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5029A -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5029A
KR20230175029A KR1020220076410A KR20220076410A KR20230175029A KR 20230175029 A KR20230175029 A KR 20230175029A KR 1020220076410 A KR1020220076410 A KR 1020220076410A KR 20220076410 A KR20220076410 A KR 20220076410A KR 20230175029 A KR20230175029 A KR 20230175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cture
screen
displayed
video
specif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기
김혜원
Original Assignee
김영기
김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기, 김혜원 filed Critical 김영기
Priority to KR1020220076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5029A/ko
Publication of KR20230175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502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3Querying
    • G06F16/738Presentation of query res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G06F16/74Browsing; Visualisation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8Subtitling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에 따른 미리 보기 방법은 검색어가 포함된 동영상 강의 목록, 상담 목록, 노트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검색어 기반 화면 표시 단계; 상기 동영상 강의 목록에서 특정 강의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강의를 재생하는 동영상 강의 재생 단계; 및 상기 특정 강의를 재생하면서 검색 이력에 따른 전체 강의들을 재생목록으로 표시하는 재생목록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목록 표시 단계에서, 자막의 키워드에 대응되는 제1 재생목록들이 상기 재생목록 중에서 상기 자막의 키워드에 대응되지 않는 제2 재생목록들보다 먼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Method for searching and performing preview for moving picture lecture}
본 발명은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을 통한 동영상 강의는 획일적인 수동적 학습을 개선하고, 학습의 다양화 및 개인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교육 서비스에 있어서, 동영상 강의는 과거의 학원이나 학교에서 이루어졌던 것처럼 단순한 정보나 학습자료, 풀이방법 제시의 형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자발성, 개별성 및 상호작용이 무시된 채 기존의 교과서 또는 참고서를 인터넷에 옮겨 놓은 역할밖에는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주제에 대해서 학습을 원하는 경우에도, 이를 위하여 동영상 강의 전체를 수강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 강의 목록 중에서 원하는 특정 주제가 어느 강좌에 속하는지 알 수가 없었다. 또한, 상기 특정 주제가 어느 강좌에 속하는 지를 파악하였다 하더라도, 해당 강좌에서 해당 부분을 다시 파악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주제에 대해서 학습을 하는 경우 강사가 설명하는 내용을 청각에만 의존함에 따라 효율적인 학습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자막을 동영상 강의 내에 삽입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이러한 자막을 단순히 표시하는 것은 강사와 학습자 간의 상호 작용(interaction) 측면에서는 여전히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동영상 강의를 시청 중 표시되는 자막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관련 검색어를 검색하는 경우에 동영상 강의를 중지시키지 않고 이러한 관련 동영상 강의의 검색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동영상 강의 시청 중 이러한 관련 동영상 강의의 검색, 표시 및/또는 재생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홈 화면에서 사용자 별 맞춤형 동영상 추천 서비스를 단순히 사용자의 시청 경향에만 의존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학습 동영상의 경우 사용자, 즉 수강자의 학습 성취도와 노트 필기 내용 등을 고려하여 맞춤화 동영상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동영상 강의 검색에 따라 관련된 재생 목록을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가 시청하거나 또는 현재 재생 중인 강의와 유사성이 높은 강의를 순서대로 표시하고 재생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홈 화면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청 이력을 고려한 추천 강의 또는 인기 강의 등에 대한 미리 보기 기능 제공과 함께 사용자 입력 또는 일정 조건하에서 동영상을 자동 재생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학습 동영상에서 사용자, 즉 수강자의 학습 성취도와 노트 필기 내용 등을 고려하여 맞춤화 동영상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에 따른 미리 보기 방법은 검색어가 포함된 동영상 강의 목록, 상담 목록, 노트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검색어 기반 화면 표시 단계; 상기 동영상 강의 목록에서 특정 강의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강의를 재생하는 동영상 강의 재생 단계; 및 상기 특정 강의를 재생하면서 검색 이력에 따른 전체 강의들을 재생목록으로 표시하는 재생목록 표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생목록 표시 단계에서, 자막의 키워드에 대응되는 제1 재생목록들이 상기 재생목록 중에서 상기 자막의 키워드에 대응되지 않는 제2 재생목록들보다 먼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재생목록 표시 단계에서 상기 특정 강의가 재생되고 있는 동안 강사의 음성에 대응하는 자막의 키워드가 해시 태그와 함께 표시되면서 상기 자막의 키워드에 대응되는 제1 재생목록들이 상기 재생목록 중에서 상기 자막의 키워드에 대응되지 않는 제2 재생목록들보다 먼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특정 강의가 재생되는 제1 화면 및 노트 보기, 강의 Q&A 및 재생목록과 연관된 제2 화면이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재생목록 