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3725A - 봉합사 기반 봉합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봉합사 기반 봉합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3725A
KR20230173725A KR1020237040517A KR20237040517A KR20230173725A KR 20230173725 A KR20230173725 A KR 20230173725A KR 1020237040517 A KR1020237040517 A KR 1020237040517A KR 20237040517 A KR20237040517 A KR 20237040517A KR 20230173725 A KR20230173725 A KR 20230173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uate
needle passer
open end
suture
arcuate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0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케빈 엘. 베이글리
크리스토퍼 알. 듀엘
Original Assignee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보스톤 싸이엔티픽 싸이메드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30173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372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5Devices or means, e.g. loops, for capturing the suture thread and threading it through an opening of a suturing instrument or needle eye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87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2Needle or sutur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3Hand-held instruments for holding 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2Needle manip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2Needle manipulators
    • A61B17/0625Needle manipulators the needle being specially adapted to interact with the manipulator, e.g. being ridged to snap fit in a hole of the manipul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2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mounted on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61B2017/0472Multiple-needled, e.g. double-needled,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61B2017/06009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having additional means for releasably clamping the suture to the needle, e.g. actuating rod slideable within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61B2017/06042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located close to needle ti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의료 디바이스는 의료 디바이스에서 연장되는 아치형 채널을 획정하는 봉합 링을 포함한다. 제1 아치형 니들 패서는 아치형 채널의 제1 측면 내에 활주하며 배치되고 제2 아치형 니들 패서는 아치형 채널의 제2 측면 내에 활주하며 배치된다. 봉합사 셔틀은 제1 아치형 니들 패서와 제2 아치형 니들 패서 사이를 통과할 수 있고 제1 아치형 니들 패서 및 제2 아치형 니들 패서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봉합사 기반 봉합 디바이스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미국 특허 가출원 일련번호 제63/179,966호(출원일: 2021년 4월 26일)의 이득 및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의 개시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내용은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디바이스, 더 구체적으로 내시경 또는 조직을 내시경적으로 봉합하기 위한 유사한 디바이스와 함께 작동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내시경 치료는 지혈 클립이 결함을 쉽게 가교하고 따라서 결함을 봉합하는 데 도움이 되기에 너무 큰 결함(또는 상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내시경 치료의 예는 큰 병변 제거, 점막층 아래의 터널링, 조직의 전체 두께 제거, 위장관의 외부를 통과함으로써 다른 기관의 치료, 및 수술 후 누출, 수술용 스테이플 라인의 실패 및 문합 누출과 같은 수술 후 문제의 복구를 포함한다. 내시경 치료는 또한 비만 교정 수술을 포함한다. 큰 결함을 내시경적으로 봉합하기 위한 알려진 디바이스 및 방법 중, 각각은 특정한 장점과 단점을 갖는다.
본 개시내용은 큰 결함을 내시경적으로 봉합하기 위한 디바이스의 여러 개의 대안적인 설계, 물질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례에서, 봉합 디바이스(suture device)는 내시경의 원위 단부에 연결 가능한 장착 구조체를 포함한다. 봉합 링(suture ring)은 장착 구조체에 고정되고 제1 개방 단부에서 제2 개방 단부까지 봉합 링 내에서 연장되는 아치형 채널을 획정하고, 제1 개방 단부와 근접한 제1 구역 및 제2 개방 단부와 근접한 제2 구역을 포함한다. 제1 아치형 니들 패서(first arcuate needle passer)는 아치형 채널의 제1 측면 내에 활주하며 배치되고, 제1 아치형 니들 패서는 제1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 및 제1 제어 단부를 포함한다. 제2 아치형 니들 패서는 아치형 채널의 제2 측면 내에 활주하며 배치되고, 제2 아치형 니들 패서는 제2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 및 제2 제어 단부를 포함한다. 봉합사 셔틀(suture shuttle)은, 제1 아치형 니들 패서와 제2 아치형 니들 패서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제1 아치형 니들 패서와 제2 아치형 니들 패서의 각각에 가역적으로 고정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봉합사 셔틀은 관통하여 연장되는 곧은 루멘을 획정하는 셔틀 몸체를 포함할 수도 있고, 셔틀 몸체는 제1 구역 및/또는 제2 구역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봉합사 셔틀은 제1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와 곧은 루멘 사이의 간섭 끼워맞춤을 통해 제1 아치형 니들 패서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 가능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봉합사 셔틀은 제2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와 곧은 루멘 사이의 간섭 끼워맞춤을 통해 제2 아치형 니들 패서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 가능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봉합 디바이스는 제1 제어 요소의 병진은 제1 아치형 니들 패서가 아치형 채널 내에서 