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4461A - 리셉터클 피팅 네일,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피팅 네일,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4461A
KR20230174461A KR1020220075409A KR20220075409A KR20230174461A KR 20230174461 A KR20230174461 A KR 20230174461A KR 1020220075409 A KR1020220075409 A KR 1020220075409A KR 20220075409 A KR20220075409 A KR 20220075409A KR 20230174461 A KR20230174461 A KR 20230174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pair
connector
reinforcement
up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민
주성혁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to KR1020220075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4461A/ko
Priority to CN202310741821.XA priority patent/CN117276950A/zh
Publication of KR20230174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4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용 리셉터클 피팅 네일은 제1 보강부, 상기 제1 보강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보강부, 상기 제1 보강부에 연결되는 바닥 보강부 및 상기 바닥 보강부에 연결되는 섬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보강부는 상기 제1 보강부의 제1 상측 덮개부의 양측에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연장하는 제2 상측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상측 덮개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상측 덮개부 사이에 곡면 형상의 내측 모서리 덮개부가 구비된다.

Description

리셉터클 피팅 네일,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조립체{RECEPTACLE FITTING NAIL, RECEPTACLE CONNECTOR AN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피팅 네일과 이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와 맞물려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제품이 소형화되면서 전자 제품에 들어가는 부품들이 슬림화되어 작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디지털 카메라에는 기판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Board-To-Board connector, BTB connector)가 구비되는데, 스마트폰이나 디지털 카메라가 소형화되면서 BTB 커넥터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와 이와 맞물려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는 수 mm의 매우 좁은 폭(ultra-narrow width)을 갖는 크기로 슬림화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각각에 보유 지지되는 복수의 단자들 사이의 간격(gap 또는 pitch)도 점점 작아져서 커넥터의 구조적 강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 시 어긋나게 맞대어진 상태, 즉 부정합(misalignment)이 발생된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에 조립을 위한 힘 또는 외부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리셉터클 플러그와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부분이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각각에 보유 지지되는 단자들이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전기적인 연결이 불안정해지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48135호에 개시된 리셉터클 커넥터는 테두리 영역의 일부, 바닥 영역의 일부 및 섬 영역의 일부를 각각 감싸는 도전성 부재로서 보강 금구, 즉 피팅 네일을 구비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48135호
그런데,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48135호에 개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된 피팅 네일은 테두리 영역의 제1 둘레부의 상측면을 덮는 제1 상측 덮개부와 테두리 영역의 제1 둘레부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둘레부의 상측면을 덮는 제2 상측 덮개부 사이에 틈새를 가지고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의 테두리 영역의 상측면을 충분하게 감싸지 못하였다. 즉,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 시, 플러그 커넥터의 테두리 영역의 외측 모서리 부분이 접촉하게 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내측 모서리 부분이 피팅 네일에 의해 덮이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 시 가해지는 힘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에 변형이나 파손이 야기될 수 있었다.
스마트폰 등 소형 전자기기는 사용하다가 떨어뜨릴 확률이 높아 상당한 강도가 요구되고, 이에 따라 낙하 충격 시험(drop test)의 요구 조건도 강화되고 있어서, 보다 견고하고 강도 높은 구조가 요구된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안정적으로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며, 고용량 데이터 및 높은 전류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잦은 착탈 동작이나 조립 또는 낙하 시 외부 충격에도 변형이나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제품이 요구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리셉터클 커넥터용 리셉터클 피팅 네일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피팅 네일은 제1 보강부, 상기 제1 보강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보강부, 상기 제1 보강부에 연결되는 바닥 보강부 및 상기 바닥 보강부에 연결되는 섬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보강부는 상기 제1 보강부의 제1 상측 덮개부의 양측에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연장하는 제2 