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928A - 단자 구조가 개선된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단자 구조가 개선된 이차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72928A KR20230172928A KR1020220073694A KR20220073694A KR20230172928A KR 20230172928 A KR20230172928 A KR 20230172928A KR 1020220073694 A KR1020220073694 A KR 1020220073694A KR 20220073694 A KR20220073694 A KR 20220073694A KR 20230172928 A KR20230172928 A KR 202301729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secondary battery
- binding member
- battery
- extens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2 ve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발명은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전지 케이스의 상면에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이격 배치된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예에서,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가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면서 상기 전지 케이스의 상면 및 상기 상면에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면에 결합하는 단자 몸체와,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자 몸체 중 상면을 제외한 어느 일면에 노출된 연장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단자 상에 결속부재가 구비되는 W형 단자 구조체와, 그리고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가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면서 상기 전지 케이스의 상면 및 상기 상면에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면에 결합하는 단자 몸체와,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자 몸체 중 상면을 제외한 어느 일면에 노출된 연장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단자 상에 상기 이차전지의 두께방향을 향하는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T형 단자 구조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양극단자 및/또는 음극단자의 배치 구조를 쉽게 변경할 수 있고, 복수의 이차전지에 대한 다양한 전기연결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단자 구조가 개선된 각형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일차전지와는 달리 재충전이 가능하고, 또 소형 및 대용량화 가능성으로 인해 근래에 많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하고, 또한 환경보호의 시대적 요구에 맞춰 부각되는 전기 차량과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으로 인해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의 수요는 더욱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차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코인형 전지, 원통형 전지, 각형 전지, 및 파우치형 전지로 분류된다. 이차전지에서 전지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전극 조립체는 전극 및 분리막의 적층 구조로 이루어진 충방전이 가능한 발전소자이다.
전극 조립체는 활물질이 도포된 시트형의 양극과 음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介在)하여 권취한 젤리 롤(Jellyroll)형, 다수의 양극과 음극을 분리막이 개재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적층한 스택형, 및 스택형의 단위 셀들을 긴 길이의 분리필름으로 권취한 스택 앤 폴딩(Stack & Folding)형으로 대략 분류할 수 있다.
다양한 종류의 이차전지 중 각형 이차전지를 살펴보면, 각형 이차전지는 양극단자와 음극단자가 일면에 함께 배치되어 있거나, 또는 대향하는 양 측면에 하나씩 배치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의 배치는 각형 이차전지를 탑재하는 각종 장치의 설계사양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설계사양에 맞춰 동일한 폼팩터에서도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의 배치구조를 그때마다 따로 설계해야 하는 수고가 따르게 된다.
또한, 복수의 이차전지를 모듈이나 팩으로 구성하기 위해서는 이차전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버스바 등이 필요한데, 버스바의 설계는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의 배치구조에 종속되므로 버스바 설계 역시 복잡해진다.
본 발명은 각형 이차전지에 구비되는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의 배치구조를 별도의 설계변경 없이 손쉽게 변경 제조할 수 있으며, 나아가 복수의 이차전지에 대한 다양한 전기연결 구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각형 이차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전지 케이스의 상면에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이격 배치된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예에서,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가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면서 상기 전지 케이스의 상면 및 상기 상면에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면에 결합하는 단자 몸체와,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자 몸체 중 상면을 제외한 어느 일면에 노출된 연장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단자 상에 결속부재가 구비되는 W형 단자 구조체와, 그리고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가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면서 상기 전지 케이스의 상면 및 상기 상면에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면에 결합하는 단자 몸체와,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자 몸체 중 상면을 제외한 어느 일면에 노출된 연장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단자 상에 상기 이차전지의 두께방향을 향하는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T형 단자 구조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에 대해 상기 연장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장배선은 외부에 대해 절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단자 몸체는 상기 전지 케이스의 상면 및 상기 상면에 이어지는 일측면에 결합하고, 상기 연장단자는 상기 일측면 상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에 하나씩 구비되는 서로 상보하는 형상의 암 결속부재 또는 수 결속부재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에 구비된 암 결속부재 또는 수 결속부재는, 인접한 다른 이차전지의 음극단자 또는 양극단자에 구비된 수 결속부재 또는 암 결속부재에 대해 직렬회로로 결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이차전지는 폭 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각각의 이차전지에 구비된 암 결속부재 또는 수 결속부재는 인접한 이차전지의 수 결속부재 또는 암 결속부재에 대해 폭 방향을 따라 암수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암 결속부재는 폭 방향으로 개방된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 결속부재는 폭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이차전지는 폭 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각각의 이차전지에 구비된 암 결속부재 또는 수 결속부재는 인접한 이차전지의 수 결속부재 또는 암 결속부재에 대해 높이방향을 따라 암수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상기 암 결속부재는 높이방향으로 개방된 슬롯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 결속부재는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인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단자는 두께방향을 따라 어느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는, 인접한 다른 이차전지의 연장단자 또는 접속단자에 대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이차전지는 두께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각각의 이차전지에 구비된 접속단자는 인접한 이차전지의 연장단자 또는 접속단자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의 단부는 두께방향으로 개방된 슬롯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접속단자의 슬롯에는 인접한 이차전지의 접속단자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폭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이차전지가 상기 W형 단자 구조체의 결속부재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 