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859A - 트리거식 분무용기 - Google Patents

트리거식 분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859A
KR20230173859A KR1020220074636A KR20220074636A KR20230173859A KR 20230173859 A KR20230173859 A KR 20230173859A KR 1020220074636 A KR1020220074636 A KR 1020220074636A KR 20220074636 A KR20220074636 A KR 20220074636A KR 20230173859 A KR20230173859 A KR 20230173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hinge
container
protruding
cylind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4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일
Original Assignee
강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일 filed Critical 강성일
Priority to KR1020220074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3859A/ko
Publication of KR20230173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85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1053Actuation means combined with means, other than pressure, for automatically opening a valve during actuation; combined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removing closures or covers from the discharge nozzle during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89Dispens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38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 B05B11/1039Pressure accumulation pumps, i.e. pumps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ion chamber the outlet valve being mechanically opened after a defined accumulation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30Dip tube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거식 분무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입구부(11)에 나사 결합되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숄더부재(20)와; 상기 용기(10)의 입구부 내주연 및 상부면에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펌프체(30)가 내장된 실린더하우징(40)과; 상기 실린더하우징(40)과 숄더부재(20)의 상부 개구에 결합되는 어퍼캡(50)과; 상기 어퍼캡(50)의 원통형부(51)의 중앙에 돌설된 중앙기둥부(52)에 삽입 안착되는 상하 개구된 원통형 캠(60)과; 상기 원통형 캠(60) 내에 하부가 개구된 실린더부(71)가 삽입되고, 전후면에 돌설된 다리부(72)가 상기 어퍼캡(50)의 원통형부(51) 하면홀(53)에 결합되는 컨넥터(70)와; 상기 컨넥터(70)의 전방측 홀부(73)에 삽입되는 노즐부재(80)와; 상기 노즐부재(80)의 원통관부(81)와 전방측 홀부(73)의 사이에 삽입되는 부재로서, 내용물이 노즐부재(80)의 토출구(82)로 분사될 때 묻어 나오지 않도록 설치된 노즐팁(90)과; 상기 원통형 캠(60)의 상부 양측에 대칭되게 돌설된 돌설봉(61)을 파지하는 힌지(100)와; 상기 어퍼캡(50)의 원통형부(51) 상면 내를 커버하면서 원통형부(51) 내의 전방에 힌지부(111)가 힌지 결합되고, 중간 결합홈(112)에 힌지(100)의 상부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 수평돌설봉(101)을 결합시켜 이 힌지(100)를 눌러 상기 펌프체(30)을 작동시키는 원판형 레버(110)와; 상기 실린더하우징(40)의 하단에 결합된 딥튜브(1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노즐팁이 토출부분에 삽입되어 있어, 토출되는 내용물이 흘러 내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바, 즉, 실린더 하우징 내의 압력이 상승 및 감소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여 노즐팁의 칼집을 개폐하므로써 토출되는 내용물이 노즐부재의 외부에서 흘러 내리는 현상(묻어나오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트리거식 분무용기{TRIGGER TYPE CONTAINER}
본 발명은 트리거식 분무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무용기의 토출구로 내용물이 펌핑될 때 그 토출구에 내용물이 묻어 나오지 않도록 노즐부재팁을 설치한 트리거식 분무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리거식 분무장치는, 손잡이부재를 잡아당겨서 발생된 압력을 이용해서 용기에 저장된 액체를 분사하는 장치이다.
