)가 회전 톱니(152)의 일측에만 있을 수도 있고, 양측에 있을 수도 있다.
또한, 회전 부재(150)는 회전 톱니(152)의 직경은 회전 판재(151)의 긴 반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짧은 반지름과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를 통해 삽입되는 마감 프레임(120)의 절개부(122)가 회전 톱니(152)를 회전시키면 회전 판재(151)도 회전하여 긴 반지름의 끝단이 결합홀(112) 양단부 사이에 끼면서 결합돌기(121)를 벌리면서 고정되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으며, 회전 부재(150)도 결합홀(112) 상에서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의 변형예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9 및 도 10은 메인 프레임에 마감 프레임의 삽입되어 결속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용상태도이다.
우선 작업자는 회전 부재(150)를 이용하여 메인 프레임(110)을 결합 구조물(130)에 결합하게 된다. 결합 구조물(130)에 메인 프레임(110)을 결합할 때 상기한 회전 부재(150)를 이용하여 결합하게 된다.
이때, 회전 부재(150)의 회전 판재(151)가 도 9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긴 반지름이 위치하게 한다.
이후, 도 5의 상세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회전 부재(150)와 맞 닿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의 마감 프레임(120)의 절개부(122)를 메인 프레임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 각도 젖힌다.
이 상태에서 마감 프레임(120)을 메인 프레임(110)의 전면을 통해(결합홀(112) 측에서) 삽입하고 길이 방향으로 이동을 시키게 되면, 도 9와 같이 절개부(122)는 회전 톱니(152)에 다다르게 되어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위치된다. 이때 마감 프레임(120)은 메인 프레임(110)보다 약간 상부에 위치하도록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절개부(122)를 통해 회전 부재(150)를 회전시켜 회전 부재(150)를 결합홀(112) 상에 머무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후 회전 톱니(152)와 젖혀진 절개부(122)가 접촉을 하게 되면서 하강하는 가압력에 의해 절개부(122)는 회전 톱니(152)에 형성된 복수의 톱니에 의해 더욱 젖혀지게 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122)는 90°내지 그 이상으로 젖혀지게 된다. 그러면 회전 톱니(152)도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회전 판재(151)도 긴반지름이 수평을 이루면서 결합홀(112) 상에 끼게 되는 형태가 되어 마감 프레임(120)은 메인 프레임(110) 상에 고정된다. 이때 회전 판재(151)도 회전하여 긴 반지름의 끝단이 결합홀(112) 양단부 사이에 끼게 되면서 마감 프레임(120)의 결합돌기(121)가 벌어지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마감 프레임(120)과 메인 프레임(110) 간의 결속은 견고함을 유지하게 되며, 외력에 의해 쉽게 마감 프레임(120)은 외측으로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여기서 절개부(122)를 젖히는 개수는 복수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젖힌 절개부(122)의 위치와 회전 부재(150)의 위치를 정확히 알 수는 없기 때문(마감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에선 내부가 보이지 않으므로)에 절개부를 복수로 젖히고, 마감 프레임(120)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젖힌 절개부(122)들 중 어느 하나와 회전 부재(150)가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마감 프레임(120)과 메인 프레임(110) 간의 결속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마감 프레임(120)을 삽입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상부 방향)으로 가압하면 결속이 해제되는데 이때 절개부(122)와 회전 톱니(152)간에도 결속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고무망치 등을 이용하여 마감 프레임(120)을 상부로 타격하게 되면 쉽게 마감 프레임(120)과 메인 프레임(110) 간의 결속을 해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의 실시예와 변형예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의 변형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의 사용상태 예시는 연결 구조물(130)과 메인 프레임(110)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상이한 것이다. 이하, 둘을 통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글램핑 텐트를 시공할 경우 연결 구조물(130)을 평면의 형상이 다각(삼각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각 모서리에는 텐트의 외벽을 구성하는 텐트 원단(140)이 삽입되도록 각 연결 구조물(130)에 메인 프레임(110)을 나사못(114) 또는 회전 부재(150)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고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연결 구조물(130)은 텐트 형태의 외곽을 형성하는 기둥에 맞게 다수의 위치에 이격 분산되어 지면으로부터 직립 설치되며 고정된다.