직렬 전지군이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직렬 전지군의 최외곽에 위치한 이차전지끼리는 상기 T형 단자 구조체의 접속단자에 의해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두께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이차전지가 상기 T형 단자 구조체의 접속단자에 의해 병렬로 연결된 병렬 전지군이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병렬 전지군끼리는 상기 T형 단자 구조체의 접속단자에 의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이차전지는, 단자 구조체를 이차전지의 상면 모서리 부분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양극단자 및/또는 음극단자의 배치구조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셀 내부 제조공정에 영향을 주지 않고 자유롭게 단자부 위치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각형 이차전지의 개발 및 생산비용 절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단자 구조체에 결속부재 또는 접속단자를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이차전지를 폭 방향 및/또는 두께방향을 따라 직렬/병렬/직병렬 회로로 연결할 때 별도의 버스바 없이 단자 구조체끼리 직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이나 팩의 제조시에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효과는 상술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와 W형 단자 구조체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암 결속부재 및 수 결속부재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두 개의 이차전지가 결속부재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암 결속부재 및 수 결속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도 6의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복수의 이차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와 T형 단자 구조체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접속단자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두 개의 이차전지가 접속단자를 통해 병렬로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세 개의 이차전지가 접속단자를 통해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접속단자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의 접속단자를 이용하여 복수의 이차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W형 단자 구조체 및 T형 단자 구조체를 이용하여 복수의 이차전지를 직병렬로 연결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T형 단자 구조체를 이용한 직병렬 연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와 W형 단자 구조체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암 결속부재 및 수 결속부재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두 개의 이차전지가 결속부재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암 결속부재 및 수 결속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도 6의 결속부재를 이용하여 복수의 이차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와 T형 단자 구조체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접속단자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두 개의 이차전지가 접속단자를 통해 병렬로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세 개의 이차전지가 접속단자를 통해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접속단자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의 접속단자를 이용하여 복수의 이차전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W형 단자 구조체 및 T형 단자 구조체를 이용하여 복수의 이차전지를 직병렬로 연결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T형 단자 구조체를 이용한 직병렬 연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기재된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에" 있다고 기재된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상에" 배치된다고 하는 것은 상부뿐만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차전지, 특히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전지 케이스의 상면에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이격 배치된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는, 하나의 예에서, 전지 케이스의 적어도 한 쪽 상면 모서리에는 단자 구조체가 결합한다. 단자 구조체는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가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면서 상기 전지 케이스의 상면 및 상기 상면에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면에 결합하는 단자 몸체와,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자 몸체 중 상면을 제외한 어느 일면에 노출된 연장단자를 구비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이차전지는 두 가지 형태의 단자 구조체를 포함한다.
첫 번째 형태는 W형 단자 구조체로서, 연장단자 상에 구비되는 결속부재를 포함한다. 결속부재는 폭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단자 구조체의 연장단자를 직결하는 부재로서, 결속부재에 의해 복수의 이차전지가 폭 방향을 따라 차례차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두 번째 형태는 T형 단자 구조체로서, 연장단자 상에 구비되어 이차전지의 두께방향을 향하는 접속단자를 포함한다. 접속단자는 두께방향으로 정렬된 이차전지가 각각 구비하는 단자 구조체의 연장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확장된 단자로서, 접속단자에 의해 복수의 이차전지가 두께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자 구조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이차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상면에 배치된 양극단자와 음극단자의 위치를, 단자 구조체를 적용하는 것만으로 별도의 설계변경 없이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각형 이차전지의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연장단자에 결속부재와 접속단자를 각각 구비하는 두 종류의 단자 구조체를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이차전지를 폭 방향 및/또는 두께방향을 따라 다양한 형태의 직렬/병렬/직병렬 회로로 구성할 때 별도의 버스바 없이 단자 구조체끼리 직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이나 팩의 제조시에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차전지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전후좌우나 상하 등의 상개적 위치관계를 지정하는 용어는 특별한 정의가 없는한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100)와 단자 구조체(2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차전지(100)는 W형 단자 구조체(200-W)와 T형 단자 구조체(200-T)의 두 종류의 단자 구조체(200)를 포함하는데, W형 단자 구조체(200-W)와 T형 단자 구조체(200-T)의 기본적인 구조는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제1 실시형태에서는 W형 단자 구조체(200-W)에 대해 설명하고, 뒤를 이어 T형 단자 구조체(200-T) 및 이들의 조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W형 단자 구조체(200-W)와 T형 단자 구조체(200-T)에 대해 공통적인 구성을 설명할 때에는 이들을 총칭하는 단자 구조체(200)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서로 구별되는 구성을 설명할 때에는 W형 단자 구조체(200-W)와 T형 단자 구조체(200-T)로 서로 구별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이차전지(100), 특히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전지 케이스(110)의 상면에 양극단자(120) 및 음극단자(130)가 이격 배치된 각형 이차전지(100)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각형 이차전지(100)는 하나의 예시로서, 너비와 폭, 그리고 높이의 비율은 다양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와 상하좌우의 방향을 지칭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양극단자(120) 및 음극단자(130)가 배치된 일면이 상면이고, 이에 마주보는 반대면은 저면으로 부른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표시된 좌표축은 이차전지(100)의 폭 방향(W), 두께방향(T), 높이방향(H)을 지정하는 것이다. 폭 방향(W)은 양극단자(120) 및 음극단자(130)를 가로지르는 방향을 지정하는 것이고, 두께방향(T)은 폭 방향(W)에 수직한 깊이방향(지면 기준)을, 그리고 높이방향(H)은 폭 방향(W) 및 두께방향(T) 양자에 수직한 방향을 지정한다.
