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5094A -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5094A
KR20230175094A KR1020230030095A KR20230030095A KR20230175094A KR 20230175094 A KR20230175094 A KR 20230175094A KR 1020230030095 A KR1020230030095 A KR 1020230030095A KR 20230030095 A KR20230030095 A KR 20230030095A KR 20230175094 A KR20230175094 A KR 20230175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iston
oil
peripheral surface
oil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0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한
김석현
Original Assignee
(주)엠투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투엔 filed Critical (주)엠투엔
Publication of KR20230175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50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85Valves for air-conditioning devices, e.g. thermostatic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605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with particular plug arrangements, e.g. particular shape or built-i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6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sphe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 F16K5/0663Packings
    • F16K5/0684Packings on the plu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단에 스톱퍼가 끼워지고 타단에 볼이 바디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된 축이 압력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음은 물론, 압력의 평형을 이루도록 된 오일의 공급과 부품의 조립성이 용이하도록 된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1000)는, 회전력을 갖춘 엑츄에이터(1100)와, 엑츄에이터의 하부에 조립된 몸체(1200)와, 몸체 내에 설치된 제1유로라인과 제2유로라인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볼(1300)과, 엑츄에이터의 회전력을 볼에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된 축(1400)과, 엑츄에이터와 몸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냉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외부실링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실링수단(1500)은, 몸체의 상부로 돌출된 축으로 조립되어 축이 축방향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함과 더불어, 몸체의 상부에 안착되는 한편, 외주면이 오링에 의해 몸체에서 실링되도록 된 제1홀더부(1510)와, 이 제1홀더부의 축방향 내측 하부에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축의 외주면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지도록 된 피스톤부(1520)와, 이 피스톤부의 상부에 오일이 공급되어 제1홀더부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된 오일부(1530)와, 상기 제1홀더부의 축방향 내측 상부에 축방향으로 고정된 오일커버부(15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Refrigerant control valve for automobiles}
본 발명은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에는 스톱퍼가 끼워져 조립되고 타단에는 회전체인 볼이 조립되어 바디에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된 축이 압력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음은 물론, 압력의 평형을 이루도록 된 오일의 공급과 부품의 조립성이 용이하도록 된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 밸브는 샤프트 베어링에 지지된 샤프트를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는 볼 관통 채널을 갖는 볼로 형성된 밸브 부재에 회전 운동을 전달한다. 상기 구성부품들은 밸브 하우징 내에 지지되고, 볼 밸브는 견고하고 비용상 저렴한 것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용도를 위해 사용된다.
자동차 에어컨디셔닝 시스템을 위한 최근의 냉매 시스템에는, 각각의 냉매 시스템의 개별 구성부품들에 대한 까다로운 요구와 연관되는 최신 기능들이 증가되어 통합된다. 예를 들면, 자동차 냉매 시스템의 구성 시 가열 펌프 기능이 통합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사용되는 구성부품들에, 특히 밸브 및 확장 부재에 확대된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는 특히, 밸브를 통한 냉매 유동과 관련하여 밸브가 양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시스템이 이동식 적용에서 냉매 시스템에 대한 특히 까다로운 밀봉 요구도 충족시키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종래 볼 밸브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67739호로 공지된 것과 같이, 엑츄에이터와 밸브하우징의 사이에 위치함과 더불어 엑츄에이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볼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샤프트가 샤프트베어링과 샤프트씰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유체 샤프트 씰은 밀봉 유체로 충전된 중공 챔버에 의해 형성되며, 챔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막에 의해 제한되고, 막은 밸브 하우징과 샤프트 베어링 사이에서 단부에 유지되어 있고 커프스(cuff) 형태로 형성됨과 더불어, 샤프트의 밀봉 영역은 밀봉 유체로 습윤되는 한편, 볼의 베어링 영역 내에는 밸브를 관류하는 유체로 충전된 챔버가 형성되고, 볼 밸브를 관류하는 유체, 특히 냉매 회로의 냉매는 각각 냉매 시스템의 사용 위치 및 작동 상태에 따라 특정 압력을 갖고, 상기 압력은 볼 밸브의 챔버 내에도 존재하고, 밀봉 유체로 충전된 중공 챔버와 챔버 사이에 상기 막이 위치하고, 이로써 각각 유체로 충전된 인접한 공동(cavity)에서 챔버와 중공 챔버의 유체들의 압력은 서로 균형을 이루게 되므로 O-링으로서 형성된 내부 샤프트 씰은 양쪽 측면에서 동일한 압력의 상이한 유체로 둘러싸이게 되고, 내부에 볼 밸브가 배치되어 있는 구역의 상응하는 압력의 냉매를 갖는 챔버측면으로부터 그리고 이에 상응하게 내부 샤프트 씰의 다른 측면으로부터 냉매 적합성 오일로서 형성되는 밀봉 유체는 상술된 바와 같이 막에 의해 냉매와 동일한 압력을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샤프트 베어링과 막에 의한 외부 씰링을 위한 막의 내부에 유체를 공급하기가 매우 어렵게 되는 한편, 막의 조립성이 나쁜 문제점이 있었다.