이동하게 하도록 제1 제어 단부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 제어 요소 및 제2 제어 요소의 병진은 제2 아치형 니들 패서가 아치형 채널 내에서 이동하게 하도록 제2 제어 단부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2 제어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봉합 링은 제1 개방 단부에서 제2 개방 단부까지 원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제1 개방 단부와 제2 개방 단부는 조직이 이들 사이에서 연장하게 하는 거리만큼 이격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1 아치형 니들 패서는, 제1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가 제1 개방 단부에서 제2 개방 단부를 향하여 횡단할 때 제1 아치형 니들 패서의 일부가 아치형 채널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2 아치형 니들 패서는, 제2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가 제2 개방 단부에서 제1 개방 단부를 향하여 횡단할 때 제2 아치형 니들 패서의 일부가 아치형 채널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1 구역과 제2 구역 각각은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릿을 포함한다. 봉합사 셔틀이 제1 아치형 니들 패서에 대해 고정될 때, 봉합사 셔틀이 제1 아치형 니들 패서에 의해 제2 구역으로 밀리는 경우에 제2 구역이 휘어질 수 있다. 봉합사 셔틀이 제2 아치형 니들 패서에 대해 고정될 때, 봉합사 셔틀이 제2 아치형 니들 패서에 의해 제1 구역으로 밀리는 경우에 제1 구역이 휘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봉합 디바이스는 제1 개방 단부와 근접하게 배치된 제1 래치 특징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제1 래치 특징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구역 내에서 봉합사 셔틀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봉합 디바이스는 제2 개방 단부와 근접하게 배치된 제2 래치 특징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제2 래치 특징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2 구역 내에서 봉합사 셔틀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봉합 디바이스는 내시경의 원위 단부에 연결 가능한 장착 구조체를 포함한다. C자 형상의 봉합 링은 장착 구조체에 고정되고, 봉합 링은 제1 개방 단부에서 제2 개방 단부까지 봉합 링 내에서 연장되는 아치형 채널을 획정한다. 제1 아치형 니들 패서는 아치형 채널의 제1 측면 내에 활주하며 배치되고, 제1 아치형 니들 패서는 제1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 및 제1 제어 단부를 포함한다. 제2 아치형 니들 패서는 아치형 채널의 제2 측면 내에 활주하며 배치되고, 제2 아치형 니들 패서는 제2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 및 제2 제어 단부를 포함한다. 제1 제어 요소는, 제1 제어 요소의 병진이 제1 아치형 니들 패서가 아치형 채널 내에서 이동하게 하도록 제1 제어 단부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제어 요소는, 제2 제어 요소의 병진이 제2 아치형 니들 패서가 아치형 채널 내에서 이동하게 하도록 제2 제어 단부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봉합사 셔틀은 제1 아치형 니들 패서와 제2 아치형 니들 패서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제1 아치형 니들 패서 및 제2 아치형 니들 패서의 각각에 가역적으로 고정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봉합사 셔틀은 관통하여 연장되는 곧은 루멘을 획정하는 셔틀 몸체를 포함할 수도 있고, 셔틀 몸체는 제1 구역 및/또는 제2 구역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봉합사 셔틀은 제1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와 곧은 루멘 사이의 간섭 끼워맞춤을 통해 제1 아치형 니들 패서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 가능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봉합사 셔틀은 제2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와 곧은 루멘 사이의 간섭 끼워맞춤을 통해 제2 아치형 니들 패서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 가능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1 아치형 니들 패서는 제1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가 제1 개방 단부로부터 제2 개방 단부를 향하여 횡단할 때 제1 아치형 니들 패서의 일부가 아치형 채널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2 아치형 니들 패서는 제2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가 제2 개방 단부로부터 제1 개방 단부를 향하여 횡단할 때 제2 아치형 니들 패서의 일부가 아치형 채널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봉합 디바이스는 내시경의 원위 단부에 연결 가능한 장착 구조체를 포함한다. 봉합 링은 장착 구조체에 고정되고, 봉합 링은 제1 개방 단부에서 제2 개방 단부까지 봉합 링 내에서 연장되는 아치형 채널을 획정하고, 제1 개방 단부와 근접한 제1 구역 및 제2 개방 단부와 근접한 제2 구역을 포함한다. 봉합사 셔틀은 관통하여 연장되는 곧은 루멘을 획정하는 셔틀 몸체를 포함하고, 셔틀 몸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구역 및/또는 제2 구역 내에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된다. 제1 아치형 니들 패서는 아치형 채널의 제1 측면 내에 활주하며 배치되고, 제1 아치형 니들 패서는 제1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 및 제1 제어 단부를 포함하고, 제1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는 곧은 루멘 내에서 간섭 끼워맞춤을 해제 가능하게 형성한다. 제2 아치형 니들 패서는 아치형 채널의 제2 측면 내에 활주하며 배치되고, 제2 아치형 니들 패서는 제2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 및 제2 제어 단부를 포함하고, 제2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는 곧은 루멘 내에서 간섭 끼워맞춤을 해제 가능하게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1 아치형 니들 패서는, 제1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가 제1 개방 단부에서 제2 개방 단부를 향하여 횡단할 때 제1 아치형 니들 패서의 일부가 아치형 채널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제2 아치형 니들 패서는, 제2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가 제2 개방 단부에서 제1 개방 단부를 향하여 횡단할 때 제2 아치형 니들 패서의 일부가 아치형 채널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의 위의 요약은 본 개시내용의 각각의 개시된 실시형태 또는 모든 구현예를 설명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다음의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이 실시형태를 더 구체적으로 예시한다.