손잡이부재를 놓으면, 손잡이부재가 원상 회복되면서 발생된 압력으로 용기에 저장된 액체가 하우징부에 충진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2-062174호(2022. 05. 16)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펌프 디스펜서는 토출구에 일반적인 분사노즐(43)이 장착되어 있는바, 이는 내용물을 토출시킬 때 분사노즐의 입구에 내용물이 묻어 나온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분무용기의 토출구로 내용물이 펌핑될 때 그 토출구에 내용물이 묻어 나오지 않도록 노즐팁을 설치한 트리거식 분무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트리거식 분무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입구부(11)에 나사 결합되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숄더부재(20)와; 상기 용기(10)의 입구부 내주연 및 상부면에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펌프체(30)가 내장된 실린더하우징(40)과; 상기 실린더하우징(40)과 숄더부재(20)의 상부 개구에 결합되는 어퍼캡(50)과; 상기 어퍼캡(50)의 원통형부(51)의 중앙에 돌설된 중앙기둥부(52)에 삽입 안착되는 상하 개구된 원통형 캠(60)과; 상기 원통형 캠(60) 내에 하부가 개구된 실린더부(71)가 삽입되고, 전후면에 돌설된 다리부(72)가 상기 어퍼캡(50)의 원통형부(51) 하면홀(53)에 결합되는 컨넥터(70)와; 상기 컨넥터(70)의 전방측 홀부(73)에 삽입되는 노즐부재(80)와; 상기 노즐부재(80)의 원통관부(81)와 전방측 홀부(73)의 사이에 삽입되는 부재로서, 내용물이 노즐부재(80)의 토출구(82)로 분사될 때 묻어 나오지 않도록 설치된 노즐팁(90)과; 상기 원통형 캠(60)의 상부 양측에 대칭되게 돌설된 돌설봉(61)을 파지하는 힌지(100)와; 상기 어퍼캡(50)의 원통형부(51) 상면 내를 커버하면서 원통형부(51) 내의 전방에 힌지부(111)가 힌지 결합되고, 중간 결합홈(112)에 힌지(100)의 상부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 수평돌설봉(101)을 결합시켜 이 힌지(100)를 눌러 상기 펌프체(30)을 작동시키는 원판형 레버(110)와; 상기 실린더하우징(40)의 하단에 결합된 딥튜브(1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무용기에 의하면, 노즐팁이 토출부분에 삽입되어 있어, 토출되는 내용물이 흘러 내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바, 즉, 실린더 하우징 내의 압력이 상승 및 감소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여 노즐팁의 칼집을 개폐하므로써 토출되는 내용물이 노즐부재의 외부에서 흘러 내리는 현상(묻어나오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무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무용기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무용기의 컨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무용기의 컨넥터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무용기의 컨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무용기의 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무용기의 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무용기의 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무용기의 원통형 캠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무용기의 힌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무용기의 힌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a는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무용기의 원판형 레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무용기의 원판형 레버를 도시한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7c는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무용기의 원판형 레버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식 분무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 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무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입구부(11)에 나사 결합되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숄더부재(20)와, 상기 용기(10)의 입구부 내주연 및 상부면에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펌프체(30)가 내장된 실린더하우징(40)과; 상기 실린더하우징(40)과 숄더부재(20)의 상부 개구에 결합되는 어퍼캡(50)과; 상기 어퍼캡(50)의 원통형부(51)의 중앙에 돌설된 중앙기둥부(52)에 삽입 안착되는 상하 개구된 원통형 캠(60)과; 상기 원통형 캠(60) 내에 하부가 개구된 실린더부(71)가 삽입되고, 전후면에 돌설된 다리부(72)가 상기 어퍼캡(50)의 원통형부(51) 하면홀(53)에 결합되는 컨넥터(70)와; 상기 컨넥터(70)의 전방측 홀부(73)에 삽입되는 노즐부재(80)와; 상기 노즐부재(80)의 원통관부(81)와 전방측 홀부(73)의 사이에 삽입되는 부재로서, 내용물이 노즐부재(80)의 토출구(82)로 분사될 때 묻어 나오지 않도록 설치된 노즐팁(90)과; 상기 원통형 캠(60)의 상부 양측에 대칭되게 돌설된 돌설봉(61)을 파지하는 힌지(100)와; 상기 어퍼캡(50)의 원통형부(51) 상면 내를 커버하면서 원통형부(51) 내의 전방에 힌지부(111)가 힌지 결합되고, 중간 결합홈(112)에 힌지(100)의 상부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 수평돌설봉(101)을 결합시켜 이 힌지(100)를 눌러 상기 펌프체(30)을 작동시키는 원판형 레버(110)와; 상기 실린더하우징(40)의 하단에 결합된 