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941A -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 및 대시캠에 대한 도난방지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 및 대시캠에 대한 도난방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941A
KR20230174941A KR1020220076202A KR20220076202A KR20230174941A KR 20230174941 A KR20230174941 A KR 20230174941A KR 1020220076202 A KR1020220076202 A KR 1020220076202A KR 20220076202 A KR20220076202 A KR 20220076202A KR 20230174941 A KR20230174941 A KR 20230174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heft
car
dash ca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치형
박철진
Original Assignee
(주)백금티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백금티앤에이 filed Critical (주)백금티앤에이
Priority to KR1020220076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4941A/ko
Priority to EP23178962.9A priority patent/EP4296126A1/en
Priority to US18/335,596 priority patent/US20230419677A1/en
Publication of KR20230174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2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recording means, e.g. black bo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0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29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for viewing an area inside the vehicle, e.g. for viewing passengers or carg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05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using a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56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relating to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6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exterior to a vehicle by using sensors mounted on the vehic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08B13/1481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with optical det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39Details of the system layout
    • G08B13/19647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intrusion detection in or around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2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Communication devices for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205Mobile pho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은,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획득부, 상기 이미지획득부가 내장되며 상기 이미지획득부가 자동차를 구성하는 부품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공간을 촬영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내부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이미지획득부가 촬영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저장부,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하우징이 장착된 자동차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이미지분석부 및 상기 이미지분석부의 자동차가 변경되었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도난발생신호를 출력하는, 도난신호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 및 대시캠에 대한 도난방지시스템{A dashcam with anti-theft function and An anti-theft system for dashcam}
본 발명은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 및 대시캠에 대한 도난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시캠(또는, 블랙박스)은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어, 차량의 주변 상황을 녹화하도록 형성된 녹화 장치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대시캠은 자동차 전면의 상황을 녹화하도록 설치되었다. 예를 들어, 대시캠은 대시보드, 룸미러(room mirror) 및/또는 전면 윈도우에 설치될 수 있었다.
대시캠은 그 사용 목적 상 차량에 설치되므로, 항상 도난의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 특히, 근래에는 탈착이 용이한 대시캠 모델이 등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모델들은 더욱 도난에 취약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시캠에 대한 도난방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은,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획득부, 상기 이미지획득부가 내장되며 상기 이미지획득부가 자동차를 구성하는 부품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공간을 촬영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내부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이미지획득부가 촬영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저장부,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하우징이 장착된 자동차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이미지분석부 및 상기 이미지분석부의 자동차가 변경되었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도난발생신호를 출력하는, 도난신호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분석부는,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부품이 나타난 기준영역과,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기준영역에 대응되는 비교영역을 비교하여, 자동차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비교영역은, 상기 제2 이미지 상에서, 상기 제1 이미지 상에서 상기 기준영역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를 가진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분석부는, 상기 이미지저장부에 기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부품을 식별하도록 설정된, 부품식별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미지는 상기 제2 이미지의 촬영시점 이전에 촬영된 복수의 이전이미지를 포함할 수있다.