본 개시내용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다음의 설명의 고려 시 더 완전히 이해될 수도 있고, 도면에서:
도 1은 내시경의 원위 단부에 고정된 예시적인 봉합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예시적인 봉합 디바이스의 부분적인 절단 평면도;
도 3은 니들 패서와 봉합사 셔틀 사이의 간섭 끼워맞춤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둘 다는 도 1의 예시적인 봉합 디바이스의 일부를 형성함;
도 4는 도 1의 예시적인 봉합 디바이스의 부분의 부분적인 절단도; 및
도 5 내지 도 7은 봉합사 셔틀이 제1 아치형 니들 패서에서 제2 아치형 니들 패서까지 통과하는 방식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예시적인 봉합 디바이스의 부분적인 절단도.
본 개시내용이 다양한 변경 및 대안적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세부사항이 도면에서 실시예로서 도시되고 그리고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된 특정한 실시형태로 제한하지 않으려는 의도가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대조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정신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변경, 등가물 및 대안을 포함하려는 의도가 있다.
다음의 정의된 용어에 대해, 이 정의는 달리 상이한 정의가 청구범위에 또는 이 명세서의 어딘가에 제공되지 않는 한, 적용될 것이다.
상이한 정의가 청구범위에 또는 이 명세서의 어딘가에 제공되지 않는 한, 특정한 용어의 정의가 아래에 제공되고 적용될 것이다.
모든 수치값은 본 명세서에서 분명히 나타나든 또는 나타나지 않든, 용어 "약"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용어 "약"은 당업자가 언급한 값(즉, 동일한 기능 또는 결과를 가짐)과 같은 것으로 고려하는 숫자의 범위를 일반적으로 나타낸다. 많은 경우에서, 용어 "약"은 유효 숫자에 근접하게 반올림되는 숫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종점에 의한 수치 범위의 설명은 해당 범위 내 모든 숫자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1 내지 5는 1, 1.5, 2, 2.75, 3, 3.80, 4 및 5를 포함함).
다양한 컴포넌트, 특징 및/또는 사양과 관련된 일부 적합한 치수, 범위 및/또는 값이 개시되지만, 본 개시내용을 읽을 당업자는 목적하는 치수, 범위 및/또는 값이 분명히 개시된 것으로부터 벗어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될 때, 단수 형태는 달리 내용이 분명히 나타내지 않는 한 단수 대상뿐만 아니라 복수 대상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나타낸다. 이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될 때, 용어 "또는"은 달리 내용이 분명히 나타내지 않는 한 "및/또는"을 포함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상이한 도면의 유사한 요소가 동일하게 번호가 매겨지는 도면을 참조하여 읽혀져야 한다. 상세한 설명 및 반드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은 아닌 도면은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려고 의도되지 않는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오직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임의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선택된 특징은 분명히 대조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부가적인 실시형태에 포함될 수도 있다.
본 개시내용은 신체 내 상처를 봉합하기 위한 유사한 전달 디바이스 또는 내시경과 결합하여 사용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부 경우에, 본 명세서에 설명된 봉합 디바이스는 이들이 단일 작업 채널 내시경 또는 내시경의 단일 작업 또는 이용 가능한 채널 내의 듀얼 작업 채널 내시경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고, 일부 경우에 단일 개인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지만 일부 경우에 제2 개인이 수반될 수도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내시경(14)에 대해 고정된 예시적인 봉합 디바이스(12)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조립체(10)의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에 대해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은 제1 디바이스가 제2 디바이스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것을 포함하고 또한 제1 디바이스가 하나 이상의 중간 구조체를 가지면서 제2 디바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봉합 디바이스(12)는 2.8 밀리미터(㎜) 직경, 3.2㎜ 직경 또는 3.7㎜ 직경을 가진 주 작업 채널을 가진 내시경(14)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상이한 내시경(14)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봉합 디바이스(12)는 내시경, 결장경, 위내시경, 십이지장경, 기관지경, 요도경, 카테터, 의료 디바이스(medical device) 등 중 임의의 것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또한 이해한다. 봉합 디바이스(12)는 이것이 오직 스티치를 만들기 위해 근위 단부에서 사용자에 의해 1회 작동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용하기 쉽다. 나선 또는 파지기와 같은 조직 획득 디바이스가 필요하지 않지만, 원한다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봉합 디바이스(12)는 내시경(14)에 대해 봉합 디바이스(12)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단부 캡(16)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부 캡(16)은 임의의 오버-더-스코프 연결기(over-the-scope connector)일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봉합 디바이스(12)는 대신에 내시경(14)에 대해 봉합 디바이스(12)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다른 구조체 또는 특징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봉합 디바이스(12)는 C자 형상의 봉합 링(18)을 포함한다. 후속 도면에 대해 도시될 바와 같이, C자 형상의 봉합 링(18)은 아치 형상의 니들 패서가 C자 형상의 봉합 링(18) 내에서 활주하게 하여 봉합사 셔틀(도 1에서 보이지 않음)이 한 쌍의 아치 형상의 니들 패서 사이에서 앞뒤로 통과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C자 형상의 봉합 링(18)은 제1 개방 단부(20)와 제2 개방 단부(22) 사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의 누락 부분 이외에, 원을 찾아내는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원의 누락 부분은 봉합될 조직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구역(24)을 획정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제1 개방 단부(20)와 제2 개방 단부(22) 사이의 상대적 거리를 포함하는, C자 형상의 봉합 링(18)의 상대적 치수는 상이한 조직, 상이한 상대적 니들 패서 크기 등을 수용하기 위해 변경될 수도 있다. C자 형상의 봉합 링(18)은 제1 측면(28) 및 제2 측면(30)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C자 형상의 봉합 링(18)의 제1 측면(28)은 (예시된 배향에서) 우측에 있고 C자 형상의 봉합 링의 제2 측면(30)은 좌측에 있다.