본 발명의 이차전지(100)는 단자 구조체(200)를 포함한다. 단자 구조체(200)는 전지 케이스(110)의 적어도 한 쪽 상면 모서리에 결합하는 경첩 형태의 구조물로서, 단자 몸체(210)와 연장단자(220)를 포함한다.
단자 몸체(210)는 양극단자(120) 또는 음극단자(130)가 밖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면서, 전지 케이스(110)의 상면 및 상면에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면(측면이나 전면, 후면 등)에 결합하는 단자 구조체(200)의 몸체를 지칭한다.
연장단자(220)는 양극단자(120) 또는 음극단자(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면서, 단자 몸체(210) 중 상면을 제외한 어느 일면에 노출된 단자 구조체(200)의 단자를 지칭하는 것이다. 즉, 양극단자(120)와 음극단자(130)는 단자 몸체(210)로 감싸여 노출되어 있지 않으므로, 연장단자(220)는 상면 이외의 다른 일면에 위치한 새로운 양극단자(120)와 음극단자(130)의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차전지(100)는 전지 케이스(110)의 상면에 배치된 양극단자(120)와 음극단자(130)의 위치를, 단자 구조체(200)를 적용하는 것만으로 별도의 설계변경 없이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동일한 폼팩터의 각형 이차전지(100)에 대해 단자 구조체(200)를 이용하여 양극단자(120)와 음극단자(130)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각형 이차전지(100)의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W형 단자 구조체(200-W)는 연장단자(220) 상에 구비되는 결속부재(300)를 포함한다. 결속부재(300)는 폭 방향(W)을 따라 서로 마주보는 단자 구조체(200)의 연장단자(220)를 직결하는 부재로서, 결속부재(300)에 의해 복수의 이차전지(1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W형 단자 구조체(200-W)에 결속부재(300)를 구비함으로써 W형 단자 구조체(200-W)끼리 직결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복수의 이차전지(100)를 별도의 버스바 없이 결속부재(300)끼리 직결함으로써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이나 팩의 제조시에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양극단자(120) 또는 음극단자(130)와 연장단자(220)는 연장배선(230)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연장배선(230)은 단자 몸체(210)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연장배선(230)은 외부에 대해 절연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절연성 수지재질의 단자 몸체(210) 안에 연장배선(230) 및 연장단자(220)가 인서트 몰딩 등에 의해 매립되어 있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연장단자(220)만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연장배선(230)이 손상되거나 쇼트를 일으키는 등의 문제가 방지된다. 참고로, 연장배선(230)과 연장단자(220)는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단자 몸체(210)에 결합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단자 몸체(210)는 전지 케이스(110)의 상면 및 상면에 이어지는 일측면에 결합하고, 연장단자(220)는 일측면 상에 노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지 케이스(110)의 상면에 위치하였던 양극단자(120) 또는 음극단자(130)의 위치는 측면으로 이동되었다.
또한, 단자 구조체(200)는 양극단자(120) 및 음극단자(130)에 하나씩 결합될 수 있고, 이로써 양극단자(120)와 음극단자(130)는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하나씩 배치된다. 즉, 전지 케이스(110)의 상면에 함께 배치되었던 양극단자(120)와 음극단자(130)는 각기 인접한 측면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일방향 이차전지로 설계되었던 초기의 각형 이차전지(100)는 양방향 이차전지로 변경된다.