상기 부품식별알고리즘은, 서로 다른 상기 이전이미지에서, 색채관련값이 미리 설정된 차이 이하를 유지하는 영역을 상기 부품으로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분석부는, 상기 이미지획득부의 재가동에 기초하여, 재가동 이전과 자동차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획득부는, 상기 도난발생신호의 출력에 기초하여, 촬영을 정지하는 기능제한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도난발생신호를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발송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정보파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난발생신호는 상기 하우징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시캠에 대한 도난방지시스템은, 자동차를 구성하는 부품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공간을 촬영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내부에 장착되는 대시캠, 상기 대시캠과 무선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대시캠이 촬영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대시캠이 설치된 자동차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이미지분석부 및 상기 이미지분석부의 자동차가 변경되었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도난발생신호를 출력하는 도난신호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분석부는, 미리 저장된 제1 이미지와, 상기 대시캠에 의해 새로 촬영된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자동차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대시캠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도난된 대시캠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이 자동차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설명을 위해 개략적으로 표현된 이미지분석부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시캠에 대한 도난방지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이 자동차 내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대시캠(1)은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시캠(1)은 전면 윈도우, 룸미러 및/또는 대시보드(D) 상에 장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시캠(1)의 하우징(100)은 전면 윈도우, 룸미러 및/또는 대시보드(D) 상에 장착되기 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하우징(100)은 별도의 브래킷 구조물에 탈착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브래킷 구조물은 차량의 전면윈도우, 대시보드 및/또는 룸미러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은 차량 내부에 설치될 때,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된 촬영 렌즈가 차량외부공간(O)을 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외부공간(O)은 자동차 전면유리의 전방에 위치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은 촬영 렌즈에 의해 자동차를 구성하는 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함께 촬영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대시캠(1)은 자동차 부품 및 차량외부공간(O)을 포함하는 공간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부품은, 보닛(Bonnet)과 같은 자동차의 외부 프레임이거나, 자동차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는 부품일 수 있다. 자동차의 내부 공간을 구성하는 부품은 예를 들어, 전면 윈도우의 가장자리 프레임, 대시보드(D), 및/또는 천장을 덮는 커버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촬영되는 자동차 부품이 대시보드(D)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대시캠(1)에는 대시캠(1)의 기능을 제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위치(10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스위치(101)를 조작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하거나, 대시캠(1)의 화면에 표시된 사항을 변경하거나, 대시캠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시캠(1)의 상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시캠(1)은 이미지획득부(110), 이미지저장부(120), 이미지분석부(130), 도난신호출력부(140), 송수신부(150), 위치정보파악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획득부(110), 이미지저장부(120), 이미지분석부(130), 도난신호출력부(140), 송수신부(150), 위치정보파악부(160) 및 제어부(170)는 하우징(100)에 내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획득부(110), 이미지저장부(120), 이미지분석부(130), 도난신호출력부(140), 송수신부(150), 위치정보파악부(160) 및 제어부(170)는 적어도 하나의 정보처리유닛 및/또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획득부(110)는 촬영 렌즈 등을 포함하여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획득부(110)는 렌즈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전기신호로 전환하는 촬상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미지저장부(120)는 이미지획득부(110)가 촬영한 이미지를 기록하는 기록유닛일 수 있다. 이미지저장부(120)는 촬상소자의 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미리 설정된 형태로 기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미지저장부(120)는 이미지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기록 매체는 SD 카드로 구비되고, 하우징(100)에 형성된 홈을 통해 장착될 수 있다.
이미지분석부(130)는 이미지획득부(11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하우징(100)이 장착되 차량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미지분석부(130)는 이미지획득부(110)의 재가동에 기초하여 차량 변경에 대한 판단을 개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대시캠(1)이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전환되거나, 이미지획득부(110)가 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전환되면, 이미지분석부(130)는 차량변경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분석부(130)는 재가동 후 이미지획득부(110)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와, 가장 최근 이미지저장부(120)에 저장된 이미지를 비교하여, 차량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이미지분석부(130)는 촬영된 대시보드(D)를 기초로 차량이 변경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미지분석부(130)는 이미지에 촬영된 자동차의 부품을 식별하는 부품식별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부품식별알고리즘과 차량의 변경 판단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난신호출력부(140)는 이미지획득부(110)가 차량이 변경되었다 판단한 경우, 도난발생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요소이다. 도난발생신호는 도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난발생신호는 도난을 알리는 메시지로 구현되어, 후술하는 송수신부(150)에 의해 전송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또는, 도난발생신호는 도난을 알리는 메시지와, 대시캠(1)의 현재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하우징(100)에는 별도의 스피커가 내장되고, 도난발생신호는 스피커가 녹음된 소리를 출력하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다.
송수신부(150)는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도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송수신부(150)는 외부의 정보처리 유닛과 무선통신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난발생신호를 수신하는 단말기는, 스위치(101),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자신의 핸드폰 번호, 이메일 주소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말기는 각각 스마트폰, 메일서버일 수있다.