참조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67739호 발명의 명칭 "외부 밀봉 장치를 구비한 볼 밸브".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요구사항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단에는 스톱퍼가 끼워져 조립되고 타단에는 회전체인 볼이 조립되어 바디에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된 축이 압력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음은 물론, 압력의 평형을 이루도록 된 오일의 공급과 부품의 조립성이 용이하도록 된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는, 회전력을 갖춘 엑츄에이터와, 이 엑츄에이터의 하부에 조립된 몸체와, 이 몸체 내에 설치된 제1유로라인과 제2유로라인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볼과, 엑츄에이터의 회전력을 볼에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된 축과, 엑츄에이터와 몸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냉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외부실링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실링수단은, 상기 몸체의 상부로 돌출된 축으로 조립되어 축이 축방향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함과 더불어, 몸체의 상부에 안착되는 한편, 외주면이 오링에 의해 몸체에서 실링되도록 된 제1홀더부와, 상기 제1홀더부의 축방향 내측 하부에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축의 외주면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지도록 된 피스톤부와, 상기 피스톤부의 상부에 일정량의 오일이 공급되어 제1홀더부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된 오일부와, 상기 제1홀더부의 축방향 내측 상부에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오일이 상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오일커버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는, 상기 축에 끼워져 몸체의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된 제1홀더부를 감싸면서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고정된 제2홀더와, 상기 축의 상부에 끼워져 제2홀더의 상부면에 밀착됨과 더불어 축의 회전범위를 제어하도록 된 스톱퍼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의 피스톤부는, 상기 축에 끼워짐과 더불어 제1홀더부의 축중심으로 형성된 피스톤홈에 끼워져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내주면에 삽입됨과 더불어 축의 외주면에 끼워져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1피스톤링과, 상기 제1홀더부의 내주면에 삽입됨과 더불어 피스톤의 외주면에 끼워져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2피스톤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의 오일커버부는, 상기 제1홀더부의 상부에 형성된 오일커버안착홈에 끼워져 오일부가 상부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오일커버와, 상기 오일커버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으로 끼워져 오일커버안착홈에 밀착되어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1오일커버오링과, 상기 오일커버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으로 끼워져 축의 외주면과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2오일커버오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의 상기 피스톤부는,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피스톤실링홈과 오일커버실링홈에 각각 축오링이 끼워진 상기 축에 끼워짐과 더불어 피스톤실링홈에 끼워진 축오링에 의해 내주면이 실링되도록 끼워지는 한편, 상기 제1홀더부의 축중심으로 형성된 피스톤홈에 끼워져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형성된 피스톤링삽입홈으로 삽입됨과 더불어 피스톤홈의 내주면에 끼워져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3피스톤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의 오일커버부는, 상기 제1홀더부의 상부에 형성된 오일커버안착홈에 끼워져 오일부의 오일이 상부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오일커버와, 상기 오일커버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으로 끼워져 피스톤홈에 밀착되어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3오일커버오링과, 상기 축의 외주면에 끼워진 오일커버의 내경과 축의 오일커버실링홈에 간단히 끼워진 축오링과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홀더부의 