표시 단계에서, 상기 제2 화면의 상기 재생목록에서 상기 특정 강의가 가장 먼저 표시되면서 다른 강의들과 구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특정 강의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동영상 강의 재생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특정 강의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특정 강의의 상기 키워드와 연관성이 높은 순서대로 강의들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연관 동영상 재생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동영상 강의 재생 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 보기 형태가 세로 보기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하부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제2 화면에 강의 Q&A 및 재생목록 탭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화면 보기 형태가 가로 보기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좌측 영역 및 하부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세로 보기 모드에서 자막에 표시된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가 상기 가로 보기 모드에서 상기 제1 화면의 하부 영역인 제3 화면에 상기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강의와 연관된 문장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특정 강의를 재생하는 동안 노트 보기와 연관된 상기 제2 화면의 일 측에 필기도구 버튼이 표시되지 않으면 상기 제2 화면의 타 측에 노트 보기 버튼이 표시되고 상기 제2 화면의 터치에 따라 상기 제2 화면의 상하 스크롤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 화면의 일 측에 상기 필기도구 버튼이 표시되면 상기 제2 화면의 타 측에 노트 저장 버튼이 표시되고 상기 제2 화면의 터치에 따라 상기 제2 화면에 펜으로 필기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홈 화면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특정 강의를 수강 중인 사용자의 활동을 최근 영상 탭, 노트 목록 탭, 강의 Q&A 탭, 상담 내역 탭, 즐겨찾기 탭으로 디스플레이의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는 나의 활동 화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최근 영상 탭이 선택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의 사용자 설정에 따라 평점순, 최신순, 이름순, 과목순으로 동영상 강의들이 표시되고, 상기 노트 목록 탭이 선택되면 저장된 노트 목록들이 표시되고 각각의 노트에 대응하는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영상 재생 버튼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홈 화면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강사별 강의 항목이 선택되면, 복수의 강의들의 제1 미리 보기 화면들이 강사별로 표시되는 강사별 강의 보기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사별 강의 보기 단계에서, 특정 강의 화면이 선택되면 해당 강사의 복수의 강의들의 제2 미리 보기 화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미리 보기 화면들 및 상기 제2 미리 보기 화면들은 학년별, 과목별로 표시되고 강의 내용에 따른 자막과 키워드가 적용되고, 상기 제1 미리 보기 화면들은 사용자의 최근 검색어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노트 보기에서 특정 노트가 선택되고 상기 특정 노트와 연관된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일 측에 필기 도구 아이콘, 타 측에 이전노트 보기 및 다음 노트 보기와 연관된 제1 및 제2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특정 노트와 연관된 노트가 상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특정 노트와 연관된 모든 노트들이 상기 화면에 표시되면, 상기 특정 노트에 대응하는 강의가 자동으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상기 방법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홈 화면에서 복수의 강의들 중 선택된 제1 강의에 대응하는 제1 영역에 대한 제1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홈 화면에서 상기 제1 강의에 대한 재생이 무음 상태에서 자막 표시와 함께 수행되는 강의 미리 보기 수행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의 우측 상단 부의 컨트롤 버튼 중 음성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제1 강의의 음성이 활성화되어 재생될 수 있다. 상기 제1 강의가 상기 홈 화면에서 재생 중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제2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강의가 강의 전용 화면에서 연속하여 재생될 수 있다. 상기 제1 강의가 상기 홈 화면에서 재생 중 타임 라인의 재생 위치가 임계 위치 이상이면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없이도 상기 제1 강의가 강의 전용 화면에서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동영상 강의 검색에 따라 관련된 재생 목록을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가 시청하거나 또는 현재 재생 중인 강의와 유사성이 높은 강의를 순서대로 표시하고 재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관련된 강의를 사용자 입력 없이도 어느 환경에서나 시청하여 학습 효율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일부 유료 강의가 수강 시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과금 시 사용자의 학습 효율 향상과 함께 학습 동영상 제공자의 수익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홈 화면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청 이력을 고려한 추천 강의 또는 인기 강의 등에 대한 미리 보기 기능 제공과 함께 사용자 입력 또는 일정 조건하에서 동영상을 자동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학년, 학습 성취도와 관심사 등을 고려한 맞춤형 동영상 추천과 이에 따른 사용자의 학습 효율 향상과 함께 학습 동영상 제공자의 수익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강자의 학습 성취도와 노트 필기 내용 등을 고려하여 맞춤화 동영상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미리 보기 