부가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C자 형상의 봉합 링(18)은 단부 캡 링(16)에 대해 특정한 아치형 각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이것은 C자 형상의 봉합 링(18)이 단부 캡 링(16)에 대해 임의의 원하는 각에 배치될 수도 있기 때문에 단지 예시적이다. 각이 변경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작업 구역(24)의 위치는 내시경의 작업 채널에 대해 변경될 수도 있다. C자 형상의 봉합 링(18)은 단부 캡(16)에 대해 임의의 원하는 위치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C자 형상의 봉합 링(18)의 상대적 위치는 전달 후 조정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봉합 디바이스(12)가 내시경(14)에 대해 고정될 수도 있어서 구역(24)이 중심에 있거나 또는 내시경(14)의 주 작업 채널(26)에 대해 적어도 실질적으로 중심에 있지만, 이것은 모든 경우에 요구되지는 않는다. 부가적인 도구가 봉합 디바이스(12)의 사용을 위해 필수적이지 않지만, 일부 경우에 구역(24)에 도달할 수 있는 도구를 작업 채널(26)을 통해 제공하려는 바람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봉합 동안 조직을 구역(24)을 향하여 당기거나 또는 조직을 구역(24)에 대해 유지하는 것을 돕기 위해 나선 또는 다른 파지기를 사용하려는 바람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구역(24)은 또한 봉합 디바이스(12)를 위한 작업 공간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봉합 링(18)은 제1 개방 단부(20)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1 구역(32) 및 제2 개방 단부(22)와 근접하게 배치되는 제2 구역(34)을 갖는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제1 구역(32)과 제2 구역(34) 각각은 제1 구역(32) 또는 제2 구역(34) 내에서 봉합사 셔틀(36)(도 2에서 가장 잘 보임)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것을 돕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래칭 특징부를 포함한다. 예시된 배향에서, 제2 구역(34)이 제1 래칭 특징부(38) 및 제2 래칭 특징부(40)를 포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시된 배향에서 보이지 않더라도, 제1 개방 단부(20)가 유사한 제1 및 제2 래칭 특징부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제1 래칭 특징부(38)는 제2 개방 단부(22)로부터 제2 구역(34)을 통해 연장되는 한 쌍의 슬릿(38a 및 38b)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되는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제1 래칭 특징부(38)는, 예를 들어, 플런저 및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는 다른 래칭 기구에 의해 대신 제공될 수도 있다. 제2 래칭 특징부(40)는 제2 개방 단부(22)로부터 제2 구역(34)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슬릿(40a 및 40b)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되는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제2 래칭 특징부(40)는, 예를 들어, 플런저 및 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는 다른 래칭 기구에 의해 대신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래칭 특징부(42)는 한 쌍의 슬롯(42a 및 42b)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규정되는, 제1 개방 단부(20)에서 부분적으로 보인다. 봉합사(44)는 내시경(14)의 작업 채널(26)로부터 연장되고, 봉합사 셔틀(36)로 연장된다.
도 2는 봉합 링(12)의 부분이 봉합 디바이스(12)의 추가의 상세사항을 나타내기 위해 절단되는, 조립체(10)의 부분적인 절단 평면도이다. 봉합 디바이스(12)는 봉합 링(12)의 제1 측면(28) 내에 배치된 제1 아치형 니들 패서(52) 및 봉합 링(12)의 제2 측면(30) 내에 배치되는 제2 아치형 니들 패서(54)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봉합 링(12)은 제1 아치형 니들 패서(52)와 제2 아치형 니들 패서(54)가 이동할 수 있는 아치형 채널(56)을 획정한다. 일부 경우에, 제1 아치형 니들 패서(52)와 제2 아치형 니들 패서(54)가 아치형 채널(56)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전체 직경을 가질 수도 있어서, 제1 아치형 니들 패서(52)와 제2 아치형 니들 패서(54)가 아치형 채널(56) 내에서 이동하게 하여 제1 아치형 니들 패서(52)와 제2 아치형 니들 패서(54)가 아치형 채널(56) 내에서 앞뒤로 이외의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한다.