상측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상측 덮개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상측 덮개부 사이에 곡면 형상의 내측 모서리 덮개부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제1 상측 덮개부의 외측에 구비된 제1 외측 덮개부 및 상기 제1 상측 덮개부의 내측에 구비된 제1 내측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보강부 각각은 상기 제2 상측 덮개부의 외측에 구비된 제2 외측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측 덮개부와 상기 제2 외측 덮개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리셉터클 피팅 네일은 상기 제1 상측 덮개부에서 내측으로 연장하고 상기 내측 모서리 덮개부와 연결되는 제1 경사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덮개부와 상기 제1 경사부 사이에 노치부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닥 보강부는 상기 제1 내측 덮개부에 연결되고, 양측 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피팅 네일은 상기 제2 상측 덮개부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하고 상기 내측 모서리 덮개부와 연결되는 제2 경사부와, 상기 제2 상측 덮개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 보강부의 단자부가 수용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섬 보강부는 상기 바닥 보강부의 단부에 연결된 제1 섬부 외측 덮개부, 상기 제1 섬부 외측 덮개부에 연결된 섬부 상측 덮개부 및 상기 섬부 상측 덮개부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섬부 외측 덮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덮개부에 돌기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측 모서리 덮개부는 상기 제1 상측 덮개부 및 상기 제2 상측 덮개부로부터 상기 바닥 보강부를 향해 경사지게 확장 성형되도록 라운딩 가공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리셉터클 피팅 네일, 리셉터클 하우징 및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피팅 네일의 내측 모서리 덮개부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제1 둘레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둘레부 사이의 내측 모서리부의 상부가 덮인다.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리셉터클 피팅 네일, 리셉터클 하우징,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 및 한 쌍의 파워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파워 단자는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원 단자부 및 상기 전원 단자부와 연결되고 상기 리셉터클 피팅 네일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단자 보호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자 보호부의 상단은 상기 전원 단자부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된다.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한 쌍의 리셉터클 피팅 네일 및 상기 한 쌍의 리셉터클 피팅 네일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신호 단자를 구비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이며, 상기 한 쌍의 리셉터클 피팅 네일 각각과 상기 복수의 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파워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파워 단자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신호 단자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원 단자부 및 상기 리셉터클 피팅 네일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단자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보호부의 상단은 상기 전원 단자부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호부는 상기 전원 단자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은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정합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리셉터클 커넥터의 내측 모서리를 충분히 감싸서 이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리셉터클 커넥터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 시,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쉽게 정합되도록 유도할 수 있어서 어긋난 상태로 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견고한 조립 구조를 달성 및 유지할 수 있고, 신뢰성 있는 제품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II 선에 따른 절단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II-III 선에 따른 절단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피팅 네일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셉터클 피팅 네일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리셉터클 피팅 네일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단자의 신호 단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파워 단자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XII-XII 선에 따른 절단면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XIII-XIII 선에 따른 절단면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피팅 네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 시의 걸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 시의 걸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는 수직 스택킹 구조(vertical stacking structure)의 BTB 커넥터로 참조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암형 커넥터(female connector)'로 참조될 수 있고, 플러그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조립(체결) 또는 조립 