화면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의도에 따라 동영상 화면으로 전환에 따라 학습 효율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와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 기반 화면 표시 단계에서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재생 및 재생목록 표시 단계에서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회전에 따라 변경되는 화면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의 홈 화면에서 사용자 기반 최근 영상 목록과 노트 목록에 기반한 동영상 강의 재생하는 화면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의 홈 화면에서 강사별 강의 보기와 연관된 화면 구성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의 최근 검색 화면과 이와 관련된 노트 보기 화면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의 최근 검색 화면과 이와 관련된 노트 보기 화면을 나타낸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은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서버 및 플랫폼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 및 이를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서버를 포함하는 동영상 강의 검색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플랫폼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와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인터페이스부(120), 프로세서(130), 디스플레이(140) 및 메모리(15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200)로부터 동영상 강의에 관한 검색 결과 및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 WiFi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상기 디스플레이(140) 상의 화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동영상 강의와 관련된 특정 키워드(keyword)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화면 내에 표시되는 자막 중 특정 키워드(keyword)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30)는 자막 영역 내에 자막이 표시된 상태에서 동영상 강의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에 재생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자막 중 특정 키워드(keyword)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상기 디스플레이(140)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키워드 및 상기 재생되는 동영상 강의와 연관된 복수의 연관 동영상들을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13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연관 동영상 강의를 화면의 일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동영상 강의와 관련하여, 무선 통신부(110)는 동영상 강의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동영상 강의를 제공하는 서버(200)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0)는 영상 강의를 분할된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무선 통신부(110), 인터페이스부(120), 디스플레이(140) 및 메모리(15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이동 단말기의 제1 화면에 자막 영역 내에 자막이 표시된 상태에서 동영상 강의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화면이 아닌 나머지 제2 화면에는 상기 자막에 표시되는 키워드와 연관된 학습 교재의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동영상 재생 중 상기 제1 화면의 자막에 해시태그와 특정 용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를 상기 자막 내의 다른 단어와 다른 색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기 해시태그와 특정 용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단어 중 하나에 터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해시태그와 조합된 단어와 연관된 동영상 강의를 검색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4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거나, 또는 동영상 강의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50)는 상기 검색어, 상기 사용자 입력, 상기 동영상 강의, 퀴즈, 동영상 퀴즈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동영상 강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200)와 연동한다. 이때, 상기 서버(200)는 무선 통신부(210), 프로세서(220) 및 메모리(230)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동영상 강의를 제공하는 서버(200)는 동영상 강의 및 이에 대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버일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에서 동영상 강의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동영상 강의를 제공하는 서버(200)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의해 수행되는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과 이를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에 대해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검토하기로 한다.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은 동영상 강의 검색에 따른 미리 보기 방법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은 동영상 강의 검색 및 사용자 선택에 따른 미리 보기 및 재생 제어 방법으로 지칭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은 검색어 기반 화면 표시 단계(S100), 동영상 강의 재생 단계(S200) 및 재생목록 표시 단계(S3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동영상 강의 재생 단계(S200) 및 재생목록 표시 단계(S300)는 동시에 수행되거나 동영상 강의 재생 단계(S200) 중에 재생목록 표시 단계(S300)가 수행될 수도 있다.