제1 아치형 니들 패서(52)는 제1 조직 천공 부재(58) 및 제1 제어 단부(60)를 포함한다. 제2 아치형 니들 패서(54)는 제2 조직 천공 부재(62) 및 제2 제어 단부(64)를 포함한다. 제1 조직 천공 부재(58) 및 제2 조직 천공 부재(62)는 제1 아치형 니들 패서(52) 및 제2 아치형 니들 패서(54)를 조직을 통해 전진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지점으로 테이퍼지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제1 제어 요소(66)는 제1 제어 단부(60)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고 제1 관형 부재(68)를 통해 근위로 연장된다. 제2 제어 요소(70)는 제2 제어 단부(64)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고 제2 관형 부재(72)를 통해 근위로 연장된다. 제1 제어 요소(66) 및 제2 제어 요소(70)는 핸들(미도시)로 근위로 연장될 수도 있고 개별적으로 작동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제1 제어 요소(66)를 당기는 것은 제1 아치형 니들 패서(52)가 제2 개방 단부(20)로부터 더 멀어지게 뒤로 당겨지게 할 수도 있고 반면에 제1 제어 요소(66)를 미는 것은 제1 아치형 니들 패서(52)가 제2 개방 단부(22)를 향하여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제2 제어 요소(70)를 당기는 것은 제2 아치형 니들 패서(54)가 제1 개방 단부(20)로부터 더 멀어지게 뒤로 당겨지게 할 수도 있고 반면에 제2 제어 요소(70)를 미는 것은 제2 아치형 니들 패서(54)가 제1 개방 단부(20)를 향하여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제1 제어 요소(66) 및 제2 제어 요소(70)는, 예를 들어, 개별적으로 작동 가능할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기어 또는 레버를 포함하는 다른 작동 기구가 사용될 수도 있어서, 핸들 단부에 인가되는 방향 힘이 원위 단부에서 인가된 힘과 반대일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봉합사 셔틀(36)은 봉합사 셔틀(36)을 캡처하고 제1 구역(32)으로부터 작업 구역(24)에 걸쳐 제2 구역(34)까지 이동시키기 위해 제1 아치형 니들 패서(52)를 교대로 활용함으로써 그리고 봉합사 셔틀(36)을 캡처하고 제2 구역(34)으로부터 작업 구역(24)에 걸쳐 제1 구역(32)까지 이동시키기 위해 제2 아치형 니들 패서(54)를 사용함으로써 제1 구역(32)과 제2 구역(34) 사이에서 앞뒤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조직을 예컨대, 파지기를 사용함으로써 작업 구역(24)으로 당기면, 봉합사(44)가 봉합되는 조직을 통해 앞뒤로 당겨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82)를 가진 아치형 니들 패서(80)와 봉합사 셔틀(36) 사이의 간섭 끼워맞춤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아치형 니들 패서(80)는, 예를 들어, 제1 아치형 니들 패서(52) 또는 제2 아치형 니들 패서(54)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봉합사 셔틀(36)은 봉합사 셔틀(36)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환형 홈(84)을 포함하고, 내부에 봉합사(4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봉합사(44)는, 예를 들어, 환형 홈(84)의 주위에 래핑될 수 있고, 이어서 봉합사 셔틀(36)에 대해 봉합사(44)를 고정시키기 위해 그 자체에 노팅될(knotted)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봉합사(44)는 봉합사 셔틀(36)에 고정될 수도 있고, 봉합사 셔틀(36)은 조직 내에서 봉합사를 종결할 때 사용될 수도 있다. 일부 경우에, 봉합되는 특정한 조직에 따라, 봉합사 셔틀(36)은 봉합사를 고정시키고 종결할 때 가제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봉합사 셔틀(36)은 비외상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고, 이는 봉합사 셔틀(36)이 환자 내에 유지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조직 내에서 봉합사를 종결할 시 사용될 때 유익할 수도 있다.