위치정보파악부(160)는 하우징(100)에 내장되어, 하우징(100)의 위치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정보는 GPS 정보이고, 위치정보파악부(160)는 GP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자동차가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위치정보파악부(160)는 위치정보를 도난신호출력부(140)로 전달하고, 도난신호출력부(140)는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도난발생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스위치(101)의 입력 및 각종 신호에 기초하여 대시캠(1)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하는 유닛일 수 있다.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대시캠(1)은 촬영모드, 기능제한모드, 파킹모드 및/또는 기준영역설정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촬영모드에서는 이미지획득부(110)가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미지저장부(120)에 촬영된 이미지가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기능제한모드에서는 대시캠(1)의 모든 기능 또는 일부 기능이 잠금되는 모드일 수 있다. 기능제한모드에서는 이미지획득부(110)의 촬영이 정지될 수 있다. 파킹모드는 주행 종료 후 자동차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실행되는 모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킹모드는 저전력소비모드일 수 있다. 기준영역설정모드에 대하여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잠금해제신호가 출력되면 기능제한모드를 해제하고 대시캠(1)을 다시 촬영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잠금해제신호는 미리 설정된 암호가 스위치(101) 또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대시캠(1)에 입력되는 경우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잠금해제신호는 상술한 미리 설정된 단말기부터 전송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대시캠(1)과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프로그램을 통해 잠금해제신호를 대시캠(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분석부(130)가 차량 변경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설명을 위해 개략적으로 표현된 이미지분석부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3(a)은 재가동 이전에 가장 최근에 촬영된 이미지이며, 도 3(b)는 새롭게 촬영된 이미지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a)를 참조하여, 기준영역(S)이 설정되는 방법을 설명한 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차량변경을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미지분석부(130)는 촬영된 이미지를 기초로 차량 변경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제1 이미지에서 대시보드가 촬영된 기준영역(S)을 식별할 수 있다. 기준영역(S)은 차량 변경의 판단에 대한 기준이 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무시영역(I)은 차량 변경의 판단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영역으로, 이미지에서 기준영역(S) 외의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품식별알고리즘은 제1 이미지에 포함된 복수의 이전이미지를 이용하여, 제1 이미지에서 대시보드가 위치한 영역인 기준영역(S)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미지는 동영상 형태이고, 각각의 이전이미지는 제1 이미지의 서로 다른 시점의 정지화면일 수 있다. 또는, 제1 이미지는 제2 이미지 촬영 전에 촬영된 영상들 중 적어도 2개 이상을 포함하고, 이전이미지는 제1 이미지에서 선택된 이미지일 수 있다.
부품식별알고리즘은, 시간의 변화에 따른 일련의 이미지 상에서, 기준영역(S)이 무시영역(I) 보다 변화가 작은 것을 이용하여, 기준영역(S)과 무시영역(I)을 구별할 수 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설명하면, 무시영역(I)은 자동차의 외부 환경이 촬영되어 기록된 영역이기 때문에, 다양한 피사체가 일련에 이미지에 등장하고 사라질 수 있다. 반면, 기준영역(S)은 자동차의 부품에 해당되는 공간이 촬영된 영역이므로, 등장하는 피사체가 크게 변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부품식별알고리즘은 복수의 이전이미지의 각 픽셀에 대한 픽셀값을 분석하여, 기준영역을 식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픽셀값은, 이미지를 구성하는 픽셀이 갖는 색채관련값일 수 있다.
색체관련값은 RGB 형식의 정보를 표현하거나, HSV 형식의 정보를 표한하는 수치일 수 있다. RGB 형식의 경우, 각 픽셀을 R값(0-255; 빨강), G값(0-255; 초록), B값(0-255; 파랑)으로 나타나내는 방식일 수 있다. HSV 형식은 각 픽셀을 H값(0-180 또는 0-360; HUE; 색상), S값(0-255, Saturation; 채도), V값(0-255, Value; 명도)으로 나타내는 방식일 수 있다.
부품식별알고리즘은 복수의 이전이미지에서 픽셀값의 변화가 일정 수치 이하인 영역을 자동차의 부품(대시보드)으로 인식하고, 해당 영역을 기준영역(S)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부품식별알고리즘은, 복수의 이전이미지에서 같은 좌표에 위치한 픽셀끼리 비교하여, 픽셀값 변화가 일정값 이하인 좌표들을 추출할 수 있다. 부품식별알고리즘은, 추출된 좌표들이 이전이미지에서 일정 영역에 집중된 경우, 이를 기준영역(S)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영역(S)을 추출하는 작업은 대시캠(1)의 전원이 켜지는 것과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이미지분석부(130)는 기준영역이 식별되면 기준영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정보는 X축, Y축의 범위(도 3 참조)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복수의 이전이미지를 이용하여, 기준영역(S)을 설정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예로, 부품식별알고리즘은 이미지에서 부품을 구별하도록 학습된 딥러닝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품식별알고리즘은 시맨틱분할 방식으로 가장 최근의 이미지에서 부품을 식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이미지분석부(130)는 기준영역이 식별되면 기준영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예로, 이미지분석부(130)는 사용자로부터 기준영역(S)의 위치정보를 직접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대시캠(1)은 기준영역설정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기준영역설정모드는 스위치(101)의 조작을 통해 진입되거나, 터치스크린에 제공된 인터페이스를 조작하여 진입될 수 있다.