그리고, 단자 구조체(200)는 완성된 이차전지(100)에 추가적으로 부착하거나, 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전극 조립체(160)를 전지 케이스(110)에 봉입하기 전에 단자 구조체(200)를 전지 케이스(110)의 상면을 구성하는 캡 플레이트(150)에먼저 결합하는 순서로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 및 도 4는 W형 단자 구조체(200-W)에 구비되는 결속부재(300)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결속부재(300)는 암 결속부재(310)와 수 결속부재(320)의 두 종류로 구비된다. 암 결속부재(310)와 수 결속부재(320)는 서로 상보하는 형태, 다시 말해 서로 끼워질 수 있는 암수 형태를 이루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결속부재(300)의 일 실시형태는, 암 결속부재(310)는 홈(312)의 형태를 이루고 있고, 수 결속부재(320)는 암 결속부재(310)의 홈(312)에 끼워지는 돌기(322)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도면에서는 홈(312)과 돌기(322)의 단면이 원형을 이루고 있지만, 이러한 도면의 형상으로 홈(312)과 돌기(322)의 형태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의 실시형태는, 홈(312)과 돌기(322)의 형태가 닫힌 도형의 형태가 아닌 열린 도형의 형태를 이루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4의 암 결속부재(310)의 홈(312)과 수 결속부재(320)의 돌기(322)는 평판을 절곡하여 만들 수 있는 형태로서, 단면이 도브테일 구조를 이룸으로써 스프링 작용에 의해 탄력적으로 결속하여 강한 체결력을 발휘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결속부재(300)는, 암 결속부재(310)는 폭 방향(W)으로 개방된 홈(312)으로 이루어지고, 수 결속부재(320)는 폭 방향(W)으로 돌출된 돌기(322)로 이루어져 있다. 즉, 암 결속부재(310)와 수 결속부재(320)는 폭 방향(W)을 따라 체결 및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제1 실시형태의 단자 구조체(200)를 W형 단자 구조체(200-W)로 지칭한 것이다.
도 5는 두 개의 이차전지(100)가 각자의 연장단자(220)에 구비된 결속부재(300)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구성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결속부재(300)는 연장단자(220)에 대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복수 이차전지(100)가 결속부재(300)끼리 서로 연결되면 이들 복수의 이차전지(10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속부재(300)는 별도의 부재로 제조되어 연장단자(220)에 접합될 수도 있고, 또는 도면의 실시형태와 같이 결속부재(300)가 연장단자(220)에 대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암 결속부재(310)와 수 결속부재(320)가 폭 방향(W)을 따라 체결 및 해제될 수 있음에 따라, 두 개의 이차전지(100)도 폭 방향(W)을 따라 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이차전지(100)는 폭 방향(W)을 따라 연이어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전기회로를 구성하려면 복수의 이차전지(100)는 직렬로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어느 이차전지(100)의 음극단자(130)가 암 결속부재(310)를 구비하는 경우, 좀더 정확하게는 음극단자(130)에 연결된 연장단자(220)가 암 결속부재(31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인접한 다른 이차전지(100)의 양극단자(120)는 수 결속부재(320)를 구비하여야 한다. 즉, 인접한 이차전지(100)는 극성이 다른 단자가 서로 암수가 다른 결속부재(300)를 구비하여야 한다.
다만, 이러한 결속부재(300)의 조합이 반드시 어느 하나의 이차전지(100)가 암 결속부재(310)와 수 결속부재(320)를 각각 하나씩 구비해야 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물론, 모든 이차전지(100)가 동일 극성의 단자가 동일한 암수 패턴을 가지도록 통일하는 것이 일반적이겠지만, 어느 이차전지(100)는 암 결속부재(310)만을 가지는 대신 다른 이차전지(100)는 수 결속부재(320)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다시 말해, 인접한 이차전지(100)끼리는 극성이 다른 단자가 서로 암수가 다른 결속부재(300)를 구비한다는 조건만 충족한다면, 복수의 이차전지(100)는 폭 방향(W)을 따라 연이어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암 결속부재(310) 및 수 결속부재(320)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실시형태 역시 W형 단자 구조체(200-W)를 통해 복수의 이차전지(100)를 폭 방향(W)을 따라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는 것은 전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하지만, 암 결속부재(310)와 수 결속부재(320)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암 결속부재(310)의 홈(312)과 수 결속부재(320)의 돌기(322)는 폭 방향(W)을 향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암수 체결의 방향은 이차전지(100)의 폭 방향(W)이 된다.