축중심으로 더 이상 끼워지지 않도록 축의 소정위치에 확경된 플랜지부의 일측면과 제1홀더부의 하부면 사이에 와셔가 더 끼워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에 의하면, 일단에는 스톱퍼가 끼워져 조립되고 타단에는 회전체인 볼이 조립되어 바디에 회전가능하도록 조립된 축이 압력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음은 물론, 압력의 평형을 이루도록 된 오일의 공급과 부품의 조립성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나타내는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10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력을 갖춘 엑츄에이터(1100)와, 이 엑츄에이터의 하부에 조립된 몸체(1200)와, 이 몸체 내에 설치된 제1유로라인(1210)과 제2유로라인(1220)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볼(1300)과, 엑츄에이터의 회전력을 볼에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된 축(1400)과, 엑츄에이터와 몸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냉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외부실링수단(150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엑츄에이터(1100)가 작동하여 정역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축(1400)이 회전하면서 상기 볼(1300)을 정역회전시키면서 몸체(1200)의 내부에 형성된 제1유로라인(1210)과 제2유로라인(1220)을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냉매를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상기 외부실링수단(1500)은 상기 제1유로라인(1210)과 제2유로라인(1220)을 따라 흐르는 냉매가 상기 축(1400)의 상부 방향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실링수단(1500)은, 상기 몸체(1200)의 상부로 돌출된 축(1400)으로 조립되어 이 축(1400)이 축방향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함과 더불어, 상기 몸체(1200)의 상부에 안착되는 한편, 외주면이 오링(1510a)에 의해 몸체(1200)에서 실링되도록 된 제1홀더부(1510)와, 이 제1홀더부의 축방향 내측 하부에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축의 외주면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지도록 된 피스톤부(1520)와, 이 피스톤부의 상부에 일정량의 오일이 공급되어 제1홀더부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된 오일부(1530)와, 상기 제1홀더부(1510)의 축방향 내측 상부에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오일부의 오일이 상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오일커버부(154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1200)의 상부에 안착됨과 더불어 축(1400)에 제1홀더부(1510)가 끼워지는 한편, 후술하는 제2홀더에 의해 상부로의 이동이 제어되는 상기 제1홀더부(1510)에 피스톤부(1520)와 오일커버부(1540)가 안착되도록 축(1400)에 순차적으로 끼워지면서 조립성이 우수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볼(1300)쪽에서 가해지는 압력이 피스톤부(1520)에 전달되어 오일부(1530)를 가압하게 되면서 상기 볼(1300)쪽에서 피스톤부(1620)에 가해지는 압력과 오일부(1530)에서 가해지는 압력이 평형을 이루게 되어 상기 오일커버부(1540)쪽으로 냉매의 누출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오일부(1530)의 오일 압력 변화가 축(1400)의 외주면에서 축중심으로 가해지게 되므로 축(1400)의 상승 또는 하강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되는 한편, 상기 피스톤부(1520)와 오일커버부(1540)가 축(1400)의 상부와 하부를 지지하게 되므로 구조가 안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축(1400)에 끼워져 몸체(1200)의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된 제1홀더부(1510)의 상부를 감싸면서 상기 몸체(1200)의 상부면에 체결수단인 나사부재에 의해 고정된 제2홀더(1550)와, 상기 축(1400)의 상부에 끼워져 제2홀더(1550)의 상부면에 밀착됨과 더불어 축(1400)의 회전범위를 제어하도록 된 스톱퍼(156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2홀더(1550)에 의해 제1홀더부(1510)의 상부가 가압됨과 더불어 오일커버부(1540)의 상부도 가압하게 되어, 상기 제1홀더부(1510)의 외주면과 오일커버부(1540)의 외주면 및 내주면으로 냉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미설명부호 1570은 상기 제1유로라인(1210)과 제2유로라인(1220)에서 상기 볼(1300)에 밀착되는 시일이고, 1580은 이 시일을 볼에 가압하도록 상기 몸체(1200)에 체결되는 시일홀더이다.