기준영역설정모드가 실행되면, 대시캠(1)의 화면에 이미지저장부(120)에 기록된 이미지들의 리스트가 표시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한 후, 대시보드가 표시된 영역을 직접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영역(S)은 사용자가 기준영역(S)의 상단지점과 하단지점을 지정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는, 기준영역(S)은 상단지점과 하단지점에 대한 좌표정보 입력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영역(S)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지점들의 사이에 위치된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디. 일 예로, 상단지점의 y축 좌표가 a이고 하단지점의 y축 좌표가 b라면, 기준영역(S)은 y=a인 축과 y=b인 축 사이의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설명을 바탕으로 기준영역(S)이 설정된 후, 제2 이미지가 촬영된 시점에서 차량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미지획득부(110) 또는 대시캠(1)이 재가동되면, 이미지분석부(130)는 이미지저장부(120)에 이미 기록된 제1 이미지(도 3(a) 참조)와 새롭게 촬영된 제2 이미지(도 3(b) 참조)를 비교하여, 자동차의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먼저, 이미지분석부(130)는 저장된 위치정보를 로딩하여, 비교영역(C)을 설정할 수 있다. 비교영역(C)은 제2 이미지에서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정보 로딩 후, 비교영역(C)은 기준영역(S)과 동일한 좌표 범위의 픽셀들의 집합으로 설정될 수 있다.
기준영역(S)과 비교영역(C)이 확정되면, 이미지획득부(110)는 양 영역에 대한 이미지 유사도를 판단하여, 차량이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미지 유사도는 구체적으로 히스토그램(histogram) 방식으로 판단될 수 있다.
히스토그램(histogram) 방식은 이미지의 픽셀값에 대한 분포를 이용한 방식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미지분석부(130)는 기준영역(S)의 픽셀값 분포(제1 히스토그램)와, 비교영역(C)의 픽셀값 분포(제2 히스토그램)를 추출할 수 있다. 이미지분석부(130)는 제1 히스토그램과 제2 히스토그램을 비교하여, 이미지의 유사도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히스토그램과 제2 히스토그램은 각각 기준영역(S)과 비교영역(C)에 대한 2차원 히스토그램일 수 있다. 여기서, 2차원 히스토그램은 2가지 변수값의 빈도를 나타내는 히스토그램일 수 있다.
제1 히스토그램 및 제2 히스토그램을 획득하기 위하여, 이미지분석부(130)는 기준영역(S)과 비교영역(C) 각각에 대하여 픽셀들의 HSV 픽셀값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미지분석부(130)는 기준영역(S)의 H값(0-180 또는 0-360; HUE; 색상)과 S값(0-255, Saturation; 채도)을 기초로 제1 히스토그램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분석부(130)는 비교영역(C)의 H값(0-180 또는 0-360; HUE; 색상)과 S값(0-255, Saturation; 채도)을 기초로 제2 히스토그램을 추출할 수 있다.