이에 비해, 도 6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암 결속부재(310)는 높이방향(H)으로 개방된 슬롯(314)으로 이루어지고, 수 결속부재(320)는 높이방향(H)으로 연장된 인서트(324)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도 6의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이차전지(100)가 폭 방향(W)을 따라 연이어 연결되는 것은 마찬가지이지만, 인접한 이차전지(100)의 암 결속부재(310)와 수 결속부재(320)는 높이방향(H)을 따라 체결 및 해제된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결속부재(300)를 이용하여 복수의 이차전지(1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두 개의 이차전지(100)가 각자의 연장단자(220)에 구비된 결속부재(300)를 통해 높이방향(H)으로 암수 체결되어 상호 연결되는 구성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5의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결속부재(300)는 연장단자(220)에 대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복수 이차전지(100)가 결속부재(300)끼리 서로 연결되면 이들 복수의 이차전지(10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특히, 도 6의 결속부재(300)에 의하면, 인접한 이차전지(100)의 암 결속부재(310)와 수 결속부재(320)는 높이방향(H)을 따라 체결 및 해제되므로, 일단 체결된 암 결속부재(310)와 수 결속부재(320)는 폭 방향(W)으로는 해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차전지(100)에 요동이나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체결된 결속부재(300)가 서로 이탈할 염려가 거의 없다. 이런 점에서, 도 6의 결속부재(300)는 복수 개의 이차전지(100)가 모듈이나 팩을 구성할 때 결속부재(300)의 직결로 이루어지는 전기연결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된다.
도 6의 실시형태에서도 복수의 이차전지(100)는 폭 방향(W)을 따라 연이어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전기회로를 구성하려면 복수의 이차전지(100)는 직렬로 연결되어야 한다. 그리고, 어느 이차전지(100)의 음극단자(130)가 암 결속부재(31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인접한 다른 이차전지(100)의 양극단자(120)는 수 결속부재(320)를 구비하여야 한다. 즉, 인접한 이차전지(100)는 극성이 다른 단자가 서로 암수가 다른 결속부재(300)를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모든 이차전지(100)가 동일 극성의 단자가 동일한 암수 패턴의 결속부재(300)를 가지도록 통일되거나, 또는 도 8의 경우처럼 어느 이차전지(100)는 암 결속부재(310)만을 가지는 대신 다른 이차전지(100)는 수 결속부재(320)만을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의 결속부재(300) 또한 별도의 부재로 제조되어 연장단자(220)에 접합되거나, 또는 도면의 실시형태와 같이 결속부재(300)가 연장단자(220)에 대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100)와 T형 단자 구조체(200-T)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단자 구조체(200)의 기본 구조는 W형 단자 구조체(200-W)와 T형 단자 구조체(200-T)가 거의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T형 단자 구조체(200-T)의 특징적인 구성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T형 단자 구조체(200-T)는 연장단자(220) 상에 구비되는 접속단자(400)를 포함하며, 접속단자(400)는 이차전지(100)의 두께방향(T)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접속단자(400)는 인접하는 다른 이차전지(100)의 연장단자(220) 또는 접속단자(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보조단자 내지 확장단자를 의미한다.
접속단자(400)는 단자 구조체(200)의 연장단자(2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면과 같이 접속단자(400)는 연장단자(22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별도로 제작된 접속단자(400)가 연장단자(220)에 접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접속단자(400)는 이차전지(100)의 두께방향(T)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접속단자(400)에 의해 두께방향(T)으로 정렬된 복수의 이차전지(1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제2 실시형태의 단자 구조체(200)를 T형 단자 구조체(200-T)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단자 구조체(200)에 접속단자(400)를 구비함으로써 단자 구조체(200)끼리 두께방향(T)으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복수의 이차전지(100)를 별도의 버스바 없이 접속단자(400)를 통해 직결함으로써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터리 모듈이나 팩의 제조시에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접속단자(400)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세 가지 실시형태가 예시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의 T형 단자 구조체(200-T)에 구비된 접속단자(400)는 이차전지(100)의 두께방향(T)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데, 도 11의 (a) 및 (b)와 같이 두께방향(T)의 어느 일방향(+T 방향 또는 -T 방향)으로만 연장되어 있는 일방향 접속단자(401)이거나, 또는 (c)와 같이 양방향(+T 방향 및 -T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양방향 접속단자(402)일 수 있다.
그리고, 접속단자(400)의 연장길이는 획일적으로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대체적으로는 이차전지(100)의 두께방향(T)으로 바로 인접한 다른 이차전지(100)의 단자 구조체(200)상의 연장단자(220)나 접속단자(400)에 안정적으로 접합할 수 있는 길이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단자(400)는 두께방향(T)으로 인접한 다른 이차전지(100)의 연장단자(220) 또는 접속단자(400)에 대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복수의 이차전지(100)를 별도의 버스바 없이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접속단자(400)의 여러 실시형태는 다양한 전기연결을 위해 여러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2는 두 개의 이차전지(100)가 접속단자(400)를 통해 병렬로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두께방향(T)으로 인접한 두 개의 이차전지(100)는 각각 양극단자(120)와 음극단자(130)에 T형 단자 구조체(200-T)를 구비하고 있으며, 두 개의 이차전지(100)는 서로 마주보는 단자의 극성이 동일하도록 정렬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동일 극성의 전극단자(120 또는 130)가 서로 마주보도록 두께방향(T)을 따라 정렬된 복수의 이차전지(100)는, 인접한 단자 구조체(200)가 T형 단자 구조체(200-T)를 매개로 하여 연결됨으로써 병렬회로를 이루게 된다.