해제(탈거)되는 '수형 커넥터(male connector)'로 참조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배치를 기준으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상하 방향으로 조립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는 도면에서 달리 배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는 상하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에서 조립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리셉터클 커넥터(2)는 제1 방향(X방향)으로 연장하는 리셉터클 하우징(10)과, 리셉터클 하우징(10)에 보유 지지되고 제1 방향(X방향)으로 2열로 정렬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20) 및 제1 방향(X방향)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전기 전도성을 위해 구리 합금으로 제조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20) 및 한 쌍의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은 전도성 향상을 위해 플러그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 등이 금(Au)으로 도금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20) 및 한 쌍의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은 방청성 향상을 위해,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솔더 위킹 방지(solder wicking prevention)를 위한 부분이 니켈(Ni)로 도금 처리될 수 있다.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20) 및 한 쌍의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은 금형에 주입되어 리셉터클 하우징(10)으로 성형되는 절연 재료에 풀 오버 몰딩(full over-molding)된다. 리셉터클 하우징(10)으로 성형되는 절연 재료는 내열성을 갖는 플라스틱, 내열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풀 오버 몰딩'은 어느 하나의 재료가 다른 재료 위에 금형되는 사출 성형 방식으로서,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20)와 한 쌍의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이 위치된 금형 내에 절연 재료가 충진되어 리셉터클 하우징(10)으로 성형됨에 따라 리셉터클 하우징(10),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20) 및 한 쌍의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은 별도의 조립 공정을 거치지 않고서도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되는 리셉터클 커넥터(2)는 리셉터클 하우징,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 및 한 쌍의 리셉터클 피팅 네일이 개별적으로 제조된 후 일체로 조립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비해 제조가 간편하고 견고한 구조를 가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II 선에 따른 절단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2)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II-III 선에 따른 절단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2)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제2 방향(Y방향)은 제1 방향(X방향) 및 상하 방향(Z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제1 방향(X방향)과 상하 방향(Z방향)으로 규정되는 평면은 XZ평면이고, 제2 방향(Y방향)과 상하 방향(Z방향)으로 규정되는 평면은 YZ평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리셉터클 커넥터(2)에 있어서, 리셉터클 하우징(10)은 리셉터클 바닥부(11), 리셉터클 바닥부(11)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Z방향)으로 돌출하는 리셉터클 둘레부(12) 및 리셉터클 둘레부(12) 내에 배치되는 섬부(13)를 포함한다. 섬부(13)는 '섬 형상부', '중앙 돌출부' 또는 '돌출부'라고도 한다. 리셉터클 둘레부(12)는 제1 방향(X방향)에서 대향하고 제2 방향(Y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1 둘레부(12a, 12b)와 한 쌍의 제1 둘레부(12a, 12b)를 연결하도록 제2 방향(Y방향)에서 대향하고 제1 방향(X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둘레부(12c, 12d)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은 리셉터클 하우징(10)의 단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금구(), 보다 상세하게는 보강 금구 또는 록 금구 등으로 참조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은 리셉터클 하우징(10)의 리셉터클 둘레부(12), 리셉터클 바닥부(11) 및 섬부(13)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은 제1 보강부(31)와, 제1 보강부(31)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보강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강부(31)와 제2 보강부(32)는 제1 방향(X방향)과 제2 방향(Y방향)으로 규정되는 XY평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은 제1 보강부(31)에 연결되고 제1 둘레부(12a, 12b)와 섬부(13) 사이의 리셉터클 바닥부(11)를 감싸는 바닥 보강부(33)를 포함하고, 바닥 보강부(33)에 연결되고 제1 둘레부(12a, 12b)를 향하는 섬부(13)의 단부를 감싸는 섬 보강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강부(31)에 한 쌍의 제2 보강부(32)와 바닥 보강부(33)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섬 보강부(34)는 바닥 보강부(33)에 의해 제1 보강부(31)에 연결될 수 있다.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에 있어서, 제1 보강부(31)는 제1 둘레부(12a, 12b)의 상측면을 감싸는 제1 상측 덮개부(31a)를 구비하고, 한 쌍의 제2 보강부(32)는 한 쌍의 제2 둘레부(12c, 12d)의 상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한 쌍의 제2 상측 덮개부(32a)를 구비한다. 