홈 화면 상태 판단 단계(S310)를 통해 홈 화면 상태에서 여러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홈 화면 상태에서 다른 화면으로 화면 전환을 위한 사용자 선택 수신 여부를 판단(S320)할 수 있다. 사용자 선택이 수신되지 않아 홈 화면 상태이면 강의 미리 보기 수행 단계(S350) 이하의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선택이 수신되어 다른 화면으로 전환되면 다른 메뉴 구성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라 여러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나의 활동 화면 표시 단계(S360) 및 강사별 강의 보기 단계(S370)가 수행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생목록 표시 단계(S300)에서 홈 화면 상태가 아닌 강의 화면 상태에서 특정 강의 재생 완료 여부를 판단(S330)하여, 연관 동영상 강의 재생 단계(S400)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에 대해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검색어 기반 화면 표시 단계에서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재생 및 재생목록 표시 단계에서의 화면 구성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검색어 기반 화면 표시 단계(S100)에서 검색어가 포함된 동영상 강의 목록, 상담 목록, 노트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동영상 강의 재생 단계(S200)에서 동영상 강의 목록에서 특정 강의가 선택되면 특정 강의를 재생할 수 있다. 재생목록 표시 단계(S300)에서 특정 강의를 재생하면서 검색 이력에 따른 전체 강의들을 재생목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재생목록 표시 단계(S300)에서, 특정 강의가 재생되고 있는 동안 강사의 음성에 대응하는 자막의 키워드가 해시 태그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막의 키워드에 대응되는 제1 재생목록들이 상기 재생목록 중에서 상기 자막의 키워드에 대응되지 않는 제2 재생목록들보다 먼저 표시될 수 있다.
특정 강의가 재생되는 제1 화면 및 노트 보기, 강의 Q&A 및 재생목록과 연관된 제2 화면이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재생목록 표시 단계(S300)에서 제2 화면의 재생목록에서 특정 강의가 가장 먼저 표시되면서 다른 강의들과 구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정 강의가 완료될 때까지 동영상 강의 재생 단계(S200)가 수행될 수 있다. 특정 강의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특정 강의의 상기 키워드와 연관성이 높은 순서대로 강의들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연관 동영상 재생 단계(S400)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를 참조하면, #생산이라는 자막이 표시되는 제1 동영상 강의가 제1 화면에서 표시된 상태에서 제1 동영상의 미리 보기 화면이 재생목록에 가장 먼저 표시될 수 있다. 제1 동영상 강의의 재생이 완료되면, 제1 동영상 강의의 키워드인 #생산과 연관성이 높은 순서대로 강의들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연관 동영상 재생 단계(S400)가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인 #생산과 연관성이 임계치 이상으로 높은 수요의 변동 요인이라는 제2 동영상 강의가 재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사용자 입력이 없이도 유사성이 높은 순으로 관련 동영상 강의를 연속적으로 제어하여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회전에 따라 화면 구성을 최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회전에 따라 변경되는 화면 구성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동영상 강의 재생 단계(S200)에서 이동 단말기의 화면 보기 형태가 세로 보기 모드인 경우, 제1 화면 및 제2 화면이 디스플레이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하부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제2 화면에 강의 Q&A 및 재생목록 탭이 표시될 수 있다. 화면 보기 형태가 가로 보기 모드로 변경된 경우, 제1 화면 및 제2 화면이 디스플레이의 좌측 영역 및 하부 영역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세로 보기 모드에서 자막에 표시된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가 가로 보기 모드에서 제1 화면의 하부 영역인 제3 화면에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를 포함하는 특정 강의와 연관된 문장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a)의 세로 보기 모드에서 도 5(b)의 가로 보기 모드로 변경된 경우, 제1 화면 및 제2 화면이 디스플레이의 좌측 영역 및 하부 영역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세로 보기 모드에서 자막에 표시된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 즉 “주요섭”과 “사랑손님과 어머니”가 가로 보기 모드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가로 보기 모드에서 제1 화면의 하부 영역인 제3 화면에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 즉 주요섭”과 “사랑손님과 어머니”를 포함하는 특정 강의와 연관된 문장이 