도 12에서는 일방향 접속단자(401)와 연장단자(220)가 서로 연결되는 실시형태로 예시되어 있으며, 이차전지(100)가 두 개로 예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병렬연결은 동일한 패턴으로 연이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은 세 개의 이차전지(100)가 접속단자(400)를 통해 직렬로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두께방향(T)으로 인접한 세 개의 이차전지(100) 중 두 개의 이치잔지(100)는 각각 양극단자(120)와 음극단자(130)에 T형 단자 구조체(200-T)를 구비하고 있으며, 세 개의 이차전지(100)는 서로 마주보는 이차전지(100)의 단자 극성이 반대가 되도록 정렬되어 있다.
서로 마주보는 이차전지(100)의 단자 극성이 반대가 되기 때문에, 인접한 단자 구조체(200)끼리 접속단자(400)로 연결하면 직렬회로가 이루어진다. 다만,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접속단자(400)의 연결은 마주보는 이차전지(100)의 어느 일측에서만, 그리고 이차전지(100)를 하나씩 이동하면서 교번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이차전지(100)를 두께방향(T)으로, 그리고 전극단자(120, 130)의 극성을 원하는 회로연결에 부합하도록 정렬하여 접속단자(400)를 연결함으로써 복수의 이차전지(100)를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접속단자(400)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의 실시형태 역시 복수의 이차전지(100)를 두께방향(T)을 따라 접속단자(400)를 이용하여 직결할 수 있다는 것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지만, 접속단자(400)를 상호 연결하는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T형 단자 구조체(200-T)에 구비된 접속단자(400)는 두께방향(T)으로 바로 인접한 다른 이차전지(100)의 단자 구조체(200) 상의 연장단자(220)나 접속단자(400)에 접합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어 있으며, 접속단자(400)의 접합을 위한 특별한 구조를 포함하고 있지는 않다.
이에 비해, 도 14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어느 접속단자(400)의 단부는 두께방향(T)으로 개방된 슬롯(410)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두께방향(T)으로 인접한 다른 이차전지(100)의 접속단자(400)는 슬롯(41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접속단자(400)를 이용하여 복수의 이차전지(1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에는 세 개의 이차전지(100)가 도시되어 있는데, 중앙에 위치한 이차전지(100)의 T형 단자 구조체(200-T)에는 도 11의 (c)에 대응하는 양방향 접속단자(402)를 구비하고 있으며, 양방향 접속단자(402)의 양 단부에는 슬롯(410)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양측의 이차전지(100)는 슬롯(410)이 없는 단순한 일방향 접속단자(401)를 구비하고 있으며, 두 개의 일방향 접속단자(401)가 각각 양방향 접속단자(402)의 슬롯(410)에 삽입되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 14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이차전지(100)를 T형 단자 구조체(200-T)의 접속단자(400)가 슬롯 구조를 이룸으로써 접속단자(400)를 상호 결합하고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즉, 도 9 내지 도 13의 실시형태에서는 접속단자(400) 사이의 접합이 수반되어야 비로소 복수 이차전지(10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완성되지만, 도 14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슬롯 구조를 통해 접속단자(400)끼리 견고하게 접촉할 수 있어 조립상태에서도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물론, 도 14의 실시형태의 슬롯 구조에서도 슬롯(410)을 이용하여 일종의 가조립 상태로서 접속단자(400)끼리 연결한 후에 용접 등의 접합 과정을 병행하여 더욱 견고하게 연결을 완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실시형태]
제1 실시형태에서는 W형 단자 구조체(200-W)를, 제2 실시형태에서는 T형 단자 구조체(200-T)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W형 단자 구조체(200-W)를 이용하면 복수의 이차전지(100)를 직렬로 연결할 수 있고, T형 단자 구조체(200-T)를 이용하면 직렬 또는 병렬로 복수의 이차전지(100)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이차전지(100)를 직병렬로 연결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W형 단자 구조체(200-W)로는 직렬 연결만이 가능하므로, W형 단자 구조체(200-W) 및 T형 단자 구조체(200-T)를 이용하거나, 또는 T형 단자 구조체(200-T)만을 이용하여 직병렬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6은 W형 단자 구조체(200-W) 및 T형 단자 구조체(200-T)를 이용하여 복수의 이차전지(100)를 직병렬로 연결하는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폭 방향(W)으로 정렬된 복수의 이차전지(100)가 W형 단자 구조체(200-W)의 결속부재(300)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 직렬 전지군(500)이 복수 개 구비되며, 직렬 전지군(500)의 최외곽에 위치한 이차전지(100)는 양극 또는 음극의 극성을 가지게 된다. 즉, 각 직렬 전지군(500)은 직결된 이차전지(100)의 개수에 비례하여 용량이 증가한 하나의 커다란 이차전지(100)와 동등하다.