봉합사 셔틀(36)은 봉합사 셔틀(36)을 통해 연장되는 곧은 루멘(86)을 포함한다. 보이는 바와 같이, 제1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58) 및/또는 제2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62)를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는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82)가 곧지 않지만, 이것에 대한 곡률을 갖는다. 그 결과,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82)는 곧은 루멘(86)과 간섭 끼워맞춤을 형성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도 있다. 지점(88 및 90)은, 곧은 루멘(86)의 내부 표면 또는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82)가 생산되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에, 간섭 끼워맞춤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경우를 예시한다. 간섭 끼워맞춤은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82)에 대해 따라서 아치형 니들 패서(80)에 대해 봉합사 셔틀(36)을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봉합사 셔틀(36)은 제1 테이퍼진 단부(94) 및 제2 테이퍼진 단부(96)를 포함하는 봉합사 셔틀 몸체(92)를 포함한다. 예시된 배향에서, 제1 테이퍼진 단부(94)가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82)의 말단 단부(98)와 거의 정렬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치형 니들 패서(80)가 예시된 바와 같이 반대 방향으로부터 곧은 루멘(86)에 진입했다면, 제2 테이퍼진 단부(96)가 말단 단부(98)와 거의 정렬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4는 예시적인 봉합 디바이스(12)의 부분의 부분적인 절단도이다. 특히, 도 4는 제2 아치형 니들 패서(54)를 포함하는, 제2 측면(30)의 부분을 나타낸다. 슬롯(40a 및 40b) 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획정되는 제2 래칭 특징부(40)는 봉합사 셔틀 몸체(92)의 제2 테이퍼진 단부(96)와 맞물리는 경사면(100)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봉합사 셔틀(36)이 제2 구역(34)으로 밀려진 후, 경사면(100)에 의해 봉합사 셔틀(36)에 인가되는 유지력이 제1 조직 천공 부재(58)와 곧은 루멘(86) 사이의 간섭 끼워맞춤을 초과하고, 따라서 제1 아치형 니들 패서(52)가 철수될 수 있어서, 도 4에 예시된 위치에 봉합사 셔틀(36)을 둔다. 제2 개방 단부(22)의 래칭 특징부(38), 제1 개방 단부(20)의 래칭 특징부(42) 및 제1 개방 단부(20)에서 보이지 않는 래칭 특징부의 각각이 경사면, 예컨대, 경사면(100)을 각각 가질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봉합사 셔틀(36)이 앞뒤로 통과하는 방식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예시적인 봉합 디바이스(12)의 부분적인 절단도이다. 도 5에서, 봉합사 셔틀(36)은 제1 제어 요소(66)(도 5에서 미도시)에 의해 작업 구역(24)으로 밀려졌다. 언급된 바와 같이, 아치형 채널(56)이 제1 아치형 니들 패서(52)의 외경 상에서 타이트하게 끼워맞춰지는 내경을 가져서 제1 조직 천공 부재(58)가 작업 구역(24)을 통해 그리고 작업 구역(24) 내 임의의 조직을 통해 연장됨에 따라 제1 아치형 니들 패서(52)가 정렬된 채로 유지된다. 봉합사 셔틀(36)은 작업 구역(24)에 걸쳐 그리고 제2 구역(22)으로 밀려질 수도 있다. 제2 구역(34)의 래칭 특징부(38 및 40)는 도 6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봉합사 셔틀(36)과 맞물릴 것이다. 이어서 제1 아치형 니들 패서(52)가 철수될 수도 있어서,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봉합사 셔틀(36)을 구역(34) 내에 고정되게 한다. 이 과정이 반복되어 반대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단 봉합사가 조직을 통해 배치되었다면, 봉합 디바이스(12)가 재배치되어 반대 방향으로 진행되는 스티치를 배치할 수 있다.
다양한 상이한 물질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를 형성할 때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경우에, 다양한 상이한 금속이 사용될 수도 있다. 예시적이지만 적합한 금속의 비제한적인 예는 티타늄, 스테인리스 강, 마그네슘, 코발트 크롬 및 다른 것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 제1 제어 요소(46) 및 제2 제어 요소는 니티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디바이스는 생체적합성 물질, 예컨대,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폴리머 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적합한 폴리머는 PEEK(폴리에터에터케톤) 및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다른 적합한 폴리머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ETFE), 플루오린계 에틸렌 프로필렌(FEP), 폴리옥시메틸렌(POM, 예를 들어, DuPont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DELRIN®), 폴리에스터 블록 에스터, 폴리우레탄(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85A),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터-에스터(예를 들어, DSM Engineering Plastics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ARNITEL®), 에터 또는 에스터 기반 코폴리머(예를 들어, 부틸렌/폴리(알킬렌 에터) 프탈레이트 및/또는 다른 폴리에스터 탄성중합체, 예컨대, DuPont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HYTREL®), 폴리아마이드(예를 들어, Bayer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DURETHAN® 또는 Elf Atochem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CRISTAMID®), 탄성중합체 폴리아마이드, 블록 폴리아마이드/에터, 폴리에터 블록 아마이드(예를 들어, 상표명 PEBAX®하에서 입수 가능한 PEBA),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코폴리머(EVA), 실리콘, 폴리에틸렌(PE), Marlex 고밀도 폴리에틸렌, Marlex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예를 들어 REXELL®), 폴리에스터,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트라이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터에터케톤(PEEK), 