제1 히스토그램과 제2 히스토그램을 추출한 후, 이미지분석부(130)는 각각의 히스토그램이 0~1에 대한 값을 갖도록 정규화할 수 있다. 이후, 이미지분석부(130)는 교차분석(Intersection)을 이용하여, 제1 히스토그램과 제2 히스토그램의 유사도를 연산할 수 있다. 이때, 유사도는 0~1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유사도가 0에 가까울수록 양 이미지는 비유사하며, 1에 가까울수록 양 이미지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이미지분석부(130)가 교차분석 방식을 이용하여 제1 히스토그램과 제2 히스토그램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미지분석부(130)는 카이제곱 방식, 바타차야거리 방식 등으로 연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이미지분석부(130)는 픽셀값 분포를 기초로 유사도를 판단하도록 구성 및/또는 학습된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 알고리즘은, 제1 히스토그램과 제2 히스토그램의 분산값, 최빈 픽셀값, 평균 픽셀값 등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판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미지분석부(130)는 기준영역(S)과 비교영역(C)의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면, 차량이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유사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이미지분석부(130)는 차량이 변경된 것으로 판단하며, 도난발생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미리 설정된 기준은, 상술한 유사도에 대한 수치값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이미지분석부(130)는 교차 분석된 유사도값이 0.8 이상일 경우, 양 이미지는 유사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는, 미리 설정된 기준은, 분산값, 최빈 픽셀값, 평균 픽셀값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제1 히스토그램과 제2 히스토그램 사이의 차이값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차이값이 소정 수치 이하이면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어, 차량이 변경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시캠에 대한 도난방지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공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시캠에 대한 도난방지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시스템(2)은 대시캠(3), 이미지분석서버(4) 및 단말기(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단말기(5)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데스크톱, 랩톱, 스마트폰, PDA 등의 정보처리유닛일 수 있다. 사용자는 인터넷 홈페이지를 통해 이미지분석서버(4)에 접속하거나, 전용 프로그램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미지분석서버(4)와 정보 교환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대시캠(3)은, 이미지분석부와 도난신호출력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대시캠(3)은 재가동 시 새로 촬영된 이미지를 위치정보와 함께 이미지분석서버(4)로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분석서버(4)는 대시캠(3) 및 사용자단말기(5)와 무선통신 가능한 컴퓨팅유닛일 수 있다. 이미지분석서버(4)는 이미지분석부(230), 도난신호출력부(240) 및 이미지데이터베이스(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분석부(230)와 도난신호출력부(240)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만 설명한다.
이미지데이터베이스(220)는 차량의 변경 여부 판단에 기초가 되는 제1 이미지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미지분석서버(4)가 사용자단말기(5) 및/또는 대시캠(3)으로부터 미리 제1 이미지를 수신 받아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비교에 기초가 될 제1 이미지를 선정한 후, 사용자단말기(5)를 통하여 이미지분석서버(4)로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분석서버(4)는 전송 받은 이미지를 이미지데이터베이스(220)에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데이터베이스(220)에는 대시캠(3)이 재가동되면서 발송된 이미지들이 기록될 수 있다.
이미지분석부(230)는 이미지데이터베이스(220)에 기록된 이미지를 비교에 기초가되는 제1 이미지로 설정하고, 새로 수신된 이미지를 판단을 위한 제2 이미지로 설정하여, 제1 이미지 촬영 시점의 자동차와 제2 이미지 촬영 시점의 자동차가 다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기준영역은 상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에 의한 기준영역설정은, 사용자단말기(5)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홈페이지, 프로그램 및/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직접 제1 이미지를 업로드 한 후, 기준영역에 대한 좌표 설정 잡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분석부(230)는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영역을 기초로, 새로운 이미지에 대한 자동차 변경 여부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분석부(230)가 차량이 변경되었다는 판단을 판단하면, 도난신호출력부(240)는 사용자단말기(5)로 도난발생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도난발생신호에는 대시캠(3)이 도난되었다는 텍스트 정보와, 대시캠(3)이 발신한 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3: 대시캠 2: 도난방지시스템
4: 이미지분석서버 5: 단말기
100: 하우징 101: 스위치
110: 이미지회득부 120: 이미지저장부
130, 230: 이미지분석부 140, 240: 도난신호출력부
150: 송수신부 160: 위치정보파악부
170: 제어부 220: 이미지데이터베이스
C: 비교영역 D: 대시보드
I: 무시영역 O: 차량외부공간
S: 기준영역

Claims (9)

  1.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획득부;
    상기 이미지획득부가 내장되며, 상기 이미지획득부가 자동차를 구성하는 부품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공간을 촬영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내부에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이미지획득부가 촬영한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저장하는 이미지저장부;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하우징이 장착된 자동차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이미지분석부; 및
    상기 이미지분석부의 자동차가 변경되었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도난발생신호를 출력하는, 도난신호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분석부는,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부품이 나타난 기준영역과, 상기 제2 이미지에서 상기 기준영역에 대응되는 비교영역을 비교하여, 자동차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영역은,
    상기 제2 이미지 상에서, 상기 제1 이미지 상에서 상기 기준영역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를 가진 영역으로 설정되는,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분석부는,
    상기 이미지저장부에 기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부품을 식별하도록 설정된, 부품식별알고리즘을 포함하는,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는 상기 제2 이미지의 촬영시점 이전에 촬영된 복수의 이전이미지를 포함하고,
    상기 부품식별알고리즘은,
    서로 다른 상기 이전이미지에서, 색채관련값이 미리 설정된 차이 이하를 유지하는 영역을 상기 부품으로 식별하는,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분석부는,
    상기 이미지획득부의 재가동에 기초하여, 재가동 이전과 자동차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도록 설정된,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획득부는,
    상기 도난발생신호의 출력에 기초하여, 촬영을 정지하는 기능제한모드로 전환되는,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발생신호를 미리 설정된 단말기로 발송하는,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정보파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난발생신호는 상기 하우징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
  9. 자동차를 구성하는 부품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공간을 촬영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내부에 장착되는, 대시캠;
    상기 대시캠과 무선 통신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대시캠이 촬영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대시캠이 설치된 자동차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이미지분석부; 및
    상기 이미지분석부의 자동차가 변경되었다는 판단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도난발생신호를 출력하는 도난신호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분석부는,
    미리 저장된 제1 이미지와, 상기 대시캠에 의해 새로 촬영된 제2 이미지를 비교하여, 자동차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대시캠에 대한 도난방지시스템.