딥튜브(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펌프체(30)는, 상기 컨넥터(70)의 실린더부(71) 내에 삽입되는 부재로서, 상부는 원관형부(31a)가 형성되고, 하부는 뾰족한 원형봉(31b)이 형성된 스템(31)과, 상기 실린더하우징(40)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상하이동하는 중앙에 홀(32a)이 형성된 원통 형상의 실캡(32)과, 상기 실캡(32)의 하단면과 실린더하우징(40)의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110)의 누름작동이 해제되면 팽창하여 실캡(32)을 상승시키는 스프링(33)과, 상기 실린더하우징(40)의 바닥면 중앙에 삽입되어 있는 체크밸브(34)와, 상기 스템(31)의 원관형부(31a)에 내장된 부재로서, 원형관부(31a)의 하단 사이홀(31c)을 통해 유입되는 내용물에 의해 상승하여 원형관부(31a) 내로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어퍼밸브(35)와, 상기 어퍼밸브의 상부에서 이를 하강시키는 밸브용 스프링(3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노즐팁(90)은 실리콘 재질이고, 그 중앙에 십자형 칼집(9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즐팁(90)은 상기 노즐부재(80)의 원통관부(81)와 토출구(82)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상기 어퍼캡(50)은, 상기 원통형부(51)의 일측 하부로 파지부(54)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 파지부(54)는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무용기를 들고 다니거나, 파지부(54)를 손바닥으로 파지한 후 엄지 손가락으로 상기 원판형 레버(110)를 하부로 눌러 이 용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트리거식 분무용기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어퍼캡(50)의 파지부(54)를 손바닥으로 파지한 후 엄지 손가락으로 상기 원판형 레버(110)를 하부로 누르면, 그 중간 결합홈(112)에 결합되어 있는 힌지(100)의 수평돌설봉(101)이 하강하면서, 동시에 상기 원통형 캠(60)를 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원통형 캠(60)이 하강하면, 원통형 캠(60)의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펌프체(30)의 원통 형상의 실캡(32)이 실린더 하우징(40) 내에서 하강하게 되고, 실린더 하우징(40)의 체적이 작아짐에 따라 체크밸브(34)가 개방되어 딥튜브(120)를 통해 내용물이 실린더 하우징(40) 내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유입된 내용물은 실캡(32)의 중앙홀(32a)을 통해 상승하여 상기 스템(31)의 원관형부(31a)의 하단 사이홀(31c)을 통해 유입되면서 어퍼밸브(35)을 밀어 올려 스템(31)의 원관형부(31a) 내로 내용물이 유입된다.
이와 같이 스템(31)의 내부로 유입된 내용물은 컨넥터(70)의 전방측 홀부(73)를 통과하고, 노즐팁(90)의 칼집(91)이 벌어지면서 내용물이 토출되고, 노즐부재(8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내용물이 토출되고 나면 즉, 누르고 있던 원판형 레버(110)의 누름을 해제하면, 반대로 실켑(32)이 실린더 하우징(40) 내에서 상승하면서 그 내부 압력이 감소되어 노즐팁(90)의 칼집(91)이 폐쇄된다.
이와 같이, 노즐팁(90)이 토출부분에 삽입되어 있어, 토출되는 내용물이 흘러 내리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실린더 하우징(40) 내의 압력이 상승 및 감소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여 노즐팁(90)의 칼집(91)를 개폐하므로 토출되는 내용물이 노즐부재(80)의 외부에서 흘러 내리는 현상(묻어나오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10 : 용기 20 : 숄더부재
30 : 펌프체 31 : 스템
32 : 원통 형상의 실캡 32a : 홀
33 : 스프링 34 : 체크밸브
35 : 어퍼밸브 36 : 밸브용 스프링
40 : 실린더하우징 50 : 어퍼캡
51 : 원통형부 52 : 중앙기둥부
53 : 하면홀 60 : 원통형 캠
61 : 돌설봉 70 : 컨넥터
71 : 실린더부 72 : 다리부
80 : 노즐부재 81 : 원통관부
82 : 토출구 90 : 노즐팁
91 : 십자형 칼집 100 : 힌지
110 : 원판형 레버 111 : 힌지부
112 : 중간 결합홈 120 : 딥튜브

Claims (3)

  1.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입구부(11)에 나사 결합되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숄더부재(20)와;
    상기 용기(10)의 입구부 내주연 및 상부면에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펌프체(30)가 내장된 실린더하우징(40)과;
    상기 실린더하우징(40)과 숄더부재(20)의 상부 개구에 결합되는 어퍼캡(50)과;
    상기 어퍼캡(50)의 원통형부(51)의 중앙에 돌설된 중앙기둥부(52)에 삽입 안착되는 상하 개구된 원통형 캠(60)과;
    상기 원통형 캠(60) 내에 하부가 개구된 실린더부(71)가 삽입되고, 전후면에 돌설된 다리부(72)가 상기 어퍼캡(50)의 원통형부(51) 하면홀(53)에 결합되는 컨넥터(70)와;
    상기 컨넥터(70)의 전방측 홀부(73)에 삽입되는 노즐부재(80)와;
    상기 노즐부재(80)의 원통관부(81)와 전방측 홀부(73)의 사이에 삽입되는 부재로서, 내용물이 노즐부재(80)의 토출구(82)로 분사될 때 묻어 나오지 않도록 설치된 노즐팁(90)과;
    상기 원통형 캠(60)의 상부 양측에 대칭되게 돌설된 돌설봉(61)을 파지하는 힌지(100)와;
    상기 어퍼캡(50)의 원통형부(51) 상면 내를 커버하면서 원통형부(51) 내의 전방에 힌지부(111)가 힌지 결합되고, 중간 결합홈(112)에 힌지(100)의 상부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 수평돌설봉(101)을 결합시켜 이 힌지(100)를 눌러 상기 펌프체(30)을 작동시키는 원판형 레버(110)와;
    상기 실린더하우징(40)의 하단에 결합된 딥튜브(1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식 분무용기.