또한, 상기 피스톤부(1520)는, 상기 축(1400)에 끼워짐과 더불어 제1홀더부(1510)의 축중심으로 형성된 피스톤홈(1511)에 끼워져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피스톤(1521)과, 이 피스톤의 내주면에 삽입됨과 더불어 축의 외주면에 끼워져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1피스톤링(1522)과, 상기 피스톤홈(1521)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됨과 더불어 피스톤의 외주면에 끼워져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2피스톤링(1523)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2피스톤링(1522,1523)에 의해 피스톤(1521)이 외주면과 내주면에서 냉매가 누출되지 않도록 실링이 이루어지면서 제1홀더부(1510)의 내주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오일커버부(1540)는, 상기 제1홀더부(1510)의 상부에 형성된 오일커버안착홈(1512)에 끼워져 오일부(1530)의 오일이 상부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오일커버(1541)와, 이 오일커버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1541a)으로 끼워져 오일커버안착홈에 밀착되어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1오일커버오링(1542)과, 상기 오일커버(1541)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1541b)으로 끼워져 축(1400)의 외주면과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2오일커버오링(1543)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오일커버(1522)가 제1홀더부(1510)의 오일커버안착홈(1512)에 안착된 상태로 제1,2오일커버오링(1542,1543)에 의해 실링이 이루어져 오일부(1530)의 오일이 오일커버(1541)의 내주면과 외주면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 상기 제2홀더(1550)는 하부면에 제1홀더부(1510)의 상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홈(1551)과, 이 수용홈의 축중심에 축(1400)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관통구멍(155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축(1400)에 끼워지는 제2홀더(1550)에 의해 제1홀더부(1510)의 상부를 수용하면서 몸체(1200)의 상부에 체결부재로 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홀더부(1510)의 축중심으로 더 이상 끼워지지 않도록 축(1400)의 소정위치에 확경된 플랜지부(1401)의 일측면과 제1홀더부(1510)의 하부면 사이에 와셔(1600)가 더 끼워져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질로 제조된 상기 제1홀더부(1510)가 강철재질로 이루어진 축(1400)과 직접적으로 마찰되지 않아 쉽게 파손되는 것을 와셔(1600)가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 및 도 2와 중복되는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서 상기 피스톤부(1520)는,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피스톤실링홈(1411)과 오일커버실링홈(1412)에 각각 축오링(1413,1414)이 끼워진 상기 축(1400)에 끼워짐과 더불어 피스톤실링홈(1411)에 끼워진 축오링(1413)에 의해 내주면이 실링되도록 끼워지는 한편, 상기 제1홀더부(1510)의 축중심으로 형성된 피스톤홈(1511)에 끼워져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피스톤(1524)과, 이 피스톤의 외주면에 형성된 피스톤링삽입홈(1524a)으로 삽입됨과 더불어 피스톤홈(1511)의 내주면에 끼워져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3피스톤링(1525)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축오링(1413)과 제3피스톤링(1525)에 의해 피스톤(1524)이 외주면과 내주면에서 냉매가 누출되지 않도록 실링이 이루어지면서 제1홀더부(1510)의 피스톤홈(1511)내주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상기 축(1400)의 외주면에 형성된 피스톤실링홈(1411)과 피스톤링삽입홈(1524a)으로 상기 축오링(1413)과 제3피스톤링(1525)이 간단하게 끼워져 고정된 상태로 조립되므로 제1홀더부(1510)의 피스톤홈(1511)에 축(1400)과 피스톤(1524)을 실링이 가능한 상태로 조립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오일커버부(1540)는, 상기 제1홀더부(1510)의 상부에 형성된 오일커버안착홈(1512)에 끼워져 오일부(1530)의 오일이 상부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오일커버(1541)와, 이 오일커버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1541a)으로 끼워져 피스톤홈(1511)에 밀착되어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3오일커버오링(1544)과, 상기 축(1400)의 외주면에 끼워진 오일커버(1541)의 내경과 축(1400)의 오일커버실링홈(1412)에 간단히 끼워진 축오링(1414)과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오일커버(1541)의 상부 플랜지가 제1홀더부(1510)의 오일커버안착홈(1512)에 안착된 상태로 제3오일커버오링(1544)에 의해 오일커버(1541)의 외주면에서 오일부(1530)의 오일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링됨과 더불어, 상기 축(1400)의 오일커버실링홈(1412)에 간단히 끼워진 축오링(1414)이 오일커버(1541)의 내주면에서 실링이 이루어져 오일부(1530)의 오일이 오일커버(1541)의 내주면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0: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 1100: 엑츄에이터
1200: 몸체 1210: 제1유로라인
1220: 제2유로라인 1300: 볼
1400: 축 1411: 피스톤실링홈
1412: 오일커버실링홈 1413,1414: 축오링
1500: 외부실링수단 1510: 제1홀더부
1511: 피스톤홈 1512: 오일커버안착홈
1520: 피스톤부 1521: 피스톤
1522: 제1피스톤링 1523: 제2피스톤링
1524: 피스톤 1524a: 피스톤링삽입홈
1525: 제3피스톤링 1530: 오일부(오일)
1540: 오일커버부 1541: 오일커버
1541a: 홈 1542: 제1오일커버오링
1543: 제2오일커버오링 1544: 제3오일커버오링
1550: 제2홀더 1560: 스톱퍼

Claims (5)

  1. 회전력을 갖춘 엑츄에이터와, 이 엑츄에이터의 하부에 조립된 몸체와, 이 몸체 내에 설치된 제1유로라인과 제2유로라인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볼과, 엑츄에이터의 회전력을 볼에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된 축과, 엑츄에이터와 몸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냉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외부실링수단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에 있어서,