KR1020220076202A 2022-06-22 2022-06-22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 및 대시캠에 대한 도난방지시스템 KR20230174941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202A KR20230174941A (ko) 2022-06-22 2022-06-22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 및 대시캠에 대한 도난방지시스템
EP23178962.9A EP4296126A1 (en) 2022-06-22 2023-06-13 Dash cam having anti-theft function and anti-theft system for dash cam
US18/335,596 US20230419677A1 (en) 2022-06-22 2023-06-15 Dash cam having anti-theft function and anti-theft system for dash c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202A KR20230174941A (ko) 2022-06-22 2022-06-22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 및 대시캠에 대한 도난방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941A true KR20230174941A (ko) 2023-12-29

Family

ID=8676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202A KR20230174941A (ko) 2022-06-22 2022-06-22 도난방지기능을 갖는 대시캠 및 대시캠에 대한 도난방지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419677A1 (ko)
EP (1) EP4296126A1 (ko)
KR (1) KR202301749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28772B2 (ja) * 2019-06-27 2021-02-10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記録制御装置、記録装置、記録制御方法、及び記録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70697B2 (en) * 2013-12-17 2018-01-16 At&T Mobility Ii Llc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device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llaborative standalone area monitor
CN105096501B (zh) * 2014-04-25 2019-02-12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智能终端设备防盗方法及智能终端设备
KR20180090521A (ko) * 2017-02-03 2018-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카메라 도난 감지 기능이 구비된 차량의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카메라 도난 감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419677A1 (en) 2023-12-28
EP4296126A1 (en) 2023-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35389B (zh) 车门解锁方法及装置、系统、车、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0930547A (zh) 车门解锁方法及装置、系统、车、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140085477A1 (en) Vehicl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of monitoring vehicle
CN105139415A (zh) 图像前后景分割方法、装置及终端
KR102540920B1 (ko) 차량 단말 및 그의 얼굴 인증 방법
CN111656411B (zh) 记录控制装置、记录控制系统、记录控制方法及存储介质
US11427195B1 (en) Automatic collision detection, warning, avoidance and prevention in parked cars
CN102567712A (zh) 用于面部识别的系统和方法
CN107627969B (zh) 更换车身颜色的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KR102241906B1 (ko) 차량의 주차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
US20180270444A1 (en) Image recording system, image record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recording image recording program
US20210001785A1 (en) Camera Arrangement,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ith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an Assistance System
EP4296126A1 (en) Dash cam having anti-theft function and anti-theft system for dash cam
CN105787322A (zh) 指纹识别的方法及装置、移动终端
CN112016344A (zh) 信号指示灯的状态检测方法及装置、驾驶控制方法及装置
US11978231B2 (en) Wrinkle detec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11325701B (zh) 图像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2446241A (zh) 用于获得目标对象的特征信息的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6801093B (zh) 图像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CN112069901B (zh) 车内物品监控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EP3327718B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 page
KR101947040B1 (ko) 테일 게이트 작동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203890A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surrounding of vehicle
US11776313B2 (en) Scanning apparatus for reducing field of view search space
CN209281498U (zh) 一种基于Kinect的人脸识别车门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