한 쌍의 제2 상측 덮개부(32a)는 제1 상측 덮개부(31a)의 양측에서 연장하며, 이때 제1 상측 덮개부(31a)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보강부(31)는 제1 둘레부(12a, 12b)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1 상측 덮개부(31a)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하방(-Z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외측 덮개부(31b)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보강부(31)는 제1 둘레부(12a, 12b)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제1 상측 덮개부(31a)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하방(-Z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내측 덮개부(31c)를 포함한다. 제1 내측 덮개부(31c)에는 제1 외측 덮개부(31b)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피팅 네일 돌기(31d)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제2 보강부(32)의 각각은 제2 둘레부(12c, 12d)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제2 상측 덮개부(32a)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하방(-Z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외측 덮개부(32b)를 포함한다.
또한, 바닥 보강부(33)는 제1 내측 덮개부(31c)의 하측 가장자리에서 구부러져 -X방향으로 연장하고, 양측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상방(+Z방향)으로 구부러져 연장되어 한 쌍의 제2 외측 덮개부(32b) 각각과 마주하는 한 쌍의 피팅 네일 단자부(간단히, '단자부'라고도 한다)(33a)를 포함한다. 한 쌍의 단자부(33a)는 바닥 보강부(33)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고정단부 및 고정단부로부터 상방(+Z방향)으로 연장하고 서로 마주하는 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하는 자유단부를 가진다. 따라서, 한 쌍의 단자부(33a)는 제2 방향(Y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예컨대, 리셉터클 커넥터에 조립되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에 의한 눌림)에 의해 탄성 변형(휘어짐)되고, 제2 방향(Y방향)으로 가해진 힘이 해제됨에 따라 원상태가 되도록 복원될 수 있다. 한 쌍의 단자부(33a)는 플러그 커넥터(4)(도 11 참조)와의 접점 구조로서, 단자부(33a)는 접촉된 플러그 커넥터(4)의 플러그 피팅 네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접촉된 플러그 커넥터(4)의 플러그 피팅 네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섬 보강부(34)는 바닥 보강부(33)의 내측 가장자리에서 상방(+Z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하고 제1 내측 덮개부(31c)과 마주하는 제1 섬부 외측 덮개부(34b), 제1 섬부 외측 덮개부(34b)에 연결되는 섬부 상측 덮개부(34a) 및 섬부 상측 덮개부(34a)의 양측에서 하방(-Z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섬부 외측 덮개부(34c)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은 제1 보강부(31)와 한 쌍의 제2 보강부(32), 바닥 보강부(33) 및 섬 보강부(34)를 모두 구비하고, 단일 편으로 리셉터클 바닥부(11), 리셉터클 둘레부(12) 및 섬부(13)를 각각 감쌀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2)의 단부를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여 리셉터클 커넥터(2)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2)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상측 덮개부(31a)와 한 쌍의 제2 상측 덮개부(32a)는 이음부 없이(seamless) 연결, 즉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을 상방에서 볼 때, 제1 상측 덮개부(31a)와 제2 상측 덮개부(32a) 사이에 끊어진 부분이 없이 서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측 덮개부(31b)와 제2 외측 덮개부(32b)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즉, 제1 보강부(31)와 제2 보강부(32)의 제1 외측 덮개부(31b)와 제2 외측 덮개부(32b) 사이는 서로 이격되고, 제1 상측 덮개부(31a)와 제2 상측 덮개부(32a)는 이음부 없이 연속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부재가 이음부 없이 또는 연속적으로 연장한다는 것은, 부재가 갭(gap)이나 단차없이 매끄럽게 연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상측 덮개부(31a)와 제2 상측 덮개부(32a)의 연결 부분에 곡면 형상의 내측 모서리 덮개부(35)가 구비될 수 있다. 곡면 형상의 내측 모서리 덮개부(35)는 리셉터클 둘레부(12)의 제1 둘레부(12a)의 제1 내측면부와 한 쌍의 제2 둘레부(12c, 12d)의 제2 내측면부 사이의 내측 모서리의 상부 영역을 실질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연장된다.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을 상방에서 볼 때, 내측 모서리 덮개부(35)에 의해 리셉터클 둘레부(12)의 내측 모서리의 상부 영역이 가려져 상방으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2)에 플러그 커넥터(4)가 조립될 때, 플러그 커넥터(4)의 외측 모서리 부분이 리셉터클 커넥터(2)의 내측 모서리 부분을 누르거나 충격을 주는 것으로부터 내측 모서리 덮개부(35)가 보호할 수 있다. 내측 모서리 덮개부(35)는 강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이로써, 구조적으로 취약한 리셉터클 커넥터(2)의 내측 모서리 부분이 찍힘 등에 의해 변형 내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측 모서리 덮개부(35)는 제1 상측 덮개부(31a) 및 제2 상측 덮개부(32a)로부터 바닥 보강부(33)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내측 모서리 덮개부(35)를 형성하기 위해 세미 드로잉(semi-drawing) 방식으로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이 라운딩 가공된다. 드로잉(drawing) 공정은 금속 판재를 홈이 있는 다이(die) 상에 안착시키고, 홈과 대응하는 모양을 가지는 펀치(punch)로 금속 판재를 프레스하여 판재를 깊이를 가지는 입체를 만드는 공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금속 판재는 원형 펀치를 통해 드로잉되어 컵 형태로 될 수 있다. 드로잉 깊이가 비교적 큰 경우를 딥 드로잉이라고 하고, 비교적 작은 경우를 세미 드로잉이라 한다. 