제3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화면 회전 이후에도 재생 중인 강의에 대한 특징을 직관적으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컨트롤들이 제3 화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정 강의 수강 중인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회전시켜 화면 전환이나 메뉴 터치 없이도 특정 강의에 대한 즐겨찾기, 공유, 관련 서비스 및 문제풀이 메뉴를 표시하고 상세 메뉴로 진입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특정 강의를 재생하는 동안 노트 보기와 연관된 제2 화면의 일 측에 필기도구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필기도구 버튼이 표시되지 않으면 제2 화면의 타 측에 노트 보기 버튼이 표시되고 제2 화면의 터치에 따라 제2 화면의 상하 스크롤이 수행될 수 있다. 반면에, 제2 화면의 일 측에 필기도구 버튼이 표시되면 제2 화면의 타 측에 노트 저장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2 화면의 터치에 따라 제2 화면에 펜으로 필기 가능하게 제2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의 홈 화면에서 사용자 기반 최근 영상 목록과 노트 목록에 기반한 동영상 강의 재생하는 화면 구성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홈 화면(S310)에서 사용자 선택(S320)에 따라 특정 강의를 수강 중인 사용자의 활동을 표시하는 나의 활동 화면 표시 단계(S360)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나의 활동 화면 표시 단계(S360)에서 최근 영상 탭, 노트 목록 탭, 강의 Q&A 탭, 상담 내역 탭, 즐겨찾기 탭으로 디스플레이의 하나의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최근 영상 탭이 선택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의 사용자 설정에 따라 평점순, 최신순, 이름순, 과목순으로 동영상 강의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노트 목록 탭이 선택되면 저장된 노트 목록들이 표시되고 각각의 노트에 대응하는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영상 재생 버튼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의 홈 화면에서 강사별 강의 보기와 연관된 화면 구성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강사별 강의 보기 단계(S37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홈 화면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강사별 강의 항목이 선택되면 복수의 강의들의 제1 미리 보기 화면들이 강사별로 표시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홈 화면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실행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또한, 홈 화면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다시 실행됨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또한, 홈 화면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실행 중 특정 화면에서 홈 버튼 아이콘에 따라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강사별 강의 보기 단계(S370)에서 특정 강의 화면이 선택되면 해당 강사의 복수의 강의들의 제2 미리 보기 화면들이 표시될 수 있다. 도 7(a)의 제1 미리 보기 화면들 및 도 7(b)의 제2 미리 보기 화면들은 학년별, 과목별로 표시되고 강의 내용에 따른 자막과 키워드가 적용될 수 있다. 제1 미리 보기 화면들은 사용자의 최근 검색어에 따라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의 최근 검색 화면과 이와 관련된 노트 보기 화면을 나타낸다. 도 8(a)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최근 검색어가 표시되도록 검색 화면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최근 검색어 또는 인기 검색어에 연관된 강의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강의와 연관된 특정 노드가 표시되도록 검색 화면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노트 보기에서 특정 노트가 선택되고 특정 노트와 연관된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일 측에 필기 도구 아이콘, 타 측에 이전 노트 보기 및 다음 노트 보기와 연관된 제1 및 제2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여 특정 노트와 연관된 노트가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정 노트와 연관된 모든 노트들이 화면에 표시되면, 특정 노트에 대응하는 강의가 자동으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가 도 8(b)의 화면에서 관성과 관련된 모든 노트들이 화면에 모두 표시되었다면 사용자가 화면 전환 및 검색을 통해 해당 강의를 검색할 필요 없이 관성과 관련된 강의가 자동으로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의 최근 검색 화면과 이와 관련된 노트 보기 화면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홈 화면에서 복수의 강의들 중 선택된 제1 강의에 대응하는 제1 영역에 대한 제1 터치 입력에 따라 강의 미리 보기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강의 미리 보기 수행 단계(S35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홈 화면에서 복수의 강의들 중 선택된 제1 강의에 대응하는 제1 영역에 대한 제1 터치 입력에 따라 홈 화면에서 제1 강의에 대한 재생이 무음 상태에서 자막 표시와 함께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강의 미리 보기 수행 단계(S350)에서, 제1 영역의 우측 상단 부의 컨트롤 버튼 중 음성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제1 강의의 음성이 활성화되어 재생될 수 있다. 