이러한 복수의 직렬 전지군(500)은 두께방향(T)을 따라 정렬되고, 도 12의 병렬연결과 마찬가지로, 직렬 전지군(500)의 최외곽에 위치한 이차전지(100)끼리는 T형 단자 구조체(200-T)의 접속단자(400)에 의해 병렬로 연결되며, 이로써 W형 단자 구조체(200-W)와 T형 단자 구조체(200-T)가 조합된 직병렬 연결이 이루어진다.
도 17은 T형 단자 구조체(200-T)만을 이용한 직병렬 연결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두께방향(T)으로 정렬된 복수의 이차전지(100)는 T형 단자 구조체(200-T)의 접속단자(400)에 의해 병렬로 연결된 병렬 전지군(600)이 복수 개 구비된다. T형 단자 구조체(200-T)에 의한 병렬 연결은 도 12의 실시형태를 따른다.
그리고, 복수의 병렬 전지군(600)끼리는, 도 13의 실시형태와 같이, T형 단자 구조체(200-T)의 접속단자(400)에 의해 병렬 전지군(600)의 서로 다른 극성을 연결하고, 이로써 복수의 이차전지(100)는 하나의 직병렬 연결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하나의 회로로 연결된 복수의 이차전지(100)는 버스바에 직렬로 연결되며, 버스바와의 연결은 사전에 수립된 결합 전략에 따라 W형 단자 구조체(200-W) 또는 T형 단자 구조체(200-T)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6 및 도 17은 W형 단자 구조체(200-W)와 T형 단자 구조체(200-T)를 이용한 직병렬 연결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더 많은 이차전지(100)를 더욱 복잡한 직병렬 회로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 도면과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또는 실시예 등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0: 이차전지
110: 전지 케이스
120: 양극단자 130: 음극단자
140: 벤팅부 150: 캡 플레이트
160: 전극 조립체 200: 단자 구조체
200-W: W형 단자 구조체 200-T: T형 단자 구조체
210: 단자 몸체 220: 연장단자
230: 연장배선 300: 결속부재
310: 암 결속부재 312: 홈
314: 슬롯 320: 수 결속부재
322: 돌기 324: 인서트
400: 접속단자 401: 일방향 접속단자
402: 양방향 접속단자 410: 슬롯
500: 직렬 전지군 600: 병렬 전지군
W: 폭 방향 T: 두께방향
H: 높이방향
120: 양극단자 130: 음극단자
140: 벤팅부 150: 캡 플레이트
160: 전극 조립체 200: 단자 구조체
200-W: W형 단자 구조체 200-T: T형 단자 구조체
210: 단자 몸체 220: 연장단자
230: 연장배선 300: 결속부재
310: 암 결속부재 312: 홈
314: 슬롯 320: 수 결속부재
322: 돌기 324: 인서트
400: 접속단자 401: 일방향 접속단자
402: 양방향 접속단자 410: 슬롯
500: 직렬 전지군 600: 병렬 전지군
W: 폭 방향 T: 두께방향
H: 높이방향
Claims (16)
-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전지 케이스의 상면에 양극단자 및 음극단자가 이격 배치된 이차전지;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가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면서 상기 전지 케이스의 상면 및 상기 상면에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면에 결합하는 단자 몸체와,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자 몸체 중 상면을 제외한 어느 일면에 노출된 연장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단자 상에 결속부재가 구비되는 W형 단자 구조체; 및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가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면서 상기 전지 케이스의 상면 및 상기 상면에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면에 결합하는 단자 몸체와,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자 몸체 중 상면을 제외한 어느 일면에 노출된 연장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연장단자 상에 상기 이차전지의 두께방향을 향하는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T형 단자 구조체;
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에 대해 상기 연장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장배선은 외부에 대해 절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몸체는 상기 전지 케이스의 상면 및 상기 상면에 이어지는 일측면에 결합하고,
상기 연장단자는 상기 일측면 상에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재는,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에 하나씩 구비되는 서로 상보하는 형상의 암 결속부재 또는 수 결속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단자 또는 음극단자에 구비된 암 결속부재 또는 수 결속부재는,
인접한 다른 이차전지의 음극단자 또는 양극단자에 구비된 수 결속부재 또는 암 결속부재에 대해 직렬회로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이차전지는 폭 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각각의 이차전지에 구비된 암 결속부재 또는 수 결속부재는 인접한 이차전지의 수 결속부재 또는 암 결속부재에 대해 폭 방향을 따라 암수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암 결속부재는 폭 방향으로 개방된 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 결속부재는 폭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이차전지는 폭 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각각의 이차전지에 구비된 암 결속부재 또는 수 결속부재는 인접한 이차전지의 수 결속부재 또는 암 결속부재에 대해 높이방향을 따라 암수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암 결속부재는 높이방향으로 개방된 슬롯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 결속부재는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인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두께방향을 따라 어느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인접한 다른 이차전지의 연장단자 또는 접속단자에 대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1항에 있어서,
복수의 이차전지는 두께방향을 따라 정렬되고,