세미 드로잉을 이용하여 이음매 없이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은 하나의 얇은 두께를 갖는 평면 판재를 재료로 하여 판재에 레이아웃된 부분들을 일련의 순서로 벤딩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내측 모서리 덮개부(35)의 세미 드로잉 성형 전에, 제1 상측 덮개부(31a)와 제2 상측 덮개부(32a) 사이에는 제1 상측 덮개부(31a) 및 제2 상측 덮개부(32a)와 동일 평면 상에서 위치하는 덧살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덧살부에 가압력을 가해 라운딩 가공하게 되면, 덧살부가 제1 보강부(31)와 제2 보강부(32) 사이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고 곡면 형상으로 펴지도록 변형되어 내측 모서리 덮개부(35)로 성형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은 제1 상측 덮개부(31a)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하고 내측 모서리 덮개부(35)와 연결되는 제1 경사부(3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내측 덮개부(31c)는 제1 경사부(36)에 연결되어 하방(-Z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1 내측 덮개부(31c)의 양측으로의 제1 경사부(36)에는 제1 상측 덮개부(31a)와 제1 경사부(36)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제1 내측 덮개부(31c)를 하방(-Z방향)으로 용이하게 굽힐 수 있도록 노치부(37)가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을 상방에서 볼 때, 노치부(37)가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노치부(37)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곡선형으로 형성되거나, 제1 내측 덮개부(31c)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은 제2 상측 덮개부(32a)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하는 제2 경사부(38)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경사부(38)에는 바닥 보강부(33)에 구비되는 단자부(33a)가 제2 외측 덮개부(32b)를 향하는 방향으로 눌릴 때 단자부(33a)의 자유단부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수용될 수 있도록 다른 부분에 비해 연장되는 길이가 작도록 커팅된 절개부(39)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외측 덮개부(31b)의 하단에 제1 내측 덮개부(31c)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31e)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외측 덮개부(32b)의 하단에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32e)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절곡부(31e)와 제2 절곡부(32e)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의 리셉터클 바닥부(11)를 받쳐 지지함과 동시에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솔더링부로서 기능을 한다. 제1 절곡부(31e) 및 제2 절곡부(32e)와 기판 사이에 솔더링이 도포될 수 있다. 제1 절곡부(31e)와 제2 절곡부(32e)에 의해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이 리셉터클 하우징(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절곡부(31e) 및 제2 절곡부(32e)는 솔더 위킹 방지(solder wicking prevention)를 위해 니켈(Ni)로 도금 처리될 수 있다. 제1 절곡부(31e) 및 제2 절곡부(32e)의 단부는 전도성 향상을 위해 금(Au)으로 도금 처리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보강부(31)의 제1 상측 덮개부(31a)와 제2 보강부(32)의 제2 상측 덮개부(32a)는 바닥 보강부(33)를 기준으로 섬 보강부(34)의 섬부 상측 덮개부(34a)보다 높이(H1)만큼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H1)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2)와 플러그 커넥터(4)의 조립 시 플러그 커넥터(4)에 구비되는 플러그 피팅 네일을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상대적으로 낮게 배치되는 섬부(13)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섬부(13)의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의 리셉터클 단자(신호 단자)(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신호 단자(20)는 안착부(21), 안착부(21)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하고 단부가 리셉터클 커넥터(2)의 정합홈(14)의 내측을 향해 볼록하게 구부러지는 접촉부(22) 및 안착부(21)의 타단에서 'U'자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충진부(23)를 포함한다. 충진부(23)는 접촉부(22)를 향해 돌출된 단자 돌기(24)를 구비할 수 있다. 충진부(23)는 하단에 접촉부(22)와 반대되는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25)를 구비할 수 있다. 절곡부(25)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의 리셉터클 바닥부(11)를 받쳐 지지함과 동시에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솔더링부로서 기능을 한다. 신호 단자(20)는 절곡부(25)에 의해 리셉터클 하우징(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2)는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신호 단자)(20)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파워 단자(40)를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파워 단자(40)는 전원 단자부(41)와,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에 구비되는 단자부(33a)를 구조적으로 보호할 수 있도록 전원 단자부(41)에 연결되는 단자 보호부(간단히, '보호부'라고도 한다)(50)를 포함한다. 전원 단자부(41)는 안착부(42), 안착부(42)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하고 단부가 정합홈(14)의 내측을 향해 볼록하게 구부러지는 접촉부(43) 및 안착부(42)의 타단에서 'U'자형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충진부(44)를 포함한다. 충진부(44)에는 접촉부(43)를 향해 돌출하도록 복수의 단자 돌기(4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충진부(44)의 하단에는 접촉부(43)와 반대되는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46)가 구비될 수 있다. 절곡부(46)는 리셉터클 하우징(10)의 리셉터클 바닥부(11)를 받쳐 지지함과 동시에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솔더링부로서 기능을 한다. 