상기 제1 강의가 상기 홈 화면에서 재생 중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제2 터치 입력(S360)에 따라 상기 제1 강의가 도 4 및 도 5의 강의 전용 화면에서 연속하여 재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강의가 상기 홈 화면에서 재생 중 타임 라인의 재생 위치가 임계 위치 이상(S360)이면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없이도 상기 제1 강의가 강의 전용 화면에서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9와 같이 홈 화면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청 이력을 고려한 추천 강의 또는 인기 강의 등에 대한 미리 보기 기능 제공과 함께 사용자 입력 또는 일정 조건하에서 동영상을 자동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학년, 학습 성취도와 관심사 등을 고려한 맞춤형 동영상 추천과 이에 따른 사용자의 학습 효율 향상과 함께 학습 동영상 제공자의 수익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9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홈 화면 기반 추천 서비스를 통해 수강자의 학습 성취도와 노트 필기 내용 등을 고려하여 맞춤화 동영상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따. 이와 관련하여 맞춤화 동영상 추천 서비스는 수강자의 시청 이력 이외에 학습 성취도, 노트 필기 내용, 수강한 강의의 강사, 수강자의 시선/표정 기반 강의 집중도를 고려하여 최적 수준의 강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사한 주제의 강의인 경우에도 수강자의 퀴즈 성적과 학습 성취도, 노트 필기 내용 및 강의 집중도를 고려하여 수강 난이도가 최적화된 강의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수강 난이도가 최적화된 강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의도에 따라 동영상 화면으로 전환에 따라 학습 효율 향상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의 기술적 특징 및 주요 기능, 동작 및 화면 구성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검색어가 포함된 강의, 상담 내역, 교안(노트)를 볼 수 있는 기능 및 화면 구성
2) 검색 단어의 해당 강의에 대하여 검색 단어의 강의 전체를 재생목록 형태로 구현하는 기능 및 화면 구성
3) 세로 화면, 분할 화면에서 노트 보기/강의 Q&A/재생목록을 한 화면에서 보여주는 기능 및 화면 구성
4) 사용자의 활동을 최근영상(평점순 / 최신순 / 이름순 / 과목순), 노트 목록, 강의Q&A, 상담(전문가 상담) 내역, 즐겨찾기 목록으로 한 화면에 정리하여 보여주는 기능 및 화면 구성
5) 강사별 해당 소단원 또는 중단원의 내용을 ‘시리즈’로 보여주는 기능 / 학년, 과목별, 자막적용 설정 기능 및 화면 구성
6) 검색어에 대하여 인기검색어(전체 사용자의 검색어를 임의로 정한 시간의 통계로 우선순위를 정하여 보여주는 기능)/최근 검색어(다른 사람의 검색과는 상관없이 내가 본 최근 검색어)로 보여주는 기능 및 화면 구성
7) 노트 보기에서 이전 및 다음 교안을 먼저 보고 강의를 들을 수 있는 기능/ 우측 하단의 이전/다음 을 클릭하면 해당 교안을 볼 수 있고 우측 상단의 플레이 버튼을 누르면 강의가 바로 재생이 되는 기능 및 화면 구성
8) 강의 미리보기 기능 (영상 화면이 일정 위치에 있으면 자동 플레이되는 기능/ 무음으로 자막과 함께 동작하면 화면 우측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음성을 들을 수 있음/ 영상 화면을 터치하면 일반 상태로 전환) 및 화면 구성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의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동영상 강의 검색에 따라 관련된 재생 목록을 함께 표시하여 사용자가 시청하거나 또는 현재 재생 중인 강의와 유사성이 높은 강의를 순서대로 표시하고 재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관련된 강의를 사용자 입력 없이도 어느 환경에서나 시청하여 학습 효율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일부 유료 강의가 수강 시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과금 시 사용자의 학습 효율 향상과 함께 학습 동영상 제공자의 수익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홈 화면 상태에서 사용자의 시청 이력을 고려한 추천 강의 또는 인기 강의 등에 대한 미리 보기 기능 제공과 함께 사용자 입력 또는 일정 조건하에서 동영상을 자동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학년, 학습 성취도와 관심사 등을 고려한 맞춤형 동영상 추천과 이에 따른 사용자의 학습 효율 향상과 함께 학습 동영상 제공자의 수익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강자의 학습 성취도와 노트 필기 내용 등을 고려하여 맞춤화 동영상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미리 보기 화면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의도에 따라 동영상 화면으로 전환에 따라 학습 효율 향상이 가능하다.