상기한 글램핑 텐트의 경우 연결 구조물(130)로만 텐트를 구성할 수도 있지만, 연결 구조물(130) 간의 거리가 멀 경우 텐트 원단(140)이 우글쭈글하여 텐트 원단(140)이 울거나 바닥으로 쳐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텐트가 외력에 의해 무너지거나 텐트 원단의 팽팽함을 유지하지 못하면 외관상 보기 안 좋을 수 있기 때문에 텐트 전체의 안정적인 유지를 위해 별도의 연결 구조물(미도시)에 메인 프레임(110)을 설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한 메인 프레임(110)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 구조물이 설치하여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의 경우 상기에서 글램핑 텐트를 구성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그 외에 다양한 연결 구조물에 설치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결 구조물(130)은 목재, 콘크리트, 철재 구조물 다양한 구조물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글램핑 텐트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메인 프레임 111 : 삽입홀
112 : 결합홀 113 : 개구부
114 : 나사못 120 : 마감 프레임
121 : 결합 돌기 122 : 절개부
130 : 결합 구조물 140 : 텐트 원단
141 : 심지 150 : 회전 부재
151 : 회전 판재 152 : 회전 톱니
153 : 결합 나사 154 : 스톱퍼
112 : 결합홀 113 : 개구부
114 : 나사못 120 : 마감 프레임
121 : 결합 돌기 122 : 절개부
130 : 결합 구조물 140 : 텐트 원단
141 : 심지 150 : 회전 부재
151 : 회전 판재 152 : 회전 톱니
153 : 결합 나사 154 : 스톱퍼
Claims (4)
- 텐트 원단(140)이 양단이 삽입되고, 일측이 개구되는 삽입홀(111)이 서로 간격을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되, 그 간격에 결합홀(112)이 형성되어 결합 구조물(130)에 고정되는 메인 프레임(110); 및
상기 결합홀(112)에 결합되되, 상기 메인 프레임(110)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마감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원단(140)의 양단은 원통형의 심지(14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삽입홀(11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심지(141)와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일정 길이 개구된 개구부(113)가 형성되어 상기 텐트 원단(140)을 감싼 심지(141)가 삽입되며,
상기 마감 프레임(120)에는 상기 결합홀(112)에 삽입되어 마감 프레임(120)이 결속되도록 삽입홀(111)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돌기(1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 -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121)의 상부에는 마감 프레임(120)이 삽입되는 방향을 제외한 좌우측 및 하부가 일부 절개되는 절개부(122)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122)는 마감 프레임(120)이 삽입되어 결합될 시 마감 프레임(120)의 중심을 향하여 젖혀지도록 하는 회전 부재(150)가 메인 프레임(110)에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회전 부재(150)는 타원형의 회전 판재(151)와, 상기 회전 판재(151)와 일체로 구비되어 동시에 회전하는 회전 톱니(152)와, 상기 회전 판재(151) 및 회전 톱니(152)의 중심부에 결합되어 상기 마감 프레임(12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결합 나사(15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150)는 회전 톱니(152)의 직경은 회전 판재(151)의 짧은 반지름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회전 판재(151)의 짧은 반지름은 결합홀(112)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되고, 긴 반지름은 결합홀(112)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110)의 상부를 통해 삽입되는 마감 프레임(120)의 절개부(122)가 회전 톱니(152)에 의해 젖혀졌을 시 회전 판재(151)도 회전하여 긴 반지름의 끝단이 결합홀(112) 양단부 사이에 끼면서 고정되어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으며, 회전 부재(150)도 결합홀(112) 상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6964A KR102714648B1 (ko) | 2022-06-23 | 2022-06-23 |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6964A KR102714648B1 (ko) | 2022-06-23 | 2022-06-23 |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0231A true KR20240000231A (ko) | 2024-01-02 |
KR102714648B1 KR102714648B1 (ko) | 2024-10-11 |
Family
ID=89512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6964A KR102714648B1 (ko) | 2022-06-23 | 2022-06-23 |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14648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0139Y1 (ko) | 2019-01-14 | 2019-10-01 | 김선희 | 글램핑 텐트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5286B1 (ko) * | 2020-01-22 | 2020-12-24 | (주)엘이비엔터프라이즈 | 좌우 및 수직 텐션 프로파일을 구비한 천막 및 시공방법 |
-
2022
- 2022-06-23 KR KR1020220076964A patent/KR1027146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0139Y1 (ko) | 2019-01-14 | 2019-10-01 | 김선희 | 글램핑 텐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14648B1 (ko) | 2024-10-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902241A1 (en) | Retractable wall system and adaptor components | |
US20080282641A1 (en) | Framing component tie-down device and method | |
US8479757B2 (en) | Tie down anchor | |
KR20240000231A (ko) | 텐트 원단 연결용 구조물 | |
JP7046560B2 (ja) | 終端保持具 | |
JP5442365B2 (ja) | 補強梁接合金物 | |
KR20200077223A (ko) | 경사지 시공이 용이한 펜스의 설치 조립체 | |
US20080066421A1 (en) | Methods related to self-sealing structural installation strip assembly | |
KR101269488B1 (ko) | 구조물 뼈대를 이루는 밴딩이 가능한 프레임바 장치 | |
JP3121475U (ja) | 養生シートとメッシュシートの複合シート | |
KR200254959Y1 (ko) | 휴대용 조립식 방갈로 | |
JP3923061B2 (ja) | 温室における屋根の構造 | |
US8701690B2 (en) | Horizontal frame tensile structure and canted corner elements therefor | |
JP2018174876A (ja) | 巻上式天窓構造および引張構造の温室建物 | |
JP6918339B2 (ja) | ワイヤー固定構造、温室建物の軒構造、および温室建物 | |
JP4488439B2 (ja) | 簡易建物の補強構造及び支柱取付装置 | |
JP2022042555A (ja) | フレーム構造体の製造方法 | |
KR102618573B1 (ko) | 글램핑 구조체 | |
KR102447222B1 (ko) | 지주 프레임에 형성된 조립구를 가리는 커버를 갖는 파고라 | |
CN214460575U (zh) | 一种园林廊架基础 | |
GB2441047A (en) | Shelter construction | |
AU2012101003A4 (en) | Storm resistant shed | |
JPH0515006Y2 (ko) | ||
JP2022042554A (ja) | フレーム付きデッキ | |
JP4399203B2 (ja) | 見切り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