파워 단자(40)는 절곡부(46)에 의해 리셉터클 하우징(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파워 단자(40)는 고용량 데이터 및 높은 전류를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잦은 착탈 동작이나 외부 충격에도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파워 단자(40)에 있어서의 전원 단자부(41)의 폭(W2)(도 8)은 복수의 신호 단자(20)의 폭(W1)(도 7)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전원 단자부(41)의 폭(W2)은 단자 보호부(50)의 폭(W3)보다 클 수 있다. 절곡부(46)는 솔더 위킹 방지(solder wicking prevention)를 위해 니켈(Ni)로 도금 처리될 수 있다. 절곡부(46)의 단부 및 접촉부(43)는 전도성 향상을 위해 금(Au)으로 도금 처리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단자(4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단자 보호부(50)는 'U'자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단자 보호부(50)의 충진부(53)는 전원 단자부(41)의 충진부(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구조적으로 단자 보호부(50)의 상단이 전원 단자부(41)의 상단과 갭을 두고 이격되는 형태로서, 단자 보호부(50)와 전원 단자부(4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단자 보호부(50)의 상단은, 파워 단자(40)가 리셉터클 커넥터(2)에 보유 지지되었을 때 리셉터클 바닥부(11)를 기준으로 전원 단자부(41)의 상단보다 높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파워 단자(40)는 단자 보호부(50)가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단자 보호부(50)는 리셉터클 바닥부(11)를 기준으로 리셉터클 피팅 네일(30)과 같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파워 단자(40)에 연결된 단자 보호부(50)는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의 제2 보강부(32)와 같이 제2 둘레부(12c, 12d)의 적어도 일부와 단자부(33a)의 단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의 단자부(33a)의 일측에 내측 모서리 덮개부(35)와 제2 경사부(38)가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또는 제2 경사부(38)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단자부(33a)의 타측에는 단자 보호부(50)가 이격되어 배치되어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의 단자부(33a)를 좌우 측면 방향(+X, -X방향)의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단자부(33a)는 전도성 향상을 위해 금(Au)으로 도금 처리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의 측면도이다.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의 제1 보강부(31) 및 제2 보강부(32)와 단자 보호부(50)보다 전원 단자부(41) 및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신호 단자)(20)가 높이(H2)만큼 낮을 수 있다. 또는, 전원 단자부(41)와 복수의 신호 단자(20) 간에 높이차가 있을 수 있다. 이로써, 리셉터클 커넥터(2)에 플러그 커넥터(4)가 조립될 때, 리셉터클 하우징(10)의 제2 둘레부(12c, 12d) 중 복수의 신호 단자(20)가 배치된 영역에 플러그 커넥터(4)의 제2 둘레부(412c, 412d)(도 13)가 간섭되거나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추가적인 충격으로 리셉터클 하우징(10)이 파손되거나 복수의 신호 단자(20)와 파워 단자(4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4)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4)는 플러그 하우징(410)과, 플러그 하우징(410)에 보유 지지되고 제1 방향(X방향)으로 2열로 정렬되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420) 및 플러그 하우징(410)의 양 단부 각각에 구비되는 한 쌍의 플러그 피팅 네일(430)을 포함한다. 전기 전도성을 위해 통상 구리 합금 등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420)와 한 쌍의 플러그 피팅 네일(430)은 전도성 및 방청성 향상을 위해 추가로 도금 처리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XII-XII 선에 따른 절단면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4)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XIII-XIII 선에 따른 절단면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4)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제1 방향(X방향)과 상하 방향(Z방향)으로 규정되는 평면은 XZ평면이고, 제2 방향(Y방향)과 상하 방향(Z방향)으로 규정되는 평면은 YZ평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플러그 하우징(410)은 플러그 바닥부(411), 플러그 바닥부(41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플러그 둘레부(412)를 포함한다. 플러그 둘레부(412)는 제1 방향(X방향)에서 대향하고 제2 방향(Y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1 둘레부(412a, 412b)와, 제2 방향(Y방향)에서 대향하고 제1 방향(X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둘레부(412c, 412d)를 포함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피팅 네일(43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플러그 피팅 네일(430)은 플러그 하우징(410)의 단부에 있어서의 제1 둘레부(412a, 412b)의 상측면, 외측면 및 내측면을 덮는 제1 보강부(431)와, 한 쌍의 제2 둘레부(412c, 412d)의 상측면, 외측면 및 내측면을 덮는 한 쌍의 제2 보강부(432)를 포함한다. 제1 보강부(431)는 제1 상측 덮개부(431a), 제1 외측 덮개부(431b) 및 제1 내측 덮개부(431c)를 포함한다. 제1 외측 덮개부(431b)의 하단에는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431e)가 구비된다. 제1 외측 덮개부(431b)에는 피팅 네일 걸림홈(431d)이 형성된다. 제2 보강부(432)는 제2 상측 덮개부(432a), 제2 외측 덮개부(432b) 및 제2 내측 덮개부(432c)를 포함한다. 