Claims (8)

  1. 동영상 강의 검색에 따른 미리 보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이동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고,
    검색어가 포함된 동영상 강의 목록, 상담 목록, 노트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는 검색어 기반 화면 표시 단계;
    상기 동영상 강의 목록에서 특정 강의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강의를 재생하는 동영상 강의 재생 단계;
    상기 특정 강의를 재생하면서 검색 이력에 따른 전체 강의들을 재생목록으로 표시하는 재생목록 표시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생목록 표시 단계에서, 상기 특정 강의가 재생되고 있는 동안 강사의 음성에 대응하는 자막의 키워드가 해시 태그와 함께 표시되면서 상기 자막의 키워드에 대응되는 제1 재생목록들이 상기 재생목록 중에서 상기 자막의 키워드에 대응되지 않는 제2 재생목록들보다 먼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강의 검색에 따른 미리 보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강의가 재생되는 제1 화면 및 노트 보기, 강의 Q&A 및 재생목록과 연관된 제2 화면이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상기 재생목록 표시 단계에서, 상기 제2 화면의 상기 재생목록에서 상기 특정 강의가 가장 먼저 표시되면서 다른 강의들과 구별되도록 표시되고, 상기 특정 강의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동영상 강의 재생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특정 강의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특정 강의의 상기 키워드와 연관성이 높은 순서대로 강의들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연관 동영상 재생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강의 미리 보기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강의 재생 단계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 보기 형태가 세로 보기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에 표시되고,
    상기 하부 영역에 표시되는 상기 제2 화면에 강의 Q&A 및 재생목록 탭이 표시되고,
    상기 화면 보기 형태가 가로 보기 모드로 변경된 경우, 상기 제1 화면 및 상기 제2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좌측 영역 및 하부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세로 보기 모드에서 자막에 표시된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가 상기 가로 보기 모드에서 상기 제1 화면의 하부 영역인 제3 화면에 상기 제1 키워드 및 제2 키워드를 포함하는 상기 특정 강의와 연관된 문장이 표시되는, 동영상 강의 검색에 따른 미리 보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강의를 재생하는 동안 노트 보기와 연관된 상기 제2 화면의 일 측에 필기도구 버튼이 표시되지 않으면 상기 제2 화면의 타 측에 노트 보기 버튼이 표시되고 상기 제2 화면의 터치에 따라 상기 제2 화면의 상하 스크롤이 수행되고,
    상기 제2 화면의 일 측에 상기 필기도구 버튼이 표시되면 상기 제2 화면의 타 측에 노트 저장 버튼이 표시되고 상기 제2 화면의 터치에 따라 상기 제2 화면에 펜으로 필기 가능하도록 상기 제2 화면을 제어하는, 동영상 강의 검색에 따른 미리 보기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홈 화면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특정 강의를 수강 중인 사용자의 활동을 최근 영상 탭, 노트 목록 탭, 강의 Q&A 탭, 상담 내역 탭, 즐겨찾기 탭으로 디스플레이의 하나의 화면에 표시하는 나의 활동 화면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최근 영상 탭이 선택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서의 사용자 설정에 따라 평점순, 최신순, 이름순, 과목순으로 동영상 강의들이 표시되고,
    상기 노트 목록 탭이 선택되면 저장된 노트 목록들이 표시되고 각각의 노트에 대응하는 동영상이 재생되는 동영상 재생 버튼이 함께 표시되는, 동영상 강의 검색에 따른 미리 보기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홈 화면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강사별 강의 항목이 선택되면, 복수의 강의들의 제1 미리 보기 화면들이 강사별로 표시되는 강사별 강의 보기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사별 강의 보기 단계에서,
    특정 강의 화면이 선택되면 해당 강사의 복수의 강의들의 제2 미리 보기 화면들이 표시되고,
    상기 제1 미리 보기 화면들 및 상기 제2 미리 보기 화면들은 학년별, 과목별로 표시되고 강의 내용에 따른 자막과 키워드가 적용되고,
    상기 제1 미리 보기 화면들은 사용자의 최근 검색어에 따라 표시되는, 동영상 강의 검색에 따른 미리 보기 방법.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노트 보기에서 특정 노트가 선택되고 상기 특정 노트와 연관된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일 측에 필기 도구 아이콘, 타 측에 이전노트 보기 및 다음 노트 보기와 연관된 제1 및 제2 아이콘이 표시되고,