폴리이미드(PI), 폴리에터이미드(PEI),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폴리페닐렌 옥사이드(PPO), 폴리 파라페닐렌 테레프탈아마이드(예를 들어, KEVLAR®), 폴리설폰, 나일론, 나일론-12(예컨대, EMS American Grilon사로부터 입수 가능한 GRILAMID®), 퍼플루오로(프로필 비닐 에터)(PFA), 에틸렌 비닐 알코올, 폴리올레핀, 폴리스타이렌, 에폭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PVdC), 폴리(스타이렌-b-아이소부틸렌-b-스타이렌)(예를 들어, SIBS 및/또는 SIBS 50A), 폴리카보네이트, 이오노머, 생체적합성 폴리머, 다른 적합한 물질, 또는 혼합물, 조합물, 이들의 코폴리머, 폴리머/금속 복합재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당업자는 본 개시내용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고려되는 특정한 실시형태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따라서, 형태의 벗어남 및 상세사항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 및 정신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Claims (15)

  1. 의료 디바이스로서,
    내시경의 원위 단부에 연결 가능한 장착 구조체;
    상기 장착 구조체에 고정된 봉합 링(suture ring)으로서, 상기 봉합 링은 제1 개방 단부에서 제2 개방 단부까지 상기 봉합 링 내에서 연장되는 아치형 채널을 획정하고, 상기 제1 개방 단부와 근접한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개방 단부와 근접한 제2 구역을 포함하는, 상기 봉합 링;
    상기 아치형 채널의 제1 측면 내에 활주하며 배치된 제1 아치형 니들 패서(first arcuate needle passer)로서, 제1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 및 제1 제어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아치형 니들 패서;
    상기 아치형 채널의 제2 측면 내에 활주하며 배치된 제2 아치형 니들 패서로서, 제2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 및 제2 제어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아치형 니들 패서; 및
    상기 제1 아치형 니들 패서와 상기 제2 아치형 니들 패서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아치형 니들 패서와 상기 제2 아치형 니들 패서의 각각에 가역적으로 고정 가능한 봉합사 셔틀(suture shuttle)
    을 포함하는, 의료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셔틀은 관통하여 연장되는 곧은 루멘을 획정하는 셔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셔틀 몸체는 상기 제1 구역 및/또는 상기 제2 구역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되는, 의료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셔틀은 상기 제1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와 상기 곧은 루멘 사이의 간섭 끼워맞춤을 통해 상기 제1 아치형 니들 패서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 가능한, 의료 디바이스.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셔틀은 상기 제2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와 상기 곧은 루멘 사이의 간섭 끼워맞춤을 통해 상기 제2 아치형 니들 패서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 가능한, 의료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제어 요소의 병진은 상기 제1 아치형 니들 패서가 상기 아치형 채널 내에서 이동하게 하도록 상기 제1 제어 단부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제1 제어 요소; 및
    제2 제어 요소의 병진은 상기 제2 아치형 니들 패서가 상기 아치형 채널 내에서 이동하게 하도록 상기 제2 제어 단부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제2 제어 요소
    를 더 포함하는, 의료 디바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 링은 상기 제1 개방 단부에서 상기 제2 개방 단부까지 원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개방 단부와 상기 제2 개방 단부는 조직이 이들 사이에서 연장하게 하는 거리만큼 이격되는, 의료 디바이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치형 니들 패서는, 상기 제1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가 상기 제1 개방 단부에서 상기 제2 개방 단부를 향하여 횡단할 때 상기 제1 아치형 니들 패서의 일부가 상기 아치형 채널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의료 디바이스.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치형 니들 패서는, 상기 제2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가 상기 제2 개방 단부에서 상기 제1 개방 단부를 향하여 횡단할 때 상기 제2 아치형 니들 패서의 일부가 상기 아치형 채널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의료 디바이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역과 상기 제2 구역 각각은 내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봉합사 셔틀이 상기 제1 아치형 니들 패서에 고정될 때, 상기 봉합사 셔틀이 상기 제1 아치형 니들 패서에 의해 상기 제2 구역으로 밀리는 경우에 상기 제2 구역이 휘어질 수 있고;
    상기 봉합사 셔틀이 상기 제2 아치형 니들 패서에 고정될 때, 상기 봉합사 셔틀이 상기 제2 아치형 니들 패서에 의해 상기 제1 구역으로 밀리는 경우에 상기 제1 구역이 휘어질 수 있는, 의료 디바이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방 단부와 근접하게 배치된 제1 래치 특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래치 특징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구역 내에서 상기 봉합사 셔틀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의료 디바이스.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방 단부와 근접하게 배치된 제2 래치 특징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래치 특징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구역 내에서 상기 봉합사 셔틀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의료 디바이스.