각각의 이차전지에 구비된 접속단자는 인접한 이차전지의 연장단자 또는 접속단자에 대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의 단부는 두께방향으로 개방된 슬롯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의 슬롯에 인접한 이차전지의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1항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이차전지가 상기 W형 단자 구조체의 결속부재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 직렬 전지군이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직렬 전지군의 최외곽에 위치한 이차전지끼리는 상기 T형 단자 구조체의 접속단자에 의해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 제11항에 있어서,
두께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이차전지가 상기 T형 단자 구조체의 접속단자에 의해 병렬로 연결된 병렬 전지군이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병렬 전지군끼리는 상기 T형 단자 구조체의 접속단자에 의해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3694A KR20230172928A (ko) | 2022-06-16 | 2022-06-16 | 단자 구조가 개선된 이차전지 |
PCT/KR2023/007995 WO2023243953A1 (ko) | 2022-06-16 | 2023-06-12 | 단자 구조가 개선된 이차전지 |
CN202380015065.0A CN118369817A (zh) | 2022-06-16 | 2023-06-12 | 具有改进的端子结构的二次电池 |
EP23824170.7A EP4421969A1 (en) | 2022-06-16 | 2023-06-12 | Secondary battery having improved terminal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73694A KR20230172928A (ko) | 2022-06-16 | 2022-06-16 | 단자 구조가 개선된 이차전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72928A true KR20230172928A (ko) | 2023-12-26 |
Family
ID=8919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73694A KR20230172928A (ko) | 2022-06-16 | 2022-06-16 | 단자 구조가 개선된 이차전지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4421969A1 (ko) |
KR (1) | KR20230172928A (ko) |
CN (1) | CN118369817A (ko) |
WO (1) | WO2023243953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2816A (ko) | 2018-02-27 | 2019-09-0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16266B2 (ja) * | 1999-10-08 | 2010-02-17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密閉角形蓄電池 |
KR101627631B1 (ko) * | 2012-04-12 | 2016-06-0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및 그 모듈 |
KR20140094207A (ko) * | 2013-01-21 | 2014-07-30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지 모듈 |
JP6243197B2 (ja) * | 2013-11-12 | 2017-12-06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バッテリカバー |
KR102408824B1 (ko) * | 2015-06-22 | 2022-06-1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모듈 |
KR102691996B1 (ko) | 2020-11-26 | 2024-08-05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세라믹 분리막을 포함하는 폐수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수처리 방법 |
-
2022
- 2022-06-16 KR KR1020220073694A patent/KR2023017292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3
- 2023-06-12 CN CN202380015065.0A patent/CN118369817A/zh active Pending
- 2023-06-12 WO PCT/KR2023/007995 patent/WO202324395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3-06-12 EP EP23824170.7A patent/EP4421969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02816A (ko) | 2018-02-27 | 2019-09-0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8369817A (zh) | 2024-07-19 |
WO2023243953A1 (ko) | 2023-12-21 |
EP4421969A1 (en) | 2024-08-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73308B1 (ko) | 두 개 이상의 유닛 셀들을 포함하고 있는 고용량 전지셀 | |
JP7230011B2 (ja) | 直/並列連結を容易にする構造を有す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パック | |
KR100889243B1 (ko) | 전지 코어 팩의 제조방법 | |
EP2325926B1 (en) | Connection tab for connecting battery cells and battery module using the same | |
US10532423B2 (en) | Battery pac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CN106486634B (zh) | 电池模块 | |
EP2562842A1 (en) | Battery module | |
US10199616B2 (en) | Battery pack including cell frames coupled to each other | |
KR20190134788A (ko) | 배터리 탭 구성 | |
KR20190143407A (ko) | 복수의 전극을 갖는 배터리전지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모듈 | |
KR20230172928A (ko) | 단자 구조가 개선된 이차전지 | |
KR20230171556A (ko) | 단자 구조가 개선된 이차전지 | |
KR20230171100A (ko) | 단자 구조가 개선된 이차전지 | |
KR101995288B1 (ko) | 전극 조립체 | |
KR20240059428A (ko) | 버스바를 일체로 구비하는 단자 구조체 어셈블리 | |
US20240234906A9 (en) | Battery module | |
KR102633457B1 (ko) |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 |
KR102662582B1 (ko) | 단자 구조가 개선된 이차전지 | |
US20240136654A1 (en) | Battery module | |
EP4203171A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 |
KR101809142B1 (ko) | 상호 연결된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 |
KR20220085598A (ko) | 배터리 모듈 | |
KR20240060271A (ko) | 단자 구조가 개선된 이차전지 | |
KR20230058852A (ko) | 배터리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 |
KR20240079823A (ko) | 대용량 이차전지에 적합한 전극 리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