  2.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입구부(11)에 나사 결합되는 상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숄더부재(20)와;
    상기 용기(10)의 입구부 내주연 및 상부면에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펌프체(30)가 내장된 실린더하우징(40)과;
    상기 실린더하우징(40)과 숄더부재(20)의 상부 개구에 결합되는 어퍼캡(50)과;
    상기 어퍼캡(50)의 원통형부(51)의 중앙에 돌설된 중앙기둥부(52)에 삽입 안착되는 상하 개구된 원통형 캠(60)과;
    상기 원통형 캠(60) 내에 하부가 개구된 실린더부(71)가 삽입되고, 전후면에 돌설된 다리부(72)가 상기 어퍼캡(50)의 원통형부(51) 하면홀(53)에 결합되는 컨넥터(70)와;
    상기 컨넥터(70)의 전방측 홀부(73)에 삽입되는 노즐부재(80)와;
    상기 노즐부재(80)의 원통관부(81)와 토출구(82)의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부재로서, 내용물이 노즐부재(80)의 토출구(82)로 분사될 때 묻어 나오지 않도록 설치된 노즐팁(90)과;
    상기 원통형 캠(60)의 상부 양측에 대칭되게 돌설된 돌설봉(61)을 파지하는 힌지(100)와;
    상기 어퍼캡(50)의 원통형부(51) 상면 내를 커버하면서 원통형부(51) 내의 전방에 힌지부(111)가 힌지 결합되고, 중간 결합홈(112)에 힌지(100)의 상부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된 수평돌설봉(101)을 결합시켜 이 힌지(100)를 눌러 상기 펌프체(30)을 작동시키는 원판형 레버(110)와;
    상기 실린더하우징(40)의 하단에 결합된 딥튜브(1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식 분무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노즐팁(90)은 실리콘 재질이고, 그 중앙에 십자형 칼집(9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식 분무용기.




KR1020220074636A 2022-06-20 2022-06-20 트리거식 분무용기 KR20230173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636A KR20230173859A (ko) 2022-06-20 2022-06-20 트리거식 분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4636A KR20230173859A (ko) 2022-06-20 2022-06-20 트리거식 분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859A true KR20230173859A (ko) 2023-12-27

Family

ID=89378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4636A KR20230173859A (ko) 2022-06-20 2022-06-20 트리거식 분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385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460B1 (ko) 액상화장품 용기용 펌핑노즐
JP3916998B2 (ja) トリガー式流体吐出器
EP1373769B1 (en) Valve
KR200353114Y1 (ko) 밀폐기능이 향상된 토출수단을 갖는 디스펜서
JP3563014B2 (ja) 吐出容器
JP2008509860A5 (ko)
AU2002241103A1 (en) Valve
US6698620B2 (en) Aerosol valve for high rate filling
KR20230173859A (ko) 트리거식 분무용기
KR101097770B1 (ko) 긴밀한 개폐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JP3803839B2 (ja) エアゾール遅延噴射装置
KR101565769B1 (ko) 토출부고정형 용기
KR102295553B1 (ko) 유체 디스펜서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0384899Y1 (ko) 디스펜서용 버튼
JP4144688B2 (ja) 定量弁付噴射ボタン
KR102617561B1 (ko) 펌프 용기
KR200311496Y1 (ko) 노즐고정형 디스펜서 용기
KR200310093Y1 (ko) 뚜껑이 불필요한 출몰식 배출장치를 갖는 화장품 케이스
JP4702864B2 (ja) エアゾール装置用噴射装置
KR100936181B1 (ko) 잔 가스 배출 기능을 갖는 정량 분사 용기
KR102265746B1 (ko) 스탬프 용기
KR200356857Y1 (ko) 스톱퍼를 갖춘 액체용기의 펌핑장치
JP2599619Y2 (ja) 噴出器の押下釦
KR20240035188A (ko) 용기용 펌프 디스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