  12. 의료 디바이스로서,
    내시경의 원위 단부에 연결 가능한 장착 구조체;
    상기 장착 구조체에 고정된 C자 형상의 봉합 링으로서, 제1 개방 단부에서 제2 개방 단부까지 상기 봉합 링 내에서 연장되는 아치형 채널을 획정하는, 상기 봉합 링;
    상기 아치형 채널의 제1 측면 내에 활주하며 배치된 제1 아치형 니들 패서로서, 제1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 및 제1 제어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아치형 니들 패서;
    상기 아치형 채널의 제2 측면 내에 활주하며 배치된 제2 아치형 니들 패서로서, 제2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 및 제2 제어 단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아치형 니들 패서;
    제1 제어 요소의 병진은 상기 제1 아치형 니들 패서가 상기 아치형 채널 내에서 이동하게 하도록 상기 제1 제어 단부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제1 제어 요소;
    제2 제어 요소의 병진은 상기 제2 아치형 니들 패서가 상기 아치형 채널 내에서 이동하게 하도록 상기 제2 제어 단부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상기 제2 제어 요소; 및
    상기 제1 아치형 니들 패서와 상기 제2 아치형 니들 패서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아치형 니들 패서와 상기 제2 아치형 니들 패서의 각각에 가역적으로 고정 가능한 봉합사 셔틀
    을 포함하는, 의료 디바이스.
  13. 의료 디바이스로서,
    내시경의 원위 단부에 연결 가능한 장착 구조체;
    상기 장착 구조체에 고정된 봉합 링으로서, 상기 봉합 링은 제1 개방 단부에서 제2 개방 단부까지 상기 봉합 링 내에서 연장되는 아치형 채널을 획정하고, 상기 제1 개방 단부와 근접한 제1 구역 및 상기 제2 개방 단부와 근접한 제2 구역을 포함하는, 상기 봉합 링;
    관통하여 연장되는 곧은 루멘을 획정하는 셔틀 몸체를 포함하는 상기 봉합사 셔틀로서, 상기 셔틀 몸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구역 및/또는 상기 제2 구역 내에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되는, 상기 봉합사 셔틀;
    상기 아치형 채널의 제1 측면 내에 활주하며 배치된 제1 아치형 니들 패서로서, 상기 제1 아치형 니들 패서는 제1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 및 제1 제어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는 상기 곧은 루멘 내에서 간섭 끼워맞춤을 해제 가능하게 형성하는, 상기 제1 아치형 니들 패서; 및
    상기 아치형 채널의 제2 측면 내에 활주하며 배치된 제2 아치형 니들 패서로서, 상기 제2 아치형 니들 패서는 제2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 및 제2 제어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는 상기 곧은 루멘 내에서 간섭 끼워맞춤을 해제 가능하게 형성하는, 상기 제2 아치형 니들 패서
    를 포함하는, 의료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치형 니들 패서는, 상기 제1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가 상기 제1 개방 단부에서 상기 제2 개방 단부를 향하여 횡단할 때 상기 제1 아치형 니들 패서의 일부가 상기 아치형 채널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의료 디바이스.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치형 니들 패서는, 상기 제2 아치형 조직 천공 부재가 상기 제2 개방 단부에서 상기 제1 개방 단부를 향하여 횡단할 때 상기 제2 아치형 니들 패서의 일부가 상기 아치형 채널 내에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의료 디바이스.
KR1020237040517A 2021-04-26 2022-04-26 봉합사 기반 봉합 디바이스 KR202301737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79966P 2021-04-26 2021-04-26
US63/179,966 2021-04-26
PCT/US2022/026369 WO2022232157A1 (en) 2021-04-26 2022-04-26 Suture based closur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3725A true KR20230173725A (ko) 2023-12-27

Family

ID=8175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0517A KR20230173725A (ko) 2021-04-26 2022-04-26 봉합사 기반 봉합 디바이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220338866A1 (ko)
EP (1) EP4312706A1 (ko)
JP (1) JP2024515218A (ko)
KR (1) KR20230173725A (ko)
CN (1) CN117545411A (ko)
AU (1) AU2022264494A1 (ko)
CA (1) CA3217860A1 (ko)
WO (1) WO2022232157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94930B2 (ja) * 2009-12-22 2016-03-30 クック・メディカル・テクノロジー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組織を縫合するための医療器具及び方法
WO2012096280A1 (ja) * 2011-01-11 2012-07-19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縫合システムおよび内視鏡システム
WO2021202508A1 (en) * 2020-03-31 2021-10-0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uture based closur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264494A1 (en) 2023-11-09
WO2022232157A1 (en) 2022-11-03
CA3217860A1 (en) 2022-11-03
CN117545411A (zh) 2024-02-09
EP4312706A1 (en) 2024-02-07
JP2024515218A (ja) 2024-04-05
US20220338866A1 (en)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85272B1 (en) Suture based closure device
US20220167965A1 (en) Endoscope attachment mechanism for use with suture based closure device
US20240148374A1 (en) Suture based closure device for use with endoscope
US11399821B2 (en) Control handle for endoscopic suturing
US11896214B2 (en) Suture based closure device
KR20230173725A (ko) 봉합사 기반 봉합 디바이스
US20220338862A1 (en) Suture based closure device
US20210068813A1 (en) Systems, suture devices, and methods for tissue clos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