제2 상측 덮개부(432a)는 제1 상측 덮개부(431a)와 이음부 없이(seamless) 연결, 즉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제2 보강부(432)의 제2 외측 덮개부(432b)의 하단에는 제2 내측 덮개부(432c)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432e)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외측 덮개부(432b)에는 단자 걸림홈(432d)이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431e, 432e)는 플러그 커넥터(4)의 오버 몰딩 시 플러그 하우징(410)에 매립되어 플러그 피팅 네일(430)을 플러그 하우징(410)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며, 기판에 솔더링되어 플러그 커넥터(4)가 기판에 실장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전술한 리셉터클 커넥터(2)와 플러그 커넥터(4)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2)와 플러그 커넥터(4)의 조립 시의 걸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리셉터클 커넥터(2)와 플러그 커넥터(4)의 조립 시,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의 제1 섬부 외측 덮개부(34b)가 바닥 보강부(33)에 대해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플러그 둘레부(412) 및 플러그 피팅 네일(430)이 간섭 없이 슬라이딩되어 정합홈(14) 내로 끼워질 수 있다. 또한, 플러그 피팅 네일(430)이 제1 섬부 외측 덮개부(34b)와 접촉하면서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정확한 조립 위치로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1 내측 덮개부(31c)의 돌기(31d)는 플러그 커넥터의 제1 외측 덮개부(431b)의 피팅 네일 걸림홈(431d)에 걸림 결합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리셉터클 커넥터(2)와 플러그 커넥터(4)의 조립 시,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의 한 쌍의 단자부(33a)는 플러그 피팅 네일(4)의 제2 외측 덮개부(432b)와 접촉하여 밀려서 제2 방향(Y방향)으로 휘어진다. 이로써,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의 단자부(33a)와 플러그 피팅 네일(430) 간의 안정적인 접촉이 가능하고, 조립 후 플러그 커넥터(4)의 제2 방향(Y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리셉터클 피팅 네일(30)에 플러그 피팅 네일(430)이 헐겁게 끼워맞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와 플러그 커넥터(4)의 조립 시, 리셉터클 커넥터(2)의 파워 단자(40)의 안착부(42)에 플러그 피팅 네일(430)의 제2 보강부(432)가 안착된다. 제2 내측 덮개부(432c)는 길이(L)(도 14)만큼 연장될 수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의 섬 보강부(34)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외측 덮개부(432b)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파워 단자(40)와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제2 외측 덮개부(432b)의 단자 걸림홈(432d)이 리셉터클 커넥터의 파워 단자(40)의 단자 돌기(45)와 맞물릴 수 있다. 이로써, 리셉터클 커넥터(2)와 플러그 커넥터(4)는 제1 방향(X방향) 및 제2 방향(Y방향)에서 돌기 및 홈의 걸림 구조를 가지므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 커넥터 조립체, 2: 리셉터클 커넥터, 4: 플러그 커넥터, 10: 리셉터클 하우징, 11: 리셉터클 바닥부, 12: 리셉터클 둘레부, 12a, 12b: 제1 둘레부, 12c, 12d: 제2 둘레부, 13: 섬부, 14: 정합홈, 20: 리셉터클 단자(신호 단자), 30: 리셉터클 피팅 네일, 31: 제1 보강부, 32: 제2 보강부, 33: 바닥 보강부, 34: 섬 보강부, 35: 내측 모서리 덮개부, 36: 제1 경사부, 37: 노치부, 38: 제2 경사부, 40: 파워 단자, 41: 전원 단자부, 50: 단자 보호부, 410: 플러그 하우징, 411: 플러그 바닥부, 412: 플러그 둘레부, 420: 플러그 단자, 430: 플러그 피팅 네일, 431: 제1 보강부, 432: 제2 보강부

Claims (14)

  1. 리셉터클 커넥터용 리셉터클 피팅 네일이며,
    제1 보강부,
    상기 제1 보강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보강부,
    상기 제1 보강부에 연결되는 바닥 보강부 및
    상기 바닥 보강부에 연결되는 섬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보강부는 상기 제1 보강부의 제1 상측 덮개부의 양측에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연장하는 제2 상측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상측 덮개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상측 덮개부 사이에 곡면 형상의 내측 모서리 덮개부가 구비되는,
    리셉터클 피팅 네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제1 상측 덮개부의 외측에 구비된 제1 외측 덮개부 및 상기 제1 상측 덮개부의 내측에 구비된 제1 내측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보강부 각각은 상기 제2 상측 덮개부의 외측에 구비된 제2 외측 덮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외측 덮개부와 상기 제2 외측 덮개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는,
    리셉터클 피팅 네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측 덮개부에서 내측으로 연장하고 상기 내측 모서리 덮개부와 연결되는 제1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리셉터클 피팅 네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덮개부와 상기 제1 경사부 사이에 노치부가 형성되는, 리셉터클 피팅 네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보강부는 상기 제1 내측 덮개부에 연결되고, 양측 단부에 구비된 한 쌍의 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피팅 네일은
    상기 제2 상측 덮개부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연장하고 상기 내측 모서리 덮개부와 연결되는 제2 경사부와,
    상기 제2 상측 덮개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바닥 보강부의 단자부가 수용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리셉터클 피팅 네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섬 보강부는 상기 바닥 보강부의 단부에 연결된 제1 섬부 외측 덮개부, 상기 제1 섬부 외측 덮개부에 연결된 섬부 상측 덮개부 및 상기 섬부 상측 덮개부의 양측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2 섬부 외측 덮개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피팅 네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덮개부에 돌기가 형성된, 리셉터클 피팅 네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모서리 덮개부는 상기 제1 상측 덮개부 및 상기 제2 상측 덮개부로부터 상기 바닥 보강부를 향해 경사지게 확장 성형되도록 라운딩 가공되는,