    상기 외부실링수단은,
    상기 몸체의 상부로 돌출된 축으로 조립되어 축이 축방향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함과 더불어, 몸체의 상부에 안착되는 한편, 외주면이 오링에 의해 몸체에서 실링되도록 된 제1홀더부와,
    상기 제1홀더부의 축방향 내측 하부에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축의 외주면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끼워지도록 된 피스톤부와,
    상기 피스톤부의 상부에 일정량의 오일이 공급되어 제1홀더부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된 오일부와,
    상기 제1홀더부의 축방향 내측 상부에 축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오일이 상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오일커버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에 끼워져 몸체의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된 제1홀더부를 감싸면서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고정된 제2홀더와,
    상기 축의 상부에 끼워져 제2홀더의 상부면에 밀착됨과 더불어 축의 회전범위를 제어하도록 된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축에 끼워짐과 더불어 제1홀더부의 축중심으로 형성된 피스톤홈에 끼워져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내주면에 삽입됨과 더불어 축의 외주면에 끼워져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1피스톤링과, 상기 피스톤홈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됨과 더불어 피스톤의 외주면에 끼워져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2피스톤링을 포함하고,
    상기 오일커버부는,
    상기 제1홀더부의 상부에 형성된 오일커버안착홈에 끼워져 오일부가 상부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오일커버와, 상기 오일커버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으로 끼워져 오일커버안착홈에 밀착되어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1오일커버오링과, 상기 오일커버의 내주면에 형성된 홈으로 끼워져 축의 외주면과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2오일커버오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부는,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피스톤실링홈과 오일커버실링홈에 각각 축오링이 끼워진 상기 축에 끼워짐과 더불어 피스톤실링홈에 끼워진 축오링에 의해 내주면이 실링되도록 끼워지는 한편, 상기 제1홀더부의 축중심으로 형성된 피스톤홈에 끼워져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의 외주면에 형성된 피스톤링삽입홈으로 삽입됨과 더불어 피스톤홈의 내주면에 끼워져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3피스톤링을 포함하고,
    상기 오일커버부는,
    상기 제1홀더부의 상부에 형성된 오일커버안착홈에 끼워져 오일부의 오일이 상부로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오일커버와, 상기 오일커버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으로 끼워져 피스톤홈에 밀착되어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된 제3오일커버오링과, 상기 축의 외주면에 끼워진 오일커버의 내경과 축의 오일커버실링홈에 간단히 끼워진 축오링과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홀더부의 축중심으로 더 이상 끼워지지 않도록 축의 소정위치에 확경된 플랜지부의 일측면과 제1홀더부의 하부면 사이에 와셔가 더 끼워져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
KR1020230030095A 2022-06-22 2023-03-07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 KR202301750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982 2022-06-22
KR20220075982 2022-06-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5094A true KR20230175094A (ko) 2023-12-29

Family

ID=89334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0095A KR20230175094A (ko) 2022-06-22 2023-03-07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50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8321B1 (ko) 내부 밀봉 장치를 구비한 볼 밸브
JP2020073831A (ja) バルブ装置
CA2710070C (en) Valve
KR101567739B1 (ko) 외부 밀봉 장치를 구비한 볼 밸브
KR20200013654A (ko) 유량제어용 삼방 밸브 및 이것을 이용한 온도제어 장치
KR20160079649A (ko) 유로 전환 밸브
US20190162320A1 (en) Flow control valve
US20120115060A1 (en) Proportional valve having an improved sealing seat
US6889909B2 (en) Expansion valve
US6234207B1 (en) Device for changing flow of operating medium in air conditioning system
US6626365B2 (en) Expansion valve
KR20230175094A (ko) 자동차용 냉매제어밸브
KR100828195B1 (ko) 팽창밸브
JPH09193797A (ja) 自己摩耗補償弁
US5056549A (en) Valve fluid control device and fluid backflow protection device comprising same
US6955331B2 (en) Axial valve
US7273360B2 (en) Vane-type hydraulic motor
US20210140555A1 (en) Valve device
EP0967446A2 (en) Device for changing flow of operating medium in air conditioning system
US20110017327A1 (en) Cartridge for a sanitary fitting
JP2016056852A (ja) バルブ装置
KR20050105971A (ko) 액압장치
CN112368496A (zh) 密封件及特别用于旋转球阀接头的密封件
US20240167571A1 (en) Dynamic sealing in an aircraft turbine engine control valve
US20240052934A1 (en) Proportional valve assembly for refrige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