    상기 제1 및 제2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특정 노트와 연관된 노트가 상기 화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특정 노트와 연관된 모든 노트들이 상기 화면에 표시되면, 상기 특정 노트에 대응하는 강의가 자동으로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동영상 강의 검색에 따른 미리 보기 방법.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홈 화면에서 복수의 강의들 중 선택된 제1 강의에 대응하는 제1 영역에 대한 제1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홈 화면에서 상기 제1 강의에 대한 재생이 무음 상태에서 자막 표시와 함께 수행되는 강의 미리 보기 수행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의 우측 상단 부의 컨트롤 버튼 중 음성 버튼이 터치되면 상기 제1 강의의 음성이 활성화되어 재생되고,
    상기 제1 강의가 상기 홈 화면에서 재생 중 상기 제1 영역에 대한 제2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제1 강의가 강의 전용 화면에서 연속하여 재생되고,
    상기 제1 강의가 상기 홈 화면에서 재생 중 타임 라인의 재생 위치가 임계 위치 이상이면 상기 제2 터치 입력이 없이도 상기 제1 강의가 강의 전용 화면에서 연속하여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동영상 강의 검색에 따른 미리 보기 방법.
KR1020220076410A 2022-06-22 2022-06-22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 KR202301750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410A KR20230175029A (ko) 2022-06-22 2022-06-22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410A KR20230175029A (ko) 2022-06-22 2022-06-22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5029A true KR20230175029A (ko) 2023-12-29

Family

ID=89334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410A KR20230175029A (ko) 2022-06-22 2022-06-22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502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6134B2 (en) Child-oriented computing system
Buckingham Media education goes digital: an introduction
US8977779B2 (e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system with personalized user interface and content
シャテラン,ロバート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using mobile devices in a university language classroom
US200702024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exibly and adaptively obtaining personalized study content, and stud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042808B2 (en) Didactic appliance
KR20180066709A (ko) 동영상 강의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 및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
CN107357870A (zh) 一种所见即所得的创建图文混合卡片课程的方法
CN106341552A (zh) 移动终端播放教学视频的方法及装置
US20130205213A1 (en) Caption-based navigation for a video player
Huber et al. Wipe’n’watch: spatial interaction techniques for interrelated video collections on mobile devices
KR102036639B1 (ko) 동영상 강의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 및 연관 동영상 표시 방법
KR20230175029A (ko) 동영상 강의 검색 및 미리 보기 방법
Prata et al. Going beyond iTV: designing flexible video-based crossmedia interactive services as informal learning contexts
KR102165646B1 (ko) 동영상 강의 재생 방법 및 이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Wald et al. Synote: Collaborative mobile learning for all
Aziz et al. MySimB’: Interactive tool for learning Simpulan Bahasa through educational website
KR102057706B1 (ko) 컨텐츠의 목차 입력 방법 및 재생 방법
Prata et al. Personalized content access in interactive TV-based cross media environments
KR20180088345A (ko) 동영상 강의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 및 연관 동영상 재생 방법
Valstad Introducing the iPad in a Norwegian high school: How do students and teachers react to this technology
WO2008104003A2 (en) Child-oriented computing system
Huber et al. Browsing e-lecture libraries on mobile devices: A spatial interaction concept
Morin Flipping the classroom with lynda. com
US20230298629A1 (en) Dynamically generated content stickers for use in video cre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