    리셉터클 피팅 네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셉터클 피팅 네일,
    리셉터클 하우징 및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피팅 네일의 내측 모서리 덮개부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상기 제1 둘레부와 상기 한 쌍의 제2 둘레부 사이의 내측 모서리부의 상부가 덮이는,
    리셉터클 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셉터클 피팅 네일,
    리셉터클 하우징,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 및
    한 쌍의 파워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파워 단자는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원 단자부 및
    상기 전원 단자부와 연결되고 상기 리셉터클 피팅 네일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단자 보호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호부의 상단은 상기 전원 단자부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12. 한 쌍의 리셉터클 피팅 네일 및 상기 한 쌍의 피팅 네일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신호 단자를 구비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이며,
    상기 한 쌍의 리셉터클 피팅 네일의 각각과 상기 복수의 신호 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파워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파워 단자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신호 단자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전원 단자부 및
    상기 리셉터클 피팅 네일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단자 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보호부의 상단은 상기 전원 단자부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보호부는 상기 전원 단자부에 일체로 형성된, 리셉터클 커넥터.
  14. 제9항의 리셉터클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정합되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220075409A 2022-06-21 2022-06-21 리셉터클 피팅 네일,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조립체 KR20230174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409A KR20230174461A (ko) 2022-06-21 2022-06-21 리셉터클 피팅 네일,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조립체
CN202310741821.XA CN117276950A (zh) 2022-06-21 2023-06-21 插座配合钉、插座连接器和包括其的板到板连接器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409A KR20230174461A (ko) 2022-06-21 2022-06-21 리셉터클 피팅 네일,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4461A true KR20230174461A (ko) 2023-12-28

Family

ID=89203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409A KR20230174461A (ko) 2022-06-21 2022-06-21 리셉터클 피팅 네일,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74461A (ko)
CN (1) CN11727695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135A (ko) 2018-10-29 2020-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135A (ko) 2018-10-29 2020-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적 연결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276950A (zh) 202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8378B2 (en) 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EP3151341B1 (en) Connector
KR101567356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CN107069265B (zh) 带引导零件的电连接器
KR101680191B1 (ko) 커넥터
KR101383455B1 (ko) 전기 커넥터
US11217924B2 (en) Floating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s embedded in the floating por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7109303B2 (ja) コネクタ組立体
US8021187B2 (en) Electric connector
CN109586063B (zh) 基板用连接器及其组合
KR20120127510A (ko) 커넥터
US7112087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8657633B2 (en) Connector
US8858254B2 (en) Electric connec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70042484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7282464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20230174461A (ko) 리셉터클 피팅 네일,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조립체
CN114498128B (zh) 板对板插头及板对板连接器组件
CN217468871U (zh) 插头加强件及板对板插头
CN217468872U (zh) 板对板插头及板对板连接器组件
CN111755865B (zh) 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的制造方法
US11870181B2 (en) Connector including locking portion and protrusion portion adjacent to locking portion in locked state
CN102576959A (zh) 线对板连接器
WO2021034785A1 (en) Cable assembly and connector assembly
CN114552254A (zh) 插头加强件、板对板插头及板对板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